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67A -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 Google Patents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67A
KR20220052567A KR1020200136663A KR20200136663A KR20220052567A KR 20220052567 A KR20220052567 A KR 20220052567A KR 1020200136663 A KR1020200136663 A KR 1020200136663A KR 20200136663 A KR20200136663 A KR 20200136663A KR 20220052567 A KR20220052567 A KR 2022005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종규
김경희
안태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567A/en
Publication of KR2022005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notifying a station arrival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d is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a user using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The method for notifying the station arrival comprises: a process of sav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a process of providing.

Description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본 개시는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가 진입하는 철도 역(railway station)의 고유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that provides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a user using an RF signal including unique ID information of a railway station into which a train enters.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의 대부분은 열차 이용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언론기사 검색, SNS(Social Network Service), 독서 및 전화 통화 등의 개인 활동(personal activity)을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terminal)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를 제공하는 OTT 서비스(Over The Top servic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열차 내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승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Most of the passengers who use the subway engage in personal activities such as searching for media articl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reading, and phone calls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rain time.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over-the-top service (OTT) technology that provides media content using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e number of passengers watching videos in trains increases. are doing

현재 열차가 지하철역(subway station)의 승강장(platform)에 진입하기 전에 차량 내 방송 및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열차 내에서 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듣는 경우 승객이 차량 내 안내 방송 또는 디스플레이를 놓쳐 하차해야 할 역을 지나치게 될 위험이 있다.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놓치게 되면 반대 방향의 열차에 환승하여 하차하고자 하는 역까지 되돌아가야 하기에 불필요한 열차 이용시간이 증가하고, 승객의 편의(convenience)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Currently, a service that provides an arrival notification to passengers using in-vehicle broadcasting and a display before a train enters a platform of a subway station has been commercialized. However, when watching video or listening to music on the train, there is a risk that passengers will miss the announcement or display in the vehicle and pass the station where they need to get off. If a passenger misses a station he wants to get off at, he has to transfer to a tr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turn to the station he wants to get off at, so unnecessary train use time increases and passenger convenience de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통신사가 유료로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기에 데이터 통신을 차단한 상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a passenger using a terminal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using a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data communication is blocked because a network provided by a telecommunication company for a fee is used.

따라서 통신사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가 승객에게 직접적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역 도착 알림 방법의 제안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ethod of notifying the arrival of a station in which a terminal can provide a direct notification to passengers without using a carrier network.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동차의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놓치지 않고 내릴 수 있게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cessing an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including a BLE (Bluetooth Low Energy) module to provide a notification of arrival at the station of the train to the user,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that allows users to get off without missing the station they want to get off at.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열차가 진입하는 역(station)의 고유ID 정보를 BLE 통신 방식에 따른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통신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없이 전동차의 역 도착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ransmitt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which the train enters in an advertising packet according to the BLE communication method, it is transmitted without data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company network. It has another main purpose to provide a method of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이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을 이용하여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알림역(alarm station)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 승강장에 설치된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으로부터 수신된 제1 내지 제N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처리하여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unique ID information)를 추출하는 과정; 기 설치되어 있는 ID 데이터베이스(ID database)로부터 추출된 상기 알림역의 고유ID 정보와 상기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receiving and storing an alarm station from a user procedure; 1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smart braille block installed in the platform 1 to Nth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d 1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by comparing the fir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extracted from a previously installed ID database; and providing an arrival not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역 도착 알림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each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 order to execute each process included in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을 이용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구동 중인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에게 역(station) 도착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정확히 인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when the user is driving another program using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provides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ion from which the user wants to get off. It has a recognizable effect.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을 포함하는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으로부터 송출되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을 이용하여 역 도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통신사가 유료로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determining whether the station arrives by using an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smart braille block) including a BLE module (Bluetooth Low Energy module),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without using a network provided for a fee.

도 1의 (a) 및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 및 철도 역사(railway station building) 내 승강장(platform)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능형 점자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역을 입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시각적으로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a) and (b) are exemplary views of one or more intelligent braille blocks installed on a platform in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nd a railway statio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m.
2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a) to (d) are exemplary diagrams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process of inputting a notification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visually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he '...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알림역(alarm station)은 사용자가 도착 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역(station)을 의미하고, 도착역(arrival station)은 사용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의미하며, 정차역(stop station)은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하여 열차가 정차하는 각각의 역을 의미한다.The alarm st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eans a station at which a user wants to receive an arrival notification, and an arrival station means a station at which the user wants to get off, and a stop station ) means each station where the train stops for passengers to get on or off.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및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은 사용자 단말이 RF 신호를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여 지칭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이 가장 먼저 수신한 RF 신호는 제1 RF 신호(first RF signal, RFS1)라고 지칭하며, 제1 RF 신호를 전송한 지능형 점자블록은 제1 지능형 점자블록(first smart braille block, SBB1)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N 번째로 수신한 RF 신호는 제N RF 신호(Nth RF signal, RFSN)라고 지칭하며, 제N RF 신호를 전송한 지능형 점자블록은 제N 지능형 점자블록(Nth smart braille block, SBBN)이라고 지칭한다(N은 2 이상의 자연수).The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and the smart braille block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referred to by numbering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RF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RF signal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s referred to as a first RF signal (first RF signal, RFS 1 ), and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transmitting the first RF signal is a first smart braille block, SBB 1 ). In addition, the Nth RF signal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s referred to as an Nth RF signal (RFS N ), and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that has transmitted the Nth RF signal is an Nth smart braille block , SBB N )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1 RF 신호(RFS1) 내지 제N RF 신호(RFSN)는 각각의 RF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고유ID 정보(first unique ID information, UID1) 내지 제N 고유ID 정보(Nth unique ID information, UIDN)를 포함한다(N은 2 이상의 자연수). 이 때, 고유ID 정보는 열차가 진입하는 역(station)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The first RF signal (RFS 1 ) to the N-th RF signal (RFS N )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UID 1 )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RF signal ID information (Nth unique ID information, UID N ) is included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 this case, the unique ID information means uniqu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a station to which the train enters.

도 1의 (a) 및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 및 철도 역사(railway station building) 내 승강장(platform)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능형 점자블록의 예시도이다.1 (a) and (b) are exemplary views of one or more intelligent braille blocks installed on a platform in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nd a railway statio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m.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 100)은 주기적으로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송출하는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외형은 철도 역사 내에 설치되는 일반 점자블록(104)과 동일한 형태이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계된 위치에 일반 점자블록(104)을 대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n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As shown in Fig. 1 (a), the appearance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braille block 104 installed in the railway station, and a pre-designed position as shown in Fig. 1 (b). It can be installed in place of the general braille block (104).

지능형 점자블록(100)은 열차(railway vehicle)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에게 RF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철도 역사(railway station building) 내 승강장(platform)의 각각의 출입문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장에는 복수의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능형 점자블록(100)은 제1 지능형 점자블록(first smart braille block, SBB1) 내지 제N 지능형 점자블록(second smart braille block, SBBN)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때,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번호는 사용자 단말이 RF 신호를 수신하는 순서에 따른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가장 인접한 지능형 점자블록(100)으로부터 RF 신호가 먼저 수신될 수 있다. 다만,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번호가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특정한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adjacent to each door of a platform in a railway station building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an RF signal to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train (railway vehicle) can be Therefore, a plurality of intelligent braille block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platform, and each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a first smart braille block (SBB 1 ) to an N-th intelligent braille block (second smart braille). block, SBB N )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RF signal, and the RF signal may be received first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However, the number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not limited to mean a specific loc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한편, 지능형 점자블록(10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는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내부에 삽입된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 102)을 이용하여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즉, BLE 모듈(102)은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역(station)의 고유ID 정보 및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를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204)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 the form of an advertising packet using the BLE module (Bluetooth Low Energy module, 102) inserted into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can be transmitted. That is, the BLE module 102 transmits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 (UUIDs) includ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to the advertising packet ( advertising packet) and may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4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승강장(200)에 설치된 복수의 지능형 점자블록(100: 100_A 내지 100_D)은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역(station)의 고유ID 정보 및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강장(200)에 진입하는 열차(202) 내의 사용자 단말(204)과 인접한 순서로 사용자 단말(204)이 지능형 점자블록(10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각의 지능형 점자블록을 지칭한다.A plurality of intelligent braille blocks 100: 100_A to 100_D installed in the platform 200 are RF signals including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n FIG.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204 receives the RF signal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n the order adjacent to the user terminal 204 in the train 202 entering the platform 200, and , refers to each intelligent braille block.

사용자 단말(204)은 승강장(200)에 진입하는 열차(202)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로부터 도착 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알림역(alarm station)을 기 입력 받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4)에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각각의 정차역의 고유ID 정보를 포함하는 ID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사전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다.The user terminal 204 is located in the train 202 entering the platform 200, and receives and stores an alarm station to receive an arrival notification from the user in advanc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4 has previously installed and stored an ID database including unique ID information of each stop where the passenger gets on or off.

사용자 단말(204)은 복수의 지능형 점자블록(100: 100_A 내지 100_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로부터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역의 고유ID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 단말(204)은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ID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ID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추출된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출된 각각의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에게 알림역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4)로부터 알림을 제공받음으로써, 하차하고자 하는 역을 놓치지 않고 정확히 내리게 되어 열차 이용의 편의(convenience)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역 도착 알림 방법이 포함하는 각각의 구체적인 과정은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204 receives an RF signal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intelligent braille blocks 100: 100_A to 100_D, and extracts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from the RF signal.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by compar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F signal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extracted from the previously installed ID database. do. When the extracted unique ID information matches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204 provides a notification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When the user receives a notif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4 , the user gets off the station exactly without missing a station to get off,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train is improved. Each specific process included in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notifying a station arrival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이 제1 지능형 점자블록(SBB1, 100_A)으로부터 수신한 제1 RF 신호(RFS1)를 이용하여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의 각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each process of a method of providing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using a first RF signal (RFS 1 ) received by a user terminal from a first intelligent braille block (SBB 1 , 100_A) Explain.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알림역(alarm station)을 입력받아 저장한다(S300). 사용자가 입력한 알림역은 사용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도착역(arrival station), 도착역의 직전 역(previous station) 및 승차역(boarding station)과 도착역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정차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착역에 진입하는 경우에만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정차역에 진입하는 경우마다 알림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4)이 알림역을 입력받는 과정은 도 6의 (a) 내지 (d)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204 receives and stores an alarm station to which the user wants to receive a notification from the user (S300). The notification st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any one of an arrival station to which the user wants to get off, a sta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arrival station, and one or more stopping stations between a boarding station and an arrival st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only when entering an arrival station as need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every time the user enters a plurality of stopping stations selected by the user. A process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4 receives the notification st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D .

사용자 단말(204)은 제1 지능형 점자블록(100_A)으로부터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역(station)의 고유ID 정보 및 제1 지능형 점자블록(100_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RF 신호(RFS1)를 수신하고, 제1 RF 신호를 처리하여 제1 고유ID(UID1) 정보를 추출한다(S3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과 같은 지능형 점자블록(100)의 번호는 사용자 단말(204)이 RF 신호를 수신하는 순서에 따른 것이며, 지능형 점자블록(100)이 설치된 특정 위치에 따라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RF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에 따른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형태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RF 신호의 처리는, 예컨대 RF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BLE 통신 방식에 따른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 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추출하는 과정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4)이 RF 신호를 복조하여 UUID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ser terminal 204 is a first RF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_A from the first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_A (RFS 1 ) is received, and the first RF signal is processed to extract the first unique ID (UID 1 ) information (S302).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such as 'first' is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4 receives the RF signal, and is not limi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s installed. . The first RF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signal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advertising packet according to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F signal processing may be, for example, a process of extracting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from an advertising packet according to the BLE communication method by demodulating the RF signal. On the other hand, a specific method for the user terminal 204 to demodulate the RF signal to extract the UUID is commo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 단말(204)은 기 설치된 ID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과정 S300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한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를 추출한다(S304). ID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각각의 정차역의 고유ID 정보를 포함하며,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4)은 통신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없이 알림역의 고유ID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과정 S300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알림역, 예컨대 제1 알림역 내지 제M 알림역을 입력할 수 있으며, 과정 S304에서 사용자 단말(204)은 제1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_1) 내지 제M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_M)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4 extracts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receiv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process S300 from the previously installed ID database (S304). The ID database includes unique ID information of each stop where the passenger gets on or off, and may be a part of data stored in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4 may extract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without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company network. Meanwhile, in step S300, the user may input a plurality of notification stations, for example, a first notification station to an M-th notification station, and in step S304, the user terminal 204 provides unique ID information (UID A_1 ) to the first notification station. Unique ID information (UID A_M ) of the Mth notification station may be extracted, respectively.

사용자 단말(204)은 과정 S302에 따라 추출된 제1 고유ID 정보(UID1)와 과정 S304에 따라 추출된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사용자가 과정 S300에 따라 복수의 알림역을 입력한 경우 제1 고유ID 정보와의 비교 연산은 복수의 알림역 각각의 고유ID 정보(UIDA_1 내지 UIDA_M)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4 compares th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UID 1 ) extracted according to the process S302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extracted according to the process S304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It is determined (S306). When the user inputs a plurality of notification stations according to process S300, a comparison operation with th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_1 to UID A_M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tification stations.

사용자 단말(204)은 제1 고유ID 정보(UID1)와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한다(S308).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역 도착 알림은 사용자 단말(204)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알림역의 명칭과 함께 시각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역 도착 알림은 사용자 단말(204)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청각적 형태로 제공되거나 사용자 단말(204)의 진동을 이용하여 촉각적 형태(haptic type)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204)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진동은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수단이며, 역 도착 알림은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es), 스마트 밴드(smart band) 및 무선 헤드폰(wireless headphone)과 같은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only when th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UID 1 ) and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match each other, and provides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S308)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in a visual form together with the name of the notification station using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4 .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in an auditory form using a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204 or may be provided in a haptic type using vib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4 . there is. The display, speaker and vib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4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emplary mean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and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is smart glasses, a smart band, and a wireless headphone ( It may be provided us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ireless headphone.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역 도착 알림 방법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지능형 점자블록(100)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 예컨대 BLE 통신 방식에 따른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형태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역 도착 알림 방법은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통신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없이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nstalled in the platform, for example, a signal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advertising packet according to the BLE communication method. use Accordingly,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without data communication using a telecommunication company network,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에서는 사용자 단말(204)이 제1 RF 신호(RFS1)로부터 추출한 제1 고유ID 정보(UID1)와 I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04)이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능형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제1 내지 제N RF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In FIG. 3 , the user terminal 204 compares th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UID 1 ) extracted from the first RF signal (RFS 1 )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extracted from the ID database, thereby alerting the us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tation has arrived or not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based on the 1st to Nth RF signals received from the 1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ntelligent Braille block. Describe the verification process.

사용자 단말(204)은 제1 및 제2 지능형 점자블록(100_A, 100_B)으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RF 신호를 처리하여 제1 및 제2 고유ID 정보를 추출한다(S400 내지 S406). 사용자 단말(204)은 연속적으로 추출된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열차가 진입하는 정차역의 고유ID 정보를 결정하기에 적어도 2 개의 RF 신호를 처리하여 추출된 고유ID 정보를 필요로 한다.The user terminal 204 processes the first and second RF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telligent braille blocks 100_A and 100_B to extract first and second unique ID information (S400 to S406). The user terminal 204 requires the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ed by processing at least two RF signals to determine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station where the train enters by determining whether the sequentially extracted unique ID information matches each other. do it with

사용자 단말(204)은 추출된 제1 및 제2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8). 제1 및 제2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4)은 순차적으로 추출된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할 때까지 계속해서 수신한 RF 신호로부터 고유ID 정보를 추출하고, 제(N-1) 및 제N 고유I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6, S402, S404).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ed first and second unique ID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S408). When the first and second unique ID information do not match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204 continuously extracts the unique I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RF signal until the sequentially extracted unique ID information matches each other, and the second ( N-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th unique ID information matches (S406, S402, S404).

사용자 단말(204)은 추출된 제(N-1) 및 제N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제N 고유ID 정보(UIDN)가 현재 열차가 진입하는 정차역의 고유ID인 것으로 결정하고, UIDN와 알림역의 고유ID 정보(UIDA)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8, S410).When the extracted (N-1) and N-th unique ID information match,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that the N-th unique ID information (UID N ) is the unique ID of the station where the current train ente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ID N and the unique ID information (UID A ) of the notification station match each other (S408, S410).

UIDN 및 UIDA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역 도착 알림을 제공한다(S412). 이와 같이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고유ID 정보 중에서 2 개의 연속된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서로 일치하는 고유ID 정보가 현재 정차역의 고유ID 정보인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역 도착 알림 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고유ID 정보 중에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연속된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서로 일치하는 고유ID 정보가 현재 정차역의 고유ID 정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고유ID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정차역의 고유ID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과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과정 S412에 따라 사용자 단말(204)이 알림역 도착 알림을 제공한 경우,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알림역의 도착 알림을 제공하지 않는다.When UID N and UID A match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and provides the notification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the user (S412). In this way, when two consecutive unique ID information among the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F signal coincide with each other, by determining that the matching unique ID information is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ion,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accuracy can be improv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consecutive unique ID information among each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F signal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atching unique ID information is the current sta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at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ion by comparing each unique I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F signal may be changed as necessary, and is not limited to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4 . When the user terminal 204 provides the notification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ccording to step S412, the arrival notification of the same notification station is not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user confusion.

UIDN 및 UIDA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RF 신호 처리를 중지한다(S414). 이와 같이 현재 정차역이 알림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4)이 RF 신호 처리를 중지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4)의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기 설정된 시간은 현재 정차역에 설치된 지능형 점자블록(10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다음 정차역에 설치된 지능형 점자블록(10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의 차이, 예컨대 60 초(s) 내지 80 초일 수 있다.When UID N and UID A do not match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not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and stops RF signal processing for a preset time (S414).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top is not the notification station, the user terminal 204 stops the RF signal processing,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omputation of the user terminal 204 . At this time, the preset tim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for receiving the RF signal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nstalled at the current stop and the time for receiving the RF signal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100 installed at the next stop, for example, 60 seconds (s) ) to 80 seconds.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용자 단말(204)은 AP(Access Point)를 포함한 통신 중계기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terminal)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4)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protocol)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user terminal 204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using a communication repeater including an AP (Access Point), and includes a tablet PC, a laptop, and a personal computer (PC: It may be any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user terminal 204 is a terminal including a memory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microprocessor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executing the program. it means.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4)은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을 탑재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을 구동하고,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과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역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and drives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command, and according to the process disclosed in FIGS. 3 and 4 . A notification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may be provid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4)이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을 구동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알림역 설정' 메뉴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알림역 설정 메뉴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알림역을 설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알림역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예는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user terminal 204 drives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 a 'reminder station setup' menu is provided on a user interface (UI). The user sets the notification station to receive notifications by touching the notification station setting menu. 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user sets the notification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은 사용자 단말(204)에 다양한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은 사용자 단말(204)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204) 내의 OS(Operating System)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4)은 웹에 접속하여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500)에 접근하여,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4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is mounted in an embedded form in an operating system (O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4 , or an operating system (OS) in the user terminal 204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r command. )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being directly installed on the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4 may access the web and access the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500 to run the program.

도 6의 (a) 내지 (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역을 입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a) to (d) are exemplary views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process of inputting a notification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알림역 설정 메뉴를 터치하면, 도 6의 (a)와 같은 '지역 선택' 메뉴가 제공된다. 도 6의 (a)의 지역은 열차가 운행하는 지역 또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을 의미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notification station setting menu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5 , a 'region selection' menu as shown in FIG. 6(a) is provided. The region of FIG. 6 (a) means an area in which a train operates or an area in which a user is currently located.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도 6의 (b)와 같은 '노선 선택' 메뉴가 제공된다.When the user selects a region in which he is currently located, a 'select route' menu as shown in FIG. 6B is provided.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노선을 선택하면, 도 6의 (c)와 같은 '도착역 선택' 메뉴가 제공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routes to be used, a 'select destination station' menu as shown in FIG. 6(c) is provided.

사용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도착역을 선택하면, 도 6의 (d)와 같은 '알림역 선택' 메뉴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지도 형태로 제공되는 노선도에서 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알림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착역에서만 알림을 받도록 알림역을 선택하거나, 도착역의 직전 역(previous station)에서 알림을 제공받도록 알림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도착역까지의 모든 정차역을 알림역으로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열차가 진입하는 각각의 정차역에서 도착 알림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 arrival station to get off at, a 'reminder station selection' menu as shown in (d) of FIG. 6 is provided. A user may select one or more notification stations to receive notifications from a route map provided in the form of a map. The user may select a notification station to receive a notification only at an arrival station, or select a notification station to receive a notification at a sta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arrival sta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selects all the stopping stations up to the arrival station as the notification sta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arrival notification at each stopping station to which the train enters.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시각적으로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visually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 및 도 4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204)이 사용자가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역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적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인 도착 알림은 사용자 단말(204)이 다른 프로그램을 구동 중이거나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제공되어, 사용자가 열차 내에서 영상을 시청하거나 SNS를 이용하는 중에도 도착역을 놓치지 않고 하차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terminal 204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S. 3 and 4 , a notification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is provided. The user terminal 204 and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7 show a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to a user using a visual screen. This visual arrival notification is provided even when the user terminal 204 is running another program or is in a standby state, so that the user can get off the train without missing an arrival station while watching an image or using SNS.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착역 알림 화면은 사용자 단말(204)이 사용자에게 도착역 알림을 제공하는 다양한 수단 중 일 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에게 스피커를 이용하여 청각적 알림을 제공하거나 진동을 이용하여 촉각적(haptic)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rival station notification screen as shown in FIG. 7 shows an example of various means for the user terminal 204 to provide an arrival st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204 provides an auditory notification to the user using a speaker. , or a haptic notification using vibration.

도 3 및 도 4에서는 각각의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각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each process is sequentially executed in FIGS. 3 and 4 ,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may change and implement the processes described in FIGS. 3 and 4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during each process. Since one or more processe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to be executed in parallel, FIGS. 3 and 4 are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sequence.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digital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circuit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or combinations thereof. can be realized with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may include being implemented in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xecutable on a programmable system. The programmabl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which may be a special purpose processor) coupled to receive data and instructions from, and transmit data and instructions to, a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or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or code) contain instructions for a programmable processor and ar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 또는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es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re non-volatile or non-transitory, such as RO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memory card,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and storage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medium or a transitory medium such as a data transmission medium.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mable computer. Here, the computer includes a programmable processor, a data storage system (including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other types of storage system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example, a programmable computer may be one of a server, a network appliance, a set-top box, an embedded device, a computer expansion modul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 cloud computing system, or a mobile devi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by this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ope is not limited.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지능형 점자블록 102: BLE 모듈
104: 일반 점자블록 200: 승강장
202: 열차 204: 사용자 단말
500: 역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
100: intelligent braille block 102: BLE module
104: general braille block 200: platform
202: train 204: user terminal
500: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application

Claims (11)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이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을 이용하여 역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알림역(alarm station)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
승강장에 설치된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지능형 점자블록(smart braille block)이 송신한 제1 내지 제N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로부터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unique ID information)를 추출하는 과정;
기 설치되어 있는 ID 데이터베이스(ID database)로부터 추출된 상기 알림역의 고유ID 정보와 상기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In the method for a user terminal (user terminal) to provide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using an intelligent braille block (smart braille block),
receiving and storing an alarm station from a user;
1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from the 1st to Nth RF signals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by the 1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intelligent braille block installed in the platform (unique ID information) the process of extracting;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by comparing the fir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extracted from a previously installed ID database; and
and providing an arrival not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알림역의 고유ID 정보와 제1 고유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judging process is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when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and the first unique ID information m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능형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처리를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stopping the processing of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for a preset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not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60 초 내지 80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set time is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60 to 80 seco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알림역의 고유ID 정보와 상기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judging process is
When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and the fir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match,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고유ID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승강장에 설치된 제N+1 지능형 점자블록으로부터 수신된 제N+1 RF 신호를 처리하여 제N+1 고유ID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알림역의 고유ID 정보와 상기 제N 및 제N+1 고유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역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extracting N+1th unique ID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N+1th RF signal received from the N+1th intelligent Braille block installed in the platform when the first to Nth unique ID information do not match each other; and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notification station when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station and the Nth and N+1th unique ID information m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알림역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은,
열차 운행 지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
하나 이상의 노선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
도착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 및
알림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otification station from the user,
a process of receiving and storing train operation area information;
receiving and storing one or more route information;
a process of receiving and storing arrival station information; and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notification st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역은,
도착역(arrival station), 도착역의 직전 역(previous station) 및 승차역(boarding station)과 도착역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정차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notification station is
A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an arrival station, a previous station of the arrival station, and one or more stopping stations between a boarding station and an arrival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알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적 알림,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 알림 및 진동을 이용한 촉각적(haptic) 알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rrival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rival notification is any one of a visual notification using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 audible notification using a speaker, and a haptic notification using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제1 RF 신호는 지능형 점자블록 내의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이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형태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전송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도착 알림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F signal is a station arrival no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LE module (Bluetooth Low Energy module) in the intelligent Braille block is a signal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advertising pack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역 도착 알림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 order to execute each process included in the method for notifying of arrival at a st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200136663A 2020-10-21 2020-10-21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KR20220052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63A KR20220052567A (en) 2020-10-21 2020-10-21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63A KR20220052567A (en) 2020-10-21 2020-10-21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67A true KR20220052567A (en) 2022-04-28

Family

ID=8144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663A KR20220052567A (en) 2020-10-21 2020-10-21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5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962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US926484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09987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user Cooperation editor and publication pictorial information
CN106325798A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multi-screen content display
CN106131815A (en)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realizing data service switching
US9832618B2 (en) Vehicle-mounted device used i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using these device and method
US20120180136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CN106100977A (en) A kind of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adjusting calendar prompting information
KR1018349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system
CN106155694A (en) A kind of application and the display packing and device applied of attending to anything else
CN105704663A (en) Position-tra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210134777A (en) TRANSMISS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917612A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2165688A (en) Chat room construc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1005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KR20160099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sharing
AU20202036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an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ADS-B) signal
CN106776039A (en) A kind of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6657950A (en) Projection device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jection data sharing device
CN106254616A (en) Missed call or the reminding method of unread short messages and device
KR20220052567A (en) Method for Notifying Station Arrival Using Smart Braille Block
JP6372321B2 (en) Travel management system, travel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6650347A (en) Synchronous unblock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s
CN105897994A (en) Contact associated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device
KR101951474B1 (en)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