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611A -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611A
KR20220083611A KR1020210175359A KR20210175359A KR20220083611A KR 20220083611 A KR20220083611 A KR 20220083611A KR 1020210175359 A KR1020210175359 A KR 1020210175359A KR 20210175359 A KR20210175359 A KR 20210175359A KR 20220083611 A KR20220083611 A KR 2022008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delay
satellite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8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6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지연 시간 관리 방법은: 비지상 노드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될,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를 적용하여 상기 비지상 노드에 대한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비지상 노드로부터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상기 SIB가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상기 SIB의 제1 변경 주기에서 수신되는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의해서 지시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변경 주기 이후의 제2 변경 주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A delay time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non-terrestrial network includes: receiving, from a non-terrestrial node, information on a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to be applied to uplink transmission; and performing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non-terrestrial node by applying the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from the non-terrestrial node. is included and received, and whether the SI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indicated by a paging message received in the first change period of the SIB, and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The information on the offset may be received in a second change period after the first change period.

Description

장거리 통신을 위한 지연 시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Delay time management method f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G NR(new radio) 시스템 기반의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지연 시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terrestrial network (NTN),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non-terrestrial network based on a 5G NR (new radio) system and an efficient delay for reducing signaling overhead It relates to a time management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산악지역, 사막지역, 도서지역 및 해양 등 셀룰러 음영지역과 지진, 해일 및 전쟁 등 각종 재난에 따른 지상망 붕괴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두절에 대비한 이동 위성통신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재난, 재해로 인해 지상망이 붕괴되었을 때에도 위성통신망은 유지되므로 재난, 재해가 발생한 지역이 외부와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어 개개인의 생존과 안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disruption that may occur in cellular shadow areas such as mountainous areas, desert areas, island areas, and the sea, and in areas where the terrestrial network collapses due to various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sunamis, and war. Sinc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s maintained even when the terrestrial network is disrupted due to a disaster or disaster, the disaster or disaster area is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individual survival and safety.

또한, 통신 인프라가 없는 산간, 오지 등과 같이, 종래에는 통신이 불가능하였던 지역에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연결 사회의 구축을 위해서도 이동 위성통신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 지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5G NR(new radio) 기술에 기반하여, 비지상(non-terrestrial) 기지국((예를 들어, 위성 기지국 또는 비행선 등의 비행 플랫폼(airborne platform)을 이용하는 기지국)을 이용하는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의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비지상 네트워크에서는 셀의 크기가 크고 통신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단말과 기지국 간의 지연(delay)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큰 지연은 단말이 기지국에 대해서 수행하는 초기 접속(initial access)에서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 프리앰블(preamble)의 크기,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값, 및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ponse) 윈도우의 크기에 영향을 주며, 이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need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creas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that provide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even in areas where communication was not possible in the past, such as in mountains and remote areas where there is no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based on 5G new radio (NR) technology, a non-terrestrial base station (eg, a base station using an airborne platform such as a satellite base station or an airship) Standardization of a non-terrestrial network (NTN) used is in progress On the other hand, in a non-terrestrial net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lay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creases as the size of a cell increases and a communication distance increases. Such a large delay is the size of a random access preamble, a timing advance value, and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in initial access perform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 affects the size of the window, which can also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지연 시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efficient delay time management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and signaling overhead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 non-terrestrial network.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지연 시간 관리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that performs efficient delay time managemen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signaling overhea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 a non-terrestrial net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지연 시간 관리 방법으로서, 비지상 노드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될,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를 적용하여 상기 비지상 노드에 대한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비지상 노드로부터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상기 SIB가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상기 SIB의 제1 변경 주기에서 수신되는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의해서 지시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변경 주기 이후의 제2 변경 주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lay time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non-terrestrial network, from a non-terrestrial node, information about a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to be applied to uplink transmission receiving; and performing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non-terrestrial node by applying the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from the non-terrestrial node. is included and received, and whether the SI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indicated by a paging message received in the first change period of the SIB, and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The information on the offset may be received in a second change period after the first change peri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비지상 노드 타입 및 비지상 노드의 이동성에 따라 변하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큰 지연 시간이 단말의 상태(유휴 상태(idle state) 또는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 효율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효과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n-terrestrial network, a large delay tim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which varies according to various non-terrestrial node types and mobility of a non-terrestrial node, is a terminal state (idle state) or connected state (connected state). state)) can be updated efficiently. According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gnaling overhea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can be obtain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2는 장거리 통신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공통 지연 시간 및 차등 지연 시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공통 지연 시간이 특정 빔에 대해서 정의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공통 지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A and 1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s of a common delay time and a differential delay time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terminal in long-distance communica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in which a common delay time is defined for a specific beam.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common delays existing in a non-terrestrial network environmen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시스템(system)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below,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er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위성 기지국'은 비지상(non-terrestrial) 기지국 또는 이동 기지국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 장치들은 위성 기지국뿐만 아니라 비행 플랫폼(airborne platform)-비행선(airship) 등-을 이용하는 기지국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 'satellite base station' is used as a term representing a non-terrestrial base station or a mobile base station. However, the methods and apparatuses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not only to a satellite base station but also to a base station using an airborne platform - such as an airship.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들이다.1A and 1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도 1a을 참고하면, 3GPP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인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기지국(gNB, 112, 113, 123)이 지상에 있으면서 위성(111, 121, 122)이 중계기(relay)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위성 기지국은 3GPP NTN에서 규정하고 있는 transparent 노드로서 동작한다. Referring to FIG. 1A, in a non-terrestrial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standardization is in progress in 3GPP, the base stations gNB, 112, 113, and 123 are on the ground while the satellites 111, 121, and 122 perform the role of a relay. can That is, in this case, the satellite base station operates as a transparent node defined in 3GPP NTN.

도 1b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CU(central unit, 133, 142)가 지상에 위치하고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가 위성(131, 132, 141)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위성에 기지국(gNB) 자체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위성 기지국은 3GPP NTN에서 규정하고 있는 regenerative 노드로서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1B , central units (CUs) 133 and 142 of the base station may be located on the ground, and distributed units (DUs) of the base station may be located on satellites 131 , 132 and 141 .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gNB) itself may be located in the satellite. That is, in this case, the satellite base station operates as a regenerative node defined in 3GPP NTN.

하나 이상의 NR Cell이 하나의 위성을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gNB가 하나 이상의 위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은 LEO(low earth orbit), MEO(medium earth orbit) 또는 GEO(geostationary equatorial orbit)로 분류될 수 있다.One or more NR Cells may be defined through one satellite. In addition, one gNB may provide services via more than one satellite. A satellite may be classified into a low earth orbit (LEO), a medium earth orbit (MEO), or a geostationary equatorial orbit (GEO).

이 경우, 셀 반경 및 기지국(예컨대, 위성 기지국)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단말들의 위치에 따른 신호 전달 시간들에 큰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the cell radius and the height of the base station (eg, the satellite base station) increase, a large difference may occur in signal transmission times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terminals.

도 2는 장거리 통신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공통 지연 시간 및 차등 지연 시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common delay time and a differential delay time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terminal in long-distance commun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위성 기지국(201)의 영역 내에서 수직 방향 아래에 위치한 단말(210)과 위성 기지국(201) 간의 거리(211)에 따른 지연 시간(즉, 공통 지연 시간(common delay))과, 다양한 지점에 위치한 단말(220)과 위성 기지국(201)간의 거리(221)에 따른 지연 시간(즉, 공통 지연 시간+차등 지연 시간(differential delay))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 a delay time (ie, common delay time) according to a distance 211 between the terminal 210 and the satellite base station 201 positioned below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area of the satellite base station 201 . And, delay times (ie, common delay time+differential delay) according to the distance 221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satellite base station 201 located at various points are shown.

즉, 단말(210)의 지연 시간과 단말(220)의 지연 시간은 차등 지연 시간만큼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10)에서 전송된 신호의 위성 기지국(201)에서의 도달 시점과 단말(220)에서 전송된 신호의 위성 기지국(201)에서의 도달 시점은 차등 지연 시간만큼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That is, the delay time of the terminal 210 and the delay time of the terminal 220 may have a difference by the differential delay time. In this case,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10 at the satellite base station 201 and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20 at the satellite base station 201 have a difference by the differential delay time. .

즉, 공통 지연시간은 해당 영역 내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특정 시점에서의 가장 짧은 거리, 평균 거리, 또는 가장 긴 거리의 단 방향 지연시간 또는 기지국(또는 시스템)이 정의한 특정 값(예를 들어, 위성 고도)이 될 수 있다. That is, the common delay time is the unidirectional delay time of the shortest distance, the average distance, or the longest distanc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corresponding area, or a specific value defined by the base station (or system) (eg, satellite height) can be

도 3은 공통 지연 시간이 특정 빔에 대해서 정의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in which a common delay time is defined for a specific beam.

도 3을 참조하면, 공통 지연 시간은 빔과 관련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기지국의 빔의 중심(빔의 앙각(elevation angle)이 0도인 지점 또는 빔의 이득이 가장 큰 지점)에서의 지연시간 또는 해당영역에서 SNR(signal to noise ratio)이 가장 큰 지점에 대한 지연시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mmon delay time is a delay time at the center of a beam of a base station (a point where the elevation angle of the beam is 0 degrees or a point where the gain of the beam is greates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relation to the beam or the corresponding It may also be defined as a delay time for a point having the largest signal to noise ratio (SNR) in the region.

도 4는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공통 지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common delays existing in a non-terrestrial network environment.

도 4를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적어도 3 종류의 무선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적어도 3 종류의 무선링크들은 단말(410)과 위성 기지국(421) 간의 서비스 링크(service link, 431), 위성 간 링크(ISL: inter-satellite link; 441), 및 데이터 네트워크(470)에 연결된 지상 게이트웨이(460)과 위성 기지국들(421, 422) 간의 피더 링크(feeder link; 451, 4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t least three types of radio links may exist in a non-terrestrial network environment. At least three types of radio links are a service link 431 between the terminal 410 and the satellite base station 421 , an inter-satellite link (ISL) 441 , and a terrestrial connection to the data network 470 . It may include a feeder link (451, 452) between the gateway 460 and the satellite base stations (421, 422).

이때, 서비스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DS), 위성간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DI), 피더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DF)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공통 지연은 주로 서비스 링크의 공통지연(DS)에 대응된다. In this case, the common delay time ( DS ) of the service link, the common delay time ( DI ) of the inter-satellite link, and the common delay time ( DF ) of the feeder link may exist, and the common delay described in FIGS. 2 and 3 . is mainly corresponding to the common delay ( DS ) of the service link.

단말이 위성의 타입(예컨대, LEO, MEO, 또는 GEO)과 위성의 궤도를 알면 위성과의 앙각(elevation angle) 및 위성과의 거리를 유추할 수 있다. 위성의 타입과 위성의 궤도는 단말과 위성 기지국간의 신호 지연 및 신호 세기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단말이 위성의 타입과 궤도를 아는 것은 초기 접속(initial access), 핸드오버(handover), 페이징(paging) 등의 다양한 제어 절차에 도움이 된다. When the terminal knows the type of satellite (eg, LEO, MEO, or GEO) and the orbit of the satellite, it can infer an elevation angle with the satellite and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Since the type of satellite and the orbit of the satellite greatly affect the signal delay and signal strength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base station, it is important for the terminal to know the type and orbit of the satellite for initial access, handover, paging ( It is helpful in various control procedures such as paging).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성의 종류는 크게 정지궤도 위성(GEO)과 비정지궤도 위성(MEO/LEO)로 분류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도 서비스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정지궤도 위성에 비해, 비정지궤도 위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비스 영역이 변경되는 특징이 있다. 비정지궤도 위성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변경되는 서비스 영역은 두 가지 타입, 지상 고정형 빔(earth fixed beam)과 이동형 빔(moving beam)으로 나뉜다. 지상 고정형 빔은 위성이 이동하더라도, 지상 셀은 변경되지 않으며, 이동형 빔은 이동하는 위성과 함께 셀정보가 변경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ypes of satellit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geostationary orbiting satellites (GEO) and non-geostationary orbiting satellites (MEO/LEO). Compared to a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whose service area does not change over time, a non-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service area changes over time. The service area that is changed due to the mobility of the non-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is divided into two types, an earth fixed beam and a moving beam. In the case of the terrestrial fixed beam, even if the satellite moves, the terrestrial cell is not changed, and in the mobile beam, the cell information is changed together with the moving satellite.

위성통신 지연(delay)는 위성의 위치, 지상국의 위치 및 단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고정된 위치에 있는 단말에서 위성 이동성에 따라 delay vari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GEO의 경우, 최대 16ms, 1200km에서 서비스하는 LEO의 경우, 최대 6.44ms 가 예상된다. 동일한 시간에 위성에서 서비스하는 빔 안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지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빔의 크기에 따라서 값이 차이가 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성에 연결된 지상국은 시간에 따라 위성과 지상국간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며, 만일 LOS 환경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다른 위성과의 연결을 통해서 지상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위성 배치(deployment)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위성통신 지연은 transparent mode의 경우, 단말과 위성 간의 위치를 고려한 지연으로 정의되고, regenerative mode의 경우, 단말과 위성 간의 위치를 고려한 지연뿐만 아니라, 위성과 지상국간의 위치를 고려한 지연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satellite communication delay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the position of the ground st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irst, delay variation may occur according to satellite mobility in a terminal in a fixed location. In the case of GEO, a maximum of 16 ms is expected, and in the case of LEO serving at 1200 km, a maximum of 6.44 ms is expected. A delay difference may occu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the beam serviced by the satellite at the same time. The value may have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eam. Fi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round st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ground station connected to the satellite, and if the LOS environment is not supported, the ground st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station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atellites. These connections may change according to satellite deployment. In summary, in the case of the transparent mod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delay is defined as the delay considering the lo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and in the case of the regenerative mode, it is defined as the delay considering the location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round station as well as the delay considering the lo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should be

5G 위성 통신에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타입의 단말과 자신의 위치 정보를 모르는 타입의 단말이 모두 지원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단말의 위치 정보는 GPS 수신 기능 또는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TDOA(Observed Time Differential Of Arrival), 및 E-CID(Enhanced Cell I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In 5G satellite communication, both a type of terminal capable of know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a type of terminal that does not know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supported.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obtained through a GPS reception function or at least one of 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GNSS), Observed Time Differential Of Arrival (OTDOA), and Enhanced Cell ID (E-CID).

비지상 네트워크에서는 셀의 크기가 크고 비지상 노드의 높은 고도로 인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에 큰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지연 시간 증가는 기존 통신에서 적용되는 시간과 관련된 각종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지연 시간 관련 파라미터들에 대해서 다양한 오프셋(offset)들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파라미터들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 non-terrestrial network, due to a large cell size and a high altitude of a non-terrestrial node, a large delay may occu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 increase in the delay ti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affect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time applied in the existing communication, which ma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introducing various offsets to the existing delay time related parameters, the influence on the existing parameters can be minimized.

예를 들어, 초기 접속시, 셀에 있는 모든 단말들이 전송하는 프리앰블을 비슷한 시간에 기지국이 수신할 수 있도록 타이밍을 보상하거나, 상향링크 자원할당정보와 상향링크 전송 시점간의 스케쥴링 오프셋을 기지국과 단말간의 지연시간을 기반으로 결정하거나, RTT를 고려해야하는 각종 타이머를 위한 오프셋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들은 기지국과 단말간 지연시간을 바탕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For example, during initial access, timing is compensated so that the base station can receive preambles transmitted by all terminals in a cell at a similar time, or a scheduling offset betwe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uplink transmission time is calcul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lay time, or there may be an offset for various timers that need to consider RTT. These offset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lay ti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예를 들어, TA(timing advance)는 Common TA + UE specific TA 로 구성될 수 있다. Common TA는 비지상 노드에서부터 셀 내의 기준 위치(reference point)까지의 지연 시간으로 결정된다. 이때, Common TA는 서비스 링크 지연 및/또는 피더 링크 지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초기 접속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를 통해 TA가 설정되며,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event-driven)의 방식으로 새로운 조정 값인 TA 가 TA 명령(command)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TA command는 MAC CE를 통해 전송되거나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특히 RAR 의 경우는 비지상 노드의 큰 지연 시간으로 인해 RAR의 크기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향링크 수신에 큰 지연 시간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TA command가 빈번하게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기존 TA command는 유지하고, 비지상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한 지연시간 변화량을 반영하기 위해서 common TA 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비지상 노드의 이동성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간 거리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므로, 잦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지연 시간 변화량은 음의 수 또는 양의 수로 정의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지연 시간의 관리(업데이트) 방법을 제안한다. For example, timing advance (TA) may be configured as Common TA + UE specific TA. Common TA is determined by a delay time from a non-terrestrial node to a reference point in the cell. In this case, the Common TA may be configured with a service link delay and/or a feeder link delay. Upon initial access, the TA is set through a random access procedure, and a new adjustment value, TA, may be updated through a TA command in a periodic or event-driven manner. The T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MAC CE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RAR needs to be changed due to the large delay time of the non-terrestrial nod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A command must be frequently transmitted in order to reflect a large change in delay time in uplink recep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updating the common TA in order to maintain the existing TA command and reflect the amount of delay time change due to the mobility of the non-terrestrial node is present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varies with time according to the mobility of the non-terrestrial node, frequent updates are required. Also, the amount of delay time change can be defined as a negative number or a positive number. Hereinafter, an efficient delay time management (updating) method for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reducing signaling overhea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proposed.

이하에서는, 단말의 연결 상태(RRC idle 상태 또는 RRC connected 상태)에 따른 지연 시간의 업데이트 방법을 먼저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pdating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connected state of the terminal (RRC idle state or RRC connected state) will be described first.

RRC idle 상태의 단말Terminal in RRC idle state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빔 또는 셀 별 공통 지연 시간(최소 지연 시간 혹은 최대 지연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이 자신의 위치 정보와 비지상 노드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MSG1 전송을 위한 오프셋을 결정하고, 결정된 오프셋을 MSG1의 전송 타이밍에 반영하여, MSG1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빔 또는 셀 별 상향 링크 자원할당과 자원 타이밍에 적용될 스케쥴링 오프셋을 기반으로 MSG2의 전송과 MSG3를 위한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브로드캐스팅되는 스케쥴링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MSG3 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이 결정한 오프셋에서 공통 지연 시간을 제외한 값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the initial access, th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mmon delay time (minimum delay time or maximum delay time) for each beam or cel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its own loc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non-terrestrial nodes based on the MSG1 may be transmitted by determining an offset for MSG1 transmission for random access and reflecting the determined offset in the transmission timing of MSG1.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transmission of MSG2 and resource allocation for MSG3 based on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each beam or cell and a scheduling offset to be applied to resource timing. The UE may transmit MSG3 using the broadcast scheduling offse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report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ommon delay time from the offset determin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RRC idle 상태의 단말은 빔 또는 셀별 공통 지연 시간 또는 공통 스케쥴링/타이밍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비지상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타이밍 오프셋이 변경되는 경우, SIB 갱신 절차가 필요하다. The UE in the RRC idle state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common delay time or common scheduling/timing offset for each beam or cell through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When a delay time or a scheduling/timing offset is changed due to the mobility of a non-terrestrial node, an SIB update procedure is required.

방법 1-1) SIB의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마다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이 변경되는 방법Method 1-1) A method in which a delay time or a scheduling offset is changed for each modification period of the SIB

비지상 노드의 빠른 이동성으로 인하여, 단말과 비지상 노드 간의 거리가 지속적으로 변경되지만, 전송지연 및 스케쥴링 오프셋에 연관된 SIB(SIB1 또는 SIB2)는 해당 전송 주기에 변경되지 않고, SIB의 변경 주기에 따라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SIB 변경 주기가 큰 값을 가지면, 실제 지연 시간과 브로드캐스팅되는 지연 시간의 차이가 커지게 되므로, 프리앰블의 크기, 타이밍 어드밴스 값, 및 RAR 윈도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Due to the fast mobility of the non-terrestrial nod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on-terrestrial node is continuously changed, but the SIB (SIB1 or SIB2) related to the transmission delay and the scheduling offset does not change in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eriod, and according to the change period of the SIB A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may be signaled. If the SIB change period has a larg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delay time and the broadcast delay time becomes large, and thus the size of the preamble, the timing advance value, and the size of the RAR window are affected, which in turn affects the size of the entire system. will affect performance.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SIB 변경 주기와는 다른 (혹은 짧은) 주기의 설정을 가능하도록 새로운 변경 주기가 정의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SIB 변경 주기가 정의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비지상 네트워크 관련 시스템 정보가 기존 변경 주기(modificationPeriodCoeff)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기지국은 변경 주기 동안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이용하여 SIB 변경을 알리고, 다음 변경 주기에서 변경된 SIB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RRC idle 상태에서도 변경되는 SIB를 최대 매 변경 주기마다 수신하여야 하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a new change period may be defined to enable setting of a period different (or shorter) from the existing SIB change period. When a new SIB change period for the non-terrestrial network is not defined, the UE may know that the non-terrestrial network-related system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xisting modification period (modificationPeriodCoeff). The base station may notify the SIB change using a paging message during the change period, and transmit the changed SIB in the next change period. Since the UE must receive the SIB that is changed even in the RRC idle state at maximum every change period, power consumption of the UE may increase.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SIB는 변경이 되더라도 P-RNTI로 전송되는 짧은 메시지(short message)를 통해 전송되는 변경 지시(indication)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의 변경이 없음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짧은 메시지(short message)에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비트(reserved bit(s))를 이용하여, 비지상 SIB 전용 변경 알림을 정의하고, 해당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에만 비지상 SIB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단, 해당 통지(notification)는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의 단말에만 적용될 수 있다. Idle 상태의 단말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변경된 SIB를 즉시 수신하지는 않고,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시점에서 비지상 SIB를 수신하여, 지연 시간 및 스케줄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o improve this, even if the SIB is changed, it may be indicat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delay time or the scheduling offset using a change indication transmitted through a short message transmitted to the P-RNTI. Alternatively, by using a new bit (reserved bit(s)) not used in a short message, a non-terrestrial SIB-only change notification is defined, and only when the corresponding bit is set to 1, the non-terrestrial SIB is changed. It can be defined to notify. However, the notification may be applied only to the terminal in the RRC connected state. Even if the terminal in the idle state receives the corresponding message, the terminal does not immediately receive the changed SIB, but receives the non-terrestrial SIB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initial access, thereby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elay time and the scheduling offset.

한편, 셀이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earth fixed scenario에서는 해당 셀을 서비스하는 위성이 변경되고 동일한 셀 아이디로 서비스하는 경우, 핸드오버 절차는 구동되지 않고, 빔의 변경이 수행된다. 동일한 셀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시스템 정보는 위성이 변경되더라도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위성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단말과 위성 간의 지연시간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모두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즉, 변경 되지 전의 이전 위성이 단말에게 위성이 변경될 것임을 알리고, 변경되는 SIB를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a case in which a cell is changed, in the earth fixed scenario, when a satellite serving a corresponding cell is changed and serves with the same cell ID, a handover procedure is not driven and a beam change is performed. Since the service must be provided through the same cell, system information must be maintained even if the satellite is changed. 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is changed, all parameters related to the delay tim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need to be updated. That is, the previous satellite before the change informs the terminal that the satellite will be changed, and the terminal must be able to receive the changed SIB.

예를 들어 위성의 서비스 영역 변경 시점은 망 관리, 네트워크, 또는 두개의 위성에 연결된 기지국들 간의 X2 메시지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셀을 서빙하는 위성과 단말 간의 거리는 다음에 서빙할 위성과 단말 간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중 기지국과 단말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지연시간, 스케쥴링 오프셋, 타이머 오프셋 등이 SIB 메시지로 제공된다면, 해당 정보는 변경이 필요하고, 단말에게 변경을 알려야 한다. For example, the timing of changing the service area of a satellite may be preset through network management, a network, or an X2 message between base stations connected to two satelli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serving the current cell and the terminal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to be served next and the terminal. Among the system information messages, if delay time, scheduling offset, timer offset, etc. aff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re provided in the SIB messag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needs to be changed and the change must be notified to the terminal.

먼저, 현재 서비스 중인 기지국은 위성이 변경될 시점 전의 변경 주기 동안 페이징 메시지의 비트(들)을 이용하여, 비지상 SIB의 변경을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다음 변경 주기에서 비지상 SIB가 변경됨을 알릴 수 있다. 새로운 위성으로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위성 변경 시점 이후의 변경 주기에 변경된 비지상 SIB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변경 주기에서 변경된 S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rst, the currently serving base station may notify the terminal of the change of the non-terrestrial SIB by using the bit(s) of the paging message during the change period before the time when the satellite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bit is set to 1, it can be notified that the non-terrestrial SIB is changed in the next change period. The base station serving the new satellite may transmit the changed non-terrestrial SIB in a change period after the time point of the satellite change. The terminal may acquire the changed SIB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change period.

다른 방법으로, 현재 서비스중인 기지국은 위성이 변경될 시점 전의 변경 주기 동안 페이징 메시지의 비트(들)을 이용하여, 위성이 변경될 것을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다음 변경 주기에서 변경된 위성의 SIB를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urrently serving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that the satellite is to be changed by using the bit(s) of the paging message during the change period before the time when the satellite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bit is set to 1, the terminal may acquire the changed SIB of the satellite in the next change period.

RRC 연결 상태의 단말UE in RRC-connected state

연결 상태 단말에 대한 비지상 노드의 이동성으로 변경되는 지연 시간, 스케쥴링 오프셋, 및/또는 타이머 오프셋은 기지국에 의해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비지상 노드가 이동함에 따라 TA(Timing Advance)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기존 TA 업데이트 방식을 적용하면, 상대적으로 큰 값이 업데이트되어야 하고, 빈번한 업데이트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할 때마다 TA command를 전송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이 일정 기간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설정된 TA 값과 실제 기지국과 단말 간의 지연 시간 간의 큰 차이로 인하여, 동기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동기의 실패로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하여, RRC 재수립(re-establishment) 절차가 수행됨에 따른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A delay time, a scheduling offset, and/or a timer offset changed by the mobility of a non-terrestrial no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ed state terminal may be updated by the base station. Since the TA (Timing Advance) may change as the non-terrestrial node moves, when the existing TA update method is applied, a relatively large value must be updated and frequent update may be required. For example, whenever an uplink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a problem of having to transmit a TA command may occur. In addition, if uplink transmission does not occu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configured TA value and the delay time between the actual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 synchronization problem may occur, and the failure of synchronization may cause radio link failure (RLF). , which may cause a delay as the RRC re-establishment procedure is performed.

방법 2-1) 지연 시간 갱신을 브로드캐스팅 하는 방법Method 2-1) How to broadcast latency update

단말이 속한 빔 또는 인접 빔들의 집합에 속한 단말들에게 비지상 노드의 이동으로 인한 지연 시간 변화량을 알리는 방법이다. 기지국은 공통 지연 시간을 업데이트할 하나의 빔 또는 인접 빔들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빔 그룹들을 설정하고, 각 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common TA group ID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지연 시간 변화량을 업데이트할 주기(update perio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 modification period 가 이용될 수 있다. This is a method of notifying the amount of delay time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non-terrestrial node to the terminals belonging to the beam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or a set of adjacent beams. The base station may set up one beam or several beam groups including adjacent beams to update the common delay time, and may allocate a common TA group ID for distinguishing each group.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period (update period) to update the delay time variation. For example, an SI modification period may be used.

기지국은 단말의 접속 절차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빔이 속한 common TA group ID를 설정할 수 있다. 업데이트 주기 이후에 기지국은 Common TA update command 메시지를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Common TA group ID 별 지연 시간은 빔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Common TA update command 메시지내에는 Common TA group ID 리스트가 정의될 수 있다. 각 Common TA group ID별 지연 시간 변화량을 단말에게 전송하면, 단말은 기 설정된 TA value에 추가하여, 다음 상향링크 전송에 지연 시간 변화량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Command TA update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TimeAlignmentTimer를 설정 또는 재설정 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may set a common TA group ID to which a beam providing a service to the terminal belongs during the access procedure of the terminal. After the update period, the base station may broadcast a common TA update command message to the terminals. The delay time for each Common TA group I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eam. A list of Common TA group IDs may be defined in the Common TA update command message. When the delay time variation for each common TA group ID is transmitted to the UE, the UE may apply the delay time variation to the next uplink transmission in addition to the preset TA value. When the UE receives the Command TA update command message, the UE may set or reset TimeAlignmentTimer.

상기 방식은 단말들에게 공통 TA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나, 업데이트 주기에 따른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The above method can reduce signaling overhead by broadcasting a common TA to UEs,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periodic updates must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update period.

방법 2-2) 단말이 TA update를 요청하는 방법Method 2-2) How the UE requests TA update

기지국은 단말의 위치 정보, 앙각(elevation angle), 또는 지연 시간 업데이트 주기에 기초하여 공통 지연 시간 업데이트까지의 최대 시간인 상향링크 전송 타이머를 단말에게 RRCReconfiguration 메시지 혹은 MAC CE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자원 할당을 수신하고 데이터 전송시 해당 타이머를 구동 시킨다. 단말은 새로운 상향링크 데이터 할당이 발생하면, 해당 타이머를 취소시키고, 전송완료 후 해당 타이머를 재구동시킬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set the uplink transmission timer, which is the maximum time until the common delay time updat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elevation angle, or delay time update period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using an RRCReconfiguration message or MAC CE. Upon receiving the message, the terminal receives uplink data resource allocation and drives a corresponding timer when data is transmitted. When new uplink data allocation occurs, the UE may cancel the corresponding timer and restart the corresponding timer after transmission is complete.

상향링크 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단말은 Common TA Update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TA update가 필요하면, TA command를 전송한다. Whe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r expires, the terminal may transmit a Common TA Update reque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When a TA update is require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TA command.

각종 Timer 시작을 위한 오프셋 및 스케쥴링 오프셋은 RRC 혹은 MAC CE를 통해 단말 별로 설정될 수 있다. Offsets and scheduling offsets for starting various timers may be configured for each UE through RRC or MAC CE.

이하에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을 가진 단말과 해당 능력을 가지지 않은 단말의 지연 시간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updating a delay time of a terminal having the capability to determin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not having the corresponding capability will be described.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 A terminal that can know its location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단말이 자신의 위치(예컨대, GNSS 위치)와 위성의 위치(예컨대, GNSS 위치)를 알 수 있는 경우의 초기 접속 방법이 설명된다. 또한, RRC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과 RRC 휴지(idle)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의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n initial access method when the terminal can know its own location (eg, GNS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a satellite (eg, GNSS loca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 TA update method of a terminal in an RRC connected state and a terminal in an RRC idle state or an RRC inactive state will be described.

(1) 초기 접속 방법의 실시예 #1(1) Example #1 of initial access method

i.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와 미리 수신된 위성 정보(satellite ephemeris)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할(자신이 접속하려고 하는) 기지국에 연결된 위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접속하려는 기지국에 연결된 위성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단말과 위성간 지연을 계산하고, 계산된 지연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RACH preamble)의 전송에 적용할 TA를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RACH 전송 기회(occasion)를 선택하고, 계산된 TA를 적용하여, 선택된 RACH occasion에서 RACH preamble를 전송할 수 있다. i. The terminal may us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previously received satellite information (satellite ephemer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 satellite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hat will provide its service (to which it intends to access). The terminal may calculate a dela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by using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o be accessed, and calculate a TA to be applied to transmission of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RACH preamble) based on the calculated delay. The UE may select a RACH transmission opportunity (occasion) and apply the calculated TA to transmit the RACH preamble on the selected RACH occasion.

ii. 단말로부터 RACH preamble을 수신한 기지국은 TA 조정(TA adjustment)을 위한 양(+) 또는 음(-)의 값을 가지는 TA 조정값(TA adjustment value)을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ii.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CH preamble from the terminal transmits a TA adjustment value having a positive (+) or negative (-) value to the terminal through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for TA adjustment can

iii. RAR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TA 조정값을 수신한 단말은 앞서 자신의 위치와 위성의 위치를 토대로 계산한 TA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조정값을 추가 반영하여, 상향링크 메시지(예컨대, 4-step RA 절차를 위한 MSG3 또는 2-step RA 절차를 위한 msg B)를 전송할 수 있다. iii. Upon receiving the TA adjustment value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RAR, the terminal additionally reflects the TA adjustment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A calculated based on its own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and then sends an uplink message (eg, a 4-step RA procedure). MSG3 for , or msg B) for 2-step RA procedure may be transmitted.

iv. 한편, 기지국은 자신이 설정한 TA 조정값을 TA 커맨드(command) MAC CE를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양 혹은 음의 값으로)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와 업데이트된 TA 조정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영하여, 상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v. Meanwhile, the base station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TA adjustment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TA command MAC CE. The UE may transmit an uplink message b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flecting the TA calculated by the UE and the updated TA adjustment value.

v. 필요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전송 시 적용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들 중 적어도 하나)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v. If necessary, the terminal may report the TA value (at least one of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A adjustment value, and TA used for transmission) applied to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to the base station.

(2) 초기 접속 방법의 실시예 #2(2) Embodiment #2 of initial access method

i. 상술된 실시예 #1의 단계(iii)에서 단말은 MSG3(2-step RA 절차인 경우 msg B)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계산한 새로운 TA 값을 단말에게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운 TA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 In step (iii)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the terminal may include its location information in MSG3 (msg B in the case of a 2-step RA procedure) and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directly set the new TA value calculat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UE may transmit an uplink message based on the new TA.

기지국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예컨대, 단말에 대한 TA가 TA 차이 임계치를 초과하여 변경된 경우) TA 조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위치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예컨대, 단말의 위치 변경이 위치 변경 임계치를 넘는 경우) 기지국에게 보고 할 수 있다. 이때, TA 차이 임계치 및 위치 변경 임계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may update the TA adjustment value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eg, when the TA for the terminal is changed by exceeding the TA difference threshold). The terminal may repor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eg, when the location change of the terminal exceeds the location change threshold). In this case, the TA difference threshold and the location change threshold may be set to the terminal by using a broadcast/multicast or dedicated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한편, 단말이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속도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경우, 기지국은 여러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비슷한 위치 및 이동 속도의 특성을 가지는 단말들을 하나의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위성의 이동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주로 위성의 이동성으로 인한 TA 변경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위성의 이동으로 인한 TA 조정값에 대한 업데이트 값을 멀티캐스팅으로 설정된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송하고, 동일한 TA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들은 동일한 업데이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repor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speed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multicasts terminals having similar location and movement spe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spe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multiple terminals in one multicast. It can be set as a group. Since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is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satellit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any TA changes mainly due to the mobility of the satellite. , and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TA multicast group may apply the same update value.

ii. 필요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전송 시 적용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들 중 적어도 하나)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ii. If necessary, the terminal may report the TA value (at least one of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A adjustment value, and TA used for transmission) applied to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to the base station.

(3) RRC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3) TA update method of UE in RRC connected (connected) state

i. 단말에서 계산한 TA 값이 기지국에 보고되지 않은 경우, TA 조정값은 기지국에 의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기지국 또는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단말에 대한 TA가 TA 차이의 임계치(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값)를 초과하여 변경된 경우, 기지국은 TA의 조정값을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사용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i. When the TA value calculated by the terminal is not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e TA adjustment value may be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d by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if the TA for the terminal is changed by exceeding the TA difference threshold (a value preset in the system) while the base station receives uplink data due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base station or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adjusts the TA value can be set in the terminal using a broadcast/multicast or dedicated channel.

ii.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들 중 적어도 하나)이 기지국에 보고된 경우, 기지국은 TA 조정값 또는 새로운 TA 값을 단말에게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예컨대, 이벤트 트리거링(event triggering)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사용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에 대한 TA가 TA 차이의 임계치(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값)를 초과하여 변경된 경우, 비주기적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ii. When the TA value (at least one of the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he TA adjustment value, and the TA used for transmission)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sends the TA adjustment value or the new TA value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in the terminal using a broadcast/multicast or dedicated channel in an aperiodic (eg, event triggering method).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aperiodic configuration when the TA for the terminal is changed by exceeding a TA difference threshold (a value preset in the system) while performing uplink reception.

iii. 셀 크기가 큰 위성 셀에서 지연의 편차가 큰 특성상, TA 조정값이 너무 커지는 경우, MAC CE의 TA 커맨드가 크게 정의되어야 한다. 하나의 방안으로 TA 커맨드의 비트 수를 하나의 셀에서 가능한 TA 오프셋(offset)을 표현할 수 있는 만큼 크게 정의를 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NR에서 정의하는 TA 커맨드의 최대 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최대 TA를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설정하고 추가적인 TA 조정값을 TA Command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TA 커맨드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TA 조정값이 사용됨을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지시하고, TA 커맨드의 최대값과 TA 조정값의 차이(추가적인 TA 조정값)을 TA 커맨드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 + 기지국이 설정한 TA)를 적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한 기지국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TA 조정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단말이 사용하는 TA 값을 아는 경우, 기지국은 TA 값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설정된 TA 값을 적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기지국은 TA 조정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iii. Due to a characteristic of a large delay deviation in a satellite cell having a large cell size, when the TA adjustment value becomes too large, the TA command of the MAC CE should be defined to be large. As one method, there is a method of defining the number of bits of the TA command as large as possible to express a possible TA offset in one cell. Alternatively,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TA command defined in NR is exceeded, the base station may set the maximum TA to the terminal using a dedicated channel and set an additional TA adjustment value using the TA command. That is, the base station uses a dedicated channel to indicate that a TA adjustment value exceeding the maximum value of the TA command is used, and se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of the TA command and the TA adjustment value (an additional TA adjustment value) using the TA command. can Upon receiving this, the UE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y applying (TA calculated by itself + TA set by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uplink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the TA adjustment value. If the base station knows the TA value used by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newly set the TA value to the terminal using an RRC message or MAC CE. The terminal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y applying the newly set TA value, and the base station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set the TA adjustment value.

iv. 기지국이 단말의 위치를 아는 경우, 위성의 위치 및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에 대한 TA가 TA 차이의 임계치를 초과하여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새로운 TA 값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사용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메시지 없이도 TA 변경을 예상하여 갱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v. When the base station know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 for the terminal is changed by exceeding the threshold of the TA difference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satelli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sends a new TA value to the RRC message or MAC CE Through the broadcast/multicast or dedicated channel, it can be set in the terminal.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the base station can update the TA in anticipation of the TA change without an uplink message from the terminal.

v. 한편, 단말의 위치정보는 민감한 정보이므로 단말이 기지국에게 공유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지국에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서 사용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변화를 기준으로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말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 보고되는 주변 셀들의 정보를 이용하면, 셀 내의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v.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sensitive information, it may be difficult for the terminal to share it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not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TA value (at least one of the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he TA adjustment value, and the TA used for transmission) or the change used in the terminal enemy location can be inferred. Additionally, by using information on neighboring cells reported through a measurement report of the UE, it is possible to know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UE in the cell.

vi.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와 위성의 궤적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시 새롭게 계산된 TA 값을 적용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위성의 이동성뿐만 아니라 빠른 이동성을 가지는 단말을 고려할 때, 더 유용한 방안이다. vi. Since the terminal can calculat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satellite, the terminal can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by applying the newly calculated TA value during uplink transmission. This method is more useful in consideration of a terminal having fast mobility as well as mobility of a satellite.

vi-1. 전송에 사용된 TA 값을 단말이 기지국에게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새로운 TA를 적용 했음을 L1 시그널링(signaling), MAC CE, 또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수신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에 대한 TA가 TA 차이의 임계치(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값)를 초과하여 변경된 경우, 새로운 TA 조정값을 단말에게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상향링크 전송시에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 값과 TA 조정값을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vi-1. The TA value used for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using an RRC message or MAC CE. Alternatively, the UE may notify the base station that the new TA has been applied using L1 signaling, MAC CE, or RRC message.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uplink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when the TA for the terminal is changed by exceeding the TA difference threshold (a value preset in the system), a new TA adjustment value is set to the terminal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can In the next uplink transmission, the UE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y reflecting the TA value and the TA adjustment value calculated by the UE.

vi-2. 또는, 단말이 새로운 TA를 적용한 것을 기지국에 알리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 시 TA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TA 조정을 위한 양 또는 음의 TA 조정값을 단말에게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상향링크 전송시에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 값과 TA 조정값을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vi-2. Alternatively, the UE may not notify the base station that the new TA has been applied. If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A adjustment is necessary when receiving uplink data, a positive or negative TA adjustment value for TA adjust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sing a broadcast/multicast or dedicated channel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 During the next uplink transmission, the UE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y reflecting the TA value and the TA adjustment value calculated by the UE.

vi-3. 단말이 새로운 TA를 적용한 것을 알리지 않는 경우는 SR(scheduling request) 또는 RA 프리앰블(이외 다른 미리 약속된 메시지나 L1 시그널링, MAC CE)의 전송에만 새로운 TA를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미리 약속된 상향링크 데이터에 한하여, TA가 변경될 수 있음을 예상하고 TA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수신한 신호의 TA 조정을 위한 양 또는 음의 TA 조정값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TA 조정값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또는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상향링크 전송시에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 값과 TA 조정값을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vi-3. When the UE does not notify that the new TA has been applied, the new TA may be limitedly applied only to transmission of a scheduling request (SR) or an RA preamble (other than a previously promised message, L1 signaling, or MAC CE). If the base station anticipates that TA may be changed only for the uplink data promised in advance and determines that TA adjustment is necessary, a positive or negative TA adjustment value for TA adjustment of the receiv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TA adjustment value to the terminal using broadcast/multicast or a dedicated channel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During the next uplink transmission, the UE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y reflecting the TA value and the TA adjustment value calculated by the UE.

(4) RRC 휴지(idle)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의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4) TA update method of UE in RRC idle state or RRC inactive state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해당 시점의 자신의 위치 정보와 기지국의 위치 정보(위성 궤도 정보를 활용하여 획득)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TA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운 TA 값을 적용하여, 상향링크 메시지(preamble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동작은 앞서 설명된 (1), (2), 및 (3)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When uplink data transmission is required, the terminal calculates a relative distance us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obtained by using satellite orbit information), and acquires a new TA value based on this. can The UE may transmit an uplink message (preamble, etc.) by applying a new TA value. The subsequent operation may be the same as in (1), (2), and (3) described above.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 A terminal whose location information cannot be known

이하에서는, 단말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의 초기 접속 방법이 설명된다. 또한, RRC connected 상태의 단말과 RRC idle 상태 또는 RRC inactive 상태의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n initial access method when the terminal cannot know its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lso, a TA update method of a UE in an RRC connected state and a UE in an RRC idle state or RRC inactive state will be described.

(1) 초기 접속 방법(1) Initial connection method

i. 기지국은 서비스 중인 빔 또는 셀 내에서 최소 지연(minimum delay) 값을 브로드 캐스팅 한다. 예를 들어, 최소 지연 값은 90도 앙각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셀 내에서 위성과 가장 가까운 셀내 특정 위치에서의 지연 값이 최소 지연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값으로 위성의 고도에 따른 지연 값을 유추할 수 있다. i. The base station broadcasts a minimum delay value within a serving beam or cell. For example, the minimum delay value may be defined based on a 90 degree elevation angle. Alternatively, a delay value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cell closest to the satellite in the cell may be used as the minimum delay value. The terminal may infer a delay value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atellite from the corresponding value.

ii. 위성 셀 내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지연 차이가 크기 때문에, RACH 용량(capacity)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단말의 위치를 유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기지국은 앞서 기술된 지연 이외에 단말의 셀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호 세기(예컨대, RSRP, RSRQ)와 주변 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ii. Since the dela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E in the satellite cell is lar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ACH capacity is reduced. Therefore, a method for inferr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delay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may utilize signal strength (eg, RSRP, RSRQ) and neighboring cell information as a method for inferring the relative position within the cell of the terminal.

기지국은 단말이 추가적으로 적용할 차등 지연(differential delay)에 대한 적용 기준(예컨대, 임계치(threshold) 및 측정 시간 등)에 따른 지연 오프셋(delay offset)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일정 시간동안 주변 셀 신호세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자신이 적용해야 하는 지연 오프셋(delay offse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단말은 지연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provide a delay offset according to an application criterion (eg, a threshold and a measurement time, etc.) for a differential delay to be additionally applied by the terminal. The UE may determine a delay offset to be applied to the U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cell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e delay offset in the following case.

A. 주변 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A. When no surrounding cells are found

B. 주변 셀이 발견되나, 주변 셀의 신호 세기가 threshold1 보다 안 좋은 경우B. When a neighboring cell is found, but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cell is worse than threshold1

C. 주변 셀의 신호 세기가 threshold1 보다 좋으나, 현재 서빙 셀 신호와 주변 셀의 신호 차이가 threshold2 보다 큰 경우 또는 서빙 셀의 신호가 threshold 3보다 큰 경우 C.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cell is better than threshold1,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of the current serving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is greater than threshold2 or the signal of the serving cell is greater than threshold3

D. 주변 셀의 신호 세기가 threshold1 보다 좋고, 현재 서빙 셀 신호와 주변 셀의 신호 차이가 threshold 2보다 작은 경우 또는 서빙 셀의 신호가 threshold 3보다 작은 경우D.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cell is better than threshold1, and the signal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serving cell signal and the neighboring cell is less than threshold 2 or when the signal of the serving cell is less than threshold 3

iii. 단말은 자신이 측정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조건에 맞는 지연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한 지연 + 지연 오프셋(delay offset))을 적용하여, TA를 결정하고 선택한 RACH occasion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iii. The UE may determine a delay offset that meets the condition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UE. The UE may determine the TA by applying (delay broadcasted by the base station + delay offset) and transmit the RACH preamble on the selected RACH occasion.

iv. 단말에서 전송한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TA 조정을 위한 양 또는 음의 TA 조정값을 RAR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iv.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reamb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ay transmit a positive or negative TA adjustment value for TA adjustmen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RAR.

v. TA 조정값을 수신한 단말은 단말이 계산한 TA에 기지국이 설정한 TA 조정값을 추가 반영하여, 상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v. Upon receiving the TA adjustment value,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message by additionally reflecting the TA adjustment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to the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vi. 기지국은 자신이 설정한 TA 조정값을 TA 커맨드 MAC CE 메시지를 통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양 또는 음의 값으로)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TA 와 업데이트된 TA 조정값을 반영하여 상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vi. The base station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update (positive or negative) the TA adjustment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A command MAC CE message. The UE may transmit an uplink message by reflecting the TA calculated by the UE and the updated TA adjustment value.

vii.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전송 시 적용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등을 모두 포함 혹은 일부만 포함)을 RRC 메시지 또는 MAC CE 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vii. The UE may report the TA value (including all or part of the TA calculated by the UE, TA adjustment value, TA used for transmission, etc.) to the base station during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RRC message or MAC CE.

(2) RRC 연결(connected) 상태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2) TA update method of RRC connected (connected) state terminal

상술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에 대한 '(3) RRC connected 상태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I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3) TA update method of a terminal in an RRC connected state' for the 'terminal that can know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3) RRC 휴지(idle)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의 단말의 TA 업데이트 방법(3) TA update method of UE in RRC idle state or RRC inactive state

i. 기지국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지연 값이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변경된다면, 단말이 불필요한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SIB update)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기 전에는 TA 조정값의 업데이트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i. If the delay value broadcast by the base station is chang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performing an unnecessary system information update (SIB update) procedure, it is related to the update of the TA adjustment value before uplink data transmission occurs. action may not be performed.

ii. 휴지(idle) 상태 또는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려는 단말은 상태 천이를 위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메시지에 자신이 사용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등을 모두 포함 혹은 일부만 포함)을 포함하여 기지국에 미리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페이징(paging) 메시지 또는 RAN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전 TA 조정값에 비해 위성의 이동성으로 발생한 TA 조정값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새롭게 계산된 TA 조정값을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조정값을 이용하여, RA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ii. A terminal that wants to transition to an idle state or an in-active state uses the TA value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A adjustment value, and transmission) used in 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for state transition. Including all or only a part of the TA,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n advance.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paging message or a RAN paging message to the terminal, if the TA adjustment value caused by the mobility of the satellite exceeds the threshold compared to the previous TA adjustment valu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newly calculated TA adjustment value is combined with the paging messag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ogether. The UE may transmit the RA preamble by using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value.

iii. 단말은 상술된 초기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iii. The terminal may attempt access using the above-described initial access method.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이더라도, 계산된 TA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위치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과 같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Even if the terminal can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alculated TA is not used, the terminal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terminal that does not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통합 운영 방안Integrated operation plan

하나의 기지국 내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과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들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통합적인 운용 방안이 필요하다.When a terminal capable of know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capable of know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re mixed in one base station, a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is required.

(1) RACH Occasion을 구분하는 방안 (1) Method to classify RACH Occasion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과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RACH occasion들을 구분할 수 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데이터는 지연 오프셋(delay offset)의 오차가 적은 반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의 지연 오프셋 오차는 클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서의 프리앰블 수신 오차로 인하여, RACH occasion들 간의 간격을 크게 정의할 필요가 있고 이는 RACH 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에게는 좁은 간격의 RACH occasion를 정의하고,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에게는 RACH occasion 간격을 넓게 정의할 수 있다. RACH occasions that can be used by a terminal that can know loc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that can't know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istinguished. Since the uplink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at can know its location information has a small delay offset error, the delay offset error of the terminal that does not know it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large, so the preamble in the base station Due to a reception error, it is necessary to define a large interval between RACH occasions, which may affect RACH capacity. Accordingly, a narrow RACH occasion may be defined for a UE that can know location information, and a wide RACH occasion interval may be defined for a UE that does not know location information.

기지국은 두 가지 타입 단말이 시도할 RACH occasion을 구분하여 RACH occasion에 대한 설정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타입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에 따라서 RACH occasion을 선택하여,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can broadcast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the RACH occasion by dividing the RACH occasion to be attempted by two types of terminals. The UE may transmit a RACH preamble by selecting a RACH occasion according to its type (a UE capable of knowing location information/a UE unable to know location information).

또는, 기지국은 RACH occasion별로 반복되는 RACH 자원들(RACH resource) 간의 간격을 다양하게 정의(예를 들어, Minimum delay*2 ~ Maximum delay*2)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RACH occasion의 선택을 단말이 수행할 수 있다. RACH 절차를 수행하려는 단말은 TA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단말(또는 직접 계산이 가능한 단말)과 TA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단말로 나뉠 수 있다. TA정보가 설정된 단말(즉, 이전 초기 접속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서, TA가 설정되고 TA 유지가 되는 단말의 경우 또는 자신의 위치와 위성의 위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TA 값을 스스로 계산할 수 있는 단말의 경우)은 자신의 TA 값*2 보다 RACH resource 간격이 크거나 같은 RACH occasion을 선택할 수 있다. TA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단말은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Maximum delay *2 값과 같거나 Maximum delay *2 값보다 큰 간격으로 설정된 RACH occasion을 선택하여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프리앰블의 수신 시 단말이 전송한 RACH 자원 시간(서브프레임)을 정확히 구분해낼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는 단말이더라도 자신이 계산한 TA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TA가 설정되지 않는 단말처럼 동작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variously define intervals between RACH resources repeated for each RACH occasion (eg, Minimum delay*2 ~ Maximum delay*2) and broadcast. The UE may perform the selection of the RACH occasion. A terminal to perform the RACH procedure may be divided into a terminal to which TA information is configured (or a terminal capable of direct calculation) and a terminal to which TA information is not configured. In the case of a terminal for which TA information is set (that is, in the case of a terminal in which TA is established and TA is maintained through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previous initial access, or by using its own location and satellite loc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its own TA value. In case of the terminal), the RACH resource interv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its TA value *2 and may select the same RACH occasion. A UE for which TA information is not configured may transmit a RACH preamble by selecting a RACH occasion set at an interval equal to the Maximum delay *2 valu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or greater than the Maximum delay *2 value. The base station can accurately identify the RACH resource time (subfram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when the preamble is received. Meanwhile, even if the terminal can calculate location information, if it does not use the TA calculated by itself, it may operate as a terminal for which TA is not configured.

(2) 피더 링크(feeder link) delay를 고려한 방안 (2) Method considering feeder link delay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지연(radio interface delay)에는 단말과 위성 간의 지연 및 위성과 지상의 게이트웨이 간의 지연의 두 가지 지연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지상에 위치한 경우, 단말은 단말과 위성 간의 지연만 계산이 가능하다. 위성과 지상의 게이트웨이 간의 지연은 네트워크 배치(network deployment) 또는 위성의 이동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단말에서 해당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Referring to FIG. 4 , two delays may be applied to the radio interface dela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dela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and the delay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ateway on the ground.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is located on the ground, the terminal can calculate only the dela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Since the delay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terrestrial gateway may vary depending on network deployment or the mobility of the satellite, it is difficult for the terminal to obtai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첫 번째 방안은 피더 링크 지연을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이다. Transparent mode 또는 regenerative mode의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은 피더 링크 지연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단말과 위성 간의 서비스 링크 지연(service link delay) 또한 추가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base station broadcasts the feeder link delay. In the case of a base station in transparent mode or regenerative mode, the base station may broadcast the feeder link delay. In this case, a service link dela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atellite may also be additionally broadcast.

두번째 방안은 피더 링크 지연의 관리를 위성 또는 지상의 게이트웨이에게 맡기는 방안이다. 즉, transparent mode 또는 regenerative mode의 기지국은 피더 링크 지연을 제외한 서비스 링크 지연 만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ansparent mode의 경우, 기지국은 서비스 링크 지연 만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피더 링크 지연은 지상 기지국이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method is to leave the management of feeder link delay to a satellite or terrestrial gateway. That is, the base station in the transparent mode or the regenerative mode may consider only the service link delay excluding the feeder link delay. For example, in the transparent mode, the base station may broadcast only the service link delay. The feeder link delay may be commonly applied by terrestrial base stations.

세 번째 방안은 피더 링크 지연을 포함한 공통 지연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기지국이 지상에 있는 경우, 서비스 링크 지연과 피더 링크 지연을 포함하는 지연을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Regenerative mode 기지국인 경우, 서비스 링크 지연만을 브로드캐스팅한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의 경우, 위성과 단말 간의 거리 계산을 바탕으로 지연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이 계산한 지연 값이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공통 지연 값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단말은 자신이 계산한 지연 값 대신에 공통 지연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의 동작과 일치한다. The third method is to transmit a common delay including the feeder link delay. When the base station is on the ground, the base station can broadcast a delay including the service link delay and the feeder link delay. In the case of a regenerative mode base station, only the service link delay is broadcast. In the case of a terminal capable of know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 delay may be derived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delay value calculated by th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smaller than the common delay value broadcast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may use the common delay instead of the delay value calculated by the terminal. In this cas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when the terminal cannot know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상술된 동작들에서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지연 값을 초기 TA 값으로 적용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transmits the preamble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preamble by applying a delay valu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as an initial TA value.

(3) 메시지 송수신 및 스케쥴링 오프셋(3)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and scheduling offset

1) MSG3 스케쥴링 오프셋1) MSG3 Scheduling Offset

ⅰ. TA(단말 특정적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를 단말이 결정하는 경우(즉, 단말이 초기 접속 단계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TA를 계산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사용한 TA 값에 대한 정보가 없다. 기지국에게 단말이 사용한 TA값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MSG3의 자원 할당 시, 단말이 MSG3를 전송하는 시점을 특정할 수 없어 기지국에서 MSG3이 수신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가 없다. MSG2를 수신한 단말은 (기존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에 소용되는 시간) 이후에 MSG3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긴 전파 지연(long propagation delay)를 고려하여(즉, 단말에서 MSG3 전송을 위한 TA 값을 고려하여) 기지국이 스케쥴링을 수행해야 한다. 단말은 MSG3 전송 시, 기존 메시지 준비시간 이후에 <자신이 설정한 TA + 기지국이 설정한 TA 조정값>을 적용하여, MSG3을 미리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이 단말이 설정한 TA값을 MSG3 전송 단계에서 모르는 경우, 기지국이 MSG3을 수신할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 지연 시간 즉, (maximum delay*2 +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에 MSG3 메시지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시간을 n이라고 하는 경우, 단말은 n-TA 시간에 MSG3를 전송한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을 t 라고 가정하는 경우, 단말은 (t+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 + maximum delay - TA)에 MSG3을 전송할 수 있다.i. When the terminal determines the TA (terminal-specific propagation delay) (that is, when the terminal transmits the preamble by calculating the TA with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initial access step), the base station does not have information about the TA value used by the UE. Since the base station does not have information on the TA value used by the terminal, when the MSG3 resource is allocate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erminal transmits the MSG3 cannot be specified, so that the base station cannot know the subframe in which the MSG3 is received. Upon receiving MSG2, the UE may transmit MSG3 after (existing MSG2 reception processing + time required for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a long propagation delay (that is, in consideration of a TA value for MSG3 transmission in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ust perform scheduling. When transmitting MSG3, the UE transmits MSG3 in advance by applying <TA set by itself + TA adjustment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after the existing message preparation time.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know the TA value set by the terminal in the MSG3 transmission step, the base station stops receiving the MSG3 message at the maximum delay time expected to receive the MSG3, that is, (maximum delay*2 + 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can be expected When this time is referred to as n, the UE transmits MSG3 at time n-TA. Alternatively, if it is assumed that the tim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s t, the terminal may transmit MSG3 at (t+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 maximum delay - TA).

만일 상향링크 스케쥴링 시점을 (maximum delay *2)로 설정하는 경우, 초기 접속 시간이 지연되고, 만일 초기접속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지연 시간은 무시되지 않을 정도로 커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대 지연(maximum delay) 대신에 단말이 선택한 RACH occasion의 간격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말이 RACH occasion을 선택할 때, TA(즉, 단말이 계산한 전파 지연)보다 큰 RACH occasion을 선택하였으므로, 기지국은 단말과 기지국간 지연의 최대 값이 RACH resource 간 간격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상향링크 메시지 수신을 기대하는 시간(즉, (RO resource 간격*2 +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을 n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단말은 n-TA 시간에 MSG3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을 t 라고 가정하는 경우, 단말은 (t+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 + RO resource 간격 - TA)에 MSG3을 전송할 수 있다.If the uplink scheduling time is set to (maximum delay *2), the initial access time is delayed, and if the initial access attempt fails, the delay time may be large enough to not be ignored. To solve this, there is a method of using the interval time of the RACH occasion selected by the UE instead of the maximum delay. When the UE selects the RACH occasion, since the RACH occasion larger than the TA (ie, the propagation delay calculated by the UE) is selected, the base station may assume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delay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is the interval between the RACH resources. If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expects to receive the uplink message (ie, (RO resource interval *2 + 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is n, the terminal may transmit MSG3 at n-TA time. Alternatively, if it is assumed that the tim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s t, the terminal may transmit MSG3 at (t+ 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 RO resource interval - TA).

ⅱ. 초기 접속 절차이후 단말이 설정한 TA는 MSG3 혹은 MSG5 단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TA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단말이 사용하고 있는 TA 값을 알리고, 기지국이 응답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TA 값은 이후 스케쥴링 오프셋(scheduling offset)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접속 이후에 발생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프리앰블 전송 및 프리앰블 전송 후 RAR 수신을 위해서 단말에서 운용하는 RAR 윈도우의 시작시점에 TA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MSG2 수신 후 MSG3 송신 시에 TA를 적용하고, 기지국은 MSG2 송신시간 이후 (MSG 처리시간 + TA*2)에 MSG3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에서 MSG2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을 t 라고 가정하는 경우, <t+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 에 MSG3을 전송할 수 있다.ii. The TA configured by the UE after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may be transmitted in MSG3 or MSG5 step. Alternatively, the terminal may transmit a TA update message to notify the base station of the TA value used by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respond. The TA value set in this way may then be used as a scheduling offset. For example, TA may be applied at the start time of the RAR window operated by the UE for preamble transmission and RAR reception after preamble transmission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occurring after initial access. In addition, TA may be applied when MSG3 is transmitted after receiving MSG2, and the base station may operate to receive MSG3 after MSG2 transmission time (MSG processing time + TA*2). Alternatively, if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receives the MSG2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as t, MSG3 may be transmitted at <t+ 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ⅲ. TA(단말 특정적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를 기지국이 결정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간 지연 정보가 없는 단말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공통 지연 정보를 이용하여, TA를 적용할 수 있다.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RAR을 통해 TA 조정값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의 TA정보를 알게 된다. 기지국은 MSG2 송신시간 이후 (MSG 처리시간 + TA 시간*2)에 MSG3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을 t 라고 가정하는 경우, 단말은 (t+ MSG2 수신처리 + MSG3 전송 준비시간)에 MSG3를 전송할 수 있다.iii. Whe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A (terminal specific propagation delay), the terminal without delay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apply the TA by using common dela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reamble may transmit a TA adjustment value through RAR.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knows the T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can expect to receive MSG3 after the MSG2 transmission time (MSG processing time + TA time*2). Alternatively, if it is assumed that the tim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s t, the terminal may transmit MSG3 at (t+MSG2 reception processing + MSG3 transmission preparation time).

2) DATA 스케쥴링 오프셋2) DATA Scheduling Offset

초기접속 이후, TA가 설정되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TA 오프셋이 threshold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새로운 TA가 설정될 수 있다. TA는 위성통신에서 긴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 반영되는 값이다. 단말의 위치나 위성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TA는 단말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별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용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TA를 설정하면,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시간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처리시간 + TA 시간*2) 로 결정될 수 있다.After the initial connection, when a TA is established, a new TA may be configur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when the TA offset differs by more than a threshold). TA is a value reflecting long propagation delay in satellite communication. Since i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r the location of the satellite, the TA may be set for each terminal through terminal-specific signaling. When the base station sets TA to the terminal by using dedicated signaling, the scheduling time for uplink data reception may be determined as (downlink data reception processing time + TA time*2).

(4) 핸드오버 방안(4) Handover scheme

단말의 위치정보는 민감한 정보여서, 기지국에게 공유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단말의 위치 정보가 기지국에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서 사용된 TA 값(단말이 계산한 TA, TA 조정값, 전송에 사용된 TA 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변화를 기준으로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말로부터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통해 보고되는 주변 셀들의 정보를 이용하면, 셀 내의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sensitive information, it may be difficult to share it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not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TA value (at least one of the TA calculated by the terminal, the TA adjustment value, and the TA used for transmission) or the change used in the terminal. enemy location can be inferred. Additionally, by using information on neighboring cells reported through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UE, it is possible to know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UE in the cell.

기지국은 셀 내에 미리 다수의 정의된 위치에서의 TA 값을 미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한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 셀 리스트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위치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로 위치를 가정하고, 핸드오버시 타겟 기지국과의 TA는 해당 위치를 기본으로 각 위성 기지국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단말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may have TA values at a plurality of predefined positions in the cell in advance. By additionally using the candidate cell list for handover reported by the terminal, the location is assumed to be the closest point to a predefined location, and TA with the target base station during handover is the distance from each satellite base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can be calculated and set in advance to the terminal.

또는, 단말은 타겟 기지국에게 자신이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인지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인지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단말인 경우, TA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알 수 없는 단말인 경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erminal may notify the target base station of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a terminal capable of knowing location information or a terminal that cannot know location information. The target base station may omit providing the TA when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a terminal that can know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terminal whose location information is unknown, uplink data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TA value received from the target base st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예시된 통신 노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위성 기지국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저장 장치(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ode illustrated in FIG. 5 may be a terminal or a satellite base st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510 , a memory 520 , and a transceiver 5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54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550 , a storage device 560 , and the like.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be connected by a bus 5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5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520 and the storage device 560 . The processor 5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520 and the storage device 56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52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nfiguration or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지연 시간 관리 방법으로,
비지상 노드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될,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를 적용하여 상기 비지상 노드에 대한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비지상 노드로부터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수신되며, 상기 SIB가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상기 SIB의 제1 변경 주기에서 수신되는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의해서 지시되고, 상기 변경된 지연 시간 또는 스케쥴링 오프셋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변경 주기 이후의 제2 변경 주기에서 수신되는,
지연 시간 관리 방법.
As a delay time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non-terrestrial network,
Receiving, from a non-terrestrial node, information on a changed delay time or a scheduling offset to be applied to uplink transmission; and
performing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non-terrestrial node by applying the delay time or the scheduling offset;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received by being included in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from the non-terrestrial node, and whether the SI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determined by the SIB. Indicated by a paging message received in the first change period, and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d delay time or scheduling offset is received in a second change period after the first change period,
How to manage latency.
KR1020210175359A 2020-12-11 2021-12-09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200836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76 2020-12-11
KR20200173776 2020-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611A true KR20220083611A (en) 2022-06-20

Family

ID=8225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59A KR20220083611A (en) 2020-12-11 2021-12-09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61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2477A1 (en) * 2021-04-01 2022-10-06 Qualcomm Incorporated Non-terrestrial network user equipment behavior in case of failures in location tracking
WO2024065601A1 (en) * 2022-09-30 2024-04-04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timing advance command indication in layer 1 /layer 2 mobil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2477A1 (en) * 2021-04-01 2022-10-06 Qualcomm Incorporated Non-terrestrial network user equipment behavior in case of failures in location tracking
US11910458B2 (en) * 2021-04-01 2024-02-20 Qualcomm Incorporated Non-terrestrial network user equipment behavior in case of failures in location tracking
WO2024065601A1 (en) * 2022-09-30 2024-04-04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timing advance command indication in layer 1 /layer 2 mo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903B2 (en) Method for handover in non-terrestrial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363643B2 (en) Random access procedures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20200351957A1 (en)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1683699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CN112787712B (en)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for low-orbit satellite base station-aircraft user terminal
US11956688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KR20220083611A (en) Method of managing delays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14600506A (en) Cell search method and terminal
US20240129895A1 (en) Avoiding losing network access due to lack of navigation system coverage
KR20200127865A (en)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38361A (en) Initial access method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2311633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30105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synchron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23002833A1 (en) Methods,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WO2023245486A1 (en) Neighbor cel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KR20220094162A (en) Measurement management method for moving cell, and apparatus therefor
WO2022205232A1 (en) Coverage enhancement level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coverage enhancement leve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6848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from a first cell to a second cell
CN114641081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4050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37643A1 (en) Repeated transmission request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ystem, chip and storage medium
US20240155692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406007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737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errestrial network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69740B1 (e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satellite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