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859A -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859A
KR20220096859A KR1020200189685A KR20200189685A KR20220096859A KR 20220096859 A KR20220096859 A KR 20220096859A KR 1020200189685 A KR1020200189685 A KR 1020200189685A KR 20200189685 A KR20200189685 A KR 20200189685A KR 20220096859 A KR20220096859 A KR 2022009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iting
user
object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솔
김초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859A/ko
Publication of KR2022009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COLLABORATIVE CONTENT EDIT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동 편집 대상의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다수의 편집자들이 직관적이고 편리한 방법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C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의 오프라인 미팅, 집단 교육, 세미나, 컨퍼런스 행사 등은 원격 회의(teleconference)에 의해 빠른 속도로 대체되고 있다. 특히,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하고 협업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체계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면서, 원격지 간의 온라인 의사소통과 온라인 공동 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다자간 온라인 공동 작업의 유형들에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음성 회의, 영상 회의, 회의 참석자들 일부가 조작하는 컴퓨터의 화면이나 특정 컨텐츠를 다른 참석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면서 협업하거나 다자간 커뮤니케이션하는 비디오/웹 컨퍼런스 등이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참여자들이, 실시간으로 또는 시간차를 두고, 문서나 그래픽 등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공동으로 저작하거나 편집하는 다자간 온라인 공동 작업들도 빈번하게 수행되고 있다.
다자간 온라인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협업 솔루션들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열람 및 편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실시간 동시 편집은 원격지의 사용자들 사이의 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지만, 때때로 컨텐츠 공동 편집자 중 일부에 의해, 컨텐츠의 주 편집자 또는 소유자(owner)의 의도와 다르게 컨텐츠의 일부분이 변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라인 공동 작업에 의해 저작 또는 편집되는 컨텐츠의 일부 아이템 또는 전부에 대한 편집 동작을 선별적 및/또는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위와 같이 컨텐츠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동작과 잠금 상태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의 열람 및 편집을 포함하는 공동 작업 과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9928호 (2019. 8. 6. 등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 편집 대상의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다수의 편집자들이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 편집 대상의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를 선택하여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 편집 대상의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속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 편집 대상의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잠금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잠금을 안전하게 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를 내포하는 최외곽 경계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와 연관된 바운딩 박스의 외곽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의 외곽선 및 상기 제2 객체의 외곽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요청 입력과 연관된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은, 클릭-앤-드래그 또는 터치-앤-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3 객체와 연관된 상기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잠금 해제 되어 있는 제4 객체와 연관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디스플레이를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와 연관된 객체의 잠금 속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속성은, 상기 객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와 연관된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1 객체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1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장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컨텐츠 공동 편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들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객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의 잠금 속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잠금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한 방식으로 잠겨진(secure lock) 객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안전한 방식으로 잠그는(secure lock)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안전한 방식으로 잠금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의 갱신이란, 데이터의 생성, 수정, 및 삭제를 모두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은, 예컨대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에게 컨텐츠 공동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 저작자, 또는 편집자들이 컨텐츠를 공동으로 저작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다자간 음성/영상 회의 또는 비디오/웹 컨퍼런스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들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 및/또는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에 연결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들은 실시간으로 또는 비실시간으로 컨텐츠를 공동 저작하거나 편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들은 원격지에 위치한 서로 다른 편집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협업하여 컨텐츠를 공동 저작 또는 편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를 경유하여, 컨텐츠의 편집에 관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와 교환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는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를 경유하지 않고, p2p(peer-to-peer) 방식으로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와 컨텐츠의 편집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패킷 스위칭 또는 서킷 스위칭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망, 및 음성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컨텐츠 공동 편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편집 대상 컨텐츠(210)를 렌더링(rendering)하고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로드(load) 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대상 컨텐츠(210)는 복수의 편집자(220-1, 220-2, 220-3, 220-4)에 의하여 동시에 저작 또는 편집되는 것이다. 복수의 편집자(220-1, 220-2, 220-3, 220-4) 각각이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은, 편집 대상 컨텐츠(210)의 소유자에 의하여 공동 편집 멤버 계정으로 등록되거나, 공동 편집 진행을 위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수락함으로써 상기 공동 편집 멤버 계정으로 등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제1 편집자(220-1) 내지 제4 편집자(220-4)를 포함하는 동시 편집 그룹(220)에 의하여 편집 대상 컨텐츠(210)가 동시 편집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편집자(220-1) 내지 제4 편집자(220-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클라이언트 장치(114)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클라이언트 장치(111 내지 114)는 '편집자 단말'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편집 대상 컨텐츠(210)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대상 컨텐츠(210)는 온라인 화이트보드 데이터, 프리젠테이션 자료, 텍스트 문서, 디지털 음악 또는 동영상 에디팅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편집 대상 컨텐츠(210)의 동시 편집 그룹(220)을 구성하기 위한 공동 편집 멤버 등록 또는 초대 인터페이스를 편집자 단말들(111 내지 1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편집 대상 컨텐츠(210)의 뷰잉/편집 인터페이스(viewing/editing interface)를 편집자 단말들(111 내지 114)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편집 대상 컨텐츠(210)의 동시 편집 그룹(220)에 속한 편집자 단말들(111 내지 114)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p2p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복수의 편집자 단말에 공유되는 협업 공간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보드(Board)가 도시된다.
보드(310)는 서비스 서버(3100)가 제공하는 협업 공간이다. 보드(310)에는 프리젠테이션 컨텐츠(321), 도표 컨텐츠(322), 텍스트 컨텐츠(323), 이미지 컨텐츠(324), 가상의 메모장(미도시), 가상의 쪽지(미도시) 등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컨텐츠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는 보드(310)에 표시된 컨텐츠들(321, 322, 323, 324)을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에 전파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로부터 각 컨텐츠(321, 322, 323, 324)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신한 후 이를 반영하여 다시 각 클라이언트 장치들(111 내지 114)에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321, 322, 323, 324)에 대한 모든 편집이 완료되면, 컨텐츠 공동 편집 서버(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때때로 일부 컨텐츠 공동 편집자에 의해, 컨텐츠(321, 322, 323, 324)의 일부가 주 편집자 또는 소유자(owner)의 의도와 다르게 변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라인 공동 작업에 의해 저작 또는 편집되는 컨텐츠의 일부 아이템 또는 전부에 대한 편집 동작을 선별적 및/또는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기능이 온라인 협업 서비스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에 포함되는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본 방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방법의 각 단계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0),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S120),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S130), 및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와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단일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S110)에서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포함된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객체(50)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객체(50)를 선택하는 입력은 객체(50) 내부에 마우스 포인터(53)를 위치한 상태에서의 마우스 클릭하는 입력일 수 있다. 객체(50)를 선택하는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50)가 디스플레이된 영역 상에서의 터치, 탭, 더블탭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선택된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이 식별될 수 있다.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은 선택된 객체의 외곽선일 수 있다.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은 선택된 객체의 외곽선과 인접한 영역에 설정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도 5에는 선택된 객체(50)의 외곽선(52)이 식별되어 강조 표시된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S130)에서는, 식별된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50)의 외곽선(52) 상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되거나, 선택된 객체(50)의 외곽선(52)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 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될 수 있다. 이때 사전 결정된 거리는 고정된 값이거나, 객체(50)의 사이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도 있다.
잠금 요청 입력은, 예컨대 식별된 경계선 상 또는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 마우스 포인터 또는 터치 입력을 위한 포인팅 수단 등이 위치한 상태에서의 클릭 또는 더블 클릭 입력, 터치, 탭, 또는 더블 탭 등의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도 5에는 선택된 객체(50)의 외곽선(52) 상에 마우스 포인터(53)가 위치한 상태로 클릭 또는 더블 클릭 등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객체(50)에 대한 잠금 요청 입력이 발생되는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S140))에서는 객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에서는 객체(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상태로 전환된 객체는 삭제, 크기 변경, 위치 이동, 텍스트 수정 등 적어도 일부 편집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S140)에서 객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또는 객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객체에 대한 잠금 요청과 연관된 부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객체에 대한 잠금 요청과 연관된 부가 정보란, 객체에 대한 잠금 요청의 배경, 사유, 예정 기간, 기타 참고 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S120) 및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S130)의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50)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컨텍스트 메뉴(54)로부터 객체(50)의 잠금을 지시하는 그래픽 요소가 선택됨으로써, 객체(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잠금 해제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객체의 속성 및/또는 상태를 기술하는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객체의 속성 및/또는 상태를 기술하는 데이터의 하나의 항목으로서 'IsLock'이라는 데이터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IsLock 항목의 과거 값('previous')이 'false'이고, 객체 잠금 시 IsLock 항목의 현재 값('current')이 'true'로 설정된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외곽선 등) 또는 그 인접 영역에서의 간결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를 동시에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다수의 객체를 동시에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대상 객체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단계 S110).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복수의 객체들(80, 81, 82, 83) 중 제1 객체(82) 및 제2 객체(83)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1 객체(82) 및 제2 객체(83)를 선택하는 입력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 입력을 위한 포인팅 수단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입력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는,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경계선이 식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1 객체(82) 및 제2 객체(83)와 연관된 경계선이 식별되어 강조 표시된 다양한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경계선은, 선택된 객체들 각각의 외곽선들 전체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도 8에는, 선택된 제1 객체(82)의 외곽선(91a) 및 선택된 제2 객체(83)의 외곽선(91b)이 각각 식별된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경계선은, 선택된 객체들 모두를 내포하는 영역의 최외곽 경계선일 수 있다. 도 9에는 선택된 제1 객체(82) 및 선택된 제2 객체(83) 모두를 포함하되 가급적 최소한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의 최외곽 경계선(92)이 식별된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경계선은,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의 외곽선일 수 있다. 도 10에는, 선택된 제1 객체(82) 및 선택된 제2 객체(83) 모두를 포함하는 최소 크기의 박스의 외곽선(93)이 식별된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외곽선(93)은 선택된 제1 객체(82) 및 선택된 제2 객체(83)와 연관된 바운딩 박스의 외곽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단계(S120)에서 식별된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경계선(91a) 및/또는 경계선(91b)의 상에서 또는 그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될 수 있다. 잠금 요청 입력은, 예컨대 마우스 포인터(85)를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 위치한 채로 발생되는 클릭, 우클릭, 더블 클릭 등의 입력일 수 있다. 잠금 요청 입력은, 예컨대 터치 스크린의 포인팅 수단을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 위치한 채로 발생되는 터치, 탭, 더블 탭 등의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이때 사전 결정된 거리는 고정된 값일 수 있고, 잠금 요청 대상 객체의 사이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경계선(92)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경계선(93) 상에서 또는 그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서 잠금 요청 입력이 탐지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선택된 객체들이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에서는 객체(82) 및 객체(83)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상태로 전환된 객체는 삭제, 크기 변경, 위치 이동, 텍스트 수정 등 적어도 일부 편집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S140)에서 선택된 객체들이 잠금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잠금 요청과 연관된 부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잠금 요청의 배경, 사유, 예정 기간, 기타 참고 사항 등의 부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외곽선 등) 또는 그 인접 영역에서의 간결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들을 동시에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곽선, 선택된 객체들 모두를 내포하는 영역의 최외곽 경계선, 또는 선택된 객체들과 연관된 바운딩 박스의 외곽선 또는 그 인접 영역에서의 간결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선택된 둘 이상의 객체들을 동시에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10), 선택된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1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20), 선택된 객체들 중 잠겨 있지 않은 제2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생략하는 단계(S230), 제1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포인팅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객체의 잠금 이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40), 제1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및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2 내지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객체들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S210)에서는, 컨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131), 객체(132), 및 객체(133)를 모두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객체(131) 내지 객체(13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객체(131) 내지 객체(133)를 내포하는 임의의 영역(134)을 형성하는 마우스 드래그 또는 터치-앤-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객체(131) 내지 객체(13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 입력을 위한 포인팅 수단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입력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 상의 특정 키를 누른 상태로, 객체(131), 객체(132), 및 객체(133)를 클릭 또는 터치하여 다중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20)에서는, 선택된 객체들 중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S220), 잠겨 있지 않은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는 생략(S230)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는 잠겨진 객체(132) 및 객체(133)와 잠겨 있지 않은 객체(131)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객체들(131 내지 133) 중에 잠겨 있는 객체(132) 및 객체(133)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42) 및 인디케이터(14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객체들(131 내지 133) 중에 잠겨 있지 않은 객체(131)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는 생략(141)될 수 있다.
비록 도 11에서는 단계(S220) 이후에 단계(S230)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그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단계(S220)과 단계(S230)이 수행되는 순서에 한정이 없으며, 단계(S220)과 단계(S230)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40)에서는,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포인팅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이력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잠겨 있는 객체(132, 133)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 143)가 포인팅될 수 있다.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 143)에 대한 포인팅은, 예컨대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 143)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로 마우스 포인터(135) 또는 터치 스크린 포인팅 수단을 이동시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잠겨 있는 객체(132, 133)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 143)가 포인팅되면, 다른 별도의 입력 없이, 객체(132, 133)를 잠근 사용자 내지는 편집자의 식별자 및/또는 객체(132, 133)가 잠겨진 시점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잠겨 있는 객체(132, 133)에 대한 잠금 요청 시에 입력 받은 부가 정보(예컨대 잠금 요청의 배경, 사유, 예정 기간, 기타 참고 사항 등에 관하여 입력 받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S250)에서는,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잠겨 있는 객체(132)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가 포인팅된 후 선택될 수 있다.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를 선택하는 입력은, 예컨대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 내부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한 상태에서의 마우스 클릭하는 입력일 수 있다.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를 선택하는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가 디스플레이된 영역 상에서의 터치, 탭, 더블탭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잠겨 있는 객체(132)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42)가 선택되면, 다른 별도의 입력 없이, 잠겨 있는 객체(132)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각각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우스 드래깅, 터치-앤-드래그 등 복수의 객체들을 다중 선택하면, 다른 별도의 입력 없이도 각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므로, 복수의 객체들과 개별적으로 인터랙션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도 각각의 객체의 잠금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하되, 잠금 해제된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생략하는 방식 등에 의해, 각각의 객체의 잠금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이고 간결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등의 선택 동작에 의해, 별도의 다른 입력 없이도 잠겨 있는 객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잠금 해제를 위하여 도구 메뉴 또는 컨텍스트 메뉴 등으로 포인팅 수단을 이동시킨 후 잠금 해제를 명령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도,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한 방식으로 객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에서,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들을 보다 안전한 또는 보다 강력한 방식으로 잠그는 기능(이하, '안전 잠금'이라고 지칭한다)이 지원될 수 있다.
안전 잠금으로 잠겨진 객체의 잠금 해제를 위해서는, 통상적인 잠금 해제 프로세스와 상이한 별도의 잠금 해제 프로세스, 통상적인 잠금 해제 프로세스에 부가된 별도의 잠금 해제 프로세스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 내부의 별도 구성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협업 서비스 상에서, 안전 잠금의 해제를 요청한 사용자 또는 객체를 안전 잠금 방식으로 잠근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증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 외부의 별도 채널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안전 잠금의 해제를 요청한 사용자 또는 객체를 안전 잠금 방식으로 잠근 사용자에게,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한 2차 인증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안전 잠금 방식으로 잠그는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잠금의 대상이 되는 객체(170)를 선택하고, 안전 잠금을 요청하면, 확인 메시지(171)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안전 잠금을 명령하면 해당 객체는 안전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안전 잠금 상태의 객체(170)는, 삭제, 크기 변경, 위치 이동, 텍스트 수정 등 적어도 일부 편집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안전 잠금 상태의 객체(17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프로세스가 요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안전 잠금 상태의 객체(17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10), 제1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 전송하는 단계(S320), 및 제2 사용자의 승인에 응답하여 제1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객체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S310)에서는,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이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안전 잠금 방식으로 잠겨 있는 객체(170)와 연관된 잠금 상태 인디케이터(172)가 포인팅되면, 상기 객체(170)가 안전 잠금 방식으로 잠겨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17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단계(S320)에서는, 제1 객체를 안전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 내에서 전송되거나, 온라인 협업 서비스 외부의 별도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7에는, 제1 객체를 안전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사실을 알리고 잠금 해제를 승인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메일(174)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S320)에서 제1 객체를 안전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이 전송되기 위해서, 추가적인 요구 조건이 만족되어야 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S321)에서는, 단계(S310)에서 잠금 해제를 요청한 제1 사용자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또는 사전 결정된 수의 사용자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으며, 단계(S323)에서는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또는 사전 결정된 수의 사용자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과정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211)에서는 제1 객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이 있을 경우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증가될 수 있다. 단계(S3212)에서는 제1 객체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증가될 수 있다. 단계(S3213)에서, 만약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수에 도달한 경우, 단계(S323)로 진행하여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단계(S3213)에서, 만약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다른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330)에서는, 제2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승인하면, 제1 객체가 비로소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은,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서비스에서,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들을 보다 안전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잠그는 기능 및 그러한 방식으로 잠겨진 객체를 잠금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객체를 잠근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다른 사용자가 무분별하게 잠금을 해제한 후 객체를 편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라인 공동 작업에 의해 저작 또는 편집되는 컨텐츠의 일부에 대한 잠금의 강도 및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5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10), 버스(1550), 통신 인터페이스(1570), 상기 프로세서(1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530)와,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51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5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5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컴퓨팅 장치(1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과 각종 데이터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91)은 메모리(153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5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를 내포하는 최외곽 경계선인,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와 연관된 바운딩 박스의 외곽선인,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제1 객체의 외곽선 및 상기 제2 객체의 외곽선 중 적어도 하나인,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요청 입력과 연관된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입력인,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은, 클릭-앤-드래그 또는 터치-앤-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인,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3 객체와 연관된 상기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잠금 해제 되어 있는 제4 객체와 연관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디스플레이를 생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와 연관된 객체의 잠금 속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속성은, 상기 객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잠금 요청과 연관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와 연관된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3. 컨텐츠의 공동 편집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잠겨 있는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18.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와 연관된 경계선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서 잠금 요청 입력을 탐지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인스트럭션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공동 편집 보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189685A 2020-12-31 2020-12-31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KR20220096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85A KR20220096859A (ko) 2020-12-31 2020-12-31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85A KR20220096859A (ko) 2020-12-31 2020-12-31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59A true KR20220096859A (ko) 2022-07-07

Family

ID=8239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85A KR20220096859A (ko) 2020-12-31 2020-12-31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518A (zh) * 2019-11-04 2021-05-11 北京博超时代软件有限公司 输电线路设计专业内协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28B1 (ko) 2012-08-20 2019-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협업 구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28B1 (ko) 2012-08-20 2019-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협업 구현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518A (zh) * 2019-11-04 2021-05-11 北京博超时代软件有限公司 输电线路设计专业内协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5855A1 (en) Interactive whiteboard sharing
US7698660B2 (en) Shared space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S9235312B2 (en) Synchronized panel technology
US8352870B2 (en) Conflict resolution
KR102362659B1 (ko) 다중 장치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문서 협업
US201301246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modification messages
US20090055483A1 (en) Enhanced Collaboration in Instant Messaging
US114185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whiteboard based collaboration service
JPH10136329A (ja) 画像共有装置、画面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CN112154427A (zh) 协作文档的渐进式显示用户界面
US9046982B2 (en) Repres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topic tree structure
KR20140147093A (ko) 문서 코멘트를 이용한 공동-저작 충돌 추적 기법
US20090249226A1 (en) Collaborative tool use in virtual environment
US11553013B2 (en) Chat room-based file sharing device and method
US20170285895A1 (en) Communicating editing context between users to initiate collaborative editing of electronic documents
KR20220096859A (ko) 컨텐츠의 공동 편집 보조 방법 및 장치
US11700292B2 (en) Collaboration components for sharing content from electronic documents
US11750549B2 (en) File-related task management device
KR20200003764A (ko) 업무객체 기반 업무처리장치 및 방법
JP6209868B2 (ja) 情報端末、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30244802A1 (en) Managing permissions for collaborative shared documents
US10511644B2 (en) Joining executable component to online conference
US20220398056A1 (en) Companion devices as productivity tools
KR102308810B1 (ko)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6933759A (zh) 一种文档处理方法及相关设备、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