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142A -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 Google Patents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142A
KR20220039142A KR1020200121884A KR20200121884A KR20220039142A KR 20220039142 A KR20220039142 A KR 20220039142A KR 1020200121884 A KR1020200121884 A KR 1020200121884A KR 20200121884 A KR20200121884 A KR 20200121884A KR 20220039142 A KR20220039142 A KR 2022003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eader
unit
reader
glove
indust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2584B1 (en
Inventor
김은미
한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팩앤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팩앤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팩앤롤
Priority to KR102020012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8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industrial hands-free reader that can conveniently photograph an industrial code image, a production facility instrument panel image, and a production product image. Disclosed is the industrial hands-free reader comprising: a glove worn by a user; a wireless reader holder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side area of an upper surface of the glove; and a wireless reader insert-fixed in the wireless reader holder, and collecting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ction of the user.

Description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Industrial hands-free reader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본 발명은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코드 이미지, 생산 설비 계기판 이미지, 생산제품 이미지를 간판하게 촬영하도록 한 웨어러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industrial hands-free reader capable of photographing an industrial code image, a production facility instrument panel image, and a product image signboard.

선행특허문헌 10-0869703와 WO 2020/117166에 개시된 바코드 리더 및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장치는 단순히 바코드만을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 장치와 착용 가능한 리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착용 가능한 바코드 리더 장치는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바코드만을 인식할 수 있을 뿐 생산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생산정보를 획득하기에는 제한적이다.A barcode reader and a wearable barcode reader device having a barcode reader disclosed in Prior Patent Documents 10-0869703 and WO 2020/117166 provide a barcode reader device for recognizing only barcodes and a wearable reader device. The wearable barcode reader device disclosed in this prior patent document has the advantage of freeing the user's hand, but can only recognize barcodes and is limited in obtaining various produc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duction si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68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01068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621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621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107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107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697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697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8185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185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JP 2020-77259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JP 2020-77259 WO 2020/117166WO 2020/11716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산업용 코드 이미지, 생산 설비 계기판 이미지, 생산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생산관리를 지능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intelligently perform production management by generating industrial code images, production equipment instrument panel images, and product images and analyzing the image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손에 무선 리더기를 간편하게 웨어러블 형태로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생산관련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simply and easily obtain production-related image information by allowing a worker to wear a wireless reader in a wearable form on the hand of a worke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하며, 착용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갑, 장갑의 일측 영역에 탈부착 고정되는 무선 리더기 거치대,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고정되면서 웨어러블 장갑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사용자의 외력 작용에 따라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촬영하는 무선 리더기, 무선 리더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정보를 취합하고 생산 품질을 검증하며, 제품 생산을 관리하는 생산공정 관리부, 무선 리더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작업위치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전송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glove that is worn by a user and detects and transmit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wearing, a wireless reader holder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glove, and a wearable glove while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wireless reader holder A production process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llects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wireless reader and wireless reader that captures industrial code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external force, verifies production quality, and manages product production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n 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that includes a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the working position and health of the worker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unit and the wireless reader, and transmits the analyzed data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there is.

또한, 웨어러블 장갑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삽입 홈을 통해 장갑을 착용시에 엄지손가락으로 푸시 가능하도록 엄지손가락 삽입 홈의 전방에 배치되는 트리거 버튼부, 생체정보를 감지하도록 웨어러블 장갑에 구비되는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며, 무선 리더기 거치대는 트리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리더기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결합시에 서로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무선 리더기 거치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트리거 접점부,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리더기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결합시에 서로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무선 리더기 거치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생체정보 접점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glove includes a trigger button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user can push with the thumb when wearing the glove through the thumb insertion groove, and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provided in the wearable glove to det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It includes a sensor unit, the wireless reader hold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igger button unit, and a trigger contact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holder so that the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ireless reader hold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contact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holder so that the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ireless reader holder.

또한, 무선 리더기는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동시에 촬영하도록 전방에 배치된 카메라부,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기준점을 조사하도록 카메라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기준점 송출부,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리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도록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와 설비 계기판 정보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생산정보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하는 생산정보 리더부,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와 생산제품 이미지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품질정보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하는 품질정보 리더부,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제품 출하정보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하는 출하정보 리더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ader has a camera unit disposed in front to simultaneously shoot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unit to investigate reference points for photographing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display the image image taken from the transmitter, the camera unit, or to displa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the industrial code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and information on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including industrial codes and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A production information leader unit that relays production information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a quality information leader unit that relays quality information at the production site including industrial codes and product images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and a quality information leader unit that relays It includes a shipment information reader unit that relays product shipment information made at the production site, including industrial codes,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또한, 분석할 이미지 영역을 설정하고, 이미지로 된 설비 계기판 정보를 이미지 분석하여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이미지 분석부, 생산정보 리더부에서 전송된 생산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위치, 생산시간, 생산 작업자를 분석 및 인식하는 생산정보 인식부, 생산정보 리더부에서 전송된 산업용 코드와 이미지 분석부에서 전송된 문자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현황을 분석하는 생산현황 분석부, 생산정보 인식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작업 공정의 흐름을 분석하고, 생산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생산작업 공정을 변경시키는 작업 플로우 분석부, 학습된 데이터에 따라 생산제품의 품질을 검증하는 품질 검증부, 생산현황 분석부, 작업 플로우 분석부, 품질 검증부, 작업자 안전 관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 능숙도, 작업자의 건강상태, 생산제품을 관리 분석하는 생산관리 분석부, 산업용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제품 출하를 관리 보고하는 제품 출하부, 생성한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부를 포함하며, 생산현황 분석부 및 품질 검증부에 학습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미지 학습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image area to be analyzed, and analyz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in images and converts it into text information,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unit, the production location,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worker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o analyze and recognize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o analyze the production status based on the industrial code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unit and the tex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A work flow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flow of the production work process and changes the production work process so that the production work proceeds efficiently;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low analysis unit, quality verification unit, and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the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unit manages and analyzes work proficiency, worker health status, and manufactured products, and product shipment that manages and reports product shipments by recognizing industrial codes It includes a cloud server unit for managing and storing the generated data, and further includes an image learning unit for providing the learned data to the production status analysis unit and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또한, 이미지 학습부는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산업용 코드 이미지, 설비 계기판 정보 이미지, 생산제품 이미지를 입력 받아 각각 학습하는 생산정보 이미지 학습부,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전송된 산업용 코드 이미지를 학습에 의해 인식하여 품질 검증부로 인식된 산업용 코드의 제품정보를 전송하고,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전송된 생산제품 이미지를 학습에 의해 인식하여 품질 검증부로 인식된 생산제품의 제품정보를 전송하는 생산제품 인식 학습부를 포함하며, 품질 검증부는 산업용 코드의 제품정보 및 생산제품의 제품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생산제품이 인식된 산업용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고, 생산제품의 제품정보에 포함된 외형 이미지와 이미지 분석부에서 전송된 생산제품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검증한다.In addition, the image learning unit receives the industrial code image,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image, and the product imag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and learns the industrial cod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information image learning unit and the image analysis unit 430 for learning respectively. Production that transmits product information of industrial codes recognized by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recognizes the product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by learning, and transmits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recognized to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It includes a product recognition learning unit, and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compares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cod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d product with each other to verify whether the manufactured product matches the recognized industrial code, and the external image and imag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d product The product images transmitted from the analysis unit are compared and verified.

또한, 작업자 안전 관리부는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자 건강정보 수집부, 무선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위치를 수집하는 안전사고 발생위치 판단부, 작업자의 건강정보와 위치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건강상태 분석부를 포함하며, 작업자 안전 관리부에서 판단한 작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작업자의 휴식이나 교체를 지시하는 교체지시명령을 기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생성하고, 교체지시명령을 작업자의 무선 리더기로 전송하는 작업자 변경 지시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collects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and collects the location of the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ader. It includes an accident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 health condi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health condition of the worker according to the worker’s health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t generates a command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condition, and further includes an operator change instru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placement instruction instruction to the operator's wireless reader.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갑, 장갑의 상부면의 일측 영역에 탈부착 고정되는 무선 리더기 거치대,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고정되며, 사용자의 외력 작용에 따라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ove worn by a user, a wireless reader holder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a wireless reader holder, and collects industrial code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external force action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ireless reader.

또한, 장갑은 장갑의 상부면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 장갑의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엄지손가락 삽입 홈,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삽입 홈을 통해 장갑을 착용시에 엄지손가락으로 푸시 가능하도록 엄지손가락 삽입 홈의 전방에 배치되는 트리거 버튼부, 장갑의 상부면의 제3 영역에 배치되는 거치대 벨크로테이프, 장갑의 하부면의 제3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장갑 착용시에 제1 영역에서 제3 영역으로 이동된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와 탈부착 결합하는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 트리거 버튼부가 엄지손가락 삽입 홈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2 영역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love pushes with the thumb when the user wears the glove through the glove front Velcro tape disposed in the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the thumb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area of the glove, and the thumb insertion groove The trigger button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to make it possible, the holder Velcro tape disposed in the thir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third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love are disposed in the first area when the glove is worn. It includes a curved part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region so that the glove front velcro tape moved to the third region and the glove rear velcro tape detachably coupled, and the trigger button part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또한, 무선 리더기 거치대는 무선 리더기의 삽입시에 무선 리더기의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베이스 지지부, 우측 방향으로 굴곡진 좌측 결합 가이드로 무선 리더기가 가이드 삽입됨으로써 무선 리더기를 좌측에서 지지 결합하는 좌측 지지 결합부, 좌측 방향으로 굴곡진 우측 결합 가이드로 무선 리더기가 가이드 삽입됨으로써 무선 리더기를 우측에서 지지 결합하는 우측 지지 결합부, 트리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리더기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결합시에 서로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무선 리더기 거치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트리거 접점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ader cradle is a base support that protrudes forward to suppo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wireless reader when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nd the wireless reader is guided by the left coupling guide curv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wireless reader is guide inserted into the support coupling part, the right coupling guide curved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right support coupling part supporting and coupling the wireless reader from the right side and the trigger button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ireless reader cradle It includes a trigger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cradle so that the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me.

또한, 트리거 접점부와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면서 거치대 벨크로테이프와 서로 탈부착 결합함으로써 무선 리더기 거치대를 탈부착 고정하는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holder fixing Velcro tap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ireless reader hold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holder Velcro tape and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inside the trigger contact unit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units.

또한, 무선 리더기는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동시에 촬영 또는 스캔하도록 전방에 배치된 리더부,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기준점을 조사하도록 카메라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기준점 송출부,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리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도록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촬영 버튼부,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 상태, 블루투스 연결 상태 및 리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 외부와 인터페이스 하도록 후방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역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결합 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ader is a reader disposed in front to simultaneously shoot or scan the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the first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unit to investigate the reference point for photographing the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2 A reference point transmitter,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display images captured from the camera unit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and a shooting button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operate the camera unit , an indicator ligh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display the battery status, Bluetooth connection status and reader status of the wireless reader, an interface part disposed at the rear to interface with the outside, the rear left and the rear left to engage with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parts It includes left and right engaging grooves formed in the right reg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코드, QR코드, 제품 이미지, 생산 설비 계기판 이미지를 촬영하여 효율적으로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production management by photographing a barcode, a QR code, a product image, and an image of a production equipment instrument panel.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의 장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갑에 부착된 무선 리더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더기 거치대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무선 리더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더기가 바코드와 설비 계기판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핸즈프리 무선 리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부와 작업자 변경 지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view showing a glove of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reader holder attached to a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holder fixing velcro tap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wireless read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reader mounted on a wireless read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eader photographing a barcode and a facility instrume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industrial hands-free wireless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and an operator change i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reasonab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the prior art and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industrial hands-free read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00)을 포함한다. 장갑(100)은 사용자의 손을 감쌀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기준으로 장갑(100)의 상부면(110)의 좌측 영역에는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111)가 형성 배치된다. 장갑(100)의 중앙 영역에는 엄지손가락 삽입 홈(130)이 전방 및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장갑(100)의 상부면(110)의 엄지손가락 삽입 홈(130) 전방에는 트리거 버튼부(113)가 형성 배치된다. 장갑(100)의 상부면(110)의 우측 영역에는 거치대 벨크로테이프가 형성 배치되며, 또한 장갑(100)의 하부면(120)의 우측 영역에는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121)가 형성 배치된다.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love 100 as shown in FIG. 1 . The glov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wrap the user's hand. 1, the glove front Velcro tape 111 is formed and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glove 100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glove 100 , a thumb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lo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trigger button part 113 is form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130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glove 100 . is formed and placed. In the region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glove 100, the holder Velcro tape is formed and arranged, and in the region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glove 100, the glove rear Velcro tape 121 is formed and arranged.

엄지손가락 삽입 홈(13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삽입 관통시키면서 관통된 엄지손가락은 트리거 버튼부(113)가 배치된 영역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111)가 시계방향으로 사용자의 손바닥 및 손등을 감싸면서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121) 측으로 위치 이동하여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111)와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121)가 서로 탈부착 결합한다. 이와 같이 장갑(100)이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면 도 6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inserting the user's thumb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130 to the upper direction, the penetrating thumb is naturally positioned in the area where the trigger button unit 113 is disposed. And the glove front velcro tape 111 moves to the side of the glove rear velcro tape 121 while wrapping the user's palm and back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glove front velcro tape 111 and the glove rear velcro tape 121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do. As such, when the glove 100 is worn on the user's hand, it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6 .

한편, 트리거 버튼부(113)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쉽게 누를 수 있도록 엄지손가락 삽입 홈(130)의 전방에 위치한다. 트리거 버튼부(113)가 장갑(100)의 전방에 배치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00)의 중앙 영역의 전방에 굴곡 영역 또는 굴곡부(101)를 형성한다. 트리거 버튼부(113)는 후술하는 촬영 버튼부(320)와 함께 카메라부(31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오 입력에 따른 촬영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버튼부(113)를 감싸는 트리거 보호 패드부(113a)가 전방 영역에 배치 고정될 수 있다. 트리거 보호 패드부(113a)는 외부의 약한 힘에 의해서는 트리거 버튼부(113)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일정 힘 이상의 외부 힘이 가해질 때만 동작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유연한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rigger button unit 113 is locat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130 so as to be easily pressed with the user's thumb. In order for the trigger button part 113 to be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glove 100 , as shown in FIG. 1 , a bent region or a bent part 101 is formed in front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glove 100 . The trigger button unit 113 may operate the camera unit 311 together with a photographing button unit 320 to be described later. A trigger protection pad part 113a surrounding the trigger button part 113 may be disposed and fixed in the front area in order to prevent a shooting error due to an erroneous input. The trigger protection pad part 113a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pad having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trigger button part 113 does not operate by a weak external force, and is operated only when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a certain force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는 거치대 벨크로테이프(112)에 탈부착 결합한다. 따라서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의 후면에는 거치대 벨크로테이프(112)와 탈부착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 후면 벨크로테이프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 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Velcro tape 112 . Therefore, on the rear side of 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a Velcro tape on the rear side of the holder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holder Velcro tape 112 is disposed.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는 무선 리더기(300)를 거치하기 위해 베이스 지지부(201), 좌측 지지 결합부(202, 좌측 결합 가이드), 우측 지지 결합부(203, 우측 결합 가이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지지부(20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베이스 지지부(201)의 하측 단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좌측 지지 결합부(202)와 우측 지지 결합부(203)가 형성된다. 좌측 지지 결합부(202)와 우측 지지 결합부(203)는 각각 무선 리더기(300)가 가이드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면(좌측 절곡면 및 우측 절곡면)을 구비한다.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includes a base support 201, a left support coupling part 202 (left coupling guide), and a right support coupling part 203 (right coupling guide) to mount the wireless reader 300. The base support part 201 extend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ft support coupling part 202 and a right support coupling part 203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ase support part 201 , respectively. The left support coupling part 202 and the right support coupling part 203 each have curved surfaces (left curved surface and right curved surfac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wireless reader 30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uide.

베이스 지지부(201)의 상측 영역에는 트리거 접점부(210)가 구비된다. 트리거 접점부(210)는 접속 와이어(10)로 트리거 버튼부(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트리거 접점부(210)는 도 4와 같이 무선 리더기(300)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에 삽입 고정될 때 무선 리더기(300)의 후면에 있는 접점부(도면 미도시)와 상호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trigger contact part 210 is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base support part 201 . The trigger contact unit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igger button unit 113 with a connection wire 10 , and the trigger contact unit 210 is a wireless reader 300 as shown in FIG. 4 , a wireless reader holder 200 . When inserted and fixed to the wireless reader 300, the contact portion (not shown) on the rear side and the mutual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220)는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를 장갑에 탈부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220)와 거치대 벨크로테이프(112)가 상호 탈부착 결합함으로써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를 장갑에 고정한다.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220)는 트리거 접점부(210)와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202,20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의 내측으로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의 상부 면을 덮도록 거치대 벨크로테이프(112)와 탈부착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 the holder fixing Velcro tape 220 i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to the glove, and the holder fixing Velcro tape 220 and the holder Velcro tape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to each other. The reader holder 200 is fixed to the glove. The holder fixing velcro tape 22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inside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trigger contact part 21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parts 202 and 203, the holder Velcro tape 112. and detachably coupled with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리더기(300)는 바코드, QR코드, 설비 계기판을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이미지 처리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311), 제1,2 기준점 송출부(312a,312b), 디스플레이부(315), 촬영 버튼부(320), 표시등(331,332,333) 및 제1,2 결합 홈(341,342)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wireless reader 300 processes photographing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 barcode, a QR code, and an instrument panel. To this end, the camera unit 311,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transmission units 312a and 312b, the display unit 315, the shooting button unit 320, the indicator lights 331, 332, 333,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341 and 342 are provided. be prepared

제1,2 결합 홈(341,342)은 무선 리더기(300)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어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202,203)와 각각 탈부착 결합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341 and 342 are formed on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reless reader 30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parts 202 and 203, respectively.

카메라부(311)는 무선 리더기(300)의 전방에 구비된다. 카메라부(3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설비(20)에 부착된 바코드(21)와 설비 계기판(22)을 각각 또는 동시에 촬영한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손에 장갑(100)을 착용하기 때문에 카메라부(311)의 촬영 영역이 바코드(21)와 설비 계기판(22)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방향인지 사용자가 알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촬영 영역의 범위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는 제1,2 기준점 송출부(312a,312b)를 카메라부(311)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촬영 버튼부(320) 또는 트리거 버튼부(113)를 누르면 바로 촬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1,2 기준점 송출부(312a,312b)에서 적외선 또는 레이지 빔 등을 바코드(21) 및 설비 계기판(22)으로 조사하여 촬영 영역의 기준점을 먼저 제시하고, 기준점 제시에 따라 카메라부(311)의 방향과 각도를 사용자의 손을 움직여 조정한 다음에 다시 촬영 버튼부(320) 또는 트리거 버튼부(113)를 누르면 이때 촬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unit 31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wireless reader 300 . The camera unit 311 photographs the barcode 21 and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22 attached to the industrial equipment 20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s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since the user wears the glove 100 on the user's hand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user knows whether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unit 311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rcode 21 and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22 can be accurately photographed. it's difficul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transmission units 312a and 312b capable of accurately indicating the range of the photographing are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unit 311 .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shooting button unit 320 or the trigger button unit 113, the picture is not immediately taken, but infrared or laser beams ar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transmitting units 312a and 312b to the barcode 21 and facility The reference point of the shooting area is first presented by irradiation with the instrument panel 22, and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camera unit 311 are adjusted by moving the user's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n the shooting button unit 320 or the trigger button unit again When (113) is pressed, it is desirable to take a picture at this time.

디스플레이부(315)는 카메라부(311)에 의해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 및 설비 계기판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된 이미지가 제대로 촬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촬영 이미지가 흐리거나 잘못 촬영된 경우에는 다시 촬영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15)는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무선 리더기(300)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315 displays the barcode image and the facility instrument pane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11 to the us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ser's photographed image has been properly photographed. If the photographed image is blurry or was photographed incorrectly, take the photograph again. The display unit 315 displays various types of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300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know the operation state.

인터페이스부(도면 미도시)는 무선 리더기(3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접속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USB 접속부 등이 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wireless reader 300 and is connected to exchange data with the outside. Such an interface unit may be a USB connection unit or the like.

무선 리더기(300)는 위치정보 생성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생성부는 촬영된 이미지, 이미지 촬영 시각, 사용 작업자 정보와 함께 태그화 되어 생산정보 처리부로 전송된다. 위치정보 생성부는 무선 리더기(300)의 사용 위치 장소를 생성한다. 즉,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를 착용하고 공장 내부의 어느 영역에서 촬영한 경우에 위치정보 생성부는 사용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생성 및 송출한다. 무선 리더기(300)는 시간 생성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시간 생성부는 무선 리더기의 사용 시간을 생성 및 송출한다. 이때, 사용 시간과 촬영 이미지는 서로 태그화 된다. 작업자 정보는 무선 리더기(300)에 이미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The wireless reader 3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not show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s tagged along with the photographed image, image photographing time, an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prod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 location where the wireless reader 300 is used. That is, when the worker wears the industrial hands-free 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akes a picture in a certain area inside the factor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d point. The wireless reader 300 includes a time generator (not shown). That is, the time generator generates and transmits the usage time of the wireless reader. In this case, the usage time and the photographed image are tagged with each other. The operator information may have already been input to the wireless reader 300 .

한편, 무선 리더기를 사용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설비 계기판을 촬영하는 경우 설비 계기판에 번호부여 된 정보를 통해 설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 위치를 알아낼 수도 있다.Meanwhile, various methods may be perform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reader.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photographing the instrument panel,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location of use can be found through this.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of use may be determined via Bluetooth.

무선 리더기(300)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목 또는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고리부를 구비하여 허리 걸이 또는 목 걸이로 착용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에 부착시켜 촬영할 수 있다. The wireless reader 300 is provided with a collar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or waist for convenient portability, so that it can be worn on a waist hanger or a neck hanger. Therefore, only when photographing is necessary, it can be attached to the wireless reader cradle 200 and photographed.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갑(100),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 무선 리더기(300), 생산공정 관리부(400), 작업자 안전 관리부(500), 이미지 학습부(600), 클라우드 서버부(700)를 포함한다.An 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glove 100, a wireless reader holder 200, a wireless reader 300, a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400, as shown in FIGS. 1 and 7, It includes a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500 , an image learning unit 600 , and a cloud server unit 7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갑(100)은 상술한 장갑 설명에 더하여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는 장갑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도록 심박수 센서부(141), 활성산소 센서부(142), 근전도 센서부(143)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부는 통합 모듈로 구비할 수도 있고 또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할 수도 있다.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는 작업자가 장갑(100)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무선 리더기(300)로 전송한다. The wearable glov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in addition to the glove description described above. The bio-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is provided on the glove and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unit 141 , an active oxygen sensor unit 142 , and an electromyography sensor unit 143 to detect the operator's bio-information. Each sensor unit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module 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that can best detect the operator's biometric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detects the worker's biometric information in real time while the worker is wearing the glove 100 and transmits the sensor's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ader 300 .

한편,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에서 감지한 각각의 생체신호를 무선 리더기(300)로 전송하기 위해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 각각의 심박수 접점부, 활성산소 접점부, 근전도 접점부와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에 구비된 생체정보 접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한다. 이에 따라 무선 리더기(300)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300)에 삽입 결합시에 각각의 센서로부터 생성된 생체정보가 무선 리더기 거치대(200)를 거쳐 무선 리더기(300)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ransmit each biosignal detect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to the wireless reader 300 , each heart rate contact unit, active oxygen contact unit, and electromyography contact uni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contact units provided in the wireless reader crad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wireless reader 3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ireless reader holder 300 , biometric information generated from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ader 300 through the wireless reader holder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더기(300)는 상술한 설명에 더하여 추가로 생산정보 리더부(351), 품질정보 리더부(352), 출하정보 리더부(353), 데이터 분류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데이터 분류부는 카메라부(311)로부터 촬영된 산업용 코드, 산업용 생산정보, 생산제품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수신받아 생산 현장의 촬영 위치(즉 위치 기반)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생산정보 리더부(351), 품질정보 리더부(352), 출하정보 리더부(353) 각각에 전달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wireless read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351, a quality information reader 352, a shipment information reader 353, and a data classification unit (drawing). not shown) are included.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receives each industrial code,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311 and classifies each according to the shooting location (ie, location-based) of the production site,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unit 351, the quality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reader unit 352 and the shipment information reader unit 353, respectively.

카메라부(311)는 산업용 코드, 산업용 생산정보, 생산제품을 촬영한다. 산업용 코드는 바코드 및 QR코드 이며, 산업용 생산정보는 생산설비의 계기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카메라부(311)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산업용 생산설비의 계기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생산된 제품의 제품 이미지를 촬영한다.The camera unit 311 captures industrial codes,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s. Industrial codes are barcodes and QR code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production facilities. Therefore, the camera unit 311 generates a barcode or QR code image, creates an image of an instrument panel of an industrial production facility, and takes a product image of the produced product.

생산정보 리더부(351)는 데이터 분류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 이미지와 설비 계기판 정보 이미지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생산정보 이미지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 전송한다. 품질정보 리더부(352)는 데이터 분류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 이미지와 생산제품 이미지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품질정보 이미지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 전송한다. 출하정보 리더부(353)는 데이터 분류부로부터 전송받은 산업용 코드 이미지를 포함한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품 출하정보 이미지를 생산공정 관리부로 중계 전송한다.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unit 351 relays and transmits various production information images made at the production site, including the industrial code image and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image, received from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The quality information reader unit 352 relays and transmits,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various quality information images made at the production site including the industrial code image and the product image received from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The shipment information reader unit 353 relays and transmits various product shipment information images made at the production site, including the industrial code image received from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산공정 관리부(400)는 무선 리더기(300)에서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정보를 취합하고 생산 품질을 검증하며, 제품 생산을 관리한다. 7,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ader 300, verifies production quality, and manages product production. .

이미지 분석부(430)는 셍산정보 리더부(351), 품질정보 리더부(352), 출하정보 리더부(353)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분석할 이미지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이미지 영역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분석한다. 일예로서 산업용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 정보 또는 QR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설비 계기판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생산 현황(일예로서 설비의 생산수량 및 설비 상태)를 분석하여 문자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실제 생산제품과 비교하기 위한 생산제품 이미지를 가공 분석한다. 이미지 분석부(440)는 전송된 무선 리더기(3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미지 분석된 데이터를 생산현황 분석부(420), 품질 검증부(440), 또는 제품 출하부(470)로 구분 전송한다. The image analysis unit 430 sets an image area to be analyzed for each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ongsan information reader unit 351 , the quality information reader unit 352 , and the shipment information reader unit 353 , and sets the set image area. Analyze the image based on As an example, barcode information or QR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dustrial code image is analyzed and converted into text informa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production status (for example, the production quantity and the facility status of the facility) included in the facility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image, it is converted into tex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product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product is processed and analyzed. The image analysis unit 440 divides and transmits the image analyzed data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300 to the production status analysis unit 420 ,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440 , or the product shipping unit 470 . .

생산정보 인식부(410)는 생산정보 리더부(351)에서 전송된 생산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위치, 생산시간, 생산 작업자를 분석 및 인식한다. 이를 위해 생산위치 인식부(411), 생산시간 인식부(412), 생산 작업자 인식부(413)를 포함한다. 생산위치 인식부(411)는 무선 리더기(300)로부터 촬영 위치를 전송받아 생산 위치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무선 리더기(300)는 위치정보 생성부(360)를 포함하며, 위치정보 생성부(360)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무선 리더기(3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산시간 인식부(412)는 무선 리더기(300)가 촬영한 시간을 전송받아 생산 시간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무선 리더기(300)에는 촬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타이머부(도면 미도시)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생산 작업자 인식부(413)는 무선 리더기(300)에서 전송된 생산 작업자 정보와 촬영 대상체 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무선 리더기(300)는 각 작업자에게 할당될 수 있으며, 무선 리더기(300)의 고유 식별 ID에 따라 생산 작업자 정보가 할당 될 수 있다.The produ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10 analyzes and recognizes the production location,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worker by analyz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ader 351 . To this end, it includes a production location recognition unit 411 , a production time recognition unit 412 , and a production worker recognition unit 413 . The production location recognition unit 411 receives the photographing location from the wireless reader 300 and records and manages produc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wireless reader 3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360 ,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36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300 using Bluetooth or the like. The production time recognition unit 412 receives the time taken by the wireless reader 300 and records and manages production time information. The wireless reader 300 may further include a timer unit (not shown) capable of calculating the shooting time. The production worker recognition unit 413 records and manages production worker information and photographing obje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ader 300 . The wireless reader 300 may be assigned to each worker, and production worker information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a unique identification ID of the wireless reader 300 .

작업 플로우 분석부(450)는 상술한 생산 위치정보, 생산 시간정보, 및 생산 작업자 정보와 촬영 대상체 정보(어떤 설비 또는 생산품을 촬영했는지)를 입력받아 생산작업 공정의 흐름을 분석하고, 생산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생산작업 공정을 분석 변경한다. 분석된 생산 흐름을 토대로 작업 흐름을 최적화시킨다. 일예로서, 어떤 작업자가 자신의 업무가 아닌 타인의 업무를 대신하고 있는 경우, 작업자의 생산 속도가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플로우가 기 정해진 작업 플로우대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 등을 분석하여 오류를 시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 플로우 분석부(450)는 분석된 생산 흐름 데이터를 생산관리 분석부(460)로 전성하여 전체적인 생산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work flow analysis unit 450 receives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location information, production time information, and production worker information and photographing object information (which equipment or product was photographed) and analyzes the flow of the production operation process, and the production operation is Analyze and change the production work process to proceed efficiently. Optimize the work flow based on the analyzed production flow. As an example, if a certain worker is replacing someone else's work other than his/her own work, if the worker's production speed does not meet the standard, if the worker's work flow does not mov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work flow, etc. to correct And the work flow analysis unit 450 converts the analyzed production flow data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unit 460 so that overall production management is performed.

생산현황 분석부(420)는 도 8과 같이 이미지 분석부(430)에서 전송된 문자화된 산업용 코드와 제품 생산정보를 바탕으로 생산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산업용 코드 분석부(421)는 이미지 분석부(430)에서 전송된 바코드 정보 또는 QR코드 정보를 기록 분석한다. 생산정보 분석부(422)는 이미지 분석부(430)에서 전송된 각 설비의 생상현황 정보를 기록 분석한다. 따라서 생산현황 분석부(420)는 각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생산현황 정보를 서로 대응 매치하여 카테고리화하고, 기록 저장한다. 생성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부(700)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가 공유되며, 또한 생산관리 분석부(460)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전체 생산을 관리한다.The production status analysis unit 420 analyzes the production status based on the characterized industrial code and product produ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as shown in FIG. 8 . To this end, the industrial code analysis unit 421 records and analyzes barcode information or QR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alysis unit 422 records and analyzes the production status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 Therefore, the production status analysis unit 420 categorizes each barcode or QR code and the production status information to match each other, and records and stores. Data is shared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loud server unit 700 , 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unit 460 to manage the entire production in real time.

품질 검증부(440)는 학습된 데이터에 따라 생산제품의 품질을 검증한다. 생산제품의 품질은 실제 생산된 제품과 산업용 코드가 일치하는지(생산오류 체크)와 실제 생산된 제품의 모양이나 형상 등이 품질에 적합한지 등의 외형 품질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품질 검증부(440)는 제품 인식부(441), 산업용 코드 분석부(442), 생산제품 검증부(443)를 포함하며, 이미지 학습부(600)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생산 품질을 검사한다.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440 verifie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learned data. The quality of the manufactured product verifies the external quality, such as whether the actually produced product matches the industrial code (production error check) and whether the shape or shape of the actually produced product is suitable for the quality. To this end,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440 includes a product recognition unit 441 , an industrial code analysis unit 442 , and a product verification unit 443 , and receives the learned data from the image learning unit 600 to produce quality check the

따라서 이미지 학습부(600)는 생산정보 이미지 학습부(도면 미도시)와 생산제품 인식 학습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생산정보 이미지 학습부는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산업용 코드 이미지, 설비 계기판 정보 이미지, 산업용 코드에 대응되는 생산제품 이미지를 입력받아 각각을 학습한다. 즉, 이미지 분석부(430)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을 진행하여 산업용 코드에 담긴 정보와 설비 계기판에 기록된 정보 및 다양한 생산제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생산정보 이미지 학습부에 의해 학습이 완료되면 실제 생산현장에서 생성된 다양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생산제품 인식 학습부가 입력 받는다. Accordingly, the image learning unit 600 includes a production information image learning unit (not shown) and a product recognition learning unit (not shown). The production information image learning unit receives the industrial code image, the equipment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image, and the produ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dustrial cod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and learns each. That is, learn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numerous processed image data provid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430 to identify information contained in industrial codes, information recorded on equipment dashboards, and various production products. When the learning by the production information image learning unit is completed, the product recognition learning unit receives various images generated at the actual production sit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

생산제품 인식 학습부는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전송된 산업용 코드 이미지를 학습에 의해 인식하여 제품 인식부(441)로 인식된 산업용 코드의 제품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생산제품 인식 학습부는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전송된 생산제품 이미지를 학습에 의해 인식하여 제품 인식부(441)로 인식된 생산제품의 제품정보를 전송한다. The product recognition learning unit recognizes the industrial cod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by learning and transmits product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industrial code to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441 . In addition, the product recognition learning unit recognizes the product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by learning and transmits product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product to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441 .

생산제품 검증부(443)는 제품 인식부(441)로부터 산업용 코드의 제품정보 및 생산제품의 제품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생산제품이 산업용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량을 판정한다. 또한, 생산제품 검증부(443)는 생산제품의 제품정보에 포함된 외형 이미지와 이미지 분석부(430)에서 전송된 생산제품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외형이 서로 다른 경우 불량을 판정한다. 생산제품 검증부(443)는 생성된 검증 데이터를 생산관리 분석부(460)로 전송하여 전체적인 생산관리가 분석되도록 한다.The product verification unit 443 compares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cod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d product from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441 to verify whether the manufactured product matches the industrial code, and if it does not match, it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 In addition, the product verification unit 443 compares the exterior imag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d product with the product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to determine a defect when the exterior appearanc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oduct verification unit 443 transmits the generated verification data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unit 460 to analyze the overall production management.

생산관리 분석부(460)는 생산현황 분석부(420), 작업 플로우 분석부(450), 품질 검증부(440), 작업자 안전 관리부(5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 능숙도, 작업자의 건강상태, 실시간 생산제품을 관리 분석한다.The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unit 460 is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status analysis unit 420, the work flow analysis unit 450,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440, and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500, job proficiency, worker health Manage and analyze status and real-time production products.

제품 출하부(470)는 이미지 분석부(430)로부터 제공된 산업용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제품 출하를 관리 보고한다. The product shipment unit 470 manages and reports product shipment by recognizing the industrial code provided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430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부(500)는 무선 리더기(300)에서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작업위치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생산공정 관리부(46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 안전 관리부(500)는 작업자 건강정보 수집부(510), 안전사고 발생위치 판단부(520), 건강상태 분석부(5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work location and health status of the worker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ader 300, and uses the analyzed data to the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unit 460 send to To this end,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500 includes a worker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0 , a safety accident location determination unit 520 , and a health condition analysis unit 530 .

작업자 건강정보 수집부(510)는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140)로부터 전송된 심박수 데이터, 활성산소 데이터,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건강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The worker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0 collects and manages the worker's health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t rate data, active oxygen data, and electromyography data transmit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 .

안전사고 발생위치 판단부(520)는 무선 리더기의 위치정보 생성부(360)로부터 전송된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위치를 수집한다. 안전사고란 작업자가 생산현장에서 건강 이상이 생겨 발생한 사고나 작업 기계에 의해 부상을 당한 경우 등 제조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의미하며,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 사실은 작업자 건강정보 수집부(510)에 의해 분석 수집할 수 있다.The safety accident location determining unit 520 collects the safety accid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o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60 of the wireless reader. Safety accidents refer to accidents that can occur to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site, such as accidents caused by health problems at the production site, or injuries by work machines. Analysis and colle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0 .

건강상태 분석부(530)는 작업자의 건강정보와 위치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한다. 즉, 작업자의 작업 위치(일예로서 작업환경이 열악한 장소와 아닌 곳)에 따라 심박수 데이터, 활성산소 데이터, 근전도 데이터가 다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작업 장소마다 설정된 기준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이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을 체크할 수 있다.The health state analysis unit 530 analyzes the health state of the worker according to the health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hat is, heart rate data, active oxygen data, and electromyography data may a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er's work location (for example, a place with a poor work environment and a place where the work environment is not). You can check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작업자 변경 지시부(480)는 작업자 안전 관리부(500)에서 판단한 작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작업자의 휴식이나 교체를 지시하는 교체지시명령을 기 설정된 변경조건과 비교하여 생성하고, 교체지시명령을 당해 작업자의 무선 리더기(300)로 전송한다. 교체지시명령을 수신한 무선 리더기(300)는 당해 작업자에게 알려 작업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worker change instructing unit 480 generates a replacement instruction command instructing the worker to rest or replace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worker determined by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unit 500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change condition, and transmits the replacement instruction command to the worker.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ader 300 . The wireless reader 300 that has received the replacement instruction command notifies the worker in question so that the worker can take a break.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will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nents not described herein may be add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par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any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more subdivided.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a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 : 접속 와이어
20 : 산업용 설비
21 : 바코드
22 : 설비 계기판
100 : 장갑
101 : 굴곡부(또는 굴곡영역)
110 : 장갑 상부면
111 :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female)
112 : 거치대 벨크로테이프(female)
113 : 트리거 버튼부
113a : 트리거 보호 패드부
120 : 장갑 하부면
121 :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male)
130 : 엄지손가락 삽입 홈
140 : 생체정보 감지 센서부
141 : 심박수 센서부
142 : 활성산소 센서부
143 : 근전도 센서부
200 : 무선 리더기 거치대
201 : 베이스 지지부
202 : 좌측 지지 결합부(또는 좌측 결합 가이드)
203 : 우측 지지 결합부(또는 우측 결합 가이드)
210 : 트리거 접점부
220 :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
300 : 무선 리더기
300a : 제1 무선 리더기
300b : 제2 무선 리더기
300c : 제3 무선 리더기
311 : 카메라부
312a : 제1 기준점 송출부
312b : 제2 기준점 송출부
315 : 디스플레이부
320 : 촬영 버튼부
331 : 블루투스 표시등
332 : 배터리 표시등
333 : 촬영 표시등
341 : 제1 결합 홈
342 : 제2 결합 홈
351 : 생산정보 리더부
352 : 품질정보 리더부
353 : 출하정보 리더부
360 : 위치정보 생성부
400 : 생산공정 관리부
410 : 생산정보 인식부
411 : 생산위치 인식부
412 : 생산시간 인식부
413 : 생산 작업자 인식부
420 : 생산현황 분석부
421 : 산업용 코드 분석부
422 : 생산정보 분석부
430 : 이미지 분석부
440 : 품질 검증부
441 : 제품 인식부
442 : 산업용 코드 분석부
443 : 생산제품 검증부
450 : 작업 플로우 분석부
460 : 생산관리 분석부
470 : 제품 출하부
480 : 작업자 변경 지시부
500 : 작업자 안전 관리부
510 : 작업자 건강정보 수집부
520 : 안전사고 발생위치 판단부
530 : 건강상태 분석부
600 : 이미지 학습부
700 : 클라우드 서버부
10: connecting wire
20: industrial equipment
21 : barcode
22: equipment instrument panel
100: Gloves
101: bend (or bend region)
110: upper surface of the glove
111: Velcro tape on the front of the glove (female)
112: holder velcro tape (female)
113: trigger button unit
113a: trigger protection pad part
120: glove lower surface
121: Velcro tape on the back of the glove (male)
130: thumb insertion groove
140: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1: heart rate sensor unit
142: active oxygen sensor unit
143: electromyography sensor unit
200: wireless reader holder
201: base support
202: left support coupling part (or left coupling guide)
203: right support coupling part (or right coupling guide)
210: trigger contact part
220: Velcro tape for fixing the holder
300: wireless reader
300a: first wireless reader
300b: second wireless reader
300c: third wireless reader
311: camera unit
312a: first reference point transmitter
312b: second reference point transmitter
315: display unit
320: shooting button unit
331: Bluetooth indicator
332: battery indicator
333: shooting indicator
341: first coupling groove
342: second coupling groove
351: Production information leader unit
352: Quality information leader unit
353: shipment information reader unit
360: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department
410: produ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11: production location recognition unit
412: production time recognition unit
413: production worker recognition unit
420: production status analysis department
421: industrial code analysis unit
422: production information analysis unit
430: image analysis unit
440: quality verification unit
441: product recognition unit
442: industrial code analysis unit
443: Product Verification Department
450: work flow analysis unit
460: production management analysis department
470: product shipping department
480: operator change instruction unit
500: worker safety management department
510: worker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20: safety accident location determination unit
530: health state analysis unit
600: image learning unit
700: cloud server unit

Claims (5)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갑,
상기 장갑의 상부면의 일측 영역에 탈부착 고정되는 무선 리더기 거치대,
상기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고정되며, 사용자의 외력 작용에 따라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Gloves worn by the user;
A wireless reader holder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An industrial hands-free read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wireless reader cradle, and includes a wireless reader that collects industrial code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external force a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장갑의 상부면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
상기 장갑의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엄지손가락 삽입 홈,
사용자가 상기 엄지손가락 삽입 홈을 통해 장갑을 착용시에 엄지손가락으로 푸시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손가락 삽입 홈의 전방에 배치되는 트리거 버튼부,
상기 장갑의 상부면의 제3 영역에 배치되는 거치대 벨크로테이프,
상기 장갑의 하부면의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장갑 착용시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제3 영역으로 이동된 상기 장갑 전면 벨크로테이프와 탈부착 결합하는 장갑 후면 벨크로테이프,
상기 트리거 버튼부가 상기 엄지손가락 삽입 홈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love is
Velcro tape on the front of the glove disposed in the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a thumb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glove;
A trigger button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so that a user can push it with a thumb when wearing a glove through the thumb insertion groove;
Velcro tape for a holder disposed on the thir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ove;
The glove rear velcro tape detachably coupled to the glove front velcro tape moved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third region when the glove is worn by being disposed in the third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love;
and a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region so that the trigger button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humb insertion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더기 거치대는,
상기 무선 리더기의 삽입시에 상기 무선 리더기의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베이스 지지부,
우측 방향으로 굴곡진 좌측 결합 가이드로 상기 무선 리더기가 가이드 삽입됨으로써 상기 무선 리더기를 좌측에서 지지 결합하는 좌측 지지 결합부,
좌측 방향으로 굴곡진 우측 결합 가이드로 상기 무선 리더기가 가이드 삽입됨으로써 상기 무선 리더기를 우측에서 지지 결합하는 우측 지지 결합부,
상기 트리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 리더기가 상기 무선 리더기 거치대에 삽입 결합시에 서로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리더기 거치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트리거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reader cradle,
a base support formed to protrude forward to suppo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wireless reader when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 left support coupling part for supporting and coupling the wireless reader from the left side by inserting the guide into the left coupling guide curved in the right direction;
A right support coupling part for supporting and coupling the wireless reader from the right side by the guide insertion of the wireless reader into the right coupling guide cur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a trigger contac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igger button unit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holder so that the contac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ireless read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ireless reader holder. Hands-free rea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접점부와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거치대 벨크로테이프와 서로 탈부착 결합함으로써 무선 리더기 거치대를 탈부착 고정하는 거치대 고정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4. The method of claim 3,
Industrial hands-free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radle fixing velcro tap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ireless reader cradle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radle velcro tape and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inside the trigger contact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part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더기는,
상기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동시에 촬영 또는 스캔하도록 전방에 배치된 리더부,
상기 산업용 코드와 산업용 생산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기준점을 조사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기준점 송출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리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도록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촬영 버튼부,
상기 무선 리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 상태, 블루투스 연결 상태 및 리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
외부와 인터페이스 하도록 후방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후방 좌측 및 우측 영역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결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reless reader is
A reader unit disposed in front to simultaneously photograph or scan the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int transmitte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unit to investigate reference points for photographing the industrial code and industrial production information;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display the image image taken from the camera unit or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ader;
A photographing button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operate the camera unit;
an indicator ligh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reader to display the battery status, Bluetooth connection status, and reader status of the wireless reader;
an interface unit disposed at the rear to interface with the outside;
and left and right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rear left and right regions to engage the left and right support coupling parts.
KR1020200121884A 2020-09-22 2020-09-22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KR102462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884A KR102462584B1 (en) 2020-09-22 2020-09-22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884A KR102462584B1 (en) 2020-09-22 2020-09-22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42A true KR20220039142A (en) 2022-03-29
KR102462584B1 KR102462584B1 (en) 2022-11-03

Family

ID=8099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884A KR102462584B1 (en) 2020-09-22 2020-09-22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84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04A (en) 2000-05-23 2001-12-07 정환일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ar cod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81857A (en) 2005-01-10 2006-07-13 주식회사 마이크로모스 Wireless glove type barcode and rfid scanner
KR100869703B1 (en) 2006-12-18 2008-11-21 (주)블루버드 소프트 Bar Code Reader and Wearable Bar Code Reader Having the Same
JP2009104376A (en) * 2007-10-23 2009-05-14 Well Cat:Kk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140249944A1 (en) * 2013-01-13 2014-09-04 Bruce J. Hicks Wearable mobile scanner system with mobile tablet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pos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in 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KR101462109B1 (en) 2012-08-24 2014-11-17 한창희 Method for offering project management solution based mobile
KR102110723B1 (en) 2019-12-27 2020-05-13 안병룡 System for managing big data material information based on swatch automatic recognition
JP2020077259A (en) 2018-11-08 2020-05-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20117166A2 (en) 2018-12-03 2020-06-11 Tim Akilli Kiyafetleri Ve Bilisim Teknolojisi Anonim Sirketi A smart glov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04A (en) 2000-05-23 2001-12-07 정환일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ar cod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81857A (en) 2005-01-10 2006-07-13 주식회사 마이크로모스 Wireless glove type barcode and rfid scanner
KR100869703B1 (en) 2006-12-18 2008-11-21 (주)블루버드 소프트 Bar Code Reader and Wearable Bar Code Reader Having the Same
JP2009104376A (en) * 2007-10-23 2009-05-14 Well Cat:Kk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1462109B1 (en) 2012-08-24 2014-11-17 한창희 Method for offering project management solution based mobile
US20140249944A1 (en) * 2013-01-13 2014-09-04 Bruce J. Hicks Wearable mobile scanner system with mobile tablet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pos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in 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JP2020077259A (en) 2018-11-08 2020-05-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20117166A2 (en) 2018-12-03 2020-06-11 Tim Akilli Kiyafetleri Ve Bilisim Teknolojisi Anonim Sirketi A smart glove
KR102110723B1 (en) 2019-12-27 2020-05-13 안병룡 System for managing big data material information based on swatch automatic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584B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034B2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528036B2 (en) Light guided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9971154B1 (en) Pointer tracking for eye-level scanners and displays
CN103970265B (en)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with touch feedback
JP2014211763A5 (en)
JP2009279193A (en) Medical apparatus management system
US20180136035A1 (en) Method for detecting vibrations of a device and vibration detection system
US105094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feature of object
US9613328B2 (en) Workflow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658685B2 (en)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and input system
WO20181678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5125317A1 (en) Code reader device
JP2018055370A (en) Inspection device
JP7058621B2 (en) Video recorder and head-mounted display
US20160378185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KR102462584B1 (en) Handsfree reader for industrial
US9904828B2 (en) Portable information code reader
KR102653511B1 (en) Intelligent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apparatus
JP3020943B1 (en) Portable code reader
KR20190132506A (en) Reading system and camera
JP3697816B2 (en) Patrol inspection support system
JP2007293721A (en) Patrol inspection support system
JP6885909B2 (en) Robot control device
US2021008167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23017482A (en) Check operation support system, check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check operation suppor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