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008A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008A
KR20220014008A KR1020200093540A KR20200093540A KR20220014008A KR 20220014008 A KR20220014008 A KR 20220014008A KR 1020200093540 A KR1020200093540 A KR 1020200093540A KR 20200093540 A KR20200093540 A KR 20200093540A KR 20220014008 A KR20220014008 A KR 2022001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psule
grinding
bur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규
이정원
최종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008A/en
Priority to PCT/KR2021/002638 priority patent/WO2022025379A1/en
Publication of KR2022001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0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device including: a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a capsule for storing coffee beans is mounted; a capsule opening unit which opens the capsule to discharge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an opening gear unit which includes a first opening gear for rotating the capsule opening unit; a grinding unit which grinds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by combining with the capsule opening unit in a direction where the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nd a grinding gear unit which includes a main grinding gear connected to a grinding main gear shaft for rotating the first opening gear, and is positioned under the opening gear unit to rotate the grinding unit by the grinding main gear.

Description

커피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를 저장하고 있는 캡슐을 개봉하는 캡슐개봉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ffee extrac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capsule opening unit for opening a capsule storing coffee beans.

최근에는 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를 캡슐(capsule)로 제공하여 정해진 레시피(recipe)에 의해 압력 또는 원심력을 가해 에스프레소(espresso)를 추출하는 머신(이하 캡슐커피머신이라 칭함)이나, 드립방식으로 추출하는 머신(이하 캡슐드립머신이라 칭함)들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 Recently, a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psule coffee machine) that extracts espresso by applying pressure or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by providing coffee powder with ground coffee beans as a caps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psule coffee machine) or by drip method mach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sule drip machines) are widely sold.

특히, 캡슐커피머신의 경우 원두를 분쇄 후 분쇄된 커피가루가 레시피에 따른 정량이 캡슐에 담겨있어, 캡슐을 캡슐커피머신에 삽입하면, 캡슐을 뚫고 일정 온도의 물을 흘려보내면서 압력을 가하거나 고속회전을 통해 커피를 추출해낼 수 있다. 캡슐드립머신은 마찬가지로 분쇄된 커피가루가 담긴 캡슐에 구멍을 뚫고 내부로 물을 흘려보내 일정시간 머무른 후 필터가 포함된 캡슐출구를 통해 추출된 커피가 흘러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psule coffee machine, the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according to the recipe is contained in the capsule after grinding the coffee beans. Coffee can be brewed through high-speed rotation. Similarly, the capsule drip machine is configured to make a hole in the capsule containing the ground coffee powder, flow the water inside, st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pour out the extracted coffee through the capsule outlet containing the filter.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커피캡슐은 캡슐 내에 분쇄된 커피가 담겨 있는 상태로 기기에 장착되면 물이 드나들 수 있는 입출구가 뚫리게 되고, 고온수가 캡슐 내 원두분말을 적시고 지나가게 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커피가 추출되고 난 후 캡슐은 내부 커피분말과 함께 그대로 남게 되어 분리배출이 어려워지며 캡슐포장 자체도 여러 재질의 복합코팅으로 이루어져 분리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most existing coffee capsules, when the coffee capsule is loaded with ground coffee, an inlet and outlet for water are opened, and the hot water wets the coffee bean powder in the capsule and passes through it. Therefore, after coffee is extracted, the capsule remains together with the internal coffee powder, making it difficult to separate and discharge, and the capsule packaging itself is made of a complex coating of various material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recycle.

한편, 미국등록특허 US10537202B2에는 원두가 저장된 포드(Pod) 및 상기 포드를 천공, 박리 혹은 절단에 의해 개봉한 후, 호퍼(hopper)를 통해 분쇄기로 보내 원두를 분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포드와 분쇄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 호퍼(hopper)에서 원두가 오염될 수 있으며, 상기 포드의 개봉 및 상기 분쇄기의 회전이 각각 다른 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져,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US Patent No. US10537202B2 discloses a pod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and after opening the pod by punching, peeling or cutting, sending the pod to a grinder through a hopper to grind the beans. 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od and the grinder is long, the beans may be contaminated in the hopper, and the opening of the pod and rotation of the grinder are performed by different driving units,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device.

본 개시는 원두를 분쇄한 후 커피가루를 담은 캡슐이 아닌 원두를 캡슐에 담아 소포장함으로써 신선함을 오래 유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maintaining freshness for a long time by putting coffee beans in capsules instead of capsules containing coffee powder after grinding coffee beans and packaging them in small capsules.

본 개시는 캡슐을 개봉한 후 커피가루가 캡슐내부에 남지 않아 분리 재활용이 용이한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apsule that is easy to separate and recycle because coffee powder does not remain inside the capsule after opening the capsule.

본 개시는 캡슐개봉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grinder, 또는 분쇄부)를 동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커피추출장치를 단순화하고 컴팩트(compact)화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simplifying and compacting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by operating a grinder (or a grinder) that grinds coffee beans and opening a capsule using the same driving source.

본 개시는 필름막형태의 커버를 갖는 캡슐의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슐개봉부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a capsule opening part for more easily opening a capsule having a film-type cov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원두가 저장된 캡슐을 개봉하기 위한 캡슐펀치 및 펀치리프터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캡슐펀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캡슐바디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필름막을 뚫고 들어가 회전하여 필름막이 나불거리거나(flapping), 펄럭이게 (fluttering) 만들어 캡슐 내부에 저장된 원두가 외부로 잘 배출되게 안내할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a capsule punch and a punch lifter for opening a capsule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The capsule punch includes a blade, and the blade penetrates through the film film sealing the opening of the capsule body and rotates to make the film film flapping or fluttering so that the beans stored inside the capsule are well discharged to the outside. will guide you through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원두가 저장된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를 배출하는 캡슐개봉부; 상기 캡슐개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개봉기어를 포함하는 개봉기어부;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캡슐개봉부와 결합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분쇄부; 및 상기 제1개봉기어를 회전시키는 분쇄주기어축에 연결된 분쇄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기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주기어에 의해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분쇄기어부;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pecifically, the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the coffee bean stored capsule is mounted; a capsule open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by opening the capsule; an opening gear unit including a first opening gear for rotating the capsule opening unit; a grinding unit coupled to the capsule opening unit in a direction in which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to grind th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nd a main grinding gear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for rotating the first opening gear, and a grinding gear unit located below the opening gear unit to rotate the grinding unit by the grinding main gear; a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will provide

상기 캡슐개봉부는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드라이버부; 및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를 상기 캡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분쇄부로 내보내는 드라이버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sule opening unit includes a driver unit for opening the capsule; and a driver rotating unit for moving and rotating the driver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located through rotation to open the capsule and send it out to the crushing unit.

상기 드라이버부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드라이버 허브;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일단은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 연결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드라이버 허브를 감싸는 링형태의 드라이버 바디; 및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함께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가 상기 분쇄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드라이버 허브와 상기 드라이버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r unit includes a driver hub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a first bla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lades for opening the capsule,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connected to the driver hub; a ring-shaped driver body surrounding the driver hub; and located under the first blade part, opening the capsule together with the first blade part, guiding th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to b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part, and connecting the driver hub and the driver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blade unit including a second blade.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may be inclined in a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s may be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방향으로 더 경사지는 곡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hat is more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increase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수직한 높이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Also, the vertical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may graduall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increases.

상기 캡슐을 상기 캡슐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자유단에 인접한 상부는 이에 대응되는 상기 캡슐의 일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캡슐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capsule is mounted on the capsule mounting unit, the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penetrates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capsule corresponding thereto,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apsule.

한편,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드라이버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바디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는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부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태의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장착부와 결합하는 캡슐장착부 결합구; 상기 회전바디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된 캡슐에서 배출하는 원두가 상기 분쇄부를 향해 배출되는 원두출구; 및 상기 드라이버 설치공간에서 상기 드라이버부 및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드라이버부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링형태의 이동 링바디; 상기 이동 링바디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돌출부와 결합하는 이동 나사돌기; 및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양단 중 상기 캡슐장착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일단에는 상기 드라이버부가 기 설정된 개봉높이보다 더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er par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ody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r body, and the driver rotating par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part, and forms a driver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river part is located, and both ends This open cylindrical rotating body; Capsule mounting portion coupler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and coupled to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 bean outlet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which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mounted capsule ar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unit; and a driver movement guid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driver portion and the rotation body in the driver installation spac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body to move and rotate the driver portion; wherein the driver movement guide portion includes the driver movement guide a ring-shaped movable ring body forming a negative external shape; a moving screw protrusion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body and coupled to the body protrusion; And one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is located among both ends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a moving stopper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rising higher than a preset opening height; may include.

상기 이동 스토퍼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이동 링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장착부를 향해 절곡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The moving stopper may b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bent toward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ving ring body at one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또한,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 링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회전바디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moving guid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body, the rotating body has a plurality of inner fixed guid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more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inner fixing guides are coupled, the rotation body and the driver movement guide portion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기어이빨형태의 회전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기어는 상기 개봉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상기 드라이버회전부에 전달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may include a rotating ring gear in the form of gear tee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ring gear may be engaged with the unsealing gear unit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unit to the driver rotating unit.

한편,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캡슐장착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원형의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캡슐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함몰부; 및 상기 장착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캡슐개봉부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원두낙하홀;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is a circular mounting body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 mounting depress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depress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and a coffee bean drop hole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mounting recessed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portion.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 또는 상기 장착함몰부를 보호하기 위한 캡슐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psule mou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capsule or the mounting depression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캡슐장착부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와 결합하는 원형의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캡슐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함몰부; 및 상기 장착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캡슐개봉부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원두낙하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의 외경은 상기 회전바디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forms an outer shape of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nd a circular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coupling port; a mounting depress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depress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and a bean drop hole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mounting depress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unit, wherein an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body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원두낙하홀의 직경은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A diameter of the bean drop hole may be grea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lade unit.

또한, 상기 캡슐개봉부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장착바디와 상기 보호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캡슐개봉부의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보호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호바디는 투광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rame for supporting the capsule opening portion; and a side protection body that protects a side surface of the capsule opening unit connecting between the mounting body and the protection frame, wherein the side protection body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한편, 상기 캡슐개봉부는 회전을 통해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드라이버부; 및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를 상기 캡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분쇄부로 내보내는 드라이버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는 제1버; 상기 제1버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분쇄된 원두를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 및 상기 분쇄회전부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동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주기어축은 상기 분쇄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동력부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개봉기어는 상기 분쇄주기어의 상부에서 상기 분쇄주기어축과 결합하여 상기 분쇄동력부의 회전력을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opening portion driver portion for opening the capsule through rotation; and a driver rotating unit that moves and rotates the driver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located through rotation to open the capsule and send it to the crushing unit, wherein the crushing unit includes a first burr for grinding th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 a first burr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urr in an axial direction; a first burr inle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introduce the coffee beans; a first burr outle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discharge groun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a second burr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to form a grinding space for grinding coffee beans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a grinding rotation uni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to rotate the first burr; and a grinding power uni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ain grinding gear shaft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power unit and rotated by the grinding power unit, and the first opening gear is coupl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at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to form a part of the grinding power unit. The rotational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rotation unit.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는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부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태의 회전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기어이빨형태의 회전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기어부는 상기 제1개봉기어와 상기 회전 링기어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제2개봉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r rotating uni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unit and forms a driver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river unit is located, and has a cylindrical rotating body with both ends open; and a rotating ring gear in the form of gear tee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wherein the opening gear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ning gear connecting the first opening gear and the rotating ring gear to rotate the rotating body can

한편, 원두가 저장된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를 배출하는 캡슐개봉부; 상기 캡슐개봉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개봉기어;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회전하는 제1버,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및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시입력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분쇄시간동안 분쇄주기어축에 연결된 상기 분쇄회전부 및 상기 캡슐개봉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 및 상기 분쇄시간이 경과 후 기 설정된 복귀시간동안 상기 분쇄주기어축을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the stored coffee beans are mounted; a capsule open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by opening the capsule; a first opening gear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psule opening unit to rotate the capsule opening unit; A first burr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to grind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 first burr through hole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he first burr through hole; a second burr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form a grinding space for grinding coffee beans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and a grinding rotation uni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to rotate the first burr. a first rotating step of rotating the connected grinding rotating unit and the capsule opening unit in a first rotating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step of rotating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for a preset return time after the grinding time has elapsed;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will be.

본 개시는 원두를 분쇄한 후 커피가루를 담은 캡슐이 아닌 원두를 캡슐에 담아 소포장함으로써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reshness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by putting coffee beans in capsules instead of capsules containing coffee powder after grinding coffee beans and packaging them in small capsules.

본 개시는 캡슐을 개봉한 후 커피가루가 캡슐내부에 남지 않아 분리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easy separation and recycling because coffee powder does not remain inside the capsule after opening the capsule.

본 개시는 캡슐개봉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grinder, 또는 분쇄부)를 동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커피추출장치를 단순화하고 컴팩트(compact)화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and compacting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by operating the grinder (or the grinder) for grinding the coffee beans and opening the capsule using the same driving source.

본 개시는 필름막형태의 커버를 갖는 캡슐의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open a capsule having a cover in the form of a film film.

도 1은 커피추출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분쇄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분쇄부에 포함되는 코니컬 버의 조립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코니컬 버의 외부 버인 제1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코니컬 버의 내부 버인 제2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일례를 분해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2그라인딩부와 가이드부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그라인더어셈블리가 지지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제2그라인딩부가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분쇄조절회전부의 가이드부와 회전링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캡슐개봉부의 보호를 위해 외피를 형성하는 보호바디부 및 캡슐보호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S로 표시된 평면을 따라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캡슐장착부의 장착바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원형형태의 캡슐 및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c) 및 도 7(d)는 각진형태의 캡슐 및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캡슐개봉부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8(b)는 드라이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드라이버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사용자가 캡슐을 캡슐장착부에 장착후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가 캡슐폐쇄부를 관통해 캡슐 내부로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가 기 설정된 개봉높이만큼 최대로 수직이동하여 상기 캡슐 내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c)는 도 9(a)의 높이방향 단면을 이용하여 캡슐의 장착 초기 제1블레이드의 높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9(d)는 도 9(b)의 높이방향 단면을 이용하여 최대로 캡슐내부에 삽입된 경우의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의 높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캡슐개봉부 및 분쇄부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플로우 차트(flow chart)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Figure 2 (a) schematically shows the grinding principle of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Figure 2 (b) shows an example of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Figure 3 (a) shows the assembled form of the conical bur included in the crushing unit. 3(b) shows an example of a first bur that is an external burr of a conical bur. Figure 4 (c) shows an example of a second burr that is an internal burr of the conical burr.
Figure 4 (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4 (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grinding unit and the guide unit are combined.
Figure 5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rind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assembly. 5( b )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grinding unit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grinding unit. Figure 5 (c) shows the cross-section of the guide part and the rotary ring of the grinding control rotary part.
Figure 6 (a) shows the protective body portion and the capsule protective cover forming an outer shell to protect the capsule opening por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lane indicated by S in FIG. 6(a). Figure 6 (c) shows the mounting body of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7 (a) and 7 (b) shows a capsule of a circular shape and a cross section thereof. 7( c ) and 7 ( d ) show an angled capsule and a cross-section thereof.
8(a)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the capsule opening part. Fig. 8(b) shows an example of the driver unit. 8( c ) is a view showing the driver part as viewed from above.
Figure 9 (a) shows that after the user mounts the capsule to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blades are inserted into the capsule through the capsule closing portion. 9( b ) shows that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are vertically moved as much as a preset opening height and are inserted into the capsule. Figure 9 (c) shows the height of the first blade in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capsule using the height direction cross section of Figure 9 (a). Figure 9 (d) shows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when maximally inserted into the capsule using the height direction cross section of Figure 9 (b).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psule opening unit and the crushing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used as a limitation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r example, expressions such as "same" and "same as" not only indicate the strictly identical state, but also indicate a state in which a tolerance or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is obtained exists.

본 명세서에서 원두(whole bean)라 함은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그대로의 생두(coffee bean)가 아니라,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말하는 것이다.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래 로스팅된 다크 로스팅 커피는 라이트 로스팅 커피보다 더 물에 쉽게 커피 성분이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로스팅정도에 무관하게 커피 추출을 위해 이용할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뜻하기 위해 사용되었다.As used herein, the term "whole bean" refers to roasted coffee beans, not coffee beans as they are harvested from a coffee tree. There may be various types of roasted coffee bea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asting. For example, dark roast coffee that has been roasted for a long time is more readily soluble in water than light roast coffe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used to mean roasted coffee beans to be used for coffee extraction regardless of the degree of roast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커피가루는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로,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는 특정 크기를 갖는 커피가루가 아니라,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값을 변화시켜 설정할 있는 크기를 뜻한다. In addition, the coffee powder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ffee powder of a preset size, an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preferences and types of beans. Accordingly, coffee powder of a preset size does not mean coffee powder having a specific size, but a size that can be set by changing a value according to preference and type of bean.

또한, 제1온도는 상온(room temperature)이하의 온도를 뜻하고,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뜻한다. 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below room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또한, 커피추출장치라 함은 분쇄된 원두 즉, 커피가루를 물과 혼합한 후 커피성분을 물에 녹여 커피액(coffee liquid)을 추출하는 장치를 뜻한다. 커피액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뜻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커피액을 추출한다는 것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만든다는 의미를 뜻한다. 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liquid by mixing ground coffee beans, that is, coffee powder with water, and then dissolving coffee components in water. Coffee liquid refers to water containing coffee ingredients extracted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tracting coffee liquid means making water containing coffee components extracted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액을 뜻한다. 그러나, 커피가루처럼 사용된 경우에는 고체형태의 커피를 뜻할 수 있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coffee generally refers to coffee liquid. However, when used like coffee powder, it may mean coffee in a solid form.

아래의 표 1은 종래의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grinder)에서 주로 사용하는 버(Burr)의 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버는 원두를 분쇄하는 칼날(blade)을 가진 2개의 파트(외부버, 내부버)가 서로 마주보면서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의 핵심부품이다. 하나의 부품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하면서 원두를 분쇄하게 된다.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버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공급되는 원두를 칼날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원리이다. 대규모로 원두를 분쇄하는 공장을 제외하고, 카페나 가정용에서는 플랫 버 또는 코니컬 버를 주로 사용한다. 플랫 버와 코니컬 버 모두 2개의 날이 맞불려 분쇄되는 것은 동일하나 그 모양에 따라 나눈 것이다. 또한 플랫 버는 버의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직버와 수평버로 나눌 수 있다. Table 1 below summarizes the types of burrs mainly used in conventional grinders for grinding coffee beans. A burr is a core part of a grinder that grinds coffee beans while facing each other with two parts (external burr, internal burr) with a blade that grinds coffee beans. One part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ed to grind the beans. It is the principle of grinding the supplied coffee beans using a blad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burr located outside and the internal burr located inside. Except for factories that grind coffee beans on a large scale, flat burs or conical burs are mainly used in cafes and households. Both flat burs and conical burs are crushed by the two blades interlocking, but 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shape. In addition, the flat burr can be divided into a vertical burr and a horizontal bur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burr.

플랫 버의 경우 내부 버(a1, b1)가 외부에 위치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외부버(a2, b2)는 고정된다. 수직 버의 경우, 분쇄된 원두는(또는 커피가루)가 분쇄배출부를 통해 모두 배출되는 게 아니라 비산되어 의도치 않게 하우징(a3, b3) 양 측면에 상하부에 쌓이게 된다. 커피가루에 의해 오염되는 부위가 많고, 누적된 커피가루는 비위생적이고 새로 분쇄되는 원두와 섞여 배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맛을 떨어뜨릴 수 있다. 수평 버의 경우, 분쇄된 원두가 마찬가지로 쌓일 뿐 만 아니라, 수직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또는 구동 연결부로 하부에 존재하므로 구동부 또는 구동 연결부의 오염을 피할 수 없다. 즉 수평버와 수직버 모두 분쇄시 원심력으로 인해 하우징(a3, b3) 내부 전체가 오염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flat burr, the inner burrs a1 and b1 are rotated by a driving unit located outside, and the outer burrs a2 and b2 are fixed. In the case of a vertical burr, the ground beans (or coffee powder) are not all discharged through the pulverization discharge unit, but are scattered and unintentionally accumulat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3, b3)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 are many areas contaminated by coffee powder, and the accumulated coffee powder is unsanitary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discharged by mixing with newly ground coffee beans, which can reduce the taste.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burr, not only the ground beans are piled up, but also the driving part or the driving connection part for driving the vertical axis is present in the lower part, so contamination of the driving part or the driving connection part cannot be avoided. That is, the entire interior of the housings a3 and b3 may be contaminated due to centrifugal force during grinding of both the horizontal burr and the vertical burr.

이와 달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니컬 버는 중력방향으로 수직낙하를 통해 오염된 부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코니컬 버의 경우 내부버(c2, center burr)가 회전하고 외부버(c1, outer burr)는 고정되므로 내부버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가 내부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하는 커피가루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Contrary to this, conical burs, which are often used for home use, can reduce the number of contaminated areas through vertical fall in the direction of gravity.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ical burr, since the inner burr c2, center burr rotates and the outer burr c1 is fixed, a driving part for rotation of the inner burr is located below the inner burr. Therefore,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the driving unit is contaminated by the falling coffee powd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코니컬 버의 외부버가 회전하여, 분쇄경로를 최단화시키고, 오염부위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s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a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bur of the conical bur rotates, the grinding path is shortened, and the contamination site is minimized.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커피추출장치(1000)는 원두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하는 분쇄부(200), 상기 분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물과 함께 회전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필터부(미도시), 및 내부에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이나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수용부(610)를 포함하는 추출부(600), 상기 필터부(미도시)와 결합하여 상기 필터부(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분쇄부(200) 및 상기 추출부(600)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910) 및 상기 추출부(6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nding unit 200, the grinding unit 200 for grinding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A filter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the coffee powder and rotates with water to extract coffee liquid, and the filter unit (not shown) is inserted therein and stores the coffee liquid or supplied water extracted through the filter unit An extraction unit 600 including a receiving unit 610 to It includes a support part 910 for supporting the part 600 from the outside and a water supply part 4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extraction part 600 .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된 원두 또는 커피가루는 상기 분쇄부(200)의 방향으로 개구(615)된 추출부 입구(615)를 통해 추출부(600)에 수용된 후, 급수부(4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커피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다. The coffee beans or coffee powder ground through the grinding unit 200 i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unit 600 through the extraction unit inlet 615 opened 615 in the direction of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n the water supply unit 400 )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coffee powder and water are mixed, and coffee liquid can be extracted.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는 이 외에도 상기 분쇄부에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부(100), 상기 지지부(910)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되는 베이스(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ffee bean supply unit 100 for supplying coffee beans to the grinding unit, a base 920 supporting the support unit 910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

상기 원두공급부(1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량해서 원두를 공급할 수 도 있으나, 원두를 여러 회 사용가능한 양 만큼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상기 분쇄부에 원두를 공급하는 디스펜서(dispenser)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원두를 1회 음용할 만큼만 저장된 1회용 원두저장캡슐(미도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두저장캡슐이 상기 원두공급부(100)에 결합되면, 상기 원두저장캡슐을 자동적으로 개봉시킨 후 상기 분쇄부(2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coffee bean supply unit 100 may be manually improved by the user to supply coffee beans, but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ispenser that stores coffee beans in an amount that can be used several times and supplies coffee beans to the grinding unit whenever necessary. have.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isposable bean storage capsule (not shown) stored only enough to drink the beans once. When the bean storage capsule is coupled to the bean supply unit 100 , the bean storage capsule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discharged to the grinding unit 200 .

즉, 상기 원두공급부(100)는 캡슐에 저장된 원두를 꺼내기 위한 캡슐개봉부(11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슐개봉부(110)는 캡슐을 밀봉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필름형태로 밀봉되는 경우에는 필름을 찢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한 형태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뚜껑과 같은 형태로 밀봉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라스틱 뚜껑을 돌려 개봉하는 형태일 수 있다.That is, the bean supply unit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psule opening unit 110 for taking out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capsule is sealed. In the case of sealing in the form of a film, it may be a type having a blade for tearing the film, and in the case of sealing in the same shape as a plastic lid, it may be a type of opening the plastic lid by turning the plastic lid.

이때, 상기 원두저장캡슐에는 원두의 종류 등이 담긴 식별장치(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별장치는 원두의 종류, 로스팅 된 정도, 및 로스팅된 날짜 등을 담고 있어, 이를 인식한 후, 상기 분쇄부(200)에서의 분쇄정도 (또는 분쇄도) 및 상기 추출부(600)에서의 추출시간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an identification device (not shown) containing the type of bean, etc. may be attached to the bean storage capsule. The identification device contains the type of coffee bean, the degree of roasting, the roasting date, etc., and after recognizing this,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r degree of pulverization) in the pulverizing unit 200 and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r pulverization) in the extraction unit 600 You can adjust the extraction time, etc.

본 개시의 일실시예는 상기 원두공급부(100)에서 원두가 낙하하고, 낙하된 원두가 상기 분쇄부(200)에서 분쇄되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되어, 상기 추출부(600)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ffee beans are dropped from the bean supply unit 100 , and the fallen beans are ground in the grinding unit 200 and ground into coffee powd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side the extraction unit 600 . It may be accommodated in a filter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

상기 분쇄부(200)는 공급된 원두를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분쇄하게 된다. 상기 분쇄부에서는 커피종류에 따라 분쇄도 (grinding degree)가 다르고, 추출되는 정도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혹은 커피종류에 따라 달리 분쇄도를 설정할 수 있다. 커피액의 맛은 분쇄도, 로스팅 정도 및 물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pulverizing unit 200 pulverizes the supplie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 the grinding unit, the grinding degre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ffee and the degree of extraction may b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taste of the coffee liquid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inding, the degree of roasting,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원두의 분쇄도는 물과의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을 의미하므로, 미세하게 분쇄된 원두 일수록 표면적이 더 많아져, 커피 내 화합물을 추출하는 것이 더 쉬어질 수 있다.Since the degree of grinding of coffee beans refers to the surface area that can be in contact with water, the finely ground coffee beans have a larger surface area, which makes it easier to extract compounds in coffee.

또한, 상기 분쇄부(200)는 원두가 분쇄될 때의 충격도 완화해야 하며,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청소가 편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쇄부는 코니컬 버(conical burr, 도 3(a) 참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코니컬 버의 내부 버(center burr)와 외부 버(outer burr)중 외부 버가 회전하게 하여, 구동부가 커피가루의 낙하영역 안에 위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rushing unit 200 should also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coffee beans are crushed, and should be convenient to clean for use at home. To this end, the pulverizing unit may use a conical burr (see FIG. 3(a)), and an outer burr of an inner center burr and an outer burr of the conical burr is rotated, It may be avoided that the driving part is located in the falling area of the coffee powder.

상기 추출부(600)는 상기 분쇄부(200)에서 낙하하는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부(미도시) 및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회전을 통해 상기 커피가루와 공급된 물을 회전시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다. 물은 상기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으로 인해 물 분자의 무작위운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의 온도 상승은 매우 미미하여, 제1온도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The extraction unit 600 may include a filter unit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falling from the grinding unit 200 and a receiving unit 610 into which the filter unit (not shown) is inserted. . The filter unit (not shown) may extract the coffee liquid by rotating the coffee powder and the supplied water through rotation. The temperature of water may increase through rotation of the filter unit (not shown). This is because the random motion of water molecules increases due to rotation of the filter unit (not shown). However, the temperature rise of the water is very insignificant,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temperature is maintained as it is.

상기 수용부(610)는 상기 필터부(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 또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메쉬재질로 되어 있어 물 또는 커피액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반면, 고체인 커피가루는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미도시)가 회전하면, 상기 필터부(미도시) 내부는 커피가루, 물 및 커피액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필터부(미도시) 외부와 상기 수용부(610) 사이에서는 물 및 커피액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The accommodating part 610 may store the coffee liquid extracted through the filter part (not shown) or the water of the first temperature. The filter unit (not shown) is made of a mesh material so that water or coffee liquid can freely pass therethrough, whereas solid coffee powder cannot pass therethrough. Accordingly, when the filter unit (not shown) rotates, coffee powder, water and coffee liquid are rotated inside the filter unit (not shown), and between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not shown) and the receiving unit 610 . The water and coffee liquor will rotate.

상기 추출부(600)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할 수 있는 커피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서버(800)는 주전자 형태의 포트일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추출부(6001)의 하부에 위치하여 바로 배출되는 커피액을 낙하시켜 저장할 수도 있고, 커피액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커피액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저장시킬 수도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unit 600 may include a coffee server 800 that can store the extracted coffee liquid. The coffee server 800 may be a kettle-shaped pot, or may have a commonly used cup-shaped pot. In addition, the coffee liquid that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may be dropped and stored, and the coffee liquid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by using a discharge unit (not shown) that guides the coffee liquid to the outside. You can also save it.

상기 추출부(600)는 추출시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콜드브루(cold brew)방식과 핫브루(hot brew)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온이하의 온도인 제1온도의 물을 이용하면 콜드브루방식이고,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를 이용하면 핫브루방식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추출부(600)는 제1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제1추출부(6001), 제2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제2추출부(60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추출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지지부(910)에 착탈가능하다. The extraction unit 600 may be divided into a cold brew method and a hot brew metho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for extraction. If water of a first temperature that is below room temperature is used, the cold brew method is used, and if a second temperature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s used, the hot brew method is used. The extraction unit 600 may include a first extraction unit 6001 using water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6002 using water at a second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desired extraction method.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910 .

상기 제1추출부(6001)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을 이용하므로 콜드브루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반면,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다른 구조를 갖는 제2추출부(60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추출부(6001)와 상기 제2추출부(6002)는 지지부(910)에 결합되는 구조 및 커피추출장치(1000)에서 분쇄부(200)와 커피서버(800)사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비슷하여, 서로 교체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추출방식에 따라, 제1추출부(6001) 또는 제2추출부(700)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부(400)를 통해 제1온도의 물 또는 제2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uses water at the first temperature, it is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cold brew method. On the other hand, when water having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s used, the second extraction unit 6002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6002 have a structure coupled to the support unit 910 and occupy between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coffee server 800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 Since the space is similar, they are interchangeable.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or the second extraction unit 700 according to a desired extraction method. In addition, water at the first temperature or water at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400 .

상기 급수부(400)는 급수노즐(41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추출부(6001) 또는 상기 제2추출부(6002)에 각각 제1온도의 물 또는 제2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0)는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 또는 상기 제2온도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급수부(400)는 외부 급수원을 통해 상기 제1온도의 물을 받아,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한 후 상기 제2추출부(6002)에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400 may supply water at a first temperature or water at a second temperature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or the second extraction unit 6002, respectively, using the water supply nozzle 410 . The water supply unit 400 may receive the water of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water of the second temperature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lternatively, the water supply unit 400 may receive water at the first temperature through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heat the water using a heater (not shown), and then supply it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6002 .

전술한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추출부는 제1추출부(6001)에 관한 것이고, 제2추출부(600는 상기 필터부대신 수용부(610)에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제2온도의 물을 드립시켜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uni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ilter unit (not shown) relates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600 uses a paper filter in the receiving unit 610 instead of the filter unit at the second temperature. A general method of extraction by dripping water can be used.

외부급수원이 아닌 급수탱크(미도시)를 이용하여 미리 물을 급수탱크에 저장한 후 상기 급수탱크완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도있다. After stor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n advance using a water supply tank (not shown) instead of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상기 추출부(600)는 지지암(690)에 의해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부(91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920)는 상기 지지부(910)와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910)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91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910)에는 원두공급부(100), 분쇄부(200), 급수부(400) 및 제1추출부(6001)등 이 직접 또는 간접연결되어 있어, 편심하중(eccentric load)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910)에는 벤딩모멘트(Bending Moment), 전단력(Shear force), 뒤틀림(torsion)등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920)는 이를 견딜 수 있게 상기 지지부(910)를 고정시키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traction part 60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art 910 provided on the side by the support arm 690 . The base 920 may be inclined or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910 . The base fixes the support part 910 and supports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part 910 . That is, the coffee bean supply unit 100, the grinding unit 200, the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910 to induce an eccentric load. do. For this reason, a bending moment, a shear force, a torsion, etc.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910 . The base 920 may serve to fix and support the support 910 to withstand it.

또한, 상기 베이스(920)의 내부에는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분쇄부(200), 상기 원두공급부(100), 상기 제1추출부(6001) 또는 상기 급수부(400)에 사용될 수 있는 각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부의 물의 양, 상기 배출부(680)의 개폐여부, 상기 분쇄부의 회전, 상기 분쇄부의 분쇄도 조정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이와 달리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의 다른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ase 92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each motor that can be used in the grinding unit 200 , the coffee bean supply unit 100 ,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or the water supply unit 400 , and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whether the discharge unit 680 is opened or closed,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unit, adjustment of the grinding degree of the crushing unit, and the like. However,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located in another place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0, unlike this.

또한, 상기 베이스(920)에는 입출력을 위한 버튼이나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utton for input/output or a display (not shown) may be positioned on the base 920 .

제1추출부(6001)는 분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분쇄된 원두, 즉 커피가루를 받아 물과 혼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게 된다. 특히, 콜드브루방식으로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1추출부(6001)는 상온(room temperature) 이하의 온도를 가진 제1온도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추출부(6001)는 수용부(610)와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200 to receive the ground coffee beans, that is, coffee powder, and mix it with water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In particular, in order to extract coffee liquid in the cold brew method,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may use water of a first temperature having a temperature below room temperature. The first extraction unit 6001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610 and a filter unit (not shown).

필터부(미도시)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커피가루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가루는 급수되는 물과 혼합되고, 상기 필터부(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교반되어 커피액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미도시)는 물 또는 추출된 커피액만을 통과시키고 커피가루는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미도시)에 의해 커피가루가 수용부(610)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외형의 대부분은 메쉬형태의 재질로 되어 있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A filter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unit. The filter unit (not shown) may receive coffee powder that is ground and dropped through the grinding unit 200 . The coffee powder is mixed with water to be supplied and stirred through rotation of the filter unit (not shown)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The filter unit (not shown) may pass only water or the extracted coffee liquid, but not the coffee powder. Therefore, the coffee powder cannot move to the receiving unit 610 by the filter unit (not shown). That is, most of the outer appearance is made of a mesh material, so that filtering can be performed.

수용부(610)는 추출된 커피액 또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급수부(400)를 통해 공급된 제1온도의 물(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온도의 물을 단순히 물이라 칭한다.)은 상기 수용부 공급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610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the extracted coffee liquid or water. Water at the first temperatur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400 (hereinafter, water at the first temperature is simply referred to as wa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may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unit.

도 2(a)는 커피추출장치에 포함된 분쇄부의 분쇄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구조가 단순하고 가정용으로 적합한 코니컬 버(conical burr)를 이용한다. 플랫버와 달리 분쇄시 열발생이 작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커피의 향미가 더 잘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Figure 2 (a) schematically shows the grinding principle of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First, a conical bur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suitable for home use is used. Unlike flat burrs, heat generation during grinding is small, noise is relatively low, and coffee flavor is better maintained.

원두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가루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곱게 갈릴수록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지게 되나, 원두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각 원두마다 최적의 커피를 위한 분쇄도(grinding degree)가 달라질 수 있다. Depending on the type of coffee bean, the size of coffee powder for optimal coffee extraction may vary. In general, the finer the grind, the greater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water, but since it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roasting degree of the beans, the grinding degree for optimal coffee may vary for each coffee bean.

커피의 맛을 좌우하는 것으로는 커피의 신선도, 물의 온도와 종류, 추출방법등 많은 요인이 있다. 그 중 분쇄(grinding)는 커피 추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분쇄는 원두를 갈아 커피추출의 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과정이다. 분쇄를 통해 커피 추출시 여러 커피 성분들이 더욱 쉽게 물에 용해도리 수 있어 커피 향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쇄를 통해 개별적인 커피가루, 즉 커피입자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을 분쇄도를 조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taste of coffee, such as the freshness of the coffee, the temperature and type of water, and the extraction method. Among them, grind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Grinding is a process to increase the area of coffee extraction by grinding coffee beans. This is because various coffee components can more easily dissolve in water when coffee is extracted through grinding, affecting the coffee flavo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changing the size of individual coffee powder, that is, coffee particles, adjusts the degree of grinding through grinding.

공급된 원두에 따라 분쇄도를 조정을 위해 상기 제2버(232)는 후술할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쇄도 조정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원두의 종류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가 구동부를 제어하여 분쇄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두공급부에 공급되는 캡슐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나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하는 통신칩을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읽고 이에 맞는 분쇄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The second burr 232 may mov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o adjust the depth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according to the supplied coffee beans. The grinding degree adjustment may also be performed automatically instead of manually,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type of coffee bean, a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ads it using a barcode attached to the capsule supplied to the coffee bean supply unit or a communication chip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automatically sets the appropriate grinding degree. there is also

코니컬 버는 외부에 위치한 제1버(231) 및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231)와 함께 원두가 분쇄되는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232)를 포함한다. 종래 코니컬 버의 경우 제1버(231)는 고정되어 있고, 제2버(232)가 회전을 하여 원두를 커피가루로 분쇄시킨다. 이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2버(232)를 회전시키는 것이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회전중심을 맞추기에 쉬운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커피가루가 제2버(23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상기 제2버(232)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커피가루가 구동부에 쌓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쌓인 커피가루는 오염의 원인이자 구동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conical burr includes a first burr 231 located outside and a second burr 232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to form a grinding space in which coffee beans are crushed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231 . do.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ical burr, the first burr 231 is fixed, and the second burr 232 rotates to grin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This is because rotating the second burr 232 located therein makes it easy to align the rotation centers of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 However, this is because the coffee powd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econd burr 232 must be connected to the second burr 232, so that the coffee powder can be accumulated in the driving unit. In this case, the accumulated coffee powder may be a cause of contamination and a malfunction of the drive unit.

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인 커피추출장치(1000)에서는 외부에 위치한 제1버(231)가 회전을 하고 제2버(232)는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회전중심을 맞추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burr 231 located outside may rotate and the second burr 232 may be fixed. And, it includes components for aligning the rotation centers of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

도 2(b)는 커피추출장치(1000)에서 분쇄부(2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쇄부(200)는 공급되는 원두의 분쇄를 담당하는 그라인더어셈블리(210),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지지하고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2 (b) shows an example of the grinding unit 200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The grinding unit 200 may include a grinder assembly 210 responsible for grinding the supplied coffee beans, and a driving unit 290 for supporting the grinder assembly 210 and driving the grinder assembly 210 .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제1버(231,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제1그라인딩부(211), 상기 제1버(231,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제2버(232,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제2그라인딩부(212)가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되어 있다. The grinder assembly 210 includes a first grinding part 211 including a first burr 231 (refer to FIG. 3) and a second burr 232 (refer to FIG. 3)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refer to FIG. 3). A second grinding unit 212 including a reference) is coupled to the first grinding unit 211 .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서 원두가 공급되는 방향에는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가 위치하여 원두를 공급받아 내부에 위치한 제1버(23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는 공급된 원두를 칼날(blade)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다.The first grinding unit inlet 2111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ans are supplied from the first grinding unit 211 to receive the beans and deliver them to the first burr 231 located therei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may pulverize the supplied coffee beans using a blade and discharge them.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241) 및 상기 제1하우징(241)에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ing unit 21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241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first grinding unit 211 and a second housing 242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241 .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부는 제2버(232,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 및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2버(232)가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시 겹합될 수 있다.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may include a second burr 232 (refer to FIG. 3 ). The first grinding unit 211 and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may be overlapped when the second burr 2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구동부(290), 분쇄조절구동부(292, 도 4(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구동부(290)는 분쇄기어부(2915) 및 상기 분쇄기어부(2915)를 회전시키는 분쇄동력부(2911)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0)는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 도 4(a) 참조) 그리고,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 도 4(a) 참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조절동력부(2921, 도 4(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assembly 270 may include a grinding drive unit 290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nder assembly 210 and a grinding adjustment driving unit 292 (refer to FIG. 4A ). The grinding drive unit 290 includes a grinding gear unit 2915 and a grinding power unit 2911 for rotating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grinding control driving unit 290 is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unit 2925, FIG. 4 ( a)), and may include a grinding control power unit 2921 (refer to FIG. 4(a))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see FIG. 4(a)).

또한, 분쇄기어부(2915) 및 분쇄동력부(2911) 사이에는 유성기어부(2913, 도 4(a)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부는 분쇄동력부(2911)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수를 줄이고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anetary gear unit 2913 (refer to FIG. 4( a ))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 The planetary gear unit may be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and increase the torque.

상기 분쇄동력부(2911) 및 상기 유성기어부(2913)는 상기 지지부(9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설치공간(915, 도 1참조)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10)은 커피추출장치의 분쇄부(200), 급수부(400), 추출부(600) 등과 결합하여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해줄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해주는 장치도 설치되는 설치공간(915)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유성기어부(2913) 및 분쇄동력부(2911) 등이 상기 설치공간(915) 중 분쇄부(200)의 일 측면에 위치한 부분에 위치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분쇄동력부(2911) 및 유성기어부(2913)은 베이스(920)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동력전달축을 이용하여 상기 원두공급부(100) 및 분쇄부(2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and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may be provided in an installation space 915 (refer to FIG. 1 ) provided inside the support unit 910 . That is, the support unit 910 not only serves to support in combination with the grinding unit 200, the water supply unit 400, the extraction unit 600, and the like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but also generates and transmits power from the inside. It may be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915 in which the device is also installed. In addition, although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and the crushing power unit 2911 are located at a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200 in the installation space 915, unlike this, the crushing power The unit 2911 and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base 920 and transmit power to the coffee bean supply unit 100 and the grinding unit 200 using a power transmission shaft.

도 2(b)에서는 상기 분쇄기어부(2915)에 스윙(swing) 타입의 아이들 기어(idle gear)가 사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이들 기어란 기어와 기어 사이를 연결해주는 종속적인 기어를 하나더 구비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분쇄기어부(2915, 도 4(a) 참조)가 분쇄주기어(2916, 도 4참조) 및 분쇄종기어(2917)를 포함하고, 분쇄종기어(2917)는 제1그라인딩부(211)에 구비되는 분쇄회전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FIG. 2( b )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wing type idle gear is used for the grinding gear unit 2915 . The idle gear refers to having one more dependent gear that connects the gear and the gear. Here, the grinding gear unit 2915 (refer to FIG. 4(a)) includes the main grinding gear 2916 (see FIG. 4) and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2917, and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2917 is the first grinding unit 211. It may be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provided in the .

또한, 분쇄주기어(2916, 도 4(a) 참조)와 분쇄종기어(291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어연결암(2918), 그리고,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분쇄주기어의 회전축인 분쇄주기어축(2916a)에 삽입된 후, 분쇄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되어 기어연결암(2918)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ear connecting arm 2918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grinding main gear 2916 (refer to FIG. 4(a)) and the grinding seed gear 2917 to each other, and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2919 that does. After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which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grinding main gear, it is fixed to the gear fixing part 283 supporting the grinding gear part 2915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have.

또한, 스윙타입의 아이들 기어의 특징으로 분쇄주기어는 분쇄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분쇄동력부(2911)에 유성기어부(2913, 도 4(a) 참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쇄주기어축(2916a)은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자전(rotation)만 할 뿐, 상기 분쇄주기어축(2916a)이 이동하지 않는다. In additi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swing type idle gear, the main grinding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and connected to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through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refer to FIG. 4(a)). In addition,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is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unit and rotates only, and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does not move.

반면, 분쇄주기어(2916)에 연결된 분쇄종기어(2917)는 자전(rotation)과 공전(revolution)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기어연결암(2918)에 지지되어 상기 분쇄종기어(2917)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분쇄종기어축(2917a)이 상기 분쇄종기어를 회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 자체도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종기어(2917)는 상기 분쇄주기어(2916)를 중심으로 공전(revolution)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inding gear 2917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2916 can perform rotation and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final grinding gear shaft 2917a supported by the gear connection arm 2918 and serving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gear 2917 not only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grinding gear, but also the grinding longitudinal gear shaft ( 2917a) itself may also mov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2916. That is, the grinding gear 2917 may revolve around the grinding main gear 2916 .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분쇄종기어(2917)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회전부(250, 도 4(a) 참조)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회전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2919)의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 및 상기 분쇄종기어(2917)는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grinding bell gear 2917 and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rotate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grinding rotation part 250 (FIG. 4(a)) reference) to rotate the grinding rotary unit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does not rotate,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nd the grinding longitudinal gear 2917 again rotate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19, so that the It may fall from the grinding rotation part.

즉,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종기어의 회전축 혹은 상기 기어연결암이 회전하는 힘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어연결암을 통해 상기 분쇄종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grinding end gear or the gear connecting arm by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2916. Through this, only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does not rotat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rinding end gear through the gear connecting arm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grinding rotating unit.

이를 통해 상기 분쇄종기어(2917)가 회전시에는 항상 분쇄회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원두의 분쇄충격에 의한 반발력이나 진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을 상기 분쇄종기어(2917)에 전달되어도,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면서도,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항상 분쇄종기어(2917)를 분쇄회전부(250)에 연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grinding gear 2917 is always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during rotation. That is, even if the opposite direction is momentarily transferred to the grinding bell gear 2917 due to the repulsive for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grinding impact of the coffee beans in the grinding rotation unit,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is freely rotatable while the grinding main gear This is because it will always connect the grinding bell gear 2917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2916 .

이는 분쇄회전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분쇄주기어(2916)를 통해 분쇄주기어축(2916a) 혹은 분쇄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쇄기어부(2915), 유성기어부(2913) 및 분쇄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This can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inding rotation unit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or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through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us the grinding gear unit 2915,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and the grind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ower unit 2911 may be alleviated.

즉,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이 상기 분쇄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That is, the grinding master gear shaft 2917a may ro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bout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일반적으로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분쇄종기어(2917),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2917,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shaft 2917a and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re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direction. It may rotate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상기 분쇄동력부(2911)는 구동모터인 제1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동력부(2911), 상기 기어고정부(283), 상기 기어지지부(282)의 일부 및 상기 분쇄기어부(2915)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9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설치공간(915)에 구비될 수 있다.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may include a first motor that is a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 the gear fixing unit 283 , a part of the gear supporting unit 282 , and a part of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re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space 915 provided inside the supporting unit 910 . ) can be provided.

따라서, 상기 기어지지부(282)의 일부, 상기 분쇄기어부(2915)의 일부, 그라인더고정부(281) 및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지지부(910) 밖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art of the gear support part 282 , a part of the grinding gear part 2915 , the grinder fixing part 281 , and the grinder assembly 210 are provided outside the support part 910 , and may be exposed to the user.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상기 지지어셈블리의 결합공간 (2811, 도 4(a)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착탈가능한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2913, 도 4(a) 참조)를 보호하는 기어지지부(282), 상기 기어지지부(282)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쇄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rinder assembly 210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space 2811 (refer to FIG. 4(a)) of the support assembly. A grinder fixing part 281 that forms the coupling space and provides a detachable coupling space of the first grinding part 211, i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grinder fixing part 281 and the planetary gear part 2913 (FIG. 4) (refer to (a)) may further include a gear support portion 282 for protecting, and a gear fixing portion 283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ear support portion 282 to support the grinding gear portion 2915.

또한,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기어지지부(282) 및 상기 기어고정부(28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속재질로 프레스공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고, 용접, 리벳등의 방법에 의해 하나의 그라인더케이스(280)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rinder fixing part 281 , the gear supporting part 282 , and the gear fixing part 283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single plastic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rapid material may be formed by a press method, or may be formed into a single grinder case 28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riveting.

도 2(a)와 도 2(b)에는 중력방향을 g로 표시하였다.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를 통해 공급된 원두가 중력에 의해 수직낙하하는 일례를 도시하였기 때문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따라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가 위치할 필요는 없다. 다만, 중력을 따라 커피가루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을 수 있고, 중력방향은 커피추출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거의 수직하게 떨어지므로 분쇄부(200)에서 추출부(600)까지의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직선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화는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고, 짧게 만들어, 커피가루가 상기 분쇄부(200)의 내부에 쌓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In FIGS. 2(a) and 2(b), the direction of gravity is indicated by g. Since an example in which the beans supplied through the inlet 2111 of the first grinding unit fall vertically due to gravity is illustrated, the inlet 2111 of the first grinding un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osition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However, when the coffee powder falls according to gravity, a separate device for dropping may not be required, and since the gravity direction fall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is placed, the extraction unit 600 in the grinding unit 200 ), the movement path of the coffee powder can be straightened. This straightening simplifies and shortens the movement path of the coffee pow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the coffee powder inside the grinding unit 200 .

또한, 외부 버인 제1버(231)가 회전함으로써, 제1버(231)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250, 도 4참조)가 커피가루의 이동영역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분쇄회전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first burr 231, which is an external burr, rotates,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see FIG. 4) that rotates the first burr 231 is not located in the moving region of the coffee powder,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can

도 3(a)는 상기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제1버(231) 및 상기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된 제2버(232) 그리고, 상기 제1버(231) 및 상기 제2버(232)가 결합시 형성되는 분쇄공간(238)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버는 코니컬 버의 일종으로 통상적인 코니컬 버와 달리 외측에 위치한 제1버(231)가 회전한다. 반면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분쇄도 조정을 위해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뿐, 회전하지 않는다. 분쇄도 조정이란, 기설정된 값으로 커피가루의 분쇄되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는 상기 제2버(232)가 원추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므로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3( a ) shows a first burr 231 for grinding the coffee beans, a second burr 232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 and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1 . It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crushing space 238 formed when the burr 232 is coupled. The burr is a type of conical bur, and unlike a conventional conical bur, the first burr 231 located outside rotate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cond burr 23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burr, it can only mov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o adjust the degree of grinding, but does not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ment refers to adjusting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in order to adjust the grinding size of the coffee powder to a preset value. As for the size of the crushing space, the second burr 23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burr 2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and moves along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is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is different, the size of the crushing space can be adjusted.

일반적으로 제1버(231)는 제1버 관통홀(2313)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날카로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톱날모양을 가진 외부버(outer serrated burr)라고 칭한다. 제1버(231)는 이와 달리 원추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추형상의 내부버(cone-shaped center burr)라고 칭한다. In general, the first burr 231 may include a sharp blade for grinding coffee bean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 Therefore, it is called an outer serrated burr having a sawtooth shape. Unlike this, the first bur 231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and is referred to as a cone-shaped center burr.

도 3(b)를 참조하면, 제1버(231)는 상기 제1버(231)의 회전을 위한 축방향을 기준으로 관통되는 제1버 관통홀(2313),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2318),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2319)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the first burr 231 includes a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through which the first burr 231 passes in the axial direction for rotation of the first burr 231 , and one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It may include a first burr inlet 2318 for introducing the coffee beans, and a first burr outlet 2319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grind the beans and discharge them into coffee powder.

상기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를 통해 유입되는 원두는 상기 제1버 입구(2318)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분쇄공간에서 분쇄 후 상기 제1버 출구(2319)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의 외측면 중 상기 제1버 외측면은 곡선과 직선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제1버의 외측면 중 상기 제1버 출구(2319)에 가까운 쪽의 단면은 원형의 형태를 갖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버(231)는 회전을 위해서 분쇄회전부(250, 도 4(a) 참조)와 상기 제1버 입구(2318)쪽에서 결합할 수 있는데, 분쇄회전부(250, 도 4(a) 참조)와 결합시, 상기 분쇄회전부(250, 도 4(a) 참조)와 상기 제1버 사이에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곡선과 직선이 혼합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Bean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grinding unit inlet 2111 may be supplied through the first burr inlet 2318 , and then be pulverized in the grinding spac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2319 .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ur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is provided with a curved line and a straight line, but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closer to the first burr outlet 2319 has a circular shape. has been The first burr 231 may be coupl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see FIG. 4(a)) and the first burr inlet 2318 for rotation, and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see FIG. 4(a)). When combined with, it may have a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 mixture of curved lines and straight lines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refer to FIG. 4(a)) and the first burr.

반면, 상기 제1버 출구(2319)의 외측면은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 도 4(a) 참조)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제1버 외주면(2317)이라 칭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outlet 2319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ecause it can be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ng part 260 (refer to FIG. 4(a)). Accordingly,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ur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317 .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주면은 제1버 경사부(2314)와 제1버 블레이드(blade, 2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버 입구(2318)쪽은 원두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를 포함하는 제1버 경사부(2314)가 구비되어 있으 제1버 출구(2319)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는 제1버 블레이드(2316)에 가까이 갈수록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크기가 줄어드는 테이퍼형태일 수 있다. 이는 제1버(231)와 제2버(232) 사이의 간격을 줄여 점차 1개의 원두만이 분쇄공간을 통과하면서 분쇄되게 하기 위함이다.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may include a first burr inclined portion 2314 and a first burr blade 2316 . The first burr inlet 2318 is provided with a first burr inclined portion 2314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15 for guiding the beans,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burr outlet 2319. ca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15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size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first burr blade 2316 . This i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so that only one coffee bean is gradually crushed while passing through the grinding space.

상기 제1버 출구(2319)쪽에는 원두를 분쇄해서 커피가루로 만드는 제1버 블레이드(2316)가 구비될 수 있다. A first burr blade 2316 for grinding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burr outlet 2319 side.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23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버 관통홀(2323), 상기 제2버(232)의 외주면 중 상기 제1버 경사부(2314)에 대응되는 제2버 경사부(2324), 상기 복수 개의 안내돌기(2315)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임펠라(impellar, 2325),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에 대응되는 제2버 블레이드(232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a second burr ( 232) is shown. The second burr 232 includes a second burr through hole 2323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and a second burr through hole 23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r inclined portion 2314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burr 232 . 2 burr inclined portion 2324, a plurality of impellers (impellar, 2325)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15), and may include a second burr blade (2326)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r blade (2316) have.

동시에 공급되는 복수 개의 원두 중 상기 임펠라(2325) 및 상기 안내돌기(2315)에 의해 하나의 원두만이 하나의 안내돌기(2315)와 인접하는 안내돌기(2315) 및 하나의 임펠라(2325)와 인접하는 임펠라(2325)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들어와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 및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6)에 의해 분쇄되어 커피가루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사이에 형성되는 분쇄공간의 크기는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의(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즉, 분쇄도를 조정될 수 있다. 이후,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는 고정되므로, 즉 상기 분쇄공간의 크기는 고정되므로, 공급되어 분쇄되는 원두의 크기는 상기 분쇄도에 따라 예상되는 크기 이하의 커피가루로 배출될 것이다. Among the plurality of beans supplied at the same time, only one coffee bean is adjacent to one guide protrusion 2315 and one guide protrusion 2315 and one impeller 2325 by the impeller 2325 and the guide protrusion 2315. It may enter the space formed by the impellers 2325 and be ground by the first burr blade 2316 and the second burr blade 2326 to become coffee powder. The size of the crushing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second burr 23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 can That is, the degree of grinding can be adjusted. Thereafter,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is fixed, that is,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is fixed, the size of the supplied and ground coffee bean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ize expected according to the grinding degree. It will be discharged as coffee powder.

도 4(a)는 분쇄부(200)를 분쇄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쇄부(200)는 크게 그라인더어셈블리(210) 및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지지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어셈블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하는 제2그라인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4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ulverizing unit 200 is pulverized. The crushing unit 200 may include a grinder assembly 210 and a support assembly 270 that supports the grinder assembly 210 and transmits power. The grinder and grinder assembly 210 may include a first grinding unit 211 and a second grinding unit 212 coupled to the first grinding unit 211 .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회전하는 제1버(231), 상기 제1버(2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2313, 도 3 참조),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2318, 도 3 참조),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2319, 도 3 참조)를 포함할 있다. The first grinding unit 211 includes a rotating first burr 231, a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refer to FIG. 3) penetrating the first burr 231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burr through hole. Located at one end of (2313), the first burr inlet (2318, see FIG. 3) for introducing the coffee beans, and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to grind the beans and discharge them into coffee powder It may include a first burr outlet 2319 (refer to FIG. 3).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상기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231)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238)을 형성하는 제2버(232) 및 상기 제2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2319 and is a grinding space for grinding coffee beans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231 ( It may include a second burr 232 forming 238 , and a burr coupling part 2122 supporting the second burr and coupling the second burr to the first grinding part 211 .

상기 버결합부(2122)는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에서 결합하여,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버결합부(2122)의 외주면에는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통해 후술할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에 결합할 수 있다. The burr coupling part 2122 is coup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to support the second burr 232 and couple the second burr 232 to the first grinding part 211 . can do i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r coupling part 2122 includes a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grinding control rotation part 26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싱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상기 버결합부(2122)를 사용자가 잡기 쉽게 하기 위한 핸들(2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2125)의 외주면은 돌기처리가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적절한 회전력을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핸들(2125)을 통해 상기 제2버(232) 및 상기 버결합부(2122)를 회전시켜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 나사결합할 수 있다.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2125 for a user to easily grip the burr coupling unit 2122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2125 is treated with a protrusion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user holds it, and the user can transmit an appropriat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 As a result, by rotating the second burr 232 and the burr coupling part 2122 through the handle 2125,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ng part 260 may be screwed.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2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 입구(2318)에 위치한 제1버 외측면(2312, 도 3참조)에 상기 분쇄회전부(25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분쇄회전부(250)는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분쇄회전부 관통홀(2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회전부 관통홀(2501)과 상기 제1버 입구(2318)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grinding unit 211 may further include a grinding rotation unit 250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to rotate the first burr.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urr outer surface 2312 (refer to FIG. 3 ) located at the first burr inlet 2318 .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include a grinding rotation unit through-hole 2501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It may communicate with the grinding rotation part through-hole 2501 and the first burr inlet 2318 .

상기 분쇄회전부(250)의 회전을 위해서는 상기 분쇄회전부(250)의 외주면인 분쇄회전부 외주면(250a)을 따라 기어이빨형태를 갖게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할 분쇄기어부(29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쇄회전부와 같은 기어를 링기어(ring gear)라 칭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관통홀을 갖는 링형태로, 링의 외주면이 기어형상인 것을 뜻한다. In order to rotate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it has a gear tooth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a, which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Through this, it can be connected to the grinding gear unit 2915 to be described later. A gear such as the grinding rotation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ring gear. It is a ring shape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axial direction, meaning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is gear-shaped.

제1버(231)를 회전시키기 위해 분쇄회전부(250)는 큰 회전관성모멘트를 갖도록 직경을 가능한 크게 하고, 필요시 중량이 큰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원두 분쇄시의 충격에 의한 진동이 줄어들어 결국 커피가루의 분쇄된 크기가 균일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rder to rotate the first burr 231 ,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have a diameter as large as possible to have a large rotational inertia moment, and a material having a large weight may be used if necessary. Through this, vibration due to impact during grinding of coffee beans is reduced, and eventually, the effect of equalizing the ground size of coffee powder can be obtained.

상기 제1버(231)는 상기 제1버(231)의 외면에 결합된 분쇄회전부(250)를 통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버(232)는 아무런 구동장치없이 상기 제1버(231)내부에 삽입되어 분쇄도 조정을 위한 분쇄공간의 크기조절을 위해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약간의 이동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피가루가 배출 시 제2버(232)의 구동장치에 쌓일 염려가 없게되므로 간편한 청소, 오염방지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 first burr 231 rotates through the crushing rotation unit 250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231, the second burr 232 operates without any driving device. It is inserted therein and can only move slightly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to adjust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for adjusting the grinding degree. Through this, since there is no fear of accumulating on the driving device of the second burr 232 when the coffee powder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obtain effects such as simple cleaning and pollution prevention.

상기 분쇄회전부(250)는 상기 제1버(231)와 결합하여 제1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분쇄회전부(250)를 수용하하는 제1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41)은 상기 분쇄회전부(2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2412),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추출부(600)를 향하여 개구된 제1개구부(2411a),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구부(2411a)의 반대방향에 구비된 제2개구부(2411b),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urr 231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That is, the first grinding unit 21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241 accommodating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 The first housing 241 includes a housing body 2412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grinding and rotating unit 250 is accommodated, and a first opening 2411a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2412 and opened toward the extraction unit 600 . ), a second opening 2411b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2412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2411a may be further included.

결국, 하우징바디(2412)는 측면만 있고, 추출부(600)에 근접한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방향에 위치한 타면은 모두 개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버(231) 및 상기 분쇄회전부(250)는 제2개구부(2411b)방향에서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되는 원두는 분쇄회전부 관통홀(2501), 제1버 입구(2318), 제1버 출구(2319)를 지나 제1개구부(2411a)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As a result, the housing body 2412 has only a side surface, and both the one surface adjacent to the extraction unit 600 and the other surfac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urface may be provided as openings. The first burr 231 and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be receiv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body 241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2411b. In this case, the supplied beans will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411a through the grinding rotation part through-hole 2501 , the first burr inlet 2318 , and the first burr outlet 2319 .

상기 제2개구부(2411b)에는 상기 제2개구부(2411b)와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42)은 상기 분쇄회전부(25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 분쇄회전부(250)의 회전중심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231)는 회전중심에 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제1버(231)의 외면에 결합된 분쇄회전부(250)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회전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회전중심을 유지하기가 힘들 수 있다.A second housing 242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2411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2411b. The second housing 2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ulverizing rotating unit 250 to prevent the rotation center of the pre-pulverizing rotating unit 250 from shaking. That is, since the first burr 231 does not have an axis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grinding rotary unit 250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231 rotates, maintain the center of rotation than when using a rotating shaft. can be difficult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분쇄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원하는 분쇄도를 갖는 커피가루를 만들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버(231)의 회전시,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241)과 상기 제2하우징(242)이 결합을 통해 분쇄회전부(2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grinding spa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is kept constant, coffee powder having a desired degree of grinding can be produced.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is kept constant. To this end, the first housing 241 and the second housing 242 may be coupl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

또한, 상기 분쇄회전부(250)는 상기 제1버(231)와 상기 분쇄회전부(250)의 결합을 위해 제1버 고정부(25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버 고정부(251)는 상기 분쇄회전부(250)와 상기 제1버 입구(2318)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커피가루가 틈새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제1버에 슬립(slip)없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rr fixing unit 251 for coupling the first burr 231 and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 The first bur fixing part 251 is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grinding rotary part 250 and the first burr inlet 2318 to prevent coffee powder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rinding rotating part is increased.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first burr without a slip (slip).

상기 분쇄회전부(250)의 양단에는 제1베어링(2119a) 및 제2베어링(2119b, 도 5(b)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어링(2119a)은 제2하우징에서 상기 분쇄회전부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제2베어링(2119b)은 제1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분쇄회전부(250)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베어링(2119a) 및 상기 제2베어링(2119b)은 당연히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베어링 관통홀(2119c)과 제2베어링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분쇄회전부관통홀과 제1버 입구(2318) 및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가 상기 제1베어링(2119a) 및 상기 제2베어링(2119b)으로 인해 간섭받는 일은 없을 것이다. A first bearing 2119a and a second bearing 2119b (refer to FIG. 5B )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 The first bearing 2119a enables the grinding rotation unit to rotate in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bearing 2119b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rotates. Of course, the first bearing 2119a and the second bearing 2119b include a first bearing through-hole 2119c and a second bearing through-hole (not shown) pass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herefore, the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grinding rotation part through-hole and the first burr inlet 2318 and the first burr outlet 2319 is interfered with by the first bearing 2119a and the second bearing 2119b. there will be no

제1하우징(241)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회전부(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제2하우징(242)은 원두가 유입되는 원두유입홀(2423)을 포함하고, 상기 원두유입홀(2423)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축 지지부(2421)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 지지부(2421)는 상기 원두유입홀(2423)의 내면과 상기 고정축 지지부(242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2422)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242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241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includes a bean inlet hole 2423 through which coffee beans are introduced, and the bean inlet hole 2423. The fixed shaf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haft support portion 2421 to which the fixed shaft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addition, the fixed shaft support part 2421 may be connected and supported by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2422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ean inlet hole 2423 and the fixed shaft support part 2421 .

상기 고정축 지지부(2421)는 상기 제2버를 관통하는 고정축(2128)이 결합되어, 상기 제1버(231)가 회전시 상기 제2버(232)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The fixed shaft support part 2421 may be coupled to a fixed shaft 2128 penetrating the second burr so that the second burr 232 does not move when the first burr 231 rotates.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축 지지부(2421)은 상기 제1버 입구(2318)를 향해 상기 고정축(2128)이 삽입되는 고정축 결합홈(2421a, 도 5(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 출구(2319)를 통해 상기 분쇄공간(238)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축(2128)은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ed shaft support 2421 may include a fixed shaft coupling groove 2421a (refer to FIG. 5(b) ) into which the fixed shaft 2128 is inserted toward the first burr inlet 2318 . When the second burr 232 is inserted into the crushing space 238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2319 , the fixing shaft 2128 passes through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and is fixe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coupling groove (2421a).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된 고정축(2128)은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 내부에서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분쇄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fixed shaft 2128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coupling groove 2421a may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inside the fixed shaft coupling groove 2421a. Through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is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grinding can be adjusted.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분쇄회전부(250)보다 상기 제1개구부(2411a)에 가깝게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수용되고, 상기 버결합부(2122)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된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분쇄공간(238)의 크기를 조절하는 분쇄조절회전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ing part 211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2412 closer to the first opening 2411a than the grinding rotation part 250 and is connected to the burr coupling part 2122, the first burr The second burr 232 inserted into the 231 may further include a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238 by moving the second burr 23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는 회전운동을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힘을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랙(rack)과 피니어(pinion) 또는 베벨기어(bevel)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줄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unit 260 may convert the force by moving the rotational movem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For example, anything that can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such as a rack and pinion or bevel gear, may be used.

도 4(a)에 도시된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일례는 링형태를 가지고 회전하는 회전링(261), 상기 회전링(261)을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 상기 회전링 관통홀(2613)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버결합부(2122)가 결합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part 260 shown in FIG. 4( a ) is a rotating ring 261 that rotates in a ring shape, and passes through the rotating ring 261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 A rotating ring through-hole 2613, which is located in the rotating ring through-hole 2613, and includes a cylindrical guide part 262 that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2622 to which the burr coupling part 2122 is coupled. can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버결합부(2122)의 외면에 형성된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여, 상기 버결합부(2122)는 상기 가이드부(26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262 includes a receiving space thread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art 262, and includes a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rr coupling part 2122, The burr coupling part 2122 may be screwed to the guide part 262 .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는 상기 지지어셈블리(270)의 결합공간(28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결합공간(281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의 착탈가능한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의 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유성기어부(2913, 도 4(a) 참조)를 보호하는 기어지지부(282), 상기 기어지지부(282)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쇄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rinder assembly 21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pace 2811 of the support assembly 270 . The support assembly 270 forms the coupling space 2811 to provide a detachable coupling space for the first grinding part 211,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inder fixing part 281 and the grinder fixing part 281. A gear support portion 282 that is coupled to protect the planetary gear portion 2913 (see FIG. 4(a)), a gear fixing portion 283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ear support portion 282 to support the grinding gear portion 2915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 상기 기어지지부(282) 및 상기 기어고정부(28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속재질로 프레스공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고, 용접, 리벳등의 방법에 의해 하나의 그라인더케이스(280)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rinder fixing part 281 , the gear supporting part 282 , and the gear fixing part 283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single plastic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rapid material may be formed by a press method, or may be formed into a single grinder case 28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riveting.

상기 지지어셈블리(270)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90)는 지지부(910, 도 1 참조)의 설치공간(915, 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upport assembly 27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290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grinder assembly 210 . The driving part 290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915 (refer to FIG. 1 ) of the support part 910 (refer to FIG. 1 )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구동부(290)는 분쇄회전부(250)를 회전시키는 분쇄구동부(290) 및 분쇄조절회전부(260)를 구동시키는 분쇄조절구동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구동부(290)는 상기 분쇄회전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회전부(250)를 회전시키는 분쇄기어부(2915), 상기 분쇄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동력부(2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동력부(2911)와 상기 분쇄기어부(2915)사이에는 유성기어부(2913)가 위치하여, 상기 분쇄동력부(2911)의 회전속도를 적절한 속도로 감속시켜 상기 분쇄기어부(2915)에 전달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90 may include a grinding driving unit 290 for rotating the grinding rotating unit 250 and a grinding adjusting driving unit 290 driving the grinding adjusting rotating unit 260 . The grinding drive unit 290 may include a grinding gear unit 2915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to rotate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and a grinding power unit 2911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grinding gear unit. . A planetary gear unit 2913 is positioned between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and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is reduced to an appropriate speed to be transmitted to the grinding gear unit 2915. have.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0)는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를 회전시키는 분쇄조절기어부(2925) 및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조절동력부(29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inding control drive unit 290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control rotation unit 260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o the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and the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for rotating the grinding control rotation unit 260 , the grinding control power A portion 2921 may be included.

제어부(미도시)는 지지부(910, 도 1 참조)나 베이스(920, 도 1 참조)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뿐, 커피추출장치의 급수부(400), 추출부(600) 및 분쇄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면 어디 있어도 무방하다. 만약 원두캡슐의 형태로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부(100)가 더 구비된다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원두공급부(100)도 제어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분쇄부(200)의 제어를 위해 분쇄동력부(2911) 및 분쇄조절동력부(2921)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분쇄기어부(2915)의 회전과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의 회전은 각각 독립적이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910 (see FIG. 1) or the base 920 (see FIG. 1), which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extraction unit 600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And as long as the pulverization unit 200 can be controlled, it may be anywhere. If the bean supply unit 100 for supplying coffee beans in the form of a bean capsule is further provided, the controller (not shown) will also control the bean supply unit 100 .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dependently controls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and the grinding control power unit 2921 to control the grinding unit 200 . That is,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are each independent.

상기 분쇄기어부(2915)는 상기 분쇄회전부(250)를 회전시켜, 결국 제1버(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는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를 회전시켜, 제2그라인딩부(212)를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grinding gear unit 2915 may rotate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to eventually rotate the first burr 231 . That is, it serves to transmit the power required to grind the coffee beans. On the other hand,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unit 2925 may rotate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to move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

따라서, 상기 제2버(232)가 상기 버결합부(2122)에 의해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231)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버(232)가 상기 제1버(231)내부에서 상기 제1버(231)의 축방향을 따라 미세조정되어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the second burr 232 is coupled to the grinding control rotation unit 260 by the burr coupling unit 2122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 the second burr 232 is finely adjus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231 inside the first burr 231 to adjust the degree of pulverization.

따라서, 원두 분쇄를 위한 분쇄회전부(250)와 분쇄도 조절을 위한 분쇄조절회전부(260)에 필요한 동력은 큰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분쇄회전부(250)에 동력을 전달하는 분쇄동력부(2911)의 크기가 분쇄조절동력부(292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분쇄동력부(2911)의 크기라 함은 분쇄동력부(2911)에 구비되는 제1모터의 토크(torque), 파워(power)등의 크기가 분쇄조절동력부(2921)에 구비되는 제2모터의 토크, 파워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Therefore, sinc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power required for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for grinding beans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grinding,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is The size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rinding control power unit 2921. Here, the size of the crushing power unit 2911 means that the size of the torque and power of the first motor provided in the crushing power unit 2911 is the second provided in the crushing control power unit 2921 . It means greater than the torque and power of the motor.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0)는 상기 분쇄구동부(29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0)는 상기 결합공간(2811)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를 회전시킬수 있다. As shown in FIG. 4( a ), the grinding control driving unit 290 may be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grinding driving unit 290 . The grinding control driving unit 290 may be fixed to a portion of the coupling space 2811 to rotate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unit 260 .

분쇄기어부(2915)는 분쇄주기어(2916) 및 분쇄종기어(2917)를 포함하고, 분쇄종기어(2917)는 제1그라인딩부(211)에 구비되는 분쇄회전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rinding gear unit 2915 includes a main grinding gear 2916 and a grinding grinding gear 2917 , and the grinding grinding gear 2917 may be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provided in the first grinding unit 211 .

또한, 분쇄주기어(2916)와 분쇄종기어(291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어연결암(2918), 그리고, 상기 기어연결암(2918)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919)는 분쇄주기어의 회전축인 분쇄주기어축(2916a)에 삽입된 후, 분쇄기어부(2915)를 지지하는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되어 기어연결암(2918)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ear connection arm 2918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e grinding seed gear 2917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member 2919 connected to the gear connection arm 2918 to provide an elastic force. may include The elastic member 2919 is inserted in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which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grinding main gear, and is fixed to the gear fixing part 283 supporting the grinding gear part 2915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can provide

또한, 스윙타입의 아이들 기어의 특징으로 분쇄주기어는 분쇄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분쇄동력부(2911)에 유성기어부(29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쇄주기어축(2916a)은 유성기어부(2913)에 연결되어 자전(rotation)만 할 뿐, 상기 분쇄주기어축(2916a)이 이동하지 않는다. In additi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swing type idle gear, the main grinding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and connected to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through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 In addition,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is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and only rotates, and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does not move.

반면, 분쇄주기어(2916)에 연결된 분쇄종기어(2917)는 자전(rotation)과 공전(revolution)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기어연결암(2918)에 지지되어 상기 분쇄종기어(2917)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분쇄종기어축(2917a)이 상기 분쇄종기어를 회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 자체도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종기어(2917)는 상기 분쇄주기어(2916)를 중심으로 공전(revolution)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inding gear 2917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2916 can perform rotation and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final grinding gear shaft 2917a supported by the gear connection arm 2918 and serving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gear 2917 not only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grinding gear, but also the grinding longitudinal gear shaft ( 2917a) itself may also mov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2916. That is, the grinding gear 2917 may revolve around the grinding main gear 2916 .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분쇄종기어(2917)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회전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회전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2919, 도 2(b)참조)의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기 기어연결암(2918) 및 상기 분쇄종기어(2917)는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grinding bell gear 2917 and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rotate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and are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to grind the grinding machine. The rotating part may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does not rotate,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nd the grinding end gear 2917 are again moved to the secon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19 (refer to FIG. 2(b)). It may be rotated in one rotational direction and separated from the grinding rotation unit.

즉, 상기 탄성부재(2919)의 복원력은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종기어의 회전축 혹은 상기 기어연결암이 회전하는 힘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어연결암을 통해 상기 분쇄종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19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grinding end gear or the gear connecting arm by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2916 . Through this, only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does not rotat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rinding end gear through the gear connecting arm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grinding rotatin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2919)는 분쇄주기어축(2916a)에 결합하여 기어고정부(283)에 고정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iring)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분쇄주기어(2916)가 회전시, 분쇄종기어(2917)가 분쇄회전부에 연결되며, 분쇄주기어(2916)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분쇄종기어(2917)를 분쇄회전부(250)에서 떨어뜨려놓을 수 있으면, 어떠한 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탄성부재가 아닌 액츄체이터(actuator)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2919 may be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and fixed to the gear fixing part 283 . However, unlike this, when the main grinding gear 2916 rotates, the grinding gear 2917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ng part, and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stops, the grinding grinding gear 2917 is turned into the grinding rotating part ( 250), as long as it can be placed away from it, it can be provided with anything. For example, the same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n actuator instead of an elastic member.

이를 통해 상기 분쇄종기어(2917)가 회전시에는 항상 분쇄회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회전부에서 원두의 분쇄충격에 의한 반발력이나 진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을 상기 분쇄종기어(2917)에 전달되어도,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면서도,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항상 분쇄종기어(2917)를 분쇄회전부(250)에 연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grinding gear 2917 is always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during rotation. That is, even if the opposite direction is momentarily transferred to the grinding bell gear 2917 due to the repulsive for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grinding impact of the coffee beans in the grinding rotation unit,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is freely rotatable while the grinding main gear This is because it will always connect the grinding bell gear 2917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2916 .

이는 분쇄회전부(250)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분쇄주기어(2916)를 통해 분쇄주기어축(2916a) 혹은 분쇄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쇄기어부(2915), 유성기어부(2913) 및 분쇄동력부(2911)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or the grinding power unit 2911 through the grinding main gear 2916, the grinding gear unit 2915,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 and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crushing power unit 2911 may be alleviated.

즉,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이 상기 분쇄주기어축(2916a)을 중심으로 기어연결암(2918)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That is, the grinding master gear shaft 2917a may ro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bout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일반적으로 상기 분쇄주기어(291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분쇄종기어(2917), 상기 분쇄종기어축(2917a) 및 상기 기어연결암(2918)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2917, the grinding descending gear shaft 2917a and the gear connecting arm 2918 are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direction. It may rotate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는 상기 분쇄회전부(250)를 수용하고 상기 분쇄회전부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쇄회전부(2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2412),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600)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단이 개구된 제1개구부(2411a),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600)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타단이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우징바디(2412)를 상기 분쇄회전부(25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하우징바디(2412)를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연통홀(241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ing unit 21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ousing 241 for accommodating the grinding rotating unit 250 and supporting the grinding rotating unit. The first housing 241 is provided on the housing body 2412 and the housing body 2412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grinding and rotating unit 250 is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in a direction close to the extraction unit 600 . A first opening 2411a having an open one end positioned in It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penetrating through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unit 250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penetrating the housing body 2412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unit 260 . .

상기 분쇄회전부(250)는 상기 제1연통홀(2413a)을 통해 상기 분쇄회전부(250)와 상기 분쇄기어부(2915)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는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와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가 연결될 수 있다.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may be rot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and the grinding gear unit 2915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Similarly, in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and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unit 292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통홀(2413a)의 높이는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높이와 다르다. 이는 상기 분쇄회전부(250)와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2)는 상기 결합공간(2811, 도 5(a) 참조)의 일측에 치우져 있으므로, 상기 제1연통홀(2413a)이 형성된 분쇄회전부(250)의 반경방향은 상기 제2연통홀(2413b)이 형성된 분쇄조절회전부(260)의 반경방향과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통홀(2413a)과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같은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제1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연통홀(2413a)이 이루는 직선과, 상기 제2연통홀(2413b)이 이루는 직선은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A , the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grinding control driving unit 292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coupling space 2811 (refer to FIG. 5(a)),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is formed is th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may be different from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part 260 formed therein. That is, even if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are on the same plane, a straight line 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round the first burr and the second A straight line formed by the communication hole 2413b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따라서, 상기 분쇄회전부(250) 및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설치 위치가 다르고, 상기 분쇄기어부(2915) 및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의 설치 위치가 다르므로, 상기 하우징바디(2412)에 형성된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위치가 서로 다를 것이다.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의 크기도 다를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상기 제1연통홀(2413a) 및 상기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외부를 보는 방향도 서로 다를 것이다. Therefore,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are differen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unit 2925 are different, the housing body 2412 is The positions of the formed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zes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may also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body sees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b)는 제2그라인딩부(212)와 가이드부(262)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부(262)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2622)과 연결되기 위해 관통하는 제1관통홀(2601)과 제2관통홀(26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601)은 상기 제1버(231)에 가깝게 위치한 관통홀이고, 상기 제2관통홀(2602)은 상기 제1관통홀(2601)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관통홀(2601)을 지나 상기 제1버(231)에 삽입될 수 있다.FIG. 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and the guide unit 262 are combined. The guide part 262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2622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second grinding part 212 , and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601 and a second through hole 2601 passing through to b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2622 . It may include a through hole 2602 . The first through-hole 2601 is a through-hole located close to the first burr 231 , and the second through-hole 2602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hole 2601 , and the second grinding A part of the part 212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602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23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601 .

상기 수용공간(2622)을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부(262)의 내주면 상기 수용공간(2622)에 버결합부(2122)를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산 형태를 갖는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구비할 수 있다. 버결합부의 외주면에도 나사산 형태의 버결합부 나사산(2122a)을 포함하고 있아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거나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버결합부 나사산(2122a)과 수용공간 나사산(2622a)사이의 나사결합을 풀어서 분리가 가능하다. In order to couple the burr coupling part 2122 to the receiving space 262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art 262 forming the receiving space 2622, a receiving space screw thread 2622a having a screw thread shape may be provid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r coupling part also includes a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so that the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crew thread (2622a) can be screwed together.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parate by loosening the screw between the burr coupling part screw thread (2122a) and the receiving space screw thread (2622a) for cleaning or not in use by the user.

따라서, 결국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의 분리가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분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버결합부(2122)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와 상기 제2버(232)는 사용시에는 결합하고, 미사용시나 청소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그라인딩부와 상기 제2버(232)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grinding unit 211 and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can be separated, and specifically,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can be branched. In other words, the first grinding part 211 and the burr coupling part 2122 can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first grinding unit 211 and the second burr 23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use and separated when not in use or for cleaning. That is, the first grinding unit and the second burr 232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포함하는 일단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등간격으로 상기 제1관통홀(2601)을 포함하는 원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부 돌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 돌기(2621)는 상기 회전링 내주면(2612)에 구비된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262)를 상기 회전링(261)에 결합시킬 수 있다. The guide part 262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art protrusions 2621 extending from one end including the first through hole 2601 .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621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arc including the first through-holes 2601 at equal intervals. The guide part protrusion 2621 may be provided as one guide par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The plurality of guide part protrusions 2621 may couple the guide part 262 to the rotating ring 261 through a rotating ring screw thread 2612a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2612 .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을 막기위한 돌기스토퍼(262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스토퍼(2621a)는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에서 상기 추출부(600)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상기 돌기스토퍼(2621a)로 인해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가 회전시, 회전링(261)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 가이드부(262)는 이에 따라 제자리에서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protrusion 2621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stopper 2621a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guide part protrusion 2621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guide part. The protrusion stopper 2621a has the same shape as a rib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extraction unit 600 from the guide part protrusion 2621,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is rotated due to the protrusion stopper 2621a. When rotating, the rotating ring 261 may be rotated. However, the guide portion 262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may move in pl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accordingly.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2버(232)를 관통하는 제2버 관통홀(23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버 관통홀(2323)을 고정축(2128)이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burr 232 may include a second burr through hole 2323 passing through the second burr 232 , and the fixing shaft 2128 passes through the second burr through hole 2323 . can be combined.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고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그라인딩부에 결합시키는 버결합부(2122)도 상기 제2버(232)와 함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2622)에 수용될 수 있다.A burr coupling part 2122 supporting the second burr 232 and coupling the second burr 232 to the first grinding part is also partially included in the receiving space 2622 together with the second burr 232 . can be accepted in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설치홀(2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 설치홀(2122c)의 내부에 상기 제2버(2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버(232)는 상기 제2버 설치홀(2122c)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232)를 지지하는 버결합부 지지리브(21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관통되는 설치홀을 갖는 이유는 제1버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루는 상기 가이드 부의 수용공간으로 떨어지고, 결국 커피가루의 일부는 설치홀(2122c)을 통해 상기 추출부(600)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핸들(2125)도 링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burr 232 may include an installation hole 2122c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he second burr 232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urr installation hole 2122c, and the second burr 232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urr installation hole 2122c and the second burr ( It may further include a burr coupling part support rib (2122b) for supporting the 232). The reason for having the installation hole penetrating in this way is that the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falls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guide unit, and eventually a part of the coffee powder is discharged to the extraction unit 6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2122c. because it can Accordingly, the handle 2125 may also have a ring shape.

결국, 배출되는 커피가루의 이동경로는 관통홀과 일부 리브만이 있어, 상기 커피가루가 추출부가 아닌 다른 영역에 쌓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re are only through-holes and some ribs in the movement path of the coffee powder to be dis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the coffee powder in an area other than the extraction unit.

본 개시는 분쇄되는 원두가 분쇄부(200)를 통과하는 경로를 단순화 하고 최소화시킨 커피추출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분쇄부(200)는 코니컬 버를 사용하는데, 내부 버가 아닌 외부 버(제1버)가 회전하는 구조로 커피가루의 배출영역에 구동부를 위치시키는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커피추출장치(1000)에 중력이 작용하는 경우, 커피가루가 배출되는 경로에는 구동장치가 없고, 여러 개의 관통홀만이 존재하므로, 간섭없이 바로 추출부(60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가루가 분쇄부(200)의 내부에 쌓여서 오염되거나 낭비되는 일을 최소화 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0 that simplifies and minimizes a path through which ground beans pass through the grinding unit 200 . The grinding unit 200 uses a conical burr,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unit is not positioned in the coffee powder discharge area in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burr (first burr), not an internal burr, rotates. Through this, if gravity acts on the coffee extracting device 1000, there is no driving device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coffee powder is discharged, and only several through holes exist, so it can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extractor 600 without interference. . Accordingly, the coffee powder is accumulated inside the grinding unit 200 to minimize pollution or waste.

분쇄조절구동부(290)는 분쇄조절기어부(2925) 및 분쇄조절동력부(2921)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조절동력부(29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조절기어축(2929)이 회전을 하면, 상기 분쇄조절기어축(2929)에 결합된 분쇄조절기어(2927)가 회전을 할 수 있다. 상기 분쇄조절기어(2927)가 회전을 하면 결국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회전링(261)이 회전하게 될 것이다. The grinding control drive unit 290 includes a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and a grinding control power unit 2921, and when the grinding control gear shaft 2929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control power unit 2921,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2927 coupled to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shaft 2929 may rotate. When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2927 rotates, the rotation ring 261 of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will eventually rotate.

상기 회전링(261)은 링형태로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링 관통홀(2613)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외주면인 회전링 외주면(2611)중 상기 분쇄조절기어(292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기어이빨을 가지고 있어, 상기 분쇄조절기어(2927)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회전링(261)의 내주면인 회전링 내주면(2612)에는 나사산 형태의 회전링 나사산(2612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부 돌기(2621)가 나사결합할 수 있다.The rotating ring 261 may include a rotating ring through hole 2613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in the form of a r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nding control gear 2927 among the rotating ring outer peripheral surface 2611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261 has gear teeth,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the grinding control gear 2927 . The rotating ring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612, which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261, includes a rotating ring screw thread 2612a in the form of a thread,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21 can be screwed.

상기 회전링(261)과 상기 가이드부(262)는 각각 하우징바디(2412)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분쇄조절 지지부(미도시)와 복수 개의 가이드 고정부(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b)에서 도시한 돌기스토퍼(2621a)에 의해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262)는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따라 회전하는게 아니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해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간격을 조절, 즉,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분쇄되는 커피가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rotating ring 261 and the guide part 262 may be fixed by a plurality of grinding adjustment support parts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guide fixing parts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2412, respectively. When the rotating ring 261 is rotated by the protrusion stopper 2621a shown in FIG. 4(b), the guide part 262 does not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ng ring screw thread 2612a, bu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can move alo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ground coffee powder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using this, that i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상기 분쇄조절구동부(290)는 구동결합부(2923) 및 구동체결부(2924)를 통해 상기 결합공간(2811)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The grinding control driving unit 29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space 2811 through a driving coupling unit 2923 and a driving coupling unit 2924 .

도 5(a)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상기 지지어셈블리(270)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시는 상기 결합공간(2811)에 결합하여 사용하나, 미사용하거나 청소시에는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 후에는 제1버(231) 및 제2버(232)가 각각 노출되므로 청소용 솔을 통해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grinder assembly 2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assembly 270 . That is, when used,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space 2811 , but when not in use or when cleaning, the grinder assembly 210 can be separated. After separation, since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are exposed, respectively, it can be easily cleaned with a cleaning brush.

상기 그라인더고정부(281)에 형성된 결합공간(2811)에 상기 그라인더어셈블리(210)가 결합을 하게 되면, 분쇄기어부(2915) 및 분쇄회전부, 분쇄조절기어부 및 분쇄조절회전부의 기어이빨과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쇄회전부(250)와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는 각각 제1연통홀(2413a) 및 제2연통홀(2413b)을 통해 상기 분쇄기어부(2915)와 상기 분쇄조절기어부(2925)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grinder assembly 2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pace 2811 formed in the grinder fixing part 281, it can mesh with the gear teeth of the grinding gear part 2915 and the grinding rotation part,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part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part. have. To this end, the grinding rotation unit 250 and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on unit 26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grinding adjustment gear unit 2925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hole 2413a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413b. can be connected

도 5(b)는 제1그라인딩부(211)와 제2그라인딩부(212)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2버(232), 상기 제2버(232)에 결합하는 버결합부(2122), 상기 제2버(232)와 상기 버결합부(2122)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고정축(2128) 및 상기 버결합부(2122)에 결합하여 잡는 부위를 제공하는 핸들(2125)을 포함할 수 있다. 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nding unit 211 and the second grinding unit 212 are separated. The second grinding part 212 includes a second burr 232 , a burr coupling part 2122 coupled to the second burr 232 , and a first burr coupling part 2122 between the second burr 232 and the burr coupling part 2122 . It may include a fixed shaft 2128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urr and a handle 2125 coupled to the burr coupling portion 2122 to provide a gripping portion.

상기 제1그라인딩부(211)에는 제1버(231),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250), 상기 분쇄회전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베어링(2119a) 및 제2베어링(2119b), 상기 버결합부(2122)와 결합하는 가이드부(262), 상기 가이드부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분쇄도를 조절하는 회전링(2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회전부(250)보다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가 제1버 출구(2319)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grinding unit 211 includes a first burr 231 , a grinding rotation unit 250 rotating the first burr, and a first bearing 2119a and a second bearing 2119b rotatably coupled to the grinding rotation unit ), a guide part 262 coupled to the burr coupling part 2122, and a rotating ring 261 for adjusting the degree of grinding by moving the guide par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The grinding control rotating unit 26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burr outlet 2319 than the grinding rotating unit 250 .

또한, 제1그라인딩부(211)에는 상기 제1버(231), 베어링부를 포함한 상기 분쇄회전부(250),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241)과 상기 제1하우징(241)에 결합하는 제2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212)는 제1개구부(2411a) 및 제2관통홀(2602)을 통해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2버(232)를 상기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된 제2버의 일례는 도 5(c)에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first grinding unit 211 includes the first burr 231, the grinding rotating unit 250 including the bearing unit, and a first housing 241 accommodating the grinding adjusting rotating unit 260 and the first housing ( A second housing 242 coupled to 241 may be included. The second grinding part 212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411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602 to finally insert the second burr 232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can An example of the inserted second burr is shown in FIG. 5( c ).

도 5(c)는 상기 제2버(232)가 제1버 관통홀(2313)에 삽입되고, 고정축(2128)이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되어 지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 결합홈(2421a)의 홈말단과 상기 고정축(2128)의 삽입된 말단 사이에는 h 만큼의 거리차이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축(2128)을 완전히 고정하는게 아니라, 상기 고정축(2128)의 원주면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분쇄조절회전부(26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262)가 제1버의 축방향(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변할 수 있다. 즉 분쇄도 설정을 위해 상기 고정축(2128)이 삽입된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쇄공간(23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 도 3 참조)와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36, 도 3 참조)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FIG. 5(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urr 2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2313 and the fixing shaft 2128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xing shaft coupling groove 2421a. Between the groove end of the fixed shaft coupling groove 2421a and the inserted end of the fixed shaft 2128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difference of h. This is because, instead of completely fixing the fixed shaft 2128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shaft 2128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separation space may be changed as the guide part 262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rrow direction) of the first burr when the grinding adjustment rotating part 260 rotates. That is, the depth into which the fixed shaft 2128 is inserted can be adjusted to set the degree of pulverization. Through this, the size of the grinding space 238 can be adjusted.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the first burr blade 2316 (refer to FIG. 3) and the second burr blade 23236 (FIG. 3) Refer to), the spacing between the two can be adjusted.

다시 말해, 상기 분쇄조절기어(2927)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링(261)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 (262)는 상기 회전링 나사산(2612a)에 따라 회전하는게 아니라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2)의 이동은 결국 상기 수용공간 나사산(2622a)을 통해 결합된 버결합부(2122)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버결합부(2122)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2버(232) 및 상기 고정축(2128)을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쇄공간의 크기를 조절 - 제1버(231)와 제2버(232)사이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고정축(2128)이 고정축 결합홈(2421a)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 - 하여 분쇄되는 커피가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rotation ring 26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control gear 2927, the guide part 262 does not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ring screw thread 2612a, b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can move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guide part 262 is to move the burr coupling part 2122 coupl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screw thread 2622a, and moving the burr coupling part 2122 is the second burr ( 232) and the fixed shaft 2128 can be moved. Therefore, adjusting the size of the crushing space -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between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or adjusting the depth at which the fixed shaft 2128 is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coupling groove 2421a - The size of the ground coffee powder can be adjusted.

상기 제1버(231)와 상기 제2버(232)의 삽입깊이를 조절한다는 것은 상기 제1버 블레이드(2316)와 상기 제2버 블레이드(232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을 뜻한다.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burr 231 and the second burr 232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rr blade 2316 and the second burr blade 2326 can be adjusted.

도 6(a)는 원두가 저장된 캡슐을 캡슐개봉부(110)에 의해 개봉하는 원두공급부(1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캡슐개봉부(110)의 보호를 위해 외피를 형성하는 보호바디부(190) 및 캡슐보호커버(199)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a ) shows an example of the bean supply unit 100 for opening the capsule in which the beans are stored by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In particular, it shows the protective body portion 190 and the capsule protective cover 199 that form an outer shell for the prot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portion (110).

커피추출장치(1000)는 원두가 저장된 캡슐(700, 도 7참조)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191), 상기 캡슐(700)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700)에 저장된 원두를 배출하는 캡슐개봉부(110), 상기 캡슐개봉부(110)를 회전시키는 제1개봉기어(171)를 포함하는 개봉기어부(170), 상기 캡슐개봉부(110)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캡슐개봉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캡슐개봉부0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분쇄부(200) 및 상기 제1개봉기어(171)를 회전시키는 분쇄주기어축0에 연결된 분쇄주기어(2916)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기어부(17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주기어(2916)에 의해 상기 분쇄부(200)를 회전시키는 분쇄기어부(29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includes a capsule mounting unit 191 in which a capsule 700 (see FIG. 7 )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is mounted, and a capsule opening unit 110 that opens the capsule 700 and discharges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700 . ), an opening gear unit 170 including a first opening gear 171 for rotating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and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in a direction in which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a grinding unit 200 and a grinding main gear 2916 connected to a grinding main gear shaft 0 for rotating the first opening gear 171 to grind th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0, and the opening gear unit It may include a grinding gear unit 2915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170 to rotate the grinding unit 200 by the grinding main gear 2916 .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추출장치(1000)가 원두 공급을 위해 캡슐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캡슐(700)을 개봉하기 위한 캡슐개봉부(110) 및 상기 캡슐개봉부(110)와 상기 추출부(60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개봉부(100)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바로 분쇄하는 분쇄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0)는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캡슐개봉부(110)에서 배출되는 원두를 바로 분쇄하여, 외부 오염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고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6( a ), whe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uses a capsule for supplying beans,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and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for opening the capsule 700 and the A grinding unit 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extraction units 600 to directly grind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100 . The grinding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which directly grinds the bean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thereby blocking contact with external contaminants and maintaining freshness. it is for

상기 분쇄주기어(2916)와 연결되어 상기 분쇄주기어(2916)를 회전시키는 분쇄주기어축(2916a)은 상기 분쇄주기어축의 축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1개봉기어(171)와도 연결될 수 있다. 즉, 분쇄주기어축(2916a)이라는 하나의 축에 분쇄주기어(2916) 및 제1개봉기어(171)과 모두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분쇄주기어(2916)의 직경은 상기 제1개봉기어(17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분쇄부(200)의 회전속도가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는 원두분쇄를 위해서는 많은 힘과 빠른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2916 to rotate the grinding main gear 2916 may further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and b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gear 171. . That is, both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e first opening gear 171 are connected to one axis called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and will rotate at the same time. The diameter of the grinding main gear 2916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ing gear 171 . In addition, in general, the rotation speed of the crushing unit 200 may be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This is because a lot of force and high speed are required to grind coffee b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회전 속도는 60 RPM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on speed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may be 60 RPM.

도 6(c)를 참조하면,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191)는 외형을 형성하는 원형의 장착바디(1911), 상기 장착바디(1911)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캡슐개구부(7135, 도 7 참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함몰부(1913) 및, 상기 장착함몰부(1913)의 일부가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원두낙하홀(1915)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c ), the capsule mounting part 191 on which the capsule is mounted has a circular mounting body 1911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part of the mounting body 1911 is depressed to form the capsule opening 7135 , FIG. 7 . Reference) a mounting depression 191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and a coffee bean drop hole 1915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can do.

상기 장착함몰부(1913)는 함몰된 직경은 상기 원두낙하홀(1915)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장착바디(1911)의 일부가 함몰되면서 절곡되어 장착함몰부(1913)의 함몰측면(1911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함몰부(1913)에서 함몰된 면은 관통되어 상기 원두낙하홀(1915)이 형성될 때, 캡슐을 지지하는 장착지지면(1911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측면(1911a)은 상기 장착함몰부(1913)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측면(1911a)에서 절곡되어 상기 원두낙하홀(1915)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지지면(1911b)은 캡슐이 상기 장착함몰부(1913)에 장착시, 상기 캡슐(700)을 지지할 수 있다. A diameter of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coffee bean drop hole 1915 . That is, a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1911 may be bent while being depressed to form the recessed side surface 1911a of the mounting recessed portion 1913 . The surface recessed in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is penetrated to form a mounting support surface 1911b for supporting the capsule when the bean drop hole 1915 is formed. That is, the recessed side surface 1911a form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recessed part 1913, and the mounting support surface 1911b bent from the recessed side surface 1911a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bean drop hole 1915 is a capsule.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the capsule 700 can be supported.

상기 원두낙하홀(1915)의 크기는 상기 캡슐의 외경보다 작고, 후술할 제1블레이드부(1111)의 외경보다는 커서, 상기 캡슐이 상기 원두낙하홀을 통해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나,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상기 원두낙하홀(1915)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캡슐을 개봉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bean drop hole 1915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sule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lade unit 111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apsule enters the inside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through the bean drop hole. However,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provided in the first blade unit 1111 may rise through the bean drop hole 1915 to open the capsule.

한편, 상기 함몰측면(1911a)은 후술한 캡슐개구부 부근의 캡슐바디(71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캡슐개구부 부근의 캡슐바디(710)가 원형이면 상기 함몰측면도 이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비될 것이고, 캡슐개구부 부근의 캡슐바디(710)가 각진 형태이면 상기 함몰측면도 각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각진형태라 하더라도 정다각형의 형태로 구비되어야 캡슐폐쇄부가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찢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다각형의 형태로 각진 함몰부라고 하더라도 정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을 이용하면 함몰부의 직경을 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side (1911a)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apsule body 710 in the vicinity of the capsule opening to be described later. If the capsule body 710 near the capsule opening is circular, the recessed side will also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circular shape, and if the capsule body 710 near the capsule opening is angled, the recessed side may also be provided in an angled shape. However, even if it is an angular shape, it must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gular polygon so that the capsule closing part can be torn uniformly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it is an angled depression in the form of a regular polygon, the diameter of the depression can be obtained by using a circle circumscribed to the regular polygon.

상기 캡슐장착부(191)는 상기 장착바디(19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700) 또는 상기 장착함몰부(1913)를 보호하기 위한 캡슐보호커버(1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보호커버(199)는 보호커버 결합부(195)를 통해 상기 장착바디(19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장착함몰부(1913)의 둘레 일부분에는 상기 캡슐보호커버(199)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보호커버 힌지결합부(1951)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호커버 힌지결합부(1951)를 통해 상기 캡슐보호커버(199)는 상기 장착바디(1911)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 protection cover 199 for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1911 to protect the capsule 700 or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 The capsule protective cover 199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1911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coupling portion 195 .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recessed portion 1913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hinge coupling portion 1951 for rotatably coupling with the capsule protective cover 199 . For example, the capsule protective cover 199 may be hinge-coupled to the mounting body 1911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hinge coupling portion 1951 .

상기 장착바디(1911)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1911)의 외경은 후술할 캡슐개봉부(110)의 회전바디(1151)의 외경보다 클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바디(1911)의 외주면은 상기 캡슐개봉부의 외측면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캡슐개봉 및 원두 분쇄시 원두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바디부(190)를 더 포함하기 위해서다. The shape of the mounting body 1911 may be variously provided, but may preferably be a circular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body 1911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1151 of the capsule open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911 may not meet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opening portion. This is to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body unit 190 for preventing the beans from being contaminated when the capsule is opened and the coffee beans are crushed.

상기 캡슐개봉부(110)는 커피추출장치(10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보호프레임(19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193)은 상기 그라인더케이스(28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지지부(910) 및 상기 그라인더 고정부(281)위에 결합하여 상기 캡슐개봉부(110)가 캡슐을 개봉하는 경우, 캡슐에서 배출된 원두가 바로 분쇄부(200), 엄밀히는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를 통해 들어갈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frame 193 to be coupled to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The protective frame 19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grinder case 280 . Specifically, when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is coupled on the gear support unit 910 and the grinder fixing unit 281 to open the capsule, the bean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are directly the crushing unit 200, strictly speaking, the first It may be connected to enter through the grinding part inlet 2111 .

이때, 상기 보호바디부(190)는 상기 보호프레임(193)과 상기 장착바디(1911)를 연결하여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외측면을 보호할 수 있는 측면보호바디(192)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장착바디(1911) 및 상기 보호프레임(193) 그리고, 상기 측면보호바디(192)가 캡슐개봉부(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ective body part 190 may include a side protective body 192 that can protect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opening part 110 by connecting the protective frame 193 and the mounting body 1911. have. As a result, the mounting body 1911 , the protective frame 193 , and the side protective body 192 may serve to protect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보호바디(192)는 투광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실제 커피추출장치가 동작하는지, 비산된 커피가루가 많이 쌓여 청소가 필요한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디자인적 측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Preferably, the side protection body 192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directly check whether the actual coffee extraction device is operating and whether a large amount of scattered coffee powder needs to be cleaned, and it is excellent in design.

또한, 개봉기어부(170)는 기어보호커버(285)가 보호프레임(193)에 결합되어 상기 개봉기어부(170)를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unsealing gear unit 170 , the gear protection cover 285 may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193 to protect the unsealing gear unit 170 .

도 6(b)는 도 6(a)에서 S로 표시된 평면을 따라 커피추출장치의 일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캡슐개봉부(110) 중 후술할 드라이버회전부(115)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기어이빨형태를 갖는 회전 링기어(115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는 양단이 개방된 링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회전 링기어(1152)의 내부에는 분쇄부(200)의 제2하우징(242) 및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 링기어(11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링기어(115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봉기어부(170)가 캡슐개봉부(110)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Figure 6 (b) shows a cross-sec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along the plane marked S in Figure 6 (a).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a rotating ring gear 1152 having a gear tooth shap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driver rotating unit 115 to be described later is shown. Since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has a ring shape with both ends open, the second housing 242 and the first grinding unit inlet 2111 of the grinding unit 200 are shown inside the rotating ring gear 1152 . has been The driver rotating part 115 may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gear 1152 . To this end, the opening gear unit 17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ring gear 1152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

상기 개봉기어부(170)는 분쇄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분쇄주기어(2916)와 함께 동시에 회전하는 제1개봉기어(17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개봉기어(171)와 상기 회전 링기어(115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개봉기어(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봉기어(172)는 일종의 아이들러(idler) 기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pening gear unit 170 includes a first opening gear 171 connected to the main grinding gear shaft 2916a an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grinding main gear 2916 .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gear 171 and the second opening gear 172 to be rotated by meshing with the rotating ring gear 1152 may be included. The second opening gear 172 may serve as a kind of idler gear.

분쇄구동부(290)를 통해 발생한 회전력이 유성기어부(2913)를 지나 분쇄주기어축(2916a)에 전달되면, 상기 분쇄주기어축(2916a)에 연결되어 있는 분쇄주기어(2916) 및 제1개봉기어(17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캡슐폐쇄부(750)의 개봉과 더불어 캡슐에서 배출되는 원두는 바로 분쇄부(200)로 들어가게 되어 커피가루로 분쇄될 수 있다.Whe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through the grinding drive unit 290 passes through the planetary gear unit 2913 and is transmit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e first opening gear (2916)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2916a ( 171) will rotate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capsule closing unit 750 may be directly entered into the grinding unit 200 and be ground into coffee powder.

도 7(a) 내지 도 7(d)는 캡슐장착부(191)에 장착되는 원형형태의 캡슐 및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종류의 원두가 담긴 캡슐(700)을 장착함몰부(1913)에 놓은 후, 전원을 켜면 캡슐개봉부(110)를 통해 상기 캡슐을 개봉할 수 있다. 7 (a) to 7 (d) shows a capsule of a circular shape mounted on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and a cross section thereof. The user can open the capsule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by turning on the power after placing the capsule 700 containing the desired type of coffee beans in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

캡슐(700)은 일면이 개방된 캡슐개구부(7135)를 포함하는 캡슐바디(710) 및 상기 캡슐개구부(7135)를 통해 원두를 상기 캡슐바디(710)에 넣은 후 상기 캡슐개구부(7135)를 폐쇄하는 캡슐폐쇄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sule 700 is a capsule body 710 including a capsule opening 7135 with one side open, and after putting coffee beans into the capsule body 710 through the capsule opening 7135, the capsule opening 7135 is closed. It may include a capsule closing part 750 that does.

캡슐폐쇄부(750)는 필름형태의 ?薦? 막의 형태를 구비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을 이용한 캡슐뚜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필름형태의 얇은 막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Capsule closing unit 750 is a film-shaped ?薦?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mbrane, or may be provided as a capsule lid using screw coupling. Here, the on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in the form of a film is shown as an example.

원두를 캡슐을 이용하여 소포장하는 이유는 신선도 및 일정한 맛의 유지를 위해서다. 분쇄된 원두 또는 커피가루는 산패가 빠르게 진행되어 최적의 환경으로 보존한다고 하더라도, 1주일 정도면 산패로 인해 커피 본연의 맛을 잃어버리게 된다. The reason coffee beans are packaged in small capsules is to maintain freshness and consistent taste. Even if ground beans or coffee powder go rancid quickly and stored in an optimal environment, coffee loses its original taste due to rancidity in about a week.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로스팅되어 분쇄되기 전의 원두를 1인용으로 한컵 정도의 추출이 가능한 소포장된 캡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disclosure, coffee beans before roasting and grinding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mall packaged capsule capable of extracting about one cup per person.

한컵 분량의 캡슐은 다양한 입체형태로 가능하다. 또한, 캡슐은 원두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밀폐형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보관기간동안 원두로부터 방출되는 가스로 인한 압력을 견딜만큼 충분히 내압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캡슐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개봉 용이성을 위해 쉽게 열리는 구조의 캡슐을 별도 밀봉 비닐용기 포장을 한 형태일 수 있다. One-cup capsules are available in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In addition, the capsule must be kept in an airtight shap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coffee bean, and must maintain sufficient pressure resistance to withstand the pressure caused by the gas emitted from the coffee bean during the storage period. To this end, the capsule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or aluminum, but for easy opening, the capsu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opened may be packaged in a separate sealed plastic container.

또한, 각 캡슐의 외부면에는 캡슐의 내부에 담긴 원두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인쇄될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원두가 들어간 캡슐을 상기 장착함몰부(1913)에 장착하고 전원을 켜면 해당 바코드를 읽고, 미리 설정된 각 원두에 최적화된 물의 양 및 드립방법 등의 레시피 정보에 따라 드립, 추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arcode indicating coffee beans contained in the capsule may b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capsule. When a user puts a capsule containing the desired type of coffee bean into the mounting depression 1913 and turns on the power, the barcode is read, and drip and extraction are performed according to preset recipe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water and drip method optimized for each coffee bean. It can proceed automatically.

이를 위해 상기 캡슐장착부(191)는 상기 캡슐(700)의 외부면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스캐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를 통해 상기 캡슐에 담긴 원두의 종류를 인식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원두의 종류에 따른 분쇄도를 조절하기 위해 분쇄조절기어부(2925)를 회전시켜 제2버(232)가 제1버(231)에 삽입된 정도를 조절하고, 분쇄기어부(2915)및 개봉기어부(170)를 회전시켜 캡슐의 개봉과 함께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may further include a scanner (not shown) for recognizing a barcod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sule 700 . When the type of coffee bean contained in the capsule is recognized through the scanner, the control unit (not shown) rotates the grinding control gear unit 2925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according to the type of coffee bean, so that the second burr 232 moves the first The degree of insertion into the burr 231 may be adjusted, and the grinding gear unit 2915 and the opening gear unit 170 may be rotated to grind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opening of the capsule.

도 7(a)는 일면에 캡슐개구부를 포함하는 원형의 캡슐바디를 갖는 캡슐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캡슐개구부에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슐폐쇄부(750) 및 상기 캡슐바디는 원두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Figure 7 (a) shows a capsule having a circular capsule body including a capsule opening on one surface. In addition,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is coupled to the capsule opening.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and the capsule body will form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ffee beans are stored.

후술할 캡슐개봉부(110)의 드라이버부(111)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를 관통하여 찢은 후, 회전을 통해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를 벌려 원두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것이다. The driver part 111 of the capsule open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is torn through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using a blade, and then by rotating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to open the coffee bean easily. it will be expelled.

도 7(c)는 기능을 동일하나 캡슐바디의 형태가 각진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드라이버부(111)의 회전시 캡슐이 같이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각진 형태의 캡슐바디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함몰부도 각진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진 형태로 인해 캡슐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Figure 7(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unction is the same, but the shape of the capsule body is angled. This is to prevent the capsule from rotating together when the driver part 111 is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body of the angular shape, the mounting depression may also be provided in an angled shape. In this case, rotation of the capsule may be prevented and fixed due to the angular shape.

로스팅된 원두는 분쇄된 커피가루보다는 산패가 더딜 수 있으나, 여전히 공기접촉에 의해 쉽게 산패될 수 있어 밀폐된 포장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슐에 저장된 원두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이로 인한 팽창압력을 캡슐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캡슐이 개봉된 후 원두가 모두 분쇄부(200)로 배출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자유낙하에 의해 개봉된 캡슐에서 분쇄부(200)로 이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원두가 배출되는 캡슐의 경우, 커피가루가 저장되는 캡슐에 비해, 분리 배출 및 재활용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Roasted coffee beans may be more rancid than ground coffee powder, but it is still easily rancid by air contact, so sealed packaging is desirable. In addition, since carbon dioxide is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the capsule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resulting expansion pressure. And, after the capsule is opened, all the beans should be discharged to the grinding unit 200 . In the present disclosure, an embodiment of moving from the capsule opened by free fall to the crushing unit 200 is shown. In the case of a capsule from which coffee beans are discharged,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eparation and recycling compared to a capsule in which coffee powder is stored.

캡슐의 일 실시예로 캡슐바디(710) 및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 모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슐 전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캡슐 전체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의 압력에 잘 견디며, 산소투과도도 낮으면, 쉽게 필름형태를 개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capsule, both the capsule body 710 and the film-type capsule closing part 750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That is, since the entire capsule is made of aluminum, the entire capsule can be recycled, can withstand the pressure of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well, and the oxygen permeability is low, so that the film can be easily opened.

도 8(a)는 캡슐개봉부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8(b)는 드라이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드라이버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8(a)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the capsule opening part. Fig. 8(b) shows an example of the driver unit. 8( c ) is a view showing the driver part as viewed from above.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캡슐개봉부(110)는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개봉하는 드라이버부(111) 및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상기 캡슐폐쇄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개봉하여 상기 분쇄부(200)로 내보내는 드라이버회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 the capsule opening part 110 moves the driver part 111 for opening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and the driver part 1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closing part is located through rotation. It may include a driver rotating part 115 for opening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by rotating it and sending it out to the crushing part 200 .

즉,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는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초기위치에서 기 설정된 개봉높이까지 이동시키고, 그 뒤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may move the driver unit 111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 preset unsealing height through rotation, and then rotate the driver unit 111 .

이를 위해,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는 상기 개봉기어부(17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설치공간(915)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태의 회전바디(1151), 상기 회전바디(1151)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장착부(191)와 결합하는 캡슐장착부 결합구(1159), 상기 회전바디(1151)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된 캡슐(700)에서 배출하는 원두가 상기 분쇄부(200)를 향해 배출되는 원두출구(1156), 및 상기 드라이버 설치공간(915)에서 상기 드라이버부(111)및 상기 회전바디(1151)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디(1151)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river rotating part 115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part 170, and forms a driver installation space 915 in which the driver part 111 is located and has both ends open. of the rotating body 1151, the capsule mounting part coupling hole 1159 tha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1151 and coupled with the capsule mounting part 191,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ody 1151, the mounted capsule It is located between the coffee bean outlet 1156 through which the beans discharged from 700 ar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driver unit 111 and the rotating body 1151 in the driver installation space 915. , may include a driver movement guide unit 113 for rotating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1151 to move and rotate the driver unit 111.

또한,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는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링형태의 이동 링바디(1131), 상기 이동 링바디(1131)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드라이버 바디(1118)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바디돌출부(1118a)와 결합하는 이동 나사돌기(113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113 is a ring-shaped movable ring body 1131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ring body 1131, and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r body 1118. It may include a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body protrusions 1118a.

그리고,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양단 중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1159)가 위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일단에는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상기 개봉높이보다 더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스토퍼(1133a);를 포함하고 있다. 도 8(a)은 이동 스토퍼(1133a)가 돌기형태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And, at one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mounting part coupling hole 1159 is located among both ends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the driver part 111 rises higher than the opening height It includes a; movement stopper (1133a) to prevent. Figure 8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ovement stopper (1133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양단 중 상기 원두출구(1156)의 방향에 위치한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에도 상기 이동 스토퍼(1133a)와 유사한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 stopper is no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bean outlet 1156 among both ends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in contrast to this,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A stopper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movement stopper 1133a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

또한,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는 상기 이동 링바디(113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1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1151)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1132)에 대응되게 상기 회전바디(1151)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1153)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1132)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1153)가 결합하여, 상기 개봉기어부(17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회전바디(1151)와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113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113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body 1131 , and the rotating body 1151 includes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1132 .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inner fixing guides 1153 are further incl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51 so that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32 and the plurality of inner fixing guides 115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nsealing gear part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y 170, the rotation body 1151 and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113 can rotate at the same time.

상기 개봉기어부(17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는 상기 회전바디(1151)의 외주면에 기어이빨형태의 회전 링기어(115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기어(1152)는 상기 개봉기어부(170)와 맞물려 상기 개봉기어부(170)의 회전력을 상기 드라이버회전부(115)에 전달할 수 있다. In order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unsealing gear unit 170,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includes a rotating ring gear 1152 in the form of gear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51, and the rotating ring gear 1152 ) may be engaged with the unsealing gear unit 17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unit 170 to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

구체적으로는 제1개봉기어(171)가 회전하여 제2개봉기어(172)가 맞물려 회전하고, 여기에 다시 맞물린 회전 링기어(1152)가 회전할 것이다. 상기 회전 링기어(11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1151)가 회전시, 상기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1153)에 결합된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1132)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가 회전하게 될 것이다. Specifically, the first opening gear 171 rotates and the second opening gear 172 meshes and rotates, and the rotating ring gear 1152 meshes with this rotation again. When the rotation body 115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ring gear 1152,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113 by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32 coupled to the plurality of inner fixing guides 1153. ) will rotate.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의 회전은 곧 상기 이동 링바디(1131)의 회전을 뜻한다. 상기 이동 링바디(113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는 상기 바디돌출부(1118a)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회전바디(1151) 및 상기 이동 링바디(1131)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링바디(1131)가 회전을 하므로,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캡슐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The rotation of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113 means the rotation of the movement ring body 1131 .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body 1131 may be screwed with the body protrusion 1118a. When the rotating body 1151 and the moving ring body 1131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rotate, the driver part 111 will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 That is, since the movable ring body 1131 rotates relatively, the driver part 111 will move toward or away from the capsule, or vertically.

예를 들어 상기 제1개봉기어(171)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바디(1151) 및 상기 이동 링바디(1131)는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가 회전하므로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1159)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ning gear 171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rotating body 1151 and the movable ring body 1131 may rotate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driver part 111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apsule mounting part coupling hole 1159 because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rotates relatively.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원두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높이까지만 이동하면 되므로, 상기 드라이버부(111)의 이동은 기 설정된 개봉높이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봉높이는는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상기 원두출구(1156)에서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1159)의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뜻한다. 또는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초기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뜻한다. Since the driver unit 111 only needs to move up to a height at which the capsule can be opened and coffee beans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e driver unit 111 can be moved up to a preset opening height. The opening height means the distance the driver part 11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apsule mounting part coupling hole 1159 from the coffee bean outlet 1156. Alternatively, it means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driver unit 111 can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상기 개봉높이는 이동 스토퍼(1133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던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일단 끝에 구비된 돌기형태의 이동스토퍼(1133a)를 만나면,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대신,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회전바디(1151) 및 상기 이동 링바디(1131)와 함께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The opening height may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stopper 1133a. That is, when the driver unit 111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meets a protrusion-shaped moving stopper 1133a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the driver unit 111 ) can no longer be moved. Instead, the driver unit 111 will rotate at the same spe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1151 and the movable ring body 1131 .

따라서, 결국,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개봉높이까지 이동한 후 회전하게 될 것이다. Therefore, eventually, the driver part 111 will be rotated after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ning height.

만약, 상기 제1개봉기어(171)가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원두출구(1156)를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7(a)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에는 이동 스토퍼(1133a)와 유사한 형태의 스토퍼가 없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전바디(1151)의 내주면에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하부에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내측지지턱(1154)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과 상기 원두출구(1156)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더 이상 상기 원두출구(1156)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에서 빠져나온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상기 내측지지턱(115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채 헛돌게 될 것이다. If the first opening gear 171 rotates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driver part 111 will move toward the coffee bean outlet 1156 . 7( a )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re is no stopper having a similar shape to that of the moving stopper 1133a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 An inner support jaw 1154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screw protrusion 1133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screw protrusion 113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51 .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and the coffee bean outlet 1156 , the driver 111 can no longer move toward the coffee bean outlet 1156 and can only rotate. The driver part 111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screw protrusion 1133 will rotate in vain while being limited in movement by the inner support jaw 1154 .

그러나, 상기 제1개봉기어(171)가 다시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타단으로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진입하여 다시 상기 이동 나사돌기(1133)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1159)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However, when the first opening gear 171 rotates again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driver part 111 enters the other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so that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is rotated again. It will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apsule mounting part coupler 1159 along the inclined surface.

따라서, 기 설정된 초기위치는 드라이버부(111)가 이동 나사돌기(1133)를 빠져나와 내측지지턱(1154)에 의해 걸리는 위치에 있을 때를 뜻한다. 상기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상단 일부분은 상기 내측지지턱(1154)으로 부터의 높이가, 상기 내측지지턱(1154)으로부터 원두낙하홀(1915)까지의 수직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초기위치에서,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상단 일부분은 상기 원두낙하홀(1915)보다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슐을 캡슐장착부(191)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에 의해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가 뚫려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t initial position means when the driver part 111 exits the moving screw protrusion 1133 and is at a position caught by the inner support jaw 1154 . Even in the initial pos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has a height from the inner support jaw 1154, vertical from the inner support jaw 1154 to the bean drop hole 1915. It can be higher than the height. Accordingly, in the initial pos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may be in a state of being raised above the coffee bean dropping hole 1915 . Therefore, when the user mounts the capsule to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the capsule closing unit in the form of a film may be pierced by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도 8(b)를 참조하면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수직한 높이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상단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서 멀어지는 가장자리 부분을 뜻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 the vertical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may graduall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1112 increases. This is to open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more efficiently.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may preferably refer to an edge portion away from the driver hub 1112 .

도 8(b)는 드라이버부(11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캡슐(700)을 개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드라이버 허브(1112), 상기 캡슐(700)을 개봉하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 각각의 일단은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 연결되는 제1블레이드부(1111),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를 감싸는 링형태의 드라이버 바디(1118) 및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와 함께 상기 캡슐(700)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700)에 저장된 원두가 상기 분쇄부(200)를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와 상기 드라이버 바디(1118)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1119a)를 포함하는 제2블레이드부(1119)를 포함할 수 있다. 8( b ) shows an example of the driver unit 111 . The driver unit 111 serves to open the capsule 700 . To this end, the driver unit 111 includes a driver hub 1112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a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for opening the capsule 70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One end of the first blade unit 1111 connected to the driver hub 1112, a ring-shaped driver body 1118 surrounding the driver hub 1112, and the first blade unit 1111 are located below the , opening the capsule 700 together with the first blade unit 1111 to guide th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700 to b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driver hub 1112 and the driver It may include a second blade unit 1119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blades 1119a connected between the bodies 1118 .

상기 드라이버 바디(1118)는 링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와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1119a)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1119a)의 상부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1119)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river body 1118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r hub 1112 by a plurality of second blades 1119a, and the second blade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s 1119a. A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spaced apart from the 1119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the driver hub 1112 may be provided.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와 연결되는 위치의 형태는 원뿔(cone)형태이고, 상기 제2블레이드부(1119)와 연결되는 위치의 형태는 원기둥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캡슐(700)에서 원두가 떨어질 때,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가 원뿔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위에 쌓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The driver hub 1112 may have a cone shape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unit 1111, and a cylindrical shape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unit 1119. have. This is to prevent the coffee beans from being piled up on the driver hub 1112 because the driver hub 1112 has a conical shape when the coffee beans fall from the capsule 700 .

도 8(b)를 참조하면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수직한 높이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높이차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관통할 때, 상기 캡슐폐쇄중 바깥쪽부터 찢어져서 점차 중심쪽이 찢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캡슐폐쇄부(750)의 바깥쪽이 먼저 찢어지게 해야,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형성하는 필름이 장력(tension)을 유지하므로, 캡슐폐쇄부(750)의 중심쪽에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닿을 때 잘 찢어지게 할 수 있다. 만약 장력이 유지되지 않으면, 일부가 찢어진 필름은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1119)에 의해 더 찢어지고 찢어진 필름이 벌어져 원두가 배출되는 게 아니라, 단순히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에 의해 변형만이 일어날 뿐 잘 찢어지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 the vertical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may graduall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1112 increases. This is to open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more efficiently. By having such a height differenc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pass through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the capsule is torn from the outside during the closing, and the center can be gradually torn. The outside of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must be torn first, so that the film forming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maintains tension, the plurality of first When the blade 1111a touches, it can be easily torn. If the tension is not maintained, the partially torn film is further torn by the first blade unit 1111 and the second blade unit 1119, and the torn film is not released, but the beans are simply the first blade Only deformation may occur due to the portion 1111 and may not be easily torn.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는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1112)에서 멀어질수록 제1방향으로 더 경사지는 곡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hat is more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1112 increases.

캡슐폐쇄부(750)의 가장자리 부분이 먼저 찢어진 후, 상기 캡슐폐쇄부(750)의 중심으로 갈수록, 찢어지는 캡슐폐쇄부의 면적은 작아진다. 이는 동일한 각도에서 반지름이 클수록 호의 길이가 커지고, 부채꼴의 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의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심보다 반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찢어지는 필름의 크기 또는 길이가 커지므로, 더 많은 필름의 변형을 주어야 찢어진 필름 사이가 벌어져 원두가 더 잘 배출될 수 있다. After the edge part of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s torn first, the area of the capsule closing part torn toward the center of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becomes small. This is because, at the same angle, the greater the radius, the greater the arc length, and the area of the sector increases with the square of the radius. Therefore,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increases, the size or length of the torn film increases. Therefore, more deformation of the film is required to open the gap between the torn films so that the coffee beans can be better discharged.

도 8(c)를 참조하면, 링형태의 드라이버 바디(1118)는 내부에 원두연통홀(11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두연통홀(1115) 통해, 캡슐(700)에서 배출된 원두가 상기 회전바디(1151)의 내부로 이동하고, 원두출구(1156)를 통해 상기 분쇄부(200)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8C , the ring-shaped driver body 1118 may have a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therein. Through the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 the bean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700 will move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1151 , and will move to the grinding unit 200 through the bean outlet 1156 .

상기 원두연통홀(1115)은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1119a)에 의해 복수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구획된 원두연통홀(1115)의 크기는 한 알의 원두크기보다 크게 구비되어 원두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원두연통홀(1115)를 지난 원두는 상기 원두출구(1156)를 통해 분쇄부(200)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분쇄부의 제2하우징(242, 도 6(b) 참조)에 구비된 제1그라인딩부 입구(2111, 도 6(b) 참조)를 통해 상기 분쇄부(200) 내부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The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y a plurality of second blades 1119a. The size of the partitioned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a single bean, so that the bean can naturally escape. The beans passing through the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will move to the grinding unit 200 through the bean outlet 1156 . Specifically, it will enter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200 through the first grinding unit inlet 2111 (refer to FIG. 6(b))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242 of the crushing unit (refer to FIG. 6(b)).

또한,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제1날개면(1111b)의 경사방향은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 각각의 제2날개면(1119b)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1111)에 의해 찢겨져 개봉된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가 반대로 경사져 회전하는 제2블레이드부(1119)를 만나는 경우, 필름이 더욱 나불거리게 되어 원두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ing surface 1111b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may be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surface 1119b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s. This is because when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n the form of a film torn and opened by the first blade part 1111 meets the second blade part 1119 which rotates at an inclin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lm becomes more fluttering, further reducing the discharge of coffee beans. Because it can be done easily.

도 9(a)는 사용자가 캡슐을 캡슐장착부(191)에 장착후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캡슐폐쇄부를 관통해 캡슐 내부로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기 설정된 개봉높이만큼 최대로 수직이동하여 상기 캡슐 내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9 (a) shows that after the user mounts the capsule on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penetrate the capsule closing unit and are inserted into the capsule. FIG. 9(b) shows that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are vertically moved as much as a preset unsealing height and are inserted into the capsule.

사용자가 원하는 원두의 종류를 담고 있는 캡슐을 캡슐장착부(191)에 장착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폐쇄부(750)의 가장자리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에 의해 찢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상단 일부는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관통하여 상기 캡슐 내부로 삽입될 것이다. When a capsule containing the type of bean desired by the user is mounted on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the edge of the capsule closing unit 750 will be torn by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will pass through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and be inserted into the capsule.

다시 말해, 상기 캡슐을 상기 캡슐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자유단에 인접한 상부는 이에 대응되는 상기 캡슐폐쇄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캡슐바디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capsule is mounted on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the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penetrates a portion of the capsule closing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apsule body.

사용자가 전원을 켜서 개봉기어부(170)를 회전시키면, 드라이버회전부(115)가 내부에 고정된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113)와 함께 회전을 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드라이버부(111)는 이동 나사돌기(1133)를 타고 상기 개봉높이까지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시 캡슐폐쇄부(750)의 가장자리가 찢어진 캡슐의 내부로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삽입될 것이다. 따라서, 캡슐폐쇄부(750)에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의 형태를 따라 찢어진 형태이고, 캡슐개구부(7135)의 가장자리에서는 캡슐폐쇄부(750)와 캡슐바디가 그대로 붙어 있을 것이다.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and rotates the unsealing gear unit 170,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will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r moving guide unit 113 fixed therein. (1133) will be moved to the opening height.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9(b), a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will be inserted into the capsule in which the edge of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s torn when mounted. Accordingly, the capsule closing portion 750 has a torn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and the capsule closing portion 750 and the capsule body will remai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capsule opening 7135 .

그리고, 상기 개봉높이까지 이동한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이동 나사돌기(1133)의 일단에 구비된 이동 스토퍼(1133a)를 만나게 되면,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더 이상 이동이 제한되고, 회전만을 하게 되므로, 캡슐폐쇄부(750)의 가장자리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드라이버부(111)의 회전에 따라 펄럭이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드라이버부(111)의 이동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형태대로 찢겨진 상기 캡슐폐쇄부(750)는 상기 드라이버부(111)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에 의해 더욱 찢어지면서 원두가 배출되기 시작하고, 찢어진 또는 벌어진 캡슐폐쇄부(750)는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에 의해 펄럭이게 될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제1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좀더 원할한 펄럭임이 가능하다. And, when the driver part 111, which has moved to the opening height, meets the movement stopper 1133a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screw protrusion 1133, the driver portion 111 is further limited in movement and rotates. only,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is torn by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and flap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r part 111 . That is,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torn i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due to the movement of the driver part 111 is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iver part 111 . As it is further torn by the , the beans begin to be discharged, and the torn or open capsule closing part 750 will be fluttered by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are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more smooth flapping is possible.

결국 상기 캡슐의 개봉된 면적이 더욱 커져, 저장된 원두가 원활히 상기 원두출구(1156)를 통해 배출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필름형태의 캡슐폐쇄부(750)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회전에 의해 완전히 찢어져 상기 캡슐바디(7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펄럭이면서 내부 원두가 잘 배출될 정도까지만 찢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도 8(c)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가 제1방향으로 경사져 있다면,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1119a)는 이와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원두는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ned area of the capsule becomes larger so that the stored beans ar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coffee bean outlet 1156 . In addition, the film-shaped capsule closing part 750 is not completely torn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capsule body 710, but only to the extent that the internal beans are well discharged while fluttering appropriately. will be torn Meanwhile, referring to FIG. 8(c) , i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is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s 1119a may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is, the beans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도 9(c) 드라이버부(111)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 캡슐이 장착되어,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1111a)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캡슐폐쇄부(750)를 뚫고 삽입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버부(111)가 도 9(c)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상기 개봉높이까지 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초기위치에서 개봉높이까지 h로 표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9(c) shows a cross-sec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1111a is inserted through the capsule closing part 750 when the driver part 111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capsule is mounted. Referring to FIG. 9(d) , it is shown that the driver part 111 ha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9(c) to the opening height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That is, the driver part 111 is designed to move the distance indicated by h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ning height.

캡슐에서 개봉된 원두는 드라이버부(111)의 원두연통홀(1115)을 지나 드라이버회전부(115)의 원두출구(1156)를 지나 분쇄부(200)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원두가 회전바디(1151)의 내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바디(1151)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품이 회전바디(1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없애기 위해 회전바디(1151)의 외주면에 회전 링기어(115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회전바디(1151)가 별도의 축이 없이도 외주면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The beans opened in the capsule will pass through the bean communication hole 1115 of the driver unit 111 and the bean outlet 1156 of the driver rotating unit 115 to move to the grinding unit 200 . Since th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1151, contamination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a rotating ring gear 115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51 in order to eliminate the driving parts for driving the rotating body 1151 from being installed inside the rotating body 1151, the rotating body 1151 ) can be rotat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out a separate shaft.

도 10은 상기 캡슐개봉부(110)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우선 사용자가 캡슐을 장착(S50) 후 상기 커피추출장치(1000)의 개시를 입력하는 것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단계(S50)를 거친다. 사용자에 의해 개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터치하거나, 버튼이나 스위치 방식 혹은 음성인식방법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단계 이후, 사용자에 의한 개시가 확인되면,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캡슐장착부(191)에 위치한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캡슐의 외주면에 표기된 바코드를 읽어 캡슐이 정품(S100)인지 인식할 수 있다. 정품이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미정품 캡슐임을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S150)로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정품 캡슐로 판명되는 경우, 바코드를 통해 원두의 종류가 무엇인지도 인식(S200)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정품 캡슐의 판명과 원두 종류인식이 동시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10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the capsule opening unit (110).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first undergoes an input sensing step (S50) of detecting that the user inputs the start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0) after mounting the capsule (S50). Initiation by the user may be input by touching a display (not shown), a button or a switch method, or a voice recognition method. After the input detection step, when the user's initi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reads the barcode mark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sule using a scanner (not shown) located in the capsule mounting unit 191 to determine whether the capsule is genuine (S100) can recognize If it is not a genuine product, the display unit (not shown) may proceed to an error display step (S150) of indicating that the capsule is not genuin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psule is genuine, it can also recognize the type of coffee bean through the barcode (S200). Contrary to this, it is okay to identify the genuine capsule and recognize the bean type at the same time.

원두 종류를 인식하면, 분쇄조절기어의 회전을 통해 분쇄도 설정이 변경되고, 분쇄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분쇄주기어(2916) 및 제1개봉기어(171)를 동시에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S300)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단계(S300)에서 상기 드라이버부(111)는 초기위치에서 개봉높이까지 이동한 후 회전하게 될 것이다.When the bean type is recognized, the grinding degree setting is chang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control gear,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grinding driving unit, and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e first opening gear 171 are simultaneously mov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 first rotating step (S300) of rotating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rotation step (S300), the driver unit 111 will be rotated after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ning height.

상기 제1회전단계(S300)는 기설정된 분쇄시간이 경과(S400)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상기 분쇄시간은 원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step (S300) may be continued until a preset grinding time elapses (S400). The grind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bean.

상기 분쇄시간이 경과(S400)하면,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캡슐에서 저장된 원두가 모두 배출되어 분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분쇄도 조절을 위해 위치가 조절한 제2버(232)를 조절 전의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쇄주기어(2916) 및 상기 제1개봉기어(171)를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초기위치로 재위치시킬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111)를 상기 개봉높이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회전단계(S500)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단계(S500)는 기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S600)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후, 급수부(400)를 통한 급수가 진행되어 커피를 추출하게 될 것이다.When the grinding time elapses (S400),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that all th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have been discharged and ground. Accordingly,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return the second burr 232 whose position is adjusted for adjusting the degree of grinding to the position before the adjustment. Then, the grinding main gear 2916 and the first opening gear 171 are rotated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reby repositioning the driver unit 111 to its initial position. . That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ceed with a second rotation step ( S500 ) of returning the driver unit 111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unsealing height through rotation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step (S500) will continue until the preset return time elapses (S600). Thereafter,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400 will proceed to extract coffee.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0: 커피추출장치 100: 원두공급부 110: 캡슐개봉부
111: 드라이버부 1112: 드라이버 허브 1115: 원두연통홀
1117: 캡슐체결헤드 1118: 드라이버 바디 1118a: 바디돌출부
113: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 1131: 이동 링바디 1132: 고정돌출부
1133: 이동 나사돌기 115: 드라이버회전부 1151: 회전바디
1152: 회전 링기어 1153: 내측 고정가이드 1154: 내측지지턱
1156: 원두출구 1159: 캡슐장착부 결합구 170: 개봉기어부
171: 제1개봉기어 172: 제2개봉기어 1721: 개봉기어축
191: 캡슐장착부 1911: 장착바디 1915: 원두낙하홀
192: 측면보호바디 193: 보호프레임 200: 분쇄부
400: 급수부 600: 추출부 700: 캡슐
800: 커피서버 910: 지지부 920: 베이스
1000: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bean supply unit 110: capsule opening unit
111: driver unit 1112: driver hub 1115: bean communication hole
1117: capsule fastening head 1118: driver body 1118a: body protrusion
113: driver moving guide unit 1131: moving ring body 1132: fixed protrusion
1133: moving screw projection 115: driver rotating unit 1151: rotating body
1152: rotary ring gear 1153: inner fixed guide 1154: inner support jaw
1156: bean outlet 1159: capsule mounting unit coupling port 170: opening gear unit
171: first opening gear 172: second opening gear 1721: opening gear shaft
191: capsule mounting unit 1911: mounting body 1915: bean drop hole
192: side protection body 193: protection frame 200: crushing unit
400: water supply unit 600: extraction unit 700: capsule
800: coffee server 910: support 920: base

Claims (19)

원두가 저장된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를 배출하는 캡슐개봉부;
상기 캡슐개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개봉기어를 포함하는 개봉기어부;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캡슐개봉부와 결합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분쇄부; 및
상기 제1개봉기어를 회전시키는 분쇄주기어축에 연결된 분쇄주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기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주기어에 의해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분쇄기어부;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the coffee bean is stored capsule is mounted;
a capsule open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by opening the capsule;
an opening gear unit including a first opening gear for rotating the capsule opening unit;
a grinding unit coupled to the capsule opening unit in a direction in which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to grind th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nd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mprising a main grinding gear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for rotating the first opening gear, and located below the opening gear part to rotate the grinding unit by the grinding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개봉부는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드라이버부; 및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를 상기 캡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분쇄부로 내보내는 드라이버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opening part
a driver unit for opening the capsule; and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a driver rotating unit for moving the driver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located through rotation and rotating to open the capsule and send it out to the grind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드라이버 허브;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일단은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 연결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드라이버 허브를 감싸는 링형태의 드라이버 바디; 및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함께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가 상기 분쇄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드라이버 허브와 상기 드라이버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er part
a driver hub that provides a center of rotation;
a first bla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lades for opening the capsule,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connected to the driver hub;
a ring-shaped driver body surrounding the driver hub; and
A plurality of products positioned under the first blade unit to guide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to b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unit by opening the capsule together with the first blade unit and connecting the driver hub and the driver body.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blade unit including two bla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Each is provided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s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방향으로 더 경사지는 곡면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that is more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s it goes away from the driver hub, respectively.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드라이버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수직한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6.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or 5,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height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hub,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상기 캡슐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 각각의 자유단에 인접한 상부는 이에 대응되는 상기 캡슐의 일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캡슐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capsule is mounted on the capsule mounting part, the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penetrates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capsule corresponding thereto, coffee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capsul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드라이버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바디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는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부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태의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장착부와 결합하는 캡슐장착부 결합구;
상기 회전바디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된 캡슐에서 배출하는 원두가 상기 분쇄부를 향해 배출되는 원두출구; 및
상기 드라이버 설치공간에서 상기 드라이버부 및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바디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드라이버부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링형태의 이동 링바디;
상기 이동 링바디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돌출부와 결합하는 이동 나사돌기; 및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양단 중 상기 캡슐장착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일단에는 상기 드라이버부가 기 설정된 개봉높이보다 더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er par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ody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r body,
The driver rotating part
a rotating body of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part, and forms a driver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river part is located and has both ends open;
Capsule mounting portion coupler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and coupled to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 bean outlet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which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mounted capsule are discharged toward the grinding unit; and
and a driver movement guide part positioned between the driver part and the rotating body in the driver installation spac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to move and rotate the driver part;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a ring-shaped moving ring body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driver moving guide part;
a moving screw protrusion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body and coupled to the body protrusion; and
One end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mounting part is located among both ends of the moving screw protrusion has a moving stopper that prevents the driver from going higher than a preset opening height; coffee comprising a; extrac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토퍼는
상기 이동 나사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이동 링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캡슐장착부를 향해 절곡된 돌기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ving stopper is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bent toward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vable ring body from one end of the movable screw proj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 링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에 대응되게 상기 회전바디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고정가이드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드라이버 이동가이드부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river movement guide par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ring body,
The rotating body i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ner fixing guid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inner fixed guides are coupl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r moving guide at the same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기어이빨형태의 회전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링기어는 상기 개봉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상기 드라이버회전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tating body is
and a rotating ring gear in the form of gear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he rotary ring gear is engaged with the unsealing gear portion,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portion to the driver rot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캡슐장착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원형의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캡슐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함몰부; 및
상기 장착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캡슐개봉부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원두낙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mounting part
a circular mounting body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mounting part;
a mounting depress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depress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and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a coffee bean drop hole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mounting depress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장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 또는 상기 장착함몰부를 보호하기 위한 캡슐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psule mounting part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psule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capsule or the mounting depression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캡슐장착부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장착부 결합구와 결합하는 원형의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캡슐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함몰부; 및
상기 장착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캡슐개봉부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원두낙하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바디의 외경은 상기 회전바디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psule mounting part
a circular mounting body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mounting unit and is coupled to the capsule mounting unit coupling port;
a mounting depress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depress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and
and a bean drop hole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mounting depress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psule opening part;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body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낙하홀의 직경은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offee bean dropping hol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lade portion.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개봉부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장착바디와 상기 보호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캡슐개봉부의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보호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호바디는 투광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2 or 14,
a protective frame supporting the capsule opening part; and
It further comprises;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rotection body is provided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개봉부는
회전을 통해 상기 캡슐을 개봉하는 드라이버부; 및
회전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부를 상기 캡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분쇄부로 내보내는 드라이버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는 제1버;
상기 제1버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원두를 유입하기 위한 제1버 입구;
상기 제1버 관통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분쇄된 원두를 커피가루로 배출하는 제1버 출구;
상기 제1버 출구를 통해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 및
상기 분쇄회전부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쇄동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주기어축은
상기 분쇄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동력부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개봉기어는
상기 분쇄주기어의 상부에서 상기 분쇄주기어축과 결합하여 상기 분쇄동력부의 회전력을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opening part
a driver unit for opening the capsule through rotation; and
and a driver rotating unit for moving and rotating the driver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sule is located through rotation to open the capsule and send it out to the crushing unit; and
The crushing part
a first burr for grinding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 first burr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urr in an axial direction;
a first burr inle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introduce the coffee beans;
a first burr outle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discharge groun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a second burr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hrough the first burr outlet to form a grinding space for grinding coffee beans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a grinding rotation uni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to rotate the first burr; and
a grinding power uni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 of the grinding rot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is
It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power unit and rotates by the grinding power unit,
The first opening gear is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main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rinding power unit to the driver rotat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회전부는
상기 개봉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부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태의 회전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기어이빨형태의 회전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기어부는
상기 제1개봉기어와 상기 회전 링기어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제2개봉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driver rotating part
a cylindrical rotating bod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nsealing gear unit and forming a driver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river unit is located and having both ends open; and
Containing;
The opening gear part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ning gear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by connecting the first opening gear and the rotating ring gear.
원두가 저장된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을 개봉하여 상기 캡슐에 저장된 원두를 배출하는 캡슐개봉부; 상기 캡슐개봉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개봉기어;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회전하는 제1버, 상기 제1버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버 관통홀, 상기 제1버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버와 함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제2버; 및 상기 제1버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버를 회전시키는 분쇄회전부; 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시입력을 감지한 후, 기설정된 분쇄시간동안 분쇄주기어축에 연결된 상기 분쇄회전부 및 상기 캡슐개봉부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 및
상기 분쇄시간이 경과 후 기 설정된 복귀시간동안 상기 분쇄주기어축을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 를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제어방법.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the coffee bean is stored capsule is mounted; a capsule open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stored in the capsule by opening the capsule; a first opening gear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psule opening unit to rotate the capsule opening unit; A first burr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nd is used to grind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capsule opening unit, a first burr through hole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 a second burr inserted into the first burr through hole to form a grinding space for grinding coffee beans together with the first burr; and a grinding rotation uni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 to rotate the first bur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a first rotating step of rotating the grinding rotating unit and the capsule opening unit connected to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in a first rotating direction for a preset grinding time after detecting a user's starting input; and
a second rotation step of rotating the grinding main gear shaft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for a preset return time after the grinding time has elapsed; A control method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KR1020200093540A 2020-07-28 2020-07-28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01400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40A KR20220014008A (en) 2020-07-28 2020-07-28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CT/KR2021/002638 WO2022025379A1 (en) 2020-07-28 2021-03-04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40A KR20220014008A (en) 2020-07-28 2020-07-28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008A true KR20220014008A (en) 2022-02-04

Family

ID=8003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40A KR20220014008A (en) 2020-07-28 2020-07-28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4008A (en)
WO (1) WO2022025379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6038B2 (en) * 2009-09-21 2017-01-17 Conair Corporation Disposable whole bean coffee filter
DE202011109933U1 (en) * 2010-02-17 2012-06-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ffee beverage system and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this system
WO2016081307A1 (en) * 2014-11-20 2016-05-26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Pod for beverage machine
KR20180032901A (en) * 2016-09-23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ssembly for Mounting coffee capsule
KR101796486B1 (en) * 2017-03-14 2017-12-01 주식회사 테쿰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379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63B2 (en)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coffee beverage system including same
JP5877165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uch apparatus,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by such apparatus, and supplying ground coffee from such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how to
US9265377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EP2509474B1 (en)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KR20210122570A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GB2435609A (en) Hand-held coffee grinder and infusion apparatus
US20210307556A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307557A1 (en) Coffee extraction apparatus
KR20220014009A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014008A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014091A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EP395425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having a grinder with a safety element
JPH0373114A (en) Coffee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