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110A -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110A
KR20220033110A KR1020200115090A KR20200115090A KR20220033110A KR 20220033110 A KR20220033110 A KR 20220033110A KR 1020200115090 A KR1020200115090 A KR 1020200115090A KR 20200115090 A KR20200115090 A KR 20200115090A KR 20220033110 A KR20220033110 A KR 2022003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shtag
voice
module
imag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돈
Original Assignee
우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돈 filed Critical 우상돈
Priority to KR102020011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110A/ko
Publication of KR2022003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가 개시된다.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무빙 이미지(moving image)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와 해당하는 음성 해시태그(voice hashtag)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폰 갤러리 내의 이미지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도 사용자의 기억 속의 몇 가지 사항을 입력하여 갤러리 이미지의 검색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미지의 딥러닝을 통해 해시태그를 생성하는 경우 해시태그의 생성까지도 편리하고 직관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갤러리의 이미지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SEARCHING USING VOICE HASHTAGS}
본 발명은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는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SNS에서는 이미지마다 많은 해시태그들이 부가되어 이용된다.
그런데, 이미지의 해시태그를 부가하는 작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하고 귀찮은 작업 중의 하나이다. 이미지마다 3-4개 또는 5-7개의 해시태그를 부가하는 경우 해시태그의 입력 작업은 매우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이러한 해시태그는 검색을 매우 용이하게 하지만, 검색의 용이성을 위한 사전 작업 자체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한편, 대개 스마트 폰의 사진 폴더에는 수많은 사진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수년에 걸친 사진들이 누적 저장되어 이를 하나하나 다 보는 데에도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 사용자가 사진을 저장해 놓아도 원하는 사진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방식을 좀 더 살펴보면, 스마트 폰 내의 수많은 사진들의 파일명을 보면 날짜 또는 디바이스 간의 중복되는 부분을 피하기 위해서 날짜 시간과 연계되어 중복되지 않는 숫자(넘버링)가 자동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된 파일을 오랜 시간 뒤에 다시 찾으려 할 때 파일명의 기억도 희미해질 뿐만 아니라 갤러리를 한참동안 찾아야 하고 찾기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733865 등록특허공보 10-1796968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무빙 이미지(moving image)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와 해당하는 음성 해시태그(voice hashtag)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해시태그는 1개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 모듈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폰 갤러리 내의 이미지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해시태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도 사용자의 기억 속의 몇 가지 사항을 입력하여 갤러리 이미지의 검색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미지의 딥러닝을 통해 해시태그를 생성하는 경우 해시태그의 생성까지도 편리하고 직관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갤러리의 이미지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갤러리 이미지를 이와 연관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e-커머스 페이지를 통해 결제까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식, 옷 등과 같은 다양한 상품에 대하여 다양한 혜택이 결제 시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SNS에 올리기 위해 촬영하는 많은 사진들이 상품의 구매 시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의 홍보 화면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갤러리의 사진 정리에 관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의 화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의 홍보 화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갤러리의 사진 정리에 관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100)는 촬영 모듈(101), 이미지 저장 모듈(102), 마이크로폰(103), 음성 인식 모듈(104), 음성 해시태그 생성 모듈(105), 음성 해시태그 부가 모듈(106), GPS 모듈(107), 지역 검색 부가 모듈(108), 날짜 자동 부가 모듈(109), 해시태그 수동 부가 모듈(110), 딥러닝 모듈(111), 해시태그 자동 부가 모듈(112), 개체 구별 제어 모듈(113), 연사 모드 딥러닝 제어 모듈(114), SNS 자동 연동 모듈(115), 이미지 검색 모듈(116), 홍보 링크 자동 생성 모듈(117), 홍보 링크 자동 공유 모듈(118), 결제 링크 수신 모듈(119), 결제 모듈(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10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100)는 도 3에서 보듯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해 해시태그를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즉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대부도, 캠핑, 갯벌이라는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후 일일이 터치 입력을 통해 해시태그를 부가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하고 더 많은 해시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갤러리(gallery) 내의 수많은 사진과 동영상에서 원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찾을 때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 모듈(101)은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무빙 이미지(moving image)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틸 이미지는 사진이고 무빙 이미지는 동영상을 의미한다.
이미지 저장 모듈(102)은 촬영 모듈(101)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영 모듈(101)에서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업로드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03)은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음성 해시태그(voice hashtag)를 입력받거나,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검색을 위한 음성 검색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04)은 마이크로폰(103)에서 입력받는 음성 해시태그 또는 음성 검색 명령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해시태그 생성 모듈(105)은 음성 인식 모듈(104)에서 인식된 음성 해시태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해시태그 부가 모듈(106)은 음성 해시태그 생성 모듈(105)에서 생성된 음성 해시태그를 해당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 부가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할 때, 음성 해시태그 입력을 하여 저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음성 입력이 제대로 않되거나 잘못된 경우 직접 입력어를 터치 입력하여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이미 촬영된 갤러리 내 이미지들에 대해서 음성 해시태그를 부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GPS 모듈(107)은 촬영 모듈(101)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촬영 시점의 GPS 좌표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역 검색 부가 모듈(108)은 GPS 모듈(107)에 의해 산출된 GPS 좌표가 속한 지역을 지도에서 검색하여 해당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 부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좌표가 어느 특정 해수욕장에 속하는 경우 해당 해수욕장의 명칭이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지역의 범위는 더 넓은 범위와 더 좁은 범위에서 다수 개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장소가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인 경우, 해당 지역은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부산, 대한민국으로 다수개가 부가될 수 있다.
날짜 자동 부가 모듈(109)은 촬영 모듈(101)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촬영 시점의 날짜 및 시각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부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시태그 수동 부가 모듈(110)은 음성 인식 모듈(104)에 의해 음성 해시태그 또는 음성 검색 명령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해시태그를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받아 해당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 부가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해시태그의 정확성을 위해 터치 입력에 의한 입력이나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111)은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를 해당 음성 해시태그나 터치 입력에 의한 해시태그와 연계하여 딥러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셀피(selfie)들과 그 셀피들에 '나'라고 하는 음성 해시태그나 해시태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그 셀피들에 대해 딥러닝을 수행하여 셀피 속의 사용자 자신에 대해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셀피를 또 촬영하면, 딥러닝 모듈(111)은 '나'라고 하는 해시태그의 이미지가 또 촬영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애견 슈슈가 촬영된 수많은 이미지들에서 '슈슈'라는 해시태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그 이미지들의 딥러닝을 통해 슈슈의 이미지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딥러닝 모듈(111)은 슈슈의 이미지가 또 촬영되었을 때는 그 이미지가 슈슈의 이미지라는 것을 해시태그의 입력없이도 미리 인식할 수 있다.
해시태그 자동 부가 모듈(112)은 촬영 모듈(101)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 대하여 딥러닝 모듈(111)의 딥러닝 수행 결과에 따른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부가하여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위 예에서와 같이 셀피에 대해서는 '나'라는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고, 슈슈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슈슈'라는 해시태그를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거나 음성 입력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시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개체 구별 제어 모듈(113)은 딥러닝 모듈(111)이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서 다수의 개체에 대하여 각각 구별하여 딥러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체 구별 제어 모듈(113)은 하나의 이미지 속에 여러 개체가 있는 경우 각각의 개체를 구별하여 딥러닝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 속에 나와 슈슈가 있는 경우, 각각의 개체를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개체를 구별할 수 있고, 각각의 개체에 대한 딥러닝 결과를 통해 '나'라는 해시태그와 '슈슈'라는 해시태그가 복수 개로 각각 부가될 수 있다.
연사 모드 딥러닝 제어 모듈(114)은 딥러닝 모듈(111)의 초기 딥러닝을 위하여 촬영 모듈(101)을 연사 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이미지가 많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서 딥러닝이 어려운 경우, 연사 모드 딥러닝 제어 모듈(114)은 초기 단계에 연사 모드를 통해 딥러닝을 위한 데이터를 충분히 구축하여 빠르게 딥러닝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튤립 꽃을 많이 촬영하는 사용자는 튤립 꽃을 처음에 다양한 각도로 연사 모드 촬영을 하여 '튤립'이라는 음성 해시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딥러닝 모듈(111)은 빠른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고, 튤립 꽃을 촬영할 때마다 '튤립'이라는 해시태그가 자동으로 부가될 수 있다.
SNS 자동 연동 모듈(115)은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를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을 이용하여 게시하거나 다른 SNS 계정으로 공유하고 다른 SNS 계정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SNS 어플리케이션(10)과 자동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 즉시 해시태그가 부가되기 때문에 이미지와 해당 해시태그를 즉시 SNS를 통해 공유하거나 게시할 수도 있다. 즉, 촬영과 해시태그 부가에 이어 SNS 자동 연동 모듈(115)에 의한 SNS 공유의 일련의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촬영에서 음성 해시태그 입력, SNS 공유의 일련의 과정이 실행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미지 검색 모듈(116)은 음성 인식 모듈(104)에서 인식된 음성 검색 명령을 이용하여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를 검색하거나, SNS 자동 연동 모듈(115)의 자동 연동을 통해 음성 검색 명령에 따른 다른 SNS 계정의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텍스트 해시태그 부가뿐만 아니라 음성과 텍스트에 의한 해시태그 검색도 가능하다.
스마트 폰의 사진 폴더 내에 있는 수많은 이미지들과 동영상들에 대해 그 검색의 속도와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홍보 링크 자동 생성 모듈(117)은 사용자의 SNS 계정의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에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SNS 서버(20) 상의 홍보 링크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홍보 링크 자동 공유 모듈(118)은 홍보 링크 자동 생성 모듈(117)에 의해 자동 생성된 홍보 링크를 해당 해시태그와 연관된 온라인 영업 서버(30)를 자동 검색하여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영업 서버(30)는 홍보 링크 자동 공유 모듈(118)와 연동하여 해당 홍보 링크를 접수하고 게시판이나 후기에 자동으로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제 링크 수신 모듈(119)은 온라인 영업 서버(30)의 판매 상품 또는 판매 서비스의 할인 결제를 위한 결제 링크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제 모듈(120)은 결제 링크 수신 모듈(119)에서 수신된 결제 링크를 통해 소정의 판매 상품 또는 판매 서비스를 온라인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제 과정에서 온라인 영업 서버(30)는 결제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포인트 제공이나 캐쉬백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벤트로 혜택을 돌려줄 수 있다.
도 8에서는 사용자가 촬영한 음식 이미지에 대해 해당 해시태그와 연관된 온라인 영업 서버로 홍보 링크를 연결하여 게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에서 음식 이미지의 해시태그가 #매운, #닭, #1인분, #배달 등인 경우 음식 배달 관련 온라인 영업 서버(30)로 홍보 링크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기요 또는 배달의 민족과 같은 플랫폼 업체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검색 모듈(116)은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 해시태그 설정부(116b), 해시태그 제외부(116c), 기간 설정부(116d), 지역 설정부(116e)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는 음성 인식 모듈(104)에서 인식된 음성 검색 명령을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검색 명령은 '나', '슈슈', '해운대' 등과 같이 여러 음성 해시태그들의 나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자연어로 입력될 수도 있다. "나와 슈슈가 같이 찍은 사진 찾아줘"라는 방식으로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해시태그 설정부(116b)는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의 해석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해시태그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해시태그 나열 방식의 음성 검색 명령에 대해서는 해시태그의 AND 조건으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고, 자연어로 입력되는 음성 검색 명령에 대해서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나', '슈슈', '해운대'라는 해시태그를 추출하고 이를 AND 조건으로 설정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해시태그 제외부(116c)는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의 해석에 따라 검색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해시태그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가 검색되었을 때 검색된 이미지가 너무 많고 원하지 않는 이미지가 검색될 수도 있다. 검색 결과에서 제외하고 싶은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해당 이미지들의 해시태그를 설정하여 검색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나', '슈슈'의 검색 이미지 결과에서 '영민', '호준'이 들어간 이미지를 제외하고 싶으면 '영민', '호준'을 제외 설정하여 검색 이미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간 설정부(116d)는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의 해석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촬영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에서 특정 기간을 설정하여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와 슈슈가 작년 여름 사진 찾아줘"라는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날짜 자동 부가 모듈(109)에 의해 부가된 날짜를 통해 작년 여름의 기간의 이미지가 검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나와 슈슈가 작년 여름 비온 날에 찍은 사진 찾아줘"라는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날짜 자동 부가 모듈(109)에 의해 부가된 날짜를 통해 작년 여름의 기간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기상 서버(미도시)와의 연계를 통해 비가 온 날에 촬영된 이미지를 필터링하여 검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현상 외에도 작년 슈슈 생일 또는 작년 휴가 기간 등과 같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상의 일정과도 연계하여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역 설정부(116e)는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116a)의 해석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의 촬영 지역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와 슈슈가 작년 여름에 해운대 갔을 때 사진 찾아줘"라는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지역 검색 부가 모듈(109)에 의해 부가된 지역을 통해 해운대에서 찍은 이미지가 검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음성 입력에 의한 갤러리 검색을 통해 이미지를 검색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음성 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입력어에 해시태그를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갤러리의 이미지를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발췌하여 정리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능은 해시태그가 아직 부여되지 않은 기존의 이미지들에 대해서 정리를 할 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수많은 이미지들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는 어딘가요?'와 같이 질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마이크로폰(103)으로 여행지를 입력하면, 음성 인식 모듈(104)에서 이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들을 이미지 저장 모듈(102)에서 자동으로 검색하여 보여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들의 GPS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자동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해시태그 생성 모듈(105)이 해당 이미지들에 대한 해시태그를 생성하고, 음성 해시태그 부가 모듈(106)이 그 해시태그를 일괄적으로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0과 같이 해시태그를 추가적으로 더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촬영 모듈
102: 이미지 저장 모듈
103: 마이크로폰
104: 음성 인식 모듈
105: 음성 해시태그 생성 모듈
106: 음성 해시태그 부가 모듈
107: GPS 모듈
108: 지역 검색 부가 모듈
109: 날짜 자동 부가 모듈
110: 해시태그 수동 부가 모듈
111: 딥러닝 모듈
112: 해시태그 자동 부가 모듈
113: 개체 구별 제어 모듈
114: 연사 모드 딥러닝 제어 모듈
115: SNS 자동 연동 모듈
116: 이미지 검색 모듈
116a: 음성 검색 명령 해석부
116b: 해시태그 설정부
116c: 해시태그 제외부
116d: 기간 설정부
116e: 지역 설정부
117: 홍보 링크 자동 생성 모듈
118: 홍보 링크 자동 공유 모듈
119: 결제 링크 수신 모듈
120: 결제 모듈

Claims (3)

  1.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무빙 이미지(moving image)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와 해당하는 음성 해시태그(voice hashtag)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해시태그는,
    1개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 모듈에 저장된 스틸 이미지 또는 무빙 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KR1020200115090A 2020-09-09 2020-09-09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KR20220033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090A KR20220033110A (ko) 2020-09-09 2020-09-09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090A KR20220033110A (ko) 2020-09-09 2020-09-09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110A true KR20220033110A (ko) 2022-03-16

Family

ID=8093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090A KR20220033110A (ko) 2020-09-09 2020-09-09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1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5B1 (ko) 1999-05-25 2007-07-02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노트 촬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796968B1 (ko) 2016-08-05 2017-11-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5B1 (ko) 1999-05-25 2007-07-02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노트 촬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796968B1 (ko) 2016-08-05 2017-11-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35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photo-based project based on photo analysis and image metadata
CN112055225B (zh) 直播视频截取、商品信息生成、对象信息生成方法及装置
US104825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retail shopping experience online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US10372791B2 (en) Content customization
KR101852598B1 (ko)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US20150081703A1 (en) Providing labels for photos
CN104504155B (zh) 一种基于图像搜索的数据获取方法及系统
US20150116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ag/identification to a photo/video immediately after capture
US20160306505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d displaying instant presentations from selected visual content items
CN107122380A (zh) 增强实时视图的计算机实施方法和计算机系统
US20170186066A1 (en) System and Method of Searching Style and Fashion
US9928532B2 (en) Image based search engine
US20190325497A1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10019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data from an image
KR101307325B1 (ko)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KR20080013964A (ko) 마커 특정 장치 및 마커 특정 방법
CN106294361B (zh) 信息提供方法以及信息提供系统
JP2021501508A (ja) 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画像選択
US20130287320A1 (en) Service information platform with image searching function
CN107111476A (zh) 无限搜索结果页面
KR20220033110A (ko) 음성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및 검색 장치
CN107632989B (zh) 一种商品对象选取、模型确定及使用热度确定方法与装置
US20140304127A1 (en) Return Receipt Tracking
KR20190075254A (ko) 전단정보 관리 및 공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