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160A -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160A
KR20220093160A KR1020227018212A KR20227018212A KR20220093160A KR 20220093160 A KR20220093160 A KR 20220093160A KR 1020227018212 A KR1020227018212 A KR 1020227018212A KR 20227018212 A KR20227018212 A KR 20227018212A KR 20220093160 A KR20220093160 A KR 2022009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hole
polarizer
long side
sh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레이코 시나가와
츠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1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10㎛∼20㎛이다.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60㎛보다 크다. 관통공의 직경은 3mm∼5mm이며,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re is provide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end, in which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has a polarizer, the protective layer arrange|positioned at at least one side of a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10 µm to 20 µm. The polarizing plate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in which 100 cycles of holding at -40 ° C. for 30 minutes and then maintaining at 85 ° C. for 30 minutes in a state bonded to a glass plate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amount of deviation is larger than 160 μm.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3 mm to 5 mm,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Description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an image display device.

휴대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화상 표시를 실현하고, 및/또는 상기 화상 표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편광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터치 패널식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카메라가 탑재된 화상 표시 장치가 널리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도 또한 널리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에 있어서는 관통공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각종 검토 사항이 있다.A polarizing plate is widely used in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in order to implement|achieve image display and/or to raise the performance of the said image display. DESCRIPTION OF RELATED ART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spread of smart phone and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the camera was mounted is coming to use widely. Corresponding to th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unit is also widely used. In a polarizing plate having such a through-hole, there exist various considerations in a through-hole or its vicinity.

국제공개 제2017/047510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7/047510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end portion, and in which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20㎛이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60㎛보다 크다.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3mm∼5mm이며, 상기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has a polarizer, the protective layer arrange|positioned at at least one side of the said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10 μm to 20 μm. The polarizing plate is in the state of being bonded to the glass plate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intained at -40 ° C. for 30 minutes, and then maintained at 85 ° C. for 30 minutes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repeating 100 cycles In the through hole portion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is greater than 160 μm.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3 mm to 5 mm,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hav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2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모두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ll of the through holes are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is formed within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bsorption axis of the said polarizer extend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long sid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편광판은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another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In the polarizing plat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편광판은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another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In the polarizing plat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long sid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의 세트가 제공된다. 이 편광판의 세트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t of polarizing plates is provided. This set of polarizing plates consists of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s of each polarizing plat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편광판의 세트는 상기 다른 편광판과 상기 또 다른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이고, 또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Another polarizing plate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other polarizing plate and the another polarizing plate, and the through hole of each polarizing plate is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They are also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his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display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다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Another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cell and a set of the polarizing plate. One polarizing plate in the set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and the other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의 직경과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히트 쇼크 시험 후의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어긋남량(실질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어긋남량)을 조합하여 최적화함으로써,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hrough-hole is formed near the end por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hole, and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the heat shock test (substanti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combining and optimizing the shift amount of the layer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판의 II-II선에 의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설명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plan view explaining the polarizing plate by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hole in the polarizing plate b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1C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 .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essential parts for explaining the shift in the through-hole portion in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길이, 폭, 두께 등의 비율, 및 각도 등은 실제와는 상이하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specific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it easy to see, the figure is shown typically, and the ratio of length, width|variety, thickness, etc. in a figure, an angle, etc. differ from reality.

A. 편광판A. Polarizer

A-1. 편광판의 전체 구성A-1. Overall composition of the polarizer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a의 편광판의 II-II선에 의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판(100)은 편광자(11)와, 편광자(11)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이하, 외측 보호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12)과, 편광자(11)의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이하, 내측 보호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13)과, 점착제층(20)을 갖는다. 목적 및 소망의 구성 등에 따라 외측 보호층(12) 또는 내측 보호층(13) 중 어느 일방은 생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11)의 두께는 10㎛∼20㎛이며,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1A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A. The polarizing plate 100 of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a polarizer 11 , a protective lay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n outer protective layer) 1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1 ,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11 . It has the protective layer (Hereinafter, it may call an inner protective layer) 13 arrange|positioned on the side, and the adhesive layer 20. Either one of the outer protective layer 12 or the inner protective layer 13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desired configuration.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1 is 10 micrometers - 20 micrometers, Preferably they are 10 micrometers - 15 micrometers.

편광판(100)은 대표적으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이라고 할 때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정점이 모따기된 R 형상과 같은 이형 가공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도 포함한다.The polarizing plate 100 typically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A .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A, each vertex includes a shape including a molded part, such as a chamfered R shap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100)에는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가 카메라를 내장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30)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예와 같이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을 편광판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편광판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화상 표시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관통공(30)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목적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소망의 구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예로서는 도시예와 같은 대략 원형을 들 수 있다. 관통공은, 예를 들면 레이저 가공, 엔드밀에 의한 절삭 가공, 톰슨날이나 피나클(등록상표) 날에 의한 펀칭 가공 등 각종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30 is formed in the polarizing plate 100 . By forming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dverse effects on the camera performance, 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incorporates a camera. The through hole 30 is typically formed at or near the end of the polarizing plate,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orner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By forming the through hole at or near the end of the polarizing plat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e influence on image display can be minimized. As for the planar shape of the through hole 30, any suitable shape may be employ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desir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illustrated example is exemplifie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laser processing, cutting by an end mill, and punching by a Thompson blade or a Pinnacle (registered trademark) blade, for exampl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의 직경은 대표적으로는 3mm∼5mm이다. 이 경우, 편광자(11)의 흡수축은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즉, 관통공의 직경이 이러한 범위이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관계 없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30)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자인상의 요청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카메라부가 최대한 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적용가능하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공업상 및 상업상의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변으로부터 관통공까지의 거리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과 직교하는 방향(즉, 단변이 신장하는 방향)에 있어서 장변과 관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장변(즉, 편광판의 외주)으로부터 관통공의 편광판 외주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마찬가지로, 단변으로부터 관통공까지의 거리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과 직교하는 방향(즉, 장변이 신장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변과 관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단변(즉, 편광판의 외주)으로부터 관통공의 편광판 외주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In one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typically 3 mm to 5 mm. In this cas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1 may extend in the long side direction or may extend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at is, if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within this range,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30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nd portion,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As a result, according to a design request,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even when a camera part is formed at the maximum end, it can apply and can implement|achieve the polarizing plate excellent in durability. Accordingly,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y high industrial and commercial valu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tance from the long side to the through hole means, as shown in FIG. 1B, the long side ( That is, it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larizing plate) to the end of the through hole on the polarizing plate outer periphery side. Similarly, the distance from the short side to the through hole is, as shown in Fig. 1B, the short side (ie, the polarizing plate's It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end of the through ho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larizing plate.

관통공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의 개수는 3개이어도 좋고, 4개 이상이어도 좋다. 관통공이 예를 들면 도 1c와 같이 2개 형성되는 경우, 2개의 관통공은 모두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이 예를 들면 도 1c와 같이 2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1개의 가늘고 긴 타원형의 관통공으로 치환되어도 좋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1C. Although two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ree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the number of the through-holes. When two through-holes are formed, for example, as in FIG. 1C, both of the two through-holes are preferably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In addition, when two through-holes are 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C, these may be substituted by one elongate elliptical through-hole.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의 직경은 대표적으로는 3mm 미만이다. 관통공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mm∼2.5mm이다. 이 경우, 일례로서는 편광자(11)의 흡수축은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는 편광자(11)의 흡수축은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이 복수(예를 들면, 2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예에 있어서도 그들의 관통공은 전부 상기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typically less than 3 mm.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0.5 mm to 2.5 mm.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1 extend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preferably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As another exampl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11 extends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position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In a case where a plurality (for example, two)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l of those through holes are formed at the above positions in any of the examples.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100)은 점착제층(20)을 개재하여 편광판(100)을 유리판(화상 표시 셀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음)(120)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D)이 160㎛보다 크다. 어긋남량(D)은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이상이다. 어긋남량(D)의 상한은, 예를 들면 300㎛일 수 있다. 어긋남량(D)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관통공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편광판의 최대 부분을 말한다. 관통공 부분의 기준은 대표적으로는 점착제층의 하단부일 수 있다. 즉, 편광판이 주로 편광자(11)의 수축에 기인하여 (도시예에서는 우측으로) 어긋날 때에 점착제층(20)이 점착한 유리판(120)에 머무름으로써, 관통공 부분에 어긋남이 인식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 관통공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어긋남과 아울러(도 3 우측), 그 대향하는 부분은 관통공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어긋난다(도 3 좌측). 이렇게,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어긋남은 실질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어긋남이다. 어긋남량(D)은 본질적으로는 작은 쪽이 바람직한 것이 이해된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어긋남에 기인하는 광누설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어긋남량(D)을 소정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히트 쇼크 시험 후의 관통공 주변의 잔류 응력을 해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어긋남량(D)을 소정값 이상(바람직하게는 소정 범위)으로 함으로써, 광누설을 허용가능한 범위로 유지하면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polarizing plate 100 is a glass plate (which can correspond to a substrate of an image display cell) 120 with an adhesive lay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amount of deviation (D)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through hole portion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repeating 100 cycles of holding at -40°C for 30 minutes and then holding at 85°C for 30 minutes for 30 minutes is greater than 160 μm . The shift amount (D) is preferably 180 µm or more, more preferably 200 µ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20 µ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shift amount D may be, for example, 300 μm. The shift amount D refers to the maximum part of the polarizing plate that moves away from the through-hole par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reference of the through hole portion may be typically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shifted (to the right in the illustrated example) mainly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11, the adhesive layer 20 stays on the glass plate 120 to which it is adhered, so that the shift is recognized in the through hole portion. Moreover, as shown in FIG. 3, a polarizing plate shifts|deviates to the side away from a through-hole in a through-hole part typically (FIG. 3 right side), and the opposing part shifts|deviates so that it may protrude into a through-hole (FIG. 3 left). Thus, the shift|offset|difference of the polarizing plate in a through-hole part is a shift|offset|difference of an adhesive layer substanti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shift amount D is essentially preferably smaller. This is because light leakage due to shift in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by making the shift amount 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sidual stress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after the heat shock test can be released, and as a result, cracks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deviation amount 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preferab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while maintaining light leakage within an allowable range. .

관통공의 직경(R)에 대한 어긋남량(D)의 비율(D/R)은 바람직하게는 40%∼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D/R이 이러한 범위이면 광누설을 허용가능한 범위로 유지하면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The ratio (D/R) of the deviation amount D to the diameter R of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40% to 100%, more preferably 60% to 100%. If the D/R is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uppress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while keeping the light leakage in an acceptable rang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중심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에 대한 관통공 부분의 잔류 응력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77% 이하이다. 상기 비는 관통공의 직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관통공의 직경이 3mm∼5mm(예를 들면, 4mm)인 경우에는 상기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8%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예를 들면, 2mm)인 경우에는 상기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6%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4%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2% 이하이다. 상기 비의 하한은 관통공의 직경에 관계 없이 예를 들면 50%일 수 있다. 잔류 응력의 비가 이러한 범위이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잔류 응력의 비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상기 어긋남량(D)을 조합하여 조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관통공 부분의 잔류 응력」이란, 관통공 외주부에서 잔류 응력이 최대가 되는 부분의 잔류 응력을 말한다.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ratio (%) of the residual stress of a through-hole part with respect to the residual stress in the center of a polarizing plate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77 % or less. The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3 mm to 5 mm (eg, 4 mm), the ratio is more preferably 70%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68%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5% or less. Whe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eg, 2 mm), the ratio is more preferably 76%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74%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2%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may be, for example, 50%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f the residual stress ratio is within this range, cracks around the through hole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This ratio of residual stress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combination of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above-mentioned shift amount 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residual stress of a through-hole part" means the residual stress of the part in which a residual stress becomes the largest in the outer periphery of a through-hol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위상차층, 터치 패널용 도전층, 반사형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편광판에 장착되는 광학 기능층의 종류, 수, 조합, 배치 위치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b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may further have arbitrary appropriate optical function layers according to the objective. As an optical function layer, a retardation layer, the conductive layer for touch panels, and a reflection type polarizer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type, number, combination,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optical functional layers mounted o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애스펙트비가 바람직하게는 1.3∼2.5이다. 이 경우, 편광판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세로 145mm∼155mm 및 가로 65mm∼75mm, 또는 세로 230mm∼240mm 및 가로 140mm∼150mm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형 PC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이즈로서는, 예를 들면 세로는 120mm∼200mm이어도 좋고, 폭은 30mm∼120mm이어도 좋다.Preferably the aspect-ratio of the polarizing plate b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1.3-2.5. In this case, the size of a polarizing plate is 145 mm - 155 mm in length and 65 mm - 75 mm in width, or 230 mm - 240 mm in length and 140 mm - 150 mm in width, for example.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y used in a smartphone or tablet-type PC. As a smartphone size, 120 mm - 200 mm may be sufficient as length, and 30 mm - 120 mm may be sufficient as a width|variety, for example.

이하,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 보호층 및 점착제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lariz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2. 편광자A-2. polarizer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편광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 칭함) 필름이다.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The polarizer is typically composed of a resin film containing a dichroic material. As the resin film, any suitable resin film that can be used as a polarizer can be employed. The resin film is typically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based resin”) film. A single-layered resin film may be sufficient as a resin film, and the laminated body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sufficient as it.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대표적으로는 1축 연신)가 실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해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해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나서 염색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PVA계 수지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염색 전에 PVA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수지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켜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rised from a single-layered resin film, the thing by which the dyeing process by iodine and the extending|stretching process (typically uniaxial stretching) were given to the PVA system resin film is mentioned. Dyeing with the said iodine is performed by immersing a PVA-type resin film in aqueous iodine, for example. Preferably the draw ratio of the said uniaxial stretching is 3-7 times. Extending|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 dye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dyeing|staining. Moreover, after extending|stretching, you may dye|dye. A swell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 washing process, a drying process, etc. are given to a PVA-type resin film as need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VA-based resin film in water before dyeing and washing with water, not only can the surface of the PVA-based resin film be cleaned of stains and anti-blocking agents, but also the PVA-based resin film can be swollen to prevent staining of dyeing. .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를 들면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수지 기재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는 것; 상기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를 들면,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해도 좋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12-73580호 공보, 일본특허 제64704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arizer obtained using a laminate,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PVA-based resin film) laminated on the resin substrate, or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on the resin substrate A polarizer obtained by using is mentioned. A polarizer obtained by us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coated on the resin substrate is applied, for example, by applying a PVA-based resin solution to the resin substrate, drying it to form a PVA-based resin layer on the resin substrate, obtaining a laminate of a resin substrate and a PVA-based resin layer; It can be produced by stretching and dyeing the laminate to use the PVA-based resin layer as a polarizer. In this embodiment, extending|stretching includes extending|stretching by immersing a laminated body in boric-acid aqueous solution typically. In addition, the stretching may further include aerial stretching of the laminate at a high temperature (eg, 95° C. or higher) before stretching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f necessary. The obtained resin substrate/polarizer laminate may be used as it is (that is, the resin substrate may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for the polarizer), and the resin substrate is peeled from the resin substrate/polarizer laminate, It may be used by laminating an appropriate protective layer of The detail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olarizer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2-73580, and Japanese Patent No. 6470455, for example. The description of these patent document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편광자의 두께는 상기 A-1항에 기재한 바와 같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as described in A-1 above.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 중 어느 하나의 파장에서 흡수 2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를 들면 41.5%∼46.0%이며, 바람직하게는 43.0%∼4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The polarizer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at any one of wavelengths of 380 nm to 780 nm.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is, for example, 41.5% to 46.0%, preferably 43.0% to 46.0%, more preferably 44.5% to 46.0%.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97.0% or more, more preferably 99.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9.9% or more.

A-3. 보호층A-3. protective layer

보호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타)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타)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1-343529호 공보(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f any suitable film tha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of a polarizer.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lm include cellulose resin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 polyvinyl alcohol, polycarbonate, polyamide, polyimide, polyethersulfone, poly and transparent resins such as sulfone-based, polystyrene-based, polynorbornene-based, polyolefin-based, (meth)acrylic-based and acetate-based resins. Moreover,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meth)acrylic type, a urethane type, (meth)acryl urethane type, an epoxy type, silicone type, or ultraviolet 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glassy polymers, such as a siloxane type polymer, are also mentioned. Moreover, the polymer film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343529 (WO01/37007)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for this film,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mide group in a side chain and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and a nitrile group in the side chain can be used, for example, isobu and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ternating copolymer composed of ten and N-methylmaleimide and an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The polymer film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 molding of the resin composition.

외측 보호층(12)(특히 편광판이 시인측 편광판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또는, 외측 보호층(12)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 선글라스를 통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처리(대표적으로는 (타)원 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것, 초고위상차를 부여하는 것)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통해 표시 화면을 시인했을 경우이어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은 옥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outer protective layer 12 (in particular,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hard coat treatment, an antireflection treatment, an anti-stick treatment, and an antiglare treatment, if necessary. In addition/or, in the outer protective layer 12, if necessary, a process for improving visibility when visually viewed through polarized sunglasses (typically, imparting a (other) circular polarization function, imparting a super-high phase difference) It may be implemented. By performing such a process, excellent visibility can be implement|achieved even when it is a case where a display screen is visually recognized through polarization lenses, such as polarized sunglasses. Therefore, the polarizing plate can also be suitably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outdoors.

내측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이란, 면내 위상차 Re(550)이 0nm∼10nm이며,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550)이 -10nm∼+10nm인 것을 말한다. 여기서, 「Re(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를 들면, 「Re(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라고 했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Rth(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예를 들면, 「Rth(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라고 했을 때, 식: Rth(λ)=(nx-nz)×d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방향의 굴절률이다.The inner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optically isotropic. In this specification, "optically isotropic" means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is 0 nm to 10 nm, and the retardation Rth(55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nm to +10 nm. Here, "Re(λ)" is an in-plane retardation measured with light of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For example, "Re(550)" is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sured by the light of wavelength 550nm in 23 degreeC. Re(λ) is obtained by the formula: Re(λ)=(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film) is d(nm). In addition, "Rth(λ)" is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sured with the light of wavelength λnm in 23 degreeC. For example, "Rth(550)" is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sured by the light of wavelength 550nm in 23 degreeC. Rth(λ) is obtained by the formula: Rth(λ)=(nx-nz)×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film) is d(nm). In addition,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ie, slow axis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u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ie, fast axis direction),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be.

보호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50㎛이며,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층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시킨 두께이다.A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any suitable thickness may be employe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for example, 10 µm to 50 µm, preferably 20 µm to 40 µm.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the thickness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A-4. 점착제층A-4. adhesive layer

점착제층(20)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셀에 접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대표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중, 예를 들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1개∼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9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6개이다. 바람직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복소환 함유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모노머의 대표예로서는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란 커플링제 및/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및/또는 도전제를 함유해도 좋다. 모노머 단위의 종류, 수, 조합 및 공중합비, 실란 커플링제의 종류, 수, 조합 및 배합비, 및 가교제의 종류, 수, 조합 및 배합비 등을 조정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소망의 특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결과적으로 점착제층)이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6-18302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5-19994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8-05311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6-19099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8/008712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is typically used for bonding a polarizing plate to an image display cel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typically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ypically includes a (meth)acrylic polymer as a main component. The (meth)acrylic polymer may be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 proportion of, for example, 5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7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90% by weight or more among the solid cont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meth)acrylic polymer contains an alkyl (meth)acrylate as a main component as a monomer unit. In addition, (meth)acrylate refers to an acrylate and/or a methacrylate. The alkyl (meth)acrylate may be contained in a ratio of preferably 80 wt% or more, more preferably 90 wt% or more, among the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meth)acrylic polymer. Examples of the alkyl group of the alkyl (meth)acrylate include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18 carbon atoms. The averag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is preferably 3 to 9, more preferably 3 to 6, respectively. A preferred alkyl (meth)acrylate is butylacrylate. As the monomer (copolymerized monomer)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polymer, in addition to alkyl (meth)acrylate,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n 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ate, a heterocycle-containing vinylic A monomer etc. are mentione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copolymerization monomer include acrylic acid, 4-hydroxybutyl acrylate, phenoxyethyl acrylate, and N-vinyl-2-pyrrolidone.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preferabl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and/or a crosslinking agent. As a silane coupling agent, an epoxy group 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is mentioned, for example. As a crosslinking agent,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and a peroxide type crosslinking agent are mentioned, for example. Moreover,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ntioxidant and/or a electrically conductive agent. By adjusting the type, number, combination and copolymerization ratio of the monomer units, the type, number,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and the type, number,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desired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s a resul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obtained. 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deviation amount D can be realized. Detail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8302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9994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8-05311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90996,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8/008712,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5 µm to 50 µm, more preferably 10 µm to 30 µm. If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layer is such a range, the said desired shift|offset|difference amount D can be implement|achieved.

점착제층의 -4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은 바람직하게는 1.0×105(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6(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7(Pa)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다. 저장 탄성률(G')은, 예를 들면 1.0×109(Pa) 이하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4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Storage elastic modulus (G') at -40 degreeC of an adhesive lay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x10 5 (Pa)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x10 6 (Pa)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x10. 7 (Pa)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0×10 8 (Pa) or more. The storage modulus (G') may be, for example, 1.0×10 9 (Pa) or less. I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40 degreeC of an adhesive layer is such a range, the said desired shift|offset|difference amount D can be implement|achieved.

B. 편광판의 세트B. Set of Polarizers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판은 시인측 편광판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배면측 편광판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판 중 특정 2개의 실시형태의 편광판을 조합함으로써 편광판의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그러한 편광판의 세트도 포함한다.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편광판은 각각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란, 2개의 편광판을 포개었을 때에 관통공이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item A above may be used as a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or may be used as a back-side polarizing plate. A set of polarizing plates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polarizing plates of specific two embodiments among the polarizing plates described in item A abov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sets of such polarizing plates. In the set of polarizing plates, in the two polarizing plates constituting the set, respective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eans that two polarizing plates are superimposed, a through-hole overlaps.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세트는 관통공의 직경이 3mm∼5mm이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과; 관통공의 직경이 3mm∼5mm이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2개의 편광판의 관통공은 대표적으로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이며, 또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t of polarizing plates include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diameter of 3 mm to 5 mm and an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ing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3 mm to 5 mm,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consists of a polarizing plate extending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s of the two polarizing plates are typically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preferably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More preferably, it is a position within 3 mm from a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a short side, and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세트는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과;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2개의 편광판의 관통공은 대표적으로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이며, 또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t of polarizing plates include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diameter of less than 3 mm and an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ing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s formed of a polarizing plate extending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s of the two polarizing plates are typically located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Preferably, it is a position within 3 mm from a long side and less than 3 mm from a short side, and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C. 화상 표시 장치C.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 및 편광판의 세트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상기 A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셀에 접합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한다. 편광판의 세트는 상기 B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세트이다. 이 경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양자 도트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A polarizing plate and a set of polarizing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ly,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ains an image display cell and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is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A section.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image display cell via an adhesive layer. In another embodiment,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display cell and a set of polarizing plates. The set of polarizing plates is a set of polarizing plat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section B above. In this case, one polarizing plate in the set of polarizing plates is arrange|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and the other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nd a quantum dot display devic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The evaluation items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part" and "%" in Examples are based on weight.

(1) 어긋남량(1) Deviation amoun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마츠나미 글라스사제, 세로 350mm×가로 250mm×두께 1.1mm)에 부착하여 시험 샘플로 했다. 이 시험 샘플을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했다. 히트 쇼크 시험에 있어서의 승온 및 강온 속도는 10℃/분이었다. 시험 후, 관통공 부분의 편광판(실질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어긋남량을 OLYMPUS사제의 광학 현미경(MX61L)으로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3개의 시험 샘플에 대해 행하고, 3개의 측정값 중 최대값을 어긋남량으로 했다.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affixed on the glass plate (Matsunami Glass Corporation make, length 350mm x width 250mm x thickness 1.1mm)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it was set as the test sample. This test sample was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in which 100 cycles of holding at -40°C for 30 minutes and then at 85°C for 30 minutes were repeated. The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and temperature decrease in the heat shock test was 10°C/min. After the test, the amount of shift of the polarizing plate (substanti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through hole portion was measur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MX61L) manufactured by OLYMPUS. In addition,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about three test samples, and the maximum value among three measured values was made into the shift|offset|difference amount.

(2) 편광판의 중심의 잔류 응력에 대한 관통공 부분의 잔류 응력의 비(2) Ratio of the residual stress of the through hole portion to the residual stress of the center of the polarizing plate

응력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했다. 시뮬레이션은 하기의 상용 소프트웨어 및 방법을 이용했다.It was calculated by stress analysis simulation.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commercial software and methods.

소프트웨어: MSC Software Corporation제의 비선형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 MarcSoftware: Marc, a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software manufactured by MSC Software Corporation

방법: 유한 요소법(FEM; Finite Element Method)Method: Finite Element Method (FEM)

(3) 크랙(3) crack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상기 (1)의 「어긋남량」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했다. 시험 후의 관통공 부분의 크랙의 발생 상태를 OLYMPUS사제의 광학 현미경(MX61L)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used for the heat shock test in the procedure similar to the "deviation amount" of said (1). The state of occurrence of cracks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the test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MX61L) manufactured by OLYMPUS, and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eria.

AA: 크랙은 확인되지 않았음AA: No cracks identified

A: 길이 300㎛ 미만의 작은 크랙만이 확인되었음A: Only small cracks with a length of less than 300 μm were confirmed

B: 길이 300㎛∼1mm의 크랙이 확인되었지만, 광누설은 발생하지 않았음B: Cracks with a length of 300 µm to 1 mm were confirmed, but light leakage did not occur

C: 크랙이 현저하며, 광누설이 발생했음C: A crack was significant, and light leakage occurred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80.3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6부, N-비닐-2-피롤리돈 3부, 아크릴산 0.3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4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했다. 또한, 모노머 혼합물(고형분) 100부에 대해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와 함께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8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 15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상품명: TAKENATE D160N,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Mitsui Chemicals, Inc.제) 0.1부, 벤조일퍼옥사이드(상품명: NYPER BMT 40SV, NOF CORPORATION제) 0.3부, 티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상품명: X-41-1810, Shin-Etsu Chemical Co., Ltd.제, 알콕시기량: 30%, 티올 당량: 450g/mol) 0.1부, 산화 방지제(상품명: Irganox 1010, 힌더드 페놀계, BASF Japan Ltd.제) 0.2부, 및 도전제(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DKS Co. Ltd.제의 이온성 액체) 5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80.3 parts of butyl acrylate, 16 parts of phenoxyethyl acrylate, 3 parts of N-vinyl-2-pyrrolidone, 0.3 parts of acrylic acid and 4-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0.4 parts of hydroxybutyl acrylate was charged. In addition, 0.1 parts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to 100 parts of the monomer mixture (solid content) togeth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and nitrogen gas is introduced while gently stirring to replace nitrogen. , a 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liquid temperature in the flask at around 55°C to prepare a solution of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 million. 0.1 part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trade name: TAKENATE D160N, trimethylolpropane hexameth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benzoyl peroxide (trade name: NYPER BMT 40SV, manufactured by NOF Corporation) per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obtained acrylic polymer solution ) 0.3 parts, thiol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trade name: X-41-1810,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lkoxy group content: 30%, thiol equivalent: 450 g/mol) 0.1 part, antioxidant (trade name) : Irganox 1010, hindered phenol type, manufactured by BASF Japan Ltd.) 0.2 parts, and conductive agent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manufactured by DKS Co. Ltd.) of ionic liquid) 5 parts were mix|blended,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obtained.

<실시예 1><Example 1>

편광자로서, 장척 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를 함유시키고, 길이방향(MD방향)으로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필름(두께 12㎛)을 사용했다. 이 편광자의 양측에 외측 보호층이 되는 장척 형상의 HC-TAC 필름 및 내측 보호층이 되는 장척 형상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두께 20㎛)을 각각 서로의 길이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또한, HC-TAC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두께 25㎛)에 하드코트(HC)층(두께 7㎛)이 형성된 필름이며, TAC 필름이 편광자측이 되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내측 보호층의 표면에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두께 20㎛)을 형성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단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또한, 장변으로부터 2mm 및 단변으로부터 2mm의 위치에 직경 4mm의 관통공을 형성했다. 관통공은 엔드밀 가공에 의해 형성했다. 엔드밀의 이송 속도는 500mm/분, 회전수는 2500rpm, 절삭량은 0.1mm이었다. 이렇게 해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상기 (3)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0°」는 장변방향을, 「90°」는 단변방향을 의미한다.As a polarizer, the film (12 micrometers in thickness) obtained by making a long polyvinyl alcohol (PVA)-type resin film contain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direction) was used. On both sides of this polarizer, a long HC-TAC film serving as an outer protective layer and an elongated acrylic resin film (thickness 20 μm) serving as an inner protective layer were bonded together so that their longitudinal directions we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HC-TAC film is a film in which a hard coat (HC) layer (thickness 7 µm) was formed on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thickness 25 µm), and the TAC film was bonded to the polarizer side.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Production Example 1 on the surface of the inner protective layer, an adhesive layer (thickness of 20 µm) was formed to obtain a long polarizing plate. This polarizing plate was punched out in the shape in which the R part of R 7.0mm was formed in the size of 142.0 mm long and 66.8 mm wide at four corners. At this time, it punched so that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er might become a short side direction. Further,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4 mm was formed at a position of 2 mm from the long side and 2 mm from the short side. The through hole was formed by end milling. The feed speed of the end mill was 500 mm/min, the rotation speed was 2500 rpm, and the cutting amount was 0.1 mm. In this way,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through-hole was produced.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of said (3).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addition, in Table 1, "0 degree" means a long side direction, and "90 degree" means a short side direction.

<실시예 2><Example 2>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was set at a position of 6 mm from the long side and 4 mm from the short side.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1∼2 및 실시예 3∼4><Comparative Examples 1-2 and Examples 3-4>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Except having made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hole into the position shown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polarizing plate, respectively.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장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이하의 순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변으로부터 2mm 및 단변으로부터 2mm의 위치에 직경 4mm의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elongate polarizing plate. This polarizing plate was punched out to a size of 142.0 mm long and 66.8 mm wide. At this time, it punched so that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er might become a long side direction. The following procedure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through-hole of diameter 4mm at the position of 2 mm from a long side, and 2 mm from a short side.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실시예 6><Example 6>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was set at a position of 6 mm from the long side and 4 mm from the short side.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3∼4 및 실시예 7∼8><Comparative Examples 3 to 4 and Examples 7 to 8>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Except having made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 hole into the position shown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5, and produced the polarizing plate, respectively.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실시예 9><Example 9>

직경 2mm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CO2 레이저로 형성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2 mm was formed.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was formed with a CO 2 laser.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9 except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was set at a position of 6 mm from the long side and 4 mm from the short side.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6∼7 및 실시예 10∼11><Comparative Examples 6-7 and Examples 10-11>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Except having made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hole into the position shown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9, and produced the polarizing plate, respectively.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실시예 12><Example 12>

직경 2mm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2 mm was formed.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2 except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was set at a position of 6 mm from the long side and 4 mm from the short side.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9∼12><Comparative Examples 9 to 12>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Except having made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hole into the position shown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2, and produced the polarizing plate, respectively.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used for evaluation similar to Example 1. A result is shown in Table 1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광판은 히트 쇼크 시험 후의 관통공 부분의 크랙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다.As becomes apparent from Table 1, i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in the through-hole part after a heat shock test is suppressed remarkably.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또는 스마트 워치로 대표되는 카메라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in particular can be suitably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amera unit typified by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smart watch.

11 편광자 12 외측 보호층
13 내측 보호층 20 점착제층
30 관통공 100 편광판
11 Polarizer 12 Outer protective layer
13 Inner protective layer 20 Adhesive layer
30 through hole 100 polarizer

Claims (10)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20㎛이며,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60㎛보다 크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3mm∼5mm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A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and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h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10㎛ ~ 20㎛,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glass plate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intained at -40°C for 30 minutes, and then maintained at 85°C for 30 minutes, repeated 100 cycles In the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is greater than 160㎛,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3 mm to 5 mm,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2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이 모두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two through-holes are forme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hrough holes are all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7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편광판.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n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a short-side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편광판.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n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a long side direction.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20㎛이며,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60㎛보다 크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A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and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h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10㎛ ~ 20㎛,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glass plate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intained at -40°C for 30 minutes, and then maintained at 85°C for 30 minutes, repeated 100 cycles In the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is greater than 160㎛,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11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11 mm from the short side.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20㎛이며,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60㎛보다 크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A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and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h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10㎛ ~ 20㎛,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extends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the through-hole portion after being subjected to a heat shock test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glass plate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intained at -40°C for 30 minutes, and then maintained at 85°C for 30 minutes, repeated 100 cycles In the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of is greater than 160㎛,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3 mm,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제 3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제 4 항에 기재된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의 세트.
It consists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3 and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4,
A set of polarizing plates in which through holes of each polarizing plat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5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제 6 항에 기재된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이고, 또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의 세트.
It consists of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5 and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6,
A set of polarizing plates in which the through-holes of each polarizing plate are within 5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3 mm from the short side, or within 3 mm from the long side and within 5 mm from the short side, and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화상 표시 셀과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The image display device containing an image display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Claims 1-6. 화상 표시 셀과,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이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이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cell and the set of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7 or 8 are included,
The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one polarizing plate in the set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and the other polarizing plate is arrange|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KR1020227018212A 2019-12-11 2020-07-30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9316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3917 2019-12-11
JPJP-P-2019-223917 2019-12-11
PCT/JP2020/029282 WO2021117288A1 (en) 2019-12-11 2020-07-30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set,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160A true KR20220093160A (en) 2022-07-05

Family

ID=7632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212A KR20220093160A (en) 2019-12-11 2020-07-30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117288A1 (en)
KR (1) KR20220093160A (en)
CN (1) CN114829993A (en)
TW (1) TW202122182A (en)
WO (1) WO2021117288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510A1 (en) 2015-09-16 2017-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differently shaped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SG10201501196PA (en) * 2015-02-16 2016-09-29 Lighthaus Photonics Pte Ltd Compact spectrometer
JP6852967B2 (en) * 2015-09-16 2021-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optical members,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7097087A (en) * 2015-11-20 2017-06-0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7199030A (en) * 2017-07-28 2017-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unit
CN115220143A (en) * 2017-10-05 2022-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
JP6837460B2 (en) * 2017-10-05 2021-03-03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optical members
JP6622439B1 (en) * 2019-03-06 2019-12-18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ut laminated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510A1 (en) 2015-09-16 2017-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differently shaped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17288A1 (en) 2021-06-17
TW202122182A (en) 2021-06-16
CN114829993A (en) 2022-07-29
WO2021117288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980B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928976B2 (en)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formed by using the same
JP4355317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0194843A1 (en) Polarization plate
JP2007279091A (en) Transparent film
WO2021065075A1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said set
JP6995813B2 (en) Polarizer
WO202108487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et of optical members
KR102593816B1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laminate
KR20220140735A (en) A method of recover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a polarizing plate deteriorated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KR20190025604A (en)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2065224A1 (en) Polarizing plate, cover glass-equippe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93160A (en)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93159A (en) Polarizing plate, set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113123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et of optical members
JP2024069337A (en)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set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9186830A (en) Liquid crystal panel and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KR20200100645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24069339A (en)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set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3047748A1 (en)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evaluating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KR20230169171A (en) Polarizer with phase contrast layer
CN114280715A (en)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10051389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