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459A - Smart emergency bell - Google Patents

Smart emergency b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459A
KR20220108459A KR1020210011482A KR20210011482A KR20220108459A KR 20220108459 A KR20220108459 A KR 20220108459A KR 1020210011482 A KR1020210011482 A KR 1020210011482A KR 20210011482 A KR20210011482 A KR 20210011482A KR 20220108459 A KR20220108459 A KR 20220108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ergency bell
smart
sensor
smar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주 filed Critical 이성주
Priority to KR102021001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459A/en
Publication of KR20220108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19Charger status, e.g. voltmet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emergency bell. More specifically, the smart emergency bell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a camera, a mode changeover switch, a sensor interface module,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a fingerprint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lfunction caused by mistake of a use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스마트 비상벨{SMART EMERGENCY BELL}Smart Emergency Bell {SMART EMERGENCY BELL}

본 발명은 스마트 비상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상상황 대처 기능, 방범 기능, 및 CCTV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비상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emergency b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emergency bell capable of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function,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d a CCTV function.

비상벨은 비상 상황(예를 들면, 화재 발생, 방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지점으로 알람이 전파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The emergency bell is operated by the us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e.g., fire, crime prevention, etc.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alarm is propagated to a specific point set by the user or administrator,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종래의 비상벨은 통합관제센터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상벨을 누르면 비상벨 내부의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가 눌려짐과 동시에 버튼의 접점이 단락되면서 전기가 도통되어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전기회로에 의해 통합관제센터에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비상벨의 목적에 맞는 관공서 또는 병원 등과 같은 기관으로 통보하여 도움을 청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emergency bell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with a wir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ell, the push-button switch inside the emergency bell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utton contact is short-circuited and electricity is conducted to configure the circuit. will d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detects the user's contact by the generated electric circuit and notifies the user's contact to the government office or hospital, etc.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emergency bell, and asks for help.

그러나 종래의 비상벨은 각각의 목적에 맞게 설치된 위치에서 작동된 비상벨의 누름만을 감지할 뿐, 비상 상황의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mergency bell only senses the press of the emergency bell operated at a location installed for each purpose, and there is a inconvenience of separately checking the details of the emergency situation.

또한, 비상벨이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기존 배선을 철거한 후 재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낭비가 발생하고, 배선이 복잡하며, 고장 개소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bell must be connected by wire, in order to change the installation location, it is inconvenient to dismantle the existing wiring and then reconstruct it.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maintenance.

또한, 취객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비상벨의 오작동이 발생하면, 비상벨이 전파되는 관공서 또는 병원과 같은 기관에서는 인력이 상황에 대비하거나 그에 따른 조치를 해야 하므로 공공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a malfunction of the emergency bell occurs due to the user's mistake, including drunk passengers, institutions such as public offices or hospitals where the emergency bell is transmitted have to prepare for the situation or take measures accordingly, resulting in waste of public resources. there is a problem with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63699A (1985.04.12.)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0-63699A (April 12, 198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비상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emergency bell capable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먼저,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처한 경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여 위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비상벨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First, when a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emergency bell that can solve the emergency by disseminating the situa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contact designated by the user.

또한,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및 마이크(17, 25b)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주변 배경음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스피커(16, 25a)를 통해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비상벨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s status is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and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s 17 and 25b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sound, and the manag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through the speakers 16 and 25a And it aims to provide a smart emergency bell that can respond to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by communicating the intention of other users related to the designated contact information.

또한,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댁내에서 발생하는 지진 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비상벨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providing a smart emergency bell that can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earthquakes or fires occurring in the house by transmitti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designated contact information do.

또한, 접근감지센서(13, 25d)를 상시 구동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비상벨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one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emergency bell that performs a crime prevention function by constantly dr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스마트 비상벨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smart emergency b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중 기능(사용자의 지문 인식 및 눌림에 의한 폐회로 구성)을 수행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 충전 중 상태 및 전원의 잔량을 표시하는 전원상태표시등(12); 등록 모드 및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4); 스마트 비상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 액세스포인트(33)를 거쳐 사용자 단말(31), 사용자 장치(32),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와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23); 카메라(15, 25c), 스피커(16, 25a), 마이크(17, 25b), 진동센서(25f), 화재감지센서(25g), 또는 접근감지센서(13, 25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I/F모듈)(25); 사용자 정의 이벤트,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 및 제어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카메라(15, 25c), 상기 스피커(16, 25a), 상기 마이크(17, 25b), 또는 상기 센서들(진동센서(25f), 화재감지센서(25g), 또는 접근감지센서(13, 25d)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부(24)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25e) capable of performing a dual function (user'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closed circuit configuration by pressing); Power status indicator (12)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a mode selection switch 14 for selecting a registration mode and an operation mode; a power supply unit 22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emergency bell; a communication module 23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1, the user device 32,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via the access point 33; Camera (15, 25c), speaker (16, 25a), microphone (17, 25b), vibration sensor (25f), fire detection sensor (25g), or at least one sensor module of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25d) ; an interface module (I/F module) 25 that provides an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at least one sensor module; a storage unit 24 for storing user-defined events, user status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21; wherein the control unit 21 includes the cameras 15 and 25c, the speakers 16 and 25a, the microphones 17 and 25b, or the sensors (vibration sensor 25f). , after processing the control information set in the storage unit 24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25g, or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25d (at least one sensor), and then outputting the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and coordinates a series of processes sent to the device.

또한, 상기 제어정보는 CCTV연동 기능, 사용자 등록 기능, 방범 기능, 비상상황 대처 기능, 오작동 방지 기능, 재난(화재, 지진) 대비 기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CCTV interlocking function, a user registration function,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 emergency response function, a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 disaster (fire, earthquake) preparation function.

또한, 상기 제어부(21)가, 실내에 CCTV가 설치된 경우라면 상기 CCTV를 연동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CTV is installed indoors, the control unit 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crime prevention function using an image captured by interlocking the CCTV.

또한, 상기 제어부(21)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31)에서 방범기능을 활성화시킨 경우에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3, 25d)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21 is no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3 or when a crime prevention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31,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when motion is detected,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25c) ar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to respo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상기 제어부(21)가, 사용자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를 구동하여 스마트비상벨(10)을 누른 주체를 파악하고, 지문이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어도 즉시 방범 경보 또는 화재 경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고, 지문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3, and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3,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es 11 and 25e are activated. It is driven to identify the subject who pressed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if a user with a registered fingerprint, immediately transmits a crime prevention alarm or fire alarm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even if there is one press, In the case of a user whose fingerprint is not registered, only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ar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if there is one press.

또한, 상기 사용자장치(32)는 일정 주기 또는 상기 사용자장치(32)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비상벨(10) 또는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device 3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by monitoring a predetermined period or the state of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2 .

또한, 상기 제어부(21)가, 상기 진동센서(25f)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25g)를 이용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진동과 화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댁내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unit 21, the vibration sensor (25f)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25g) to generate more than a certain intensity of vibration and fire using the vibration sensor (25f),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s (15, 25c)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characterized in that it 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premis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먼저, 스마트 비상벨은 지문인식, 눌림 횟수, 및 눌림 주기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smart emergency bell can prevent malfunction due to a user's mistake by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nd cycle of pressing.

또한,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의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the user,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other users related to the designated contact information can respond to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또한, 악의적인 침입자의 전원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의 재산피해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sonal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damage caused by power cut off by malicious intruders.

또한, 다양한 기기에 설치된 앱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기능이 부여된 스마트 비상벨의 지속적인 감시가 가능하고,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mart emergency bell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by using an app or program installed in various devices, and to transmit an alarm to a mobile device user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emergency 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emergency 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control system including a smart emergency 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누전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nic earth leakage break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10)은 하우징 외관에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전원상태표시등(12), 접근감지센서(13), 모드선택스위치(14), 카메라(15), 스피커(16), 및 마이크(17)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 a power status indicator light 12 ,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 and a mode selection switch 14 on the exterior of the housing. ), a camera 15, a speaker 16, and a microphone 17 are arranged and configured.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는 스위치 및 지문인식센서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includes both the functions of the switch an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스위치는 압력센서 또는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중 적어는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The switch selectively uses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or a push-button switch.

압력센서는 외부로 노출된 탄성 가압패드와 연질 보호막을 구비한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 하부에 형성된 그물형 탄력 소재에 해당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압력 패드 및 센서전극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탄성 가압패드가 탄성 변형하여 센서전극과 맞닿도록 이동됨으로써 전기 신호를 제어부(21)로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ressure sensor is formed to include a pressure sensor having an elastic pressure pa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oft protective film, a pressure pad including a pad corresponding to a reticulated elastic material formed under the pressure sensor, and a sensor electrode, and is pressurized from the outside. The elastic pressure pad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nsor electrode, thereby serving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 .

압력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접점을 개폐하여 회로를 만들거나 또는 회로를 여는 스위치를 말하며, 푸시버튼 스위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기재를 생략한다.A push-button switch disposed under the pressure sensor refers to a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a contact by pressing a button to make a circuit or open a circuit. omit the description.

지문인식센서는 지문 인식 기술에서 사람마다 고유의 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손가락 지문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영상 장치이다. 획득된 지문 영상은 지문의 특징을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비교, 정합하여 본인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지문 영상은 광학식, 정전 용량이나 전기 전도를 감지하는 반도체 소자 방식, 초음파 방식, 열감지 방식, 비접촉식, 또는 이런 방식들의 복합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된다.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is an input image device that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a finger fingerprint indicating a characteristic difference unique to each person in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After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gerprint, the acquired fingerprint image is compared and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person. The fingerprint image is acquired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an optical method, a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sensing capacitance or electrical conduction, an ultrasonic method, a thermal detection method, a non-contact method, or a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는 압력센서 또는 푸시버튼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한 눌림 횟수 및 접촉되어 인식된 지문의 조합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를 위한 바탕이 된다.Sinc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nd a push button switch, the operation of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can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ways using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and a fingerprint recognized by contact. It is the basis for control.

예를 들어,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에서 식별한 사용자에 의한 눌림 횟수 및 접촉되어 인식된 지문을 중앙처리장치(24)로 전송하면, 중앙처리장치(24)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공장 출하시 설정된 동작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제어부(21)를 거쳐 수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nd contact by the user identified b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and the recognized fingerprint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uses a combination of these to send the user Detects an operation set by , or a factory-set operation from the storage unit, and performs the result through the control unit 21 .

전원상태표시등(12)은 스마트비상벨(10)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LED의 색깔로 표시하는 지시등이다. LED의 색깔을 녹색인 경우, 상시전원이 공급중이거나 스마트비상벨(10)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내부 전원의 전압이 일정 값 이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LED의 색깔을 적색인 경우, 상시전원으로 스마트비상벨(10)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2차 전지를 충전중이거나 내부 전원의 전압이 일정 값 이하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The power status indicator 12 is an indicator that displays the state of the power being supplied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by the color of the LED. When the color of the LED is green, it indicates that constant power is being supplied or that the voltage of the internal pow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When the color of the LED is red, it indicates that the secondary batter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being charged with constant power or that the voltage of the internal power source is below a certain value.

접근감지센서(13)는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예: 적외선)을 방출하며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아 물리적 접촉 없이 스마트비상벨(10)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13)는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정전식 감응 센서, 광전감지 센서, 또는 유도형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다.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eg, infrared), and finds the electric field and a return signal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ject around the smart emergency bell 10 without physical contact.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ny one of a capacitive sensing sensor, a photoelectric sensing sensor, or an inductive sensor as nee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모드선택스위치(14)는 스마트비상벨(1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선택 가능한 모드로는 설정모드 및 동작모드가 있다. The mode selection switch 14 is a switch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 Selectable modes include setting mode and operation mode.

설정모드는 사용자 단말과 최초 연동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변경시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In the sett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first interlocked or when the setting is changed by the user, it is connected and 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동작모드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을 반영하여 스마트비상벨(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The operation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normally operated by reflecting the setting by the user.

모드선택스위치(14)는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런 스위치들은 단순한 예시로서, 선택 기능을 갖고 있는 스위치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수용할 수 있다. The mode selection switch 14 includes either a slide switch or a toggle switch, and these switches are merely examples, and any type of switch can be accommodated as long as they take the form of a switch having a selection function.

카메라(15)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부(25)로 전송하거나, 통신모듈(23)을 통해 통합관제센터서버(34)로 전송한다.The camera 15 captures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unit 25 or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4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 .

스피커(16)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25) 저장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peaker 16 outputs the vo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

마이크(17)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저장부(25)로 전송하거나, 통신모듈(23)을 통해 통합관제센터서버(34)로 전송한다.The microphone 17 convert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unit 25 or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4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 .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비상벨(10)은 전원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장치(32)의 등록과정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마트비상벨(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mart emergency bell 10 displays the power state, displays the registration process of the user device 32, or adds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the state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t can also be provided with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10)은 하우징 내부에 제어부(21), 전원부(22), 통신모듈(23), 중앙처리장치(24), 저장부(25), 및 인터페이스모듈(I/F모듈, 26)이 기능적으로 구현된 물리적 형태의 모듈 또는 기능 집합적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모듈로 구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21 , a power supply unit 22 , a communication module 23 , a central processing unit 24 , and a storage unit 25 inside the housing. , and the interface module (I/F module, 26) is implemented as a module in a physical form in which the function is implemented or as a module in the form of a software implemented as a function-set program.

제어부(21)는 스마트 비상벨(10)의 전체를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비되는 카메라, 마이크, 또는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25)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21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entir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after processing the control information set in the storage unit 25 based on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rovided cameras, microphones, or sensors, the It controls and coordinates the series of processes that send results to the corresponding output device.

전원부(22)는 스마트 비상벨(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상용전원 또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2차 전지 또는 건전지를 이용하여 스마트 비상벨(10)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2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supplies power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using a general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secondary battery or batter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부(22)는 가정용 콘센트에 삽입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며 스마트 비상벨(1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고, 2차 전지를 충전하여 정전을 대비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using a general commercial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unit 22 includes a plug that can be inserted into a household outlet and has a built-i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a secondary battery Prepare for a power outage by charging.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건전지만 으로도 스마트 비상벨(10)의 전원부(22)로 이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battery can be used as the power supply unit 22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통신모듈(23)은 Wi-Fi, Bluetooth, ZigBee, 또는 PL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사용자 장치,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3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f Wi-Fi, Bluetooth, ZigBee, or PLC to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a user device, or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저장부(24)에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32)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에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32)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4 may store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32 , or a user-defined event. In addition,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32, or a user-defined event may be stored in a server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 저장부(24)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로는 설정모드에서 사용자 단말(31)을 통해 입력된 로그인 정보 및 지문등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 include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user, such as login information and fingerprint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31 in the setting mode,

- 사용자 장치(32)로 부터 수신된 정보는 사용자 장치(32)의 ID, 체온, 맥박, 및 사용자 움직임 등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등을 포함한다. -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32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activity, such as ID, body temperature, pulse, and user movement of the user device 32 .

사용자 정의 이벤트custom event

- ⅰ) 기본 모드 : 화재 또는 방법 등 문제 발생에 따른 이벤트- i) Basic mode: Events according to problems such as fire or method

- ⅱ) 사용자 정의 이벤트 :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체온, 맥박, 및 사용자 움직임 등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 ii) User-defined event: An event s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activity, such as body temperature, pulse, and user movement, received from the user

인터페이스모듈(I/F모듈, 26)은 스마트 비상벨에 수용되는 센서 및 독립적인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예를 들면,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를 수용하기 위해 모듈 형태로 구현되어 각각의 구성요소의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의 편의를 제고하고, 판매시 장착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face module (I/F module, 26)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to accommodate the sensor accommodated in the smart emergency bell and components that perform independent additional functions (eg, camera, speaker, microphone, etc.) I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n the event of a component failure, and allows additional components that are not installed at the time of sale to be accommodated.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은 스마트 비상벨(10), 사용자단말(31), 사용자 장치(32), 액세스포인트(AP, 33), 인터넷(34), 및 통합관제센터서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smar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mart emergency bell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smart emergency bell 10 , a user terminal 31 , a user device 32 , and an access point (AP, 33). , the Internet 34 , and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

먼저, 스마트 관제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비상벨(10), 사용자단말(31), 사용자 장치(32), 액세스포인트(AP, 33), 인터넷(34), 및 통합관제센터서버(35)의 기능은 다음과 같고, 이들 간의 연계에 의한 동작 방법은 구성요소의 기능 설명 후 후술하기로 한다.First, the functions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the user terminal 31, the user device 32, the access point (AP, 33), the Internet 34,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included in the smart control system is as follows, and the operation method by the linkage between them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사용자단말(31)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인터넷(34)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1)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비상벨(10)에 접속하여, 사용자장치(32)의 등록, 사용자 정의 이벤트의 생성,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중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지정하거나 제어할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31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34,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or a PC. The user accesses the smart emergency bell 10 through the Internet using the user terminal 31, registers the user device 32, creates a user-defined event, or designates or controls an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among preset events. You may.

또한, 원격지에 설치된 통합관제센터서버(35)에 접속하여 스마트비상벨(10)이 전송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32)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31)은 스마트비상벨(10)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mart emergency bell 10 by accessing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installed in a remote pl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32, or an event list generated among events defined by the user, etc. can also be managed. Here, it is natural that the user terminal 31 is installed with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accessing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

사용자장치(32)는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와 기능 또는 외관이 유사한 형태를 띌 수 있다. 사용자장치(32)는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 걸음 수, 체온, 또는 움직임 등을 포함하는 측정 가능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비상벨(10)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에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장치(32)는 각각의 ID가 부여되어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32 may have a form similar in function or appearance to a smart watch in general. The user device 32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by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easurable user, including the wearer's pulse, step count, body temperature, or movement, etc. do. Each user device 32 is assigned an ID and can be managed by the user.

액세스포인트(AP, 32)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이다. The access point (AP) 32 is a relay device that helps wireless Internet access so that a wireless Internet user can use an Internet service.

인터넷(33)은 유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네트워크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여 스마트비상벨(10), 사용자장치(32), 사용자단말(31), 및 통합관제센터서버(35)에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The Internet 33 supports various network environments including not only wired and wireless networks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 emergency bell 10 , the user device 32 , the user terminal 31 ,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 function is provided.

통합관제센터서버(34)는 통합관제센터 내에 설치되어 있다. 통합관제센터는 복수의 스마트비상벨(10)과 접속하여 기 정의된 비상 상황(이벤트) 발생시 상황에 따라 선택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31)이 접속된 경우,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이벤트에 대하여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에 의한 관리제어도 가능하며, 스마트비상벨(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32)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4 is installed i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mart emergency bells 10 and serves to propagate the situation to the selected contact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a predefined emergency situation (event) occurs.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31 is connected, by granting the right to modify the event that the user can set, management control by the user is also possible, and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emergency bell 10, the user device ( 32), or a list of generated events among user-defined events can be stored and managed.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비상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3 , th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mart emergency bell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s follows.

1)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등록 및 연동1) Registration and interworking of system components

스마트비상벨(10)에 사용자장치(32)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비상벨(10)의 모드선택스위치(14)를 설정모드로 두고, 사용자단말(31)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In order to register the user device 32 in the smart emergency bell 10, the mode selection switch 14 of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set to a setting mode, and a program o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31 is executed.

우선 사용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하고, 동일한 AP에 접속된 스마트비상벨(10) 및 사용자장치(32)들 중에서 대상 장치를 찾아 선택하여 연동시킨다. 서버, 단말, 및 장치 등을 이용한 연동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범주 내에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user accesses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and registers as a member, finds and selects a target device from among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user devices 32 connected to the same AP, and interlocks them. Since the interworking process using the server, the terminal, and the device is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s neede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사용자는 스마트비상벨(10)이 설정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장치(32)의 제어에 따라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에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Next, the user can register or change the user's fingerprint 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es 11 and 25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device 32 while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in the setting mode.

스마트비상벨(10)에 사용자장치(32)를 등록한 후에는 모드선택스위치(14)를 동작모드로 두면 스마트비상벨(10)이 정상적인 모드로 동작된다.After registering the user device 32 in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f the mode selection switch 14 is set to the operation mode,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operated in a normal mode.

2)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동작2) Smart control system operation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동작은 비상상황 발생시 동작, 오작동 발생시 동작, 방범 기능, 및 CCTV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n oper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an operation when a malfunction occurs,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d a CCTV function.

가) 비상상황 발생시A)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사용자장치(32)는 일정 주기 또는 상시 사용자장치(32)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비상벨(10)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로 전송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32 monitors the state of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2 at a certain period or at all times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

스마트비상벨(10)은 사용자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이벤트 생성 여부를 결정한다.The smart emergency bell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generate an event according to the user status monitoring result.

주요 모니터링 항목으로는 체온, 맥박, 사용자 움직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이 있다.The main monitoring items include body temperature, pulse, user movement, an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사용자장치(32)로부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비상벨(10)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는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that has received the use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32 determines whether a set ev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activity.

예를 들면, 사용자장치(32)가 동일한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움직임이 지속되던 중 일정시간 멈추고, 맥박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여 위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same AP and the user stop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user's movement is continuing, and the pulse is not measured,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the user Disseminate the situation to the designated contact information so that the emergency can be resolved.

또한, 사용자장치(32)로부터 위급상황을 수신한 통합관제센터서버(35)는 사용자 선호 병원, 119,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여 위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receiving the emergency from the user device 32 transmits the situation to the user's preferred hospital, 119, or a designated contact so that the emergency can be resolv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장치(32)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장치(32)는 통신 기능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사용자장치(32)가 모니터링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스마트비상벨(10)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로 전송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evice 32 is no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the user device 32 switches th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device 32 monitors One user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

여기서 비상 상황 발생시의 동작은 앞의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사용자 장치(32)의 현재 위치를 함께 고려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Here, the oper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vice 32 is also consid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장치(32)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 모니터링 결과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스마트비상벨(10)에 내장된 카메라(15, 25c), 마이크(17, 25b), 및 스피커(16, 25a)를 구동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and the user status information monitoring result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e camera 15 built in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 25c), the microphones 17 and 25b, and the speakers 16 and 25a.

우선, 스마트비상벨(10)은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한다.First, the smart emergency bell 10 transmits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및 마이크(17, 25b)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주변 배경음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스피커(16, 25a)를 통해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비상 상황에 대응하게 된다. The user's status is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s 15, 25c and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s 17 and 25b and the surrounding background sound, and through the speakers 16 and 25a,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the designated By communicating the wishes of other users related to the contact, we respond to the user's emerg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진동센서(25f) 및 화재감지센서(25g)를 이용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진동과 화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비상벨(10)은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댁내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응하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vibration and fire of a certain intensity or more have occurred using the vibration sensor 25f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25g,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a camera (15, 25c) By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it 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premises.

나) 오작동 방지b) Prevention of mal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스마트비상벨(10)을 누를 경우를 대비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25e) to prepare for the case of pressing the smart emergency bell (10) due to a user's mistake.

우선, 스마트비상벨(10)은 사용자장치(32)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장치(32)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비상벨(10)에 내장된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를 구동하여 스마트비상벨(10)을 누른 주체를 파악한다. First, the smart emergency bell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When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25e) built in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is driven to detect the subject who pressed the smart emergency bell 10. figure out

지문이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어도 즉시 방범 경보 또는 화재 경보를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한다.In the case of a fingerprint registered user, even if there is one press, a crime prevention alarm or a fire alarm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지문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으면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고 별다른 조치는 취하지 않고,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다.In the case of a user whose fingerprint is not registered, if there is one press, only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ar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and without taking any action,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Subject to the judgment of other users regarding the designated contact.

2회 이상의 눌림이 일정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센터서버(35)는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및 마이크(17, 25b)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주변 배경음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스피커(16, 25a)를 통해 통합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비상 상황에 대응하게 된다. When two or more presses occu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captures real-time images and microphones 17 and 25b from the cameras 15 and 25c. ) to identify the user's status through the voice and ambient background sound received through the do.

위와 같이 지문인식, 눌림 횟수, 및 눌림 주기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the number of presses, and the press cy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due to a user's mistake.

다) 방범 기능C) Crim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접근감지센서(13, 25d)를 상시 구동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 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crime prevention function by dr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at all times.

사용자장치(32)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또는 사용자단말(31)에서 방범기능을 활성화시킨 경우에는 접근감지센서(13, 25d)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하게 된다.When the user device 32 is no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or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31,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the movement is When detecte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to deal with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내에 CCTV가 설치된 경우라면 스마트비상벨(10)은 CCTV를 연동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동된 CCTV의 동작은 일반적인 CCTV의 동작(예를 들면, 틸트, 줌인, 줌아웃 등)과 같다.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a CCTV is installed indoors, the smart emergency bell 10 may perform a crime prevention function using an image captured by interlocking the CCTV. The operation of the linked CCTV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CCTV (eg, tilt, zoom in, zoom out, etc.).

침입자가 악의적으로 댁내 전원을 차단한 경우, 스마트비상벨(10)은 내장된 카메라(15, 25c) 및 마이크(17, 25b)를 이용하고, 전원은 내장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방범기능을 지속시킨다.When an intruder maliciously cuts off the power in the house, the smart emergency bell 10 uses the built-in cameras 15, 25c and microphones 17 and 25b, and the power supply uses the built-in secondary battery to provide a security function. make it last

라) CCTV 기능D) CCTV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15, 25c)를 상시 또는 일정 주기로 구동하여 CCTV 기능을 수행 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CTV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driving the cameras 15 and 25c at all times or at regular intervals.

사용자가 액세스포인트(AP,33)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또는 사용자단말(31)에서 방범기능을 활성화 시킨 경우에는 접근감지센서(13, 25d)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하게 된다.When the user is no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33) or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31,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and when the motion is detected, the camera ( 15, 25c)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information to deal with the situa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내에 CCTV가 설치된 경우라면 스마트비상벨(10)은 CCTV를 연동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동된 CCTV의 동작은 일반적인 CCTV의 동작(예를 들면, 틸트, 줌인, 줌아웃 등)과 같다.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a CCTV is installed indoors, the smart emergency bell 10 may perform a crime prevention function using an image captured by interlocking the CCTV. The operation of the linked CCTV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CCTV (eg, tilt, zoom in, zoom out, etc.).

침입자가 악의적으로 댁내 전원을 차단한 경우, 스마트비상벨(10)은 내장된 카메라(15, 25c) 및 마이크(17, 25b)를 이용하고, 전원은 내장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방범기능을 지속시킨다.When an intruder maliciously cuts off the power in the house, the smart emergency bell 10 uses the built-in cameras 15, 25c and microphones 17 and 25b, and the power supply uses the built-in secondary battery to provide a security function. make it las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스마트비상벨
11, 25e…지문인식센서스위치
12…전원상태표시등
13, 25d…접근감지센서
14…모드선택스위치
15, 25c…카메라
16, 25a…스피커
17, 25b…마이크
21…제어부
22…전원부
23…통신모듈
24…저장부
25…인터페이스모듈(I/F모듈)
25f…진동센서
25g…화재감지센서
31…사용자단말
32…사용자장치
33…액세스포인트(AP)
34…인터넷
35…통합관제센터서버
10… smart emergency bell
11, 25e... fingerprint sensor switch
12… power status indicator
13, 25d… approach sensor
14… Mode selection switch
15, 25c... camera
16, 25a... speaker
17, 25b... MIC
21… control
22… power supply
23… communication module
24… storage
25… Interface module (I/F module)
25f… vibration sensor
25g… fire detection sensor
31… user terminal
32… user device
33… access point (AP)
34… Internet
35…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Claims (7)

이중 기능(사용자의 지문 인식 및 눌림에 의한 폐회로 구성)을 수행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
충전 중 상태 및 전원의 잔량을 표시하는 전원상태표시등(12);
등록 모드 및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4);
스마트 비상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
액세스포인트(33)를 거쳐 사용자 단말(31), 사용자 장치(32), 또는 통합관제센터서버(35)와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23);
카메라(15, 25c), 스피커(16, 25a), 마이크(17, 25b), 진동센서(25f), 화재감지센서(25g), 또는 접근감지센서(13, 25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I/F모듈)(25);
사용자 정의 이벤트,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 및
제어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카메라(15, 25c), 상기 스피커(16, 25a), 상기 마이크(17, 25b), 또는 상기 센서들(진동센서(25f), 화재감지센서(25g), 또는 접근감지센서(13, 25d) 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부(24)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 (11, 25e) capable of performing a dual function (a user'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 closed circuit configuration by pressing);
Power status indicator (12)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a mode selection switch 14 for selecting a registration mode and an operation mode;
a power supply unit 22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emergency bell;
a communication module 23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1, the user device 32,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via the access point 33;
Camera (15, 25c), speaker (16, 25a), microphone (17, 25b), vibration sensor (25f), fire detection sensor (25g), or at least one sensor module of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13, 25d) ;
an interface module (I/F module) 25 that provides an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at least one sensor module;
a storage unit 24 for storing user-defined events, user status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d
Control unit 21; including,
The control unit 21 is the camera 15, 25c, the speaker 16, 25a, the microphone 17, 25b, or the sensors (vibration sensor 25f, fire detection sensor 25g), or approach Controls and adjusts a series of processes of processing the control information set in the storage unit 24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at least one sensor) and sending the result to the corresponding output device A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r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CCTV연동 기능, 사용자 등록 기능, 방범 기능, 비상상황 대처 기능, 오작동 방지 기능, 재난(화재, 지진) 대비 기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information is
A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CCTV interlocking function, a user registration function,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 emergency response function, a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 disaster (fire, earthquake) preparedness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가,
실내에 CCTV가 설치된 경우라면 상기 CCTV를 연동하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21,
If a CCTV is installed indoors, a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crime prevention function using an image captured by interlocking the CCT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31)에서 방범기능을 활성화시킨 경우에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3, 25d)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21,
When the access point 33 is not connected or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31,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s 13 and 25d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the camera ( 15, 25c), the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transmitting the image taken i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가,
사용자 장치(32)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32)가 상기 액세스포인트(3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스위치(11, 25e)를 구동하여 스마트비상벨(10)을 누른 주체를 파악하고, 지문이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어도 즉시 방범 경보 또는 화재 경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고, 지문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1회의 눌림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2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3 , and when the user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3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witches 11 and 25e are turned on. It is driven to identify the subject who pressed the smart emergency bell 10, and if a user with a registered fingerprint, immediately transmits a crime prevention alarm or fire alarm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even if there is one press, In the case of a user whose fingerprint is not registered, if there is one press, only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5, 25c)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designated contact, the smart emergency b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32)는,
일정 주기 또는 상기 사용자장치(32)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스마트비상벨(10) 또는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device 32,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emergency bell (10) or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user wearing the user device (32) for a certain period or the user device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가,
상기 진동센서(25f)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25g)를 이용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진동과 화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15, 25c)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제센터서버(35)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댁내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21,
When it is determined that vibration and fire of a certain intensity or more have occurred using the vibration sensor 25f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25g,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5 and 25c are captured by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server 35. Or, a smart emergency bell, characterized in that it 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premises by transmitting it to a designated contact.
KR1020210011482A 2021-01-27 2021-01-27 Smart emergency bell KR202201084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82A KR20220108459A (en) 2021-01-27 2021-01-27 Smart emergency b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82A KR20220108459A (en) 2021-01-27 2021-01-27 Smart emergency b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59A true KR20220108459A (en) 2022-08-03

Family

ID=8284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482A KR20220108459A (en) 2021-01-27 2021-01-27 Smart emergency b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45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699A (en) 1983-09-16 1985-04-1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Ala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699A (en) 1983-09-16 1985-04-1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Al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599B2 (en) Remote user interface and display for events for a monitored location
US11475745B2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US9830790B2 (en) Smart door device
KR102077594B1 (en) A service system to support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US20140098227A1 (en) Remote doorbell control system and related smart doorbell device
CN103763163A (en) Intelligent housing system based on ubiquitous network
KR101221437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simplified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based cctv camera
KR20060130535A (en) Crime prevention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US20180039836A1 (en) Single call-to-connect liv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tool
KR102106754B1 (en) Intelligent multi-intercom broadcasting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KR20220108459A (en) Smart emergency bell
TWM472273U (en) Cloud video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JP2007058663A (en) Interphone system
KR20160033390A (en) Crime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00074038A (en) Aaaaa
TWI769713B (en) Multiple input mode and multiple output channel warning system
WO2019034244A1 (e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ound prioritization function
JP2017152971A (en) Collective housing intercom system
KR20210123037A (en) Security apparatus with scream recognition function and secur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20108454A (en) Smart secur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cctv
JP201715810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M605800U (en) Smart life and security device
KR20210060833A (en) Ho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photo frame and sensors recognizing human motions
KR20220106608A (en) Emergency rescue system through monitoring of elderly living alone
US20190180600A1 (en) A telecar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