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044A -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 Google Patents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044A
KR20220088044A KR1020200178679A KR20200178679A KR20220088044A KR 20220088044 A KR20220088044 A KR 20220088044A KR 1020200178679 A KR1020200178679 A KR 1020200178679A KR 20200178679 A KR20200178679 A KR 20200178679A KR 20220088044 A KR20220088044 A KR 2022008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kage
transmission
target
cance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안
양승식
송성찬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044A/en
Publication of KR2022008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01S7/354Extracting wanted echo-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1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01S13/341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wherei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tted frequency is adjusted to give a beat of predetermined constant frequency, e.g. by adjusting the amplitude or frequency of the frequency-modulating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4Du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and to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for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a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a receiving path.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receiver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 circul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an antenna, and transmitting a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a reception path;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configured to remove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introducing the transmission signal into the reception path, wherein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to synthesize the leakage signal A cancellation signal is generated for removing , and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ing path.

Description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본 발명은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and to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for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when a transmission signal is introduced into a receiving path.

레이더(radar) 시스템은 레이더의 운용 환경, 물리적 크기, 표적의 종류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운용하는 파형, 송신 출력 및 송수신 구조를 결정한다.A radar system determines an operating waveform, transmission output, and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radar operating environment, physical siz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a target, and the like.

레이더 분야에서는 거리 해상도를 높이기 위하여 운용 주파수의 대역 폭을 넓히고, 신호의 정확도와 운용 거리를 확장하기 위하여 송신 출력을 높이며, 표적의 종류를 다방면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안테나의 개수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크기, 무게와 같은 레이더 시스템에 주어진 설계 조건 및 레이더의 운용 환경에 의해 물리적, 전기적 설계의 제한이 존재한다.In the radar field, performance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increasing the bandwidth of the operating frequency to increase the distance resolution, increasing the transmission output to extend the signal accuracy and operating distanc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antennas to analyze the types of targets in various ways Research is underway to improve it.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physical and electrical design due to the design conditions given to the radar system such as size and weight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radar.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미사일과 같은 움직이는 플랫폼(platform)에 장착되며,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탐색기는 안테나와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의 방향을 정할 수 있는 순환기(circulator)를 추가하여 송신과 수신을 한 개의 안테나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In the case of a millimeter wave searcher, it is typically mounted on a moving platform such as a missile, and at the same tim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re required. For this reason, most searchers are designed so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with one antenna by adding a circulator that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a signal between the antenna and the transceiver.

한편, 송신 전력 효율이 높고 근거리에서 안정적으로 거리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 변조 연속파(FMCW;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단일 안테나 구조인 탐색기에서 운용할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radar, which has high transmission power efficiency and can measure distance and angle stably at a short distance,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multaneously, so that when operated in a single antenna structure, a searcher Problems can arise.

즉, 안테나와 송수신기 사이에 위치한 순환기의 격리도(isolation) 성능이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높은 송신 누설 전력이 순환기를 통해 수신기로 입력된다. 이는 수신기의 동적 영역(dynamic range)을 초과할 수 있으며, 수신기 내의 증폭기가 포화되어 정상적인 수신 신호를 증폭하지 못하거나, 나아가 수신기를 파괴하는 상황이 야기될 수도 있다. 또한, 누설 전력이 수신기의 동적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신호 처리기가 누설 신호를 근거리 표적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at is, since the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circulator locat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transceiver is not ideal, high transmission leakage power is inpu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irculator. This may exceed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and the amplifier in the receiver may be saturated and may not amplify a normal received signal, or even destroy the receiver. In addition, even when the leakage power is located within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gnal processor may mistake the leakage signal as a short-range target.

KRKR 10-172323310-1723233 B1B1

본 발명은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여 정확한 표적 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target signal by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a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a reception pat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한다.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receiver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 circul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an antenna, and transmitting a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a reception path;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configured to remove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introducing the transmission signal into the reception path, wherein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synthesizes the leakage signal A cancellation signal for canceling th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ption pa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신호 생성부와 송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순환부; 상기 순환부와 수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through a transmission path;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unit through a receiving path and configured to receive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configured to remove a leakage signal generated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flows into the reception path, wherein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synthesizes the leakage signal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reception path.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을 향하여 송출되고, 시간에 따라 주파수 값이 변하는 주파수 변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including a frequency-modulated signal that is transmitted toward a target and the frequency value changes with time; a receiver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 circul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an antenna, and transmitting a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a reception path;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configured to remove a leakage signal generated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flows into the reception path, wherein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synthesizes the leakage signal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reception path.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기준 주파수 값을 가지는 국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생기;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혼합기; 상기 전달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합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혼합기; 상기 제2 신호에서 표적 신호 성분이 제거된 제3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 상기 제3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4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 혼합기; 상기 제4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 및 상기 복조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상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4 혼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may include: a loca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frequency value; a first mixer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by synthesiz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 second mixer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by synthesizing the transfer signal and the first signal; a filter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from which a target signal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second signal; a third mixer for generating a fourth signal by synthesizing the third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 signal processor for generating a demodulated signal from the fourth signal; and a fourth mix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cancellation signal by synthesizing the demodulated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상기 표적 신호 성분은 상기 표적 신호와 상기 제1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signal component may include a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target signal and the first signal.

상기 필터는 설정된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ay include a bandpass filter having a set center frequency and bandwidth.

상기 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하기의 수학식 1의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may be set under the condition of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LO_Center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 fBeat_Target은 표적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한다.)(Here, f LO_Center is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f Beat_Leakage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and f Beat_Target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상기 필터의 대역폭은 하기의 수학식 2의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bandwidth of the filter may be set under the condition of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fBPF_Bandwidth는 필터의 대역폭,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한다.)(Here, f BPF_Bandwidth is the bandwidth of the filter, and f Beat_Leakage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상기 송신 경로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혼합기에 입력하기 위한 제1 커플러; 상기 수신 경로로부터 상기 전달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2 혼합기에 입력하기 위한 제2 커플러; 및 상기 상쇄 신호를 상기 송신 경로로 입력시키기 위한 제3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coupler for branching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path and inputting it to the first mixer; a second coupler for branching the forwarding signal from the receiving path and inputting it to the second mixer; and a third coupler for inputting the cancella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path.

상기 신호 처리기는, 오차를 학습하여 상기 제4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learn an error to generate a demodulated signal from the fourth signal.

상기 신호 처리기는, LMS(Least Mean Squar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minimize an error by using a Least Mean Squares (LMS) algorithm.

상기 신호 처리기는, 에러를 누적하여 학습 적응 계수를 최적화시키고, 학습 적응 계수의 최적화가 완료되었을 경우 예측 벡터를 갱신하여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optimize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by accumulating errors, and when the optimization of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is completed, update the prediction vector to minimize the err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의하면,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신 경로로 유입되는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to generate the cancellation signal.

또한, 표적을 탐지하는 중에 유입되는 누설 신호를 적응형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송신 신호와 표적 신호의 격리도를 높여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eak signal introduced during target detection can be removed through an adaptive algorithm,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adaptive leak signal cancellation devi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target signal.

도 1은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누설 신호가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학습적응 계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적응형 알고리즘을 운용함에 따른 학습적응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누설 신호와 상쇄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송신 파형의 초반 구간의 성능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표적 신호의 비트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쇄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ssion signal flows into a reception path and a leakage signal is generated;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rror occurring according to a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according to operating an adaptive algorithm.
6 is a diagram showing the frequency spectrum of a leakage signal and a cancellation signal.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formance comparison result of an initial section of a transmission waveform;
8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attenu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 bit frequency of a target sig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누설 신호가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ssion signal flows into a reception path and a leakage signal is generated.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0), 표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0) 및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50)로 전송하고, 안테나(50)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부(20)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typical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receives a signal generator 10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a receiver 20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and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ntenna 50, and a circulator 30 for transmitting the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50 to the receiver 20 .

신호 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송신 신호는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순환부(30)로 입력된다. 여기서, 순환부(30)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50)로 전달하고, 안테나(50)에 전달된 신호는 레이돔(60)을 거쳐 표적으로 송출된다. 또한,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안테나(50)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순환부(30)로 입력되고, 순환부(30)는 수신 신호를 수신부(2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신호의 송신과 수신은 단일의 안테나(50)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된다.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10 is amplified through an amplifier and input to the circulation unit 30 . Here, the circulation unit 30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antenna 50 ,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antenna 50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through the radome 60 . In addition, the received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nd received by the antenna 50 is input to the circulation unit 30 , and the circulation unit 30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ption unit 20 . In this way,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gnal for detecting a targe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a single antenna 50 .

이와 같은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송신 신호는 크게 3가지의 경로를 따라 누설된다. 송신 신호의 주요 누설 경로는 순환부(30)로부터 직접 누설되는 순환부 누설 경로(A), 안테나(50)로부터 반사되어 누설되는 안테나 누설 경로(B), 레이돔(60)으로부터 반사되어 누설되는 레이돔 반사 경로(C)로 구성된다. 3가지의 경로는 누설 경로의 길이가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감쇠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수신부(20)에는 서로 다른 3가지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가 수신된다. 또한,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가 빔 조향 각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누설 경로의 길이는 추가적으로 변화하여 수신부(20)가 수신하는 누설 신호는 실시간으로 변화하게 된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is largely leaked along three paths. The main leakage pa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the circulation unit leakage path (A) that leaks directly from the circulation unit (30), the antenna leakage path (B) that is reflected and leaked from the antenna 50, and the radome that is reflected and leaked from the radome (60) It consists of a reflection path (C). Since the three paths have different lengths of leakage paths as well as different attenuation sizes, the receiver 20 receives signals having three different sizes and frequencies. In addition, when the adaptive leak signal canceller changes the beam steering angle, the length of the leak path is additionally changed, so that the leak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20 changes in real time.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이와 같은 누설 신호를 상쇄하기 위하여 누설 신호 제거부를 마련할 수 있다. 누설 신호 제거부는 크게 고정형 누설 신호 제거부와 적응형 누설 신호 제거부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형 누설 신호 제거부는 송신 신호를 180° 위상 반전시켜 누설 신호와 상쇄시키는 원리로써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과 상쇄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적응형 누설 신호 제거부는 누설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그에 맞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구조와 구현 난이도가 높지만 상쇄 성능이 높은 장점이 있다.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may include a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to cancel such a leakage signal.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fixed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nd an adaptiv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The fixed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is a principle of canceling the leakage signal by inverting the phase of the transmission signal by 180°. The adaptive leak signal remover analyzes the leak signal in real time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offset signal. Accordingly, the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difficulty are high, but the offset performance is high.

이하에서는, 적응형 누설 신호 제거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1.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100),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200), 상기 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송신 경로(T)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500)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500)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R)를 통해 상기 수신부(200)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300)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T)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한다.2 and 3 ,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ing unit 100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nd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The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antenna 500, and receiving the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500 through the receiving path (R) and a circulat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to the receiving unit 200 via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to generate a cancellation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and inputs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여기서,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100), 상기 신호 생성부(100)와 송신 경로(T)를 통해 연결되는 순환부(300), 상기 순환부(300)와 수신 경로(R)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200)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R)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400)을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상기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R)로 입력할 수 있다.Here,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includes a signal generating unit 100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circulating unit 300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00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 and the It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unit 300 and the receiving path (R), and the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the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nd the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iving path (R)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400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wherein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400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to generate an offset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reception path R.

한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표적을 향하여 송출되고, 시간에 따라 주파수 값이 변하는 주파수 변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100),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200), 상기 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송신 경로(T)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500)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500)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R)를 통해 상기 수신부(200)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300)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R)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상기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R)로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is transmitted toward the target, the signal generator 100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including a frequency modulated signal whose frequency value changes with time, the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is input The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the signal generating unit 100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T, transmits it to the antenna 500, and receives the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500 through the reception path R ) through the circulat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to the receiving unit 200 and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iving path (R),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generates an offset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and applies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R ) can be entered.

송신부(100)는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표적은 탐지의 대상이 되는 물체를 의미하며 송신 신호는 RF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00)는 신호 생성기(110)와 제1 증폭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10)는 기설정된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로부터 표적에 송출할 주파수 및 타이밍을 갖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송신 신호는 국부 발진 신호(LO)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제1 증폭기(120)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송신 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여 순환부(300)로 전송한다.The transmitter 100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Here, the target means an object to be detected, and the transmission signal may include an RF signal. The signal generator 100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110 and a first amplifier 120 . The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a frequency and timing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from a local oscillation signal of a preset frequency.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l oscillation signal LO. The first amplifier 120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110 , amplifi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circulation unit 300 .

수신부(200)는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는다. 수신부(200)는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해서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신부(200)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는 안테나(500)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잡음 성분을 억제하여 증폭시키고, 대역 통과 필터는 증폭 과정에서 발생한 혼재 신호들을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The receiver 200 receives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The receiver 200 may frequency down-convert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0 to output a baseband signal. To this end, the receiver 200 may include a low noise amplifier, a band pass filter, and the like. The low-noise amplifier suppresses the noise component to amplify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500 , and the band-pass filter filters mixed signals generated during the amplification process to pass only a signal of a desired frequency band.

순환부(300)는 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송신 경로(T)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500)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500)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R)를 통해 상기 수신부(200)로 전송한다. 즉, 순환부(300)는 상기 안테나(500)를 송신부(100) 및 수신부(200)와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순환부(300)는 제1 포트로 신호를 입력받아 제2 포트로 출력하며, 제2 포트로 입력되는 신호는 제3 포트로 출력하는 3-포트 또는 4-포트의 비가역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부(300)의 제1 포트는 상기 송신부(100)와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안테나(500)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수신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송신부(100)로부터 제1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포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안테나(500)로 출력하고, 상기 안테나(500)로부터 제2 포트로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3 포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수신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300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T, transmits it to the antenna 500, and receives the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500 through the reception path R through the receiver 200 . That is, the circulation unit 300 electrically couples the antenna 500 to the transmitter 100 and the receiver 200 . The circulation unit 300 receives a signal to the first port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port, and the signal input to the second port may include a 3-port or 4-port irreversible passive element that outputs to the third port. have. That is, a first port of the circula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100 , a second port is connected to the antenna 500 , and a third port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200 , and the transmitter A transmission signal input from 100 to a first port is output to the antenna 500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 and a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500 to a second port is transmitted to the third port and It may output to the electrically coupled receiver 200 .

누설 신호 제거부(120)는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R)로 입력하여 상기 수신 신호와 합성함으로써 송신 누설 신호(TX leakage singnal)를 상쇄한다. 여기서, 전달 신호는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모든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 및 송신 신호가 수신 경로(R)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모두 포함한다. 이때, 누설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부(30)로부터 직접 누설되는 순환부 누설 경로(A), 안테나(50)로부터 반사되어 누설되는 안테나 누설 경로(B), 레이돔(60)으로부터 반사되어 누설되는 레이돔 반사 경로(C)로부터 각각 수신 경로(R)로 유입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120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to generate a cancellation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and inputs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R Thus, the TX leakage signal is canceled by synthesizing it with the received signal. Here, the transmission signal may include all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and include both the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nd the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R.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circulation unit leakage path (A) directly leaked from the circulation unit 30, the antenna leakage path (B) reflected from the antenna 50, and the radome 60 is reflected and leaked. It may include a signal flowing into each receiving path (R) from the radome reflection path (C).

즉, 상기 순환부(300)의 제1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는 제2 포트로만 전송되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제1 포트와 제3 포트간의 분리도가 불완전하므로 상기 송신부(100)로부터 제1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RF 신호 중 일부가 상기 수신부(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3 포트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포트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누설 신호에 해당한다.That is,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first port of the circulation unit 300 should be transmitted only to the second port, and since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port and the third port is incomplete,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00 to the first port. A portion of the input transmit RF signal may be output to a third port electrically coupled to the receiver 200 . In this case, the signal output to the third port corresponds to the leakage signal.

또한, 안테나(500)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일부가 임피던스 부정합 등에 의하여 안테나(500)를 통해 방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200)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신호가 상기 누설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5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누설 신호가 혼합된 수신 신호가 상기 순환부(300)의 제3 포트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순환부(300)의 제3 포트로 출력되는 수신 신호에 포함된 누설 신호는 상기 제1 포트로 입력되는 송신 신호와 비교하여 전력 레벨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나, 상기 안테나(5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으므로 상기 누설 신호로 인하여 수신 감도의 저하, 신호의 왜곡 등 무선 통신 장치의 성능이 악화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antenna 5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200 without being radiated through the antenna 500 due to impedance mismatch, etc., and this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leakage signal. That is, the received signal in which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500 and the leakage signal are mixed is output through the third port of the circulation unit 300 . The leakage signal included in the reception signal output to the third port of the circulation unit 300 has a significantly reduced power level compared to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first port, but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500 Since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is low,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iorated due to the leakage signal, such as a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and signal distortion.

이에 따라,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4000)는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R)로 입력한다. 이하에서, 누설 신호 제거부(400)가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leakage signal removal unit 4000 synthesiz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to generate an offset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and applies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R ) as input.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synthesizes a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R in a plurality of circuits to remove the leakage sig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기준 주파수 값(LO)을 가지는 국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생기(410), 송신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혼합기(421), 수신 경로(R)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합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혼합기(423), 상기 제2 신호에서 표적 신호 성분이 제거된 제3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440), 상기 제3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4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 혼합기(425), 상기 제4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460) 및 상기 복조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를 합성하여 상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4 혼합기(4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혼합기(421)와 제2 혼합기(423) 사이에는 제1 혼합기(421)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증폭하여 제2 혼합기(423)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증폭기(430)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is a local signal generator 410 for generating a lo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frequency value (LO), a first signal by synthesiz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 first mixer 421 for generating, a second mixer 423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by synthesizing the first signal with a propagation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receiving path R, and a targe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A filter 440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from which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a third mixer 425 for generating a fourth signal by synthesizing the third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nd generating a demodulated signal from the fourth signal and a fourth mixer 427 for generating a cancellation signal by synthesizing the demodulated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At this time, between the first mixer 421 and the second mixer 423, a second amplifier 430 for amplify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mixer 421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mixer 423 may be installed. have.

여기서, 표적 신호 성분은 상기 표적 신호와 제1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 경로(R)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혼합기(421)에 입력하기 위한 제1 커플러(451), 상기 수신 경로(R)로부터 상기 전달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2 혼합기(423)에 입력하기 위한 제2 커플러(453) 및 상기 상쇄 신호를 상기 송신 경로(R)로 입력시키기 위한 제3 커플러(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arget signal component may include a signal in which the target signal and the first signal are synthesized, and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branches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path R to generate an offset signal. A first coupler 451 for input to the first mixer 421, a second coupler 453 for branching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reception path R and input to the second mixer 423, and the cancellation A third coupler 455 for inputting a signal to the transmission path 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복조 신호를 계산 및 생성하며, 생성된 복조 신호와 송신 신호의 합성 신호가 누설 신호를 상쇄하게 된다. 상쇄가 되지 않은 나머지 오차는 다시 누설 신호 제거부(400)으로 수신되어 위 동작을 반복한다.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nd generates a demodulated signal by synthesizing a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along a reception path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synthesized signal of the generated demodulated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s the leakage signal. will do The remaining errors that are not canceled are received again by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and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누설 신호는 송신 신호와 매우 근접한 주파수에 위치하며, 도 3에 도시되는 국부 신호 발생기(410)는 누설 신호의 낮은 주파수를 DC 신호와 격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필터는 설정된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즉 신호 처리기(460) 입력 전에 위치한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국부 신호 발생기(410)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The leakage signal is located at a frequency very close to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local signal generator 410 shown in FIG. 3 serves to isolate the low frequency of the leakage signal from the DC signal. In this case, the filter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having a set center frequency and bandwidth. The center frequency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that is, the band pass filter positioned before the signal processor 460 input, is the local signal generator 410 . ) can be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하기의 수학식 1은 누설 신호의 주파수, 누설 신호의 비트(beat) 주파수, 필터(440) 및 국부 신호 발생기(410)의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누설 신호의 주파수는 누설 경로 길이에 따른 지연 시간과 주파수 변조 연속파(FMCW;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신호의 주파수 기울기로 계산될 수 있으며, 국부 신호 발생기(410)와 필터(440)의 중심 주파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표적 신호를 배제하기 위해선 국부 신호 주파수를 표적 비트 주파수의 1/2 보다 낮게 선정해야 한다.Equation 1 below represents the frequency range of the leak signal, the beat frequency of the leak signal, the filter 440 and the local signal generator 410 . The frequency of the leakage signal can be calculated by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eakage path and the frequency slope of the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signal, and the center frequency of the local signal generator 410 and the filter 440 is the same. Therefore, in order to exclude the target signal, the local signal frequency should be selected to be lower than 1/2 of the target bit frequency.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fLO_Center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 fBeat_Target은 표적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하고, fBPF_Bandwidth는 필터의 대역폭,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한다.where f LO_Center is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f Beat_Leakage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f Beat_Target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f BPF_Bandwidth is the bandwidth of the filter, and f Beat_Leakage is the leakage signal and the frequency difference It means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transmitted signal.

송신 신호가 누설 경로를 통과하여 누설 신호 제거부(400)에 수신되는 시간이 수 ns 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클럭(clock)을 기준으로 상쇄 신호의 계산 및 제어를 수행한다. 시간 축(time domain)에서 이러한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동작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누설 신호에 상대적으로 느리게 반응하는 것과 같으며, 누설 신호의 관점에서는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누설 신호를 상쇄시키는 동작과 같다. 결과적으로 시간 지연 현상은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상쇄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는 이와 같은 성능 열화를 극복하기 위해서 현재 측정된 오차를 학습하고 보상하는 적응형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While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mission signal to pass through the leakage path and received by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is several ns,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nd performs the cancellation signal calculation and take control In the time domain, the operation of such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ing device is equivalent to a relatively slow response to a leakage signal that changes in real tim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kage signal, it is possible to cancel a current leakage signal based on past data. same as action As a result, the time delay phenomenon may deteriorate the cancellation performance of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Accordingly,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an adaptive algorithm for learning and compensating for a currently measured error in order to overcome such performance degradation.

2. 적응형 알고리즘2. Adaptive Algorithms

신호 처리기(460)에 탑재될 적응형 알고리즘은 지속적으로 오차를 학습하여 오차를 줄여나가야 함과 동시에 신호 지연에 의한 상쇄 성능 변화를 줄이기 위해 최소의 연산을 수행하여야 한다.The adaptive algorithm to be mounted on the signal processor 460 must continuously learn the error to reduce the error,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a minimum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change in the cancellation performance due to the signal dela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알고리즘 중 LMS(Least Mean Squares)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에서 필요한 알고리즘으로 최적화하였다. 하기의 수학식 2는 LMS 알고리즘 내 예측 벡터를 계산하는 식을 나타낸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MS (Least Mean Squares) algorithm was selected from among the algorithms satisfying all of the above conditions and optimized as an algorithm required by the millimeter wave searcher. Equation 2 below represents an equation for calculating a prediction vector in the LMS algorithm.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y(n)은 출력 데이터, u(n)은 입력 데이터이며, e(n)은 발생 오차, μ는 알고리즘 학습적응 계수를 의미한다.Here, y(n) is the output data, u(n) is the input data, e(n) is the generation error, and μ is the algorithm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수학식 2는 현재 입력과 현재 발생한 오차를 통해 다음 입력에 대한 예측 벡터를 계산하며, 예측 벡터의 누적과 더불어 학습적응 계수와 입력 u(n)으로 가중치(weight)를 인가하여 오차를 줄여나가게 된다.Equation 2 calculates a prediction vector for the next input based on the current input and the currently generated error, and reduces the error by accumulating the prediction vector and applying a weight to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and input u(n). .

RF 시스템에서는 입력과 출력 신호의주파수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의 클럭(clock)보다 수십부터 수백 배 높기 때문에 그 둘의 오차만 디지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입력과 출력 신호의 차는 아날로그 회로에서 생성되며, 남은 오차 신호만 주파수를 낮게 변환하여 신호 처리기(460)에서 수신한다. 이과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u(n) 항목을 제거 후, 예측 벡터를 계산하였으며, 누설 신호 제거부(400)의 입력 신호는 탐색기가 만드는 일정한 세기의 신호이기 때문에 가중치 계수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In the RF system, since the frequency of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is tens to hundreds of times higher than the clock of the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only the error between the two can be confirmed as a digital numb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is generated by the analog circuit, and only the remaining error signal is converted to a lower frequency and received by the signal processor 460 .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moving the u(n) item, the prediction vector is calculated, and since the input signal of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is a signal of a certain strength created by the searcher, it does not affect the weighting coefficient. Able to know.

결과적으로 학습적응 계수 μ가 예측 벡터의 성능 및 알고리즘의 성격을 결정할 것이다. 도 4는 학습적응 계수를 일정한 수치로 유지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오차 e(n)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도 4(a)를 확대한 것이며, 톱니 바퀴를 그리는 이유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클럭(clock) 내에서 오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 클럭(clock)과 함께 복조 신호가 갱신되어 오차가 다시 줄어들기 때문이다. 톱니 바퀴의 그래프에서 낮은 피크(peak) 값은 예측 벡터를 갱신하였을 때의 오차임을 알 수 있으며, 학습적응 계수가 낮을 경우 예측 벡터를 갱신 후에도 에러가 남아있고, 학습적응 계수가 너무 높을 경우 과도하게 에러를 수정하여 오히려 에러 e(n)가 음수 값으로 가는 것을 볼 수 있다.Consequently, the adaptation coefficient μ will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vector and the nature of the algorithm. 4 is a graph showing the error e(n) gener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FIG. 4(a), and the reason for drawing the cog wheel is that the error gradually increases within the clock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the demodulation signal is updated together with the clock. because it decreases again. It can be seen that the low peak value in the graph of the gear wheel is an error when the prediction vector is updated. If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is low, the error remains even after the prediction vector is updated. Rather than correcting the error, we can see that the error e(n) goes to a negative value.

통상적으로 오차가 수렴함에 따라 LMS 알고리즘 내 학습적응 계수 μ는 작아질수록 오차 e(n)가 더욱 줄어들기 때문에 학습적응 계수 μ의 값을 점점 줄어들게 하는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 디지털 신호처리기의 지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오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학습적응 계수를 무조건적으로 수렴시키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In general, as the error converges, the error e(n) decreases as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μ in the LMS algorithm decreases, so a technique that gradually decreases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μ is used. However,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rtain level of error is continuously generated due to the delay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so a technique for unconditionally convergence of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s cannot be u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를 극복하고자 알고리즘 내 학습적응 계수를 피드백(feedback)하고, 계수 적응 단계를 추가하여 오차 e(n)와 함께 학습적응 계수 μ를 동시에 최적화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in the algorithm is fed back, and a coefficient adaptation step is added to optimize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μ together with the error e(n).

학습적응 계수 μ가 최적화가 완료되었을 시에는 예측 벡터를 갱신하여 오차를 수렴시키며, 계수 최적화가 부족할 시에는 예측 벡터를 유지함과 동시에 에러를 누적함으로써 계수 μ를 최적화하는데 우선 순위를 둔다.When the optimization of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μ is completed, the prediction vector is updated to converge the error, and when the coefficient optimization is insufficient, priority is given to optimizing the coefficient μ by accumulating the error while maintaining the prediction vecto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운용함에 따른 학습적응 계수 μ 변화를 나타낸다. 계수의 초기값은 0.02로 설정하였고, 최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μ가 약 0.1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shows a change in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μ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value of the coefficient was set to 0.02, and it can be seen that μ converges to about 0.1 as the optimization proceeds.

최적화된 학습적응 계수 μ의 값은 아날로그 회로의 증폭, 감쇄 변화, 디지털 신호처리기 시간 지연의 증감 변화 등 전체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은 제작 오차 및 부품 변경과 같은 많은 오차 발생 요인으로부터 상쇄 성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겸한다.Since the value of the optimized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μ can change depending o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entire feedback loop, such as amplification, attenuation change of analog circuit, increase/decrease change of digital signal processor time delay, etc. Th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rves to maintain the offsetting performance from many error generating factors such as manufacturing errors and parts changes.

3. 적응형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3.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daptive Algorith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누설 신호 환경 및 상쇄 알고리즘 M&S(Modeling & Simulation)를 수행하였다.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adaptiv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signal environment of the millimeter wave searcher and the cancellation algorithm M&S (Modeling & Simulation) were performed.

도 1과 같은 누설 신호 환경을 모델링하기 위해서 밀리미터파 신호 데이터에 다중누설에 의한 신호 지연 시간을 개별적으로 인가하였다. 알고리즘이 오차에 적응하여 상쇄한다는 오차 적응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m 이내 임의의 신호 지연 길이 및 신호 세기를 인가하였으며, 각각의 지연길이 및 세기는 하기의 표 1과 같다.In order to model the leakage signal environment as shown in FIG. 1, a signal delay time due to multiple leakage was individually applied to the millimeter wave signal data. In order to prove the error adaptability that the algorithm adapts and cancels the error, an arbitrary signal delay length and signal strength within 1 m were applied, and the respective delay lengths and strength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가장 중요한 설계 파라미터(parameter)중에 하나인 디지털 신호처리기의 ㅋ클럭(clock) 속도는 상용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신호 처리 코어 칩(chip)의 성능을 고려하여 100 MHz로 설정하였으며, 밀리미터파는 주파수가 상승하는 Up-Chirp 환경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The clock speed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parameters, was set to 100 MHz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nd signal processing core chip, and the millimeter wave Simulation was performed in an up-chirp environment in which the frequency increases.

도 6은 최종 누설신호 시뮬레이션의 주파수 스펙트럼 결과이다. 표 1의 누설 선로의 조건에 따라 모사한 누설 신호는 도 6의 그래프 내 상단에 위치한 누설 스펙트럼(leakage spectrum)이며, LMS 및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상쇄한 최종 수신부(200) 입력신호가 하단에 위치한 상쇄 후 스펙트럼(cancelled spectrum)이다. 누설 길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신호끼리의 상쇄 현상 때문에 누설 스펙트럼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6 is a frequency spectrum result of the final leakage signal simulation. The leakage signal simula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leakage line in Table 1 is a leakage spectrum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graph of FIG. 6, and the final receiver 200 input signal offset by the LMS and the proposed algorithm is offset located at the bottom It is a canceled spectrum. It can be seen that the leakage spectrum is not flat but curved due to the cancellation of the leakage signal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leakage length.

도 6(a)는 학습적응 계수를 0.02로 설정한 LMS 알고리즘의 결과,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적응형 알고리즘의 결과이다. 중심 주파수의 피크 (peak)값을 기준으로 약 12dB 가량 성능 개선이 있다. 두 그래프에서 동일하게 그래프의 왼편에서 상쇄 후 스펙트럼의 세기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초기 조건을 지닌 첫 번째 파형 송신 상황에서 초반 예측 벡터가 수렴하고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며, 예측 벡터 및 학습적응 계수가 최적화된 후에는 초반 구간의 성능이 개선된다.Fig. 6(a) is the result of the LMS algorithm in which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is set to 0.02, and Fig. 6(b) is the result of the adaptive algorithm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about 12 dB based on the peak value of the center frequency. In both graphs,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spectrum after offset is strong on the left side of the graph. This i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early prediction vector is converging in the first waveform transmission situation with the initial cond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itial interval is improved after the prediction vector and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are optimized.

도 7의 그래프는 송신 파형 초반 구간의 성능 비교를 나타낸다. 성능 비교 대상은 누설 신호와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운용한 첫 번째 파형, 알고리즘 운용 후 계수가 최적화된 후 운용한 파형이다. 예측 벡터 및 학습적응 계수의 최적화가 시작되는 첫 번째 파형에서는 초반 감쇄 성능이 10dB 이하이지만, 최적화 이후에는 감쇄 성능이 20dB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graph of FIG. 7 shows a performance comparison of an early section of a transmission waveform. The performance comparison target is the leakage signal, the first waveform operating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waveform operated after the coefficients are optimized after the algorithm operation. In the first waveform where the optimization of the prediction vector and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is started, the initial attenuation performance is 10 dB or less, but after optimiz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ttenuation performance is 20 dB or more.

도 8은 표적 신호의 비트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쇄 성능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대역 통과 필터가 신호 관점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로 동작하기 때문에 누설 신호 제거부(400)는 높은 주파수를 지닌 비트 주파수 즉, 먼 거리에 해당하는 표적 신호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표적이 가까워짐에 따라 비트 주파수는 낮아지며, 누설 신호 제거부(400)에 영향을 받는다. 약 100 kHz 이상부터 비트 주파수 신호의 감쇄가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적응 계수가 변화함에 따라 그래프의 cut-off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최소 표적 거리와 누설 신호 감쇄 성능을 만족하는 학습적응 계수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8 shows the signal attenu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it frequency of the target signal. In FIG. 3 , since the band-pass filter operates as a low-pass filter from a signal point of view,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does not affect the high-frequency bit frequency, that is, the target signal corresponding to a long distance. As the target approaches, the beat frequency decreases and is affected by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400 . It can be seen that the attenuation of the beat frequency signal is weak from about 100 kHz or higher, and as the cut-off frequency of the graph changes as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changes, the learning adaptation coefficient satisfying the minimum target distance and leakage signal attenuation performance is determined. will have to choo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에 의하면,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신 경로로 유입되는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leakage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by synthesizing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 plurality of times to generate the cancellation signal. .

또한, 표적을 탐지하는 중에 유입되는 누설 신호를 적응형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송신 신호와 표적 신호의 격리도를 높여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eak signal introduced during target detection can be removed through an adaptive algorithm,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adaptive leak signal cancellation devi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target signal.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but such terms are only for clear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s are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신호 생성부 110: 신호 생성기
120: 제1 증폭기 200: 순환부
300: 수신부 400: 누설 신호 제거부
410: 국부 신호 발생기 421: 제1 혼합기
423: 제2 혼합기 425: 제3 혼합기
427: 제4 혼합기 430: 제2 증폭기
440: 필터 451: 제1 커플러
453: 제2 커플러 455: 제3 커플러
460: 신호 처리기 500: 안테나
100: signal generator 110: signal generator
120: first amplifier 200: circulation unit
300: receiver 400: leakage signal removal unit
410: local signal generator 421: first mixer
423: second mixer 425: third mixer
427: fourth mixer 430: second amplifier
440: filter 451: first coupler
453: second coupler 455: third coupler
460: signal processor 500: antenna

Claims (12)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receiver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 circul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an antenna, and transmitting a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a reception path; and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for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cancellation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inputting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표적에 송출할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신호 생성부와 송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순환부;
상기 순환부와 수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a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through a transmission path;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unit through a receiving path and configured to receive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nd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for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cancellation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inputting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표적을 향하여 송출되고, 시간에 따라 주파수 값이 변하는 주파수 변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생성부;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는 표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 안테나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표적 신호를 수신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순환부;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수신 경로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누설 신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전달 신호를 복수 회로 합성하여 상기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쇄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로 입력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including a frequency-modulated signal that is transmitted toward a target and whose frequency value changes with time;
a receiver for receiving a target signal reflected from the target;
a circul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an antenna, and transmitting a target signal input from the antenna to the receiving unit through a reception path; and
and a leakage signal removal unit for removing a leakag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flowing into the reception path;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cancellation signal for removing the leakage signal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long the reception path, and inputting the generated cancell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path.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기준 주파수 값을 가지는 국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생기;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혼합기;
상기 전달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합성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혼합기;
상기 제2 신호에서 표적 신호 성분이 제거된 제3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
상기 제3 신호와 상기 국부 신호를 합성하여 제4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 혼합기;
상기 제4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 및
상기 복조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상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4 혼합기;를 포함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 loca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cal signal having a reference frequency value;
a first mixer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by synthesiz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 second mixer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by synthesizing the transfer signal and the first signal;
a filter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from which a target signal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second signal;
a third mixer for generating a fourth signal by synthesizing the third signal and the local signal;
a signal processor for generating a demodulated signal from the fourth signal; and
and a fourth mix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cancellation signal by synthesizing the demodulated sig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적 신호 성분은 상기 표적 신호와 상기 제1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포함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arget signal component i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comprising a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target signal and the first sign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설정된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i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including a band-pass filter having a set center frequency and bandwidt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하기의 수학식 1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6

(여기서, fLO_Center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 fBeat_Target은 표적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한다.)
7. The method of claim 6,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in which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is set under the condition of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pat00006

(Here, f LO_Center is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f Beat_Leakage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and f Beat_Target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대역폭은 하기의 수학식 2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여기서, fBPF_Bandwidth는 필터의 대역폭, fBeat_Leakage는 누설 신호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 차를 의미한다.)
7. The method of claim 6,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in which the bandwidth of the filter is set under the condition of Equation 2 below.
[Equation 2]
Figure pat00007

(Here, f BPF_Bandwidth is the bandwidth of the filter, and f Beat_Leakage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leak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설 신호 제거부는,
상기 송신 경로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혼합기에 입력하기 위한 제1 커플러;
상기 수신 경로로부터 상기 전달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2 혼합기에 입력하기 위한 제2 커플러; 및
상기 상쇄 신호를 상기 송신 경로로 입력시키기 위한 제3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eakage signal removing unit,
a first coupler for branching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path and inputting it to the first mixer;
a second coupler for branching the forwarding signal from the receiving path and inputting it to the second mixer; and
The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third coupler for inputting the cancella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path.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오차를 학습하여 상기 제4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생성하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ignal processor i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for learning an error and generating a demodulated signal from the fourth sign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LMS(Least Mean Squar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gnal processor i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that minimizes errors using LMS (Least Mean Squares) algorith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에러를 누적하여 학습 적응 계수를 최적화시키고, 학습 적응 계수의 최적화가 완료되었을 경우 예측 벡터를 갱신하여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적응형 누설 신호 상쇄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ignal processor is
An adaptive leakage signal cancellation device that optimizes a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by accumulating errors, and updates a prediction vector when optimization of the learning adaptive coefficient is completed.
KR1020200178679A 2020-12-18 2020-12-18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KR202200880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79A KR20220088044A (en) 2020-12-18 2020-12-18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79A KR20220088044A (en) 2020-12-18 2020-12-18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44A true KR20220088044A (en) 2022-06-27

Family

ID=8224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79A KR20220088044A (en) 2020-12-18 2020-12-18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04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33B1 (en) 2010-08-17 2017-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mproved tx/rx iso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33B1 (en) 2010-08-17 2017-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mproved tx/rx iso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337B2 (en) Wideband transmitter/receiver arrangement for multifunctional radar and communication
US107792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US9479214B2 (en) Wideband active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US8942658B2 (en) Directional notch filter fo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of wideband signals
ES2314923T3 (en) TECHNIQUE FOR COMPENSATION OF THE TRANSMISSION LEAK IN A RADAR RECEIVER.
EP3042451B1 (en) Feed-forward canceller
US9325433B2 (en) High dynamic range transceiver
US1066630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interfering signals in electric circuits
JPH055778A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unnecessary signal
US9985772B1 (en) Digital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ystem
Forouzandeh et al. Towards the improvement of frequency-domain chipless RFID readers
US10714828B2 (en) Microwave analog cancellation for in-aperture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KR20220088044A (en) Adaptive device for canceling leakage signals
US118818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JP7392016B2 (en) radar limiter distortion compensation
US116269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og canceler tuning using neural networks
EP3796041B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distance measuring system
CN110398717B (en) Strong clutter signal suppres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tep frequency through-wall radar system
CN109085540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ancellation processing of leakage signal
CN110058203A (en) For handling the device and method and radar equipment of input signal
KR100526705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propagation interference
RU2800337C1 (en) Transceiver module of an active phased antenna array of the microwave frequency range
Zhang et al. Stability improvement of analog adap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with phase compensation
Fenske et al. An Activ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Coupler with 60 dB Isolation Applied in a 24 GHz SFCW Radar
Xiu-kun et al. Development of RF front-end with high T/R isolation for Ka band mono-antenna FMCW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