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453A -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453A
KR20220081453A KR1020200170852A KR20200170852A KR20220081453A KR 20220081453 A KR20220081453 A KR 20220081453A KR 1020200170852 A KR1020200170852 A KR 1020200170852A KR 20200170852 A KR20200170852 A KR 20200170852A KR 20220081453 A KR20220081453 A KR 2022008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 seat
passenger
dri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두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453A/en
Publication of KR2022008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4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정보를 이용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비용없이 정확하게 차량 후석의 승객을 감지하고 알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vehicle sensor information, and obtains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and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without additional cost using vehicle sensor information.

Description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센서 정보를 이용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using vehicle sensor information.

후석 승객 알림 기술(ROA, Rear Occupant Alert)은 차량의 후석에 사람이 남겨진 채로 도어가 닫히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초음파 센서가 후석 탑승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운전자가 주행을 종료하고 도어를 열면 클러스터에 후석을 확인하라는 내용의 텍스트 및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운전자가 경고를 지나치고 도어를 잠그게 되면, 차량 램프에 비상등이 켜지고 경보음을 출력한다.Rear Occupant Alert (ROA) is a technology that warns the driver when a door is closed while a person is left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his technology is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ultrasonic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ar seat occupant, and when the driver ends driving and opens the door, text and voice messages are output to the cluster to confirm the rear seat. In addition, when the driver passes the warning and locks the door, an emergency light is turned on in the vehicle lamp and an alarm sound is output.

현재의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은 후석 도어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현재의 방식에 의하면, 실제 탑승 여부와 무관하게 빈번한 경고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차량 내부 환경에 따라서 바람 또는 벌레 등에 의한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고, 후석에 승객이 있어도 움직임이 없거나 수면 상태에서는 감지가 되지 않을 수 있다.The current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system uses a rear door method or an ultrasonic method. According to the current method, frequent warnings may occu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ctually boarded, and 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false detection by wind or insects may occur. it may not b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ar-seat passenger notification technology that can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차량 후석의 승객을 감지하고 알리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detecting and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using vehicle sensor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추가 비용없이 더 정확도 높은 후석 승객 감지 및 알림을 구현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more accurate rear-seat passenger detection and notification without additional cost by using a sensor provided in a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후석에 승객이 존재하는 경우 이외에도, 차량에 물건 등을 놓고 내리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 driver by detecting that an object is placed in a vehicle and getting off the vehicle, in addition to a case in which a passenger is present in the rear se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차량의 운전자가 승하차 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교하고, 경고함으로써 사용에 따라서 성능이 나빠지지 않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in which performance does not deteriorate according to use by monitoring, comparing, and warning the state when a driver of a vehicle gets on and of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벌레, 바람, 유체에 의한 후석 승객 오감지의 가능성을 낮추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isdetection of a rear seat passenger by an insect, wind, or flui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acquire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motion of a body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motion of the body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G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G-sensor for acquir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detects a position of a key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passenger i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the user has gotten off.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detects a position of a key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a posi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and in the process of the driver getting on or getting off , acqui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position through a sensor unit, and determines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can do.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acquires at least one of whether a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a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unlock the door of the vehicl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been turned on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obtains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gets off based on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acquires at least one of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과 함께, 수평한 방향(X-Y평면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passenger is in the rear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along with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o get off.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cquired while the driver gets on, and the image and the body around the vehicle acquired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By compar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vement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assenger got off the rear sea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다는 내용의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고,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in the rear seat, the control unit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driver that the passenger is in the rear seat, and the driver gets on the rear seat while the driver gets 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does not get off while the driver gets off, an alarm may be output through the horn or hazard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은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notifying a rear seat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motion of a body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motion of the body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and whether or not a occupant i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The determining of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the vehicle has gotten off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movem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cquir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a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image surrounding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s body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has boarded and got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cquiring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and whether a occupant i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gotten off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has boarded and got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rear seat door is opened.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cquir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ensed through a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and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과 함께, 수평한 방향(X-Y평면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includes: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along with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Z-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may include: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cquired in the process of getting on,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mage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around the vehicle acquired in the process of the driver getting off the vehic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 got off.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vice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and a method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차량 후석의 승객을 감지하고 알리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detecting and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by using vehicle sensor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추가 비용없이 더 정확도 높은 후석 승객 감지 및 알림을 구현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more accurate rear seat passenger detection and notification without additional cost using a sensor provided in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석에 승객이 존재하는 경우 이외에도, 차량에 물건 등을 놓고 내리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 driver by sensing that an object or the like is placed in a vehicle, in addition to a case in which a passenger is present in the rear se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승하차 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교하고, 경고함으로써 사용에 따라서 성능이 나빠지지 않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in which performance does not deteriorate according to use by monitoring, comparing, and warning the state when a driver of a vehicle gets on and of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벌레, 바람, 유체에 의한 후석 승객 오감지의 가능성을 낮추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isdetection of a rear seat passenger by an insect, wind, or fluid.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운전자 1인이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운전자와 영유아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notifying a rear seat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at the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hile a single driver gets into the vehicl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at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hile a driver and an infant passenger board a vehicl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notifying a rear seat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센서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sensor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과 별개의 구성으로 차량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는 차량과 일체로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차량과 별개의 구성으로 차량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installed/attached to the vehicle as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vehicle, some ar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and some are implemented with the vehicle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installed/attached to a vehicle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

센서부(110)는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acquire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일 예로, 차체 움직임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 또는 가속도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may be recognized by the amount of impact or acceleration applied to the vehicle.

일 예로, 센서부(110)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차량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G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G-sensor for acquir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일 예로, 센서부(1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차량에 구비된 AVM(Around View Monitoring),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of an Around View Monitoring (AVM) and a Drive Video Record System (DVRS) provided in the vehicle.

일 예로, 센서부(1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차량의 전/후방 또는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rear side or side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surrounding area of the vehicle.

일 예로, 센서부(110)에 포함된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wide-angle camera.

일 예로, 센서부(110)에 포함되는 G센서는 차량의 ACU(Airbag Control Unit)의 G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G-sensor of an Airbag Control Unit (ACU) of the vehicle.

G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 또는 차량의 가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The G-sensor may acquire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r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일 예로, G센서는 G센서 값을 X축 값(차량의 측면 방향), Y축 값(차량의 전면 방향), Z축(지면에 수직한 방향) 값으로 구분하여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G-sensor may obtain the G-sensor value by dividing it into an X-axis value (a side direction of the vehicle), a Y-axis value (a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Z-ax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value.

일 예로, 센서부(110)는 제어부(1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부(120)에 센싱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may transmit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

센서부(11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일 예로, 센서부(110)는 LF(Low Frequency)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LF 안테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low frequency (LF) antenna. The LF antenna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일 예로, LF 안테나는 차량의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에 포함된 안테나로써, 차량과 포브 키(FOB-KEY) 간의 통신을 통해 특정 범위 내의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F antenna is an antenna included in the vehicle's smart key system, and may recognize a driver within a specific rang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OB-KEY.

일 예로, 센서부(110)에 포함된 LF 안테나는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LF antenna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in a door or trunk of a vehicle.

센서부(110)는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acquire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센서부(110)는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obtain whether a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일 예로, 센서부(110)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 센서를 통해 운전석 또는 후석의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door sensor to obtain whether a door including a driver's seat or a rear seat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센서부(110)는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acquir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ensed through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일 예로, 센서부(110)는 후석의 착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제어부(120)는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overall control so that each component can normally perform its func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20)는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10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차량의 IBU(Integrated Body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n Integrated Body Control Unit (IBU) of the vehicle.

IBU는 BCM(Body Control Unit),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통합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The IBU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integrates a Body Control Unit (BCM), a Smart Key System, and a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운전자 1인이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at the device for notifying rear-seat passengers is operated while one driver gets into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1).Referring to FIG. 2 , the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 S201 ).

일 예로,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제어부(120)를 통해, 센서부(110)가 검출한 차량의 키의 위치를 파악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a rear seat passenger of a vehicle may determine,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 a position of a vehicle key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확인한 후,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202).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 S202 ).

일 예로,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어부(120)를 통해, 차량의 키의 위치의 이동에 따라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through the sensor unit 110 and detects the driver's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key posi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 hav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203).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S203).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석 쪽 도어에 장착된 LF 안테나를 통해 감지되는 포브 키의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driver's seat direc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FOB key detected through the LF antenna mounted on the driver's seat side door increases.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4).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that the passenger is not riding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S204 ).

일 예로,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후석에 놓을 짐 또는 영유아와 함께 승차하는 경우에는 후석으로 접근해 짐을 후석에 놓거나 영유아를 후석에 탑승시킨 후에 운전석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한다면, 후석에 놓을 짐 또는 영유아 없이 운전자 혼자 탑승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rides with luggage or infants to be placed on the rear seat,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driver will approach to the driver's seat after placing the baggage on the rear seat and placing the baggage on the rear seat or placing the infant on the rear seat. Appro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 rides alone without luggage or infants in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5).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 is not appro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the apparatus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that the passenger is riding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S205 ).

일 예로,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운전자가 후석에 놓을 짐 또는 영유아와 함께 승차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river does not approach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passenger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rides with luggage or infants placed on the rear sea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운전자와 영유아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at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hile a driver and an infant passenger board a vehicle.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1).Referring to FIG. 3 ,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 S301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확인한 후,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302).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to determine the driver's movement ( S302 ).

S301 및 S302의 과정은 도 2의 S201 및 S202의 과정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ocesses of S301 and S302 are the same as those of S201 and S202 of FIG. 2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03).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rear seat direction (S303).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석 쪽 도어에 장착된 LF 안테나를 통해 감지되는 포브 키의 신호가 감지되지만,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a signal of the FOB key detected through the LF antenna mounted on the driver's side door, but when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04).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rear seat passenger i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apparatus 100, the apparatus 100 may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S304).

일 예로, 제어부(120)는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센서부(110)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and acqui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sensor unit 110 while the driver is riding. can do.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 후,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305).After acquiring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acquire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 S305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after acquiring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영상 및 G센서 값의 변화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306).After obtaining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seat passengers may store an image and a change in the G-sensor value in a memory (S306).

일 예로, 제어부(120)는 하차 시의 차량 주변의 영상 및 G센서 값과 비교하기 위해, 승차 시의 차량 주변의 영상 및 G센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store the image and the G sensor value around the vehicle when getting on and the G sensor value in the memory to compare it with the image and the G sensor value around the vehicle when getting off.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 및 G센서 값의 변화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307).After storing the image and the change in the G sensor value in the memory,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confirm that the driver gets off the driver's seat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off (S307).

일 예로, 제어부(120)는 시동이 오프된 것을 확인하고, 운전석의 착좌 센서, 도어 센서 또는 스마트 키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nfirm that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may confirm that the driver gets off the driver's seat through a seat sensor, a door sensor, or a smart key system of the driver's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하는 것을 확인한 후,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308).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er gets off the driver's seat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off,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detect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S308).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09).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rear seat direction (S309).

S308 및 S309의 과정은 S302 및 S303의 과정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ocesses of S308 and S309 are the same as the processes of S302 and S30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310).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 does not approach the rear seat passenger i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 it may output an alert to the driver ( S310 ).

일 예로,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보음 또는 플래시를 출력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100 may output an alarm sound or a flash to the driver through a horn or a hazard of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11).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rear seat passenger i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 the apparatus 100 may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 S311 ).

일 예로, 제어부(120)는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센서부(110)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and acqui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sensor unit 110 in the process of the driver getting off the vehicle. can do.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 후,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312).After acquiring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acquire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 S312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후석 접근 방향의 AVM 카메라 및 전/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AVM camera and the front/rear camera in the rear seat approach direction after acquiring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승하차 시 영상 및 G센서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13).After obtaining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comparing the image and the G-sensor data when getting on and off (S313).

일 예로, 제어부(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승차 시 영상 및 G센서 데이터와 하차 시 영상 및 G센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mpare the image and G-sensor data when getting on and the image and G-sensor data when getting off, which are stored in the memory.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 영상에서 운전자의 손/허리 위치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위주로 영상을 처리하여 비교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process and compare the image focusing on the part determined to be the driver's hand/waist position in the image when getting on and off.

또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 G센서 값에서 수직 방향(Z축 방향) 값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G센서 값의 수직 방향 값의 변화는 승하차 시 탑승자들의 무게에 따른 차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20 may compare a change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value in the G sensor value when getting on and off. The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value of the G sensor value may be a value represen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weight of passengers when getting on and off.

일 예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승차 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Z축 방향)으로 무게 변화가 생겨 G센서 값의 수직 방향 값이 변화하고, 하차 시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Z축 방향)으로 무게 변화가 생겨 G센서 값의 수직 방향 값이 변화할 수 있어, 제어부(120)는 이를 비교하여 후석 탑승객이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and passengers get on, the weight changes in the direction entering the ground (? Z-axis direction), so the vertical value of the G-sensor value changes, and when getting off, the weight changes in the direction coming out of the ground (+Z-axis direction) , the vertical direction value of the G-sensor value may change, and the controller 120 may compare them to determine whether the rear seat passenger got off.

일 예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의 G센서 값의 수직 방향의 변화의 차이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후석에서 승객이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in the vertical change of the G sensor value during getting on and off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passenger does not get off the rear seat.

일 예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 G센서 값에서 수평 방향(X-Y평면 방향) 값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G센서 값의 수평 방향 값의 변화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하차하면서 생기는 차체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mpare a change in a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in the G sensor value when getting on and off. The ch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alue of the G sensor value may be a value represen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caused by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일 예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승차 시 수평 방향 중 운전자가 승차하는 방향(-X축, -Y축 방향) 및 후석 탑승자가 승차하는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G센서 값의 수평 방향 값이 변화하고, 하차 시 수평 방향 중 운전자가 하차하는 방향(+X축, +Y축 방향) 및 후석 탑승자가 승차하는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G센서 값의 수평 방향 값이 변화할 수 있어, 이를 비교하여 후석 탑승객이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sensor valu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rides (-X-axis, -Y-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eat passenger gets on (-X-axis, +Y-axis direction) The direction value change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sensor valu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gets off (+X-axis, +Y-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eat passenger gets on (+X-axis, -Y-axis direction) The value may change,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alighted by comparing the value.

일 예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의 G센서 값의 수평 방향의 변화의 차이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후석에서 승객이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in the horizontal change of the G sensor value during getting on and off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the passenger does not get off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승하차 시 영상 및 G센서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31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y comparing the image and the G-sensor data when getting on and off,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output an alert to the driver (S3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1).Referring to FIG. 4 ,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 S401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확인한 후,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402).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to determine the driver's movement ( S402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3).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S403).

S401 내지 S403의 과정은 도 2의 S201 내지 S203의 과정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ocesses of S401 to S403 are the same as those of S201 to S203 of FIG. 2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404).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 does not approach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 S404 ).

일 예로, 제어부(120)는 키의 위치에 따라 파악한 운전자의 위치 방향의 차량 주변의 영상을 센서부(11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ey through the sensor unit 110 .

일 예로, 제어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하차 시의 영상과 비교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store the acquired image in the memory to compare it with the image at the time of getting off.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 후,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S405).Afte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nalyze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boarded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 S405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영상에서 운전자의 손/허리 위치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위주로 영상을 처리하여,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또는 운전자가 후석에 짐을 실었는지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process the image based on a portion determined to be the driver's hand/waist position in the image, and may analyze whether a rear seat passenger has boarded or the driver has loaded a load in the rear seat.

일 예로, 제어부(120)는 키의 위치를 통해 파악한 운전자의 움직임이 승차 시의 움직임 패턴과 유사하게 이동하는지를 함께 고려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이 승차 시의 움직임 패턴과 상이하게 차량에서 멀어지는 경우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siders whether the driver's movement identifie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key moves similarly to the movement pattern when riding, and when the driver's movement moves away from the vehicle differently from the movement pattern when riding, th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board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한 후,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6).The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100 may analyze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boarded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not in the rear seat (S406).

일 예로, 제어부(120)는 영상에서 손/허리 위치라고 판단되는 부분에 영유아 또는 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후석에 짐을 실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infants or luggage is present in the portion determined to be the hand/waist position in the image, the controller 120 may confirm that the passenger rides in the rear seat or the driver loads the baggage in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407).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not riding in the rear seat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obtain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S407).

일 예로, 제어부(120)는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센서부(110)에 포함된 G센서를 통해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not riding in the rear seat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the controller 120 may acquire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rough the G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

일 예로, 제어부(120)는 획득한 G센서 값을 하차 시의 G센서 값과 비교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store the obtained G-sensor value in the memory to compare it with the G-sensor value at the time of getting off.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S408).After obtaining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determine whether the Z-axis variation of the G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Z-axis variation of the G 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S408).

일 예로, 제어부(12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운전자 승차 시 획득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을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mpare the Z-axis change amount of the G-sensor value obtained when the driver rides with the Z-axis change amount of the G-sensor value pre-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driver rides alone.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운전자 승차 시 획득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큰 경우, 운전자가 동승자 또는 짐과 함께 탑승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 sensor value obtained when the driver gets o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controller 120 can confirm that the driver is riding with a passenger or luggage.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S409).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axis of the G-sensor value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sensor when the driver rides alon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 sensor (S409).

일 예로, 제어부(120)는 승하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의 차이가 모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추가로 승하차 시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을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ambiguous when getting on and off, the controller 120 may additionally compa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axis and Y-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getting on and off.

일 예로, 제어부(12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과 운전자 승차 시 획득된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을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compare the X-axis and Y-axis variation of the G 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X-axis and Y-axis variation of the G sensor value obtained when the driver gets on the vehicle.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보다 운전자 승차 시 획득된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이 큰 경우, 운전자가 동승자 또는 짐과 함께 탑승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axis and Y-axis of the G sensor value obtained when the driver is riding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axis and Y-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river with a passenger or luggag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been boarded.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의 승차를 분석하는 과정인 S404 내지 S406과 G센서 값을 통해 후석 탑승자의 승차를 분석하는 과정인 S407 내지 S409는 각각 순서가 바뀌어 실시 예에 따라, S407 내지 S409가 먼저 수행된 후, S404 내지 S406가 수행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S404 to S406, a process for analyzing the riding of a rear seat passenger through an image, and S407 to S409, a process for analyzing the riding of a rear seat passenger through a G sensor value, are respectively changed in order, so that S407 to S409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S409 is performed first, S404 to S406 may be perform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이 주행 후 정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410).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confirm that the vehicle stops after driving (S410).

일 예로, 제어부(120)는 시동이 오프된 것을 확인하거나, 차속을 확인하여, 차량이 주행 후 정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after driving by confirming that the engine is turned off or by checking the vehicle spe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보다 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이 주행 후 정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410).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confirm that the vehicle stops after driving ( S410).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이 주행 후 주행 후 정차하는 것을 확인한 후, 운전석 도어가 열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1).Afte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stopped after driving after driving,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seat door is open (S411).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도어 센서로부터 운전석 도어가 열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door is opened from a door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S411의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s door is not opened,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repeat the process of S411 again.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412).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s seat door is opened,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to determine the driver's movement ( S412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413).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S413).

S412 및 S413의 과정은 각각 S402 및 S404의 과정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ocesses of S412 and S413 are the same as the processes of S402 and S404, respectivel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 후, 영상을 통해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S414).Afte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nalyze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got of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 S414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영상에서 운전자의 손/허리 위치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위주로 영상을 처리하여, 후석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또는 운전자가 후석에 짐을 내렸는지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process the image based on a portion determined to be the driver's hand/waist position in the image, and analyze whether the rear seat passenger got off or the driver unloaded their luggage on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을 통해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분석한 후,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서 탑승자가 하차했다고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5).After analyzing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gotten off through the imag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alighted from the image analysis result ( S415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영상에서 손/허리 위치라고 판단되는 부분에 영유아 또는 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후석에서 짐을 내린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infants or luggage is present in the portion determined to be the hand/waist position in the image, the controller 120 may confirm that the passenger gets off the rear seat or the driver unloads the luggage from the rear seat.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서 탑승자가 하차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416).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gets off the rear seat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obtain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 S416 ).

S416의 과정은 S407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 of S416 is the same as that of S407,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7).After obtaining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S417).

일 예로, 제어부(120)는 하차 시 획득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은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heck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obtained when getting off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obtained when getting on and stored in the memory.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8).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not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is riding, the X, Y-axis change in the G-sensor value is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S418).

일 예로, 제어부(120)는 하차 시 획득한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은 G센서 값의 X축,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heck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G-sensor value obtained when getting off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G-sensor value obtained when riding and stored in the memory.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419).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output an alarm through a horn or a hazard (S419).

일 예로, 제어부(12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 내부에 탑승객 또는 짐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내부에 탑승객 또는 짐이 남아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passengers or luggage remain inside the vehicle, and prevents a horn or hazard. By outputting an alarm through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er that passengers or luggage remain inside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419).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when riding,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through a horn or a hazard ( S419).

일 예로, 제어부(120)는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 내부에 탑승객 또는 짐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내부에 탑승객 또는 짐이 남아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when rid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or luggage remains inside the vehicle, By outputting an alarm through a horn or a hazard,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er that passengers or luggage remain inside the vehic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1).Referring to FIG. 5 ,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 S501 ).

S501의 과정은 도 4의 S401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 of S501 is the same as that of S401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확인한 후, 차량의 도어 언락 또는 웰컴 라이트가 켜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502).After confirming that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confirm that the vehicle door is unlocked or the welcome light is turned on ( S502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obtain, through the sensor unit 110 ,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일 예로, 제어부(120)는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siders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bnormalities can be judg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도어 언락 또는 웰컴 라이트가 켜지는 것을 확인한 후,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03).Afte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door is unlocked or the welcome light is turned on, th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a camera (S503).

S503의 과정은 도 4의 S404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 of S503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S404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 후, 차량의 후석 도어가 열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S504).Afte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 S504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obtain whether the rear seat door is ope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0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oor of the seat is opened.

일 예로, 제어부(120)는 차량의 후석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면, 후석에 탑승객이 승차하거나 또는 짐이 놓이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하지 않고, 후석 도어가 열린 경우에만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ar seat door of the vehicle is not opened,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a passenger is riding in the rear seat or that no luggage is placed on the rear seat, and does not analyze whether the rear seat passenger has boarded through the image, but only when the rear seat door is ope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board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후석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S505).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ar seat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analyze whether the rear seat passenger has boarded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S505).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을 통해 후석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분석한 후,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506).The device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is not riding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after analyzing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boarded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S506).

S505 및 S506의 과정은 도 4의 S405 및 S406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es of S505 and S506 are the same as those of S405 and S406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거나, 또는 착좌 센서에서 탑승자가 후석에 착좌한 것으로 파악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507).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confirms that the passenger is not seated in the rear se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not in the rear seat, the rear seat seat belt is worn, or the seat sensor determines whether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rear seat There is (S507).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obtain, through the sensor unit 110 ,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10 ,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일 예로, 제어부(120)는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 sensor of the rear seat. can judg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거나, 또는 착좌 센서에서 탑승자가 후석에 착좌한 것으로 파악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508).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or the seat sensor does not determine that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rear seat,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obtain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S508).

S508의 과정은 도 4의 S407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 of S508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S407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거나, 또는 착좌 센서에서 탑승자가 후석에 착좌한 것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운전자에게 후석 탑승자 승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511).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or the seat sensor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rear seat,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provide a rear seat occupant riding notification to the driver ( S511 ).

일 예로, 제어부(120)는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또는 클러스터 등을 통해서, 후석 탑승자의 승차를 알리는 팝업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provide a pop-up notification informing the passenger of the rear seat boarding through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or cluster of the vehicle.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S509).After obtaining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determine whether the Z-axis change in the G-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Z-axis change in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S509).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S510).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axis of the G-sensor value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sensor when the driver rides alon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axis of the G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G sensor (S510).

S509 및 S510의 과정은 도 4의 S408 및 S409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es of S509 and S510 are the same as those of S408 and S409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보다 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운전자에게 후석 탑승자 승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511).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seat passenger may provide a rear-seat passenger riding notification to the driver (S511).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운전자 혼자 탑승 시의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보다 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운전자에게 후석 탑승자 승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511).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when the driver rides alon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may provide a rear seat passenger boarding notification to the driver. (S511).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자에게 후석 탑승자 승차 알림을 제공한 후, 차량이 주행 후 정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512).The device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of the vehicle 100 may confirm that the vehicle stops after driving after providing the driver with a rear seat passenger boarding notification ( S512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이 주행 후 주행 후 정차하는 것을 확인한 후, 운전석 도어가 열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S513).After confirming that the vehicle stops after driving after driving,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rear seat passengers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seat door is opened (S513).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S513의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s door is not opened,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repeat the process of S513 again.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린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S514).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r's seat door is opened,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detect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S514).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한 후,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15).After detecting the driver's movemen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S515).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 후, 영상을 통해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S516).Afte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analyze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got of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S516).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을 통해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분석한 후,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서 탑승자가 하차했다고 판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517).After analyzing whether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got off through the image, the apparatus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got off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 S517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영상 분석 결과, 후석에서 탑승자가 하차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S518).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gets off the rear seat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the apparatus 100 for notifying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may obtain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 S518 ).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한 후,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519).After obtaining the G-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S519).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520).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not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is riding, the X, Y-axis change in the G-sensor value is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S520).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Z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521).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Z-axis of the G-sensor value when riding, the device 100 for notifying the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may output an alarm through a horn or a hazard (S521).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는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이 승차 시 G센서 값의 X, Y축 변화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S521).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X and Y axes of the G sensor value when riding,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through a horn or a hazard ( S521).

S512 내지 S521의 과정은 도 4의 S410 내지 S419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processes S512 to S521 are the same as the processes S410 to S419 of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은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S610) 및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method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includes acquir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 S610 ) and a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a step (S620)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

일 예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S610)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가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센서부(110)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acquir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 S610 ), the vehicle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1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key, and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etected key position and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position through the sensor unit 110 in the process of getting on or getting off the vehicle.

일 예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S61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G센서를 통해, 차량의 G센서 값을 획득하고, 이에 해당하는 차체 움직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ep of acquir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 S610 ) may include acquiring the G sensor value of the vehicle through the G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 and the corresponding vehicle body It may include acquiring a motion.

일 예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S620)는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차량 주변의 영상,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차체 움직임 및 수평한 방향(X-Y평면 방향)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 S620 ) may include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 Whether the seat belt in the rear seat is worn,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 sensor in the rear seat, images around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body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일 예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S620)는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p (S620)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the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S620)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the driver getting on.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mage and body movement around the vehicle with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mage and body movement around the vehicle acquired during the driver's disembark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occupant got off the rear seat may includ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a sensor unit configured to acquire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G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 rear-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G-sensor for acquir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is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posi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the device for notifying a rear seat passenger of the vehicle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has boarded or got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is
The position of the dri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and in the process of getting on or getting off the driver, an image of the vehicle's surrounding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is obtained through a sensor unit,
A rear 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n image around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cquir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is in and ou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Rear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sensor unit,
Obtaining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The control unit is
A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a rear seat of a vehicl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is in and ou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obtain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and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The control unit is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in and out of the rear seat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notif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device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in and out of the rear sea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과 함께, 수평한 방향(X-Y평면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as well as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Rear-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cquired while the driver gets on, and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around the vehicle acquired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Rear-seat passenger notification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assenger has alighted in the rear se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다는 내용의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하고,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혼 또는 하자드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has boarded the rear seat, a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that the passenger has boarded the rear se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n the rear seat does not get off while the driver gets on and the occupant in the rear seat does not get off when the driver gets off,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horn or hazard of the vehicle. Device.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acquir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in and ou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movement of a body of the vehic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키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key of the vehicle,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movem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웰컴 라이트가 켜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a occupant got in and ou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and whether the welcome ligh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 method of notifying passengers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후석의 도어가 열리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occupant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oor of the rear seat is open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후석의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후석의 착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quir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ensed through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rear seat is worn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a seating sensor of the rear seat, determ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has boarded the rear seat and got off How to notify rear seat passenger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과 함께, 수평한 방향(X-Y평면 방향)의 상기 차체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n occupant got in and out of the rear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vehicle body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direction) A method for notifying a passenger in a rear seat of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승차했는지 여부 및 하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운전자가 승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및 상기 차체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후석에 탑승자가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석 승객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passenger got on and of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body movement of the vehicle,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cquired while the driver gets on, and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around the vehicle acquired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A method of notifying a passenger in a rear seat of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s alighted.
KR1020200170852A 2020-12-08 2020-12-08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2200814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52A KR20220081453A (en) 2020-12-08 2020-12-08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52A KR20220081453A (en) 2020-12-08 2020-12-08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53A true KR20220081453A (en) 2022-06-16

Family

ID=8221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52A KR20220081453A (en) 2020-12-08 2020-12-08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45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80A1 (en)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80A1 (en)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809B1 (en) Lane change prediction and turn signal activation upon observation of head and eye movement
EP3191864B1 (en) Radar sensing of vehicle occupancy
JP4858381B2 (en) Car left behind prevention device
CN109695398A (en) Personnel convey transport facility
US20170217429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220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or status detection
US20080021616A1 (en) Occupant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Vehicle
US20200062178A1 (en) Driver focus analyzer
EP3584099A1 (en) Vehicular periphery monitoring device
JP6167690B2 (en) Vehicle interior monitoring device
US8036795B2 (en) Image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s for determining occupant classification and seat belt status and vehicles having same
EP1731379B1 (en) Method of operation for a vision-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US20190147746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ccident situation of an open road vehicle
CN110576818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an occupant protection feature of a vehicle
US20210053528A1 (en) Wheelchair securing structure
US11433781B1 (en)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unattended passengers in a vehicle
JP2015207049A (en) Vehicle accident situation prediction device, vehicle accident situation prediction system and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device
KR101410182B1 (en) Sensing system for safety alight of passenger us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220081453A (en)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100086178A1 (en) Illumination Source For An Image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And Vehicle Using Same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CN109219537A (en) Safety equipment for vehicle
US202102016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285350A (en) Collision determination device, collision determination method, and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17182347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peripher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