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631A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631A
KR20220001631A KR1020200079848A KR20200079848A KR20220001631A KR 20220001631 A KR20220001631 A KR 20220001631A KR 1020200079848 A KR1020200079848 A KR 1020200079848A KR 20200079848 A KR20200079848 A KR 20200079848A KR 20220001631 A KR20220001631 A KR 2022000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list
user terminal
user
ille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5017B1 (en
Inventor
임성혁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17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fronts are disclosed. The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fonts is performed by a server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and may comprise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r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check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detecting fonts currently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to generate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ist of the permitted fonts and the user font list, and delet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and remove the illegal fonts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us a font's copyright can be protected.

Description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본 발명은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설치된 불법 폰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불법 폰트에 대한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by detecting illegal fonts installed in a computer and taking measures against the detected illegal fonts , devices and systems.

최근 들어,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고 컴퓨터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문서 작업이 네트워크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에 편승해 최근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저작권 침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건전한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Recently, as a wired/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and computer use has become popular, most of the document work performed in daily life is performed through a network computer. However, taking advantage of this,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has been frequent recently, which is an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online platform.

저작권에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는데 이미지, 영상, 음악 등의 콘텐트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허가되지 않은 불법 폰트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copyright, and the need for management of unauthorized fonts as well as contents such as images, videos, and music is emerging recently.

불법 폰트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유통되는 폰트는 너무 많고 대부분은 저작권이 불분명한 폰트이며, 개인이 특정 폰트의 라이선스를 조사하여 불법 여부를 판단하는 일은 전문가가 아니면 쉽지 않다. 따라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폰트의 사용 가능여부를 하나하나 판단하여 일일이 삭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It is true that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in management to prevent the use of illegal fonts. For example, there are too many fonts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and most of them are fonts whose copyright is unclear.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onts installed in the computer can be used one by one and delete them one by one.

이와 같은 불법 폰트의 사용은 폰트를 개발하는 업체에게는 불법 폰트의 사용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손해를 야기하며 불법 폰트를 사용한 업체에게는 적발 시에 기업 이미지의 손상 및 경제적 타격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불법 폰트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폰트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The use of such illegal fonts can cause direct or indirect damage to companies that develop fonts due to the use of illegal fonts, and damage to corporate image and economic damage to companies using illegal fonts when caugh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erforming font protection by detecting and removing illegal fonts.

공개특허 제2013-0020231호Publication No. 2013-002023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에 설치된 불법 폰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불법 폰트에 대한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by detecting illegal fonts installed in a computer and taking measures against the detected illegal fonts.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in one aspect (Aspect).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is performed by a server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and based on check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y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delet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permitted font lis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o check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list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from a database; and storing the permitted font list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및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user font list includes: transmitting and executing an automatic user font list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font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user font list in the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terminal.

상기 불법 폰트 리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ng of the illegal font list may include: extracting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ing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and extracting an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by comparing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leting the illegal font may include: generating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a list of illegal fonts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transmitting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remov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y controlling to execute the deliver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불법 폰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in another aspect.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apparatus includes: a permitted font li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on the basis of check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user font list generator for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an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that removes the detected illegal font.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controls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software lis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list of permitted software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The font list may b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permitted font lis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controls to transmit and execute a user font list automatic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font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ed user font list may be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검출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extracts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s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compares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and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It is possible to extract a list of illegal fonts including

상기 불법 폰트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할 수 있다.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generates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and transmits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transmitted illegal font By controlling the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be executed,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rem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in another aspect.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list of user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y detecting the fo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a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remov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controls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software lis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authorized font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The list may b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permitted font lis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apparatus transmits and executes a user font list automatic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y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font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ed user font list may be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extracts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s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compares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and compares the user font list with the at least one It is possible to extract a list of illegal fonts including illegal fonts of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할 수 있다.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generates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transmits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y controlling the automatic font deletion script to be executed,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rem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에,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n a computer,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y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step of delet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불법 폰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불법 폰트에 대한 조치를 즉각 수행함으로써 폰트 무단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pyright infringement caused by unauthorized use of fonts by detecting illegal fonts installed in a computer, for example, a user terminal and immediately taking measures against the detected illegal fo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검출부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의 불법 폰트 처리부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alizing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and shows the flow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or shown in FIG. 2 .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user font list generator shown in FIG. 2 .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detection unit shown in FIG. 2 .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alizing a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와 연동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PC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킹 가능한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에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에서 다양한 폰트들이 사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work with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terminal 20 may be, for example,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wired and/or wireless networking, such as a PC or a smart phone. In the user terminal 20, various fonts are used in a plurality of software.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200)와 연동하면서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사용되는 불법 폰트를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폰트의 불법적인 사용을 차단하여 폰트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급 컴퓨터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can protect the font copyright by blocking the illegal use of the font by detecting and removing the illegal font used in the user terminal 20 while interworking with the database 200 .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t least one server-class computer.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and shows the flow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 검출부(130) 및 불법 폰트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부는 상호 연동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permitted font list generation unit 110 , a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120 , a detection unit 130 , and an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 have. Each unit is interoperable,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 , store data in the database 200 , and extract data from the database 200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S1).1 to 3 , first,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or 110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checks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on the basis of the user terminal 20 . It is possible to create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step: S1).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110 shown in FIG.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고(단계:S11),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S12).As shown in FIG. 4 ,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110 controls the user terminal 20 to check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step: S11 ), and check from the user terminal 20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list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step: S12).

예를 들어,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도록 함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 체크함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or 11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on the user terminal 20 . The user interface may receive the software list from the user terminal 20 by displaying the software list and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software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displayed software list. Alternatively,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110 may receive the software list from the user terminal 20 by automatically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based on the script.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수신된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단계:S13).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소프트웨어 별로 제공되는 번들 폰트, 별도의 라이선스가 필요한 유료 폰트, 라이선스가 필요 없는 무료폰트 등을 포함하는 폰트 리스트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되고 있다.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110 may extract a permitted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ftware list from the database 200 (step: S13). To this end, in the database 200, a list of fonts including bundled fonts provided for each software, paid fonts that require a separate license, free fonts that do not require a license, etc.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a table.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S14). 데이터베이스(200)는 화이트 리스트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110 may store the permitted font list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20 in the database 200 (step: S14). The database 200 may store and manage the white list in the form of a table.

한편,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S2).On the other hand,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 the user font list generating unit 120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detects the fo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20 and corresponds to the user terminal 20 . It is possible to create a list of user fonts to be used (step: S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user font list generator 120 shown in FIG. 2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S21).As shown in FIG. 5 , the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120 may control to transmit and execute the user font list automatic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20 (step: S21 ).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단계:S22).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120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20 a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20 (step: S22). The user font list may mean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20 .

다음으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120)는 수신된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S23). 데이터베이스(200)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Next, the user font list generating unit 120 may associate the received user font list with the user terminal 20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200 (step: S23 ). The database 200 may store and manage the user font list in the form of a table.

한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검출부(130)는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S3).Meanwhile, the detection unit 130 of the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detect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step: S3) .

도 6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검출부(130)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detection unit 130 illustrated in FIG. 2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검출부(130)는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관되어 있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S31). 또한 검출부(130)는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관되어 있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S32).6 , the detection unit 130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extract a list of permitted fonts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database 200 (step: S31). . Also, the detection unit 130 may extract a user font li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database 200 (step: S32).

다음으로, 검출부(130)는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단계:S33),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S34). 예를 들어, 검출부(130)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에 허가된 폰트 리스트에 없는 폰트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Next, the detection unit 130 may compare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step S33), and extract an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step S33). Step: S34). For example, the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 font that is not in the permitted font list in the user font list.

한편,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불법 폰트 처리부(140)는 검출된 불법 폰트를 삭제할 수 있다(단계:S4). 도 7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불법 폰트 처리부(140)의 상세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may delete the detected illegal font (step: S4).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etailed operation flow of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of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00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법 폰트 처리부(140)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S41).As shown in FIG. 7 ,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may generate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detected at least one illegal font (step S41).

불법 폰트 처리부(140)는 생성된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달한다(단계:S42). 그리고 불법 폰트 처리부(140)는 전달한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사용자 단말기(20)를 제어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할 수 있다(단계:S43).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transmits the generat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20 (step: S42). In addition,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140 may control the user terminal 20 to execute the deliver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hen,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can be removed (step: S43).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exemplifying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matters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Accordingly, modifications of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 사용자 단말기
100 :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
110 :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
120 :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
130 : 검출부
140 : 불법 폰트 처리부
200 : 데이터베이스
20: user terminal
100: font copyright protection server
110: permitted font list generation unit
120: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130: detection unit
140: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200 : database

Claims (16)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It is performed by the server that interworks with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on the basis of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y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permitted font list comprises: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o check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list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from a database; and
and storing the permitted font list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및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user font list comprises:
transmitting and executing a scrip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user font lis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font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and storing the received user font list in the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폰트 리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illegal font list comprises:
extracting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ing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and
and extracting an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by comparing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leting the illegal font comprises:
generating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transmitting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and remov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y controlling the transmitt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be executed.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불법 폰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
a permitted font lis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ermitted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check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user font list generator for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n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ermitted font list generation unit,
Control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 a list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and extract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from the database; Font copyright pro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permitted font list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er font list generation unit,
Control to transmit and execute the user font list automatic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font The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 Font copyright pro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user font list is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etection unit,
extracting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ing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comparing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and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Font copyright pro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the font lis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폰트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llegal font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deliver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execute the deliver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Font copyright pro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removal of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user terminal; and
Based on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is generated, and a font currently used in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to generate a list of user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 Font copyright comprising a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that detects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removes the detected illegal font protection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체크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리스트에 대응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이트 리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Control the user terminal to check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 a list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s a check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and extract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list from the database;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itted font list is stored in the database as a whit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폰트 리스트 자동 생성 스크립트를 전송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자동 생성 스크립트가 수행됨에 의하여 자동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의 리스트임-, 수신된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Control to transmit and execute the user font list automatic crea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font lis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automatic generation script being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font The list is a list of font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ser terminal -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user font list is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extracting the permitted font list from a database, extracting the user font list from the database, comparing the permitted font list with the user font list, and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from the user font list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the font lis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포함하는 불법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전달된 상기 불법 폰트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ont copyright protection device,
to generate an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based on the illegal font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deliver the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to the user terminal, and execute the delivered illegal font automatic deletion script Font copyright pro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removal of the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컴퓨터에,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체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허가된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중인 폰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허가된 폰트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폰트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법 폰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불법 폰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on the computer,
generating a list of permitted fo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on the basis of check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user fon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by detecting a fon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terminal;
detecting at least one illegal fo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mitted font list and the user font list; an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step of deleting the detected illegal font.
KR1020200079848A 2020-06-30 2020-06-30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KR102405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48A KR102405017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48A KR102405017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31A true KR20220001631A (en) 2022-01-06
KR102405017B1 KR102405017B1 (en) 2022-06-07

Family

ID=7934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848A KR102405017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0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99B1 (en) * 2004-12-20 2005-03-24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providing font service on service pag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90092158A (en) * 2008-02-26 2009-08-31 (주)윤디자인연구소 System and method of font management
KR20130020231A (en)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Copyright protection system for web applications
KR20190056664A (en) * 2017-11-17 2019-05-27 (주)위즈데이타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font copyrights
KR20200050164A (en) *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Web page management service server that posts a document on a web page after modifying the document with unauthorized fo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99B1 (en) * 2004-12-20 2005-03-24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providing font service on service pag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90092158A (en) * 2008-02-26 2009-08-31 (주)윤디자인연구소 System and method of font management
KR20130020231A (en)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Copyright protection system for web applications
KR20190056664A (en) * 2017-11-17 2019-05-27 (주)위즈데이타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font copyrights
KR20200050164A (en) *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Web page management service server that posts a document on a web page after modifying the document with unauthorized fo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017B1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6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businng based browser
US90361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of printed document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2932370B (en) A kind of security sweep method, equipment and system
CN101770669A (en) Bank automatic w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40212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nnotated image
CN102156826A (en) Provi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40501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nt Copyright
KR201800092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file from encryption
CN111259382A (en) Malicious behavior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542213B1 (en) Real-time encryption/decryp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 network based storage
KR101754014B1 (en)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Based Face Recognition And Method of Threof
CN104125234A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mage security verification
JP2008262259A (en)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system
CN103841120A (en) Data security management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based on digital watermarking
CN108694682B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ser head portrait
CN112749124A (en) Pag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328998A (en) Computer information security monitoring method
CN110995658A (en) Gateway protec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434327A (en)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242770B (en) Risk equipme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9996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of wireless terminal
KR102515362B1 (en) Method of protecting secure document leak by shooting security document displaying on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102125428B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roviding the security device's dashboard to a mobile device
KR101331879B1 (en) Apparatus for managing instruction
KR1022664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character securely,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