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08A -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 Google Patents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708A
KR20210157708A KR1020200075839A KR20200075839A KR20210157708A KR 20210157708 A KR20210157708 A KR 20210157708A KR 1020200075839 A KR1020200075839 A KR 1020200075839A KR 20200075839 A KR20200075839 A KR 20200075839A KR 20210157708 A KR20210157708 A KR 2021015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rightness
controller device
hm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민
송형일
이진철
하헌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708A/ko
Priority to PCT/KR2021/007493 priority patent/WO2021261829A1/ko
Publication of KR2021015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08A/ko
Priority to US18/073,909 priority patent/US119893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HMD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제1통신 모듈, 발광 소자, 및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HMD 장치는, 제2통신 모듈, 외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상기 제2통신 모듈을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에 전송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HMD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현실의 공간 및 가상의 공간을 결합하여 가상의 물체가 현실의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일컫을 수 있다.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여 현실과 유사한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최근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head-mounted device, HMD),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및 스마트 밴드(smart wristband) 등 신체 일부 또는 의복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HMD 장치는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의 대형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 사실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셋 형태의 HMD 장치는 HMD 장치 또는 트래커(tracker)의 광학 카메라를 이용해 컨트롤러 장치(controller)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는 위치 식별을 위한 발광 소자의 전원 공급을 위해 독립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햅틱(haptic) 효과를 위한 진동 모터 등이 컨트롤러 장치에 함께 구비되는 경우 컨트롤러 장치의 독립 전력(예: 배터리)은 최대 용량까지 활용이 힘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컨트롤러 장치의 전력 소모가 과다하게 되면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컨트롤러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고, 오작동 발생의 방지를 위해 최대 허용 전압을 높이게 되면 독립 전력의 활용이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HMD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제1통신 모듈, 발광 소자, 및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HMD 장치는, 제2통신 모듈, 외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상기 제2통신 모듈을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에 전송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는 HMD 장치 및 상기 HMD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가 외부 조도(illuminance)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전송된 밝기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는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조도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는 외부 환경의 조도 및/또는 HMD 장치와의 거리 변화를 기반으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로부터 밝기 조절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 장치는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여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배터리는 전력 소모가 큰 발광 소자의 밝기가 판단된 환경에 따라 변경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도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컨텐츠 속성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따른 컨트롤러 장치의 밝기 조절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1의 전자 장치(101))는 컨트롤러 장치(210) 및 HMD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가상 현실(virtual realuty)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인사이드 아웃 방식(inside-out)에 의한 컨트롤러 장치 및 HM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사이드 인 방식(outside-in)에 의한 컨트롤러 장치, HMD 장치, 및 트래커(track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 장치(210)는 제1프로세서(211)(예: 도1의 프로세서(120)), 제1통신 모듈(212)(예: 도1의 통신 모듈(190)), 및 발광 소자(2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210)는 도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컨트롤러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치환될 수 있고, 도시된 구성요소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 장치(210)는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tracker)로부터 전송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제1통신 모듈(212)를 이용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장치(210)의 제1프로세서(211)는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한 컨트롤러 장치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제1통신 모듈(212)을 이용해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로 상기 확인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210)는 전자 장치(200)의 컨텐츠 플레이 시, 컨텐츠 상에서의 움직임을 컨트롤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에서의 움직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장치(220)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손, 손목, 의복 등에 장착, 부착, 또는 구비되어 구비된 위치에서의 컨트롤이 수행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도1의 프로세서(12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1)는 제1통신 모듈(212) 및 발광 소자(213)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와 기능적으로(functionally), 작동적으로(operatively) 및/또는 전기적으로(electrically)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로세서(211)는 제1통신 모듈(212)를 통해 수신되는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1)가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한 가지 이상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절 방식은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개별 발광 소자의 전원을 온(on) 또는 (off)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로세서(211)는 컨트롤러 장치(210)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제스처 등에 관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로세서(21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움직임을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1)는 감지된 컨트롤러 장치(210)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1통신 모듈(212)를 이용해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 장치(210)의 움직임이 전송되면, 실행 중인 컨텐츠 상에서 컨트롤러 장치(210)에 대응되는 포인터, 선택 동작, 제스처 등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로세서(21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최초 위치 식별을 위하여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210)의 최초 위치 식별은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로세서(21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최초 위치 식별을 위하여 발광 소자(213)를 점멸(flicker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통신 모듈(212)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12)은 HMD 장치(220)의 제2통신 모듈(222)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로부터 밝기 조절 신호 및/또는 제어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통신 모듈(212)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행 중인 컨텐츠에 반영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12) 및 제2통신 모듈(222)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제1프로세서(211) 및 제2프로세서(221)의 제어 명령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12)은 도1의 통신 모듈(19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213)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2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210)가 핸드 헬드(hand-held) 형태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경우 고리 부분을 둘러 쌓고 있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213)는 복수 개로써 전체의 밝기가 일시에 조절이 될 수 있거나 일부 및/또는 전부가 온/오프되어 밝기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HMD 장치(220)는 제2프로세서(221)(예: 도1의 프로세서(120)), 제2통신 모듈(222)(예: 도1의 통신 모듈(190)), 및 센서(223)(예: 도1의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220)는 도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220)는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치환될 수 있다.
HMD 장치(22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있는 소재로 형성된 밴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의 눈 주변에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는 안경 형태(eyeglass), 헬멧 형태(helmet), 또는 스트랩 형태(strap)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프로세서(221)는 HMD 장치(22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도1의 프로세서(12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1)는 제2통신 모듈(222) 및 센서(223)를 포함하는 HMD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와 기능적으로(functionally), 작동적으로(operatively) 및/또는 전기적으로(electrically)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프로세서(221)는 제2통신 모듈(222)을 이용해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HMD 장치(220)는 컨트롤러 장치(21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HMD 장치(220)의 제2프로세서(221)는 제2통신 모듈(222)를 통해 컨트롤러 장치(210)와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연결되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제1통신 모듈(212) 및 HMD 장치의 제2통신 모듈(222)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식이면 제한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 모듈(212) 및 제2통신 모듈(222)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통신 모듈(222)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222)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제1통신 모듈(212)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HMD 장치(220) 및/또는 트래커로부터 컨트롤러 장치(210)로의 밝기 조절 신호 및/또는 제어 명령들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통신 모듈(222)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움직임으로부터 실행 중인 컨텐츠에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12) 및 제2통신 모듈(222)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제1프로세서(211) 및 제2프로세서(221)의 제어 명령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222)은 도1의 통신 모듈(190)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223)는 도1의 센서 모듈(176)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HMD 장치(220)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20)에 구비될 수 있는 카메라는 광학 카메라일 수 있으며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20)의 카메라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최초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좌표계 형식으로 인식된 6DoF(Deegrees of Freedom)을 통해 컨트롤러 장치(210)와 최초로 무선 통신 연결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로 식별되는 것은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의 최대값, 점멸, 또는 거리에 관한 것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HMD 장치(220)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컨트롤러 장치(210)와 함께 컨텐츠를 다룰 수 있는 inside-out 방식에 관한 예시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은 도3의 도시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트래커(tracker)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outside-in 방식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두 방식을 모두 활용하는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가 소모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컨트롤러 장치(210)의 최초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의 밝기가 최대값으로 조절되거나, 발광 소자가 점멸되거나, 또는 좌표계를 통해 최초의 위치가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210)의 위치를 기초로 발광 소자(213)의 밝기가 변경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최소한의 전력 소모를 위하여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동작 410은 컨트롤러 장치(210)와 HMD 장치(220)가 무선 연결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0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제1통신 모듈(212)과 HMD 장치(220)의 제2통신 모듈(222)이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두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동작 420은 HMD 장치(220) 및/또는 별도의 트래커(tracker)의 센서(223)를 통한 외부 조도의 측정 및/또는 HMD 장치(220) 및/또는 별도의 트래커의 카메라를 통한 거리 측정 과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의 센서(223)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 환경에 관한 조도(illuminance)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에 구비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광학 카메라 등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위치를 식별하여 HMD 장치와 컨트롤러 장치 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 측정은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통해 6DoF(Degrees of Freedom)의 좌표계를 통한 프로세서의 연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20에서 HMD 장치(220)와 컨트롤러 장치(210)의 거리 및/또는 방향과 HMD 장치(220), 컨트롤러 장치(210), 및 트래커의 거리 및/또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223)는 UWB센서(ultra-wide band 센서), 초음파 센서, 지자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가 구비되는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방식의 센서는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센서가 포함되어 광대역을 이용해 외부 장치와의 상대적 거리 및/또는 방향에 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동작 430은 측정된 외부 환경의 조도의 변화 및/또는 측정된 HMD 장치(220)와 컨트롤러 장치(210) 간의 거리의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430을 거치게 되는 것은 프로세서(예: 도2의 제2프로세서(221))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를 통한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외부 환경의 조도 변화 및/또는 컨트롤러 장치의 거리 변화가 있는 경우, 최초로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를 밝거나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의 최초 위치 식별 후, HMD 장치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통한 컨트롤러 장치의 트래킹 범위를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범위를 좁힌 후 발광 소자의 밝기를 줄여 소모 전류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20 및 430에서 HMD 장치, 컨트롤러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외부 환경에 대한 조도를 측정은 개별 장치들의 전력 소모의 절감을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초기의 서칭(searching) 단계를 거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HMD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예: 복수의 LED)를 서칭 하여 컨트롤러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및/또는 방향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외부 환경의 조도가 높은 경우(예: 밝은 경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주변의 다른 사물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최대값의 밝기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환경의 조도가 낮은 경우(예: 어두운 경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최대값이 아니더라도 주변 사물들과 구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측정된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는 측정된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적응적으로(adaptive)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밝기 조절 신호는 개별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가 서칭될 수 있는 밝기가 테이블로 구성된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메모리에는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에 관한 데이터가 실험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실험값은, 예를 들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른 컨트롤러 장치의 식별 가능한 발광 소자의 밝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임의의 외부 환경 조도에 따라 다른 사물들과 구별이 가능한 발광 소자의 밝기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의 밝기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 제품 별로 상세한 스펙(specification)이 상이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동작 440은 HMD 장치(220) 또는 별도의 트래커에서 컨트롤러 장치(210)로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20)와 컨트롤러 장치(210)의 거리가 측정된 경우, 최초로 식별된 위치를 기초로 두 장치(210, 220)의 거리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발광 소자의 밝기를 낮추는 조절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밝기를 높이는 조절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게 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동작 450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210)는 HMD 장치(220) 또는 별도의 트래커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발광 소자의 밝기 조절 신호를 기초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 장치(210)가 2개 1세트로 이루어지고 1개당 15개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 중 5개만을 기존의 밝기(예: 최대값)를 유지시키고 나머지 10개의 발광 소자는 기존의 밝기보다 어둡게 하는 방식으로 발광 소자 전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의 카메라 또는 HMD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를 온/오프하여 발광 소자 전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HMD 장치가 컨트롤러 장치를 볼 때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 중 일부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면, 보이지 않는 발광 소자들은 오프하여 발광소자 전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10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211)는 전자 장치(200)의 최초 부팅 시 또는 재사용의 인식 시 컨트롤러 장치(210)의 위치 식별을 위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로세서(211)는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거나 점멸시키도록 제어하여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가 식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20은 HMD 장치(220)가 최대 밝기의 발광 소자를 감지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20) 및/또는 별도의 트래커(tracker)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의 최대 밝기 및/또는 점멸을 감지하여 컨트롤러 장치의 최초 연결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최초 연결 위치는 커넥팅(connecting) 위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커넥팅은 전자 장치의 최초 부팅, 재부팅, 또는 절전 모드 후 재사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와 컨트롤러 장치(210)의 통신 연결을 위한 과정에서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를 식별하는 서칭(searching)을 거치도록 설정될 수 있다.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메모리에는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에 관한 데이터가 실험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실험값은, 예를 들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른 컨트롤러 장치의 식별 가능한 발광 소자의 밝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의 최대 밝기 설정값은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발광 소자의 밝기의 최대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값일 수 있으므로, 최대의 값으로 설정이 되는 것일 뿐이며 발광 소자의 스펙에 따른 밝기의 최대값이 아닐 수 있다. 이는 최대값으로 설정이 되는 것이며 외부 환경(예: HMD 장치, 컨트롤러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조도의 최대값보다 큰 값이면 충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환경의 조도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면,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가 식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최대 밝기의 설정값은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30은 HMD 장치(220)를 통해 컨트롤러 장치(210)의 커넥팅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210)의 커넥팅 위치를 설정하는 것은 HMD 장치(220)에 의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설비되는 외부 장치(예: 트래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40은 컨트롤러 장치(210)의 커넥팅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20) 및/또는 별도의 트래커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커넥팅 위치를 식별하고, 전자 장치(200)의 외부 환경에 대한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의 조도 측정 외에 HMD 장치와 컨트롤러 장치 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의 조도 측정과 더불어 거리를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넥팅 위치를 식별하고 외부 환경의 조도 및/또는 장치 간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커넥팅 이후의 트래킹 범위를 좁혀 조도 및/또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5에 도시된 동작 540은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 위치를 식별한 이후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선행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 위치는 전자 장치 사용자의 움직임(예: 컨트롤러 장치의 움직임)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고, HMD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 위치를 식별하면 HMD 장치 및/또는 트래커에서 외부 환경의 조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에 대한 트래킹 범위를 식별된 커넥팅 위치의 주변으로 좁혀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의 조도를 측정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좁혀진 트래킹 범위에 따른 외부 조도(예: 컨트롤러 장치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 조절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 장치의 업데이트되는 커넥팅 위치에 관한 식별로 상기 커넥팅 위치의 주변 범위의 조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50은 전자 장치(200)의 외부 환경의 조도가 변화하였는지 감지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로세서(221)는 HMD 장치(220)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 등을 통해 전자 장치 외부 환경의 조도 변화 및/또는 장치 간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1)가 외부 환경의 조도 변화 및/또는 장치 간 거리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동작 560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 540으로 돌아가 반복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60은 제2프로세서(221)로부터 생성된 밝기 조절 신호가 컨트롤러 장치(210)로 전송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로세서(22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전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제2통신 모듈(222)를 통해 컨트롤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 570은 제1통신 모듈(212)를 통해 HMD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밝기 조절 신호를 기초로 제1프로세서(211)가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전체 밝기는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의 발광 소자를 온/오프하거나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밝거나 어둡게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도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밝기 조절 방법의 컨텐츠 속성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을 표현하기 위한 기기는 플레이 중인 컨텐츠(content)(예: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센싱의 민감도가 다르게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는 경우 복잡한 그래픽과 세밀한 컨트롤이 요구되는바 상대적으로 센싱이 민감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화면을 컨트롤하게 되는 경우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서 보다 덜 민감한 센싱이면 충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설시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제1속성 및 제2속성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센싱에 따라 컨텐츠의 속성이 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과 같이 상세한 센싱이 필요하지 않은 컨텐츠들은 제1속성,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보다 상세한 센싱이 요구되는 컨텐츠들은 제2속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동작 610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이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통해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은 전자 장치의 구매로 최초 제공 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속성은 외부 서버, 클라우드 등에 축적된 다른 전자 장치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전자 장치(200)로 수신되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는 방식에 제한 없이 전자 장치에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동작 620 및 640은 전자 장치(200)를 통해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이 미리 설정된 제1속성 또는 제2속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을 확인하는 610, 620, 및 640의 과정은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가 제1속성의 컨텐츠에 해당하는지 먼저 확인하고 해당하지 않는 경우 640으로 진행하여 제2속성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6과 달리 제2속성에 해당하는지 먼저 확인 후 제1속성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0)를 통해 실행 중인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제1속성 또는 제2속성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의 속성에 관한 우선순위는 존재하지 않으며 도시된 순서 외에 임의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3속성, 제4속성, 제n속성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동작 630은 제2프로세서(221)를 통해 생성된 밝기 조절 신호를 제2통신 모듈(222)를 통해 전송하여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동작 650은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유지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의 동작 510에서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의 밝기가 최대값으로 조절되는 경우, 제2속성의 컨텐츠가 상세한 센싱이 요구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속성의 컨텐츠가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에 해당하여 센싱이 민감하게 요구된다면, 최대값으로 조절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굳이 어둡게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작 650을 거칠 수 있다.
도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따른 컨트롤러 장치의 밝기 조절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HMD 장치(22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또는 HMD 장치의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 밝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20)가 컨트롤러 장치(210)를 보는 방향에 따라 발광 소자를 온/오프하여 소모 전류를 개선할 수 있다. HMD 장치(220)의 카메라가 컨트롤러 장치를 볼 때,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일부는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HMD 장치의 프로세서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통해 일부 발광 소자가 보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고, 밝기 조절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 장치로 전송하여 보이지 않는 발광 소자를 오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 장치(220)의 제2프로세서(221) 또는 별도의 트래커의 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의 다음 동작을 예측하여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의 현재 상태 및 다음 상태를 예측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HMD 장치의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측을 기초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발광 소자를 미리 온/오프(on/off)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응한 전자 장치 사용자의 동작이 수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프로세서(221)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를 실행하여 컨텐츠 진행 시나리오에 대응한 사용자의 동작 순서가 반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21)는 사용자의 동작 순서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장치(210)의 발광 소자(213) 중 HMD 장치(220)에서 보이는 발광 소자만을 온(on)하고 가려져 보이지 않는 발광 소자는 오프(off)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HMD 장치에서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발광 소자는 HMD 장치의 카메라가 향해 있는 방향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HMD 장치의 센서를 통해 감지가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발광 소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1)는 사용자의 동작 순서에 따라 컨트롤러 장치(21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1)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이동에 따라 전체 발광 소자(213) 중 일부는 온(on)하고, 이동에 따라 가려져 있는 일부는 오프(off)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213)는 컨트롤러 장치(210)의 링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는 손으로 파지되는 위치의 막대 부분과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링 모양의 헤드(head)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컨트롤러 장치의 헤드 부분에 위치하면서, HMD 장치(220)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HMD 장치의 프로세서는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통해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를 감지하여, 컨트롤러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장치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HMD 장치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된 일부의 발광 소자를 오프(off)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소자가 A, B, C, D, E, F 순으로 컨트롤러 장치의 링 모양의 헤드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HMD 장치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발광 소자가 C, D일 때, C 및 D만 온(on) 시키고 나머지 발광 소자들은 오프(off)시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C 및 D만 온(on)되어 있는 상태의 다음의 상태에서 감지될 수 있는 발광 소자는 C 주변의 B 혹은 D, D 주변의 C 혹은 E가 될 수 있다. 이 때, HMD 장치의 프로세서는 C 및 D만 온(on)되어 있는 다음 상태(예: 컨트롤러 장치의 이동에 대응한 다음 상태)가 될 수 있는 B, C, D, E의 발광 소자만 온(on)시키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 및 E만 온(on)되어 있는 상태의 다음 상태가 C, D, E, F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의 프로세서는 D 및 E의 발광 소자만 온(on)되어 있는 다음 상태가 될 수 있는 C, D, E, F의 발광 소자만 온(on)시키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컨트롤러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HMD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제1통신 모듈, 발광 소자, 및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HMD 장치는, 제2통신 모듈, 외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상기 제2통신 모듈을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에 전송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HMD 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 설정 시,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최대값으로 조절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센서를 이용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여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attribute)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제1속성인 경우,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제2속성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상기 최대값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오프(off)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유지하고, 인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 설정 시, 상기 발광 소자를 점멸(flickering)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점멸된 발광 소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는 HMD 장치 및 상기 HMD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가 외부 조도(illuminance)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전송된 밝기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통신 모듈을 이용해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최대값으로 조절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센서를 이용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여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attribute)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속성이 미리 정해진 제1속성인 경우, 상기 HMD 장치가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속성이 미리 정해진 제2속성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상기 최대값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수신한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수신한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오프(off)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는 동작,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유지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를 점멸(flickering)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점멸된 발광 소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컨트롤러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HMD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제1통신 모듈;
    발광 소자; 및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HMD 장치는,
    제2통신 모듈;
    외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상기 제2통신 모듈을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에 전송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 설정 시,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최대값으로 조절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센서를 이용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여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attribute)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제1속성인 경우,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제2속성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상기 최대값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오프(off)하는 전자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유지하고, 인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 설정 시, 상기 발광 소자를 점멸(flickering)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점멸된 발광 소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 장치에 배치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HMD 장치 및 상기 HMD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가 외부 조도(illuminance)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전송된 밝기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brightness)를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 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통신 모듈을 이용해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커넥팅(connecting)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최대값으로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최대값으로 조절된 발광 소자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식별된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에 더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가 센서를 이용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를 획득하여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attribute)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속성이 미리 정해진 제1속성인 경우, 상기 HMD 장치가 상기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컨텐츠의 속성이 미리 정해진 제2속성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상기 최대값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수신한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수신한 밝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오프(off)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는 동작;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는 유지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밝기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 장치가 상기 발광 소자를 점멸(flickering)하는 동작; 및
    상기 HMD 장치가 상기 점멸된 발광 소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75839A 2020-06-22 2020-06-22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KR20210157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39A KR20210157708A (ko) 2020-06-22 2020-06-22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PCT/KR2021/007493 WO2021261829A1 (ko) 2020-06-22 2021-06-15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US18/073,909 US11989353B2 (en) 2020-06-22 2022-12-02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HM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39A KR20210157708A (ko) 2020-06-22 2020-06-22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08A true KR20210157708A (ko) 2021-12-29

Family

ID=7917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39A KR20210157708A (ko) 2020-06-22 2020-06-22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9353B2 (ko)
KR (1) KR20210157708A (ko)
WO (1) WO2021261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7736B1 (en) * 2022-12-21 2024-04-02 Varjo Technologies Oy Utilising focussing of light sources in image for controller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8830B2 (en) 2008-07-15 2012-10-02 Intersil Americas Inc. Dynamic headroom control for LCD driver
WO2015125363A1 (ja) 2014-02-21 2015-08-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画像の提供方法
US20160097868A1 (en) * 2014-10-02 2016-04-07 Source Production & Equipment Co., Inc. Radiation surveying
US10055887B1 (en) * 2015-02-19 2018-08-21 Google Llc Virtual/augmented reality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9776084B2 (en) * 2015-06-15 2017-10-03 Oculus Vr, Llc Virtual reality system with camera shock-mounted to head-mounted display
WO2017026555A1 (ko) 2015-08-12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58269B1 (ko) * 2015-10-27 2022-10-2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조도 정보를 공유하여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55296A (ko) *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및 그 hmd의 제어 방법
WO2017082457A1 (ko) 2015-11-11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및 그 hmd의 제어 방법
US10010788B2 (en) 2015-12-21 2018-07-0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Game controller with lights visible inside and outside the game controller
US10146335B2 (en) 2016-06-09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extension of inertial controller for six DOF mixed reality input
US10078377B2 (en) 2016-06-09 2018-09-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x DOF mixed reality input by fusing inertial handheld controller with hand tracking
KR20180056998A (ko) 2016-11-21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N108733206B (zh) * 2017-04-25 2020-10-30 广东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一种坐标对齐方法、系统和虚拟现实系统
US10537795B2 (en) * 2017-04-26 2020-01-21 Facebook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using LED tracking ring
US10496157B2 (en) * 2017-05-09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handheld object light sources for tracking
US20180373348A1 (en) * 2017-06-22 2018-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active brightness depth calculation for object tracking
KR20190007910A (ko) * 2017-07-14 2019-01-23 한국과학기술원 가상 현실 컨텐츠 제어를 위한 생체신호 기반 착용형 hmd 컨트롤러, hmd 장치 및 방법
US10866652B2 (en) 2017-11-13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evice tracking
KR102656447B1 (ko) * 2018-02-27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554886B2 (en) 2018-05-18 2020-02-04 Valve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optical position tracking devices
US10824244B2 (en) 2018-11-19 2020-11-03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modes of tracking real-world objects for artificial reality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6457A1 (en) 2023-04-06
US11989353B2 (en) 2024-05-21
WO2021261829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2108B (zh) 提供触觉反馈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US1129564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n basis of remaining battery capacity,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member and output luminance of projector, and operation method
US113922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76449A (ko)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6163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222744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07438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0012738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US11989353B2 (en)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HMD device
KR2022008693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132033A (ko) 주변 조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콘텐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617405B1 (ko) 디스플레이의 자동 밝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30152900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obj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156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rtual objects in different brightnesses
US202202173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42134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lurality of pieces of application data with low latency
CN116438503A (zh)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操作方法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20220053394A (ko) 웨어러블 표시 장치에 복수의 오브젝트들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95691A (ko) 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96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rtual objects in different brightnesses
KR20200012133A (ko)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35918B1 (ko)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의 오버 드라이빙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웨어러블 장치
US20240054740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
US2024004657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virtual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