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204A -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204A
KR20220087204A KR1020200177683A KR20200177683A KR20220087204A KR 20220087204 A KR20220087204 A KR 20220087204A KR 1020200177683 A KR1020200177683 A KR 1020200177683A KR 20200177683 A KR20200177683 A KR 20200177683A KR 20220087204 A KR20220087204 A KR 2022008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vement
signal
spe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드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드팩토리
Priority to KR102020017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204A/en
Publication of KR2022008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 등을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화면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재생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screen reproduction speed of sensory content reproduced on a display based on a user's movement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proposed devic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motion signal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corresponds to whether or not the user moves; a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a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Description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방법 및 시스템{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실감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sensory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sensory content based on a user's movement.

재활 훈련 혹은 치료에 대하여 살펴보면, 넓은 의미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적의 신체적, 감각적, 지능적,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성취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수행하는 모든 치료를 말한다. 또한 장애가 없더라고 통증이나 일시적 질환, 외상 등으로 인해 환자가 영위하는 삶의 질이 떨어질 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모든 치료를 뜻한다.Looking at rehabilitation training or treatment, in a broad sense, it refers to any treatment performed in an effort to achieve and maintain the optimal physical, sensory, intellectual, psychological, and social level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can have. In addition, it refers to any treatment to restore a patient's quality of life, even if there is no disability, whe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s reduced due to pain, temporary disease, or trauma.

한편, 재활 치료가 가지는 좁은 의미는 치료 중심의 의학과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치료 중심의 의학이 약물이나 수술적 용법을 주로 사용하는 데 반하여, 재활 치료는 신체 기능을 회복, 유지시키기 위해 환자의 활동에 대해 중재를 시행하고 물리적 자극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을 뜻한다.On the other hand, the narrow meaning of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treatment-oriented medicine. While treatment-oriented medicine mainly uses drugs or surgical methods, rehabilitation treatment refers to treatment using physical stimuli and interventions on the patient's activities to restore and maintain body functions.

이와 같은 종래의 재활 훈련 또는 치료에는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보행 훈련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보행재활장치가 채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종래의 보행재활장치는 수동적으로 반복되는 보행 훈련만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재활 훈련자(또는 보행 훈련자)들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재활장치는 능동적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기는 하지만, 재활 훈련자 또는 보행 훈련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or treatment,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performing only fragmentary and uniform gait training is also employed.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mplemented to perform only passively repeated gait training, so that rehabilitation trainers (or gait trainers) using it feel boredom, and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concentration. Although the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to actively perform gait trai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sufficient to arouse the interest of a rehabilitation trainee or a gait traine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264호(매트를 이용한 재활 환자용 시스템)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66264 (System for Rehabilitation Patient Using Mat)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2320호(가상현실 플랫폼을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Prior ar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2320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the severely disabled including a virtual reality platfor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 등을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화면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screen reproduction speed of sensory content reproduced on a display based on a user's movement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재생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or not a user move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a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표시하고, 수신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user's movement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displays a screen of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calculates a corresponding user's movement speed based on the received user's movement signal, and based on the calculated user's movement speed to adjust the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f the display.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대한 제 1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대한 제 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임을 의미하는 참(true)이고 상기 제 2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미만임을 의미하는 거짓(fals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user's movement signal includes a first signal for the user's left foot and a second signal for the user's right foot, and is true meaning that the firs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and the second signal If is false, meaning that is less than the preset criter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moving forward and move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utput on the display forward.

상기 제 1 신호가 거짓(false)이고 상기 제 2 신호가 참(tru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signal is false and the second signal is tr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moving forward and move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utput on the display forward.

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모두 참(true)이거나 거짓(fals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If both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true or fal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currently paused and pause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utput to the displa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1인 모드 및 다인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setting the single-person mode and the multi-person mode.

상기 1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상기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1 person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in real time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calculated in real tim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adjus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movement speed of the .

상기 1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최종의 움직임 속도인 것으로 계산해 내고, 상기 계산된 해당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one-person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lurality of movement speeds for each time for the user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movement signals input a plurality of times,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se for the final movement speed for the user. It is calculated as one, and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calculated final movement speed of the corresponding user.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및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in real time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based on this, calculates all Any on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s,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extracted from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d the average valu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maining movement speeds excluding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 and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adjus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계산된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가장 최소의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의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calculates all the calculated users. The minimum speed may be extracted from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 and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adjus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extracted minimum movement speed.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여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a plurality of times, calculates an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and based on this The average value of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re extracted, and any one of these average value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maining values exclud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is obtained,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여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중에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a plurality of times, calculates an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xtract an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a minimum value among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nd adjust a reproduction speed of an image of a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based on the extracted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minimum value.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의 차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uggest a method for resolving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by identifying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based on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걸음걸이 교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gait of the user based on a motion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 gait corr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은,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으로서,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receiv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a user moves or no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 reproduc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to a display; and adjusting a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received user's motion signal.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송신하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 상기 움직임 신호 송신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재생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eanwhile,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or not a user mov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a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a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 등을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상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적절한 재생 속도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보면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creen reproduction speed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user's movement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can be performed while viewing the screen.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적절한 재생 속도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보면서 움직이게 되므로, 높은 몰입감으로 인해 지루함 및 집중력 저하 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user moves while watching a screen of realistic content with an appropriate playback speed reproduced on the display, thereby relieving boredom and decreased concentration due to a high sense of immersion.

또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 등을 하는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의 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in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에서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 이동 및 일시 정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sensor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and pause of a screen of sensory content in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은, 움직임 신호 송신부(10), 입력부(20), 수신부(30), 실감 콘텐츠 저장부(40), 재생부(50), 출력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0), 수신부(30), 실감 콘텐츠 저장부(40), 재생부(50), 출력부(60), 및 제어부(70)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PC 또는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가 되거나 PC 또는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 an input unit 20 , a receiver 30 , a sensory content storage unit 40 , a playback unit 50 , and an output unit 60 . , and a control unit 70 . Here, the input unit 20, the receiver 30, the sensory content storage unit 40, the playback unit 50, the output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70 are connected to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C or a notebook computer, or may be employ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C or notebook computer.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는 사용자(예컨대, 재활 훈련자 등)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eg, a rehabilitation trainee, etc.).

예를 들어, 움직인 신호 송신부(10)는 사용자가 신고 있는 신발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signal transmitter 10 may be installed on the shoes worn by the user.

즉,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왼발의 신호(S1)와 오른발의 신호(S2)를 쌍으로 하여 무선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S1, S2는 예를 들어 압력신호 또는 각도신호가 될 수 있다.That is,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r 10 wirelessly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user moves. In this case, the signal S1 of the left foot and the signal S2 of the right foot may be paired and wirelessly output. Here, S1 and S2 may be, for example, a pressure signal or an angle signal.

이를 위해,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는 센서부(12), 및 송신부(14)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may include a sensor unit 12 and a transmitter 14 .

센서부(1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 may sense the user's movement.

예를 들어, 센서부(12)는 사용자의 신발의 하부(예컨대, 발뒤꿈치가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2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s shoes (eg,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eel).

센서부(12)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왼발과 오른발에서의 압력을 각각 센싱하는 압력센서(12a), 및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왼발과 오른발의 각도를 각각 센싱하는 각도센서(12b)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 includes a pressure sensor 12a that senses pressure in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and an angle sensor 12b that senses the angl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압력센서(12a)는 압력을 센싱하므로,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 각각에서의 족압을 센싱할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pressure sensor 12a senses pressure, it may sense the foot pressure in each of the user's left and right feet.

사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바닥에 닿는 발의 압력과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발의 압력은 서로 차이나므로, 이를 근거로 제어부(70)에서는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user walks, the pressure of the foot touching the floor and the pressure of the foot away from the flo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forward.

한편, 사용자가 보행을 하는 경우,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서는 왼발과 오른발 중에서 먼저 어느 한 발의 앞꿈치는 바닥에 닿아 있고 뒤꿈치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지고 나서 해당 발이 완전히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작을 왼발과 오른발이 교대로 수행할 것이다. 이때, 각도센서(12b)는 어느 한 발의 뒤꿈치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각도를 센싱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제어부(70)에서는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lks, in order to move forward, the forefoot of either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first touches the floor, the heel falls off the floor, and then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lternately perform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foot completely falling off the floor. . At this time, since the angle sensor 12b may sense the angle at which the heel of one foot is separated from the floor, the controller 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forward based on this.

물론, 필요에 따라, 센서부(12)는 압력센서(12a) 및 각도센서(12b) 이외로 다른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sensor unit 12 may further include other sensors in addition to the pressure sensor 12a and the angle sensor 12b.

송신부(14)는 센서부(12)에서 센싱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를 출력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4 may output motion signals S1 and S2 of the corresponding user sensed by the sensor unit 12 .

예를 들어, 송신부(14)는 움직임 신호(S1, S2)를 출력할 때 해당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기 위한 사용자가 한 명이상일 수 있으므로, 추후 제어부(70)에서의 식별을 위해 사용자마다의 고유식별정보가 필요하다.For example, the transmitter 14 may outpu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when outputting the motion signals S1 and S2. Since there may be more than one user for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required for later identification in the control unit 70 .

입력부(20)는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의 수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입력부(20)는 1인 모드 또는 다인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20 may input the number of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Of course, if necessary, the input unit 20 may select a single-person mode or a multi-person mode.

한편, 입력부(20)는 재생하고 싶은 실감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unit 20 may select a sensory content to be reproduced.

수신부(30)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er 30 may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which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

실감 콘텐츠 저장부(40)는 다수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고 있다.The sensory content storage unit 40 stores images and audio of a plurality of sensory contents.

예를 들어, 실감 콘텐츠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실감 콘텐츠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중에 지루함 및 집중력 저하 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실감 콘텐츠(예컨대, 증강현실 콘텐츠, 가상현실 콘텐츠)일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sensory content stored in the sensory content storage unit 40 is sensory content (eg, augmented reality content, virtual reality content) capable of resolving boredom and decreased concentration during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 can be

재생부(50)는 실감 콘텐츠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실감 콘텐츠중에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실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The playback unit 50 may reproduce the sensory conten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y contents stored in the sensory content storage unit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

이때, 재생부(50)에 의해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화면의 재생 속도는 제어부(70)에 의해 조절된다.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ed by the reproduction unit 50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70 .

출력부(60)는 재생부(50)에서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60 may output images and audio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ed by the reproduction unit 50 .

예를 들어, 출력부(60)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대형 크기의 다수의 디스플레이(62), 및 스피커(64)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rge-sized displays 62 , as illustrated in FIG. 2 , and a speaker 64 .

디스플레이(62)는 재생부(50)에서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62 may display an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ed by the playback unit 50 .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62)는 재생부(50)에서 재생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파노라마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62)는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display 62 may display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ed by the playback unit 50 in a panoramic form. To this end, the display 62 is preferably configured in plurality.

다수의 디스플레이(62)는 소정 사이즈의 트랙(예컨대, 도넛 형태의 트랙)을 따라 설치되되, 사용자가 시청하기 적절한 높이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splays 62 are installed along a track of a predetermined size (eg, a donut-shaped track), and may be installed side by side at an appropriate height for a user to view.

그리고, 다수의 디스플레이(62)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은 상호 연속된 영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재생부(50)는 하나의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하나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이 다수의 디스플레이(62)에 파노라마의 형태로 펼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s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62 may be mutually continuous images. In other words, the playback unit 50 may reproduce one sensory content, and the reproduced image of one sensory content may be spread out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 panorama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62 .

스피커(64)는 디스플레이(62)를 통해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64 may output a voic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62 .

여기서,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지만, 스피커(64)를 통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음성이 출력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즉, 실감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은 항상 함께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실감 콘텐츠의 영상만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반대의 경우이어도 무방하다.Here, although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62 , the corresponding audio may not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64 . That is, the video and audio of the sensory content are not always output together, but only the video of the sensory content may be output in some cases. Of course, the opposite case may be used if necessary.

제어부(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제어부(70)는 수신부(30)가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디스플레이(62)상에 소정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표시하고, 수신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receiving unit 30 receives the user's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10, the control unit 70 displays a screen of a predetermined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and receives the user's motion signal.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user's movement speed, the playback speed of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calculated user's movement speed.

다시 말해서, 제어부(70)는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도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화면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움직이게 되면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도 함께 움직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내의 풍광내로 진입하여 이동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게 될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undergo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moves forward, the control unit 70 also moves the sensory content screen on the display 62 forward. 62), th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can be moved forward. In this way, when the user move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also moves, so the user will feel as if he or she directly enters and moves into the scenery in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제어부(70)는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수에 따라 1인 모드 또는 다인 모드에 근거한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인 모드의 경우에는 제어부(70)는 해당 사용자만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여 그에 상응하는 화면 재생 속도으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2인 이상의 다인 모드의 경우에는 제어부(70)는 어느 누구의 움직임 속도를 기준으로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를 수행하기에는 다소 곤란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균값 이론을 적용하여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다인 모드의 경우, 평균값 이론 대신에 다른 방식을 채택하여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may perform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based on the single-person mode or the multi-person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 In the case of the single-person mode, the controller 70 may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adjust the playback speed of th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to the corresponding screen playback spe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multiplayer mode of two or more people, it is rather difficult for the controller 70 to perform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based on the movement speed of any one. can be done Of course, if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multi-mod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by adopting another method instead of the average value theory.

상술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화면 재생 속도는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또는 평균 움직임 속도)와 화면 재생 속도가 100% 일치할 수도 있겠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무방함을 의미한다.The above-described screen refresh ra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ement speed means that the user's movement speed (or average movement speed) may match 100% of the screen refresh rate, but there may be a slight difference.

한편, 제어부(70)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의 움직임 신호(압력신호 또는 각도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현재 움직이고 있는지 아니면 일시정지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moving or temporarily stopped based on the motion signal (pressure signal or angle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

예를 들어, 움직임 신호가 압력센서(12a) 또는 각도센서(12b)에 의한 신호(S1, S2)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고서 설명한다. 압력센서(12a)의 경우에는 왼발과 오른발의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것이고, 각도센서(12b)의 경우에는 왼발과 오른발의 각각의 각도를 센싱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otion signal includes signals S1 and S2 by the pressure sensor 12a or the angle sensor 12b.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or 12a, since it senses the respective pressures of the left and right feet, a corresponding signal will be output, and in the case of the angle sensor 12b, the respective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feet are sensed, so a corresponding signal is provided. will print

수신된 신호(S1)가 참(true)이고 수신된 신호(S2)가 거짓(false)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사용자가 왼발은 바닥에 닿아 있고 오른발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라고 간주하여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forward)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f the received signal S1 is true and the received signal S2 is false, the control unit 70 considers that the current user has the left foot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right foot away from the floor, so that the current user It can be judged that it is moving forward.

반대로, 수신된 신호(S1)가 거짓(false)이고 수신된 신호(S2)가 참(true)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사용자가 왼발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오른발은 바닥에 닿아 있는 것이라고 간주하여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forward)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Conversely, if the received signal S1 is false and the received signal S2 is true, the control unit 70 considers that the current user has the left foot off the floor and the right foot touching the flo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moving forward.

한편, 수신된 신호(S1) 및 신호(S2)가 모두 참(true)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이 모두 바닥에 닿아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현재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signal S1 and the signal S2 are both true, the control unit 70 considers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feet of the current user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urrent user is paused. have.

신호(S1, S2)가 참(true)인 경우는 압력센서(12a) 또는 각도센서(12b)에서 센싱된 압력 또는 각도가 기설정된 압력 또는 각도 이상일 수 있다. 반대로, 신호(S1, S2)가 거짓(false)인 경우는 압력센서(12a) 또는 각도센서(12b)에서 센싱된 압력 또는 각도가 기설정된 압력 또는 각도 미만일 수 있다. When the signals S1 and S2 are true, the pressure or ang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2a or the angle sensor 12b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pressure or angle. Conversely, when the signals S1 and S2 are false, the pressure or ang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2a or the angle sensor 12b may be less than a preset pressure or angl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앞으로의 재생 속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근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moving forward, the controller 70 may move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forward. In this case, the forward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may be based on the user's movement speed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aused, the controller 70 may temporarily stop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

한편으로, 수신된 신호(S1) 및 신호(S2)가 모두 거짓(false)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이 모두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거나 트랙을 이탈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중에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이 모두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거나(예컨대, 점프(jump)를 한 경우) 트랙을 이탈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경우는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일시 정지시키는 것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both the received signal S1 and the signal S2 are false, the controller 70 may consider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feet of the current user are off the floor or out of the track. During rehabilitation or gait training, it is rare for both the user's left and right feet to be off the floor (eg, when jumping) or to deviate from the track. In this case, the controller 7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t is assumed that the video of the displayed sensory content is temporarily stopped.

한편,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의 움직임 신호(S1, S2)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Meanwhile, in calculating the user's movement speed, the controller 70 may calculate the user's movement speed based on the movement signals S1 and S2 from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r 10 .

예를 들어,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1명일 경우에는 제어부(70)는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선행 및 후행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면 제어부(70)는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은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보정(갱신, 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only one user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controller 70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corresponding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can be calculated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movement signals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In this way, when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calculated in real time, the controller 70 calculates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 calculated in real time. can be adjusted with For example,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 calculated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can be corrected (updated, changed) in real time.

이와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1명일 경우에 제어부(70)는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즉, 상술한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현재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는 방식과 유사함)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최종의 움직임 속도인 것으로 계산 또는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가 계산되면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값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only one user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controller 70 calculates a plurality of movement speeds for each time for the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motion signal input several times (that is, the above-described (similar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urrent motion speed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current motion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tion signal) can When the final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70 may adjust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based on the final movement speed of the user. For example,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final movement speed.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s not adjusted in real time, but is uniformly adju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는 앞서의 예에서와 같이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선행 및 후행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70)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을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구해진 평균값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실시간으로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70 controls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tion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tion signal.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movement signals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as in the example above. will b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 extracts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or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from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d obtains the average value thereof, or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 average value of the remaining movement speeds may be obtained, and a current playback speed of an image of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may be adjus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That i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in real time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average value.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는 앞서의 예에서와 같이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선행 및 후행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70)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가장 최소의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의 속도를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추출한 가장 최소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실시간으로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70 controls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tion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tion signal.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movement signals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as in the example above. will b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 extracts the minimum speed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d based on the extracted minimum speed,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n real time can be adjusted That i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in real time at a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minimum movement speed.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즉, 상술한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현재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는 방식과 유사함)하고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낸다. 이후, 제어부(70)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을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해진 평균값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값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절될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several times. Calculation (that is, similar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urrent motion spe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time value of the current motion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tion signal) and calculates the average motion speed for each user. Thereafter, the controller 70 extracts the average value of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or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om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nd excludes the average value or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may be obtained, and a playback speed of an image of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For example,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average value.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s not adjusted in real time, but is uniformly adju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즉, 상술한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현재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는 방식과 유사함)하고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낸다. 이후, 제어부(70)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중에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절될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several times. Calculation (that is, similar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urrent motion spe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time value of the current motion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tion signal) and calculates the average motion speed for each user. Thereafter, the controller 70 extracts the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minimum value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nd displays an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based on the extracted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minimum value. can be moved forward.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s not adjusted in real time, but is uniformly adju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minimum value.

한편, 제어부(70)는 압력센서(12a)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의 차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70 may determine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12a.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 can suggest a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 교정을 위해, 각도센서(12b)로부터의 움직임 신호(각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걸음걸이 교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user's gait correction, the control unit 70 detects the gait of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signal (angle signal) from the angle sensor 12b and outputs corresponding gait correction information.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sensor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한 명이면 입력부(20)를 통해 "1"을 입력하거나 1인 모드를 선택하고,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여러 명이면 그에 상응하는 인원수를 입력하거나 다인 모드를 선택한다.First, if there is only one user who wants to receive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input “1” through the input unit 20 or select a single mode, and if there are several users who want to receive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corresponding Enter the number of people or select multiplayer mode.

그리고, 트랙에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하고자 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움직이게 되면(즉, 앞으로 이동하게 되면)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는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신호(S1, S2)를 무선으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사용자별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가 무선출력될 것이다.And, when one or more users who want to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on the track move (ie, move forward),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wirelessly transmits signals S1 and S2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print out At this time,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the movement signals S1 and S2 of the corresponding users will be wirelessly output together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user.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의 수신부(30)가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를 수신한다(S10).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30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user's motion signals S1 and S2 (S1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의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62)상에 소정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표시한다(S12).Then, the controller 70 of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creen of a predetermined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S12).

물론,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를 수신하고 나서, 디스플레이(62)상에 소정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를 수신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62)상에 소정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먼저 디스플레이시켜도 된다.Of course, in the above description, after receiving the user's motion signals S1 and S2, an image (screen) of a predetermined sensor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62, but on the contrary, the user's motion signals S1 and S2 An image (screen) of a predetermined sensory content may be displayed first on the display 62 before receiving .

이어, 제어부(70)는 수신부(30)에 수신된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한다(S14).Next, the controller 70 calculates the user's movement speed based on the user's movement signals S1 and S2 from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r 10 received by the receiver 30 ( S14 ).

그리고 나서, 제어부(70)는 계산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의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S16).Then, the controller 70 adjusts the playback speed of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based on the calculated user's movement speed (S16).

상술한 단계 S14 및 S16에 대해 하기에서 부연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steps S14 and S1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단계 S14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계산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의 움직임 신호(S1, S2)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alculating the user's movement speed in step S14,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user's movement speed based on the movement signals S1 and S2 from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r 10. can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1명(1인 모드)일 경우에는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선행 및 후행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14에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면, 단계 S16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으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앞으로 이동시킨다. For example, if there is only one user (single-person mode)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can be calculated as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movement signals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In this way, when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calculated in real time in step S14, in step S16,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movement speed calculated in real time.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in real time.

이와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1명(1인 모드)일 경우에는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최종의 움직임 속도인 것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14에서 해당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가 계산되면, 단계 S16의 경우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only one user (single-person mode)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the user ar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motion signal input several times,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can be calculated as the final movement speed for the user. When the final movement speed of the user is calculated in step S14 as described above, in step S16,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final movement speed of the user.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다인 모드)일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들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이후,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을 구한다(S14). 이어, 구해진 평균값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으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킨다(S16).Alternatively, when there are multiple users (multi-person mode)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each user's current movement is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The speed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may be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ime values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Thereafter,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or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from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re extracted, and the average value or the other movement speeds except for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 average value is obtained (S14). Next,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at a playback speed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average value (S16).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다인 모드)일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은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선행 및 후행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이후,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가장 최소의 속도를 추출한다(S14). 이어, 추출한 가장 최소의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한다(S16). 즉, 추출한 가장 최소의 움직임 속도에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실시간으로 앞으로 이동시킨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multiple users (multi-person mode)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each user's current movement is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The speed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may be calculated in real time based on time values of preceding and following motion signals inpu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Thereafter, the minimum speed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is extracted (S14). Next,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s adjus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extracted minimum movement speed (S16). That i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in real time at a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minimum movement speed.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다인 모드)일 경우에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낸다. 이후,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또는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을 구한다(S14). 이어 구해진 평균값을 상응하는 재생 속도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킨다(S16).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multi-person mode)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are calculated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several times, and each user Calculate the average movement speed. After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or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om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are extracted, and the average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remaining values exclud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is obtained. (S14). Then,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at the corresponding reproduction speed with the obtained average value (S16).

또 다르게,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받는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낸다. 이후,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중에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추출한다(S14). 이어, 추출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킨다(S16).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절될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several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a plurality of time-based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several times. and calculates the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Thereafter, the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lowest value among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is extracted (S14). Next,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is moved forward based on the extracted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minimum value (S16).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is not adjusted in real time, but is uniformly adju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movement speed having the lowest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도 함께 움직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내의 풍광내로 진입하여 이동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게 될 것이다. 또한, 재활 훈련 또는 보행 훈련을 하는 동안 사용자는 디스플레이(62)상에 재생되는 적절한 이동 속도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보면서 움직이게(즉, 이동하게) 되므로, 높은 몰입감으로 인해 지루함 및 집중력 저하 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oves along the track,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also moves, so that the user feels as if he or she directly enters and moves into the scenery in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will be In addition,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or gait training, the user moves (that is, moves) while watching the screen of sensory content with an appropriate moving speed reproduced on the display 62, thereby relieving boredom and reduced concentration due to a high sense of immersion. can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에서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 이동 및 일시 정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ing and temporarily stopping a screen of sensory content in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의 움직임 신호(압력신호 또는 각도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현재 움직이고 있는지 아니면 일시정지상태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moving or pauses based on a motion signal (pressure signal or angle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and accordingly Th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may be moved forward or paus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인 모드의 경우에서도 1인 모드에서의 실감 콘텐츠 화면 이동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이하에서는 1인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Since the multiplayer mode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sensory content screen moving method in the single-person mode, it is assumed that the single-person mode is selected and described below.

먼저,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는 압력센서(12a) 또는 각도센서(12b)에 의한 신호(S1, S2)를 포함할 것이다. 압력센서(12a)의 경우에는 왼발과 오른발의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것이고, 각도센서(12b)의 경우에는 왼발과 오른발의 각각의 각도를 센싱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First, the user's motion signal will include signals S1 and S2 by the pressure sensor 12a or the angle sensor 12b.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or 12a, since it senses the respective pressures of the left and right feet, a corresponding signal will be output, and in the case of the angle sensor 12b, the respective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feet are sensed, so a corresponding signal is provided. will pr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가 움직임 신호 송신부(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S1, S2)를 수신하고 나면(S20) 신호(S1, S2)를 판별하는 과정을 거친다.After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user's motion signals S1 and S2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10 (S20),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signals S1 and S2.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S1) 및 신호(S2)가 모두 참(true)이면(S22에서 "Yes" 및 S24에서 "Y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현재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이 모두 바닥에 닿아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현재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For example, if the received signal S1 and signal S2 are both true (“Yes” in S22 and “Yes” in S24),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urrent user It is considered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feet of the user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user is paused.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일시 정지시킨다(S28).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user is paused,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mporarily stop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 S28 ).

또한, 수신된 신호(S1) 및 신호(S2)가 모두 거짓(false)이면(S22에서 "No" 및 S26에서 "N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현재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이 모두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거나 트랙을 이탈한 것으로 간주한다. In addition, if the received signal S1 and signal S2 are both false (“No” in S22 and “No” in S26),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urrent user's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re both off the floor or off the track.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이 모두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거나 트랙을 이탈한 것으로 간주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일시 정지시킨다(S28).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considered that both the user's left and right feet are away from the floor or deviated from the track,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 Temporarily stop (S28).

상기의 예와는 다르게, 신호(S1)가 참(true)이고 수신된 신호(S2)가 거짓(false)이거나(S22에서 "Yes" 및 S24에서 "No"), 신호(S1)가 거짓(false)이고 수신된 신호(S2)가 참(true)이면(S22에서 "No" 및 S26에서 "Y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forward)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한다.Unlike the above example, either the signal S1 is true and the received signal S2 is false (“Yes” in S22 and “No” in S24), or the signal S1 is false ( false) and the received signal S2 is true (“No” in S22 and “Yes” in S26),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at the current user is moving forward. judge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forward)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되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킨다(S30).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user is moving forward, the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sensory content imag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62 forward (S30).

다인 모드의 경우에는, 한 명의 사용자라도 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즉, 앞으로 이동하게 되면) 디스플레이(62)상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앞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또한, 모든 사용자가 트랙상에서 일시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62)상에 표시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화면)을 일시 정지시킬 것이다.In the multi-mode, if even one user moves along the track (ie, moves forward),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on the display 62 will move forward.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users have paused on the track, the image (screen) of the sensory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62 will be paused.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움직임 신호 송신부 12 : 센서부
14 : 송신부 20 : 입력부
30 : 수신부 40 : 실감 콘텐츠 저장부
50 : 재생부 60 : 출력부
62 : 디스플레이 64 : 스피커
70 : 제어부
10: motion signal transmitter 12: sensor unit
14: transmitter 20: input unit
30: receiving unit 40: realistic content storage unit
50: playback unit 60: output unit
62: display 64: speaker
70: control unit

Claims (20)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재생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a receiver for receiv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or no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실감 콘텐츠의 화면을 표시하고, 수신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user's movement signal is received, a screen of sensor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corresponding user's movement spe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ceived user's movement signal, and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user's movement speed.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of immersive content video,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대한 제 1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대한 제 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임을 의미하는 참(true)이고 상기 제 2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미만임을 의미하는 거짓(fals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s movement signal includes a first signal for the user's left foot and a second signal for the user's right foot,
If the first signal is true meaning that the firs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and false meaning that the second signal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urrent user is moving forward and is output to the display Moving the video of realistic content forwar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가 거짓(false)이고 상기 제 2 신호가 참(tru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first signal is false and the second signal is tr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urrent user is moving forward and moves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utput on the display forwar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모두 참(true)이거나 거짓(false)이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가 일시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일시 정지시키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both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true or fals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urrently paused and temporarily stops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utput to the display,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1인 모드 및 다인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unit for setting a single-person mode and a multi-person mode; further comprising,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상기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1 person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displays the display based on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the user calculated in real time Real-time control of the video playback speed of immersive content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최종의 움직임 속도인 것으로 계산해 내고, 상기 계산된 해당 사용자의 최종적인 움직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1 person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plurality of movement speeds for each time of the user based on the time values of the movement signals input a plurality of times, calculates an average value thereof as the final movement speed for the user,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corresponding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f the display based on the user's final movement spee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및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 속도 및 최소 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based on this,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 extracting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from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and finding any one of the average values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remaining movement speeds excluding the maximum and minimum speeds among the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to adjust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f the display in real time,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과 바로 이전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해 내고, 계산된 모든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속도중에서 가장 최소의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의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현재의 재생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urrent movement speed of each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current movement signal and the tim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ovement signal, and is the smallest among the calculated current movement speeds of all users. extracting the speed of and adjusting the current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f the display in real time based on the extracted minimum movement spee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여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추출하여 이들의 평균값,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중에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하고, 구해진 평균값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by calculating a plurality of hourly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a plurality of times, and based on this, calculates the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The average value and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re extracted from the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and any one of the average values exclud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average value and the average movement speed for all users is obtained, and the display is based on the obtained average value to adjust the video playback speed of immersive content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에 걸쳐서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의 시간값을 근거로 사용자별로 다수의 시간별 움직임 속도를 계산하여 사용자별로 평균 움직임 속도를 계산해 내고, 이를 근거로 모든 사용자별 평균 움직임 속도들중에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장 최소값을 갖는 평균 움직임 속도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감 콘텐츠의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yne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verage movement speed for each user by calculating a plurality of hourly movement speeds for each user based on the time value of each user's movement signal input a plurality of times, and based on this, calculates the average movement speeds for all users extracting an average motion speed having the smallest value among them, and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f the display based on the extracted average motion speed having the lowest value,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의 차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outside,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is identified, and a method to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is suggeste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걸음걸이 교정 정보를 출력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Detects the user's gait based on a movement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corresponding gait correction information.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device.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으로서,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방법.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sensor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receiv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a user moves or no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reproduc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to a display; and
adjusting a playback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received user's motion signal;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realistic content.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상응하는 움직임 신호를 송신하는 움직임 신호 송신부;
상기 움직임 신호 송신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감 콘텐츠를 재생하여 해당 실감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재생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실감 콘텐츠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
a motio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user is moving;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a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ensory content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reproduction speed of the image of the sensory content on a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syste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신호 송신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를 무선출력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a sensor unit for sensing a user's movement; and
Including;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outputting the motion signal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unit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system.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왼발과 오른발에서의 압력을 각각 센싱하는 압력센서, 및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따른 왼발과 오른발의 각도를 각각 센싱하는 각도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nsor unit,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for respectively sensing the pressur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and an angle sensor for respectively sensing the angl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moves,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syste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 송신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양발의 족압의 차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motion signal from the motion signal transmitter,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is identified, and a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of the user's feet is suggested.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syste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 송신부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걸음걸이 교정 정보를 출력하는,
실감 콘텐츠 재생 제어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is
detecting the gait of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r and outputting gait corr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Realistic content playback control system.
KR1020200177683A 2020-12-17 2020-12-17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202200872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83A KR20220087204A (en) 2020-12-17 2020-12-17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83A KR20220087204A (en) 2020-12-17 2020-12-17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04A true KR20220087204A (en) 2022-06-24

Family

ID=8221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683A KR20220087204A (en) 2020-12-17 2020-12-17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20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264A (en) 2009-12-11 2011-06-17 안광현 Rehabilitation patient system using mat
KR101912320B1 (en)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264A (en) 2009-12-11 2011-06-17 안광현 Rehabilitation patient system using mat
KR101912320B1 (en)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l et al.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virtual reality for balanc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JP6526820B2 (en) Monitoring of motion sickness and addition of additional sound to suppress sickness
US20210170234A1 (en) Stationary exercise machine
Wulf et al. Attentional focus effects as a function of task difficulty
Rábago et al. Application of a mild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program in a virtual realty environment: a case study
JP2005084770A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device and metho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9873039B2 (en) Automatic trigger of integrated game actions for exercise and well being
JP5431650B2 (en) Walking navigation system
KR101919497B1 (en)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US11951377B2 (en) Leaderboard with irregularity flags in an exercise machine system
US20170249010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r sickness
US1101656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ewpoint within displayed content based on user motion
US20150279230A1 (en) Method for yoga instruction with media
EP3365755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r sickness
WO2013144629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rol mechanisms
US20220011854A1 (en) Motion sickness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r motion platform
US20230079542A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and method of performance
KR20200094966A (en) Computer assisted rehabilitation environ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KR1022860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habilitation exercise
JP2007289515A (en) Exercise support device and its program
KR20180109385A (en) Wearable Device for rehabilitating dizziness
KR20220087204A (en) Immersiv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2574004B (en) System for supporting user to be practiced
KR20160150215A (en) An exercis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interactive contents and the method thereof
Khalaji et al. The effect of eye movement sonification on visual search patterns and anticipation in no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