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301A -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301A
KR20210114301A KR1020200029854A KR20200029854A KR20210114301A KR 20210114301 A KR20210114301 A KR 20210114301A KR 1020200029854 A KR1020200029854 A KR 1020200029854A KR 20200029854 A KR20200029854 A KR 20200029854A KR 20210114301 A KR20210114301 A KR 2021011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stored
thef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수
이창원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301A/en
Publication of KR2021011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3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nti-theft system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boarding sensing unit sensing whether a previously stored driver boards on the inside of a vehicle; a driver confirmation unit checking whether the driver boarding on a driver's seat is matched to the previously stored driver; and a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the driver conformation unit confirms that the driver is not matched to the previously stored driver and the boarding sensing unit senses that previously stored driver does not board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인식함으로써 스마트키를 획득한 타인의 차량 도난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and to a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by another person who has obtained a smart key by recognizing a driver driving the vehicle.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도난 방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난 방지 시스템은 차주가 아닌 타인이 스마트키(Smart Key) 없이 차 문을 개방하거나, 주차된 차량에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도난 방지 경보를 울림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다.Most of the recently released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 anti-theft system. The anti-thef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events theft of the vehicle by sounding an anti-theft alarm when a third person, other than the owner, opens the car door without a smart key or a shock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applied to a parked vehicle. have.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경우에는 스마트키를 획득한 타인 또는 복제한 스마트키를 가진 타인이 차량을 도난하는 경우에는 차주를 식별할 수 없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wner cannot be identified when the vehicle is stolen by another person who has obtained the smart key or has a duplicated smart key.

최근 미성년자이거나 또는 면허가 없는 차주의 자녀가 가정에서 차주 몰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며, 기존의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the children of the owner of the vehicle, who are minors or do not have a license, drive a vehicle using a smart key without the owner's knowledge at home.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도난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스마트키를 획득한 타인에 의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That is, the anti-thef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ft of the vehicle by another person who has obtained the smart key of the vehicl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above background art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KR 10-1877995 B1KR 10-1877995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주로부터 스마트키를 획득한 타인에 의한 차량의 도난을 감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by another person who has obtained a smart key from a vehicle own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은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 및 운전자확인부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면서 탑승감지부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도난판단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iver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an occupanc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in the vehicle; and a thef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detects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vehicle while confirming that the driver is not the pre-stored driver. .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len state to a pre-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may further include.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차량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vehicl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to a preset theft mode; may further include.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압력센서에서 센싱한 압력을 기저장된 압력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may be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compare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pre-stored pressure to confirm whether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시트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복수 개의 압력센서에서 센싱한 압력 분포를 기저장된 압력 분포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with the pre-stored pressure distribution, and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You can check if you are a saved driver.

운전자확인부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가감속 패턴 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이 기저장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learns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in which the driver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vehicle or the steering pattern to manipulat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learn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pattern with the pre-stor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pattern in the driver's seat. You can check whether the driver on board is a pre-stored driver.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경로를 기저장된 주행경로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may compare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with the pre-stored driving path and confirm whether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영상센서와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하는 상태에 영상센서에서 센싱한 주행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is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that captures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based on the driving image sens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탑승감지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감지센서와 연결되고, 무선감지센서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occupancy detec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may detect whether a driver pre-stored in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무선감지센서는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면 기저장된 운전자를 감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may operate to detect a pre-stored driver when the vehicle is unlocked or the vehicle door is opened.

무선감지센서는 복수 개가 차량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초광대역 주파수(UWB)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며, 탑승감지부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wireless sensing sensors are located inside the vehic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etect a pre-stored driver's portable terminal using an ultra-wideband frequency (UWB), and the occupancy sensing unit can detect a pre-stored driver's boarding position. .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본인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a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that receives a biometric signal from the on-board driver, compares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with a pre-stored bio-signal, and reconfirms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may include mo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은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단계;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확인하는 단계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서, 감지하는 단계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driver riding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vehicle in the checking step, and is not the pre-stored driver in the detecting step.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ransmitting the stolen state to a pre-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may further include.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len state, controlling the vehicle to a preset theft mode; may further include.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receiving a bio-signal from a driver in the vehicle; and comparing the received bio-signal with a pre-stored bio-signal to reconfirm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본 발명의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스마트키를 획득한 타인에 의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another person who has obtained the smart key of the vehicle.

특히,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탑승한 운전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identifying a driver who is riding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무선감지센서 및 도어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nti-thef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wireless detection sensor and a door sensor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vehicle theft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exist, and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nti-thef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은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20);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10); 및 운전자확인부(20)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면서 탑승감지부(10)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도난판단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anti-thef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r confirmation unit 20 for checking whether a driver riding in a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an occupancy detection unit 10 for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 the vehicle; And when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confirms that the driver is not the pre-stored driver, and the boarding detection unit 10 detects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stolen. Determination unit 30; includes.

운전자확인부(20)는 운전석 시트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 중 하나인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확인부(20)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차량의 시동을 건 시점부터 운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river check unit 20 may check whether the driver riding on the driver's seat is one of the pre-stored drivers. Specifically,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may identify the driver from the time the vehicle is started while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또는,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이 주행하는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기반으로 운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iver check unit 20 may identify the driver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여기서, 기저장된 운전자는 사전에 차주 또는 차주가 허용한 운전자에 해당하는 정보가 기저장된 운전자일 수 있다. 운전자에 해당하는 정보는 차량에 포함된 불활성 메모리(24)에 저장되거나, 차량과 통신하는 별도의 클라우드 등에 기저장될 수 있다.Here, the pre-stored driver may be a driver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 or the driver permitted by the vehicle owner is pre-store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 may be stored in the inactive memory 24 included in the vehicle or may be pre-stored in a separate cloud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탑승감지부(10)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탑승자의 휴대용 단말기 등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등 스마트키 이외에 다른 수단으로 기저장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boarding detection unit 10 may detect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In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is on board by using other means other than a smart key, such as wirelessly sensing a portable terminal of a passenger.

일 실시예로, 탑승감지부(10)는 차량의 시동을 건 시점부터 차량 내부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한 시점부터 기저장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pre-stored in the vehicle from the time the vehicle is started. In another embodiment, from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unlocked or the driver gets into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 pre-stored driver is boarding.

도난판단부(30)는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니며, 동시에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the driver who sits in the driver's seat is not a pre-stored driv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tored driver does not ride inside the vehicle.

즉,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이거나, 또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운전석이 아니더라도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다면 차량이 도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f the driver riding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or if the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even though the driver is not in the driver's sea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in a stolen state.

이에 따라, 운전자가 내부에 탑승한 상태를 잘못 감지하더라도 기저장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대리 운전 등으로 기저장된 운전자가 동승한 경우에는 차량을 도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도난 상태 감지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방지되어 도난 상태를 판단하는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even if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is incorrectly detected, when the pre-stored driver drives the vehicle directly, or when the pre-stored driver rides in the vehicle by proxy driving, the vehicle is judged to be not stolen. A malfunction is prevented and the accuracy of judging the stolen state is improv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탑승감지부(10), 운전자확인부(20), 도난판단부(30), 차량제어부(50) 및 본인인증부(6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The boarding detection unit 10,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the vehicle control unit 50 an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unit 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vehicle. A non-volatile memory (not shown)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ing to an algorithm configured to control the algorithm or software instructions for reproducing the algorithm, and a processor (not shown)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s described below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not) can be implemented. Her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integrated with each other. A processor may take the form of one or more processors.

도난판단부(30)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transmits the stolen state to a pre-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may further include.

무선통신부(40)는 기저장된 운전자 또는 그 중에서 차주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통신장치(25)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 메신저, 팝업 메시지 등을 통하여 도난 상태를 경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may transmit the stolen state to a pre-stored driver or a vehicle owner among them.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warn of the theft state through a text message, a messenger, a pop-up message, etc. to a pre-stored portable terminal of the driver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25 of the vehicle.

여기서, 도난 상태란 차량의 현재 위치, 차량의 이동 경로, 차량의 시동이 걸린 시각, 차량 내부의 영상 또는 차량 외부의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stolen state may include a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moving route of the vehicle, a tim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n image inside the vehicle or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무선통신부(40)는 기저장된 운전자에게서 신고 접수를 받거나,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경찰서 시스템으로 도난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may receive a report from a pre-stored driver, or transmit the stolen state to the police station system when a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반대로, 무선통신부(40)가 기저장된 운전자로부터 허용 접수를 받는 경우에는 현재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로부터 주행을 허용 받은 것으로, 도난판단부(30)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receives permission from the pre-stored driver, the current driver is permitted to drive from the pre-stored driver, and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transmits a signal to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not stolen. can

도난판단부(30)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차량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vehicl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ehicle to a preset theft mode; may further include.

차량 제어부는 차량의 포함된 전자 제어 장치를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난판단부(30)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바로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vehicle control unit may control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in a preset theft mode. In particular, 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vehicle may be immediately controlled in a preset theft mode.

또는, 무선통신부(40)에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한 이후 기저장된 운전자에게서 신고 접수를 받거나,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에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fter transmitting the theft state to the driver pre-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 the vehicle may be controlled in a preset theft mode when a report is received from the pre-stored driver or a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기설정된 도난 모드는 외부에서 도난 차량임을 식별 가능하도록 알림 모드로 제어하거나, 경찰에 의한 추적이 용이하도록 가속 또는 조향이 제한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The preset theft mode may be controlled as a notification mode to be able to identify that the vehicle is stolen from the outside, or may be controlled as a mode in which acceleration or steering is restricted to facilitate tracking by the police.

일 실시예로, 기설정된 도난 모드에는 싱시량의 비상등을 점멸하도록 램프를 제어하는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기설정된 도난 모드는 차량의 가속을 제한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회전 보조력을 제한하는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t theft mode may include a mode for controlling a lamp to flicker an emergency light of a fresh amount.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t theft mode may include a mode for limit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limit the speed of the vehicle, or limiting the rotation assist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특히, 기설정된 도난 모드는 변속단 제어를 급가속에 불리한 에코 드라이빙 모드로 제어하는 모드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변속단(변속비가 큰 변속단)으로만 주행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변속단 제한 모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t theft mode may include a mode for controlling the shift stage control to an eco-driving mode that is unfavorable to rapid acceleration, or a shift stage limiting mode for limiting driving to only a relatively low shift stage (a shift stage with a high gear ratio). have.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압력센서(21)와 연결되고, 압력센서(21)에서 센싱한 압력을 기저장된 압력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20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21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21 with the pre-stored pressure to confirm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

일 실시예로, 압력센서(21)는 차량의 운전석 시트 쿠션에 위치되고, 압력센서(21)에는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기저장된 압력은 기저장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의 압력일 수 있고, 이는 압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21 may be positioned on a seat cush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pressure based on the weight of a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may b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21 . The pre-stored pressure may be a pre-stored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sits in the driver's seat, which may mean a range of pressure.

즉, 운전자확인부(20)는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압력센서(21)에 인가되는 압력이 기저장된 운전자의 기저장된 압력이 포함된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21 by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is less than or exceeding the range including the pre-stored pressure of the driver, the driver check unit 20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not the pre-stored driver. can do.

다른 실시예로,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의 시트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압력센서(21)와 연결되고,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복수 개의 압력센서(21)에서 센싱한 압력 분포를 기저장된 압력 분포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er check unit 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hicle seat,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21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by comparing with the pre-stored pressure distributi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즉, 복수 개의 압력센서(21)는 운전석 시트쿠션에서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시트쿠션의 각 위치에 인가되는 압력의 분포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21 are spaced apart from the driver's seat cush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applied to each position of the seat cushion.

특히,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라 복수 개의 압력센서(21)에서 센싱한 압력 분포를 기저장된 압력 분포와 비교할 수 있다.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에 의해 속력이 변화되거나, 커브 도로 또는 차선 변경을 위한 조향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복수의 압력센서(21)에서 센싱한 압력의 분포를 기저장된 압력 분포와 비교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er check unit 20 may compare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21 with a pre-stored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21 is compared with the pre-stored pressure distribution as the speed is changed due to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o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due to steering for a curve road or lane change. You can check if you are a pre-stored driver.

또한, 운전자확인부(20)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가감속 패턴 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이 기저장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learns an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for the driver to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vehicle or a steering pattern for manipul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in which the learn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pattern is pre-stored. By comparing the pattern with the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가감속 패턴은 운전자의 악셀레이터 또는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급가속 또는 급감속 등의 운전 습관을 의미하는 패턴이고, 기저장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기저장된 가감속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is a pattern indicating a driving habit such as rapid acceleration or rapid deceleration of operating an accelerator or brake of the driver, and a pre-stor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may be stored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habit.

또한, 조향 패턴은 커브 도로에서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조작함에 따른 오버스티어링 또는 언더스티어링 정도 또는, 운전자의 스티어링휠 조작에 따른 차량의 기울기 정도 등의 운전 습관을 의미하는 패턴이고, 기저장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기저장된 조향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ring pattern is a pattern indicating a driving habit such as the degree of oversteering or understeering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on a curved road or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a habit, a pre-stored steering pattern may be stored.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제어부(50)와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가감속 제어 또는 조향 제어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unit 50 to receive a signal related to acceleration/deceleration control or steering control by the driver.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경로를 기저장된 주행경로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20 may compare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with the pre-stored driving path to confirm whether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운전자확인부(20)는 네비게이션(23) 및 GPS 센서와 연결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 및 위치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driver check unit 20 is connected to the navigation device 23 and the GPS sensor, and may receive an input of a route and a location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기저장된 주행경로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주행시 이용한 경력이 있는 경로 또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일 수 있다. The pre-stored driving route may be a route in which the pre-stored driver has a history of driving or a route frequently used by the pre-stored driver.

즉, 운전자확인부(20)는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가 이용한 적이 없던 경로로 주행하거나, 기저장된 운전자가 이용한 빈도가 낮은 경로로 주행하는 경우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may determine that the on-board driver is not the pre-stored driver when the driver drives on a route that the pre-stored driver has never used, or when the driver drives on a route that the pre-stored driver uses less frequently. have.

또한, 운전자확인부(20)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영상센서(22)와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하는 상태에 영상센서(22)에서 센싱한 주행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22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riding in the driver's seat based on the driving image sensed by the image sensor 22 i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You can check if you are a saved driver.

영상센서(22)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일 수 있다. The image sensor 22 may be a camera sensor, a radar sensor, a lidar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that captures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일 실시예로, 영상센서(22)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의 주행도로를 촬영할 수 있다. 영상센서(22)는 차량이 주행 중인 주행도로의 차선을 센싱할 수 있고, 운전자확인부(20)는 센싱한 주행영상에서 인식한 차선과 차량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sensor 22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fa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may photograph a driving roa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mage sensor 22 may sense a lane of the driving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the driver check unit 2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us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lane and the vehicle recognized in the sensed driving image. have.

예를 들어, 운전자확인부(20)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주행중인 좌우측 차선 사이에서 주행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기저장하고, 현재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r check unit 20 may pre-store the relative position in which the pre-stored driver travels between the left and right lanes in which the driver is driving,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river is the pre-stored driv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무선감지센서(11) 및 도어센서(12)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and a door sensor 12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더 참조하면, 탑승감지부(1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감지센서(11)와 연결되고, 무선감지센서(11)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2 ,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detects whether a driver pre-stored in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can do.

일 실시예로,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내부에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감지하는 센서로, 스마트키를 제외한 보조수단이 차량의 내부에 위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무선감지센서(11)는 운전자가 주로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i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driver pre-stored inside the vehicle is on board, and may determine whether auxiliary means other than the smart key are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may detect a portable terminal mainly carried by the driver.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면 기저장된 운전자를 감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may operate to detect a pre-stored driver when the vehicle is unlocked or the vehicle door is opened.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유지되다가(상시 오프), 스마트키에 의해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웨이크업(Wake-Up)되어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개방은 도어센서(12)에서 감지할 수 있고, 도어센서(12)는 차량의 모든 문에 위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in the ignition-off state of the vehicle (always off), and then the vehicle is unlocked by the smart key or wake-up in the open state of the vehicle door. can start working.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may be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2 , and the door sensor 12 may be located on all doors of the vehicle.

즉,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잠금이 해지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면 기저장된 운전자를 감지하고, 탑승감지부(10)는 차량의 내부에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wireless sensor 11 detects a pre-stored driver when the lock of the vehicle is released or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detects whether a driver pre-stored in the vehicle is on board. have.

추가로, 차량제어부(50)는 탑승감지부(10)에서 차량의 내부에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vehicle not to allow the starting of the vehicle when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determines that the driver pre-stored in the vehicle is not in the vehicle.

다른 실시예로,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유지되다가, 차량의 시동이 걸린 시점에 웨이크업(Wake-Up)되어 작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may be maintained in the off state in the vehicle starting-off state, and then wake-up at the time the vehicle is started to start operation.

무선감지센서(11)는 복수 개가 차량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초광대역 주파수(UWB)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며, 탑승감지부(10)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wireless detection sensors 11 ar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etect a pre-stored portable terminal of the driver using an ultra-wideband frequency (UWB), and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is a pre-stored driver boarding. A location can be detected.

무선감지센서(11)는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무선감지센서(11)는 초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하는 UWB 앵커일 수 있고, UWB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다.The wireless sensor 11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may be a UWB anchor using an ultra-wideband frequency, and may detect a pre-stored portable terminal of the driver using UWB.

탑승감지부(10)는 복수 개의 무선감지센서(11)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기저장된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boarding detection unit 10 may detect a pre-stored portable terminal of the driver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sensing sensors 11, and thus may detect a pre-stored location of the driver.

일 실시예로, 2개의 무선감지센서(11)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wo wireless detection sensor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rding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driver pre-stor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is boarded.

표시한 것과 같이, 기저장된 운전자가 후석에 탑승한 경우에는 2개의 무선감지센서(11)의 센싱이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하나, 탑승감지부(10)는 차량 모델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중첩되는 위치(B)에서의 오인식을 필터링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pre-stored driver rides in the rear se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ing of the two wireless detection sensors 11 overlap, but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uses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odel to detect the overlapping It is possible to filter out the misrecognition at the location (B).

추가로, 탑승감지부(10)는 차량의 잠금 해제시에 무선감지센서(11)를 작동시켜 기저장된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제어부(50)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로 근접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10 operates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11 when the vehicle is unlock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pre-stored driver. When approaching the door of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or of the vehicle to be opened automatically.

도난판단부(30)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본인인증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it receives a bio-signal from the on-board driver, compares the received bio-signal with a pre-stored bio-signal, and reconfirms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The unit 60; may further include.

본인인증부(60)는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시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인인증부(60)는 지문, 뇌파, 심박수 또는 안면 인식 등의 생체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identity authentication unit 60 may reconfirm whether the driver in the vehicle is a pre-stored driver. In particular, the identity authentication unit 60 may receive bio-signals such as fingerprints, brain waves, heart rate, or face recognition and compare them with pre-stored bio-signals.

즉, 본인인증부(60)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운전자확인부(20)에서 운전자를 오인식함에 따라 도난 상태로 판단하지 않도록 재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self-authentication unit 60 may reconfirm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determined to be a theft state as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20 misrecognizes the driver when the driver is riding in a vehicle without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have.

이에 따라, 차량의 도난 상태를 오판단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driver by erroneously judging the stolen state of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vehicle theft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은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단계(S200);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300); 및 확인하는 단계(S200)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서, 감지하는 단계(S300)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3 , the method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driver riding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S200);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S300);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detecting step ( S300 ) while detecting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the checking step ( S200 ) (S400); includes.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단계(S200)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점(S100)에 운전자를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 운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onfirming step S200, the driver may be identifi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S100), or the driver may be identifi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s lock state is released or the door is opened.

감지하는 단계(S300)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점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detecting step (S30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re-stored driver is boarding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or check whether the pre-stored driver is boarding at the time when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is released or the door is opened.

다른 실시예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300); 이후에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단계(S200);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감지하는 단계(S300)와 확인하는 단계(S200)를 동시에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S300);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 S200 ). Alternatively, the sensing step (S300) and the checking step (S200) may be individual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판단하는 단계(S400)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ing step (S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len stat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tolen state to the pre-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600); may further include.

판단하는 단계(S400)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ing step (S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len state, controlling the vehicle to a preset theft mode (S700); may further include.

판단하는 단계(S400)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510); 및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단계(S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ing step (S4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len, the step of receiving a biosignal from the driver (S510); and comparing the received bio-signals with pre-stored bio-signals to reconfirm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S520).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탑승감지부 20 : 운전자확인부
30 : 도난판단부 40 : 무선통신부
50 : 차량제어부 60 : 본인인증부
10: boarding detection unit 20: driver confirmation unit
30: theft determination unit 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 vehicle control unit 60: identity authentication unit

Claims (16)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운전자확인부;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 및
운전자확인부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면서 탑승감지부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도난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a driver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an occupanc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in the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a thef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detects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vehicle while confirming that the driver is not the pre-stored driver anti-thef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len st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tolen state to the previously 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차량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vehicl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in a preset theft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압력센서에서 센싱한 압력을 기저장된 압력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with the pre-stored pressure to confirm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시트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복수 개의 압력센서에서 센싱한 압력 분포를 기저장된 압력 분포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pressure distribu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with the pre-stored pressure distribution, and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An anti-thef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firms that it is a stored dr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가감속 패턴 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이 기저장된 가감속 패턴 또는 조향 패턴과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learns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in which the driver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vehicle or the steering pattern to manipulat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learn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pattern with the pre-stored acceleration/deceleration pattern or steering pattern in the driver's seat. An anti-thef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whether the driver on board is a pre-stored dr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경로를 기저장된 주행경로와 비교하여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confirmation unit compares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with the pre-stored driving path and confirms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the pre-stored dr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확인부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영상센서와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하는 상태에 영상센서에서 센싱한 주행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is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that captures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based on the driving image sens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confirms whether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preven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탑승감지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감지센서와 연결되고, 무선감지센서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a wireless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vehicle anti-thef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detects whether a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청구항 9에 있어서,
무선감지센서는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면 기저장된 운전자를 감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detection sensor operates to detect a pre-stored driver when the vehicle is unlocked or the vehicle door is opened.
청구항 9에 있어서,
무선감지센서는 복수 개가 차량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초광대역 주파수(UWB)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지하며,
탑승감지부는 기저장된 운전자가 탑승한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wireless detection sensors are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etect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stored in advance using ultra-wideband frequency (UWB),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is an anti-thef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re-stored dr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난판단부에서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본인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ef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a self-certification unit that receives a biometric signal from the on-board driver, compares the received bio-signal with a pre-stored bio-signal, and reconfirms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Vehicle anti-thef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확인하는 단계;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확인하는 단계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서, 감지하는 단계에서 기저장된 운전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
checking whether the driver who sits in the driver's seat is a pre-stored driver;
detecting whether a pre-stored driver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and
Thef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re-stored driver is not in the vehicle interior in the checking step, and is not the pre-stored driver in the detecting step How to prevent.
청구항 13에 있어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저장된 운전자에게 도난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determin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ransmitting the stolen state to a previously stored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을 기설정된 도난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determin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olen state, controlling the vehicle to a preset theft mode; the vehicle theft preven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3에 있어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 받은 생체 신호를 기저장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탑승한 운전자가 기저장된 운전자인지 재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determin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len state, the step of receiving a biosignal input from the driver; and
The method of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comparing the received bio-signal with the pre-stored bio-signal and reconfirming whether the on-board driver is a pre-stored driver.
KR1020200029854A 2020-03-10 2020-03-10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KR20210114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54A KR20210114301A (en) 2020-03-10 2020-03-10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54A KR20210114301A (en) 2020-03-10 2020-03-10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01A true KR20210114301A (en) 2021-09-23

Family

ID=7792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54A KR20210114301A (en) 2020-03-10 2020-03-10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30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95B1 (en) 2012-09-06 2018-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robbery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95B1 (en) 2012-09-06 2018-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robbery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4197B2 (en) Method of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US11048263B2 (en) Autonomous driving device for vehicle
EP2915707B1 (en) Methods and sytem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vehicle operation using face recogntion
US9610908B2 (en) Device for setting at least one operating parameter of at least one vehicle system in a motor vehicle
EP1717117B1 (en) Vehicle security device and system
US20200001892A1 (en) Passenger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402042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access control
WO2018138980A1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00018100A1 (en) Occupant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4920891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CN111824175A (en) Vehicle control system
JP4451096B2 (en) Keyless entry device and system
KR20210114301A (en) Anti-thef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JP4918922B2 (en) Crew protection device
JP4491731B2 (en) Automotive control device
US11348346B2 (en) Control apparatus
US20220203932A1 (en) Functionality limiting system for a motorized vehicle and method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torized vehicle
JP2003205825A (en) Vehicle controller
KR20160133222A (en) A black box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wner of a vehicle
JP2004330979A (en) Drive controller of vehicle
CN114766047B (en) Driving restriction system
JP7363756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s, control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s
EP4151466B1 (en) Road vehicle emitting a warning signal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warning signal
KR10242563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liding doors of vehicles
JP2008087735A (en) Travelling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