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865A -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865A
KR20220035865A KR1020210171627A KR20210171627A KR20220035865A KR 20220035865 A KR20220035865 A KR 20220035865A KR 1020210171627 A KR1020210171627 A KR 1020210171627A KR 20210171627 A KR20210171627 A KR 20210171627A KR 20220035865 A KR20220035865 A KR 20220035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list
visualiz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0361B9 (en
KR102450361B1 (en
Inventor
이종필
Original Assignee
뉴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튠(주) filed Critical 뉴튠(주)
Priority to KR102021017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61B1/en
Publication of KR2022003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61B1/en
Publication of KR10245036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61B9/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경로 생성부, 상기 주행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 및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는 추천 음악 목록 생성부,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미리 정해진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상기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a navigation service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riving route generator that generates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input by a user, and a driving route information display unit. A display unit, a recommended music li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music lis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analyzing music exist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and A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music information for each attribute, maps a shap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pping method, and transforms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thickness, and color of the shape.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relative size information for numerical values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and music visualization that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music exist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isplays the list along with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여러 속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시각화된 정보를 내비게이션 길 안내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and a navigation device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route guidance service that provides visualized information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various properties of music.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technology provided to users.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대용량의 미디어를 디지털화하여 저용량의 미디어로 변환할 수 있게 되어, 오늘날에는 사용자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를 저장하여 이동중에도 원하는 미디어를 선별하여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압축 기술을 통해 디지털화된 미디어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간 미디어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온라인 미디어 서비스를 폭발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많은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digitize existing large-capacity media and convert it into low-capacity media. Today, users can store various types of media on portable user terminal devices and easily select and enjoy the media they want on the go. It became possible. In addition, media digitized through digital compression technology is explosively revitalizing online media services by enabling media sharing between users on a network, and many applications or programs related to this are being developed.

이렇게 방대하게 제공되는 미디어 중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음악으로서, 다른 미디어 종류에 비해 저용량이며 통신 부하가 낮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무리가 없어 서비스 제공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도가 높다. 이에 따라, 현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온라인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Among the vast amounts of media provided, music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media, it has a lower capacity and communication load, so it is easy to support real-time streaming services, resulting in high satisfaction for both service providers and users. Accordingly, services that provide online music to users in various ways are currently emerging.

기존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음원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온라인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음원을 단순하게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Existing online music services simply provide music in real time to users connected online by providing music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or providing streaming services, but recently, they have utilized big data 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 provide a service that recommends highly preferred media to users.

그러나, 현재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서의 추천 방식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청취 또는 검색한 음원의 수를 단순 집계하여 음악 차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천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추천 방식은 단순 액세스 회수에 기반한 통계적인 기준에 의해서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지는 다양성 및 변동성을 무시한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추천 방식은 누적된 액세스 회수를 기반으로 음악을 추천하므로 음악 차트의 변동성이 낮아, 기존에 추천된 음악들과 현재 추천되는 음악들이 대부분 중복되어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However, the current recommendation method in online music services is to create a music chart by simply counting the number of music sources purchased, listened to, or searched by the user and make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This recommendation method is a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simple number of accesses. It is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based on standards and ignores the diversity and volatility of the user's preferences. In addition, since this recommendation method recommends music based on the accumulated number of accesses, the volatility of the music chart is low, and most of the previously recommended music overlaps with the currently recommended music, greatly reducing its effectiveness.

또한, 이런 방법으로 음악을 추천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음악을 추천해주었는지 모르기 때문에, 실제로 추천된 음악이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인지 여부는 음악의 특성상 사용자가 실제로 들어봐야 알 수 있다. 즉, 추천한 음악이 어떤 장르가 음악인지, 템포는 어떤지, 음악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끝까지 다 들어봐야 알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존재한다.Additionally, when music is recommended in this way, the user does not know how the music was recommended, so due to the nature of the music, the user must actually listen to it to know whether the recommended music is music that the user likes.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is consumed because the user must listen to the end to find out information about what genre of music the recommended music is, what the tempo is, and what structure the music has.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음악을 들어보거나 설명을 읽지 않아도 한 눈에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존재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invention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music at a glance without the user having to directly listen to the music or read the description. The purpose is to enable intuitive recognition.

구체적으로,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여러 속성에 대해 분석한 수치 값들에 대해 도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음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by providing users with information visually displayed using shapes about the numerical values analyzed for the various properties of music, users can intuitively see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properties of music at a glance.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사용자와 탑승자의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주행 경로에 어울리는 다양한 음악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줌과 동시에 추천한 노래에 대한 정보를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commends various music suitable for the driving route to the user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asseng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songs in response to the driving route. The purpose is to enable users to recognize it intuitively.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경로 생성부, 상기 주행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 및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는 추천 음악 목록 생성부,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미리 정해진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상기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a navigation service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riving route generator that generates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input by a user, and a driving route information display unit. A display unit, a recommended music li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music lis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analyzing music exist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and A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music information for each attribute, maps a shap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pping method, and transforms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thickness, and color of the shape.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relative size information for numerical values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and music visualization that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music exist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isplays the list along with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주행 경로 정보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예상 평균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환경에 대한 정보,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날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average moving speed for each section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route environment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may inclu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순서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순서를 변경한 경우, 변경된 순서에 따른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ange the order of music existing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order of music existing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When changed, a music visualization list according to the changed orde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들의 재생 순서 및 재상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driving path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by considering the playback order and playback time of music existing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상기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 타원 및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음악의 알엠에스(RMS, Root Mean Square)의 크기, 장르(Genre)의 종류, 무드(Mood)의 정도, 템포(Tempo)의 정도, 상기 음악에서의 보컬(Vocal)의 비중 및 상기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music existing in a music list and generating music information for each property of the music, and determining the propert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pping method. Generating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relative size information for numerical values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by mapping a shape to express the property and modifying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thickness, and color of the shape. Steps: generating music visualiz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match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and generating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n storing the visual information in the music list. and displaying a music visualization list corresponding to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on a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wherein the shape is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a circle, an oval, and an arc. It includes one, and the properties include the size of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music, the type of genre, the degree of mood, the degree of tempo, and the vocals in the mus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roportion of (Vocal)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usic.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여러 속성에 대한 상대적 크기에 대한 정보를 도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음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size of various properties of music using shapes,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various properties of music at a glance. There is an advantage to knowing information intuitivel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주행 경로와 함께 주행 경로에 대응되는 음악에 대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음악 시각화 목록을 함께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므로, 운전자는 직관적으로 앞으로 재생될 음악에 대한 정보를 운전의 방해 없이 알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s the driver with a music visualization list containing visual information about music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along with the driving route, so the driver intuitively receives information about music to be played in the future. There is an effect of knowing without interfering with dri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RMS 의 크기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템포의 정도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의 정도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장르를 매핑하는데 기준이 되는 HSL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무드에 대한 정보를 채도와 명도를 기준으로 매핑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시각 정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구조에 대한 정보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시각 정보의 동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 목록에 시각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이미지 정보 위에 시각 정보가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의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representing the RMS size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expressing the degree of tempo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expressing the degree of proportion of vocals in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HSL system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mapping genres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about the mood of music mapped based on saturation and br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music and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ynamic example of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re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music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of music existing in a music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and 14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 to change the order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provi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a, 300b), 차량(400) 및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a, 300b) 및 다수의 차량(400)과 통신 연결되어 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300a and 300b, a vehicle 400, and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operated in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300a and 300b and a plurality of vehicles 400.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또는 차량(4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고, 추천 음악 목록에 있는 음악에 대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추천 음악 목록과 함께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차량(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generates a recommended music list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or the vehicle 400,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music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and generates the generated music information. Visua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300 and vehicles 400 along with a list of recommended music.

따라서,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일반적으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generally a server, that can provid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s to users.

서버는 통상적인 서버(server)를 의미하는 바, 서버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로서,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 server refers to a typical server. A server is computer hardware on which a program is running. It monitors and controls the entire network, such as printer control or file management, or connects to other networks through a mainframe or public network. Sharing software resources such as data, programs, and files, or modems, fax machines, and printers. It can support sharing hardware resources such as other equipment.

이러한 서버는 온라인 상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련된 앱을 탑재하여 각각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차량(400)과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다.These servers are equipped with apps related to the online commerce brokerage system and ar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vehicle 400 through a network,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manage the Internet home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를 음악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한 인적 정보 및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300 connects to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under the user's control, receives information about music desired by the user, or allows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o recommend music to the user. To create a list, you can enter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he user likes.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r a general-purpose application, and generally includes a computing device.

도 1에서는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스마트 폰(Smartphone, 300a)과 랩탑(Laptop, 300b)으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는 기기는, PC(Personal Computer),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스마트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할 수 있다.In FIG. 1,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shown as a smart phone (300a) and a laptop (Laptop, 300b), but devi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clude a personal computer (PC) and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 All devices such as 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ad, tablet PC, smart watch, smart glass, wearable device, etc.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또한, 도 1에서는 지면의 한계상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개수를 한정된 수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음악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ure 1, the number of user terminal devices 300 is shown as a limited number due to space limit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larger number of user terminal devices can be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there is.

차량(4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를 위한 음악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한 인적 정보 및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vehicle 400 connects to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under the user's control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music desired by the user, or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provides a music recommendation list for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he user likes can be transmitted to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so as to generate a .

구체적으로, 차량(400)은 차량(400)의 내비게이션 장치(200) 또는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200)는 차량(400)의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도 있고, 차량(400)과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스마트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hicle 400 may access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using the navigation device 200 or th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vehicle 400. The navigation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400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independent of the vehicle 400. In other words, the network can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 SmartPad, tablet PC, smart watch, or smart glass.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wearable devices, etc. may be includ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음악 목록 생성부(110), 음악 정보 생성부(120), 시각 정보 생성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 music list generator 110, a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130, and the like.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들에 대한 음악 목록을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음악을 추천하는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 music list generator 110 may generate a music list for music selected by the user or create a recommended music list that recommends music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노래의 제목일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장르나, 특정 아티스트에 대한 음악 일 수 있다.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들을 하나의 리스트로 생성하여 음악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he title of a song directly entered by the user, or may be music for a specific genre or artist selected by the user.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may generate a list of music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 the music list to the user.

추천 음악 목록은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음악 목록을 의미하며,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악의 장르, 음악의 무드, 음악의 템포, 음악의 제목, 앨범의 제목 및 아티스트의 이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mmended music list refers to a list of recommended music that analyzes the user's tastes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recommends it to the user based on this.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the genre of music entered by the user, the mood of the music, and the mus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tempo, the title of the music, the title of the album, and the name of the artist.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음악 목록은 반드시 사용자의 특정 입력 정보가 있어야 생성되는 음악 목록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처음 웹 하면 접속하였을 때의 화면에 표시되는 음악들 또는 음악 웹 사이트 내에서 페이지를 변경할 때 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음악들 또한 하나의 음악 목록으로 간주하고, 본 발명의 원리가 화면에 표시되는 음악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ic list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a music list created with the user's specific input information, and includes music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first accesses the web or pages within the music website. The music displayed on the screen whenever it is changed is also considered a music list, and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music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상기 입력 정보들을 기초로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음악과 장르(genre), 무드(mood), 악기(instrument), 보컬(vocal), 샘플(sample) 및 리듬(rhythm)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음악을 포함하여 음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can generate a recommended music lis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usic, genre, mood, and instrument included in the input information. ), a music list can be created including music similar to at least one of vocals, samples, and rhythms.

예를 들어,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장르를 기준으로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와 유사한 장르를 가지는 음악들을 추천 음악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리듬을 기준으로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리듬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리듬을 포함하고 있는 음악들을 추천 음악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generating a recommended music list based on genre,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determines the user's preferred genr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selects a genre similar to the user's preferred genre. Music with a can be included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When creating a recommended music list based on rhythm, the user's preferred rhythm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the user's preferred rhythm is included. You can include the music you are play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또한,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와 탑승자의 성향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을 종합하여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creating a recommended music list,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may generate a recommended music list by combining the preferences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and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when the user is a driver.

구체적으로, 음악 목록 생성부(110)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성별, 나이 등 기본적인 인적 정보와 더불어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예상 평균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 목적지에 대한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환경에 대한 정보,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날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내비게이션 장치(200)의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provides basic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age of the driver and passenger,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average moving speed for each section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route environment to the destination. ,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navigation device 200, and a recommended music lis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예를 들어, 목적지가 X도시인 경우, X도시와 관련된 노래를 추천 음악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고, 주행 시간에 비가 오는 늦은 저녁이면 이러한 환경과 관련된 음악을 추천 음악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stination is city X, songs related to city

음악 정보 생성부(120)는 음악 목록 생성부(110)가 생성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여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그 상대적 크기를 표현할 수 있는 수치 값을 포함하고 있는 음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nalyzes the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generated by the music list generation unit 110 and includes a numerical value that can express the relative size of each attribute of the music. Music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음악 정보 생성부(120)가 음악에 대해 분석하는 속성은 음악의 알엠에스(RMS, Root Mean Square), 탬포(Tempo), 장르(Genre), 무드(Mood), 전체적인 구조 및 상기 음악에서의 보컬(Vocal)의 비중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tributes that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nalyzes for music include RMS (Root Mean Square), Tempo, Genre, Mood, overall structure, and vocals in the music. It may include the proportion of (Vocal), etc.

예를 들어, 음악 목록에서 아티스트 A - 노래 제목 B 인 음악이 존재한다면, 음악 정보 생성부(120)는 노래 제목이 B인 음악을 분석하여, 알엠에스(RMS) 크기는 어떠한지, 템포의 정도는 어떠한지, 음악 전체에서 보컬(Vocal)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음악이 어떤 장르를 가지고 있는지, 무드의 정도는 어떠한지,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music with artist A - song title B in the music list,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nalyzes the music with song title B to determine the RMS size and the degree of tempo.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what the music is like, how much vocals occupy in the entire music, what genre the music has, what the mood is like, and how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usic progresses.

알엠에스(RMS)는 Root Mean Square의 약자로서, 실효 출력을 나타내는 말로, 앰프리파이어 또는 스피커에서 지속적인 시그널의 출력이 가능한 평균 출력의 기준이 되는 값을 의미하며, 실효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알엠에스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에너지 값을 의미하며, 알엠에스 크기에 대한 수치 값은 0에서 1사이로 출력될 수 있다.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1에 가까운 값이 출력될 수 있으며, 에너지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0에 가까운 값이 출력될 수 있다.RMS is an abbreviation for Root Mean Square, which refers to the effective output. It refers to the value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the average output capable of continuously outputting a signal from an amplifier or speaker, and is also called the effective value. In other words, RMS refers to the overall energy value of the music, and the numerical value for the size of RMS can be output between 0 and 1. If the music is judged to have high energy, a value close to 1 may be output, and if the energy is judged to be low, a value close to 0 may be output.

템포(Tempo)는 음악의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음악의 속도를 숫자로 표시한 BPM(beats per minute)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템포에 대한 수치 값은 BPM을 기준으로 0부터 약 250 사이의 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수치 값의 숫자가 클수록 음악이 빠른 것을 의미하고, 수치 값의 숫자가 작을수록 음악이 느린 것을 의미한다. Tempo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music, and can generally be expressed as BPM (beats per minute) information, which indicates the speed of music in numbers. Therefore, the numerical value for tempo can be calculated as a value between 0 and about 250 based on BPM. A larger numerical value means faster music, and a smaller numerical value means slower music. .

보컬(Vocal)의 비중은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그 비율을 의미한다. 보컬의 비중에 대한 수치 값은 0에서 1사이로 산출될 수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연주 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음악을 의미하고, 0에 가까울수록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고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The proportion of vocals refers to the proportion of vocals in music. The numerical value for the proportion of vocals can be calculated between 0 and 1. The closer it is to 1, the music has a higher proportion of vocals in the music and a lower proportion of performance parts, and the closer it is to 0,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vocals in the music. This means that the proportion is low and the vocals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장르는 분석하는 음악의 종류가 어떤 종류의 음악인지에 대한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장르는 메탈(metal), 락(rock), 라틴(latin), 포크(folk), 뉴 에에지(new age), 재즈(jazz), 블루스(blues), 일렉토니(electronic), 팝(pop) 힙합(hip-pop), 레게(reggae) 등이 포함된다. 음악 정보 생성부(120)는 음악을 분석하여, 음악이 상기 설명한 장르 중 어떠한 장르에 속하는 판단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후술하겠지만 각각의 장르에 대한 수치 값은 HSL 색상 시스템에 의해 0도에서 360도 사이의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Genre is information about what type of music is being analyzed. Specifically, genres include metal, rock, Latin, folk, new age, Includes jazz, blues, electronic, pop, hip-pop, reggae, etc.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can analyze the music and determine which genre the music belongs to among the genres described abov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the numerical value for each genre ranges from 0 degrees to 360 degrees by the HSL color system. It can be calculated as one of the values between degrees.

무드는 음악의 정서에 대한 정보로서, 정서의 강도를 나타내는 arousal 정보 및 정서의 긍정/부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valenc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무드에 대한 정보는 arousal 정보와 valence 정보가 수치화 되어 한 쌍의 수치 값으로 출력이 될 수 있다.Mood is information about the emotion of music and includes arousal information, which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and valence information, which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the positivity/negativity of the emo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mood is a quantifiable form of arousal information and valence information. The output can be a pair of numerical values.

수치화 되는 arousal 수치 값 값과 valence 수치 값은 각각 0에서 1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분석되는 음악이 높은 arousal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수치 값은 1에 가까워지며, 낮은 arousal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수치 값은 0에 가까워진다. valence 정보 또한 분석되는 음악이 높은 valence 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수치 값은 1에 가까워지며, 낮은 valence 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수치 값은 0에 가까워진다.The numerical arousal and valence numerical values each range from 0 to 1. If the music being analyzed is judged to have high arousal, the numerical value approaches 1, and if it is judged to have low arousal, the numerical value approaches 1. The numerical value approaches 0. If the music being analyzed for valence information is judged to have high valence, the numerical value approaches 1, and if it is judged to have low valence, the numerical value approaches 0.

시각 정보 생성부(130)는 앞서 설명한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사용자가 음악이 각각의 속성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값을 가지고 있는지 한눈에 시각적으로 이를 알 수 있도록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속성에 대한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ps shapes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properties described above, and configures the size of the shape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see at a glance how much value the music has for each property. Visual information containing relative size information for the numerical value of each attribute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modifyi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thickness, and color.

앞서 설명한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매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악의 알엠에스의 크기는 동심원의 두께에 매핑되고, 음악의 탬포의 정도는 상기 동심원의 외주면의 바깥 사사분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호의 길이로 매핑될 수 있으며,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기 동심원 외주면의 바깥 사사분면 중 상기 템포에 매칭되는 호가 위치하는 사사분면 중 하나를 제외한 다른 사사분면에 배치되는 호의 길이로 매핑될 수 있다. 음악의 장르의 종류는 동심원의 색상으로 매핑되고, 음악의 무드의 정도는 상기 색상의 채도 및 명도에 매핑될 수 있으며, 음악의 구조는 복수 개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도형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Figures that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attributes described above can be mapp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standards.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music's RMS can be mapped to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the degree of tempo of the music can be mapped to the length of an arc placed in one of the outer quadrant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and the proportion of vocals in the music is mapped to It may be mapped to the length of an arc placed in a quadrant other than one of the outer quadrant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centric circle, except for one of the four quadrants in which the arc matching the tempo is located. The type of music genre can be mapped to the color of a concentric circle, the degree of the mood of the music can be mapped to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the color, and the structure of the music can be mapped to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riangles or squar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there is. Let’s look at this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알엠에스(RMS)의 크기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representing the size of RMS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음악의 RMS의 크기는 동심원(20)의 두께로 매핑되므로 RMS의 크기의 정도는 동심원의 두께의 정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RMS의 크기가 클수록 동심원의 두께는 증가하며, RMS의 크기가 작을수록 동심원의 두께는 감소한다.Referring to FIG. 3, since the size of the RMS of music is mapped to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20, the degree of the size of the RMS can be expressed as the degree of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That is, as the size of the RMS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increases, and as the size of the RMS decreases,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decreases.

예를 들어, 음악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분석하는 음악의 RMS의 크기에 대한 수치 값이 약 0.1로 산출하였다면 도 3의 (b)의 가장 왼쪽에 있는 도형(21)처럼 동심원의 두께는 얇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RMS의 크기에 대한 수치 값이 약 0.9로 산출하였다면 도 3의 (b)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도형(22)처럼 동심원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음악을 다 청취하지 않아도 도형의 두께만을 가지고 음악이 가지고 있는 RMS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For example, if the numerical value of the RMS size of the music analyzed b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is calculated to be about 0.1,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as shown in the figure 21 on the far left of (b) of FIG. 3, is It can be expressed in a thin form. On the other hand, if the numerical value for the size of the RMS is calculated to be about 0.9,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s can be expressed as very thick, like the figure 22 on the far right of Figure 3 (b).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information about the RMS size of the music based only on the thickness of the shape without having to listen to all the music,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lect the music he or she prefers. exis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템포의 정도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expressing the degree of tempo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음악의 템포는 동심원의 외주면의 바깥 사사분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호로 매핑될 수 있다. 도 4에서 음악의 템포는 동심원(20)의 외주면 바깥 사사분면 중 2사분면에 배치하여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3,4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tempo of music can be mapped to an arc placed in one of the outer quadrant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In FIG. 4, the tempo of music is expressed by being placed in the second quadrant out of the four quadrants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2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placed in the first, third, and fourth quadrants.

템포의 정도는 호의 길이에 비례하여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악의 템포가 빠를수록 호의 길이는 증가하며, 음악의 템포가 느릴수록 호의 길이는 감소하며,The degree of tempo can be expres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arc. Therefore, as the tempo of the music increases, the length of the arc increases; as the tempo of the music slows, the length of the arc decreases.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템포의 정도에 대한 수치 값은 BPM 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므로, BPM 값이 낮게 산출되면 도 4의 (b)의 가장 왼쪽에 표현된 도형(31)처럼 호의 길이는 매우 작게 표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BPM 값이 높게 산출된 경우 도 4의 (b)의 가장 오른쪽에 표현된 도형(32)처럼 호의 길이는 길게 표현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표시한 bpm의 범위(0 내지 250)는 일 예를 표시한 값이며 음악의 특성에 따라 bpm의 값이 250보다 더 큰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numerical value of the degree of tempo can be calculated as a BPM value, so if the BPM value is calculated low, the length of the arc, as shown in the figure 31 expressed on the leftmost side of (b) of Figure 4, is It can be expressed very small. Conversely, when the BPM value is calculated to be high, the length of the arc may be expressed as long, as shown in the figure 32 shown on the far right of Figure 4 (b). The bpm range (0 to 250) shown in (b) of FIG. 4 is an example,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 bpm value may be calculated to be greater than 250.

다만, 동심원의 외주면 바깥에 위치하는 호의 길이는 어는 하나의 분면을 초과하여 표현될 수 없으므로, 템포의 정도를 표시하는 호가 2사분면에 위치한다면, 호의 길이는 9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는 호로 표현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arc locat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cannot be expressed beyond one quadrant, if the arc indicating the degree of tempo is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the length of the arc has an angle between 90 and 180 degrees. It can be expressed as an arc.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의 정도를 표현하는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igure expressing the degree of proportion of vocals in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은 동심원(20)의 동심원의 외주면의 바깥 사사분면 중 하나에 배치되는 호로 매핑될 수 있다. 도 5에서 음악의 템포는 동심원(20)의 외주면 바깥 사사분면 중 4사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3,4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roportion of vocals in music can be mapped as an arc placed in one of the outer quadrant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centric circle 20. In FIG. 5, the tempo of the music is expressed as being placed in the 4th quadran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2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placed in the 1st, 3rd, and 4th quadrant.

다만,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 표현된 템포의 정도를 표현하는 호와 도 5에서 보컬의 비중의 정도를 표현하는 호는 서로 다른 사사분에 배치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대칭인 사사분면(1사분면과 3사분면, 2사분면과 4사분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하 템포의 정도를 나타내는 호를 템포 호(30)라 칭하고, 보컬의 비중 정도를 나타내는 호를 보컬 호(40)라고 칭한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user confusion, the arc expressing the degree of tempo expressed in Figure 4 and the arc expressing the degree of vocal proportion in Figure 5 should be placed in different quadrants, and in order to increase user intuition, It is efficient to place them in four symmetrical quadrants (1st and 3rd, 2nd and 4th). Hereinafter, the arc representing the degree of tempo is referred to as the tempo arc (30), and the arc representing the degree of vocal proportion is referred to as the vocal arc (40).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의 정도는 호의 길이에 비례하여 표현되므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호의 길이는 증가하며,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을수록 호의 길이는 감소한다.The degree of importance of vocals in music is expres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arc, so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vocals, the longer the arc increases, and the lower the proportion of vocals, the lower the length of the arc.

예를 들어, 음악에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고 연주 파트가 많은 노래의 경우 음악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보컬 비중 속성에 대한 수치 값은 0에 가깝게 산출되므로 수록 도 5의 (b)의 가장 왼쪽에 표현된 도형(41)처럼 호의 길이는 매우 작게 표현될 수 있으며, 반대로 보컬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연주 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경우 보컬 비중 속성에 대한 수치 값은 1에 가깝게 산출되므로 도 5의 (b)의 가장 오른쪽에 표현된 도형(42)처럼 호의 길이는 길게 표현될 수 있다. 다만, 호의 길이는 어는 하나의 분면을 초과하여 표현될 수 없으므로 보컬 호(40)가 4사분면에 배치된다면 360도에서 270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는 호로 표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ong in which the proportion of vocals in the music is low and has many performance parts, the numerical value for the vocal proportion attribute is calculated close to 0 b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so it is included in the most part of (b) of Figure 5. As shown in the figure 41 shown on the left, the length of the arc can be expressed as very small, and conversely, when the proportion of vocal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parts is low, the numerical value for the vocal proportion attribute is calculated close to 1, so in Figure 5 The length of the arc can be expressed as long, as shown in figure 42 on the far right of (b). 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arc cannot be expressed beyond one quadrant, if the vocal arc 40 is placed in the fourth quadrant, it can be expressed as an arc having an angle between 360 degrees and 270 degre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의 장르를 매핑하는데 기준이 되는 HSL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HSL색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HSL은 Hue(색조), Saturation(채도), Lightness(명도)의 이니셜을 이어서 만든 단어를 의미하며, 도 6의 (b)는 음악의 각각의 장르에 대한 색상과 HSL 색상 시스템에서의 도(degree) 를 매칭한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HSL system, which is a standard for mapping genres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diagram showing the HSL color system, where HSL is Hue, It refers to a word created by combining the initials of Saturation and Lightness, and Figure 6 (b) shows a table matching the colors for each genre of music and the degrees in the HSL color system. It is a drawing.

Hue(색조)는 0도에서부터 360도까지로 0은 빨강, 120은 초록, 240은 파랑색을 나타내며, 0도 ~ 120도 ~ 240도 사이의 숫자들은 그 사이 색상의 어딘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HSL 색상 시스템에 의하면 360개의 컬러를 특정 도(degree)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Hue ranges from 0 to 360 degrees, with 0 being red, 120 being green, and 240 being blue. Numbers between 0 and 120 and 240 degrees represent colors somewhere in between. Therefore, according to the HSL color system, 360 colors can be expressed with specific degree values.

예를 들어, 음악 정보 생성부(120)가 분석한 음악의 장르가 메탈(Metal)로 판단된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은 0도에 매칭되며, 0도는 HSL 색상 시스템에 의해 빨간색으로 매칭되므로, 분석한 음악의 장르를 표현하는 도형의 색상은 빨간색이 된다. 만약 분석한 음악의 장르가 펑크(Funk)인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펑크는 196도에 매칭될 수 있고, 196도는 HSL 색상 시스템에 의해 하늘색으로 매칭되므로, 분석한 음악의 장르를 표현하는 도형의 색상은 하늘색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genre of music analyzed b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is determined to be metal, as shown in (b) of FIG. 6, metal is matched to 0 degrees, and 0 degrees is the HSL color. Since it is matched to red by the system, the color of the shape representing the genre of the analyzed music becomes red. If the genre of the analyzed music is funk, as shown in (b) of Figure 6, funk can be matched to 196 degrees, and 196 degrees is matched to light blue by the HSL color system, so the analyzed music The color of the shape representing the genre can be light blu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드에 대한 정보를 색상의 채도와 명도를 기준으로 매핑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diagram in which information about mood is mapped based on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드는 음악의 정서에 대한 정보로서, 정서의 강도를 나타내는 arousal 정보 및 정서의 긍정/부정에 대한 정보인 valenc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정보는 음악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0과 1사이의 값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각각의 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ousal 는 색상의 채도로 매핑되며, valence는 색상의 명도로 매핑된다. 채도(Saturation)는 채색된 정도(색상의 강렬함)를 의미하며 0%는 완전한 무채색이고, 100%는 원색을 의미하며, 명도(Lightness)는 밝기(빛의 함량)를 의미하며, 0%는 검정색, 100%는 흰색을 의미한다. arousal 값이 높게 산출된 경우 채도는 점점 진한색으로 매핑되며,, valence값이 높게 산출된 경우 색상의 명도는 점점 밝은 색으로 매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od is information about the emotion of music and includes arous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and valen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positivity/negativity of the emotion, and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It is calculated as a value between 0 and 1. And for each value calculated in this way, arousal is mapped to the saturation of the color, and valence is mapped to the brightness of the color, as shown in Figure 7. Saturation means the degree of coloring (intensity of color), 0% is completely achromatic, 100% means primary color, and Lightness means brightness (content of light), and 0% is black. , 100% means white. If the arousal value is calculated to be high, the saturation is mapped to increasingly darker colors, and if the valence value is calculated to be high, the brightness of the color is mapped to increasingly brighter colors.

예를 들어, 음악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분석 대상이 되는 음악의 arousal 수치 값과 valence 수치 값이 각각 0.842 및 0.720으로서 산출 되었다면 도 7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값은 채도와 명도에 대응되는 X지점으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도6에 의해 결정된 색은 도 7에 따른 과정에 의해 채도와 명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진 색으로 변형되므로, 후에 시각 정보 생성부(130)가 동심원(20)의 색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도 6에 의해 결정된 색상보다 채도와 명도가 더 높은 색상으로 동심원(20)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rousal numerical value and the valence numerical value of the music to be analyzed b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were calculated as 0.842 and 0.7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 each value corresponds to saturation and brightness. It can be mapped to point X. Therefore, the color determined in Figure 6 is transformed into a color with relatively higher saturation and brightness thr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Figure 7, so when the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130 later determines the color of the concentric circle 20, The color of the concentric circle 20 can be determined as a color with higher saturation and brightness than the color determined by 6.

이와 반대로 음악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분석된 음악의 arousal 수치 값과 valence 수치 값이 각각 -0.576 및 -0.748으로서 각각 낮은 값으로 산출이 되었다면 도 7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값은 채도와 명도 둘 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매핑되므로, 도 6에 의해 결정된 색은 채도와 명도가 더 낮아진 색으로 변형되어 표시된다.On the contrary, if the arousal numerical value and the valence numerical value of the music analyzed b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were calculated as low values, such as -0.576 and -0.748,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 the respective values are chroma and brightness. Since both are mapped to relatively low values, the color determined in Figure 6 is transformed and displayed as a color with lower saturation and brightness.

도 7에서는 무드에 대한 정보를 정서의 강도를 나타내는 arousal 정보와 정서의 긍정/부정에 대한 정보인 valence 정보를 취득한 후, 각각 색상의 채도와 명도로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arousal 정보와 valence 정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각각 색상의 채도와 명도로 매핑 할 수 있다.In FIG. 7, a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mood as arous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tensity of emotion and vale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ve/negative information of the emotion and then mapping them to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respectively, is explained. However, in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mapped directly to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each color without going through arousal information and valenc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음악 정보 생성부(120)는 사람의 감정을 일정 기준에 따라 복수 개의 감정으로 나눈 후 각각의 감정에 대해 색상의 채도와 명도로 매핑한 지도 정보를 기초로 무드에 대한 정보를 채도와 명도를 매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감정을 9개의 감정으로 나눈 후 각각의 감정에 대해 색상의 채도와 명도를 사전에 매핑한 감정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여러 센서에 의해 취득한 운전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감정 지도 정보 속에서 찾아서 그에 대응되는 색상의 채도와 명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divides a person's emotions into a plurality of emotions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and then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mood based on map information that maps each emotion to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Brightness can be mappe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7, human emotions are divided into nine emotions, emotion map information is generated by pre-mapping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for each emotion, and then the driver's emotions are acquired by multiple sensors. By finding information in the emotional map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color can be extrac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각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시각 정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각 정보 생성부(130)는 음악 목록 생성부(110)가 음악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속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하여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속성에 대한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10)를 생성할 수 있다.The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130 generates a numerical value for each attribute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by applying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3 to 7 to each attribute based on the music list generator 110. Visual information 10 including relative size information about can be generated.

일 예로서, 도 8의 (a)는 텍스트 정보 없는 시각 정보(10)만을 생성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동심원(20)의 색상은 보라색이므로 음악의 장르는 팝(pop)이며, 2사분면에 배치되는 템포 호(30)의 길이는 약 90도에서 약180도 까지 걸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템포는 상대적으로 빠른 음악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4사분면에 배치되는 보컬 호(40)의 길이 또한 약 270도에서 약 360도까지 걸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음악에서 보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음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As an example, (a) of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that generates only visual information 10 without 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the color of the concentric circles (20) is purple, so the genre of music is pop, and the length of the tempo arc (30) placed in the second quadrant is arranged from about 90 degrees to about 180 degrees. Therefore, we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tempo of the music is relatively fast.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vocal arc 40 arranged in the fourth quadrant ranges from about 270 degrees to about 360 degrees, so it can be seen that the music has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vocals.

도 8의 (b)는 시각 정보(10)의 다른 실시예로서, 텍스트 정보(11 내지 15)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10)를 생성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르를 설명하는 장르 정보(13)가 시각 정보(10)의 정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시각 정보(10)의 각 모서리에는 템포에 대한 정보(11), 알엠에스의 크기에 대한 정보(12), 무드에 대한 정보(14) 및 보컬의 비중에 대한 정보(15)가 텍스트로 기재될 수 있다.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정보의 종류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보가 배치될 수 있다.FIG. 8 (b) is another example of visual information 10, and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n which visual information 10 including text information 11 to 15 is generated. As shown in (b) of FIG. 8, genre information 13 explaining the genre may be placed in the exact center of the visual information 10, and information about the tempo 11 is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visual information 10. ,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RMS (12), information about the mood (14),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portion of vocals (15) can be written in text. The type of information placed at each corne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정보는 곡의 전반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1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음악의 전반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와, 음악의 전반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Additionally, the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visual information 10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ong.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visual informatio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structure of music, the process of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structure of music, and various examples.

음악의 구조란, 음악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음악의 에너지나 강/약을 표시한 정보로서, 음악 정보 생성부(120)는 인트로(intro), 벌스(verse), 브릿지(bridge), 코로스(chorus) 및 아웃트로(outro)에 값을 할당하여, 음악의 기승전결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음악의 구조에 대한 정보(50)를 산출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music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energy or strength/weakness of the music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music, and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or 120 generates intro, verse, bridge, and chorus ( By assigning values to chorus and outro, information 50 about the structure of the music, which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re-event structure of the music, can be calculated.

일 예로, 도 9의 (a)에 도시된 음악 구조에 대한 정보(50)는 음악의 처음부터 중간까지 음악의 에너지가 증가하다가 감소한 후, 중간부터 종료까지 다시 에너지가 증가하는 느낌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표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음악 구조에 대한 정보(50)는 분석되는 음악의 특성에 따라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50 about the music structure shown in (a) of FIG. 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ergy of the music increases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music, then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from the middle to the end. It can mean expressing something that exists. Information 50 about the music structure may b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b) of FIG. 9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being analyz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각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시각 정보의 동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ynamic example of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visual inform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정중앙에 있는 시각 정보(10)는 앞선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시각 정보와 동일한 시각 정보로서, 하나의 곡에 대한 각각의 속성에 대해 분석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도시한 시각 정보이며, 그 외 의 시각 정보(61 내지 65)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동적 시각 정보를 도시한 모습니다.Referring to FIG. 10, the visual information 10 in the exact center of FIG. 10 is the same visual information as the visual information explained in FIGS. 3 to 8, and visualizes the information analyzed for each attribute of one song. This is visual information shown, and other visual information (61 to 65) shows dynamic visual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with the passage of time.

동적 시간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한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한 경우, 음악이 재생됨에 따라 변화되는 음악의 속성들을 값을 반영되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시각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심원(20)의 두께나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텍스트 정보들의 값이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Dynamic time information refers to visual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by reflecting the values of the properties of the music that change as the music is 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d plays specific music.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le 20 or the values of various tex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may change in real time as time passes.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웹/모바일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1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web/mobile screen of a user terminal device or a screen displayed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1은 음악 목록에 시각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이미지 정보 위에 시각 정보가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music list,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of music existing in a music list.

본 발명처럼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들의 속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음악에 대한 시각화 정보를 도 11과 도 12처럼 표시하면, 사용자는 각각의 음악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음악 목록에 있는 음악들의 전반적인 성향을 짧은 시간에 모두 알 수 있으며, 동시에 본인이 선호하는 음악들만 선택해서 들을 수 도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들이 본인이 선호하는 음악인지는 직접 음악을 청취하거나, 텍스트 정보를 읽어야 알 수 있었는데, 본 발명과 같은 경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시각화 정보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직접 음악을 듣지 않아도 보다 쉽고 빠르게 음악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and display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for each music as shown in Figures 11 and 12,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information about each music and add it to the music li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you can know the overall tendency of music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t the same time, you can select and listen to only the music you prefer.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user had to listen to the music directly or read the text information to know whether the music in the music list was the user's favorite music.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erties of the music are known. Because information is provided in visual form so that users can understand it at a glance, users can learn information about music more easily and quickly without having to listen to the music directly.

도 13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이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runn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is play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creen.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시각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각각의 노래의 커버 이미지 위에 시각 정보를 오버랩하여 생성한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생성할 수 도 있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음악 목록의 한 측면에 시각 정보(10)들을 배치한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생성할 수 도 있다.In generating visual information,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visual information on the cover image of each song existing in the music list, as shown in (a) of FIG. 13. A music visualization list 70 created by overlapping can be created, and as shown in (b) of FIG. 13, a music visualization list 70 in which visual information 1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original music list. You can also create .

사용자가 음악 목록에 있는 노래 중에 어느 한 곡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화면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에 대한 각종 정보 들이 시각 정보들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ongs in the music lis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ong may be displayed along with visua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s shown in FIG. 14.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내비게이션 시스템(2)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2)은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내비게이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400)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서버(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navigation system 2,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system 2 may include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nd a navigation device 200.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naviga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vehicle 400.

도 15에서의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에서 설명한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동일한 장치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n FIG. 15 is the same device as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described in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it is redundant.

내비게이션 장치(200)는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구 상공에 위치한 여러 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은 후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의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주행 경로를 알려주는데 그 목적이 있는 장치이다.The navigation device 200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fter receiving signals from multipl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s located above the Earth, and determines the fastest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traffic situation. It is a device whose purpose is to inform.

내비게이션 장치(200)는 상기 목적과 별도로 사용자에게 내비게이션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 정보를(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속도,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경로, 목적지에 관한 상세한 정보 등) 지도와 연관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Aside from the above purpose, the navigation device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user with various service information required for navigation (current location and speed of the moving object, distance and route to the destinatio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etc.) in association with the map. You may.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200)는 통신부(210), 주행 경로 생성부(220), 제어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driving route creation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40.

통신부(210)는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및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생성한 시각 정보(10) 및 음악 시각화 목록(7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210)는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주행 경로 생성부(220)와 제어부(23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serv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e data may include visual information 10 and a music visualization list 70 generated by the data and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for generating a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Data received from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path creation unit 220 and the control unit 230.

따라서, 통신부(210)는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Wired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a variety of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odules,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s, Wide Area Network (WAN) modules, or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odules, various cable communications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Can contain modules.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Wi-Fi modules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module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LTE (Long Term Evolu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주행 경로 생성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와 현재 차량의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주행 경로를 도 16의 왼쪽 화면인 제1화면(2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The driving path generator 220 generates a driving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displays the generated driving path on the first screen 241, which is the left screen of FIG. 16. As shown,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구체적으로, 주행 경로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들을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의미하며, 주행 경로에는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예상 도착 시간, 예상 평균 속도 및 도로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route refers to the travel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onditions set by the user, and the driving route includes the estimated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expected arrival time, expected average speed, and road environment. Various information, etc. may be displayed together.

디스플레이부(240)는 주행 경로 생성부(220)에서 표시한 주행 경로와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송신한 시각 정보(10) 또는 시각화 음악 목록(80)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externally output the driving path displayed by the driving path generator 220 and the visual information 10 or the visualization music list 80 transmitted by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various display panel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Meanwhile, if the display unit includes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is, a software device, such as a touch pad, it may serve as an input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user input.

제어부(230)는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송신한 시각 정보(10) 또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주행 경로 생성부(220)가 생성한 주행 경로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40)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independently displays the visual information 10 or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70 transmitted by the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on the display unit 240, or the driving path creation unit 220 generates the visual information 10 or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70. A driving path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various ways.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의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 to change the order of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화면(241)에는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제2화면(242)에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경로 정보를 제1화면(241)에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제 2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운전자는 직관적으로 주행 경로에 맞춰 앞으로 재생될 음악에 대한 정보 및 순서를 운전의 방해 없이 알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As shown in FIG. 16, the control unit 230 can display a driving route on the first screen 241 of the display unit 240 and a music visualization list 70 on the second screen 242. As shown in FIG. 16, when driving rou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241 and the corresponding music visualization list 70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the driver intuitively selects music to be 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route. There is an effect of knowing the information and order without interfering with driving.

또한, 운전자는 제2화면(242)에 표시된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보고 음악의 재생 순서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에는 앞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스타일을 미리 알 수 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선호하지 않는 스타일의 음악을 듣지 않고서는 미리 음악 목록에서 제거하거나 재생되는 순서를 변경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처럼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모든 음악에 대한 정보를 시각 정보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자는 재생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음악들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실제 음악을 듣지 않고서도 음악 목록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음악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Additionally, the driver can view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70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242 and easily change the playback order of the music using touch as shown in FIG. 17.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the future Because the style of music being played cannot be known in advance, the user or driver cannot remove it from the music list or change the order in which it is played without listening to music of a style that is not preferred.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nformation about all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is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information about the music included in the playlist at a glance, so that he or she can not listen to the actual musi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hange the order of music played in the music list or remove music without it.

또한, 본 발명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중에도 터치 패드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음악 재생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무리하게 음악의 재생 순서를 변경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가능성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music playback order by using the touch pad while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occurring while the driver unreasonably changes the playback order of music.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achieved.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30)는 주행 경로를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각각의 음악의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간을 나눈 후, 각각의 음악에 대한 시각 정보(10)를 각 구간에 대응시켜 생성한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divides the driving rout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ased on the time of each music present in the music list, and then creates a music visualization list ( 70)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일 예로, 제어부(23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이 4곡이 재생되는 시간만큼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구간을 각각의 음악의 재생 시간에 비례하여 총 4개의 구간(A구간, B구간, C구간 및 D구간)으로 나눈 후, 각각의 구간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시각 정보(10)를 포함하고 있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도 18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화면(242)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stimated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s expected to be as long as the time for 4 songs to be played, the control unit 230 divides the section to the destination into a total of 4 sections in proportion to the playing time of each music. After being divided into (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and section D), a music visualization list 70 containing visual information 10 about the music played in each section is presented as shown in FIG. 18. It can be displayed on screen 2 (242).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경로 정보를 제1화면(241)에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제2화면(242)에 표시하는 경우, 운전자는 운전을 하면서 직관적으로 앞으로의 주행 구간별로 재생될 음악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음악 시각화 목록(70)을 보고 구간별로 주행 환경에 맞춰 본인이 원하는 음악이 재생되도록 음악 목록의 순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구간별로 재생되는 음악의 순서는 변경하는 방법은 도 17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when driving rou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241 and the corresponding music visualization list 70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242, the driver intuitively knows the future direction while driving.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o be played for each driving sec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er can easily change the order of the music list by looking at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70 so that the music he wants is play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for each section. The method of changing the order of music played for each section can be chang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 17.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drawings in detail about the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s and the navig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m.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여러 속성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 크기에 대한 정보를 도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음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sizes of various properties of music using shapes,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various properties of music at a glance.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know information intuitivel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주행 경로와 함께 주행 경로에 대응되는 음악에 대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음악 시각화 목록을 함께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므로, 운전자는 직관적으로 앞으로 재생될 음악에 대한 정보를 운전의 방해 없이 알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s the driver with a music visualization list containing visual information about music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along with the driving route, so the driver intuitively receives information about music to be played in the future. There is an effect of knowing without interfering with driving.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onents, units, module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s "~ part" may be implemented together or individually as separate but interoperable logic devices. The description of different features for modules, units, etc. is intended to highlight different functional embodiments and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y must be realized by individual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Rather,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dules or units may be perform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in common or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특정한 순서로 작동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작동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작동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oper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operations are to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depicted operations ne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In some environment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distinction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a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must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don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n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럭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logical flow and structural block diagram described in this patent document describe corresponding action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 to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oftware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작동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can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one or more of which execut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prepared in this way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shoul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0: 음악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음악 목록 생성부
120; 음악 정보 생성부
130: 시각 정보 생성부
200: 내비게이션 장치
210: 통신부
220: 주행 경로 생성부
230: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부
100: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provision device
110: Music list creation unit
120; Mu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Visu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0: Navigation device
2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20: Driving path creation unit
230: control unit
240: Display unit

Claims (5)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경로 생성부;
상기 주행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 및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경로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음악 목록을 생성하는 추천 음악 목록 생성부;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음악 정보 생성부;
미리 정해진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상기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추천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 driving path generator that generates driving path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a recommended music list generator that generates a recommended music lis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a music information generator that analyzes music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and generates music information for each attribute of the music;
Mapping a shap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pping method, and modifying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thickness, and color of the shape, the relative size to the numerical value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a visu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visual information contain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displays a music visualization list displayed by match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music existing in the recommended music list on a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정보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구간별 예상 평균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환경에 대한 정보,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날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is,
Contain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average moving speed for each section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route environment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순서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의 순서를 변경한 경우, 변경된 순서에 따른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trol unit,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ange the order of music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changes the order of music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 displaying a music visualization list according to the changed order on the display unit,
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시각화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들의 재생 순서 및 재상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path is classifi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playback order and playback time of the music existing in the music visualization list.
A navigation device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이 가지고 있는 속성마다의 음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속성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표현할 도형을 매핑하고, 상기 도형의 크기, 길이, 두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 값에 대한 상대적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음악 목록에 존재하는 음악에 대응시켜 표시한 음악 시각화 목록을 상기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 타원 및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은, 상기 음악의 알엠에스(RMS, Root Mean Square)의 크기, 장르(Genre)의 종류, 무드(Mood)의 정도, 템포(Tempo)의 정도, 상기 음악에서의 보컬(Vocal)의 비중 및 상기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Analyzing music existing in a music list and generating music information for each attribute of the music;
Mapping a shap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pping method, and modifying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thickness, and color of the shape, the relative size to the numerical value included in the music information generating visual information containing information;
generating music visualiz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match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and
After generating driving route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a music visualization list displayed by matching the visual information to music existing in the music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riving route information. Including steps;
The shap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iangle, square, pentagon, hexagon, circle, ellipse, and arc,
The properties include the size of the RMS (Root Mean Square) of the music, the type of genre, the degree of mood, the degree of tempo, and the proportion of vocals in the music. and a method of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using a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usic.
KR1020210171627A 2020-09-14 2021-12-03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KR102450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27A KR102450361B1 (en) 2020-09-14 2021-12-03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60A KR102343675B1 (en) 2020-09-14 2020-09-1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nd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71627A KR102450361B1 (en) 2020-09-14 2021-12-03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60A Division KR102343675B1 (en) 2020-09-14 2020-09-1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nd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865A true KR20220035865A (en) 2022-03-22
KR102450361B1 KR102450361B1 (en) 2022-10-04
KR102450361B9 KR102450361B9 (en) 2023-08-04

Family

ID=791765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60A KR102343675B1 (en) 2020-09-14 2020-09-1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nd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71627A KR102450361B1 (en) 2020-09-14 2021-12-03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60A KR102343675B1 (en) 2020-09-14 2020-09-1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 and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36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01B1 (en) * 2022-01-13 2024-03-26 주식회사 킨트 System for Music matching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727A (en)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music information
KR20160051922A (en) * 2014-10-29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70041447A (en) * 2015-10-07 201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usic visualiz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727A (en)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music information
KR20160051922A (en) * 2014-10-29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70041447A (en) * 2015-10-07 201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usic visualiz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675B9 (en) 2023-08-04
KR102450361B9 (en) 2023-08-04
KR102450361B1 (en) 2022-10-04
KR102343675B1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796B2 (en) User interface to media files
US11836440B1 (en) Web browsing
US10067635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US8490026B2 (en) Painting user controls
US20130346843A1 (en) Displaying documents based on author preferences
US20170139890A1 (en) Smart card presentation of tabular data from collaboration database
US10379702B2 (en) Providing attachment control to manage attachments in conversation
JP2019503479A (en) Route recommend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509339A (en) Method for generating test case, device based on browser and mind map and equipment
US20140331179A1 (en) Automated Presentation of Visualized Data
WO2014120675A1 (en) Gradation coding to express sentiment
WO2023165368A1 (en) Media collection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019710B (en) Audio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browser
KR20120051343A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ing music visualization method
US20140164360A1 (en) Context based look-up in e-readers
KR102450361B1 (en)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music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US20150178391A1 (en) Intent based content related suggestions as small multiples
CN104424955B (en) Generate figured method and apparatus, audio search method and the equipment of audio
CN108369589A (en) Automatic theme label recommendations for classifying to communication are provided
US20200174808A1 (en) Recommendations with consequences exploration
US20200379786A1 (en) Keyboard interaction model for software builder canvas nodes
US20130325831A1 (en) Search quality via query provenance visualization
US10564924B1 (en) Navigating metadata in long form content
US11163938B2 (en) Providing semantic based document editor
Lambeck et al. Mastering ERP interface complexity-A scalable user interface concept for ERP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