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795A -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795A
KR20220030795A KR1020200112582A KR20200112582A KR20220030795A KR 20220030795 A KR20220030795 A KR 20220030795A KR 1020200112582 A KR1020200112582 A KR 1020200112582A KR 20200112582 A KR20200112582 A KR 20200112582A KR 20220030795 A KR20220030795 A KR 2022003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locker
matching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7817B1 (en
Inventor
정혜경
김소연
민지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817B1/en
Publication of KR2022003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storage box guidance device. The article storage box guidance device comprises: a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n article storage box from a user;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article storage box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article storage boxes as a matching article storage box;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atched article storage box on a display on a user terminal.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Luggage locker guide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본원은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안내하는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locker guide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information about the locker.

이동이 잦은 생활 속에서 도보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있다.It is inconvenient to carry heavy luggage on foot o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 a life where people move frequently.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지하철역, 백화점, 공항, 편의점, 놀이공원 등 사람들이 많은 이용 시설들에는 쇼핑이나 관광 등을 하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소지한 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보관함(락커)이 구비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n facilitie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subway stations, department stores, airports, convenience stores, and amusement parks, there are lockers (lockers) that allow users to store their luggage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shopping or sightseeing. This is provided.

그런데, 물품보관함에 짐(물품)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변 혹은 짐을 보관했으면 하는 장소의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쉽게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찾았다 하더라도, 해당 물품보관함에 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슬롯)이 없는 경우(즉, 비어있는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다시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However, when it is desired to store luggage (goods) in the lock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know the location of the lock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or a place where the luggage is generally desired to be stored. In addition, even if the location of the locker is found, if there is no space (slot) for storing luggage in the locker (that is, if there is no empty spac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find the location of another locker again. , this is time consuming and inefficien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050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504.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보관함에 짐(물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주변 혹은 짐을 보관했으면 하는 장소의 주변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o that when you want to store your luggage (goods) in the locker, you can easily know the location of the locker located around the user or around the place where you want to keep the lugg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the locker.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발견한(찾은) 물품보관함에 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슬롯)이 없는 경우, 다른 물품보관함을 다시 찾아보아야 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즉,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비효율적이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when there is no space (slot) for storing luggage in the locker found (found) by the user, the problem caused by having to look for another locker again (i.e., , a time-consuming and inefficient problem) to provide a locker guide device and method that can solve the problem.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상기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a user;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wherein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획득부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선정부는, 상기 획득부가 물품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상기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quiring unit further acquires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belongings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and the selecting unit includes: when the acquiring unit acquires the product information, the item of possess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matching storage box The matching locker determined to be storable is identified as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and the controller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지도와 연계하여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되,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제외한 나머지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on the map as an icon in connection with the map, and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and selects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from among the matching lockers. It may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matching lockers.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하여 예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reservation information input when a reservation request is made in relation to a first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It may further include a reservation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 reserv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request message.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예약을 희망하는 희망 슬롯을 선택하는 제1 선택 정보 및 예약을 희망하는 희망 예약 시간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desired slot for which reservation is desired and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desired reservation time for which reservation is desired.

또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물품 보관이 가능한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을 상기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but displays th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the item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A selection input function may be activated so that a storage available slot selection icon that can be stored can be selected as the desired slot.

또한, 상기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은, 상기 복수의 슬롯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 및 상기 물품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상기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슬롯에 대응하는 슬롯 선택 아이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ble slot selection icon corresponds to a slot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of an owned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lots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use status information and the articl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slots. It may be a slot selection icon.

또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슬롯에 대하여 예약이 완료된 경우, 예약이 완료된 상기 어느 한 슬롯에 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는, 잔여 시간 정보, 예약 정보,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 및 상기 어느 한 슬롯에 보관된 소유 물품에 대한 회수 수행 여부 선택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when a reservation is completed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provides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about the one of the slots for which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maining time inform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extension reques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and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on whether to perform collection of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one slo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까지의 경로를 요청하는 경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route request for a route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is made with respect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route guide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route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생성된 경로에 포함된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여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navigation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route is received,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generates an internal route guidance path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user on the generated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may be provid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상기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er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and a user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locker guide device to receiv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cker guide device from a us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 의한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으로서, (a)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상기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er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locker guide method by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the user obtaining; (b) selecting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and (c)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wherein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품보관함에 짐(물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주변 혹은 짐을 보관했으면 하는 장소의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locker guide device, when the user wants to store luggage (goods) in the locker, the us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ocker located around the user or around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keep the luggage. You can make it easier to know (and fin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발견한(찾은) 물품보관함에 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슬롯)이 없는 경우에 다른 물품보관함을 다시 찾아보아야 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즉,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비효율적이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locker guide device, when there is no space (slot) for storing luggage in the locker found (found) by the user, it is caused by having to look for another locker again problems (ie, problems that were time consuming and inefficient) can be solv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화면 표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화면 표시 정보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의 길 안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AR 기반 길 찾기 기능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rage box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to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of a screen of a user terminal controlled by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related to an inner road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in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of a user terminal controlled by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screen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of the AR-based wayfinding function provided through the way guide providing unit of the lock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 method for guiding a lo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의 화면 표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cker guid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to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xamples of screen display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controlled by the locker guid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10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0)이라 하기로 하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ocker guid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0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locker guid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100).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본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present system 1000 may include the present apparatus 100 and a user terminal 1 .

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하고,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혹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evice 100 obtains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the user, selects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to the user terminal display on the screen of (or control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과 연동(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1)과 연동(연결)된다라 함은, 일예로 본 장치(100)에 의한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이 사용자 단말(1)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경우일 때,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에 의해 동작 제어가 가능한 경우(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be linked (connected) with the user terminal 1 . Here, the device 100 interlocks (connects) with the user terminal 1 means, for example, that the method for guiding the locker by the device 100 is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able in the user terminal 1 . When it can be implemented as , it may mean a case (state) in which operation control is possible by the user terminal 1 as it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 .

달리 말하자면, 본 장치(100)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 혹은 별도의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evic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 ,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device 100 may be a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 . In other words, the locker guide method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example, and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nother example, the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or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 .

사용자 단말(1)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1 is, for exampl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Laptop, Wearable It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devices and desktop P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예시적으로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라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wearable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d mounted display (HMD), Google Glas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 간에는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연결)될 수 있다.The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1 may be linked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 .

네트워크(2)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network 2 is,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Wireless LAN) network.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Types of wired/wireless networks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1)은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본 장치, 100)와 연동되어 본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본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본 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user terminal 1 may interwork with the locker guide device (the device 100 )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from the user and provide it to the device 100 . The user terminal 1 may control (remotely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apparatus 1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100 is as follows.

본 장치(100)는 획득부(110), 선정부(120), 제어부(130), 예약 관리부(140) 및 길 안내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acquisition unit 110 , a selection unit 120 , a control unit 130 , a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 and a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

획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검색 요소 정보를 입력하면, 획득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요소 정보를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The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the user. When the user inputs search elemen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the acquisition unit 110 may obtain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 .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여기서, 목적지는 사용자가 소유한 물품(소유 물품)을 보관하고자 하는 장소(물품의 보관을 희망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는 예시적으로 서울숲역, 역삼역 등과 같은 지하철역 명, 던킨, 현대백화점 등과 같은 상호 명(건물 명), 철원 등과 같은 지역 명, 남산, 지리산 등과 같은 관광지명 등 다양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가 지도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지정)함으로써 획득(얻게)되는 특정 지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estin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on a place (a place where the user desires to store the article)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owned article). According to this,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is, for example, various keyword information such as subway station names such as Seoul Forest Station and Yeoksam Station, business names (building names) such as Dunkin and Hyundai Department Store, local names such as Cheorwon, and tourist destination names such as Namsan and Jirisan Mountains. may inclu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specific point obtained (obtained) by a user selecting (designating) a specific point on the map.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물품보관함에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소유 물품이라 하며, 소유 물품은 소지 물품, 보관 희망 물품, 보관 물품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물품은 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rticle desired by the user to be stored in the locker is referred to as an owned article, and the possessed article may be referred to as a possessed article, a desired article to be stored, a storage article, and the like. An article may also be otherwise referred to herein as a load or the like.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현 위치)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GPS 위치 정보일 수 있다.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current location), which may be, for example,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GPS sensor of the user terminal 1 .

획득부(110)는 검색 요청 정보의 획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검색 요청 정보와 관련하여 존재하는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일예로 위치 등)를 검색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is obtained, the obtaining unit 110 may recognize that the user desires to search for information (eg, location, etc.) about the locker existing in relation to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선정부(120)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the matching locker.

여기서, 복수의 물품보관함은 지구 상(전세계)에 존재하는(현존하는) 물품 보관이 가능한 모든 물품보관함(락커)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물품보관함은 기존재 복수의 물품보관함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물품보관함은 락커, 보관소, 보관함, 사물함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lockers may refer to all lockers (lockers) that can store items existing (existing) on the earth (worldwide), and the plurality of lockers may be referred to as existing multiple lockers. can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ocker may be referred to as a locker, a storage, a storage box, a locker, and the like.

일예로, 검색 요소 정보로서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일예로, '서울숲역'이라는 키워드)가 획득된 경우, 선정부(120)는 사용자가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주변(주위)에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함을 찾길 희망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정부(120)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즉, 서울숲역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for example, a keyword of 'Seoul Forest Station') is obtained as search element information, the selection unit 120 is owned by the user around (around)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erson wishes to find a locker where items can be stored. Accordingly, 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 lock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ie, the location of Seoul Forest Station) as the matching locker.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일예로 400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치 및 그 수치의 단위의 설정 값은 일예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가변)되는 등 다양하게 설정(변경)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distance may be, for example, 400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erical value and the set value of the numerical unit may be variously set (changed), such as being changed (variable) by a user input, for example.

또한, 검색 요소 정보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즉, 사용자의 현재의 GPS 위치 정보)가 획득된 경우, 선정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현 위치의 주변(주위)에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함을 찾길 희망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정부(120)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사용자의 위치 정보(즉, 현 GPS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user's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s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the selection unit 120 enables storage of owned items in the vicinity (around) of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can be perceived as wishing to find a locker. Accordingly, 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 lock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e,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as the matching locker. Her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t distance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이에 따르면, 선정부(120)는 검색 요소 정보가 획득되면, 그에 응답하여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목적지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물품보관함 혹은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이 존재하는지 검색(탐색)할 수 있다. 이후, 선정부(120)는 검색(탐색)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것으로 검색(탐색)된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is obtained, the selection unit 120 responds to the acquisition of a storage box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or a storage box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You can search (explore) whether this exists. Thereafter, 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s a matching article locker, an article box that has been searched (searched) to match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search) result.

선정부(120)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선정부(120)에 의해 선정된 매칭 불품보관함의 개수는 일예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일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t least one storage box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as a matching storage box.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matching defective boxes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이때, 일예로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탐색)된 경우(즉, 검색 요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정부(120)는 미리 설정된 거리의 설정 값을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 거리 값(즉, 제1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에서 그보다 큰 제2 거리 값(즉, 제2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으로 변경시키고, 변경된 제2 거리 값을 기반으로 매칭 물품보관함이 존재하는지 재검색(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선정부(120)는 매칭 물품보관함의 개수가 적어도 1개가 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거리의 설정 값(즉, 물품보관함의 검색/탐색 범위의 설정 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미리 설정된 거리 값을 기반으로 재차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if it is searched (searched) that there is no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that is, there is no lock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If not), the selection unit 120 sets the preset distance setting value to a larger second distance value (ie, the second preset distance value) greater than the currently set first distance value (ie, the first preset distance value). distance), and re-searching (re-searching) whether a matching locker exists based on the changed second distance value may be performed. The selection unit 120 performs a change that increases the preset value of the preset distance (that is, the set value of the search/search range of the locker) step by step until the number of matching lockers becomes at least one, Re-search may be performed again based on a preset distance value.

예시적으로, 제1 거리 값(제1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40m 이고, 제2 거리 값(제2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은 500m 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first distance value (the value of the first preset distance) may be 40 m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distance value (the value of the second preset distance) may be 500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erical value may be set variously.

이에 따르면, 선정부(120)에 의해 선정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즉,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은, 검색 요소 정보가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주변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의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매칭 물품보관함은 주변 물품보관함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매칭 물품보관함은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사용자의 주변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의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으로서, 주변 물품보관함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matching article locker (ie, article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20 means that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eans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it may mean a storage box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r in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set by the us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tching locker may be referred to as a neighboring locker or the like. That is, the matching locker is a lock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or a destination set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eripheral locker differently.

획득부(110)는 검색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정보는 물품(즉, 소유 물품)의 크기에 관한 정보, 물품의 유형(일예로, 백팩, 캐리어, 비닐 가방 등)에 관한 정보, 및 보관하길 희망하는 소유 물품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acquiring search request information, the acquiring unit 110 may further acquire article information about an owned article that the user wants to keep. Here, the item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item (ie, the item owned), information regarding the type of item (for example, a backpack, carrier, plastic bag, etc.),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number of owned items desired to be stor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획득부(110)가 획득하는 물품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직접 타이핑함으로써 입력되는 타이핑 정보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를 통해 소유 물품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이미지 정보(즉, 소유 물품 이미지)일 수 있다.The art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ring unit 110 is typ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directly typ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1 or the possession article acquired by the user photographing the owned article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 . It may be article image information about (ie, an image of an owned article).

획득부(110)는 획득된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일예로 소유 물품의 크기(사이즈)를 인식할 수 있다.The acquisition unit 110 may recognize, for example, the size (size) of the owned product based on the acquired product information.

이때, 물품 정보가 일예로 물품 이미지 정보인 경우, 획득부(110)는 획득된 물품 정보인 물품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 이미지 정보 내 물품(소유 물품)의 크기를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분석으로는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is, for example, product image information, the acquisition unit 110 may perform image analysis on the product image information that is the acquired product information, and through image analysis, the product (owned product) in the product imag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identifying the size of Here, as the image analysis, various image analysis algorithms known in the prior art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선정부(120)는, 획득부(110)가 물품 정보를 획득한 경우, 매칭 물품보관함 중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실제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acquiring unit 110 acquires the product information, the selection unit 120 may store a matching storage box in which the storage (actual storage) of the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s possible in the matching product storage box. Matching goods It can be identified as a storage box.

이때, 본원에서 매칭 물품보관함 중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물품보관함은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이라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제외한 나머지 매칭 물품보관함은 소유 물품의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물품보관함으로서,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이라 지칭될 수 있다.In this case, among the matching lockers, the locker in which the belongings are determined to be stored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On the other hand, among the matching lockers, the remaining matching lockers except for the matching lockers that can be stored are article lockers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mpossible to store the belonging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matching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구체적으로, 선정부(120)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1차적으로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후, 선정부(120)는 획득부(110)가 물품 정보를 획득한 경우, 획득된 물품정보를 기반으로 소유 물품의 크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소유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1차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을 2차적으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식별(선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lection unit 120 may primarily select a storage box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as the matching storage box. Thereafter, when the acquiring unit 110 acquires the product information, the selection unit 120 recognizes the size of the owned product based on the acquired product information and considers the recognized size of the owned product, and selects the first matching matching It is possible to identify (select) a matching locker that is judged to be capable of storing the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item information among the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capable of secondary storage.

이때, 1차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식별되지 않은 매칭 물품보관함은, 소유 물품의 보관(실제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선정부(120)는 이를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식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ching storage box that is not identified as the storage possible matching storage box among the first selected matching storage boxes means the matching storage box in which the storage (actual storage) of the belongings is judged impossible, and the selection unit 120 can be identified as a matching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이때, 본원의 일예에서는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식별(선정)시 물품 정보로서 일예로 소유 물품의 크기만 고려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유 물품의 크기 뿐만 아니라, 소유 물품의 개수, 소유 물품의 유형 등 물품 정보로 입력받은 다수의 정보(즉 소유 물품의 크기, 유형, 개수)가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즉, 선정부(120)는 물품 정보로 입력받은 다수의 정보(즉 소유 물품의 크기, 유형, 개수)를 모두 충족하는, 즉 다수의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식별(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ly the size of the owned item is considered as an example of item information when identifying (selecting) the matching item storage box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matching item locker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the owned item as well as ,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e, size, type, number of owned items) input as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owned items and the type of owned items, may all be considered. That is, the selection unit 120 can store a storage box that satisfies all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e, the size, type, and number of owned items) received as product information, that is, can store owned item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t can be identified (selected) as a matching locker.

제어부(130)는 선정부(120)에서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을 제어(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selected by the selector 12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control screen display).

여기서,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는,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 주소 정보 및 이용현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물품보관함의 이용현황 정보에는, 매칭 물품보관함에 보관 가능한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 및 복수의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matching lock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and usage status information of the matching locker. The usage status information of the matching locker may include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lots that can be stored in the matching locker and reserv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lots.

여기서,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라 함은 슬롯의 배치 위치(배치 구조)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lots may mean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arrangement structure) and size of the slots.

또한,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는, 해당 슬롯에 예약이 이루어진 상태인 제1 상태 및 해당 슬롯에 예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이 제1 상태라 함은, 해당 슬롯에 실제 물품이 보관중인 상태이거나, 혹은 실제 물품이 보관중인 상태는 아니나 다른 사용자(타 사용자)가 해당 슬롯에 물품을 보관하길 희망하여 해당 슬롯을 사용할 것임을 사전에(미리) 예약(즉, 사전 예약)해 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롯이 제2 상태라 함은, 해당 슬롯에 물품이 보관되고 있지 않거나 해당 슬롯에 대하여 사전 예약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해당 슬롯이 비어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state for the slot may include a first state in which a reservation is made in the corresponding slot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 reservation is not made in the corresponding slot. A slot in the first state means that the actual item is being stored in the slot, or that the actual item is not stored, but another user (other user) wants to store the item in the slot and will use the slot. It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a reservation (ie, reservation in advance) is made in advance (in advance). The second state of the slot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slot is empty as no article i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lot or no advance reservation is made for the corresponding slot.

복수의 슬롯 중 일예로 제1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슬롯에 대하여 사전 예약 혹은 물품 보관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슬롯에 대하여 사전 예약 혹은 물품 보관이 현재 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servation state for the first slot is the first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slots, it may mean a state in which advance reservation or storage of goods for the first slot i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ervation state for the first slot is the second state, it may mean that a reservation or storage of goods is currently possible for the corresponding slot.

제어부(130)는 지도와 연계하여 일예로 선정부(120)에서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즉,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으로서, 주변 물품보관함을 의미할 수 있음)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가 아이콘으로 표시된 지도(아이콘 표시 지도)를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ps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selected by the selector 120 as an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map (that is, a locker matching search element information, which may mean a nearby locker) as an icon. can be displayed on the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map (icon display map)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as an icon to the user terminal 1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제어부(130)는, 선정부(120)가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식별한 경우, 식별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storable matching locker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when the selector 120 identifies the matching storage boxes among the matching lockers. . In this cas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matching locker that can be stor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

본원에서는 일예로 제어부(130)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로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30)는 매칭 물품보관함 전체가 아닌, 매칭 물품보관함 중에서 식별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는 실용성을 고려하여 후자의 예시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which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that can be stor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as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on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only information about the storable matching lockers identified from among the matching lockers, not the entire matching lockers, on the screen. In the present apparatus 100, the latter example may be more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제어부(130)는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지도 상에 표시하되, 이때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매칭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제외한 나머지 매칭 물품보관함(즉,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on the map as an icon, but at this tim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is displayed in the matching lockers except for the storable matching lockers among the matching lockers. (that is, it can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an icon corresponding to (ie, storage impossible matching locker)).

즉, 제어부(130)는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지도 상에 표시하고, 아이콘이 표시된 지도(아이콘 표시 지도)를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on the map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non-storable matching locker, and the icon is displayed on the map (icon display map)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과 네트워크(2)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의 동작을 제어(일예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아이콘 표시 지도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 and the network 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eg, control the screen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so that the icon display map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제어부(130)는 아이콘 표시 지도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때,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con display map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non-storable matching lock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s possible.

이때, 아이콘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라 함은 일예로 보관 가능 매칭 후보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테두리 선의 색상이나 두께 등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displaying the icon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may mean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visually emphasized form, an expanded form, a form accompanying an auditory effect, and a dynamic animation form. . Here, the form accompanying the auditory effect may mean, for example, changing the color or thickness of the border line o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ossible matching candidate storage box. This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으로, 선정부(120)가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매칭 후보 물품보관함)으로 제1 물품보관함 내지 제3 물품보관함을 식별하였다고 하자. 이때, 선정부(120)가 매칭 후보 물품보관함(제1 물품보관함 내지 제3 물품보관함) 중 제3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식별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1 물품보관함과 제2 물품보관함은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ion unit 120 identifies the first to third lockers as lockers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matching candidate lockers).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or 120 identifies the third storage box among the matching candidate storage boxes (the first storage box to the third storage box) as the storage-capable matching storage box. In this case, the first locker and the second locker may be identified as non-storable matching lockers.

이는 선정부(120)가, 일예로 검색 요소 정보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인 경우에,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으로 3개의 물품보관함(제1 물품보관함 내지 제3 물품보관함을 포함한 3개의 매칭 후보 물품보관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색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제3 물품보관함을 식별하였다는 것은, 선정부(120)가 3개의 물품보관함 중 제3 물품보관함만이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을 실제로 보관할 수 있는 빈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인 것으로 식별(인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unit 120, for example, when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i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three lockers (first to third lockers) to the locker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t may mean that three matching candidate lockers including .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third locker as a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means that the selection unit 120 has an empty slot in which only the third locker among the three lockers can actually store the belongings owned by the user. It may mean that it has been identified (recognized) as a locker.

이에 따르면, 제1 물품보관함과 제2 물품보관함은, 빈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보관함이거나, 혹은 빈 슬롯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해당 빈 슬롯이 소유 물품의 크기를 갖는 물품(소유 물품)을 넣을 만한 크기의 빈 슬롯이 아님에 따라(일예로, 빈 슬롯의 크기가 소유 물품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임에 따라),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물품보관함(즉,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제3 물품보관함은 빈 슬롯이 존재하고, 특히나 해당 빈 슬롯이 소유 물품의 크기를 갖는 물품(소유 물품)을 넣을 만한 크기를 가짐에 따라(일예로, 빈 슬롯의 크기가 소유 물품의 크기보다 큰 경우임에 따라),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물품보관함(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first storage box and the second storage box are storage boxes in which an empty slot does not exist, or even if an empty slot exists, the empty slot is large enough to put an article (owned article) having the size of the owned article. Because it is not an empty slot of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empty slo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wned item) can mean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locker, there is an empty slot, and in particular, as the empty slot has a size to put an item (owned item) having the size of the owned item (for example, the size of the empty slot is the size of the owned item) In a larger case), it may mean a storage box that is judged to be able to actually store the belongings (storable matching storage box).

선정부(120)는 제1 물품보관함과 제2 물품보관함을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인 것으로 인식하고, 제3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3개의 물품보관함(제1 물품보관함 내지 제3 물품보관함을 포함한 매칭 후보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3개의 물품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지도 상에서 3개의 물품보관함 각각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The selector 120 may recognize the first storage box and the second storage box as non-storable matching storage boxes, and recognize the third storage box as the storage-capable matching storage boxes. 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positions of the three lockers (the matching candidate lockers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lockers) on the map as icons.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ee lockers at each location of the three lockers on the map.

이때, 제어부(130)는 지도 상에 아이콘을 표시할 때, 제3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제3 물품보관함의 아이콘)이 제1 물품보관함과 제2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즉, 제1 물품보관함의 아이콘, 제2 물품보관함의 아이콘)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30)는 제3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1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제2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보다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icon on the map,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locker (the icon of the third locker) corresponds to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er and the second locker (that is, the icon of the second locker).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map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of the first locker and the icon of the second locker).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30 sets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locker to visually emphasize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er and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er, increase the size of the icon, and provide an auditory effect. It can be displayed in the accompanying form and in the form of a dynamic animation.

이러한 본 장치(100)는 단순히 사용자의 주변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의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즉, 매칭 물품보관함, 주변 물품보관함)의 정보(일예로 위치 등)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중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소유 물품(즉, 소유 물품의 크기가 고려된 물품)을 실제로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의 빈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용성 있는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 물품보관함에 물품(소유 물품)을 보관하고자 이동하였을 때 해당 물품보관함에 빈 슬롯이 없거나 혹은 빈 슬롯이 있다 하더라도 일예로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의 크기가 해당 빈 슬롯보다 커 빈 슬롯에 보관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다른 물품보관함을 다시 찾아보아야 하는 문제, 이렇게 다시 물품보관함을 찾음에 따라 많은 시간과 체력이 낭비되는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This device 100 does not simply provide information (eg, location, etc.) of storage boxes (that is, matching storage boxes, nearby storage boxe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or in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set by the user, but among them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storable matching locker) having an empty slot of a size that can actually store the belongings that the user wants to keep (that is, the items considering the size of the belongings), it can be placed in a practical lock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is device 100, when the user moves to store an article (owned article) in a specific locker, there is no empty slot in the locker or even if there is an empty slo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belongings owned by the user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item. In a situation where it cannot be stored in the empty slot because it is larger than the empty slo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find another locker again, and the problem of wasting a lot of time and stamina by finding the locker again in this way.

뿐만 아니라, 본 장치(100)는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지도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할 때, 매칭 물품보관함(주변 물품보관함) 중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아이콘을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의 아이콘보다 인식 또는 식별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물품보관함들(주변 물품보관함들) 중 사용자가 현 시점에 당장 사용할 수 있는(사용자가 가진 소유 물품의 보관이 당장 가능한) 실용성 있는 물품보관함(즉,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정보 내지 위치를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소유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보관함을 찾음에 있어서, 헤매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as an icon on the map, the device 100 recognizes the icon of the matching locker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matching lockers (neighboring lockers) rather than the icon of the matching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Alternatively, it may be displayed in an easily identifiable form. This device 100 is a practical storage box (that is, storage of items owned by the user is possible immediately) that the user can use at the present time among the storage boxes (neighboring storage boxes) located around the user. It can help the user to more intuitively and quickly recognize the information or location of the available matching locker). The present device 100 can help the user to find a storage box that can store his/her own goods more quickly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hesitation.

일예로 도 2에는 물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직접 타이핑으로 입력받는 경우의 화면 표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일예로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물품 정보 입력 요청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물품 정보 입력 요청 정보에는 사용자가 보관하길 희망하는 소유 물품의 유형(일예로, 백팩, 캐리어, 비닐 가방 등)을 입력받는 정보, 소유 물품의 크기(일예로 15인치, 16인치 등)를 입력받는 정보, 및 소유 물품의 개수를 입력받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한 물품 정보 입력 요청 정보의 제공을 통해, 획득부(110)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유 물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FIG. 2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case where item information is directly inpu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by typing. 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unit 130 shows, for example, item information input reques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so that the user can input item information about an item (owned item) that the user wants to keep. It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n the item information input request information, the type of item that the user wants to keep (eg, backpack, carrier, plastic bag, etc.) Information for receiving input and information for receiving an input of the number of owned articles may be include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item information input request information by the controller 130 , the obtaining unit 110 may obtai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wned item that the user wants to keep.

일예로,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물품 정보 입력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일예로, '15인치의 백팩, 1개'와 같이 입력하고, 검색 요소 정보(특히,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와 관련하여 목적지를 '서울숲역'이라 입력하며, 이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주변 탐색] 항목을 선택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선정부(120)는 먼저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서울숲역'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후, 선정부(120)는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15인치의 백팩 1개'를 보관할 수 있는 빈 슬롯을 가진 매칭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식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responds to the item information input reque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 inputs item information about the owned item to be stored, for example, '15-inch backpack, 1 piece', and a search element In relation to information (especially,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suppose that the destination is entered as 'Seoul Forest Station', and then the [Nearby Search] item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screen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selector 120 may first select a lock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Seoul Forest St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as the matching locker. Thereafter, the selector 120 may identify a matching storage box having an empty slot capable of storing 'one 15-inch backpack' among the selected matching storage boxes as the matching storage box.

제어부(130)는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에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일예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이 2개 식별된 경우, 일예로 2개의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지도 상에 표시한 아이콘 표시 지도를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표시)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3 , when two storageable matching lockers are identifi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stores an icon display map in which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storageable matching lockers are displayed on the map. It can be provide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information about the possible matching locker.

일예로 2개의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 중 어느 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일예로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로서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 주소 정보, [예약하기] 항목 및 [자세히 보기] 항목을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ion is made for any one of the two storable matching lockers (for example,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As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Reserve] item, and [View more] item of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여기서,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는 일예로 '분당선 서울숲역 3번 출구'와 같고, 주소 정보는 일예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1가 서울숲공원 SEOUL FOREST'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예약하기] 항목은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대하여 예약을 수행할지를 선택(혹은 예약 요청)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예약하기]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후술하는 예약 관리부(140)는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예약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예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보기] 항목은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으로서, 일예로 [자세히 보기]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한 세부 정보로서, 예약 현황 정보 등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may be the same as, for example, 'Bundang Line Seoul Forest Station Exit 3', and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Seoul Forest Park SEOUL FOREST, Seongsu-dong 1-ga Seongdong-gu, Seoul'. Also, the [reservation] item may refer to an item for selecting (or requesting a reservation) whether to make a reservation for at least one slot included in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box.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is made for the [Reservation] item,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recognizes that a reservation request has been made for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and may perform a reservation procedure therefor. . On the other hand, the [View Details] item is an item tha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torable matching locker.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the [View Details] item is mad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first storable matching item. A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locker, the screen may be controlled so that reserv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예약 관리부(140)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어느 하나의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하여 예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된 예약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예약 관리부(14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When a reservation request is made in relation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as one of the matching lockers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responds to the reservation request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reservation information related to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Thereafter,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erform a reservation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request message.

여기서, 예약 요청은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한 예약, 특히나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슬롯이라 함은 물품보관함 내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 칸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reservation request may mean a signal for requesting a reservation for the first matching locker, in particular, a reservation for at least one slot amo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As used herein, the term "slot" may mean a space or a compartment in which items in the locker are stored.

요청 메시지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일예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분당선 서울숲역 3번출구의 위치에 존재하는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예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예약 관리부(140)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A description of the request message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 4 shows, for example, when a reservation request is made for the first matching locker (the locker located at the location of Seoul Forest Station Exit 3 on the Bundang Lin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displays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in response to the reservation request.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request message to

도 4를 참조하면, 요청 메시지(즉,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된 예약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예약을 희망하는 희망 슬롯의 자리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정보 및 예약을 희망하는 예약 시간(희망 예약 시간)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선택 정보는 자리 선택 정보라 달리 지칭되고, 제2 선택 정보는 예약시간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request message (ie,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input of reserv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selects a seat of a desired slot to be reserved amo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It may includ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and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reservation time (desired reservation time) for which a reservation is desired. That is, th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seat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reservation time differently.

즉, 제1 선택 정보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어느 슬롯을 예약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희망 슬롯 정보)를 입력(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2 선택 정보는 예약하고자 하는 슬롯(희망 슬롯)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얼마의 시간 구간 동안) 예약할 것인지, 혹은 예약하고자 하는 슬롯에 소유 물품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보관할 것인지(보관 기간)에 대한 정보(희망 예약 시간)를 입력(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o input (select) information (desired slot information) regarding which slot amo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to be reserved. The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is for how long (for how long) the slot to be reserved (desired slot) is reserved, or how long to keep the belongings in the slot to be reserved (storage period) It may be information requesting to input (select) information about (desired reservation time).

여기서, 희망 예약 시간은 예시적으로 1시간, 2시간 등과 같이 시간 단위로 선택(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희망 예약 시간의 단위는 초, 분, 시간, 일(day)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desired reservation time may be selected (set) in units of time, for example, 1 hour, 2 hours,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nit of the desired reservation time may be variously set to seconds, minutes, hours, days, and the like.

또한, 요청 메시지는 도착 예정 시간을 선택하는 제3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선택 정보는 예약하고자 하는 슬롯에 소유 물품을 보관할 시점(보관 수행 시점), 혹은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언제 도착할 것인지에 대한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도착 예정 시간)를 입력(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3 선택 정보는 도착 예상(예정) 시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Also, th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third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n expected arrival time. The third selection information is a request to input (select) information on the arrival time (expected arrival time) of when to store the belongings in the slot to be reserved (the time to perform storage) or when to arrive at the first matching locker. may be information. The third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expected (expected) arrival time or the like.

예약 관리부(140)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슬롯의 배치 위치와 크기)를 고려하여 생성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예약 관리부(140)는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제1 선택 정보, 제2 선택 정보, 제3 선택 정보 및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transmits a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placement location and size of the slots) of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can be displayed in That is, in displaying the request message on the scree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display a request message including first selection information,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third selec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여기서,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롯의 배치 위치(배치 구조)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lots may refer to information about the arrangement position (arrangement structure) and size of the slots as described above.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일예로 도 4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리 선택] 항목에 포함된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제1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과 제2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 표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4 ,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may mean icons included in the [Seat Selection] item.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may be expressed as a first type of slot selection icon and a second type of slot selection icon.

제1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슬롯의 배치 위치와 크기)를 고려해 복수의 슬롯 각각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형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복수의 슬롯 각각의 고유식별 정보를 나타낸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제1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서, 일예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과 같이 사각 모양의 형상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은 제2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서, K 078, K 079, K 080 등과 같이 식별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type of slot selection icon may mean shape information schematically indicating the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ots in considera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lots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slots). The second type of slot selection icon may me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ots. Exemplarily,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are the first type of slot selection icons, and may be expressed as shape information of a square shape, such as a square or a rectangle, for example. Also,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are the second type of slot selection icons and may be expres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K 078, K 079, K 080, and the like.

또한, 예약 관리부(140)는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물품 보관이 가능한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lso,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activate a selection input function to enable the user to select a storable slot selection icon capable of storing goods among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as a desired slot.

이때,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은, 복수의 슬롯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즉, 각 슬롯의 속성 정보와 각 슬롯의 예약 상태 정보) 및 물품 정보(즉, 소유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복수의 슬롯 중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슬롯에 대응하는 슬롯 선택 아이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ble slot selection icon considers the usage status information (ie,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slot and reservation status information of each slot) and product information (ie, the size of owned products) for a plurality of slots, It may be a slot selection icon corresponding to a slot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of the owned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article information among the slots is possible.

즉, 예약 관리부(140)는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단순히 물품이 보관되어 있지 않아 비어있는 슬롯들의 슬롯 선택 아이콘을 모두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비어있는 슬롯이면서도, 특히나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의 크기와 슬롯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슬롯들의 슬롯 선택 아이콘만을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슬롯 중 자신이 소유한 소유 물품의 보관이 실제 가능한 슬롯이 어떤 슬롯인지를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식별해 낼 수 있다. That is,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does not activate the input function to select all the slot selection icons of the slots that are empty because the item is not simply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but rather the empty slots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In particular, the selection input function may be activated only by slot selection icons of slots having a size capable of actually storing the belonging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elongings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size of the slots.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and easily identify which slot among the plurality of slots can actually store the belongings he owns.

한편, 예약 관리부(140)는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슬롯 선택 아이콘(즉, 사용자가 소유한 소유 물품의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보관 불가 슬롯 선택 아이콘)의 경우, 사용자가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선택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slot selection icons except for the storage available slot selection icon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that is, the storage impossible slot selection icon determined to be impossible to store the belongings owned by the user), The selection input function may be deactivated so that the user cannot select the desired slot.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서 일예로 제2 유형의 슬롯 선택 아이콘이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내지 제9 슬롯 선택 아이콘이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제1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78, 제2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79, 제3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0, 제4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1, 제5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2, 제6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3, 제7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4,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5, 제9 슬롯 선택 아이콘은 K 086 이라고 하자.Referring to FIG. 4 , it is assumed that a first slot selection icon to a ninth slot selection icon exist as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for example, a second type of slot selection icon. At this time,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is K 078, the second slot selection icon is K 079, the third slot selection icon is K 080,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is K 081, the fifth slot selection icon is K 082, the sixth slot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ion icon is K083, the seventh slot selection icon is K084, the eighth slot selection icon is K085, and the ninth slot selection icon is K086.

이때, 제5 슬롯 선택 아이콘, 제6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9 슬롯 선택 아이콘의 경우,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가 제1 상태(즉, 이미 다른 사용자에 의해 물품이 보관중이거나 혹은 실제 물품 보관중은 아니나 다른 사용자(타 사용자)가 해당 슬롯에 물품을 보관하길 희망하여 해당 슬롯을 사용할 것임을 사전에 미리 예약(즉, 사전 예약) 해 둔 상태)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5 슬롯 선택 아이콘, 제6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9 슬롯 선택 아이콘을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선택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5 슬롯 선택 아이콘, 제6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9 슬롯 선택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하여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5th slot selection icon, the 6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9th slot selection icon, the reservation status for the slot is the first state (that is, if the item is already being stored by another user or the item is being stored, However, let's say that another user (other user) has made a reservation in advance (that is, pre-booked) that he will use the slot in hopes of keeping the item in the slot.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inactivate the selection input function so that the fifth slot selection icon, the six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ninth slot selection icon cannot be selected as desired slots. That is, the fifth slot selection icon, the six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ninth slot selection icon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user cannot select a desired slot.

한편,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내지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의 경우, 슬롯에 대한 예약 상태가 제2 상태(즉, 해당 슬롯에 물품이 보관되고 있지 않거나 해당 슬롯에 대하여 사전 예약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해당 슬롯이 비어있는 상태)라고 하자.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to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the 7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8th slot selection icon, the reservation status for the slot is the second state (ie, the item is not stored in the slot or the corresponding slot is not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lot). Since the slot is not reserved in advance, it is assumed that the corresponding slot is empty).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일예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비어있는 슬롯(빈 슬롯)인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내지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을 모두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 인지하여,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는 바람직하게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이 복수의 슬롯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 물품 정보(소유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되므로,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내지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을 모두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중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슬롯에 해당하는 슬롯 선택 아이콘만을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 인지하여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selects, for example, all of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the 7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8th slot selection icon, which are empty slots (empty slots)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Recognized as a storage available slot selection icon, a selection input function by the user may be activated to enable selection of a desired slot. Howev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storable slot selection icon is prefer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usage status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size of owned product) for a plurality of slots,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to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the 7th slot Rather than recognizing both the selection icon and the 8th slot selection icon as the storageable slot selection icon, only the slot selec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slot that is judged to be able to store the belongings is recognized and selected as the storageable slot selection icon The input function can be activated.

예시적으로, 비어있는 슬롯들인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내지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들 중 제2 슬롯 선택 아이콘과 제3 슬롯 선택 아이콘에 해당하는 슬롯의 크기가 실제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즉, 소유 물품의 크기보다 큰 슬롯의 크기)를 가진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2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3 슬롯 선택 아이콘만을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으로 인지하여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Exemplarily, sizes of slot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ot selection icon and the third slot selection icon among the first to fourth slot selection icons, the seven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eighth slot selection icons, which are empty slots Assume that n has a size (ie, a slot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wned item)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ize of the belongings possessed by the actual user.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recognize only the second slot selection icon and the third slot selection icon as the storable slot selection icon to activate the selection input function.

일예로, 도 4에는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이 제2 슬롯 선택 아이콘과 제3 슬롯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여 2개가 존재하고, 그 중 제2 슬롯 선택 아이콘(K 079)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약을 수행하려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FIG. 4 , there are two storable slot selection icons including the second slot selection icon and the third slot selection icon, and among them, the user wants to make a reservation for the second slot selection icon (K 079). is exemplified as

반면,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에 해당하는 슬롯의 크기는 실제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에 따라 소유 물품의 보관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슬롯 선택 아이콘, 제4 슬롯 선택 아이콘, 제7 슬롯 선택 아이콘 및 제8 슬롯 선택 아이콘의 경우, 비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보관 불가 슬롯 선택 아이콘인 것으로 인지하여 선택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slo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the 7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8th slot selection icon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belongings owned by the actual user. Assume that it is judged that the storage of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recognizes that the first slot selection icon, the fourth slot selection icon, the 7th slot selection icon, and the 8th slot selection icon are unstorable slot selection icons, even though they are empty, and selects them. You can disable the function.

즉, 예약 관리부(140)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실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슬롯(즉, 소유 물품을 실제 보관할 수 있는 슬롯)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물품보관함을 예약함에 있어서 실용성을 극대화시키고, 실제 소유 물품에 대한 보관이 가능한 슬롯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예약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That is,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intuitively provides information on a slot that can be used by a real user (ie, a slot that can actually store the belongings) amo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to reserve the locker. In this case, it can maximize practicality and help you make a quicker and easier reservation of a slot that can store items you actually own.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선택 정보(자리 선택 정보)로 'K 079'를 입력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사용자가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식별 정보로 'K 079'를 갖는 슬롯을 예약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 선택 정보(예약시간 정보)로 '4'를 입력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사용자가 'K 079'에 해당하는 슬롯을 2시간동안 이용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선택 정보(도착 예상 시간 정보)로서 '14:30'을 입력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사용자가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오후 2시 30분쯤 도착하여 'K 079'에 해당하는 슬롯을 오후 2시 30분쯤부터 이용하게 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user inputs 'K 079' as th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seat selection informa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It can be recognized as a desire to reserve a slot having 'K 079'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4' as the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recognize that the user desires to use the slot corresponding to 'K 079' for 2 hours.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14:30' as the third selection information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indicates that the user arrives at the first matching locker at 2:30 pm and displays 'K 079'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orresponding slot will be used from about 2:30 pm.

예약 관리부(14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약 관리부(14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의 일영역에 도 4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 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예약 내역 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선택 정보 내지 제3 선택 정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한 예약하고자 하는 슬롯의 예상 이용 금액(총 예상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reservation manager 140 may make a reserv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request message. When the user input for the request message is mad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reservation details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put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4 i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can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selec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but also information on the expected usage amount (total expected amount) of the slot to be reserved based on the user input.

일예로, 사용자는 예약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예약을 위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의 방식으로는 카드 결제, 계좌 이체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check reserv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payment for the reservation may be performed. As the payment method, various payment methods such as card payment and account transfer may be applied.

도 5는 일예로 어느 한 슬롯에 대하여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 예약 관리부(140)에 의해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는 결제 완료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yment comple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by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when payment is completed for any one slot as an example.

도 5를 참조하면, 어느 한 슬롯에 대하여 결제 완료를 통해 예약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는 결제 완료된 예약 내역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결제 완료된 예약 내역의 화면에는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 정보와, 상술한 예약 내역 정보, 및 [이용현황 보러가기]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이용현황 보러가기]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는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a reservation is completed through payment completion for any one slot, a screen of payment-completed reservation detail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At this time, on the screen of the reservation details for which payment has been completed, phrase information such as 'payment has been completed', the above-described reserv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View usage status] items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as an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the [Go to usage status] item is made, as an example, a screen similar to the example shown in FIG. 6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또한, 예약 관리부(140)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슬롯에 대하여 예약이 완료된 경우, 예약이 완료된 어느 한 슬롯에 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제1 슬롯에 대하여 예약을 완료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슬롯에 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는 이용 현황 알림 메시지라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regarding the reserved slo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can do.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completed a reservation for a first slot amo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rovide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regarding the first slo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Herei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be referred to as a usage status notification message differently, and a description thereof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에는 예약이 완료된 어느 한 슬롯(일예로 제1 슬롯)에 관하여 제공되는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이용 현황 알림 메시지)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슬롯에 대해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of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usage status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with respect to one slot (eg, the first slot) for which reservation has been completed. When the reservation for the first slot is completed,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display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도 6를 참조하면,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는, 잔여 시간 정보, 예약 정보,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 및 어느 한 슬롯에 보관된 소유 물품에 대한 회수 수행 여부 선택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maining time inform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select whether to extend or not, and information to request whether or not to perform collection of items stored in one slot.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된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된 예약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제1 선택 정보로서 희망 슬롯 정보를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제1 슬롯으로 입력하고, 제2 선택 정보로서 희망 예약 시간을 4시간으로 입력하였다고 하자. 이후, 이러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 관리부(140)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제1 슬롯에 대하여 4시간의 예약을 수행하여 예약을 완료할 수 있다.For example, in response to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input of reserv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the user selects desired slot information as the first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It is assumed that a slot is input, and a desired reservation time of 4 hours is input as the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Thereafter,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request messag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complete the reservation by performing a reservation for 4 hours for the first slot among the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이후, 예약 관리부(140)는 예약이 완료된 제1 슬롯에 관하여,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rovide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lot for which reservation is completed.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 내 잔여 시간 정보는 제1 슬롯의 예약 시간(희망 예약 시간)인 4시간 중 남아있는 시간(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i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time (remaining time) among 4 hours that is the reservation time (desired reservation time) of the first slot.

또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 내 예약 정보에는 예약된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일예로, 서울숲역 3번 출구), 예약된 슬롯 정보(즉, 물품함 K079), 도착 시간, 예약 시간 및 회수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착 시간이라 함은 사용자가 제1 슬롯이 있는 물품보관함의 위치에 도착할 예상 시간(도착 예상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달리 표현해 제1 슬롯에 소유 물품을 보관하는 시작 시점의 예상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도착 시간이 14:30이라 함은, 사용자가 오후 2시 30분쯤에 해당 물품보관함에 도착하여 오후 2시 30분쯤부터 제1 슬롯에 소유 물품을 보관해 제1 슬롯을 사용할 것임을 예상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시간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희망 예약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회수 시간은 사용자가 제1 슬롯에 보관중인 소유 물품을 제1 슬롯으로부터 회수해야 할 시간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회수 시간이 18:30이라 함은, 사용자가 제1 슬롯에 보관중인 소유 물품을 늦어도 오후 6시 30분까지는 회수하여 가져가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i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erved locker (for example, exit 3 of Seoul Forest Station), reserved slot information (ie, locker K079), arrival time, reservation time, and collection tim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Here, the arrival time means the expected time (expected arrival time) when the user arrives at the location of the locker in which the first slot is located. can do. For example, the arrival time of 14:30 means that the user arrives at the locker at about 2:30 pm and stores the belongings in the first slot from about 2:30 pm and expects to use the first slot. can mean Also, as described above, the reservation time may mean a desired reservation time. The collection time may refer to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user needs to retrieve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first slot from the first slot. For example, when the collection time is 18:30, it may mean that the user has to collect and take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first slot by 6:30 pm at the latest.

또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 내 예약 정보에는 회수 수행 여부 선택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수 수행 여부 선택 요청 정보는 예약을 통해 슬롯에 보관중인 소유 물품을 회수해 갔는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로서, 일예로 회수와 관련해 ON/OFF를 선택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회수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슬롯에 보관중인 소유 물품을 회수해갔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회수가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슬롯에 보관중인 소유 물품을 아직 회수하지 않아 제1 슬롯 내에 보관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i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quest to select whether to perform the collection. Here, the request information for selecting whether to perform the collection is information for requesting to select whether or not to retrieve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slot through reservation, and may refer to information requesting to select and input ON/OFF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for example. there is. For example, when collection is turned on, it may mean that the user has recovered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first slot. Conversely, if the collection is set to OFF, it may mean that the user has not yet recovered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first slot, and thus is being stored in the first slot.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 내에는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는 희망 예약 시간을 연장할 것인지를 선택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희망 예약 시간이 4시간이었고, 3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즉, 잔여시간이 1시간 정도 남은 시점에) 예약 관리부(140)가 사용자 단말(1)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였다고 하자. 이때, 제공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 내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로서 '2시간, 연장 희망함'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슬롯에 대한 예약 시간을 처음 예약 시간인 4시간에서, 추가로 2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총 6시간인 것으로 예약 시간을 정정(수정,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quest for selection of whether to extend or not. The extension or no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for requesting to select and input whether to extend a desired reservation time. For example, the desired reservation time was 4 hours, and when 3 hours have elapsed (that is, when the remaining time is about 1 hour),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 lets do it. In this case, in response to the provided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on '2 hours, extension desired' is input as request information for selecting whether to extend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correct (correct, update) the reservation time for the first slot to be a total of 6 hours by extending the reservation time for the first slot from 4 hours, which is the initial reservation time, to 2 hours.

뿐만 아니라,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는 제1 슬롯의 잠금을 해제할 것인지 혹은 잠금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예로, 잠금 해제가 ON인 경우에는 제1 슬롯의 잠금이 해제되어 제1 슬롯의 문이 열림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잠금 해제가 OFF 인 경우에는 제1 슬롯이 잠금되어 제1 슬롯의 문이 열림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lock release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 The unlock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selecting whether to unlock or lock the first slot. For example, when the lock release is ON, the lock of the first slot may be released and the door of the first slot may be in an openable state. Conversely, when unlocking is OFF, the first slot may be locked and the door of the first slot may not be openable.

일반적으로, 유로로 관리되는 물품보관함의 경우, 물품보관함 내 슬롯에 물품을 보관하고 슬롯의 문을 닫아 한번 잠금을 수행하고 나면, 이후 한번 잠금된 슬롯의 문을 필요시마다 다시 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슬롯에 물품을 보관하고 한번 잠금이 이루어졌다고 하자. 이때, 해당 슬롯에 특정 물품을 더 보관하고자 하거나 혹은 해당 슬롯에 보관중인 물품 중 특정 물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잠금된 슬롯을 다시 열 필요가 있는데, 종래 유로로 관리되는 물품보관함은 대부분 한번 잠금된 슬롯의 문을 열고 다시 잠금하고자 하는 경우 재차 요금을 투입하거나 재차 해당 슬롯의 이용 요금을 다시 결제(지불)해야 하는 등의 문제(불편함)가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locker managed by a flow path, after storing an article in a slot in the locker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lot once locking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of the once-locked slot cannot be opened again whenever necessary. . That is, let's say that the item is stored in the slot and locked once. At this time, if you want to store a specific item in the corresponding slot more or take out a specific item from among the item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lot, it is necessary to reopen the locked slot. There is a problem (inconvenient) such as having to re-insert a fee or pay (pay) the usage fee for the slot again when opening the door of the slot and locking it again.

이에 반해, 예약 관리부(140)는 예약 완료된 어느 한 슬롯(일예로 제1 슬롯)에 대한 예약이 유효한 상태일 때에, 예약 완료된 어느 한 슬롯(일예로 제1 슬롯)에 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예약 관리부(140)는 잠금 해제와 관련해 ON/OFF를 선택할 수 있는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가 포함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예약 관리부(140)는 예약 완료된 어느 한 슬롯에 대한 잠금 해제의 ON/OFF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sends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regarding a reserved slot (eg, the first slot) to the user when the reservation for one of the reserved slots (eg, the first slot) is in a valid state. It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rovide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lock release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for selecting ON/OFF in relation to unlocking.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unlock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erform ON/OFF control of unlocking for any one reserved slot.

즉, 본 장치(100)는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된 슬롯에 대한 잠금 해제의 ON/OFF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제1 슬롯에 대해 예약이 유효한 상태에 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이 예약한 해당 슬롯(즉, 소유 물품을 보관중인 제1 슬롯)을 필요할때마다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사용자가 제1 슬롯의 예약 시간(일예로 4시간) 동안에 필요시마다 횟수의 제약 혹은 금액 추가의 제약 없이 제1 슬롯의 문을 마음껏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종래에 유로로 관리되는 물품보관함이 갖는 문제(즉, 한번 잠금된 슬롯의 문을 열고 다시 잠금하고자 할 때 재차 요금을 투입하거나 재차 해당 슬롯의 이용 요금을 다시 결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100 may control ON/OFF setting of unlocking for a reserved slot based on a user input for unlocking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This device 100,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unlock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only when the reservation for the first slot is valid, the corresponding slot reserved by the user himself (that is, the user is storing the belongings) first slot)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ever necessary. That is, based on the user input for the unlock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device 100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first slot whenever necessary during the reservation time (for example, 4 hours) of the first slot without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times or addition of the amount. I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This device 100 has a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storage box managed by the euro (that is, when you open the door of the once locked slot and want to lock it again, you have to put in the fee again or pay the usage fee for the slot again. problems) can be solved.

도 7에는 사용자가 물품보관함을 사용한 이력에 관한 정보(사용 기록에 관한 정보)가 히스토리로 기록되어 화면에 표시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7 shows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use record)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user using the locker is recorded as a history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일예로 사용자가 예약하거나 이용한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본 장치(100)에 포함된 이력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이력 정보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이력 정보 제공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이력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이력 정보(사용 기록 정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토리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히스토리 화면에는 사용자가 과거에 이용했거나 혹은 현재 이용중인 물품보관함에 관한 이력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ler 130 may store,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locker reserved or used by the user as history information in a history storage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device 100 . Thereafter, for example, when a request signal for providing histor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stores a plurality of history information (use record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storage unit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history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signal. As shown in FIG. 7 ,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history. On the history screen, history information about a locker that the user has used in the past or is currently being used may be displayed.

물품보관함에 관한 이력 정보에는,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 이용한 슬롯 정보, 및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날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locke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ker, slot information used, and date information using the locker.

한편, 길 안내 제공부(150)는 선정부(120)에 의해 선정되어 화면에 표시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목적지 물품보관함이라 지칭될 수 있음)까지의 경로를 요청하는 경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1)의 위치(현 위치)로부터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is selected by the selector 12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he first matching article locker with respect to the first matching article locker (this will be referred to as the destination locker 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When a route request is made to request a route from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by displaying it.

이때,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은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의미할 수도 있고, 혹은 보관 불가 매칭 물품보관함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경로 요청이 이루어지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이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임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atching article locker may mean a storable matching article locker, or may be a storage non-storable matching article lock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matching locker in which the route request is made is a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생성된 경로에 포함된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내부 길 안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여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signal (internal route guidanc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route guidance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route is received,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generates an internal rout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oute guidance route and provid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a user's movement on the generated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본원에서 고려되는 물품보관함은 지상, 백화점안, 지하철 역사 내 등 다양한 장소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장치(100)는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현 위치)로부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사용자가 소유 물품을 보관하길 희망하여 선택한 어느 한 매칭 물품보관함(즉, 제1 매칭 물품보관함)(혹은, 예약이 완료된 매칭 물품보관함)까지 이동 경로를 안내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길 안내(경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lockers considered herein may be provided in various places, such as on the ground, in a department store, or in a subway station. Accordingly, the device 100 selects any one matching storage box (that is, in the hope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the belongings of the matching storage box from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 , in guiding the moving route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or the matching locker for which reservation is completed), it may be provided so that more effective route guidance (route guidance) can be made.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길 안내 제공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경로에 관한 정보에서의 도착 지점의 대상이라 할 수 있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즉, 경로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이 목적지(혹은 목적지 물품보관함)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matching article locker that can be said to be the target of the arrival point in the rou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that is, the first matching article locker that is the target of the route request) is The destination (or destination locker) may be referred to differently.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 중 하나인 내비게이션(Navigation Device)은 주로 차량에 초점이 맞춰져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즉, 지상의 도로 등)에 대해서만 길 안내를 지원할 뿐, 다소 큰 규모를 갖는 복잡하고 혼잡한 지하철 역사(驛舍) 내부나 대형 건물의 실내(내부) 등과 같은 내부 공간에 대해서는 관련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내부 공간에 대한 길 안내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In general, a navigation device, which is one of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ies, is mainly focused on a vehicle and only supports route guidance for a route that the vehicle can move (that is, a road on the ground, etc.), and has a rather large complex And for internal spaces such as the inside of a crowded subway station or the interior (inside) of a large building, there is no support for directions to the internal space due to the absence of relevant data.

이처럼, 대부분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로는 내부 공간에 대한 정확한 길 안내의 제공에 어려움이 있어,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도보를 이용해 상술한 내부 공간(특히나, 초행길에 있는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내부 공간에서의 이동시 길을 잃거나 헤매는 일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의 지연을 야기하게 된다.As such, most of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ies have difficulty in providing accurate route guidance to the internal space, so the user can exemplarily use a walk to go through the aforementioned internal space (especially, the internal space on the first road) to the destination ( When moving to the destination locker), the user may get lost or get lost while moving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which causes a delay in the travel time to the destination.

일예로,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 등의 내부에 존재하는 표지판(전철의 이동 방향이나 출구를 안내하는 표지판 등)은 내선열차, 외선열차, a방면, b행 등과 같이 표기가 단순하고 모호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지하철 노선이 교차하는 혼잡한 환승역(예를 들어, 고속터미널역, 삼성역, 잠실역 등)이나 대형 건물(백화점, 마트 등), 지하상가, 버스 터미널, 많은 출입구 등과 연결되고 여러 층(floor)으로 이루어진 지하/지상의 내부 공간 등에서 종래의 지하철 역사 내 길 안내 표지판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원하는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이동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For example, in general, signs (signs guiding the movement direction or exit of subway stations, etc.) existing inside subway stations, etc. are simple and ambiguous, such as internal trains, external trains, direction a, line b, etc. Therefore, the user is connected to a crowded transfer station (eg,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Samseong Station, Jamsil Station, etc.) where a plurality of subway lines intersect, a large building (department store, mart, etc.),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a bus terminal, many entrances, etc.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moving to a desired destination only by relying on road guide signs in conventional subway stations in the underground/ground interior space composed of floors.

즉,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이나 표지판 등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내부 공간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원활하고 정확하게 안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지하철 역사 내에서 가고자 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플랫폼으로 내려가게 되거나, 출구를 찾지 못하여 헤매게 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there is a difficulty in smoothly and accurately guiding the user to the desired destina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space only by using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y or signs, so that the direction the user wants to go in the subway station is different. It could happen that you go down to the platform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you get lost because you can't find an exit.

또한, 종래 포털 사이트(예를 들어, 네이버, 구글 등)에서는 자동차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거나, 도보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가 입력된 경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해당 경로에 대한 거리, 및 해당 경로를 자동차나 도보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소요 시간(예상 소요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a conventional portal site (eg, Naver, Google, etc.)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 car or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walking, when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are input from the user, the departure point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oute from to the destination, the distance to the route, and the required time (estimated time) required to travel the route by car or on foot.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주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즉, 지상의 도로 등)에 한하여 2차원 지도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뿐이어서, 도보를 이용해 복잡한 지하철 역사 내부나 대형 건물의 실내(내부)를 경유하여 이동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내부 공간을 헤매지 않고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가이드)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y only provides a route to a destination based on a two-dimensional map only for a route that a vehicle can move (ie, a road on the ground, etc.) There is a difficulty in guiding (guides) so that the user can move accurately without wandering through the interior space of a complex subway station or through the interior (inside) of a large building.

또한,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은 복수의 층이 존재하는 내부 공간에 대하여, 각 층의 이동 경로를 확실하게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예로 사용자가 해당 내부 공간 내에 특정 층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을 찾아 가고자 할 때 정확히 찾아가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y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and display the movement route of each floor for the intern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s exist, for example, a user may select a locker located on a specific floor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It is difficult to find exactly where you want to go.

이에, 본 장치(100)는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하여, 다소 큰 규모를 갖는 복잡하고 혼잡한 지하철 역사 내부나 대형 건물의 실내(내부) 등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사용자가 해당 내부 공간을 거쳐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로 이동할 때 헤매지 않고 보다 원활하고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반의 길 안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100, through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with respect to an internal space such as a complex and congested subway station having a rather large scale or the interior (inside) of a large building, the user can use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Augmented Reality (AR)-based navigation technology can be provided that can support smoother and more accurate movement without hesitation when moving to the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즉, 본 장치(100)는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 이동함에 있어서 다소 큰 규모를 갖는 복잡하고 혼잡한 지하철 역사 내부나 대형 건물의 실내(내부) 등과 같은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지나가게 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내부 공간에서 길을 헤매지 않고 목적지까지(혹은 목적지를 향한 출구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동을 지원(안내, 가이드, 인도)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 길 안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100 is a complex and congested subway station with a rather large scale when the user moves to the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through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or the interior (inside) of a large building. Augmented reality that supports the user's movement (guide, guide, guide)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move to the destination (or to the exit towards the destination) without getting lost in the interior space, even when passing through an internal space such as (Augmented Reality)-based navigation technology may be provided.

도 1을 참조하면, 길 안내 제공부(150)는 제1 경로 생성부(11), 제2 경로 생성부(12) 및 안내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oad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path generating unit 11 , a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 and a guide control unit 13 .

제1 경로 생성부(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출발지와 목적지에 관한 정보(즉,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 생성부(11)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출발지와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The first route generator 11 may generate a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origin and destination (ie, origi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 carried by the user.

여기서, 출발지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일예로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즉, 사용자의 현재의 GPS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 정보는 경로 요청의 도착 지점의 대상이 되는 물품보관함의 정보로서, 화면에 표시된 매칭 물품보관함 중 사용자가 경로 요청을 희망하여 선택한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목적지 정보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정보로서, 달리 표현해 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정보라 지칭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경로 요청이 이루어진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은 목적지 물품보관함, 목적지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Here,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e, the user's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GPS sensor. In addi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the locker that is the target of the destination of the route request, and may mean inform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selected by the user by requesting the route from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present appli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a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That i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matching locker to which the route request is made may be referred to as a destination locker, a destination,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성,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를 기준 경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ath generated by the first path generator 11 will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path.

제1 경로 생성부(11)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출발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즉,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즉, 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기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route generator 11 may receiv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 and based on thi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 route (reference route) to a corresponding location (i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may be created.

이때, 출발지 정보의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의 위치까지의 경로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제1 경로 생성부(11)는 이러한 복수개의 경로 중 이동 시간(특히, 도보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로(즉, 최소 시간 경로, 최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경로 생성부(11)는 출발지 정보의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의 위치까지의 경로로서, 도보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routes from the location of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o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is a route (particularly, walking time) that minimizes the travel time (particularly, the walking time) among the plurality of routes ( That is, a minimum time path, a shortest path) can be generated. As an example,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may generate a route that minimizes walking time as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o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경로는 예시적으로 지도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route generated by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in association with a map for example.

제2 경로 생성부(12)는,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에 포함된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s configured to,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internal route guidance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cluded in the route (reference route) generated by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is received, a request signal In response,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may be generated.

즉,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에는 내부 이동 구간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may or may not be included in the route (reference route) generated by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

이때, 제2 경로 생성부(12)는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에 내부 이동 구간이 포함되어 있되, 이러한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하여 길 안내를 요청(즉,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사용자(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ncludes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 the route (reference route) generated by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 and requests route guidance for this inner movement section (that is,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navig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or user terminal),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signal.

여기서, 내부 이동 구간은 지하 및/또는 지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지하 및/또는 지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조물의 내부 공간이라 함은, 지하철 역사(驛舍), 지하도, 지하상가, 건물 등에 해당하는 내부의 공간(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은 일예로 백화점, 병원, 마트, 쇼핑몰, 버스터미널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may mea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of a structure provided in the basement and/or the ground. In this case, the internal space of a structure provided underground and/or above the ground may mean an internal spac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a subway station, an underpass,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a bui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building may mean, for example, a department store, a hospital, a mart, a shopping mall, a bus terminal,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에서 고려되는 내부 이동 구간은 바람직하게 지하에 마련되는 구조물인 지하철 역사(지하철역)에 대응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considered herein may mean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subway station (subway station), which is a structure preferably provided underground.

제2 경로 생성부(12)는 지하 및/또는 지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조물의 층(floor)별 내부 공간의 구조(내부 구조) 및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편의시설을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공간의 각 층별로 이동경로의 구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하는 경로(내부 길 아낸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generates an internal route guidance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ernal space for each floor of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basement and/or the ground and the convenience facilities exist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tructure. can create Accordingly, 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may generate a path (internally cut path) so that the division of the movement path is clearly divided for each floor of the internal space.

여기서,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편의시설에는 예시적으로 지하철 역 내 화장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elevator, 승강기), 음료수 자판기, 편의점, 물품보관함, 상황실, 교통카드 충전소, 상점(음식점, 옷가게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하철역 내 다양한 편의시설이 적용될 수 있다.Here, convenience facilities existing in the interior space include, for example, toilets, escalators, elevators (elevators) in subway stations, beverage vending machines, convenience stores, lockers, situation rooms,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s, shops (restaurants, clothing stores, etc.) I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subway station may be applied.

이처럼,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가 내부 이동 구간 내에서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 이동 구간 내 구조물의 층별 내부 구조나 편의시설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considers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floor of the structure or the lo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move to the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within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 it is possible to create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for guiding a movement route to a destination.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과 관련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경우, 획득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로서 인식하고, 인식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navigation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s received,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may generate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signal. At this time, when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related to the internal road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s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1,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uses the acquired internal road-related image as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route guidance. and may generate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request signal.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되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related to an inner road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n the locker guid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특정 지하철 역사 내에 존재하는 길 안내 표지판에 관한 이미지로서 일예로 도 8과 같은 이미지를 획득하였다고 하자.Referring to FIG. 8 ,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btains the image shown in FIG. 8 as an image related to a road guide sign existing in a specific subway st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이때,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 내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하여 촬영된 이미지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기준 경로 내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해 있는 내부 길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이미지(즉,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한 내부 길을 촬영한 이미지)인지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is an image captured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within the path (reference path) generated by the first path generating unit 11 . can do. That is, 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uses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to capture an image (ie, internal movement) obtained by photographing any one of the inner roads belonging to the inner movement section within the reference rou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image taken of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the section).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한 내부 길을 촬영함으로써 획득한 이미지인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이처럼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기준 경로 내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과 관련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inner road belonging to the inner movement section,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generat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identified as an image related to an internal road related to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within the reference route.

여기서, 제2 경로 생성부(12)에서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식별하기 위해, 일예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하 및/또는 지상에 마련되어 있는 구조물(모든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즉, 해당 내부 공간에 속한 내부 길을 촬영한 이미지)를 기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n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is an image related to an internal road, for example,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includes a structure ( It may include a database unit (not shown) that pre-stores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internal space of all structures (that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는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이, 해당 이미지를 촬영할 때의 위치 정보(즉, 해당 이미지의 촬영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할 때의 방향 정보와 함께 연계하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정보라 함은 방위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에는 GPS 정보, 고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each of these plurality of images is linked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image is taken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image is taken) and direction information when the image is taken. can be saved. Here, the direction information may mean azimuth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GPS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like.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간의 비교(매칭)를 통해,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기준 경로 내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과 관련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식별할 수 있다.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compares (match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with a plurality of images pre-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so tha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s It may be identified whether the image is related to the internal road related to the internal road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within the reference route.

이후,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 것으로 식별되면, 제2 경로 생성부(12)는 식별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요청 신호로 인식하여,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s an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recognizes the identified internal road-related image as a request signal, and an interior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You can create a navigation route.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받기 위해 출발지와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한 경우, 제1 경로 생성부(11)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기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에 관한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user inputs information about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 in order to receive a route guid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the first route generating unit 11 may generate a route ( reference path) can be created.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path (reference path) generated by the first path generating unit 1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for example.

이후, 사용자는 제1 경로 생성부(11)를 통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를 기반으로(참고하여)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로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경로(기준 경로) 내에 내부 이동 구간으로서 일예로 다수의 출입구와 백화점, 버스 터미널 등이 연결되어 있고 여러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다소 복잡하고 혼잡한 지하철 역사(이하 대상 지하철 역사라 함)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즉,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대상 지하철 역사를 경유하여 지나가야 한다고 하자.Thereafter, the user may move to a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based on (with reference to) the route (reference rout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 At this time, as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within the route (reference route), a rather complex and congested subway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 subway station) is included, for example, with multiple entrances, department stores, and bus terminals connected and made up of several floors. let's say there is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user must pass through such a target subway station when moving to a destination.

이때, 대상 지하철 역사에 해당하는 공간이 광범위하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다수의 출입구와 백화점, 버스 터미널 등이 연결되고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예로 도 8과 같은 길 안내 표지판만을 보고 목적지까지 이동함에 있어서 길을 잃거나 헤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ubway station is wide, and as mentioned above, a number of entrances, department stores, bus terminals, etc. are connected and consist of multiple floors, the user sees only the road guide sign as shown in FIG. 8 as an example You may get lost or get lost while traveling to your destination.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경로 생성부(11)를 통해 생성된 경로(기준 경로)를 기반으로(참고하여) 목적지로의 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준 경로 중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받고자 하는 경우, 일예로 내부 길 안내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당 내부 이동 구간에 진입하거나 해당 내부 이동 구간에 위치해 있을 때, 해당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해 있는 길 안내 표지판에 관한 이미지(예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해 촬영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o the destination based on (refer to) the route (reference rout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the user receives internal route guidance for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of the reference route. If you want to receive it, for example, when you enter the corresponding internal movement section for which you want to receive internal road guidance or are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movement section, an image about the road guide sign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internal movement section (for example, in FIG. 8 An image as shown) may be photographed using the user terminal 1 .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 간의 비교(매칭)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해당 내부 이동 구간과 관련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이를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compares (matching) the images acqui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and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so that the acquired image is internally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internal movement section. When it is identified as a road-related image, it may be recognized as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internal route guidance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제2 경로 생성부(12)는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즉,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경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When a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at is, when an image related to an internal road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generates an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he generated internal navigation route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an example.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출구들 중 목적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출구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obtained,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calculates a path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o the location of the nearest exit from the destination among exits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Can be cre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의 위치가 지상에 존재하는 건물의 위치인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출구들(즉, 지하철 역 내 출구들) 중 목적지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출구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is the location of a building existing on the ground,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s the closest from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among the exits (ie, exits within the subway station)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A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located exit may be gener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의 위치가 지상에 존재하는 건물의 위치인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이동 구간(즉, 지하철 역 내 내부 공간)에 속한 복수의 개찰구 중 목적지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개찰구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is the location of a building existing on the ground,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s a destination among a plurality of ticket gates belonging to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e, an internal space within a subway station).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wicket to the location of the nearest ticket gate can be cre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예시적으로, 목적지의 위치가 지상에 존재하는 지상 건물에 해당하는 위치인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출구들 중 목적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출구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1)의 위치로서, 이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촬영/획득한 사용자의 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corresponds to a ground building existing on the ground,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among the exits belonging to the inner movement section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lated to the inner road. A route from the to the location of the nearest exit may be gener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Her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 that has acquired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which may mea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who has captured/obtained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한편, 목적지의 위치가 일예로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해 있는 복수의 건물들 중 어느 하나인 지하 건물(달리 표현해, 내부 이동 구간인 지하상가에 속해 있는 복수의 상가들 중 어느 하나의 상가)에 해당하는 위치인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내부 이동 구간 내 목적지의 위치(즉, 내부 이동 구간 내 어느 하나의 지하 건물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corresponds to, for example, an underground building that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buildings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n other words, any one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belonging to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that is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 the case of a location,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calculates a route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o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within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that i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underground building in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Can be cre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이때,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의 위치까지의 경로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제2 경로 생성부(12)는 이러한 복수개의 경로 중 이동 시간(특히, 도보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로(즉, 최소 시간 경로, 최단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서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의 위치(즉, 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로서, 도보 이동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routes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o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has the minimum travel time (particularly, walking time) among the plurality of routes. A path (ie, a minimum time path, a shortest path) may be gener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path. That is,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s a route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1 to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and the walking time is The minimum route can be gener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안내 제어부(13)는 제2 경로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반으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generates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user on the internal guidance route based on the internal guidance route generated by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and a user possessed by the user.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 .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사용자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길 안내 정보는 제2 경로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이동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guidance path generated by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and movement guida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1)에 포함된 위치 획득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로서, 예시적으로 GPS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 (Visual Localization)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일예로 GPS 가 통하지 않는 지하나 실내 등에서도 한 장의 이미지(사진)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acquisition senso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 and may be, for example, GPS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a single image (photo) even in the basement or indoors where GPS does not pass, for example, by using a visual localization technology.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에 대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That is,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th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화면 표시 정보(직진표시 화살표 표시, 유턴 표시, 잔여 거리 표시 등등, 표시 내용), 사운드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유형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generates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as at least one information type of screen display information (a straight arrow display, a U-turn display, a remaining distance display, etc., display content), sound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Thus,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

안내 제어부(13)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 내에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는 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이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지 않는 미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에 제공되는 화면 표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include,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 guidance path.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icon of is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of the non-responsive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이때, 아이콘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displaying the icon in a form that is easy to recognize or identify means to display at least one of a visually emphasized form, an expanded form, a form accompanying an auditory effect, and a dynamic animation form, as described above. can do.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 controlled by the locker guid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일예로 사용자가 '역삼역'에 해당하는 지하철 역사 내에 위치해 있고, 건대입구역 근처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에 소유 물품을 보관하고자 건대입구역 근처에 위치한 물품보관함(목적지 물품보관함)에 슬롯 예약을 해두고, 이후 지하철을 이용하여 '건대입구역'까지 이동하여 슬롯을 예약한 해당 물품보관함(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 이동하고자 한다고 하자.Referring to Figure 9, for example, the user is located in the subway station corresponding to 'Yeoksam Station', and wants to store the belongings in the locker located near Konkuk University Station. Let's say you want to make a slot reservation and then use the subway to go to 'Kon University Station' and move to the locker (destination locker) where you have reserved the slot.

이때, 사용자는 '역삼역' 내에서 '건대입구역'까지의 내부 길 안내를 요청받기 위해, '역삼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해 내부 길 관련 이미지로서 도 9의 (a)와 같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건대입구역까지의 길(경로)을 나타내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1 in 'Yeoksam Station' to receive a request for guidance on the internal route from 'Yeoksam Station' to 'Konik University Station'. can be photographed. In this case,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may generate an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indicating the route (path)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Konkuk University Station.

한편, 획득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 내에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로서 '교대/사당 방향'을 안내하는 제1 방향 지시 정보 및 '선릉/잠실 방향'을 안내하는 제2 방향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Gyodae/sadang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eolleung/Jamsil direction' are included as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 the obtained internal road-related image.

이때,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가 '건대입구역'이므로, 사용자는 획득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제2 방향 지시 정보를 따라 '선릉/잠실 방향'으로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estination the user wants to go to is 'Konneung University Station', the user needs to move in the 'Seolleung/Jamsi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ere is

안내 제어부(13)는, 제2 경로 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기초하여,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제2 방향 지시 정보를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는 대응 방향 지시 정보인 것으로 인식하는 한편,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제1 방향 지시 정보를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지 않는 미대응 방향 지시 정보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is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ternal road related image based on the internal road guidance route generated by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as the internal road guidance path.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as non-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이에 따르면, 대응 방향 지시 정보라 함은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복수 개의 방향을 가리키는 정보) 중 사용자가 가야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정보(방향 지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direction that coincides with a direction to which the user should go among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lurality of directions).

이처럼,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제2 방향 지시 정보를 대응 방향 지시 정보로 인식한 이후,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반으로 생성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화면 표시 정보로서 일예로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recognizing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as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e guide control unit 13 shows the internal way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ner way guide route as screen display information as an example. As shown in (b) of 9, it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즉, 안내 제어부(13)는 도 9의 (b)에서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이 미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화면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part A in FIG. 9B , the guide control unit 13 makes it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an the icon of the non-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Screen displa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in the form.

이러한 대응 방향 지시 정보에 대한 화면 표시 정보의 제어와 더불어, 안내 제어부(13)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부 길 안내 정보 중 이동 안내 정보(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이동 안내 정보)로서 도 9의 (b)에서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대입구역'으로 가시려면 100m 직진 후 우회전하여 '선릉/잠실 방향' 열차를 타주세요]와 같은 문구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화면 표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include, for example, movement guidance information (a user chang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mong th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As shown in part B in FIG. 9 (b) as the movement guid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so that a phrase such a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이처럼,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길 안내 표지판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 중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매칭되는 방향 지시 정보가 미대응 방향 지시 정보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토대로 본인이 가야할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데에 있어서 길을 헤매지 않고 신속히 이동 가능하도록 길 이동을 안내(가이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 direction indication that matches the direction the user wants to go among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oad guide sig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y to recognize or identify compared to the non-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user to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direction he or she should go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move quickly without getting lost in moving to the destination You can guide (guide, provide) the way to do so.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1) 내 위치 획득 센서(일예로, GPS 센서 등)로부터 획득되는 실시간 사용자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이동 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 화면 표시 정보의 내용, 사운드 정보의 내용 및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considers real-time use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location acquisition sensor (eg, a GPS sensor, etc.) in the user terminal 1, and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where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In response, the content of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the content of the sound information, and the vibration type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changed.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사운드 정보의 경우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 또는 사용자 단말(1)의 스피커부를 통해 제공하고, 진동 정보의 경우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provides sound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worn by the user or the speaker unit of the user terminal 1 in the case of sound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vibration informatio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or user terminal 1 worn by the user ) can be provided through

일예로,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가 소리로 인지할 수 있도록(내부 길 안내 정보가 사운드 출력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운드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가 진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내부 길 안내 정보가 진동 출력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진동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controller 13 may generate and provide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ternal way guide information as sound (so that the inner way guid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 sound output). In addition, the guidance controller 13 may generate and provide the vibr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as vibration (so that th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vibration output).

이때, 안내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정보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1)의 스피커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진동 정보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진동 유닛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안내 제어부(13)는 생성된 사운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 또는 사용자 단말(1)의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생성된 진동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또는 사용자 단말(1)의 진동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u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controller 13 may be provided through a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not shown) worn by the user or a speaker unit of the user terminal 1 . In addition, the vib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controller 13 may be provided through a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not shown) worn by the user or a vibration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 . In other words,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or the speaker unit of the user terminal 1 so that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lso, the guide controller 13 may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or the vibration unit of the user terminal 1 so that the generated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0)에 자체적으로 사운드 입출력 유닛 및 진동 출력 유닛이 포함된 경우, 생성된 사운드 정보는 본 장치(100)의 자체 사운드 입출력 유닛을 통해 제공되고, 생성된 진동 정보는 본 장치(100)의 자체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device 100 includes a sound input/output unit and a vibration output unit by itself, the generated sound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0's own sound input/output unit, and the generated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self-vibration output unit of the apparatus 100 .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 및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두 유닛(즉,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및 본 장치(100) 간에 연결되는 네트워크는 일예로 무선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 as well as a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and a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the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two units (ie,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and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and the present device 100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머리, 목 등에 착용 가능하고, 음성 입/출력이 가능한 헤드셋, 이어폰 등일 수 있다. 일예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목에 착용되는 경우 목걸이형 헤드셋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일예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헤드폰 장치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may be, for example, a headset, earphones, etc.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neck, and can input/output voice.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is worn on the neck,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a necklace-type headset. For example,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a headphone device or the like.

일예로, 사용자가 시각 정보가 차단된 시각장애인인 경우 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소리 정보가 소정 이상 차단되지 않도록,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귀 주변에 착용되는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 또는 이어폰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blind with visual information blocked,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is preferably a bone conduction headset or earphone worn around the user's ear so that sound information obtainable through the ear is not block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can do.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일예로 사용자가 말한 음성 정보(일예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관한 발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길 안내 제공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의 제1 경로 생성부(11)는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정보의 음성 분석을 기초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기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안내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정보를 출력(표출)할 수 있다.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may receive, for example, voice information spoken by the user (eg, utterance voice information regarding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may provide it to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 The first route generating unit 11 of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recognizes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oice analysis of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and based on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e route ( reference path) can be created. Also,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may output (express) sou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control unit 13 .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내부 길 안내 정보(특히,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 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 또는 사운드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유형은 진동 세기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generates vibration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to which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internal road guidance route). You can change the type or content of soun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vibration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ion intensity and a vibration pattern.

안내 제어부(13)는 전방 이동, 후방 이동, 좌측 이동, 우측 이동 등 이동 방향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달리 하거나, 진동 패턴을 달리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안내 제어부(13)는 1시 방향으로 이동, 2시 방향으로 이동, 3시 방향으로 이동 등 이동 방향에 따라 진동 세기가 달리 되거나 진동 패턴이 달리 되도록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generate vibration information by vary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such as forward movement, backward movement, left movement, or right movement, or by changing a vibration pattern. As another exampl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generate vibr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vibration intensity or the vibration patter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such as moving in the 1 o'clock direction, moving in the 2 o'clock direction, or moving in the 3 o'clock direction.

예시적으로, 내부 길 안내 정보(특히, 내부 길 안내 경로)가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로부터 300m 직진한 이후 우회전 하는 경로를 따르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300m 직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를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또는 스피커부)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은 사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이동을 바꾸어야 하는 방향 전환 지점(우회전 해야 하는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 사운드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고, 변경된 사운드 정보를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internal navigatio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follows a path turning right after going straight 300 m from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transmits sound information 'must go straight 300 m' to the wearable It may be provided to a sound input/output unit (or a speaker unit), through which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may output soun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guide control unit 13 changes the content of the soun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the point where the user has to turn right) to change the movement, and provides the changed sound information to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there is.

즉, '300m 직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는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잔여 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마다 사운드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가 100m 이하로 남은 시점부터 10m 간격 마다 사운드 정보가 변경되도록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the user moves based on the sound information 'You must go straight 300m',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turning point may gradually decrease. In this cas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sound information to be changed for each preset distance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distance). For exampl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generate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is changed every 10 m from the tim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100 m, and provide it to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구체적으로, 안내 제어부(13)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가 10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 '100m 직진 후 우회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가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운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 제어부(13)는 9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90m 직진 후 우회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가 제공되도록 사운드 정보를 변경하고, 8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80m 직진 후 우회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가 제공되도록 사운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가 1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1m 거리 마다 사운드 정보가 변경되어 제공되도록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transmits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You must turn right after going straight 100m'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when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is less than 100m. can be changed Similarly,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changes the sound information to provide the sound information 'You must go straight after 90 m and turn right' at the time remaining below 90 m, and the sound 'You must go straight after 80 m and turn right' at the time remaining below 80 m.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information is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less than 10 m, the guide controller 13 may generate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is changed and provided for every 1 m distance.

다른 예로, 내부 길 안내 정보(특히, 내부 길 안내 경로)가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로부터 300m 직진한 이후 우회전 하는 경로를 따르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10 단계의 진동 세기 중 가장 약한 제1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안내 제어부(13)로부터 제공받은 진동 정보를 표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internal guidance route) follows a path turning right after going straight 300 m from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guidance controller 13 controls the weakest first vibration intensity among the ten vibration intensiti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Through this,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express the vib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uide control unit 13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이동을 바꾸어야 하는 방향 전환 지점(우회전 해야 하는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을 변경하고, 변경된 진동 정보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세기의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는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잔여 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마다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changes the vibration type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the point where the user needs to turn right) to change the movement, and provides the changed vibration information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can That is, as the user moves based on the vib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ibration intensity,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may gradually decrease. In this cas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vibration type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to be changed for each preset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distance).

예를 들어,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가 100m 이하로 남은 시점부터 10m 간격 마다 진동 세기가 점차 강해지는 방향으로 진동 정보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진동 정보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hange the vibration informa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ibration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at intervals of 10 m from a tim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100 m, and may provide the changed vibration information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즉, 안내 제어부(13)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가 10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제1 진동 세기의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하고, 9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제1 진동 세기에서 제2 진동 세기로 변경시켜, 제2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 정보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8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는 제2 진동 세기에서 제3 진동 세기로 진동 세기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제3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control unit 13 generates vib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ibration intensity when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is less than 100 m and provides it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and when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is less than or equal to 90 m, the first vibration intensity by changing to the second vibration intensity,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the second vibration intensity may be provided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addition, the guide control unit 13 changes the vibration intensity from the second vibration intensity to the third vibration intensity at a time point remaining below 80 m, and generates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the changed third vibration intensity to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can provide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잔여 거리를 고려하여)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으로서 진동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제어부(13)는 잔여 거리가 10m 이하로 남은 시점부터 1m 거리 마다 진동 패턴을 변경시킬 수 있다. Also,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change the vibration pattern as a vibration type of vibr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sidual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taking the residual distance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hange the vibration pattern every 1 m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remains 10 m or less.

구체적으로, 잔여 거리가 10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 안내 제어부(13)는 제1 진동 세기의 진동이 2초에 1회 진동하는 패턴(진동 패턴)으로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여 거리가 9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 안내 제어부(13)는 제2 진동 세기의 진동이 1초에 1회 진동하는 패턴(진동 패턴)으로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여 거리가 1m 이하로 남은 시점에서 안내 제어부(13)는 제10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이 1초에 5회 진동하는 패턴으로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maining distance remains 10 m or less, the guide control unit 13 generates vibration information in a pattern (vibration pattern) in which the vibration of the first vibration intensity vibrates once every 2 seconds to provide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can 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less than 9 m,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generates vibration information in a pattern (vibration pattern) in which the vibration of the second vibration intensity vibrates once per second and provides it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distance remains less than or equal to 1 m,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by generating vibration information in a pattern in which the vibration having the tenth vibration intensity vibrates 5 times per second.

이처럼, 안내 제어부(13)는 방향 전환 지점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응하여(잔여 거리를 고려하여)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 또는 사운드 정보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변경된 정보(즉, 진동 유형이 변경된 진동 정보와 사운드 내용이 변경된 사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change the vibration type of vibr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of soun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irection change point (taking the remaining distance into account), and through this, the changed information (ie, vibration type) This changed vibration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n which the sound content is changed) may be provided.

또한,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특히,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가 내부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즉,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진동 정보의 진동 유형 또는 사운드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eviated from the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at is,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based on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the guidance controller 13 responds accordingly to change the vibration type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of the sound information.

예를 들어,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초로 하여 '100m 직진 후 우회전해야 합니다'라는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표시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경로를 이탈했습니다' 또는 '경로를 이탈했습니다. 유턴하여 되돌아 가십시오'라는 사운드 정보의 내용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의 사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generate sound information 'you must turn right after going straight for 100m' based on the internal route guidance path and provide it to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eviated from the displayed route,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deviates from the route' or 'deviates from the route. You can change it to the sound information of 'Please U-turn and go back', and provide sound information of the changed content.

다른 예로, 사용자가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현재의 진동 정보(예를 들어, 제1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 정보)를 제10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 정보로 변경하고, 변경된 진동 정보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1초에 제1 진동 세기로 1회 진동하는 진동 패턴을 갖는 진동 정보를 1초에 제10 진동 세기로 5회 진동하는 진동 패턴을 갖는 진동 정보로 변경하고, 변경된 진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eviated from the internal navigation path, the guidance controller 13 converts the current vibration information (eg,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the first vibration intensity) to the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the tenth vibration intensity. , and the changed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eviated from the internal navigation path,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transmits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a vibration pattern that vibrates once at a first vibration intensity per second at a tenth vibration intensity 5 times per second It is possible to change to vibration information having a vibration pattern that vibrates, and provide the changed vibration information.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배치(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일예로, 팔찌 등)로 배치(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는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 한 개 또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provided) in a wearable form on a part of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provided) in a wearable form (eg, a bracelet, etc.) on a user's wrist. One or a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user's body.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사용자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양 손목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서로 다른 위치로서 사용자의 양 손목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복수개로서 2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user. For example,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on both wrists of the user. That is,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n each wrist of the user, and in this case, two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may be disposed as a plurality.

또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at least one vibration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provided).

또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다른 일예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머리밴드 형태로 배치(구비)될 수 있다. 이때,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에는 복수 개의 진동 발생 유닛이 머리밴드의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provided) in the form of a headband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In this case, i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inside the headband.

또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한 벨트 형태로 배치(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에는 복수 개의 진동 발생 유닛이 벨트의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may be disposed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t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aist. In this case, i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belt,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lt.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특히,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각각의 위치(배치 위치)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의 진동 유형을 제어(개별적으로 제어,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 unit 13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placement posi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user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internal guidance route). Vibration types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may be controlled (individually controlled, individually differently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

일예로, 사용자의 양 손목에 배치된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에 대하여, 왼쪽 손목에 배치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제1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고, 오른쪽 손목에 배치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은 제2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라고 하자.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각각의 위치(즉, 제1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 왼쪽 손목에 위치해 있고 제2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 오른쪽 손목에 위치해 있음을 고려)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초로 한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의 진동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disposed on both wrists of the user,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disposed on the left wrist is a first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and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disposed on the right wrist is a second wearable Let's call it a vibration output unit. At this time, the guid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that is, considering that the first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s located on the left wrist and the second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s located on the right wrist) and the user'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direction, the vibration type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based on the internal navigation path may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직진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좌회전 해야 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왼쪽(좌측) 손목에 배치된 제1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표출되도록(달리 말해,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1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진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좌회전)을 고려하여 제1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좌회전으로 이동해야 함을 진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알릴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has to turn left according to the internal road guidance path while the user is moving straight,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vibrates through the first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disposed on the user's left (left) wrist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so tha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other words, vibration is generated). As such,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first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left rotation), and through this, may provide the user with vibr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should move to the left ( can inform).

다른 예로, 사용자가 직진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우회전 해야 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오른쪽(우측) 손목에 배치된 제2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표출되도록(달리 말해,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2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으로 진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우회전)을 고려하여 제2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우회전으로 이동해야 함을 진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알릴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has to turn right according to the internal road guidance path while the user is moving straight,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vibrates through the second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disposed on the user's right (right) wrist Vib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so tha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other words, vibration is generated). As such,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second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ing direction (right turn), and through this, may provide the user with a vibr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should move to the right ( can inform).

또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이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s a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에는 복수 개의 진동 발생 유닛이 머리밴드의 내측에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 개의 진동 발생 유닛에는 4개의 진동 발생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 진동 발생 유닛은 머리밴드의 내측 둘레 중 사용자의 이마 중심(앞쪽 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진동 발생 유닛은 사용자의 오른쪽 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진동 발생 유닛은 사용자의 뒤통수(뒤쪽 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4 진동 발생 유닛은 사용자의 왼쪽 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inside the headban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may include four vibration generating units. In this case,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user's forehead (front head) among the inner circumferences of the headband, and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right head, and the thir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head (rear head) of the user, and the fourth vibration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left head.

이때, 사용자가 직진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우회전 해야 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를 직진으로 이동 안내하는 동안 제1 진동 발생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제공되도록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우회전 해야 하는 경우 제2 진동 발생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제공되도록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has to turn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moving straight, the guid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head so that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while guiding the user to move straigh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band.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so that vib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when the user needs to turn right.

또한 사용자가 좌회전 해야 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제4 진동 발생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제공되도록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턴해야 하는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제3 진동 발생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가 제공되도록 머리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needs to turn left,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to provide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ourth vibration generating unit. Also, when the user needs to make a U-turn,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in the form of a headband to provide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이처럼, 안내 제어부(13)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 각각의 위치(사용자에 대한 배치 위치)(또는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에 포함된 복수개의 진동 발생 유닛 각각의 위치)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의 진동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uide control unit 13 relates to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s (placeme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or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included in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bration type of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안내 제어부(13)는 경로 안내 정보(특히, 표시 경로)를 기초로 생성된 이동 가이드 정보를 일예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진동으로 제공(즉,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달리하는 진동 정보로 제공)하거나, 일예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즉, 음성 안내로 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control unit 13 provides movement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route guid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displayed route) as vibration through a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worn on the user's wrist as an example (that is, the vibration intensity or vibration pattern) It may be provided as different vibration information) or, for example, may be provided by voice (ie, as voice guidance) through a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worn on the user's head.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웨어러블 사운드 입출력 유닛을 통해 음성 정보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진동 출력 유닛을 통해 진동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보행자)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 등을 가진 시각장애인에 대해서도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이동 안내(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 및 활동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sound input/output unit as well as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vibration output unit, so that not only general users (pedestrians) but also visual impairments,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r and more accurate movement guidance (guide) for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eve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and activity.

뿐만 아니라, 길 안내 제공부(150)는 이동 가이드 정보를 음성 정보 및 진동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내부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을 도보 이동 중에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도보 이동하는 경우라거나, 일반 사용자가 양손 가득히 짐을 가지고 도보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경로 안내 내지 이동 안내(가이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movement guide information as voice information and vibration information, so that when the user cannot continuously check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on which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while walking, (For example,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walks, or when a general user walks with both hands full,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accurate route guidance or movement guidance (guide).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에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화면 표시 정보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ase in which the inside guide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screen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the locker guid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화면 표시 정보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면 표시 정보에는 일예로 직진, 우회전, 좌회전, 유턴 등과 관련된 화살표 표시, 잔여 거리와 관련된 잔여 거리 표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0 ,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as screen display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shown in FIG. 10 . In this case,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 arrow display related to going straight, a right turn, a left turn, and a U-turn, and a residual distance display related to the remaining d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증강현실(AR) 기반으로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의 길 안내, 이동 경로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를 포함하는 본 장치(100)는 AR 지하철 방향 알림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AR 기반 길 안내 장치, AR 내비게이션, AR 기반 경로 가이드 장치 등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erform a route guidance to a destination (destination storage lock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and guidance of a moving route. The device 100 including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an AR subway direction notific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such as an AR-based road guidance device, an AR navigation system, an AR-based route guidance device, and the like.

길 안내 제공부(150)는 AR 기반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혼잡한 지하철, 불친절한 위치 설명 등의 이유로 지하철 속 미로와 같은 길을 찾기 힘들어 하는 사용자(예시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지하철 이용자 등)에게 있어서, 사용자가 내부 이동 구간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지원)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er 150 provides AR-based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so that users (eg, foreigners, tourists, subway users,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move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길 안내 제공부(150)는 예시적으로 관광이나 이동의 이유로 초행길의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불친절한 설명들(즉, 종래 지하철 역사 내 길 안내 표지판 등)로 인하여 지하철 이용에 불편을 겪는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초행길에 대해서도 길을 헤매는 것 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s illustratively for users who use the subway for the first time for reasons of tourism or movement, users who suffer from inconvenience in using the subway due to unfriendly explanations (ie, road guide signs in conventional subway stations, etc.) It can be provided so that you can mov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getting lost even on the first road.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100)의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해 제공되는 AR 기반 길 찾기 기능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 example of an AR-based wayfinding function provided through the way guide providing unit 150 of the locker guid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1을 참조하면, 일예로 사용자가 현재 특정 역사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사용자 자신이 위치한 내부 공간(즉, 내부 이동 구간에 해당하는 내부 공간) 내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즉,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제공받고자 한다고 하자. 이때, 목적지 위치는 지상 또는 역사 내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목적지 위치가 역사 내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1 , as an exampl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a specific station, and from the position in the internal space (ie, th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to the destination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Let's say you want to be provided with a route (that is,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In this case, the destination location may be a location of a locker located on the ground or in a sta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stination location is the location of the locker located in the station.

즉, 이하에서는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역사 내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길 안내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hereinafter, 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a user desires to be provided with a route (direction information) to a location of a locker located within a specific st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일예로, 사용자는 메인 화면에서 AR 스캔 탭을 선택할 수 있으며, AR 스캔 탭에 대한 사용자 입력(선택)에 응답하여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1)의 이미지 획득 센서(즉, 카메라)를 이미지 촬영/획득이 가능한 활성 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획득 센서가 활성 ON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의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은 일예로 도 11의 (a) 화면과 같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AR scan tab on the main screen,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selection) for the AR scan tab,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image acquisition sensor (i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 . It can be controlled to an active ON state where image taking/acquisition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in a state in which the image acquisition sensor is controlled to be active ON may be the same as the screen (a) of FIG. 11 , for exampl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 위치까지의 경로(내부 길 안내 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해 자신이 위치한 내부 공간에 구비된(존재하는) 길 안내 표지판을 촬영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use the user terminal 1 to take a picture of a road guide sign provided (existing) in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a route to the desired destination location (internal route guide route). there is.

일예로 사용자가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 안내 표지판을 촬영한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간의 비교(매칭)를 통해,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기준 경로 내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과 관련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hotographs a road guide sign as shown in FIG. Through comparison (ma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images pre-stored in , it may be identified whethe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s an image related to an internal road related to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within the reference route.

식별 결과,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가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 것으로 식별되면, 일예로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일예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is an image related to the inner road, the guide control unit 13 provides an example to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image related to the inner road as shown in FIG. 11B as an example. Compensation can be provided as

여기서, 보상(reward)은 정상적인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획득했을 때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리워드로서, 예시적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루비 형태, 혹은 코인, 포인트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안내 제어부(13)는 정상적인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1개 획득될 때마다 보상으로서 1개의 루비를 사용자에게 제공(지급)할 수 있다.Here, the reward is a reward given to the user when a normal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obtained,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rubies, coins, points, etc. there is. For exampl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pay) one ruby to the user as a reward whenever one normal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obtained.

이러한 보상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할 정도로 획득되었을 때(일예로 50개의 루비가 획득되었을 때), 사용자가 길 안내 제공부(150)와 연계된(제휴된) 상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When such a reward is obtained enough to satisfy a preset condition (for example, when 50 rubies are obtained), the user can use it like cash at a store linked (affiliated) with the route guidance provider 150. can

이때, 보상이 이루어진 이미지는,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내부 길과 관련된 정상적인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된 이미지로서, 이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와 함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추가로 저장된 이미지들은, 추후에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획득되었을 때, 해당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정상적인 이미지(정상적인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데이터(비교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pensated image is an image determined to be a normal internal road-related image related to an internal road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which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a database unit (not shown) in connec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here is. In this way, when images additionally 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are later acquired by another user, the standard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a normal image (normal internal road-related image). It can be used as data (comparative data).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정상적인 내부 길 관련 이미지가 획득되었는지에 따라 보상의 제공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안내 제어부(13)는 각각의 지하철 역사 내에 일 영역에 위치한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인식한 경우, 인식된 QR 코드에 응답하여 보상(루비)을 제공할 수 있다.Also,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whether to provide a reward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a normal internal road-related image is obta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 QR code located in an area within each subway st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a reward (ruby)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QR code.

또한,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길 안내 표지판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사용자가 위치한 내부 공간에 속한 내부 길과 관련된 이미지(즉,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에 대한 분석시에는 종래에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경로 생성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과의 비교(매칭)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가 내부 길 관련 이미지인지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image including a road guide sign as shown in (a) of FIG. 11 is acquired,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analyzes the acquired image, and the acquired image is It may be identified whether the image is related to an interior road belonging to the interior space (ie, an image related to an interior road). Here, when analyzing an image, various image recognition algorithms known in the prior art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path generator 12 may identify whether the acquired image is an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rough comparison (matching) with a plurality of images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unit (not shown).

뿐만 아니라, 제2 경로 생성부(12)는 식별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저장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은 앞서 말한 바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할 때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제2 경로 생성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 중 획득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매칭 이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매칭 이미지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 생성부(12)는 매칭 이미지와 연계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dentified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when the image is taken, the second path generating unit 12 based on this is stored in the database A matching image matching the acquired image may be identified among images previously stored in the unit (not show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identified matching image. In this case,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may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matching image as the user's current location.

제2 경로 생성부(12)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의 위치 획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으나, 다른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 간의 매칭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ath generator 12 may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acquisi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 1 as an example, but as another example, through the user terminal 1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between the acquired image and images pre-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과의 매칭 결과, 일예로 제2 경로 생성부(12)가 도 11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인천 1호선 플랫폼'을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것으로 파악하였다고 하자. 이후,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에게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목적지(혹은 도착지) 입력 메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도 11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matching with images pre-stored in the database unit (not shown), as an example, the second path generator 12 sets the 'Dongincheon Line 1 platform'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as shown in FIG. 11(c). Let us assume that Thereafter,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a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put menu for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as shown in FIG. 11( c ).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목적지 입력 메뉴를 일예로 제1 경로 생성부(11)에서 경로(기준 경로)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경로 생성부(11)에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기준 경로)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목적지 입력 메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a destination input menu, for example, when a path (reference path) is not generated by the first path generating unit 11 . In other words, the guide control unit 13 i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route (reference route) to the destination is not generated as information about the origin and destination is not input from the user in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 A destination input menu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이처럼, 화면에 표시된 목적지 입력 메뉴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목적지 정보(도착지 정보)를 일예로 직접 타이핑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제2 경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된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사용자의 현재 위치, 출발지의 위치)로부터 목적지 입력 메뉴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도착지 정보의 위치까지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경로 생성부(11)는 상술한 설명에서 길 안내 제공부(150)에 포함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제1 경로 생성부(11)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As such, in response to the destination input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may input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by directly typing, for example,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is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 response to the destination input menu from the loca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departure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 path can be created as an internal navigation path. According to this, the first route generator 11 has been exemplified only as being included in the route guide providing unit 150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ay be omitted accordingly.

안내 제어부(13)는 제2 경로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반으로, 해당 내부 길 안내 경로를 포함하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 제어부(13)는 생성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일예로 도 11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제어)할 수 있다.The guidance controller 13 may generat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ternal guidance route based on the internal guidance route generated by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 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control) the generated internal road guid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based on augmented reality as shown in FIG. 11( d ) as an example.

안내 제어부(13)는 내부 길 안내 정보의 제공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이동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provide movement guid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inner way guide rou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when providing the inner way guide information.

또한,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도 11의 (c)와 같은 화면에서 목적지 정보(도착지 정보)(즉, 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받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목적지 정보(도착지 정보)(즉, 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표시된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not. As another example,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may be input by the user selecting any one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map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목적지 정보로서 지상 및/또는 지하에 존재하는 어느 한 물품보관함의 위치가 입력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지 정보로는 전철역 정보, 지하상가 정보, 편의시설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의 길 안내 제공부(150)는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해당 목적지의 위치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ocation of any one of the lockers existing on the ground and/or underground is exemplified as being input as destination informa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s train station information, underground shopping mall informa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may be input. That is,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of the device 100 not only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location of the locker, but also guides the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by us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예시적으로, 화면에 표시된 노선도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그에 대한 세부 메뉴로서 지하철 노선도 상에 존재하는 전체 지하철 역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체 지하철 역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지하철 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지하철역이 목적지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route map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the guide controller 13 may provide list information about all subway stations existing on the subway route map as a detailed menu therefor.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subway station from the list information on all subway stations, the selected subway station may be input as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화면에 표시된 지하상가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그에 대한 세부 메뉴로서 해당 내부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상가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상가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상가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상가의 위치가 목적지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the guide control unit 13 provides lis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as a detailed menu for that of the user terminal 1 .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list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shopping malls,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shopping mall may be input as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화면에 표시된 편의시설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안내 제어부(13)는 그에 대한 세부 메뉴로서 해당 내부 공간(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내부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편의시설들(예를 들어, 지하철 역 내 화장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편의점, 안내데스크, 교통카드 충전소, 물품보관함 등)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편의시설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상가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편의시설의 위치가 목적지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selection of the convenience facility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is made, the guide control unit 13 provides a detailed menu for the plural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 For example, list information about a toilet in a subway station, an escalator, an elevator, a convenience store, an information desk, a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 an article locker, etc.)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list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convenience facility may be input as destination information.

예시적으로, 복수의 편의시설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일예로 지하철 역 내 화장실이 목적지 정보로 입력된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 정보인 지하철 역 내 화장실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안내 제어부(13)는 이러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기초하여 생성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AR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a toilet in a subway station is input as destination information among lis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is a destin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e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toilet in the subway station, which is information, can be created as an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The guidance controller 13 may provide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ternal guidance route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based on AR.

다른 예로, 사용자가 복수의 편의시설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교통카드 충전소(이는, 사용자가 위치한 내부 공간인 지하철 역사 내에 존재하는 교통카드 충전소를 의미함)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교통카드 충전소가 목적지 정보로 입력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즉,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 정보인 지하철 역 내 교통카드 충전소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안내 제어부(13)는 이러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기초하여 생성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AR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the user selects a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 (this means a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 existing in a subway station that is an internal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mong lis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selected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 is the destination Let's say it's entered a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route generator 12 guides the route from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hat is,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 in the subway station, which i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path can be created. The guidance controller 13 may provide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ternal guidance route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based on AR.

이때, 안내 제어부(13)는 목적지 정보로서 일예로 편의시설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 상에 선택된 편의시설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예로 해당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convenient facility is selected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guide control unit 13 plac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ient facility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venient facility on the user terminal 1 as shown in FIG. can be displayed together.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2 경로 생성부(12)는 내부 길 관련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내부 이동 구간에 속하는 출구들 중 목적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출구의 위치까지의 경로(최단 경로)를 내부 길 안내 경로로 생성하고,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기반으로 한 목적지까지의(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의)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2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th (shortest route)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related image to the location of the closest exit from the destination location among exits belonging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 may be generated as an internal guidance route, and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to a destination locker) based on the generated internal guidance rout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

이때, 내부 길 안내 정보는 예상 도보 이동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예상 도보 이동 시간은 길 안내 제공부(150)에 포함된 산출부(미도시), 도보 데이터 DB(미도시), 지형지물 DB(미도시) 및 분석부(미도시)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n estimated walking time. At this time, the estimated walking time is to b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the feature DB (not shown) and the analysis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 can

즉,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산출부(미도시), 도보 데이터 DB(미도시), 지형지물 DB(미도시) 및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include a calculator (not shown), a walking data DB (not shown), a feature DB (not shown), and an analysis unit (not shown). .

산출부(미도시)는 안내 제어부(13)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즉, 제2 경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부(미도시)는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도보 센싱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획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or (not shown) calculates the walking travel time ( predicted walking travel time). In this case,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r's walking sensing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이를 위해, 분석부(미도시)는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nalysis unit (not shown) may analyze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using the walking sensing data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여기서, 도보 센싱 데이터는, 사용자가 도보 이동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도보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센싱값, 측정값)를 의미할 수 있다. 도보센서는 사용자의 도보(걸음)와 관련된 데이터를 센싱(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일예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보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walking sensing data may refer to data (sensing values, measured values) sensed through a walking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 as the user walks. The walk sensor i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measuring) data related to the user's walking (step),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senso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dometer, etc. may be included.

또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도보 센싱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도보센서를 이용해 센싱(측정, 획득)되는 데이터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도보(걸음) 수, 보폭, 도보 속도(걷는 속도, 보속), 도보 이동거리 등을 측정하거나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도보 분석 기술들(즉, 종래에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도보 분석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lk sensing data is exemplified as data sensed (measured, acquired) using a walk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teps (steps) of the user; Various walking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measure or calculate the stride length, walking speed (walking speed, gait), walking distance, etc. (ie, various walking analysis techniques known in the prior art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또한, 도보 특성 정보는,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기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를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된 지형지물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분석부(미도시)는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도보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분석부(미도시)는 도보 센싱 데이터와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된 지형지물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walking sensing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in association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That is, the analysis unit (not shown) may acquir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using the walking sensing data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In particular, the analysis unit (not shown) may acquire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by performing analysis by linking the walking sensing data and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도보 특성 정보는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에 관한 정보로서, 일예로 도보 속도(보속)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보 특성 정보는 단순히 거리에 따른 속도가 아닌,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속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walking speed (walking spe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refer to speed information in which topographic informa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not simply speed according to distance.

도보 데이터 DB(미도시)는 사용자가 도보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도보센서를 통해 센싱(측정)되는 도보 센싱 데이터를 도보센서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는 도보 센싱 데이터가 누적하여 저장될 수 있다.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can obtain and store the walking sensing data sensed (measured) through the walk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 possessed by the user from the walk sensor when the user moves on foot. there is.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walking sensing data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지형지물 DB(미도시)는 지형지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형지물은 땅의 생김새(모양)와 땅 위에 있는 모든 물체를 지칭할 수 있다.The feature DB (not shown) may store feature information. A landmark can refer to the appearance (shape) of the land and all objects on the ground.

지형지물 정보에는 특정 구간에 대한 지형의 경사 정보(경사도)가 포함될 수 있다. 경사 정보는 경사도가 0값을 갖는 평지인지, 경사도 양의 값(+x°)을 갖는 오르막 지형인지, 경사도가 마이너스 값(-x°)을 갖는 내리막 지형인지, 내부 길이 움푹 파여있는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형지물 정보에는 특정 구간에 대한 지물의 정보로서, 해당 특정 구간이 에스컬레이터 구간인지, 엘리베이터 영역인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eature information may include slope information (slope) of the terrain for a specific section. The slop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whether it is a flat land with a slope of 0, an uphill terrain with a positive slope (+x°), a downhill terrain with a negative slope (-x°), and whether the inner length is hollow.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featur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specific section is an escalator section or an elevator area as feature information for a specific section.

이때,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되는 지형지물 정보는 종래에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지형지물 측량 기술을 이용해 획득된 정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using various feature surveying techniques that are known in the prior art or developed in the fu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분석부(미도시)는 이러한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와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된 지형지물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사용자의 도보 특성에 관한 정보(즉, 도보 특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분석부(미도시)는 도보 센싱 데이터와 지형지물 정보를 연계한 분석을 통해,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not shown) links the walking sensing data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and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with each other,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s (that is, walking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an be analyzed. That is, the analysis unit (not shown) may acquir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by linking the walking sensing data and the topographical feature information.

예시적으로,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에는, 분석부(미도시)에 의하여 분석된 정보로서, 경사도가 +60°인 100m의 구간을 사용자가 걸을 때의 보속은 1.66m/s, 경사도가 +20°인 100m의 구간을 사용자가 걸을 때의 보속은 1.79m/s, 경사도가 0°인 평지인 100m의 구간을 사용자가 걸을 때의 보속은 2.5m/s, 경사도가 60°로 형성된 100m 구간의 계단을 사용자가 걸을 때의 보속은 1.55m/s 등과 같은 분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llustratively, as information analyzed by an analysis unit (not shown) in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the walking speed when the user walks in a section of 100m with an inclination of +60° is 1.66m/ s, when the user walks a section of 100m with an inclination of +20°, the stride rate is 1.79m/s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1.55 m/s may be included in the stride rate when the user walks the stairs of 100 m section formed in °.

분석부(미도시)는 일예로 도보 센싱 데이터와 지형지물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즉,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보 센싱 데이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보다 정확한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획득(즉, 지형지물 정보의 각종 유형을 고려하여, 각 지형지물 유형에 최적화된 정확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not shown) can perform analysis based on the deep learning model (ie, learning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by linking the walking sensing data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nd through this, over time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walking sensing data increases, more accurate feature information is obtained, and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acquired (that is, accurat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feature type by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featur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딥러닝 모델은 일예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model may refer to, for exampl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model, a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odel, a neural network mode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neurofuzzy mode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ep learning model is exemplarily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neural network, etc. that have been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can be applied.

산출부(미도시)는 분석부(미도시)에 의한 분석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즉, 지형지물 정보가 고려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출발지 정보의 위치로부터 목적지 정보의 위치까지의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미도시)에 의해 산출되는 도보 이동 시간은 예측 도보 이동 시간, 도보 소요 시간, 예상 도보 이동(소요) 시간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onsiders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alysis by the analysis unit (not shown) (that is,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which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is considered), from the location of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The walking tim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a predicted walking time, a required walking time, an estimated walking (required) time, and the like.

안내 제어부(13)에서 제공되는 내부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산출부(미도시)는 지형지물 DB(미도시)로부터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를 식별하고, 분석부(미도시)에 의하여 분석(획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와 식별된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predicted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ternal guidance path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the calculator (not shown)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calculation from the feature DB (not shown). Identifies information on features on the rout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and calculates the estimated walking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alyzed (obtained) by the analysis unit (not shown) and the identified feature information on the route can be calculated.

여기서,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되는 지형지물 정보는, 사용자의 도보 이동시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1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지형의 경사도(평지, 오르막, 내리막), 계단,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factor affecting the gait speed when the user moves on foo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elemen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slope of the terrain (flat, uphill, downhill), stairs, escalators, and elevators.

본원의 일예에서는 사용자의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1 요소와 관련된 정보로서, 지형의 경사도, 계단,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보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지형지물 관련 요소들이 고려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factor affecting the user's pace, at least one of the slope of the terrain, stairs, elevators, and escalators has been exemplifi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s pace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terrain-related factors that can influence can be considered.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도보 이동시의 속도(즉, 보속)는 해당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이 평지인지, 오르막길인지, 내리막길인지, 혹은 계단인지, 에스컬레이터인지, 엘리베이터인지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보속 차이는 사용자마다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s walking speed (ie, walking speed) may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moving on a flat ground, an uphill road, a downhill road, or a staircase, an escalator, an elevator, etc. The pacing rate may differ from user to user.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특정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개인의 도보 특성을 고려하는 것 없이 단지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 획일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하였다. 예시적으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특정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100m이면 1분, 200m이면 2분 등과 같이 거리와 비례하게 획일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하였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providing the walking time for a specific route, a standardized walking time determined only according to the distance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walking characteristics was provided. Illustratively,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uniform walking time for a specific route is provid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such as 1 minute for 100 m, 2 minutes for 200 m, and the like.

이에 반해, 산출부(미도시)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에 대하여 분석부(미도시)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사용자 개인)의 도보 특성 정보를 적용시킴으로써, 산출되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으로서, 해당 내부 길 안내 경로의 지형지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도보 특성에 맞춤화된 사용자 개인 맞춤형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applies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user individual)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not shown) to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road guide path, which is calculated As the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ternal guidance rout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ser's personalized walking time customized to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s of the corresponding internal guidance route.

예를 들어, 산출부(미도시)에 의한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의 식별 결과, 식별된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에 대응하는 내부 길 안내 경로가, 경사도가 +20°인 200m에 해당하는 제1 구간, 내려가는 계단이 존재하는 100m에 해당하는 제2 구간, 및 평지인 100m에 해당하는 제3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자.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route by the calculator (not shown), the internal route guidance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feature information on the route is a first section corresponding to 200m with an inclination of +20° , a second section corresponding to 100m in which there are stairs going down, and a third section corresponding to 100m, which is flat ground.

이러한 경우, 산출부(미도시)는 분석부(미도시)에 의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내부 길 안내 경로에 포함된 각 구간(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구간별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구간별 도보 이동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즉, 사용자의 도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예측 도보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onsiders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not shown), and applies the information to each section (each of the first section to the third sec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lking time for each section customized to the user, and by summing the calculated walking time for each section, finally the walking time for the internal guidance route (that is, the estimated walking time based on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s) required time) can be calculated.

산출부(미도시)는 제1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 경사도의 절대값이 큰 값을 가질수록(즉, 오르막 경사가 급할수록, 내리막 경사가 급할수록), 도보 이동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예측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보다 큰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산출부(미도시)에 의해 산출되는 도보 이동 시간은, 일예로 경로상 지형지물 정보에 포함된 제1 요소와 관련된 정보에 있어서 경사도의 절대값이 클수록 큰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The calculator (not shown) calculates the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factor,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has a large value (that is, the steeper the uphill slope, the steeper the downhill slope), By predicting that the walking travel time takes longer, the walking travel time can be calculated as a larger value. In other words, the walking travel tim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be calculated as, for example, a larger value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element included in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route increases.

또한, 산출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기 획득된 착용품 정보를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estimated walking time for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wearables information previously obtained from the user.

여기서, 착용품 정보는 사용자가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시 착용 예정이거나 소지 예정인 착용품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산출부(미도시)는 도보 특성 정보,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 및 착용품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wearable articl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about a wearable article that the user is going to wear or possess when the user walks on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In this case,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estimated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eatures on the route for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and the information on the wearable items.

착용품 정보는 일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품 정보는 사용자가 착용한 착용품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착용품 정보 제공 유닛(주변 기기)과 길 안내 제공부(150)가 서로 간에 연동됨으로써, 착용품 정보 제공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착용품 정보 제공 유닛은 일예로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이미지 획득 센서(즉, 카메라)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earing article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earable article information is provided by interlocking the wearable articl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eripheral devic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earable article worn by the user and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with each other. It may b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Here, the wearing articl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be, for example, an image acquisition sensor (ie,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의 이미지 획득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자신이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착용품(이는 소지품도 포함)을 촬영하여 착용품 관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acquire a wearable article related image by photographing a wearable item (including belongings) that the user owns or is wearing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 1 .

산출부(미도시)는, 착용품 관련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착용품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착용품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식별된 착용품에 관한 정보(즉, 착용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착용품 정보는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calculator (not shown) may identify the wearable article included in the image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wearable article-related image, and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wearable article by performing a search for the identified wearable article (that is, information on wearing items)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wearabl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element.

여기서, 착용품 정보는, 사용자의 도보 이동시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짐 소지 여부, 짐의 유형,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유형, 및 사용자의 옷차림 유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wearable artic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factor affecting the pace when the user walk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elemen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whether the user has luggage, the type of luggage, the type of shoes worn by the user, and the type of clothing worn by the user.

산출부(미도시)는 일예로 인터넷 등과의 연계를 통해 이미지 분석으로 식별된 착용품과 동일한 착용품을 인터넷에서 자동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한 착용품에 관한 정보(즉, 착용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alculator (not shown) may automatically search the Internet for the same wearable article as the wearable article identified by image analysis through linkage with the Internet, for example,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about the wearable article possessed or worn by the user ( That is, information on wearing items) can be obtained.

일예로, 이미지 획득 센서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내에 사용자가 신은 신발로서 하이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산출부(미도시)는 획득된 착용품 관련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미지에 포함된 착용품으로서 하이힐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산출부(미도시)는 식별된 이미지 내 하이힐과 매칭되는 하이힐(즉, 매칭되는 동일 착용품)을 인터넷을 이용해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검색 결과를 기초로, 산출부(미도시)는 식별된 이미지 내 포함된 하이힐에 관한 정보(즉, 착용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하이힐에 관한 정보에는 일예로 하이힐의 굽 높이, 무게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high heels are included as shoes worn by the user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acquisition sensor.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identify the high heel as a wearable article included in the image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acquired wearable article-related image. Thereafter,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search for high heels matching the high heels in the identified image (ie, the same wearing item that matches) using the Internet. Based on such an Internet search result,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high heels included in the identified image (ie, information on wearing item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high heel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heel height and weight of the high heel.

이때, 이미지 획득 센서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은, 종래에 기 존재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미지 내 객체를 식별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various image analysis algorithms (various image analysis algorithms for identifying objects in an image) that are conventionally existing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image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sensor.

산출부(미도시)는 착용품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도보 특성 정보와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를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산출부(미도시)는 착용품 정보가 획득된 경우, 도보 특성 정보와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 정보를 더 고려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wearable information is not obtained,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ner path guidance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path.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able information is obtained,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walking moving time for the inner route guidance route by further considering the wearable information as well as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features on the route.

길 안내 제공부(150)에서는 보다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확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보 특성 정보와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n accurate walking time that is more customized to the user, it may be preferable to calculate the walking time by considering th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features on the route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the wearable items in the way guide providing unit 150. there is.

여기서, 착용품 정보는 사용자의 도보 이동시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짐 소지 여부, 짐의 유형,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유형, 및 사용자의 옷차림 유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wearab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factor affecting the pace when the user walk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elemen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whether the user has luggage, the type of luggage, the type of shoes worn by the user, and the type of clothing worn by the user.

이때, 짐(소유 물품)의 유형에는 짐의 무게, 짐의 크기 및 짐의 형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짐의 형태라 함은 일예로 짐이 가방인 경우, 끄는 형태의 바퀴 달린 캐리어인지, 사용자가 등에 멜 수 있는 가방인지, 한쪽 어깨로 메는 가방인지, 단순히 손잡이만 있어 손으로 들어야 하는 가방인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짐의 형태에는 박스 상자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짐이라는 용어와 물품이란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ype of luggage (owned items) may include the weight of the luggage, the size of the luggage, the shape of the luggage, and the like. Here, the shape of the luggage means, for example, if the luggage is a bag, whether it is a wheeled carrier of a towable type, a bag that the user can carry on his or her back, a bag to be carried over one shoulder, or a bag that has only a handle and must be carried by hand. can mean etc. Also, the shape of the luggage may include whether it is a box box or the lik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luggage and articl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유형에는 신발의 종류, 신발의 굽 높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신발의 종류로는 운동화인지, 하이힐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ype of shoe worn by the user may include a type of shoe, a heel height of the shoe, and the like. Here, the type of sho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whether it is sneakers or high heels.

사용자의 옷차림 유형에는 치마인지, 바지인지, 셔츠인지, 맨투맨 티인지, 정장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s attire typ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whether it is a skirt, pants, a shirt, a sweatshirt, or a suit.

본원의 일예에서는, 사용자의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로서, 짐 소지 여부, 짐의 유형,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유형, 및 사용자의 옷차림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보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소지품 내지 착용품 등이 고려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factor affecting the user's pace, at least one of whether the user has luggage, the type of luggage, the type of shoes worn by the user, and the type of clothing of the user is considered on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belongings or wearables that may affect the user's perseverance may be considered.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도보 이동의 수행시 상대적으로 무거운 짐을 가지고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보속은 짐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의 보속(기본 보속)과 대비하여 느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보 이동시, 7cm의 굽을 가지는 하이힐을 신는 경우에는 운동화를 신고 있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속이 느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보 이동시, 7cm의 굽을 가지는 하이힐을 신는 경우에는 3cm의 굽을 가지는 하이힐을 신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속이 느려질 수 있다.Illustratively, if the user intends to move with a relatively heavy load when performing walking, the user's stride rate may be slower than that of the user without the load (basic stride rate). In addition, when the user walks, when he wears high heels having a heel of 7 cm, the pace may be slower than when he wears sneakers. Also, when the user walks, when he wears high heels having a heel of 7 cm, the pace may be slower than when he wears high heels having a heel of 3 cm.

이처럼, 사용자의 도보 이동시의 속도(즉, 보속)는 해당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착용품 정보의 유형에 따라(구체적으로,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보속 차이는 사용자마다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산출부(미도시)는 이러한 소지품 정보의 유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s walking speed (i.e., pac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wearable information the user has or is wearing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element), This gait difference may appear differently for each user. Accordingly, the calculator (not shown) may calculate the predicted walking time customized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information about belongings.

본원에서 착용품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모자, 의류, 바지, 신발, 액세서리 등과 같은 착용품뿐만 아니라 캐리어, 박스, 쇼핑백 등과 같은 소지품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on wearables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wearable items such as hats, clothing, pants, shoes, accessories, etc. worn on the user's body, but also information about belongings such as carriers, boxes, and shopping bags. Do.

산출부(미도시)는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 짐의 무게 값 및 크기 값이 큰 값을 가질수록, 도보 이동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예측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보다 큰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산출부(미도시)에 의해 산출되는 도보 이동 시간은, 일예로 착용품 정보에 포함된 제2 요소와 관련된 정보에 있어서 짐의 무게 값 및 크기 값이 큰 값을 가질수록 큰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When calculating the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factor, the calculator (not shown) predicts that the walking time will take longer as the weight and size of the load are larger. Time can be calculated as a larger value. In other words, the walking travel tim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not shown) is, for example, a larger value as the weight value and size value of the loa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element included in the wearables information have larger values. can be calculated.

이처럼, 산출부(미도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목적지)까지의 특정 경로(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획일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들과는 달리,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할 때 보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즉, 지형지물 관련 제1 요소들, 착용품 관련 제2 요소들)과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개개인에 최적으로 맞춤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lculator (not shown) provides the walking travel time for a specific rout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destination), unlike conventional techniques that generally provide a standardized walking travel time. In contrast, when the user moves on foot, it is optimal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gait speed (that is, first factors related to a feature, second factors related to wearables)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s to calculate the customized walking travel time.

안내 제어부(13)는 산출부(미도시)에서 산출된 예측 도보 이동 시간과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안내 제어부(13)는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control unit 13 may display the predicted walking travel time and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not show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In other words, the guidanc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provide) to display internal road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dicted walking tim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

즉, 화면에 표시되는 내부 길 안내 정보에는, 내부 길 안내 경로, 및 해당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을 길 안내 제공부(150)가 예측한 예측 도보 이동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길 안내 정보에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거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internal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edicted walking travel time predicted by the road guidance providing unit 150 for the internal guidance route and the time required when the user moves the corresponding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on foo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internal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navigation route.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소요 시간(예상 도보 이동 시간)을 개인화된 걸음 정보(즉, 도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도보의 소요시간(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er 150 may calculate the required walking time (expected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based on personalized step information (ie,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optimized time required for walking (walking time).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보행자)의 걸음 데이터(도보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도보 데이터 DB(미도시)에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길 안내 제공부(150)는 획일적인 소요 시간이 아닌 사용자 개인의 누적 걸음 데이터(누적 도보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정확한 사용자 개인별 예상 도보 이동 시간(예상 도보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accumulate step data (walking sensing data) of a user (a pedestrian) and store it in a walking data DB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alyzed using the walking sensing data stored in the walking data DB (not show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user's individual cumulative step data (accumulated walking sensing), not a uniform required time. dat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provide an accurate estimated walking travel time (estimated walking duration) for each individual user.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경로 상 지형지물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된 지형지물 정보를 이용해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 상의 지형지물을 파악하고, 파악된 지형지물을 고려해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calculate the walking time by further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n features on the route. That is,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determine the features on the internal road guide path generated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feature DB (not shown), and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ed features. there is.

즉,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형지물 DB(미도시)에 저장된 지형지물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 길 안내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보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제1 요소들)을 파악한 후, 파악된 요소들에 대하여 분석부(미도시)에 의해 기 분석된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경로 상의 지형지물 정보에 의한 영향(즉, 제1 요소들에 의한 영향)이 고려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uses the top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topographical feature DB (not shown) to identify factors (first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gait existing on the internal road guide route. After that, by applying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eviously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not shown) to the identified elements, the influence (that is, the influence of the first elements) on the route is consider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customized to the user.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도보 특성 정보와 지형지물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한 착용품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품 정보에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거나 소지하고 있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짐, 물건, 옷차림, 착용하고 있는 신발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예상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도보 이동 시간으로서, 사용자 도보에 맞춤화된 예측 도보 실소요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opographical feature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on items worn or possessed by the user. Here, the wearable goods information relates to articles worn or possessed by the user,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luggage, articles, clothes, shoes being worn, and the like.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the estimated walking travel tim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customized to the user. That is,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the estimated actual walking time customized to the user's walking as the walking travel time for the internal route guidance route.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 개인의 걸음 속도(도보 속도, 보속)를 고려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 제1 매칭 물품보관함)까지의 도보 이동 시간(도보 소요 시간)을 애플리케이션의 유저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er 150 calculates the walking travel time (walking tim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first matching lock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individual walking speed (walking speed, walking speed), the user of the application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terface (UI, User Interface).

종래의 경로 안내 기술에서는 단순히 출발지와 목적지까지 획일화된 도보 이동 시간(도보 소요 시간)을 제공하였다. 반면, 본 장치(100) 내 길 안내 제공부(150)는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걸음 데이터(도보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저장된 도보 센싱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된 도보 특성 정보, 사용자가 요청한 경로(출발지로부터 목적지(혹은 도착지)까지의 경로) 상에서 지형지물에 대한 환경, 및 주변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 가능한 사용자의 착용품 정보(일예로, 짐, 물건, 옷차림, 신발 등)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반영)하여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route guidance technology, a uniform walking travel time (walking time required)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is simply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providing the walking travel time in the device 100,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stores the user's step data (walking sensing data), and then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alyzed using the stored walking sensing data; Information on the user's wearables (for example, luggage, things, clothes, shoes, etc.) can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reflected) together to calculate the walking travel time.

다시 말해, 길 안내 제공부(150)는, 개인화된 도보 특성 정보(개인화된 사용자 걸음 정보)와 더불어 보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상의 지형지물(오르막, 내리막, 교차로, 육교, 지하도 등)을 더 고려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도착지)(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예상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더하여, 길 안내 제공부(150)는 개인화된 도보 특성 정보, 지형지물 정보뿐만 아니라 보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용자의 착용품 정보(즉,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짐, 물건 또는 사용자의 옷차림, 착용하고 있는 신발 등)를 더 고려함으로써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예상 도보 이동 시간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착용품 정보를 일예로 주변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하거나 혹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음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along with the personalized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personalized user step information), features on the path that can affect the pace (uphill, downhill, intersection, overpass, underpass, etc.) In further consider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stimated walking tim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the destinatio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In addi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personalized walk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user's wearables that may affect gait (that is, the user's luggage, things, or the user's attire, wearing shoes, etc.),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calculate the estimated walking tim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Here,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earables, for example, by interworking with a peripheral device or by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이러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획일화된 이동 시간이 아닌, 사용자 개개인에 맞추어 예상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길 안내 제공부(150)는 각각의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개인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산출(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n estimated walking time according to each user, rather than a standardized moving time. That is,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calculate (predict) and provide an accurate personalized walking time suitable for each user's situation.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해 산출되어 제공되는 도보 이동 시간은, 종래에 제공되는 도보 이동 시간을 사용자 개개인의 도보 특성, 지형지물 정보 및 착용품 정보 등을 고려해 보정함으로써 재산출된 도보 이동 시간이라 할 수 있다.The walking travel time calculated and provided through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is recalculated by correcting the conventionally provided walking time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walking characteristics,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wearables information, etc. of each user. it can be said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길 안내 제공부(150)는 AR 기술을 기반으로 복잡한 지하 길 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는 평소에 안내도가 필요했던 실내의 길을 간편하게 안내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남녀노소 사용 가능하며, 주거 지역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신기술(AR 등)의 개발로 인해 이후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 complex underground route finding function based on AR technology.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 guide map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eive a guide on an indoor route. In addi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can be used by people of all ages,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a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has a high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상뿐만 아니라 지하의 길을 찾아주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하도의 층수, 지도 및 가게(상점)의 위치까지 상세히 표시할 수 있다.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 navigation function for finding a road on the ground as well as underground.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display the number of floors of the underpass, a map, and even the location of a store (shop) in detail.

또한, 종래에 지하철 역사 내에는 단순히 a방면, b행 등과 같이 표기가 단순하고 모호하게 되어 있었던 반면, 길 안내 제공부(150)는 일예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방향의 다음 역을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ubway station, while the notation is simple and vague, such as the direction a, the line b, etc.,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for example, the next sta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 )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AR 서비스를 기반으로 내부 공간에 대한 길 안내가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각 역의 출구부터 지하철 승차장까지의 상세 경로를 AR 기반으로 안내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는 각 역의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각 역의 루비를 획득하고, 획득한 루비를 길 안내 제공부(150)와 연계된 상점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can guide the internal space based on the AR service, for example, it can guide the detailed route from the exit of each station to the subway station based on AR.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obtain the ruby of each station through recognition of the QR code of each station, and may provide the obtained ruby to be used in a store associated with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목적지(일예로 지하철 노선 상에서 선택된 특정 지하철역에 해당하는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내지 내부 공간 내 편의시설까지의 길 안내를 AR 기반으로 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an intuitive and easy-to-understand form based on AR-based route guidance to a destination (for example,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bway station selected on a subway line) or a route guidance to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internal space.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AR 기반으로 길 안내를 제공함에 있어서,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예측 도보 이동 시간으로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도보 이동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길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road guidance based on AR, the road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a customized walking time to the user as a predicted walking time for an internal road guidance route, thereby providing more accurate guidance to the user. can be provided.

길 안내 제공부(150)는 내부 이동 구간으로서 예시적으로 지하철역 내부에 관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길 안내 제공부(150)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지하철역 내부의 출구, 상점, 층별 안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f a subway station as an example of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n exit inside a subway station, a store, and a guide for each floor using augmented reality.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하철역 내의 화장실, 상점, 교통카드 충전소, 상황실, 물품보관함 등 지하철역 내의 다양한 편의시설까지의 경로(이동 경로)를 AR 기반으로 각 목적지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outes (movement routes) to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subway station, such as toilets, shops, transportation card charging stations, situation rooms, and locker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each destination based on AR. .

길 안내 제공부(150)는 특정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하여 특정 지하철역과 연결되는 외부 건물(예를 들어, 대형 쇼핑몰, 병원 등)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 정보와 관련하여, 해당 외부 건물까지의 개찰구, 출구, 외부 건물의 층별 안내 등 지하철역과 연결된 외부 건물에 대한 종합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내부 길 안내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external building (eg, a large shopping mall, hospital, etc.) connected to a specific subway station for a specific internal movement sec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is configured with respect to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a specific internal movement sec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building connected to the subway station, such as ticket gates, exits, and floor-by-floor guidance to the external building, as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특정 지하철역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하차한 지하철역과 연계된 편의시설 또는 외부 건물 등을 포함하는 목적지 목록을 사용자 단말(1)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목적지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목적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길 안내 제공부(150)의 안내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내부 길 안내 경로)를 포함하는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 목록이라 함은 상술한 복수의 선택 메뉴(일예로, 노선도 선택 메뉴, 지하상가 선택 메뉴, 편의시설 선택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선택 메뉴와 관련된 리스트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gotten off at a specific subway sta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 list of destinations including convenience facilities or external buildings associated with the subway station to which the user got off on the user terminal 1 . there is. At this time, when a user input (selection input) is made for a destination for any one of the provided destination lists, the guide control unit 13 of the route guide providing unit 150 control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selected by the user (internal route guide route). )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 including the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Here, the destination list may refer to list information related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eg, route map selection menu, underground shopping mall selection menu, convenience facility selection menu),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1)에 저장되거나 어플을 통해 확보한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개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화 및 목적지에 따라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uses personalized data for each user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 or secured through an application, and provides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personalization and destination. can be provided as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의 참여 정도(참여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내/외에서 사용 가능한 리워드(루비, 코인 등)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길 안내 제공부(150)와 연계된 어플에 대한 사용을 사용자에게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ewards (ruby, coin, etc.) that can be used inside and outside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evel of participation (particip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linked with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150 It can induce the user to use the applied application.

길 안내 제공부(150)는 지하철역 내의 다양한 편의시설의 경로를 각 목적지에 따라 증강현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목적지의 위치가 지상에 존재하는 외부 건물에 해당하는 위치인 경우, 내부 이동 구간에서의 해당 외부 건물까지의 개찰구(혹은 출구) 관련 정보와 외부 건물의 층별 안내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지하철 역과 연관된 외부 건물에 대한 종합 정보를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outes of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subway station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each destination.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building existing on the ground,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cket gate (or exit)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building in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and information for each floor of the external buil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an external building associated with a subway station including road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또한, 길 안내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1)에 저장되거나 어플을 통해 확보한 개인화 데이터를 이용해 목적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증강현실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길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more effective route guidance b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destination using personalized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 or secured through an application.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 이동함에 있어서 다소 큰 규모로 복잡하고 혼잡한 지하철 역사 내부나 대형 건물의 실내(내부)를 경유하여 지나가게 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내부 공간에서 길을 헤매지 않고 목적지까지(혹은 목적지를 향한 출구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동을 지원(안내, 가이드, 인도)할 수 있다.The device 100 allows the user to move to the destinatio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locker) on a rather large scale, and even when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a complex and crowded subway station or the interior (inside) of a large building, such an interior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user's movement (guide, guide, guide) so that he or she can accurately move to the destination (or to the exit towards the destination) without getting lost in space.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을 안내하고 물품보관함 안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100 may guide the locker and provide a service related to the guide to the locker.

본 장치(100)는 기존의 물품보관함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종래 물품보관함을 이용하여 느꼈던 단점들을 보완하여, 일예로 실시간으로 이용시간, 요금 등의 정보 및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실시간 이용시간, 요금, 위치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하고 다양한 물품보관함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solving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existing lockers. The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usage time and charge in real time and the location of the locker in real time by supplementing the disadvantages felt by using the conventional locker. The device 100 may provide services such as real-time usage time, rate, location guidance,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and receive a variety of locker related services.

본 장치(100)는 이동이 잦은 관광객,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관광 산업 발전에 도움될 수 있고 이용객에게 쾌적한 이동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ourists who move frequently, user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etc., can help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can provide a comfortable movement system to users.

본 장치(100)는 위치 파악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주변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탐색(검색)하고, 이후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물품보관함 혹은 사용자가 소유한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함(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100)는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안내할 수 있어, 효과적인 경로 안내, 길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searches (searches) the location of a nearby locker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user by using the location service function, and thereafter, the actual storage of a locker existing in a short distance or belonging to the user is performed. It can guide you to the exact location of the available lockers (storable matching lock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device 100 can guide the path to the location of the storage-capable matching lock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so that effective path guidance and road guidance can be provided.

또한, 본 장치(100)는 간편 예약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여, 종래의 물품보관함의 이용과는 다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may provide a simple reservation service function to provide a reservation service different from the use of a conventional locker.

또한, 본 장치(100)는 이용자 현황 보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본 장치(100)는 이용자 현황 보고 서비스 기능으로서, 복수의 물품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이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현황 보고 서비스 기능(즉, 이용 현황 정보)의 제공을 통해, 본 장치(100)는 특정 물품보관함의 이용자 수, 다른 고객의 사용 현황, 회전율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이를 통해 실시간 이용 실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status report service function. In other words, as a user status reporting service func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usag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ckers. By providing such a user status reporting service function (ie, usage status informa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users of a specific locker, usage status of other customers, turnov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al-time usage status through this.

또한, 본 장치(100)는 간편 결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편 결제 서비스와 선 연장 결제 기능의 제공을 통해 물품을 회수할 때 거치는 절차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으며, 물품 회수시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simple payment service function, and by providing the simple payment service and a pre-extension payment function, a procedure to go through when recovering an item may be reduced, and the hassle of collecting the item may be reduced. can reduce

본 장치(100)는 종래의 물품보관함 서비스 기술이 갖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100)는 종래의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알기가 힘들고, 위치를 안다고 하더라도 해당 물품보관함에 얼만큼 슬롯이 비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답답하던 문제, 슬롯이 비어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가진 소유 물품의 크기가 빈 슬롯의 크기보다 커 해당 빈 슬롯에 소유 물품을 보관할 수 없는 문제, 물품보관함의 이용시간의 초과시 연체로가 비싸던 문제, 슬롯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소유한 소유 물품의 크기, 개수, 유형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슬롯에 대하여 물품 보관이 불가능했던 문제, 물품을 넣고 한번 잠금하고 나면 슬롯의 문을 다시 열 수 없었던 문제(슬롯의 문을 열었다가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 추가 결제 비용이 소요되었던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can effectively solv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locker service technology. Specifically, in the device 100, it is difficult to know the location of the conventional locker, and even if the location is known, it is a frustrating problem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know information about how many slots are empty in the corresponding locker, even if the slot is empty. The size of the item own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mpty slot, so the item cannot be stored in the empty slot.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size, number, and type of items owned, it was impossible to store the items in the slot, and the problem that the door of the slot could not be opened again after inserting and locking the item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lot again In this case, the problem of additional payment costs) can be effectively solved.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이 설치된 건물 혹은 장소마다, 어느 위치에 물품보관함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 해당 물품보관함에 현재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즉, 빈 슬롯이 어느정도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 빈 슬롯 중 특히나 사용자가 소지한 소유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슬롯(보관 가능 슬롯)이 어느 정도(일예로 몇 개)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torage box for each building or place in which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and information on how much of the storage box is currently available (that is, how many empty slots there are).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how many (eg, how many) slots (storable slots) are available for storing items owned by the user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또한, 본 장치(100)는 상술한 잠금 해제 선택 요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물품보관함 내 특정 슬롯에 대하여 한번 결제를 하고 슬롯의 문을 잠금 한 이후에, 슬롯의 문을 필요할 때마다 추가 비용 등의 필요 없이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unlock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device 100 pays once for a specific slot in the locker and locks the door of the slot. You can make it open without needing it.

또한, 본 장치(100)는 지하철 역사 뿐만 아니라, 지상, 백화점 등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각종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이용시간에 따라 요금이 차등적으로 지불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storage boxes that can store items such as on the ground and in department stores as well as subway stations. Also, the device 100 may differentially pay a fee according to usage time, for example.

종래에는 물품보관함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든 채로 여기저기 헤매는 경우가 빈번했던 반면, 본 장치(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정확한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locker, so the user frequently wanders around with a heavy load, but the present device 100 can solve this problem and guide the exact location of the locker.

또한, 종래에는 물품보관함이 만실일 경우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장치(100)는 특정 물품보관함의 이용현황과 관련하여, 특정 물품보관함의 이용자 수, 다른 고객의 사용 현황, 회전율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해당 특정 물품보관함에 대한 예상 퍼센테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 특정 물품보관함이 만실일 경우 사용자가 허탕을 치고 돌아가는 경우(즉, 다른 물품보관함을 찾는 경우)가 상당하였는데, 이에 반해 본 장치(100)는 이용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유 물품의 보관이 불가능한 물품보관함까지 찾아가는 등의 헛걸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when the locker is fu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users of the specific locker, the usage status of other customers, the turnover, etc. in relation to the usage status of the specific locker, and based on this, the specific article You can provide an estimated percentage for your inventory. Conventionally, when a specific locker is full,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ser goes back in vain (that is, finds another locker).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100 provides usage statu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It can effectively reduce wasteful steps, such as going to a locker that cannot be stored.

또한, 종래의 물품보관함 서비스는 잠금 설정이 단 한번으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0)는 특정 슬롯에 대하여 예약을 완료한 경우에 한하여, 이용시간 동안(즉, 지불한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이용시간 동안) 자율적으로 소유 물품을 보관한 슬롯의 문을 횟수 제한없이 여닫음 가능하도록 제공(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most cases, the lock setting of the conventional locker service is limited to only one time. In contrast, the device 100 voluntarily opens the door of the slot in which the belongings are stored during the usage time (ie, during the usage time corresponding to the paid payment amount) only when a reservation for a specific slot is completed. It can be provided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restrictions.

또한 종래의 물품보관함 서비스는 시간 초과시 발생하는 연체료가 비싸 사용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0)는 일예로 차등 요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장치(100)는 일예로 1시간 단위로 슬롯의 이용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미리 결제한 시간제(희망 예약 시간)로부터 초과가 예상될 때에, 선 연장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할인을 제공하여 이용자 수를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ocker service has a problem of giving a large burden to the user because of the high late fees that occur when the time is exceeded.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100 may provide, for example, a differential rate service. As a specific example, the device 100 may calculate a slot usage fee in units of, for example, one hour.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function for enabling pre-extension payment when an excess is expected from a pre-paid time system (desired reservation time). Also, the device 100 may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by providing a discount according to time.

또한, 본 장치(100)는 지하철 역사 내 뿐만 아니라 주요 관광지 주변의 유휴 장소 등과 협업하여 보다 많은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물품이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service for storing more items in lockers in cooperation with idle places around major tourist destinations as well as in subway stations.

또한, 본 장치(100)는 소유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를 토대로, 물품 정보의 보관이 가능한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소유 물품에 크기를 고려하여, 해당 물품을 실제로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의 빈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소유 물품의 크기에 맞는 물품보관함)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locker having a slot in which the item information can be stored, based on the item information on the owned item. That is, the device 100 provides information on an article storage box having an empty slot of a size that can actually store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owned article (item locker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owned article), and the user's effort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reducing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물품보관함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빈 공간의 유무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한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만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item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in advance, and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usage statu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pty space, etc.) for the locker, and based on this, the user keep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only information about a locker having a slot that can actually store the desired item (item owned).

또한,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의 슬롯을 미리 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예약된 물품보관함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예약한 물품보관함까지 찾아가는 데에 있어서 헤매지 않고 신속히 찾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나, 본 장치(100)는 증강현실(AR) 기반으로 한 길 안내 정보(내부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찾아가고자 하는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보다 빠르고 한눈에 알아보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provides a function to reserve a slot of the locker in advance, and can guide the exact location of the reserved locker,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find the reserved locker without hesitating. can help you go In particular, the device 100 provides augmented reality (AR)-bas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reby helping to find the location of the locker you want to visit faster and at a glance. .

본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물품보관함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선 연장 결제, 예약 기능 등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국내 이용자 뿐만 아니라 해외 이용자들에게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관광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신뢰성을 높여 사용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ker box in real time. The device 100 may provide service functions such as a line extension payment and a reservation function. The device 100 can be easily used not only for domestic users but also for overseas users, so that tourism effects can be expected. The device 100 may increase reliabil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본 장치(100)는 일예로 메인 화면에 직관적인 로고와 함께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 가입창 표시 항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국내 이용자 뿐만 아니라 국외 이용자(외국인 사용자)도 간단히 가입하고 본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display, for example, an item for selecting a language, a subscription window display item, and the like, along with an intuitive logo on the main screen. The device 100 can enable not only domestic users but also foreign users (foreign users) to simply sign up and easily receive services provided by the device 100 .

본 장치(100)는 GPS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목적지 검색을 통해 물품을 보관할 최적의 장소를 바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GPS sensor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matching locker based on this. 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may provide a service function to directly guide an optimal place for storing goods through a destination search.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의 상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특정 물품보관함과 관련하여 비어있는 슬롯, 혹은 다른 고객이 사용하고 있는 슬롯의 남은 시간, 회전율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정보를 이용현황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소유 물품의 크기에 따른 슬롯의 위치와 가격에 관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display the detailed location of the locker. In addition, the device 100 monitors information such as an empty slot or a slot used by other customers in relation to a specific locker, such as the remaining time and turno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as usage status information. there is.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gui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price of the slo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wned article.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제1 슬롯에 대하여 예약이 완료된 경우, 제1 슬롯에 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에는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 정보, 슬롯의 식별번호 정보, 남은 시간 정보(즉, 잔여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에는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에 의하여 선연장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device 100 may provide, for example,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first slot when a reservation for the first slot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slot, remaining time information (ie,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extension or no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advance payment may be made based on such extension or no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일예로, 본 장치(100)는 선연장결제 기능과 관련하여, 일예로 평균 물품보관함의 사용시간이 4시간인 경우라 하였을 때, 2시간 전에 연장 결제를 할 경우에는 기존의 연장 금액과 대비하여 5~10%에 해당하는 연장 금액의 할인이 적용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만약, 1시간 이내에 연장결제를 한 경우에는 5% 이하에 해당하는 연장 금액의 할인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30분 전에 연장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연장 금액의 할인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물품의 회수시간으로부터 선연장결제를 수행하는 시점까지의 남아있는 시간의 정도에 따라, 연장결제에 따른 추가 결제 금액(즉, 연장금액)에 대하여 차등적으로 할인을 적용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n relation to the pre-extension payment function, the device 100 compares the existing extension amount with the existing extension amount when the payment is extended 2 hours before,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use time of the locker is 4 hours. It can be offered with a discount of 5-10% of the extension amount applied. If the payment is made within 1 hour, a discount of 5% or less of the extension amount may be applied. For example, if the extension payment is made 30 minutes before, the extension amount may not be discounted. That is, the device 100 provides a differential discount on the additional payment amount (ie, the extension amount) according to the extension pay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me remaining from the collection time of the goods to the time of performing the advance payment. can be applied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중간 해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예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슬롯의 사용 중에도 보관함을 열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an intermediate release function, for example, and may provide, for example, input a password so that the storage box can be opened while the corresponding slot is being used.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본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앱 혹은 키오스크를 통하여 비밀번호 혹은 비문 인식을 이용해 잠금이 풀리도록 하여 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보관중인 물품(소유 물품)에 대한 회수시 비밀번호 입력 후 초과된 시간만큼 계산하여 재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결제 완료 후 잠금이 풀리도록 슬롯의 문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for example, unlock the lock using a password or inscription recognition through an app or a kiosk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0 to enable recovery.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allow re-payment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time exceeded after inputting the password when collecting the stored item (item owned), and may control the door of the slot to unlock the lock after payment is completed. there is.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소셜 아이디와 연동하여 본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앱(어플)을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device 100 may log in an app (application)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0 in association with a social ID, for example.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의 위치 찾기 기능, 사용자가 이용한 물품보관함에 관한 이력 정보(사용 기록 정보), 물품보관함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 등을 한눈에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예약된 물품보관함과 관련하여, 잔여 시간, 물품보관함의 위치, 결제 금액 등에 관한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기록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provide a function to find the location of the locker, history information (use record information) about the locker used by the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age status of the locker,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it at a glance. Also, in relation to the reserved locker, the device 100 may record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time, the location of the locker, the payment amount, etc. as history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또한, 본 장치(100)는 특정 물품보관함 내 어느 한 슬롯에 대한 예약 수행시, 슬롯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자신의 사물함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예약 수행시, 해당 물품보관함의 위치에 도착하는데 예상되는 시간(도착 예상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예약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reservation for any one slot in a specific locker, the device 100 may designate its own locker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slot. 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reservation, the apparatus 100 may receive an expected time (expected arrival time) to arrive at the location of the locker from the user and perform the reservation based on the input from the user, so that a more detailed reservation can be made.

또한, 본 장치(100)는 간편 결제 서비스를 통하여 원활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device 100 may provide for a smooth payment through a simple payment service.

본 장치(100)는 효율적인 물품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물품보관함(코인락커) 안내 및 서비스 제공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이용시간, 요금, 위치 안내 등 연동 서비스를 통해 보다 편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위치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 위치 탐색 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provide a product storage box (coin locker) guide and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that enables efficient storage of items. The device 100 can provide more convenient and diverse services through interworking services such as usage time, fee, and location guidance in real time. Also, the device 100 may accurately guide the location of a closet after searching for a nearby location by using the location service function.

또한, 본 장치(100)는 물품보관함의 사용 현황을 제공하고, 한번 결제 후 필요시마다 다시 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용시간에 따른 요금 차등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특정 슬롯에 대하여 결제 예상 금액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면, 주어진 시간 동안 자율적으로 슬롯의 문이 개폐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시간 단위로 요금 계산이 이루어지고, 미리 결제한 시간제로부터 초과가 예상되면 연장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시간에 따라 할인을 제공하여 이용자 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물품의 크기를 지정하여 그에 맞는 적합한 보관함(이는 실용성 있는 물품보관함으로서,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의미함)을 찾아 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age status of the locker, provide a function to open it again whenever necessary after payment, and enable the application of a fee differential according to usage time. That is, the device 100 may provide that the door of the slo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nomously for a given time when the payment for the expected payment amount is made for a specific slot.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fee in units of time, and if an excess is expected from the prepaid time system, it may be possible to make an extended payment,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by providing a discount according to time.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designate the size of an item, find a suitable storage box (this is a practical storage box, meaning a storage-capable matching storage box), and provide information thereon.

또한,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일예로 보관할 물품(소유 물품)을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촬영하면, 촬영된 소유 물품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해 소유 물품 이미지 내 소유 물품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식별된 소유 물품 크기에 맞는(혹은 식별된 소유 물품의 크기보다 큰) 빈 공간(유휴 공간)의 슬롯을 가진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단순히 주변에 가까운 물품보관함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이미지 분석을 토대로 식별된 소유 물품의 크기를 고려해 해당 소유 물품의 실제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함(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identifies the size of the owned item in the owned item image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photographed owned item image when the user takes an item (owned item) to be stored as an example through the user terminal 1 can do. Thereafter, the device 100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locker with a slot of an empty space (idle space) that matches the size of the identified owned article (o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dentified owned articl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 can do. That is, the device 100 does not simply inform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a closet close to the storage box, but considers the size of the owned item identified based on image analysis, for example, an item that can actually be stored. You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locker (storable matching locker).

또한, 본 장치(100)는 길 안내 제공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특정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 헤매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본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로 사용자 주변의 환경을 비추면, 화면 상에 목적지(목적지 물품보관함)까지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복수 개의 방향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중 사용자가 가야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 지시 아이콘(즉, 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이 미대응 방향 지시 정보의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헤매지 않고 목적지까지 빠르게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provide an effective way guidance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to the location of a specific storage box without getting lost through the way guide providing unit 150 . For example, when the user illuminates the environment around the user with the user terminal 1 ,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navigation function to a destination (destination locker) on the screen, in which case the user terminal 1 When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on the screen, the direction indic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hould go (that is,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i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of the non-responsive direction indication information. Since it can be provided in an easy-to-use form, i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ove quickly to the destination without hesitation.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제1 슬롯에 대하여 사전 예약을 수행한 이후에, 사용자(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입력받은 보관 예정 시간(도착 예정 시간)에 소유 물품을 사전 예약한 슬롯에 보관하지 않거나 사전 예약을 취소한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혹은 보관 예정 시간까지 남아있는 시간의 정도에 따라) 위약금이 차등적으로 지불되도록 위약금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100, for example, after performing a pre-reservation for the first slot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the belongings at the scheduled storage time (expected arrival time) previously input from the user (or user terminal) In the case of not storing in the pre-reserved slot or canceling the pre-reservation, a penalty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enalty is paid differentially over time (or depending on the amount of time remaining until the scheduled storage time).

또한,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제1 슬롯에 대하여, 일예로 제1 사용자가 오후 3시부터 4시까지(1시간 동안) 예약을 수행하여 현재 제1 슬롯에 제1 사용자의 소유 물품이 보관중이고, 제2 사용자가 오후 4시부터 6시까지(2시간 동안) 사전 예약을 수행하였다고 하자. 즉,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소유 물품을 아직 제1 슬롯에 보관중이진 않고, 오후 4시부터 제1 슬롯에 제2 사용자의 소유 물품을 보관할 예정이라고 하자.In addition, the device 100,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lot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for example, the first user performs a reservation from 3 pm to 4 pm (for 1 hour) and is currently assigned to the first slot. It is assumed that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user are being stored, and the second user has made a reservation in advance from 4:00 PM to 6:00 PM (for two hours).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user does not store the items owned by the second user in the first slot yet, but plans to store the items owned by the second user in the first slot from 4 pm.

이때,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물품의 회수 시간(일예로 오후 4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일예로 30분 전에),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를 포함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일예로 회수 시간으로부터 30분 전에, 해당 슬롯(제1 슬롯)의 이용을 연장할 것인지를 선택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연장 여보 선택 요청 정보를 포함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vice 100, for exampl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first user before a preset time (for example, 30 minutes before) from the collection time of the item (for example, 4:00 pm), reservation status including extension or no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A notification message can be provided. That is, for example, the device 100 first transmits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extension honey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o select and input whether to extend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slot (the first slot) 30 minutes before the collection time, for example. It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user terminal.

이때, 일예로, 제1 사용자가 2시간의 연장을 원한다고 하자(즉, 원래 4시까지 제1 슬롯을 이용할 계획이었으나, 추가적으로 2시간 연장하여 6시까지 이용을 연장하길 희망한다는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슬롯에 대하여 연장 희망하는 시간(즉 2시간의 연장 시간)과 중첩되는 사전 예약된 정보(즉, 제2 사용자의 오후 4시부터 6시까지의 사전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suppose that the first user wants to extend the time by 2 hours (that is, the first slot was originally planned to be used until 4 o'clock, but the user input that he wants to extend the use until 6 o'clock by extending the additional 2 hours is made. lets do it).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pre-reserved information (ie, the second user's advance reservation information from 4:00 PM to 6:00 PM) overlapping the desired extension time (ie, the extension time of 2 hours) for the first slot. ) can be checked.

이때, 예약 관리부(140)는 중첩되는 사전 예약된 정보가 기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전 예약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단말(즉,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1 사용자의 연장 요청을 허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연장 허용 선택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lapping pre-reserved information already exists,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requests an extension of the first user to the user's terminal (ie,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corresponding to the pre-reserved information. An extension permission selection message for selecting whether to allow the extension may be provided.

이때, 제2 사용자가 연장 허용 선택 메시지에 대하여 일예로 제1 사용자의 연장을 허용하는 것으로 응답(허용 응답)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연장 관련 추가 결제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예약 관리부(140)는 제2 사용자의 단말에 대하여, 제2 사용자의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한 다른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추천 정보로 제공함과 더불어, 제1 사용자의 연장 허용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2 사용자는 추천 정보를 토대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제1 슬롯이 아닌 다른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사전 예약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user responds to the extension permission selection message as to allow the extension of the first user as an example (acceptance respon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sends the extension-related additional payment process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t can be provided to make this happen. On the other hand,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to the second user's terminal, information on other storable matching lockers capable of storing the items owned by the second user as recommended information, as well as to allow the extension of the first user. Rewards can be provided as a token of appreciation. Thereafter, the second user may re-book in advance for a matching locker other than the first slot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based on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이처럼, 본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연장을 허용한 제2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제2 사용자가 자신이 미리 제1 슬롯의 사용을 사전에 예약해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사용중인 타 사용자(제1 사용자)의 연장의 허용으로 인해 자신이 해당 제1 슬롯을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보다 기쁜 마음으로 다른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vice 100 provides a reward to the second user who has allowed the extension of the first user, so that the second user has previously reserved the use of the first slot in advance. Even when the user cannot use the first slot due to the extension of the other user (the first user) being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tching locker that can be stored in another storage box.

만약, 제2 사용자가 연장 허용 선택 메시지에 대하여 제1 사용자의 연장을 허용하지 않는 응답(미허용 응답)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관리부(140)는 일예로 제1 사용자의 소유 물품의 회수 시간(즉, 오후 4시)이 경과되었을 때, 제1 슬롯에 보관중인 제1 사용자의 소유 물품을 일예로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마련된 임시 보관함에 보관되도록,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f the second user responds not to allow the extension of the first user to the extension permission selection message (non-acceptable response) is mad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for example, sets the collection time of the article owned by the first user (that is, . .

이후, 제1 사용자는 임시 보관함에 보관된 소유 물품을 회수해갈 수 있다. 이때, 예약 관리부(140)는 일예로 임시 보관함에 보관된 제1 사용자의 소유 물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요청이 제1 사용자로부터 이루어진 경우, 임시 보관함에 보관된 제1 사용자의 소유 물품의 보관 시간을 기반으로 추가 결제 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해당 추가 결제 금액 정보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추가 결제 금액 정보에 대한 금액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임시 보관함의 문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user may retrieve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box. In this case,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40, for example, when a recovery request for recovering the goods belonging to the first us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box is made from the first user, the storage time of the goods belonging to the first us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box Based on the calculation of additional payment amou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or of the temporary storage box to be opened only when a payment is made for the additional payment amount information (when an amount is paid for the additional payment amount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12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 method for guiding a lo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2에 도시된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guiding the locker shown in FIG. 12 may be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10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guiding the storage box.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획득부는, 사용자(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in step S11, the obtaining unit may obtain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the user (or user terminal).

여기서,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선정부는,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단계S11에서 획득된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selection unit may select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11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ockers as the matching locker.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단계S12에서 선정된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controller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selected in step S12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3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locker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method for guiding the lock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0: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
100: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110: 획득부 120: 선정부
130: 제어부 140: 예약 관리부
150: 길 안내 제공부 11: 제1 경로 생성부
12: 제2 경로 생성부 13: 안내 제어부
1: 사용자 단말
1000: locker guide system
100: locker guide device
110: acquisition unit 120: selec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reservation management unit
150: road guide providing unit 11: first route generating unit
12: second route generating unit 13: guide control unit
1: User terminal

Claims (12)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상기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As a locker guide device,
an obtaining unit which obtains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searching the locker from the user;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which will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locker guid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소유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선정부는, 상기 획득부가 물품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상기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매칭 물품보관함을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더 표시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cquiring unit further acquires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belongings that the user wants to keep,
The selection unit, when the acquisition unit acquires the product information, identifies a matching storage box that is determined to be able to store the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matching storage boxes as a storage possible matching product storage box,
The control unit, the storage locker guide device to further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s on the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와 연계하여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되,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상기 보관 가능 매칭 물품보관함을 제외한 나머지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응하는 아이콘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In connection with the map, the location of th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on the map as an icon,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is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than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lockers other than the storable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Device.
제2항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제1 매칭 물품보관함과 관련하여 예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reservation request is made in relation to a first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a reserva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input reserv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 reserv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request message ,
Luggage storage guid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예약을 희망하는 희망 슬롯을 선택하는 제1 선택 정보 및 예약을 희망하는 희망 예약 시간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quest message is
The apparatus for guiding a locker includes first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desired slot for which a reservation is desired and second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desired reservation time for which reservation is desi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복수의 슬롯 선택 아이콘 중 물품 보관이 가능한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을 희망 슬롯으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선택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Displaying th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on the screen,
Activating a selection input function to enable selection of a storage available slot selection icon capable of storing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slot selection icons as a desired slo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가능 슬롯 선택 아이콘은,
상기 복수의 슬롯에 대한 이용현황 정보 및 상기 물품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상기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 물품의 보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슬롯에 대응하는 슬롯 선택 아이콘인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orage available slot selection icon is,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status information and the product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slots, it is a slot selection icon corresponding to a slot that is determined to be capable of storing the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lots, guidanc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 내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슬롯에 대하여 예약이 완료된 경우, 예약이 완료된 상기 어느 한 슬롯에 관한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예약 현황 알림 메시지는,
잔여 시간 정보, 예약 정보, 연장 여부 선택 요청 정보 및 상기 어느 한 슬롯에 보관된 소유 물품에 대한 회수 수행 여부 선택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When a reservation is completed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n the first matching locker, a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one of the slots for which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is provided;
The reservation status notification message is,
The device for guiding a locker box, which includes at least one of remaining time inform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extension request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and selection request information on whether to perform collection of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one slot.
제1항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 중 제1 매칭 물품보관함에 대하여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까지의 경로를 요청하는 경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매칭 물품보관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길 안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a route request for a route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is made with respect to the first matching locker among the matching locker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ath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matching locker a route guide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route to the user terminal;
Luggage storage guid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제공부는,
상기 생성된 경로에 포함된 내부 이동 구간에 대한 내부 길 안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내부 이동 구간에 대응하여 생성된 내부 길 안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내부 길 안내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부 길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oad guide providing unit,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ternal navigation for an internal movement sect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route is received, an internal navigation rout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movement sec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internal navigation route is added to the generated route. A device for guiding a storage locker that provides inter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user.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 및
상기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물품보관함 안내 시스템.
As a locker guide system,
Item 1 of claim 1 guide device; and
a user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locker guide device to receiv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cker guide device from a user;
Luggage locker guidance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의 물품보관함 안내 장치에 의한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으로서,
(a) 사용자로부터 물품보관함 검색을 위한 검색 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복수의 물품보관함 중 상기 검색 요소 정보와 매칭되는 물품보관함을 매칭 물품보관함으로 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매칭 물품보관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요소 정보는, 목적지 관련 키워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보관함 안내 방법.
As a method of guiding the storage box by the storage box guide device of claim 1,
(a) obtaining search element information for a search for a locker from a user;
(b) selecting a locker matching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lockers as a matching locker; and
(c)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locker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The search elem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destination-related keyword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KR1020200112582A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KR102477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2A KR1024778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2A KR1024778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5A true KR20220030795A (en) 2022-03-11
KR102477817B1 KR102477817B1 (en) 2022-12-14

Family

ID=8081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82A KR1024778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54B1 (en) * 2022-05-02 2022-10-20 주홍민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warehouse operation service for efficient storage and delivery of go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66A (en)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Navigation system by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00059074A (en) * 2018-11-20 2020-05-28 여정현 Luggage storage and delivery system using empty sp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66A (en)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Navigation system by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00059074A (en) * 2018-11-20 2020-05-28 여정현 Luggage storage and delivery system using empty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54B1 (en) * 2022-05-02 2022-10-20 주홍민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warehouse operation service for efficient storage and delivery of g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817B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5350B2 (en) Providing a route guid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US11797915B2 (en) Network computer system to make effort-based determinations for delivery orders
KR100560704B1 (en)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ly tailored routes within a complex structure
JP3832770B2 (en) Visiting place identifying device and visiting place identifying method
KR102087452B1 (en) Generating and using a location fingerprinting map
US20180283878A1 (en) Seamless Transition from Outdoor to Indoor Mapping
US8050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tinerary planner
CN111033181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likeness indication of a parking location
US106533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lking path guidance service based on measurement of motion of user
US20110184945A1 (en) Location aware recommendation engine
JP2015011699A (en)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and server thereof
JP2002183878A (en) Road guide system for pedestrian, road guide service method for pedestrian, road guide data collection device, and road guide data collection method
JP2002277278A (en) Route guiding system
KR20170048920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footpath based on user movement detection
TW202143162A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destination location of a vehicle
KR102477817B1 (en) Apparatus and method that guides the information of the locker
KR1022994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road guidance
US20170023368A1 (en) Multi-waypoint semantic-driven itinerary guidance to situses within buildings
KR1022786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alk-based route guidance
KR1025208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chedule of sunlight expose
KR1020867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parking lot using beacon
JP2018206178A (en) Vehicle dispatch support method, vehicle dispatch support device, vehicle dispatch support progra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program
Hwang et al. Smart Block-based Route Guidence Technology for the Visually Impaired
Turno et al. Graph-Based Approach for Personalized Travel Recommendations
Herzog et al. Collaborative and Social Mobility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