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12A -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 Google Patents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12A
KR20220084912A KR1020200174863A KR20200174863A KR20220084912A KR 20220084912 A KR20220084912 A KR 20220084912A KR 1020200174863 A KR1020200174863 A KR 1020200174863A KR 20200174863 A KR20200174863 A KR 20200174863A KR 20220084912 A KR20220084912 A KR 2022008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control
pulley part
stat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2766B1 (en
Inventor
양운제
원종석
공덕유
김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Priority to KR102020017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766B1/en
Priority to PCT/KR2021/016406 priority patent/WO2022131556A1/en
Publication of KR2022008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61B2034/715Cable tensioning mechanisms for removing sl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bo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하중 발생시에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탈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더불어 와이어의 견인력이 달라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를 구동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구동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장력을 1차적으로 보정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의 장력을 2차적으로 보정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for preventing a wire from breaking out from a pulley when a high load is generated and correcting a change in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 To this end, a driving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drive a wire that adjus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a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a wire Wire tension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ide area of the body to secondary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A control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Wire tens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하중 발생시에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탈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더불어 와이어의 견인력이 달라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for preventing a wire from breaking out from a pulley when a high load is generated and correcting a change in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 장력조절장치(10)는 몸체 내측에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a,12b)를 포함하여 와이어를 구동한다.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도면 미도시)가 구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수술도구(30)에 높은 하중이 발생하면 와이어(20)가 늘어날 수 있으며, 와이어(20)의 상태변환에 따라 와이어가 풀리 경로를 이탈하거나 또는 원하는 견인력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수술도구(30)의 위치제어 또는 방향제어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onventional wire tensioning device 10 includes a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 and first and second tensioning fixed pulley parts 12a and 12b inside the body to drive the wire. do. When the motor unit (not shown) driven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driven,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unit 11 rotates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therewith. At this time, when a high load is generated on the surgical tool 30, the wire 20 may be stretched, and depending on the state change of the wire 20, the wire may deviate from the pulley path or a desired traction force may not be generat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control or direction control of the surgical tool 30 may not be smooth.

JP 2008-212451JP 2008-212451 JP 2006-61364JP 2006-61364 JP 2002-200092JP 2002-200092 JP 2002-200091JP 2002-200091 KR 10-1703885KR 10-1703885 KR 10-1454322KR 10-1454322 KR 10-1126288KR 10-1126288 KR 10-0974464KR 10-0974464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술도구에 높은 하중이 발생하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와이어에 상태 변화가 발생할 때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함으로써 수술도구의 위치제어 및 방향제어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correct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when a high load occurs on the surgical tool or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wire occurs due to long-term use, position control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capable of smooth control.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를 구동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구동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장력을 1차적으로 보정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의 장력을 2차적으로 보정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drive the wi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the tension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ide area of the body to secondary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ire tension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또한, 구동 고정 풀리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몸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fixed pulley unit, th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unit,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body along the path of the wire.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각각의 풀리가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by each pulley being supported by the wire by an elastic force.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에 탄성 지지되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탄성에 의해 위치 이동함으로써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는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가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함께 와이어에 탄성 지지되는 제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견인력을 보정 또는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for correcting the traction of the wire by moving the position by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state of the wire By including a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wire together with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so that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can m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traction force is correct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또한,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의 신장시에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고,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elastically moves to approach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when the wire is stretched, and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the first and third tension The elastic position moves away from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adjustable floating pulley part.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일체로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are integrally moved along the path of the wire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일체로 이동할 때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move integrally along the path of the wire, it further includes a movement limiter for limi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3 위치이동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ulley part floating, arrang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the wi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 so as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ly arrang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ire tension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또한, 제1,2,3 위치이동 풀리부가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s are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by being supported on the wire by elastic force.

또한, 제1,3 위치이동 풀리부가 위치 이동하는 제1 방향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는 방향이고, 제2 위치이동 풀리부가 위치 이동하는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도록 하는 방향이다.In additio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shifting pulleys position and move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and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moves positionally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elastic force This is the direction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또한, 제2 위치이동 풀리부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2 위치이동 풀리부의 탄성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와 함께 일체로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s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elastic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또한, 제2 위치이동 풀리부는 와이어의 신장시에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고,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elastically moves so as to approach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 pulleys when the wire is stretched, and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 pulleys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It moves elastically away from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negative axis.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를 구동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구동 고정 풀리부,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지지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면서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drive a wi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surgical tool, a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at least one of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the fixed pulley part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ire tension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is connected to a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a distance adjusted,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supported by a wire to be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또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와이어에 지지되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와이어에 지지되는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connected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and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to be distance adjusted and supported on the wire. It includes a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또한,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 조절되어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is adjusted relative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by positional movement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reby correct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또한,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의 신장시에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고,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when the wire is stretched, and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The position is moved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close to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control pulley part.

또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제1 수평 거리 조절부,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제2 수평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horizontal distance adjustment unit, a first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ortion and a secon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ortion for connecting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ortion and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ortion to be distanc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are wire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 connected to adjust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또한,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와 제2 위치이동 풀리부의 와이어 지지면은 제1 위치이동 풀리부의 와이어 지지 면과 서로 대향하는 면이다.In addition, the wire support surface of the variable position fixed pulley part and the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part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wir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 shift pulley part.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지지된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를 따라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를 따라 제1 위치이동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so that the fixed position can be changed, and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so as to move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along the wire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position shifting pulley portion disposed, a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ortion floatingly arranged to move to the rear of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along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ire tension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또한,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1,2 위치이동 풀리부는 동시에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되거나 또는 제1,2 위치이동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to adjust the distance, o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parts is The position is moved to the rear of the variable-position fixed pulley part to adjust the distanc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의 장력을 보정할 수 있는 플로팅 풀리를 조립 후에 배치하거나 플로팅 풀리의 수량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ating pulley capable of correcting the tension of the wire can be arranged after assembly or the quantity of the floating pulley can be easily ad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팅 풀리의 수량 증가에 따라 와이어의 늘어난 변위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efficiently compensate for the increased displacement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floating pulle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팅 풀리의 직경을 와이어 장력조절장치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늘어난 변위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compensate the increased displacemen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floating pulle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의 고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견인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립 후에도 상기 풀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nsion (traction force) of the wire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of the pulley can be changed even after assembl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플로팅 풀리를 탄성 고정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풀림 또는 신장시에 플로팅 풀리가 탄성 이동되어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로팅 풀리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위치이동 풀리부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상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2 위치이동 풀리부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상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view showing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oating pulley is elastically fixed using a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oating pulley is elastically moved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unwound or stretch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floating pulley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6 is a view showing a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o compensate for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o compensate for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reasonab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the prior art and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Example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견인력에 의해 수술도구(30, 엔드이펙트)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100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30 (end effect) by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20 as shown in FIGS. 2 to 5 . It is a device to control.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100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 도시된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100)는 와이어(20)를 사용하는 초소형 수술도구, 유연 수술도구 또는 리지드 수술도구에 사용될 수 있다. 몸체(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각종 풀리가 포함될 수 있다. 몸체(101)로부터 연장되는 튜브(102)는 리지드 타입 또는 유연한 타입 등 다양할 수 있다. 유연한 타입은 일예로서 오버튜브일 수 있다.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100 for a surgical tool shown in FIG. 2 may be used for a micro-small surgical tool, a flexible surgical tool, or a rigid surgical tool using the wire 20 . Various pulley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cluded inside the body 101 . The tube 102 extending from the body 101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rigid type or a flexible type. The flexible type may be, for example, an overtube.

몸체(101)의 내측에는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가 배치 고정된다.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한다.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의 제1 방향(시계방향) 또는 제2 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와이어(20)가 와이어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한다. 와이어(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수술도구(30)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된다. 제2 구동 고정 풀리부(110b)는 튜브(102)의 단부측 영역에 배치된다.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와이어(20)가 제1,2 구동 고정 풀리부(110a,110b) 사이를 와이어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한다.A first driving fixed pulley portion 110a is disposed and fixed inside the body 101 .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rotates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not shown). The wire 20 shown in FIG. 2 moves along the wire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in the first direction (clockwise) or in the second direction (counterclockwis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30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wire 20 . The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ortion 110b is disposed in an end-side region of the tube 102 . When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rotates, the wire 20 moves along the wire pa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s 110a and 110b accordingly.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는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 고정된다.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는 와이어(20)의 장력을 1차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다만,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는 와이어(20)의 슬립 방지 또는 정확한 견인력 전달을 위해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장력을 1차적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와이어의 슬립은 일예로서 풀리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20)가 움직이지 않고 풀리만 헛도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는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와 서로 크로스 되도록 와이어(20)가 걸려 있으나 꼭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의 개수도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are disposed and fixed to be closest to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may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20 .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may be disposed to prevent slipping of the wire 20 or to transmit accurate traction force, and may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if necessary. The slip of the wire may mean, for example, that the wire 20 does not move and only the pulley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ley.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shown in FIG. 2 are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and the wire 20 are hung to cross each other,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method. Also, the first ,2 The number of th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를 포함하며,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의 장력을 2차적으로 보정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제1,2 구동 고정 풀리부(110a,110b) 후단에 배치된다. 즉, 제1 구동 고정 풀리부(110a),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121,122), 및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 순으로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몸체(101) 내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구동 고정 풀리부(121,122)가 1차적으로 와이어의 장력을 보정하지 않으면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 133)가 와이어의 장력을 보정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133 ,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 the body to compensate the tension of the wire secondary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It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s 110a and 110b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ide region of the . That is, the body 101 along the path of the wire in the order of the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a,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132, 133. ) are sequentially arranged inside. 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s 121 and 122 do not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133 ma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는 각각의 풀리가 후술하는 판스프링 또는 토셔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20)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상태는 풀리가 몸체(101)의 일면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지 않고 와이어에 탄성 지지되는 프리 상태를 의미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and 133 are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by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20 by the elastic force of a leaf spring or torsional sp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each pulley. The flo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ree state in which the pulley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wir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ody 101 using a fixing means.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는 플로팅 상태로 와이어(20)에 탄성 지지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and 133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20 in a floating state.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의 후단에 일정 거리 떨어져 플로팅 상태로 배치되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탄성에 의해 위치 이동함으로써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다.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는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3)의 사이 공간에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탄성 기준점을 기준으로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f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is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at a distance away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1, and corrects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moving the position by elasticity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wire. .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is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and 133 . 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 132 may move in the f 1 direction based on the wire elasticity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제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3)는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의 후단에 일정 거리 떨어져 플로팅 상태로 배치되며,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와 함께 탄성 지지의 기준이 된다.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3)의 와이어 탄성 기준점을 기준으로 와이어의 신장시에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f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이때, 와이어 탄성 기준점은 도 2 상태에서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플리부(131)와 제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3)의 사이 공간에 마련된 와이어(20)의 어느 일 지점일 수 있다.The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3 is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and the standard of elastic support together with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1 is do. When the wire is stretched based on the wire elastic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and 133,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moves in the f 1 direction. In this case, the wire elastic reference point may be any one point of the wire 20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1 and the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3 in the state of FIG. 2 .

상술한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는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의 상태는 일예로서 와이어의 신장(제1 와이어 상태) 또는 와이어의 회복(제2 와이어 상태)일 수 있다. 수술도구(30)에 높은 하중이 발행하면 와이어(20)가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가 풀리에서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도 4와 같이 위치 이동하여 와이어(20)의 장력을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상태는 와이어가 제1 와이어 상태에서 회복하거나(엔드 이펙트에서 가해진 높은 하중이 사라짐) 또는 와이어(20) 이외의 다양한 수술기구의 환경조건 변경에 따라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도 2와 같이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131 , 132 , and 133 may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 In this case, the state of the wire may be, for example, elongation of the wire (state of the first wire) or recovery of the wire (state of the second wire). When a high load is issued to the surgical tool 30, the wire 20 may be stretched, and accordingly,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the wire detaching from the pulley. In order to prevent such a state,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 may be moved as shown in FIG. 4 to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20 . The second wire state is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 132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other than the wire 20 or the wire recovers from the first wire state (the high load applied from the end effect disappears) or the wire 20 means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2 .

상술한 제1 와이어 상태는 와이어의 신장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와이어(20)가 외부 요인에 의해 견인력이 줄어드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력을 회복하기 위해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가 이러한 견인력을 보정할 수 있다. 견인력이 줄어든 상태를 벗어나 견인력이 회복된 정상상태로 돌아오면 즉, 제2 와이어 상태일 때에는 다시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도 2와 같이 원위치로 위치 이동한다.The first wire state described abov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20 is reduced due to external factors as well as the extension of the wire. Therefore, in order to recover the traction force,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133 may correct the traction force. When the traction force is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traction force is restored out of the reduced state, that is, in the second wire state, 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 132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2 .

상술한,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나, 필요에 따라 와이어의 후퇴 경로 상에 추가적으로 더 배치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132, and 133 are dispo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wire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tracting path of the wire if necessary.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는 와이어(20)의 신장시에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와이어 탄성 기준점(또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 위치 이동한다.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3)의 축 선을 연결하는 와이어 탄성 기준점(또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한다.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moves elastically so as to approach the elastic reference point (or imaginary horizontal line) of the wir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when the wire 20 is stretched.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the elastic position moves away from the elastic reference point (or imaginary horizontal line) of the wir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and 133 .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는 와이어의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의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일체로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일예로서 도 4와 같이 와이어의 제1 상태에 따라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가 기준 위치에서 탄성 위치 이동하며, 도 4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환경의 변화나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다시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가 도 5와 같이 P3만큼 일체로 위치 이동한다.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의 기준 위치에서 외부 환경의 변화나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만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132 and 133 are integrally formed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of the wire. move along the path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 moves elasticall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tate of the wire,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state of the wir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FIG. 4 . Aga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132 and 133 move integrally by P3 as shown in FIG. 5 .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131 , 132 , and 133 shown in FIG. 2 may be integrally mov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state of the wir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판스프링(134a,134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의 축 상에 끼움 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판스프링(134a,134b)의 탄성력에 의해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 각각은 와이어(2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2)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 탄성 기준점으로 다가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거나 또는 와이어의 상태 회복에 따라 와이어 탄성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도록(즉, 기준 위치로 위치 이동) 탄성 위치 이동한다. 각각의 풀리(131,132,133)의 서로 간에 떨어진 이격 거리는 판스프링(134a,134b)의 거리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are fitted on the shaf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s 131, 132, and 133 as shown in FIG. 3 to provide elastic force.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131 , 132 , and 133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In addition,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132 moves elastically to approach the wire elastic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or moves away from the wire elastic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recovery of the state of the wire (ie, moves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elastic position moves. The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of the respective pulleys 131 , 132 , and 133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판스프링(134a,134b)은 일예로서 토셔널 스프링 등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체적인 구현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may use various specific implementation means capable of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as a torsional spring, for example.

이동 제한부(141,142)는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일체로 이동할 때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The movement limiting units 141 and 142 limit the range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131 , 132 , and 133 move integrally along the path of the wir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제1,2,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131,132,133)와 다른 예로서 제1,2,3 위치이동 풀리부(131,132,13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100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fferent example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s 131, 132, 133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movement pulleys It may include parts 131 , 132 , and 133 .

제1 위치이동 풀리부(131)는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된다. 제3 위치이동 풀리부(133)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된다. 제1 방향은 도 2를 참조하면, P1 또는 P2 방향일 수 있다. 물론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도 제1,3 위치이동 풀리부(131,133)와 함께 일체로 P1 또는 P2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1 is arranged to float so a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The thir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3 is arranged to be floating so a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P 1 or P 2 direction. Of course,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132 may also move in the P 1 or P 2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131 and 133 .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는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된다. 이때, 제2 방향은 도 2를 참조하면 f1 방향으로서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는 와이어의 상태가 복원되거나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기준 위치로 판스프링(134a,134b)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위치 이동할 수 있다.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위치 이동하는 방향은 f1 방향과 반대방향이다.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132 is arranged to float so as to move elastically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s an f 1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132 may be elastically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to the reference position by the state of the wire or by external conditions. The direction of elastic position movemen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is opposite to the f 1 direction.

제1,2,3 위치이동 풀리부(131,132,133)는 판스프링(134a,134b)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20)에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 제1,3 위치이동 풀리부(131,133)가 위치 이동하는 제1 방향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는 수평방향일 수 있고,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3)가 위치 이동하는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도록 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s 131 , 132 , and 133 are supported by the wire 20 by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s 134a and 134b and are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 pulley parts 131 and 133 move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and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part 133 moves is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a direction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an elastic force or a restoring force.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는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의 탄성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제1,3 위치이동 풀리부(131,133)와 함께 일체로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제2 위치이동 풀리부(132)는 와이어의 신장시에 도 2를 기준으로 제1,3 위치이동 풀리부(131,133)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력에 의해 탄성 위치 이동하고,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제1,3 위치이동 풀리부(131,133)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복원력에 의해 탄성 위치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132 maintains or changes the elastic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part 132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131 and 133 ) and may be integral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2 moves elastically by an elastic force so as to approach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 pulley parts 131 and 133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wire is stretched. ,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s 131 and 133 are moved elastically by the restoring force so as to move away from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200)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1,2 구동 고정 풀리부(210a,210b), 제1,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21,222)를 포함하며, 각 부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200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first and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s 210a and 210b,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ing fixed pulley parts (221,222), and description of each part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탄성 지지된다. 즉,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는 위치가변 조절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위치 이동된 지점에서 고정된다.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때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의 이동 기준점이 된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를 이동 기준점으로 삼아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위치가변 조절부(도면 미도시)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위치 변경된 지점에서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의 고정 위치를 위치 조정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견인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3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so that the fixed position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 6 . That is,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unit 231 may be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by the position-variable adjustment unit (not shown), and is fixed at the position-moved point.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is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whe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move horizontally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becomes the reference point. That is, referring to FIGS. 6 and 7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uses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as a movement reference point to be relatively dependent on the state of the wire 20 .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ariable-position adjustment unit (not shown) allows the position of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ing pulley part 231 to be changed, and to be able to fix the position at the changed position.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ension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xed position of the variable-position tension control pulley part 231 described above.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는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면서 몸체(201)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 즉,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는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나 가변된 위치에서 다시 고정되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는 플로팅 상태로 와이어에 지지된다.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 중 어느 하나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와 와이어의 경로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또한 와이어(20)에 지지됨으로써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233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s 231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area of the body 201 . It is plac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it. That is,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can change its position, but is fixed again at the changed position,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233 are supported on the wire in a floating stat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233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and the distance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path direction of the wire, and is supported by the wire 20 so as to be placed in a floating state do.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는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233 includes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와 이동 기준점(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을 기준으로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와이어(20)에 플로팅 상태로 지지된다.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 232 is a distance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based on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31 and the moving reference point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31). It is connected to be adjusted and support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wire 20 .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3)는 이동 기준점(이때의 이동 기준점은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이거나 또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일 수 있음)을 기준으로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플로팅 상태로 지지된다.The secon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 233 is a movement reference point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at this time may be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ortion 231 or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ortion 232) of the wire based on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 232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and is support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wire.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20)의 신장시에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 조절되어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를 기준으로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3)가 P4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를 기준으로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가 P5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동일한 원리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를 기준으로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가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일체로 와이어의 경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is adjusted relative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by moving the position along the path of the wire when the wire 20 is stretched. Correct the traction of the wire. That is,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based on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shown in FIG. 6 ,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233 moves in the P 4 direction. move posi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based on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shown in FIG. 6 ,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are P 5 position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232 may mo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based on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in the same principl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path of the wire either at one time or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wire.

따라서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와이어의 신장시에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다. 또한,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한다.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is moved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fa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when the wire is stretched. correct the traction of In addition,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is corrected by moving the position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close to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control pulley part 231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제1 수평 거리 조절부(234a)는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와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를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20)의 경로를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한다. 제2 수평 거리 조절부(234b)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와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3)를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한다. 제1,2 수평 거리 조절부(234a,234b)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수평 거리 조절부(234a,234b)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면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 및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는 와이어(20)에 플로팅 상태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distance control unit 234a connects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231 and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232 to adjust the distance along the path of the wire 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 The second horizontal distance control unit 234b connects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232 and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233 to adjust the distance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s 234a and 234b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Whe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s 234a and 234b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unit 231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units 232 and 233 are elastically support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wire 20 . can be

상술한 제1,2 실시예에서 제1 풀리(131,231)와 제3 풀리(231,233)의 와이어 지지 면과 제2 풀리(132,232)의 와이어 지지면은 서로 반대 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wire support surfaces of the first pulleys 131,231 and the third pulleys 231,233 and the wire support surfaces of the second pulleys 132 and 232 are preferably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231) 및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232,233)와 다른 예로서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231) 및 제1,2 위치이동 풀리부(232,23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200 for a 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fferent example from the previously described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31 and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ment floating pulley parts (232, 233). It may include a variable-position fixed pulley portion 231 and first and second position-movable pulley portions 232 and 233 .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231)는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와이어(20)에 지지된다. The variable-position fixing pulley part 231 is supported on the wire 20 so that the fixed position can be changed.

제1 위치이동 풀리부(232)는 와이어(20)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를 따라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231)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와이어에 지지되면서 플로팅 배치된다.The first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232 is arranged float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wire so as to move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231 along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20 .

제2 위치이동 풀리부(233)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를 따라 제1 위치이동 풀리부(232)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와이어에 지지되면서 플로팅 배치된다.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233 is arranged float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wire so as to move to the rear of the first shifting pulley part 232 along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제1,2 위치이동 풀리부(232,233)는 동시에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231)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되거나 또는 제1,2 위치이동 풀리부(232,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231)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된다.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232 and 233 ar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231 to adjust the distance or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 pulleys At least one of the parts 232 and 233 is moved to the rear of the variable-position fixed pulley part 231 to adjust the distanc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will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nents not described herein may be ad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par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any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more subdivided.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a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 : 와이어 장력조절장치
11 : 제1 구동 고정 풀리부
12a : 제1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12b : 제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13 : 제2 구동 고정 풀리부
20 : 와이어
30 : 수술도구 또는 엔드 이펙트
100 : 와이어 장력조절장치
101 : 몸체
102 : 튜브
110a : 제1 구동 고정 풀리부
110b : 제2 구동 고정 풀리부
121 : 제1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122 : 제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131 :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또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132, 132' :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또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
133 : 제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또는 제3 위치이동 풀리부
134a : 제1 탄성 위치 조절부(또는 판스프링)
134b : 제2 탄성 위치 조절부(또는 판스프링)
141 : 제1 이동 제한부
142 : 제2 이동 제한부
200 : 와이어 장력조절장치
201 : 몸체
210a : 제1 구동 고정 풀리부
210b : 제2 구동 고정 풀리부
221 : 제1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222 : 제2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231 :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또는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
232 :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또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233 :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또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
234a : 제1 수평 거리 조절부(또는 제1 탄성체)
234b : 제2 수평 거리 조절부(또는 제2 탄성체)
10: wire tension control device
11: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2a: first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12b: second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13: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
20: wire
30: surgical tool or end effect
100: wire tension control device
101: body
102: tube
110a: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110b: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
121: first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122: second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131: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or first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2, 132':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or secon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3: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or thir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134a: first elastic position adjustment unit (or leaf spring)
134b: second elastic position adjustment unit (or leaf spring)
141: first movement limiter
142: second movement limiter
200: wire tension control device
201: body
210a: first driving fixed pulley part
210b: second driving fixed pulley part
221: first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22: second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231: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or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232: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or first position moving pulley part
233: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or secon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234a: first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 (or first elastic body)
234b: second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 (or second elastic body)

Claims (21)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를 구동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구동 고정 풀리부,
와이어의 장력을 1차적으로 보정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와이어의 장력을 2차적으로 보정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A driving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drive a wire that adjus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A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side area of the body to primari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Surgical diagram comprising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ide region of the body to secondaryly correct the tension of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Guyong wire tension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고정 풀리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상기 몸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e fixed pulley part, th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body along the path of the wi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각각의 풀리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로팅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each pulley is supported on the wire by an elastic force and is disposed in the floating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에 탄성 지지되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탄성에 의해 위치 이동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는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가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함께 상기 와이어에 탄성 지지되는 제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견인력을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A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for correct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moving its position by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By including a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ire together with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can mo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의 신장시에 상기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상기 제1,3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When the wire is stretched, the elastic position moves so as to approach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s,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sition moves away from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s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의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일체로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일체로 이동할 때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limiting unit for limi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move integrally along the path of the wire.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3 위치이동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A first position-moving pulley part floatingly arrang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A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ly arrange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 so as to move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위치이동 풀리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로팅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moving pulley parts are supported on the wire by an elastic force and are arranged in the floating st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위치이동 풀리부가 위치 이동하는 상기 제1 방향은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위치이동 풀리부가 위치 이동하는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도록 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move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sition-moving pulley part moves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a direction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by an elastic for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이동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이동 풀리부의 탄성 위치를 유지 또는 변화시키면서 상기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와 함께 일체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Wire tension adjustment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transfer pulley parts while maintaining or changing the elastic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transfer pulley par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이동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의 신장시에 상기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근하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상기 제1,3 위치이동 풀리부의 축 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서 멀어지도록 탄성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position moving pulley part,
When the wire is stretched, the elastic position moves so as to approach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position-moving pulleys,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sition moves away from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axis lines of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shifting pulleys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수술도구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하는 와이어를 구동하도록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된 구동 고정 풀리부,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지지된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의 일측영역에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A driving fixed pulley part fixed to one area of the body to drive a wire that adjus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urgical tool;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so as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A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ranged in a floating state without being fixed to one side area of the body while at least one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상기 와이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로팅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distance-adjusted,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re supported by the wire and arranged in the floating st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는,
상기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는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상기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는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urality of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A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connected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the distance adjusted and supported by the wire;
Wire tension control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and the distance adjusted and supported by the wir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상기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 조절되어 상기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By moving the position along the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distance is adjusted relative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의 신장시에 상기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태 회복시에 상기 위치 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s,
When the wire is stretched, the position is moved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position-variable tension control pulley part,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moves along the path of the wire so that the distance is relatively close to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adjustment fixed pulley part when the state of the wire is restor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장력조절 고정 풀리부와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제1 수평 거리 조절부,
상기 제1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와 상기 제2 장력조절 플로팅 풀리부를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거리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제2 수평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 first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 for connecting the position variable tension control fixed pulley part and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horizontal distance adjusting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and the second tension control floating pulley part so that the dis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와 제2 위치이동 풀리부의 와이어 지지면은 상기 제1 위치이동 풀리부의 와이어 지지 면과 서로 대향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position fixed pulley part and the second position-moving pulley part are opposite to the wir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movable pulley part.
고정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지지된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기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 풀리부,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 위치이동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플로팅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A variable-position fixed pulley part supported on the wire so as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A first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ly arranged to move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ed pulley part along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Wire tension adjustment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 floating so as to move to the rear of the first positioning pulley part along the wire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와이어의 견인력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1,2 위치이동 풀리부는 동시에 상기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제1,2 위치이동 풀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위치가변 고정 풀리부의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거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In order to correct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ir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pulley part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rear of the positionable fixed pulley part to adjust the distance, or at least any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 pulley parts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s, characterized in that one is moved to the rear of the position variable fixing pulley part to adjust the distance.
KR1020200174863A 2020-12-14 2020-12-14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KR102472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63A KR102472766B1 (en) 2020-12-14 2020-12-14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PCT/KR2021/016406 WO2022131556A1 (en) 2020-12-14 2021-11-11 Wir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surgical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63A KR102472766B1 (en) 2020-12-14 2020-12-14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12A true KR20220084912A (en) 2022-06-21
KR102472766B1 KR102472766B1 (en) 2022-12-01

Family

ID=820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63A KR102472766B1 (en) 2020-12-14 2020-12-14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2766B1 (en)
WO (1) WO2022131556A1 (en)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091A (en) 2000-12-27 2002-07-16 Mizuho Co Ltd Loosening correction mechanism for drive wire in operative instrument operation
JP2002200092A (en) 2000-12-27 2002-07-16 Mizuho Co Ltd Loosening correction mechanism for drive wire in operative instrument operation
JP2006061364A (en) 2004-08-26 2006-03-09 Hitachi Ltd Surgical instrument
JP2008212451A (en) 2007-03-06 2008-09-18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Surgical manipulator
KR100974464B1 (en) 2009-04-21 2010-08-10 주식회사 래보 Coupling structure of surgical instrument
KR20120022521A (en) * 2010-09-01 2012-03-12 주식회사 이턴 Coupling structure and zero point calibration method of surgical instrument
KR101126288B1 (en) 2010-07-02 2012-03-20 한국과학기술원 Surgery tools with rolling of end effe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KR101454322B1 (en) 2013-07-24 2014-11-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aster Robot for Surgery Robot System
US20160157945A1 (en) * 1996-05-20 2016-06-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rticulated Surg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with Enhanced Dexterity and Sensitivity
KR101703885B1 (en) 2010-12-22 2017-02-09 (주)미래컴퍼니 Rotation structure of cross way and surgical instrument using it
US20180193007A1 (en) * 2012-11-02 2018-07-1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Operating self-antagonistic drives of medical instruments
US20190328467A1 (en) * 2016-11-21 2019-10-3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ble length conserving medical instrument
US20190380797A1 (en) * 2014-07-01 2019-12-19 Auris Health, Inc. Medical instrument having translatable spo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8471B2 (en) * 1998-12-18 2010-02-0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X-ray CT system
CN101664319A (en) * 2008-09-04 2010-03-10 株式会社东芝 Trolley with ultrasonic equipment
KR101427330B1 (en) * 2011-11-23 2014-08-06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Differential component
EP3285676B1 (en) * 2015-04-22 2022-07-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Tension regulator for actuation elements, and related remotely actuated instrument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7945A1 (en) * 1996-05-20 2016-06-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rticulated Surg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with Enhanced Dexterity and Sensitivity
JP2002200091A (en) 2000-12-27 2002-07-16 Mizuho Co Ltd Loosening correction mechanism for drive wire in operative instrument operation
JP2002200092A (en) 2000-12-27 2002-07-16 Mizuho Co Ltd Loosening correction mechanism for drive wire in operative instrument operation
JP2006061364A (en) 2004-08-26 2006-03-09 Hitachi Ltd Surgical instrument
JP2008212451A (en) 2007-03-06 2008-09-18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Surgical manipulator
KR100974464B1 (en) 2009-04-21 2010-08-10 주식회사 래보 Coupling structure of surgical instrument
KR101126288B1 (en) 2010-07-02 2012-03-20 한국과학기술원 Surgery tools with rolling of end effe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KR20120022521A (en) * 2010-09-01 2012-03-12 주식회사 이턴 Coupling structure and zero point calibration method of surgical instrument
KR101703885B1 (en) 2010-12-22 2017-02-09 (주)미래컴퍼니 Rotation structure of cross way and surgical instrument using it
US20180193007A1 (en) * 2012-11-02 2018-07-1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Operating self-antagonistic drives of medical instruments
KR101454322B1 (en) 2013-07-24 2014-11-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aster Robot for Surgery Robot System
US20190380797A1 (en) * 2014-07-01 2019-12-19 Auris Health, Inc. Medical instrument having translatable spool
US20190328467A1 (en) * 2016-11-21 2019-10-3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ble length conserving med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556A1 (en) 2022-06-23
KR102472766B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906B1 (en) Bendable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ing device
US20100207006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WO2004069108A3 (en) Motion controlling hinge for orthopedic brace
US20200108750A1 (en) Vehicle seat having a pitching spring unit
GB2427930B (en) Optical image stabilizer
KR20220084912A (en) Wire tention adjuster for surgical instrument
WO2020031577A1 (en) Drive device and optical unit
KR100452878B1 (en) Vibration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JP2020027134A5 (en)
CN1913328B (en) Actuator
TW202017823A (en) Article transport body
US10149694B2 (en) Energy balance mechanism for flexure joint
US20090009034A1 (en) Driving apparatus
JPH07311368A (en) Driving mechanism for optical axis correcting lens
KR20040080363A (en) Cable Structure
KR100947857B1 (en) Linear 2 axes stage for ultraprecisin positioning
JP4602804B2 (en) Rotating friction damping device for seismic isolation system
JP6735606B2 (en) Vibration control device
JP4924263B2 (en) Timing belt drive mechanism
KR102337254B1 (en) Multi-axis controller with self-weight compensation function
WO2018143367A1 (en) Wiring structure
JP2003519402A (e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temperature compensated displacement mechanism
JP3548469B2 (en) Optical equipment with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US20240184093A1 (en) Large displacement precision positioning adjustment apparatus
EP2210035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directio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