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181A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181A
KR20220083181A KR1020200173163A KR20200173163A KR20220083181A KR 20220083181 A KR20220083181 A KR 20220083181A KR 1020200173163 A KR1020200173163 A KR 1020200173163A KR 20200173163 A KR20200173163 A KR 20200173163A KR 20220083181 A KR20220083181 A KR 2022008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mart farm
smart
present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7824B1 (en
Inventor
윤성현
박주영
이창규
최문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824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05Agricul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는 스마트팜 기자재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룰셋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선별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인 룰셋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validating smart farm datasets.
The collected data selection device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generated from smart farm equipment, a memory and a program in which a program for selecting data based on a ruleset is stored. and a processor that executes, wherein the processor selects data by applying a rule set that is a set of rules for data selection.

Description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 set valid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validating smart farm datasets.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빅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시 불필요한 데이터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portion of unnecessary data is very high when collecting data necessary for building big data.

불필요한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자원의 낭비가 심해지고, 데이터 분석에 있어 결과가 왜곡되어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amount of unnecessary data increases, the waste of resources for data processing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liability is not secured because the results are distorted in data analysi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팜에서 생성되고 활용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빅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that selects data necessary for building big data through validation of data generated and used in a smart farm. hav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는 스마트팜 기자재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룰셋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선별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인 룰셋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pparatus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validation of a smart farm data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generated from smart farm equipment,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selecting data based on a ruleset is stor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Including,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selected by applying a rule set, which is a set of rules for data sel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팜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수집되는 데이터들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하고 선별을 통해 저장 및 유지함으로써, 빅데이터 구축 비용을 절감시키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줄여 데이터 수집 노드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부하를 경감시키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네트워크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for smart farm big data construction and storing and maintaining it through selection, the big data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is reduc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ion node and data It reduces the load on the system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etwork cost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팜 빅데이터 구축시 스마트 온실(축사 및 노지 등 포함), 농장, 클라우드로 이어지는 데이터 수집 체인의 모든 주체에서 전처리 선별 방식에 따른 룰셋 정의를 통해 데이터를 선별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목적에 부합하는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building smart farm big data, data is selected through ruleset definition according to the pre-processing selection method in all subjects of the data collection chain leading to the smart greenhouse (including livestock and field farms), farms, and cloud, and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high-quality data in accordance with the

또한, 스마트 온실과 같이 데이터 수집 체인의 하단에 적용될 경우, 상단의 시스템 자원에 대한 불필요한 낭비를 사전에 회피함으로써 데이터 수집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data collection chain, such as a smart greenhou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cost of data collection by avoiding unnecessary waste of system resources at the upper end in adv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스마트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선별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를 도시한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far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mart farm data coll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mart farm data selection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apparatus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provided to easily inform the composition and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ed.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에 대하여 먼저 서술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 background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will be first described,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최근 스마트팜이 확산됨에 따라 스마트팜 운영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Recently, as smart farms spread, the importance of data generated during smart farm ope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특히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인적 자원에만 의존하던 1차 산업적 농업 기술이 2차 산업적 특성을 갖출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고, 스마트팜 데이터의 중요성은 크게 대두되고 있다.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deep learning, the possibility that primary industrial agricultural technology, which was only dependent on existing human resources, can have secondary industrial characteristics, ha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smart farm data is rising. .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이 다양하게 쓰임에 따라 데이터의 역할이 더욱 커지게 되는데,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작동에 있어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As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the role of data grows larger, because data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in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더 많은, 더 좋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수록 인공지능이 더 양질의 결과를 내놓게 되기 때문에 향후 스마트팜 데이터의 중요성은 점차 더욱 커질 것으로 쉽게 전망된다.It is easy to predict that the importance of smart farm data will gradually grow in the future because the more and better data we have, the better the AI will produce quality results.

보다 많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결국 미래의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현재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수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Since securing more high-quality data ultimately leads to future competitiveness, various types of data collec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s at home and abroad.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중복되거나 필요 없는 잉여 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다. However, in many cases, redundant or unnecessary data is collected.

통상 빅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시, 80% 이상이 가비지 데이터라고 할 만큼 불필요한 데이터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In general, when collecting data necessary for building big data, the proportion of unnecessary data is very high enough to say that more than 80% of it is garbage data.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닌 불필요한 데이터가 많아 질수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자원의 낭비가 심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데이터 분석에 있어 왜곡된 결과를 피하고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결과를 내는데 많은 장애가 된다. As the amount of unnecessary data that is not the user's desired data increases, the waste of resources for data processing becomes more severe, and there are many obstacles in avoiding distorted results and providing reliable and accurate results in data analysis.

이에 따라,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이 필요한데, 이는 데이터 수집에 대해 관여하는 시점에 따라 전처리 선별 방법과 후처리 선별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efficient data collection method, which can be divided into a pre-processing screening method and a post-processing screening method depending on the time point involved in data collection.

후처리 선별 방법은 데이터 수집 시에는 관여하지 않고 수집된 데이터의 볼륨을 압축하여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The post-processing screening method is a method of efficiently storing the collected data by compressing the volume without being involved in data collection.

즉, 일단 데이터를 모두 모아놓고, 추후에 골라내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수집 과정이 단순하지만,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 That i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is simple as a method of collecting all data once and selecting them later, but data validation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당장 데이터 수집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지만,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 선별 및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It does not cost a lot to collect data right away, but for data analysis, data selection and verification process is required.

일반적으로 단순한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모으고, 클라우드 같은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통해 데이터 유효성 검증과 분석을 수행할 때 적용될 수 있다.In general, it can be applied when collecting data through simple devices and performing data validation and analysis through high-performance computing resources such as the cloud.

전처리 선별 방법은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부터 수집할 데이터를 선별함으로써 저장할 가치가 있는 데이터만 골라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The pre-processing screening method is a method of selecting and storing only the data that is worth saving by selecting the data to be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process.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서 데이터를 선별해야 하기 때문에 후처리 선별 방법보다 성능이 높은 데이터 수집 장치가 요구되고, 어떤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에 대한 로직 구현도 필요하게 된다. Since data needs to be selected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a data collection device with higher performance than the post-processing screening method is required, and logic implementation for what purpose the data will be collected for is also required.

그러나 효율적인 전처리 선별을 통한 데이터 구축 방법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데이터 자체가 목적에 맞게 수집된 데이터이므로 데이터 분석에 있어 양질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가치가 보다 높이 평가될 수 있다.However, the data construction method through efficient pre-processing selection enables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since the data itself is data collected for the purpose, high-quality results can be expected in data analysis, so the value of the data can be evaluated more highly. .

전처리 및 후처리 선별 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을 위한 여건과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Since the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screening methods each have their pros and cons, it is appropriate to select and apply them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purpose for data coll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팜 빅데이터 구축에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하여, 수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고, 이후 과정에서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며, 목적에 따른 데이터의 가치를 제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양질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icient data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farm big data construction are provided, and unnecessary data generated in the collection process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ultimately obtain high-quality data analysis results by minimizing the cost burden in the subsequent process and enhancing the value of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팜 빅데이터 구축 시 전처리 선별과 관련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related to preprocessing selection when constructing smart farm big data are proposed.

스마트팜 분야에서의 데이터는 스마트 온실, 스마트 축사, 스마트 과수원 등 데이터의 수집 범위가 매우 넓고 작물 및 가축의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 데이터의 종류 또한 다양한 특성이 있다. Data in the field of smart farms have a very wide range of data collection, such as smart greenhouses, smart livestock houses, and smart orchards, and as the types of crops and livestock are diverse, the types of data also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따라서, 데이터 선별에 따른 데이터 수집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ICT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현재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기자재들 또한 지속적으로 고도화 될 것으로 쉽게 예측되기 때문에 후처리 선별 방법보다 전처리 선별 방법이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Therefore, the need for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data selection is continuously emerging, and it is easily predicted that the equipment currently applied to the smart farm will also be upgraded continuously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can be used effectively.

스마트팜은 기존의 전통적 농업에 IoT 등 ICT기술을 융합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창출을 추구하는 첨단 농업 기술로서, 다양한 IT기기들이 활용된다. Smart farm is a cutting-edge agricultural technology that seeks to create high added value 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y converging ICT technologies such as IoT with existing traditional agriculture, and various IT devices are used.

스마트팜은 적용분야에 따라 작물을 생육하는 스마트 온실, 가축을 키우는 스마트 축사, 과수를 생육하는 스마트 과수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Smart farms can be classified into smart greenhouses for growing crops, smart barns for raising livestock, and smart orchards for growing fruit trees,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즉, 스마트팜은 생육하는 대상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생육하는 대상의 품종에 따라 다시 세분화된다. That is, smart farm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rowing object, and subdivided again according to the breed of the growing object.

이렇듯 스마트팜에는 영농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설 및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팜 데이터는 각각의 경우에서 매우 다양한 종류로 생성된다. As such, various types of facilities and devices may be provided in a smart farm depending on the type and method of farming, and smart farm data is generated in very different types in each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스마트팜의 구성을 도시한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far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마트 온실에는 센서 모듈(온도 센서 모듈, 습도 센서 모듈, 조도 센서 모듈 등), 구동기 모듈(릴레이, 모터 등), 센서 노드(114) 및 구동기 노드(117)와, 이들로부터 온실의 환경 및 기자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노드(118)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ure 1, each smart greenhouse has a sensor module (temperature sensor module, humidity sensor module, illuminance sensor module, etc.), driver module (relay, motor, etc.), a sensor node 114 and a driver node 117 and , a control node 118 that receives environmental and equipment status data of the greenhouse from them and transmits control commands for them is provided.

센서의 종류는 온도(Temperature), 습도(Humidity), 조도(Illuminance) 등 측정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 될 수 있으며, 구동기 종류 또한 릴레이(Relay), 모터(Motor) 등 고유의 동작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Sensor types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ata to be measured,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스마트 온실은 농가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스마트 온실마다 구비된 제어 노드를 통해, 농가의 전체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 노드(120)에 연결된다. A plurality of smart greenhouses may be provided in a farmhouse, and through a control node provided for each smart greenhouse,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node 120 in charge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armhouse.

각 제어 노드(118)는 구동기 노드(117)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고, 또한 센서 노드(114) 및 구동기 노드(117)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운영 노드(120)로 전달한다. Each control node 118 transmits a signal to control the driver node 117 , and also transmits data transmitted by the sensor node 114 and the driver node 117 to the operation node 120 .

운영 노드(120)는 복수의 온실을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농가가 운영하는 각 온실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관찰하고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운영 시스템처럼 사용되기 때문에, 농가에서 생성되는 스마트팜 데이터는 운영 노드(120)에서 취합 되고 관리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ng node 120 is used like an operating system that overall observes and integrally controls the state of each greenhouse operated by the farmhouse by integrat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greenhouses, the smart farm data generated by the farmhouse is the operating node 120 ) can be collected and managed in

각 농가의 운영 노드(120)는 클라우드의 관리 시스템(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 시스템(130)은 다수의 원격지 농가의 운영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최적의 운영 조건을 찾아 다시 각 농가의 운영 노드(120)를 통해 피드백 할 수 있게 된다. The operation node 120 of each farmhouse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ystem 130 of the cloud.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ystem 130 identifies and analyzes the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remote farmhouses to find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nd again each farmhouse It is possible to feedback through the operating node 120 of

따라서 각 농가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클라우드 관리 시스템(120)에서 취합되고 관리가 이루어진다. Accordingly, data collected from each farm is collected and managed in the cloud management system 120 .

이러한 방식에 따라, 클라우드는 다양한 스마트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loud can provide various smart farm services.

이러한 스마트팜 서비스의 예로는 스마트 온실에서 생성하는 생육 및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생육모델을 도출하는 스마트팜 데이터 분석 서비스, 스마트 온실 내 작물의 생육상태를 영상으로 전송 받아 원격에서 분석하여 작물의 생육 상태나 병해충 식별을 해주는 원격 진단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Examples of such smart farm services include a smart farm data analysis service that derives an optimal growth model by analyzing growth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generated in a smart greenhouse, and a remote analysis of the growth status of crops in the smart greenhouse by sending an image. This includes remote diagnostic services that identify conditions or pests.

전술한 서비스는 농가 내 운영 노드(120)에서 자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클라우드 관리 시스템(130)에서 처리되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토대로 한 분석 결과와는 차이가 발생한다. The above-described service can be performed using its own data in the operation node 120 in the farmhouse, but a difference occurs from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a large amount of data processed in the cloud management system 130 .

스마트팜에서 생성되고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는 온실, 축사, 노지 등 스마트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겠지만, 스마트 온실을 기준으로 크게 시설, 환경, 생육, 경영의 4가지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data that can be generated and collected in a smart farm will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mart farm, such as greenhouses, livestock houses, and open fields, but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fields: facility, environment, growth, and management based on smart greenhouses.

시설 데이터는 스마트 온실과 같이 스마트팜 시설의 기초정보를 위한 데이터로서, 농가 정보, 시설 정보, 담당자 정보 등이 포함된다. Facility data is data for basic information of smart farm facilities such as smart greenhouse, and includes farmhouse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이러한 시설 데이터는 스마트팜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한번 생성된 데이터는 잘 변경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Since these facility data are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smart farm management, the data once created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t is not easily changed.

환경 데이터는 시설 내외부의 센서와 구동기 등의 스마트팜 기자재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들로서, 정해진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되는 특성이 있다. Environmental data is information generated from smart farm equipment such as sensors and actuators inside and outside the facility, and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automatically measured according to a set period.

생육 데이터는 작물의 생장에 따라 측정되어 생성되는 정보로서, 작물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이 있다. Growth data is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crops, and has very diver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crop.

예컨대, 동일한 스마트온실에서 재배되는 시설원예 작물이라 하더라도 토마토, 파프라카, 딸기 등 작물의 종류에 따라 생육 데이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For example, even for facility horticultural crops grown in the same smart greenhouse, the types of growth data are very diverse depending on the types of crops such as tomatoes, paprika, and strawberries.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을 통해 생육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현재까지는 주로 생육 데이터를 숙련된 인력에 의한 수작업을 통해 측정한다. There are attempts to automate the collection of growth data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so far, growth data is mainly measured manually by skilled personnel.

경영 데이터는 스마트팜 경영에 소요되는 비용 및 수익과 관련된 정보로서, 생산 비용, 수확 정보, 판매 정보 등이 포함된다. Management data is information related to costs and profits required for smart farm management, and includes production costs, harvest information, and sales information.

경영 정보는 농가의 수익성을 드러내기 때문에 통상 잘 공개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경매 등의 시장 정보 등을 통해 추정하는 경우가 많다. Since management information reveals the profitability of farms, it is usually not disclosed well, and it is often estimated through market information such as au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팜을 운영하면서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는 데이터는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wide variety of data that can be created and managed while operating a smart farm.

이들 중 시설 데이터 및 경영 데이터는 통상 데이터 생성의 주기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 수집 장치를 사용하기 보다는 수동으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적용되는 데이터 선별 방법 또한 전처리 선별 방법 보다는 후처리 선별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se, facility data and management data are usually entered manually rather than using a separate data collection device because the cycle of data generation is unclear.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생육 데이터의 경우에도 일부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자동 데이터 수집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수동으로 확인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측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인력에 의해 일차적으로 선별된 데이터가 입력되기 때문에 후처리 선별 방법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growth data, some are attempting automatic data coll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t is still common to manually check and input data. It can be said that the post-processing screening method is more suitable.

다만 환경 데이터의 경우에는, 스마트온실의 보급이 보편화 되었고, 이로 인해 온도, 습도, CO2, 일사, 풍향, 풍속, 감우, 광양자, 토양 함수율, 토양 수분 장력, EC, pH, 지온 등을 측정하는 센서와 천창, 측창, 보온 덮개, 차광막, 환풍기, 유동 팬, 관수 모터, 관수 밸브, 냉난방기 등의 구동기를 포함한 다양한 스마트팜 기자재들이 생산 및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스마트팜 데이터들이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data, the spread of smart greenhouses has become common, and due to this, sensors that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CO2, solar radiation, wind direction, wind speed, rain, photon, soil moisture content, soil moisture tension, EC, pH, geo temperature, etc. A wide variety of smart farm data is continuously generated because various smart farm equipment including skylights, side windows, thermal insulation covers, shading curtains, ventilators, floating fans, irrigation motors, irrigation valves, and actuators such as air conditioners are being produced, distributed and utilized.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팜 기자재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of data generated by smart farm equip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절차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선별, 데이터 전달 및 데이터 폐기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The smart farm data collection procedure for big data utilization is carried out through data collection, data selection, data delivery and data disposal.

처음 데이터가 생성되면 데이터 선별 방식에 따라 데이터 선별 처리 여부가 결정된다. When data is first created, whether or not to process the data sort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sorting method.

후처리 선별 방식의 경우라면 데이터의 선별 없이 다음 단계로 데이터가 전달되게 되고, 전처리 선별 방식의 경우라면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post-processing selection method, data is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without data sel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pre-processing selection method, a data selection process is performed.

데이터 선별 과정은 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활용 목적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 이루어진다. The data selection process is made through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type of data and the purpose of data use.

데이터의 유형이 적합하지 않거나, 중복된 데이터이거나, 데이터의 수집 또는 활용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데이터는 데이터 폐기 과정을 통해 버려지게 되고, 데이터 수집 목적에 따라 데이터로의 가치가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 분석 등을 위해 데이터 전달 과정을 통해 다음 단계로 전달된다.Data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type of data, is duplicate data, or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or utilization is discarded through the data disposal process. It is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through the data transfer process fo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절차를 도시한다. Figure 2 shows a smart farm data coll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팜은 온실, 축사, 노지 등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도 다시 생육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Smart farm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fields according to application fields such as greenhouses, livestock pens, and open fields, and here again, they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growth targets.

각 분야 및 생육 대상에 따라 기자재들이 달리 적용될 수 있지만, 스마트팜 데이터의 생성은 센서 및 구동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기자재에서 이루어진다. Although equipment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field and target of growth, the generation of smart farm data is performed in smart farm equipment including sensors and actuators.

즉, 스마트팜 기자재가 어떤 유형의 기자재인지에 상관없이 스마트팜 기자재는 스마트팜 데이터를 생성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regardless of what type of equipment the smart farm equipment is, it can be said that the smart farm equipment has the conditions to generate smart farm data.

통상 온실, 축사, 노지 등에 설치되는 스마트팜 기자재는 최초 설치시 기자재의 종류에 따라 어떤 데이터를, 어떤 주기로, 어떤 단위로, 언제까지 등의 데이터 생성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Smart farm equipment, which are usually installed in greenhouses, livestock pens, and fields, etc.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sets standards for data generation, such as what data, at what period, in what unit, and by when, depending on the type of equipment.

이후 설정을 마친 스마트팜 기자재는 가동되는 순간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After that, the smart farm equipment that has been set up will periodically generate data from the moment it is operated.

스마트팜 데이터를 생성에 있어, 센서 및 구동기 모듈은 해당 종류의 환경 및 상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S201). In generating smart farm data, the sensor and actuator module continuously measure the corresponding type of environment and state data (S201).

측정된 값은 해당 센서 및 구동기 모듈이 연결된 센서 및 구동기 노드로 전송된다.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and driver node to which the corresponding sensor and driver module are connected.

통상 하나의 센서 노드 또는 구동기 노드에 다수의 센서 모듈 또는 구동기 모듈이 연결되는데, 이는 스마트팜 시설의 구성에 따라 상이하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or actuator modules are connected to one sensor node or actuator node, which differ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farm facility.

센서 및 구동기 모듈이 측정하여 보낸 아날로그 값은 센서 및 구동기 노드가 수치화하여 데이터 선별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하게 된다(S202).The analog value measured and sent by the sensor and driver module is digitized by the sensor and driver node to generate digital data that is the target of data selection (S202).

센서 및 구동기 노드가 생성한 데이터는 전처리 선별 방법에 따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S203). The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and driver nodes go through a data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processing selection method (S203).

데이터 선별 과정은 데이터의 목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효한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데이터의 활용 목적이 명확해야 한다. Since the data screening process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data, the purpose of data utilization must be clear above all else to select valid data.

즉,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하고, 데이터의 유효 범위 또한 명시되어야 하며, 데이터의 생성 시기 또한 명시되어야 한다.That is, there must be a definition of what data is required, the effective range of the data must also be specified, and the creation time of the data must also be specified.

이는 추후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른 종류의 데이터와의 비교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This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for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data for future data analysis.

예컨대, 작물의 최적 생육 알고리즘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육 데이터만 있어서는 안되고, 해당 작물이 자라는 기간 동안 유지 및 관리되는 시설의 환경데이터가 함께 필요하다. For example, in order to obtain data for deriving the optimal growth algorithm for crops, there is not only crop growth data, but also environmental data of facilities maintained and managed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the crop.

최적 생육 알고리즘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육 데이터와 시설의 환경 데이터가 다시 세분화 되며, 세분화된 각 항목들에 대해 각각의 인과관계가 분석되고 난 후에, 각 항목들이 다르게 적용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성하고 추후 작물의 생육 결과와 비교하여 최적 알고리즘을 도출하게 된다.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growth algorithm, crop growth data and environmental data of facilities are subdivided again, and after each causal relationship is analyzed for each subdivided item, an environment to which each item is applied differently is artificially constructed and Afterwards, the optimal algorithm is derived by comparing it with the growth results of crops.

즉. 결과적으로 작물의 생육 데이터와 시설의 환경 데이터가 가지는 역학관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적 생육 알고리즘이 도출된다. In other words. As a result, an optimal growth algorithm i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ynamics between crop growth data and facility environmental data.

데이터 선별 과정을 통해 센서 및 구동기 노드가 생성한 데이터 중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된 데이터는 버려지게 되고,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한 데이터들은 데이터 분석 등에 활용되기 위해 연결된 운영 노드로 전달하게 된다(S204). Data determined to be invalid among the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and driver nodes through the data selection process are discarded, and the data determined to be valid data are transferred to the connected operation node for use in data analysis (S204).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의 종류, 생성되는 데이터 및 폐기되는 데이터의 수량 등과 같은 데이터 선별 처리 과정에 대한 이력 정보가 추후 해당 장치의 성능 측정 등을 위해 별도로 보관될 수 있다. If necessary, history information on the data selection process, such as the type of data, the amount of generated data and discarded data, etc. may be separately stored for future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device.

스마트 온실, 스마트 축사, 스마트 노지 등의 단위로 선별된 데이터들은 농가 내의 통합된 데이터 보관 장소인 운영 노드로 전송되고, 운영 노드는 각 제어 노드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아 취합한다(S205).Data selected in units such as smart greenhouses, smart livestock houses, and smart farms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node, which is an integrated data storage place within the farm, and the operation node collects and collects data received from each control node (S205).

취합된 데이터는 저장되어(S207) 농가 내 데이터로서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거나(S208),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의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된다(S209). The collected data is stored (S207) and used for data analysis as data within the farmhouse (S208), or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loud through the Internet (S209).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될 데이터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데이터 선별 과정을 통해 관리시스템으로 보낼 데이터인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Whether or not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is determined through the data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anagement system.

관리 시스템은 각 농가의 운영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취합하고(S210), 취합된 데이터의 선별 과정을 통해(S211) 데이터 분석에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하게 된다(S212).The management system collec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operation nodes of each farmhouse (S210), and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S211), extracts and utilizes valid data for data analysis (S21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선별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3 shows a smart farm data selection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선별 장치는 룰셋 기반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데이터 선별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 노드, 운영 노드, 관리 시스템 등에 탑재된다. The smart farm data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software that operates based on a ruleset, and is mounted on a control node, an operating node, a management system, etc. that perform a data sorting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 선별 기능 블록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301) 및 데이터 출력을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307)를 포함한다. The smart farm data selection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interface 301 for data input and an output interface 307 for data output.

룰셋 관리부(304)는 입력되는 각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선별을 위한 판단의 기준이 되는 조건과,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규칙을 규정하는 룰셋을 추가, 검색, 수정, 삭제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The ruleset management unit 304 performs an operation of adding, searching, modifying, and deleting a rule set that defines a criterion for determination for data selection for each input data and a processing rule for data that meet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do.

룰셋은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규칙들의 집합으로서, 어떤 데이터를 선별할 것인지는 어떤 룰셋을 적용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A ruleset is a set of rules for selecting data, and which data is selected depends on which ruleset is applied.

결국 운영자가 룰셋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따라 데이터 선별 기준이 달라지게 된다. In the end, data selection criteria vary depending on how the operator defines the ruleset.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규칙들의 예로서는, 데이터가 적정 시간에 수신되었는지 여부, 데이터가 데이터 선별 장치에 등록된 기대 주기 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 설정된 센싱 주기보다 느리거나 빠르게 수신되었는지 여부, 데이터가 데이터가 설정된 유효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데이터가 기준 시간 내에서 측정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다른 연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효한지 여부, 이중화된 센서의 측정값이 차이가 나는지 여부와 같은 규칙들이 있다. Examples of rules for screening data include whether data is received at a reasonable time, whether data is received within an expected period registered in the data sorting device, whether it is received slower or faster than a set sensing period, whether data is valid for which data is set There are rules such as whether the data is within the range, whether the data is out of the measurement error range within the reference time, whether it is valid compared to other related data, and whether the measured values of the redundant sensors are different.

사용자 인터페이스(303)는 룰셋에 대한 연산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The user interface 303 is in charge of an interf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n the ruleset.

데이터 캐싱부(302)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임시 버퍼 역할을 담당한다. The data caching unit 302 serves as a temporary buffer for input data.

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상태에 대한 연산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on the input data state.

예를 들어, 온도센서#1의 직전 10개 데이터의 평균값을 룰셋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previous 10 data of the temperature sensor #1 can be applied to the ruleset.

룰셋 적용부(305)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정의된 룰셋을 적용함으로써 유효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The ruleset application unit 305 performs a process of selecting valid data by applying a defined rule set to input data.

이력 관리부(306)는 입력 데이터 및 선별된 데이터에 대한 이력 보관을 수행한다. The history management unit 306 performs history storage for the input data and the selected data.

예컨대, 특정 센서 모듈의 최근 1일 동안 입력 데이터 및 폐기된 데이터의 개수 등을 보관한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input data and discarded data for the last one day of a specific sensor module is stored.

데이터 폐기율이 이상적으로 높거나 낮을 경우, 운영자는 해당 장치의 상태를 점검한다. When the data discard rate is ideally high or low, the operator checks the status of the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를 도시한다. 4 shows an apparatus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는 스마트팜 기자재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410)와, 룰셋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4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4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430)는 데이터 선별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인 룰셋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pparatus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validation of smart farm data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410 for receiving data generated from smart farm equipment,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selecting data based on a ruleset is stored 420 and a processor 430 for executing a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430 selects data by applying a rule set that is a set of rules for data selection.

프로세서(430)는 데이터 선별의 판단 기준이 되는 조건 및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규칙을 규정하는 룰셋에 대한 연산을 수행한다. The processor 430 performs an operation on a rule set that defines a condition used as a criterion for data selection and a processing rule for data that meet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프로세서(430)는 데이터가 적정 시간에 수신되었는지 여부, 데이터가 데이터 선별 장치에 등록된 기대 주기 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 설정된 센싱 주기보다 느리거나 빠르게 수신되었는지 여부, 데이터가 데이터가 설정된 유효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데이터가 기준 시간 내에서 측정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다른 연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효한지 여부, 이중화된 센서의 측정값이 차이가 나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규칙을 규정한다. The processor 430 determines whether data is received at an appropriate time, whether data is received within an expected period registered in the data sorting device, whether it is received slower or faster than a set sensing period, whether data is within a set validity range , defines a r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ata is out of the measurement error range within the reference time, whether it is valid compared to other related data, and whether the measured values of the redundant sensors are different.

프로세서(430)는 입력된 데이터 및 선별된 데이터에 대한 이력 보관을 수행한다. The processor 430 performs history storage for the input data and the selected data.

프로세서(430)는 데이터 폐기율이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치 상태 점검에 대한 알림을 전송한다. When the data discard rate is out of a preset range, the processor 430 transmits a device status check notif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Meanwhile, the collection data selection method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or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A computer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memory, a user input device, a data communication bus, a user output device, and storage.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bus.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The comput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oupled to the network. The processor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and/or storage.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and storag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may include ROM and RA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llection data selection method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executable method. When the collection data selection method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 a computer devic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etermine the collection data selection method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n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Claims (1)

스마트팜 기자재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룰셋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선별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인 룰셋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것
인 스마트팜 데이터셋 유효성 검증을 위한 수집 데이터 선별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generated from smart farm equipment;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selecting data based on a ruleset is stor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cessor performs selection on the data by applying a rule set that is a set of rules for data selection
Collected data screening device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KR1020200173163A 2020-12-11 2020-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KR102457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63A KR102457824B1 (en) 2020-12-11 2020-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63A KR102457824B1 (en) 2020-12-11 2020-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81A true KR20220083181A (en) 2022-06-20
KR102457824B1 KR102457824B1 (en) 2022-10-24

Family

ID=8225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163A KR102457824B1 (en) 2020-12-11 2020-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82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926A (en) * 2011-01-27 2012-08-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visualization system for Forensics audit data
KR20180054413A (en) * 2016-11-15 2018-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d for optimizing crop production efficency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060980A (en) * 2016-11-28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KR20180076766A (en) * 2016-12-28 2018-07-06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KR102026968B1 (en) * 2018-11-28 2019-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 purpose sensor node and method for various sensors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926A (en) * 2011-01-27 2012-08-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visualization system for Forensics audit data
KR20180054413A (en) * 2016-11-15 2018-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d for optimizing crop production efficency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060980A (en) * 2016-11-28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KR20180076766A (en) * 2016-12-28 2018-07-06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KR102026968B1 (en) * 2018-11-28 2019-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 purpose sensor node and method for various sensors re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824B1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tjaika et al. A control system in an intelligent farming by using arduino technology
Marcu et al. IoT based system for smart agriculture
KR1022044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olling smart farms in open fiel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2369167B1 (en) management system for smart-farm machine learning
CN101953287A (en) Multi-data based crop water dem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5843147A (en) Smart agricult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20220071405A (en) Agricultural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big data of smart farm
CN107219759B (en)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018526B1 (en) Farm cloud sever and multiplex environment controller for greenhouse
CN114297907A (en) Greenhouse environment spatial distribution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CN117036088A (en)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method for identifying growth situation of greening plants by AI
KR20190140507A (en)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using IoT and Big Data Platform
KR1024210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soil based on moisture change in soil
CN112465109A (en) Green house controlling means based on cloud limit is in coordination
Costa et al. Greenhouses within the Agricultura 4.0 interface
CN113435825B (en)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soil-borne disease control
KR102381491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KR1024578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ollected data for smart farm dataset validation
KR1022360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nsor data using mesh network for smart farms in open field
Abdulla et al. Agricultu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Deep Learning
CN115587661A (en) Livestock and poultry farm air quality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field boundary indexes
Tripathy et al. Data mining and wireless sensor network for groundnut pest thrips dynamics and predictions
Araneta et al. Controlled Environment for Spinach Cultured Plant with Health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Pandey et al. IOT based smart polyhouse system using data analysis
FAISAL A pest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e using deep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