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457A -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457A
KR20220044457A KR1020220036830A KR20220036830A KR20220044457A KR 20220044457 A KR20220044457 A KR 20220044457A KR 1020220036830 A KR1020220036830 A KR 1020220036830A KR 20220036830 A KR20220036830 A KR 20220036830A KR 20220044457 A KR20220044457 A KR 2022004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channel audio
format
format conversion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824B1 (ko
Inventor
유재현
이태진
이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4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457A/ko
Priority to KR102023006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따른 제2 포맷 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제공방법은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에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한다. 식별한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의하여,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으로 변환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Description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UDIO METADATA ENCODING AND AUDIO DATA PLAYING APPARATUS FOR SUPPORTING DYNAMIC FORMAT CONVERS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BY THE APPAR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DYNAMIC FORMAT CONVERSIONS}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포맷들 간의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3DTV, 3D씨네마, UHDTV 등 차세대 콘텐츠 재생 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면서 오디오도 다채널 라우드스피커를 사용하는 음향 재생 환경으로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영화관 및 HDTV를 위한 입체 음향인 5.1채널 시스템 이후 상향 채널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채널 오디오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ITU-R에서는 최근 Recommendation BS.2051을 제정하여 10.2채널, 13.1채널, 22.2채널 등을 비롯한 총 8개의 다채널 포맷을 차세대 오디오 시스템(advanced sound system)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앞으로는 다양한 포맷에 기반을 둔 오디오 콘텐츠들이 제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하나의 포맷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다른 포맷에서 재생될 가능성 또한 매우 높기 때문에, 콘텐츠 간 적절한 변환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콘텐츠의 다채널 오디오 포맷으로부터 재생 환경 측의 새로운 다채널 오디오 포맷으로 포맷 변환을 함에 있어서 일괄적인 변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괄 변환 방법은 콘텐츠 저작자의 저작 의도를 훼손할 수 밖에 없으며, 의도와 다른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포맷 간에 저작자의 저작 의도가 완벽히 유지될 수 있게 포맷을 변환하는 동적 포맷 변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방법 및 동적 포맷 변환 방법에 따라 포맷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장치, 방법 그리고 동적 포맷 변환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따른 제2 포맷 간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담긴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식별하여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한 후 재생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변환 정보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은, 상기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제1 포맷에 따라 제작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의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의 포맷 변환 방식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변환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은, 상기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은 제1 포맷에 따라 제작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의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의 포맷 변환 방식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변환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포맷 간에 저작자의 저작 의도가 완벽히 유지될 수 있게 포맷을 변환하는 동적 포맷 변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방법 및 동적 포맷 변환 방법에 따라 포맷을 변환하여 재생하는 장치, 방법 그리고 동적 포맷 변환 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담긴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식별하여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한 후 재생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와 오디오 메타데이터 및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일괄적으로 변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포맷 변환 정보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하여 포맷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가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 이후 이를 재생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110)와 오디오 메타데이터(140) 및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변환 정보 식별부(120) 및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140)를 생성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정보 식별부(120)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에게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정보 식별부(120)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정보 식별부(120)에서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가 제공된다.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에 식별된 복수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의 각 포맷 변환 방식을 매트릭스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메타데이터에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와 함께 메타데이터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예를 들어, 저작자, 음반 제목, 출시 년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110)로부터 동적 포맷 변환 정보(150)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14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140)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150)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140)는 실시간으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에 전송되거나, 또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에 미리 전송되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의 버퍼, 메모리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메타데이터(140)는 CD-ROM, CD-RW, DVD-R, DVD-RW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 있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의하여 포맷 간에 변환을 수행한 후 이를 재생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가 제공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동적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170)와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로 포맷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 및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식별부(170)는 오디오 메타데이터(140)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에 해당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식별부(170)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 중 제2 포맷에 대응 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선택하여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는 식별한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의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다채널 오디오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으로 변환한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제1 포맷과 제2 포맷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는 재생 시간에 따라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로부터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구간을 식별하고,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서 해당 재생 구간에 설정된 포맷 변환 방식을 식별하여 제1 포맷과 제2 포맷간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의하여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른 포맷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변환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포맷 변환 방식을 반복되게 사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가 제공된다. 제2 포맷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환경에 기초하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출력부로 구성된다.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는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각 채널에 대응되는 스피커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는 출력부에 연결된 스피커의 개수를 파악하여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을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부(190)는 스피커의 개수뿐만 아니라 각 스피커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재생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재생 환경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일괄적으로 변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포맷인 제1 포맷에 맞추어 제작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측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포맷인 제2 포맷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2 포맷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포맷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하는 제2 포맷이 제1 포맷과 다른 경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일괄적인 포맷 변환 방식(200)에 따라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제1 포맷은 10.2채널 포맷이라 가정하자. 일괄적인 포맷 변환 방식(200)에 따르면, 제2 포맷이 5.1채널 포맷인 경우, 청자의 좌측 전면 스피커 L은 제1 포맷의 좌측 전면 스피커 L과 좌측 상단 스피커 LH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으로 결정된다. 또 다른 예로써, 제2 포맷이 7.1채널 포맷인 경우, 우측 후면 스피커 RB는 제1 포맷의 우측 후면 스피커 RB와 중앙 스피커 CH의 선형 결합으로 결정된다.
일괄적인 포맷 변환 방식(200)에 따르면, 포맷 변환 방식은 채널간의 선형 결합으로 주어지게 되어 비선형 변환은 불가하다. 또한, 재생 구간 별로 포맷 변환 방식이 변화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하나 이상의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동적 변환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제1 포맷과 제2 포맷간의 비선형 변환을 지원하는 포맷 변환 방식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동적 포맷 변환 정보(310)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예를 들어, 포맷 변환 방식 K(320), L(340) 그리고 M(330))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포맷 변환 방식은 동일한 제2 포맷으로 포맷을 변환한다. 다만, 변환 하는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면, 포맷 변환 방식 K(320)는 제1 포맷의 복수의 좌측 스피커 Left1과 Left2의 선형 결합으로 제2 포맷의 좌측 스피커 Left의 출력 데이터를 결정한다. 포맷 변환 방식 M(330)은 제1 포맷의 복수의 좌측 스피커 중 하나인 Left1 만으로 제2 포맷의 좌측 스피커 Left의 출력 데이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변환 방식은 비선형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로부터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포맷 변환 방식을 식별하여 변환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재생 구간 t=0에서 t=t1까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포맷 변환 방식 K(320)에 의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후의 재생 구간 t=t1에서 t=t2까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포맷 변환 방식 M(330)에 의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재생 구간 t=t3에서 t=t4까지는 포맷 변환 방식 L(340)에 의하여 변환을 수행하고, 이후의 재생 구간에서도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포맷 변환 정보(310)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포맷 변환 방식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할 수 있다. 도3을 예로 들면, 포맷 변환 방식 K(320)는 재생 구간 t=0에서 t=t1뿐만 아니라, 재생 구간 t=t2에서 t=t3에서도 다시 설정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맷 변환 방식은 일괄적인 포맷 변환 방식이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에 의한 변환뿐만 아니라 비선형 변환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각각의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3을 예로 들면, 재생 구간 t=t1에서 t=t2와 재생 구간 t=t7에서 t=t8은 서로 같은 재생 길이를 가질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오디오 메타데이터(140)는 하나 이상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에 해당하는 동적 변환 정보를 선택하여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한다. 재생 환경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4를 예로 들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이 22.2채널 포맷이고,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이 10.2채널 포맷이라 가정하자.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의 데이터 식별부(170)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의 복수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들(420, 430) 중에서 제2 포맷에 대응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1(420)을 식별한다. 마찬가지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이 5.1채널 포맷이라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의 데이터 식별부(170)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2(430)를 식별할 것이다.
앞서 가정한 10.2채널 포맷에서,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는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1(420)에 의하여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한다. 즉,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180)는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440)을 기초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구간 t=0에서 t=t1까지는 포맷 변환 방식 K(450)에 의하여 변환하고, 재생 구간 t=t1에서 t=t2까지는 포맷 변환 방식 M(460)에 의하여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각각의 재생 구간의 재생 길이도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포맷 변환 방식 K(450)는 재생 구간 t=0에서 t=t1에서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의 재생 구간에서도 반복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구간 t=0에서 t=t1과 재생 구간 t=t1에서 t=t2의 재생 길이도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하여 포맷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서 각각의 포맷 변환 방식들은 변환 매트릭스들(530,540)로 저장될 수 있다. 변환 매트릭스들은 다채널 오디오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다.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제1 포맷 채널 매트릭스를 변환 매트릭스에 적용하여 제2 포맷 채널 매트릭스를 출력함으로써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들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는 10.2채널 포맷(제1 포맷)으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제작(510)했다고 가정하고,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5.1채널 포맷(제2 포맷)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포맷 변환(550)을 참고하면,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제1 포맷 채널 매트릭스(580)(채널 매트릭스의 각 원소는 각 채널에 대응된다)를 변환 매트릭스(570)에 적용하여 제2 포맷 채널 매트릭스(560)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포맷을 변환한다. 따라서, 도 5의 경우, 제1 포맷인 10.2채널 포맷은 열두 개의 채널을 가지고 제2 포맷인 5.1채널 포맷은 여섯개의 채널을 가지므로, 포맷 변환 방식에 대한 정보를 담은 변환 매트릭스들(530,540)은 6행 12열로 구성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재생 구간별로 설정된 포맷 변환 방식에 맞추어 변환 매트릭스(570)를 교체하여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520)에서, 재생 구간 t=0에서 t=t1까지 변환 방식 K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재생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변환 매트릭스(570)를 변환 방식 K에 대한 변환 매트릭스(530)로 설정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재생 구간 t=t1에서 t=t2까지 변환 방식 M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재생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는 변환 매트릭스(570)를 변환 방식 M에 대한 변환 매트릭스(540)로 설정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가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한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장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에게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예를 들어, 저작자, 음반 제목, 출시 년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복수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오디오 메타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의 각 포맷 변환 방식을 매트릭스의 형태(예를 들어, 도 5의 변환 매트릭스들(530, 540))로 오디오 메타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 이후 이를 재생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710)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로 수신되거나, 또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에 미리 전송되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의 버퍼, 메모리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메타데이터는 CD-ROM, CD-RW, DVD-R, DVD-RW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수신될 수 있다.
단계(720)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이 다를 경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에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메타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의 제2 포맷에 대응하는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오디오 메타데이터에서 식별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것이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의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이 설정된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동적 포맷 변환 정보의 재생 구간 별로 설정된 포맷 변환 방식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730)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식별한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의하여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환하는 재생 구간은 동적 변환 정보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맷 변환 방식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변환하거나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변환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각 채널에 대응되는 스피커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이 서로 동일할 경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는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0 : 동적 포맷 변환 정보
320 : 포맷 변환 방식 K
330 : 포맷 변환 방식 M
340 : 포맷 변환 방식 L

Claims (11)

  1.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따라 제2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은,
    상기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다채널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되는 다채널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은,
    상기 스피커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피커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다채널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5. 제1 포맷에 따라 제작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따라 제2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 변환 방식들은,
    상기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포맷 변환 정보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설정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은,
    상기 스피커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피커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은,
    서로 동일한 재생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생 길이를 가지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포맷 변환 방식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구간 별로 서로 다르게 변환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되게 변환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1.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저작자가 설정한 제1 포맷과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에 기초한 제2 포맷 간의 동적 포맷 변환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 메타데이터
    가 기록되고,
    상기 제1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스피커들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동적 포맷 변환 정보에 따라 제2 포맷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036830A 2014-09-24 2022-03-24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3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564A KR20230071107A (ko) 2014-09-24 2023-05-12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751 2014-09-24
KR1020140127751 2014-09-24
KR1020210035360A KR102380279B1 (ko) 2014-09-24 2021-03-1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60A Division KR102380279B1 (ko) 2014-09-24 2021-03-1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564A Division KR20230071107A (ko) 2014-09-24 2023-05-12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457A true KR20220044457A (ko) 2022-04-08
KR102533824B1 KR102533824B1 (ko) 2023-05-26

Family

ID=5579928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45A KR101993348B1 (ko) 2014-09-24 2015-04-2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73485A KR102231750B1 (ko) 2014-09-24 2019-06-20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35360A KR102380279B1 (ko) 2014-09-24 2021-03-1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0036830A KR102533824B1 (ko) 2014-09-24 2022-03-24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30061564A KR20230071107A (ko) 2014-09-24 2023-05-12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45A KR101993348B1 (ko) 2014-09-24 2015-04-2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73485A KR102231750B1 (ko) 2014-09-24 2019-06-20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35360A KR102380279B1 (ko) 2014-09-24 2021-03-18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564A KR20230071107A (ko) 2014-09-24 2023-05-12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3) JP6663147B2 (ko)
KR (5) KR101993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003125SA (en) * 2017-10-04 2020-05-28 Fraunhofer Ges Forschu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coding, decoding, scene processing and other procedures related to dirac based spatial audio coding
KR102062260B1 (ko) * 2017-11-23 2020-01-03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62757A1 (ja) * 2022-09-21 2024-03-28 ヤマハ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233A (ko) * 2008-04-16 200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120016981A (ko) * 2010-08-17 2012-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채널 오디오 호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210797B1 (ko) * 2004-10-28 2012-12-10 디티에스 워싱턴, 엘엘씨 오디오 공간 환경 엔진
WO2013192111A1 (en) * 2012-06-19 2013-12-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Rendering and playback of spatial audio using channel-based audio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079A (ja) * 1992-11-25 199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ャンネルステレオ用ダウンミキシング装置
JP4859925B2 (ja) * 2005-08-30 2012-01-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9014377B2 (en) * 2006-05-17 2015-04-21 Creative Technology Ltd Multichannel surround format conversion and generalized upmix
JP2008288935A (ja) * 2007-05-18 2008-11-27 Panasonic Corp 音声処理装置
CN102007533B (zh) * 2008-04-16 2012-12-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处理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JP5174527B2 (ja) * 2008-05-14 2013-04-03 日本放送協会 音像定位音響メタ情報を付加した音響信号多重伝送システム、制作装置及び再生装置
JP5417227B2 (ja) 2010-03-12 2014-02-12 日本放送協会 マルチチャンネル音響信号のダウンミック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97B1 (ko) * 2004-10-28 2012-12-10 디티에스 워싱턴, 엘엘씨 오디오 공간 환경 엔진
KR20090110233A (ko) * 2008-04-16 200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120016981A (ko) * 2010-08-17 2012-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채널 오디오 호환 시스템 및 방법
WO2013192111A1 (en) * 2012-06-19 2013-12-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Rendering and playback of spatial audio using channel-based audi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63A (ko) 2021-03-29
KR20160035963A (ko) 2016-04-01
KR102380279B1 (ko) 2022-03-30
KR102231750B1 (ko) 2021-03-25
KR102533824B1 (ko) 2023-05-26
JP2016072973A (ja) 2016-05-09
JP6663147B2 (ja) 2020-03-11
KR20190076934A (ko) 2019-07-02
JP6912612B2 (ja) 2021-08-04
JP2020092439A (ja) 2020-06-11
JP2021170798A (ja) 2021-10-28
KR20230071107A (ko) 2023-05-23
JP7166398B2 (ja) 2022-11-07
KR101993348B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279B1 (ko)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82761B1 (ko) 비트스트림에서 오디오 렌더링 정보의 시그널링
US11671780B2 (en) Audio meta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ultichannel audio dat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dynamic format conversion
US20070021961A1 (en)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JP6407155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生成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装置
JP2017534911A5 (ko)
JP6174326B2 (ja) 音響信号作成装置及び音響信号再生装置
KR102243395B1 (ko) 오디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 오디오 재생 장치
KR101915258B1 (ko)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TW202007191A (zh) 在後向相容音訊位元串流中內嵌增強式音訊傳輸
CN110191745B (zh) 利用空间音频的游戏流式传输
KR102220527B1 (ko) 오디오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2370348B1 (ko)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421292B1 (ko) 오디오 객체 신호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0983A (ko)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80121452A (ko)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70095105A (ko) 하이브리드 오디오 신호의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19041A (ja) 音響信号変換装置、音響信号変換方法、音響信号変換プログラム
KR20110102719A (ko)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