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992A -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 Google Patents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992A
KR20220010992A KR1020200089836A KR20200089836A KR20220010992A KR 20220010992 A KR20220010992 A KR 20220010992A KR 1020200089836 A KR1020200089836 A KR 1020200089836A KR 20200089836 A KR20200089836 A KR 20200089836A KR 20220010992 A KR20220010992 A KR 2022001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rotocol
port
wireless
web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9984B1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0008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84B1/en
Publication of KR2022001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website quality analysis server (200), which comprises: a website search unit (201) for searching for a website including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using one or more keywords for the target product; and a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for analyzing the quality of a website (website to be analyzed) searched by the website search unit (201).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calculates the quality of the website to be analyzed on the target product on the basis of base data on the target product on the website to be analyzed. The base data includes evaluation data on the target product and advertisement data on the target product. Therefore, customers can purchase a desired product with the reliability.

Description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Websit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본 발명은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 si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자들은 좋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지인을 통해서 좋은 상품의 소개를 받아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도 있지만, 적지 않은 경우 웹 서핑을 통해서 상품을 선별하여 구매하는 실정이다. Consumers who want to purchase products online have a desire to purchase good products. It is possible to purchase a desired product after being introduced to a good product through an acquaintance, but in many cases, the product is selected and purchased through web surfing.

하지만, 온라인상에서 상품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하는 웹 사이트는 부지기수로 많고, 따라서 수요자는 신뢰성 있는 웹 사이트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However, there are many web sites that provide information and advertise products online,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select a reliable web si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이 개시된다. A web si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이 개시된다.A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상품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웹 사이트 검색부(201); 및According to an embodiment, a web site search unit 201 for searching a web sit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product by using one or more keywords for the target product; and

웹 사이트 검색부(201)에 의해 검색된 웹 사이트 - 분석대상웹사이트 - 에 대한 퀄리티를 분석할 수 있는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를 포함하며,a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capable of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web site searched by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 the analysis target web site -;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상기 분석대상웹사이트에서의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베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분석대상웹사이트에 대한 퀄리티를 산출하며,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calculates the quality of the analysis target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based on the base data for the target product in the analysis target website,

상기 베이스 데이터는,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평가 데이터와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200)가 개시된다. The base data, which includes evaluation data for the target product and advertisement data for the target product,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200 is disclosed.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의 퀄리티가 높은 곳에 가서 신뢰성을 가지고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customers who want to purchase a product may go to a high-quality website for the product and purchase the desired product with confid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1의 무선케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b si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reless care device of FIG. 1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xemplary embodiments provid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기록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oftware' refers to a technology that moves hardware in a computer, and the term 'hardware' refers to a tangible device or device (CPU, memory, input device, output device, peripheral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puter. And, the term 'step' means a series of processing or operations connected in time series to achieve a predetermined goal, the term 'program' means a set of instructions that are combined to be processed by a computer, and the term 'recording medium' means a program It mean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used for installing, executing, or distributing is record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anagement' is used to include 'reception', 'transmission', 'storage',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data.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는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또는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를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component A and/or component B' means 'component A', 'component B' or 'component A and component B'.

본원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장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wireless terminal', a 'device', a 'system', or an 'apparatus' consists of a computer.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통신부, 주변기기, 및 기타 리소스(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을 포함)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기재 또는 도시된다.As used herein, 'computer' includes a computer processor and storage device, operating system, firmware, application program, communication unit, and other resources, where the operating system (OS: OPERATING SYSTEM) is other hardware, firmware, or application program (eg For example, a management program) can be operatively linked. The communication unit means a module composed of software and hardwa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puter processor and the memory device,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firmware, communication unit, peripheral devices, and other resources (including hardware resources and software resources)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r drawings for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re described or shown within the limit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As used herein, a reference to component 'A' transmitting information, details, and/or data to component 'B' means that component 'A' transmits directly to component 'B' or component 'A' is used in the meaning including transmission to component 'B'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본원 명세서에서, '페이크 디바이스'(fake device)는 불법적이거나 정당한 허락없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거나 변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fake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reading or tampering with data of other wireless devices without permission or illegal.

본원 명세서에서, '보안 공간'은 냉동창고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1킬로)이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urity space' refers to a physical space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 kilo) based on the freezing ware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도 1의 무선케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reless care device of FIG. 1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 제공 시스템과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무선케어장치(100)와 서버들(200, 300, 4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ystem in which the websi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wireless care device are integrated (hereinaf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are device 100 and servers 200, 300, 400 ) may be included.

서버들(200, 300, 400)은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200)(이하, '분석 서버'라고 함), 서비스 서버(300), 및 제품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서버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물리적으로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기억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각각 구비하거나 일부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rvers 200 , 300 , and 400 may include a website quality analysis server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alysis server'), a service server 300 , and a product server 400 , and these servers include It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physically include one or more devices or storage devices, operating systems, firmware, applications, communication units, and other resources, respectively, or may be configured to share some resources.

도 1에는, 본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서, 무선장치(5: 5a, 5b, 5c, 5d)를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In Fig. 1,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system, wireless devices 5: 5a, 5b, 5c, 5d are additionally show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광역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서비스 서버(300) 및 제품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다르게는, 분석 서버(200)와 서비스 서버(300)가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분석 서버(200)와 제품 서버(400)가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거나, 또는 서버들(200, 300, 400)이 모두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alysis server 200 is connected to a wide area network through wired or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product server 400 . Alternatively, the analysis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are configured to enable wired 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or the analysis server 200 and the product server 400 are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or a server All of the devices 200 , 300 , and 400 may be connected to enable wired 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예를 들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서버들(200, 300, 40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미 도시)를 각각 구비한다.For example, wired or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is possible. Although not shown in the servers 200 , 300 , and 400 ,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is provided, respectively.

분석 서버(200)에 의한 분석 결과(웹 사이트에 대한 퀄리티와 이를 위해 사용된 데이터들)는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300)는 상품별로 웹 사이트(퀄리티가 부여된)를 1개 이상 대응시켜서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상품별로 대응된 웹 사이트에 대한 퀄리티를 같이 병기하여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한다. The analysis result (quality for the website and data used for this) by the analysis server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provides a website (quality is given) for each product. Match one or more and display it in the form of a web page. The service server 300 displays the quality of the web site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together in the form of a web page.

제품 서버(400)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웹을 통해서 볼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하나이다. 제품 서버(400)에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평가 결과(좋아요, 싫어요, 만족, 불만족, 등등)가 제공되고, 상품에 대한 광고나 프로모션(광고나 판매를 위한 가격할인 이벤트 등)이 제공된다. The product server 400 is one of web site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in a form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web. The product server 400 provides the customer evaluation results (like, dislike,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etc.) for the product, and advertisements or promotions for the product (advertisement or price discount event for sale, etc.) are provided.

무선케어장치(100)는 서버들(200, 300, 400)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검출 또는 판별할 수 있다.The wireless car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within 1 km from at least one of the servers 200 , 300 , and 400 .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detect a wireless signal of the wireless device, and detect or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wireless device is a fake device.

서버들(200, 300, 400)은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s 200 , 300 , and 400 may transmit data to each other.

무선케어장치(100)는 서버들(200, 300, 400)간의 통신을 해킹할 수 있는 위험한 디바이스(이하, '페이크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detect a dangerous device (hereinafter, 'fake device') capable of ha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s 200 , 300 , 400 and block communication.

분석 서버(200)는, 웹 사이트 검색부(201),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 및 키워드 저장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alysis server 200 may include a website search unit 201 , a base data generation unit 205 , a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 and a keyword storage unit 207 .

웹 사이트 검색부(201)는 상품에 대한 하나 이상의 메인 키워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상품)(이하, '대상 상품'이라고 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웹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고, 퀄리티 분석부(203)는 대상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의 퀄리티를 분석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대상 상품에 대하여 찾은 한개 이상의 웹 사이트를 '분석대상웹사이트'라고 한다.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may search a web site including information on a desired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product') using one or more main keywords for the product, and the quality analysis unit 203 ) can analyze the quality of the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 more websites found for a target product are referred to as 'analysis target website'.

웹 사이트 검색부(201)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일한 웹 사이트에 대하여 검색할 수 있고,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웹 사이트 검색부(201)가 검색할때 마다, 특정 상품을 판매하고 광고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퀄리티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search for the same web site, and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searches for a specific product each time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searches. You can analyze the quality of the websites you sell and advertise on a periodic or aperiodic basis.

한편, 동일한 웹 사이트라도 대상 상품의 종류에 따라 웹 사이트의 퀄리티가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상품 a에 대한 웹 사이트 K의 퀄리티와, 대상 상품 b에 대한 웹 사이트 K의 퀄리티는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이는, 웹 사이트 K에서 대상 상품 a와 대상 상품 b의 광고의 퀄리티나 평가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even for the same website, the quality of the website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product. For example, the quality of the website K for the target product a and the quality of the website K for the target product b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This is because the advertisement quality or evaluation of the target product a and the target product b on the website K may be different.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제 상품에 대하여, 브랜드 A의 자외선 차단제를 광고하고 판매하는 웹 사이트와, 브랜드 B의 자외선 차단제를 광고하고 판매하는 웹 사이트가 있을 경우, 본원 발명에 따르면, 브랜드 A의 자외선 차단제를 광고하고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퀄리티와, 브랜드 B의 자외선 차단제를 광고하고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퀄리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고객은 자외선 차단제를 구매하고자 할때, 웹 사이트의 퀄리티가 높은 웹 사이트에 가서 구매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for sunscreen products, if there is a website that advertises and sells brand A sunscreen and a website that advertises and sells brand B sun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and A sunscreen is The quality of a website that advertises and sells sunscreen may differ from that of a website that advertises and sells brand B sunscreen. When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sunscreen, he or she can go to a high-quality website and purchase it.

고객은 자외선 차단제를 구매하고자 할때, 웹 사이트의 퀄리티가 높은 웹 사이트에 가서 구매할 수 있을 것이다.When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sunscreen, he or she can go to a high-quality website and purchase it.

키워드 저장부(207)에는 1개 이상의 키워드가 대상 상품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처럼, 대상 상품과 1개 이상의 키워드가 대응된 데이터를 본원 명세서에서는 '상품- 키워드 매핑 데이터'라고 한다. 여기서, '키워드'는 메인 키워드와 품질 키워드를 포함한다. In the keyword storage unit 207, one or more keywords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arget product. As such, data in which a target product and one or more keywords are matched is referred to as 'product-keyword mapping dat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ere, the 'keyword' includes a main keyword and a quality keyword.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제'라는 대상 상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상품- 키워드 매핑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the following product-keyword mapping data for a target product called 'sunscreen agent'.

자외선 차단제 : 자외선 차단, 썬크림, 썬블락, 썬블록, sun block, Ultraviolet protection,Sunscreen: sunblock, sun cream, sunblock, sunblock, sun block, Ultraviolet protection,

즉, 자외선 차단제라는 대상 상품에 대하여,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 썬크림, 썬블락, 썬블록, sun block, Ultraviolet protection 과 같이 6개의 메인 키워드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고, 웹 사이트 검색부(201)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하여 위 6개의 메인 키워드 중의 적어도 1개 이상을 조합(or, and)하여 웹 사이트를 찾을 수 있다. That is, six main keywords such as, for example, UV protection, sunscreen, sunblock, sunblock, sun block, and ultraviolet protection may be mapp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product called sunscreen, and the website search unit 201 ) can find a website by combining (or, and) at least one of the above six main keywords for sunscreen.

품질 키워드는 모두 상품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통 품질 키워드와, 특정 상품(들)에만 사용되는 전용 품질 키워드를 포함한다. 공통 품질 키워드는 상품의 종류에 무관하게 항상 사용되고, 전용 품질 키워드는 특정 상품에만 사용되는 것이다. The quality keywords include a common quality keyword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all products and a dedicated quality keyword used only for specific product(s). The common quality keyword is always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product, and the dedicated quality keyword is used only for a specific product.

공통 품질 키워드는, 예를 들면, 댓글이나 상품의 평가에 사용되는 '좋아요', '싫어요', '만족', '불만족'와 같은 워드나 태그같은 것일 수 있다. The common quality keyword may be, for example, words or tags such as 'like', 'dislik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used in comments or product evaluation.

전용 품질 키워드는, 예를 들면, 상품이 자외선 차단제일 경우, '차단', '끈적', 또는 '투명' 과 같이 자외선 차단제의 퀄리티를 평가할 수 있는 워드나 태그같은 것일 수 있다. The dedicated quality keyword may be, for example, a word or tag that can evaluate the quality of a sunscreen, such as 'blocking', 'sticky', or 'transparent', when the product is a sun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키워드 매핑 데이터는 대상 상품과, 메인 키워드와, 품질 키워드(공통 품질 키워드와 전용 품질 키워드를 포함)를 서로 매핑시킨 데이터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duct-keyword mapping data may be data obtained by mapping a target product, a main keyword, and a quality keyword (including a common quality keyword and a dedicated quality keyword).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대상 상품에 대한 분석대상웹사이트의 퀄리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퀄리티는 점수 또는 등급과 같은 형태로 산출될 수 있다.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may calculate the quality of the analysis target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For example, the quality may be calculated in the form of a score or a gra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베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분석대상웹사이트의 퀄리티를 산출할 수 있다. 베이스 데이터는 분석대상웹사이트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may calculate the quality of the analysis target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based on the base data. The base data may be generated from the analysis target website.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분석대상웹사이트에 포함되거나 개시된 데이터로부터 대상 상품에 대한 베이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base data generation unit 205 may generate base data for the target product from data included or disclosed in the analysis target website.

베이스 데이터는, 대상 상품에 대한 평가 데이터와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예를 들면, 동영상, 프로모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base data includes evaluation data for the target product and advertisement data for the target product (eg, data on a video, promotion, etc.).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may search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a keyword to generate evaluation data for the target product.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예를 들면, (공통 품질 키워드 or 전용 품질 키워드) and (메인 키워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검색식을 이용해서, 대상 상품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가 데이터는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화된 데이터이다. The base data generation unit 205 may generate evaluation data for the target product, for example, by using a search express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common quality keyword or dedicated quality keyword) and (main keyword). For example, the evaluation data is data grouped into two or more groups.

여기서, 검색식은 예를 들면, (좋아요 or 싫어요 or 만족 or 불만족 or 차단 or 끈적 or 투명) and (자외선 차단 or 썬크림 or 썬블락 or 썬블록 or sun block or Ultraviolet protection) 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Here, the search expression may be, for example, (like or dislike or satisfied or dissatisfied or blocking or sticky or transparent) and (UV protection or sunscreen or sunblock or sunblock or sun block or Ultraviolet protection).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평가 데이터를 위한 검색식을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검색결과를 적어도 2가지 이상의 그룹(예를 들면,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searches and analyzes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the search formula for the evaluation data, and divides the search results into at least two or more groups (eg,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can be grouped.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그러한 분류를 위해서, 검색식에 포함된 키워드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 점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91~100점 사이는 제1등그룹, 81~90점 사이는 제2등그룹, 71~80점 사이는 제3등그룹, ... 이런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For such classification, the base data generator 205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by giving weight to each keyword included in the search expression, and classif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core. For example, a score between 91 and 100 may be classified as a first group, a score between 81 and 90 as a second group, a score between 71 and 80 as a third group, ... and so on.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가, (좋아요 or 싫어요) and (자외선 차단 or 썬크림 or 썬블락 or 썬블록 or sun block or Ultraviolet protection) 와 같은 검색식을 사용할 경우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한다. An exemplary method for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when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uses a search expression such as (like or dislike) and (UV protection or sunscreen or sunblock or sunblock or sun block or Ultraviolet protection) explain

평가 점수 = (좋아요 갯수)/(좋아요 갯수 + 싫어요 갯수) * 100Rating score = (number of likes)/(number of likes + number of dislikes) * 100

이러한 예는 극단적이기는 하지만,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가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하다.Although this example is extreme, i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how the base data generation unit 205 calculates the evaluation score.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분석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may search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a keyword, and may generate advertisement data for the target product by analyzing the search result.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예를 들면, (전용 품질 키워드 and 메인 키워드)의 'and 조합' 으로 이루어진 키워드 식을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전용 품질 키워드와 메인 키워드의 and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워드 식으로 검색한 결과에서, 동영상을 의미하는 워드(예를 들면, avi, wmv, asf, mov, fiv, mp4)가 붙은 데이터의 갯수와 시간에 따라서 광고 점수를 산출하고, 광고 점수에 따라서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예를 들면, 광고 점수에 따라 1등그룹, 2등그룹, 3등그룹, ..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may generate advertisement data for the target product by, for example, searching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a keyword expression consisting of 'and combination' of (exclusive quality keyword and main keyword). have.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is a word representing a moving picture (eg, avi, wmv, asf, mov, fiv, mp4) from a result of a search using a keyword express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dedicated quality keyword and a main keyword. The advertisement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ime of data appended with , and grouped into two or more groups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scor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score, it may be classified into a first-place group, a second-place group, a third-place group, .. and the like.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예를 들면, 분석대상웹사이트내에 대상 상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광고 점수를 산출한다.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calculates,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score for a target product in the analysis target website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는, 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생 시간, 동영상의 갯수, 동영상 제작자가 서로다른 동영상의 갯수, 및/또는 동영상의 재생횟수 등에 따라서, 광고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base data generator 205 may calculate the advertisement score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the number of videos, the number of videos from which video producers are different, and/or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the video, and the like.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대상 상품에 대하여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가 생성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퀄리티를 평가할 수 있다.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may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arget product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generated by the base data generation unit 205 .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제가 상품일 경우, 키워드를 이용해서 생성된 베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퀄리티를 평가한다.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evaluates the quality based on the base data generated using keywords, for example, when the sunscreen is a product.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평가 점수에 의해 그룹핑화된 데이터와 광고 점수에 의해 그룹핑화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퀄리티를 평가할 수 있다.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may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arget product with reference to the data grouped by the evaluation score and the data grouped by the advertisement score.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점수 또는 점수로 그룹핑된 그룹으로 퀄리티를 평가할 수 있다.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may evaluate the quality by a score or a group grouped by a score.

예를 들면, 평가 점수와 광고 점수가 모두 1등그룹일 경우에 퀄리티 점수를 91~100점 사이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르게는, 평가 점수와 광고 점수가 모두 1등그룹일 경우에 퀄리티 그룹을 1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both the evaluation score and the advertisement score are in the first place group, the quality score may be calculated between 91 and 100 points. Alternatively, when both the evaluation score and the advertisement score are the first-class group, the quality group may be calculated as the first-class.

예를 들면, 평가 점수가 1등그룹이고 광고 점수가 2등그룹일 경우에 퀄리티 점수를 81~90점 사이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르게, 이 경우 퀄리티 그룹을 2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valuation score is the first group and the advertisement score is the second group, the quality score may be calculated between 81 and 90 points.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quality group may be calculated as two grad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은 상품에 대한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S10),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단계(S30), 웹 사이트에 포함된 상품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S50), 웹 사이트의 퀄리티를 결정하는 단계(S70), 및 퀄리티가 결정된 웹 사이트를 소개하는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gistering a keyword for a product (S10), searching a website (S30), and content of products included in the website. It may include a step of analyzing (S50), a step of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website (S70), and a step of introducing the website for which the quality is determined (S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이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 정보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ssuming that the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 method for providing web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품에 대한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S10)는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에 저장시키는 단계이다. 키워드는 메인 키워드와 품질 키워드를 포함하며, 이에 대하여는 도 1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The step of registering a keyword for the product (S10) is a step of storing the keyword in a computer-accessible storage device. The keywords include a main keyword and a quality keyword. For this,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단계(S30)는 웹 사이트 검색부(201)가 대상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를 메인 키워드를 이용해서 찾는 단계이다. The step of searching the web site ( S30 ) is a step in which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searches for one or more web sites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product by using the main keyword.

웹 사이트에 포함된 상품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S50)는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가 베이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베이스 데이터 생성부(205)가 키워드를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에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그룹핑하고, 또한 광고 점수를 산출하여 그룹핑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website (S50) is a step of generating the base data by the base data generating unit 205. For example, it is a step in which the base data generator 205 searches for data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keywords, calculates evaluation scores and groups them, and calculates and groups advertisement scores.

웹 사이트의 퀄리티를 결정하는 단계(S70)는 베이스 데이터로부터 대상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의 퀄리티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퀄리티는 점수 또는 그룹핑한 것일 수 있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website (S7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quality of the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from the base data. Quality may be a score or grouping.

퀄리티가 결정된 웹 사이트를 소개하는 단계(S90)는 서비스 서버(300)가 상품별로 퀄리티가 부여된 웹 사이트를 웹 페이지로 나타내는 단계이다. The step of introducing the quality-determined web site ( S90 ) is a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300 displays the web site to which the quality is given for each product as a web page.

도 3는 도 1의 무선케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reless care device of FIG. 1 .

이하에서는, 도 1와 도 3를 참조하여 무선케어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5)의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도 할 수 있다.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monitor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device 5 and may als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5)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에 따른 통신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device 5 may communicate according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such as Bluetooth or Wi-Fi.

무선 디바이스(5)는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디바이스이고,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5)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The wireless device 5 is a device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refrigeration apparatus 200 and the IoT control apparatus 300 , and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select a fake device from the wireless device 5 .

무선 디바이스(5)는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reless device 5 may be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laptop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선케어장치(100)는 타입 추정동작 및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perform a type estimation operation and a fake device selection and blocking operation.

후술하겠지만, 무선케어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09)(도 3와 그 설명 참조)는 무선 디바이스(5)가 출력하는 무선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케어장치(100)는 통신부(109)에 의해 감지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munication unit 109 (refer to FIG. 3 and its descrip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detect wireless signals output by the wireless device 5 .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be, for example, a signal output for Bluetooth communication or a signal output for Wi-Fi communication.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may select one or more devices as a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mong the device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9 . Her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signal strength.

후술하겠지만, 무선케어장치(100)에 포함된 진단모듈(102)(도 3와 그 설명 참조)은,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5)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agnostic module 102 (refer to FIG. 3 and its descrip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can estimate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 and also the target device 5 ,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s a fake device.

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5)의 갯수는 각각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갯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적거나 또는 많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5)가 타겟 디바이스라고 가정하고,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wireless devices 5 is shown as four each, but this number is exemplary and may be less or more. Hereinafter, assuming that the wireless device 5 is a target device, a type estimation operation, a fake device selection operation, and a blocking opera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타입 추정 동작type estimation behavior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This is an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102)은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과,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perform a port scanning operation, a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nd a type estimation operation.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a), 타겟 디바이스(5b), 타겟 디바이스(5c), 및 타겟 디바이스(5d) 각각에 대하여 어떤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The port scanning operation is to find an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 . That is, the port scan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checking which ports are open for each of the target device 5a, the target device 5b, the target device 5c, and the target device 5d.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예를 들면, 풀 스캐닝(FULL SCNNING) 또는 스텔스 스캐닝(STEALTH SCANNING) 이라 불리우는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풀 스캐닝은 완벽한 TCP 세션(Session)을 맺어서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스텔스 스캐닝은 하프 스캔(half scan) 기술의 일종이며, 포트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고 그러한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오면 응답한 포트가 열려있는 것이고, 응답이 오지 않으면 포트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텔스 스캐닝은 예를 들면, FIN, NULL, 또는 XMASH 일 수 있다.The port scan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techniques called full scanning (FULL SCNNING) or stealth scanning (STEALTH SCANNING). Pool scanning is a technique to check open ports by establishing a perfect TCP session. Stealth scanning is a type of half scan technology, and when a packet for port confirmation is sent and a response to the packet for port confirmation comes, the port that responded is open, and if there is no response, the port is closed. judge to be Stealth scanning may be, for example, FIN, NULL, or XMASH.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며,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Protocol)은 예를 들면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의 예를 들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T)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포트들은 번호로 구별되며, 이러한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사용된다.A port is a logical unit that identifies a network service or a specific process, and a protocol using a port is, for example, a transport layer protocol. Examples of transport layer protocols may b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and User Datagram Protocol (UDT). Ports are identified by a number, and these numbers are called port numbers. For example, a port number is used with an IP address.

포트 번호는 예를 들면 3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Port numb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or example.

포트 번호 port number 포트 종류 port type 0번 ~ 1023번0 to 1023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1024 ~ 49151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49152 ~ 65535 동적 포트(dynamic port)dynamic port

한편, 잘 알려진 포트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Meanwhile, representative examples of well-known ports are as follows.

- 20번 : FTP(data)- No. 20: FTP(data)

- 21번 : FTP(제어)- No. 21: FTP (control)

- 22번 : SSH- No. 22: SSH

- 23번 : 텔넷- #23: Telnet

- 53번 : DNS- 53 : DNS

- 80번 : 월드 와이드 웹 HTTP- #80: World Wide Web HTTP

- 119번 : NNTP- 119 : NNTP

- 443번 : TLS/SSL 방식의 HTTP- No. 443: TLS/SSL HTTP

이러한 포트 번호들과 포트 종류는 예시적인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these port numbers and port types are exemplary.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한다.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a is port 80, the off port of the target device 5b is port 23, and the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c is port 5555, and , it is assumed that the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d is port 5559.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포트 스캐닝 동작을 통해서,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타겟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아낸다.The port scan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finding an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 . For example, through the port scanning operation of the diagnostic module 102, the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a is port 80, the off port of the target device 5b is port 23, and the It is found that the open port is port 5555, and the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d is port 5559.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동작이다. 여기서,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것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다.A protocol scan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know the type of protocol used in an open port. Here, the open port is found by the port scann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diagnostic module 102 finds out what protocol is used in port 80, which is an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a.

또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각각 찾는다. In addition, the diagnostic module 102 includes a protocol used in port 23 of the target device 5b, a protocol used in port 5555 of the target device 5c, and port 5559 of the target device 5d. Find out what each protocol is.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오픈 포트에 보낼 패킷(이하,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를 작성하는 동작,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한다.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performed by the diagnostic module 102 includes an operation of confirming the type of an open port, an operation of writing a packet to be sent to an open 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pen port (hereinafter,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and a protocol and transmitting a confirmation packet to the wireless device having the open port, and confirming whether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Script)일 수 있다.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may be, for example, a script.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오픈 포트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서, 포트 번호에 따라서 포트의 종류가 분류된 데이터(예를 들면, <표1>)(이하, '포트 종류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포트 종류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confirm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is an operation of confirm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found by the port scann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i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n port corresponds to one of a well-known port, a registered port, or a dynamic port. to be.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to check the type of open port, data (eg, <Table 1>) in which the type of por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ort number (hereinafter, 'port type data') must be prepared in advance. Such 'port type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은,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서, 상기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임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know the type of the open port by referring to 'port type data'. For example, in the diagnostic module 102,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and port 23 of the target device 5b are well-known ports, and port 5555 of the target device 5c And it can be seen that port 5559 of the target device 5d is a dynamic port.

진단모듈(102)은, 오픈 포트의 종류에 맞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diagnostic module 102 performs an operation of creating a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suitable for the type of open port.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타겟 디바이스(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For example, since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is a well-known port that uses the World Wide Web HTTP protocol, a packet for protocol confirmation is created using the Web HTTP protocol and the target device ( 5a). If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target device 5a to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written using the web HTTP protocol,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that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uses the web HTTP protocol.

한편,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진단모듈(102)은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 후 타겟 디바이스(5a)에게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target device 5a to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written using the web HTTP protocol,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that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does not use the web HTTP protocol. . In this case, the diagnostic module 102 uses a protocol other than the World Wide Web HTTP protocol to create a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target device 5a.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만약,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상기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후, 타겟 디바이스(5a)는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응답이 올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전송한다. 진단모듈(102)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 낸다.If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target device 5a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written in a protocol other than the web HTTP protocol,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that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uses the other protocol.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target device 5a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written in the protocol other than the web HTTP protocol, the diagnostic module 102 determines that port 80 of the target device 5a does not use the other protocol. decide not to Thereafter, the target device 5a creates and transmits a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using another protocol until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target device 5a. The diagnostic module 102 finds out the type of protocol actually used in each open port of the target device 5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진단모듈(102)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한다. The diagnosis module 102 is configured to estimate each type of the target device 5 by using at least one result of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port scanning operation and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A type estimation operation is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프로토콜 스캔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과, 그렇게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performed by the diagnosis module 102 includes an operation of estimating a service type from a protocol type foun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rotocol scan operation, and the estimated service. and estim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from the type of .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은, 통상적으로 서비스마다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프로토콜마다 주로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102)은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of service from the type of protocol is based on the experience that a protocol mainly used for each service is generally determined. For example, the RTSP, RTP, or RTCP protocol mainly supports streaming services. That is, when data defining services mainly supported for each protocol (hereinafter, 'protocol-service mapping data' is prepared, the diagnostic module 102 uses 'protocol-service mapping data' to provide services from the type of protocol) The type of 'protocol-service mapping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도,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별로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가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예를 들면 IP TV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다. 즉, 서비스마다 주로 제공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102)은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from the type of service is also based on the experience that a service mainly used for each type of wireless device is generally determined. For example, the RTSP, RTP, or RTCP protocol mainly supports streaming services, which are provided by wireless devices such as, for example, IP TVs. That is, when data defining the types of wireless devices mainly provided for each service (hereinafter, 'service-type mapping data' is prepared, the diagnosis module 102 uses the 'service-type mapping data' to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may be estimated from the type 'service-type mapping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

한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5 .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배너(Banner)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진단모듈(102)은, 운영체제의 종류를 알면 서비스의 종류를 알거나 또는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Bann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ypically includes data indicating what type of operating system is used in the target device 5 .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know the type of service or estimate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if the type of the operating system is known.

타겟 디바이스(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예를 들면,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와 같은 것들이다. 여기서, 타이젠(Tizen)은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장치, TV, 냉장고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체제이고, 브릴로(Brillo)는 구글에서 발표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임베디스 운영체제이고, 푸크시아(Fuchsia)는 구글에서 개발중인 운영체제로서 임베디드 시스템, PC, 스마트폰,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고, 라이트오에스(LiteOS)는 화웨이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스마트 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카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다. Examples of the operating system used in the target device 5 include Tizen, Brillo, Fuchsia, or LiteOS. Here, Tizen is an open-source mobile operating system that supports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wireless devices such as TVs and refrigerators, and Brillo is an Android-based embedded operating system announced by Google, and Puke Fuchsia is an operating system being developed by Google to support embedded systems, PCs, smartphones, and wireless devices, and LiteOS is an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Huawei for wireless devices, such as smart homes, wearable devices, or It is an operating system for supporting various wireless devices such as smart cars.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가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나의 아이폰'(My iPhone)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Serv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ypically includes data indic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data such as 'My iPhone', and this data is information directly indic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결과를 이용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performed by the diagnosis module 102 includes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aforementioned port scanning operation. At least one execution result o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is used.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performed by the diagnosis module 102 includes a first estimation operation, a second estimation operation, a comparison operation, and a type determination operation.

제1추정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1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estimating the service type from the protocol type obtained by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For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refer to a description referring to the RTSP, RTP, or RTCP protocol.

제2추정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2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를 언급한 설명 부분과 나의 아이폰(My iPhone)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of service using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5 . Exemplary descriptions of the second estimated motion include the description part referring to Tizen, Brillo, Fuchsia, or LiteOS and the description referring to My iPhone. Please refer to the section

비교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이다. The comparison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comparing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with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타입결정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같을 경우에 제1추정동작 또는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In the type determining operation, when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and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arget device 5 from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determines the type of , and when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and the service typ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are the same,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or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It is an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s of target devices 5 from .

한편,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가 없거나, 그러한 배너 정보와 서비스 정보에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즉, 제2추정동작과 비교동작의 수행이 없이,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만으로 타입 추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5 or there is no data for estimating the type of service in the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Type Assumption) is , including a first estimating operation and a type determining operation. That is,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ly with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and the type determining operation without performing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and the comparing operation.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Fake Device Selection Behavior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동작이다. The fake device selection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selecting a fake device from among the target devices 5 .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gnostic module 102 determines whether each of the target devices 5 is a fake device.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5a)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b)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c)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5d)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때 상황에 맞도록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diagnostic module 102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device 5a among the target devices 5 is a fake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device 5b is a fake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is a fake device with respect to 5c), and whether it is a fake device with respect to the target device 5d may be determined. Here, the order is exemplary, and a pers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ord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진단모듈(102)은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공격하고,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diagnosis module 102 attacks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to be determined whether it is a fake device, and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whether the attack on the target device succeeds or not, It is determined whether is a fake device.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취약점(vulnerability)은 공격자가 디바이스의 정보 보증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약점을 의미한다.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Vulnerability)에서도, 취약점에 대하여 “Vulnerability refers to the inability (of a system or a unit) to withstand the effects of a hostile environment”라고 정의되어 있고, 본원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위키피디아에서 정의한데로 사용하기로 한다. Typically, the vulnerability of a wireless device refers to a weakness that an attacker uses to lower the information assurance of the device. I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Vulnerability), the vulnerability is defined as “Vulnerability refers to the inability (of a system or a unit) to withstand the effects of a hostile environment”. In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sed as defined in such Wikipedia.

타겟 디바이스(5a)가 '타겟 디바이스' 인 경우를 예로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면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지 못하면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target device 5a is a 'target device',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device 5a is a fak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ttack on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5a succeeds. can be judged That is,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that the target device 5a is not a fake device if the attack on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5a succeeds, and the attack on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5a does not succeed. If not,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device 5a is a fake device.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고, 선택한 취약점을 이용해서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The diagnosis module 102 selects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each type of the target device 5, attacks each of the target devices 5 using the selected vulnerability,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ttack, the target device 5 A fake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을 추정하고, 추정한 각각에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iagnosis module 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each type of the target device 5, attacks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each estimated type, and based on the attack result, the target device ( 5), a fake device may be determined.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구비된 기억장치(113)(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케어장치(100)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generat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by referring to data corresponding to the vulnerability for each typ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the storage device 113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 Alternatively,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not shown)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so that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is accessibl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may be an operation of finding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y referring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구비된 기억장치(113)(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케어장치(100)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generat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by referring to data corresponding to the vulnerability for each typ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the storage device 113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 Alternatively,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not shown)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so that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is accessibl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5 may be an operation of finding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y referring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이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operation of attacking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5 may be,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diagnosis module 102 transmitting a message for attacking the vulnerability to the target devic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agnosis module 102 determines that the target device is not a fake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responds to the vulnerability attack, and when the target device does not respond to the vulnerability attack, the target devi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a fake device.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가지는 취약점과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ulnerabilities of wireless devices and messages for attacking vulnerabilities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일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route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category_view.ph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Vulnerability: An unauthorized attacker could access the URL "/category_view.php" with the HTTP GET method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category_view.php .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GET/category_view.php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route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ㆍ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URL에 접근할 수 있음ㆍVulnerability: An unauthorized attacker could access the URL "/mydlink/get_TriggeredEventHistory.asp" with HTTP GET method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Exploit message: GET/mydlink/get_TriggeredEventHistory.as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route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router_info.xml?section=wps" URL에 접근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PIN 과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Vulnerability: An unauthorized attacker may access the URL "/router_info.xml?section=wps" with the HTTP GET method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PIN and MAC address of the target device.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router_info.xml?section=wps .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GET/router_info.xml?section=wps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route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POST 메소드로 "/wpsacts.php" URL에 접근할 시 데이터에 스크립트 구문을 넣을 수 있는 있음.. Vulnerability: When an unauthorized attacker accesses the "/wpsacts.php" URL with the HTTP POST method, it may be possible to insert script statements into the data.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wpsacts.php .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GET//wpsacts.ph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DV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 취약점: default / tluafed 계정의 백도어가 존재하는 취약점. Vulnerability: A vulnerability where a backdoor exists for the default / tluafed account.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POST/Login. htm .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POST/Login. htm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 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arget device may be a DVR having the following types of vulnerabilities.

. 취약점: 권한 없는 사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device.rsp?opt=user&cmd=list" URL에 접근하게 되면 관리자 계정이 평문(Plain text)으로 노출되는 취약점. Vulnerability: When an unauthorized user accesses the URL "/device.rsp?opt=user&cmd=list" using the HTTP GET method, the administrator account is exposed in plain text.

ㆍ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device.rsp?opt=user&cmd=list ㆍ Message for vulnerability attack: GET/device.rsp?opt=user&cmd=li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는 같은 종류의 기능을 가진 것이라도 취약점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라우터들은 취약점이 서로 달라서,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또한, 상술한 DVR(Digital Video Recoder) 역시 취약점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제조사가 같고,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펌 웨어(firm ware)가 서로 다르다면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arget device has the same type of function, if the vulnerability is different, the target device is treated as a different type.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routers have different vulnerabilities, and thus are distinguished into different types of target devices.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digital video recorders (DVRs) also have different vulnerabilities, they are classified as different types of target devices. For another example, if the target device has the same manufacturer and the same type of device has different firmware, it is treated as a different ty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이 각각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될 경우, 진단모듈(102)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해서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be data corresponding to vulnerabilities for each type of target device. When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is stored and managed, the diagnosis module 102 attacks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다르게는(alternatively),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가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vulnerability data by type' may be data corresponding to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for each type of targe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가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may not be prepared in advance. In this embodiment,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directly generat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eg, so that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can directly generat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for each type) if configured).

차단동작blocking action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하는 동작이다. The block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blocking communication of the fake device.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작이다. The block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blocking communication of the fake device by performing a DDoS attack on the fake device.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102)은 취약점이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agnostic module 102 transmits a large number of messages to the fake device, and the fake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large number of messages is un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in response to the message. As such,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block communication of a target device having a vulnerability.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가정하면,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의 통신을 차단시킨다. 즉,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5a)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만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ireless device 5a is a fake device, the diagnosis module 102 blocks communication of the Bluetooth device by performing a DDoS attack on the fake device 5a. That is, the diagnosis module 102 transmits a large amount of messages to the fake device 5a, so that the fake device 5a that has received the large amount of messages cannot communicate with other Bluetooth devices in response to the message. As such, the diagnostic module 102 may block communication only with the fake device 5a.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car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본 발명의 무선케어장치(100)는, 포트 스캐닝부(101),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 판단부(108), 운영체제(107), 통신부(109), 취약점 공격부(110), 컴퓨터 프로세서(111), 주변 기기(112), 기억장치(113), 및 메모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부(101),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 판단부(108), 및 취약점 공격부(110)를 진단모듈(102)로 통칭하기로 한다.The wireless car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 scanning unit 101, a protocol scanning unit 103, a type estimating unit 104, a determining unit 108, an operating system 107, a communication unit 109, and a vulnerability attack. It may include a unit 110 , a computer processor 111 , a peripheral device 112 , a storage device 113 , and a memory 115 . Meanwhile, the port scanning unit 101 ,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 the type estimating unit 104 , the determining unit 108 , and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iagnosis module 102 .

진단모듈(10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 스캐닝부(101)가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타입 추정부(104)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고, 판단부(108)는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동작은 상술한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The diagnosis module 102 may perform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the fake device selection operation, and the blocking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Specifically, the port scanning unit 101 performs a port scanning operation,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performs a protocol scanning operation, the type estimating unit 104 estimates the device type, and the determining unit 108 may perform a fake device selection operation and a blocking operation. Please refer to the above-mentioned part for each of these operations.

포트 스캐닝부(101)는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포트 스캐닝부(101)는 포트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109)를 통해서 포트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5)에게 전송하고,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선 디바이스(5)에서 오픈된 포트를 결정한다.The port scanning unit 101 performs the aforementioned port scanning operation. The port scanning unit 101 creates a port confirmation packet, transmits the port confirmation packet to the wireless device 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9, checks whether a response to the port confirmation packet is received, and confirms that the wireless device ( 5) determines the open port.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상술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109)를 통해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5)에게 전송하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오픈된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performs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creates a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ransmits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o the wireless device 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9, checks whether a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s received, and opens It determines the protocol actually used on the port.

취약점 공격부(110)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통신부(109)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판단부(108)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transmits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to the targe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9 , and the determination unit 108 checks whether there is a response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and if there is a response,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 and if there is no response, it is determined as a fake device.

운영체제(107)는 하드웨어를 관리할 뿐 아니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과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기억장치(113)와 메모리(115)는 각각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실행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세서(111)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이러한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제어 장치, 또는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이다.The operating system 107 is software that not only manages hardware but also provides a hardware abstraction platform and common system services to execute application software, and the storage device 113 and memory 115 are spaces for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s, respectively. It includes a recording medium that provides The computer processor 111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control device of a computer that controls a computer system and executes a program operation, or a chip having a built-in function thereof.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에는 프로그램이 저장 또는 실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 또는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15 and/or the storage device 113 provides a space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or executed, and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protocol-service mapping data or service-type mapping data. data can be stored.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는, 또한, 각종 데이터를 임시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15 and/or the storage device 113 may also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 various data. For example, the memory 115 and/or the memory device 113 may stor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타입 추정부(104)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한다. The type estimator 104 performs the above-described type estimation ope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부(104)는 무선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포트 스캐닝부(101)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103)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결과를 이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ype estimator 104 includes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5 , an operation result of the port scanning unit 101 , and a protocol scanning unit At least one operation result among the operation results of (103) is us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스캐닝부(101)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103)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result o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port scanning unit 101 and the operation result of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is used. Sin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장치(113) 및/또는 메모리(115)에는 타입 추정부(104)의 타입 추정 결과가 저장된다. 타입 추정 결과는 무선 디바이스(5) 별로 타입이 대응된 데이터이다. 한편, 기억장치(113) 및/또는 메모리(115)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임)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이 가지는 취약점을 찾기 위해서 사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ype estimation result of the type estimator 104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13 and/or the memory 115 . The type estimation result is data corresponding to a type for each wireless device 5 . On the other hand, the memory device 113 and/or the memory 115 may also stor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Vulnerability data by type (data corresponding to vulnerabilities by type) is used to find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type.

취약점 공격부(110)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아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수 있다. 이후,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통신부(109)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판단부(108)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may generate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by referring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to find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Thereafter,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arge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9 . Afte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response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the determination unit 108 determines that the target device is not a fake device if there is a response, and determines that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if there is no response.

포트 스캐닝부(101)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부분은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도 포트 스캐닝부(10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port scanning unit 101 may be configured as a program. The part composed of the program is loaded into the memory 115 and performs a port scann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processor 111 .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rotocol scanning unit 103 and the type estimating unit 104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 scanning unit 101 to perform their own operations. Meanwhile, sin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ort scanning operation,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nd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무선케어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무선케어장치(100)는 종래의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기술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할 때, 1차적으로 종래의 기술(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10-1563213(2015. 10. 20)(이 등록특허에 개시된 내용은 본원 발명과 모순되지 않는 한도에서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 결합됨)에 개시된 기술에 의해 먼저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하고, 2차적으로 본원 발명에 의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것이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채널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의 정보들이 변조된 것을 확인하되, 변조된 정보끼리 서로 모순되도록 변조되었을 경우에 페이크 디바이스로 판단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만약, 페이크 디바이스가 자신의 모든 정보들을 서로 모순됨이 없이 변조하였다면,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로는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원 발명은 그러한 경우라도,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페이크 디바이스가 맥 어드레스(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채널과 같은 정보를 변조할수는 있지만 펌 웨어(firm)는 변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hen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electing fake devices,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determine whether a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a prior art (eg, Korea Patent No. 10-1563213 (2015. 10. 20)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registered patent is To the extent not inconsistent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fake device is first determined by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econdarily, a f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ddress),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r channel, etc., is a technique to determine that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has been modulated, but if the modulated information is modulated to contradict each other, it is determined as a fake device. If a fake device modulates all of its information without contradic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 fake device is a fake device wit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This is because a fake device can tamper with information such as MAC Address,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r channel, but not the firmware.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에 근접한 타겟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라고도 함)들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scriminating a fake device from among target devices (also referred to as 'target devices') close to the refrigeration apparatus 200 and the IoT control apparatus 300 .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stimating a type of a target device ( S100 ); selecting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arget device (S300); attacking the vulnerability selected in step S300 (S40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ttack on the target device is successful ( S5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을 대응시킨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00) of storing and managing vulnerability data for each wireless device type that corresponds to a vulnerability for each wireless device type.

상술한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을 포함한다. The above-described step of selecting the vulnerability ( S300 ) includes an operation of finding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y referring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wireless device type.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에서 선택된 취약점을 공격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ep of attacking the target device (S400) may be a step of generating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for attacking the vulnerability selected in the step (S300) of selecting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target device.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the step S5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described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responds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device is not a fake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responds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If there is no response, it may be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이 도 1 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케어장치(100)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For the step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 S100 ), refe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단계(S200)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의 결과를 무선케어장치(100)가 기록매체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장치(100)가 아닌 다른 컴퓨터(미 도시)가 S100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ep (S200) of storing and managing vulnerability data by type is a step in which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stores and manages the result of the step (S100)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in a recording medium.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for a computer (not shown) other than the device 100 to perform step S100.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케어장치(100)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는 타입 추정부(104)에 의해 추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억장치(113)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되어 있으며, 취약점 공격부(110)는 그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The step of selecting a vulnerability ( S300 ) is a step in which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selects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may select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estimated by the type estimator 104 . To this end, the memory device 113 stores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and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may select a vulnerabilit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y referring to the vulnerability data for each type.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무선케어장치(100)가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선택된 취약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 취약점 공격부(110)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The step of attacking the target device ( S400 ) is a step in which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attacks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transmits a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to the target device.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is generated based on the vulnerability data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The vulnerability attack unit 110 may directly generate a message for vulnerability attack.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예를 들면, 무선케어장치(100)의 판단부(108)는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S500),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108 of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responds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not a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does not respond to the vulnerability attack mess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이상과 같이,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fake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That is, a program for executing all or some steps of each step constitut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fake device in the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can be read by a computer. It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e program for executing all or some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the apparatus 100 is loaded into the memory 115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processor 111, can be executed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attacking a vulnerability of a target device that is a target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a fake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ttack on the vulnerability of the target device succeeds. A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In another example,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S100); selecting a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a target device to be determined whether it is a fake device (S300); attacking the vulnerability selected in step S300 (S400); And according to whether the attack on the target device succee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wireless care method comprising the step (S5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fake device in the apparatus 100 can be read by a computer A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 scanning step (S110) of finding an open port of a target device, a port scanning step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the above-described scanning steps (S110, S120) to find the protocol used in the open port found as a result of the port scanning step (S110) Thus, it may include a Type Assumption step (S130)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이 도 1 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00)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pparatus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and A method of estimating the type will be described.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도 1 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port scanning step S110 is to find an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 . That is, the port scanning step S110 is a step of performing the port scanning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a is port 80, the off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b is port 23, and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c is is port 5555, and it is assumed that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d is port number 5559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게된다.The port scanning step S110 is to find an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 . For exampl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port scanning step (S110),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a is port 80, the off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b is port 23, and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c is port 5555, and it is known that the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d is port number 5559.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단계이다. 즉,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로 획득된 것이다.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is a step for knowing the type of protocol actually used in the open port. That is,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is a step of performing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On the other hand, the open port i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port scanning step (S110).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의 모든 오픈 포트에 대하여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이다.For example, in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 an operation of finding out the type of protocol used in port 80, which is an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5a, is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the protocol used in port 23 of the wireless device 5b, the protocol used in port 5555 of the wireless device 5c, and port 5559 of the wireless device 5d are used It performs the operation of finding out what protocol is used. As such,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is a step of finding out the types of protocols actually used for all open ports of the wireless device 5 .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creating a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transmitting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to the target device having the open port, and transmitting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and checking whether a response exists from a target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confirm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is a step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check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and the step of writing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is performing the operation of creating the packet for checking the protocol and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target device is a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of checking whether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target device. Therefo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steps will be omitted.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the step of checking the type of open port,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n port obtained by the port scann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well-known port, a registered port, or a dynamic port. perform the a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heck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By referring to the port type data, an operation of finding out the type of the open port obtained by the port scanning operation is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crea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ncludes crea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pen port.

예를 들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For example, in the step of creating a packet for protocol confirmation, port 80 of the wireless device 5a is a well-known port using the World Wide Web HTTP protocol, so the Executes the operation of creating a packet for protocol confirmation.

또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IoT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코롤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crea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created using the web HTTP protocol from the wireless device 5a, port 80 of the IoT device 5a uses the web HTTP protocol It decides not to do so, and uses a protocol other than the World Wide Web HTTP protocol to create a packet for protocol confirmation.

즉,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들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서, 상술한 동작들과 같이 응답이 올때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다.That is,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n order to find out the type of protocol actually used in the open ports of the wireless device 5,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s created until a response is received as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올때 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o the wireless device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o the target devic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to the target device includes transmitting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until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target device.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오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응답이 오면 그러한 응답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해당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response exists from the target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ncludes monitoring whether a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s received from the target device, and when a response is received, the protocol used for the response is transferred from the corresponding open port. Executes an operation that determines that the protocol is actually used.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포토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타입 추정 단계(S130)는 도 1 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type estimation step ( S130 ) is a type of estimating each type of target devices by using at least one result of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photo scanning step ( S110 ) and the protocol scanning step ( S120 ). This is a step of performing an estimation operation. That is, the type estimation step S130 is a step of performing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와,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과 도 2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estimating the type ( S130 ) includes estimating the type of service from the type of protocol fou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nd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type of service. do. Here, the step of estimating the type of service from the type of protocol is a step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service from the type of the protocol described above, and the step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type of the service is the above-mentioned service. This is a step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type. Therefore,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steps,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는, IoT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포토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ype Assumption step ( S130 ) includes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 result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hoto scanning operation, and protocol scanning ( Protocol Scanning), at least one result of the operation results is used.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For example, in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S130 , a first estimation operation, a second estimation operation, a comparison operation, and a type determin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the comparison operation, and the type determining operation,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

다른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As another example,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S130 may perform a port scanning operation, a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nd a type estimation operation.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the comparison operation, and the type determining operation,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이상과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That is,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all or some steps of each step constituting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e program for executing all or some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is stored in the memory 115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processor 111 in this way. It can be loaded and ru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ult of performing a port scanning step (S110) and a port scanning step (S110) to find an open port of a target device A type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and the above-described scanning steps (S110, S120) to find the protocol used in the open port found wit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for causing the apparatus 100 to execute a method of estimating a type of a wireless device including a Type Assumption step ( S130 ). For a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steps,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above.

이상과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That is,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all or some steps of each step constituting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can be read by a computer. It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e program for causing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to execute all or some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memory 115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processor 111 . It can be loaded and ru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ult of performing a port scanning step (S110) and a port scanning step (S110) to find an open port of a target device A type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tocol scanning step (S120) and the above-described scanning steps (S110, S120) to find the protocol used in the open port found wit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for causing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to execut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type of a wireless device including a Type Assumption step ( S130 ). For a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steps,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su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5, 5a, 5b, 5c, 5d : 무선 디바이스
100: 무선케어장치
101: 포트 스캐닝부
103: 프로토콜 스캐닝부
104: 타입 추정부
107: 운영체제
108: 판단부
109: 통신부
110: 취약점 공격부
111: 컴퓨터 프로세서
112: 주변 기기
113: 기억장치
115: 메모리
200: 냉동장치
5, 5a, 5b, 5c, 5d: wireless devices
100: wireless care device
101: port scanning unit
103: protocol scanning unit
104: type estimator
107: operating system
108: judgment unit
109: communication department
110: Vulnerability Attack Department
111: computer processor
112: peripheral device
113: memory
115: memory
200: freezer

Claims (6)

대상 상품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웹 사이트 검색부(201); 및
웹 사이트 검색부(201)에 의해 검색된 웹 사이트 - 분석대상웹사이트 - 에 대한 퀄리티를 분석할 수 있는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를 포함하며,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부(203)는 상기 분석대상웹사이트에서의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베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분석대상웹사이트에 대한 퀄리티를 산출하며,
상기 베이스 데이터는, 상기 대상 상품에 대한 평가 데이터와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
a web site search unit 201 for searching a web sit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product by using one or more keywords for the target product; and
and a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capable of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web site searched by the web site search unit 201 - the analysis target web site -;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unit 203 calculates the quality of the analysis target website for the target product based on the base data for the target product in the analysis target website,
The base data,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that includes evaluation data for the target product and advertisement data for the target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데이터는 (공통 품질 키워드 or 전용 품질 키워드) and (메인 키워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검색식을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생성된 것이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전용 품질 키워드 and 메인 키워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워드 식을 이용해서 분석대상웹사이트를 검색하여 대상 상품에 대하여 생성된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evaluation data is generated by searching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a search formula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common quality keyword or dedicated quality keyword) and (main keyword).
Wherein the advertisement data is generated for the target product by searching the analysis target website using a keyword express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exclusive quality keyword and main keywo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퀄리티는 점수 또는 그룹으로 산출되는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quality is calculated as a score or a group,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제3항에 따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200); 및
상기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200)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되는 무선케어장치(100);를 포함하며,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
The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200 according to claim 3; and
Includes; wireless care device 100 that is installed within 1 km from the website quality analysis server 200;
The wireless care apparatus 100 is capable of detecting a wireless signal of a wireless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wireless device is a fake device, a system in which a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and a wireless care apparatus are integrated.
제4항에 있어서,
무선케어장치(100)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며,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인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reless care device 100 is
A type estimation operation for estim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and attacking the wireless device with a weak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device is a fake device,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ort scanning operation and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The port scan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find an open port of the wireless device,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finding a protocol used in an open port found as a result of the port scanning operation,
The protocol scanning operation is
The operation of confirming the type of the open port, the operation of creating a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pen port and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wireless device having the open port, and from the wireless device The operation of checking whether a response to the protocol confirmation packet is received, a system in which a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and a wireless care device are integ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웹 사이트 퀄리티 분석 서버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sponse includes at least one of banner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having the open port,
The banner information or the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wireless device,
The type estimation operation is
A first estimating operation for estimating a service type from the protocol foun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rotocol scanning operation, a second estimating operation for estimating a service type from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and the first estimat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comparing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ng operation and the type of service estimated by the second estimation operation, and when both of the comparison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wireless device, the A system in which a web site quality analysis server and a wireless care device are integrat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estimating the type.
KR1020200089836A 2020-07-20 2020-07-20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KR102439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36A KR102439984B1 (en) 2020-07-20 2020-07-20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36A KR102439984B1 (en) 2020-07-20 2020-07-20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92A true KR20220010992A (en) 2022-01-27
KR102439984B1 KR102439984B1 (en) 2022-09-02

Family

ID=8004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836A KR102439984B1 (en) 2020-07-20 2020-07-20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579A (en) *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System for checking vulnerabilities of servers and method thereof
JP2011530729A (en) * 2008-06-19 2011-12-22 ワイズ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roduct ranking method and product ranking system for ranking a plurality of products related to a topic
KR101834480B1 (en) * 2017-06-30 2018-04-13 유정 Providing system for goods recommending using goods review of customer
KR20190091636A (en)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안랩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579A (en) *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System for checking vulnerabilities of servers and method thereof
JP2011530729A (en) * 2008-06-19 2011-12-22 ワイズ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roduct ranking method and product ranking system for ranking a plurality of products related to a topic
KR101834480B1 (en) * 2017-06-30 2018-04-13 유정 Providing system for goods recommending using goods review of customer
KR20190091636A (en)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안랩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84B1 (en)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414B2 (en) Data privacy opt in/out solution
US11057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wireless access point
US1075710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US11683342B2 (en) Detecting and attributing undesirable automatic redirects
Noguchi et al. Device identification based on communication analysis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20210073855A1 (en) Fraud prevention in programmatic advertising
WO2018201745A1 (en) Risk warn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access point
KR102227009B1 (en)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ng video comprising character based on sound and text
KR102439984B1 (en)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web site
KR102414848B1 (en)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goods
KR20220019568A (en) Providing system for information of goods
KR102197846B1 (en) Automated platform system for establishing cross border e-commerce in the global market
KR102389936B1 (en) ANALYZING VULNERABILITY SYSTEM AND IoT CARE SYSTEM ASSOCIATED THEREWITH
KR102366304B1 (en) Method for Detecting of fake device and wireless device Care Apparatus
US10477266B2 (en) Determining local network connections of devices using tokens
CN113794731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identifying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based traffic masquerading attack
US11743261B2 (en) Preventing counterfeit communication devices from accessing resources
KR102159077B1 (en) System for determining type of IoT Device using AI
KR1023216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near device in autonomous vehicle
KR102258729B1 (en) System for automatic tracking and matching of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education based on ai
KR20200123040A (en) System for determining type of IoT Device using Port Scanning and Protocol
KR102389938B1 (en) ANALYZING SYSTEM OF IoT Type AND DETECTING SYSTEM FOR ILLEGAL IoT DEVICE
KR102321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blocking unauthorized bluetooth device
KR20210137743A (en) Method for Detecting of fake device and wireless device Care Apparatus
CN112839263B (en) Prompt message play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