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519A -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519A
KR20220094519A KR1020200185803A KR20200185803A KR20220094519A KR 20220094519 A KR20220094519 A KR 20220094519A KR 1020200185803 A KR1020200185803 A KR 1020200185803A KR 20200185803 A KR20200185803 A KR 20200185803A KR 20220094519 A KR20220094519 A KR 2022009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user
monitoring
result
psych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0302B1 (en
Inventor
김범준
백종윤
최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Priority to KR102020018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9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The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monitoring the use of a first smart device which is used by a user; monitoring the use of a second smart device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is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data of the user; generating a diagnosis result on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uffered from cyberbullying and is addicted to the Internet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nd generating correction feedback for an item to be corrected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ing the correc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caused by cyberbullying and whether or not the user is addicted to the Internet through Internet usage monitoring using interlocked smart devices, and to correct the user's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diagnosed results.

Description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A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에 의한 심리적 피해를 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워치 등의 스마트기기를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하여 진단된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증상을 교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by linking smart devices. In particular, the state of a user using a smart phone through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that is linked with a smart phone is detailed.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monitor and correct diagnosed cyberbullying damage and symptoms of Internet addiction.

최근 기술의 발전을 통해 디지털 기기들이 점차 소형화되면서 장소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digital devices have become increasingly miniaturized, making it possible to access the Internet and share information regardless of place or time.

이와 같은 변화는, 대다수 사람들에게 인터넷을 통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부 사람들에게는 게임, 채팅, 도박 등에 의해 심각한 장애를 겪거나 내성 및 금단 현상이 발생하게 하는 부정적인 효과도 초래하였다. While this chan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jority of people that they can perform work efficiently or easily collect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some people suffer from severe disabilities or tolerance and withdrawal from games, chatting, gambling, etc. It also had a negative effect that caused the phenomenon to occur.

이 때, 부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은 인터넷 중독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었는지를 자세히 알기 어렵다. 예를 들어, 마약, 알코올, 흡연과 같은 물리적 중독의 경우에는 혈액검사와 같이 검증된 검사를 통해서 중독 여부와 그 수준을 정확히 알 수 있지만, 인터넷 중독의 검사는 대부분 설문 형식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진단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At this time, the root cause of the negative effect may be Internet addiction, but it is difficult for most people to know in detail to what level they are addicted to the Intern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physical addictions such as drugs, alcohol, and smoking, the presence and level of addiction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through a validated test such as a blood test. credibility is bound to decrease.

또한,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이용하여 자신의 일상 생활을 공유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익명을 악용하여 일부 사람들을 비방, 비난, 따돌림하는 등의 사이버 폭력을 일으키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해킹을 통해 ID와 패스워드를 절취하여 이미지를 훼손하거나 협박을 통해 금품을 요구하기도 한다. In addition, as more and more users share their daily lives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or Instagram, cyber violence such as slandering, accusing, and bullying some people by abusing anonymity has been reduced. There will also be problems that arise. In addition, they steal IDs and passwords through hacking to damage images or demand money through threats.

이러한 사이버 폭력을 당한 당사자의 경우, 정신적으로 심한 장애를 겪거나 지속적으로 심리적 불안증세를 보이는 등의 피해를 받는다. 결국, 피해자는 정신 상담을 받거나 우울증 치료 등을 받게 되는데, 실제로 이들을 심리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심리 상태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상담을 통해 피해자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고, 설문을 통해 진단을 수행하였지만, 이러한 형식은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the case of a person who has been subjected to such cyberbullying, he or she suffers from severe mental disorders or continues to show psychological anxiety symptoms. In the end, victims receive psychological counseling or treatment for depression. Until now,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victim was measured through counseling and diagnosis wa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is form is not reliable.

특히, 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이버 폭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악성 댓글들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한 피해자의 근본적인 심리 회복이 쉽지 않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피해자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불안증세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량적인 심리 측정 기술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since cyberbullying takes place in cyberspace, it is not easy to recover the victim's fundamental psychology as long as malicious comments that can cause cyberbullying continue to exist. Therefore, quantitative psychological measurement technology is needed to continuously identify the psychological state of victims and alleviate anxiety symptoms.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8-0023931호, 2018년 3월 7일 공개(명칭: 사용자의 인터넷 중독 레벨을 측정하는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8-0023931, published on March 7, 2018 (Title: Method for Measuring User's Internet Addiction Level)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연동된 스마트 기기에 의한 인터넷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심리적인 피해를 교정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accurately diagnose a user's psychological state due to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through Internet use monitoring by a smart devic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o correct the user's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설문 및 상담에 의해 판단되는 종래의 사이버 폭력 피해 진단 및 인터넷 중독 진단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점수로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diagnosis result with a more reliable and quantitative scor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yber violence damage diagnosis and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determined by user questionnaire and counsel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스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생체 데이터를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by using biometric data, which is difficult for a user to notice on their own, for diagnosing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whether or not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인터넷 중독을 교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상기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correcting Internet addiction by interlock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nitoring the use of a first smart device used by a user; monitoring the use of a second smart device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generating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generating calibra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alibrated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ing the calibra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이 때, 교정 피드백은 상기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ory occupation state of the user by the correction target item.

이 때,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dynamically setting a main monitoring target in consideration of an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nd applying a weight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이 때,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nitoring of the use of the second smart device may determine a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a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이 때, 가중치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이 때,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ing of the diagnosis result may include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to diagnose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이 때,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진단 점수에 상기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ing of the diagnosis result comprises calculat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by comparing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The Internet addiction may be diagnosed by adding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이 때, 신뢰도는 상기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are monitored based on an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a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can be

이 때, 1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smart device,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time of us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 by input means,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 is monitored, and in the second smart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At least one of sleep state,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may be monitored.

이 때, 교정 피드백은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피해 및 인터넷 중독에 의한 중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ve feedback may include content that can alleviate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addiction symptoms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상기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및 상기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is lin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is a second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Monitor usage, generate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generate correc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the first smart a processor for providing the calibration feedback through a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agnosis result.

이 때, 교정 피드백은 상기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ory occupation state of the user by the correction target item.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dynamically sets a main monitoring targ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nd selects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in monitoring target.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a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a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이 때, 가중치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diagnose whether the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by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진단 점수에 상기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compares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nd the first diagnosis score By adding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to , it is possible to diagnose whether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re present.

이 때, 신뢰도는 상기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are monitored based on an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a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can be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first smart device,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 by the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pupil of the user is monitored, and in the second smart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and blood pressure , at least one of sleep state,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may be monitored.

이 때, 교정 피드백은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피해 및 인터넷 중독에 의한 중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ve feedback may include content that can alleviate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addiction symptoms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연동된 스마트 기기에 의한 인터넷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심리적인 피해를 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iagnose a user's psychological state due to cyber violence and whether he or she is addicted to the Internet through Internet use monitoring by a smart devic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o correct the user's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hav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설문 및 상담에 의해 판단되는 종래의 사이버 폭력 피해 진단 및 인터넷 중독 진단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점수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diagnosis result with a more reliable and quantitative scor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yber violence damage diagnosis and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determined by user questionnaire and counsel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생체 데이터를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by using biometric data, which is difficult for a user to notice by themselves, to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cyber violence and whether or not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되는 평가 항목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진단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부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system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evaluation items monito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calculating a diagnostic score for determining whether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adding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of a user questionnaire result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calibration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providing correction feedback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system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설문과 인터뷰 방식이 아닌 사용자(100)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 등의 스마트 기기(110, 120)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이버 폭력에 대한 심리적 불안증세를 완화시키고 인터넷 중독을 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yber violence against a user 100 using smart devices 110 and 120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watch used by the user 100 rather than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method. And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and based on this, alleviating psychological anxiety symptoms about cyberbullying and correcting Internet addiction.

이 때,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중독, 컴퓨터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행위와 관련된 중독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In this case, Internet addic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ddiction related to all kinds of behaviors using digital devices, such as Internet addiction, computer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이 때, 사이버 폭력은 인터넷을 통한 악성 댓글, 폭언, 비방, 따돌림 및 해킹을 통한 정보와 금전적 손실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행위와 관련된 디지털 역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this case, cyberbullying may be a concept including digital dysfunction related to all kinds of behaviors using digital devices, such as malicious comments, abusive language, slander, bullying, and financial loss through the Internet.

이 때,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심리 피해는 인터넷 중독에 의한 심리적 중독 증상이나 사이버 폭력 피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psychological da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psychological poisoning symptoms or cyber violence damage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일반적으로 사이버 폭력에 따른 심리 상태의 진단이나, 인터넷 중독의 진단은 진단 대상자에 의한 설문 결과를 이용하거나 진단 대상자를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에 의한 진단 결과는 설문이나 인터뷰 내용도 대부분 주관적이고 정성적이다 보니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In general, the diagnosis of the psychological state due to cyberbullying or the diagnosis of Internet addic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by the subject or interviewing the subject. There was a problem that reliability was lowered because it was honest and qualitativ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100)가 제1 스마트 기기(110)를 사용하면서 모니터링 되는 정보와 함께 제1 스마트 기기(110)와 연동되고 사용자(100)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스마트 기기(120)를 통해 모니터링 되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100)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을 교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user 10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110 together with the monitored information while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110 and measures the user's 100 biometric data. A method for diagnosing the user 100'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monitored through the second smart device 120 that can would like to pres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시스템은 제1 스마트 기기(200), 제2 스마트 기기(202),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 및 네트워크(2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a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system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mart device 200 , a second smart device 202 , and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system. device 210 and network 220 .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200)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monitors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200 used by the user.

또한,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제1 스마트 기기(200)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202)의 사용을 모니터링 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200 and monitors the use of the second smart device 202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또한,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1 스마트 기기(200)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dynamically sets a main monitoring targ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200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또한,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한다.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applies a weight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스마트 기기(202)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제2 스마트 기기(202)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200 , a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202 and a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202 may be determined.

이 때, 가중치는 제1 스마트 기기(200) 및 제2 스마트 기기(202)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smart device 202 .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200) 및 제2 스마트 기기(202)는 제1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201), 제1 스마트 기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제2 스마트 기기(202)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mart device 200 and the second smart device 202 are an agent (AGENT) 201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200 , a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200 , and the second Monitor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a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202 .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200)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제2 스마트 기기(202)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 상태, 운동 상태 및 혈중 산호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st smart device 200,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s by the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 is monitored, and the second smart device 202 At least one of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state,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may be monitored.

또한,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이 때, 모니터링 결과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iagnosed by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survey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이 때,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제1 진단 점수에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nd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is applie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In addition, Internet addiction can be diagnosed.

이 때, 신뢰도는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또한,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제1 스마트 기기(200) 또는 제2 스마트 기기(202)를 통하여 교정 피드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generates a correc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es the correc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200 or the second smart device 202 .

이 때, 교정 피드백은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ensory occupation state by the item to be corrected.

이 때, 교정 피드백은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피해 및 인터넷 중독에 의한 중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rective feedback may include content that can alleviate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addiction symptoms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이 때, 심리 피해 교정 장치(210)는 네트워크(220)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Internet addic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network 220 .

이 때, 네트워크(220)는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In this case, the network 220 provides a path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devices, and is a concept encompassing both an existing network and a network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network is IP Network, which provides large-capacit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and data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through Internet Protocol (IP), and All IP, which is an IP network structure that integrates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 network, etc., wired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network and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LTE network, 4 including LTE advanced It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one or more of a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또한,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cludes a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devices within a limited are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and between mobile devices and between a mobile device and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an earth station and an earth station using satellites. or any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anwhile, the transmission method standard of the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transmission method standard, and may include all transmission method standard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S310).Referring to FIG. 3 , in the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is monitored ( S310 ).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4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에 스마트폰에 구비된 별도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나 에이전트 프로그램 및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mart device 400 may correspond to a device such as a user's smart phone as shown in FIG. 4 . Therefore, while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based on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 of the smartphone by using a separate monitoring application or agent program and a camera provided in the smartphone.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element among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s by the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s may be monitor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은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S320).In addition, the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based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monitors the use of a second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S320).

예를 들어, 제2 스마트 기기(5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제2 스마트 기기(50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스마트 기기(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면서, 모니터링 기간 동안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mart device 500 may correspond to a wearabl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wor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the second smart device 5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400 shown in FIG. 4 , and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at least one of the user's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state,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factors can be monitored.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제2 스마트 기기를 스마트워치의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워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 가능하면서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라면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mart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but the second smart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smart watch. For example, if it is a smart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a first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can monitor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may be no restrictions.

또한, 도 3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은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them, the main monitoring target may be dynamic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by the first smart devi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특별한 입력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이나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수면상태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tching a video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it is not expected that a special input will occur, so the application usage time or the user's eyes or sleep state can be dynamically set as a main monitoring target.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이나 도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심전도나 혈압, 채팅 내용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a game or gambling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chat contents, etc. may be dynamically set as main monitoring targets.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과 관련된 악성 댓글을 조회하고 있는 경우, 심전도나 혈압, 채팅 내용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quires a malicious comment related to himself/herself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chat contents, etc. may be dynamically set as main monitoring targets.

이 때, 상황에 따라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평가 항목을 모니터링하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ing resources by monitoring unnecessary evaluation items that are not very helpful in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y dynamically setting a main monitoring targe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erforming monitoring.

이 때,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a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A부터 J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A부터 E까지 5개 항목이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면, A부터 E까지의 항목에는 F부터 J까지의 항목보다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5 items from A to E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A to J are set as the main monitoring targets, the items from A to E have a higher weight than the items from F to J. can be given

즉, 주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목의 진단 점수를 나머지 항목들 보다 중요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별 사용 기록이나 사용 성향에 따른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by judging the diagnosis score of the main monitoring target item a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item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each user's usage record or usage tendency.

이 때,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일부 평가 항목들이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제외된 평가 항목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항목을 추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one or more partial evaluation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from monitoring, monitoring may be performed by adding new evaluation items that can replace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중에 제2 스마트 기기를 착용하지 않아서 수면 상태에 해당하는 평가 항목이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 분석에 의한 피로도를 새로운 평가 항목으로 추가하오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leep state is exclud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because the user does not wear the second smart device while sleeping, add the user's fatigue by eye analysis as a new evaluation item to perform monitoring. have.

이 때, 제외된 평가 항목이나 제외된 평가 항목에 적용되어 있던 가중치를 고려하여 아직 남아 있는 나머지 평가 항목들 및 추가된 평가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eights for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and the added evaluation items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or weights applied to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일부 평가 항목이 제외되었으나 새로운 평가 항목이 추가되지 않은 경우, 남아있는 나머지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some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but no new evaluation items are added, weights of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may be increased.

다른 예를 들어, 일부 평가 항목이 제외되고, 새로운 평가 항목이 추가된 경우에는 제외된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새로운 평가 항목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some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and new evaluation items are added, the weight of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may be applied to the new evaluation items.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a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a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may be determined.

이 때, 모니터링 결과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eight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조건이 결정되어 모니터링이 수행된 경우, 모니터링 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2 스마트 기기의 모니터링 대상에 해당하는 평가 항목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나머지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는 낮게 설정함으로써 가중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nitoring target and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are determined and monitor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the monitoring target of the second smart device among the monitored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is determined. A high weight can be given to evaluation items. In this case, the weight balance can be achieved by setting the weights of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to be relatively low.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는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may be monitored based on an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a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이 때, 에이전트(AGENT)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사전에 사용자의 동의를 구한 뒤에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gent (AGENT) is a program that is received from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fter obtaining the user's consent in advance.

이 때, 에이전트는 제1 스마트 기기와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정보를 심리 피해 교정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agent may serve to deliver the monitor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to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는 에이전트를 통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mera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agent, and while the user uses the first smart device, the user or the user's surroundings may be photographed to obtain monitoring information.

이 때,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과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 및 심전도 센서,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혈중 산소 센서, 수면 중 호흡을 미세운동신호로 감지하여 수면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위치 측정이나 운동 중 거리 측정을 통해 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may correspond to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or example, a heart rate and electrocardiogram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heart rate and electrocardiogram, a blood oxygen sensor that can measur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breathing during sleep as a micro-motion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are sleeping , a GPS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an exercise state through position measurement or distance measurement during exercise may be included.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제2 스마트 기기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first smart device,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 by the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 is monitored, and in the second smart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At least one of a state, an exercise state, and a blood oxygen saturation may be monitored.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해당하고, 제2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된 스마트 워치라고 가정하는 경우, [표 1]과 같은 요소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mart device corresponds to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is a smart watch linked to the user's smartphone, elements as shown in [Table 1] may be monitored.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세부기능Detailed function 모니터링 항목monitoring items 비고note

스마트폰


Smartphone


에이전트


agent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종류Type of application used AA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Usage time by application BB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의 입력 수Number of inputs from keyboard, mouse and touch panel CC 채팅 내용chat content DD 카메라camera 사용자의 눈동자(홍채) 분석(피로도, 집중도 등)User's pupil (iris) analysis (fatigue, concentration, etc.) EE

스마트 워치


smart watch
심전도: 게임, 도박 시 심박동수 측정Electrocardiogram: measuring heart rate while gaming and gambling FF
혈압: 스마트폰 사용 중 혈압 측정Blood Pressure: Measure your blood pressure while using your smartphone GG 수면상태: 야간에 얼마나 수면을 취하는지 측정Sleep state: measure how much sleep you get at night HH 운동상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 측정Exercise status: Measure the period when the smartphone is not used II 혈중 산소포화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주변환경 측정Bloo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a smartphone JJ 설문 or 인터뷰survey or interview 스마트기기 진단 결과와 비교Comparison with smart device diagnosis results KK

이 때, [표 1]에서 예시한 모니터링 항목 이외에도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필요하고, 스마트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onitoring items exemplified in [Table 1], monitoring items that are necessary for diagnosing the user's cyberbullying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nd monitoring through a smart device may be add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은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S330).In addition, the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S330) ).

이 때, 모니터링 결과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may be diagnosed by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스마트 기기로 [표 2]나 [표 3]과 같은 사용자 설문을 요청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survey result may be obtained by requesting a user survey as shown in [Table 2] or [Table 3] with the user's first smart device.

번호number 항목Item 전혀 아니다Not at all 아니다not 그렇다Yes 매우 그렇다it really is 1One 인터넷 사용으로 건강이 이전보다 나빠진 것 같다.It seems that my health is worse than before due to internet use. 1One 22 33 44 22 오프라인에서보다 온라인에서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이 더 많다.There are more people who recognize me online than offline. 1One 22 33 44 33 인터넷을 하지 못하면 생활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Without internet, life is boring and not fun. 1One 22 33 44 44 인터넷을 하다가 그만두면 또 하고 싶다.I want to do it again when I stop doing the internet. 1One 22 33 44 55 인터넷을 너무 사용해서 머리가 아프다.My head hurts from using the internet too much. 1One 22 33 44 66 실제에서 보다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You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people you meet online than in real life. 1One 22 33 44 77 인터넷을 하지 못하면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 진다.If you do not have access to the Internet, you become restless and anxious. 1One 22 33 44 88 인터넷 사용 시간을 줄이려고 해보았지만 실패했다.I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time I spend on the internet, but to no avail. 1One 22 33 44 99 인터넷을 하다가 계획한 일들을 제대로 못한 것이 있다.There are some things that didn't go as planned while on the Internet. 1One 22 33 44 1010 인터넷을 하지 못해도 불안하지 않다.Don't worry if you don't have internet. 1One 22 33 44 1111 인터넷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생각이 끊임없이 들곤 한다.I am constantly reminded of the need to cut down on my internet use. 1One 22 33 44 1212 인터넷 사용시간을 속이려고 한 적이 있다.I have tried to cheat internet usage time. 1One 22 33 44 1313 인터넷을 하고 있지 않을 때는 인터넷이 생각나지 않는다.When I'm not on the Internet, I don't remember the Internet. 1One 22 33 44 1414 주위 사람들이 내가 인터넷을 너무 많이 한다고 지적한다.People around me point out that I use the Internet too much. 1One 22 33 44 1515 인터넷 때문에 돈을 더 많이 쓰게 된다.You spend more money because of the internet. 1One 22 33 44

번호number 항목Item 전혀 아니다Not at all 아니다not 그렇다Yes 매우 그렇다it really is 1One 아직도 누군가 인터넷을 통해 나를 욕하거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있다. (사이버 언어 폭력)Someone is still swearing at me or offending me over the internet. (Cyber Verbal Violence) 1One 22 33 44 22 아직도 누군가 인터넷을 통해 나에 대해 거짓된 이야기나 잘못된 이야기를 퍼뜨리고 있다. (사이버 명예훼손)Still, someone is spreading lies or false stories about me on the Internet. (Cyber defamation) 1One 22 33 44 33 아직도 누군가 내가 싫어하는데도 이메일이나 쪽지를 계속 보내거나 블로그, SNS 등에 계속 방문해 글이나 사진을 남긴 적이 있다. (사이버 스토킹)Even though someone still hates me, there have been times when I keep sending e-mails or messages, or I keep visiting blogs and social media to leave comments or photos. (Cyber Stalking) 1One 22 33 44 44 아직도 누군가 인터넷을 통해 내가 싫어하는 줄 알면서도 야한 글이나 사진, 동영상을 보낸 적이 있다. (사이버 성폭력)Still, there have been times when someone sent a lewd article, picture, or video over the Internet, knowing that I didn't like it. (Cyber Sexual Violence) 1One 22 33 44 55 아직도 누군가 인터넷 공간에서 나의 신상 정보(이름, 사는 곳, 학교, 사진 등)를 퍼뜨린 적이 있다. (신상정보 유출)Still, someone has spread my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name, place of residence, school, photo, etc.) on the Interne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1One 22 33 44 66 아직도 인터넷 대화방이나 스마트폰, 카카오톡 등에서 나를 퇴장하지 못하게 막고 놀리거나 욕하거나, 대화에 참여하지 못하게 한 적이 있다. (사이버 따돌림)There have been times when I was still blocked from leaving Internet chat rooms, smartphones, and Kakao Talk, teasing me, swearing, or preventing me from participating in conversations. (Cyber Bullying) 1One 22 33 44 77 지금도 해킹으로 인해 자신의 ID와 패스워드가 유출되어 피해를 입고 있다.Even now, due to hacking, their ID and password are leaked and they are suffering damage. 1One 22 33 44 88 사이버 폭력으로 인해 인터넷을 하기가 두렵고 SNS에 접속할 수 없다.Because of cyberbullying, I am afraid to use the Internet and cannot access social media. 1One 22 33 44 99 사이버 폭력의 피해로 인하여 매사에 불안하고 남들이 자신을 주시하는 것 같다. Due to the damage of cyberbullying, he is anxious about everything and it seems that others are watching him. 1One 22 33 44 1010 사이버 폭력으로 인하여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고 만남이 기피된다.Due to cyberbully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eetings are avoided. 1One 22 33 44 1111 모르는 전화나 메시지가 오면 깜짝깜짝 놀라고 수신을 거부한다. When you receive an unknown call or message, you will be surprised and reject the call. 1One 22 33 44 1212 사이버 폭력의 피해로 인하여 잠을 못 이루거나 불면증에 시달린다.They can't sleep or suffer from insomnia due to cyberbullying. 1One 22 33 44 1313 사이버 폭력의 피해도 인하여 모든 사람들이 의심스럽고 믿지를 못한다. Even the victims of cyberbullying make everyone suspicious and distrustful. 1One 22 33 44 1414 사이버 폭력을 입어도 주변에서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비관하고나 자포자기 하고 있다.Even if they are subjected to cyberbullying, they are pessimistic or desperate because the people around them do not help. 1One 22 33 44 1515 사이버 폭력으로 인하여 사회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모든 것이 거짓으로 보인다.Cyberbullying increases dissatisfaction with society and everything seems to be a lie. 1One 22 33 44

이 때, [표 2]에서 제시한 설문은 한국형 인터넷 과의존 척도(K척도) 청소년용(만10세~19세) 설문 문항에 상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설문 문항을 제공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presented in [Table 2] cor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10 to 19 years old) on the Korean Internet Dependence Scale (K scale), and the appropriate questionnaire for the user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f the user. to obtain user survey results.

이 때, [표 3]에서 제시한 설문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사이버 폭력 실태 조사의 설문 내용을 참조하였으며, 설문의 유형과 내용은 사용자의 피해 정도와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rvey presented in [Table 3] refers to the survey contents of the Cyber Violence Status Survey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survey can be set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degree of damage, gender, age, etc. .

이 때,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제1 진단 점수에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nd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is applie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In addition, cyberbullying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iagnosed.

이 때,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제1 진단 점수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Result(R) = αA+βB+γC+δD+εE+ζF+ηG+θH+λI+μJResult(R) = αA+βB+γC+δD+εE+ζF+ηG+θH+λI+μJ

예를 들어, [수학식 1]은 [표 1]에서 제시한 모니터링 항목마다 6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2점씩(0점, 2점, 4점, 6점, 8점, 1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총점은 100점 만점으로 정하고, 각 항목마다 중요도를 고려하여 할당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그리스 문자(α~μ)는 각 항목에 적용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잇다.For example, [Equation 1] is divided into 6 steps for each monitoring item presented in [Table 1], and 2 points (0 points, 2 points, 4 points, 6 points, 8 points, 10 points) for each step can be given The total score is set out of 100, and an assigned weight can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item. In this case, Greek letters (α to μ) may mean a weight applied to each item.

즉, [표 1]의 모니터링 항목 중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에 해당하는 항목의 점수가 6점이고, 해당 항목에 부여된 가중치가 0.2라고 가정한다면, [수학식 1]의 B값에 6을 대입하고, β값에 0.2를 대입할 수 있다. That is, assuming that the score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usage time by application among the monitoring items in [Table 1] is 6, and the weight assigned to the item is 0.2, 6 is substituted for the B value in [Equation 1], 0.2 can be substituted for the β valu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 Result(R)에 상응하는 값이 연동된 스마트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제1 진단 점수에 상응할 수 있다.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sult(R) calculated in the above manner may correspon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interlocked smart device.

이와 관련한 단계별 점수 산정을 위하여 각 측정 항목에 대해서는 딥러닝 알고리즘 또는 기계학습 등과 관련된 인공지능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이러한 인공지능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학습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고, 학습에 따른 분포를 산정해야 하므로 본 특허에서는 이에 관한 사항은 자세하게 다루지 않는다. For each measurement item, an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related to a deep learning algorithm or machine learning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score for each step in this regard. However, in order to use the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sufficient learning data must be secured and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learning must be calculated, so this patent does not deal with this in detail.

이 때, 신뢰도는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편차가 클수록 스마트 기기 모니터링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와 사용자 설문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에 편차가 클수록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it may mea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smart devic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large. Accordingly,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may decrease.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고의로 사용자 설문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도록 사용자 설문을 작성한 것으로 판단하고,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높게 부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intentionally prepared the user questionnaire so that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positive, and the user can be classified as a high-risk user by adding a high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에 기준 이상의 편차가 발생한다면, 해당 사용자에 심리적 상태에 대한 별도의 정밀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진단 결과와 함께 코멘트 또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f there is a deviation greater than a standard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a comment or feedback may be provided along with the diagnosis resul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 separat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state.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편차가 낮아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경우라도, 진단 점수 자체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high because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s low, when the diagnosis score itself is high,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classified as a high-risk user.

이 때, 진단 점수가 높게 산출될수록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igher the diagnostic score is calculated, the more it can be classified as a high-risk group.

예를 들어, [표 4]와 같이 진단 점수의 구간별로 위험군을 분류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4], the degree of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etermined by classifying risk groups for each section of the diagnostic score.

인터넷 중독 수준Internet addiction level 점수표score sheet 고위험군high risk group 91~10091 to 100 잠재적 위험군potential risk group 81~9081-90 주의caution 71~8071~80 일반 사용자군general user group 61~7061-70 저 위험군low risk ~60~6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은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교정 피드백을 제공한다(S340).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correc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generates a correction feedback for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first smart device. 2 Provides calibration feedback through a smart device (S340).

예를 들어, 악성 게시글에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을 음악, 미술, 윤리 교양과 같은 동영상 시청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심리 상태를 완화할 수 있도록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who reacts too sensitively to malicious posts can set the item to be corrected to watch videos such as music, art, and ethics, and provide corrective feedback to the user to alleviate their psychological state. .

다른 예를 들어, 해킹으로 인해 피해를 받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해킹 예방 교육에 관련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damaged by hacking, correction feedback related to hacking prevention training may be provided.

또 다른 예를 들어, 인터넷을 너무 오래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을 인터넷 사용시간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에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uses the Internet for too long, a correction target item may be set as Internet use time, and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uses the Interne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또 다른 예를 들어, 게임을 너무 많이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으로 게임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일정시간 이상 플레이하는 경우에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plays the game too much, the game time may be set as the item to be corrected, and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plays the gam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이 때, 교정 피드백은 단순히 알람을 통해 이루지거나 또는 강제로 교정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libra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a way that is made simply through an alarm or forcibly operates a calibration program.

이 때, 교정 피드백은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ensory occupation state by the item to be corrected.

이 때,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집중하고 있는 감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한다는 의미에 상응할 수 있다.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user's sensory occupation state may correspond to the meaning of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in a manner recognizable through the sense that the user is focusing 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청각에 집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소리를 이용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각에 집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메시지 팝업을 이용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focusing on hearing, correction feedback using sound may be provided, and if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focusing on vision,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using a message pop-up. .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악성 게시글을 조회하는 사용자에게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초기 교정 피드백은 제2 스마트 기기(810)에 해당하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진동 피드백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초기 교정 피드백을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정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가 계속 악성 게시글을 조회 중이면 제1 스마트 기기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화면에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교정 피드백(82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정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조회를 방해할 만큼 시각적으로 크고, 긴 시간 동안 제공되는 다음 단계의 교정 피드백(83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더욱 긴장하거나 위축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correction feedback is provided to a user who inquires a malicious post, the initial correction feedback may correspond to vibration feedback using a smart watc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mart device 810 . . If the correction is not performed despite the initial correction feedback, that is, if the user continues to search for malicious posts, the correction feedback 820 may be provided to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mart device. . Nevertheless, if not corrected, it may provide the next level of correction feedback 830 that is visually large enough to hinder the user's inquiry and is provi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case, corrective feedback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user from acting more tense or withdrawn.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을 통해 서로 연동된 스마트 기기에 의한 인터넷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심리적인 피해를 교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based on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due to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are more accurately diagnosed through the monitoring of Internet use by interlocked smart devices, Based on the diagnosed result, the user's psychological damage can be corrected.

또한, 사용자 설문 및 상담에 의해 판단되는 종래의 사이버 폭력 피해 진단 및 인터넷 중독 진단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점수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diagnosis result with a more reliable and quantitative scor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yber violence damage diagnosis and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determined by user questionnaire and consultation.

또한, 사용자가 스스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생체 데이터를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provided by using biometric data, which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by themselves, to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whether or not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진단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calculating a diagnostic score for determining whether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진단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먼저 제1 스마트 기기에서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체크할 수 있다(S610).Referring to FIG. 6 ,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diagnostic score for determining whether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st check which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S610).

이 후,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고(S620), 설정된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S630).Thereafter, the main monitoring target is dynamic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S620), and monitoring for the set main monitoring target can be performed (S6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특별한 입력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이나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수면상태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tching a video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it is not expected that a special input will occur, so the application usage time or the user's eyes or sleep state can be dynamically set as a main monitoring target.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과 관련된 악성 글을 검색 또는 조회하고 있는 경우, 심전도나 혈압, 채팅 내용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arches for or inquires malicious text related to himself/herself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chat contents, etc. may be dynamically set as main monitoring targets.

이 후,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여(S640) 진단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650).Thereafter, a weight may be given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S640) to calculate a diagnostic score (S650).

예를 들어, A부터 J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A부터 E까지 5개 항목이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면, A부터 E까지의 항목에는 F부터 J까지의 항목보다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5 items from A to E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A to J are set as the main monitoring targets, the items from A to E have a higher weight than the items from F to J. can be given

즉, 주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목의 진단 점수를 나머지 항목들 보다 중요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별 사용 기록이나 사용 성향에 따른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by judging the diagnosis score of the main monitoring target item a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item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each user's usage record or usage tendenc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부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adding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of a user questionnaire result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부가하는 과정은 먼저 사용자의 제1 스마트 기기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진단을 위한 사용자 설문을 요청할 수 있다(S710).Referring to FIG. 7 , in the process of adding weights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is first requested with the user's first smart device. Can be (S710).

이 후,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진단 점수를 산출하고(S720),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S730).Thereafter, a second diagnosis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S720),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can be calculated (S730).

이 후,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S740), 제1 진단 점수에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S750).Thereafter,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S740), and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is adde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to determine whether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re present can be diagnosed (S750).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편차가 클수록 스마트 기기 모니터링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와 사용자 설문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에 편차가 클수록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it may mea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smart devic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large. Accordingly,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may decreas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rocess of providing correction feedback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방법 중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먼저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가 생성되면(S910),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교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15).Referring to FIG. 9 , in the process of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among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is generated (S910),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orrection for the user is necessary (S915).

단계(S915)의 판단결과 교정이 필요하면,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여(S920) 사용자의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S930).If calibration is requi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15, calibra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alibrated may be generated (S920) and provided to the user's first smart device or second smart device (S930).

이 후,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이 교정이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S935), 교정이 되었으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Thereafte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have been corrected (S935), and if the correction has been made, the process may be terminated.

단계(S935)의 감지결과 교정되지 않았으면, 교정 피드백 단계를 상향하여(S940) 다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S920),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S930).If the detection result of step S935 is not corrected, the calibration feedback step may be raised (S940) to generate the calibration feedback again (S920), and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alibration feedback may be repeated (S930).

또한, 단계(S915)의 판단결과 교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15 that correction is not required, the process may be terminat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을 교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cyberbullying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을 교정하는 과정은 먼저 사용자의 제1 스마트 기기(1020)와 제2 스마트 기기(1030)가 연동되어(S1002) 교정 준비가 완료되면, 심리 피해 교정 장치(1010)가 제1 스마트 기기(1020)에게 에이전트(AGENT)를 제공할 수 있다(S1004).Referring to FIG. 10 ,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first smart device 1020 and the second smart device 1030 are interlocked (S1002) to prepare for correction. ,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1010 may provide an agent (AGENT) to the first smart device (1020) (S1004).

이 후, 제1 스마트 기기(1020)의 사용을 모니터링(S1006)함과 동시에 제2 스마트 기기(1030)의 사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008).Thereafter, while monitoring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1020 (S1006),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 of the second smart device 1030 (S1008).

이 후, 제1 스마트 기기(1020)에 설치된 에이전트가 심리 피해 교정 장치(1010)로 모니터링 결과를 전송한다(S1010).Thereafter, the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1020 transmits the monitoring result to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1010 (S1010).

이 후, 심리 피해 교정 장치(1010)는 제1 스마트 기기(1020)로 사용자 설문을 요청하여(S1014)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S1016).Thereafter,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1010 may request a user questionnaire to the first smart device 1020 (S1014) to obtain a user questionnaire result by the user (S1016).

이 후, 심리 피해 교정 장치(1010)가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1018).Thereafter,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apparatus 1010 may generate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S1018).

이 후, 심리 피해 교정 장치(1010)는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S1020), 생성된 교정 피드백을 제1 스마트 기기(1020)로 제공할 수 있다(S1022).Thereafter,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apparatus 1010 may generate a correc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 S1020 ), and provide the generated correction feedback to the first smart device 1020 ( S1022 ). ).

이 때, 단계(S1014) 내지 단계(S1016)의 과정은 도 10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processes of steps S1014 to S1016 are not limited to the sequence shown in FIG. 1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는 통신부(1110), 프로세서(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 an apparatus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0 , a processor 1120 , and a memory 1130 .

통신부(11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교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110 may serv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rrect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network. In this case, the network provides a path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devices, and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both an existing network and a network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network is IP Network, which provides large-capacit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and data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through Internet Protocol (IP), and All IP, which is an IP network structure that integrates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 network, etc., wired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network and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LTE network, 4 including LTE advanced It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one or more of a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또한,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cludes a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devices within a limited are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and between mobile devices and between a mobile device and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an earth station and an earth station using satellites. or any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anwhile, the transmission method standard of the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transmission method standard, and may include all transmission method standard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프로세서(112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The processor 1120 monitors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4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에 스마트폰에 구비된 별도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나 에이전트 프로그램 및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mart device 400 may correspond to a device such as a user's smart phone as shown in FIG. 4 . Therefore, while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based on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 of the smartphone by using a separate monitoring application or agent program and a camera provided in the smartphone.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element among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s by the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s may be monitored.

또한, 프로세서(1120)는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2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monitors the use of the second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예를 들어, 제2 스마트 기기(5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제2 스마트 기기(50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스마트 기기(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면서, 모니터링 기간 동안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mart device 500 may correspond to a wearabl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wor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the second smart device 5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mart device 400 shown in FIG. 4 , and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at least one of the user's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state,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factors can be monitored.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제2 스마트 기기를 스마트워치의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워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 가능하면서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라면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mart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but the second smart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smart watch. For example, if it is a smart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a first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can monitor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may be no restrictions.

또한, 프로세서(1120)는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20 may dynamically set a main monitoring target in consideration of an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특별한 입력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이나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수면상태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tching a video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it is not expected that a special input will occur, so the application usage time or the user's eyes or sleep state can be dynamically set as a main monitoring target.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이나 도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심전도나 혈압, 채팅 내용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a game or gambling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chat contents, etc. may be dynamically set as main monitoring targets.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과 관련된 악성 댓글을 조회하고 있는 경우, 심전도나 혈압, 채팅 내용 등을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동적 설정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quires a malicious comment related to himself/herself using the first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chat contents, etc. may be dynamically set as main monitoring targets.

이 때, 상황에 따라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평가 항목을 모니터링하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ing resources by monitoring unnecessary evaluation items that are not very helpful in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y dynamically setting a main monitoring targe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erforming monitoring.

이 때,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a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A부터 J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A부터 E까지 5개 항목이 주요 모니터링 대상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면, A부터 E까지의 항목에는 F부터 J까지의 항목보다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5 items from A to E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A to J are set as the main monitoring targets, the items from A to E have a higher weight than the items from F to J. can be given

즉, 주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목의 진단 점수를 나머지 항목들 보다 중요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별 사용 기록이나 사용 성향에 따른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by judging the diagnosis score of the main monitoring target item a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item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ng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each user's usage record or usage tendency.

이 때,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일부 평가 항목들이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제외된 평가 항목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항목을 추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one or more partial evaluation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from monitoring, monitoring may be performed by adding new evaluation items that can replace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중에 제2 스마트 기기를 착용하지 않아서 수면 상태에 해당하는 평가 항목이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 분석에 의한 피로도를 새로운 평가 항목으로 추가하오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leep state is exclud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because the user does not wear the second smart device while sleeping, add the user's fatigue by eye analysis as a new evaluation item to perform monitoring. have.

이 때, 제외된 평가 항목이나 제외된 평가 항목에 적용되어 있던 가중치를 고려하여 아직 남아 있는 나머지 평가 항목들 및 추가된 평가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eights for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and the added evaluation items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or weights applied to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일부 평가 항목이 제외되었으나 새로운 평가 항목이 추가되지 않은 경우, 남아있는 나머지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some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but no new evaluation items are added, weights of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may be increased.

다른 예를 들어, 일부 평가 항목이 제외되고, 새로운 평가 항목이 추가된 경우에는 제외된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새로운 평가 항목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some evaluation items are excluded and new evaluation items are added, the weight of the excluded evaluation items may be applied to the new evaluation items.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a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a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may be determined.

이 때, 모니터링 결과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eight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조건이 결정되어 모니터링이 수행된 경우, 모니터링 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제2 스마트 기기의 모니터링 대상에 해당하는 평가 항목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나머지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는 낮게 설정함으로써 가중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For example, when monitoring i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monitoring target and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the monitoring target of the second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monitored evaluation items A high weight can be given to evaluation items. In this case, the weight balance can be achieved by setting the weights of the remaining evaluation items to be relatively low.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는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may be monitored based on an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a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이 때, 에이전트(AGENT)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사전에 사용자의 동의를 구한 뒤에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gent (AGENT) is a program that is received from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fter obtaining the user's consent in advance.

이 때, 에이전트는 제1 스마트 기기와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해 획득된 모니터링 정보를 심리 피해 교정 교정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agent may serve to deliver the monitor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to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and correction device.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는 에이전트를 통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제1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mera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agent, and while the user uses the first smart device, the user or the user's surroundings may be photographed to obtain monitoring information.

이 때,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과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 및 심전도 센서,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혈중 산소 센서, 수면 중 호흡을 미세운동신호로 감지하여 수면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위치 측정이나 운동 중 거리 측정을 통해 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may correspond to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or example, a heart rate and electrocardiogram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heart rate and electrocardiogram, a blood oxygen sensor that can measur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breathing during sleep as a micro-motion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are sleeping , a GPS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an exercise state through position measurement or distance measurement during exercise may be included.

이 때, 제1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제2 스마트 기기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first smart device,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 by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 is monitored, and in the second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At least one of a state, an exercise state, and a blood oxygen saturation may be monitored.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해당하고, 제2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된 스마트 워치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의 [표 1]과 같은 요소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mart device corresponds to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is a smart watch linked with the user's smartphone, elements such as those in [Table 1] above can be monitored. .

이 때, [표 1]에서 예시한 모니터링 항목 이외에도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필요하고, 스마트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 항목이 추가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onitoring items exemplified in [Table 1], monitoring items that are necessary for diagnosing the user's cyberbullying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nd monitoring through a smart device may be added.

또한, 프로세서(112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20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이 때, 모니터링 결과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iagnosed by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survey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스마트 기기로 상기의 [표 2]나 [표 3]과 같은 사용자 설문을 요청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survey result may be obtained by requesting a user survey as shown in [Table 2] or [Table 3] above with the user's first smart device.

이 때, [표 2]에서 제시한 설문은 한국형 인터넷 과의존 척도(K척도) 청소년용(만10세~19세) 설문 문항에 상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설문 문항을 제공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presented in [Table 2] cor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10 to 19 years old) on the Korean Internet Dependence Scale (K scale), and the appropriate questionnaire for the user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f the user. to obtain user survey results.

이 때, [표 3]에서 제시한 설문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사이버 폭력 실태 조사의 설문 내용을 참조하였으며, 설문의 유형과 내용은 피해자의 피해 정도와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presented in [Table 3] refers to the survey contents of the Cyber Violence Status Survey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can be set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victim's degree of damage, gender, age, etc. .

이 때,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제1 진단 점수에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nd a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is applie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In addition, cyberbullying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iagnosed.

이 때,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제1 진단 점수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Result(R) = αA+βB+γC+δD+εE+ζF+ηG+θH+λI+μJResult(R) = αA+βB+γC+δD+εE+ζF+ηG+θH+λI+μJ

예를 들어, [수학식 1]은 [표 1]에서 제시한 모니터링 항목마다 6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2점씩(0점, 2점, 4점, 6점, 8점, 1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총점은 100점 만점으로 정하고, 각 항목마다 중요도를 고려하여 할당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그리스 문자(α~μ)는 각 항목에 적용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잇다.For example, [Equation 1] is divided into 6 steps for each monitoring item presented in [Table 1], and 2 points (0 points, 2 points, 4 points, 6 points, 8 points, 10 points) for each step can be given The total score is set out of 100, and an assigned weight can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item. In this case, Greek letters (α to μ) may mean a weight applied to each item.

즉, [표 1]의 모니터링 항목 중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에 해당하는 항목의 점수가 6점이고, 해당 항목에 부여된 가중치가 0.2라고 가정한다면, [수학식 1]의 B값에 6을 대입하고, β값에 0.2를 대입할 수 있다. That is, assuming that the score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usage time by application among the monitoring items in [Table 1] is 6, and the weight assigned to the item is 0.2, 6 is substituted for the B value in [Equation 1], 0.2 can be substituted for the β valu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 Result(R)에 상응하는 값이 연동된 스마트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제1 진단 점수에 상응할 수 있다.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sult(R) calculated in the above manner may correspond to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interlocked smart device.

이 때, 신뢰도는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편차가 클수록 스마트 기기 모니터링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와 사용자 설문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에 편차가 클수록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it may mea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smart devic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large. Accordingly, as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may be lowered.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고의로 사용자 설문 결과에 의한 진단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도록 사용자 설문을 작성한 것으로 판단하고,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높게 부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intentionally prepared the user questionnaire so that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positive, and the user can be classified as a high-risk user by adding a high weight based on the reliability.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에 기준 이상의 편차가 발생한다면, 해당 사용자에 심리적 상태에 대한 별도의 정밀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진단 결과와 함께 코멘트 또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f there is a deviation greater than a standard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a comment or feedback may be provided along with the diagnosis resul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 separat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state.

이 때, 제1 진단 점수와 제2 진단 점수 간의 편차가 낮아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경우라도, 진단 점수 자체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is high because the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is score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is low, when the diagnosis score itself is high,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classified as a high-risk user.

이 때, 진단 점수가 높게 산출될수록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igher the diagnostic score is calculated, the more it can be classified as a high-risk group.

예를 들어, 상기의 [표 4]와 같이 진단 점수의 구간별로 위험군을 분류하여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4] above, the degree of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an be determined by classifying risk groups for each section of the diagnostic score.

또한, 프로세서(1120)는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교정 피드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20 generates a calibra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alibrated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es the calibra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예를 들어, 악성 게시글에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을 음악, 미술, 윤리 교양과 같은 동영상 시청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심리 상태를 완화할 수 있도록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who reacts too sensitively to malicious posts can set the item to be corrected to watch videos such as music, art, and ethics, and provide corrective feedback to the user to alleviate their psychological state. .

다른 예를 들어, 해킹으로 인해 피해를 받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해킹 예방 교육에 관련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damaged by hacking, correction feedback related to hacking prevention training may be provided.

또 다른 예를 들어, 인터넷을 너무 오래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을 인터넷 사용시간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에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uses the Internet for too long, a correction target item may be set as Internet use time, and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uses the Interne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또 다른 예를 들어, 게임을 너무 많이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정 대상 항목으로 게임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일정시간 이상 플레이하는 경우에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plays the game too much, the game time may be set as the item to be corrected, and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plays the gam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이 때, 교정 피드백은 단순히 알람을 통해 이루지거나 또는 강제로 교정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libra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a way that is made simply through an alarm or forcibly operates a calibration program.

이 때, 교정 피드백은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ensory occupation state by the item to be corrected.

이 때,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집중하고 있는 감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한다는 의미에 상응할 수 있다.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user's sensory occupation state may correspond to the meaning of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in a manner recognizable through the sense that the user is focusing 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청각에 집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소리를 이용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각에 집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메시지 팝업을 이용한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focusing on hearing, correction feedback using sound may be provided, and if the user is using an application focusing on vision, correction feedback may be provided using a message pop-up. .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악성 게시글을 조회하는 사용자에게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초기 교정 피드백은 제2 스마트 기기(810)에 해당하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진동 피드백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초기 교정 피드백을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정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게 계속 악성 게시글을 조회 중이면 제1 스마트 기기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화면에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교정 피드백(82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정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조회를 방해할 만큼 시각적으로 크고, 긴 시간 동안 제공되는 다음 단계의 교정 피드백(83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더욱 긴장하거나 위축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correction feedback is provided to a user who inquires a malicious post, the initial correction feedback may correspond to vibration feedback using a smart watc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mart device 810 . . If the correction is not performed despite the initial correction feedback, that is, the user is continuously inquiring about malicious posts, the correction feedback 820 may be provided to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mart device. . Nevertheless, if not corrected, it may provide the next level of correction feedback 830 that is visually large enough to hinder the user's inquiry and is provi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case, corrective feedback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user from acting more tense or withdrawn.

메모리(1130)는 모니터링 결과 및 진단 결과를 저장한다.The memory 1130 stores monitoring results and diagnostic results.

또한, 메모리(1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리 피해 교정 장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11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는 심리 피해 교정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교정을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to support a function for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correction. In this case, the memory may operate as a separate mass storage and may include a control func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한편, 심리 피해 교정 장치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 memory to store information in the device.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may be a volatile memory unit, and 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memory may be a non-volatile memory unit.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various different implementations, the storag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some other mass storage device.

이와 같은 심리 피해 교정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서로 연동된 스마트 기기에 의한 인터넷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서로 연동된 스마트 기기에 의한 인터넷 사용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와 인터넷 중독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심리적인 피해를 교정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iagnose a user's psychological state due to cyber violence and whether Internet addiction is ,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user's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the diagnosed result.

또한, 사용자 설문 및 상담에 의해 판단되는 종래의 사이버 폭력 피해 진단 및 인터넷 중독 진단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점수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diagnosis result with a more reliable and quantitative scor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yber violence damage diagnosis and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determined by user questionnaire and consultation.

또한, 사용자가 스스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생체 데이터를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상태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provided by using biometric data, which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by themselves, to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cyberbullying and whether or not Internet addiction is present.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200)은 버스(12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10), 메모리(1230), 사용자 입력 장치(1240), 사용자 출력 장치(1250) 및 스토리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200)은 네트워크(12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230)나 스토리지(12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30) 및 스토리지(12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231)이나 RAM(1232)을 포함할 수 있다.12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such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12 , computer system 12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210 , memory 1230 , user input device 1240 , user output device 1250 , and storage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bus 1220 . (1260). Additionally, computer system 12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1270 coupled to network 1280 . The processor 12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30 or the storage 1260 . The memory 1230 and the storage 1260 may b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may include a ROM 1231 or a RAM 1232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or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in which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are recorded. When th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th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an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cyber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based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using smart device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vice therefor, a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사용자
110, 200, 400, 1020: 제1 스마트 기기
120, 202, 500, 810, 1030: 제2 스마트 기기
210, 1010: 심리 피해 교정 장치
820, 830: 교정 피드백
220, 1280: 네트워크 1110: 통신부
1120, 1210: 프로세서 1130, 1230: 메모리
1200: 컴퓨터 시스템 1220: 버스
1231: 롬 1232: 램
1240: 사용자 입력 장치 1250: 사용자 출력 장치
1260: 스토리지 12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0: user
110, 200, 400, 1020: the first smart device
120, 202, 500, 810, 1030: second smart device
210, 1010: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820, 830: calibration feedback
220, 1280: network 1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120, 1210: Processor 1130, 1230: Memory
1200: computer system 1220: bus
1231: rom 1232: ram
1240: user input device 1250: user output device
1260: storage 1270: network interface

Claims (15)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상기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monitoring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monitoring the use of a second smart device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data;
generating 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generating calibration feedback for the item to be calibrated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ing the calibra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 피드백은
상기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ective feedback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ory occupation state of the user by the correction target i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ynamically setting a main monitoring target in consideration of an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pplying a weight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monitoring the use of the second smart device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the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eight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diagnosis result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the diagnosis result by synthesiz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 진단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설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진단 점수에 상기 신뢰도에 기반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generating the diagnosis result is
The first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diagnosi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re compar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questionnaire result, and the first diagnosis score is based on the reliability.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the diagnosis result by adding a weigh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는
상기 제1 진단 점수와 상기 제2 진단 점수 간의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liability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diagnostic score and the second diagnostic sc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에이전트(AGENT),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측정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second smart device are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itoring based on the agent install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GENT), the camera provid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smar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종류, 어플리케이션 별 사용시간,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횟수, 채팅 내용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고,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서는 심전도, 혈압,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혈중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mart device, at least one element of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the usage time for each application, the number of input by input means, the chatting content, and the user's pupil is monitored, and in the second smart device, a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sleep A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state, an exercise st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is monito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 피드백은
사이버 폭력에 의한 심리 피해 및 인터넷 중독에 의한 중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ective feedback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method comprising content capable of alleviating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cyber violence and addiction symptoms caused by Internet addiction.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 가능한 제2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교정 대상 항목에 대한 교정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상기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 및 상기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장치.
Monitors the use of the first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monitors the use of a second smart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mart device and can measure the user's biometric data, and the user's cyberbullying damag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a processor that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for Internet addiction, generates a correction feedback for a correction target item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es the correction feedback through the first smart device or the second smart device ;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agnosis result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교정 피드백은
상기 교정 대상 항목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감각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rrective feedback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sensory occupation state of the user by the correction target ite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이버 폭력 피해 및 인터넷 중독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하여 주요 모니터링 대상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평가 항목들 중 상기 주요 모니터링 대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의 모니터링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is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for diagnosing the cyber violence damage and Internet addiction, a main monitoring target is dynamic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in the first smart device, and the main monitoring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 및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피해 교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or is
Psychological damag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monitoring target by the second smart device and the monitoring condition by the second sma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mart device.
KR1020200185803A 2020-12-29 2020-12-29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40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03A KR102540302B1 (en) 2020-12-29 2020-12-29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03A KR102540302B1 (en) 2020-12-29 2020-12-29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519A true KR20220094519A (en) 2022-07-06
KR102540302B1 KR102540302B1 (en) 2023-06-07

Family

ID=8240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03A KR102540302B1 (en) 2020-12-29 2020-12-29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0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966A (en) * 2009-06-24 2010-12-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iagnosis apparatus, rule-based inference apparatus of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system for internet addiction using expert system
KR20140059009A (en) * 2012-11-07 2014-05-15 김성 Sexual addict treating system using internet
KR20170115200A (en) * 2016-04-06 2017-10-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thod of preventing over-absorption of user and contents providing device for the same
KR20180023931A (en) 2018-02-26 2018-03-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easuring level of internet addiction for user
KR20190044424A (en) * 2017-10-20 2019-04-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n addiction diagno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touch times for user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966A (en) * 2009-06-24 2010-12-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iagnosis apparatus, rule-based inference apparatus of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system for internet addiction using expert system
KR20140059009A (en) * 2012-11-07 2014-05-15 김성 Sexual addict treating system using internet
KR20170115200A (en) * 2016-04-06 2017-10-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thod of preventing over-absorption of user and contents providing device for the same
KR20190044424A (en) * 2017-10-20 2019-04-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n addiction diagno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touch times for user device
KR20180023931A (en) 2018-02-26 2018-03-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easuring level of internet addiction for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302B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571B2 (en) Security and content protection by test environment analysis
US11494502B2 (en) Privacy awareness for personal assistant communications
JP2022518039A (en) Cyberbully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135873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11521719B1 (en) Valence profiling of virtual interactive objects
US201902618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well-being of an individual
US11303631B1 (en) Authentication as a service
US20100167801A1 (en) Kids personal health records fed into video games
US20180075763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recommendations to alleviate loneliness
WO2014062918A1 (en) Method relating to presence granularity with augmented reality
Zhang et al. “Did you know this camera tracks your mood?”: Understanding Privacy Expectations and Preferences in the Age of Video Analytics
CN113424183A (en)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device and process
US201801609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6023231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iological information
US202103986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Relapse Prevention In Alcohol, Chemical, And Other Dependencies
KR102540302B1 (en)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66438B1 (en)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supporting management of members in a group
US11574357B1 (en) Onboarding platform for performing dynamic mitigation analysis
US20230290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 of care based on real-time prediction of addiction triggers
Prasad et al. Understanding user privacy preferences for mhealth data sharing
KR102540301B1 (en) Method for diagnosing internet addiction by linking smart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Sarsenbayeva et al. Vision-based happiness inference: a feasibility case-study
US9992151B2 (en) Anonymous solicitation of a response to a user-associated question
US11481732B1 (en) Onboarding platform for performing dynamic mitigation analysis
JP6829176B2 (en) Judgment device, judg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