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46A -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 Google Patents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46A
KR20220040646A KR1020200123572A KR20200123572A KR20220040646A KR 20220040646 A KR20220040646 A KR 20220040646A KR 1020200123572 A KR1020200123572 A KR 1020200123572A KR 20200123572 A KR20200123572 A KR 20200123572A KR 20220040646 A KR20220040646 A KR 2022004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toon
user
cut image
special effec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경
Original Assignee
김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경 filed Critical 김해경
Priority to KR102020012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646A/en
Publication of KR2022004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toon providing system. The system comprises: a webtoon server for providing webtoon content; and a user terminal having a webtoon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to play a webtoon and connected to the webtoon server through a network. The webtoon content provided by the webtoon serv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cut images, and the cut images have special effects including sound field effects and animation effects inserted thereinto. The webtoon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cut images; the operation of moving the received cut images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special effects exist in the moved cut images; and the operation of playing the special effects.

Description

특수 효과를 갖는 웹툰 및 웹툰 제공 시스템{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Webtoon and webtoon providing system with special effects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웹툰 및 웹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장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와 같은 특수효과를 갖는 웹툰 및 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toon and a webtoon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btoon having a special effect such as a sound field or animation effect, and a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최근 인터넷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인터넷은 새로운 생활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 그 보급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ternet-related technologies, the Internet is creating a new lifestyle. Smartphones, whose penetration rate is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re positioning themselves as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a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mobile phones.

이러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만화 시장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였는 바, 대본소와 서점용 단행본에서 디지털 형식인 웹툰으로 변형되었다.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는 만화를 통칭한다. Due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 great change occurred in the comics market, and it was transformed from monographs for script and bookstores to digital webtoons. Webtoon is a compound word of web and cartoon, and refers to comics that are serviced through the Internet.

웹툰 초기에는 감성적인 내용이나 일상을 다룬 짧은 에피소드 형식이었으나 점차 서사구조를 이루고 세로 스크롤을 이용한 특유의 연출방식이 활용되며 발전하고 있다. 만화 대여점과 스캔 만화의 위협으로 인해 국내의 오프라인 출판 만화 시장은 계속 축소되고 있으나, 웹툰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고 서비스되며 국내 만화 시장의 중심이 되고 있다.In the early days of webtoons, it was a short episode format dealing with emotional content or daily life, but it gradually forms a narrative structure and develops with a unique directing method using vertical scrolling. Although the domestic offline publishing comics market continues to shrink due to the threat of comic book rental shops and scanned comics, webtoons are evolving into new forms and being servic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becoming the center of the domestic comics market.

웹툰과 기존 만화의 가장 큰 차이는 컷 분할에 있다. 기존 만화를 스마트폰에서 읽으려면 종이 서적용 그림을 화면이 작은 장치에 표시하게 되므로 그림이 일그러지거나 자잘한 부분은 핀치 조작 등으로 확대해야 했다. 그러나 웹툰에서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알맞게 세로 방향으로 한 컷씩 배치하여 통상적으로 세로 스크롤을 통해 읽어나가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웹툰에 이용되는 원고 크기 역시 세로가 가로에 비해 매우 긴 구조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현재 웹툰을 재생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세로 스크롤만을 지원하고 있으며 가로 스크롤은 지원하지 않는다.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webtoons and existing cartoons is in the division of cuts. In order to read the existing manga on a smartphone, pictures for paper books are displayed on a device with a small screen. However, in webtoons, one cut is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t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nd is usually read through vertical scrolling. Due to this, the size of the manuscript used for webtoons also has a structure that is very long compared to the width. Therefore, only vertical scrolling is supported in the current application for playing webtoons, but not horizontal scrolling.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세로 스크롤을 통해 웹툰 컨텐츠를 즐기기 보다는 가로 스크롤을 통해 웹툰을 보고자 하는 사용자도 존재하는데 현재 웹툰의 구조에서는 가로 스크롤을 지원하지 않아 일부의 사용자들에게는 불편함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However, some users prefer to view webtoons through horizontal scrolling rather than enjoying webtoon contents through vertical scrolling.

또한 웹툰은 웹툰을 읽는 속도와 내용의 흐름을 사용자가 웹툰을 읽는 속도에 맞춰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현재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VR 툰이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에 비교하여 음장 효과나 애니메이션 효과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가 없고 이용자가 웹툰의 그림과 텍스트에만 집중해야하기 때문에 전술한 VR 툰 컨텐츠나 애니메이션 컨텐츠에 비해 재미나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webtoons are convenient because the user can adjust the speed of reading webtoons and the flow of content according to the speed of reading webtoons.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effect such as the above, and the user has to focus only on the pictures and texts of the webto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 or interest is lowered compared to the VR toon contents or animation cont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자칫 흥미나 재미나 떨어질 수 있는 웹툰의 단점을 보완하여 음장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갖는 웹툰 및 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toon having a sound field or animation effect and a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webtoon, which may be less interesting or fun, as an invention devised based on the above problem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웹툰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웹툰 서버 및 웹툰을 재생하기 위한 웹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웹툰 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ebto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webtoon server for providing webtoon content and a webtoon application for playing webtoon installed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toon server through a network is provided provided

웹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툰 컨텐츠는 복수의 컷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컷 이미지에는 음장 효과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하는 특수효과가 삽입되어 있다.The webtoon content provided by the webtoon serv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cut images, and a special effect including a sound field effect or an animation effect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ut images.

또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컷 이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컷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이동된 컷 이미지 내에 특수효과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특수효과를 재생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ebtoon application includes: receiving the cut image; moving the received cut imag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moved cut image;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is configured to perform

전술한 양태에서 컷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세로방향 스크롤 또는 가로방향 스크롤에 의해 수행된다.In the above aspect,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ut image is performed by vertical scrolling or horizontal scrolling input by a user.

전술한 양태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된 컷 이미지 내에 특수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특수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 aspect, the webtoon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on the user's screen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special effect exis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moved cut image.

전술한 양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로방향 스크롤이 입력되면 특수효과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above aspect, the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play a special effect when a horizontal scroll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전술한 양태에서 컷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세로방향 스크롤 또는 가로방향 스크롤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에 의해 세로방향 스크롤이 발생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세로방향 스크롤의 길이만큼 컷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가로방향 스크롤이 발생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세로방향 해상도만큼 컷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In the above aspect,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ut image is performed by vertical scrolling or horizontal scrolling input by the user, and when vertical scrolling is genera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moves the cut image up and down by the length of the vertical scroll. and when horizontal scrolling is genera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moves the cut image up and down by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그림과 텍스트로 이루어진 웹툰에 음장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웹툰의 이용자가 보다 흥미롭게 재미있게 웹툰을 즐길 수 있는 음장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갖는 웹툰 및 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btoon having a sound field or animation effect that allows users of the webtoon to enjoy the webtoon in a more interesting and fun way by giving a sound field or animation effect to a webtoon composed of existing pictures and text, and a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컷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컷 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수효과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컷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로방향 스크롤을 통한 화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시스템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 image used in the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displaying a special effect using a cut image used in the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screen movement through horizontal scrolling using a cut image used in the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webtoon application in the webto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the terms used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도 1은 웹툰 시스템(10)의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툰 시스템은 웹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툰 서버(100)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툰 서버(100)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a webtoon system 10 . As shown in FIG. 1 , the webtoon system includes a webtoon server 100 that provides a webtoon service and one or more user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webtoon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웹툰 서버(100)에는 웹툰 컨텐츠가 제작되어 저장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웹툰 서버(100)에 접속하고 보기 희망하는 웹툰 컨텐츠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웹툰 컨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Webtoon content is produced and stored in the webtoon server 100 , and when a user accesses the webtoon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elects a desired webtoon content to view, the webtoon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 will become

사용자 단말(200)은 일반적인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PC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palm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eb pad,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as well as a general desktop computer, It may be configured as a terminal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having an arithmetic capability.

또한 사용자 단말(200)에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용 웹툰 애플리케이션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edicated webtoon application for playing webtoo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

도 2는 사용자 단말(200)과 웹툰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많은 수가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이하에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ebtoon server 100 . The user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smart phone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in large numbers.

스마트폰(200)은 프로세서(210), 통신수단(213), 입출력수단(230), 디스플레이(240)을 포함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와 같은 저장수단, 및 데이터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는 전술한 구성요소들(210~240215)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컨대,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가능하게 한다.The smartphone 200 includes a processor 210, a communication means 213, an input/output means 230, and a display 240, and although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and a data bus. . The data bus connects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210 to 240215 with each other and enables communication (eg, control messages or data) between the components.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컨대 스마트폰(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The processor may execute, for example, an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and/or communication of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smartphone 200 .

또한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화면 데이터를 예컨대, 웹툰 제공 서버(100)와 같은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 수단(220)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10 may generate screen data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40 . In addition,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means 220 to receive screen data from another device such as the webtoon providing server 100 .

프로세서(210)는 예컨대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셀룰러 모듈)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system on chip (SoC).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10 may further include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nd/or an image signal processor.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eg, a cellular module). The processor 210 may load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other components (eg, a non-volatile memory) into a volatile memory for processing, and store the result data in the non-volatile memory.

입출력수단(2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스마트폰(2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컨대 터치 패널, 펜 센서, 키,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는 바람직하게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The input/output means 230 includes an input/output interface, which transmits commands or data input from a user or other external device to other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200 , or other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200 .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s) can be output to the user or other external device. The input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touch panel, a pen sensor, a key, or an ultrasonic input device, but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touch panel.

디스플레이(240)는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 및/또 는 각종 정보(예컨대,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제어 하에 화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24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eg, text, images, video, icons, and/or symbols, etc.) and/or various information (eg, multimedia data or text data, etc.) to the user. The display 24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display. The display 240 may display screen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통신수단(220)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컨대, 웹툰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컨대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라디오 프리퀀시(RF)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2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eg, the webtoon server 100 ). Wireless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reless Broadband (WiBro),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may include cellular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and the lik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 RF)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이와 같은 스마트 폰에는 전용 웹툰 애플리케이션(250)이 설치되어 있고, 전용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의 구성요소를 통해 웹툰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입출력 수단, 예를 들면 사용자의 화면 스크롤 방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에 웹툰을 표시하게 된다.A dedicated webtoon application 250 is installed in such a smart phone, and the dedicated webtoon application receives the webtoon content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input/output means, for example, the user's screen scrolling direction. It detects and displays the webtoon on the display.

웹툰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수단(120),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데이터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btoon server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 a communication means 120 , and a database 130 , and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an input/output interface, and a data bus, although not shown.

데이터 베이스에는 웹툰의 컷 이미지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227)에는 컷 이미지 정보, 이미지 위치 정보, 썸네일 이미지 정보, 및 애니메이션 컨텐츠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Cut images of webtoon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The storage device 227 may store cut image information, image location information, thumbnail image information, and animation content in association.

프로세서(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instructions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the memory.

통신수단(120)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스마트폰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ans 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and provide a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smart phone.

도 3은 웹툰에 이용되는 컷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의 (A)는 컷 이미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B)는 컷 이미지가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ut image used in a webtoon, FIG. 3 (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ut image, FIG. 3 (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cut image is reproduced on a smartphone It is als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툰 컨텐츠는 복수의 컷 이미지(300)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컷 이미지(300)의 각각은 복수의 씬(scene)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 the webtoon conten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ut images 300 ,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ut images 300 consists of a plurality of scenes.

이와 같이 웹툰에 이용되는 복수의 컷 이미지 각각은 가로 방향에 비해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형태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로 690픽셀 X 세로 7000픽셀, 가로 760 픽셀 X 세로 7000픽셀로 이루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가 특정한 규격으로 규정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cut images used in the webtoon is configur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here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in some cases, may be formed in a form whose length is not specified by a specific standard.

이와 같이 장방형의 컷 이미지가 스마트폰(200)에서 표시될 때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로의 픽셀이 고정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이미지(3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일부의 이미지들은 표시되지 않는다.As such, when the rectangular cut image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200, horizontal pixels are fixed and displayed by the application, so as shown in FIG. 3B, som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ut image 300 images are not displayed.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200)의 화면에서 세로 방향 스크롤을 이용하여 컷 이미지를 이용시켜 스마트폰에 표시되지 않은 씬들을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scenes not displayed on the smartphone by using the cut image by using vertical scrolling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20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웹툰의 컷 이미지에는 숨겨진 속성이 제공되고, 숨겨진 속성은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과 같은 특수 효과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hidden properties are provided in the cut image of the webt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idden properties include special effects such as sound, video, and animation.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은 서버에서 작성되어 저장되는 웹툰 컨텐츠를 구성하는 컷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툰 컨텐츠는 컨텐츠 이름, 해당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컷 이미지, 컷 이미지에 포함되는 효과, 컷 이미지내에서의 효과의 위치, 효과가 저장된 장소를 포함하는 링크를 데이터베이스에 컷 이미지들과 함께 저장한다.Table 1 is a table for explaining cut images constituting webtoon content created and stored in the server. As shown in Table 1, the webtoon content cuts the link including the content name, the cut image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effect included in the cut image, the location of the effect in the cut image, and the location where the effect is stored in the database. Save with images.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웹툰1의 컷이미지 1번(CI_01)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하면 서버는 해당하는 컷 이미지(CI_01)와, 특수 효과의 유무 정보, 특수 효과의 위치 정보, 및 특수 효과가 저장된 곳의 링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alls the cut image number 1 (CI_01) of Webtoon 1 through the application, the server stores the cut image (CI_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effects, location information of special effects, and the location where the special effects are stored. of link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웹툰의 컷 이미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컷 이미지 내에 특수 효과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특수 효과가 이미지 내 어는 곳에 포함되어 있는지, 그리고 특수효과를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cut image of the webto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pecial effect is included in the received cut image, where the special effect is included in the image, and where the special effect is stored. do.

즉, 하나의 컷 이미지가 표 1에서 CI_01 컷 이미지에 대응하고, 컷 이미자가 760(px) X 7000(px)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면, 서버는 이 컷 이미지를 송신하면서, 이 컷 이미지가 특수효과를 포함하고 있고, 특수 효과가 세로 4400PX 지점에 위치되어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가 저장된 위치를 전송하게 되고,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이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특수 효과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들려주게 된다.That is, assuming that one cut image corresponds to the CI_01 cut image in Table 1, and the cut image consists of 760 (px) X 7000 (px), the server transmits this cut image, contains, and the special effect is located at the vertical 4400PX point, and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special effect is stored is transmitted, and the webtoon application calls the corresponding special effect based on this information to display it on the screen or auditory will be heard as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수 효과의 유무, 특수 효과의 위치 및 특수 효과의 저장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pecial effec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pecial effect, the location of the special effect, and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pecial effect as described abov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툰 애플리케이션(250)은 웹툰 서버(100)로부터 컷 이미지(300)를 수신한다. 이때 웹툰 애플리케이션(250)은 웹툰 서버(100)로부터 특수 효과의 유무(유), 특수 효과의 위치(L4400PX), 및 특수 효과의 저장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As shown in FIG. 4 , the webtoon application 250 receives the cut image 300 from the webtoon server 100 . At this time, the webtoon application 250 receives from the webtoon server 100 whether there is a special effect (existence), the location of the special effect (L4400PX), and the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al effect.

이후 애플리케이션(250)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컷 이미지를 위쪽으로부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특수 효과의 위치(L4400PX)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는 일반적인 웹툰과 같이 씬01과 씬02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Then, the application 250 displays the cut image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from above as shown in (A) of FIG. At this time, since the location of the special effect (L4400PX)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n image including a part of scene 01 and scene 0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like a general webtoon.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세로 스크롤을 통해 컷 이미지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효과를 포함하는 위치(세로 4400PX)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위치되게 된다.Afterwards, when the user pushes up the cut image through vertical scrolling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 position including a special effect (vertical 4400PX) is located i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as shown in (B) of FIG. .

애플리케이션은 특수 효과를 포함하는 위치(컷 이미지에서 세로 4400PX)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런 경우 특수 효과가 포함된 위치에 특수 효과가 존재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한다.The application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containing the special effect (vertical 4400PX in the cut image) is located withi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in that case, displays an indicat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location containing the special effect do.

사용자는 인디케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면 특수 효과가 그 씬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가로 방향 스크롤을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수행하게 된다.When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know that the special effect is included in the scene, and the user performs horizontal scrolling on the touch screen.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가로 방향 스크롤을 수행한 것을 감지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이전에 수신된 특수 효과의 저장 정보로부터 특수 효과를 호출하게 되고, 화면 상에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같은 특수효과 또는 효과음과 같은 특수 효과가 실행된다.When the application detect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horizontal scrolling on the touch screen, the application calls a special effect from the previously received special effect storage information, and the special effect such as animation or video or special effect such as sound effect The effect is executed.

특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gif, swf, wav, mp3, mp4, flash, 등의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gif, swf, wav, mp3, mp4, flash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ecial effect may consist of, but not limited to, files such as gif, swf, wav, mp3, mp4, flash, etc.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is capable of playing the aforementioned gif, swf, wav, mp3, mp4, flash. Regeneration means may be included.

한편 특수 효과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수 효과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종전과 같이 세로방향 스크롤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특수효과를 표시하지 않고 컷 이미지에 대한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want a special effect while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a special effect is includ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performs vertical scrolling as before, and the application moves to the cut image without displaying the special effect. will perform

도 5는 가로 스크롤을 이용한 컷 이미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애플리케이션(2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스크롤을 통한 컷 이미지의 이동 뿐만 아니라 가로 스크롤을 통한 컷 이미지의 이동을 지원한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cut image using horizontal scrolling. As described above, the webtoon application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cut image through vertical scrolling as well as movement of the cut image through horizontal scrolling.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툰 서버(100)로부터 컷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웹툰 애플리케이션(250)은 수신된 컷 이미지를 가장 위쪽부터(시작 픽셀 라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컷 이미지의 세로 픽셀은 스마트폰 화면의 세로 픽셀에 대응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cut image is received from the webtoon server 100 as shown in FIG. 5A , the webtoon application 250 displays the received cut image on the display from the top (starting pixel line). At this time, the vertical pixels of the cut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correspond to the vertical pixels of the smartphone screen.

즉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세로 픽셀을 계산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760px X 2280px의 해상도를 가진 것으로 가정한다.That is, the application calculates the vertical pixels of the user's smartphone. For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s smartphone has a resolution of 760px X 2280px.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화면 상에서 가로 스크롤을 수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해상도(760px X 2280px)를 참조하여 다음의 디스플레이될 화면을 제공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의 세로 해상도가 2280px 이기 때문에, 다음의 디스플레이될 화면은 컷 이미지의 세로방향 2280px 로부터 4560px 까지의 이미지에 해당하고, 그 다음 화면은 컷 이미지의 세로방향 4560px로부터 6841px 까지의 이미지에 해당된다. When the user performs horizontal scrolling on the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e application provides the next screen to be displayed with reference to the resolution (760px X 2280px)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since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smartphone is 2280px, the next screen to be displayed corresponds to the image from 2280px to 4560px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ut image, and the next screen corresponds to the image from 4560px to 6841px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ut image do.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가로 스크롤을 수행할 때마다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컷 이미지의 세로방향 최종 픽셀 라인을 다음 화면의 이미지의 세로방향 시작 픽셀 라인으로 하여 다음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ever the user performs horizontal scrolling, the application provides the next screen by setting the vertical final pixel line of the cut imag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s the vertical starting pixel line of the image of the next screen. .

한편 사용자가 가로 스크롤을 수행하여 컷 이미지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 효과가 포함된 픽셀이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특수 효과가 포함된 세로방향 픽셀이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들어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로 방향 스크롤을 수행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예에서와 동일하게, 애플리케이션은 이전에 수신된 특수 효과의 저장 정보로부터 특수 효과를 호출하게 되고, 화면 상에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같은 특수효과 또는 효과음과 같은 특수 효과가 실행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user performs horizontal scrolling to move the cut image, pixels including special effects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If the user performs horizontal scrolling while the vertical pixel containing the special effect is within the display screen, the application calls the special effect from the previously received special effect storage information, as in the above example. Then, special effects such as animations and moving pictures or special effects such as sound effects are executed on the screen.

한편 특수 효과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수 효과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세로방향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특수효과를 표시하지 않고 컷 이미지에 대한 세로방향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want a special effect while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a special effect is includ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perform vertical scrolling.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does not display the special effect and the cut image is vertical movement is performed.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효과를 포함하는 컷 이미지를 이용하여 웹툰 애플리케이션에서 컷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ut image in a webtoon application using a cut image including a special effect as described abov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단계 S111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툰 서버(100)에 접속하고 원하는 웹툰 컨텐츠의 컷 이미지를 선택하여 웹툰 서버(100)에 선택한 웹툰 컨텐츠의 컷 이미지를 요청하게 된다.6, the user first accesses the webtoon server 100 through the webtoon application in step S111, selects a cut image of the desired webtoon content, and requests the cut image of the selected webtoon content from the webtoon server 100. .

웹툰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웹툰 컨텐츠의 컷 이미지를 전송하게 되고 단계 S112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컷 이미지를 수신하게 된다.The webtoon server 100 transmits the cut image of the webtoon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webtoon application receives the cut image in step S112.

이어진 단계 S113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컷 이미지 내에 삽입된 또는 컷 이미지와 함께 전송되어온 특수효과 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특수 효곽 정보는 이미지내 특수효과가 삽입된 세로픽셀 정보와 특수효과가 저장된 위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ubsequent step S113, the webtoon application reads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inserted into the cut image or transmitted along with the cut image, and stores it. Here, the special effect information may include vertical pixel information in which a special effect is inserted in the image and a link to a location in which the special effect is stored.

이어진 단계 S114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스크롤을 대기한다. 사용자는 가로방향 스크롤 또는 세로방향 스크롤을 이용하여 컷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subsequent step S114, the webtoon application waits for the user to scroll. The user may move the cut image by using horizontal scrolling or vertical scrolling.

이어진 단계 S115에서는 가로방향 스크롤 또는 세로방향 스크롤이 화면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5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스크롤이 발생한 것으로 단계는 S116으로 진행되고 단계 S116에서는 사용자의 가로방향 스크롤 또는 세로방향 스크롤에 대응하여 컷 이미지를 이동시킨다.In the subsequent step S115, it is determined whether horizontal scrolling or vertical scrolling is generated from the touch screen of the screen. In step S115, horizontal or vertical scrolling has occurred, and the step proceeds to S116, and in step S116, the cut image is moved in response to the user's horizontal or vertical scrolling.

일례로 사용자가 세로방향 스크롤을 이용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세로방향 스크롤의 길이만큼 컷 이미지를 위로 이동시키는 반면 사용자가 가로방향 스크롤을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세로방향 해상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컷 이미지가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uses vertical scrolling, the application moves the cut image upward by the length of the vertical scroll, whereas when the user uses horizontal scrolling, the cut image is displayed b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user's smartphone. will move

한편 단계 S115에서 사용자 스크롤이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는 S114로 진행되고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크롤을 계속하여 대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croll is not input in step S115, the step proceeds to S114 and the webtoon application continues to wait for the user to scroll.

단계 S116에서 스크롤에 대응하여 컷 이미지가 이동되고 나면 단계 S117에서는 이동된 화면 내에 특수효과를 포함하는 픽셀이 화면 내에 위치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After the cut image is moved in response to scrolling in step S116, it is determined whether a pixel including a special effect is located in the moved screen in step S117.

단계 S117에서 컷 이미지가 이동되고 난 후 표시된 화면 내에 특수효과를 포함한 특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해당하는 픽셀 위치에 특수효과 알림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컷 이미지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게 된다.After the cut image is moved in step S117,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al cell including a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displayed screen, the webtoon application creates a special effect notification indicator at the corresponding pixel position and overlays it on the cut image to display it.

한편 단계 S117에서 화면내 특수효과를 포함하는 픽셀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는 S121로 진행되고 애플리케이션은 컷 이미지만을 표시하게 된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7 that there is no pixel including a special effect in the screen, the step proceeds to S121 and the application displays only the cut image.

단계 S118에 특수효과 인디케이터를 표시한 후 단계 S119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스크롤을 대기한다. 단계 S119에서 가로방향 스크롤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면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특수효과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특수효과를 수신하여 특수효과를 재생하게 된다. After displaying the special effect indicator in step S118, the webtoon application waits for the user to scroll in step S119. When horizontal scrolling is generated from the user in step S119, the webtoon application receives the special effect from the location where the special effect is stored and plays the special effect.

그러나 단계 S119에서 사용자가 세로방향 스크롤을 수행한 경우 단계는 S116으로 진행하여 특수효과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크롤에 대응하여 컷 이미지를 이용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user performs vertical scrolling in step S119, the step proceeds to S116 to use the cut image in response to the user's scrolling without displaying a special effect.

단계 S120에서 웹툰 애플리케이션이 특수효과(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하고 나면 단계는 S121로 진행되고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본래의 컷이미지 화면으로 복귀된다.After the webtoon application displays a special effect (eg, animation effect) in step S120, the step proceeds to S121 and the webtoon application returns to the original cut image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그림과 텍스트로 이루어진 웹툰에 음장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웹툰의 이용자가 보다 흥미롭게 재미있게 웹툰을 즐길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iving a sound field or animation effect to an existing webtoon composed of pictures and text, users of the webtoon can enjoy the webtoon in a more interesting and fun wa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웹툰의 화면 넘김시 세로방향 스크롤뿐만 아니라 가로방향 스크롤을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웹툰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reen can be moved using horizontal scrolling as well as vertical scrolling when turning the screen of the webtoon, the operability of the webto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웹툰 서버
110: 서버측 프로세서
120: 통신수단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30: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수단
200: 사용자 단말
210: 사용자 단말측 프로세서
220: 통신수단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230: 입출력수단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 디스플레이 수단
100: webtoon server
110: server-side processor
120: communication means or communication interface
130: database or storage means
200: user terminal
210: user terminal side processor
220: communication means or communication interface
230: input/output means or input/output interface
240: display means

Claims (5)

웹툰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웹툰 서버 및 웹툰을 재생하기 위한 웹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웹툰 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툰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툰 컨텐츠는 복수의 컷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컷 이미지에는 음장 효과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하는 특수효과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컷 이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컷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이동된 컷 이미지 내에 특수효과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특수효과를 재생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
A webto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webtoon server for providing webtoon content and a user terminal on which a webtoon application for playing webtoon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webtoon server through a network,
The webtoon content provided by the webtoon serv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cut images, and a special effect including a sound field effect or animation effect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ut images,
The webtoon application is
receiving the cut image;
moving the received cut imag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moved cut image; and
reproducing the special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Webtoon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세로방향 스크롤 또는 가로방향 스크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ut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vertical scrolling or horizontal scrolling input by a user.
Webtoon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된 컷 이미지 내에 특수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특수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ebtoon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on the user's screen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special effect exis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effect exists in the moved cut image
Webtoon delivery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로방향 스크롤이 입력되면 특수효과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produce a special effect when a horizontal scroll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Webtoon delivery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컷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세로방향 스크롤 또는 가로방향 스크롤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에 의해 세로방향 스크롤이 발생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세로방향 스크롤의 길이만큼 컷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가로방향 스크롤이 발생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세로방향 해상도만큼 컷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툰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ut image is performed by vertical scrolling or horizontal scrolling input by a user,
When a vertical scroll is genera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moves the cut image up and down by the length of the vertical scroll,
When horizontal scrolling is genera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moves the cut image up and down by the vertical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Webtoon delivery system.
KR1020200123572A 2020-09-24 2020-09-24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KR202200406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72A KR20220040646A (en) 2020-09-24 2020-09-24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72A KR20220040646A (en) 2020-09-24 2020-09-24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46A true KR20220040646A (en) 2022-03-31

Family

ID=8093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72A KR20220040646A (en) 2020-09-24 2020-09-24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64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6719C (en) Audio control process
US10031656B1 (en) Zoom-region indicator for zooming in an electronic interface
CN107247691B (en) Tex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40176600A1 (en)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US20190129923A1 (en) Method and appratus for playing video in independent window by browser, and storage medium
RU2617388C2 (en) Method,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e-book document processing
TW201606631A (en) Context menu utilizing a context indicator and floating menu bar
US10402470B2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JP2011513855A (en) Accelerate rendering of web-based content
US10909310B2 (en) Assis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rving document layout while improving readability
US20140013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modification of desktop layou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hereof
CN110007829B (en) Content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70004113A1 (en) Seamless Font Updating
CN110909275A (en) Page brow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30177295A1 (en) Enabling copy and paste functionality for videos and other media content
CN110286971B (e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medium and computing device
KR102652069B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s, devices, electronic devices and storage media
US10013786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rtoon content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rtoon content
KR20220040646A (en) Webtoon having specical effects and webtoon provision system
KR1017268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artoon data
CN114742013A (en) Onlin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112410A (en) Message system for processing a message having special effects
JP7418573B2 (en) In-app store user interface
WO2022161199A1 (en) Image editing method and device
KR20120041049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