KR20220111077A -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 Google Patents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77A
KR20220111077A KR1020210014269A KR20210014269A KR20220111077A KR 20220111077 A KR20220111077 A KR 20220111077A KR 1020210014269 A KR1020210014269 A KR 1020210014269A KR 20210014269 A KR20210014269 A KR 20210014269A KR 20220111077 A KR20220111077 A KR 2022011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onnecting rod
sound output
sound
sou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7575B1 (en
Inventor
설재호
Original Assignee
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호 filed Critical 설재호
Priority to KR102021001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575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brush technique device, e.g. stroke movement measu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 A46B15/004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with musical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with a sound output function. The toothbrush with the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10) including a main body (11) and a plurality of bristles (13) planted in the main body (11); a handle (20) gripped by a user; a connecting rod (30)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11)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20); and a sound output unit (40) having a memory (41)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 data pieces to guide brushing, a speaker (43) for outputting the stored sound data pieces, and a controller (45)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pieces, and arranged on the handle (20) Right brushing habits can be guided.

Description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Toothbrush with sound output function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본 발명은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양치 권장 시간 동안 사운드가 출력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in which sound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recommended brushing time in order to induce correct brushing habits of infants or children.

칫솔은 구강 청결 및 치아 건강을 위한 구강위생 용구로서,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가 막대형 손잡이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칫솔질은 치태를 제거하고 치주질환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치은의 맛사지, 구강 내의 불쾌감 제거, 심리적 심미적 효과, 구취제거, 국소적인 혈액공급의 증진, 치은 상피의 각화 증가, 치은의 생리적 형태의 수복과 유지, 세포의 대사율 증진, 치은 세포의 성숙 촉진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A toothbrush is an oral hygiene tool for oral hygiene and dental health,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head having bristles implanted is connected to a rod-shaped handle. Brushing not only removes plaque and prevents periodontal disease, but also massages the gingiva, removes discomfort in the oral cavity, psychological and aesthetic effects, removes bad breath, improves local blood supply, increases keratinization of the gingival epithelium, restores and maintains the physiological shape of the gingiva, It provides various effects such as enhancing the metabolic rate of cells and promoting the maturation of gingival cells.

현재까지 칫솔질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었다. 특히, 양치를 싫어하는 유아나 어린이를 위해서 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올바른 양치 습관을 들이는 유아 또는 어린이용 칫솔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유아 또는 어린이용 칫솔들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되 바와 같이 대부분 손잡이에 단순히 여러 가지 놀이기구나 장식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호기심을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 또는 어린이용 칫솔은 아이들이 칫솔질보다는 칫솔의 장식을 탐색하고 놀이화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쉽게 싫증을 느끼므로, 양치 습관의 유도 효과가 미비한 편이다. 또한, 칫솔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약 3분의 권장 시간을 준수해야 하지만, 유아 또는 어린이용 칫솔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므로, 부모 등이 아이들의 칫솔질을 보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그대로 유지된다.To date,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rushing. In particular, for infants or children who do not like to brush their teeth, toothbrushes for infants or children are being released that arouse their curiosity and adopt a correct brushing habit. These toothbrushes for infants or children induce curiosity by simply attaching various play equipment or decorations to the handle,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documents below. However, these toothbrushes for infants or children are less effective in inducing a brushing habit because children explore and play with the decorations of the toothbrush rather than brushing, or easily get bored with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in order to brush effectively, the recommended time of about 3 minutes must be adhered to in a correct way, but it is impossible to just use a toothbrush for infants or children, so the inconvenience of parents having to assist their children in brushing is still the same. maintain.

이에 종래 유아 또는 어린이용 칫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toothbrushes for infants or children.

KRUS 20-032525820-0325258 Y1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바른 칫솔질을 유도하는 노래나 멜로디 등과 같은 사운드가 양치 권장 시간 동안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in which a sound such as a song or melody for inducing correct brushing is output for a recommended brushing time. hav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운드 출력 기능에 더해 전동 내지 자외선 조사 기능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additionally equipped with an electric or ultraviolet irradia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sound output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식모된 다수의 칫솔모를 포함하는 헤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대; 및 칫솔질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including a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bristles implanted in the main body; a handle gripped by the user;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and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 data for guiding brushing,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a sound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handle;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배치되고, 칫솔질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상기 진동을 감지할 때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on the head,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during brushing;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the vibration sensor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data when detecting the vib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다수의 상기 칫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ristl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배치되고, 칫솔질 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상기 압력을 감지할 때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on the head,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during brushing;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the pressure sensor may control so that the sound data is output when the pressure is sen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칫솔모에 상기 압력이 가해질 때에 가역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가압하는 탄성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the housing having an opening,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therein; and an elastic plate in which the bristles are implanted, close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reversibly deform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ristles to press the pressur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치아에서부터 멀어지는 원호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대가 회동되도록, 상기 연결대와 상기 손잡이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연결대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대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제1 접점; 및 상기 연결대가 상기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될 때에, 소정의 제1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for hinged coupl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handle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along the arc direction away from the bristles from the teeth; a first contact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and a second contact poi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 angle range when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along the arc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ler includes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When the two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first sound data, which is any one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outpu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될 때에, 상기 초기 위치로 상기 연결대가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in the arc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a restoration unit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may include mo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상기 제1 회동 각도 범위를 지나 상기 원호방향으로 더 회동할 때에, 소정의 제2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3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 중 다른 하나인 제2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rod is further rotated in the arc direction past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rotation angle range, the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tac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wherein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contact and the third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 second sound that is another one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You can control the data to be outpu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바라보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상기 칫솔모를 회전시키는 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are viewed as a rotation axis, the electric part for rotating the bristles;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통해, 치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블랙라이트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ack light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teeth through the head;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올바른 칫솔질을 유도하는 노래나 멜로디 등과 같은 사운드가 양치 권장 시간 동안 출력되므로,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칫솔질에 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운드에 따라 올바른 방법으로 소정의 출력 시간 동안 혼자서 칫솔질을 수행하기 때문에,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ound such as a song or melody for inducing correct brushing is output during the recommended brushing time, it can cause curiosity about brushing in infants or children. In addition, since brushing is performed alone for a predetermined output time in a correct manner according to the sound, a correct brushing habit can be induced.

나아가, 전동 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태를 제거하고 치은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자외선이 구강 내에 조사되어 구강을 살균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plaque and massage the gingiva through the electric function, an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into the oral cavity to sterilize the oral c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본체(11), 및 본체(11)에 식모된 다수의 칫솔모(13)를 포함하는 헤드(10),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20), 본체(11)로부터 연장되고, 손잡이(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대(30), 및 칫솔질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1),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43), 및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5)를 포함하고, 손잡이(20)에 배치되는 사운드 출력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10 including a main body 11 , and a plurality of bristles 13 implanted in the main body 11 . ), a handle 20 gripped by a user, a connecting rod 30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11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20, and a memory 41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 data for guiding brushing ), a speaker 43 for outpu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a controller 45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and a sound output unit 40 disposed on the handle 20 .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양치 권장 시간 동안 사운드가 출력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유아나 어린이들은 양치를 싫어하기 때문에 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서, 손잡이(20)에 다양한 놀이기구나 장식을 부착한 어린이용 칫솔이 개발되었으나, 칫솔질보다는 칫솔의 장식을 탐색하고 놀이화하거나, 쉽게 싫증을 느끼며,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which sound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recommended brushing time in order to induce a correct brushing habit in infants or children. Since most infants and children dislike brushing their teeth, in order to arouse their curiosity, toothbrushes for children with various play equipment or decorations attached to the handle 20 have been developed, but rather than brushing, search for decorations of the toothbrush and make them into play. , easily get bo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rrect brushing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헤드(10), 손잡이(20), 연결대(30), 및 사운드 출력부(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10 , a handle 20 , a connecting rod 30 , and a sound output unit 40 .

헤드(10)는 칫솔의 일단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본체(11)의 일면에 다수의 칫솔모(13)가 식모되어 형성된다. 다수의 칫솔모(13)는 각각의 말단이 치아나 치은에 밀착되게 일방향을 향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The head 10 is a member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toothbrush, and is formed by implanting a plurality of bristles 13 on one surface of the body 11 . A plurality of bristles 13 are direc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ir respective end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or gingiva,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손잡이(2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팔이나 손목을 움직여 칫솔모(13)를 치아나 치은에 밀착시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때, 손잡이(2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움직임은 연결대(30)를 통해 헤드(10)에 전달된다.The handle 20 is a part gripped by the user, and is used to move the bristles 13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or gingiva by moving the arm or wrist while holding the user's hand. At this time, the user's movement applied to the handle 20 is transmitted to the head 10 through the connecting rod 30 .

연결대(30)는 헤드(10)의 본체(1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손잡이(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연결대(30)는 칫솔모(13)가 치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손잡이(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치아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외력이 작용할 때에 변형이 일어나는 탄성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30 extends from the main body 11 of the head 10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ndle 20 . The connecting rod 30 is an elastic material that deforms when the bristles 13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20 so that the bristles 13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o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strong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teeth. and the like.

사운드 출력부(40)는, 사용자,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습득시키기 위해, 칫솔질을 안내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출력부(40)는 메모리(41), 스피커(43), 및 컨트롤러(45)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손잡이(20)에 배치된다.The sound output unit 40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data for guiding brushing in order to arouse curiosity in a user, particularly an infant or child, and to acquire a correct brushing habit. Specifically, the sound output unit 40 includes a memory 41 , a speaker 43 , and a controller 45 , each of which is disposed on the handle 20 .

메모리(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로서, 손잡이(20)에 내장된다. 메모리(41)에 저장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외부에서 입력을 받아 저장되고, 노래, 멜로디 등 다양한 음향 정보를 수록한다. 일례로, 사운드 데이터는 양치하는 방법을 가사로 한 노래일 수 있다. 이러한 양치 노래를 통해 아이들의 올바른 칫솔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데이터는 양치 권장 시간인 3분 동안 출력되도록 하여, 적정한 양치 시간 습관을 길들이게 할 수 있다. 사운드 데이터는 쉽게 싫증을 내는 아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다수 개가 저장되어, 순차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The memory 41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 data, and is embedded in the handle 20 .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receives input from the outside and is stored, and various sound information such as songs and melodies is recorded. For example, the sound data may be a song in which a method of brushing teeth is used as lyrics. These brushing songs can encourage children to brush their teeth properly. In addition, sound data may be output for 3 minutes, which is the recommended brushing time, so that an appropriate brushing time habit can be cultiv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easily get bored of the sound data,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 data may be stored and output sequentially or by a user's selection.

스피커(43)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음향기기로서, 손잡이(20)의 외면을 통해, 메모리(41)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The speaker 43 is an audio device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nd outputs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20 to the outside.

컨트롤러(45)는 메모리(41)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회로 시스템으로서, 손잡이(20)에 내장되고, 메모리(41)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기설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선택 재생한다. The controller 45 is a circuit system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 and is built in the handle 20 and selectively reproduces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according to a preset output metho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운드 출력부(4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공급원으로서 배터리가 손잡이(20)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battery may be built in the handle 20 as a power supply source for driving the sound output unit 40 .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에 따르면, 올바른 칫솔질을 유도하는 노래나 멜로디 등과 같은 사운드가 양치 권장 시간 동안 출력되므로,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칫솔질에 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운드에 따라 올바른 방법으로 소정의 출력 시간 동안 혼자서 칫솔질을 수행하기 때문에,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유도할 수 있다.Overall, according to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uch as a song or melody for inducing correct brushing is output during the recommended brushing time, thereby causing curiosity about brushing in infants or children. In addition, since brushing is performed alone for a predetermined output time in a correct manner according to the sound, a correct brushing habit can be induced.

사운드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출력 방식은 버튼 작동식, 진동 감지식, 압력 감지식, 회전 감지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하에서 각각의 방식에 설명한다.An output method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sound data is divided into a button operation type, a vibration sensing type, a pressure sensing type, a rotation sensing type, and the like, and each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버튼 작동식은 사용자가 버튼을 작동시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이를 위해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0)는 손잡이(20)에 배치되어, 사운드 데이터 출력에 대응되는 동작, 즉 사운드 데이터의 재생, 정지, 선택, 볼륨, 음소거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치(50)는 각각의 상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 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아이들의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유도하기 위해서, 양치 노래는 3분 동안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위치(50)의 작동에 의해 양치 노래가 시작되면, 3분 이전에, 스위치(50)의 동작에 의해서도 정지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음소거는 가능할 수 있다. The button operation type is a method in which a user operates a button to output sound data, and for this purpose, a switch 50 may be included. The switch 50 is disposed on the handle 20 to control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data output, that is, play, stop, select, volume, mute, and the like of sound data. A plurality of such switches 5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respective operation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duce children's correct brushing habit, 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ing song is played for 3 minutes. Therefore, when the brushing song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50, 3 minutes before the operation of the switch 50, It can be designed not to be stopped even by In this case, muting may b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진동 감지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진동감지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in a vibration sensing manner. To this end,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bration sensor 60 .

진동감지센서(60)는 헤드(10)에 배치되어, 칫솔질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한다. 진동감지센서(60)가 진동을 감지하게 되면, 컨트롤러(45)는 그 진동 감지를 기반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 결국, 헤드(10)의 진동을 수반하는 칫솔질의 시작과 함께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다. 반면, 칫솔질이 멈추게 되면, 즉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컨트롤러(45)는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vibration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head 10, and detects vibrations generated during brushing. When the vibration sensor 60 detects vibration, the controller 45 outputs sound data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As a result, sound data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tart of brushing accompanied by vibration of the head 10 . On the other hand, when brushing is stopped, that is, when no vibration is sensed, the controller 45 may stop outputting sound data.

한편, 진동감지센서(60)는 다수의 칫솔모(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칫솔질을 시작하게 되면, 칫솔모(13)가 반복적으로 밴딩(bending)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진동을 진동감지센서(60)가 감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vibration sensor 60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ristles 13 . When you start brushing, since the bristles 13 are repeatedly bent (bending), the vibration sensor 60 detects the vibration generated at this time.

여기서, 진동감지센서(60)는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온(ON) 및/또는 오프(OFF) 동작 신호를 생성하므로, 사운드 데이터의 선택, 볼륨, 음소거 등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Here, since the vibration sensor 60 generates an ON and/or OFF operation signal for the output of sound data, selection of sound data, volume, muting, etc. are performed with the switch 50 shown in FIG. ) can be controlled by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로서, 압력 감지식으로 작동하는 칫솔을 도시한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essure sensitive toothbrus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압력감지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70 .

압력감지센서(70)는 헤드(10)에 배치된다. 따라서, 칫솔질 시 칫솔모(13)가 치아에 밀착될 때 헤드(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45)는 압력감지센서(70)에 의해 감지된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결국, 칫솔질의 시작과 함께 발생하는 압력을 재생 신호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다. 반면, 칫솔질이 멈추고, 칫솔모(13)가 치아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더 이상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45)가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0 is disposed on the head 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d 10 when the bristles 1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during brushing. Here, the controller 45 controls the output of sound data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0 . As a result, the pressure generated with the start of brushing is used as a reproduction signal, and sound data is output. On the other hand, when brushing is stopped and the bristles 13 are separated from the teeth, pressure is no longer sensed, so that the controller 45 may stop outputting sound data.

한편, 압력감지센서(70)는 헤드(10)에 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헤드(10)의 본체(11)는 하우징(11a), 및 탄성판(1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a)은 내부 수용공간, 및 그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내부 수용공간에는 압력감지센서(70)가 배치되고, 개구부는 탄성판(11b)에 의해 폐쇄되어, 압력감지센서(70)와 탄성판(11b)의 일면이 마주보게 된다. 탄성판(11b)은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서, 외부에 노출된 타면에 칫솔모(13)가 식모된다. 따라서, 칫솔질 시 칫솔모(13)에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판(11b)이 가역적으로 변형되면서 압력감지센서(7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압력감지센서(70)가 칫솔질 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sure sensor 70 may be built into the head 10 . To this end, the body 11 of the head 10 may include a housing 11a and an elastic plate 11b. The housing 11a has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The pressure sensor 70 is dispos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elastic plate 11b, so that the pressure sensor 70 and one surface of the elastic plate 11b face each other. The elastic plate 11b is a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bristles 13 are implanted on the oth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ristles 13 during brushing, the elastic plate 11b is reversibly deformed and presses the pressure sensor 70, which causes the pressure sensor 70 to generate pressure during brushing. can detect

여기서, 압력감지센서(70)는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온(ON) 및/또는 오프(OFF) 동작 신호를 생성하므로, 사운드 데이터의 선택, 볼륨, 음소거 등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Here, since the pressure sensor 70 generates an ON and/or OFF operation signal for the output of sound data, selection of sound data, volume, muting, etc. are performed with the switch 50 shown in FIG. ) can be controlled by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회전 감지식으로 작동한다. 그 작동을 위해서, 힌지축(80), 제1 접점(90), 및 제2 접점(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rotation sensing manner. For its operation, it may include a hinge shaft 80 , a first contact point 90 , and a second contact point 100 .

힌지축(80)은 연결대(30)와 손잡이(20)를 힌지결합하는 결합구이다. 헤드(10)로부터 먼 연결대(30)의 원위측 말단이 손잡이(2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손잡이(20)의 내부로 삽입되고, 힌지축(80)에 의해 손잡이(20)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의해, 연결대(30)는 칫솔모(13)가 치아에서부터 멀어지는 원호방향, 및 그 반대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20)의 개방된 일단과 연결대(30) 사이의 간극은 커버부(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커버부(21)는 연결대(30)의 회동에 따라 가역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inge shaft 80 is a coupler for hinge-joining the connecting rod 30 and the handle 20 .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rod 30 away from the head 1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20 through the open end of the handle 20 , and is hinged to the handle 20 by a hinge shaft 80 . do. Thereby, the connecting rod 30 can rotate along the arc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13 are away from the teeth, and the opposite direction. Here, the gap between the open end of the handle 20 and the connecting rod 30 may be closed by the cover part 21 . The cover part 21 may be made of an elastic body that is reversi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

제1 접점(90)은 전도성 부재로서, 연결대(30)의 외면에 장착되어, 연결대(30)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90 is a conductive member and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30 , and may be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

제2 접점(100)은 상기 제1 접점(90)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부재이다. 연결대(30)의 초기 위치에서 제1 접점(90)과 제2 접점(100)은 서로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구성한다. 연결대(30)가 상기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되면, 제1 접점(90)도 회동하게 되고, 소정의 제1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제2 접점(100)과 접촉하면서, 단락 회로를 구성한다. 이렇게 단락 회로가 구성되면, 그 회로에 전기가 통하게 되므로, 컨트롤러(45)는 그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메모리(41)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 second contact 100 is a conductive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9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 the first contact 90 and the second contact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nstitute an open circuit. When the connecting rod 30 rotates along the arc direction, the first contact 90 also rotates, and makes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100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 angle range, forming a short circuit. When the short circuit is configured in this way, since electricity is passed through the circuit, the controller 45 detects the electric signal and controls the first sound data that is any one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41 to be output.

여기서, 제1 접점(90)이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접점(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접점(90)과 제2 접점(100)은 소정의 제1 회동 각도 범위에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제1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결국, 초기 위치에서의 연결대(30)는, 칫솔질을 위해 치아와 칫솔모(13)가 맞닿아 칫솔모(13)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1 회동 각도 범위에 이를 때에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다. Her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90 rotates, the second contact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irst contact 90 and the second contact 100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 It can be contacted in a range of angles. Accordingly, sound data can be output within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As a result, the connecting rod 30 in the initial position rotates along the arc direction when the teeth and the bristles 13 come into contact with the bristles 13 for brushing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istles 13, and when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is reached Sound data is output.

그리고 그 제1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칫솔질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대(30)가 제1 회동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위치를 고정하고, 칫솔질이 종료될 때에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부(110)는 연결대(30)가 초기 위치에서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할 때에, 초기 위치로 연결대(30)가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한다. 이 복원력으로 인해, 연결대(30)가 제1 회동 각도 범위를 넘어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칫솔모(13)를 치아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복원부(110)는 코일 스프링, 가스 스프링,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성체 등과 같이 복원력을 생성하는 모든 공지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And brushing is made within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od 30 may further include a restoration unit 110 to fix the position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and to restore the initial position when brushing is finished. The restoration unit 110 appli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nnecting rod 30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connecting rod 30 rotates in the arc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Due to this restoring force, since the connecting rod 30 does not rotate beyond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the bristles 13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The restor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any known means for generating a restoring force, such as a coil spring, a gas spring, a pair of magnetic materials to which an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acts.

한편, 과도한 힘으로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 연결대(30)가 회동하기 때문에, 치아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과도한 힘이 작용할 때에, 이를 경고하기 위해서, 제3 접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brushing with excessive force, since the connecting rod 30 rot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external force from acting on the teeth. Furthermore,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a third contact point 120 may be further included to warn this.

제3 접점(120)은 연결대(30)가 원호방향을 따라 제1 회동 각도 범위를 지나 더 회동할 때에, 소정의 제2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접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부재이다. 제2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접점(90)과 제3 접점(120)의 접촉으로 인해 또 다른 단락 회로가 구성되고, 컨트롤러(45)는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메모리(41)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 중 다른 하나인 제2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사운드 데이터는 치아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음성 메시지 등의 경고 음향 신호일 수 있다.The third contact 120 is a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90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rotation angle range when the connecting rod 30 further rotates past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along the arc direction. to be. Another short circuit is form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90 and the third contact 120 within the range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and the controller 45 detects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ly and is stored in the memory 41 Controlled so that second sound data, which is another one of the sound data, is output. Here, the second sound data may be a warning sound signal such as a voice message warning that excessive force is acting on the teeth.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칫솔모(13)를 회전 또는 진동시키는 전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10)의 본체(11)는 하우징(11a), 및 회전판(11c)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a)은 내부 수용공간, 및 그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 수용공간에 전동부(130)가 배치되며, 개구부는 칫솔모(13)가 식모된 회전판(11c)에 의해 폐쇄된다. 여기서, 전동부(130)는 칫솔모(13)가 바라보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판(11c)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11c)의 회전과 함께 칫솔모(13)가 회전하게 된다.5,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part 130 for rotating or vibrating the bristles 13. Here, the body 11 of the head 10 may include a housing 11a and a rotating plate 11c. The housing 11a has an inner accommodation space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the electric part 130 is dispos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rotating plate 11c in which the bristles 13 are implanted. do. Here, the electric part 130 may be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the rotating plate 11c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13 are viewed as the axis of rotation. Accordingly, the bristles 13 rotat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1c.

한편, 전동부(130)는 헤드(10) 또는 연결대(30)를 진동시켜, 칫솔모(13)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vibrating body that vibrates the head 10 or the connecting rod 30 to apply vibration to the bristles 13 .

이러한 전동부(130)를 통해, 칫솔에 전동 기능이 부여되므로, 효과적으로 치태를 제거하고 치은을 마사지할 수 있다.Through the electric part 130, since the electric function is given to the toothbrus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plaque and massage the gingiva.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은 블랙라이트 램프(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ack light lamp 140 .

블랙라이트 램프(140)는 헤드(10)를 통해 치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치아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하얀색은 더 하얗게, 하얗지 않은 부분은 어둡게 보이므로, 육안으로 칫솔질이 안 된 부분을 쉽게 구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외선은 살균 기능을 가지므로, 칫솔질 외에 구강 내 세균을 살균할 수도 있다.The black light lamp 140 is a devi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teeth through the head 10 . When the teeth ar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whites appear whiter and non-white areas appear darker, so that areas that have not been brushed can be easily distinguished with the naked eye, enabling effective brushing. In addition, since ultraviolet rays have a sterilizing function, it can also sterilize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o brushing.

블랙라이트 램프(140)는 헤드(10)에 내장되므로, 자외선이 통과하는 관통공(11d)이 헤드(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판(11c)에 관통공(11d)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관통공(11d)에는 자외선은 투과되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투광창이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 black light lamp 140 is built into the head 10 , a through hole 11d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pass may be formed in the head 10 . For example, a through hole 11d may be provided in the rotating plate 11c. On the other hand, a light-transmitting window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1d to transmit ultraviolet rays but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10: 헤드 11: 본체
11a: 하우징 11b: 탄성판
11c: 회전판 11d: 관통공
13: 칫솔모 20: 손잡이
21: 커버부 30: 연결대
40: 사운드 출력부 41: 메모리
43: 스피커 45: 컨트롤러
50: 스위치 60: 진동감지센서
70: 압력감지센서 80: 힌지축
90: 제1 접점 100: 제2 접점
110: 복원부 120: 제3 접점
130: 전동부 140: 블랙라이트 램프
10: head 11: body
11a: housing 11b: elastic plate
11c: rotary plate 11d: through hole
13: toothbrush head 20: handle
21: cover part 30: connecting rod
40: sound output unit 41: memory
43: speaker 45: controller
50: switch 60: vibration sensor
70: pressure sensor 80: hinge shaft
90: first contact 100: second contact
110: restoration unit 120: third contact
130: electric part 140: black light lamp

Claims (10)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식모된 다수의 칫솔모를 포함하는 헤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대; 및
칫솔질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a head including a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bristles implanted in the main body;
a handle gripped by the user;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and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ound data for guiding brushing,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a sound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handle; includes Toothbrush equipped with sound output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배치되고, 칫솔질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상기 진동을 감지할 때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on the head, and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during brushing;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ound data to be output when the vibration sensor detects the vibr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다수의 상기 칫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ibration sensor is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that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rist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배치되고, 칫솔질 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상기 압력을 감지할 때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on the head, and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during brushing;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ound data to be output when the pressure sensor senses the pressu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칫솔모에 상기 압력이 가해질 때에 가역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가압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body i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having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therein; and
The bristles are implanted, a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is closed, and an elastic plate for pressing the pressure sensor while reversibly deform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ristles.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치아에서부터 멀어지는 원호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대가 회동되도록, 상기 연결대와 상기 손잡이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연결대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대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제1 접점; 및
상기 연결대가 상기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될 때에, 소정의 제1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inge shaft for hingedly coupl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handle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along an arc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are away from the teeth;
a first contact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and
a second contact poi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 angle range when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along the arc direction; and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for controlling to output the first sound data, which is any one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원호방향을 따라 회동될 때에, 상기 초기 위치로 상기 연결대가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7. The method of claim 6,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when the connecting rod is rotated in the arc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a restoration unit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nnecting rod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상기 제1 회동 각도 범위를 지나 상기 원호방향으로 더 회동할 때에, 소정의 제2 회동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3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 중 다른 하나인 제2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connecting rod further rotates in the arc direction past the first rotation angle range, a third contact poi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rotation angle rang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third contact poi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for controlling to output second sound data, which is another one of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가 바라보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상기 칫솔모를 회전시키는 전동부;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part for rotating the bristl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stles are viewed as a rotation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통해, 치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블랙라이트 램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구비한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othbrush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black light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teeth through the head.
KR1020210014269A 2021-02-01 2021-02-01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KR102587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69A KR102587575B1 (en) 2021-02-01 2021-02-01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69A KR102587575B1 (en) 2021-02-01 2021-02-01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77A true KR20220111077A (en) 2022-08-09
KR102587575B1 KR102587575B1 (en) 2023-10-10

Family

ID=8284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69A KR102587575B1 (en) 2021-02-01 2021-02-01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57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60U (en) * 1996-06-05 1996-12-13 株式会社トータルヘルス Toothbrush with toothpaste pressure detection warning function
JP3058693U (en) * 1998-10-26 1999-06-22 古谷産業株式会社 Toothbrush toothbrush
KR200325258Y1 (en) 2003-05-26 2003-09-02 김리선 Combination tooth brush and soap bubble diffuser for children
KR100737691B1 (en) * 2006-03-09 2007-07-09 전병옥 A sterilize toothbrush
JP2007521057A (en) * 2003-06-27 2007-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Electric toothbrush using sonic action for tooth cleaning
KR20120053619A (en) * 2010-11-18 2012-05-29 안효산 Electric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60B2 (en) * 1991-10-14 2000-04-10 マツダ株式会社 Roadway recognition device for mobile vehicles
GB9420743D0 (en) * 1994-10-15 1994-11-30 Chemence Ltd An aerobic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60U (en) * 1996-06-05 1996-12-13 株式会社トータルヘルス Toothbrush with toothpaste pressure detection warning function
JP3058693U (en) * 1998-10-26 1999-06-22 古谷産業株式会社 Toothbrush toothbrush
KR200325258Y1 (en) 2003-05-26 2003-09-02 김리선 Combination tooth brush and soap bubble diffuser for children
JP2007521057A (en) * 2003-06-27 2007-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Electric toothbrush using sonic action for tooth cleaning
KR100737691B1 (en) * 2006-03-09 2007-07-09 전병옥 A sterilize toothbrush
KR20120053619A (en) * 2010-11-18 2012-05-29 안효산 Electric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575B1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230A (en) Sound-producing toothbrush assembly
RU2431437C2 (en) Interactive musical toothbrush
US75995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osting sound in a denta-mandibular sound-transmitting entertainment toothbrush
EP3076825B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US11364102B2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US7013522B2 (en) Toothbrush assembly with sound generating function
US20170020277A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RU2477067C2 (en) Interactive toothbrush
US5044037A (en) Musical toothbrush
JP2009526607A (en) Teaching method with instruction
US5924159A (en) Toothbrush
EP3413835A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US20070065792A1 (en) Dental hygiene tutorial toy
US20050066461A1 (en) Efficient training tooth brush for children
KR102587575B1 (en) Toothbrush having function of sound output
CA255903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osting sound in a denta-mandibular sound-transmitting entertainment toothbrush
KR101785696B1 (en) A Multifunctional LED toothbrush which leads to the right brushing habit
CN102793367A (en) Intelligent toothbrush
JP2006042966A (en) Toothbrush
KR200421984Y1 (en) The helping doll for brushing his teeth that changing color of teeth
JPS6025079Y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bristles on a toothbrush
KR200350325Y1 (en) Toothbrush sterilizer for providing information
JPS6025080Y2 (en) Toothbrush training device
JP3058693U (en) Toothbrush toothbrush
RU2048137C1 (en) Tooth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