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492A -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492A
KR20220107492A KR1020210010185A KR20210010185A KR20220107492A KR 20220107492 A KR20220107492 A KR 20220107492A KR 1020210010185 A KR1020210010185 A KR 1020210010185A KR 20210010185 A KR20210010185 A KR 20210010185A KR 20220107492 A KR20220107492 A KR 2022010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time
parking lot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3140B1 (en
Inventor
오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킹아미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킹아미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킹아미고
Priority to KR102021001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40B1/en
Publication of KR2022010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obo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s: a learning unit for learning a learning model that sets the parking spot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expected exit time as an input coefficient and sets the parking spot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s an output coefficient; a database unit for storing vehicle license plates, average parking time, entry time, and expected exit time for each vehicle of the currently parked vehicle for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 vehicl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using a camera install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nd predicting the exit time, when a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a decis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arking spot of the currently entered vehicle by applying the number of currently parked vehicles expected to leave at the same time to the learning mod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move an entering vehicle to a determined parking spot using a park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arking spot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f vehicles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he information of vehicles park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congestion between vehicles entering or leaving the same time zone is eliminated.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double parking and the burden of vehicle damage can be reduced by using a parking robot.

Description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정보를 고려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결정된 주차 자리로 주차시키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re particularly, determining a parking spot by considering information on vehicles entering a parking lot and information on vehicles parked in a parking lo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t relates to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uses one or more parking robots to park a corresponding vehicle in a determined parking spot.

산업이 발전하면서 차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주차 문제도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특히, 계속 증가하는 차량으로 인해 도심지뿐만 아니라 지하 주차장 및 주차 타워 등의 주차 시설이 없는 아파트, 일반 주택가 및 상가 등에서 주차 공간 부족은 더욱 심각하다.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the parking problem of vehicles also becomes a serious situation. In particular,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 is more serious not only in downtown areas, but also in apartments without parking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parking towers, general residential areas and shopping malls due to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이러한 주차 공간 부족으로 인해, 주차구획선 안에 이미 주차된 차량에 겹쳐서 주차를 하는 이른바 이중주차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먼저 주차한 운전자가 출차 해야 하는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의 운전자가 직접 나와 차량을 이동시켜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거나, 먼저 주차한 운전자가 직접 이중 주차된 차량을 밀어서 이동시키므로 차량 파손이나 인명피해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어 차주들 간의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Due to the lack of such a parking space, so-called double parking in which parking is overlapped with a vehicle already parked in a parking zone is routinely performed. However, if the driver who parked first needs to get out, the driver of the double-parked vehicle has to come out and move the vehicle, or the driver who parked first pushes the double-parked vehicle to move it, causing damage to the vehicle or personal injury. Various problems may occur, such as, causing disputes between borrowers.

더 자세하게는, 먼저 주차한 운전자가 이중 주차된 차량을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을 밀어서 이동이 시작된 후에는 외부에서 차량을 적절히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힘을 잘못 가하여 다른 차량과 부딪히거나, 심할 경우에는 인명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f the driver who parked first pushes the double-parked vehicle to move it, there is no means to properly stop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after pushing the double-parked vehicle starts moving, so A collision or, in severe cases, a human accident may occur.

그리고, 차량들이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차주들은 실시간으로 비어있는 주차 공간에 대해 파악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주차장 내의 혼잡도가 상승하고, 주차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vehicles use a public parking lot, it is difficult for car owners to grasp an empty parking space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the congestion level in the parking lot increases and the time it takes to park is increased.

또한, 증가하는 차량으로 인해 주차장 내에 있는 주차 자리의 면적은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차주가 차량을 주차시키고 차에 탑승하거나 내릴 경우, 문콕 등의 차량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is very narrow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Therefore, when the owner parks the vehicle and gets on or of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vehicle such as a doorknob may occur.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공개특허 제10-1943628호 (2019.01.3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43628 (published on January 30, 20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공지능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정보를 고려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결정된 주차 자리로 주차시키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 parking spo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that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ark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ark the vehicle in the determined parking spot using one or more parking robots. It is related to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자리 및 출차 예상 시간을 입력 계수로 설정하고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자리를 출력 계수로 설정하는 학습모델을 학습시키는 학습부, 해당 주차장에 대하여 현재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판, 평균 주차 시간, 진입 시간 및 예상 출차 시간을 차량 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출차 시간을 예측하는 차량 인식부, 동일한 시간대에 출차가 예상되는 현재 주차된 차량의 대수를 상기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는 결정부, 그리고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진입 차량을 상기 결정된 주차 자리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 parking spot and an expected departure time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are set as input coefficients, and the A learning unit for learning a learning model that sets the parking spot of an entering vehicle as an output coefficient, a vehicle license plate of a vehicle currently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average parking time, entry time, and expected exit time for each vehicle; When a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and predicts the departure time using the camera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the number of currently parked vehicles that are expected to exit at the same time period are applied to the learning model. It includes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parking spot of the entered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ering vehicle to move to the determined parking spot using a parking robot.

상기 학습부는, 주차장에 현재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현재 주차된 차량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현재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may be trained to determine the parking seat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so that a distance from the currently 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is increased.

상기 학습부는, 상기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할 경우, 비어있는 주차 자리 중에서 기 주차된 하나 이상의 차량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주차 자리로 결정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when there is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entered vehicle, the sum of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among the vacant parking spots is You can decide on the largest parking spot.

상기 학습부는, 상기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진입한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이 길수록 출구에서 먼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하고, 평균 주차 시간이 짧을수록 출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if there is no pre-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entered vehicle, the longer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entered vehicle, the longer it is determined as a parking seat farther from the exit, , the shorter the average parking time, the more likely it is to determine a parking spot closer to the exit.

상기 주차 로봇이 복수개이고, 동일한 시간대 각각의 주차 로봇이 차량을 출차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차 로봇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주차 로봇의 출차를 위한 동선을 학습시킬 수 있다.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king robots and each parking robot pulls out a vehicle in the same time period, a movement line for un-parking of the parking robot may be learned so that a collis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respective parking robots.

상기 주차 로봇은, 차량을 탑재시키기 위한 차량용 팔레트보다 작은 높이 및 좁은 폭으로 구현되며, 입출차 차량이 있는 경우, 차량용 팔레트 아래로 이동하여 차량이 탑재된 차량용 팔레트를 직교 운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parking robot is implemented with a smaller height and narrower width than a vehicle pallet for mounting a vehicle, and if there is a vehicle in and out, it can move under the vehicle pallet to move the vehicle pallet o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in an orthogonal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정보를 고려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시간대에 진입하거나 나가는 차량들 간의 혼잡도가 해소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gestion level between vehicles entering or leaving the same time zone is resolved by determining a parking spo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he vehicle information park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장 내에 주차시키거나 빼냄으로써, 이중 주차에 대한 번거로움 및 차량 피해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주차장 내의 주차 공간 면접 협소로 인한 문콕 등의 차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parking robot to park or take out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the hassle of double parking and the burden of damage to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vehicle such as the doorcock due to the narrow parking space interview in the parking lot can be prevented.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에 차량이 탑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주차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4의 S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의 S440 단계에서 주차 자리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mounted on a park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control metho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420 of FIG. 4 .
FIG.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440 of FIG. 4 .
6B is a view for explaining determination of a parking seat in step S440 of FIG. 4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300)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arking control system 100 using a parking robot 3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B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300)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100)은 카메라(200) 및 주차 로봇(3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using the parking robot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amera 200 and the parking robot 300 through a network.

먼저, 주차 관제 시스템(100)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200)를 통해 차량 번호를 제공받으며, 카메라(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First,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receives a vehicle number through the camera 2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the camera 200 connects to the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s an image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be implemented as

그리고, 주차 로봇(300)은 주차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결정된 주차 자리에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구현된다.In addition, the parking robot 300 is implemented as a device for moving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o the parking spot determined by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3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arking robo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에 차량이 탑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mounted on the park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 로봇(300)은 차량(400)을 탑재시키기 위한 차량용 팔레트(310)보다 낮은 높이 및 좁은 폭으로 구현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parking robot 300 is implemented with a lower height and narrower width than the vehicle pallet 310 for mounting the vehicle 400 .

만일 주차장에 입출차하는 차량(400)이 있는 경우, 주차 로봇(300)은 차량용 팔레트(310) 아래로 이동하고, 차량(400)이 탑재된 차량용 팔레트(310)를 들어올려 주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차 로봇(300)은 높이를 낮춰 차량용 팔레트(310) 아래에서 빠져 나온다. 이때, 주차 로봇(300)은 직교 운행하여 이동할 수 있다. If there is a vehicle 400 entering and leaving the parking lot, the parking robot 300 may move under the vehicle pallet 310 and lift the vehicle 400 mounted vehicle pallet 310 to park. Then, the parking robot 300 comes out from under the vehicle pallet 310 by lowering the height. In this case, the parking robot 300 may move in an orthogonal manner.

즉, 주차 관제 시스템(100)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200)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400)의 번호를 제공받으며, 해당 차량(4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하고, 주차 로봇(300)이 해당 차량(400)을 결정된 주차 자리에 주차시키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receives the number of the vehicle 400 entering the parking lot through the camera 2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determines the parking spot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400, The robot 300 controls to park the corresponding vehicle 400 in the determined parking spot.

이하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300)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using the parking robot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100)은 학습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차량 인식부(130), 결정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parking control system 100 using a park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unit 110 , a database unit 120 , a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 a determin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

먼저, 학습부(110)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자리 및 출차 예상 시간을 입력 계수로 설정하고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자리를 출력 계수로 설정하는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First, the learning unit 110 trains a learning model that sets a parking spot and an expected departure time of a vehicle parked in a parking lot as an input coefficient and sets a parking spot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s an output coefficient.

이때, 학습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 차량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도록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 At this time, the learning unit 110 trains th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parking sea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parking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creases.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해당 주차장에 대하여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판, 평균 주차 시간, 진입 시간 및 예상 출차 시간을 차량 별로 저장한다.Next, the database unit 120 stor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he average parking time, the entry time, and the expected departure time for each vehicle.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이전에 해당 주차장을 이용한 이력이 있는 차량에 대하여 평균 주차 시간 이력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번호, 진입 시간과 이전에 이용한 평균 주차 시간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을 예측하고,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database unit 120 stores the average parking time history for vehicles that have previously used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nd uses the vehicle number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he entry time, and the previously used average parking time. Predict and store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차량 인식부(130)는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차량의 출차 시간을 예측한다.Next,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uses a camera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and predict the vehicle's exit time.

여기서, 차량 인식부(13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의 주차장 진입 시간을 기록하며,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평균 주차 시간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출차 예상 시간을 예측한다. Here,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records the vehicle's parking entry time, and uses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number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20 . Predict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결정부(140)는 동일한 시간대에 출차 예상 차량의 대수를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entering by applying the number of vehicles expected to leave in the same time period to the learning model.

이때, 결정부(14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진입한 차량과 예상 출차 시간대가 동일한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도록 학습된다.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140 learns to determine the parking sea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so that the currently entered vehicle and the expected departure time are far from the vehicle parked in the same parking lot by applying to the learning model learn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o.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진입 차량을 결정된 주차 자리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Next,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vehicle to move to the determined parking spot by using the parking robot.

이때, 주차장에 입출차 시키는 복수의 주차 로봇(300)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주차 로봇(300)이 이동하는 동선에 대하여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king robots 300 that enter and exit the parking lot,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movement lines of the plurality of parking robots 300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b를 이용하여 주차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제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ar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parking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B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control method using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학습부(110)는 주차장에 기 주차된 차량의 주차 자리 및 출차 예상 시간을 입력하여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자리를 출력하는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S410). First, the learning unit 110 learns a learning model that outputs a parking spot of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by inputting a parking spot and an expected departure time of a vehicle previously parked in the parking lot (S410).

이때,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된 차량이 있는 경우, 학습부(110)는 현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가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점으로 결정하도록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learning unit 110 is a 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parking seat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Train th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a point far away from .

더 자세하게는, 현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학습부(110)는 현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가 비어있는 주차 자리 중에서 기 주차된 하나 이상의 차량의 현재 위치와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지점으로 결정되도록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 In more detail, when there is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learning unit 110 is a parking lot in which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is empty. The learning model is trained so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distance of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among seats is determined to be the largest point.

그리고,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학습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이 길수록 출구에서 먼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하고, 평균 주차 시간이 짧을수록 출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하도록 학습모델을 학습시킨다. And, if there is no pre-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learning unit 110 is located further from the exit as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longer. The learning model is trained to determine the parking spot that is locat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shorter the average parking time, the closer to the parking spot from the exit.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해당 주차장에 대하여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판, 평균 주차 시간, 진입 시간 및 예상 출차 시간을 차량 별로 저장한다(S420).Next, the database unit 120 stor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he average parking time, the entry time, and the expected departure time for each vehicle (S420).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이전에 해당 주차장을 이용한 이력이 있는 차량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와 평균 주차 시간이 저장된다. In this case, the database unit 120 stores the vehicle number and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for which the vehicle has a history of using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before.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현재 해당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 번호에 따라 진입 시간과 기 저장된 평균 주차 시간으로부터 예상 출차 시간을 예측하고,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120 predicts and store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from the entry time and the pre-stored average parking time according to the vehicle number currently using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vehicles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도 4의 S4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420 of FIG. 4 .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전에 해당 주차장을 이용한 적이 있는 차량변호 "23나 4355"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은 9시간이라고 가정한다면, "23나 4355" 차량은 오전 9시에 입차하여 오후 6시에 출차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으며, "23나 4355"차량은 현재 A-7 위치에 주차된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5, if it is assumed that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defense "23 or 4355" vehicle that has used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before is 9 hours, the vehicle "23 or 4355" enters at 9 am and enters the parking lot at 6 pm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vehicle will be pulled out at , and vehicles "23 or 4355" are currently parked in A-7 position.

또한, 이전에 해당 주차장을 이용한 적이 있는 차량 번호 "11기 9874"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은 1시간이고, 입차 시간은 오후 12시이므로 예상 출차 시간은 오후 1시이고, 현재 "11기 9874"차량은 C-1에 주차된 상태이며, 차량번호 "93호 1065"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은 5시간이고, 입차 시간은 오후 1시이므로 예상 출차 시간은 오후 6시이고, 현재 "93호 1065"차량은 B-1에 주차된 상태이며, 차량번호 "83바 5127"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은 3시간이고, 입차 시간은 오후 2시이므로 예상 출차 시간은 오후 5시이고, 현재 "83바 5127"차량은 D-4에 주차된 상태이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number "11th group 9874", which has used the parking lot before, is 1 hour, and the entry time is 12 pm, so the expected departure time is 1 pm, and the current "11th group 9874" vehicle is parked in C-1, and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number "No. 93 1065" is 5 hours, and the entry time is 1 pm, so the expected departure time is 6 pm, and the current "No. 93 1065" vehicle is parked in B-1,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number "83 bar 5127" is 3 hours, and the entry time is 2 pm, so the expected departure time is 5 pm, and the current "83 bar 5127" vehicle is parked at D-4.

즉,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차량 번호 별로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 입차 시간, 예상 출차 시간 및 차량 위치를 저장한다. That is, the database unit 120 stores the average parking time, entry time, expected exit time, and vehicle location of the vehicle for each vehicle numbe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다음으로, 차량 인식부(130)는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면,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예상 출차 시간을 예측한다(S430).Next,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of the currently entered vehicle through the camera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predict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S430).

이때, 차량 인식부(13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 및 이미지를 통해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may recognize the numb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and image of the vehicle taken in and out of the camera, and simultaneously record the time the recognized vehicle entered the parking lot.

또한, 차량 인식부(130)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기 저장된 주차장에 해당 차량번호의 평균 주차 시간을 이용하여 예상 출차 시간을 예측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predict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by using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number in the parking lot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20 .

다음으로, 결정부(140)는 동일한 시간대에 출차 예상 차량의 대수를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S440).Next, the determination unit 140 applies the number of vehicles expected to leave at the same time period to th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parking spot of the currently entered vehicle ( S440 ).

이때, 주차장에서 주차된 차량의 점유율이 전체 주차 가능한 자리의 50% 미만일 경우, 결정부(140)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모델을 이용하지 않고, 랜덤(Random)으로 자리를 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occupancy of the parked vehicle in the parking lot is less than 50% of the total available parking space, the determination unit 140 does not use a learning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y allocate the seat at random. .

그리고, 결정부(140)는 데이터베이스부(120)로부터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기 저장된 예상 출차 시간을 통해 시간대 별로 출차하는 차량의 대수를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er 140 may predict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pulled out for each time zone from the database unit 120 based on the pre-stored expected un-parking time for the vehicle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예를 들어, 현재 진입하는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은 6시이고, 6시 5분이내에 출차하는 주차된 차량이 있다고 가정하면, 결정부(140)는 현재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자리에 대하여 기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먼 거리에 주차하도록 학습모델을 통해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is 6:00, and there is a parked vehicle that leaves within 6:05, th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parking lot of the currently entering vehicle. It determines a parking spot through a learning model to park at a far distance from the vehicle.

이때, 예상 출차 시간대의 범위는 5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분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expected departure time period may be set to 5 minutes, and the set minute interval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하나의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이 오후 1시라고 가정할 경우,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의 범위는 오후 1시부터 오후 1시 5분 내에 출차하는 다른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one vehicle is 1:00 pm, the range of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period may include other vehicles that get out of the vehicle from 1:00 pm to 1:05 pm.

또한, 결정부(140)는 현재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을 갖는 차량으로부터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지점에 주차되도록 학습모델을 통해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determining unit 140 determines a parking spot through the learning model so that a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is parked at a point where the sum of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a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is the largest.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주차 자리 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arking seat determin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

도 6a는 도 4의 S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4의 S440 단계에서 주차 자리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A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S440 of FIG. 4 , and FIG. 6B is a view for explaining determination of a parking seat at step S440 of FIG. 4 .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500a)은 차량용 팔레트(310) 상에 올려져 있으며, 기 주차된 차량 중에서 진입한 차량(500a)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갖는 차량(500b, 500c, 500d) 3대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결정부(140)는 해당 주차장에 비어있는 자리인 ⓐ 내지 ⓙ 중에서 진입한 차량(500a)의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6a, the vehicle 500a that has entered the current parking lot is placed on the vehicle pallet 310, and the vehicle 500b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vehicle 500a that entered the parked vehicle 500b, 500c, 500d) Assuming that there are three vehicles, the determining unit 140 determines a parking seat of the vehicle 500a that has entered the parking lot from among ⓐ to ⓙ which are vacant seats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여기서, 도 6a의 주차장은 주차된 차량의 점유율이 전체 주차 가능한 자리의 50% 이상이므로, 결정부(14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하는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할 수 있다. Here, in the parking lot of FIG. 6A , since the occupancy of the parked vehicles is 50% or more of the total available parking spaces, the determination unit 140 may determine the parking spac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model.

그리고, 결정부(14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500a)의 주차 자리에 대하여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갖는 차량(500b, 500c, 500d)의 위치와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자리에 주차하도록 학습모델을 통해 결정하며, 진입한 차량(500a)은 비어있는 자리인 ⓐ 내지 ⓙ 중에서 하나의 주차 자리에 주차될 수 있다. Then, the determining unit 140 learns to park in the position where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sitions and distances of the vehicles 500b, 500c, and 500d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eat of the vehicle 500a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largest.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model, and the entered vehicle 500a may be parked in one of the vacant seats ⓐ to ⓙ.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부(140)는 진입한 차량(500a)의 주차 자리에 대하여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갖는 차량(500b, 500c, 500d)의 위치와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 자리에 주차되도록 학습모델을 통해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As shown in FIG. 6B , the determination unit 140 places the largest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sitions and distances of the vehicles 500b, 500c, and 500d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eat of the entered vehicle 500a.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through the learning model to be parked in

그리고, 주차장에 현재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결정부(140)는 평균 주차 시간에 따라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 And, when there is no previously 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exit time as the expected exit time of the vehicle currently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a parking spot according to the average parking time.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시간은 1시이고, 예상 출차 시간대는 3시이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된 차량이 없다고 가정하면, 결정부(140)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중에서 평균 주차 시간이 1시간인 차량 대비 출구에서 먼 위치에 주차 자리로 결정하도록 학습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ime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is 1 o'clock, the expected departure time is 3 o'clock, and there is no 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determination unit 140 is Learn to determine a parking spot far from the exit compared to vehicles with an average parking time of 1 hour among vehicles parked in the parking lot

모델에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결정부(140)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중에서 평균 주차 시간이 5시간인 차량 대비 출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주차 자리로 결정하도록 학습모델을 통해 주차 자리를 결정한다. You can train the model.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a parking seat through th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a parking seat near the exit compared to a vehicle having an average parking time of 5 hours among vehicles parked in the parking lot.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결정부(140)로부터 학습모델을 통해 결정된 주차 자리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S450).Next,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using the parking robot to move from the determining unit 140 to the parking seat determined through the learning model (S450).

즉, 주차 로봇(300)이 복수개이고, 각 주차 로봇(300)이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 주차된 차량들을 출차시키는 경우, 제어부(150)는 주차 로봇(300) 간의 이동 동선이 겹쳐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That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king robots 300 and each parking robot 300 un-parks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having the same expected un-parking time perio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ovement lines between the parking robots 300 to overlap. Control to avoid colli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정보를 고려하여 주차 자리를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시간대에 진입하거나 나가는 차량들 간의 혼잡도가 해소된다. 또한,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장 내에 주차시키거나 빼냄으로써, 이중 주차에 대한 번거로움 및 차량 피해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주차장 내의 주차 공간 면접 협소로 인한 문콕 등의 차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a parking spot in consideration of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vehicle information park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vehicles entering or leaving the same time zone is resolved. In addition, by using the parking robot to park or take out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the hassle of double parking and the burden of damage to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vehicle such as the doorcock due to the narrow parking space interview in the parking lot can be prevented. c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주차 관제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부,
120: 차량 인식부, 130: 학습부,
140: 제어부, 200: 카메라,
300: 주차 로봇, 310: 차량용 팔레트,
400: 차량, 500a: 주차장 진입 차량
500b, 500c, 500d: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된 차량
100: parking control system, 110: database unit,
120: vehicle recognition unit, 130: learning unit,
140: control unit, 200: camera,
300: parking robot, 310: vehicle pallet,
400: vehicle, 500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500b, 500c, 500d: Parked vehicles with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Claims (6)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주차 로봇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자리 및 출차 예상 시간을 입력 계수로 설정하고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 자리를 출력 계수로 설정하여 학습모델을 학습시키는 학습부,
해당 주차장에 대하여 현재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판, 평균 주차 시간, 진입 시간 및 예상 출차 시간을 차량 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출차 시간을 예측하는 차량 인식부,
동일한 시간대에 출차가 예상되는 현재 주차된 차량의 대수를 상기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는 결정부, 그리고
주차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진입 차량을 상기 결정된 주차 자리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In a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 learning unit that trains the learning model by setting the parking spot and expected departure time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as an input coefficient and setting the parking spot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s an output coefficient;
A database unit that stores the license plate, average parking time, entry time, and expected exit time of the currently parked vehicle for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for each vehicle;
When a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a vehicle recognition unit that uses a camera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ed vehicle and predict the departure time;
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the parking spot of the currently entered vehicle by applying the number of currently parked vehicles expected to depart in the same time period to the learning model, and
A park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move to the determined parking seat by using a parking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주차 차량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진입한 차량의 주차 자리를 결정하도록 학습되는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unit,
A parking control system that is learned to determine the parking spot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parking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crea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할 경우,
비어있는 주차 자리 중에서 기 주차된 하나 이상의 차량의 위치와의 거리 차이의 합이 가장 큰 주차 자리로 결정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arning unit,
When there is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entered vehicle,
A parking control system that determines the parking spot with the largest sum of distances from the positions of one or more previously parked vehicles among vacant parking spo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진입한 차량의 예상 출차 시간과 동일한 예상 출차 시간대를 가지는 기 주차된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진입한 차량의 평균 주차 시간이 길수록 출구에서 먼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하고, 평균 주차 시간이 짧을수록 출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주차 자리로 결정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arning unit,
If there is no pre-parked vehicle having the same expected departure time as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entered vehicle,
The longer the average parking time of the entered vehicle, the more distant the parking spot from the exit is, and the shorter the average parking time, the closer the parking space is to the ex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주차 로봇이 복수개이고, 동일한 시간대 각각의 주차 로봇이 차량을 출차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차 로봇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주차 로봇의 출차를 위한 동선을 학습시키는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uni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parking robots, and each parking robot in the same time zone pulls out the vehicle,
A parking control system that learns a movement line for taking out of the parking robot so that a collision does not occur between each parking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로봇은,
차량을 탑재시키기 위한 차량용 팔레트보다 작은 높이 및 좁은 폭으로 구현되며,
입출차 차량이 있는 경우, 차량용 팔레트 아래로 이동하여 차량이 탑재된 차량용 팔레트를 직교 운행으로 이동시키는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robot is
It is implemented with a smaller height and narrower width than a vehicle pallet for mounting a vehicle.
A parking control system that moves under the vehicle pallet and moves the vehicle pallet o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in an orthogonal operation when there is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KR1020210010185A 2021-01-25 2021-01-25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73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85A KR102473140B1 (en) 2021-01-25 2021-01-25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85A KR102473140B1 (en) 2021-01-25 2021-01-25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92A true KR20220107492A (en) 2022-08-02
KR102473140B1 KR102473140B1 (en) 2022-12-02

Family

ID=8284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185A KR102473140B1 (en) 2021-01-25 2021-01-25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94B1 (en) 2022-09-23 2023-10-17 (주) 원모어시큐리티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llegal par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4151A (en)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47324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Sliding puzzle park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parking robots and system for same
KR20200072017A (en)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lot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20139299A (en) * 2019-02-27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transpor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4151A (en)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47324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Sliding puzzle park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parking robots and system for same
KR20200072017A (en)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lot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20139299A (en) * 2019-02-27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transport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94B1 (en) 2022-09-23 2023-10-17 (주) 원모어시큐리티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llegal par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40B1 (en)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0159B (en) Control device
US10490077B2 (en) Method for traffic control in a parking environment
CN110127467B (en) Elevator control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70329346A1 (en) Vehicle autonomous parking system
CN110789390B (en) Rail-mounted mobile charging system and scheduling control method thereof
CN109191900B (en) District induc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70059827A (en) Parking lot reservation system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JP7120163B2 (en) parking controller
JP6823671B2 (en) Concept for controlling traffic in the parking lot
KR102473140B1 (en)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parking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3327425A (en) Automatic passenger-assistant park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CN105370070A (en) Parking lot and intelligent parking method
JP2019185279A (en) Control apparatus
JP6636140B2 (en) Car protection
JP7366516B2 (en) Parking lot operation method and parking system
KR10245778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Home
JP7445441B2 (en) Parking lot control system, parking lo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5620409A (en)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system
JP2008158932A (en) Physical distribution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454864B1 (en)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7355049B2 (en) Vehicle control method, vehicl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5465262A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t least partially automatically transferring a motor vehicle
JP2020143519A (en) Operation system for snow remov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now removal device
CN110164172A (en) Multiple regions intelligent parking manages method and system concentratedly in a kind of parking lot
CN110723610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elevator, automobile elevator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