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640A -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640A
KR20220021640A KR1020200102458A KR20200102458A KR20220021640A KR 20220021640 A KR20220021640 A KR 20220021640A KR 1020200102458 A KR1020200102458 A KR 1020200102458A KR 20200102458 A KR20200102458 A KR 20200102458A KR 20220021640 A KR20220021640 A KR 2022002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pensity
matching
travel
travel comp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982B1 (en
Inventor
조원일
Original Assignee
조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일 filed Critical 조원일
Priority to KR102020010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82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tching a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tching a travel companion using the system for matching a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swers to a questionnaire about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analysis through a user terminal from a user; receiving a matter of interest about a plurality of topics and a preferred sex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the propensity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answers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calculating each matching score by calculating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the matter of interest, the preferred sex and the propensity of the user and the pre-stored personal information, the matter of interest, the preferred sex and the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nd matching a user with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adjacent traveler is matched depending on the same topic and travel tast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bout the travel and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travel using user authentication.

Description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성향을 이용하여 여행시 각자의 성향에 맞는 여행자를 매칭시키는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disposition analysis and a method thereof, and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disposition analysis that matches travelers who suit each disposition when traveling using each disposition of a plurality of users. and methods thereof.

통신환경의 개선, 정보 인프라 구축 등에 발맞추어 다양한 인터넷 비지니스가 가능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산업의 발달 및 이에 따른 안정감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많은 여유 시간을 갖게 되었고 여유 시간에 행해지는 취미 생활로써 여행이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In line with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various Internet businesses have become possible,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the resulting stability have given people a lot of free time. became occupied

이러한, 여행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희망하는 여행지, 여행기간 및 여행코스 등을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행을 원하는 여행예정자 대부분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여행사에서 미리 정해 놓은 여행상품 및 패키지 정보를 참고하여 원하는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실이다.In order to prepare for such a trip, it is common to think and decide the desired destination, travel period, and travel course by oneself. Therefore, it is a reality to choose the travel product you want.

또한, 인터넷 상에서는 많은 정보가 여행예정자들에게 공유되고 있으며, 여행예정자들은 여행상품 및 패키지 서비스 등을 선택하기 전에 여행에 대한 관심 정보를 검색 사이트를 방문해 검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In addition, a lot of information is shared with prospective travelers on the Internet, and they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by visiting a search site for information of interest in travel before selecting travel products and package services.

그러나, 인터넷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였더라도 여행예정자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손쉽게 획득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며, 검색 사이트에서 여행예정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여 여행지에 대한 관심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자신에게 정말로 의미있고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는 검색 결과가 나타난 사이트를 다시 방문하고 재차 확인하고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했다.However, no matter how advanced Internet technology is, it is not easy for prospective travelers to quickly and easily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amid the flood of information. In order to get the information that is really meaningful and necessary to you, you had to visit the site where the search results appeared again, check it again, and repeat the work of saving.

다시 말해, 여행예정자는 여행과 관련된 정보는 검색을 통해 수집할 수 있으나, 정작 여행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한 여행을 다녀온 여행지식인의 여행과 관련된 구체적인 지식을 얻기는 매우 힘들었다.In other words, travel planners can collect travel-related information through search, bu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specific travel-related knowledge of a traveler who has been on a trip to be of practical help to their trip.

이러한 일련의 종래 과정을 예를 들면, 여행예정자는 가족 여행을 떠나고 싶을 때, 장소, 숙박 시설, 음식, 관광 명소, 비용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넷의 검색 사이트를 활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수집한다.Taking this series of conventional processes, for example, when a traveler wants to go on a family trip, in order to find out places, accommodations, food, tourist attractions, costs, etc., each information is collected by using a search site on the Internet. .

일반적으로 검색 사이트는 관련 사이트, 뉴스, 책, 블로그, 카페 등의 웹 페이지를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여행예정자는 가장 원하는 정보가 있을 만한 것으로 보이는 여행지식인의 사이트 페이지를 방문하여 일일이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In general, a search site can provide a summary of web pages such as related sites, news, books, blogs, and cafes. information will be collected.

그리고, 이와 같은 여행지식인의 사이트 방문과 확인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여행예정자는 필요로 하는 여행 정보를 얻게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site visit and confirmation process of the travel knowledgeable, the travel planner obtains the necessary travel information.

그러나, 여행예정자는 자신이 수집한 여행 정보가 정말 필요한 정보인지 여행지식인이 실질적으로 얻은 여행지에 대한 관련 지식인지를 확인할 수 없을 뿐더러, 수집한 여행 정보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정보와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또다른 사이트 방문과 확인 과정의 반복이 필요하게 되고, 결국 여행예정자가 정말로 원하는 자기만의 여행 코스와 여행 정보를 찾기 위하여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다.However, the prospective traveler cannot confirm whether the travel information they have collected is really necessary information or whether the travel knowledge is actually related to the travel destination, and in order to obtain more in-depth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collected trave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visit other sites and repeat the confirmation process, and in the 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effort was required to find the travel course and travel information that the traveler really wants.

한편, 이와 같은 관련 여행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제공하려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이트, 블로그, 카페 등과 같은 사이트가 현재 등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tes, blogs, cafes, etc., which provide a platform to collect and provide such related travel information in one place, are currently emerging.

그러나, 이러한 블로그나 카페의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타이틀 속에 하나의 관련 정보만을 제공할뿐이다.However, the platform of such a blog or cafe basically provides only one related information in one title.

또한, 다양한 정보 중 지식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나누는 사이트의 경우, 예를 들어, 질문과 답변 형태로 운영되는 사이트의 경우에 하나의 질문에 다수의 답변을 올리고 올라온 각 글마다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정리되지 않아 어떤 질문에 여행예정자가 필요로 하는 답변이 있는 지를 쉽게 판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ite that shares the knowledge possessed by intellectuals among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te operated in the form of a question and answer, it is possible to post multiple answers to a single question and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each post. However, it was not organized,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easy to determine which questions had the answers the traveler need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3909호(2020.06.1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23909 (2020.06.17. Announce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성향을 이용하여 여행시 각자의 성향에 맞는 여행자를 매칭시키는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ndency analysis for matching travelers who fit each tendency during travel using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상기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us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disposition analysis, a response to personal information and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is input from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receiving, receiving input of interests and preference gender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the user's tendency by analyzing a response to the tendency analysis questionnaire, the inputted individual Each matching scor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user's propensit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counterparts. , and matching a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상기 주제는, 박물관, 쇼핑, 문화, 사진, 레포츠, 음식, 골프, 술 및 역사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The subject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museums, shopping, culture, photography, leisure sports, food, golf, alcohol, and history.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내향성/외향성 수치, 개방형/폐쇄형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치를 이용하여 성향 그래프에 2차원 좌표 값을 생성하며, 상기 성향 그래프의 x축은 내향성 및 외향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y 축은 개방형 및 폐쇄형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r's tendency, the introversion/extroversion value and the open type/closed type value are calculated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input tendency analysis questionnaire, and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is applied to the tendency graph by using the calculated value. The x-axis of the disposition graph may represent the degree of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and the y-axis may represent the degree of open-type and closed-type.

상기 매칭점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연산될 수 있다.The matching score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는 정규화 계수이다.here,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and
Figure pat00005
is the normalization coefficient.

상기 성향차이 거리 값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의 상기 성향 그래프 상의 2차원 좌표 값의 거리 값을 나타낼 수 있다.The disposition difference distance value may indicate a distance value of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n the disposition graph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성향 추출부, 상기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하는 제어부, 그리고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상기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disposition analysis,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re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of interests and preferred gender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a propensity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user's propensity by analyzing a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each matching scor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user's tendency and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extracted tendenc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unterparts, an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unterparts and a matching unit that matches the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s a travel compan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주제 및 여행 취향에 따라 가장 근접한 여행자와 매칭되기 때문에, 해당 여행의 여행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여행의 안전성을 확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sest traveler is matched according to the same subject and travel taste, the travel satisfaction of the corresponding travel can be increased, and the safety of the travel can be expand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S2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S2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us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tep S230 of FIG. 2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step S250 of FIG. 2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성향 추출부(120), 제어부(130) 및 매칭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tendency extracting unit 120 , a control unit 130 , and a matching unit 140 .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는다.First, the input unit 110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from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 받는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nterest and preference gender of a plurality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is a portable user terminal,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ad, or a smart phone.

다음으로, 성향 추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한다.Next, the propensity extractor 120 extracts the user's propensity by analyzing the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

또한, 성향 추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내향성/외향성 수치, 개방형/폐쇄형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치를 이용하여 성향 그래프에 2차원 좌표 값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ropensity extractor 120 calculates introversion/extroversion values and open/closed-type figures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and uses the calculated figures to display the propensity graph in two dimensions. Create a coordinate value.

그리면, 성향 추출부(120)는 x축은 내향성 및 외향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y 축은 개방형 및 폐쇄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성향 그래프를 생성한다.Then, the tendency extracting unit 120 generates a tendency graph in which the x-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introversion and the extroversion,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the open type and the closed type.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된 개인정보, 관심사, 선호 성별 및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개인정보, 관심사, 선호 성별 및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한다.Next,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terest, preferred gender, and user's propensity and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interest, preferred sex, and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unterparts. Calculate each matching score.

다음으로, 매칭부(140)는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킨다.Next, the matching unit 140 matches a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us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는다(S210).First,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S210).

여기서, 성향분석 설문은 Plog & Cohen 구분법과 루이스 골드버그의 5요인 테스트를 기반으로 제작된다.Here,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s produced based on the Plog & Cohen classification method and Lewis Goldberg's 5-factor test.

이때, Plog & Cohen 구분법은 사용자 각각의 내향성 또는 외향성을 구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루이스 골드버그의 5요인 테스트는 사용자 각각의 개방성 또는 폐쇄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Plog & Cohen classification method relates to a method for distinguishing each user's introversion or extroversion, and the Louis Goldberg 5-factor test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each user's openness or closedness.

즉, 성향분석 설문은 사용자의 내향성 또는 외향성과 개방성 또는 폐쇄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신분증, 생체인식 및 얼굴 인식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That is,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consists of a questionnaire used to confirm the user's introversion or extroversion and openness or closedness. In additi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put using an identification card, biometric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method.

다음으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 받는다(S220).Next,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user's interest and preference gender of a plurality of subjects through the user terminal (S220).

이때,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는 여행시 사용자의 선호 여행 스타일에 관한 것이며, 박물관, 쇼핑, 문화, 사진, 레포츠, 음식, 골프, 술 및 역사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est in the plurality of subjects relates to a user's preferred travel style when traveling, and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museums, shopping, culture, photography, leisure sports, food, golf, alcohol, and history.

다음으로, 성향 추출부(120)는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한다(S230).Next, the propensity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the user's propensity by analyzing the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S230).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S2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tep S230 of FIG. 2 .

이때, 사용자의 성향은 내향성/외향성 수치와 개방형/폐쇄형 수치로 각각 연산되며, 2차원 그래프로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user's propensity is calculated as introversion/extroversion numerical values and open/closed numerical values, respectively, and is displayed as a two-dimensional graph.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2차원 그래프는 원점(0,0)을 기준으로 x축의 오른쪽 방향은 외향성의 정도를 나타내며, x축의 왼쪽 방향은 내향성의 정도를 나타낸다.3A and 3B , in the two-dimensional graph, the right direction of the x-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extroversion, and the left direction of the x-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introversion based on the origin (0,0).

그리고, 2차원 그래프는 원점(0,0)을 기준으로 y축의 위쪽 방향은 개방형의 정도를 나타내며, y축의 아래쪽 방향은 폐쇄형의 정도를 나타낸다.And, in the two-dimensional graph, the upper direction of the y-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openness,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y-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the closed type based on the origin (0,0).

즉,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성향 추출부(120)는 연산된 내향성/외향성 수치와 개방형/폐쇄형 수치를 2차원 좌표로 하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propensity extractor 120 may represent the calculated introversion/extroversion value and the open/closed type value as a graph using two-dimensional coordinates.

또한,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성향 추출부(120)는 2차원 좌표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을 모험추구 여행자, 감각추구 여행자, 안정추구 여행자 및 경험추구 여행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 the tendency extraction unit 120 may classify the user's tendency into adventure-seeking travelers, sensation-seeking travelers, stability-seeking travelers and experience-seeking travel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이때, 성향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서로 다른 캐릭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ndency extracting unit 120 may provid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된 개인정보, 관심사, 선호 성별 및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개인정보, 관심사, 선호 성별 및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한다(S240).Next,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terest, preferred gender, and user's propensity and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interest, preferred sex, and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unterparts. Each matching score is calculated (S240).

이때, 상대방 각각에 대한 개인정보, 관심사, 선호 성별 및 추출된 성향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 별로 각각 저장되어있다.At this time, data on personal information, interests, preferred gender, and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ther are stored in the database for each user.

그리고, 매칭점수는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연산된다.And, the matching score i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정규화 계수이다.here,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and
Figure pat00010
is the normalization coefficient.

이때, 정규화 계수는 각각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normalization coefficient is used to convert each different data into data having the same size.

그리고, 성향차이 거리 값은 성향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2차원 좌표 값과 상대방의 성향에 따른 2차원 좌표 값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disposition difference distance value means a distance between the 2D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disposition extracted from the disposition extractor 120 and the 2D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of the other party.

이때, 선호 성별 여부는 상대방의 성별이 선호 성별일 경우 1로 설정되며, 비 선호 성별일 경우 0.5로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preferred gender is set to 1 when the other party's gender is the preferred gender, and is set to 0.5 when the opposite party's gender is the non-preferred gender.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여자인 경우 여행 동행자의 성별을 여성을 선호할 경우, 해당되는 상대방의 성별이 여성일 경우에는 1로 설정되며, 남성일 경우에는 0.5로 설정된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a woman and the gender of the travel companion is female, it is set to 1 if the corresponding partner's gender is female, and is set to 0.5 if the user is male.

다음으로, 매칭부(140)는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킨다(S250).Next, the matching unit 140 matches the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S250).

도 4는 도 2의 S2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250 of FIG. 2 .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매칭부(140)는 복수의 상대방에 대하여 매칭점수 별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matching unit 140 may provide rankings for a plurality of counterparts by matching scores.

그러면, 매칭부(140)는 여행 동행자로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상대방을 지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matching unit 140 may designate the partn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s the travel companion and provide it through the user terminal.

또한, 복수의 여행 동행자를 매칭하는 경우, 매칭부(140)는 사용자와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매칭 점수를 합산한 평균 값을 이용하여 여행 동행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Also, when matching a plurality of travel companions, the matching unit 140 may match the travel companions using an average value obtained by summing matching scores of the user and the plurality of counterpar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제 및 여행 취향에 따라 가장 근접한 여행자와 매칭되기 때문에, 해당 여행의 여행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여행의 안전성을 확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sest traveler is matched according to the same subject and travel taste, the travel satisfaction of the corresponding travel can be increased, and the safety of the travel can be expand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110: 입력부, 120: 성향 추출부,
130: 제어부, 140: 매칭부
100: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110: input unit, 120: propensity extrac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matching unit

Claims (10)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상기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
In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using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from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receiving an input of interests and preferred gender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the user's tendency by analyzing the response to the tendency analysis questionnaire;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user's propensit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counterparts is calculated calculating each matching score, and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atching a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박물관, 쇼핑, 문화, 사진, 레포츠, 음식, 골프, 술 및 역사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ubject is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that corresponds to any one of museums, shopping, culture, photography, leisure sports, food, golf, alcohol and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내향성/외향성 수치, 개방형/폐쇄형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치를 이용하여 성향 그래프에 2차원 좌표 값을 생성하며,
상기 성향 그래프의 x축은 내향성 및 외향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y 축은 개방형 및 폐쇄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r's tendency,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input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ntroversion/extroversion figures, open/closed figures are calculated, and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is generated in the propensity graph using the calculated figures,
The x-axis of the disposition graph represents the degree of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open and closed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점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연산되는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는 정규화 계수이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tching score is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11

here,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and
Figure pat00015
is the normalization coeffici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차이 거리 값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의 상기 성향 그래프 상의 2차원 좌표 값의 거리 값을 나타내는 여행 동행자 매칭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pensity difference distance value is,
A travel companion matching method indicating a distance value of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n the tendency graph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성향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및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따른 복수의 주제에 대한 관심사 및 선호 성별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추출하는 성향 추출부,
상기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사용자의 성향과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한 상기 개인정보, 상기 관심사, 상기 선호 성별 및 상기 추출된 성향과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각각의 매칭점수를 연산하는 제어부, 그리고
복수의 상대방 중에서 상기 매칭점수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여행 동행자로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In the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from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interests and preferred genders of a plurality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 propensity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user's propensity by analyzing the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user's propensit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interest, the preferred gender, and the extracted propens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tored counterparts is calculate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each matching score, and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comprising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a user having the highest matching score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s as a travel compan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박물관, 쇼핑, 문화, 사진, 레포츠, 음식, 골프, 술 및 역사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bject is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that corresponds to any one of museums, shopping, culture, photography, leisure sports, food, golf, alcohol and histo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추출부는,
상기 입력된 성향분석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내향성/외향성 수치, 개방형/폐쇄형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치를 이용하여 성향 그래프에 2차원 좌표 값을 생성하며,
상기 성향 그래프의 x축은 내향성 및 외향성의 정도를 나타내고, y 축은 개방형 및 폐쇄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endency extraction unit,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input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ntroversion/extroversion figures, open/closed figures are calculated, and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is generated in the propensity graph using the calculated figures,
The x-axis of the tendency graph represents the degree of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degree of open and closed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점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연산되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Figure pat00016

여기서,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는 정규화 계수이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tching score is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16

here,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and
Figure pat00020
is the normalization coeffici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차이 거리 값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의 상기 성향 그래프 상의 2차원 좌표 값의 거리 값을 나타내는 여행 동행자 매칭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pensity difference distance value is,
A travel companion matching system indicating a distance value of a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n the tendency graph between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KR1020200102458A 2020-08-14 2020-08-14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102435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58A KR102435982B1 (en) 2020-08-14 2020-08-14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58A KR102435982B1 (en) 2020-08-14 2020-08-14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40A true KR20220021640A (en) 2022-02-22
KR102435982B1 KR102435982B1 (en) 2022-08-25

Family

ID=8049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58A KR102435982B1 (en) 2020-08-14 2020-08-14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9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570A (en) * 2004-06-16 200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Friend introducing method using push to talk service
KR20170088279A (en) * 2016-01-22 2017-08-01 박윤섭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friend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personality type analysis
KR102096419B1 (en) *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Travel companion and product provid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analysis and the method using it
JP2020095637A (en) * 2018-12-14 2020-06-18 カルチュア・コンビニエンス・クラブ株式会社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troducing other members to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570A (en) * 2004-06-16 200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Friend introducing method using push to talk service
KR20170088279A (en) * 2016-01-22 2017-08-01 박윤섭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friend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personality type analysis
JP2020095637A (en) * 2018-12-14 2020-06-18 カルチュア・コンビニエンス・クラブ株式会社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troducing other members to member
KR102096419B1 (en) *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Travel companion and product provid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analysis and the method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982B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08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3817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40280600A1 (en) Meeting arrangement system between members of website and application
WO2016052149A1 (en) Commodity recommendation device and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JP6365915B2 (en) Response device, response system, respons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90023723A (en) Tourism goods recommending system using big data and wellness travel index
JP2004258764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O2020218907A1 (en) Concierge service system
KR101612782B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user reading
JP2001075972A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developing user group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dynamic user group generation program
KR102435982B1 (en) System for matching travel companion based on propensity analysis and method thereof
CN112685533A (en) Salesma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apiola et al. Online escorts: The influence of advertised sexual orientation
KR101401407B1 (en) Method of building research database using quest and search method using the database
KR102383284B1 (en) 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fieldtrip service using metaverse
JP2017049750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6258246B2 (en)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program
JP6043460B2 (en) Data analysis system, data analysis method, and data analysis program
Branz et al. Red is open-minded, blue is conscientious: Predicting user traits from instagram image data
Schafer Religiously traditional, unusually supportive? Examining who gives, helps, and advises in Americans’ close networks
Sujatha et al. Mining competitors and finding winning plans using feature scoring and ranking-based CMiner++ algorithm: finding top-K competitors
WO20150413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KR101907027B1 (en)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using analysis of webpage used in product of marketing and method thereof
KR102586575B1 (en) Attribute analysis device and attribute analysis program
Appel et al. Destiny: a cognitive mobile guide for the olymp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