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182A - Fob key assembly - Google Patents

Fob ke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182A
KR20220003182A KR1020200080690A KR20200080690A KR20220003182A KR 20220003182 A KR20220003182 A KR 20220003182A KR 1020200080690 A KR1020200080690 A KR 1020200080690A KR 20200080690 A KR20200080690 A KR 20200080690A KR 20220003182 A KR20220003182 A KR 2022000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ey
vehicle
butt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5269B1 (en
Inventor
신태원
Original Assignee
신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원 filed Critical 신태원
Priority to KR102020008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269B1/en
Publication of KR2022000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b key assembly with a vehicle model case. The fob key assembly with a vehicle model case comprises a case includ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a button part embedded in the case and having a lower case button member so as to be exposed, and an electrical component provided therein, and the shape of the case is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model of a vehicle, to easily recognize the type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a key, so that when a user has several vehicles or manages parking,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key of a corresponding vehicle.

Description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FOB KEY ASSEMBLY}FOB KEY ASSEMBLY WITH VEHICLE MODEL CASE

본 발명은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되 하부케이스 버튼부재의 버튼부가 노출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의 모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키에 대응되는 차종이 어떤 차종인지 쉽게 인식이 가능하여 여러대의 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거나, 주차관리 시 손쉽게 대응되는 차량의 키를 찾을 수 있는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b key assembly having a vehicle model case includes a case compris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and the button part of the lower case button member is exposed and the electric component is provided therein. The shape is the same as the model of the vehicle, so it is easy to recognize the type of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key, so if you have multiple vehicles, or when managing parking, you can easily find the corresponding vehicle key. It relates to a fob key assembly having a case.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 장치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하거나 포브 키(FOB key) 등과 같은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장치가 언록 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그 도어 핸들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In general, in a vehicle door lock device, a user manually locks or unlocks a door using a key, or remotely locks or unlocks a door using a smart key such as a FOB key. to be able to control 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while the door lock device is unlocked, the rod or cable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is pulled, the latch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최근에는 사용자가 포브 키를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 외부의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 록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that automatically unlocks a door lock state by operating a separate switch on the outside of a door or a door handle while a user carries a FOB key has been widely applied.

이러한 포브 키는 차량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키 유닛과 무선통신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차량의 시동 및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이다.The FOB key is a type of portable terminal for enabling the vehicle's user to start the vehicle and operate various functional units after authenticating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key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while carrying i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식 도어 록 장치라 하더라도, 장치 자체의 고장이나 포브 키의 방전,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 시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with the electronic door lock devic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key is use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hen the electronic door lock device cannot be used due to a malfunction of the device itself, discharge of the FOB key, or discharge of the main battery of the vehicle. Therefore, you have to manually lock or unlock the door.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포브 키는 비상 시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비상 키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비상 키를 사용하여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조작에 연동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 록 어셈블리는 도어 핸들의 측방에 위치되어 키 홀에 비상 키를 삽입하여 키 조작하는 것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the FOB ke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built-in emergency key for manuall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in case of an emergency. In addition, the door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manual door lock assembly interlocking with a key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lock or unlock the door using the emergency key. The door lock assembly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oor handle and inserts an emergency key into the key hole to operate the key to lock or unlock the door.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2042029호 "차량의 포브 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994176호 "차량용 포브키"(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502942호 "차량의 포브 키"(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542000호 "자동차용 스마트키"(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다.As related prior art, Registered Patent No. 10-2042029 "vehicle fob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registered patent No. 10-1994176 "vehicle fob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 Registered Patent No. 10-1502942 "vehicle fob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registered patent no. 10-1542000 "smart key for automob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4') ) can be mentioned.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ⅰ)복수 개의 조작 버튼이 구비된 바디와, ⅱ)차량 도어에 장착된 수동식 도어 록의 키 실린더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키 플레이트부와, 키 플레이트부와 연결되는 헤드부를 가지며, 바디의 삽입 홈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비상키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비상키 어셈블리는 키 플레이트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며 삽입 홈의 내벽에 선택적으로 후크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헤드부를 원터치 버튼 식으로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출몰시키며 바디에 대한 후크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irst, in the prior art 1, i) a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ii) a key plate part that can be inserted into a key cylinder of a manual door lock mounted on a vehicle doo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key plate part and an emergency key assembly having a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ody, wherein the emergency key assembly connects the key plat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hookably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selectively, and the head portion is a one-touch button It relates to a technology comprising a button assembly that retracts from and retracts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in a manner such that the hook engages and disengages with respect to the body.

상기 종래기술2는 내부 공간에 택트 스위치와 전장 부품이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택트 스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버튼과, 버튼을 택트 스위치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버튼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포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2 includes a housing accommodating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tact switch and electrical components are installed in an internal space, a button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toward the tact switch,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utton in a direction 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tact switch It relates to a port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button support structure.

상기 종래기술3은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상기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존 방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치 않는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3 includes a lower body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so that a printed circuit board is installed therein,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re push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printing A rubber pad part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a holder button assembly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first electrical signal by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By operating any one of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ser's unintended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waterproof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product reliability. It's about technology.

상기 종래기술4는 일측에 스마트키 작동버튼이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작동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스위치 패드가 고정 결합되는 스위치 패드 결합부와 상태 표시창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상태 표시창 장착홀이 구비되는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상부 커버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되, 일측에는 키 블레이드 작동홈이 구비되고, 상부 면에 제1안테나가 고정되는 제1안테나 장착부와 제2안테나가 고정되는 제2안테나 장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배터리 장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리모컨 키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스마트키 하부 커버;와 스마트키 하부 커버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스마트키 하부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배터리 장착부 결합홈이 상부에 구비되는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와 일측에 구비되는 키 블레이드가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키 블레이드 작동부가 하부 커버의 키 블레이드 작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블레이드 어셈블리;와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하부 커버 및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마트키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the prior art 4, an operation button hole through which a smart key operation button is inserted to be movabl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switch pad coupling part to which the switch pad is fixedly coupled and a status display window are fitt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Smart key upper cover provided with a hole; an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mart key upper cover, a key blade operating groov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first antenna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antenna to which the first antenna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are fixed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antenna mounting part to be used, a battery mounting par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smart key lower cover having a remote control key sensor assembly therein;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mart key lower cover, and to the lower part of the smart key lower cover A smart key battery cover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coupling groove fitted and fixed to the formed battery mounting unit; and a key blade operating unit lower cover so that the key blade provided on one side can retract and retract into the smart key upper cover and the smart key battery cover It relates to a technology comprising: a key blade assembly rotatably installed in the key blade operating groove of the smart key; and a smart key ring coupled to the ends of the smart key upper cover, the smart key lower cover, and the smart key battery cov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을 살펴보면, 외관 케이스의 형상에 큰 차이가 없으며,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제조사별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어, 구체적인 차종을 확인할 수 없다.However, looking at the prior ar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exterior case, and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del of each manufacturer, so that a specific car model cannot be confirmed.

이 경우, 소유한 자동차의 종류가 많거나, 주차를 맡겼을 때, 차종에 맞는 차키를 찾기가 어려우며 이를 위하여 견출지 등을 통해 차량번호를 적고 있으나, 견출지를 떼어냈을 때 끈끈이가 묻을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find a car key that matches the car type when you have many types of cars or when you have parked your car. there is a problem.

특히 동일한 제조사의 경우에는 동일한 형태의 외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키가 섞여 있으면 일일이 버튼을 눌러 차종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ame manufacturer, since they have the same appearance, if the keys are mixed, you have no choice but to press the button to check the car mode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수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구비되는 버튼부재 및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이루어져 차 키를 보고 어떤 차종의 키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fob key assembly is composed of a case having a receiving part, a button member and electric parts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shape of the case is made to have the same appearance as the vehicle model, so that the car key can be easily identified by looking at the car key. is intended to provide.

또한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를 통하여 배터리 방전 등의 작동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차를 열거나 시동을 켤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키를 케이스의 뒷번호판으로 구성하여 케이스 외부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n operation error such as battery discharge occurs through the emergency key that is retrac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manually open the car or turn on the eng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v key assembly made so as not to impair the aesthetics.

나아가 수용부에 내장되는 기판과 버튼부재 사이에 이너커버 및 연질커버를 더 구비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b key assembly that further includes an inner cover and a soft cover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tton member embedded in the receiving uni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브키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b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a case compris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in which a receiving part is form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로 노출되는 복수의 버튼부가 형성된 버튼부재;a button member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 parts exposed to the lower case;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버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입력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장부품;an electrical component comprising: a board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n input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ember;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oar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s made, including

상기 케이스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have the same exterior as the vehicle mode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브키 어셈블리는As described above, the fob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노출되는 버튼부재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 모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키를 보고 손쉽게 키에 맞는 차량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t consists of a case, a button member exposed under the case, and electric part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s the shape of the case is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vehicle model, you can easily find a vehicle that fits the key by looking at the key.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특히, 상기 비상키를 보관함에 있어 케이스의 뒷번호판을 꺼내면 비상키가 케이스 내부에서 꺼내질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고, 비상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In particular, when the rear license plate of the case is removed from the storage box of the emergency key, the emergency key can be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emergency key without compromising the appearance,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이너커버 및 연질커버를 더 구비하여 전장부품에 이물질이나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inner cover and a soft cover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lectrical components.

또한 상기 케이스의 앞번호판 또는 뒷번호판 또는 이들 모두가 차량의 실제 번호와 동일하게 구비됨에 따라 같은 차종에서도 키에 맞는 차량을 손쉽게 특정할 수 있어 일일이 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으며,In addition, as the front license plate or the rear license plate or both of the case are provided with the same actual numbe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easily specify the vehicle that fits the key even in the same vehicle model, so there is no need to press the number one by one,

상기 케이스의 일부인 바퀴가 상기 하부케이스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키를 바닥에 놓았을 때 버튼부재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wheel, which is a part of the case, is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member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when the key is placed on the floo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변형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modified example of a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 particularly the number of the tens and one digit, or the reference numerals having the same tens, one, and alphabet, indicates a memb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components are expressed in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델형 케이스(10)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A)는 케이스(10), 버튼부재(20), 전장부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로 차량의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록 또는 언록 시키거나 차량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는 포브키에 관한 것이다.The fob key assembly (A) having the vehicle model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ase (10), a button member (20), and an electric component (30), It relates to a fob key that locks or unlocks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of a vehicle or turns on or off the ignition of a vehicle with a typical signal.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각종 부품을 내장하기 위한 수용부(14)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의 외형을 대응되는 차량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case 10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11 and a lower case 12 that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receiving portion 14 for embedding various parts therei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ape of the case 10 is implemented to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즉, 상기 상부케이스(11)는 바디(111), 바퀴(112), 미러(113), 번호판(114), 보닛(115) 등 차량의 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는 상기 상부케이스(11)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4)를 폐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후술하는 배터리(33)를 교체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억지끼움방식, 후크 결합 및 후술하는 탈착블록유닛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That is, the upper case 11 has the same shape a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such as the body 111, the wheels 112, the mirror 113, the license plate 114, and the bonnet 115, and the lower case 12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11 to close the accommodating part 14, and has a detachable structure to replace the battery 33 to be described later.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detachable block units can be adopted,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부 및 하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 및 도4의 분해사시도를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n this specification are to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S. 2 and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나아가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차량 모델의 외관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는 의미는, 차량의 바디 프레임의 형상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형상과 동일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1)를 보았을 때 차량의 모델을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Furthermore, the meaning that the upper case 11 has the same external appearance as that of the vehicle model means that the shape of the body frame of the vehic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upper case 11 so that when the upper case 11 is viewed, the This means that the model can be specified,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차량의 기본 프레임에 추가되는 튜닝파츠, 즉 그릴, 바디킷, 휠, 라이트, 머플러 등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작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때 이러한 파츠들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외관 중 차량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쉽게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This means that the shape of the tuning parts added to the basic frame of the vehicl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at is, the shape of the grill, body kit, wheel, light, muffler, etc.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manufactur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se parts are detachably provid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ame of the vehicle among the exterior of the upper case 11 so that they can be easily changed, but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상기 하부케이스(12)에는 복수의 버튼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의 상면, 즉 상기 수용부(14) 내에 위치하는 면의 버튼공(121) 테두리에는 플랜지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안착홈(123)의 양측에는 걸림홈(125)이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버튼부재(20)가 흔들림 없이 고정 및 안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tton holes 121 are formed in the lower case 12 , and a flang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 , that is, on the edge of the button hole 121 on the surface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14 . 123 is formed, and locking grooves 125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seating groove 123 so that the button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ixed and seated without shaking.

상기 하부케이스(12) 상부에는 복수의 버튼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버튼부재(20)의 수는 일반적으로 도어락, 언락, 경보, 트렁크로 총 4개로 이루어지나, 차량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4개의 버튼부재(20)와 이 버튼부재(20)와 동일한 형상의 라이트닝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A plurality of button members 20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2, and the number of the button members 20 is generally four, including door lock, unlock, alarm, and trunk, but more or more depending on the vehicle. It may be made less than that, and in this specification, it consists of four button members 20 and a lighting button of the same shape as the button member 20, but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상기 버튼부재(20)는 상기 버튼공(121)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공(1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1)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안착홈(123)에 삽입되어 버튼부재(20)가 버튼공(121)을 관통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utton member 20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button hole 12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tton hole 121, and a flange portion 21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to seat the flange.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3 to prevent the button member 20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button hole 121 .

또한 상기 플랜지부(21)에는 걸림날개(2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날개(22)가 걸림홈(125)에 끼워짐으로서 버튼부재(20)를 누를 때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눌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blade 22, so that the locking wing 22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5 to prevent shaking when pressing the button member 20 and stably Make the pressing action possible.

아울러 상기 라이트닝버튼은 버튼 동작 시 상부케이스의 라이트, 사이드미러, 후미등 등이 발광하도록 하는 하여, 어두운 곳에서 후레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button is a button that enables the light of the upper case, side mirrors, rear lights, etc. to emit light when the button is operated, there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flash in a dark place,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 버튼부재(20)의 상면에는 원형의 눌림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버튼부재(20)를 누를 때 후술하는 기판(31)의 입력부(311)가 정확하게 눌리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A circular pressing groove 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20, which is provided to accurately press the input part 311 of the substrate 31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button member 20 is pressed. will be.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4)에는 전장부품(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전장부품(30)은 입력부(311)가 형성된 기판(31)과 상기 기판(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ousing part 14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mponent 3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30 supplies power to the substrate 31 on which the input unit 311 is formed and the substrate 31. and a battery 33 .

우선 상기 기판(31)은 PCB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부에 입력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311)를 누르면 원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31) 상부에는 배터리안착부(313)가 형성되어 배터리(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substrate 31 refers to a PCB, and an input unit 31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a desir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input unit 311 is pressed. ) is formed so that the battery 33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기판(31)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송수신부 및 발광부재가 구비되어 입력부(311)가 눌리면 전파를 통하여 차량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버튼부재(20)를 누룰 때 마다 동작하도록 하여 버튼부재(20)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bstrate 31 is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ceiver and a light emitting member so that when the input unit 311 is pressed, it is self-evident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through radio waves,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a button member 20 ) is operated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ember 20 can be visually checked.

이 때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차량 형태의 상부케이스(11) 중 라이트를 통하여 빛이 발광 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aesthetically pleasing by allowing light to be emitted through a light among the vehicle-shaped upper case 11 .

나아가 상기 입력부(311)는 차량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수 만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입력부(311)의 위치는 상기 버튼부재(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the input unit 311 is provided in plurality as many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31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ember 20 .

다시 상기 전장부품(30)과 상기 버튼부재(20) 사이에는 버튼부재(20)의 누름 동작이 상기 입력부(311)를 정확하게 누르도록 하며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너커버(40) 및 연질커버(50)가 더 구비되어 있다.Again, between the electrical component 30 and the button member 20,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member 20 accurately presses the input unit 311, and an inner cover 40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 and a soft cover 50 are further provided.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31) 하부에는 이너커버(40)가 상기 기판(31)을 상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이 이너커버(40) 하부에 상기 버튼부재(20)와 연동 가능한 연질커버(50)가 더 구비되어 있다.More precisely, an inner cover 40 is provided under the substrate 31 to accommodate the substrate 31 thereon, and a soft cover 50 interlocking with the button member 20 is provided under the inner cover 40. ) is further provided.

먼저 상기 이너커버(40)는 상기 입력부(311)가 노출될 수 있는 복수의 노출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에는 상기 기판(31)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테두리부(42)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커버(40) 상부에 상기 기판(3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irst, the inner cover 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xposure holes 41 through which the input unit 311 can be exposed, and the edge portion 42 is bent upwar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ubstrate 31 . ) is formed so that the substrate 31 can be accommodated on the inner cover 40 as a result.

상기 연질커버(50)는 상부에 안착홈(51)이 형성된 형성되도록 외벽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커버(40) 및 기판(31)이 상기 안착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soft cover 50 has an outer wall portion 52 formed thereon with a seating groove 51 formed thereon, so that the inner cover 40 and the substrate 31 can be embedded in the seating portion.

상기 연질커버(5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질커버(50)의 하부에는 상기 입력부(3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탄성돌기(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탄성돌기(53)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눌림홈(23)에 끼워지게 된다.The soft cover 50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and an elastic protrusion 53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cover 5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311, and the elastic protrusion The end of (53) is fitted into the pressing groove (23) of the button member (20).

즉, 상기 버튼부재(20)를 누르면 상기 탄성돌기(53)가 눌려지게 되고, 상기 탄성돌기(53)의 상부면이 눌려 상기 이너커버(40)의 노출공(41)을 통하여 돌출된 입력부(311)를 가압하여 입력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button member 20 is pressed, the elastic protrusion 53 is pressed,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rotrusion 53 is pressed, and the input part protrudes through the exposed hole 41 of the inner cover 40 ( 311) to enable input operation.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바퀴(112)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A)를 바닥에 놓아도 바퀴(112)가 먼저 바닥에 닿기 때문에 상기 버튼부재(20)가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upper case 11 has the same shape as the vehicle model, and the end of the wheel 112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 protrudes further in the lower direction than the button member 20 . As 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member 20 from being pressed erroneously because the wheel 112 first touches the floor even when the key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FOB 키는 배터리(33)의 방전 또는 기판(31)의 오류 등에 따라 작동이 불가한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키(60)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In general, the FOB key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key 60 in case the oper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33 or an error of the substrate 31,

본 발명에서는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60)를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뒷번호판(114)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뒷번호판(114)을 상부케이스(11)로부터 꺼냈을 때 비상키(60)가 상부케이스(11)로부터 꺼내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key 60 detachably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 is provided on the rear license plate 114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 in order not to damage the appearanc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rear license plate 114 ) is configured so that the emergency key 60 is taken out from the upper case 11 when taken out from the upper case 11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내측, 즉 수용부(14)에는 상기 비상키(60)가 내장될 수 있는 보관부재(14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보관부재(141)의 일측은 상기 뒷번호판(114)의 위치하고, 상기 비상키(60)의 단부가 뒷번호판(114)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member 141 in which the emergency key 60 can be embedded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ase 11 , that is, the receiving part 14 , One side of the rear license plate 114 is located, and the end of the emergency key 60 is made of a rear license plate 114 .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상키(60)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비상키(60)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That is,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mergency key 60 can be safely stored, and the emergency key 60 is not exposed, so that the appearance is not impaired.

또한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11) 중 앞번호판(114) 또는 뒷번호판(114) 또는 이들 모두는 실제 차량번호를 스티커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부가 형성되어 대응되는 차량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upper cas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license plate 114 or the rear license plate 114 or both of them are formed with an attachment part so that the actual vehicle number can be attached in a sticker manner, so that the corresponding vehicle can be specifi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power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를 결합시킴에 있어 탈착블록유닛을 도입하여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배터리(33) 교체 등을 할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4A and 4B show a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etachable block unit is introduced in coupling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to be combined more easily and stably, and the battery 33 ) to make it easy to separate when replacing.

상기 탈착블록유닛은 상기 하부케이스(12) 일측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하부블록(B2)과,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상부블록(B1) 및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어 하부믈록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detachable block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12 and includes a lower block B2 having a fitting groove B21 formed therein, and a rotating bar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B21 ( It is provided in the upper block (B1) having B13) and the lower block (B2) and includes a rotation inducing means (B3) for rotating the rotating bar (B13) introduced into the lower block,

상기 상부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하부블록(B2)과 상부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As the rotating bar B13 of the upper block B1 rotates within the fitting groove B21 to support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B21, the lower block B2 and the upper block B1 made to be firmly fixed.

도4a 및 도4b의 [A] 내지 [D]는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의 결합 순서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A] to [D] of Figs. 4a and 4b are views according to the coupling sequence of the upper block (B1) and the lower block (B2).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상부블록(B1)은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후술하는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First, looking at the drawings, the upper block (B1)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B11)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 and an insertion protrusion (B12) protruding under the upper body (B11),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 B12) A rotating bar (B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end.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이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a rotating shaft rod (B15) connecting the protrusion ends is provided, and the rotating bar (B13)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rod (B15)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rotary shaft rod (B15).

상기 하부블록(B2)은 상기 하부케이스(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하부블록(B2) 상부에 연통되어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하부블록(B2)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block (B2) is provided in the lower case (12), and a fitting groove (B21)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rotating bar (B13) are inserted is formed, and the fitting groove (B21) is the lower An insertion groove (B212)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block (B2) and into which the rotary bar (B13)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re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 (B212),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groove (B212),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lower block (B2) It consists of a rotation guide groove (B211) having, and an inlet groove (B213)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groove (B212).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근 배열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배열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하부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과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rotation inducing means (B3) is provided in the lower block (B2), and adjacent to the first magnet (B31) arrang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inducing groove (B211). The arranged second magnet (B32),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are rotated and the first push bar (B36)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lock (B2), the rotating bar (B13) A first magnet (B34) and a second magnet (B35)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nd an elastic body (B16)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rod (B15) to give the elastic force of the rotating bar (B13) is made including,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magnet (B31) is composed of an S pol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an N pole provided under the S pole, and the second magnet (B32) is at one end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at the lower portion. It consists of an N pole positioned and an S pole provided below it, and the first magnet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both made of an N pole.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otation bar B13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2 a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5 repel the rotation bar B13 by the repulsive force. Rotating with respect to (B15) and maintaining the horizontal from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B31) pulls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B34) by attractive force, and the rotation bar (B13)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groove (B213) to couple the upper block (B1) and the lower block (B2).

이하, 먼저 하부블록(B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블록(B2)은 하부케이스(12)에 구비되는 블록형 하부블록(B2)로, 끼움홈부(B21)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회전유도홈(B211), 삽입홈(B212) 및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Hereinafter,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block B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lower block B2 is a block-type lower block B2 provided in the lower case 12, and the fitting groove B21 is provided therein. Doedoe, the fitting groove (B21) consists of a rotation guide groove (B211), an insertion groove (B212) and an inlet groove (B213).

상기 회전유도홈(B211)은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B11) 상부에 노출되는 삽입홈(B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유도홈(B211) 일측 상부에 연장되는 인입홈(B213)이 형성된다.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s provided in the lower block (B2) to have a certain space, and an insertion groove (B212) exposed on the upper body (B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s formed, and an inlet groove (B213) extending over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groove (B212) is formed.

또한 상기 삽입홈(B212)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홈이 더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 rotation permitting groove allow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B13 is further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B212).

상기 회전바(B13)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B13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홀(B131)에 상기 회전축봉(B15)이 끼워져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하여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되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rotating bar B13 is provided with a sliding hole B13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ar B13, and the rotating shaft rod B15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B131 based on the rotating shaft rod B15. rotation is possible, and further, when the rotation bar (B13) rotate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sliding movement to the left and right is made possible.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제1마그넷(B31), 제2마그넷(B32), 제1푸쉬바(B36), 제1자석(B34), 제2자석(B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마그넷(B31)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인입홈(B213) 단부에 S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 하부 일측에 N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에는 제1축봉(B311)과 제2축봉(B321)이 구비되어 있다.The rotation inducing means (B3)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magnet (B31), a second magnet (B32), a first push bar (B36), a first magnet (B34), a second magnet (B35), first The first magnet (B31) is a magnet having an S pole and an N pole up and down, and is positioned such that the S pole is arrang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the second magnet (B32) has an N pole and an S pole up and down A magnet provided with B321) is provided.

상기 제1푸쉬바(B36)는 상기 하부블록(B2) 일측에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로,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블록(B2)에는 제1푸쉬홈(B22)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제1푸쉬바(B36)의 하부에는 스프링(B36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The first push bar B36 is provided to be ex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lower block B2. For this purpose,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push groove B22 is formed in the lower block B2. A spring B363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first push bar B36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push bar B36.

이 때 상기 제1푸쉬바(B36)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B361)와 제2톱니부(B3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톱니부(B361)는 제1축봉(B311)과 톱니결합되고, 제2톱니부(B362)는 제2축봉(B321)과 톱니결합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상기 제1축봉(B311) 및 제2축봉(B321)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전하여 극성의 위치가 바꿔질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toothed portion B361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B36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ush bar B36, and the first toothed portion B361 includes the first shaft rod B311 and It is toothed,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B362 is toothed with the second shaft rod B321 so that when the first push bar B36 is pressed,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are coupled to the first The position of the polarity may be changed by rotating the shaft rod (B311) and the second shaft rod (B321) as a rotation shaft, respectively.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상기 회전바(B13)에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N극을 띄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회전바(B13)가 삽입돌기(B12)와 나란할 때를 기준으로 상부 단부에 제1자석(B34)이 구비되고 하부 단부에 제2자석(B35)이 구비된다.)The first magnet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ar (B13), and are magnets each having an N pole. (The rotating bar (B13) is an insertion protrusion A first magnet (B3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when parallel to (B12) and a second magnet (B3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또한 상기 회전축봉(B15)에는 탄성체(B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B16)는 일정 사점을 통과하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체(B16)로 한정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rod (B15)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B16) so that an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bar (B13), but when the elastic body (B16) passes a predetermined dead point, the elas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applied It is limited to the elastic body (B16) to have.

나아가 상기 탄성체(B1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B13), 보다 정확하게는 슬라이딩홀(B131)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body B16 i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rod B15, and supports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bar B13, or more precisely, the sliding hole B13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otary bar B13.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bar B13 is provided so as not to affect the application of the elastic force even when the rotation bar B13 slides at the same time as providing the .

이하, 도4a의 [A]와 [B] 및 도4b의 [C]와 [D]를 통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Hereinafter,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 and [B] of FIG. 4A and [C] and [D] of FIG. 4B,

우선, [A]는 상부블록(B1)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도면과 함께 상부블록(B1)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상기 삽입홈(B212)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First,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insertion of the upper block (B1), and when the upper block (B1)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drawing [B],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rotating bar (B13)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drawn in through (B212) so that the rotating bar (B13) is positioned inside one side of the rotation inducing groove (B211).

이 때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이 상기 제2자석(B35)에 N극에 인접배열되어 둘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척력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을 넘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된다. 이 때 제2푸쉬바(B37)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며, 제2푸쉬바(B37)는 상기 회전유도홈(B21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블록(B2)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푸쉬바(B37)가 [C]와 같이 상승하면 별도의 걸림돌기 등에 의해 외력 없이는 원위치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제2푸쉬홈(B23)이 하부블록(B2) 타측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At this time,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2 is arranged adjacent to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5 so that the rotating bar B13 rotates the rotating shaft rod B15 as a rotating shaft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two. When the dead point of the elastic body B16 is crossed while rotating by the repulsive force, the elastic force naturally crosses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in the same state as [C]. At this time, the second push bar B37 is rotated while pushing, and the second push bar B37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and is made to protrude above the lower block B2. When the second push bar (B37) rises as shown in [C], it is made so that it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external force by a separate locking protrusion. (It is obvious that the second push groove (B2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lock (B2). )

다시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과 제1자석(B34)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좌측으로 [D]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ame state as [C] again,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B34 come closer, and the rotating bar B13 moves to the left by their attractive force [D] ], and by maintaining this state, the upper block (B1) and the lower block (B2) can be firmly fixed.

반대로, 상기 상부블록(B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푸쉬바(B36)를 누르게 되는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회전하여 제1자석(B34)과 제1마그넷(B31)의 N극이 인접배열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되며, 이 때 보조푸쉬바를 누르면 상기 회전바(B13)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이 지나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이 S극과 제2자석(B35) 사이의 인력에 의해(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른 상태이다.) 상기 회전바(B13)는 [B]와 같이 원위치 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블록(B1)을 위로 분리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블록(B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시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Conversely, in order to separate the upper block B1, the first push bar B36 is first pressed. When the first push bar B36 is pressed,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are rotated and The first magnet (B34) and the N poles of the first magnet (B31)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ng bar (B13) slides to the right by the repulsive force. At this time, when the auxiliary push bar is pressed, the rotating bar (B13) is The end is lowered, the dead point of the elastic body B16 passes, and the second magnet B32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first push bar B36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S pole and the second magnet B35. ) The rotating bar (B1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in [B], and when the upper block (B1) is separated upward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upper block (B1) can be naturally separated, so that i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At the same time, it has a feature that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when combined.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b key assembly having a vehicle model type case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키 어셈블리
10 : 케이스 11 : 상부케이스
111 : 바디 112 : 바퀴
113 : 미러 114 : 번호판
115 : 본닛 12 : 하부케이스
121 : 버튼공 123 : 플랜지안착홈
125 : 걸림홈 14 : 수용부
141 : 보관부재
20 : 버튼부재 21 : 플랜지부
22 : 걸림날개 23 : 눌림홈
30 : 전장부품 31 : 기판
311 : 입력부 313 : 배터리안착부
33 : 배터리
40 : 이너커버 41 : 노출공
42 : 테두리부
50 : 연질커버 51 : 안착홈
52 : 외벽부 53 : 탄성돌기
60 : 비상키 BU : 탈착블록유닛
A: key assembly
10: case 11: upper case
111: body 112: wheel
113: mirror 114: license plate
115: bonnet 12: lower case
121: button hole 123: flange seating groove
125: locking groove 14: receiving part
141: storage member
20: button member 21: flange portion
22: catch wing 23: press groove
30: electronic parts 31: board
311: input unit 313: battery seating unit
33 : battery
40: inner cover 41: exposed hole
42: border
50: soft cover 51: seating groove
52: outer wall part 53: elastic protrusion
60: emergency key BU: detachable block unit

Claims (4)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로 노출되는 복수의 버튼부재;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버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입력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장부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a case compris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receiving portion;
a plurality of button members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exposed to the lower case;
an electrical component comprising: a board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n input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ember;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oard;
is made, including
The case is a fob ke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have the same appearance as the vehicle mod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케이스의 뒷번호판은
상기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license plate of the case having the same appearance as the vehicle model is
An emergency key that is retractably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and the fob key assembly is retractably provided in the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버튼부재 사이에는 상기 기판을 덮는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커버가 수용되는 연질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 inner cover for covering the substrate and a soft cover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over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button memb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로 인입되는 비상키가 내장되는 보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Inside the upper case
Fob ke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ilt-in emergency key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KR1020200080690A 2020-07-01 2020-07-01 Fob key assembly KR102465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en) 2020-07-01 2020-07-01 Fob ke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en) 2020-07-01 2020-07-01 Fob key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82A true KR20220003182A (en) 2022-01-10
KR102465269B1 KR102465269B1 (en) 2022-11-10

Family

ID=7934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en) 2020-07-01 2020-07-01 Fob ke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2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en)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mart key
KR200482489Y1 (en) * 2015-07-16 2017-02-13 주식회사 서연전자 FOB of vehicles
KR101912693B1 (en) * 2015-12-21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key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en)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mart key
KR200482489Y1 (en) * 2015-07-16 2017-02-13 주식회사 서연전자 FOB of vehicles
KR101912693B1 (en) * 2015-12-21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key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269B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3252B2 (en) Wireless lockset with touch activation
US20150337571A1 (en) Handle with integrated biometrics and vehicular biometric device
JP6270240B2 (en) Portable wireless key
US11450158B2 (en) Touch isolated electronic lock
JP2004312621A (en) Portable transmitter
JP2004308368A (en) Portable transmitter
JP5996109B2 (en) Electronic key for vehicle
KR20040103457A (en) Portable device with electronic key system and mechanical key system having downsized structure
JP2000320202A (en) Key device with built-in electronic part
US20220145670A1 (en) Lock assembly for a bicycle
JP5027056B2 (en) Electronic key
KR102465269B1 (en) Fob key assembly
JP3159984U (en) Pushbutton cover kit for retrofitting automobile door handles
JP2015129388A (en) Portable machine of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
JP2009102835A (en) Phone function-integrated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key functional component
KR200489351Y1 (en) Potable remote control key for an automobile
JP2009057800A (en) Portable machine of electronic key system
JP2009235683A (en) Unlocking key
CA2990932A1 (en) Touch isolated electronic lock
CN107630601B (en) Intelligent electronic lock and suitcase
KR101327053B1 (en) Luggage Lamp Integrated into Cargo Screen
TW202208739A (en) Touch isolated electronic lock
KR101298260B1 (en) Start switch apparatus for vehicles
JP2020041351A (en) Portable ke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