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718A -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718A
KR20220013718A KR1020200092986A KR20200092986A KR20220013718A KR 20220013718 A KR20220013718 A KR 20220013718A KR 1020200092986 A KR1020200092986 A KR 1020200092986A KR 20200092986 A KR20200092986 A KR 20200092986A KR 20220013718 A KR20220013718 A KR 2022001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let
unit
contain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재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2020009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718A/en
Publication of KR2022001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a filter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the filter includes: a container part having a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n inlet integrally formed at the top of the body; a lid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and a filter part fit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wherein the filter part includes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inlet, an insertion assisting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protrusion form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to protrude.

Description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써, 특히 용기 내부의 침출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맛을 느끼며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particular, by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leachate inside the container, shochu with various tastes and effective hangover relief is produced. It relates to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사람의 생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물이다. 일상 생활뿐 아니라 여행, 낚시, 등산, 운동 등 모든 생활 속에서 사람은 반드시 물을 필요로 한다. 특히, 겨울철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건조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human survival is water. In addition to daily life, people inevitably need water in all their lives, such as travel, fishing, mountain climbing, and sports. In particular, in winter, it is relatively dry, so continuous water intake is necessary.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수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지속적으로 물을 섭취하는 것이 불편하며, 또한, 물을 지속적으로 마시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시판되는 액상 음료수를 통해 수분을 섭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나아가, 웰빙, 힐링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함에 따라 우엉차, 옥수수수염차, 보리차, 마테차 등 다양한 종류의 액상 건강차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However, in general, it is inconvenient to continuously drink water while carrying bottled water, and since it is not easy to continuously drink water, people frequently consume water through commercially available liquid beverages. Furthermore, as well-being and healing are emerging as important social issues, sales of various types of liquid health teas such as burdock tea, corn beard tea, barley tea, and mate tea are continuously increasing.

생수를 제외한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액상 음료수는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 등의 첨가제가 반드시 함유되고 있다. 첨가제를 함유하면 인체는 액상 음료수를 물로 인식하지 못하며, 장기간 음용시 체내에 축척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Except for bottled water, liquid beverages currently on the market must contain additives such as preservatives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spoilage. When additives are included, the human body cannot recognize liquid beverages as water, and when consu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accumulate in the body and adversely affect health.

한편, 액상 음료수의 단점을 제고하고 페트병을 이용하여 침출차를 음용할 수 있는 발명들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disclosed inventions that can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liquid beverages and drink leached tea using a PET bottle.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223호는 빈 음료수용기나 생수병에 뚜껑부분만을 교체하여 쉽게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티캡에 관한 것이다. 다만, 이 선행문헌과 같이 티백을 직접 넣어 마시는 경우, 마시는 과정에서 페트병의 주입구 측으로 티백이 부상하여 마시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와 뚜껑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Public Utility Model No. 20-2008-0000223 relates to a tea cap that can easily make and drink tea by replacing only the lid part of an empty drinking water container or bottled water. However, when drinking the tea bag directly as in this prior docu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a bag floats to the inlet side of the PET bottle during the drinking process, making it difficult to drink. In addition, since the tea and the lid are integrally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s are high.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0-0460693호는 페트병용 차 여과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는 페트병 뚜껑에 고정되는 고정본체에 거름망이 결합고정되며 이 거름망 내에 차잎 등을 넣어 침출시키는데, 거름망에 물이 도달하여야 침출이 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eliminate this problem,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0693 has disclosed a tea filter for PET bottles. In this case, the strainer is fixed to the fixed body fixed to the cap of the PET bottle, and tea leaves are put in the strainer for leaching.

따라서, 보존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으면서도 액상 음료수를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roduct capable of manufacturing and ingesting liquid beverages without additives such as preservatives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370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337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91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49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153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215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기 주입구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뚜껑; 및 상기 용기부의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장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 lid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and a filter unit fitted to be fitt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unit,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필터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protection uni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침출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의 직경은 2~4mm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lter unit, at least one discharge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achate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a penetrating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2 to 4 mm.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삽입보조부의 상단면의 내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거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moval auxiliary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in a radial direction.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은,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부 및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부의 내부에 침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에 필터부를 끼움 결합하여 선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뚜껑을 닫아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는, 뚜껑에 형성된 누수방지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주입구의 입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leachate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portion inclu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lid having the injection port formed therein to do; pre-mounting by fitting a filter unit to the inlet; and closing the lid and post-mounting the filter unit; but, in the post-mounting of the filter unit, the filter unit is mou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let of the inlet by being pressed by a leak prevention unit formed on the lid, and , The filter unit,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은,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부 및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부의 내부에 침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에 주정 및 발효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에 필터부를 끼움 결합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 및 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는, 뚜껑에 형성된 누수방지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주입구의 입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leachate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portion inclu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lid having the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to do; adding alcohol and a fermenting agent to the body part; fitting the filter unit to the inlet and mounting the filter unit; and aging and storing the mixed mixture; However, in the step of post-mounting the filter unit, the filter unit is mou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let of the inlet by pressing by the leak prevention unit formed on the lid, and the filter uni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filter being;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능한 용기를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ortable container to conveniently drink various types of beverag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중에 필터가 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protrusion on the side of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during use.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에 용이하도록 필터의 착탈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을 고려하여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is removable for easy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bility and convenience in consideration of user hygiene.

본 발명에 따르면, 침출용 재료를 포함하는 휴대용기와 물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다양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beverages can be provided on the spot using a portable device containing a material for leaching and water.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를 이용하여 침출용 재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다양한 맛을 느끼며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리큐르주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material for leaching by using a filter, to feel various tastes, and to prepare liqueur effective for hangover relief.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보호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을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보조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 2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filter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discharge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removal auxiliar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unt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shown in Figure 1, Figure 2 (a)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 2 ,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용기부(10), 뚜껑(20) 및 필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1 may include a container part 10 , a lid 20 and a filter part 30 .

우선, 용기부(10)는 세계적으로 규격이 통일되어 있으며, 뚜껑(20)도 공통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irst of all, the container unit 10 is globally standardized, and the lid 20 may also be common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용기부(10)는 페트(PET), 유리, 금속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몸체(12)와, 몸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주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ET, glass, metal, etc., and a body 12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an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b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2 ( 14) may be included.

용기부(10)의 주입구(14)는 직경이 25mm로 규격화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may be standardized to have a diameter of 2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서, 수용공간에 침출물(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출물(C)은 용기부(10)의 용량이 300ml~2L인 경우 3~10g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침출물(C)은 곡물, 채소 등 다양한 재료로부터 건조되어 추출된 분말형태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space may include a leachate (C). For example, the leachate (C) may contain 3 to 10 g when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unit 10 is 300 ml to 2 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dd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Here, the leachate (C)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extracted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grains and vegetables.

본 실시예에서, 침출물(C)은 숙취해소에 좋은 리큐르주를 제조하기 위한 오미자, 히비스커스, 풋사과 및 레몬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오미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면역력을 높이고, 노화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간의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고, 히비스커스는 여성 건강과 미용에 도움을 주며, 하이드록시시트릭산, 안토시아닌, 케르세틴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마시면서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 또한, 풋사과는 항상화 물질인 폴리페놀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및 혈류개선에 큰 효과가 있고, 레몬은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감기를 예방하고, 피부트러블에 효과적이며, 레몬에 포함된 구연사에 의해 피로회복에 큰 효과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achate (C) may include ingredients such as omija, hibiscus, green apple and lemon for producing a good liqueur for hangover relief,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omija is rich in antioxidants, so it enhances immunity, prevents cell damage due to aging, and has an effect on liver detoxification, hibiscus helps women's health and beauty, hydroxycitric acid, anthocyanin , quercetin, etc., are effective in relieving hangover while drinking. In addition, green apples contain a large amount of polyphenols, which are antioxidants, and have a great effect on blood circulation and blood flow improvement. Lemons are rich in vitamin C, which prevents colds, is effective for skin problems, and contains citric acid contained in lemons. It has a great effect on recovery from fatigue.

예를 들어, 침출물(C)은 침출속도가 느려 다수 침출이 가능한 자몽, 석류, 등의 과일, 당근, 카카오닙스, 우엉, 돼지감자, 헛개나무 열매, 곡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나무열매 분말은 물에 즉시 용해되기 때문에 침출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섭취할 수 있으며, 체지방 분해 등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비타민나무열매 분말은 건조 과일, 당근, 카카오닙스, 우엉, 돼지감자, 헛개나무 열매, 곡물의 중량 대비 5~10%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leachate (C) may include fruits such as grapefruit, pomegranate, and the like, carrots, cacao nibs, burdock, pork potato, sagebrush fruit, grains, etc., which can be leached in large numbers due to a slow leaching rate. In addition, since vitamin tree fruit powder dissolves immediately in water, it can be consumed immediately without waiting for leaching, and it is effective in dieting, such as decomposing body fat. The vitamin tree fruit powder is preferably prepared in an amount of 5 to 10% based on the weight of dried fruits, carrots, cacao nibs, burdock, pork potatoes, sagefruit, and grains.

이와 달리, 침출물(C)은 원물의 고체형태, 액상형태 또는 티백형태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eachate (C) may be in the form of a solid, liquid or tea bag of the original product.

뚜껑(20)은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뚜껑(20)은 주입구(14)의 외주면(140)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0)의 내주면(200)은 암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주입구(14)의 외주면(140)은 수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lid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 That is, the lid 20 may b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40 of the injection port 14 . For exampl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00 of the lid 20 may be formed of a female threa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40 of the inlet 14 may be formed of a male thr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필터부(30)는 용기부(1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끼움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 may be mounted by being fitted into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container unit 10 .

필터부(30)의 너비는 용기부(10)의 주입구(14)의 너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용기부(10)의 주입구(14)는 직경이 25mm로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필터부(30)의 직경이 25mm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주입구(14)로부터 쉽게 이탈이 되어 외부로 빠지거나 용기부(10) 내부로 빠지는 염려가 방지되도록 25mm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lter unit 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has a standardized diameter of 25 mm, the diameter of the filter unit 30 may be formed as 25 mm. However, it may be formed to be finely larger than 25mm so that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let 14 and falls out or falls into the container portion 10 is prevented.

필터부(30)는 용기부(10)의 주입구(14)의 내부에 안착된 후 뚜껑(20)을 닫을 때 주입구(14)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안착된 상태에서 뚜껑(20)을 닫을 때, 뚜껑(20)의 내주면(200)의 암나사산과 주입구(14)의 외주면(140)의 수나사산이 서로 맞물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30)의 두께가 3~5mm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unit 3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be mounted inside the inlet 14 when the lid 20 is closed after being seated inside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 If the thickness of the filter unit 30 is too thick, when the lid 20 is closed while seated in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the female threa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00 of the lid 20 and the inlet 14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male threa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0 do not engag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lter unit 30 may be formed to be 3 to 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필터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00)와 삽입보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filter unit 30 may include a filter 300 and an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

필터(300)는 미세 공극을 갖는 합성섬유 또는 미세홀을 갖는 금속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필터(300)는 침출물(C)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300)는 바이오세라믹스, 플라스틱 등의 합성 소재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과 같이, 물이나 그 외의 음료에 의한 부식이나 산화에 강하며, 세균 번식률이 낮은 재질이라면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형성 가능할 수 있다.The filter 3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fiber having micropores or a metal mesh having microholes. That is, the filter 300 may perform a sieve function capable of filtering out the leachate (C). Here, the filter 300 is strong against corrosion or oxidation by water or other beverages, such as synthetic materials such as bioceramics and plastics, or metal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and has a low bacterial propagation rate, regardless of the material. can be formed.

필터(300)는 용기부(10)의 주입구(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00)는 원형의 판상이며, 두께는 3~5mm, 너비는 25mm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3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 For example, the filter 300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 thickness of 3 to 5 mm, and a width of 2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따라, 필터(300)는 미세플라스틱을 여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300 may filter microplastics.

삽입보조부(310)는 용기부(10)의 주입구(14) 상에 보다 깊게 장착되도록 하여 용기부(10)가 사용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주입구(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more deeply on the injection hole 14 of the container portion 10 to prevent the container portion 10 from being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hole 14 in the course of use.

삽입보조부(310)는 필터(300)의 외측면(301)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삽입보조부(310)는 필터(30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필터(300)의 하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may protrude upward along the outer surface 301 of the filter 300 . That is,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0 and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300 .

이와 같은 삽입보조부(310)에 의해 뚜껑(300)을 닫는 과정에서 누수방지부(210)가 삽입보조부(310)를 가압하므로 필터부(30)가 보다 깊게 삽입된다.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lid 300 by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as described above, the leak preventing unit 210 presses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so that the filter unit 30 is inserted more deeply.

삽입보조부(310)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may include a protrusion 320 .

돌출부(320)는 외측면(311)에서 복수개의 돌기가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rotrusion 320 may be formed by helicall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rom the outer surface 311 . Here, the protrusion 32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돌출부(320)는 삽입보조부(310)의 외측면(3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320)가 복수개의 돌기가 주입구(14)의 내주면(142)과 복수개로 접촉함으로써, 주입구(14)의 내주면(142)과 돌출부(320) 사이의 통로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주입구(14)의 내주면(142)과 삽입보조부(310)의 외측면(311)의 상면이 직접 맞닿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0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2 of the injection hole 14 in plurality, a passag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2 of the injection hole 14 and the protrusion 320 may not be created. Moreove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42 of the injection hole 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may be mounted so that they directly contact.

이때, 돌출부(320)는 필터(3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삽입보조부(310)의 외측면(31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320 may be formed above and below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0 .

실시예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320)는 필터(3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삽입보조부(310)의 외측면(311)에서 돌출되어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20)는 삽입보조부(310)의 외측면(311)에 일체가 아니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 the protrusion 32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0 to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protrusion 320 may be formed by not being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

이와 같은 구조의 돌출부(320)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용기부(10)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주입구(14)로부터 필터부(30)가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더욱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protrusion 320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 user drinks a beverage using the container unit 10 or shakes due to an external shock, the filter unit 30 is further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inlet 14 . can be prevented

실시예에 따라, 삽입보조부(310)는 하부면에 경사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312)는 중심축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312)는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ertion auxiliary part 310 may include an inclined part 312 on the lower surface. The inclined portion 3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ral axis. Here, the inclined portion 312 may be omitted.

이에 따라, 필터부(30)가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삽입될 때 좀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lter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it can be more easily inserted.

이와 같은 구조의 필터부(30)는 도 4를 참고하면, 돌출부(320)에 비틀기 방식으로 주입구(140)에 장착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잦은 사용에도 주입구(140)으로부터 필터부(30)가 일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료 또는 물이 통과하면서 용기부(10)의 수용공간에 침출물(C)을 제외한 나머지 음료만 배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lter unit 30 having such a structure is mounted on the inlet 140 in a twisting manner on the protrusion 320 , so that the filter unit 30 deviates from the inlet 140 despite external impact or frequent us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only the remaining beverage except for the leachate (C)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portion 10 while preventing the beverage or water from being passed through.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보호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을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거보조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filter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discharge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including a removal auxiliar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필터보호부(330)를 포함하고, 도 6은 배출공(340)을 포함하고, 도 7은 제거보조부(3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protection unit 330 , FIG. 6 may include a discharge hole 340 , and FIG. 7 may include a removal auxiliary unit 350 . have.

도 5에 도시된 필터보호부(330), 도 6에 도시된 배출공(340), 도7에 도시된 제거보조부(350)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1)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Except for 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shown in Fig. 5, the discharge hole 340 shown in Fig. 6, and the removal auxiliary unit 350 shown in Fig. 7, the portable having the filter shown in Figs. 1 and 2 It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beverage container (1).

이하의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FIGS. 5 to 7 , detailed descriptions of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may be omitted, and different points may be mainly described. Accordingly,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shown in FIGS. 5 to 7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and 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2)는 뚜껑(20)에 의해 주입구(14)가 개방된 경우 내부에 외부먼지 또는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보호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보호부(330)는 필터(30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 the filter unit 3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filter to prevent external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when the inlet 14 is opened by the lid 20 . It may further include a unit 330 . In this case, 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may be detachable from the filter 300 .

필터보호부(330)는 필터(3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보호부(330)는 필터(30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섬유재질의 실이 엉켜있는 재질이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lter 3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 300 , but, unlike this, a material in which fibers of a fiber material are entangle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실시예에 따라, 필터보호부(330)는 필터(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ter 300 .

이와 같은 필터보호부(330)를 포함하는 필터부(32)는 필터(300)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2 including the filter protection unit 330 as described above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30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carried hygienically.

또한,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6)는 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배출공(340)이 복수 개가 형성된 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6 , the filter unit 3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300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40 for water injection and discharge are formed.

배출공(210)은 필터(300)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직경은 2~4mm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210 is formed to pass throug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ter 300 , and may have a diameter of 2 to 4 mm.

구체적으로, 배출공(340)은 다수의 테스트를 거친 결과, 직경이 2mm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음용시 물이 쉽게 배출되지 않으며 직경이 4mm보다 크면 물과 침출물(C) 등이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배출공은 2 ~ 4m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a result of a number of tests, the discharge hole 340 has a problem that, if the diameter is smaller than 2mm, water is not easily discharged when the user drinks it, and if the diameter is larger than 4mm, water and the leachate (C) are discharged together there wa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of 2 to 4 mm.

실시예에 따라, 배출공(340)은 한개 이상의 배출공(340)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charge hole 340 may be formed as a single hole by connecting one or more discharge holes 340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배출공(340)을 포함하는 필터부(34)는 배출공(340)의 직경을 2~4mm로 구성함으로써, 용기부(10)의 내부로 물이 쉽게 주입되면서도 침출물(C)의 여과가 가능할 수 있다.In the filter unit 34 including the discharge hole 340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340 is 2 to 4 mm, so that water is easily injected into the container portion 10 and the leachate C Filtration may be possible.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8)는 사용자가 필요시 주입구(14)에 장착된 필터부(38)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보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7 , the filter unit 3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l auxiliary unit 360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remove the filter unit 38 mounted on the inlet 14 when necessary. may include

제거보조부(360)는 삽입보조부(310)의 상단면의 내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removal unit 36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in the radial direction.

제거보조부(360)는 하방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손톱)이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시 사용자가 쉽게 제거시킬 수 있다.Since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moval auxiliary unit 360 , the user's hand (nail) can be inserted,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remove it when necessary.

실시예에 따라, 삽입보조부(310)와 제거보조부(36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ertion auxiliary unit 310 and the removal auxiliary unit 360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은 제거보조부(360)를 포함하는 필터부(38)는 도 8를 참고하면, 상단부의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거보조부가 형성됨으로써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 주입구(140)로부터 필터부(38)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더욱 위생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filter unit 38 including the auxiliary removal unit 360 is formed with a removal auxiliary unit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n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when replacement or cleaning is required, the filter is removed from the inlet 140 . Since the part 38 can be easily removed, it can be carried more hygienically.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describes a method of mount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for

우선, 본 실시예에서,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은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리큐르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irst,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ilter has been disclosed as producing an effective liqueur for hangover relie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물(C)을 준비하여 용기부(10)의 수용공간에 투입할 수 있다(S10).As shown in FIG. 9 , the leachate C may be prepared and put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 ( S10 ).

여기서, 침출물(C)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재료를 용적이 300ml~2L의 용적을 갖는 용기부(10)에 대응하여 3~10g으로 투입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침출물(C)은 숙취를 해소하거나 숙취를 낮출 수 있는 오미지, 히비스커스, 풋사과 및 레몬 등을 건조된 상태로 용기부(10)에 투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침출물(C)은 절임상태, 또는 분말 상태로 투입될 수도 있다.Here, the leachate (C)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3 to 10 g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portion 10 having a volume of 300 ml to 2 L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leachate (C) may be put into the container unit 10 in a dried state, such as omiji, hibiscus, green apple, and lemon, which can relieve a hangover or lower a hangover. Alternatively, the leachate (C) may be added in a pickled state or a powder state.

예를 들어, 365ml의 용기부(10)를 이용하여 리큐르주를 제조하는 경우 오미자 5g과 히브스커스 2g을 투입하거나, 풋사과 5g과 레몬 2g을 투입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liqueur using the 365ml container unit 10, 5 g of omija and 2 g of hibiscus may be added, or 5 g of green apples and 2 g of lemon may be added.

다음으로, 침출물(C)이 투입된 용기부(10)에 주정 및 발효제를 투입할 수 있다(S12).Next, alcohol and a ferment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container unit 10 into which the leachate C is added (S12).

이때, 주정은 12-20도로 희석하여 투입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소주를 투입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lcohol may be diluted to 12-20 degrees and may be ad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commercially available shochu may be added.

또한, 발효제로써 스테비아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주류의 맛을 더욱 풍미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테비아는 분말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체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dding stevia as a fermenting agent, it is possible to make the taste of alcoholic beverages more savory. In this case, the stevia is preferably added as a pow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dded in a solid form.

여기서, 주정과 발효제의 투입용량은 용기부(10)의 용량 및 침출물(C)의 용량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input capacity of the alcohol and the fermenting age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unit 10 and the capacity of the leachate (C). Alternatively,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personal taste.

다음으로, 침출물(C)이 공급된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필터부(30)를 장착할 수 있다(S14).Next, the filter unit 30 may be mounted on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to which the leachate C is supplied (S14).

구체적으로, 도 10(a)를 참조하면, 용기부(10)의 뚜껑(200)을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부(10)의 주입구(14)를 필터부(3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필터부(30)는 직경이 주입구(14)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미세하게 크고, 하단부에 경사부(312)가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0( a ), in a state in which the lid 200 of the container part 10 is removed,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part 10 may seat the filter part 30 .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30 has a diameter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injection hole 14 , and the inclined portion 3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it can be easily seated.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10)의 내부를 질소로 치환함으로써 보존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판하는 과정에서 유통기한을 더 늘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replac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nit 10 with nitroge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serv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extend the shelf life in the process of marketing.

실시예에 따라, 주입구(14)에 필터부(30)를 임시 장착한 뒤 배출공(340)을 통해 치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unit 30 may be temporarily mounted on the inlet 14 and then replac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40 .

마지막으로, 뚜껑(20)을 닫아 용기부(10)의 상면을 마감함과 동시에 필터부(30)를 최종적으로 장착하여 혼합물을 숙성 및 보관할 수 있다(S16).Finally, the lid 20 is closed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10 , and the filter unit 30 is finally mounted to allow the mixture to be aged and stored (S16).

구체적으로,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뚜껑(20)을 닫음으로써 용기부(10)의 주입구(14)에 필터부(30)를 장착시킬 수 있다. 필터부(30)의 두께가 3~5mm 정도로 마련되므로, 하단부가 주입구(I)에 안착된 경우에도 뚜껑(20)의 암나사산과 주입구(14)의 수나사산이 상호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뚜껑(20)을 돌려 완전히 닫는 과정에서 뚜껑(20)에 형성된 누수방지부(210)에 의해 필터부(30)가 가압됨으로써 주입구(14)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장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0 ( b ) and 10 ( c ), the filter unit 30 may be mounted on the inlet 14 of the container unit 10 by closing the lid 20 .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lter unit 30 is provided about 3 to 5 mm, even when the lower end is seated in the inlet (I), the female thread of the lid 20 and the male thread of the inlet 14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closing the lid 20 by turning it, the filter unit 30 is pressed by the leak prevention unit 210 formed on the lid 20 so that it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let 14 .

여기서, 침출물(C)과 주정 및 발효제가 혼합된 혼합물은 소정기간동안 예를 들어 1개월 숙성한 후, 필터부(30)를 이용하여 침출물(C)을 제거하여 음용할 수 있다.Here, the mixture of the leachate (C), alcohol, and the fermentation agent may be ag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for one month, and then the leachate (C) may be removed using the filter unit 30 to drink.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this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휴대용 음료 용기
10 : 용기부 20 : 뚜껑
30 : 필터부
1: Portable beverage container
10: container 20: lid
30: filter unit

Claims (8)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기 주입구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뚜껑; 및
상기 용기부의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장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container un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an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med thereon;
a lid detachably mount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and
Including; and a filter unit fitted to be fitted inside the injection port of the container unit.
The filter unit,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filter,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filter, which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필터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lte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protection uni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침출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의 직경은 2~4mm인,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At least one discharge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achate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a penetrating shap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2 ~ 4mm, including a filter, portable beve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삽입보조부의 상단면의 내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거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filter, further comprising; a removal auxiliary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auxiliary portion.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부 및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부의 내부에 침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에 필터부를 끼움 결합하여 선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뚜껑을 닫아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는,
뚜껑에 형성된 누수방지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주입구의 입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injecting the leachate into the container part including the body part and the lid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pre-mounting by fitting a filter unit to the inlet; and
Including; closing the lid and post-mounting the filter unit;
The step of post-mounting the filter unit,
Pressurized by the leak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lid, the filter part is mou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let of the inlet,
The filter unit,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lter; including a;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is formed by protruding.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부 및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부의 내부에 침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에 주정 및 발효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에 필터부를 끼움 결합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 및 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를 후장착하는 단계는,
뚜껑에 형성된 누수방지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주입구의 입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보조부; 및
상기 주입구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injecting the leachate into the container part including the body part and the lid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adding alcohol and a fermenting agent to the body part;
fitting the filter unit to the inlet and mounting the filter unit; and
Aging and storing the mixed mixture; including,
The step of post-mounting the filter unit,
Pressurized by the leak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lid, the filter part is mou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let of the inlet,
The filter unit,
a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inlet;
an insertion auxiliary part protru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and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lter; including a;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is formed by protruding.
KR1020200092986A 2020-07-27 2020-07-27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137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86A KR20220013718A (en) 2020-07-27 2020-07-27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86A KR20220013718A (en) 2020-07-27 2020-07-27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18A true KR20220013718A (en) 2022-02-04

Family

ID=8026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986A KR20220013718A (en) 2020-07-27 2020-07-27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718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530Y1 (en) 2000-11-29 2001-04-16 강경표 Instant beverage
KR20110074915A (en) 2008-10-24 2011-07-04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Device for extemporaneously preparing a hot beverage from a soluble powder
KR101733701B1 (en) 2015-12-21 2017-05-08 (주)디자인엑스투 Portable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pippet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530Y1 (en) 2000-11-29 2001-04-16 강경표 Instant beverage
KR20110074915A (en) 2008-10-24 2011-07-04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Device for extemporaneously preparing a hot beverage from a soluble powder
KR101733701B1 (en) 2015-12-21 2017-05-08 (주)디자인엑스투 Portable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pipp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361B2 (en) Citrus press drinking vessel
KR101761127B1 (en) Method for producing using coffe husk
KR20220013718A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s with filter and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325906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spine grape wine
CN106889386A (en) A kind of ginger juice and black tea health-care composite beve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6665346U (en) Thread seal beverage bottle with flavoring
US20140131230A1 (en) Drinking Vessel
KR101335645B1 (en) Mulberry beve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085970A (en) Micro-ferment onion grape wine process technology
KR20130086660A (en) System for receiving heterogeneous substances containing contents for hangover in storage space
CN102250711A (en) Manufacture process of fortified grape wine
CN108384680A (en) A kind of production method of stem of noble dendrobium health preserving wine
CN212290863U (en) Honey beverage bottle
CN107325922A (en) It is a kind of to prevent applejack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09255B1 (en) sparkling Wines using persimmon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CN207860922U (en) A kind of knob matches beverage bottle cap
CN107299014A (en) A kind of wine of longa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261750Y1 (en) Cap of a vessel
KR200285759Y1 (en) Liquid jet vessel
CN1772870A (en) Apple wine
CN202858942U (en) Multifunctional vegetable pickling jar
CN213036544U (en) Simple bottle cap with storage bin
KR2019009863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eached beverage
CN213975259U (en) Tea drink package convenient to drink
KR20180102533A (en) Filter for pet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