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242A -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242A
KR20220082242A KR1020200171945A KR20200171945A KR20220082242A KR 20220082242 A KR20220082242 A KR 20220082242A KR 1020200171945 A KR1020200171945 A KR 1020200171945A KR 20200171945 A KR20200171945 A KR 20200171945A KR 20220082242 A KR20220082242 A KR 2022008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loud server
wireless charg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에이
Priority to KR102020017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242A/en
Publication of KR2022008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2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포함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 NFC 태그(tag)를 포함하여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st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Door locks installed in lodging establishments, including NFC tags; and a cloud server that grants authority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accesses the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when reading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The cloud server provides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scription

IoT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A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having an IoT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tation having an IoT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최근에는 OTA(online travel agency) 시장의 확산으로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는 반면, 이에 따른 숙박 업소의 수익률은 저하되고 있다. 즉, OTA 업계의 확산에 따른 가격전쟁의 심화로, OTA 수수료 상승(약15~25%)으로 인해 숙박 업소의 수익율이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서비스의 품질 하락을 가져오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using lodging establishments has increased due to the spread of the OTA (online travel agency) market, while the profitability of lodging establishments is declining accordingly. In other words, as the price war intensifies due to the spread of the OTA industry, the profitability of lodging establishments is deteriorating due to an increase in OTA fees (about 15-25%),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overall service quality.

숙박 업소의 가장 큰 비용 지출은 인건비에 해당한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서울 시내의 특급 호텔의 경우 매출의 30%를 인건비로 지출한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으로 서울 시내의 호텔은 2012년 786개에서 2017년에는 1617개로 2배 이상 증가하여 공급과잉으로 가격 경쟁의 심화와 상승하는 최저 시급으로 인하여 객실과 관련된 인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숙박 업소에서의 서비스 품질 저하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The biggest expense for accommodation establishments is labor costs. According to a recent article, there is a report that in the case of luxury hotels in downtown Seoul, 30% of sales are spent on labor costs. In addition, as a special law for the expansion of tourist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number of hotels in downtown Seoul more than doubled from 786 in 2012 to 1617 in 2017. It is being reduced to a minimum. Accordingly, the problem of service quality deterioration in lodging establishments is constantly occurring.

이에 따라, 숙박 업계는 비용절감이나 새로운 서비스, 부가가치 제공을 통한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lodging industry is demanding solutions through cost reduction, new services, and value-added provision.

이와 관련하여, 숙박 업소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사항으로는 체크인이나 체크아웃시 시간이 몰려 있어 장시간 줄을 서서 기다리는 불편함이나, 컨시어지 이용 시 대면 대화의 불편함, 체크인 후 주변 즐길 거리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없는 부분으로 인한 불편함 등이 있다. In this regard, inconveniences to users using accommodation include the inconvenience of waiting in line for a long time due to rush hours at check-in or check-out, the inconvenience of face-to-face conversations when using the concierge, and information on nearby entertainment after check-in. There are inconveniences caused by par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통합형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smart integrated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having an IoT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 NFC 태그(tag)를 포함하여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Door locks installed in lodging establishments, including NFC tags; and a cloud server that grants authority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accesses the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when reading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The cloud server provides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includes URL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accesses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UR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가 상기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has reserved the accommodation, the cloud server grants authority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해 상기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the cloud serv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when authorization is granted to th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do s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ants the authority to operate the terminal as a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period is characterized in that from a check-in time to a check-out time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of the user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an NFC tag of a door lock installed in a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to a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nd controlling the cloud server to open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과 관련된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숙박 업소에 들어가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집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manag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costs related to check-in or check-out, reduce energy costs for lodging establishments, and collect collected big data.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it to promot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숙박 업소를 이용 및 관리할 수 있고, 단말기의 언어로 전세계의 숙박 업소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 the case of a user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it is possible to use and manage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and to use accommodation establishments around the world in the language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추천 관광지 정보 또는 교통 안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us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formation on recommended tourist destinations or traffic information can be directly check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도어락을 오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system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using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heck-in kiosk.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opening the door lock of the guest room by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room concierge service by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a lodging establis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 advance.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technically contradict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FC(Near Filed Communication) 기술은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used. Near File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is on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ies, and it is a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uses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nd exchanges various wireless data at a short distance within 10 cm.

이러한 NFC 기술은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이때, NFC 기술을 사용하기 위하여 태그되는 NFC 태그는 아주 작은 칩(chip)과 데이터 송수신용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This NFC technology is a next-generatio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good security and low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In this case, the NFC tag tagged to use the NFC technology is composed of a very small chip and an antenn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한편, 이러한 NFC 용 태그 스티커에 단말기를 갖다 대면 별도의 연결절차 없이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므로, 결제 뿐만 아니라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 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if you touch the terminal to the NFC tag sticker, it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application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procedure, so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payment but also for product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visitors in general stores, traffic, and access control locks. there is a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NFC 기술을 단말기를 NFC 리더기로하고, 숙박 업소의 객실의 도어락,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또는 체크인 키오스크 기계에 NFC 태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n NFC technolog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an NFC reader, and an NFC tag is attached to a door lock, a wireless charging device, or a check-in kiosk machine of a guest room of a lodging establish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기(110), 클라우드 서버(120), 도어락(130)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terminal 110 , a cloud server 120 , a door lock 130 ,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10)는 NFC 리더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NFC 태그를 포함하여 리더기에 읽혀지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는 NFC 리더부(111)를 포함하여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rminal 110 refers to a general mobile terminal,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may include an NFC reader unit 111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10 generally performs a role of being read by a reader including an NFC tag,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includes an NFC reader unit 111 and is an NFC rea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works with

이에 따라, 단말기(110)는 도어락(130)의 NFC 태그(131)를 읽는 경우, NFC 태그(13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10)는 NFC 태그(131)에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120)의 접속 URL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reading the NFC tag 131 of the door lock 130 , the terminal 1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120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131 . For example, the terminal 1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120 based on the access URL information of the cloud server 120 stored in the NFC tag 131 .

클라우드 서버(120)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로서,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130)을 잠그거나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loud server 120 is an administrato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nd may control to lock or open the door lock 130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

클라우드 서버(120)는 URL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110)의 정보가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110)에게 객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객실에 대한 권한에는 도어락(130)의 개폐 권한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의 사용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110 accessed through the URL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reserved the accommodation, the cloud server 120 may grant the terminal 110 permission for the room. In this case, the authority for the guest room may include the right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130 and the right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

또한, 클라우드 서버(120)는 단말기(110)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NFC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기간은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120)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cloud server 120 may authorize the terminal 110 to operate as an NFC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In this case, the preset period is characterized in that from the check-in time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120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10 to the check-out time.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20)는 단말기(110)에게 권한이 부여된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를 통해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ly, when authorization is granted to the terminal 110 , the cloud server 120 may control to provide the use information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below.

도어락(130)은 숙박 업소의 각각의 객실의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락(130)은 NFC 태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131)는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lock 13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each room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130 may include an NFC tag 131 . In this case, the NFC tag 131 may include UR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cloud server.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디스플레이(141), 거치대(142) 및 와이파이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클라우드 서버(120)로 수신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40 may include a display 141 , a cradle 142 , and a Wi-Fi module 143 .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may output the information received to the cloud server 120 through the display 141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거치대(142)에 단말기(110)가 거치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42)는 디스플레이(141)를 가리지 않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40 may automatically start wireless charging when the terminal 110 is mounted on the cradle 142 . In this case, the cradle 142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cover the display 141 .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와이파이 모듈(143)을 통하여 객실 내부의 도어락, 조명, TV 및 온도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40 may control door locks, lighting, TV and temperature control in the room through the Wi-Fi module 143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system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210)를 도어락(230) 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a, 240b)에 태그하여 단말기(210)가 클라우드 서버(220)로 접속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access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by using the terminal 210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This is made possible by tagging the terminal 210 to the door lock 230 or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240a, 240b so that the terminal 210 connects to the cloud server 220 .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숙박 업소에 입장하여 체크인 키오스크(240a)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 키오스크(240a)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tag the terminal 210 in the check-in kiosk 240a by entering the accommod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2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220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check-in kiosk 240a.

클라우드 서버(220)는 접속된 단말기(210)의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해당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loud server 220 may check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21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tches the user who uses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on establishment.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가 인증된 경우, 해당 숙박 업소 객실(260)의 체크인 시간부터 체크아웃 시간까지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210 is authenticated, the cloud server 220 may grant authority to the terminal 210 from the check-in time to the check-out time of the guest room 260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마찬가지로,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의 도어락(230)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에 입장하기 위하여 도어락(230)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230)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imilarly,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230 of the guest room 260 .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tag the terminal 210 to the door lock 230 to enter the guest room 260 . Accordingly,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door lock 230 , the terminal 2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220 , and the cloud serv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o authorize the terminal 210 . .

이후,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 내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를 사용하기 위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에 입장한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를 사용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240b in the guest room 260 .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tag the terminal 210 to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240b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240b after entering the guest room 260 . Accordingly,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240b, the terminal 2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220, and the cloud server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uthorize the terminal 210. can dec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동작은 최초 체크인 단계에서 한번만 수행될 수도 있으나 체크인 단계, 도어락(230)의 개폐 단계,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이용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초 체크인 단계에서 단말기(210)가 권한을 부여받는 경우, 이후의 도어락(230)의 개폐 단계 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이용 단계에서 권한을 추가적으로 부여받지 않더라도 단말기(210)는 권한을 가진 상태로 도어락(230)의 개폐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정보 제공을 이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ly once in the initial check-in step, but may be repeatedly performed in the check-in step, the opening/closing step of the door lock 230, and the using step of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240b. That is, when the terminal 210 is given authority in the initial check-in step, the terminal 210 is authorized even if the authority is not additionally granted in the subsequent opening and closing step of the door lock 230 or the use step of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240b. It is possible to u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230 in a state with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40b.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220)는 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20)는 객실(260) 별 고유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객실(260) 내부의 상황을 체크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250)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매출 분석 및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250)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 분석 시스템 역시 개발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220 may secure big data. The cloud server 220 may check the situation inside the guest room 260 by giving unique tag information for each room 260 and accumulate data. Accordingly,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velop a sales analysis and prediction program using big data. In addition,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may also develop a system for analyzing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by utilizing big data.

클라우드 서버(220)는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예약 및 체크인 일정에 따른 단말기(210)의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220)는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셜 로그인 및 회원 가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cloud server 220 may grant and manage the authority of the terminal 210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and check-in schedule of the user using the accommodation. 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220 may store the social login and membe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uses the accommodation.

또한, 클라우드 서버(220)는 일회용 URL을 활용하여 재사용 및 외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220)가 도어락(230)의 NFC 태그에 부여하는 URL 정보를 일회용으로 사용하여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일회성으로 URL을 접속할 수 있고 한번 사용된 URL 정보는 다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거에 숙박 업소를 이용한 고객이 다시 방문을 했을 때 새로운 권한 부여 없이는 객실(260)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ud server 220 may utilize a one-time URL to prevent reuse and external use. That is, the cloud server 220 uses the URL information given to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230 for one-time use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URL one-time, and the URL information once used is not used again. Security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is, when a customer who has used the accommodation in the past visits agai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ecurity problem because the guest room 260 cannot be used without a new authorization.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발생으로 도어락 키를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예약된 기간에만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210)로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및 도어락 키 전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blem of not receiving the door lock key may not occur due to the occurrence of a communication problem with the manager 250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at is, since access is possible only to the terminal 210 to which the authority is granted only during the reserved period, the security and door lock key delivery problems can be solved.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확보하고 대쉬보드를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객실(260) 내 사용 환경을 분석하고, 객실(260)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점검 및 기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객실(260)을 이용한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고객의 선호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고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r 250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y secure the big data accumulated in the cloud server 220 and develop the dashboard. For example, the manager 250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y analyze the usage environment in the guest room 260 , and check and record the request of the guest room 260 . In addition, the manager 250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y analyze the customer's taste using the guest room 260 and manage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can recommend the customer's preferred style and use it for marketing.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220)와 숙박 업소 관리자(250)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숙박 업소 관리자(250)가 클라우드 서버(220)의 관리자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loud server 220 and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r 250 are shown to be different in the embodiment of FIG. 2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r 250 is the administrator of the cloud server 220 .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상술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객실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체크인 단계에서 이용되는 경우 체크인용 키오스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using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heck-in kiosk. Hereinafter, the check-in kiosk may correspon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may serve as a cradle that provides a concierge service when used in a room, and may serve as a check-in kiosk when used in a check-in step.

또한,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의 소셜(social) 간편 로그인 및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ck-in kiosk can perform social simple login and simple payment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check-in kiosk may be authorized from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phone number of the terminal.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내부에 NFC 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heck-in kiosk includes an NFC tag inside, so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range, the terminal can access the cloud server using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 내 클라우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connect to the cloud server by enco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loud server in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receive URL information from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to access the cloud server.

이후,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소셜 간편 로그인을 통하여 본인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예약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권한 허용을 설정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loud server may request user authentication through simple social login of the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tch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the cloud server may set permission permission for the terminal in the check-in kiosk.

또한,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NFC 태그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통한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NFC 태그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자동으로 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ck-in kiosk can use a simple payment through a terminal using NFC tag technology. In this case, the check-in kiosk may automatically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by using the NFC tag technology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이후,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와 간편 결제를 진행하거나 키오스크를 통하여 카드 또는 현금 결제를 진행하여 체크인을 완료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heck-in kiosk may complete check-in by performing simple payment with the terminal or by card or cash payment through the kiosk.

클라우드 서버는 체크인용 키오스크를 통하여 체크인이 완료되면 단말기에게 해당 객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를 체크인 이후 시점부터 NFC 태그의 리더기로 동작하게 설정할 수 있다. When check-in is completed through the check-in kiosk, the cloud server may grant authority to the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room. In addition, the cloud server may set the terminal to operate as an NFC tag reader from a point in time after check-in.

또한, 예약되지 않은 단말기가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태깅된 경우,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원하는 타입의 잔여 객실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절차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객실 선택 이후 결제 및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unreserved terminal is tagged in the check-in kiosk, the check-in kiosk may output whether the desired type of room remains on the display. Thereafter,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payment and check-in may be performed after selecting a room.

이를 통하여, 숙박 업소의 관리자 및 고객은 비대면으로 체크인을 할 수 있어 관리자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고객은 대면으로 체크인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Through this, the manager and the custome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can check-in non-face-to-face, so that the manager can save labor costs and the customer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in face-to-f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도어락을 개폐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opening and closing a guest room door lock by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에 단말기를 태깅하는 경우, 단말기는 도어락에 포함된 NFC 태그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권한 부여 시간을 확인한 후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tags the terminal on the door lock of the room, the terminal may obtain URL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to the cloud server from the NFC tag included in the door lock.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web browser. 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may grant the authority to the terminal after confirming the authorization time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이후,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도어락 개폐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는 경우, 도어락은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의 해당 객실의 예약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오픈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어락을 오픈하지 않을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authority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from the cloud server, the door lock may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y th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loud server. For example,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tch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oom of the cloud server, the door lock may be opened,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door lock may not be op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는 최초의 1회만 실행될 수 있고, 한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단말기는 이후에는 클라우드 서버로의 접속 없이도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n which the terminal is granted authority from the cloud server can be executed only the first time, and once the terminal has been granted the authority from the cloud server, the terminal opens and closes the door lock without access to the cloud server thereafter. can do.

또한, 체크인 키오스크를 통하여 단말기가 1회 권한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도 도어락에서 한번더 단말기가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after the terminal confirms whether the authorization is authenticated once through the check-in kiosk,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security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has authorization in the door lock once more.

또한, 체크인 키오스클 통하여 단말기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 이외의 임의의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고, 이후 단말기는 부여받은 임의의 번호를 도어락의 개폐에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check-in kiosk, the terminal may be given an arbitrary number other tha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reafter, the terminal may use the received arbitrary numb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또한,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와 도어락은 와이파이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도어락의 개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와이파이보다 블루투스가 배터리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도어락 자체가 문을 개폐하는 것은 블루투스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블루투스의 경우 항상 온(on) 상태로 전원을 활성화시켜도 소비 전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 권한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가 도어락에 문의 오픈 명령을 내리는 경우,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문을 오픈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락 본체는 배터리로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and the cloud server, the cloud server and the door lock may be connected through Wi-Fi,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may be operated through Bluetooth. This is because Bluetooth uses less battery than Wi-Fi, so the door lock itself can be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even with Bluetooth.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luetooth, power consumption is not large even when the power is always turned on. 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cloud server issues a door open command to the door lock according to authority, the door lock may open the door through Bluetooth.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oor lock body may be operated by a battery.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대에 단말기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을 예약한 사람이 1명 이상인 경우 복수대의 단말기에 권한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예약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확인되면, 복수의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ud server may grant authority to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xample, when more than one person has reserved a room, it is necessary to set the authority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his cas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confirmed based o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the authority may be gran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또한, 도어락을 리더기로 쓰는 경우 NFC 태그를 포함하는 등록된 카드만 사용할 수 있는데, 단말기를 리더기로 쓰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단말기를 관리하게 되여 단말기의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door lock as a reader, only a registered card including an NFC tag can be used. When the terminal is used as a reader, the cloud server manages the terminal, so that big data of the terminal can be collected.

또한, 도어락을 리더기로 쓰는 경우에는 등록된 카드를 잃어버리는 경우 카드를 습득한 사람이 도어락을 오픈할 수 있으나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잃어버리면 보통 바로 신고를 하기 때문에 보안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door lock as a reader, if the registered card is lost, the person who acquired the card can open the door lock.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room concierge service by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을 오픈한 뒤 객실에 입장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enters the room after opening the door lock of the room,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can be used.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체크인 키오스크 및 도어락과 동일하게 무선 충전 거치 장치 역시 NFC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를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거치대에 태깅하는 경우,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like the check-in kiosk and door lock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also include an NFC tag.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tagged on the cradle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interior of the cabin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단말기는 웹 방식을 적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NFC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control the inside of the room by accessing the cloud server through NFC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by applying the web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it may receive NFC tag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access the cloud server to receive authorization from the cloud server.

이에 따라,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거치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기가 권한을 부여받은 시간동안 단말기가 객실 내부를 제어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allow the terminal to control the interior of the cabin during the time for which the terminal is authorized even if the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이때,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단말기를 거치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객실 내부의 제어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의 거치가 불안정하거나 연결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시 한번 인식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be granted control of the interior of the room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output a message such as “recognize once again”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terminal is unstable or the connection is not smooth.

또한,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객실 내부의 제어 권한을 획득한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단말기에게 다양한 룸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주문 가능한 음식 종류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음식을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와이파이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는 룸서비스에 대한 주문 처리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terminal acquires control of the interior of the room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may provide various room service functions to the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output the food types that can be ordered through the display. Thereafter,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may receive a selection of food from the user,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foo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Wi-Fi, and the cloud server may process an order for room service.

특히,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NFC, QR코드 이용 가능 및 무선 충전이 모두 지원 가능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과 NFC 간섭을 차단하며 제어 컨텐츠와 함께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developed to support both NFC, QR code use and wireless charging.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include a module that blocks wireless charging and NFC interference and supports wireless charging together with control contents.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거치대에 단말기를 올려놓더라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 서비스와 별도로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와이파이를 통해 객실 내부의 도어락, 조명, TV 및 온도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uts the terminal on the cradle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may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ser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may control the door lock, lighting, TV and temperature control in the room through Wi-Fi through the Wi-Fi module.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may control the inside of the room through Wi-Fi.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automatically connect to Wi-Fi.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상술하는 체크인 및 체크아웃 키오스크와 도어락이 수행하는 객실 문의 개폐 역시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f a room door performed by the aforementioned check-in and check-out kiosk and door lock.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숙박 업소 주변의 맛집, 즐길 거리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may provide information on restaurants around the lodging establishment, entertain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NFC 유도 전류를 이용한 전원 공급 기술로써 NFC 활성화를 통한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NFC를 이용한 광고 및 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is a power supply technology using NFC induced current, and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through NFC activation, and advertisements and menus using NFC can be activated.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의 브랜드(예를 들어, 삼성, LG, 화웨이)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can be charged regardless of the brand of the terminal (eg, Samsung, LG, Huawei).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무선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는 거부감 없이 무선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device can start wireless charging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even if the wireless charging support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Through this, the user can use the wireless charging service without a sense of reluctance to install the application.

또한, 단말기를 리더기로 쓰고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단말기가 숙박하는 동안 어떤 주문을 했는지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is used as a reader and an NFC tag is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from the cloud server about what order the terminal placed during the stay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제 1 플랫폼(Platform (A)) 또는 제 2 플랫폼(Platform (B))을 통하여 숙박 업소를 예약하는 경우, 사용자의 예약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makes a reservation for an accommodation through the first platform (Platform (A)) or the second platform (Platform (B)), the user's reserv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loud server. do.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플랫폼의 종류(예를 들어, 익스피디아, 부킹닷컴, 아고다 및 에어비앤비 등)의 관계없이 단 한번의 소셜 로그인으로 플랫폼 간의 계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하여 예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can synchronize accounts between platforms with just one social login regardless of the platform type (eg, Expedia, Booking.com, Agoda, Airbnb, etc.). That is, the cloud server may store reserv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s login.

이후, 단말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들은 NFC 태그에 저장된 URL 정보를 획득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terminal or at least one IoT device may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In this case, the terminal or at least one IoT device may obtain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nd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IoT 센서들과 통신이 되는 IoT 서버로 접속되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 IoT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IoT sensors and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through the cloud server.

이때, 단말기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거치한 뒤 TV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제어에 기초하여 TV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V를 제어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객실 내부에 존재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최소한의 센서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may communicate through Wi-Fi, and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may be controlled through a cloud server. For example, if the terminal wants to control the TV after being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may control the TV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loud server. 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the TV,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inimum sensor for controlling the system existing inside the cabin may be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f course.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가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컨버터와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하고, 브로드캐스트 컨버터와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여 도어락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컨버터와 도어락의 통신까지 와이파이로 하는 경우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도어락의 개폐를 위하여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보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oadcast (broadcast) converter in order for the cloud serve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More specifically, the cloud server communicates with the broadcast converter through Wi-Fi through a gateway, and the broadcast converter and the door lock communicate through Bluetooth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of the door lock. In other words, if the converter and the door lock are communicated through Wi-Fi, a broadcast converter can be used because it consumes a lot of battery. In this cas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comm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from the cloud server may be secured through block chain technology.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 공유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WAS 및 IoT 서버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serve as a Wi-Fi router. In addition, the WAS and IoT server in the drawing may use blockchain technolog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a lodging establis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710)에서,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단말기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URL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In step S710 , when the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the terminal may access the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may correspond to URL information.

단계(S720)에서, 클라우드 서버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는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가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기간은 단말기의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일 수 있다. In step S720, the cloud server may control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loud server may grant authority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cloud server may grant authority to the terminal whe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has reserved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may authorize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Here, the preset period may be from a check-in time to a check-out time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by the user of the terminal.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단말기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해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an NFC tag of a wireless charging cradle installed in a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may access the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The cloud server may provide usage information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이에 따라,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셀프 체크인을 할 때 소셜(social)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통해 셀프 체크인을 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대한 인증 키를 발급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manage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when performing self-check-in, it is possible to self-check-in through social member registration and log-i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costs by issu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he terminal through the cloud server. .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별도의 배선 공사 없이 단기간에 공사가 가능하며, 오래된 건물에도 IoT 기능을 도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nage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the construction can be done in a short time without separate wiring work, and the IoT function can be introduced into an old building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thereby reducing energy costs.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타겟(target)을 마케팅할 수 있고, 숙박 업소의 토탈 IoT 구현을 통한 홍보 역시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anag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a target can be marketed by using the collected big data, and promotion through the total IoT implementation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is also possible.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로그인된 고객에 대한 타겟 광고가 가능하며 로그인된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nager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a targeted advertisement for the logged-in customer is possible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logged-in customer.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치 장치에 거치한 것만으로 단말기에서 객실의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객실의 문을 열거나, 객실의 TV를 켜거나, 객실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룸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the control screen of the room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by simply placing it on a cradl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without installing an applic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open the door of the room, turn on the TV in the room, adjust the room temperature of the room, or order room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의 언어로 객실의 이용 언어가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세계 어디에서나 숙박 업소를 이용할 때 사용자의 언어로 바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the language of the room is automatically set as the language of the terminal, so that when using the lodging establishment from anywhere in the world, i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user's language.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를 통해 추천 관광지 정보 및 교통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박 업소의 주변 맛집 위치나 외부에서 숙박 업소로의 교통을 안내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of a lodging establishment, information on recommended tourist spots and traff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nearby restaurants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or transportation from the outside to the lodging establish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숙박 업소에서 객실 내부에 무선 충전 거치 장치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공항 대합실, 라운지 및 리무진 차량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항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공항 내부 이용 정보, 출국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라운지에 설치되는 경우 역시 무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라운지 서비스 및 항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무진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충전 서비스 이외에 도착 지역의 숙소 정보 및 주변 식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cradle is installed in a guest room in a lodging establishment, it may be installed in an airport waiting room, a lounge, and a limousine vehicle. More specifically, when installed at an airport, a wireless charging service can be provided and advertisements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information about use of the airport and departure area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installed in a lounge, a wireless charging service may also be provided, and lounge service and fligh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installed in a limousine vehicle, in addi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accommodation in the arrival area and information on nearby restaurants.

도 7에서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기재하고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들 역시 도 7과 마찬가지로 방법에 대한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a flowchart of the method is described in FIG. 7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also be used as an embodiment of the method like FIG. 7 .

또한, 도 7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의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each process is sequentially executed in FIG. 7 ,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FIG. 7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erform one or more of each process. Since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in parallel, it is not limited to the time-series order of FIG. 7 .

한편,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illustrated in FIG. 7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eg, CD-ROM, DVD, etc.).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110: 단말기
120: 클라우드 서버
130: 도어락
140: 무선 충전 거치 장치
100: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110: terminal
120: cloud server
130: door lock
140: wireless charging cradle

Claims (7)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
NFC 태그(tag)를 포함하여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a terminal that works as an NFC reader;
Door locks installed in lodging establishments, including NFC tags; and
A cloud server that grants authority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ads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access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The cloud server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includes URL information,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URL information,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가 상기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oud server, whe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has reserved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e cloud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ranting authority to the terminal,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해 상기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station,
The cloud server, when the authority is granted to the terminal,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provide the use information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oud server is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uthorizing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et period is a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rom a check-in time to a check-out time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of the user of the terminal.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박 업소 관리 방법.
When the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installed in the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connecting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the cloud server, lodging establishment management method.
KR1020200171945A 2020-12-10 2020-12-10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0822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945A KR20220082242A (en) 2020-12-10 2020-12-10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945A KR20220082242A (en) 2020-12-10 2020-12-10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42A true KR20220082242A (en) 2022-06-17

Family

ID=8226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945A KR20220082242A (en) 2020-12-10 2020-12-10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2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52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providing of services
US111518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US10503889B2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ogram, checkpoint management system, and checkpoint management method
US89034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US9367975B2 (en) System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restricted area
US9558604B2 (en) System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restricted area
WO2016131416A1 (en) Cross-platform automated perimete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adopting rfid-to-bluetooth selective adapter
US10085135B2 (en) Radio frequency patch antenna and system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restricted area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CN106097504A (e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at a kind of hotel moves in voluntarily
US114117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providing of distributed goods or services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US20210352485A1 (en)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US1123868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gital identity support on legacy access control systems
KR20140009684A (en) Unmanned rental system and method
KR102495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bile key of Lodging
TW201633211A (en) RFID-to-bluetooth selective adapter
US114387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authorizing reader devices
KR20220082242A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US202101662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providing of goods or services with reduced hardware resources
CN112602299B (en) Universal personal identification signal
US20200143119A1 (en) Wireless charging of user access reader device and methods
Muthusenthil et al. Geo-Based Smart Parking Automation System
KR20160070248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User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