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36A -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36A
KR20220003436A KR1020200122636A KR20200122636A KR20220003436A KR 20220003436 A KR20220003436 A KR 20220003436A KR 1020200122636 A KR1020200122636 A KR 1020200122636A KR 20200122636 A KR20200122636 A KR 20200122636A KR 20220003436 A KR20220003436 A KR 2022000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predetermined
displayed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숙
Original Assignee
윤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숙 filed Critical 윤경숙
Publication of KR2022000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Description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문자입력방식
참고로, 본 발명은, 특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형 전자장치에 내재된 소형 가상 키보드에서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을 자동으로 변경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종래에는
특히 스마트폰 키보드에서,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려면, 문자입력모드만을 변경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야만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영문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쉬프트'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
영문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쉬프트'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
한글입력모드에서 영문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언어모드 변경버튼인 '한영'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입력 언어 자체가 변경되려면, 언어모드 변경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수단항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3]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4]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3항에 있어서,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5]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4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6]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7]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1 소정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8]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9]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영역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0]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1]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0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2]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3]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4]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5]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4항에 있어서,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6]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5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7]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8항에 있어서,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탭 방법 또는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특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형 전자장치에 내재된 소형 가상 키보드에서,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라는 신호가 발생되면(예: 어떠한 문자가 입력되면),
언어모드 변경버튼, 쉬트트 버튼 또는 기호모드로의 변경버튼 필요없이
상기 어떠한 문자가 포함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로 또는 그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그래서, 쉬프트 버튼 또는 언어모드 변경버튼 또는 기호모드로의 변경버튼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1: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관계도.
도2: 종래의 영문 소문자 모드(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3: 종래의 영문 대문자 모드(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4: 종래의 한글 2벌식 자판(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0: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1: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에 대한 예시도(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2: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에 대한 예시도.(도10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4: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도9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는 더 크게, 영문 소문자는 더 작게 표시됨)
도17: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들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들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8: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1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22: 도17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한글이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43: 도17에 비하여,
상측 영역의 폰트와 하측 영역들의 폰트가 동일하며, 한글(문자)이 표시된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한글이 표시된 상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44: 도43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좌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좌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45: 도17에 비하여,
상측 영역의 폰트와 하측 영역들의 폰트가 동일하며,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또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음.
도43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49: 각각의 문자버튼에 한글, 기호,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한글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0: 도49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1: 도4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2: 도49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5: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6: 도55대비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7: 도55대비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8: 도55대비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도 회색이 아님(=흰색임)
(((((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하면서 폰트도 다른 영역보다 크게 하여,
회색으로 된 영역이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다른 영역과 더욱 차별화되게 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이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도59처럼)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어느 한 영역의 바탕색까지 차별화하면서까지 그 어느 한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을
도59처럼 생략하여 조금만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
)))))
도60: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해주는 점선이 없음.
도61: 도17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해주는 점선이 없음.
도62: 도60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문자의 크기 폰트가 하측 영역의 크기 폰트와 동일하면서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하측 영역의 바탕색과 동일한 흰색이다
도72~도79: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고,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는데,
도72,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2와 도73의 차이점은
도72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4, 도75는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4와 도75의 차이점은
도74는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5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6, 도77은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8, 도79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80: 각각의 문자버튼에 한글 단자음, 한글 쌍자음, 기호,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한글 단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1: 도80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2: 도80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3: 도80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4: 도80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5: 도80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가 배정된 버튼에서만은, 키보드가 간단히 보이도록,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과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을 합쳐놓았고,
한글 단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6: 도85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7: 도85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8: 도85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9: 도85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0: 도86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ㄲ,ㄸ,ㅃ,ㅆ,ㅒ,ㅖ'를 '§'으로 통일해버린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1: 도86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ㄲ,ㄸ,ㅃ,ㅆ,ㅒ,ㅖ'를 아예 표시하지 않은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1: 도49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한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즉, 도49 대비,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한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
용어의 설명
.
.
.
용어5. '키보드' (=자판)
텍스트(특수문자(이모티콘, 이모지, 문장부호 포함)포함)를 전자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으로써,
물리적 키보드와 가상 키보드를 모두 포함하는 키보드임.
상기 ‘가상 키보드’는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키보드와 공중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키보드도 포함함.
.
.
.
용어10..'버튼'(=KEY)
물리적 버튼과 가상 버튼를 모두 포함하는 버튼임.
상기 ‘가상 버튼’은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버튼과 공중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버튼도 포함함.
.
.
.
용어15..'조작'
'직접 조작'과 '간접 조작'으로 나눌 수도 있다.
직접 조작 : 직접 터치되는 조작.
예를 들어, 물리적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상의 가상버튼이 외부물체(예:손가락 또는 정전식펜) 또는 프로그램 내의 객체(예: 마우스 포인터)로 직접 터치되는 조작이 있다.
간접 조작 : 직접 터치되지 않는 조작.
예를들어, 버튼 상공에서의 어떠한 손동작에 의한 조작 또는 뇌파에 의한 조작이 있다.
.
.
.
용어20..'문자버튼'
입력될 수 있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으로써,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참고로, 문자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 외의 어떠한 기능을 배정하여, 바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 버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
.
.
.
용어30..'기능버튼'
문자버튼 외의 버튼으로써, 문자를 입력하게 하는 기능외의 기능이 배정된 버튼이다.
예를 들어, 쉬프트 버튼, 삭제 버튼, 엔터 버튼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이 있다.( 본원에서는 도면들 각각에 표시된 F1~F8과 같은 버튼들 이다.)
참고로, 기능 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를 배정하여 문자버튼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
.
.
.
용어40..'문자체계'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때의 '문자체계'를 서로 구분하는 기준(=정의)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기호’라는 문자체계를 구분하는 기준(=정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으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또는
한글 쌍자음이 포함되지 않는 한글 자소들(예: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는 한글 단자음단모음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한글 쌍자음이 포함된 자소들(예: ㄲ ㄸ ㅃ ㅆ ㅉ ㅒ ㅖ)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는 한글 쌍자음복모음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즉, 한글 단자음단모음 문자체계한글 쌍자음복모음 문자체계는 서로 다른 한글 문자체계로 간주할 수도 있는 등 그야말로 '문자체계'를 서로 구분하는 기준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한글, 영문을 포함한 모든 문자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소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대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숫자'라는 문자체계는 0~9라는 10개의 숫자로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기호'라는 문자체계는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문자가 아닌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특수문자' 문자체계라고 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 각각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또는
한글 쌍자음이 포함되지 않는 한글 자소들(예: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은 '한글 단자음단모음'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한글 쌍자음이 포함된 한글 자소들(예: ㄲ ㄸ ㅃㅆㅉㅒㅖ은 '한글 쌍자음복모음'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다,)
26개의 영어 소문자 각각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26개의 영어 대문자 각각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0~9라는 10개의 숫자 각각은 '숫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 각각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한글', '영문'(=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은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라고도 할 수 있다.
.
.
.
용어50..'버튼 디자인'
버튼의 디자인에는 버튼 테두리 디자인, 버튼의 바탕 디자인, 또는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버튼 테두리 디자인'에는 버튼테두리의 색깔, 문양, 두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바탕 디자인'에는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바탕 문양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에는표시된 문자의 색깔, 문자크기, 문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버튼디자인은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문양(예: 버튼의 바탕 또는 버튼 테두리 또는 버튼 주변의 문양),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색깔 등으로 어떠한 버튼이 (다른 버튼과 디자인이 다른지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버튼과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버튼의 문양'에 대하여 예를 들어 조금 더 보충 설명하자면,
버튼의 바탕 색깔은 동일하여도 버튼의 문양이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
문양의 종류의 예에 빗살무늬, 격자무늬, 꽃무늬 등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버튼의 바탕 색깔과 버튼에 표시된 (인식되는) 문자가 같아도(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문자체가 다르더라도 똑같이 영문 소문자 'b'라고 인식되더라도),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가 다르면(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글자체가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
.
.
.
용어60..'드래그' 방법(또는 드래그 문자입력방법)
"어떠한 버튼을 드래그 하다" 또는 "어떠한 버튼에 대해서 드래그 하다"라는 말은
어떠한 버튼을 터치한 후에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소정의 길이 이상을 드래그 해야 드래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즉, 소정의 길이 미만으로 드래그하면 탭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드래그"는 "싱글터치 드래그"와 "멀티터치 드래그"로 나뉠 수 있다.
본원에서,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 라는 문구가 빠진 상태의 '드래그' 는 별다른 조건이나 말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싱글터치 드래그' 를 말한다.
" 싱글터치 드래그 " :
'싱글터치'는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싱글터치로써,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어느 시점에서 터치되어 있는 터치점이 1개이게 터치를 말하며,
"싱글터치 드래그"는
어떠한 버튼을 싱글터치(=)한 후에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 멀티터치 드래그 ":
'멀티터치'는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멀티터치로써,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어느 시점에서 터치되어 있는 터치점이 2개 이상이게 터치를 말하며,
"멀티터치 드래그"는
어떠한 버튼을 멀티터치()한 후에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드래그할 때의 방향에 의해 싱글터치 드래그 또는 멀티터치 드래그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도 있다.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아무 방향으로나 인 것을 말한다.
(참고로,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시에는 본원의 실시예들 중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또는 비슷한 상황에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을, 탭 방법 중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초과가 되도록 탭(=길게 탭) 방법으로 대체하면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느낄 수도 있는 경우도 있을 것 같기는 하다.)
"좌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우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상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상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
"하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하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좌상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상측 방향(=북서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좌하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하측 방향(=남서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우상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상측 방향(=북동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
"우하측으로 드래그"는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하측 방향(=남동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
.
.
.
용어70..'탭' 방법(또는 탭 문자입력방법)
"어떠한 버튼을 탭 하다" 또는 "어떠한 버튼에 대해서 탭 하다"라는 말은
어떠한 버튼을 터치한 후에 (드래그 없이)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소정의 길이 이상을 드래그 해야 드래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즉, 소정의 길이 미만으로 드래그하면 탭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탭"은 "싱글터치 탭"과 멀티터치 탭"으로 나뉠 수 있다.
본원에서,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 라는 문구가 빠진 상태의 '탭' 는 별다른 조건이나 말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싱글터치 탭' 를 말한다.
.
.
.
용어의 설명 끝.
====================================
====================================
본원에서 기술을 함축적인 문구로 나타내보자면 다음의 함축적문구들과 같다.
참고로, 각 함축적문구들은 청구항문구들과 거의 동일하다.
.
.
.
[함축적문구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 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먼저,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바로 상기 문구 중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참고로,
"문자버튼"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이며, '문자버튼'과 '기능버튼'에 대해서 앞의 "용어의 설명"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
원래 키보드에는 문자가 배정된 문자버튼은 복수 개가 있다.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이란 바로 그러한 상황을 말한다.
사실상 당연한 말이라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지만 굳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9와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크게 영문 소문자인 a~z와 영문 대문자인 A~Z가 배정된 26개의 문자버튼과 쉬프트버튼 1개와 F1~F8과 같은 9개의 기능버튼이 있다.
도9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
즉, 도9 키보드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는 것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의 키보드는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데
도2의 키보드와 같은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음에도,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도2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도2 키보드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뒤에서 설명할 것인데 미리 조금 말하자면,
도2 또는 도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문자버튼을
탭하여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고,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대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키보드도 26개의 문자버튼과 쉬프트버튼 1개와 F1~F8과 같은 9개의 기능버튼이 있다.
도17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한글 자소 1개씩과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
결국, 도2 키보드에는 한글 자소 1개씩과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는 것이다.
(((((
참고:
1..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점선이 있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과 같은 선분을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9에 있는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이 도60처럼 생략될 수 있고,
도17에 있는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이 도61처럼 생략될 수 있다.
2..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바탕색을 회색 으로 하면서 폰트도 다른 영역보다 크게 하여,
회색으로 된 영역이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다른 영역과 더욱 차별화되게 하면서 더욱(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이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바탕색까지 차별화하면서까지 그 어느 한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을
예를 들어, 도9에서 도59로의 변화처럼,
도9에서의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이 (하측의 바탕색인 흰색과 다르게) 회색인 것을
도59처럼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이 (하측의 바탕색인 흰색과 동일하게) 흰색으로 하여,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문자 크기 폰트만 다르게 하는 조금만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
3..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크게 또는 굵게 표시하여,
크게 또는 굵게 표시된 문자가 그 어느 한 문자가 배정된 그 문자버튼 에 배정된 다른 문자들과 차별화되게하여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를 차별화하는 디자인을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59에서 도62로의 변화처럼, (점선도 생략하고)
도59에서,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상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를 하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보다 크게 또는 굵게(영문 소문자의 폰트가 대문자 폰트보다 더 크기 때문) 표시하였던 것을
도62처럼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상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를 하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보다 작게 또는 보통의 굵기로(영문 소문자의 폰트가 대문자 폰트와 동일함에도 소문자는 대문자보다 더 작게 보이기 때문)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어쨌든, 바로 상기 참고의 1, 2, 3번처럼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선분 또는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 또는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포함한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본원에서 소개하지 않는 다양한 행태로 창조해 낼 수 있다.
)))))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2, 도9 또는 도17과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26개의 문자버튼이 있는데,
예를 들어,
본원의 기술은 26개의 문자버튼 중 10개의 문자버튼만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하였다.
즉, 상기 문구의 예로서 다음과 같은 문구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키보드 상의 26개의 문자버튼들 중 10개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하지만, 본원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26개 문자버튼에 대해서는 그 전부를 대상으로 설명하겠다.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라고
표현한 또 다른 이유도 설명하자면,
일반적인 스마트폰 가상자판처럼
'.'버튼, '@'버튼과 같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이 있거나(예를 들어, 도9 또는 도17에서,,, F6버튼이 '.'버튼이고, F7버튼이 '@'버튼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문자버튼들이 있는 영역 외의 상측에 1개의 행으로 0~9라는 10개의 숫자가 배정된 '숫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들도 있을때(도면 생략),
본원의 기술이,
문자버튼들인 26개의 문자버튼만에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도 그렇게 표현하였다.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말 그대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말하겠다는 뜻이다.
이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9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도2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도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 전체에 있어서, 본원의 기술을 설명할 때에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에 본원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예에서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
이제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9 또는 도2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 영문 소문자 '는,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지 않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소문자 모드에서처럼)
즉, (해당 문자버튼을)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들에서는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과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의 차이는 없으므로, 혹시나 실시예들 설명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과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이 혼용될 때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서로 동일한 말로 간주해도 될 것이다.
)))
((((
참고로, 본원 전체에 있어서,
상기에서
"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
와 같은 문구는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로 해석할 수도 있다.)
)))))
' 영문 대문자 '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도9 참조)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기도 하지만(도2 참조),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폰트가 가장 작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가 아니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흰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해당 문자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 전체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는 방법은 상용화시에,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길게(예:0.5초) 하는 방법으로 대체해서 구현하거나
사용자가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는 방법과 해당 버튼을 길게(예:0.5초) 누름을 유지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추천한다.
왜냐하면 어차피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길게(예:0.5초) 하는 방법은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짧게(예:0.5초 이하)하는 일반적인 탭방법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의 'r'버튼(R도 배정되어 있지만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뿐임)과
도9의 'r, R'버튼처럼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문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영문 소문자 모드에서처럼)
즉,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참고로, 어떠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복수의 문자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즉, 어떠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복수의 영역이 경우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문자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
해당 문자버튼의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9에서
'r'이 배정된 버튼은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이 있는데
'r'을 입력하기 위해서
'r'이 배정된 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 중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해도 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17에서
'r'이 배정된 버튼은 'ㄱ'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이 있는데
'r'을 입력하기 위해서
'r'이 배정된 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
'ㄱ'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 중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해도 된다.
))))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폰트가 가장 작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가 아니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흰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문자 중에서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서도 입력할 수 있다.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키보드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 한글 '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즉, (해당 문자버튼을)
탭하여 입력하고,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
' 영문 소문자 '는,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해당 문자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영문 대문자 '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해당 문자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키보드에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ㄱ'은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한글'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
이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앞의 도17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한글'은, (도4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소문자'는,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 했었다.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의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상기에서 언급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된다.
그래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된다.
만약, 도17에서 (바로 상기 실시예를 포함한 같은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탭 방법 뿐만 아니라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도 있었다고 할지라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 역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포함되므로(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포함되므로)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된다.
=================================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을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 안된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지 않은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
결국은
탭 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3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 이상인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3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 이상인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에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는,
(종래의 일반적인 쿼티 키보드에서처럼)
하여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했는데,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상기에서 언급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된다.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이라는 문구는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 이상인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 이상인 1가지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앞의 도17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도17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언급했었다.
도17의 키보드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 한글 '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
' 영문 소문자 '는,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
' 영문 대문자 '
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키보드에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ㄱ'은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이제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참고로, 사실 바로 상기 문구는 필수적인 문구는 아니다.
그래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 대해 설명하자면,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문자체계을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 안된 (주로 1가지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지 않은 (주로 1가지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결국은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 이상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2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상기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복수의) 문자체계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인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2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가 입력되고,"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앞의 도2 또는 도9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도2 또는 도9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언급했었다.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 영문 소문자 '는,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
' 영문 대문자 '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의 'r'버튼('R'도 배정되어 있지만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뿐임)과
도9의 'r, R'버튼처럼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는
상기에서 언급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에도 포함되고,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에도 포함된다.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 이상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상기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 이상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가 입력되고,"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문구에 대한 것은 함축적문구2을 통하여 설명하겠다.
함축적문구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제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말 그대로,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의 작업인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는 작업과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되는 작업을 포함하여
제2항 이후의
종속항에서의 작업들까지도
순서를 꼭 지킬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관념상으로는 순서를 지키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실제 시행시에는 순간적으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작업들이므로, 순서는 굳이 지킬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본원 전체의 실시예에서는 빠른 이해를 위해서,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는 작업이 먼저 되고,
그 다음에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작업이 되고,
제2항 이후의
종속항에서의 작업들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때가 많을 것이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문구는 함축적문구1에도 있는 문구로서 함축적문구1 설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 이상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함축적문구1의 설명의 거의 마지막 부분까지해서
함축적문구1의 문구 중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이라는 문구까지 설명하였다.
그때에 더 상세한 실시예로써
도17'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고,
도2 또는 도9'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었다.
그런 후에 이번의 함축적인 문구와 같이 될 수 있다.
이제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의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17과 같은 상황에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
이다.)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또는 될 수 있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이다.)
도17 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설명할 수 있지만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과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맞교환됨에 따라,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영문 대문자로 변경된다면)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은
"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된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뿐이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이다.)
도17 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설명할 수 있지만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
(바로 상기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실시예처럼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표시된 영역을 예로 들수 있는 복수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문자체계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45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대로 이고 ,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바탕색이 회색인 영역)만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서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으로 변경 된다면)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은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 된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과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 2가지가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만약, 바로 상기 45와 관련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본 문서 끝 부분에 있는 " 정리실시예6 " 설명을 참조 바란다.)
참고로,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
도17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는 "
이다.)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좌측으로 드래그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2가지 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
즉,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였다.
그런데,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영문 대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바로 앞의 (도17과) 도22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에서 탭이라는 방법으로 변경되거나
바로 앞의 (도17과) 도45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이 추가되면,
영문 대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제 부터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탭하여 입력해도 된다.
참고로,
바로 다음의 "또 다른 예"에서도 바로 상기의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는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
이다.)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또는 될 수 있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것이다.
참고로,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
도2, 또는 도9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는 "
이다.)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1가지 방법으로 구성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
즉,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였다.
그런데,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영문 대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에서 탭이라는 방법으로 변경되거나
탭이라는 방법이 추가되면,
영문 대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탭하여 입력해도 된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3]
제1항에 있어서,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4]
제3항에 있어서,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5]
제4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3, 함축적문구4, 함축적문구5를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는 "
이다.)
"탭" 방법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
이다.)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 "
이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이다.)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맞교환됨에 따라,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체게가 영문 대문자로 변경된다면)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어,
이제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
"우측으로 드래그"이라는 문자입력방법뿐이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
.
이제는 상기에서
"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바로 상기 실시예를 포함한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이라는 문자입력방법과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2가지가 있었을 때 ,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이다.)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45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대로 이고,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만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서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으로 변경된다면)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삭제 되어,
이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1가지만 남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만약, 바로 상기 45와 관련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 정리실시예6 " 설명을 참조 바란다.)
(참고로,
실제 상용화시에는 도17과 같은 경우에는, 마치 한글입력 모드처럼 보이므로, '한글'은 탭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 정도가 더 개연성이 있기는 하다.
그래서, 실제 사용화시에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한다.
그래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은 다른 도면들을 인용한 실시예 설명에도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일 수 있을 뿐이다.
바로 상기 밑줄친 문구를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도2, 도3, 도9, 도10을 포함한 동일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라는 2개의 문자체계만 배정되어 있을 때(또는 배정되어 있다고 간주될 때)에는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써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을 사용하는데,
도17에서의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써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사용한다면,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은 상기 도2, 도3, 도9, 도10 등에서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에 포함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없어 버린다.
그래서, 부득이 바로 상기에서 언급한 도2, 도3, 도9, 도10 등에서도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본원의 도면들 중 거의 모든 도면을 인용한) 실시예들에서의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한글이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바로 앞의 (도17과) 도22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에서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바로 앞의 (도17과) 도45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이 제거되면,
한글이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제 부터는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면 된다.
바로 다음의 "또 다른 예"에서도 바로 상기의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는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는 "
이다.)
"탭" 방법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후에는 "
이다.)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 "
이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영문 소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탭이라는 방법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면
영문 소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제 부터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면 된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6]
제1항에 있어서,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1 소정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소정의 영역'이라는 개념부터 설명하겠다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제 2소정의 영역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에서는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하측 영역을 제2 소정의 영역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 2소정의 영역"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하측의 좌측 영역과 동일한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은
상기에서 언급한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하측 영역"에 포함된다.
=================================
' 제 1소정의 영역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2 소정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영역 을 제1 소정의 영역라고 할 수 있다.
도17에서는
하측의 영역이 아닌 영역을 제1 소정의 영역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결국은
상측의 영역을
제1 소정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17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서
도22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인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9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
도10과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인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11, 도12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9=도11, 도10=도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앞의 도9키보드를 인용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1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11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
도12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즉, 도2, 도3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2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
도3과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도2, 도3을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즉,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처럼 해석(또는 간주)한 상태에서의
도2와 같은 종래의 영문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에서 도3과 같은 종래의 영문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으로 변경되는 것은,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모드에서 영문 대문자모드로 변경되는 것과 동일하게 해석(또는 간주)될 수도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1을 변형한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가 생산될 수 있다.
[함축적문구8]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거나,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는"
이라는 문구 앞과 뒤에 있는 다음의 상당히 긴 문구는 여기 함추적문구8의 대부분인데
함축적문구1의 문구와 공통문구라서 설명을 생략하겠다.
========================================
상기 문구 앞에 있는 문구: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상기 문구 뒤에 있는 문구:
"상기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이제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 "
이라는 문구에 대한 설명은
함축적문구7에서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하였었다.
그래도 다시 한번 상기의 함축적문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바로 상기의 함축적문구 부분은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문자입력 모드가)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모드로 (즉, 도3과 같은 모드로) 변경되거나"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
이라는 문구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17과 함께 설명하겠다.
[함축적문구17]
제8항에 있어서,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탭 방법 또는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다시
"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
이라는 문구에 대해 예를 설명하자면
"(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도2, 도3외의 함축적문구7에서 언급한 다른 도면들로도 다음의 1~4번과 같이 예로도 설명할 수 있다.
1.."(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인데,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참고로, 아래 도45는 함축적문구1에서 언급했었다.)
2.."(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인데,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3.."(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도9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
도10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4.."(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은
"탭 방법"에 속하는 방법으로써,
"탭 방법"이라 함은
일반적으로는 "짧게 탭"하는 것을 일컫지만,
(일반적인 것과는 다르게) "길게 탭"하는 방법(=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초과)가 되도록 탭하는 방법)도 있으므로,
"길게 탭"하는 방법을 다시 한번 나열해 본 것에 불과하다.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9]
제1항에 있어서,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함축적문구10]
제9항에 있어서,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11]
제10항에 있어서,
"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9, 함축적문구10, 함축적문구11을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17 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의 ' 상측 '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22 와 같이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의 우측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9 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의 ' 상측 '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10과 같이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즉, 도2, 도3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2 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의 '상측' 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3 과 같이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각 문자버튼의 하측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12]
제1항에 있어서,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소정의 디자인'이라는 개념부터 설명하겠다.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제 2소정의 디자인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에서는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디자인 중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2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 2소정의 디자인"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참고로, 더 추가적인 예를 소개하자면 도11과 같은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하측 영역처럼,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떤 영역의 높이(또는 넓이)가 다른 영역보다 작은 디자인도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될 수도 있을 수 있다.)
=================================
' 제 1소정의 디자인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디자인 을 제1 소정의 디자인라고 할 수 있다.
도17에서는
제2 소정의 디자인아닌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예를 들어,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 아닌 디자인이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지 않는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결국은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더 추가적인 예를 소개하자면 도11과 같은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상측 영역처럼,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떤 영역의 높이(또는 넓이)가 다른 영역보다 디자인도 제1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될 수도 있을 수 있다.)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
바로 이탤릭체는 문장들은 위에 반영되었으므로 삭제요망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2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문자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 아닌 디자인이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지 않는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결국은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도17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22 또는 도45와 같이
제1 소정의 디자인인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22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 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도45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이다.(참고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 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었다.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10 또는 도14와 같이
제1 소정의 디자인인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로, 도10와 도14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10은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도14는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 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
참고로,
도11, 도12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9=도11, 도10=도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구로 설명될 수 있다.
도11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12와 같이
제1 소정의 디자인인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
참고로,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즉, 도2, 도3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구로 설명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이
도3과 같이
제1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된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14]
제1항에 있어서,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함축적문구15]
제14항에 있어서,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함축적문구16]
제15항에 있어서,
"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 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14, 함축적문구15, 함축적문구16을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 (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17의 키보드와 같은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22 또는 도45와 같이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함축적문구13의 설명 중의 그에 대한 내용을 참조바란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9의 키보드와 같은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10 또는 도14와 같이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함축적문구13의 설명 중의 그에 대한 내용을 참조바란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참고로, 아래의 설명은 애매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간주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즉, 도2, 도3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2의 키보드와 같은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3과 같이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알 수 없는 그 어떤 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알 수 없는 그 어떤 크기'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바로 상기 밑줄친 문구에서 "알 수 없는 그 어떤 색", "알 수 없는 그 어떤 크기'라는 문구가 작성된 이유는 조금 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2,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
.
.
.
.
.
.
.
.
이제 본원의 개념을 정리하기 위하여
여태까지의 설명을 요약하여 여태까지의 실시예와 동일한 맥락의 실시예로 설명하고,
동일한 원리에 의한 더 추가적인 간단한 정리 실시예들을 소개하겠다.
==========================================
==========================================
"규칙1" 도입 부분 시작
잠시 후 소개될 정리실시예1~5번까지는 다음의 "규칙1"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한다.
규칙1: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하여 입력할 수 있고,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 두드러지지 않게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드래그 하여 입력하는 데 있어서,
a..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이 도9, 도10, 도11, 도12처럼 1개의 영역만 있는 경우에는(도2, 도3도 그렇게 간주한다.)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b..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이 도17, 도18, 도19, 도22처럼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규칙1 끝.
==========================================
==========================================
정리실시예1..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자체에 대한 설명.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 같은 경우 자체에 대한 설명)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를 보게 되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한다.
1.a.. 영문 소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즉, 영문 소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1.b.. 영문 대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상기 '1.b'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 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정리실시예2..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2.a..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탭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여전히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도 상기 정리실시예1번(=1.a+1.b)과 같이 그대로 유지되며,
(즉, 영문 소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2.b..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드래그하면(=도2, 도9, 도11에서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도18에서는 우측으로 드래그),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 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 된다.
(참고로,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는 말은
도2와 같은 상태는 도3과 같은 상태로,
도9와 같은 상태는 도10과 같은 상태로,
도11와 같은 상태는 도12과 같은 상태로,
도18와 같은 상태는 도19과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는 뜻이다.
이하에서도 상기 밑줄친 문구와 비슷한 맥락의 문구는 그렇게 해석하면 된다.)
바로 상기 '2.b'에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대문자)인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2와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3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9, 도11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10, 도12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8과 같은 상태가) 도19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바로 상기에서 설명을 잠시 미룬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상기에서 언급된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를 보게 되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2.b.a.. 영문 대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2.b.b.. 영문 소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다")
상기 '2.b.b'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이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가 여태까지 함축적문구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맥락의 내용의 일부였다.
이제부터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소개하겠다.(원리는 여태까지의 설명과 동일하다.)
.
.
.
.
.
정리실시예 3..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
도3, 도10, 도12, 도19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3.a..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탭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여전히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도 상기 '2.b' 중 '2.b.a', '2.b.b' 같이 그대로 유지되며,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3.b..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드래그하면(=도3, 도10, 도12에서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도19에서는 우측으로 드래그),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 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 된다.
바로 상기 '3.b'에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소문자)인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3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도2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0, 도12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9, 도11과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9와 같은 상태가) 도18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바로 상기에서 설명을 잠시 미룬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그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정리실시예1번(=1.a+1.b) 방법과 동일하다.
.
.
.
.
.
정리실시예 4..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언어모드 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한글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
참고로,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한글 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도18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한글 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한글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17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된다.
도17과 같은 상태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4.a.. 한글 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즉, 이제부터는 한글 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4.b..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4.b'에 대하여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17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17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정리실시예 5..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한글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
참고로,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7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2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대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된다.
도22와 같은 상태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5.a. .영문 대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
5.b.. 한글 문자와 영문 소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5.b'에 대하여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이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이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정리실시예6 ..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45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한글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2).
참고로, 바로 상기 정리실시예5번과는 다르게,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가 아니라) 도45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도17과 도45의 차이점은 바로 알아차릴 수 있으나 혹시나 못 알아차렸다면, [함축적문구13]에 대한 설명에서 "도45는 도17에 비하여"라는 문구가 있는 곳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곳을 참조바란다.
간단히 말하자면,
도17이나 도45에서나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동일하다.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은 다르다)
==========================================
==========================================
"규칙2" 도입 부분 시작
도17, 도45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상측 영역은 1개의 영역이 있고,
하측 영역은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2"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규칙2: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
참고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였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
규칙2 끝.
==========================================
==========================================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는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의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글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한글이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다가
상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 그래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하여도 입력할 수도 있고,
(탭 방법 또는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한글만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영문 소문자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대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7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45와 같은 상태 (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대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될 수 있다.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의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글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이제는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글이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서 탭 방법이 삭제되어
이제부터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하면 한글을 입력할 수 "없게" 된다.)
영문 소문자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여전히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있고, 영문 대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다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 그래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하여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탭 방법이 추가되어
이제부터는 탭 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
.
.
.
.
.
.
.
.
.
.
종합 정리실시예(=문구입력 실시예)
이제 종합 정리실시예로써,
" aBdEFghjMNQR",
" ㄱTㄴㄷyㄹㅁㅂ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라는 4가지의 문구를 다음의 A, B, C, D단원에서 각각 입력해보자.
.
.
.
.
.
A..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3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aBdEFghjMNQR " 입력 실시예)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3 바로 앞에서 언급한 "규칙1" 을 따르는 실시예임)
"aBdEFghjMNQR" 라는 12글자 입력 실시예를 A.1~A.12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
A.1..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2..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2,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B')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b')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A.3..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3,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d')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D')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도10, 도12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2, 도9, 도11, 도18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A.4..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A.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A.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2,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A.5..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6..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A.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A.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3,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2, 도9, 도11, 도18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A.7..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A.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A.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8..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7'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9..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4'단계를 참조바란다.)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A.10..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11..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12..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
.
.
.
.
B..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4~5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ㄱTㄴㄷyㄹㅁㅂ " 입력 실시예)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 바로 앞에서 언급한 "규칙1" 을 따르는 실시예임)
" ㄱTㄴㄷyㄹㅁㅂ " 라는 8글자 입력 실시예를 B.1~B.8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
도17, 도18, 도22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
B.1.. 도2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2와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B.2..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B.3.. 도2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22와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B.4..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B.5..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18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B.6..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B.7..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B.8..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
.
.
.
.
C..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입력 실시예)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에서 언급한 "규칙2" 을 따르는 실시예임)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라는 20글자 입력 실시예를 C.1~C.20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
도43, 도44, 도45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
참고로, 도43은 정리실시예6에서 인용한 도면 중 도17의 역할을 한다.
C.1..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4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참고로,
규칙2의 내용 중 참고 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래그(예: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여도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예: 'a')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44)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44)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예:도44)과 변경후(예:도44)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44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2..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44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3..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4..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C.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C.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5..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5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6..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C.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C.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7..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4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C.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C.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8..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7'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9..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4'단계를 참조바란다.)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0..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11..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12..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13..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4..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에서)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5..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6..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한글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3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 영역 에 표시된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한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17..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에서)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8..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C.19..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C.20..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
.
.
.
.
D..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과 거의 원리가 동일한 종합 정리실시예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입력 실시예)
다음의 "규칙3" 을 따르는 실시예이다.
다음의 규칙3는 규칙2와 원리는 사실상 동일한데, C단원 실시예에서 인용된 키보드에 비하여 문자체계 1개가 추가되었고, 각 문자체계의 문자입력방법만 다르다고 할 수 있어서,
사실상 바로 상기 C단원의 실시예를 반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라는 23글자 입력 실시예를 D.1~D.2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
도49, 도50, 도51, 도52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
==========================================
==========================================
"규칙3" 도입 부분 시작
도49, 도50, 도51, 52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상측 영역이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하측 영역도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3"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규칙3: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기호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
참고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였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
규칙3 끝.
==========================================
==========================================
(((
참고로,
상기 규칙3처럼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입력되는 신호가 발생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규칙이 있더라도,
예를 들어,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는 기본 규칙이 있더라도,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를 어떤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입력)하지 않아서,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어 버리면,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가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이고,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어 버리면,
자주 사용하는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다시 변경시켜야 하는 것이 번거러워질 수 있다면, 즉, 불편해져버리는 등의 경우가 발생한다면,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도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지 않게 제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지 않게 제한 할 수도 있다.
)))
D.1..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1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참고로,
규칙3의 내용 중 참고 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래그(예: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여도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예: 'a')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51)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51)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예:도51)과 변경후(예:도51)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51과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2..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51과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와 '@'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3..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와 '♨'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4..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D.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D.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5..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2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6..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D.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D.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7..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1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D.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D.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8..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7'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9..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4'단계를 참조바란다.)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0..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11..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12..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13..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4..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5..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6..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한글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9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한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17..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8..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19..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20..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21..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한다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0과 같은 상태(즉, 마치 기호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D.22.. 도50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기호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기호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0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기호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기호 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0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D.23.. 도50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기호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50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
.
.
.
.
.
.
.
그리고,
바로 상기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서는
도49, 도50, 도51, 도52를 인용하여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기호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도49, 도50, 도51, 도52 대비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 (한글 대신)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 기호가 표시된 영역에 (기호 대신)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도55, 도56, 도57, 도58을 인용하고,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 있는 규칙3을 그대로 적용하여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 있다.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를 이해하면 바로 응용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
참고로,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데,
도55는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56은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57는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58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
(((((
참고로,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 표시된 러시아 문자는 러시아 문자 전체에서 누락된 것이 있다.
즉.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는 원리만 이해시키기 위해 임의로 만들어본 상상의 키보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서 소정의 조작방법을 통하여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서 (배정은 되어있는데) 표시만 누락된 러시아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
.
.
.
.
.
.
그리고,
바로 상기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서는
도49, 도50, 도51, 도52를 인용하여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기호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도49, 도50, 도51, 도52 대비
한글 2벌식 키보드 그대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로 분리되어,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의 한글이 표시된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동일한 문자버튼에 각각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를 인용하고,
다음의 '규칙4'을 적용하여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단자음(문자체계), 한글 쌍자음(문자체계), 기호 라는 5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 있다.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를 이해하면 바로 응용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
,ㄴ,,ㄹ,ㅁ,,,ㅇ,,ㅊ,ㅋ,ㅌ,ㅍ,ㅎ,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
,ㄴ,,ㄹ,ㅁ,,,ㅇ,,ㅊ,ㅋ,ㅌ,ㅍ,ㅎ,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ㄱ,ㄷ,ㅂ,ㅅ,ㅈ,ㅐ,ㅔ를 각각 ㄲ,ㄸ,ㅃ,ㅆ,ㅒ,ㅖ로 대체한 것이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이고, 나머지 문자는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라고 할 수 있다.)
)))))
==========================================
==========================================
"규칙4" 도입 부분 시작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상측 영역은 좌측과 중앙과 우측이라는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하측 영역은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4"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규칙4:
한글 단자음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한글 쌍자음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기호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
참고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였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
규칙4 끝.
==========================================
==========================================
(((((
참고로,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단자음(문자체계), 한글 쌍자음(문자체계),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데,
도80는 한글 단자음(문자체계)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한글 단자음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81은 한글 쌍자음(문자체계)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한글 쌍자음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82은 기호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83는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84는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
(((((
참고로,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는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가 배정된 버튼에서만은, 키보드가 간단히 보이도록,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과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을 합쳐놓았을 뿐이다.
실제로 상용화 할때에는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와 같은 상태보다는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와 같은 상태로 구현해 놓고서 사용방법은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와 같은 상태에서의 사용방법과 동일하게 구현하기를 권장한다.
.
.
.
더 나아가,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에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달라서,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 3개로 나뉘어진 문자버튼들에서의 3개의 영역의 각 영역이
각 문자버튼의 상측 또는 하측의 영역이 2개로 나뉘어진 문자버튼들에서의 2개의 영역의 각 영역보다
너비가 많이 작아서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어차피, 한글 2벌식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떠한 한글 단자음을 보면 그 한글 단자음의 한글 쌍자음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에서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 3개로 나뉘어진,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과 같이,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ㄲ,ㄸ,ㅃ,ㅆ,ㅒ,ㅖ'를 '§'과 같은 특정의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통일해버릴 수도 있다 .(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과 같은 특정의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통일해버릴 수도 있다.(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0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도90에서
'ㅂ'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ㅃ'이고,
'ㅈ'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ㅉ'이고,
'ㄷ'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ㄸ'이고,
'ㄱ'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ㄲ'이고,
'ㅅ'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ㅆ'이고,
'ㅐ'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ㅒ'이고,
'ㅔ'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ㅖ'임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86외의 도85, 도87, 도88, 도89도 해당 키보드 상의 각 문자버튼의 문자 표시 대신 도90의 표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도85, 도87, 도88, 도89처럼 다를 뿐이다.
.
.
.
더 나아가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과 같이,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 ㄲ,ㄸ,ㅃ,ㅆ,ㅒ,ㅖ'를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1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도91에서
'ㅂ'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ㅃ'이 배정되어 있고,
'ㅈ'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ㅉ'이 배정되어 있고,
'ㄷ'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ㄸ'이 배정되어 있고,
'ㄱ'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ㄲ'이 배정되어 있고,
'ㅅ'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ㅆ'이 배정되어 있고,
'ㅐ'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ㅒ'이 배정되어 있고,
'ㅔ'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ㅖ'이 배정되어 있음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
도49, 도50, 도51, 도52와 같이,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은 규칙4를 따르게 할 수도 있다. 단,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에 변화를 주면 될 것 같은데,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가 없는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을 따로 정해주고,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에 변화를 주면 될 것 같은데 ,
서로 다른 문자체계 각각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는 도49와 같이 무늬없이 바탕색이 회색으로만 나타내고,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는 도92와 같이 빗살무늬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2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도92에서
'ㅂ'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ㅃ'이 배정되어 있고,
'ㅈ'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ㅉ'이 배정되어 있고,
'ㄷ'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ㄸ'이 배정되어 있고,
'ㄱ'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ㄲ'이 배정되어 있고,
'ㅅ'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ㅆ'이 배정되어 있고,
'ㅐ'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ㅒ'이 배정되어 있고,
'ㅔ'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ㅖ'이 배정되어 있음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
.
.
.
.
그리고, (바로 상기의 설명과 비슷하게)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도면을 인용하고,
다음의 규칙5 을 적용하여서
바로 상기의 설명처럼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도 있다.
(참고로, 다음의 규칙5는 D단원에 있는 규칙3와 원리는 사실상 비슷한데, D단원 실시예에서 인용된 키보드에 비하여 각 문자체계의 문자입력방법만 다르다고 할 수 있어서,
다음의 설명들은 사실상 바로 상기 D단원의 설명을 반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
==========================================
규칙5:
a.. 어떠한 문자버튼을 상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a.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고,
a.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b.. 어떠한 문자버튼을 하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b.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고,
b.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 (상기 a, b 규칙의 예외 조항으로써)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의 문자들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면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참고로,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그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거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면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참고로,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그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수 있을 뿐이다.)
(((((
참고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기는 하였는데,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되어 버린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
규칙5 끝.
==========================================
==========================================
(((
참고로, 상기 규칙5의 내용에 있어서,
만약,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가 '한글'문자라면,
상기 규칙5에서의 "소문자/대문자 관계"(="소문자/대문자 (문자체계) 관계")는
"한글 단자음/쌍자음 (문자체계) 관계"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고,
만약,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가 '일본어'문자라면,
상기 규칙5에서의 "소문자/대문자 (문자체계) 관계"는
"일본어 히라가나/가타가나 (문자체계) 관계"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
(((((
참고로,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고,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는데,
도72,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2와 도73의 차이점은
도72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4, 도75는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4와 도75의 차이점은
도74는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5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6, 도77은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8, 도79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
(((((
참고로,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 표시된 러시아 문자는 러시아 문자 전체에서 누락된 것이 있다.
즉.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는 원리만 이해시키기 위해 임의로 만들어본 상상의 키보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서 소정의 조작방법을 통하여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서 (배정은 되어있는데) 표시만 누락된 러시아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
상기 규칙5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72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a.. 어떠한 문자버튼의 예인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상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a.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가 입력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2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결국, 도72 상태에서 도7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키보드 상태는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2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그런데, 도72 상태에서 도7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변경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도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규칙5 내중 중의 'b.2' 바로 아래에서
"단 , (상기 a, b 규칙의 예외 조항으로써)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의 문자들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
라고 하였으므로,
도72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가 러시아문자 소문자체계의 문자이므로,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면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가 입력 되고,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라고 하였으므로,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키보드 상태가 도7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a.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속한 언어문자인 러시아문자의 문자들 중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러시아문자 대문자인 'E'가 입력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E'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대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4와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b.. 어떠한 문자버튼의 예인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하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b.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영문 소문자인 't'가 입력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6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참고로,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6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뿐이다.)>
b.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속한 언어문자인 영문자의 문자들 중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영문 소문자인 't'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영문자 대문자인 'T'가 입력된다.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T'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8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
.
.
.
.
.
.
.
.
.
.
이제 또 다른 참고 내용으로써,
여태까지의 설명 중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소정의 문자체계, 소정의 영역, 소정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을 포함한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체계,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을 포함한
소정의 문자체계,
제1 소정의 영역, 제2 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소정의 영역,
제1 소정의 디자인, 제2 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소정의 디자인
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체계 에 대하여 설명할 때,
특히, 함축적문구2, 함축적문구5에 대한 예를 든 설명 내용 중에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면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거나( 함축적문구5 설명 참조)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라고 하면서( 함축적문구2 설명 참조)
그 어떠한 문자체계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라는 개념으로만 설명하였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소정의 문자체계에 제1 소정의 문자체계와 제2 소정의 문자체계가 포함되어 있는데,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주로)1개의 문자체계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도 있고,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주로)1개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그렇게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이유는
본원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 할 때, 쉽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그렇게 설명했다.
하지만,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어도
그 어떠한 문자체계의 구체적 분류(=제1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소정의 문자체계에 속하는지)가 변경되지 않는다 라는 개념으로도 본원을 설명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게 " 변경되지 않는다" 라는 개념하에 설명을 전개하면 설명이 굉장히 복잡해 지고, 이해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설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바로 상기 소정의 문자체계에 대한 언급과 마찬가지로,
여태까지의 설명 중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소정의 영역, 소정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
예를 들어 설명할 때,
역시나
본원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 할 때, 쉽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다음의 1, 2, 3번과 같이는 설명하지 않았다.
1..어떠한 문자입력방법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
2..어떠한 영역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영역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영역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
3..어떠한 디자인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디자인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디자인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
하지만, 바로 상기 1, 2, 3번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게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하에 설명을 전개하면 설명이 굉장히 복잡해 지고, 이해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바로 상기의 1, 2, 3번과 같이 설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
.
.
.
.
.
.
.
.
.
도1(a)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의 블럭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110), 기능블럭(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전술한 터치 버튼들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터치 버튼이 터치되는데 이용되는 수단이다.
기능블럭(120)은 전자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1) 전자기기가 모바일폰이라면, 기능블럭(120)은 이동전화 기능을 수행하고, 2) 전자기기가 모바일 컴퓨터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고, 3) 전자기기가 모바일 멀티미디어 재생기라면, 기능블럭(120)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4) 전자기기가 일반적인 노트북 또는 PC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 및 전술한 터치 버튼들로 구성되는 GUI 화면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기능블럭(120)에 의한 기능 수행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버튼들로 구성된 GUI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된 터치 버튼들을 이용되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객체 조정 및 기능 실행 등을 수행한다.
통신부(150)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1(a)의 부호의 설명************
110 : 터치스크린
120 : 기능블럭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 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1(b)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컴퓨터 장치’는 데스크탑PC, 랩탑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보다는 더 빠른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 또는 외장 SSD와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용어의 설명은 본 기술 내용과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원 전체의 내용을 짧은 문장으로 언급 하기 위함이므로, 기술적 사상은 용어의 설명에서 설명된 단어 또는 문구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단항을 포함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떠한 사항에 한정하여 설명하거나 정의한 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그러한 설명 기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Claims (17)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4. 3항에 있어서,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5. 4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1 소정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8.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영역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탭 방법 또는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KR1020200122636A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03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29 2020-07-01
KR1020200081229 2020-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36A true KR20220003436A (ko) 2022-01-10

Family

ID=78698115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35A KR20220003435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00A KR20220003434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23A KR102322211B1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36A KR20220003436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10055323A KR20220003447A (ko) 2020-07-01 2021-04-28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20167390A KR20230010607A (ko) 2020-07-01 2022-12-05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35A KR20220003435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00A KR20220003434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23A KR102322211B1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323A KR20220003447A (ko) 2020-07-01 2021-04-28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20167390A KR20230010607A (ko) 2020-07-01 2022-12-05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2000343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312A (ko) * 2010-11-29 201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47413A (ko) * 2013-10-24 2015-05-04 윤경숙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9836443B2 (en) * 2015-02-27 2017-12-05 Lenovo (Singapore) Pte. Ltd. Changing text input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11B9 (ko) 2022-07-04
KR102322211B1 (ko) 2021-11-29
KR20220003447A (ko) 2022-01-10
KR20220003434A (ko) 2022-01-10
KR20230010607A (ko) 2023-01-19
KR20220003435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US7502017B1 (en) Handwriting recognizer user interface methods
US20180129897A1 (en)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KR102413461B1 (ko) 제스쳐들에 의한 노트 필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327282B2 (en) Extended keyboard user interface
US20060055669A1 (en) Fluent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sensitive display
US7752569B2 (en) Software key labeling on software keyboards
KR20050119112A (ko)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JP4462120B2 (ja) 文字入力装置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JP2019532428A (ja) 文字入力装置
KR100380600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KR102322211B1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JP2014512585A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KR20220039486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39487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118013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1159323B1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KR20150131662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KR20230005716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10012993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입력시 직전에 입력된 문자가 무엇인지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20210015736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US20220066571A1 (en) Reducing keystrokes require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indic languages
JP202401156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