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369A -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 Google Patents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369A
KR20220053369A KR1020200137769A KR20200137769A KR20220053369A KR 20220053369 A KR20220053369 A KR 20220053369A KR 1020200137769 A KR1020200137769 A KR 1020200137769A KR 20200137769 A KR20200137769 A KR 20200137769A KR 20220053369 A KR20220053369 A KR 2022005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group
recipient
sender
data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수
윤지현
배정남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3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369A/ko
Priority to PCT/US2021/053157 priority patent/WO2022086695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3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reproduction, e.g. network printing or remote im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4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asymmetric encryption, i.e. different keys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67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combined with processing of the image
    • H04N1/32272Encryption or ciph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intermediate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erminals, e.g. at an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H04N1/4486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using digital data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일 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송신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자로부터 상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JOB PERFORMED BETWEEN SENDERS AND RECEIVERS BASED ON GROUPS}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개별 장치들이 있고, 또한 이러한 개별 장치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복합기(MFP: Multi-function Product)도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동작하거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수의 컴퓨터들에 의해 공용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들 동작 방식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요청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인쇄물을 직접 찾아와야 하고, 다른 사람이 인쇄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출력한 인쇄물을 다른 사람에게 대면으로 전달해야 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서버, 송신자 및 수신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 예에 따른 서버에 대한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해당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 저장, 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저장, 전송, 코팅 등과 관련된 작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2D 화상 형성 장치, 또는 3D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서버(10), 송신자(20) 및 수신자(3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송신자(20)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자(30)가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자(20)와 수신자(30)를 중개한다. 예를 들어, 송신자(20)와 수신자(30)가 원격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송신자(20)는 송신자(20)와 관련된 송신 디바이스(21, 22, 23)(예컨대, 컴퓨터, 랩톱, 태블릿 PC, 이동 전화 단말기 등과 같이 송신자(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서버(10)로 전달하고, 서버(10)는 수신자(30)로 하여금 수신자(30)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31, 32, 33)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신자(30)는 화상 형성 장치(31, 32, 33)를 이용하여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신자(20)와 수신자(30)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화상 형성 작업의 결과물(예컨대, 출력된 인쇄물)을 전달할 수 있다. COVID-19와 같은 각종 전염병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도 1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작업을 비대면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서버(10)는 송신자(20)와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자(30)와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 1 암호화 방식과 제 2 암호화 방식은 비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일 수 있고,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은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른 공개키 및 개인키 쌍과 상이할 수 있다. 제 1 암호화 방식 및 제 2 암호화 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을 후술하면서 보다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송신자(20)는 단일의 수신자(30)에게만 화상 형성 작업을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수신자들(30)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여러 사람들이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협업을 하는 경우에 참여자들 중 어느 한 사람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나머지 사람들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전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교육 기관에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경우, 교사는 원격에 있는 다수의 학생들 또는 학부모들로 하여금 소정의 문서(예컨대, 가정통신문 혹은 숙제 등)를 출력하도록 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소정의 금융 거래를 하려는 사용자는 서로 상이한 금융 기관들 혹은 서로 상이한 금융 거래 담당자들로 하여금 주민등록등본과 같은 문서를 출력하도록 요청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송신자(20)가 여러 수신자들(30)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서버(10)는 송신자(20)가 수신자들(30)을 하나의 그룹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룹에 속한 수신자들(30)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일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생성된 그룹은 송신자(20)에 의해 반복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예컨대, 교사가 한 학급의 학생들을 수신자로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면, 그 그룹에 속하는 수신자들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반복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 송신자(20)가 동일한 그룹을 다시 생성해야 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예컨대, 서버(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송신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1),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S12), 송신자로부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S13),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는 단계(S14), 및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예컨대, 도 3은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경우, 그 요청에 응답하여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자(20)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을 한번 생성하면 그 그룹은 이후에도 재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은 최초로 한번만 수행되어도 무방하며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필요는 없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예컨대,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이 수행된 이후에,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소정의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할 경우, 그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자(20)는 그룹을 한번 생성하기만 하면, 그 그룹에 속하는 수신자들에게 화상 형성 작업을 반복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이 최초로 한번만 수행되는 것임에 비하여, 도 4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은 새로운 화상 형성 작업이 요청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을 각 단계의 수행 주체별로 다시 표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에 포함되는 단계들(예컨대, S101 내지 S106)은 최초로 한번만 수행되어도 무방하며 반복될 필요는 없으며, 도 4에 포함되는 단계들(예컨대, S107 내지 S116)은 송신자(20)가 전달하는 각각의 화상 형성 작업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예에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이 수행된 이후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이 1회 수행된 예시가 도시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의 동작 순서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들의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은 도 5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법은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7을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관리자(11)와 송신자(20) 사이에서 서비스 거래가 확립되면, 서버 관리자(11)는 송신자(20)를 등록하라는 요청을 서버(10)에 전달하게 된다. 서버(10)는 송신자(20)를 등록하라는 서버 관리자(11)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송신자(20)를 송신자 리스트에 추가한다(S101).
서버 관리자(11)는 송신자(20)가 생성할 수 있는 그룹의 수, 수신자의 수, 저장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의 수 및 기한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송신자(20)가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의 대가로 지불하게 되는 서비스 비용은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책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관리자(11)는 A, B, C라는 3가지 유형의 가격 플랜을 미리 지정해둘 수 있고, 송신자(20)가 A, B, C 중 어느 하나의 가격 플랜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가격 플랜에 기반한 파라미터(생성할 수 있는 그룹의 수, 수신자의 수, 저장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의 수 및 기한 등)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가 송신자(20)를 송신자 리스트(50)에 추가할 경우 송신자 리스트에는 각 송신자들에 대한 가격 플랜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가 송신자(20)를 송신자 리스트에 등록한 이후에, 송신자(20)는 서버(10)에게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의 생성 요청은 단일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S103)과 그룹에 수신자를 추가하라는 요청(S105)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서버(10)는 송신자(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한 후,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S103)과 그룹에 수신자를 추가하라는 요청(S105)을 모두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10)는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의 예시에 관련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10)와 송신자(20)는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암호화 방식은 비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자(20)가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S103)과 그룹에 수신자를 추가하라는 요청(S105)을 서버(10)로 송신하는 과정에서의 통신도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단계 S103이 수행되기 전에 송신자(20)에 의해 제 1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이 생성될 수 있다(S102). 제 1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개인키는 송신자(20)가 보유하며, 제 1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제 1 공개키는 서버(1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제 1 공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송신자(20)가 서버(10)로 전달할 때 함께 전달될 수 있다(S103).
서버(10)와 송신자(20)가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자(20)는 자신이 작성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문서에 전달하려고 하는 데이터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제 1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해싱(hashing)함으로써 생성된 원본 변조 여부 확인용 체크섬(예컨대, MessageDigest)을 추가하여 서버(1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 1 공개키를 사용하여 수신한 PDL 문서에 포함된 해시 값을 검증할 수 있다.
서버(10)와 수신자(30)는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암호화 방식은 비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은 개개의 그룹별로 상이할 수 있다. 제 2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제 2 공개키 및 제 2 개인키 쌍은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 2 공개키 및 제 2 개인키 쌍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S103)하면, 그 이후에 서버(10)에 의해 제 2 공개키 및 제 2 개인키 쌍이 생성될 수 있다(S104). 다만, 단계 S104와 단계 S105 사이의 순서는 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제 2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제 2 개인키는 서버(10)가 보유하며, 제 2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제 2 공개키는 그룹에 포함되는 수신자(3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05 이후에 서버(10)는 제 2 공개키를 수신자(30)에게 전달할 수 있다(S106).
서버(10)와 수신자(30)가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송신자(20)로부터 전달받은 PDL 문서에 포함된 데이터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제 2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해싱함으로써 생성된 원본 변조 여부 확인용 체크섬(예컨대, MessageDigest)을 추가하여 수신자(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수신자(30)는 제 2 공개키를 사용하여 수신한 PDL 문서에 해시 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그룹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10)가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각각의 송신자(20)별로 생성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7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자(20)들 중 S1은 "CLASS A" 및 "CLASS B"라는 그룹을 생성하였고, 송신자(20)들 중 S2는 "CLASS C"라는 그룹을 생성하였으며, 송신자(20)들 중 S3은 "Project A"라는 그룹을 생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송신자(20)들 중 누군가가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서버(10)로 송신하면, 서버(10)는 테이블(70)에 해당 송신자에 대응하는 그룹을 추가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테이블(70) 형태의 데이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송신자(20)별로 생성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은 테이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각각의 그룹별로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개인키 및 제 2 공개키 쌍을 저장한 테이블(8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암호화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은 개개의 그룹별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8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개인키 및 제 2 공개키 쌍은 각각의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 제 2 개인키는 서버(10)만 보유하고, 제 2 공개키는 그룹 내에 속하는 수신자(30)들 모두에게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 송신자(20)들 중 S1이 생성한 "CLASS A"에 속하는 그룹의 수신자(30)들은 공개키 "key-CA-PK"를 공유하며, S1이 생성한 "CLASS B"에 속하는 그룹의 수신자(30)들은 공개키 "key-CB-PK"를 공유할 수 있다. 서버(10)는 다수의 수신자(30)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대해 하나의 비대칭키 쌍만 관리하면 되므로, 각각의 수신자(30)들마다 상이한 비대칭키 쌍을 관리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구조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테이블(80) 형태의 데이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송신자(20)별로 생성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은 테이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각각의 송신자(20)별로 생성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70)과 각각의 그룹별로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개인키 및 제 2 공개키 쌍, 그리고 수신자(30)의 연락처(예컨대, 이메일 주소 또는 휴대전화 번호 등)을 저장한 테이블(9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자(30)의 연락처는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연락처가 이메일인 경우라면(이를테면, 수신자 R1, R2, R5, R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34)을 통해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통지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연락처가 휴대전화 번호인 경우라면(이를테면, 수신자 R3, R4, R6, R8),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35)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통지할 수 있다. 다만, 이메일 주소와 휴대전화 번호는 연락처의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른 연락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서버(10)가 수신자(30)에게 어떤 연락처를 통해 통지할 것인지는 송신자(20)가 수신자(30)를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송신자(20)의 선택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서버(10)가 수신자(30)에게 제공하는 경로는 소정의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서버(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그룹이 생성된 이후에 곧바로 수신자(30)에게 통지할 수도 있지만, 그룹이 생성된 이후에 곧바로 이를 통지하는 대신에 화상 형성 작업을 해당 그룹에 대해 최초로 수행할 때 통지할 수도 있다. 즉, 통지 시점은 구현 방식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서버(10)는 제 2 암호화 방식에서 사용하는 제 2 공개키 자체를 수신자(30)에게 직접 전달할 수도 있겠지만, 제 2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수신자(30)에게 전달하여 수신자(30)로 하여금 그 경로를 통해 제 2 공개키에 액세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는 URL과 같은 주소 경로로서 전달될 수도 있으며, QR 코드와 같은 스캔방식의 경로로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여, 그룹에 포함된 수신자(30)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설명을 도 4,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는 단일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복수의 단계들(예컨대, 단계 S107 및 S108)로 수행될 수도 있다.
송신자(20)는 화상 형성 작업을 특정 그룹에 속한 수신자(30)가 수행할 수 있게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107).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예시처럼, 원격 풀 프린트(Remote Pull Print)를 선택한 후 해당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그룹으로서 "CLASS A"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자(20)가 화상 형성 작업을 특정 그룹이 수행할 수 있게끔 선택하면, 송신자(20)와 관련된 송신 디바이스에 포함된 단말기 드라이버가 화상 형성 작업을 생성하여 서버(10)로 전달할 수 있다(S108). 이 경우, 화상 형성 작업은 PDL 문서로서 생성되어 서버(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PDL 문서는 송신자(20)가 선택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수신자(30)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예시처럼, PDL 문서는 @PJL SET RECEIVER = "CLASS A, CLASS B"와 같이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DL 문서는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송신자(20)가 사용하는 제 1 개인키에 의해 해싱함으로써 생성된 서명정보(예컨대, MessageDige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서명정보를 제 1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는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는 단계로서, 그룹 별로 화상 형성 작업을 관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09). 예컨대, 서버(10)가 송신자(20)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면, 서버(10)는 그룹에 속하는 수신자(30)마다 그 수신자(30)가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갱신하였는지 여부, 개개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데이터 구조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LASS A"라는 그룹에 속한 수신자(30)들이 R1, R2, R3로서 세 명이 있고 송신자(20)가 전달한 화상 형성 작업이 job1, job2로서 두 개인 예시에서, 데이터 구조는 각 수신자(30)들이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list)와 각각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job1, job2)를 포함하는 테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방식은 테이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어서, 서버(10)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가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단일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복수의 단계들(예컨대, 단계 S110 내지 S116)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신자(30)는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해 송신자(20)가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서버(10)에 전달한 후, 수신자(30)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 제 2 공개키를 등록할 수 있다(S110).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자(30)는 "Remote Pull Printing"을 선택하고, 이어서 "Configuration"을 선택하며, 이어서 "Upload Security key"를 선택함으로써, FTP 방식, HTTP 방식 혹은 URL/QR의 스캔 방식에 따라 제 2 공개키를 화상 형성 장치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30)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36)는 제 2 공개키를 기반으로 서버(10)에게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요청하고(S111),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서버(10)는 제 2 개인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36)로부터의 요청을 검증하고, 제 2 개인키로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암호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36)로 전달한다(S112).
수신자(30)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3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자(30)는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리스트에 포함된 작업들 중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S113).
수신자(30)가 화상 형성 작업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36)는 제 2 공개키에 기반한 암호화 통신을 통해 서버(10)에게 화상 형성 작업의 요청을 전달한다(S114).
서버(10)는 제 2 개인키로 화상 형성 작업으로부터의 요청을 검증한 후, 제 2 개인키로 화상 형성 작업을 암호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36)에게 전달한다(S115).
화상 형성 장치(36)는 전달받은 암호화된 화상 형성 작업을 제 2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출력한 후 수신자(30)가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소정의 수신자(30)를 기준으로 단계 S111 내지 단계 S116을 통해 나타난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되면, 서버(10)는 데이터 구조를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구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30)들 중 R1은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갱신조차 하지 않았으며, 수신자(30)들 중 R2는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갱신한 후 job1과 job2에 해당하는 화상 형성 작업을 모두 수행하였고, 수신자(30)들 중 R3은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갱신하기는 하였으나 job2에 해당하는 화상 형성 작업만 수행하였음을 나타내도록, 서버(10)는 데이터 구조를 갱신할 수 있다. 송신자(20)는 서버(10)로부터 이러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한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그룹에 속한 수신자(30)들이 화상 형성 작업을 어느 정도로 진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는, 이러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 가능하되,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컨대, 서버(1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도 18에는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100)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10)의 각 단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동작들은 앞서 설명된 방법의 동작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통신부(12), 메모리(13) 및 프로세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는 송신자(20)와 관련된 송신 디바이스, 수신자(30)와 관련된 수신 디바이스 및 수신자(30)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송신자(20)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30)를 포함하는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다. 프로세서(14)는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고, 수신자(30)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서버(10)에 의해 수행되는 앞서 설명된 동작들은 이들 구성요소가 상호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일 수 있다. 이 때,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예들이 비록 한정된 일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일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송신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송신자로부터 상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송신자와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자와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은 비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이고,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은 개개의 그룹별로 상이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의 연락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의 상기 연락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개개의 수신자마다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개개의 수신자마다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송신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송신자로부터 상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송신자와 제 1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자와 제 2 암호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은 비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이고,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 및 개인키 쌍은 개개의 그룹별로 상이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의 연락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의 상기 연락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제 2 암호화 방식의 공개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개개의 수신자마다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개개의 수신자마다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의 리스트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5. 송신자와 관련된 송신 디바이스, 수신자와 관련된 수신 디바이스 및 상기 수신자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송신자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그룹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작업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그룹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추가하고, 상기 수신자로 하여금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200137769A 2020-10-22 2020-10-22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KR20220053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769A KR20220053369A (ko) 2020-10-22 2020-10-22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PCT/US2021/053157 WO2022086695A1 (en) 2020-10-22 2021-10-01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job performed between senders and receivers based on grou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769A KR20220053369A (ko) 2020-10-22 2020-10-22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69A true KR20220053369A (ko) 2022-04-29

Family

ID=8129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769A KR20220053369A (ko) 2020-10-22 2020-10-22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3369A (ko)
WO (1) WO20220866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879B1 (ko) * 2008-03-03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교체가능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암호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780734B1 (ko) * 2011-09-09 2017-09-2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584221B1 (ko) * 2013-10-18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소모품 유닛을 검증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방법
KR20180007816A (ko) * 2016-07-14 2018-01-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소모품 사용량에 기초하여 소모품 구매 조건을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6695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4710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9608972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data providing method that convert a process target data into output data with a data format that a service receiving apparatus is able to output
US101105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certificate
JP5312361B2 (ja) 利用時支払い多機能デバイスに支払い証明を伝送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421346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82622A (ja) 印刷装置を企業内で共有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372084A1 (en) Printing system, encryption key change method, printer, and program
JP201313830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333672A (zh) 信息处理系统、装置和方法
US10298783B2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JP201611907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
JP6163932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43415B2 (en)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through network,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70524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53369A (ko) 그룹 기반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어
JP2009093553A (ja) 商品発注装置
JP201520719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ー間連携プログラム
JP6223907B2 (ja) ワンストップ申請システム、ワンストップ申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06411B2 (en) File management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file management program, and file management system
JP7047504B2 (ja) ジョブシステム、ジョブ実行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61494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85487A1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US1027120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ly routing documents through third party infrastructures
US11979541B2 (en)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administrator's device, a terminal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ler having hardware
US108846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specifies and notifies a client contact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