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02A -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02A
KR20220023102A KR1020200104622A KR20200104622A KR20220023102A KR 20220023102 A KR20220023102 A KR 20220023102A KR 1020200104622 A KR1020200104622 A KR 1020200104622A KR 20200104622 A KR20200104622 A KR 20200104622A KR 20220023102 A KR20220023102 A KR 2022002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content
time
us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익
Original Assignee
이호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익 filed Critical 이호익
Priority to KR102020010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102A/en
Publication of KR202200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having an SNS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to enable an SNS; an SNS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o provide an SNS to the user terminals; and a distributed storage server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information used in providing an SNS to the user terminals. The SNS server includes: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part for providing an SNS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or loca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a time-based SNS providing part for providing an SNS related to the current time or the playing time of content; and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part for providing an SNS related to a search keyword input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NS application. Therefore,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an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wherein an SNS with comprehensive function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Photo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본 발명은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팅, 공개범위 설정, 사진과 영상 업로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SNS를 제공할 수 있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SNS inclu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chatting, setting a public range, and uploading photos and videos.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사진이나 사진을 포함한 정보 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mmunity activities for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photos and photos online are increasing.

이러한 SNS 서비스는 스마트 폰과 같은 고성능 단말 장치의 등장 및 Wi-Fi 망과 같이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축에 따라서 그 이용이 활성화되어,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With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termin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he construction of inexpensively available networks such as Wi-Fi networks, the use of these SNS services is activated, and the use of community applications is becoming popular.

다만, 최근 소개되고 있는 SNS 어플리케이션은 단일의 특정 기능을 위주로 한 SN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채팅, 공개범위 설정, 사진과 영상 업로드 등의 다양한 기능의 SNS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불만족스러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recently introduced SNS applications provide SNS services focusing on a single specific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unsatisfactory for users who require SNS service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chatting, setting the disclosure range, and uploading photos and videos.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위치정보, 시간정보, 키워드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기능의 SNS를 제공할 수 있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functional SN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keywords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but it has a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은 SNS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SNS 서비스가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분산저장하는 분산저장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SNS 서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SNS 제공부; 현재 시간 또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기반 SNS 제공부; 및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which the SNS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SNS service is possible; an SNS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n SNS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and a distributed storage server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information used to provide the SNS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NS server provides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SNS provider; a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current time or content playback time; and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related to a search keyword input during execution of the SNS appl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위치정보, 시간정보, 키워드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채팅, 공개범위 설정, 사진과 영상 업로드 등의 종합적인 기능의 SN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keywords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NS with comprehensive functions such as chatting, setting the disclosure range, and uploading photos and videos.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의 제 1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의 제 2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기반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제한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restrict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SNS 서비스가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nd user terminals capable of SNS services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which an SNS application 110 is installed. It includes an SNS server 300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to a user terminal.

상기 SNS 서버(300)는 위치기반 SNS 제공부(310), 시간기반 SNS 제공부(320) 및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NS server 300 may include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310 , a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320 , and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300 .

상기 위치기반 SNS 제공부(3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310 may provide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의 제 1구성도이다.2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기반 SNS 제공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 생성 모듈(311), SNS 생성 모듈(312) 및 컨텐츠 업로드 모듈(313)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310 may include a zone creation module 311 , an SNS creation module 312 , and a content upload module 313 .

상기 구역 생성 모듈(311)은 지도 API를 이용하여 지도 상의 모든 지역을 일정 기준으로 나눠 일정 범위를 갖는 복수의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역 생성 모듈(311)은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지도 API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일정 기준에 의해 직접 지정한 범위를 SNS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전송받아 복수의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The zone creation module 311 may generate a plurality of zones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by dividing all regions on the map based on a predetermined standard using the map API. Specifically, the zone creation module 311 may generate a plurality of zones by receiving, through the SNS application 110, a range directly designated by a user on a map by a predetermined standard using a map API, as an embodiment.

또한, 구역 생성 모듈(311)은 다른 실시예로 구글맵, 네이버지도 등의 지도에 구비된 특정 위치에 대한 주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캡쳐된 주소를 해당 SNS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전송받아 복수의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zone creation module 311 uses the address function for a specific location provided in maps such as Google Map and Naver Map in another embodiment to generate a captured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corresponding SNS application 110 . It is possible to create multiple zones by receiving it through .

상기 SNS 생성 모듈(312)은 각 구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The SNS generation module 312 may create at least one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zone.

구체적으로, SNS 생성 모듈(312)은 도로명 로 또는 도로명 길에 각각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데, SNS 생성 모듈(312)은 이러한 SNS 채널로 예를 들어, 동영상, 사진, 게시물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SNS 채널,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SNS 채널,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SNS 채널 등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NS generation module 312 may generate various types of SNS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road name road or the road name road, respectively. The SNS generation module 312 uses these SNS channels as, for example, videos, photos, and posts. It may be a content SNS channel that provides content such as, a chat SNS channel that provides real-time chat, and a community SNS channel that provides a community.

한편, 상기 SNS 생성 모듈(312)은 각 구역에 생성된 SNS 채널의 평균적인 사용자 수에 따라 해당 SNS 채널을 조정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상기 SNS 생성 모듈(312)은 일 실시예로, 특정 도로명 로에 대응하여 생성된 특정 SNS 채널의 사용자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구역 생성 모듈(311)과 연동하여 도로명 로의 하위 구역인 도로명 길을 생성한 후, 해당 도로명 길에 대응하는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NS generating module 312 may adjust the corresponding SNS channel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users of the SNS channels created in each zone. Specifically, the SNS generating module 312 is an embodiment, a specific street name When the number of users of a specific SNS channel created in response to a roa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it is possible to create a road name road, which is a sub-zone of the road name road, in conjunction with the zone creation module 311, and then create an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road name road.

또한, 상기 SNS 생성 모듈(312)은 다른 실시예로, 특정 도로명 길에 대응하여 생성된 특정 SNS 채널의 사용자가 설정치 미만인 경우, 구역 생성 모듈(311)과 연동하여 같은 레벨의 도로명 길을 합하여 도로명 로를 생성한 후, 해당 도로명 로에 대응하는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NS generation module 312 i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users of a specific SNS channel genera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oad name road is less than a set value, the SNS generation module 312 works with the zone creation module 311 to add the road name road at the same level as the road name After the road is created, an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treet name road can be created.

상기 컨텐츠 업로드 모듈(313)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구역의 컨텐츠 SNS 채널에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The content upload module 313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user and upload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ntent SNS channel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컨텐츠 업로드 모듈(313)은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인접하는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 구역의 SNS 채널에 해당 컨텐츠를 각각 업로드할 수 있는데, 이때,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는 5 ~ 15 m 일 수 있다.Her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of a plurality of adjacent zones, the content upload module 313 may upload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SNS channels of the plurality of zone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of the plurality of zones may be 5 to 15 m.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는 실시간 채팅 모듈(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l-time chatting module 314 .

구체적으로, 실시간 채팅 모듈(314)은 사용자 단말(100)의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의 채팅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입장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al-time chatting module 314 may use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100 to enter the corresponding user into the chatting SNS channel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여기서, 실시간 채팅 모듈(314)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인접하는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 구역의 채팅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각각 입장시킬 수 있는데, 이때,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는 상기한 컨텐츠 업로드 모듈(313)에서의 일정 경계 범위와 동일하게 5 ~ 15 m 일 수 있다.Here, when the user's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of a plurality of adjacent zones, the real-time chatting module 314 may enter the corresponding user into the chatting SNS channel of the plurality of zone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zones The range may be 5 to 15 m, the same as the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in the content upload module 313 described above.

이러한 실시간 채팅 모듈(314)은 채팅 SNS 채널에 사용자를 입장시켜 기생성된 실시간 채팅방을 사용하게 하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가 기생성된 실시간 채팅방의 하위 채팅방을 생성하도록 하여 해당 채팅방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Such a real-time chat module 314 allows a user to enter a chatting SNS channel to use a pre-created real-time chat room, or a corresponding user to create a sub-chat room of a pre-created real-time chat room to use the chat room.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의 제 2구성도이다.3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SNS 제공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idential community module 315 .

구체적으로,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사용자의 거주지를 등록받아 해당 거주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의 커뮤니티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입장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sidence community module 315 may receive the user's residence and allow the user to enter the community SNS channel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idence.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사용자의 거주지 등록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소를 거주지로 등록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의 사용자 GPS 정보를 거주지 목록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특정 거주지를 해당 거주지로 등록할 수 있다.The residence community module 315 may use various methods as a method of registering the user's residence. The residence community module 315 may register the user's current location address as a residence using, for example, the user's GPS information, or After displaying the user's GPS information at a specific time as a list of residences to the user, a specific residence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may be registered as the corresponding residence.

또한,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이동통신사의 개인정보와 특정 정부기관 서버에서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자동으로 연동하여 해당 주소 정보를 거주지로 등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주민등록증 상에 표시된 주소를 스캔 및 텍스트화하여 거주지로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ence community module 315 automatically links the user's address information with the mobile operator's personal information and a specific government agency server to register the address information as a residence, or scan and text the address displayed on the user's resident registration card. It can be registered as a place of residence.

이러한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데,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315)은 일 실시예로, 해당 거주지의 커뮤니티 SNS 채널에 물품을 판매하는 업체와 해당 물품의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sidential community module 315 may provide a variety of platforms. The residential community module 315, in one embodiment, matches a company that sells goods on a community SNS channel in the corresponding residence and a user who wants to purchase the product. We can provide a platform that allows

상기 시간기반 SNS 제공부(320)는 현재 시간 또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current time or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content.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기반 SNS 제공부(320)는 방송 프리징 모듈(321) 및 컨텐츠 픽시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320 may include a broadcast freezing module 321 and a content pixie module 322 .

상기 방송 프리징 모듈(321)은 실시간 인터넷 방송 중 일정 시간 동안 댓글창을 프리징(freezing)하여 스트리머와 시청자가 상호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broadcast freezing module 321 may allow the streamer and the viewer to interact by freezing the comment windo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real-time Internet broadcast.

상기 컨텐츠 픽시(pixie) 모듈(322)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존재하는 컨텐츠나 온라인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시청시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할 수 있다.The content pixie module 322 is, when the user shares the content existing i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content uploaded online, when the other user views the content, the us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other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may interfere with content viewing.

여기서, 컨텐츠 픽시 모듈(322)은 시청 대기시간을 생성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위해 대기시간까지 기다리게 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질문의 대답 또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애니메이션에는 해당 애니메이션과 함께 출력될 수 있는 영상메시지, 음성메시지,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Here, when the content pixie module 322 generates the viewing waiting time, other users may wait until the waiting time to watch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user may answer a question specified by the user or pay a certain fee, and in particular, The animation may include a video message, a voice message, and a text that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anim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간기반 SNS 제공부(320)는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

구체적으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컨텐츠에 타임태그(timetag)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특정 시간에 따라 분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키워드와 자막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may provide a search keyword and subtitles for the content by applying a timetag to the content and separa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이러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일실시예로, 컨텐츠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입력된 컨텐츠의 타임태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특정 시간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may separate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by using the time tag of the content input by the user or the program, respectively, based on the content reproduction time as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에 타임태그가 입력된 경우,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시작점과 재생종료점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분리한 후, 동영상의 공유 사이트 주소나 소스코드의 뒤에 타임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time tag is input to video content by a user,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separates the content based on the play start point and the play end point of the video content, and then the video sharing site address or source You can put time tags at the end of the code.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한 타임태그 외에 해당 타임태그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에 대한 타임태그의 재생시작점에 맞춰진 동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user may input a keyword for the corresponding time tag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time tag, and accordingly, when a specific keyword is searched, a video tailored to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time tag for the keyword may be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이 동영상의 공유 사이트 주소나 소스코드의 뒤에 타임태그를 입력하는 경우, 링크 플레이어(Link Player)는 주소 열기 기능을 통해 복수의 타임태그 동영상의 사이트 주소나 소스코드의 순서대로 동영상을 배열하여 해당 동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inputs the time tag after the sharing site address or source code of the video, the link player provides the site address of a plurality of time-tagged videos through the address opening function. Alternatively, the videos can be played sequentially by arranging the videos in the order of the source code.

즉, 본원발명에서는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을 통해 분리된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를 별도의 편집 프로그램이 필요없이 서로 연결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capable of generating one moving image content can be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oving image contents separated through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to play back each othe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editing program. .

또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에서 댓글을 입력할 때 방송시작점을 기준으로 타임태그를 자동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중 지연 방송을 통한 자막 제작을 위해 타임태그를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automatically inputs a time tag based on a broadcast start point when a comment is input in a real-time streaming broadcast by a specific program, or time for subtitle production through delayed broadcast during a real-time streaming broadcast. Tags can be entered automatically.

구체적으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에서 댓글을 입력하기 시작한 시간이나, 댓글을 입력하여 업로드한 시간 또는 댓글을 입력하기 시작한 지 2 ~ 3초 후의 시간 등을 기준으로 타임태그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sets the time tag based on the time when a comment is started to be input in a real-time streaming broadcast, the time when a comment is entered and uploaded, or the time 2 to 3 seconds after the comment is started. can be entered automatically.

따라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스트리밍 영상의 다시보기에서 영상의 재생 시간에 (-)타임태그에 맞춰 댓글의 순서대로 출력함으로써 실시간 시청했던 유저들의 댓글 반응을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outputs the comments in order according to the (-) time tag at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in the replay of the streaming video, so that users who watched the video in real time can see the response of the comments.

또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외국어 자막이 필요한 방송의 경우, 실시간 스트리밍 중 번역, 자막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이핑 시작 또는 타임태그 명령키를 푸시할 때의 스트리밍 재생시간을 타임태킹할 수 있는 지연 스트리밍(delay stream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can time tag streaming playback time when starting typing or pushing a time tag command key using a translation and subtitle generation program during real-time streaming in the case of a broadcast requiring foreign language subtitles. A delay streaming function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원어민 A가 실시간 방송에서의 대사를 원어로 작성한 스크립트마다 타임태그를 작성하고, 번역자 B가 원어 스크립트 아래에 작성한 번역 스크립트를 표시한 경우, 지연 방송의 재생시간이 타임태그를 작성한 시간이 될 때,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번역 스크립트를 자막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모든 스크립트 정보와 자막이 저장된 스크립트 작업 파일을 업로드시키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creates a time tag for each script in which the native speaker A writes the lines in the real-time broadcast in the original language, and the translator B displays the translated script written under the original language script, playback of the delayed broadcast When the time is the time when the time tag is written, the program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translation script as subtitles, and then upload the script work file in which all script information and subtitles are stored.

한편,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 재생 시간이 아닌,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의 타임태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특정 시간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may separate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by using a time tag of the content input by the program based on the current time, not the content reproduction time.

구체적으로,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323)은 전용 번역 프로그램을 통해 번역자가 대사를 듣고 타이핑한 시간을 타임태그 1(tt1)로 하고, 타이핑을 마치고 번역글이 출력될 때의 시간을 타임태그 2(tt2)로 한 후, 타임태그 2 - 타임태그 1(tt2-tt1)의 시간을 계산하여 출력된 번역글 뒤에 (-)기호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해당 번역글이 몇 초 전에 나온 대사인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time tagging module 323 sets the time when the translator listens and types the lines through the dedicated translation program as time tag 1 (tt1), and sets the time when the translation is finished after typing is output as time tag 2 ( tt2), calculate the time of time tag 2 - time tag 1 (tt2-tt1) and display it with a (-) sign after the output translation, so that you can know how many seconds ago the translation was. ca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기반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간기반 SNS 제공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지연 업로드 모듈(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layed content upload module 324 as shown in FIG. 4 .

구체적으로, 컨텐츠 지연 업로드 모듈(324)은 컨텐츠의 업로드시 일정 시간 이후에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시킴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layed content upload module 324 may prevent an error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uploa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uploading the content.

예를 들어, 컨텐츠 지연 업로드 모듈(324)은 컨텐츠의 업로드시 5 ~ 30분을 지연시키면서, 지연시간 동안 컨텐츠의 내용, 공유 위치, 설정, 대상 등을 재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링크 프론트(Link Front)로 지정한 사람들에게 1:1 연락으로 프리뷰(Preview)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오류 여부에 대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delayed content upload module 324 may delay 5 to 30 minutes when uploading the content, and reconfirm the content, share location, setting, target, etc. of the content during the delay time, in particular, link front ( By providing a preview through 1:1 contact with those designated as Link Front), you can receive feedback on whether the content is in error.

한편, 상기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330)는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330 may provide an SNS service related to a search keyword input during execution of the SNS applic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트 커뮤니티 모듈(331) 및 키워드 커뮤니티 모듈(33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the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330 may include a site community module 331 and a keyword community module 332 .

상기 사이트 커뮤니티 모듈(331)은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인터넷 사이트 주소와 대응하는 커뮤니티 SNS 채널을 생성하여 사용자를 입장시킬 수 있다.The site community module 331 may create a community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Internet site address input in the address bar of the browser to allow the user to enter.

구체적으로, 사이트 커뮤니티 모듈(331)은 인터넷 사이트 주소의 전체 또는 특정 슬러쉬(/) 횟수까지 만으로 커뮤니티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데, 특히, 사이트 커뮤니티 모듈(331)이 특정 슬러쉬(/) 횟수까지 만으로 채널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커뮤니티의 게시물마다 현재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링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te community module 331 can create a community SNS channel only up to the total number of Internet site addresses or up to a specific number of slashes (/). When creating a channel, the current Internet site address can be linked for each post of the corresponding community.

구체적으로, 키워드 커뮤니티 모듈(332)은 링크 앱(Link App) 실행 중 검색사이트나 포털사이트에서 검색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인터넷 주소창에서 키워드를 판별한 후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SNS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keyword community module 332 determines and extracts the keyword from the Internet address bar when a search keyword is input from a search site or portal site while the Link App is running, and selects a community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can create

상기 사용자제한 SNS 제공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접근 가능 여부를 설정하여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restricted SNS providing unit 340 may provide an SNS service by setting whether other users can acces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제한 SNS 제공부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restricted SNS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제한 SNS 제공부(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모듈(341), 조건 판단 모듈(342) 및 컨텐츠 제공 모듈(343)을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user-restricted SNS providing unit 340 includes a condition setting module 341 , a condition determination module 342 , and a content providing module 343 .

상기 조건 설정 모듈(341)은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접근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건 설정 모듈(341)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사용자와 성별, 나이, 지역, 학교 등이 동일한지 여부로 해당 접근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dition setting module 341 may variously set the access conditions of other users to the content. For example,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341 determines that a person who intends to us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he user and the gender, age, region, and school. The corresponding access condition can be set by whether or not they are the same.

상기 조건 판단 모듈(342)은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해당 접근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dition determination module 342 may determine whether a user accessing the content meets the corresponding access condition.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343)은 조건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접근 가능한 사용자에게는 해당 컨텐츠를 개시하고, 접근 불가능한 사용자에게는 해당 컨텐츠를 미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determination module, the content providing module 343 may disclose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an accessible user, and may not disclose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an inaccessible us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SNS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UIs) for providing SNS services to user terminals.

구체적으로, SNS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의 어느 지점을 상하좌우로 각각 드래그했을 때 각각 다른 기능과 UI를 제공하는 UI메뉴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메뉴를 드래그했을 때 돌아가는 판 모양의 메뉴를 제공하는 Pin 메뉴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면 사이드에 배치되어 클릭하는 경우 돌아가는 애니메이션이 출력됨과 동시에 다음 탭이 제공되는 원통형 UI메뉴판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NS server 300 may provide a UI menu board that provides different functions and UI when dragging a certain point of the user terminal up, down,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also a plate-shaped menu that rotates when the menu is drag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in menu board that provides

본 발명은 커팅부, 제 1 트랜스퍼 및 제 2 트랜스퍼, 콤바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ting unit, a first transfer and a second transfer, and a combine unit.

커팅부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조각들을 생성하고,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각들의 어드레스는 복수 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tting unit may generate a plurality of pieces by dividing the data, and may assign an address to each of the pieces. Here, the addresses of the pieces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tters and numbers.

또한, 커팅부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고려하여 조합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규칙은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각각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하여 분할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Also, the cutting unit may generate a combination rule in consideration of each address. Here, the combination rule refers to a rule that allows a plurality of data pieces to be combined into data before being divided based on each address.

제 1 트랜스퍼는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은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may transmit a plurality of data pieces in an arbitrary order. Here, a plurality of data pieces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n assigned address, respectively.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해 전송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에 대응되는 조합 규칙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의 전송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조합 규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may transmit a combination rul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ata pieces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fer. Her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econd transfer transmits the combination rule with a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of the plurality of data pieces by the first transfer.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The functional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subject matter can be implemented in a digital electronic circuit,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or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Do.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one or more modules directed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medium for execution by 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A tangible program medium may be a radio wave signal or a computer-readable medium. A radio wave signal is an artificially generated signal, eg a machine-generated electrical, optical or electromagnetic signal, that is generated to encode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an appropriate receiver device for execution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ny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ortion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logic flows and structural block diagrams described herein describe corresponding act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ing software.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Processors suitable for the execution of computer programs include, for example, both general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Typically, the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A key element of a computer is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In addition, a computer is generally operably coupled to receive data from, or transmit data to,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for example,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or to perform both such operations. or will include However, the computer need not have such a device.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hus prepare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follow all the orders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 that it may be within the scope

Claims (9)

SNS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SNS 서비스가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SNS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분산저장하는 분산저장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SNS 서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SNS 제공부;
현재 시간 또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기반 SNS 제공부; 및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워드기반 SNS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with SNS applications installed to enable SNS services;
an SNS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n SNS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and
A distributed storage server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information used to provide SNS services to the user terminal,
The SNS server,
a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a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SNS service related to the current time or content playback time; and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word-based SNS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SNS services related to the search keyword input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NS appl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SNS 제공부는,
지도 API를 이용하여 모든 지역을 일정 기준으로 나눠 복수의 구역을 생성하는 구역 생성 모듈;
각 구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을 생성하는 SNS 생성 모듈;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구역의 컨텐츠 SNS 채널에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컨텐츠 업로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a zone cre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zones by dividing all zon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using the map API;
an SNS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NS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zone;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content upload module for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user and uploa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ntent SNS channel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모듈은,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인접하는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 구역의 SNS 채널에 해당 컨텐츠를 각각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upload modu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of a plurality of adjacent areas,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upload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SNS channels of the plurality of are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SNS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의 채팅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실시간 채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al-time chatting module for entering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chatting SNS channel of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인접하는 복수 구역의 일정 경계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 구역의 채팅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각각 입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l-time chat module,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boundary range of a plurality of adjacent areas,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ters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chatting SNS channel of the plurality of are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SNS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를 등록받아 해당 거주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의 커뮤니티 SNS 채널에 해당 사용자를 입장시키는 거주지 커뮤니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based SNS providing unit,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idence community module for receiving the user's residence and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community SNS channe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id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기반 SNS 제공부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 중 일정 시간 동안 댓글창을 프리징하여 스트리머와 시청자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방송 프리징 모듈: 및
컨텐츠의 시청시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하는 컨텐츠 픽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A broadcast freezing module that freezes the comment windo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real-time Internet broadcasting so that the streamer and the viewer can interact: and
A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ent pixie module that prevents the user from viewing the content to other use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viewing the conten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기반 SNS 제공부는,
컨텐츠에 타임태그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특정 시간에 따라 분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키워드와 자막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타임태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ent time tagging module that can provide search keywords and subtitle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applying a time tag to the content and separa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기반 SNS 제공부는,
컨텐츠의 업로드시 일정 시간 이후에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시킴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 지연 업로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ime-based SNS providing unit,
The photo sharing SNS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ent delayed upload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an error in the content by uploading the conte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uploading the content.
KR1020200104622A 2020-08-20 2020-08-20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KR202200231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22A KR20220023102A (en) 2020-08-20 2020-08-20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22A KR20220023102A (en) 2020-08-20 2020-08-20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02A true KR20220023102A (en) 2022-03-02

Family

ID=8081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22A KR20220023102A (en) 2020-08-20 2020-08-20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31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2582B2 (en) Devices and methods that support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content provisioning
US115504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updating live-streaming online content in an interactive web platform
US109996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ntent
JP6485969B2 (en) Dynamic binding of video content
WO2018192437A1 (en)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server, client and storage medium
US11882180B2 (en) Dynamic content and cloud based content within collaborative electronic content creation and management tools
CN106992921B (en) Widget display method for extended services and device for executing method
US20170294212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US20140122601A1 (en) Api translator for providing a uniform interface for users using a variety of media players
KR101772361B1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in messenger
US20130218680A1 (en) Location sensitive advertisement delivery and presentation
JP2016541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r-assisted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WO20222424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202103776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CN105992021A (en) Video bullet screen method, video bullet screen device and video bullet screen system
KR20160136837A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in messenger
WO2017139619A1 (en) Social keyboard
CN108073593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media content
US201501432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ers to comment on television programs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using mobile applications
US9940645B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in-video programming
KR20220021588A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CA30781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of croudsourced news media from captured contents
US10593222B1 (en) Video filming and discovery system
KR20220023102A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Shar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CN111885139B (en) Content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