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666A -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666A
KR20210148666A KR1020200065801A KR20200065801A KR20210148666A KR 20210148666 A KR20210148666 A KR 20210148666A KR 1020200065801 A KR1020200065801 A KR 1020200065801A KR 20200065801 A KR20200065801 A KR 20200065801A KR 20210148666 A KR20210148666 A KR 2021014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kage
distribution line
control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5040B1 (en
Inventor
문현성
하용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4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linkage control devic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age control device between distribution lines comprises: a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that is individually linked to a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an LVDC to adjust an output according to a change of a power current value in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so as to match a load rate; a data receiving unit for periodically receiving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pare a load rat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with a load rat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a state of each distribution line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periodically calculate an output control value of a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to maintain a difference of the load rates within a set range and provide it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Description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Linkage control device and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 method therefor that can manage the distribution lines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은 변전소로부터 방사형으로 구성된 배전선로를 따라 부하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력이 단방향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배전 전압이 변전소에서 선로의 말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In general, a distribution system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load is connected along a distribution line configured in a radial shape from a substation,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distribution voltage to decrease from the substation to the end of the line.

하지만, 최근에는 배전선로 중간 혹은 말단 부하 측에 신재생에너지 전원, 즉 태양광 전원 및 소형 풍력 설비들이 연결된 분산 전원들이 전력 계통에 추가되고 있다. However, recently,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that is, a distributed power source connected to a solar power source and a small wind power plant, has been added to the power system at the middle or end load side of the distribution line.

다만, 이러한 분산 전원의 경우, 배전선에 흐르는 전력의 방향이 단방향이 아니라 변전소 방향으로 거꾸로 흐르는 역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배전 전압이 변동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stributed power supply,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voltage fluctuates as the possibility of a reverse current flowing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ation rather than in on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power flowing through the distribution line increases.

따라서 기존의 배전계통 관리 기술로는 배전계통의 조류 해석과 전압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ntrol the voltage with the existing distribution system management technology.

또한, 최근 직류(DC) 부하의 이용이 증대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전원에서 생산된 직류의 전기를 직류부하에 바로 공급할 수 있는 직류배전 기술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use of a direct current (DC) load increases in recent years, a direct current distribution technology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direct current generated from a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to a direct current load is entering the commercialization stage.

기존의 교류 배전계통 조류 해석과 달리 직류 배전에서는 직류의 조류 해석이 필요하다. 특히, 교류 배전에서는 전압의 크기와 무효전력, 전압의 위상과 유효 전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과 달리, 직류 배전에서는 전압의 크기와 유효 전력 사이의 관계가 중요하므로 해석의 방법이 다르다. Unlike the existing current analysis of AC distribution system, DC current analysis is required in DC power distribution. In particular, unlike in AC power distribution, where the magnitude of voltage and reactive power, and phase of voltage and active power are closely related, in DC power distribu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tage magnitude and active power is important, so the interpretation method is different.

따라서, 직류 배전계통 전반에 분산되어 설치될 소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배전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직류배전 계통에 분산 설치하여 설치된 위치의 지역 정보를 바탕으로 정밀한 조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small-scale renewable energy power to be distributed and installed throughout the DC distribution system and to precisely control the distribution voltage, a power monitoring system is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the DC distribution system and precise current flow based on the local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location. Skills to perform analysis are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304호(2017.09.25. 공개, 직류 배전선로의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07304 (published on Sep. 25, 2017, a 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control of a DC distribution line).

이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면 신재생 특유의 간헐적인 발전량으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적절한 조정이 힘이 들고 전력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게 된다. As such, if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s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properly adjust supply and demand due to the intermittent power generation peculiar to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he possibility of power quality deterioration is high.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강 선로를 증설하여야 하지만 무한정 설비를 늘리다 보면 과도하게 설비 투자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einforcing lin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cility investment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facilities is increased indefini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s to provide a DC linkage facility for connecting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 DC linkage fac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kage control devic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 method therefor that can manage output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of the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는, LVDC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추는 직류 배전 연계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배전선로의 부하율과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고,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vice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LVDC, respectively, and power flow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that adjusts the output according to the change in value to match the load factor; a data input unit periodically receiving the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load factor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the state of each distribution line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and the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within the set range and a control unit that is periodically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가 활선 상태인 경우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a live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and compares the load factors,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calculate the load factor based on the ratio of the power flow value and the capacity of each.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control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output change value due to the power flow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power flow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the existing output valu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는,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다수의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각각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추는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각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에 각각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respectively, by adjust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wer current value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to match the load factor; a data input unit for periodically receiving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And on the basis of the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the final output amount is s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respectively, and the output control value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periodical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by providing the output control values respectively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s.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is se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installed capacity.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설비용량으로 직류 배전 연계부의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and sets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as the facility capacity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입력받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 제어부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주기적으로 산출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에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comprising: periodically receiving, by a control unit, states of a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LVDC through a data input unit; comparing, by the control unit, load ratio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the received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calculating, by the control unit, an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within a set rang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providing the output control value periodically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to control the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본 발명에서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활선 상태를 판단하여 부하율을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of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ive stat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calculates and compares the load factor.

본 발명에서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includes the control unit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load factor based on the ratio of the power flow value and the capacit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line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includes the control unit adding the output change value due to the power current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power current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the existing output value to obtain the output control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 제어부가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최종 출력량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각각 설정된 최종 출력량으로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에 각각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comprising: periodically receiving, by a control unit, a state of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respectively link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through a data input section; comparing, by the control unit,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and the facility capacity, respectively,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setting, by the controller, a final output amoun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installed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by the controller, an output control value with the final output amount set respectively, and providing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본 발명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installed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respective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installed capacity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is set.

본 발명에서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설비용량으로 직류 배전 연계부의 최종 출력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setting the final output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and sets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as the facility capacity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a method theref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distribution line It can be managed so that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properly,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vestment cost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eptability limit to which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ources with high volatility can be connected.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접속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배전선로의 설비보강을 효율적으로 줄이고, 신뢰도 기준을 만족하도록 안정적인 배전선로를 운영할 수 있어 전력 계통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limit of connection acceptabilit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facility reinforcement of the distribution line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to operate a stable distribution line to satisfy the reliability standard, so that it is economically and stably in terms of the power system. can ope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 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link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는, 직류 배전 연계부(30), 데이터 입력부(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 a data input unit 10 , and a control unit 20 .

직류 배전 연계부(30)는 LVDC(Low Voltage Direct Current)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출 수 있다.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is connected to a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LVDC (Low Voltage Direct Current), respectively, and is a power current valu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he load facto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change of

데이터 입력부(10)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The data input unit 10 may periodically receive the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여기서, 데이터 입력부(10)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각각 설치된 배전 자동화 장치로부터 각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및 차단기의 투입, 개방 상태 등의 배전선로의 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Here, the data input unit 10 may receive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lines, respectively, th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and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such as the input and ope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제어부(20)는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각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배전선로의 부하율과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고,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직류 배전 연계부(30)의 출력제어 값을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에 제공함으로써, 직류 배전 연계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with the load factor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the state of each distribution line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 and direct current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within a set range. By periodically calculating the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and providing it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can be controlled.

이때, 제어부(20)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가 활선 상태인 경우 부하율을 연산하여 비교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a live state, the control unit 20 may calculate and compare the load factor.

또한, 제어부(20)는 수학식 1과 같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하율을 연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may calculate each load factor based on the ratio of the power flow value and the capacity of each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s shown in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때, LFA는 제1 배전선로의 부하율, LFB는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 PA는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PB는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SA는 제1 배전선로의 용량, SB는 제2 배전선로의 용량이다. At this time, LF A is the load factor, LF B is the load factor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P A is a power flow value of a first distribution line, P B is power flow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S A to the first distribution line is the The capacity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S B is the capacity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이와 같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연산한 후 서로 비교하여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수학식 2와 같이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way, after calculating the load ratio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ad factors exceeds the set value by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power flow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n output control value may be calculated by adding an output variation value due to a power current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an existing output valu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때, PDC'는 출력제어 값, PDC는 기존 출력값, ΔP는 출력 변동 값이다. In this case, P DC ' is the output control value, P DC is the existing output value, and ΔP is the output change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에 따르면,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vice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is provided and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distribution lin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thereby minimiz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ca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가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다(S10). As shown in FIG. 2 ,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 unit 20 distributes LVDC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he state is periodically input (S10).

여기서, 제어부(20)는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각각 설치된 배전 자동화 장치로부터 각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및 차단기의 투입, 개방 상태 등의 배전선로의 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 the power flow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such as the input and ope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input.

S10 단계에서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20)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가 활선 상태인지 판단한다(S20). After receiving the stat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in step S10,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a live state (S20).

S20 단계에서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가 활선 상태인지 판단한 후 활선 상태가 아닌 경우 종료되지만 활선 상태인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받은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연산한 후 비교한다(S30). In step S20,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the live state, if they are not in the live state, the termination is terminated, but in the case of the live state,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the live state. Thus, the load ratios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lin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S30).

또한, 제어부(20)는 수학식 3과 같이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하율을 연산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Equation 3, the control unit 20 may calculate each load factor based on a ratio of a power current value and a capacit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line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때, LFA는 제1 배전선로의 부하율, LFB는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 PA는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PB는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 SA는 제1 배전선로의 용량, SB는 제2 배전선로의 용량이다. At this time, LF A is the load factor, LF B is the load factor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P A is a power flow value of a first distribution line, P B is power flow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S A to the first distribution line is the The capacity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S B is the capacity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S30 단계에서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LFA, LFB)을 비교한 결과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C) 이내인 경우 종료되지만,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C)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20)는 직류 배전 연계부(30)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한다(S4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oad factors (LF A , LF B )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in step S30, if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within the set range (C), it ends, bu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exceeds the set range (C). If it exceeds, the control unit 20 calculates an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S40).

여기서, 제어부(20)는 수학식 4와 같이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0 may calculate an output control value by adding an output change value due to a power current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power current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an existing output value as shown in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이때, PDC'는 출력제어 값, PDC는 기존 출력값, ΔP는 출력 변동 값이다. In this case, P DC ' is the output control value, P DC is the existing output value, and ΔP is the output change value.

S40 단계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30)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한 후, 제어부(20)는 주기적으로 산출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30)에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를 제어한다(S50). After calculating the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in step S40, the control unit 20 provides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to connect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 control (S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에 따르면,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is provided and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distribution lin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thereby minimiz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ca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는 복합 연계설비의 복합 제어장치로써,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 데이터 입력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lex control device for a complex linkage facilit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300 , data input sections 100 and control units 200 . ) may be included.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는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다수의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각각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출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 units 3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and adjust the outpu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wer current value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to match the load factor. .

데이터 입력부(100)는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The data input unit 100 may periodically receiv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300 .

여기서, 데이터 입력부(100)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기초로 LVDC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력 조류값을 통해 최적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data input unit 100 may receive state information from a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and based on this, determine the power current value of the LVDC distribution line and use the determined power current value to optimize direct current. The output of the power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may be determined.

제어부(200)는 데이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각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300)에 각각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installed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units 300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0, respectively. The output control value may be calculated by setting the final output amount, and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

이때, 제어부(200)는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즉 0이 아닌 경우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is set, that is, when it is not 0, the control unit 200 may compare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with the facility capacity.

또한, 제어부(200)는 각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설비용량으로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300)에 각각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0)를 제어함으로써 각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each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with the facility capacity, and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sets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as the facility capacity and outputs it By calculating a control value and providing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it is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load factor of each distribution li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에 따르면,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vice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is provided and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distribution lin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thereby minimiz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ca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0)가 데이터 입력부(100)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다(S110). As shown in FIG. 4 ,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0 . The stat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is periodically input (S110).

여기서, 제어부(200)는 데이터 입력부(100)를 통해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기초로 LVDC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력 조류값을 통해 최적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00 may receive state information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s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00, based on this, determine the power current value of the LVDC distribution line, and the determined power curr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utput of the optimal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through the value.

S110 단계에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상태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200)는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이 각각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After receiving the state of the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 units 300 in step S110,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quired output amounts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s 300 are respectively set (S120).

S120 단계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이 각각 설정되었는지 판단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즉, 필요 출력량이 0인 경우 종료되지만,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200)는 입력받은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다(S130). In step S1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is set, and if the required output amount is not set, that is,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is 0, it ends.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installed capacity of the power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are compared, respectively (S130).

S130 단계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후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 이하인 경우 종료되지만,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설비용량으로 직류 배전 연계부(300)의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한다(S140). In step S130, after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facility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respectively, if the required output amount is less than the facility capacity, it ends, but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the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DC to facility capacity The output control value is calculated by setting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power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S140).

S140 단계에서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각각 연산한 후, 제어부(200)는 주기적으로 산출된 출력제어 값을 직류 배전 연계부(300)에 각각 제공하여 직류 배전 연계부(300)를 제어한다(S150). After calculating each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in step S140 , the control unit 200 provides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s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300 . (S1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에 따르면, 배전선로 간 연계하기 위한 DC 연계설비를 구비하고 각 배전선로의 융통전력 조류값에 따라 DC 연계설비의 출력을 제어하여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수용성 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C linkage facility for linkage between distribution lines is provided and the output of the DC linkage facil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lexible power current value of each distribution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distribution lin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oad factor, thereby minimiz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facilities. ca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and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100 : 데이터 입력부
20, 200 : 제어부
30, 300 : 직류 배전 연계부
10, 100: data input unit
20, 200: control unit
30, 300: DC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Claims (14)

LVDC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추는 직류 배전 연계부;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전선로의 부하율과 상기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고, 상기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DC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LVDC, respectively, and adjusts the output to match the load factor by adjust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wer current value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distribution linkage;
a data input unit periodically receiving the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Compare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load factor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the state of each distribution line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and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within a set range and a control unit that periodically calculates an output control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가 활선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d compares the load ratios when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re in a live state,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load factor based on a ratio of a power flow value and a capacit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li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상기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output control value by adding an output variation value due to a power flow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a power flow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an existing output value. Linkage control device between distribution lines.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되어 다수의 배전선로에 설치된 다수의 분산전원에서 전력 조류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을 각각 조절하여 부하율을 맞추는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
다수의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각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여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상기 출력제어 값을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에 각각 제공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and adjusting outputs according to changes in power current values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to match the load factor;
a data input unit for periodically receiving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units; an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inputted through the data input unit, the final output amount is s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with the facility capacity, respectively, and the output control value is calculated periodical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C distribution linkage by providing the outpu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is s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설비용량으로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and sets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as the facility capacity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Linkage control device between distribution lines.
제어부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제1 배전선로와 제2 배전선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은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율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주기적으로 산출한 상기 출력제어 값을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에 제공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for distributing LVDC periodically through the data input unit;
comparing load ratio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ased on the states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calculating, by the controller, an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 such that the difference in the load factor is maintained within a set rang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and
and providing the output control value periodically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DC distribution connection unit to control the DC distribution connection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활선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부하율을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ive stat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by calculating the load factor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paris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의 부하율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배전선로와 상기 제2 배전선로 각각의 전력 조류값과 용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율을 각각 연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Comparing the load factor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ratio of the power flow value and capacity of each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load factors, respectivel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과 상기 제2 배전선로의 전력 조류값에 의한 출력변동 값을 기존 출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utput control value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the control unit is the output change value by the power flow value of the first distribution line and the power flow value of the second distribution line to the existing output value A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control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to the .
제어부가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LVDC를 배전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 각각 연계된 다수의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최종 출력량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각각 설정된 상기 최종 출력량으로 출력제어 값을 산출하고, 주기적으로 산출된 상기 출력제어 값을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에 각각 제공하여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a state of a plurality of DC distribution linkages respectively link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for distributing LVDC through a data input section periodically;
comparing, by the control unit,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and the installed capacity, respectively,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units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setting, by the control unit, the final output amoun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facility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by the control unit, an output control value with the final output amount set respectively, and providing the periodically calculated output control value to the DC distribution linkage,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C power distribution lin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이 설정된 경우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mparing of the required output amount and the installed capacity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comprises comparing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installed capacity when the control unit set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part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필요 출력량과 설비용량을 비교하여 필요 출력량이 설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설비용량으로 상기 직류 배전 연계부의 최종 출력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간 연계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tting of the final output amount comprises: the controller compar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with the facility capacity, and when the required output amount exceeds the facility capacity, the final output amount of the DC distribution linkage as the facility capacity A linkage control method between distribution lines, characterized in that set as
KR1020200065801A 2020-06-01 2020-06-01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KR102485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01A KR102485040B1 (en) 2020-06-01 2020-06-01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01A KR102485040B1 (en) 2020-06-01 2020-06-01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666A true KR20210148666A (en) 2021-12-08
KR102485040B1 KR102485040B1 (en) 2023-01-06

Family

ID=7886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01A KR102485040B1 (en) 2020-06-01 2020-06-01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0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68B1 (en) 2021-12-10 2022-05-17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Providing method for a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KR102408033B1 (en) 2021-12-10 2022-06-14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09A (en) * 2013-06-28 2015-01-07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generations into power grid
KR20160081067A (en) * 2014-12-30 2016-07-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Low Voltage DC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KR20170107304A (en) * 2016-03-15 2017-09-25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s voltage of dc distribution line
KR20200041486A (en)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of direct current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09A (en) * 2013-06-28 2015-01-07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generations into power grid
KR20160081067A (en) * 2014-12-30 2016-07-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Low Voltage DC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KR20170107304A (en) * 2016-03-15 2017-09-25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s voltage of dc distribution line
KR20200041486A (en)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of direct current distribu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68B1 (en) 2021-12-10 2022-05-17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Providing method for a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KR102408033B1 (en) 2021-12-10 2022-06-14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040B1 (en)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716B2 (en) Reactive power regulation and voltage support for renewable energy plants
US82340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id voltage
US100749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frequencies of a microgrid
CN103701155B (en) A kind of photovoltaic combining inverter active power dispatch control method
CN110707706B (en) Power transmission network pla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ine power flow distribution
KR102485040B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locking on distribution lines and method thereof
CN105226700B (en) Primary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valve flow characteristic dynamic adjustment
KR20110078965A (en) Power system by associating wind power and be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411469B2 (en) Reactive power control integrated with renewable energy power invertor
CN109586305B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operation control strategy based on flexible multi-state switch
JP2005117734A (en) Method and device for voltage management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Ye et al. A hybrid charging management strategy for solving the under-voltage problem caused by large-scale EV fast charging
KR2021001172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ertial of Energy Storage System
JP2012005277A (en) Reactive power compensation device having power current calculation function,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595829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program
CN109066815B (en) Power electronic load active control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importance
CN112510673A (en) Multi-bus direct-current micro-grid economic dispatch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bus voltage constraint
KR101299269B1 (e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CN113904340A (en) Utilization rate impro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opology optimization and schedulable load optimization
CN109004688A (en) A kind of global voltage-controlled photovoltaic plant power coordination distribution method of support power distribution network
CN112165125B (en) Inertia anti-droop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7713573A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126084A (en) Control method of photovoltaic system and photovoltaic system
CN114243803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voltage control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674306A (en) Coordination method and device for active control and power gri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