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468A -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468A
KR20220086468A KR1020210134683A KR20210134683A KR20220086468A KR 20220086468 A KR20220086468 A KR 20220086468A KR 1020210134683 A KR1020210134683 A KR 1020210134683A KR 20210134683 A KR20210134683 A KR 20210134683A KR 20220086468 A KR20220086468 A KR 2022008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viewer
subsystem
termin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0303B1 (en
Inventor
서영희
김영은
고수정
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주식회사 평화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주식회사 평화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Publication of KR2022008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and in particular, through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customized for each disease and depart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and make it suitable for patients to easily check their own health status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disease information.

Description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and in particular, through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customized for each disease and depart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and make it suitable for patients to easily check their own health status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diseas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병원정보시스템은 개인의 생명과 관련된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보다 상위 개념으로 취급되며, 외부서비스와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병원정보시스템에는 HIS, EMR 등이 있다. 여기서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은 병원에서 행정적인 필요에 주로 초점을 맞춘 의료정보학(health informatics)의 요소이다. HIS는 의료, 행정, 재정적, 법적 문제 및 서비스의 해당 처리와 같은 병원의 운영의 모든 측면을 관리 할 수 있도록 설계 포괄적인 통합 정보 시스템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의료서비스이다. 병원은 사람들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다. In general, sinc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deals with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life, it is treated as a higher concept tha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is blocked from external services. Such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include HIS and EMR. Her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is an element of health informatics that mainly focuses on administrative needs in hospitals. HIS is a comprehensiv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designed to manage all aspects of a hospital's operations, such as its handling of medical,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legal matters and service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s health care. Hospitals provide medical assistance to people.

또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은 디지털 형태로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전자적으로 저장된 환자 및 인구의 건강정보이다. 이러한 기록은 서로 다른 헬스케어 환경에서 공유될 수 있다. 기록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엔터프라이즈 규모의 정보시스템 및 다른 정보 네트워크와 교환을 통해 공유된다. EMR은 인구통계학, 병력, 약물복용 및 알레르기. 예방접종 상태, 검사실 검사결과, 영상의학 이미지, 생체징후, 나이와 성별 같은 개인적인 통계 그리고 청구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re health information of patients and populations that a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stored electronically in digital form. These records can be shared in different healthcare settings. Records are shared in exchange with networked, enterprise-scale information systems and other information networks. EMR is based on demographics, medical history, medications and allergies. It may include a range of data including vaccination status, laboratory test results, radiology images, vital signs, personal stat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and claim information.

그래서 병원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행정안전부 시큐어코딩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통신구간 암호화를 적용하고, 정보보호관리체계를 준수해야 하며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정보보호관리체계) 및 ISO27001 인증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병원정보는 전문라이센스를 가진 의료인 및 전문기사가 허가받은 병원시설에서 측정 및 진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곳으로, 병원 내부망에서 운영된다. 따라서 외부(헬스케어 서비스 업체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대해 배타적이며, 정보와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must basically comply with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ecure Coding Guidelines, apply communication section encryption, comply with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apply 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ISO27001 certification, have. In particular, hospital information is a place where medical personnel and technicians with professional licenses manage data measured and diagnosed in licensed hospital facilities, and it is operated in the hospital's internal network. Therefore, it is exclusive to data generated externally (such as a health care service company), and there is a problem of low information and utiliz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연결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원정보시스템(1)은 스마트폰과 같은 환자 단말기(2)와 차단되어 있다. 그래서 환자 단말기(2)에 병원용 앱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환자 단말기(2)에 설치된 병원용 앱의 정보는 병원정보시스템(1)에 전달될 수 없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an external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1 is blocked from the patient terminal 2 such as a smartphone. Therefore, even if the hospital app is installed in the patient terminal 2 , th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app installed in the patient terminal 2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1 .

도 2는 종래 진료현장에서의 진료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대부분의 진료현장에서는 환자 단말기(2)에 설치된 병원용 앱의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료진은 환자와 상담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IoT 및 헬스케어 시장이 확대되면서 개인이 스스로 기록한 문진, IOT 기기로 측정된(혈당, 혈압, 걸음수, 식사 등) 정보를 축적 관리하는 서비스가 많이 생성되고 있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treatment in a conventional medical field. As shown in FIG. 2 , in most of the conventional treatment sites, the medical staff had no choice but to consult with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app installed in the patient terminal 2 was not utilized at all. On the other hand, as the IoT and healthcare market expands, many services are being created that accumulate and manage information (blood sugar, blood pressure, steps, meals, etc.) measured with an IOT device and a questionnaire recorded by individuals.

따라서 외부서비스에서 기록한 개인의 건강정보를 병원정보시스템과 연계시켜 의료진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a system that link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recorded in external services with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so that medical staff can see it.

KRKR 10-1561242000010-15612420000 B1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through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l professional viewer customized for each disease and department, and to improve the patient's own health con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that can be checked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은, 의료진용 단말기 및 전자 의무 기록(EMR)용 서버를 구비하는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단말기용 서버, 질환 관리 앱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l viewer providing system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includes: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including a medical terminal and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erver; A server for a terminal, a patient terminal subsystem having a disease management app; and a viewer providing subsystem that interworks with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여기서,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PGHD)를 저장하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및 전자 의무 기록의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는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의료진용 뷰어를 포함한다. Here,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that store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PGH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nd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an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re for the medical staff and a medical viewer for displaying on a medical display provided in the terminal.

상기 의료진용 뷰어는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 연동되어,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및 상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로부터 송신된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를 확인하며, 또한 상기 의료진용 뷰어는 화면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와 상기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의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관한 질환 및 건강 정보에 대한 정상 여부를 알려준다. The medical viewer is linked to the medical terminal, and confirms patient-derived health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an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medical terminal, In addition, the viewer for medical staff includes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informs whether the disease and health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and the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are within a preset range are norm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은,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의 망과 분리되어 운영되며, 상기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에 연계되며,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상기 단말기용 서버로부터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케어 업체 서버를 더욱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network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is linked to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and is used for the terminal through a self-authentication procedure It further includes a health care company server for receiving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상기 헬스 케어 업체 서버는 데이터 체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체크부는 상기 수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송신한다.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includes a data check unit, and the data check unit processes the receiv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사용하여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 질환, 중독, 뇌졸증, 치매, 천식, 비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환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 단계(S10);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질환관리 정보가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로 저장되는 제2 단계(S20);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로부터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제3 단계(S30);을 포함한다. A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using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to the terminal server for cancer, chronic disease, number-type questionnaire,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 first step (S10) in which any one or two or mor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and obesity is recorded; a second step (S20) of storing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as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A third step (S30) of receiving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viewer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are blocked; include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의 인증 처리부에 의하여 행해지고,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환자 ID 와 단말기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외부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후,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은 연결되어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풀(pull) 방식으로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In the third step, the step of receiving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is performed by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of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configured with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a patient terminal subsystem, respectively. In the blocked state,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confirms whether the patient ID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and the external I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match, and the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is connected and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is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display provid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 a pull method.

상기 헬스 케어 업체 서버는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 연계되고,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서 관리되는 가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는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이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구비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송신된다.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is linked to a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that analyzes and store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s big data, and the process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managed by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is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re blocked from each other,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through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l viewer customized for each disease and department, and to allow patients to easily check their own health status. It works.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면,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 선도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정밀의료가 결합된 진료과별 질환서비스, 정보보호/보안에 대한 방안제시, 병원특성을 반영한 업무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선 도입하고, 경험 및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가 의료 정책을 선도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ee the effect of leading the mobile service for patients. Then, disease services for each department combined with precision medicine, proposals for information protection/security, and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reflecting hospital characteristics can be achieved. In addition, mobile services for patients can be introduced in the hospital in advance, and experience and know-how can be accumulated. In addition, by providing medical services,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 platform that will lead the national medical policy.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tively utilized to develop a digital therapeutic agent.

또한, 본 발명은 병원의료정보를 환자 진료시 근거로 활용하고, 연계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참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진료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recision treatment by using hospital medical information as a basis for patient treatment and using linked health care data as a reference.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중심의 축적된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예방의학의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tilized as a method of preventive medicine through various analyzes of patient-centered accumulated data.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연결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진료현장에서의 진료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의료진용 뷰어의 디스플레이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작동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되기 위한 서버와 병원정보시스템에 연계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진료현장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an external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treatment in a conventional treatment site.
3 to 5 are conceptual views of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of a viewer for medical staff used in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to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l viewer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linked to a server and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o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treatment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4 are flowcharts of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 나타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In the drawings shown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Meanwhile,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embodiments. Hereinafter,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l viewer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은 의료진용 단말기(11) 및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의 요청에 의한 EMR을 송신하는 전자 의무 기록(EMR)용 서버(12)를 구비하는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 단말기용 서버, 질환 관리 앱(31)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연동되어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용어는 발명의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정보시스템(HIS)의 용어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The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l viewer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including a medical terminal 11 and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erver 12 that transmits EMR at the request of the medical terminal. (10); a server for a terminal, a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having a disease management app 31; Including a; do. Here, the terminology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for clar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and functions the same as the terminology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은 의료진용 단말기(11)와 전자의무기록(EMR)을 기록하는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의료진용 단말기(11)는 의료진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병원 외부의 네트워크와 차단된 상태에서, 병원 내부의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의료진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이다. 전자의무기록(EMR) 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저장하고 시간에 따라 한 환자의 상태를 수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환자의 이전 종이의무기록을 추적할 필요성을 제거하고 데이터가 정확하고 적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지원한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ncludes a terminal 11 for medical personnel and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for record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The terminal for medical staff 11 is a terminal that has a display for medical personnel, and connects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nside the hospital in a state in which it is blocked from the network outside the hospital so that medical personnel can use it.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re designed to accurately store data and collect a patient's condition over time. This eliminates the need to track patients' previous paper medical records and supports ensuring that data are accurate and legitimate.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은 전자의무기록에 기록되기 위한 검사 데이터, 예를 들어 방사선 시스템, 내시경 시스템, 생리 검사 시스템, 심전도 검사, 관리하는 시스템, 시료 실험실 시스템, 약물 투약 처방의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등에서 얻어진 데이터일 수 있고, 각 장치에서 진료 기록 카드 정보 및 이미지 데이터, 생리 검사 데이터, 검체 검사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의료 정보, 진료 데이터가 되는 소정의 전자 데이터가 입력, 생성되어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에 저장되어 진료에 활용된다.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is the test data to be record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example, a radiation system, an endoscopic system, a physiological test system, an electrocardiogram, a management system, a sample laboratory system, a drug administration prescrip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It may be data obtained from a system for It is stored in the server for record (EMR) and used for treatment.

질환 관리 정보가 입력되고 단말기용 서버에 상기 질환 관리 정보를 송신하는 질환 관리 앱(31)을 구비하며, 단말기용 서버에서 질환 관리 정보가 저장되고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질환 관리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질환 관리 앱(31)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환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질환관리 앱은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등의 질환관리를 포함하고, 나아가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질환, 중독, 뇌졸중, 치매, 천식, 비만 등 또한 포함한다. and a disease management app 31 that receives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to a server for a terminal, wherein the server for a terminal stores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to a viewer providing subsystem. Here,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portable patien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laptop computer. The disease management app includes disease management such as cancer, chronic diseases, and number-based questionnaires, and further includes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obesity, etc.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의료진용 단말기(11)와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을 기록하는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를 구비한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과 연결되고, 단말기용 서버, 질환관리 앱을 구비한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연결된다.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is connected to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having a medical terminal 11 and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for recor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erver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having a disease management app.

본 발명의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의 각 처리와 수단은 프로그램과 컴퓨터가 협동한 구체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기타 모든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 제공되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 내진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Each process and means of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specific means in which a program and a computer cooperate. For example, all or part of the program is provided by, for example,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semiconductor memory, or any othe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program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computer.

본 발명의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는 환자 단말기의 질환관리 앱을 통해 제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를 저장한다.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구비된 의료진 뷰어용 서버는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송신된 전자 의무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의료진용 뷰어(22)에서 표시된다. 또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와 전자 의무 기록의 환자 질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의료진용 단말기(11)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의무 기록과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의 의료진 뷰어에 표시되며, 의료진용 뷰어(22)와 연동된 의료진용 단말기(11)에서 의료진용 뷰어(22)에 표시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을 단말기용 서버를 구비한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을 각각 차단시킨 상태에서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기 송신한 환자 ID와 단말기용 서버에서 기 송신한 외부 ID의 일치 여부를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구비된 인증 처리부에서 인증처리가 수행된 후, 상기 일치여부가 인증처리에 의하여 완료되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은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 차단은 해제되고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의료진 뷰어용 서버로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가 송신되고, 다음으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은 차단된 상태에서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의 연결 차단은 해제되고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의료진 뷰어용 서버에 저장된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 및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는 의료진용 뷰어(22)에 표시된다. 여기서, 의료진용 뷰어(22)에 표시된 정보는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이 각각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차단된 상태에서 의료진용 단말기(11)로 표시된다. 즉, 의료진용 단말기(11)에 표시된 정보는 의료진용 뷰어(22)에서 의료진용 단말기(11)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풀(Pull)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은 독립된 네트워크 망을 유지하면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1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s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 provided through the disease management app of the patient terminal. The medical staff viewer server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receive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and displays it in the medical staff viewer 22 . In additio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displays patient-derived health data an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o that it can be check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patient-derived health data are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viewer of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viewer 22 are display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interlocked with the medical viewer 22 can be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having the terminal server 3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respectively,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After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to determine whether the previously transmitted patient ID and the external ID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match, when the matching is complet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the viewer In a state where the provision subsystem 20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are blocked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block between the viewer provision subsystem 2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released an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The data for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for the medical staff viewer, and 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blocked,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and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The connection block at ( 20 ) is released, and patient-derived health data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to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server 21 . The data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stored in the server for medical personnel viewer and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server 21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are displayed on the medical viewer 22 . Her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dical viewer 22 is displayed as the medical terminal 11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are blocked from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respectively. . That i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staff viewer 22 to the medical staff display provid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in a pull method. In this way,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can eff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y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while maintaining an independent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에서는,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이 외부서비스인 환자 단말기용 서버 및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와 항상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이 외부서비스인 환자 단말기 및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와 차단된 상태에서,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의료진용 단말기(11)에서 환자 정보를 보고자 하면,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환자 단말기의 질환관리 앱을 통해 생성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의 정보를 풀(Pull) 방식으로 가져오기만 한다. 이때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서 환자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철저히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viewer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always blocked from the server for patient terminal and the server 21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which are external services. When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service,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server 21, to view patient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 receive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12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addition, information on patient-derived health data generated through the disease management app on the patient's terminal is imported in a pull method. At this time, data transmission from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to the patient terminal is thoroughly blocked.

나아가,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망과 분리되어 운영되며,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에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를 더욱 포함한다. 예를 들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을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과 각각 차단시킨 상태에서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기 송신한 환자 ID와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에서 기 송신한 외부 ID의 일치 여부를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구비된 인증 처리부에서 인증처리가 수행된 후 상기 일치여부가 인증처리에 의하여 완료되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는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 차단은 해제되고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의료진 뷰어용 서버로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가 송신되고, 다음으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의 연결은 차단된 상태에서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과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의 연결 차단은 해제되고 상기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에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의료진 뷰어용 서버에 저장된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 및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는 의료진용 뷰어(22)에 표시된다. 따라서,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는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수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의료인이 확인하기 쉬운 형태로 재배열되게 가공되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송신한다. 그러면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용 서버,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 등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외부 망과는 철저히 차단된 상태에서 의료진용 단말기(11)로 환자의 질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Furthermore, the viewer providing system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network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and a health care company server that receives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self-authentication procedure in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40) is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respectively, the patient ID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and After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ID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matches, if the match is complet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are blocked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block betwee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released, an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for the medical staff viewer Data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is blocked, while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and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re blocked. The connection block is released and patient-derived health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to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server 21 . The data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stored in the server for medical personnel viewer and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server 21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are displayed on the medical viewer 22 . Therefore,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transmit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to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after being rearranged in a form that is easy for medical personnel to check. The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with the medical terminal 11 in a state that is thoroughly blocked from the network outside the hospital that provides external services such as the terminal server used by the patient,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etc. .

도 4는 도 3의 보다 구체적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료진용 뷰어(22)는 EMR 데이터와 질환별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EMR 데이터는 질환별 선별 의료 데이터를 나타내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 저장된 환자의 질환별 선별 의료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질환별 데이터는 질환별 선별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나타내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 저장된 질환별 선별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Fig. 4 shows a more specific schematic view of Fig. 3; As shown in FIG. 4 , the medical viewer 22 may include EMR data and data for each disease. Here, the EMR data represents screening medical data for each disease, and displays the patient's screening medical data for each disease stor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 The disease-specific data represents health data derived from the selected disease-specific patient, and displays the disease-specific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

또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에서 수신된 가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의료진용 뷰어(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서 상기 가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에 기초하여 헬스케어와 관련된 서비스 질환 및 그에 따른 진료과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고, 환자 단말기의 질환 관리 앱(31)으로부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수집할 때, 표준화된 기준, 예를 들어 기설정된 건강 지표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고, 환자 단말기의 질환 관리 앱(31)에서 개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환자 단말기의 질환 관리 앱(31)에서 환자 본인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고, 환자 단말기의 질환 관리 앱(31)에서 데이터 전송 기관이 지정되면, 전송 권한의 부여에 의하여 상기 지정된 전송 기관의 인터넷 망을 통하여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displays the process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received from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through the medical viewer 22, where based on the process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health Care-related service diseases and corresponding departments are displayed separately, and when patient-derived health data is collected from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of the patient terminal, data is collected based on a standardized standard, for example, a preset health index. , store and manage personal data in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of the patient terminal, enable the patient's own data to be downloaded from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of the patient terminal, and enable the patient terminal's disease management app ( 31), when a data transmission institution is designat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f the designated transmission institution by granting the transmission authority.

특히,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질환별 데이터 규칙에 따라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의료진용 단말기(11)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에서 의료진용 뷰어(22)로 송신된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를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와 조합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EMR 데이터와 PGHD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In particular,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displays patient-derived health data according to the data rules for each disease at the request of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 and transfers it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to the medical staff viewer 22 . EMR data and PGHD data can be efficiently utilized by displaying the transmitte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in combination with patient-derived health data.

도 5는 질환 관리 앱(31)과 의료진용 뷰어(22)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21)를 이용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요구에 맞는 뷰어를 제공한다. 특히,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콘텐츠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환자의 질환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헬스 전문가의 뷰어를 제공하여, 헬스 데이터의 분석, 데이터 통합 분석 결과를 뷰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의료진용 뷰어(22)의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은 진료 정보용 서버를 더욱 구비하여, 복수의 의료진에 의하여 입력된 특정 질병에 대한 약물이나 치료 방법 등과 같은 정보를 공유하여 추가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의료진용 뷰어(22)에 표시되게 하여 질환별 확장도 가능하다.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and the medical viewer 22 are used. As shown in FIG. 5 ,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provides a viewer that meets the need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by using the server 21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 particular,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disease management of a patient in connection with a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may provide a viewer of a health expert, and may provide an analysis result of health data and an integrated data analysis result as a viewer. In additio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may build the data of the medical viewer 22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In additio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further includes a server for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nd by sharing information such as drugs or treatment methods for a specific disease input by a plurality of medical personnel, data necessary for additional medical treatment is recorded for medical personnel. By displaying it on the viewer 22, it is possible to expand by disease.

도 6은 도3의 의료진용 뷰어(22)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20)에 구비된 의료진용 뷰어(22)에 특정 환자에 대한 기검사 내역, 현재 검사 결과 등을 포함한 환자의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를 질환별로 표시하고, 해당 질환에 대응하는 진료과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displaying the medical viewer 22 of FIG. 3 . As shown in FIG. 6,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previous examination history, current examination results, etc. for a specific patient is displayed for each disease in the medical viewer 22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20,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for each department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도 7은 도 3의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이 직접적으로 병원에서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의료진이 진료하고자 할 때, 의료진은 진료 중에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12)로부터 수신된 EMR 에서 약제의 처방과 이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또한 의료진은 병원환자용 질환관리 앱을 확인한다. 여기서, 의료진용 뷰어(22)를 통하여 의료진용 단말기(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와 질환 관리 앱(31)을 통하여 얻어지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이다. 따라서, 의료진은 전자 의무 기록용 데이터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하고, 의료진용 뷰어(22)의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참고 자료로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인 진료 행위가 가능하게 된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medical viewer providing system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of FIG. 3 is directly applied in a hospital. As shown in FIG. 7 , when the medical staff intends to treat, the medical staff prescribes the medicine and confirms it in the EMR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12 during the medical treatment. Medical staff also check the disease management app for hospital patients. Her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through the medical staff viewer 22 is patient-derived health data obtained through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and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 Therefore, the medical staff use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as objective data for use in treatment, and utilize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of the medical staff viewer 22 as reference data to enable more active medical treatment.

도 8은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의료기관, 환자, 헬스케어 업체와 연동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10) 및 질환 관리 앱(31)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30)과 연결되어 해당 환자에 대한 통합 회원관리, 의료정보 가공,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헬스 케어 업체 서버(40)와 연결되어,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업체들의 의료정보 제공서비스가 병원과 연계되어 제공 가능하다. 즉, 환자가 진료를 받고 있는 의료기관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승인 하에서 타 의료기관과 의료 정보를 통하여 환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공공기관, 응급센터 등에도 확장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점을 갖는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linked with a medical institution, a patient, and a health care company. As shown in FIG. 8 , the medical viewer providing system is connected to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30 having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10 and the disease management app 31 to provide integrated member management and medical information for the patient. processing and service provision. Here, by being connected to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40, it is possible to provid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of various health care service companies in connection with the hospital. That is, it is not limited to the medical institution where the patient is receiving treatment, bu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extended services to companies, public institutions, emergency centers, etc. that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patients through other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information under the patient's approval. .

도 9는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적용한 진료 현장에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대부분의 진료현장에서 환자 단말기에 설치된 병원용 앱의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료진은 환자와 상담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이 적용되면, 의료진은 환자를 진찰할 때, 의료진용 단말기(11)에 디스플레이되는 EMR의 검사결과 추세를 근거로 하고, PGHD의 환자의 생활습관 추세를 참고하여, 치료현장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하게 된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in a medical treatment field to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is applied. In the existing method, as shown in FIG. 2 , in most medical sites, th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app installed on the patient terminal was not utilized at all, and the medical staff had no choice but to consult with the patient. However, as shown in FIG. 9 , when a medical viewer providing system for patient disease information is applied, when the medical staff examines the patient, based on the trend of the EMR test result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11, the PGHD By referring to the lifestyle trends of patients, it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fiel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is improved through a system that provides a medical viewer customized for each disease and department, and the patient can easily check his or her own health condition.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사용하여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사용하여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0 to 1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using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using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perso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 질환, 중독, 뇌졸증, 치매, 천식, 비만, 배뇨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환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 단계(S10);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질환관리 정보가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로 저장되는 제2 단계(S20);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로부터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제3 단계(S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0, the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ncer, chronic disease, number-type questionnaire,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A first step (S10) in which any one or two or mor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obesity and urination is recorded; a second step (S20) of storing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as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A third step (S30) of receiving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viewer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are blocked; include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3 단계(R23)에서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의 인증 처리부에 의하여 행해지고,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환자 ID 와 단말기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외부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후,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은 연결되어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풀(pull) 방식으로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11 ,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terminal in the third step (R23) is specifically performed by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This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blocked from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respectivel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patient ID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and the terminal server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to check whether the external ID matches,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connected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is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display provid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 a pull method. .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헬스 케어 업체 서버에 의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R12)로서, 헬스 케어 업체 서버는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 연계되고,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서 관리되는 가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는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이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구비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송신된다. As shown in FIG. 12 , the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R12) of providing information by a healthcare provider server, wherein the healthcare provider server transmits patient-derived health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erver. The process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linked to a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that analyzes and stores data as big data, and managed by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is proc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re blocked from each other.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또한,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은, 빅데이터부, 인공지능 학습부, 인공지능 분석부, 인공지능 예측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부를 구비하여 빅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하며, 환자의 건강 및 질환 상태를 예측한다. 여기서, 인공지능 학습부는 빅데이터부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학습한다. 환자의 건강 및 질환 상태에 관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부에 의해 학습된다. 인공지능 분석부는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에서 학습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인공지능 분석부는 환자의 건강 및 질환의 양호, 보통, 비정상인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분석부는 환자 단말기에서 송신된 각 질환에 관련된 수치를 상관 분석하여 오차를 확인하고 시계열적인 오차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인공지능 분석부는 분석하고 예측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 예측부는 상기 인공지능 분석부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 및 질환의 양호, 보통, 비정상인 상태에 대해 예측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예측부는 인공지능 학습부의 학습에 의해 학습되고 인공지능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의 추세를 판단하여 예측을 하게 된다. 인공지능 예측부는 시계열 판단부를 통하여 환자의 건강 및 질환 수치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예를 들어 시간경과에 따른 수치 변화가 비정상적인 영역에 해당되면, 상기 모니터링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건강 및 질환 수치가 비정상 영역으로 판단하고, 뷰어 제공 시스템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여 효과적으로 향후 발생할 가능성 있는 환자의 상태를 병원시스템에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ncluding a big data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unit to digitize big data to analyze and predict patient-derived health data, Predict the patient's health and disease state. 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nit learns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big data unit. Big data about the patient's health and disease state is lear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analyzes the data lear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may analyze good, normal, and abnormal states of the patient's health and disease.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correlates the numerical values related to each disease transmitted from the patient terminal to check the error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error in time seri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can quantify and visualize the analyzed and predicted data by scor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unit may predict good, normal, and abnormal states of the patient's health and disease based on the data analyz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That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unit is learned by the lear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nit and predicts by judging the trend of the data analyz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unit monitors the change in the patient's health and disease values through the time series determination unit, and, for example, if the numerical change over time falls within an abnormal area, the health and disease value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monitore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area, and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viewer providing system, it can effectively inform the hospital system of the patient's condition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도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 질환, 중독, 뇌졸증, 치매, 천식, 비만, 배뇨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환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단계(T12A)를 포함하여 보다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충실하게 활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3, the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ncer, chronic disease, number-type questionnaire,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obesity, urination Including a step (T12A) in which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can be utilized more faithfully.

도 1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질환관리 정보 중에서 특히 배뇨 질환에 관한 정보이며, 배뇨 질환에 대한 배뇨일지 및 배뇨설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전송되는 단계(T12A)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 the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about a urination disease among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a voiding diary and a urination questionnaire for a voiding disease is recorded and transmitted. (T12A).

종래의 종이형태의 배뇨일지 입력양식을 모바일 입력방식으로 변경하고, 모바일을 통한 배뇨일지 정보를 의료시스템과 연계하여 진료의 효율성은 향상될 수 있다. 환자에 의하여 배뇨일지 및 배뇨설문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용 서버에 입력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의료진용 뷰어를 통하여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By changing the conventional paper-type urination diary input form to a mobile input method, and linking urination diary information through mobile with the medical system, the efficiency of treatment can be improved. Information on the urination diary and urination questionnaire by the patient is input to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be displayed on the medical display through the medical viewer.

여기서, 단말기용 서버에는 배노일지 관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뇨일지 관리부는 배뇨일지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배뇨일지 처리부; 배뇨설문이 기록되어 저장되는 배뇨설문 처리부; 상기 배뇨일지 처리부 및 상기 배뇨설문 처리부에서 저장되고 처리된 정보의 통계 처리가 수행되고,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로 통계 처리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통계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계 처리된 데이터는 배뇨 시간별 배뇨량, 요절박, 요실금, 취침중 배뇨여부, 총 증상점수, 생활불편 점수, 평균 배뇨량, 배뇨횟수, 주된 증상, 판독 결과, 동반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는 배뇨일지 권유 설명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의료진에 의한 복수의 음성 및 자막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음성 및 자막의 어느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면, 배뇨일지 권유 설명이 선택된 음성 및 자막으로 환자 단말기의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환자에 의하여 선택된 담당 의료진으로부터 배뇨일지에 대한 필요성과 구체적인 설명을 반복하여 들을 수 있어 보다 심도 있는 배뇨일지 작성에 대한 준비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는 배뇨일지의 작성을 위한 동영상이 저장된 배뇨일지 작성 설명부를 더욱 구비하여 사용자인 환자는 상기 동영상을 청취함으로써, 배뇨일지 작성시 유의점을 반복적으로 학습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배뇨일지의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Here, the server for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voiding log management unit, the urination log management unit includes a urination log processing unit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urination log; Urination questionnaire processing unit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urination questionnaire; and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stored and processed by the urination log processing unit and the urination questionnaire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tatistically processed data to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The statistically processed data may include urination amount by urination time, urgency, incontinence, urination at bedtime, total symptom score, living discomfort score, average urination amount, frequency of urination, main symptoms, reading results, and accompanying disease information. The server for the terminal includes a urination diary recommendation explanatory unit to sto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voices and subtitles by a plurality of medical staff,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oices and subtitles is selected, the urination diary recommendation explanation is selected The audio and subtitles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display of the patient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hear the necessity and detailed explanation of the need for a urination diary from the medical staff selected by the patient, so that the preparation or importance of making a urination diary in more depth can be recognized. In addition, the server for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urination diary creation explanatory unit in which a video for creating a urination diary is stored, so that the patient who is a user listens to the video, thereby repeatedly learning points to keep in mind when creating a urination diary. Can help with writing.

상술한 바는 배뇨일지에 관한 구체적인 구현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 질환, 중독, 뇌졸증, 치매, 천식, 비만, 배뇨 등의 건강 및 질환에 대하여도 적용가능하며, 환자에게 맞는 건강 및 질환 정보를 환자 단말기를 통한 질환 관리앱의 입력 데이터를 선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의료진용 뷰어를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above-mentioned bar describes a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related to a urination diary as an example, cancer, chronic disease, number-type questionnaire,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obesity, urination, etc. It can also be applied to health and disease, and by selecting the input data of the disease management app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the health and diseas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patient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using the medical view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여러 질환별, 진료과별 맞춤형 의료진 뷰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체크하여 의료진은 개별 환자에 대하여 건강 상황을 보다 면밀하게 체크하면서 진료 행위를 할 수 있어 EMR 데이터에 의한 객관적인 자료와 함께 환자유래 건강데이터(PGHD)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정밀의료가 결합된 진료과별 질환서비스, 정보보호/보안에 대한 방안제시, 병원특성을 반영한 업무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선 도입하고, 경험 및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가 의료 정책을 선도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treatment is improved through a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medical viewer for each disease and each department, and the patient himself/herself can easily check his or her health condition. Medical staff can conduct medical treatment while checking the health status of individual patients more closely, so they can actively use patient-derived health data (PGHD) along with objective data based on EMR dat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suggesting measures for disease service by department, information protection/security combined with precision medicine. In addition, mobile services for patients can be introduced in the hospital in advance, and experience and know-how can be accumulated.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uild a platform that will lead the national medical policy by providing medical service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take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6)

의료진용 단말기 및 전자 의무 기록(EMR)용 서버를 구비하는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단말기용 서버, 질환 관리 앱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PGHD)를 저장하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및 전자 의무 기록의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는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의료진용 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having a terminal for medical personnel and a server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 server for a terminal, a patient terminal subsystem having a disease management app;
It includes; a viewer providing subsystem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that store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PGH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nd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an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re stored in the terminal for medical staff. A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dical viewer for displaying on the provided medical display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는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 연동되어,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및 상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로부터 송신된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를 나타내며, 또한 상기 의료진용 뷰어는 화면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와 상기 환자 질환정보 데이터의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관한 질환 및 건강 정보에 대한 정상 여부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viewer is linked to the medical terminal, and displays patient-derived health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and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medical terminal. The medical viewer includes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wherein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informs whether the disease and health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and the patient disease information data are included in a preset range are normal. A viewer providing system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의 망과 분리되어 운영되며, 상기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에 연계되며,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상기 단말기용 서버로부터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케어 업체 서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헬스 케어 업체 서버는 데이터 체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체크부는 상기 수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ealth care company server that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network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is linked to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and receives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through a self-authentication procedure, ,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includes a data check unit, and the data check unit processes the receiv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formation to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의 환자 질환정보의 의료진용 뷰어 제공시스템을 사용하여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 질환, 중독, 뇌졸증, 치매, 천식, 비만, 배뇨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질환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 단계(S10);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질환관리 정보가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로 저장되는 제2 단계(S20);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저장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로부터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제3 단계(S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
It is a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using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of patient disease informa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3,
Cancer, chronic disease, number-type questionnaire, depression, ADHD, schizophrenia, cardiovascular disease, addiction, stroke, dementia, asthma, obesity, urination in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ny one or two or mor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first step (S10);
a second step (S20) of storing the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as patient-derived health data in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A third step (S30) of receiving patient-derived health data stored in the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viewer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patient terminal subsystem are blocked; A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compri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상기 의료진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의 인증 처리부에 의하여 행해지고,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각각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전자 의무 기록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환자 ID 와 단말기용 서버에서 기송신된 외부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후,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풀(pull) 방식으로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third step, the step of receiving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is performed by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of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configured with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nd a patient terminal subsystem, respectively. In the blocked state,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confirms whether the patient ID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rver and the external I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erver match, and the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s a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Method of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is displayed on a medical display provided in the medical terminal in a pull (pull) metho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업체 서버는 상기 단말기용 서버에서 송신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 연계되고,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 모듈에서 관리되는 가공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는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 및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이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뷰어 제공 서브 시스템에 구비된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용 서버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진용 뷰어를 제공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lth care company server is linked to a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that analyzes and stores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for the terminal as big data, and the processed patient-derived health data managed by the patient-derived health data module is A method for providing a viewer for medical staff,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ubsystem are transmitted to a server for patient-derived health data provided in the viewer providing subsystem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blocked from each other.
KR1020210134683A 2020-12-16 2021-10-12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KR1026103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5986 2020-12-16
KR1020200175986 2020-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68A true KR20220086468A (en) 2022-06-23
KR102610303B1 KR102610303B1 (en) 2023-12-14

Family

ID=8222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683A KR102610303B1 (en) 2020-12-16 2021-10-12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0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3253A (en) * 2011-09-26 2013-04-22 Kyoto Univ Patient-derived information system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US20150294069A1 (en) * 2014-04-14 2015-10-15 Netspective Communications Llc Multi-source patient generated healthcare data integration in a transactional system
KR101561242B1 (en) 2013-12-23 2015-10-19 (주)솔트웍스 Integration System for Medical systems for the hospitals and method thereof, Utilization services support system of Integration System for Medical systems for the hospital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3253A (en) * 2011-09-26 2013-04-22 Kyoto Univ Patient-derived information system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KR101561242B1 (en) 2013-12-23 2015-10-19 (주)솔트웍스 Integration System for Medical systems for the hospitals and method thereof, Utilization services support system of Integration System for Medical systems for the hospitals and method thereof
US20150294069A1 (en) * 2014-04-14 2015-10-15 Netspective Communications Llc Multi-source patient generated healthcare data integration in a transaction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303B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7247A1 (en) Preventive and predictive health platform
US8260635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KR102144532B1 (en) Method for operating connected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US20180233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and information regarding and/or obtained with or from electronic interactive activity, information, content, or media
US20110301976A1 (en) Medical histor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201601255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f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Schlachta-Fairchild et al. Patient safety, telenursing, and telehealth
US20080183504A1 (en) Point-of-care information entry
US20090070146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release of data
US20080052129A1 (en) Medical information searching and indexing method and system
WO2007014307A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US20110225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nd Maintaining Personal Health Care Records
CN109478425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full point Telemedicine Consultation on demand
US20120278100A1 (en) Remote, Adjunct, Credentialed Provider-Directed Healthcare Systems and Methods
Wilson et al. Mapping the Potential of eHealth: Empowering the Citizen through eHealth Tools and Services. Research Report presented at the eHealth Conference, Cork, Ireland, 5-6 May 2004
Frisbee Variations in the use of mHealth tools: the VA mobile health study
US79962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healthcare alerts
Ahmadinia et al. E-health services and devices: Availability, merits, and barriers-with some examples from Finland
Simon Responding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during telehealth clinical encounters
US20150213219A1 (en) System and method of remotely obtaining and recording healthcare codes via a dynamic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AU2021100430A4 (en) Blockchain: Health Care Information Exchange using Blockchain- Based Technology
Milenković et al. Electronic health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to the health system of the Republic of Serbia
McEachern et al. Digital health services and digital identity in Alberta
Stephenson Report dissects fraud risk in telehealth services billed to Medicare
KR102610303B1 (en)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taff viewers of patient-derived diseas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