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392A -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392A
KR20220079392A KR1020210048176A KR20210048176A KR20220079392A KR 20220079392 A KR20220079392 A KR 20220079392A KR 1020210048176 A KR1020210048176 A KR 1020210048176A KR 20210048176 A KR20210048176 A KR 20210048176A KR 20220079392 A KR20220079392 A KR 2022007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uni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규민
박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540,49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80759A1/en
Publication of KR2022007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9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allowing or preventing 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비행 제한 구역 내에 침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탐지하는 드론 탐지부,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게 드론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부가 수신한 드론 고유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드론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무력화하는 드론 무력화부를 포함한다.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drone intruding into a flight restricted area, and a drone ID that requests and receives drone unique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unit, a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updates the dron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and neutralizes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based on the dr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It includes an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d a drone disabling unit for neutralizing the at least one dron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Figure P1020210048176
Figure P1020210048176

Description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티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드론 탐지, ID 식별, 무력화 기술을 연계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dron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linking drone detection, ID identification, and neutralization technologi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 드론 이용이 확산됨에 따라 사생활 침해나 중요 시설 보안 위협 등의 역기능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의 역기능 사례에 대응하기 위해 비행 금지 구역 또는 비행 제한 구역에서 운영할 드론 탐지 기술과 무력화 기술을 적용한 안티드론 장치가 사용되었다. 대응 초기 단계에서는 비행 금지 구역에 침범한 물체를 탐지하여 드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드론에 대해 무력화가 필요할 경우 재밍(Jamming), 지오펜싱(Geofencing), 그물 포획, 레이저빔 등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드론의 침입이나 위협을 제거하였다.Recently, as the use of drones is spreading, cases of dysfunction such as invasion of privacy or security threats to important faciliti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spond to the dysfunctional cases of these drones, an anti-drone device applied with drone detection technology and neutralization technology to operate in a no-fly zone or a restricted-fly zone was used. In the initial stage of respons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drone by detecting an object that has invaded the no-fly zone, and if it is necessary to neutralize the drone, physical methods such as jamming, geofencing, net capture, and laser beam used to eliminate the intrusion or threat of drones.

이처럼, 기존의 안티드론 장치는 탐지, 무력화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확인하여 관리하는 드론 식별 기술은 고려되지 않았다. 하지만, 소형 드론은 특정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공중 이동과 원격 조종이 가능하여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생활 침해 등 범죄 행위에 쉽게 악용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추적 및 책임 소재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드론 ID 식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미국,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드론 식별을 위한 정책 및 기술 개발을 추진중이다. 2019년 12월, 미국 FAA(미연방항공청)에서는 무인기 시스템의 원격 식별을 위한 법안 제정 공시를 발표하였고, EU 집행위원회는 2019년도부터 모든 드론에 대해 등록 및 전자적 식별을 의무화할 것을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드론 ID의 식별을 통한 무력화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As such, existing anti-drone devices focus on detection and neutralization technologies, and drone identification technology that checks and manages drone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was not considered. However, small drones can be easily used for criminal activities such as safety and security threats and privacy violations because they can be moved in the air and remotely controlled without specific expertise. Accordingly, interest in drone ID identification is growing, and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hina are promoting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drone identification. In December 2019, the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nnounced a public notice on legislation for remote identification of UAV systems, and the European Commission announced that registration and electronic identification would be mandatory for all drones from 2019.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implementing neutralization through identification of drone IDs.

최근 공항내 드론 출현으로 인한 항공기 이착륙 중단 사고와 원전내 드론 추락 사고 등 드론 역기능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불법 드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솔루션 개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안티드론 시스템은 지상 레이다, RF 스캐너, EO/IR 카메라 등을 활용한 드론 탐지 기술과 물리적 방법 또는 재밍 장치 등을 활용한 무력화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드론 역기능 대응 체계에는 드론 식별 기술이 빠져있어 드론 사고 발생시 책임소재 파악, 보험 처리 등의 후속 조치와 드론의 운행 목적이 고려되지 않은 일방적 운용 중지 등 불법 드론 대응에 한계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탐지, 무력화'의 기존 2 단계 드론 역기능 대응 체계에서 '탐지, ID 식별, 무력화'의 3 단계 대응 체계로 보완하기 위해서는, 안티드론 시스템 내에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정보 등)를 식별할 수 있는 드론 ID 식별 장치를 추가로 연계하여 구성하고 이에 따른 시스템 동작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cases of drone malfunction, such as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suspension accidents due to the appearance of drones in airports and drone crashes in nuclear power plants, is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a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solution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illegal drones is increasing. Existing anti-drone systems focused on drone detection technology using ground radar, RF scanners, EO/IR cameras, etc., and neutralization technology using physical methods or jamming devices. However, this drone dysfunction response system lacks drone identification technology, so there are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illegal drones, such as follow-up measures such as identifying liability and insurance handling in the event of a drone accident, and unilateral suspension of oper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drone operation. there was. Therefore, in order to supplement the existing 2-stage drone dysfunction response system of 'detection and neutralization' with the 3-stage response system of 'detection, ID identification, and neutralizati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rone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link and configure an identifiable drone ID identification device and develop system operation technology accordingly.

본 발명에서는 드론 탐지 장치, 지상용 드론 ID 식별 장치,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 드론 무력화 장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를 연계한 안티드론 통합 관리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비행금지 구역이나 제한 구역내에 다수의 드론이 출현했을 때 불법ㆍ위협 드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posing a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technology linking a drone detection device, a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device, a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a drone neutralization device, and a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 number of The purpose of this is to track illegal and threat drones in real time and effectively integrate and manage them when drones appea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비행 제한 구역 내에 침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탐지하는 드론 탐지부,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게 드론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부가 수신한 드론 고유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드론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무력화하는 드론 무력화부를 포함한다.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drone intruding into a flight restricted area, and a drone ID that requests and receives drone unique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unit, a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updates the dron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and neutralizes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based on the dr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It includes an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d a drone disabling unit for neutralizing the at least one dron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론 고유 정보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부과된 ID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includes ID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djusts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의 개입없이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djusts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복수의 드론들이 탐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대응 우선순위를 결정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drones are detected,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determines a corresponding priority for the plurality of dron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대응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드론들 중에서 상기 비행 제한 구역 내의 주요 핵심 시설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또는 상기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sponse prior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ain key facility in the restricted flight zone among the plurality of drones or the distance from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이 실시 예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상기 드론 고유 정보 및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기체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승인 정보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무력화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disable the drone by additionally using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aircraft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owner information, flight approval information, and the like.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사이, 또는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와 상기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드론 탐지부, 상기 드론 무력화부 사이에는 명령,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betwee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or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e drone detection unit, and the drone It consists of a wired link or a wireless link that transmits commands, controls, and data in real time between the disabling units.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는 상기 드론 고유 정보를 상기 드론 ID 식별부에 제공하기 위한 드론 탑재용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t least one drone includes a drone-mounted identification device for providing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to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론 탐지부, 상기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 그리고 상기 드론 무력화부 각각은 특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산재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drone detec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is disper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ecific distance or m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 제한 구역을 감시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행 제한 구역을 침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ID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ID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그리고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대한 무력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for monitoring a flight restricted area includes detecting at least one drone invading the flight restricted area, ID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is incapacitated based on the I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the at least one drone performing the neutralization step.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대한 기체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승인 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ircraft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and flight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이 실시 예에서,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복수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대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is a pluralit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a corresponding priority for the plurality of drones.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서 제공하는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드론 ID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의 방향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the I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djusting a direction angle and an elevation angle of the antenna to receive .

최근 공항이나 원전 등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 또는 비행제한 구역에 침입하는 불법 드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안티드론 통합 관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요시설 보호, 재난 대응, 행사 등에서 불법·위협 드론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드론 ID 식별 정보를 필수적으로 수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안티드론 시스템은 드론 탐지 기술과 무력화 기술에만 의존하고 있어, 사고 발생시 책임 소재 파악, 보험 처리 등의 후속 조치와 드론의 운행 목적이 고려되지 않은 일방적 운용 중지 등 불법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애로 사항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기존 안티드론 대응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고도화된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cently, interest i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technology to effectively respond to illegal drones invading drone flight restricted/prohibited areas or restricted flight areas such as airports and nuclear power plants is growing. In order to quickly and flexibly respond to illegal and threatened drones in important facilities protection, disaster response, and even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utiliz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isting anti-drone systems rely only on drone detection technology and neutralization technology, so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 are difficulties in effectively responding to illegal actions such as locating responsibility and handling insurance, and unilateral suspension of oper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drone operation. there was.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possible to build an advanced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anti-drone response technology by proposing a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가 다수의 드론이 출현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hen a plurality of drones appear.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it is to be considered that an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claimed invention is provided. Reference signs are indicated in detail 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ndicated in the reference drawings. Wherever possibl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항이나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국가 주요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한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에서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또는 시스템의 배치 방식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or system in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100 set to protect major national facilities such as airports or nuclear power plants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운용 주체, 운용 지역, 운용 목적 등에 따라 각각의 장치(탐지 장치, ID 식별 장치, 무력화 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설치 구역들(110, 120, 130) 각각에 도시된 설치 또는 운영 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In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each device (detection device, ID identification device, neutralization device) may be deployed and opera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ubject, operation area, operation purpos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may be dispos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environments shown in each of the installation areas 110 , 120 , and 130 .

제 1 설치 구역(110)에서는 탐지 장치(111), ID 식별 장치(112), 무력화 장치(113) 각각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한대씩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In the first installation area 110 , the detection device 111 , the ID identification device 112 , and the neutralization device 113 are each intensively disposed at the same location one by one to configure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제 2 설치 구역(120)에서는 탐지 장치(121), ID 식별 장치(122) 그리고 무력화 장치(123)가 각각 한대씩 배치되어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여기서, 탐지 장치(121), ID 식별 장치(122) 그리고 무력화 장치(123) 각각은 서로 다른 위치에 산개되어 설치되고 운용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In the second installation area 120 , the detection device 121 , the ID identification device 122 , and the neutralization device 123 are each disposed one by one to configure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Here, the detection device 121 , the ID identification device 122 , and the neutralization device 123 each show a situation in which they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different locations.

제 3 설치 구역(130)에서는 탐지 장치(131), ID 식별 장치들(132, 133), 무력화 장치들(134, 135, 136, 137)이 복수 및 산개된 형태로 배치되어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ID 식별 장치들(132, 133)과 무력화 장치들(134, 135, 136, 137)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방식은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의 보안 등급이나 중요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In the third installation area 130 , the detection device 131 , ID identification devices 132 , 133 , and neutralization devices 134 , 135 , 136 , 137 are arranged in a plurality and spread form, so that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shows how to configure Here, at least two ID identification devices (132, 133) and disabling devices (134, 135, 136, 137) are shown. This arrangement meth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or importance of the drone flight restricted/prohibited area 1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설치 구역 내지 제 3 설치 구역(110, 120, 130)을 예로 들어 3가지의 배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도시된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일 뿐임은 잘 이해될 것이다. 즉, 탐지 장치(레이더, RF 스캐너, EO/IR 카메라 등), ID 식별 장치(지상용 드론 ID 식별 장치 및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 드론 탑재용 식별 장치는 드론에 장착되어 있다고 가정), 무력화 장치(재머, 레이저빔 등)는 해당 시설 운용자의 드론 역기능 대응 방침에 따라 다양한 지점에 다양한 수의 장치들이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해당 장치들(드론 탐지 장치, ID 식별 장치, 무력화 장치) 간의 제어/명령/데이터 정보는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로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ree deployment scenarios taking the first to third installation zones 110, 120, and 130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illustrated examples are merely exemplary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is, detection device (radar, RF scanner, EO/IR camera, etc.), ID identification device (terrestrial drone ID identification device and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it is assumed that the drone-mounted identifica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drone), A variety of disabling devices (jammers, laser beams, etc.)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various locations at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the facility operator's drone dysfunction response policy. In this case, control/command/data information between the devices (drone detection device, ID identification device, and neutralization device) should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d link or a wireless link.

도 2는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200)는 드론 탐지부(210),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 드론 무력화부(240), 그리고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이들 장치들 각각은 하나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개발, 제작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시스템 형태로 개발, 제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2 ,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200 includes a drone detection unit 210 , a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 a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 a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 And it includes an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Each of these devices may be independently developed, manufactured, and configured in one form, or two or more devices may be developed, manufactured, and configured as one system in terms of hardware.

드론 탐지부(210)는 레이더, RF 스캐너, 전기광학적 적외선(ElectroOptic-InfraRed: EO/IR)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대응 초기 단계에서 비행 금지 구역 또는 비행 제한 구역에 침범한 물체를 탐지하여 드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The drone detection unit 210 detects an object that has invaded the no-fly zone or restricted-fly zone in the initial stage of response using a radar, an RF scanner, an ElectroOptic-InfraRed (EO/IR) camera, etc.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drone It is a device for judging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탐지된 드론의 ID를 식별하는 장치이다. 탐지된 드론의 ID 식별을 위한 장치로는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외에도 드론 탑재용 ID 식별부(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탐지된 드론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221)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21)는 방위각(Azimuthal angle)과 고도각(Elevation angle)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안테나(221)의 방위각 및 고도각의 조절은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자체적으로도 가능하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 등 인접 장치와 연계된 제어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221)의 방위각 및 고도각이 조정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향후 관련 제도가 마련되면 기준 조건 이상의 모든 드론(예, 등록이 필요한 모든 드론 또는 기체 무게가 250g 이상인 모든 드론 등)은 드론 탑재용 식별 장치를 의무 장착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드론에 장착된 드론 탑재용 ID 식별 장치와 지상에 설치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간에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주고받아 드론을 안전하게 통합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is a device for identifying the ID of the detected drone. A device for identifying the detected drone ID may further include a drone-mounted ID identification unit (t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in addition to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n antenna 2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tected drone. The antenna 221 is manufactured to enable control of an azimuthal angle and an elevation angle. The adjustment of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221 is also possible by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itself, or through control linked to an adjacent device such as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n which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221 are adjusted by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25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if a related system is prepar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ll drones exceeding the standard conditions (for example, all drones that require registration or all drones with an aircraft weight of 250g or more) must b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device for mounting a drone. Therefore, the drone's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is exchanged between the drone-mounted ID ident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drone and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installed on the ground, which can be used to safely integrate and manage the drone. have.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는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에 접근 가능한 또는 접근 불가한 드론들의 ID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는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에서 비행이 허용(또는 승인)된 드론들의 ID 정보를 저장하고,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로부터의 비행승인 여부 등을 체크해 달라는 요청에 응답하여 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에 등록된 ID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230 stores and manages ID information of drones that are accessible or inaccessible to the drone flight restricted/prohibited area 100 . For example,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stores the ID information of drones allowed (or approved) to fly in the drone flight restriction / prohibition zone 100, and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In response to a request to check whether the flight is approved or not, the match can be check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D is registered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 and provide the result to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

드론 무력화부(240)는 탐지된 드론의 ID가 허용되지 않은 불법 드론에 해당하는 경우, 전파 교란, 파괴, 포획이나 지오펜싱 등을 통하여 불법 드론의 침입이나 위협을 제거한다. 드론 무력화부(240)는 예를 들면, 재밍(Jamming)을 통해 불법 드론의 통신이나 GPS 통신을 교란시켜 추락시키거나 강제 착륙, 강제 귀환 등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드론 무력화부(240)는 레이저나 산탄총, 전자기 펄스(EMP) 등의 화력으로 조준 사격을 가하여 불법 드론을 직접적으로 파괴시킬 수 있다. 이밖에 드론 무력화부(240)는 그물망의 발사나 다양한 수단을 동원한 포획 수단을 사용하여 불법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다.When the detected drone ID corresponds to an illegal drone that is not permitted,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removes the intrusion or threat of the illegal drone through radio wave disturbance, destruction, capture, geofencing, or the like.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may disrupt the communication or GPS communication of the illegal drone through jamming, for example, to cause the drone to fall down or to induce a forced landing, forced retur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may directly destroy the illegal drone by applying an aiming shot with firepower such as a laser, a shotgun, an electromagnetic pulse (EMP),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may neutralize illegal drones by launching a net or using a capture means using various means.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드론 탐지부(210),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 드론 무력화부(240)의 제반 동작을 통합하고 조정한다.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드론 탐지부(210)로부터 감시 구역 내에 접근하거나 침입한 드론의 존재를 체크한다. 만일, 감시 구역 내에 드론이 침입한 것이 채널(260)을 통해 확인되면,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채널(261)을 통해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또는 탑재용 ID 식별 장치의 안테나(221)가 침입 드론의 ID를 체크하도록 제어한다.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 또는 탑재용 ID 식별 장치에 의해서 체크된 드론 ID가 불법인지의 여부는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와의 채널(225 또는 262)을 통해서 전달된다.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침입한 드론의 ID가 허용되지 않은 불법 드론으로 판정되면, 드론 무력화부(240)가 해당 드론을 무력화하도록 채널(263)을 통해서 명령할 수 있다.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integrates and adjusts all operations of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and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checks the presence of a drone approaching or intruding within the monitoring area from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 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channel 260 that the drone has invaded the monitoring area,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or the antenna of the mounted ID identification device through the channel 261. (221) controls to check the ID of the intrusion drone. Whether the drone ID checked by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or the onboard ID identification device is illegal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225 or 262 with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D of the intruding drone is an illegal drone,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250 may instruct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to disable the corresponding drone through the channel 263 .

여기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와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는 지상에 설치되고 드론 탑재용 ID 식별 장치는 드론에 장착되어 운용된다. 또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와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로 하드웨어적으로 각각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개발 및 운용될 수도 있고 하나의 하드웨어 형태로 개발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치들(210, 220, 230, 240, 250) 간의 필요한 명령/제어/데이터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채널들(225, 260, 261, 262, 263)은 실시간으로 통신 가능한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230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drone-mounted ID identifica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drone and operated. In addition,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may be separately develop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in hardware, or may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a single hardware form. And the channels 225, 260, 261, 262, 263 for exchanging necessary command/control/data information between the devices 210, 220, 230, 240, and 250 are wired or wireless links capable of communicating in real time. configurable.

도 3은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가 다수의 드론이 출현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내 드론 탑재용 ID 식별 장치(311, 321, 331)를 장착한 3 대의 드론(310, 320, 330)이 출현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hen a plurality of drones appear. Referring to FIG. 3 , it is assumed that three drones 310 , 320 , 330 equipped with ID identification devices 311 , 321 , 331 for mounting drones appear in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먼저, 드론 탐지부(210)는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의 탐지 반경 내에 침입한 드론 3 대(310, 320, 330)를 탐지한다. 이어서, 드론 탐지부(210)는 드론이 탐지된 위치를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로 보고한다. 그러면,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사전에 결정된 안티드론 대응 수칙에 따라 탐지된 드론들(310, 320, 330)에 대한 대응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안티드론 대응 수칙은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기관의 운용 환경, 운용 목적 등에 따라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티드론 대응 수칙은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드론부터 먼저 대응하는 정책일 수 있다. 또는, 안티드론 대응 수칙은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내 주요 핵심 시설로부터 가장 가깝게 접근하고 있는 드론부터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First, the drone detector 210 detects three drones 310 , 320 , and 330 that have invaded within the detection radius of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Then,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reports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250 . Then,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e priority of response to the detected drones 310 , 320 , and 33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nti-drone response rule. Anti-drone response rules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purpose of the institution operating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the anti-drone response rule may be a policy that responds first to a drone having a distance from a point where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Alternatively, the anti-drone response rules may be determined to respond starting with the drone closest to the main key facility in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대응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해당 드론에서 송신하는 드론 고유 정보를 보다 잘 수신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에 설치된 안테나(221)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설정하여 제어한다. 드론의 고유 정보 수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드론 탐지부(210)가 직접 드론에 탑재된 드론 탑재용 ID 식별 장치(311, 321, 331)의 안테나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When the corresponding priority is determined,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e azimuth of the antenna 221 installed in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so as to better receive and identify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drone. Control by setting the elevation ang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rone's unique information reception,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is directly mounted on the drone, and th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elevation angle is controlled.

이어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수집하여 해당 정보를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 장치(230)에 저장한다.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 장치(230)는 정부기관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드론 ID를 활용하여 드론의 기체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승인 정보 등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미도시됨). 드론의 고유 정보 및 추가 획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점에 침입한 드론의 운행 목적 등을 상세하게 파악한 후 무력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드론 무력화부(240)를 동작시켜 해당 드론의 침입을 무력화시킨다.Next,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collects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drone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device 230 .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device 230 may additionally acquire aircraft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flight approval information, etc. of the drone by using the drone ID through interworking with a government agency database (not shown) . Based 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rone and additional acquired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in detail that the purpose of operation of the drone that has invaded the corresponding point is determined and it is determined that neutralization is necessary,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operates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Neutralizes the drone's intrusion.

도 4는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200)에서는 드론 탐지, ID 식별, 무력화의 3 단계 과정을 통해 드론 역기능 대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drone dysfunction response process through a three-step process of drone detection, ID identification, and neutralization.

S110 단계에서, 드론 탐지부(210)는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에 침범한 물체를 감지한다. 드론 탐지부(210)는 레이더, RF 스캐너, 전기광학적 적외선(EO/IR) 카메라, 그리고 일반적인 카메라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을 탐색할 수 있다. In step S110 ,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detects an object that invades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100 . The drone detector 210 may search the drone flight restricted/prohibited zone 100 using at least one of a radar, an RF scanner, an electro-optical infrared (EO/IR) camera, and general camera sensors.

S120 단계에서,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10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탐지되면, 드론 탐지부(210)는 탐지 결과를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에 보고한다. In step S120 , when at least one drone is detected within the drone flight restriction/prohibition zone 100 ,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repor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250 .

S130 단계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탐지 보고된 드론이 둘 이상인 경우에 식별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드론 탐지부(210)로부터 보고된 드론의 위치 정보와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 운용 기관의 운용 환경, 운용 목적 등에 따라 사전에 결정된 안티드론 대응 수칙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티드론 통합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드론의 우선순위가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또는, 드론 비행 제한/금지 구역내 주요 핵심 시설로부터 더 가까운 드론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step S130,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e priority of identification when there are two or more drones that have been detected and reporte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nti-drone response rul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reported from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perating institution,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a drone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a point where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may be prioritized.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one closer to the main key facility in the drone flight restricted/prohibited zone has a higher priority.

S131 단계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드론 또는 탐지된 드론이 1개인 경우의 드론이 선택된다.In step S131 , a dron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or a drone in the case of one detected drone is selected.

S132 단계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에 설치된 안테나(221)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설정한다. 즉,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선택된 드론으로부터 송신하는 드론의 고유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드론 탐지부(210)로부터 보고된 드론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에 설치된 안테나(221)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132 ,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sets an azimuth and an elevation angle of the antenna 221 installed in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 That is,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utili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reported from the drone detection unit 210 so as to efficiently receiv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rone transmitted from the selected drone,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221 installed in 220 may be controlled.

S133 단계에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수집한다. 즉,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선택된 i 번째 드론에게 드론의 고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고유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i 번째 드론이 드론 ID 및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면,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해당 정보를 i 번째 드론에 대한 정보로 수신할 것이다.In step S133,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collects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drone. That is,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may reques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drone from the selected i-th drone. When the i-th drone transmits a drone ID and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unique information,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will receiv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s information about the i-th drone.

S134 단계에서, 지상용 드론 ID 식별부(220)는 수신된 i 번째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는 i 번째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를 저장한다.In step S134, the ground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220 stores and manages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i-th drone via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or directly to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may be transmitted. The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230 stores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i-th drone.

S135 단계에서, 현재 선택된 i 번째 드론이 탐지된 복수의 드론들 중 마지막 우선순위의 드론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의 드론을 선택할지 아니면 드론 선택을 종료할지 동작 분기가 발생한다. 만일, 현재 선택된 i 번째 드론이 탐지된 복수의 드론들 중에서 마지막 드론인 경우(Yes 방향), 절차는 S140 단계로 이동한다. 하지만, 현재 선택된 i 번째 드론 이외에도 탐지된 복수의 드론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드론이 존재하는 경우(No 방향), 절차는 S136 단계로 이동한다. In step S13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ly selected i-th drone corresponds to a drone of the last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detected dron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 operation branch occurs whether to select a drone of the next priority or to terminate the drone selection. If the currently selected i-th drone is the last drone among the detected plurality of drones (in the Yes direction),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140. However, if there is an unselected dron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ed drones other than the currently selected i-th drone (No direction),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136.

S136 단계에서, 탐지된 복수의 드론들 중에서 다음 우선순위(i+1)의 드론이 선택된다. 다음 우선순위의 드론이 결정되면, 절차는 S132 단계로 복귀하여 선택된 드론에 대한 방위각 및 고도각 제어를 위한 동작으로 궤환한다.In step S136, a drone of the next priority (i+1)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etected drones. When the next priority drone is determined,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132 to feed back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for the selected drone.

S140 단계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ㆍ관리부(230)에 저장된 드론의 고유 정보(드론 ID, 위치 정보 등)와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대한 불법 운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추가 정보는 정부기관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드론의 기체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승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step S140,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detects based on the unique information (drone ID,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drone stored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unit 230 and additional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driving is illegal.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ircraft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flight approval information, etc. of the drone obtained through interworking with a government database.

S150 단계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식별된 드론들 중에서 무력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불법 운행으로 판단되어 무력화가 필요한 드론이 존재하는 경우(Yes 방향), 절차는 드론의 무력화를 위한 S160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 식별된 드론들 중에 무력화 대상인 드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방향), 추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에 탐지된 드론들에 대한 무력화 절차는 종료된다. In step S150,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determines whether neutralization is necessary among the identified dron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ne is being operated illegally and there is a drone that needs to be disabled (yes direction),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160 for neutralizing the drone.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drone to be neutralized among the identified drones (No direction), the neutralization procedure for the detected drones is terminated after taking additional necessary measures.

S160 단계에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250)는 드론 무력화부(240)를 통해서 무력화 대상 드론에 대한 무력화를 실행한다. 드론 무력화부(240)는 전파 교란, 파괴, 포획이나 지오펜싱 등을 통하여 불법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다. In step S160 ,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250 neutralizes the neutralization target drone through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240 may neutralize illegal drones through radio wave disturbance, destruction, capture, geofencing, or the like.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re specific example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simple design changes or easily changeabl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in the future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laims (14)

비행 제한 구역 내에 침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탐지하는 드론 탐지부;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게 드론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부가 수신한 상기 드론 고유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드론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무력화하는 드론 무력화부를 포함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a dron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drone intruding into the flight restricted area;
a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drone-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a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updating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an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is incapacitated based on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stored i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and
and a drone neutralization unit for neutralizing the at least one dron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고유 정보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부과된 ID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is an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ID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adjusts an azimuth and an elevation angle of the antenn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ID 식별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의 개입없이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djusts the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the antenna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복수의 드론들이 탐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대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plurality of drones are detected, the integrated anti-drone control unit determines a corresponding priority for the plurality of dron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드론들 중에서 상기 비행 제한 구역 내의 주요 핵심 시설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또는 상기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sponse priority is a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tha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ain key facility in the restricted flight zone among the plurality of drones or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integrated anti-drone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는 상기 드론 고유 정보 및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비행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승인 정보를 추가로 사용하여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dditionally uses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flight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and flight approval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to determine whether to neutralize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ID 식별부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사이, 또는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와 상기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드론 탐지부, 상기 드론 무력화부 사이에는 명령,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로 구성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mmands between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or between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e drone detection unit, and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 control, and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consisting of a wired link or a wireless link that transmits data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서 상기 드론 고유 정보를 상기 드론 ID 식별부에 제공하기 위한 드론 탑재용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rone-mounted identification device for providing the drone-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drone to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탐지부, 상기 드론 ID 식별부, 상기 드론 ID 식별 정보 저장/관리부, 상기 안티드론 통합 제어부, 그리고 상기 드론 무력화부 각각은 특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산재되어 배치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detec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the dron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management unit, the anti-dron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the drone neutralization unit are each intersper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ecific distance.
비행 제한 구역을 감시하는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한 구역을 침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ID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ID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그리고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무력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대한 무력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to monitor the restricted flight area:
detecting at least one drone invading the restricted flight area;
obtaining 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is incapacitated based on the I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and executing disabling of the at least one dro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 대한 기체등록 정보, 소유주 정보, 비행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ircraft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and flight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복수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드론들에 대한 대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corresponding priority for the plurality of drones when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is plur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드론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탐지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에서 제공하는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드론 ID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의 방향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drone ID identification unit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ed at least one dron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direction angle and the elevation angle of the antenna to receive the I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KR1020210048176A 2020-12-04 2021-04-14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793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40,494 US20220180759A1 (en) 2020-12-04 2021-12-02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47 2020-12-04
KR20200168047 2020-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92A true KR20220079392A (en) 2022-06-13

Family

ID=8198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76A KR20220079392A (en) 2020-12-04 2021-04-14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3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Survey on anti-drone systems: Components, designs, and challenges
US10907940B1 (en) Deterrent for unmanned aerial systems using data mining and/or machine learning for improved targe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11965977B2 (en) Deterrent for unmanned aerial systems
US9996079B2 (en) Radio frequency device detection and intervention
Solodov et al. Analyzing the threa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to nuclear facilities
US11022407B2 (en) UAV defense system
US20200162489A1 (en) Security event detection and threat assessment
US10866597B1 (en) Drone detection and interception
BE1023995B1 (en) Platform for Coordination of Operations at Very Low Level
CA3085049A1 (en) Drone defense system
KR1018814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fense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21875A (en) System and its Method for Detecting and Defeating Small Unmanned Aircrafts
He et al. How to govern the non-cooperative amateur drones?
Buric et al. Counter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
KR20220079392A (en) Anti-drone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veryanova et al. A study on unmanned aerial system vulnerabilities for durability enhancement
US20220180759A1 (en) Anti-dron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312168A1 (en) Site safety system
Mlezivova Unmanned aircraft as a subject of safety and security
WO2018214969A1 (en) Low-altitude aircraft supervision system, method and device, and low-altitude aircraft management platform system
EP43779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epting and controlling target-drones
KR20230151802A (en) Intelligent anti-dron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Oxford Analytica Tighter restrictions on drones promise limited gain
Kotkova Airport defense systems against drones attacks
Tyler Securing Our Air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