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274A -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274A
KR20220069274A KR1020200156234A KR20200156234A KR20220069274A KR 20220069274 A KR20220069274 A KR 20220069274A KR 1020200156234 A KR1020200156234 A KR 1020200156234A KR 20200156234 A KR20200156234 A KR 20200156234A KR 20220069274 A KR20220069274 A KR 20220069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user
information
vagus ner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1072B1 (en
Inventor
송재준
김국한
정용호
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to KR102020015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72B1/en
Publication of KR2022006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tment system using the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including: a treatment unit which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and which includes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external ear;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reatment unit; an input unit which enables a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and a measurement unit which measures biological information on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adjusts a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based on th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eatment protocol is changed to configure or optimize a treatment protocol optimized for the user by not only reflec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with respect to a disease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measured while stimula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is applied, together with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but also measuring and reflect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scription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미주 신경을 자극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treating a dise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treating a disease by stimulating the vagus nerve.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10번째 뇌신경에 해당된다. 미주신경은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하고,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를 모두 포함한다.The vagus nerve is one of the cranial nerves and corresponds to the 10th cranial nerve. The vagus nerve originates from the brain and is distributed over the face, chest, and abdomen. It is a mixed nerve containing parasympathetic fibers and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parasympathetic nerves acting on the heart, lungs, and digestive tract. It has the longest and most complex structure among the 12 pairs of cranial nerves, and includes both sensory nerve fibers and motor nerve fibers.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목에 위치하는 경부가지를 자극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미주신경의 경부가지 전기자극술은 피부에 직접 절개를 가하고 미주신경 경부가지를 노출하여 그 외부에 전기소체인 코일을 감고 마이크로칩을 장착하는 시술을 수행하여 일반인에 의한 자가 치료의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It is known that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for epilepsy treatment and depression treatment has been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d they are targeted to stimulate the cervical region located in the neck. However, in thi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ervical branch of the vagus nerve, an incision is made directly on the skin, the cervical branch of the vagus nerve is exposed, and a coil, which is an electrical body, is wound on the outside, and a microchip is installed. can't

한편, 동양의학에서는 귀에 대한 침술을 통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귀는 미주신경의 이개가지가 분포하는 곳으로서 미주신경에 대한 자극을 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iental medicine, a method of treating diseases through acupuncture on the ear is applied, and the ear is a place where the auricle of the vagus nerve is distributed, and it can be seen that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is used for treatment.

이에 귀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자극에 대한 개인의 민감도 차이 및 치료 효과에 차이가 있어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although a device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the vagus nerve distributed in the ear has been developed, it is not widely used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sensitivity to stimulation and differences in treatment effec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654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59654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830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9-008830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치료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eatment system capable of applying an individually optimized treatment protocol to a us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전기자극 발생을 위한 전기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tment unit including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a left ear and a right ear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reatment unit;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and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the user input by the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is adjusted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뇌파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뇌파에 대한 FFT 분석을 수행하며, 알파파, 델타파, 베타파, 감마파, 세타파 등으로 구성된 뇌파의 구성비율을 비교한 뇌파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 패턴 등의 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user's EEG, and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measured EEG. The control unit performs FFT analysis on the EEG, and quantifies the intensity, pattern, etc.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EEG compared to the composition ratio of EEG composed of alpha waves, delta waves, beta waves, gamma waves, theta waves, etc. can be adjusted.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심박수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심박변이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기자극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may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heart rat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by compar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with a reference value.

상기 사용자 정보는 질환에 관련된 질환정보와 이외의 정보인 일반정보를 포함하고, 질환정보는 전기자극이 가해진 상태에서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하여 입력된 제1질환정보와 이외의 질환관련 정보인 제2질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질환정보를 기준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할 수 있다. 치료 과정은 복수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이전 세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1질환정보를 기준으로 다음 세션의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disease-related disease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other than the disease information, and the disease information is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input about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in a state in which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and the first disease-related information other than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2 diseas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adjust a treatment protocol based on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The treatment process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ssions, and the treatment protocol of the next session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previous session.

상기 치료부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향 장치에 대한 음향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향이 가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준으로 난청 패턴 및 난청 주파수를 도출하고 난청치료를 위한 음향의 감쇄주파수와 밴드패스필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treatment unit further includes a sound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the controller transmits a sound signal to the sound device, and the controller derives a hearing loss pattern and a hearing loss frequency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while sound is applied.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ttenuation frequency of the sound and the width of the bandpass filter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환경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환경측정부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를 스트레스 지수로 환산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환경측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treatment protocol by convert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into a stress index. The environment measur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wearable device.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치료부에 설치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be installed in a treatment unit worn on the user's ear or installed in a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진단을 위한 자극을 부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수집 단계;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결정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치료 프로그램 설계 단계; 및 설계된 치료 프로그램을 전극에 인가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치료 단계를 포함한다. The operating method of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agnosis to the user's body through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and generates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an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n which the user inputs user information on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in a state in which stimulation is given, and measu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 treatment program design step in which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a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a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he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 and a treatment step of stimulating the vagus nerve by applying the designed treatment program to the electr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전기자극 발생을 위한 전기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tment unit including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a left ear and a right ear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reatment unit;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a server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erver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he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is adjus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

상기 서버는 AI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 및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할 수 있다.The server can adjus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eatment protocol through an AI-based algorithm.

상기 서버는 진단을 위한 진단용 자극 프로토콜과 치료용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a diagnostic stimulation protocol and a therapeutic stimulation protocol for diagnosis.

상기 서버는 진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와 치료를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image and sound content for diagnosis and image and sound content for treatment.

상기 서버는 훈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rovide video and sound content for training.

상기 서버는 전문가 진료 단말기에 연결되며, 진료 단말기를 통해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 및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할 수 있고, 진료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질병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server is connected to an expert medical treatment terminal, and can adjust the intensity, pattern, and treatment protocol of electrical stimulation through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and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can displa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disease-related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반적인 개인 정보와 질환에 대한 일반적 정보와 함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자극을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질환에 대하여 입력한 정보 및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반영할 뿐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거나 최적화되도록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gether with the user's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collect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bout the disease and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stimula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is applied. In addition to reflecting, by measuring and ref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treatment protocol optimized for the user can be configured or the treatment protocol can be changed to be opt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이 동작하는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에서 치료 프로토콜이 변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이 외부의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reatment protocol is changed in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server.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clearer descrip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o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o.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치료부(10), 제어부(20), 입력부(30), 측정부(40) 및 환경측정부(50)를 포함한다.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treatment unit 10 , a control unit 20 , an input unit 30 , a measurement unit 40 , and an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50 .

치료부(10)는 사용자에게 치료를 위한 자극을 부여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treatment unit 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stimulation for treatment to the user.

본 발명은 귀의 미주 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치료부(10)는 귀에 착용되며, 왼쪽 귀 또는 오른쪽 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며, 양쪽 귀에 착용될 수도 있다. 귀에 착용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양쪽 귀에 모두 착용되는 경우에는 양쪽 귀에 동일한 전기 자극을 가할 수도 있지만,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각기 다른 전기 자극을 가할 수도 있다. 전기 자극은 강도와 주파수 및 패턴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가해지는 전기 자극의 강도나 주파수 또는 패턴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이 사용자에 맞추어 전기 자극을 조절하여 자극하기 때문이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vagus nerve of the ear, the treatment unit 10 is worn on the ear,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or the right ear, and may be worn on both ears. A method of being worn on the ea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When worn on both ears, the same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applied to both ears, but different electrical stimulations may be applied to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The strength, frequenc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changed, and the strength, frequency or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ears can be given differently, which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stimulates by adjust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user. to be.

귀의 미주 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하며, 전극은 외이도와 귓바퀴를 포함하는 외이에 접촉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또한, 전기 자극을 위한 전극 이외에 치료를 위한 다른 자극을 부여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음향 자극을 부여하는 음향 장치를 함께 구비할 수 있으며, 음향 자극 장치는 이명 치료 등과 같이 소리 치료를 위한 음원을 재생할 수도 있고 전기 자극 치료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음악이나 자연 소리 등의 음원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양쪽 귀에 모두 착용되는 경우에는 양쪽 귀에 동일한 소리 및 전기 자극을 가할 수도 있지만,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각기 다른 자극을 가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자극의 정량(dose)을 달리 하여 자극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맞추어 자극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귀에 대하여 측정된 결과를 기준으로 각각에 적합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An electrode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vagus nerve of the ear is included, and one or more electrodes are installed to contact the external ear including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the pinna. In addition, a device for applying other stimulation for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electrode for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example, an acoustic device for providing acoustic stimulation to the user may be provided together, and the acoustic stimulation device may reproduce a sound source for sound therapy such as tinnitus treatment, and music for stabilizing the mind and body of the user dur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process It is also possible to play sound sources such as natural sounds. Furthermore, when worn on both ears, the same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applied to both ears, but different stimulations may be applied to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At this time, stimulation is possible by varying the dose of each stimula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reatment suitable for each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for the left and right ears.

제어부(20)는 치료부의 전극에 전기자극 발생을 위한 전기자극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control unit 20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electrodes of the treatment unit.

본 발명은 전극을 통해서 귀의 미주 신경에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전기자극을 부여하며, 전기자극신호는 자극의 강도와 자극이 가해지는 패턴 등을 반영하여 구성되고, 제어부(20)는 전기자극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치료부(10)에 전달하여 전극에서 전기자극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지 전기자극신호를 치료부의 전극으로 전달하고, 전기자극신호의 전체적인 강도를 변경하는 것만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제어부(20)가 전기자극신호의 부분적인 강도와 신호의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의 변경도 가능하다. 전기자극신호 또는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에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lectrical stimulation for treatment or diagnosis to the vagus nerve of the ear through electrodes,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is configured by reflecting the intensity of stimulation and the pattern in which the stimulation is applied, and the control unit 20 responds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is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treatment unit 10 so that electrical st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In this case, in general,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ctrodes of the treatment unit, and it is only possible to chang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partial strengt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ttern of the signal,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Specific details of controll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r treatment protocol will be described later.

치료부(10)가 전기자극을 위한 전극 이외에 치료를 위한 다른 자극을 부여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장치에 따른 자극신호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장치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소리 치료를 위한 음원에 대한 소리자극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전달할 수 있고 전기자극 치료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음악이나 자연 소리 등의 소리자극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이명 치료를 위한 소리 자극이 가해지는 주파수 등의 조절이 가능하고, 난청치료를 위한 음향의 감쇄주파수와 밴드패스필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treatment unit 10 additionally includes a device for providing other stimulation for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electrode for electrical stimulation, the controller 20 transmits a stim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providing an acoustic device together, the control unit 20 can store and deliver information on a sound stimulation signal for a sound source for sound therapy, and music or natural sound for stabilizing the mind and body of the user dur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store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timulus signal, such a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at which a sound stimulus is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ttenuation frequency and the width of the bandpass filter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제어부(20)는 치료부(10)와 동일한 장치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지만, 치료부(10)가 설치된 치료장치와 분리된 외부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는 치료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외부장치는 치료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용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마트 기기에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0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evice as the treatment unit 10 , or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treatment unit 10 is installed.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reatmen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o send and receive signals or data, and the external device may consist of a dedicated device in which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the treatment system is installed, or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on a smart device. may be

입력부(3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The input unit 30 is a component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information.

입력부(30)를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정보는 우선 질환에 관련된 질환정보와 이외의 정보인 일반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정보는 사용자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나이, 성별, 체중, 질환력, 약물사용 이력 및 라이프로그 등을 포함하며, 치료 대상이 되는 질환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정보이지만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는 정보들이다. 질환정보는 치료 대상이 되는 질환과 직접 관련이 있는 정보들로서, 미주 신경에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전기자극이 가해진 상태에서 증상의 강도와 빈도 또는 병증의 변화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1질환정보와 질환의 일반적인 강도와 빈도 및 병증에 대한 제2질환정보로 구분된다. 제2질환정보는 치료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및 진단을 위한 자극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며, 제1질환정보는 사용자 각각에 적합한 맞춤식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제1질환정보는 전극 이외에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자극을 부가하면서 측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난청 진단을 위한 소리 자극을 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난청 패턴 및 난청 주파수를 도출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이를 기초로 하여 난청치료를 위한 감쇄주파수와 밴드패스필터의 폭이 조절된 음향 자극을 구성할 수 있고, 난청 치료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정보를 반영하여 난청 치료를 위한 음향 자극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치료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원을 선택 또는 구성할 수도 있다.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0 may be first divided into disease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and general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Gener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unique to the user, and includes age, gender, weight, disease history, drug use history, and life log. Information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process. The disea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and disease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or changes in the condition whil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reatment or diagnosis is applied to the vagus nerve. It is divided into the second disease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 intensity and frequency and pathology of The second disease information serves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 stimulus for a basic configuration and diagnosis of a treatment protocol, and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is used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 customized treatment protocol suitable for each user.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may be measured while adding stimulation for treatment or diagnosis in addition to the electrode. For example, a hearing loss pattern and a hearing loss frequency may be derived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in a situation in which a sound stimulus is applied for diagnosis of hearing loss, and the control unit 20 based on this, the attenuation frequency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and the width of the bandpass filter can be adjusted to configure the acoustic stimulu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coustic stimulus for the hearing loss treatment can be changed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during the hearing loss treatment proces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or configure a sound sourc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process.

입력부(30)는 제어부(20)와 마찬가지로 치료부(10)와 동일한 장치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지만, 치료부(10)가 설치된 치료장치와 분리된 외부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외부장치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제어부(20)와 같은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어부(2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Like the control unit 20 , the input unit 30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evice as the treatment unit 10 , or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separate from the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treatment unit 10 is installed. Furthermore, even when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t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evice as the control unit 20 or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device from the control unit 20 .

측정부(4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measurement unit 40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생체정보는 뇌파, 심박, 혈압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가 반영되어 그 수치에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진단 또는 지료를 위한 전기 자극 또는 음향 자극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뇌파, 심박, 혈압 등의 변화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미세한 신체 및 심리 상태의 변화를 반영한다.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brain waves, heartbeat, blood pressure, and the like, and changes occur in the values of the us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In particular, changes in brain waves, heartbeat, blood pressure, etc. in a situation in which electrical stimulation or acoustic stimula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is applied reflects minute change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tha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본 발명은 진단을 위한 자극 또는 치료를 위한 자극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제1질환정보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직접 취득하여 반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신체 변화까지 반영한 완벽한 개인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자극이 반복되는 치료 과정에서 신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lete system that reflects not only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stimula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is applied, but also directly acquires and reflect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o reflect changes in the body that the user is not aware of. A personalized treatment protocol can be applied. In addition, by detecting and immediately reflecting changes in the body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n which stimulation is repeated, treatment can proce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ut any strain on the body.

측정부(40)가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하면, 제어부(20)는 뇌파에 대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수행하고, 뇌파 중에서 알파파의 구성비를 도출하여 알파파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알파파는 약 8~13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뇌파로서, 눈을 감고 이완된 상태, 수동적, 그리고 집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 나타난다. 알파파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불안 또는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에 맞추어 전기 자극 및/또는 재생되는 음악이나 음향의 강도, 패턴 등의 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알파파 이외에 면역체계와 관련이 있는 델타파(1~3Hz), 우울 장애와 관련이 되는 세타파(3.5~8Hz), 집중력과 관련이 있는 베타파(12~33Hz), 인지처리와 관계가 높은 감마파(25~100Hz)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전기 자극 강도와 패턴 또는 음악을 줄 수 있다. 특히,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 등의 구성비를 비교한 각 뇌파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전기자극 및 음악의 강도, 패턴 등의 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unit 40 measures the user's EEG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 the control unit 20 performs FFT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 on the EEG, and derives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lpha wave among the EEG You can check the amount of change. Alpha waves are brain waves with a frequency range of about 8 to 13 Hz, and appear when the eyes are closed, relaxed, passive, and not concentrating. A decrease in the ratio of alpha waves means an increase in anxiety or stress, and accordingly, a quantity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reproduced music or sound may be adjusted. Furthermore, besides alpha waves, delta waves (1~3Hz) related to the immune system, theta waves (3.5~8Hz) related to depressive disorder, beta waves (12~33Hz) related to concentration, and cognitive processing Considering a high gamma wave (25 to 100 Hz), etc., an appropriate 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and pattern or music can be give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quantity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 intensity of music, patterns, etc.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each EEG compared to the composition ratio of delta waves, theta waves, alpha waves, beta waves, gamma waves, and the like.

측정부(40)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하면, 제어부(20)는 일반 상태에서의 심박수와 비교 및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심박변이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에 맞추어 전기 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변경한다. When the measurement unit 40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 , the control unit 20 may compare the heart rate with the normal state and detect a change amount. The controller 20 compar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with a reference value, and change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ly.

측정부(40)는 이외에도 사용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devices and forms to measure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that can reflect the us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측정부(40)는 제어부(20) 및 입력부(30)와 마찬가지로 치료부(10)와 동일한 장치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며, 귀에 착용되는 장치를 통해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치료부(10)가 설치된 치료장치와 분리된 외부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특히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제작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측정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고, 다수의 측정기기는 하나의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복수의 장치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Like the control unit 20 and the input unit 30 , the measurement unit 40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evice as the treatment unit 10 , and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n ear-worn device. In addition, the treatment unit 10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separated from the installed treatment device,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worn on various parts of the body, or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to measur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20)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asuring unit 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may be installed in one device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n a plurality of different devices.

환경측정부(50)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50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주변 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빛밝기 및 위치 등의 정보이다. 이러한 주변 환경정보는 질환의 증상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병원 등과 같이 치료 환경이 제어된 곳과는 달리, 본 발명의 치료 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소는 주변 환영이 제어되지 않아서 이러한 주변 환경의 영향이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변화는 치료부(10)에서 가해진 자극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주변환경에 따른 영향이 반영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함께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noise, light brightness and location. Such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affect the manifestation of symptoms of the disease or ma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Unlike a place where the treatment environment is controlled, such as a hospital, in a place to which the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urrounding illusion is not controlled,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ffects the treatment effect.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40 may be due to the stimulus applied by the treatment unit 10 or may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it is better to reflect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gether. desirable.

본 발명은 환경측정부(50)에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하고, 제어부(20)는 주변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지수로 환산하여 수치화하고, 스트레스 지수를 치료 프로토콜에 반영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unit 50 measures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synthesi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verts it into a stress index for the user and digitizes it, the stress index can be reflected in the treatment protocol to further enhance the treatment effect.

환경측정부(50)는 측정부(40)와 마찬가지로 치료부(10)와 동일한 장치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며, 귀에 착용되는 장치를 통해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외에, 치료부(10)가 설치된 치료장치와 분리된 외부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특히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제작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환경측정부(50)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측정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고, 다수의 측정기기는 하나의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복수의 장치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The environment measuring unit 50 may be included in the same device as the treatment unit 10 like the measuring unit 40 , and may measure information through a device worn on the ear. In addition, the treatment unit 10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separated from the installed treatment device,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that is worn on various parts of the human body, or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to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can The environment measuring unit 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may be installed in one device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n a plurality of different devices.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이 동작하는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치료 시스템의 사용 초기에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경우이고, 도 3은 치료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맞추어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해가는 모습을 나타낸다.FIG. 2 is a case in which a treatment protocol is configured at the initial stage of use of the treatment system,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eatment protoco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reatment system.

본 실시예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고유 정보는 사용 시마다 입력할 수도 있지만, 개인 계정을 생성하고 개인 계정 별로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여 별도의 입력 없이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고유정보는 나이, 성별, 체중, 질환력, 약물사용 이력 및 라이프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치료 대상이 되는 질환과 직접 관련이 적은 정보인 일반정보이지만, 사용 초기에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반영된다. 예를 들면, 나이와 성별 및 체중을 기준으로 복수의 진단용 자극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치료 강도, 치료 시간, 치료 시퀀스의 구성, 세션의 반복 횟수 등과 같은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이와 성별 및 체중 등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고유 정보는 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맞춤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때에도 반영된다.In the process of using the treatment system using the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is input. Although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can be input every time it is used, it is preferable to create a personal account and store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account to use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input. User's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age, gender, weight, disease history, drug use history and life log, etc. It is general information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disease to be treated, but configures the treatment protocol at the beginning of use. reflected in the process. For example, one may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agnostic stimuli based on age, gender, and weight, and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 treatment protocol such as treatment intensity, treatment time, composition of a treatment sequence, number of repetitions of a session, etc. Age, gender, and weight can be reflected. In addition,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is also reflected when changing the treatment protocol to the user's customization in the course of treatment.

사용자의 고유정보는 치료 대상 질환에 대한 사용자의 일반적인 강도와 빈도 및 병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질환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기본적인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거나 진단을 위한 자극을 구성 또는 선택할 수 있다.The user's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general intensity and frequenc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and the cond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input by the user, a basic treatment protocol may be configured or a stimulus for diagnosis may be configured or selected.

본 실시예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진단을 위한 자극을 사용자에게 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태 정보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반영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한다. 진단을 위한 자극은 치료를 위한 자극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치료의 목적이 아닌 질환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진단을 위한 자극은 치료 대상 질환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난청이나 이명 등과 같은 질환의 경우에는 전기 자극 뿐만이 아니라 음향에 의한 소리 자극을 함께 또는 단독으로 부가하면서 입력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통해서, 난청의 패턴이나 난청 주파수를 더욱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고, 이명이 발생되는 음역대 등을 도출할 수도 있다.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a treatment protocol by ref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timulation for diagnosis to the user. The stimulation for diagnosis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stimulation for treatment, but may be specially configured to accurately diagnose the condition of a disease, which is not the purpose of treatment. Stimulation for diagnosi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isease to be treated, and in the case of diseases such as hearing loss or tinnitus, input user's state information and measurement while adding sound stimulation by sound as well as electrical stimulation together or alone Through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pattern of hearing loss or the frequency of hearing loss can be more accurately derived, and the sound range in which tinnitus occurs can also be derived.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태 정보는 증상의 강도와 빈도 및 병증 등일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한 자극이 미주 신경에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직접 측정하고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질환 상태에 대한 더욱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이를 반영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에는 치료 프로토콜에 의한 자극이 미주 신경에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현재의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하거나 차후에 진행될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최초의 치료 프로토콜을 고정하지 않고 치료의 진행에 따라서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최적의 치료가 수행되도록 하며, 치료 프로토콜 변경을 위하여 매번 새롭게 질환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지 않고 치료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치료 프로토콜을 사용자에게 최적화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한 자극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 입력은 최초의 1회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될 때마다 수행함으로써 치료의 진행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The stat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the intensity, frequency, and pathology of symptoms, and the user directly measures and inputs the specific state of the disease in real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vagus nerve is stimulated for diagnosis. Accordingly, a more accurate diagnosis of the user's disease state is possible, and a treatment protocol can be configured by reflecting this. Thereafte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his or her condition in real time while the stimulation by the treatment protocol is applied to the vagus nerve, and reflect this to change the current treatment protocol or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It does not fix the initial treatment protocol, but changes the treatment protocol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reatment so that the optimal treatment is performed. The treatment protocol can be optimized for the user. Stimulation for diagnosis and input of the user's status accordingly may not be performed only once for the first time, but may be performed every time a user's selec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learly grasp the progress of treatment.

사용자에게 자극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환에 대한 정보는, 앞서 살펴본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강도와 빈도 및 병증에 대한 정보와는 차이가 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자극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1질환정보로 구분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제2질환정보로 구분하며, 제1질환정보와 제2질환정보를 모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거나 최적화되도록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disease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user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intensity and frequency of the disease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diseases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user is divided into first disease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diseases input by the user is divided into second disease information, ,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treatment protocol optimized for the user by applying both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ease information, or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to be optimized.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뇌파, 심박, 혈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가 반영된다. 진단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반영되지 못한 신체 및 심리의 변화를 반영하여 더욱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으며, 치료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반영되지 못한 신체 및 심리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치료 프로토콜구성하거나 최적화되도록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생체 정보로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뇌파에 대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수행하고, 뇌파 중에서 알파파의 구성비를 도출하여 알파파 변화량을 확인하여 전기 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생체 정보로서 심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심박수의 변화량 측정하거나 기준 값과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맞추어 전기 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변경한다.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brain waves, heartbeat, blood pressure, etc., and the use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is reflected. In the diagnosis stage,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by reflecting changes in the body and mind that are not reflected in the user stat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in the treatment stage, changes in the body and psychology that are not reflected in the user stat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re detected By reflecting this, you can configure a treatment protocol optimized for the user or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to be optimized. When measuring the user's EEG as user biometric information, FFT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 is performed on EEG, and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changed by deriv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lpha wave from the EEG and check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lpha wave. have. When measuring the heart rate as user biometric information, the change amount of the heart rate may be measured or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may be performed, and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ly.

본 실시예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한다. 주변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소음, 빛밝기 및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주면 환경에 의한 영향을 진단과 치료에 반영함으로써 진단 및 치료 환경에 제어된 병원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도 정확한 진단과 최적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를 진단과 치료에 반영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주변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에 대한 스트레스 지수로 환산하여 수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reatment system using the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measu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noise, light brightness and location.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main environment in diagnosis and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accurate diagnosis and optimized treatment even at home, not in a hospital controlled by the diagnosis and treatment environment. As a specific method of refl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diagnosis and treatment,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information by synthes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to a stress index for the user.

이러한 과정을 단계로 구분하면,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진단을 위한 자극을 부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수집 단계와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결정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치료 프로그램 설계 단계 및 설계된 치료 프로그램을 전극에 인가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치료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If this process is divided into stages, the user inputs user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and measu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s body is stimulated for diagnosis through an electrode that generates electrical stimulation. Determine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nd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he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the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It can be divided into a treatment program design step and a treatment step in which the vagus nerve is stimulated by applying the designed treatment program to the electrod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반적인 개인 정보와 질환에 대한 일반적 정보와 함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자극을 가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질환에 대하여 입력한 정보 및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반영할 뿐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거나 최적화되도록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미주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 자극 이외에 다른 자극이 추가된 경우, 치료 프로토콜은 복수의 자극이 결합된 복합 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하며, 치료 프로토콜의 구성과 변경은 미주 신경에 대한 전기 자극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음향에 의한 소리 자극이 추가된 경우, 미주 신경에 대한 전기 자극을 중심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 및 변경하고, 소리 자극은 부수적인 구성으로서 전기 자극의 구성 및 변경에 맞추어 적용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not only the user's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but als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bout the disease and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stimula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is applied. Instead, by measuring and refl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treatment protocol optimized for the user or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to be optimized. When other stimuli are added in addition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for stimulating the vagus nerve, the treatment protocol applies a complex stimulus in which a plurality of stimuli are combined to the user, and the configuration and change of the treatment protocol is centered 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do. For example, when sound stimulation by sound is added, a treatment protocol is configured and changed centering on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and sound stimulation is applied as a secondary compon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change of electrical stimulatio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진단과 치료 프로토콜의 구성 및 변경은, 왼쪽 귀와 오른쪽 귀 각각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쪽 귀에만 치료기를 착용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치료기가 양쪽 귀에 동시에 착용되는 경우에도 양쪽 귀 각각에 대하여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nd change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tocol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may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Diagnosis and treatment can be performed on each ear not only when the treatment device is worn on only one ear, but also when the treatment device is worn on both ear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 치료 프로토콜은 전기 자극에 대한 전압, 주파수, 듀티비(duty rate)와 듀티사이클(duty cycle)을 포함하며, 복수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치료 프로토콜의 변경은 상기한 전기 자극의 요소들을 각각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세션의 길을 늘이거나 줄이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 프로토콜의 변경은 치료 프로토콜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통해서 다음에 수행될 치료 프로토콜을 전부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세션으로 구성된 치료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전 세션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반영하여 이후의 세션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es voltage, frequency, duty rate and duty cycle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ssions. The modification of the treatment protocol may be performed by raising or lowering each of the elements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scribed above, or by lengthen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session. In addition, as for the change of the treatment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all of the treatment protocol to be performed next through information obtai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treatment protocol, an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treatment protoco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ssions, the previous session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a subsequent session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i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에서 치료 프로토콜이 변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reatment protocol is changed in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미주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 자극을 소정의 강도의 패턴으로 반복 부여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도 4의 위쪽에 표시된 치료 프로토콜로 치료를 수행하는 동안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다음에 수행되는 치료 프로토콜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낮춘 아래의 치료 프로토콜로 치료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has a treatment protocol in which electrical stimulation for stimulating the vagus nerve is repeatedly applied in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The treatment system using the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is embodiment reflects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treatment with the treatment protocol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Overall lowering the intensity of the treatment protocol The treatment protocol can be changed with the treatment protocol below.

또한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로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치료 프로토콜의 즉각적인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패턴의 자극을 반복하도록 복수의 세션으로 구성된 치료 프로토콜에서 첫 번째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이후에 수행되는 세션의 자극 강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첫 번째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이후에 수행되는 세션의 길이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user's input information,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uring treatment with the set treatment protocol, the treatment protocol may be changed immediately. 5, by reflecting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the first session in a treatment protoco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ssions to repeat stimulation of a certain pattern ,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timulation intensity of the session performed later. And, as shown in FIG. 6 , by reflecting the user's input information input during the first session, the measu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length of the subsequent session may be reduced.

본 발명의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에서 치료 프로토콜이 변경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극의 길이와 강도가 동시에 변화되거나 패턴 자체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전기 자극 이외의 자극이 함께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m in which the treatment protocol is changed in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gth and intensity of stimulation may be simultaneously changed or the pattern itself may be changed, and when stimulation other than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gether could be changed in many more way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이 외부의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server.

도 1에 도시된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은 외부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는 치료장치부(100)와 제1서버(200) 및 제2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의 치료 시스템의 전부 또는 치료장치부(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치료장치부(100)와 제1서버(200) 및 제2서버(300)에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료장치부(100)는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 및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 및 변경하는 과정은 제1서버(200) 또는 제2서버(300)에서 수행되고 치료장치부(100)의 제어부는 단순히 구성 및 변경된 치료 프로토콜을 수신하여 적용하기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 및 변경하는 과정이 제1서버(200) 또는 제2서버(300)에서만 수행되는 경우, 치료장치부(100)에 포함된 제어부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정보나 생체 정보 측정 결과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치료장치부(100)에 포함된 제어부가 일반적인 수준의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 및 변경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제1서버(200) 또는 제2서버(300)에서는 더 복잡한 수준에서 치료 프로토콜의 구성 및 변경을 수행하도록 기능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shown in FIG. 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and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treatment device unit 100 , a first server 200 , and a second server 300 . In this case, it may be included in all or the treatment device unit 100 of the treatment system of FIG. 1 , and all or part of the control unit 20 includes the treatment device unit 100 , the first server 200 , and the second server 300 . may be functionally isolated from For example, the treatment device unit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figuring and changing the treatment protocol, and the process of configuring and changing the treatment protocol is performed in the first server 200 or the second server 300 , The control unit of the treatment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simply receive and apply the configured and changed treatment protocol. Whe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nd changing the treatment protocol is performed only in the first server 200 or the second server 30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treatment device unit 100 is simplified, but user input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flect the measurement result of biometric informa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treat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to configure and change the treatment protocol at a general level, but the first server 200 or the second server 300 configures and changes the treatment protocol at a more complex level. It is desirable to decentralize functions to make changes.

본 실시예의 치료장치부(100)는 미주 신경을 자극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치료기기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기기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환경측정기를 포함한다. 치료기기, 입력기기, 측정기, 환경측정기는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된 장치에 분산될 수도 있다. 특히 측정기와 환경측정기는 인체에 작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reatmen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treatment device including an electrode for stimulating the vagus nerve and an input device for a user to input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 for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 meter. The treatment device, input device, measuring device, and environment measuring device may be included in one device, or some or all of them may be distributed in separate devices. In particular, the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environmental measuring instrument may be configured as a wearable device acting on the human body 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서버(200)와 제2서버(300)가 분리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1서버(200) 또는 제2서버(300) 중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고, 제1서버(200)와 제2서버(300)의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rver 200 and the second server 300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only one of the first server 200 or the second server 300 may be provided, and the first server ( 200) and a single server in which the functions of the second server 300 are integrated.

본 실시예의 제1서버(200)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기기 제작자가 관리하는 서버이고, 제2서버(300)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치료받는 병원에서 관리하는 서버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rver 200 is a server managed by a manufacturer of a treatment device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nd the second server 300 is a server managed by a hospital where a user using a treatment device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is treated. to be.

제1서버(200)는 AI를 기반으로 한 진단 및 치료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사용과정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프로토콜의 구성 및 변경을 수행한다. 다만, 의사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범위에 대해서는 수행할 수 없으며, 법에서 허용되는 범위에서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축적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구독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콘텐츠로는 진단용 자극 프로토콜, 치료용 자극 프로토콜, 훈련 프로그램 음원 및 동영상 등이 있다. 또한 진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와 치료를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훈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여 여러 사용자들이 의견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서버(200)는 사용자가 개인 정보를 반복하여 입력하지 않도록 로그 데이터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rver 200 includes an AI-based diagnosis and treatment algorithm, and configures and changes a diagnosis and treatment protocol for a disease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measured in the course of use. However, it cannot be performed in the range that should be performed by a doctor, 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reatment can be provided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law. New content can be provided to users by reflecting data accumula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for this purpose, a subscription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nd content to users on a regular basis can be applied. Provided contents include diagnostic stimulation protocols, therapeutic stimulation protocols, and training program sound sources and videos. In addition, it can provide video and sound content for diagnosis and video and sound content for treatment, and can provide video and sound content for training, and provides a community function so that multiple users can share their opinions and experiences. It is desirable to ha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rver 200 encrypts and stores log data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repeated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제2서버(300)는 전문가인 의사의 진료 단말기에 연결되어, 의사의 판단이 필요한 범위에서 의사의 진단과 치료 프로토콜 변경 등이 수행되도록 구성한다. 진료 단말기에는 병원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뿐만이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및 질환 관련 정보를 표시하여, 의사가 정확한 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병원은 치료기기 제작자에게 장치를 공급받아서 환자인 사용자에게 판매하고 이를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관리 및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임상정보를 축적하여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of a doctor who is an expert,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o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protocol change are performed within a range that requires the doctor's judgment. The medical terminal displays not only the user's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hospital, but also the user's biometric and disease-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so that the doctor can make an accurate prescription. Hospitals receive a device from a treatment device manufacturer, sell it to a patient, a user, and manage it, thereby increasing patient management and treatment efficiency, and accumulating various clinical information and applying it to research.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fiel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치료부 20: 제어부
30: 입력부 40: 측정부
50: 환경측정부
100: 치료장치부 200: 제1서버
300: 제2서버
10: treatment unit 20: control unit
30: input unit 40: measurement unit
50: Ministry of Environmental Measurement
100: treatment device unit 200: first server
300: second server

Claims (20)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전기자극 발생을 위한 전기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a treatment unit including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reatment unit;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and
Includes a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a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뇌파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user's EEG,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measured EE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뇌파에 대한 FFT 분석을 수행하며, 뇌파의 구성비율을 비교한 뇌파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performs FFT analysis on the EEG, and controls the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EG change compared to the composition ratio of EEG.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심박수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heart ra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심박변이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기자극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heart rate variability with a reference value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질환에 관련된 질환정보와 이외의 정보인 일반정보를 포함하고,
질환정보는 전기자극이 가해진 상태에서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하여 입력된 제1질환정보와 이외의 질환관련 정보인 제2질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질환정보를 기준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disease-related disease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other than information,
The disease information includes first disease information input about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in a state in which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and second disease information, which is other disease-relat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treatment protocol based on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치료 과정은 복수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이전 세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1질환정보를 기준으로 다음 세션의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함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eatment process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ssions, and the treatment protocol of the next session is adjusted based on the first diseas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previous session.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향 장치에 대한 음향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향이 가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준으로 난청 패턴 및 난청 주파수를 도출하고 난청치료를 위한 음향의 감쇄주파수와 밴드패스필터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tment unit further includes an acoustic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ound signal to the acoustic device,
The control unit derives a hearing loss pattern and a hearing loss frequency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sound is applied, and adjusts the attenuation frequency of the sound and the width of the bandpass filter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treatme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환경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환경측정부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를 스트레스 지수로 환산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treatment protocol by convert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into a stress index.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경측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nvironment measurement unit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wearab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치료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unit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treatment unit worn on the user's 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unit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wearable device.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인체에 진단을 위한 자극을 부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증상의 강도와 빈도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수집 단계;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결정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치료 프로그램 설계 단계; 및
설계된 치료 프로그램을 전극에 인가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의 운영 방법.
In the state that stimulation for diagnosis is given to the user's body through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and generates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the user receives user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symptoms. an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inputting and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 treatment program design stage that determine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he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omprising the step of stimulating the vagus nerve by applying the designed treatment program to the electrodes.
왼쪽 귀와 오른 쪽 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착용되어 외이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전기자극 발생을 위한 전기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을 조절하고,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치료시간과 치료강도를 포함하는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a treatment unit including an electrode that is worn on at least one of the left ear and the right ear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vagus nerve of the outer ear;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reatment unit;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and a server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rol unit,
The server adjust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a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intensit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controlled and delivered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AI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 및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er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he intensity, pattern, and treatment protocol of electrical stimulation through an AI-based algorithm.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진단을 위한 진단용 자극 프로토콜과 치료용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er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imulation protocol for diagnosis and a stimulation protocol for treatment for diagnosi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진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와 치료를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er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mage and sound content for diagnosis and image and sound content for treatmen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훈련을 위한 영상 및 소리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er is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ideo and sound content for training.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문가 진료 단말기에 연결되며, 진료 단말기를 통해 전기자극의 강도와 패턴 및 치료 프로토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rver is connected to an expert medical treatment terminal, and the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he intensity, pattern, and treatment protocol of electrical stimulation through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청구항 19에 있어서,
진료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질병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A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cal terminal can displa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disease-related information.
KR1020200156234A 2020-11-20 2020-11-20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91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34A KR102591072B1 (en) 2020-11-20 2020-11-20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34A KR102591072B1 (en) 2020-11-20 2020-11-20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74A true KR20220069274A (en) 2022-05-27
KR102591072B1 KR102591072B1 (en) 2023-10-19

Family

ID=8179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234A KR102591072B1 (en) 2020-11-20 2020-11-20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517A (en) 2022-08-04 2024-02-14 한국전기연구원 A treatment device that can easily control the depth of electric stimulation
WO2024039006A1 (en) * 2022-05-20 2024-02-22 주식회사 뉴라이브 Method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vagus nerve, and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that reflect user's condition and stimulation sensitivity through biological signal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13A (en) * 1996-08-09 1998-04-28 Asahi Denshi Kenkyusho:Kk Therapeutic point stimulating apparatus
KR100596540B1 (en) 2004-11-03 2006-07-06 정종필 Apparatus for stimulate a vagus nerve using electric pulses
KR20130031174A (en) * 2011-09-20 2013-03-28 (주)넥스젠 User-customized acupuncture point stimulating apparatus using pulse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95291A (en) * 2013-01-24 2014-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stresss based on movement and heart rate of user
KR101468355B1 (en)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innitus treatment using combined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KR101756723B1 (en) * 2016-04-01 2017-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Tinnitus and hypacusis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innitus and hypacusis therapy device
KR20170132277A (en) * 2015-03-27 2017-12-01 엘화 엘엘씨 Ear stimulation methods and systems
JP2019051021A (en) *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ニューロシューティカルズ Control device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KR20190088300A (en)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erve stimu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13A (en) * 1996-08-09 1998-04-28 Asahi Denshi Kenkyusho:Kk Therapeutic point stimulating apparatus
KR100596540B1 (en) 2004-11-03 2006-07-06 정종필 Apparatus for stimulate a vagus nerve using electric pulses
KR20130031174A (en) * 2011-09-20 2013-03-28 (주)넥스젠 User-customized acupuncture point stimulating apparatus using pulse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95291A (en) * 2013-01-24 2014-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stresss based on movement and heart rate of user
KR101468355B1 (en)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innitus treatment using combined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KR20170132277A (en) * 2015-03-27 2017-12-01 엘화 엘엘씨 Ear stimulation methods and systems
KR101756723B1 (en) * 2016-04-01 2017-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Tinnitus and hypacusis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innitus and hypacusis therapy device
JP2019051021A (en) *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ニューロシューティカルズ Control device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for myocardial infarction treatment
KR20190088300A (en)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erve stimul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06A1 (en) * 2022-05-20 2024-02-22 주식회사 뉴라이브 Method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vagus nerve, and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that reflect user's condition and stimulation sensitivity through biological signal
KR20240019517A (en) 2022-08-04 2024-02-14 한국전기연구원 A treatment device that can easily control the depth of electric 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72B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42198A1 (en) Multifunctional closed loop neuro feedback stimulat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200230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US11529515B2 (en) Transcranial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electrophysiological testing
EP3065815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ranscranial stimulation
JP2023521187A (en) Acoustic electrical stimulation neuro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easurement, analysis and control of brain waves
US9613184B2 (en) Analyzing a washout period characteristic for psychiatric disorder therapy delivery
CN111163693A (en) Customization of health and disease diagnostics
US20090264956A1 (en) Psychiatric disorder therapy control
CA2976363C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rapeutic neuromodulation
US20170095199A1 (en) Biosignal measurement, analysis and neurostimulation
US20180001088A1 (en) Device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by means of multichannel bursts
KR102591072B1 (en)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4828930A (en) System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promote sleep onset
Polterauer et al. Evaluation of auditory pathway excitability using a pre-operative trans-tympanic electrically evok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under local anesthesia in cochlear implant candidates
CN116648285A (en) Device for treating long-term or chronic pain by vagal nerve stimulation and use thereof
WO2022106850A1 (e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N109276793A (en) For treating the instrument of depression
WO2023113073A1 (en)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Rushambwa et al. Impact assessment of mental subliminal activities on the human brain through neuro feedback analysis
Hestermann Design of a wireless in-ear EEG device to improve sleep via EEG neurofeedback
US201601174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criptions for noninvasive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KR102067536B1 (en) Apparatus of head band with healthcare
Dubreuil-Vall et al. Sex differences in invasive and noninvasive neurotechnologies
WO20141955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exchange of data related to noninvasive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RO132744A2 (en) Electrophysiological med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