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755A -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 Google Patents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755A
KR20220049755A KR1020200133245A KR20200133245A KR20220049755A KR 20220049755 A KR20220049755 A KR 20220049755A KR 1020200133245 A KR1020200133245 A KR 1020200133245A KR 20200133245 A KR20200133245 A KR 20200133245A KR 20220049755 A KR20220049755 A KR 2022004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user
growth
module
smart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012B1 (en
Inventor
안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스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스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스게임즈
Priority to KR102020013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012B1/en
Publication of KR2022004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xperience-type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tion game system. The experience-type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tion game system comprises: user terminals for remotely cultivating the crop of users; a smart farm for automatically cultivating the crop by remot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of each user; and a delivery server for processing delivery of corresponding crop to a corresponding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cultivating the crop of each user. Here, the crop is provid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mote development of each user. The experience-type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tion game system is configured to previously link the user and the crop one-on-one, check a growth status and environment through a simulation game for the linked crop, and remotely control necessary development, so that anyone can check the crop in real time and take necessary measures.

Description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gam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xperiential smart farm-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최근에는 4차 산업 혁명의 진행이 가속화됨에 따라 농업 분야에서도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고 있다.Recently, as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agricultural field is also at a epochal turning point.

농업 분야에서는 스마트 팜을 통해 원격에서 작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급수 등의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발전되어 가고 있다.In the agricultural field, smart farms are being developed to remotely check the status of crops and take various measures such as watering.

하지만, 관리자가 작물 전체를 관리하다 보면 각각의 작물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으며, 작물마다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if the manager manages the entire crop, the management of each crop may be neglected, and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the optimal condition for each crop.

한편,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은 주말 농장을 통해서 작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주말마다 찾아가 확인하고 조치를 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주말 농장과 같은 체계에서 언제든지 쉽고 재미있게 접근하여 작물을 키우는 기존과는 다른 패러다임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often grow crops through weekend farms, but there is a limit to visiting and checking and taking action every weekend. Therefore, a paradig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s needed to grow crops in an easy and fun way at any time in a system such as a weekend farm.

공개특허공보 10-2020-0044604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44604 공개특허공보 10-2018-0060980Laid-open Patent Publication 10-2018-0060980

본 발명의 목적은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을 제공하는 데 있다.is to provid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의 작물을 원격 육성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작물 육성을 자동 수행하는 스마트 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xperiential smart farm interlocking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remotely cultivating a user's crop;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mart far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crop cultivation by remote control of the user's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각 사용자의 작물 육성의 결과에 따라 해당 수확물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elivery server that processes to deliver the corresponding crop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each user's crop cultivation.

그리고 상기 수확물은, 각 사용자의 원격 육성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harvest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ially pa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mote cultivation of each user.

상술한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와 작물을 일대일로 미리 연동하고 연동된 작물에 대해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생장 상태와 환경을 확인하고 필요한 육성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누구든지 자신의 작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periential smart farm interloc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it is configured to link users and crops in advance, check the growth status and environment through a simulation game for the linked crops, and remotely control the necessary cultivation, Either way, you can check your crops in real time and take necessary actions.

특히, 실제 작물의 상태를 AR 시뮬레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게임의 시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생장 상태에 따라 수확물을 각 사용자에게 차등 지급함으로써 게임의 재미와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actual crop through AR simulation, so that the game's visi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fun and achievement of the game can be increased by differentially paying each user a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한편, 작물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각각의 개별적인 작물에 대해 사용자의 세밀한 케어(care)가 가능해지므로, 작물의 수확성이 높아지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hole crop, since the user can take detailed care of each individual crop, it can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yield of the crop.

다른 한편, 각 사용자의 생육 환경 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환경과 생장 상태에 따른 최적의 생육 환경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다른 일반적인 스마트 팜에 최적의 생육 환경 제어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ffect of applying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control to other general smart farms by deriving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dat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 and growth state using the data on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of each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작물의 생육 주기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작물 시뮬레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growth cycle of a crop.
3 is an exemplary view of an AR crop simul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crop monitor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content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작물의 생육 주기를 예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작물 시뮬레이션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growth cycle of a crop, Figure 3 is an example of an AR crop simul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crop monitor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 스마트 팜(300), 배송 서버(400), 작물 육성 최적화 서버(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 the 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simulation game server 200, a smart farm 300, a delivery server 4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rop growth optimization server (500).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시뮬레이션 게임 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작물을 원격 육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remotely grow the user's crop through the user's simulation game play.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작물 확인 모듈(101), 환경 정보 모니터링 모듈(102),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103), AR(augmentation reality) 작물 시뮬레이션 모듈(104), 화분 마커 인식 모듈(105), 코드 입력 모듈(106), 코드 생성 모듈(107), 코드 송신 모듈(1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user/crop confirmation module 101 ,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2 , a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 an augmentation reality (AR) crop simulation module 104 , and a pollen marker recognition module 105 . , a code input module 106 , a code generation module 107 , and a code transmission module 108 .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작물 확인 모듈(101)은 사용자 및 사용자와 미리 연동된 작물의 정보를 상호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작물 확인 모듈(101)은 작물의 작물 ID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작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crop confirmation module 101 may be configured to mutually confirm the user and the crop information previously linked with the user. The user/crop confirmation module 101 may check the crop ID of the crop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user's crop.

환경 정보 모니터링 모듈(102)은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로부터 해당 작물의 환경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경 정보로서는 온도, 습도, 광량, CO2 농도, 토양의 각종 성분의 농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작물마다 특별하게 요구되는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monit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crop from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amount of light, CO2 concentration, concent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soil, and the like, and various information specifically required for each crop may be included.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103)은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로부터 해당 작물의 생장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장 정보는 재배일자, 실물 이미지, 작물 크기, 작물 성숙도, 병충해 감염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monitor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rop from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The growth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cultivation date, an actual image, a crop size, a crop maturity, and whether or not to be infected by pests.

생장 정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물별 생장 단계 상에서 생장 정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생육 주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의 생장 상태를 Careless, Normal, Good의 3가지 상태로 표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growth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degree of growth in the growth stage for each crop. 2 shows the growth cycle, and through this,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is expressed in three states: Careless, Normal, and Good.

AR 작물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환경 정보 모니터링 모듈(102)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103)로부터 수신된 생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작물에 대한 AR 작물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R 작물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103)에서 모니터링하는 생장 정보에 따른 해당 작물의 생장 상태를 Careless, Normal, Good의 3가지의 AR 작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AR 작물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The AR crop simulation module 104 is configured to execute and display the AR crop simulation for the corresponding crop u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2 and the grow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 can The AR crop simulation module 104 may express the growth state of the corresponding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as three types of AR crops: Careless, Normal, and Good. 3 illustrates an AR crop screen.

화분 마커 인식 모듈(105)은 작물에 대한 AR 작물 시뮬레이션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작물의 화분에 미리 부착된 마커를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여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팜 현장에서 사용자는 화분에 미리 부착된 마커를 통해 AR 작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작물이 어떠한 생장 상태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생장 상태는 생육 주기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작물 크기, 작물 성숙도, 병충해 감염 여부, 그리고 이 외에도 작물의 색상, 작물의 모양 등 다양한 정보들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The pot marker recognition module 105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marker previously attached to a pot of a crop through a camera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AR crop simulation for the crop and control the execution. That is, in the smart farm field, the user can check the AR crop through the marker pre-attached to the pot,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know what kind of growth state the crop is in. This growth state can be judged based on the growth cycle, and can be judged from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crop size, crop maturity, pest infection, and, in addition, crop color and shape.

코드 입력 모듈(103)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작물의 육성을 위한 코드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드는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환경 정보 및 생육 주기 상의 생장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생육 환경 정보를 코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급수를 더 하게 하든가 자동 차양막을 치도록 하든가 병충해 방지를 위한 약을 급여하도록 하는 생육 환경 정보를 코딩할 수 있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은 이러한 코딩을 통해 코딩 알고리즘의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코딩에 의해 표현되는 생육 환경 정보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The code input module 103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de for cultivating a corresponding crop from a user. Code means program code. The user may check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on the growth cycle, and code and input necessary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l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de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o increase watering, to put on an automatic awning, or to supply a medicine for preventing pests and diseas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ding algorithm skills through such coding. 4 illustrates a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screen expressed by coding.

코드 생성 모듈(107)은 코드 입력 모듈(103)에서 입력받은 코드를 이용하여 작물 육성 알고리즘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de generation module 107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rop cultivation algorithm code using the code input from the code input module 103 .

코드 송신 모듈(108)은 코드 생성 모듈(107)에서 생성된 작물 육성 알고리즘 코드를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de sending module 108 may be configured to send the crop cultivation algorithm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ng module 107 to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의 작물의 생장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원격 육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growth state of the user's crop,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0 , and control the remote cultiv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작물 연동 모듈(201), 환경 정보 수신/전달 모듈(202), 생장 정보 수신/전달 모듈(203), 코드 수신 모듈(204), 코드 실행 모듈(205), 생육 환경 정보 송신 모듈(206), 생장 상태 등급 부여 모듈(207), 수확물 차등 지급 모듈(2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includes a user/crop interworking module 201, a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ption/transmission module 202, a growth information reception/transmission module 203, a code reception module 204, a code execution module 205,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6 , a growth state rating module 207 , and a harvest differential payment module 208 .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작물 연동 모듈(201)은 사용자 및 사용자의 작물을 상호 연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물은 미리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지정되어 연동될 수 있다.The user/crop interworking module 201 may be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user and the user's crops. The user and the user's crops may be designated one-to-one or one-to-many in advance and linked.

환경 정보 수신/전달 모듈(202)은 스마트 팜(300)으로부터 환경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환경 정보 모니터링 모듈(102)로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ception/delivery module 20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mart farm 300 in real time and deliver it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2 of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생장 정보 수신/전달 모듈(203)은 스마트 팜(300)으로부터 생장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103)로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information receiving/transmitting module 203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growth information from the smart farm 300 in real time and deliver it to the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of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코드 수신 모듈(204)은 사용자 단말(100)의 코드 송신 모듈(108)로부터 작물 육성 알고리즘 코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de receiving module 204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crop cultivation algorithm code from the code sending module 108 of the user terminal 100 .

코드 실행 모듈(205)은 코드 수신 모듈(204)에서 수신된 작물 육성 알고리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de execution module 205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crop cultivation algorithm code received in the code receiving module 204 .

생육 환경 정보 송신 모듈(206)은 코드 실행 모듈(205)에서 실행된 작물 육성 알고리즘 코드에 따라 해당 작물에 대한 생육 환경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팜(30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6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crop according to the crop growth algorithm code executed by the code execution module 205 and transmit it to the smart farm 300 in real time.

생장 상태 등급 부여 모듈(207)은 생장 정보 수신/전달 모듈(203)에서 실시간 수신된 생장 정보에 따라 각 사용자의 작물의 생장 상태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장 상태는 해당 작물의 생육 주기에 기반하여 판단되며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The growth status grade assignment module 207 may be configured to assign a grade to the growth status of each user's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growth information reception/transmission module 203 . Growth status is judged based on the growth cycle of the crop in question and grades can be assigned.

수확물 차등 지급 모듈(208)은 생장 상태 등급 부여 모듈(207)에서 부여된 등급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수확물을 차등 지급하도록 배송 서버(4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 팜에 여러 사용자가 원격 육성을 하는 경우 각 작물의 등급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에게 수확물을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상의 게임 시뮬레이션 플레이를 통해 오프라인 상의 수확물을 지급받을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 게임은 O2O(online to offline)의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fferential harvesting payment module 208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elivery server 400 to differentially provide a harvest to each user according to the grade granted by the growth state grade granting module 207 . In the case of remote cultivation by multiple users on one smart farm, crops can be differentially paid to the users according to the grade of each crop. That is, offline harvests can be paid through online game simulation play. That is, the simulation game can be connected in an online to offline (O2O) structure.

그리고 스마트 팜(300)은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각 사용자의 작물 육성을 자동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smart farm 30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each user's crop cultiv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스마트 팜(300)은 작물 ID 부여 모듈(301), 환경 정보 수집 모듈(302), 생장 정보 수집 모듈(303), 생육 환경 제어 모듈(304), 화분 마커(3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 farm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rop ID grant module 301 ,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2 , a growth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3 , a growth environment control module 304 , and a pollen marker 305 . .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작물 ID 부여 모듈(301)은 각 작물마다 ID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rop ID assignment module 301 may be configured to assign an ID to each crop.

환경 정보 수집 모듈(302)은 작물 ID 부여 모듈(301)에서 ID가 부여된 각 작물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2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crop to which an ID has been assigned by the crop ID assignment module 301 .

환경 정보 수집 모듈(302)은 온도 IoT 센서(302a), 습도 IoT 센서(302b), 광량 IoT 센서(302c), CO2 IoT 센서(302d), 농도 IoT 센서(302e)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IoT sensor 302a, a humidity IoT sensor 302b, a light quantity IoT sensor 302c, a CO2 IoT sensor 302d, and a concentration IoT sensor 302e.

온도 IoT 센서(302a)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IoT sensor 302a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emperature.

습도 IoT 센서(302b)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umidity IoT sensor 302b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humidity.

광량 IoT 센서(302c)는 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mount of light IoT sensor 302c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amount of light.

CO2 IoT 센서(302d)는 CO2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2 IoT sensor 302d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CO2 concentration.

농도 IoT 센서(302e)는 토양 영양분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IoT sensor 302e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 soil nutrient.

생장 정보 수집 모듈(303)은 작물 ID 부여 모듈(301)에서 ID가 부여된 각 작물의 생장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3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growth information of each crop to which an ID has been assigned by the crop ID assignment module 301 .

생장 정보 수집 모듈(303)은 카메라(303a), 작물 크기 측정부(303b), 작물 성숙도 판단부(303c), 병충해 판단부(303d)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mera 303a, a crop size measurement unit 303b, a crop maturity determination unit 303c, and a pest determination unit 303d.

카메라(303a)는 작물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303a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crops.

작물 크기 측정부(303b)는 카메라(303a)에서 촬영된 작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물 크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303a)와의 거리를 통해 해당 작물의 잎의 크기, 높이, 과일의 크기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crop size measuring unit 303b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crop size using the crop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03a. The size and height of the leaf of the corresponding crop, the size of the fruit, etc.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303a.

작물 성숙도 판단부(303c)는 카메라(303a)에서 촬영된 작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물 성숙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신 러닝과 같은 인공 지능을 작물이나 과일의 색상, 크기 등을 통해 생육 주기에 기반한 작물 성숙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crop maturity determining unit 303c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rop maturity by using the crop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03a.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machine learning can determine crop maturity based on the growth cycle through the color and size of crops or fruits.

병충해 판단부(303d)는 카메라(303a)에서 촬영된 작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물의 병충해 감염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신 러닝과 같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잎이나 과일의 병충해 감염을 판단할 수 있다.The pest determination unit 303d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crop is infected with pests by using the image of the crop captured by the camera 303a.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machine learning,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leaves or fruits are infected by pests.

한편, 생육 환경 제어 모듈(304)은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의 생육 환경 정보 송신 모듈(206)로부터 생육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module 304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6 of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to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corresponding crop.

생육 환경 제어 모듈(304)은 온도 조절부(304a), 습도 조절부(304b), 광량 조절부(304c), 급수 조절부(304d), 잡초 제거부(304e), 병충해 방지부(304f)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module 304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304a, a humidity control unit 304b,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304c, a water supply control unit 304d, a weed removal unit 304e, and a pest prevention unit 304f.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온도 조절부(304a)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4a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습도 조절부(304b)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umidity control unit 304b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humidity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광량 조절부(304c)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amount adjusting unit 304c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ight amount according to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급수 조절부(304d)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해당 작물에 대한 급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304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ater supply for the corresponding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잡초 제거부(304e)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잡초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잡초 제거는 씨앗이 묘종된 위치 또는 작물의 위치의 주변 영역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eed removal unit 304e may be configured to remove weeds according to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Weed removal may be effected over the area surrounding the location of the seed or the location of the crop.

병충해 방지부(304f)는 생육 환경 정보에 따라 해당 작물의 병충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병충해 방지는 병충해 방지약의 급여를 통해 할 수 있다.The pest prevention unit 304f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pests and diseases of the corresponding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Prevention of pests and pests can be done through the payment of pesticides.

급수 조절부(304d), 잡초 제거부(304e), 병충해 방지부(304f)는 팜봇(farmbot)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304d, the weed removal unit 304e, and the pest prevention unit 304f may be provided in the farmbot.

그리고 다른 한편, 화분 마커(305)는 각 작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 화분에 미리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on the other hand, the flowerpot marker 305 may be configured to be pre-attached to each flowerpot to identify each crop.

다른 한편, 배송 서버(400)는 시뮬레이션 게임 플레이에 의한 작물 육성의 결과에 따라 해당 수확물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도록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livery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o deliver the corresponding crop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owing the crop by the simulation game play.

작물 육성 최적화 서버(500)는 시뮬레이션 게임 플레이에 의한 원격 육성의 최적화 정보를 생성하여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optimization server 5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apply optimization information of remote cultivation by simulation game play.

작물 육성 최적화 서버(500)는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1), 생장 정보 데이터베이스(502), 생육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3), 최적화 정보 생성 모듈(504), 최적화 정보 자동 적용 모듈(50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Crop growth optimization server 5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base 501, a growth information database 502, a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3, an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504, and an automatic optimiz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module 505 can be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1)는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의 환경 정보 수신/전달 모듈(202)에서 수신되는 각 작물의 환경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1 may be configured to stor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crop received fro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ception/transmission module 202 of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생장 정보 데이터베이스(502)는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의 생장 정보 수신/전달 모듈(203)에서 수신되는 각 작물의 생장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information database 502 may be configured to store growth information of each crop received from the growth information receiving/transmitting module 203 of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생육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3)는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200)의 생육 환경 정보 송신 모듈(206)로부터 수신되는 생육 환경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3 may be configured to stor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6 of the simulation game server 200 .

최적화 정보 생성 모듈(504)은 소정 작물에 대해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되는 환경 정보, 생장 정보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되는 생장 정보, 생육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503)에서 저장되는 환경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각 환경 정보 별로 생장 정보가 가장 우수하게 되는 생육 환경 정보를 도출하여 최적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504 mutually exchang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base 501 for a given crop, the growth information stored in the growth information database 502,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3. By matching,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optimization information by deriving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in which growth information is the best for each environment information.

즉,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 정보와 생장 정보에 대해 각각의 사용자가 시시각각 다르게 조치하는 생육 환경 정보를 매칭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통해 어떠한 상태에서 어떠한 생육을 했을 때 작물이 잘 자라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반대로 어떠한 상태에서 어떠한 생육을 했을 때 작물이 잘 못자라거나 죽을 수 있는지도 미리 알 수 있다.That is, big data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changes every moment and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each user takes different actions from moment to moment on the growth information. Through such big data, it is possible to know in advance what kind of growth a crop will grow under what conditions. Conversely, it is possible to know in advance whether a crop may not grow well or die when it is grown under what conditions.

최적화 정보 생성 모듈(504)은 동종의 작물에 대해 각 사용자마다 각각 다르게 적용한 생육 환경 정보를 통해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적절한 생육 환경 정보와 적절하지 못한 생육 환경 정보에 대해 알 수 있다.The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504 may form big data through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differently applied to each user for the same kind of crop, and know about appropriat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and inappropriat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최적화 정보 자동 적용 모듈(505)은 최적화 정보 생성 모듈(504)에서 생성되는 최적화 정보를 다른 스마트 팜(300)에 자동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생육을 통한 대량 생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automatic optimiz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module 505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pply the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504 to another smart farm 300 . Through this, it can be applied to mass production through optimal growth.

게임 시뮬레이션 플레이는 재미를 통한 사용자의 코딩 능력 향상은 물론 다양한 실험을 통한 생육 빅데이터의 형성이 가능하며 최적의 생육 환경 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Game simulation play has the effect of not only improving the user's coding ability through fun, but also forming growth big data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deriving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ere will be.

100: 사용자 단말
101: 사용자/작물 확인 모듈
102: 환경 정보 모니터링 모듈
103: 생장 정보 모니터링 모듈
104: AR 작물 시뮬레이션 모듈
105: 화분 마커 인식 모듈
106: 코드 입력 모듈
107: 코드 생성 모듈
108: 코드 송신 모듈
200: 시뮬레이션 게임 서버
201: 사용자/작물 연동 모듈
202: 환경 정보 수신/전달 모듈
203: 생장 정보 수신/전달 모듈
204: 코드 수신 모듈
205: 코드 실행 모듈
206: 생육 환경 정보 송신 모듈
207: 생장 상태 등급 부여 모듈
208: 수확물 차등 지급 모듈
300: 스마트 팜
301: 작물 ID 부여 모듈
302: 환경 정보 수집 모듈
302a: 온도 IoT 센서
302b: 습도 IoT 센서
302c: 광량 IoT 센서
302d: CO2 IoT 센서
302e: 농도 IoT 센서
303: 생장 정보 수집 모듈
303a: 카메라
303b: 작물 크기 측정부
303c: 작물 성숙도 판단부
303d: 병충해 판단부
304: 생육 환경 제어 모듈
304a: 온도 조절부
304b: 습도 조절부
304c: 광량 조절부
304d: 급수 조절부
304e: 잡초 제거부
304f: 병충해 방지부
305: 화분 마커
400: 배송 서버
500: 작물 육성 최적화 서버
501: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502: 생장 정보 데이터베이스
503: 생육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504: 최적화 정보 생성 모듈
505: 최적화 정보 자동 적용 모듈
100: user terminal
101: User/Crop Verification Module
102: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3: growth information monitoring module
104: AR crop simulation module
105: flowerpot marker recognition module
106: code entry module
107: code generation module
108: code sending module
200: simulation game server
201: user/crop link module
202: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ing/delivery module
203: growth information receiving / transmitting module
204: code receiving module
205: code execution module
206: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07: Growth status grading module
208: Harvest Differential Payment Module
300: smart farm
301: Crop ID grant module
302: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2a: temperature IoT sensor
302b: Humidity IoT sensor
302c: light quantity IoT sensor
302d: CO2 IoT sensor
302e: Concentration IoT Sensor
303: growth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03a: camera
303b: crop sizing unit
303c: Crop maturity judgment unit
303d: Pest and Pest Determination Unit
304: growth environment control module
304a: temperature control unit
304b: humidity control unit
304c: light amount control unit
304d: water supply control unit
304e: weed removal unit
304f: Pest Prevention Department
305: flowerpot marker
400: delivery server
500: Crop Growth Optimization Server
501: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2: growth information database
503: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database
504: optimiz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505: Optimization information automatic application module

Claims (3)

사용자의 작물을 원격 육성하는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작물 육성을 자동 수행하는 스마트 팜을 포함하는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remotely cultivating a user's crops;
An experiential smart farm interlocking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including a smart far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crop cultivation by remote control of each user's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용자의 작물 육성의 결과에 따라 해당 수확물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xperiential smart farm interlocking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livery server that processes to deliver the corresponding crop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each user's crop cultiv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물은,
각 사용자의 원격 육성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스마트 팜 연동 작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rvest,
An experiential smart farm linked crop cultivation simulation g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ially paid according to each user's remote cultivation result.
KR1020200133245A 2020-10-15 2020-10-15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KR102476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45A KR102476012B1 (en) 2020-10-15 2020-10-15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45A KR102476012B1 (en) 2020-10-15 2020-10-15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755A true KR20220049755A (en) 2022-04-22
KR102476012B1 KR102476012B1 (en) 2022-12-12

Family

ID=8145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45A KR102476012B1 (en) 2020-10-15 2020-10-15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0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482A (en) * 2008-01-11 2009-07-15 이종성 On-line game service system with subject of cyber farm management
KR101799995B1 (en) * 2016-11-25 2017-11-22 (주)덩키닥터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based on online integration platform
KR20180060980A (en) 2016-11-28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KR20200044604A (en) 2018-10-20 2020-04-29 주식회사 지농 Smart Farm Control System Using Smart Farm Control Hist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482A (en) * 2008-01-11 2009-07-15 이종성 On-line game service system with subject of cyber farm management
KR101799995B1 (en) * 2016-11-25 2017-11-22 (주)덩키닥터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based on online integration platform
KR20180060980A (en) 2016-11-28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KR20200044604A (en) 2018-10-20 2020-04-29 주식회사 지농 Smart Farm Control System Using Smart Farm Control His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012B1 (en)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6130A (en) Agri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is planted and whole process is traced to the source platform and method
US20160302351A1 (en) Agronomi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JP2019187259A (en) Culture support method, culture support program, culture support device and culture support system
US20200311828A1 (en) A hand held device for economic agricultural management
Khandelwal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agriculture: An emerging era of research
JP2021128756A (en) Futures Trading Information Display Program
Sathanapriya et al. Analysis of Hydroponic System Crop Yield Prediction and Crop IoT-based monitoring system for precision agriculture
JP202208263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armilan E-agricultural concepts for improving productivity: A review
KR20210149622A (en) VR-based smart farm education system
KR20200046248A (en)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of plant based on smart farm
KR102476012B1 (en) Experience-based smart farm-linked crop development simulaiton game system
CN107092891A (en) A kind of paddy rice yield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achine vision technique
CN116186392A (en) Citrus variety planting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517894B1 (en)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grigulture information
KR20210067256A (en) Online Vertical Farm Management System Using Digital Twin
Rai et al.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in Agriculture with Some Examples
Kulkarni Automatic agriculture crop yield production maintenance system based on remote monitoring techniques in cloud environment
Chibuike et al. IoT Applications in Agriculture: Impacts and Challenges (A Review)
Upadhyaya Artificial Intelligence Emergence in Agriculture
Taylor In the Spotlight
Jain et al. Ubiquitous Sensor-Based Internet of Things Platform for Smart Farming
Dhaya et al. Data Fusion For Intelligent Decision Making in Agriculture Resource Management
Metkewar et al. 2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Langvad et al. (Re)-innovating tools for decision-support in the light of farmers’ various strate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