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923A - drink capsules - Google Patents

drink caps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923A
KR20220017923A KR1020217039927A KR20217039927A KR20220017923A KR 20220017923 A KR20220017923 A KR 20220017923A KR 1020217039927 A KR1020217039927 A KR 1020217039927A KR 20217039927 A KR20217039927 A KR 20217039927A KR 20220017923 A KR20220017923 A KR 2022001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eal
layer
adhesive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렉스 고트-바텐
레슬리 고트-바텐
Original Assignee
알렉스 고트-바텐
레슬리 고트-바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렉스 고트-바텐, 레슬리 고트-바텐 filed Critical 알렉스 고트-바텐
Publication of KR2022001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9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브루 챔버를 갖는 커피 머신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은 알루미늄과 같은 연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캡슐은 상위 표면 및 하위 표면을 갖는 대체적 절두원추 형태를 가지며, 환형 플랜지가 하위 표면에 제공된다. 제1 및 제2 층을 갖는 환형 시일이 환형 플랜지 상에 제공되고, 제1 층은 셀룰로오스 재료의 긴 잘 결합된 섬유를 포함한다.Capsules for use in coffee machines having a brew chamber are formed of a soft metal such as aluminum. The capsule has a generally frustocon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n annular flang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 annular seal having first and second layers is provided on the annular flange, the first layer comprising long, well-bonded fibers of cellulosic material.

Description

음료 캡슐drink capsules

본 발명은 특히 고압 하에서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에스프레소 머신용 음료 캡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beverage capsules for espresso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under high pressure.

전동식 에스프레소 머신은 잘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에스프레소 머신은 물 챔버와, 물을 약 95 내지 98℃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그 후 물은 15 내지 19 bar의 고압 하에서 필터 홀더 또는 포타필터(portafilter)로 펌핑된다. 저압 시스템이 또한 존재한다. 필터 홀더는 통상적으로 손잡이 부분 및 홀더 부분을 포함하며, 홀더 부분에는 물이 펌핑되는 머신 브루헤드(brewhead)와 설치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2개 또는 3개의 러그(lug)가 제공된다. 저부에 다수의 천공부를 갖는 통상의 금속 보울(bowl)인 홀더 부분은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에, 필터는 미세 분쇄 커피로 충전되고, 물은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에서 커피를 통해 가압되어 필터 홀더 아래에 배치된 컵에 수집되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생성한다.Electric espresso machines are well known. A conventional espresso machine comprises a water chamber and a heating element configured to heat the water to about 95 to 98° C., after which the water is pumped into a filter holder or portafilter under a high pressure of 15 to 19 bar. Low pressure systems also exist. A filter holder typically includes a handle portion and a holder portion, provided with two or three lugs configured to engage in an installed position with a machine brewhead into which water is pumped. A holder portion, which is a conventional metal bowl with a number of perforations in the bottom,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lter. In use, the filter is filled with fine ground coffee, and water is pressurized through the coffee at high pressure generated by a pump to produce espresso coffee that is collected in a cup placed below the filter holder.

전통적인 커피 머신은 2가지 잠재적 단점이 있다. 제1 단점은 분쇄 커피는 몇 일 후에는 그 신선도 및 향미를 상실하기 시작하고, 따라서 최적의 에스프레소를 위해서 사용자는 커피 분쇄기를 구비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다른 단점은 사용된 에스프레소 커피가 필터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분쇄물이 미세하기 때문에 지저분함을 초래할 수 있다.Traditional coffee machines have two potential drawbacks. The first disadvantage is that the ground coffee begins to lose its freshness and flavor after a few days, so for an optimal espresso the user will also need to have a coffee grinder. Another disadvantage is that the used espresso coffee has to be removed from the filter, which can lead to messiness as the ground is fine.

이는 많은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사용될 수 있는 ESE 커피 포드(ESE coffee pod)의 개발로 이어졌다. 커피 포드는 일반적으로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포장되고, 커피를 수용하는 천공된 필터 종이로 이루어진 작은 포드로 구성된다. 포드는 필터 홀더 내에 배치되고 그 후 사용 후 폐기된다. 커피 포드는 편리하지만 필터 홀더에 끼워지고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물이 에지 주위로 누설될 수 있다.Thi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SE coffee pod, which could be used in many espresso machines. Coffee pods are usually individually packaged to maintain freshness, and consist of small pods of perforated filter paper containing the coffee. The pod is placed in a filter holder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Coffee pods are convenient, but they must fit into the filter holder and positioned correctly, otherwise water can leak around the edges.

이는 결국 캡슐 머신의 개발을 초래한다. 이들 머신을 위한 커피 캡슐은 완전히 밀봉된다. 캡슐 머신은 종래의 필터 홀더를 사용하지 않는다. 캡슐 머신은 통상적으로 2 부분 메커니즘을 갖는다. 제1 부분은 캡슐을 수용하고, 캡슐이 놓이는 추출 표면을 구비한다. 제2 부분에는 제1 및 제2 부분을 일체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잠금 레버가 제공된다. 사용 시에, 제2 부분은, 캡슐의 상위 표면을 커팅하여 물이 캡슐 내로 진입하고 캡슐을 통해 하향으로 스며들 수 있게 하고, 여기에서 물은 추출 표면의 기하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다수의 위치에서 캡슐의 하위 표면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러한 머신의 예가 EP 0870457 또는 WO2005/004683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캡슐 커피 머신 내의 캡슐은 사용 시에 캡슐이 커팅 부재에 의해 커팅될 수 있도록 캡슐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머신의 캡슐 케이지(capsule cage) 내로 삽입된다.This in tur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capsule machines. The coffee capsules for these machines are completely sealed. The capsule machine does not use a conventional filter holder. Capsule machines typically have a two-part mechanism. The first portion receives the capsule and has an extraction surface upon which the capsule rests. The second part is provided with a lock lever used to unite the first and second parts. In use, the second portion cu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to allow water to enter and permeate downwardly through the capsule, wherein the water is dir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determined by the geometry of the extraction surface. It is expell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apsule. Examples of such machines are disclosed in EP 0870457 or WO2005/004683. Capsules in known capsule coffee machines are inserted into a capsule cage of the machine which, in use, holds the capsules in place so that the capsules can be cut by a cutting member.

캡슐 머신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며 일관된 제품을 생성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제조사의 커피 머신 및 캡슐은 제조사 자신의 브랜드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캡슐의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밀봉된 캡슐을 이용하는 Nespresso®이다. 사용 시에, 캡슐은 캡슐 케이지 부분이 캡슐을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머신 내의 위치로 클램핑되고, 따라서 캡슐은 통상적으로 압력 하의 물이 커피 캡슐에 진입할 수 있도록 3개의 프롱(prong)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Capsule machines have proven to be very successful commercially because they are very convenient to use and produce consistent products. However, each manufacturer's coffee machines and capsules are designed to work under the manufacturer's own brand. The most popular brand of capsules is Nespresso®, which uses sealed capsules made of aluminum. In use, the capsule is clamped into position within the machine with the capsule cage portion holding the capsule, so the capsule can be cut by three prongs to allow water, usually under pressure, to enter the coffee capsule. have.

알루미늄은 산소 및 물 불투과성이라는 상당한 장점을 가지며, 이는 캡슐 내의 커피가 긴 저장 수명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충전 및 패킹 단계 동안 알루미늄이 쉽게 변형되고 캡슐 테두리 상에 신뢰성 있는 시일을 생성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듣다는 점에서 몇가지 주요한 단점을 또한 갖는다. 상당한 연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작동하는 유일한 공지된 시일은 EP1654966에 개시된 실리콘 탄성중합체이다. 이들 캡슐에서, 알루미늄 테두리의 에지는 전방 포일 시일이 부착되어 있는 곳 위로 말린다. 이들 문제에 대한 공지된 해결책은 대부분의 회사가 할 수 없는 매우 높은 자본 투자를 추가로 요구한다.Aluminum has the significant advantage of being impermeable to oxygen and water, which means that the coffee in the capsule has a long shelf life. However, aluminum also has several major disadvantages in that the aluminum deforms easily during the filling and packing steps and it is difficult and expensive to create a reliable seal on the capsule rim. The only known seal that works despite considerable research efforts is the silicone elastomer disclosed in EP1654966. In these capsules, the edge of the aluminum rim is rolled over where the front foil seal is attached. Known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dditionally require very high capital investments that most companies cannot.

캡슐 테두리로부터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융기된 리브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이들 시일은 기능적이지만 캡슐이 포일로 밀봉되는 캡슐의 전방 원주 상의 유효 밀봉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는 포일 시일의 허용될 수 없는 높은 실패율을 초래하여 충전된 캡슐이 탈기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커피가 신선하지 않게 된다.It has been proposed to use raised ribs formed by extruding material from the capsule rim. These seals are functional but reduce the effective sealing area on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apsule where the capsule is sealed with the foil. This results in an unacceptably high failure rate of the foil seal resulting in degassing of the filled capsules and consequently not fresh coffee.

종이 개스킷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또한 여러 이유로 인해 실패하였다. 공지된 종이 개스킷은 손잡이가 커피 머신 위로 들어올려질 때 브루 챔버(brew chamber)의 급속한 감압으로 인해 박리되는 경향이 있어, 재료의 적층 층이 분리되어 캡슐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표면에 인쇄된 잉크가 방수 장벽을 형성함에 따라 개스킷 내의 압력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 추가 유형의 박리가 발생한다.Attempts to use paper gaskets have also failed for several reasons. Known paper gaskets tend to peel off due to the rapid depressurization of the brew chamber when the handle is lifted over the coffee machine, causing the stacked layers of material to separate and detach from the capsule. An additional type of delamination occurs when the ink printed on the surface forms a water barrier and prevents pressure in the gasket from escaping.

이러한 박리된 개스킷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머신 내의 브루 챔버 상에 축적될 수 있고 후속 캡슐이 추출 중에 누설되게 하며 짧은 샷/불충분한 추출을 야기한다.This peeled gasket material can build up on the brew chamber in the machine over time and cause subsequent capsules to leak during brewing and cause short shots/incomplete brewing.

추가적인 문제는 종이 개스킷은 커피 추출 중에 발생하는 고압을 견디기에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파열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개스킷은 작은 영역에서 붕괴되어 물이 빠져나가게 하고 압력을 감소시킨다.A further problem is that paper gaskets are prone to rupture because they do not have sufficient wet strength to withstand the high pressures encountered during coffee extraction. The gasket collapses in a small area, allowing water to escape and reducing the pressure.

알루미늄 캡슐의 추가 문제는 추출을 위해 물이 커피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캡슐 포일의 천공으로 인해 발생한다. 구멍의 크기는 캡슐 내로의 그리고 캡슐을 통한 물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고, 구멍이 클수록 유량이 커지고, 구멍이 작을수록 유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은 커피의 품질에 있어서 중요한데, 너무 느린 유량은 과잉 추출을 초래하여 커피가 쓴 맛이 되게 하고, 너무 빠른 유량은 너무 약한 추출을 초래하여 커피가 풍미를 가지지 못하게 한다.A further problem with aluminum capsules arises from the perforation of the capsule foils that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coffee for extraction. The size of the orifice affects the flow rate of water into and through the capsule, the larger the hole the greater the flow rate and the smaller the hole the smaller the flow rate. Therefore, controlling the flow rate is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the coffee, with a flow rate that is too slow which results in over-extraction and makes the coffee bitter, and a flow rate that is too fast results in too weak extraction and thus unflavored coffee.

따라서 본 발명은 개선된 커피 캡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offee capsule.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커피 머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이 제공되고, 이 머신은 캡슐을 추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캡슐 케이지를 가지며, 캡슐은 연성 금속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sule for use in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part of claim 1 , the machine having a capsule cage for holding the capsule in the brewing position, the capsule being formed of a soft metal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시일은 유리하게는 캡슐을 위한 양호한 시일을 제공하며 공지된 실리콘 시일에 비해 더 용이하게 재활용된다.The seal of the present invention advantageously provides a good seal for capsules and is more readily recycled compared to known silicone seals.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캡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머신 블레이드와 상호작용하는 캡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는 커피 머신의 브루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캡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제1 층형 시일을 도시한다.
도 3b는 제2 층형 시일을 도시한다.
도 4는 시일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1 대안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제2 대안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1a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capsule;
1b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capsule interacting with a machine blade;
1c schematically shows the brewhead of a coffee machin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3A shows a first layered seal.
Figure 3b shows a second layered seal.
Figure 4 shows the laminate structure of the seal.
Fig. 5a schematically shows a first alternative structure.
Figure 5b schematically shows a second alternative structure.

도 1a는 본체(2)에 대해 대체적 절두원추 형태를 갖는 캡슐(1)의 단면을 도시한다. 캡슐의 상위 단부(3)는 하위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절두원추형 섹션(4)을 갖는다. 상위 단부(3)에는 상위 단부(3)의 중심에 추가적 절두원추형 만입부(5)가 추가로 제공된다. 캡슐에는 상위 단부(3)로부터 멀리 있는 본체(2)의 단부에 플랜지(7)가 제공된다.1a shows a cross-section of a capsule 1 having a general frustoconical shape with respect to a body 2 . The upper end 3 of the capsule has a second frustoconical section 4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end. The upper end 3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additional frusto-conical indentation 5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3 . The capsule is provided with a flange 7 at the end of the body 2 remote from the upper end 3 .

캡슐이 시장의 광범위한 캡슐 커피 머신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V, W, X 및 Y로 표시된 4개의 치수는 중요하고 머신 내의 캡슐의 삽입 및 방출에 관한 문제를 피하는 경우에 이용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capsule functions effectively in a wide range of capsule coffee machines on the market, the four dimensions, denoted V, W, X and Y, are important and need to be used in cases where problems with insertion and ejection of the capsule within the machine are avoided. .

도 1b는 캡슐에 대한 추가적인 치수, 즉 캡슐 밀봉 표면과 캡슐의 상부에서 머신 블레이드와 상호작용하는 캡슐의 표면 사이의 거리인 A를 도시하며, 도 1c는 커피 머신 브루 헤드 또는 캡슐 케이지 밀봉 표면과 블레이드(20)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인 치수 B를 도시한다. 치수 A는 플랜지 상의 시일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치수 B는 캡슐 커피 머신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블레이드의 관통 깊이는 치수 A로부터 치수 B를 감산함으로써 추정된다.1B shows an additional dimension for the capsule, ie the distance A between the capsule sealing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capsule interacting with the machine blade on top of the capsule, FIG. 1C showing the coffee machine brew head or capsule cage sealing surface and blade The dimension B,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ips in (20), is shown. Dimension A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seal on the flange, while dimension B is determined by the capsule coffee machine design.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blade is estimated by subtracting dimension B from dimension A.

도 2는 상위 표면으로부터 외향하는 환형 돌출 표면(10)이 제공되는 캡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 표면(10)은 모따기되거나 경사지지만 곡면일 수도 있다. 돌출 표면(10)은 블레이드에 대해 표면(4)보다 더 가파른 각도를 제공하고, 이는 블레이드의 진입을 향상시킨다. 플랜지(7)는 직립 벽(8)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캡슐의 벽과 직립 벽(8) 사이에 홈통(9)을 형성한다. 그 후, 직립 벽(8)은 원위 단부가 실질적으로 캡슐의 종방향 평면에 있지만 홈통(9) 아래에 있도록 개구와 동일한 측을 향해 다시 아래로 만곡된다. 원위 단부의 형상은 개방 후크를 형성한다. 개방 후크는 패킹 또는 충전 후에 캡슐을 폐쇄하도록 시일을 수용한다. 개방 후크 형상은, 알루미늄 같은 더 부드러운 더 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캡슐에 포일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보강을 제공하는 복수의 웨브(web)를 플랜지의 테두리에 제공한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provided with an annular protruding surface 10 fac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 protruding surface 10 may be chamfered or beveled but curved. The protruding surface 10 provides a steeper angle to the blade than the surface 4, which improves entry of the blade. The flange 7 comprises an upright wall 8 , thereby forming a trough 9 between the wall of the capsule and the upstanding wall 8 . The upstanding wall 8 is then curved back down towards the same side as the opening so that the distal end is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plane of the capsule but below the trough 9 . The shape of the distal end forms an open hook. The opening hook receives the seal to close the capsule after packing or filling. The open hook configuration provides the rim of the flange with a plurality of webs that provide some reinforcement so that the foil can be easily attached to a capsule made of a softer, softer material such as aluminum.

환형 표면(10)은 0.15mm과 0.35mm 사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0.25mm만큼 캡슐 표면(12)의 주위 평면으로부터 상승된다. 표면은 머신들 사이의 공차를 허용하기 위해 약 0.2 내지 0.3mm의 폭을 갖는다. 캡슐의 평면형 표면에 대한 표면의 각도는 30° 내지 34°이고, 각도는 캡슐의 중심으로부터 에지까지 증가된다. 돌출 표면의 높이의 범위 내에서, 브루 헤드의 블레이드는 캡슐(12)의 평면형 표면에 대해 약 30°의 입사각을 유지한다. 블레이드의 입사각이 약 35° 초과 또는 약 25°미만인 경우, 캡슐이 관통되기 보다는 블레이드의 작용 하에서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0.95 내지 1.05mm 직경의 구멍 크기가 달성될 수 있고, 이는 표준 에스프레소 분쇄물에 대한 최적의 유량을 허용한다.The annular surface 10 is raised from the peripheral plane of the capsule surface 12 by between 0.15 mm and 0.35 mm,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by 0.25 mm. The surface has a width of about 0.2 to 0.3 mm to allow for tolerances between machines. The angle of the surface to the planar surface of the capsule is between 30° and 34°, with the angle increasing from the center of the capsule to the edge. Within the range of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surface, the blades of the brew head maintain an angle of incidence of about 30° with respect to the planar surface of the capsule 12 .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blade is greater than about 35° or less than about 25°, the capsule tends to deform under the action of the blade rather than penetrate. Within the scope of specific embodiments, hole sizes of 0.95 to 1.05 mm diameter can be achieved, which allows for optimal flow rates for standard espresso grounds.

대체로 환형 형태를 갖는 시일(9)이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시일 구조로 플랜지 상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시일은 화학(황산염) 펄프 또는 CTMP(화학-열기계적 펄프)의 층 또는 화학(황산염) 펄프 및 CTMP(화학-열기계적 펄프)의 층을 갖는 3개의 층을 포함한다. 화학적 펄핑 공정은 긴 잘 결합된 섬유를 생성하고, 이는 재료에 높은 강도 및 내수성을 제공한다.A seal 9 having a generally annular shape is provided on the flange in the exemplary seal structure shown in FIGS. 3A, 3B and 4 . Exemplary seals include three layers with a layer of chemical (sulphate) pulp or CTMP (chemical-thermomechanical pulp) or a layer of chemical (sulphate) pulp and CTMP (chemical-thermomechanical pulp). The chemical pulping process produces long, well-bonded fibers, which give the material high strength and water resistance.

재료 구조는 또한 양호한 에지 윅 저항(edge wick holdout)을 제공한다. 에지 윅은 보드의 노출된 에지를 따른 액체 침투에 대한 저항을 규정하고, 이는 사용 시에 개스킷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The material structure also provides good edge wick holdout. The edge wick defines resistance to liquid penetration along the exposed edge of the board, which helps maintain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gasket in use.

PE:P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는 하이브리드 적층 옵션이며, 하이브리드 개념은 탄성 재료(예로서, 발포체/플라스틱/실리콘 중 하나) 및 비탄성 변형가능 재료(즉, 종이)의 적층일 수 있다. 적층물은 종이가 소성 변형되도록 종이가 외측 또는 상위 층인 2개 이상의 층일 수 있다.A further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ures 3A and 3B is a hybrid lamination option, wherein the hybrid concept can be a lamination of an elastic material (e.g., one of foam/plastic/silicone) and an inelastic deformable material (i.e., paper). have. The laminate may be two or more layers, with the paper being the outer or upper layer such that the paper is plastically deformed.

브루헤드 내에 잔류하는 물은 커피 머신이 사용 중일 때 종이 또는 셀룰로오스 재료의 소량의 팽창을 야기하며, 이러한 팽창은 브루헤드 상의 성곽부(castellation)와의 더 양호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시일을 향상시킨다.Residual water in the brewhead causes a small amount of swelling of the paper or cellulosic material when the coffee machine is in use, which swelling allows for better bonding with the castellation on the brewhead, which improves the seal.

시일은 접착제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The seal may be held in place by adhesive or mechanical means.

제1 실시예에서, 시일은 커피 추출 중에 보여지는 100도를 충분히 초과하지만 캡슐 충전 중의 짧은 드웰 시간 동안 활성화될 정도로 충분히 낮은 약 140도의 용융 범위를 갖는 접착제 구체적으로 전분계 생분해성 접착제로 플랜지에 고정된다. 상승된 밀봉 헤드 온도를 사용하면 그 짧은 시간에 140도의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In a first embodiment, the seal is secured to the flange with an adhesive having a melt range of about 140 degrees, which is well above the 100 degrees seen during coffee brewing, but low enough to be activated for a short dwell time during capsule filling, specifically a starch-based biodegradable adhesive. do. With an elevated sealing head temperature, temperatures of 140 degrees can be reached in that short tim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압력 및/또는 열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건식 열 공정일 수 있거나 증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압력 및/또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개스킷은 스웨이징(swage out)되고 내경 주위로 조여져서, 캡슐에 걸쳐 타이트한 피팅을 생성한다. 외경이 또한 증가하여, 개스킷을 캡슐의 테두리에 대해 가압한다.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gasket may be applied by pressure and/or heat without the use of an adhesive. This could be a dry thermal process or it would be possible to use steam. As pressure and/or heat is applied, the gasket is swaged out and tightened around the inner diameter, creating a tight fit across the capsule. The outer diameter also increases, pressing the gasket against the rim of the capsule.

추가적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열 밀봉가능 접착제를 보드에 직접 도포할 수 있다. 이는 필름을 보드에 접착하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어 비용을 감소시키고 재활용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액체 열 밀봉가능 접착제는 하나 이상의 코팅으로 도포된다. 첫 번째 코팅은 프라이머(primer)로서 작용하고, 후속 코팅 또는 코팅들은 모든 접착제가 보드 내로 흡수되지는 않는 것을 보장하면서 표면 상에 있는 두께 레벨을 구축하도록 도포된다. 도포되는 열 밀봉 접착제의 예시적인 평량은 4 내지 30gsm이다.In a fur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liquid heat sealable adhesive may be applied directly to the board. It can be used instead of gluing the film to the board, which will help reduce cost and improve recyclability. The liquid heat sealable adhesive is applied with one or more coatings. The first coating acts as a primer and subsequent coatings or coatings are applied to build up a level of thickness on the surface ensuring that not all adhesive is absorbed into the board. An exemplary basis weight of the heat seal adhesive to be applied is 4 to 30 gsm.

미관적 이유로, 캡슐에 색상 정합된 개스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접근법은 캡슐이 배출될 때 추출 중에/후에 개스킷이 브루 챔버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잉크가 열 및 압력에 노출될 때 연화되고 재활성화(연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 후, 냉각시, 잉크 및 개스킷은 브루 챔버에 달라붙는다. 이는 브루 챔버 상에 개스킷의 모두 또는 일부를 남겨둘 수 있어, 결국 추출 중에 누설을 유도하는 축적을 야기한다. 인쇄된 개스킷은 또한 개스킷으로부터의 압력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For aesthetic reasons, it is preferred to use color matched gaskets for the capsules. Known approaches have the problem of gaskets being attached to the brew chamber during/after extraction when the capsules are ejected. This is because ink softens and is prone to reactivation (softening) when exposed to heat and pressure. Then, upon cooling, the ink and gasket stick to the brew chamber. This may leave all or part of the gasket on the brew chamber, eventually causing build-up leading to leakage during extraction. A printed gasket may also prevent pressure release from the gasket.

바람직한 양태에서, 시일은 비코팅 보드로 또는 일 측면 상에만 코팅된 보드로 만들어지고, 예를 들어 캡슐 본체에 시일을 컬러 정합시키기 위해 비코팅 측면에 잉크가 도포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유리하게는 잉크가 보드의 코어 내로 스며들 수 있게 하여, 박리 가능성을 낮춘다. 대안적으로, 코팅되지 않은 측면에 패턴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인쇄 층을 작은 단편으로 분할하고, 이는 압력이 빠져나가게 한다. 박리가 시작되면, 패턴은 박리 확산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패턴은 점/쇄선/물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적으로, 패턴은 보드가 완전히 인쇄된 것처럼 보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al is made as an uncoated board or as a board coated on only one side, and ink is applied to the uncoated side, for example to color match the seal to the capsule body. This approach advantageously allows the ink to seep into the core of the board, lowering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attern to the uncoated side, which splits the printed layer into small fragments, which allow the pressure to escape. Once delamination begins, the pattern reduces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spreading. The pattern may include a dotted/dotted line/wavy line and the like. Aesthetically, the pattern can be chosen so that the board appears fully printed.

이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쇄된 표면의 상부에 걸쳐 적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고, 잉크는 브루 챔버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활성화되더라도, 잉크는 브루 챔버에 달라붙을 수 없다.This can be addressed by laminating over the top of the printed surface, as shown in Figure 4, and the ink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brew chamber. Therefore, even if reactivated, the ink cannot stick to the brew chamber.

캡슐 벽에는 실질적으로 본체의 측벽 부분(2)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플루트(flute)가 제공된다. 플루트는 측벽(2)의 최대 외부 반경으로부터 0.1 내지 0.3mm만큼 오목하다. 플루트는 0.5 내지 10mm 폭일 수 있다. 플루트는 측벽 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apsule wall is provided with a flute extending substantially over the l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2 of the body. The flutes are concave by 0.1 to 0.3 mm from the maximum outer radius of the side wall 2 . The flutes may be 0.5 to 10 mm wide. The flutes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continuously within the sidewall.

놀랍게도, 측벽(2)의 상당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플루트의 제공은 캡슐의 강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캡슐은 변형될 가능성이 훨씬 작아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플루트형 설계 캡슐은 캡슐의 측면을 2.0mm만큼 변형시키기 위해서 20N의 힘을 필요로 하는 반면, 공지된 캡슐은 10N 내지 15N의 힘을 필요로 한다. 힘은 9.0mm 직경의 패드를 사용하여 캡슐의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개스킷 밀봉 표면으로부터 1/3만큼 위에서 가해진다. 이는 캡슐의 제조 및 그 충전의 양자 모두에서 캡슐 취급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는 또한 운송 중에 손상될 가능성이 낮다. 이는 캡슐 생산에서 낭비를 감소시킬 것이고, 재활용성과 관련하여 플라스틱에 비해 바람직한 알루미늄 캡슐의 더 광범위한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Surprising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ovision of flutes extending o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idewall 2 greatly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capsule, making the capsule much less likely to deform. The fluted design capsule requires a force of 20N to deform the side of the capsule by 2.0 mm, whereas the known capsule requires a force of 10N to 15N. The force is applied 1/3 above the gasket seal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apsule using a 9.0 mm diameter pad. This greatly improves the ease of handling capsules, both in the manufacture of the capsules and in their filling. It is also less likely to be damaged during transport. This will reduce waste in capsule production and facilitate the wider use of aluminum capsules, which is desirable over plastics with respect to recyclability.

본 발명의 캡슐에서, 알루미늄은 두께가 0.075 내지 0.125mm이다.In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has a thickness of 0.075 to 0.125 mm.

도 5a는 환형 시일(9)에 환형 홈 또는 오목한 리브(15)가 제공되는 시일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대응하는 환형 홈(16)이 캡슐의 환형 플랜지 상에 형성된다. 환형 홈(16)은 커피 머신의 캡슐 케이지를 수용할 수 있다.5a shows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of the seal in which the annular seal 9 is provided with an annular groove or concave rib 15 . A corresponding annular groove 16 is formed on the annular flange of the capsule. The annular groove 16 may receive the capsule cage of the coffee machine.

도 5b는 도 5a의 배치에 대한 대안적인 배치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시일에는 환형 돌출부 또는 볼록한 리브(17)가 제공된다. 환형 플랜지에는 대응하는 돌출부 또는 리브(18)가 제공된다. 사용시, 커피 머신의 캡슐 케이지는 돌출부에 결합되어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FIG. 5B shows an alternative arrangement to that of FIG. 5A , wherein the seal is provided with an annular projection or convex rib 17 . The annular flange is provided with corresponding projections or ribs 18 . In use, the capsule cage of the coffee machine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to form a seal.

캡슐은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차 또는 초콜릿과 같은 다른 음료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캡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capsules have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s being used for making espresso coffee, it is possible to use the capsules for making other beverage capsules such as tea or chocolate.

Claims (15)

브루 챔버를 갖는 커피 머신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이며, 캡슐은 상위 표면 및 하위 표면을 갖는 대체적 절두원추 형태를 갖고, 환형 플랜지가 상기 하위 표면에 제공되고, 사용시 소성 변형되는 종이 같은 셀룰로오스 재료를 포함하는 환형 시일이 환형 플랜지에 제공되고, 환형 시일은 제1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긴 잘 결합된 섬유를 포함하는 캡슐.A capsule for use in a coffee machine having a brew chamber, the capsule having a generally frustoconic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 annular flang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d comprising a paper-like cellulosic material that plastically deforms in use. A capsule comprising an annular seal provided on the annular flange, the annular seal comprising first and second layers, the first layer comprising elongate well-bonded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제2 층은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The capsul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n elastically compressible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일은 캡슐 테두리에 시일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위한 층을 더 포함하는 캡슐.3. The capsul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eal further comprises a layer for adhesive for attaching the seal to the capsule ri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층은 화학적(황산염) 펄프 또는 CTMP(화학-열기계적 펄프)로 형성되는 캡슐.4 . The capsu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layer is formed from chemical (sulphate) pulp or CTMP (chemical-thermomechanical pulp).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은 액체 열 밀봉가능 접착제의 층을 포함하는 캡슐.5. The capsul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al comprises a layer of liquid heat sealable adhesive.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약 140℃의 용융 범위를 갖는 전분계 생분해성 접착제인 캡슐.6. The capsule of any one of claims 3-5, wherein the adhesive is a starch-based biodegradable adhesive having a melting range of about 140°C.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일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압력 및/또는 열에 의해 적용되며, 압력 및/또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개스킷이 스웨이징되고 시일의 내경 주위로 조여져서 캡슐 상의 제 위치에 시일을 고정하는 캡슐.3. The sea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al is applied by pressure and/or heat without the use of adhesive, and as pressure and/or heat is applied, the gasket is swaged and tightened arou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 to form the seal on the capsule. A capsule that holds the seal in pla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은 비코팅 보드로 또는 일 측면에만 코팅된 보드로 만들어지며 잉크가 비코팅 측면에 도포되는 캡슐.8. The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eal is made of an uncoated board or of a board coated on only one side and the ink is applied on the uncoated sid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턴이 시일의 비코팅 측면에 도포되고, 패턴은 인쇄 층을 작은 단편으로 분할하여 압력이 빠져나가게 하는 캡슐.9. A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 pattern is applied to the uncoated side of the seal, the pattern splitting the printed layer into small pieces to release pressure.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시일은 잉크가 커피 머신의 브루 챔버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인쇄된 표면의 상부에 걸쳐 적층되는 캡슐.10. A capsule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seal is laminated over the top of the printed surface such that the ink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rew chamber of the coffee machin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 윅은 10분 동안의 95℃의 온수에서의 에지 윅 시험에서 5mm 미만인 캡슐.11 . The capsu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edge wick is less than 5 mm in an edge wick test in hot water at 95° C. for 10 minute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은 3000 내지 5000mN의 내인열성과 90J/m2 이상의 내부 접합 강도를 갖는 캡슐.12. The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seal has a tear resistance of 3000 to 5000 mN and an internal bond strength of at least 90 J/m 2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은 커피 머신의 캡슐 케이지 또는 브루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홈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밀봉 결합을 제공하는 캡슐.13. A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eal has an annular groove for receiving the coffee machine's capsule cage or brewhead, thereby providing a sealing fit.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은 커피 머신의 캡슐 케이지 또는 브루헤드와의 결합을 위한 환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밀봉 결합을 제공하는 캡슐.13. A 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eal has an annular projection for engagement with the coffee machine's capsule cage or brewhead, thereby providing a sealing engagement.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대응하는 홈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캡슐.15. A capsule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flanges have corresponding grooves or projections.
KR1020217039927A 2019-05-07 2020-05-07 drink capsules KR202200179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6430.2A GB2584610B (en) 2019-05-07 2019-05-07 Beverage capsule
GB1906430.2 2019-05-07
PCT/EP2020/062787 WO2020225390A1 (en) 2019-05-07 2020-05-07 Beverage caps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923A true KR20220017923A (en) 2022-02-14

Family

ID=6738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927A KR20220017923A (en) 2019-05-07 2020-05-07 drink capsules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04255A1 (en)
EP (1) EP3966132A1 (en)
KR (1) KR20220017923A (en)
CN (1) CN114007958A (en)
AU (1) AU2020269937A1 (en)
BR (1) BR112021022377A2 (en)
GB (2) GB2584610B (en)
WO (1) WO20202253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4197B1 (en) * 2019-11-08 2021-07-20 Euro Caps Holding B V A capsule having a sealing ring with an inner liquid-permeable compressible layer and outer liquid-impermeable shielding layer.
CN115087605A (en) 2020-02-19 2022-09-20 萨龙股份公司 Capsule for beverages
EP4148000B1 (en) * 2021-09-14 2023-12-06 Albmarserg Inversiones, SL A capsule for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s with a seal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3026A (en) * 1991-07-05 1997-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ea filter pack for automatic brewers
WO1994002059A1 (en) 1992-07-20 1994-02-0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Extraction method for sealed flexible bags and device therefor
US20040265436A1 (en) * 2002-07-06 2004-12-30 Cai Edward Z Coffee filter paper and method of use
US7189308B2 (en) * 2002-11-08 2007-03-13 Wausau Paper Corp. Treated paper product
EP1495702A1 (en)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evice for the extraction of a cartridge
FI116956B (en) * 2004-06-17 2006-04-13 Stora Enso Oyj Digital printing of polymer coated paper or board
NZ553063A (en) * 2004-08-23 2010-11-26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drink by injecting a pressurized fluid into the capsule
DK1654966T3 (en) * 2004-10-25 2007-02-19 Nestec Sa Capsule with sealants
EP1839543B1 (en) 2006-03-31 2008-06-25 Nestec S.A. Capsule with outer sealing material pressurized by a fluid
ES2326909T3 (en) * 2006-04-24 2009-10-21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DRINK WITH A HERMETIC CLOSURE ELEMENT UNITED TO THE SAME AND MANUFACTURING PROCEDURE OF THE SAME.
PT2239211E (en) * 2009-04-09 2014-05-07 Nestec Sa Capsule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with delaminating or breakable seal at delivery wall
DK2630899T3 (en) * 2009-06-17 2019-08-12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EP2284100B1 (en) * 2009-08-05 2011-06-08 Nestec S.A. Capsule with dedicated sealing means
ES2402596T5 (en) * 2009-08-05 2022-03-23 Nestle Sa Capsule with relief-shaped sealing element
EP2308776B1 (en) * 2009-08-19 2013-05-29 Nestec S.A. Capsule system comprising a capsule and a water injection device
EP2520202B1 (en) * 2011-05-02 2014-07-23 Mocoffee AG Device an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GB2499201B (en) * 2012-02-07 2014-07-02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oded insert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5339283B (en) * 2013-07-01 2017-05-1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the like
US20170008694A1 (en) * 2013-12-03 2017-01-12 Biserkon Holdings Ltd.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apsule
NL2012062C2 (en) * 2014-01-08 2015-07-09 Koninkl Douwe Egberts Bv Form-retaining pad for use in a coffee maker.
US9295357B2 (en) * 2014-01-17 2016-03-29 Keurig Green Mountain, Inc. Apparatus for cup and carafe beverage production
ES2544152B2 (en) * 2014-02-27 2016-04-04 Universidad De Cádiz Elastic fins for container hookers
ES2711186T3 (en) * 2014-02-28 2019-04-30 Sacmi Cup for a coffee capsule
EP2930958A1 (en) * 2014-04-07 2015-10-1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ound wave field generation
EP3145838B1 (en) * 2014-05-23 2020-12-16 Advanced Technology Assets B.V.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sule
US20170225423A1 (en) * 2014-12-23 2017-08-10 Dixie Consumer Products Llc Methods for securing a shrinkable film to a paperboard substrate and methods for making paperboard containers therefrom
RU2699455C2 (en) * 2015-04-27 2019-09-05 Ново Капсьюл Аг Capsule for use i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EP3134329B9 (en) * 2015-05-15 2019-09-18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O2016186493A1 (en) * 2015-05-15 2016-11-24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O2017063680A1 (en) * 2015-10-13 2017-04-20 Biserkon Holdings Ltd.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sule
ITUB20155347A1 (en) * 2015-10-30 2016-01-30 Cossa Polimeri S R L CAPS FOR THE PREPARATION OF INFUSION OR SOLUBLE BEVERAGES.
AU2016348265B2 (en) * 2015-11-06 2021-07-29 The Coca-Cola Company Producing articles with multiple color inks
RU2731631C2 (en) * 2015-11-27 2020-09-07 Тетра Лаваль Холдингз Энд Файнэнс С.А.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container
US20170210553A1 (en) * 2016-01-25 2017-07-27 Edward Francis Burress Coffee Pod for Point of Sale Device
DE102016201498B4 (en) * 2016-02-01 2017-08-17 Norbert Kuhl OXYGEN-CONTAINED FOOD CONTAINER
US20170251863A1 (en) * 2016-03-03 2017-09-07 Juicero, Inc. Angled juicing system
FR3050725B1 (en) * 2016-04-29 2019-07-12 Ahlstrom Corporation COMPOSTABLE OPERATOR FOR CAPTURING CAPSULE AND CAPSULE OBSTRUCTED BY THE OPERCULE
HUE055572T2 (en) * 2016-07-04 2021-12-28 Nestle Sa Container for producing a beverage capsule and capsule thereof
AU2017318676B2 (en) * 2016-09-01 2022-06-02 Chemstone, Inc. Methods for biobased derivatization of cellulosic surfaces
IT201600111266A1 (en) * 2016-11-04 2018-05-04 Safta Spa CAPSULE, MANUFACTURING METHOD, MULTILAYER FILM
JP7161838B2 (en) * 2017-02-10 2022-10-27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Molding packaging material and surface-printed electricity storag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20180319582A1 (en) * 2017-05-08 2018-11-08 G-Pak Technology Inc. Beverage Capsule
US20190055070A1 (en) * 2017-08-17 2019-02-21 Selig Sealing Products, Inc. Tabbed Seal For Beverage Pod
GB2567418B (en) * 2017-09-28 2020-09-30 Hpc Healthline Uk Ltd A biodegradable single-serve beverage cartridge
GB201720894D0 (en) * 2017-11-08 2018-01-31 Gort-Barten Alex Beverage capsule
DE102018115236A1 (en) * 2018-06-25 2020-01-02 Spc Sunflower Plastic Compound Gmbh Multi-layer film, especially sealing film
FR3085301B1 (en) * 2018-09-04 2020-09-04 Ahlstrom Munksjo Specialties COMPOSTABLE CAPSULE INTENDED TO CLOSE A CAPSULE AND CAPSULE CLOSED BY THE OPER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84959B (en) 2023-11-08
AU2020269937A1 (en) 2022-01-06
BR112021022377A2 (en) 2022-01-04
WO2020225390A1 (en) 2020-11-12
US20220204255A1 (en) 2022-06-30
GB201906430D0 (en) 2019-06-19
GB2584610A (en) 2020-12-16
CN114007958A (en) 2022-02-01
GB2584610B (en) 2023-02-15
GB2584959A (en) 2020-12-23
EP3966132A1 (en) 2022-03-16
GB202006831D0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7923A (en) drink capsules
JP7349434B2 (en) beverage capsule
EP2510803B1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EP2443046B1 (en) Capsule for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s
JP2004509815A (en) Closed cartridge for preparing beverages to be extracted under pressure
KR20230110732A (en) Capsules and systems for preparing beverages
US20230248176A1 (en) System for preparing beverages
EP3740441A1 (en) Beverage capsule
EP3898451A1 (en) Beverage capsule
EP3983313B1 (en) Capsule for beverages
GB2548013A (en) Beverage capsule
AU2014218468A1 (en) System, method an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