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308A -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308A
KR20220073308A KR1020200161254A KR20200161254A KR20220073308A KR 20220073308 A KR20220073308 A KR 20220073308A KR 1020200161254 A KR1020200161254 A KR 1020200161254A KR 20200161254 A KR20200161254 A KR 20200161254A KR 20220073308 A KR20220073308 A KR 2022007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pair
exercise equipment
reference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0233B1 (en
Inventor
노환영
Original Assignee
노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영 filed Critical 노환영
Priority to KR102020016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33B1/en
Publication of KR2022007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is disclosed. In 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barbell holde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hrough-hole, or a pair of the barbell holder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bench assembly installed in a rack or Smith machine comprising a front frame, a pair of rear frame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and a pair of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each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o each other, wherein both ends are a first reference bar mounted on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respectively; a second reference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frames; Sliding moving parts provided in a pair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respectively;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to each other; Bench; The upper portion of the bench is mounted, and it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connecting bar, and includes a bracke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enc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a bench assembly used for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a Smith machine, and when not in use, it can be stored through sliding movement left and right, and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that is deployed through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en in use is provided. do.

Description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nch assembly used for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a Smith machine, and can be accommodated by sliding left and right when not in use, and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en in use It relates to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that is deployed through.

일반적으로 웨이트 운동기구는 상체단련용 운동기구와 하체단련용 운동기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기구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중량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체부분의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고, 상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가슴근육, 등근육과 어깨근육을 강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팔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In general, weight exercise equipment is divided into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and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and these exercise equipment are equipped with a weight that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 It makes the muscles work. For example, the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is an exercise equipment that strengthens the calf muscles and thigh muscles of the user's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trengthens the user's chest muscles, back muscles and shoulder muscles, or strengthens the user's arm muscles. is an exercise device.

이 외에, 벤치프레스 등의 상체운동과, 스쿼트 등의 하체운동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바벨 거치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랙(파워랙)이나, 바벨 거치대의 거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스미스머신 등의 전신 웨이트 운동기구가 있다.In addition, to perform upper body exercises such as bench press and lower body exercises such as squats, the multi-rack (power rack) that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barbell holder, or the Smith machine that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barbell holder There are full body weight exercise equipment such as back.

멀티랙이나 스미스머신 등에서 하체운동을 하는 경우 벤치를 사용하지 않으나, 벤치프레스나 인클라인 벤치프레스, 밀리터리 프레스 등 프레스 류의 상체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벤치가 필요하다.A bench is not used for lower body exercises such as multi-racks or Smith machines, but a bench is necessary for upper-body exercises such as bench press, incline bench press, and military press.

이 때, 멀티랙이나 스미스머신과 떨어져있는 벤치를 옮겨와야 하며, 만일 다른 사람이 벤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 종료시까지 기다려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such as having to move the bench away from the multi-rack or Smith machine, and waiting until the end of use if someone else is using the bench.

또한, 벤치를 옮겨온 뒤에도 상체의 좌,우에 하중이 동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벤치를 두고 사용하다가 불편함을 느끼면 다시 벤치 위치를 조절한다던가, 또는 벤치 위에 바벨을 놓고 바벨의 정중앙과 벤치의 정중앙이 일치하도록 벤치의 위치를 수정하는 등을 통해 조절한다. 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lso, it is not easy to place the bench in the center so that the load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even after moving the bench. In general, if you feel discomfort while using a bench in an appropriate position, adjust the bench position again, or place a barbell on the bench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bench so that the center of the barbell and the center of the bench are aligned. This also has an inconvenient problem.

따라서 멀티랙이나 스미스 머신 등과 일체화된 벤치가 필요하며, 위치를 쉽게 설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벤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 bench integrated with a multi-rack or a Smith machine is required,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bench that can be easily set and fix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2192호(2019.08.13.등록)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12192 (registered on August 13, 2019)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2120008호(2020.06.01.등록)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 2120008 (registered on June 1, 2020) "Improved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3055호(2019.02.11.공개)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3055 (published on February 11, 2019) "Complex fitness equipment equipped with barbell exercis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ch assembly used for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a Smith machine, and can be accommodated by sliding left and right when not in use, and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en in u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ch assembly for a deployed exercis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머신에 벤치를 일체화시키면서도, 미사용 시 벤치의 수납이 편리하며, 사용 시 벤치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용이한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ch for exercise equipment that integrates the bench into a rack or a Smith machine, convenient storage of the bench when not in use, and easy positioning of the bench when in use It aims to provide an assembl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In 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barbell holde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hrough-hole, or a pair of the barbell holder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bench assembly installed in a rack or Smith machine comprising a front frame, a pair of rear frame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and a pair of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each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o each other, wherein both ends are a first reference bar mounted on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respectively; a second reference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frames; Sliding moving parts provided in a pair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respectively;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to each other; Bench; The upper portion of the bench is mounted, and it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connecting bar, and includes a bracke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ench.

또한, 상기 제1기준바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벤치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mounted on the sliding moving unit moving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the end of the wire rope connected to the bench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balance is wound.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프레임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바 또는 상기 제2기준바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위치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reference bar or the second reference bar corresponding to a half poi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frames, and the sli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 positioning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may be mounted.

또한, 상기 연결바의 소정 지점에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through-ho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connecting bar, and a fixing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may be mounted to the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이나 스미스머신 등의 운동기구에서 벤치가 불필요한 경우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용이하게 벤치를 수납할 수 있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asily accommodate the bench through left and right sliding movement when a bench is unnecessary in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a Smith machine.

또한, 프레스류 상체운동을 위해 벤치가 필요한 경우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벤치 인출이 가능하며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어 의자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bench is needed for upper body exercise of the press type, the bench can be pulled out by sliding left and right, and the chair can be installed by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제1기준바 또는 제2기준바에 형성된 제1관통홀과, 위치고정핀에 의해 의자의 정확한 위치를 쉽게 설정 및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and fix the exact position of the chair by the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reference bar or the second reference bar and the position fixing pi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벤치 전개 설명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bench development of 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Before the descrip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의 벤치 전개 설명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ench development explanatory diagram of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것이다.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ch assembly used for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a Smith machine, and can be accommodated by sliding left and right when not in use, and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en in use it will unfold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벤치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운동기구는 랙(멀티랙, 파워랙) 또는 스미스머신일 수 있다. 랙은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과, 전방 프레임(10) 후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과,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각각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스미스머신 또한,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과, 전방 프레임(10) 후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과,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을 포함한다. First, the exercise equipment to which the ben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exercise equipment may be a rack (multi-rack, power rack) or a Smith machine. The rack is a pair of front frames 10, a pair of rear frames 20 spaced apart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0, and as long as the upper portions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frames (30). Smith machine also, as long as a pair of front frames 10, a pair of rear frames 20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10 rearward, and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frames (30).

전방 프레임(10)에는 바벨이 거치된다. 랙의 경우 바벨이 프레임과 분리되어 있으며, 바벨을 거치할 수 있는 바벨 거치대(12)가 전방 프레임(10)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전방 프레임(1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각 관통공(11)에 바벨 거치대(12)가 장착된다. 스미스머신의 경우 바벨이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벨을 거치할 수 있는 바벨 거치대(12)가 전방 프레임(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배치된다. A barbell is mounted on the front frame 10 . In the case of the rack, the barbell is separated from the frame, and a barbell holder 12 capable of holding the barbell is provided to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ront frame 10 .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 are formed in the front frame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barbell holder 12 is mounted in each through-hole 11 . In the case of the Smith machine, the barbell is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barbell holder 12 capable of holding the barbell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10 .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1000)는,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와, 슬라이딩 이동부(300)와, 연결바(400)와, 벤치(500)와, 브라켓(600)과 스프링 밸런스(700)를 포함한다.The bench assembly 1000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eference bar 100 , a second reference bar 200 , a sliding moving unit 300 , a connecting bar 400 , and a bench ( 500), and a bracket 600 and a spring balance 700.

제1기준바(1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연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제1기준바(100)는 벤치(5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다. 제2기준바(2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후방 프레임(20)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제2기준바(200)는 제1기준바(100)와 같이 벤치(5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이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기준바(200)는 제1기준바(100)와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first reference bar 10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are mounted on a pair of connecting frames 30 . The first reference bar 100 is a configuration for sliding left/right movement of the bench 500 and is configured to exten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rear frames 20 .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is configured for left/right sliding movement of the bench 500 like the first reference bar 100 , which also extend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 The ba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erence bar 10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에 장착되어,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성이다.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연결바(4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연결바(4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 단부에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연결되며, 따라서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함께 이동된다.The sliding movement unit 300 is provided as a pair and mounted on the first reference bar 100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respectively, and slides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100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configuration to be The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bar 400 . That is, the connecting bar 400 is exte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liding parts 3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and thus the pair of sliding parts 300 are moved together.

브라켓(600)은 연결바(400)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벤치(500)의 상부가 장착되는 구성이다.The bracket 60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connecting bar 400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bench 500 is mounted.

벤치(500)의 하부에는 바퀴 어셈블리(510)가 장착된다. 바퀴 어셈블리(510)는 벤치(500)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A wheel assembly 510 is mounted under the bench 500 . The wheel assembly 510 is configured to facilitate deployment of the bench 500 .

벤치(500)의 상부는 브라켓(6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정도에 따라 접혀지거나 전개된다. 구체적으로 벤치(500)가 접혀진 상태는 벤치(500)의 길이가 연결바(400)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이며, 벤치(500)가 회전하면서 전개된다. 전개되었을 때 벤치(500)와 연결바(400)의 각도는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개과정에서 벤치(500)의 하부에 장착된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bench 50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racket 600, and is folded or deploy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Specifically, in the folded state of the bench 500 , the length of the bench 50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necting bar 400 , and the bench 500 is rotated and deployed. When deployed, the angle of the bench 500 and the connecting bar 400 is preferably a right angle. At this time, it can be easily deployed by the wheel assembly 510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nch 500 in the deployment process.

여기서, 브라켓(600)의 높이는 바퀴 어셈블리(51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벤치(500)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벤치(500)의 상부와 하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해야 되는데, 벤치(500)의 상부는 브라켓(6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Here, the height of the bracket 60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heel assembly 510 . This means that when the bench 500 is fully deployed,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nch 500 from the ground should be the same, the upper portion of the bench 500 is supported by the bracket 600, and the lower portion is the wheel assembly ( 510).

한편,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치(500)의 미사용 시, 브라켓(600)의 위치는 연결바(400)의 최상단이며, 슬라이딩 이동부(3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벤치(500)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데,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좌우로 이동을 할 때 벤치(500)에 의해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벤치(500)의 하단이 지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from the groun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ch 500 . When the bench 500 is not in use, the position of the bracket 600 is the uppermost end of the connection bar 400 , and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bench 500 are made throug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liding moving unit 300 , the sliding mov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bench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friction does not occur by the bench 500 when the 300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from the ground is provid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ch 500 .

한편, 브라켓(600)과 벤치(500)에는 가스 스프링(520)이 장착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520)은 일단은 브라켓(600)에 연결되며 타단은 벤치(500)의 하면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전개된 벤치(500)를 접을 때 가스 스프링(520)에 의해 벤치(500)가 부딪히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gas spring 520 may be mounted on the bracket 600 and the bench 500 . One end of the gas spring 520 may be connected to the bracket 600 and the other end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ench 500 . When the deployed bench 500 is folded, noise generated when the bench 500 collides with the gas spring 520 can be reduced, and abrupt folding can be prevented.

벤치(5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될 때에는 벤치(500)가 제1기준바(10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끝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수납된다.When the bench 500 is stored in a folded state, the bench 500 moves to the left or right end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100 , and between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20 of the exercise equipment. It is placed and stored in the space of

벤치(500)를 사용할 때에는 벤치(500)를 인출하여야 하는데, 슬라이딩 이동부(300)의 이동에 의해 벤치(500)가 제1기준바(100)/제2기준바(20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을 한다.When the bench 500 is used, the bench 500 must be withdrawn, and the bench 500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oving unit 300 . do

이 때,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에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1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부(300)에는 위치 고정핀(800)이 장착된다. 위치 고정핀(800)은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다. 따라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복원력에 의해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벤치(500)의 위치가 고정된다.At this time, a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reference bar 100 or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at a point corresponding to hal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frames 10 . 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s mounted on the sliding moving unit 300 . The position fixing pin 800 has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position fixing pin 800 correspo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the position of the bench 500 is fixed by inserting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nto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by restoring force.

이 때, 제1관통홀(미도시)은 한 쌍의 전방 프레임(10)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에 대응되는 지점, 다시 말해, 벤치(500)의 정중앙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므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었다는 것은 결국 벤치(500)가 정중앙에 위치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치(500)의 정중앙으로의 위치설정 및 고정이 매우 용이하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hal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frames 10 , that is,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exact center of the bench 500 , the position fixing pin ( 8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not shown), which means that the bench 500 is positioned at the exact center.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position and fix the bench 500 to the center.

또한,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에는 제2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관통홀(미도시)은 벤치(500)가 수납된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기준바(100) 또는 제2기준바(200)의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형성된다. 벤치(50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다.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reference bar 100 or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a position in which the bench 500 is accommodated, and is form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or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 In the state in which the bench 500 is accommodated, the positioning pin 8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또한, 연결바(400)의 상부 소정지점에는 제3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브라켓(600)에는 고정핀(900)이 장착된다. 연결바(400)와 제3관통홀(미도시)은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핀(900)은 제3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제3관통홀(미도시)의 위치는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접혀진 상태)일 때 브라켓(600)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400 , and a fixing pin 900 is mounted on the bracket 600 . The connecting bar 400 and the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are configured to fix the bench 500 in an unused state. The fixing pin 900 has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not shown), and the position of the third through-hole (not shown) is a bracket ( It is preferable to correspond to the point where 600) is located.

스프링 밸런스(700)는 벤치(500)나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벤치(500)는 제1기준바(10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장착되며, 와이어 로프(710)가 권취된다. 와이어 로프(710)의 말단은 벤치(500)에 장착된다.The spring balance 70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ench 500 or sudden fall. The bench 500 is mounted on the sliding moving part 300 moving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100 , and the wire rope 710 is wound. The end of the wire rope 710 is mounted on a bench 500 .

벤치(500)가 미사용인 상태에서 제3관통홀(미도시)에 브라켓(600)의 고정핀(900)이 장착되어 벤치(500)가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키면, 브라켓(600)이 자중에 의해 연결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낙하하게되는데, 벤치(500)의 무게에 의해 급격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이는 벤치(500)를 포함한 장치 전체적으로의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bench 500 is not in use, the fixing pin 900 of the bracket 600 is mounted in the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so that the bench 500 is maintained in an erected state. When the user separates the fixing pin 900 from the third through-hole (not shown), the bracket 600 falls while sliding along the connection frame by its own weight, but at a rapid speed due to the weight of the bench 500 . can go down This may cause damage to the entire device including the bench 500 and injury to the user.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스프링 밸런스(700)가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710)가 벤치(5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켜도 와이어 로프(710)의 텐션에 의해 벤치(500)가 갑자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balance 700 is installed in the sliding part 300, the wire rope 710 is mounted on the bench 500, and the user inserts the fixing pin 900 into the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Even when separated from the city), the bench 500 is prevented from suddenly falling by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710 .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10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치(500) 미사용 시와 사용 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From now on, the operation of the bench assembly 1000 for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ench 500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when not in use and when in use.

1. 벤치 미사용 시1. When not using the bench

벤치 미사용 시 벤치(500)는 접혀진 상태이며 연결바(400)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되어 있다. 브라켓(600)의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된다.When the bench is not in use, the bench 500 is in a folded state and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necting bar 400 , and is arranged and accommodated between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20 of the exercise equipment. The position fixing pin 800 of the bracket 6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

2. 벤치 사용 시(수납 -> 인출)2. When using the bench (Storage -> Withdrawal)

사용자가 벤치(500)를 사용하려는 경우, 먼저 위치 고정핀(800)을 제2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한 뒤, 벤치(500)를 중앙부로 이동시킨다. 벤치(500)는 상부가 브라켓(600)에 장착된 상태이며, 브라켓(600)은 연결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고, 연결바(400)는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에 장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각각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벤치(500)를 중앙부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제1기준바(100)와 제2기준바(200)를 따라 정중앙부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bench 500 , first,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and then the bench 500 is moved to the central part. The bench 500 has an upper portion mounted on the bracket 600 , the bracket 60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30 , and the connection bar 400 is mounted on a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300 . and a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300 are mounted on the first reference bar 100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bench 500 is moved to the central portion, the sliding moving unit 300 moves to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100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200 .

제1기준바(100)의 지면으로부터의 위치는 벤치(500)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벤치(5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이동이 용이하다.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from the groun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ch 500, the bench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facilitate movement.

이 때,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외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pin 800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by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이동과정에서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복원력에 의해 위치 고정핀(800)이 제1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며 벤치(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는 벤치(500)가 운동기구의 정중앙에 위치되었음을 의미한다.When the position fixing pin 800 correspo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in the moving process,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by restoring force, and the position of the bench 500 is is fixed This means that the bench 50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xercise equipment.

이 후, 사용자는 고정핀(900)을 제3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한다. 고정핀(900)이 분리되면, 벤치(500)의 무게에 의해 브라켓(600)이 연결프레임을 따라 하강한다. 이 때 스프링 밸런스(700)와 와이어 로프(710)에 의해 벤치(500)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After that, the user separates the fixing pin 900 from the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When the fixing pin 900 is separated, the bracket 600 descends along the connection frame by the weight of the bench 500 . At this time, the bench 500 is prevented from rapidly descending by the spring balance 700 and the wire rope 710 .

벤치(500)가 하강하여 벤치(500) 하부의 바퀴 어셈블리(510)가 지면에 닿는다. 이 후 사용자가 벤치(500)를 누르면 벤치(500) 상부의 각도가 벌어지면서 벤치(500) 하부가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이동되어 전개된다.The bench 500 descends so that the wheel assembly 510 under the bench 5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fter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bench 500 , the angle of the upper part of the bench 500 is widened and the lower part of the bench 500 is moved and deployed by the wheel assembly 510 .

3. 벤치 미사용 시(인출 -> 수납)3. When the bench is not in use (withdrawal -> storage)

벤치(500)의 사용이 종료되면, 고정핀(900) 등을 파지하여 벤치(500)를 상승시킨다. 벤치(500) 상부의 각도가 좁혀지면서 벤치(500) 하부가 바퀴 어셈블리(510)에 의해 이동되어 접혀진다. 이 때, 가스 스프링(520)에 의해 벤치(500)가 급격하게 접히는 것이 방지되며 부드럽게 접히게 되고, 벤치(500)가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use of the bench 500 is finished, the bench 500 is raised by gripping the fixing pins 900 and the like. As the angle of the upper part of the bench 500 is narrowed, the lower part of the bench 500 is moved and folded by the wheel assembly 510 . At this time, the bench 500 is prevented from being folded abruptly by the gas spring 520 and folded smoothly, and the bench 500 is prevented from collided, so that no noise is generated.

벤치(500)가 접혀지면 벤치(500)를 들어올려 고정핀(900)이 제3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한다.When the bench 500 is folded, the bench 500 is lifted so that the fixing pin 900 is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not shown).

이 후, 위치 고정핀(800)을 제1관통홀(미도시)로부터 분리시킨 뒤 벤치(5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위치 고정핀(800)은 제1기준바(100)의 외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After that,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and then the bench 50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pin 800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by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ference bar (100).

벤치(500)가 좌측 또는 우측 끝쪽으로 이동되어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대응되면, 위치 고정핀(800)이 제2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며, 이 위치는 벤치(500)가 운동기구의 전방 프레임(10)과 후방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된 수납 상태가 된다.When the bench 50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end and the position fixing pin 800 corresponds to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the position fixing pin 8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to position is fixed, and this position is in a storage state in which the bench 50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20 of the exercise equipme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또는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벤치 어셈블리이며, 미사용 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 높이방향을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ench assembly used for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rack or Smith machine, can be accommodated through sliding movement left and right when not in use, and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that is deployed through sli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when in use provided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inology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ranges equivalent to or changed from these claims ar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ategory.

1000 :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10 : 전방 프레임 11 : 관통공
12 : 바벨 거치대 20 : 후방 프레임
30 : 연결 프레임
100 : 제1기준바 200 : 제2기준바
300 : 슬라이딩 이동부 400 : 연결바
500 : 벤치 510 : 바퀴 어셈블리
600 : 브라켓 700 : 스프링 밸런스
710 : 와이어 로프 800 : 위치 고정핀
900 : 고정핀
1000: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10: front frame 11: through hole
12: barbell holder 20: rear frame
30: connecting frame
100: first reference bar 200: second reference bar
300: sliding moving part 400: connecting bar
500: bench 510: wheel assembly
600: bracket 700: spring balance
710: wire rope 800: positioning pin
900: fixing pin

Claims (4)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바벨 거치대가 삽입 고정되거나, 바벨 거치대가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 또는 스미스 머신에 설치되는 벤치 어셈블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1기준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기준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기준바와 상기 제2기준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벤치;
상기 벤치의 상부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벤치의 각도가 조절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barbell holde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hrough-hole, or a pair of front frames in which the barbell holder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pair of rear frame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And, as a bench assembly installed in a rack or Smith machine including a pair of connecting frames for connecting each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o each other,
a first reference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a second reference ba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rear frames;
Sliding moving parts provided in a pair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and the second reference bar, respectively;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sliding moving parts to each other;
Bench;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a bracket o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bench is mounted and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connection bar, the angle of the bench being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바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벤치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a spring balance mounted on the sliding part moving along the first reference bar, the end of which is wound with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ben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프레임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제1기준바 또는 상기 제2기준바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위치고정핀이 장착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reference bar or the second reference bar corresponding to a half poi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ront frames,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in which a position fixing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is mounted on the slid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소정 지점에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고정핀이 장착되는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connecting bar,
A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in which a fixing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is mounted on the bracket.
KR1020200161254A 2020-11-26 2020-11-26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KR102470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en) 2020-11-26 2020-11-26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en) 2020-11-26 2020-11-26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08A true KR20220073308A (en) 2022-06-03
KR102470233B1 KR102470233B1 (en) 2022-11-22

Family

ID=8198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54A KR102470233B1 (en) 2020-11-26 2020-11-26 Bench assembly for exercis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3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601B1 (en) * 2000-11-17 2004-02-03 Jeffrey M. Knapp Compact weightlifting system with safety cage
JP2004520897A (en) * 2000-12-20 2004-07-15 マルコ エル. レシャック Space-efficient and versatile exercise equipment
KR101873869B1 (en) * 2017-07-31 2018-07-03 권창수 Barbell laying type-safety health equipment
US20180229072A1 (en) * 2017-02-10 2018-08-16 Rogers Athletic Company, Inc. Storable bench
KR20190013055A (en) 2017-07-31 2019-02-11 권창수 Complex health equipment comprising support apparatus for barbell exercise
US20190240525A1 (en) * 2016-11-15 2019-08-08 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KR102012192B1 (en) 2018-03-16 2019-10-21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KR102120008B1 (en) 2019-06-05 2020-06-16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601B1 (en) * 2000-11-17 2004-02-03 Jeffrey M. Knapp Compact weightlifting system with safety cage
JP2004520897A (en) * 2000-12-20 2004-07-15 マルコ エル. レシャック Space-efficient and versatile exercise equipment
US20190240525A1 (en) * 2016-11-15 2019-08-08 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US20180229072A1 (en) * 2017-02-10 2018-08-16 Rogers Athletic Company, Inc. Storable bench
KR101873869B1 (en) * 2017-07-31 2018-07-03 권창수 Barbell laying type-safety health equipment
KR20190013055A (en) 2017-07-31 2019-02-11 권창수 Complex health equipment comprising support apparatus for barbell exercise
KR102012192B1 (en) 2018-03-16 2019-10-21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KR102120008B1 (en) 2019-06-05 2020-06-16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233B1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412B2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structure
US20020091043A1 (en)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US6086520A (en) Weight lifting safety system employing constant force spring
US10806963B2 (en) Storable bench
US5372556A (en) Pull-up and dip exercise device
US5830113A (en) Foldable treadmill and bench apparatus and method
US5472397A (en) Retractable dumbbell support bench
US7226400B1 (en) Weight bench apparatus
US5554083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having an arm drilling device
US10953275B2 (en) Hip thrusting exercise machine
US5094449A (en) Exercise apparatus for abdominal exercises
JP2019534135A (en) High and 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US3735979A (en) Exercise device adaptable to permit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exercises
US6220993B1 (en) Leg press machine
US20030087736A1 (en) Exercise machine
US20090149302A1 (en) Folding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with exchangeable engines
US7004890B2 (en) Leg press weight training machine
EP1681079A1 (en) Training machine
US20040082443A1 (en) Resistive Exercise system
US20190329093A1 (en) Exercise device
US7553263B2 (en) Calf extension weight training machine
US8540610B2 (en) Exercise machine
US9039585B2 (en) Exercise machine
US6981934B1 (en) Machine for doing squats and other exercises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