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047A -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 Google Patents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047A
KR20210113047A KR1020210024185A KR20210024185A KR20210113047A KR 20210113047 A KR20210113047 A KR 20210113047A KR 1020210024185 A KR1020210024185 A KR 1020210024185A KR 20210024185 A KR20210024185 A KR 20210024185A KR 20210113047 A KR20210113047 A KR 2021011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trate
suction
maintenance
w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우스케 미네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Provided i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device area of a drawing device. The dra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rawing unit and a maintenance unit. The drawing unit discharges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to a work moving along a conveying direction to perform drawing on the work. The maintenance unit has an inspection unit that inspects the plurality of heads after being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unit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Description

묘화 장치 및 묘화 방법{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본 개시는 묘화 장치 및 묘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awing apparatus and a drawing method.

특허문헌 1에는, 반송되는 기판에 잉크젯 방식으로 도포액의 액적을 도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pplication of droplets of a coating liquid to a substrate to be conveyed by an inkjet method.

일본 특허 공개 제 2018-49805 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49805

본 개시는 묘화 장치의 장치 면적을 작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device area of a drawing apparatu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의한 묘화 장치는 묘화부와, 메인터넌스부를 구비한다. 묘화부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워크에 복수의 헤드로부터 기능액을 토출하여 워크에 묘화를 실행한다. 메인터넌스부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묘화부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의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부를 갖는다.A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rawing unit and a maintenance unit. The writing unit discharges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to the work moving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o perform writing on the work. The maintenance unit has an inspection unit that inspects the plurality of heads in a state of moving downward of the drawing unit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본 개시에 의하면, 묘화 장치의 장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dication, the apparatus area of a drawing apparatus can be made small.

도 1a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부의 일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계측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방풍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각 흡인부가 흡인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에 있어서 와이핑 처리를 실행할 때의 와이핑부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각 흡인부가 커버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에 있어서, 각 계측부가 계측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중량 계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draw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draw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art of a draw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maintenance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measurement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windbreak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moved to a suction posi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wiping unit when performing wiping processing in the maintenanc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suction unit has moved to a cover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each measurement part moves from a measurement position in the maintenance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묘화 장치 및 묘화 방법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개시되는 묘화 장치 및 묘화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which this application discloses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disclosed by embodiment shown below are not limited.

<전체 구성><Entire configuration>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1)에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a에서는 제어 장치(9) 등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The drawing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1A and FIG. 1B. 1A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aw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1B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in FIG. 1A, some structures, such as the control apparatus 9, are abbreviate|omitted.

묘화 장치(1)는 워크인 기판(S)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잉크젯 방식으로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하는 기판 처리 장치이다. 기판(S)은 예를 들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기판이다.The drawing apparatus 1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drawing on the board|substrate S by an inkjet system, conveying the board|substrate S which is a work-in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oard|substrate S is a board|substrate used for a flat panel display, for example.

묘화 장치(1)는 반입 스테이지(2)와, 묘화 스테이지(3)와, 반출 스테이지(4)와, 이동 장치(5)와, 메인터넌스부(6)와, 묘화 상태 검출부(7)와, 플러싱부(8)와, 제어 장치(9)를 구비한다.The drawing device 1 includes a loading stage 2 , a drawing stage 3 , a carrying out stage 4 , a moving device 5 , a maintenance section 6 , a drawing state detection section 7 , and flushing. A unit (8) and a control device (9) are provided.

이하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서로 직교하는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을 규정하고, Z축 정방향을 연직 상향방향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를 나타낸다.In each drawing referenced below,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easy to understand,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defined, and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in which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is a vertically upward direction is shown.

또한, 여기에서는 Y축 정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Y축 부방향을 후방으로 하는 전후방향을 규정하고, X축 부방향을 우측으로 하고, X축 정방향을 좌측으로 하는 좌우방향을 규정한다. 또한, Z축 정방향을 상방으로 하고, Z축 부방향을 하방으로 하는 상하방향을 규정한다. Y축방향, 즉 전후방향은 기판(S)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X축방향, 즉 좌우방향은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일치한다.Her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the positive Y-axis direction as the front and the negative Y-axis direction as the rear are defined, and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negative X-axis direction to the right and the positive X-axis direction to the left is defined. Further, an up-down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is upward and the negative Z-axis direction is downward is defined.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front-back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conveyanc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substrate S is conveyed. In additio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left-right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묘화 장치(1)에서는 반입 스테이지(2), 묘화 스테이지(3), 및 반출 스테이지(4)는 반입 스테이지(2), 묘화 스테이지(3), 반출 스테이지(4)의 순서대로 Y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묘화 장치(1)는, 반입 아암에 의해 반입 스테이지(2)에 반입한 기판(S)을 Y축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면서 묘화를 실행하고, 묘화를 실행한 기판(S)을 반출 스테이지(4)로부터 반출 아암에 의해 반출한다.In the drawing apparatus 1, the carrying-in stage 2, the drawing stage 3, and the carrying-out stage 4 follow the Y-axis 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carrying-in stage 2, the drawing stage 3, and the carrying out stage 4. are placed The drawing apparatus 1 draws, conveying the board|substrate S carried in to the carrying-in stage 2 with the carrying-in arm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carrying out the board|substrate S which performed drawing to the carrying-out stage 4 It is taken out by the unloading arm from.

또한, 반송방향에 있어서 반입 스테이지(2)측을 상류로 하고, 반출 스테이지(4)측을 하류로 하여 설명하는 일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서는, 설명을 위해 각 스테이지(2 내지 4)에 기판(S)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a conveyance direction, the carrying-in stage 2 side may be made upstream, and the carrying-out stage 4 side may be described as downstream. In addition, in FIG. 1A and FIG. 1B, the state which arrange|positioned the board|substrate S on each stage 2 - 4 is shown for description.

반입 스테이지(2)에는, 반입 아암에 의해 기판(S)이 반입된다. 반입 스테이지(2)에서는, 반입 아암으로부터 제 1 소터(50)로의 기판(S)의 주고받음이 실행된다. 반입 스테이지(2)에 반입된 기판(S)은, 이동 장치(5)의 제 1 소터(5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The board|substrate S is carried in to the carrying-in stage 2 by a carrying-in arm. In the carrying-in stage 2, the transfer of the board|substrate S from a carrying-in arm to the 1st sorter 50 is performed. The board|substrate S carried in to the carrying-in stage 2 is supported from below by the 1st sorter 50 of the moving apparatus 5. As shown in FIG.

반입 스테이지(2)는 복수의 제 1 부상부(20)와, 복수의 제 2 부상부(21)와, 부착물 검출 장치(22)를 구비한다.The carrying-in stage 2 is equipped with the some 1st floating part 20, the some 2nd floating part 21, and the adhesion|attachment detection apparatus 22. As shown in FIG.

제 1 부상부(20)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된다. 제 1 부상부(20)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마련된다. 제 1 부상부(20)는, 제 1 소터(50)에 의해 지지된 기판(S)의 하방으로부터, 기판(S)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에 대해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이하, 부상력이라 칭함)을 부여한다. 부상력은 기판(S)의 부상고(浮上高)를 안정시키는 힘으로서, 기판(S)에 작용하는 중력을 경감하는 힘이다. 제 1 부상부(20)는 부상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 1 소터(50)에 지지된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상부(20)는 기판(S)의 부상고를 2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제 1 부상부(20)에 의한 기판(S)을 향한 공기의 불어넣음은, 기판(S)의 휨 교정의 작용도 있다.The first floating part 20 is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he first floating part 20 is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floating portion 20 blows air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S supported by the first sorter 50 toward the substrate S, and a forc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vitation force). The levitation force is a force for stabilizing the levitation height of the substrate S, and is a force that reduces gravity acting on the substrate S. The 1st floating part 20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1st sorter 50 by providing a floating force. Specifically, the first floating portion 20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to be stable within the range of 200 μm to 2000 μm. In addition, blowing in the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by the 1st floating part 20 also has the effect|action of the curvature cor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제 2 부상부(21)는 제 1 부상부(20)보다 하류이며, 후술하는 묘화 스테이지(3)의 제 1 부상부(30)보다 상류에 마련된다. 제 2 부상부(21)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마련된다.The 2nd floating part 21 is downstream from the 1st floating part 20, and is provided above the 1st floating part 30 of the drawing stage 3 mentioned later. The second floating part 21 is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 2 부상부(21)는 제 1 소터(50)에 의해 지지된 기판(S)의 하방으로부터, 기판(S)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에 대해 부상력을 부여한다. 또한, 제 2 부상부(21)는 기판(S)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제 2 부상부(21)는 제 1 소터(50)에 지지된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The second floating portion 21 blows air toward the substrate S from below the substrate S supported by the first sorter 50 to impart a floating force to the substrate S. In addition, the second floating part 21 sucks air existing between the substrate S and the substrate S. Thereby, the 2nd floating part 21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1st sorter 50.

구체적으로는, 제 2 부상부(21)는 기판(S)의 부상고를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도록 고정밀도로 조정하고, 부착물 검출 장치(22)에 의해 기판(S)에 부착된 부착물을 검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2 부상부(21)는 기판(S)에 대해 불어넣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다. 제 2 부상부(21)는 기판(S)의 크기나, 두께 등에 따라서 기판(S)의 하면을 향하여 불어넣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부상부(21)는 기판(S)의 부상고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상부(21)에 의한 기판(S)을 향한 공기의 불어넣음은, 기판(S)의 휨 교정의 작용도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floating part 21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with high precision so as to be stable within the range of 30 μm to 60 μm, and adheres to the substrate S by the deposit detection device 22 . It makes it possible to detect deposits. Moreover, the 2nd floating part 21 can adjust the flow volume of the air blown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S. The second floating part 21 can adjust the flow rate of air blow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ccording to the size, thickness, or the like of the substrate S. Thereby, the 2nd floating part 21 can adjust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with high precision. In addition, blowing in the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by the 2nd floating part 21 also has the effect|action of the curvature cor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이와 같이, 제 1 부상부(20), 및 제 2 부상부(21)는 제 1 소터(50)에 의해 복수 개소를 지지된 기판(S)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In this way, the first floating part 20 and the second floating part 21 blow air from below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S suppor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by the first sorter 50 to remove the Adjust injuries.

부착물 검출 장치(22)는 제 2 부상부(21)에 의해 공기가 불어넣어진 기판(S)에 대해 부착물의 유무를 검출한다. 부착물 검출 장치(22)는 레이저부(22a)와, 수광부(22b)를 구비한다.The deposit detection apparatus 22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on|attachment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S blown with air by the 2nd floating part 21. As shown in FIG. The deposit detection device 22 includes a laser unit 22a and a light receiving unit 22b.

레이저부(22a)는 좌우방향의 반입 스테이지(2)의 일단에 마련된다. 수광부(22b)는 좌우방향의 반입 스테이지(2)의 타단에 마련된다. 즉, 부착물 검출 장치(22)는 레이저부(22a)와 수광부(22b)를 기판(S)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부착물 검출 장치(22)는, 레이저부(22a)로부터 조사된 레이저의 광량을 수광부(22b)에서 검출하여, 기판(S)으로의 부착물의 유무를 검출한다.The laser part 22a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rrying-in stage 2 of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ight receiving part 22b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arrying-in stage 2 of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deposit detection device 22 arranges the laser unit 22a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2b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bstrate 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eposit detection apparatus 22 detects the light quantity of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laser part 22a by the light receiving part 22b,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posit|attachment to the board|substrate S.

묘화 스테이지(3)에는 제 1 소터(50)에 의해 반입 스테이지(2)로부터 기판(S)이 반송된다. 묘화 스테이지(3)에서는, 제 1 소터(50)로부터 제 2 소터(51)로의 기판(S)의 주고받음이 실행된다. 묘화 스테이지(3)에 반송된 기판(S)은, 이동 장치(5)의 제 2 소터(5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The board|substrate S is conveyed from the carrying-in stage 2 by the 1st sorter 50 to the drawing stage 3 . In the drawing stage 3 , the transfer of the substrate S from the first sorter 50 to the second sorter 51 is performed. The board|substrate S conveyed to the drawing stage 3 is supported from below by the 2nd sorter 51 of the moving apparatus 5. As shown in FIG.

묘화 스테이지(3)는 복수의 제 1 부상부(30)와, 제 2 부상부(31)와, 묘화부(32)를 구비한다.The writing stage 3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loating units 30 , a second floating unit 31 , and a writing unit 32 .

제 1 부상부(30)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된다. 제 1 부상부(30)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마련된다. 제 1 부상부(30)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묘화부(32)보다 상류측에 마련된다.The first floating part 30 is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he first floating part 30 is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floating part 30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 part 32 in the conveyance direction.

제 1 부상부(30)는 제 1 소터(50), 또는 제 2 소터(51)에 의해 지지된 기판(S)의 하방으로부터, 기판(S)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에 대해 부상력을 부여한다. 제 1 부상부(30)는 부상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 1 소터(50), 또는 제 2 소터(51)에 지지된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상부(30)는 기판(S)의 부상고를 2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제 1 부상부(30)에 의한 기판(S)을 향한 공기의 불어넣음은, 기판(S)의 휨 교정의 작용도 있다.The first floating part 30 blows air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S supported by the first sorter 50 or the second sorter 51 toward the substrate S, to the substrate S. give levitation to The 1st floating part 30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1st sorter 50 or the 2nd sorter 51 by providing a floating force. Specifically, the first floating part 30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to be stable within the range of 200 μm to 2000 μm. In addition, blowing in the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by the 1st floating part 30 also has the effect|action of the curvature cor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제 2 부상부(31)는 제 1 부상부(30)보다 하류에 마련되며, 묘화부(32)의 하방에 마련된다. 제 2 부상부(3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The second floating part 31 is provided downstream from the first floating part 30 , and is provided below the drawing part 32 . The second floating part 31 is installe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2 부상부(31)는 제 2 소터(51)에 의해 지지된 기판(S)의 하방으로부터, 기판(S)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에 대해 부상력을 부여한다. 또한, 제 2 부상부(31)는 기판(S)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제 2 부상부(31)는 제 2 소터(51)에 지지된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 제 2 부상부(31)는 제 1 부상부(30)보다 기판(S)의 부상고를 고정밀도로 조정한다.The 2nd floating part 31 blows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2nd sorter 51, and provides a floa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S. In addition, the second floating part 31 sucks air existing between the substrate S and the substrate S. Thereby, the 2nd floating part 31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2nd sorter 51. The second floating part 31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more precisely than the first floating part 30 .

구체적으로는, 제 2 부상부(31)는 기판(S)을 수평으로 보지하여, 기판(S)의 부상고를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도록 고정밀도로 조정하여, 묘화부(32)에 의해 정밀도 양호하게 기판(S)에 묘화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2 부상부(31)는 반입 스테이지(2)의 제 2 부상부(21)와 마찬가지로, 기판(S)에 대해 불어넣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제 2 부상부(31)에 의한 기판(S)을 향한 공기의 불어넣음은 기판(S)의 휨 교정의 작용도 있다. 제 2 부상부(31)에는, 제 2 소터(51)가 이동 가능한 홈(31a)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floating part 31 holds the substrate S horizontally, and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with high precision so as to be stable within the range of 30 µm to 60 µm, and the drawing unit 32 It makes it possible to draw on the board|substrate S with high precision by this. Moreover, the 2nd floating part 31 can adjust the flow volume of the air blown in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S similarly to the 2nd floating part 21 of the carrying-in stage 2 . In addition, blowing in the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by the 2nd floating part 31 also has the effect|action of the curvature cor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A groove 31a through which the second sorter 51 is movable is formed in the second floating part 31 .

이와 같이, 제 1 부상부(30), 및 제 2 부상부(31)는 제 1 소터(50), 또는 제 2 소터(51)에 의해 복수 개소를 지지된 기판(S)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의 부상고를 조정한다.In this way, the first floating part 30 and the second floating part 31 are air blown from below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S suppor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by the first sorter 50 or the second sorter 51 . Adjust the floating height of the substrate (S) by blowing.

묘화부(32)는 잉크젯식으로서, 기판(S)에 잉크 등의 기능액을 토출하여,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한다. 묘화부(32)는 제 2 소터(51), 및 제 2 부상부(31)에 의해 수평으로 보지된 상태에서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기판(S)에 기능액의 액적을 토출한다.The drawing part 32 is an inkjet type, and discharges functional liquids, such as ink, to the board|substrate S, and performs drawing on the board|substrate S. The writing unit 32 discharges droplets of the functional liquid to the substrate S moving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in a state held horizontally by the second sorter 51 and the second floating unit 31 .

묘화부(32)는 복수의 캐리지(32a)를 구비한다. 캐리지(3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또한, 캐리지(32a)는 반송방향으로 2열 마련된다. 또한, 캐리지(32a)는 반송방향으로 1열이어도 좋으며, 3열 이상의 복수열 마련되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부(32)의 일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The drawing unit 32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ages 32a. As shown in FIG. 2, the carriage 32a is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Further, the carriages 32a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addition, one row of carriages 32a may be provided in a conveyance direction, and three or more rows may be provided. 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drawing unit 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캐리지(32a)는 기능액을 토출하는 복수의 헤드(32b)를 구비한다. 헤드(32b)는 1개의 캐리지(32a)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2열 마련된다. 또한, 헤드(32b)는 좌우방향으로 일렬이어도 좋으며, 3열 이상의 복수열 마련되어도 좋다.The carriage 32a has a plurality of heads 32b for discharging the functional liquid. The heads 32b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carriage 32a. Further, the heads 32b may be arranged in a r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a plurality of rows of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또한, 헤드(32b)는 반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헤드(32b)는 반송방향으로 6열 마련된다. 또한, 헤드(32b)는 반송방향으로 일렬이어도 좋으며, 8열 등 복수열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묘화부(32)는 복수의 헤드(32b)를 각각 가지며, 좌우방향(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일예)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캐리지(32a)를 구비한다. 묘화부(32)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기판(S)(워크의 일예)에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을 토출하여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한다.Further, the heads 32b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heads 32b are provided in six row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Further, the heads 32b may be arranged in a row in the conveying direction, o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such as 8 rows. In this way, the drawing unit 32 has a plurality of heads 32b, respectivel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ages 32a arrange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an example of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he writing unit 32 performs writing on the substrate S by discharging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32b to the substrate S (an example of a work) moving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도 1a, 및 도 1b로 복귀하여, 묘화부(32)는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묘화부(32)는 메인터넌스부(6)에 의해 묘화부(32)의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경우나, 묘화 상태 검출부(7)에 의해 묘화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Returning to Figs. 1A and 1B, the position of the drawing unit 32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fixed. In addition, the drawing unit 32 mov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aintenance unit 6 performs maintenance of the drawing unit 32 or when the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detects the drawing state. .

반출 스테이지(4)에는, 제 2 소터(51)에 의해 묘화 스테이지(3)로부터 기판(S)이 반송된다. 반출 스테이지(4)에서는, 제 2 소터(51)로부터 이동 장치(5)의 제 3 소터(52)로 기판(S)이 주고받아진다. 기판(S)은 제 3 소터(52)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The board|substrate S is conveyed from the drawing stage 3 by the 2nd sorter 51 to the carrying out stage 4 . In the carrying out stage 4, the board|substrate S is exchanged from the 2nd sorter 51 to the 3rd sorter 52 of the moving device 5. As shown in FIG. The substrate S is supported from below by the third sorter 52 .

또한, 반출 스테이지(4)에서는, 제 3 소터(52)에 의해 하류측에 반송된 기판(S)이 제 3 소터(52)로부터 반출 아암으로 주고받아진다.Moreover, in the carrying out stage 4, the board|substrate S conveyed downstream by the 3rd sorter 52 is exchanged from the 3rd sorter 52 to the carrying arm.

반출 스테이지(4)는 복수의 부상부(40)를 구비한다. 부상부(40)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된다. 부상부(40)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마련된다.The carrying-out stage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ating parts 40 . The floating part 40 is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he floating part 40 is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부상부(40)는 제 2 소터(51), 또는 제 3 소터(52)에 의해 지지된 기판(S)의 하방으로부터, 기판(S)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기판(S)에 대해 부상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부상부(40)는 제 2 소터(51), 또는 제 3 소터(52)에 지지된 기판(S)의 부상고를 2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부상부(40)에 의한 기판(S)을 향한 공기의 불어넣음은, 기판(S)의 휨 교정의 작용도 있다.The floating part 40 blows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2nd sorter 51 or the 3rd sorter 52, and floats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S. give power Thereby, the floating part 40 adjusts the floating height of the board|substrate S supported by the 2nd sorter 51 or the 3rd sorter 52 so that it may be stabilized within the range of 200 micrometers - 2000 micrometers. In addition, blowing in the air toward the board|substrate S by the floating part 40 also has the effect|action of the curvature cor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이동 장치(5)는 복수의 제 1 소터(50)와, 복수의 제 2 소터(51)와, 복수의 제 3 소터(52)와 구동부(53)를 구비한다.The moving device 5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orters 50 , a plurality of second sorters 51 , a plurality of third sorters 52 , and a driving unit 53 .

제 1 소터(50)는 예를 들면 4개 마련되며, 구동부(53)에 의해, 상하방향, 및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 1 소터(50)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소터(50)는 반입 아암에 의해 반입된 기판(S)의 하면에 흡착되어,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제 1 소터(50)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S)을 반입 스테이지(2)로부터 묘화 스테이지(3)까지 반송하여, 제 2 소터(51)에 기판(S)을 주고받는다.Four first sorters 50 are provided, for example, and m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53 . The first sorter 50 supports the substrate S from below. Specifically, the 1st sorter 50 is adsorb|suck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substrate S carried in by the carrying-in arm, and supports the board|substrate S from below. The 1st sorter 50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from the carrying-in stage 2 to the drawing stage 3 in the state which supported the board|substrate S from below, and it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to the 2nd sorter 51. exchange the

제 2 소터(51)는 예를 들면 4개 마련되며, 구동부(53)에 의해, 상하방향,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 2 소터(51)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소터(51)는 제 1 소터(50)에 의해 반송된 기판(S)의 하면에 흡착되어,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제 2 소터(51)는 얼라인먼트 카메라(55)에 의해 촬영된 기판(S)의 화상에 근거하여, 기판(S)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소터(51)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S)을 묘화 스테이지(3)와 반입 스테이지(2) 사이에서 반송하고, 제 3 소터(52)에 기판(S)을 주고받는다.Four second sorters 51 are provided, for example, and are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53 . The second sorter 51 supports the substrate S from below. Specifically, the second sorter 51 is adsorb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conveyed by the first sorter 50 , and supports the substrate S from below. Moreover, the 2nd sorter 51 can perform adjust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ard|substrate S based on the image of the board|substrate S image|photographed with the alignment camera 55. As shown in FIG. The 2nd sorter 51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between the drawing stage 3 and the carrying-in stage 2 in the state which supported the board|substrate S from below, and carries out the board|substrate S to the 3rd sorter 52. ) are exchanged.

제 3 소터(52)는 예를 들면 4개 마련되며, 구동부(53)에 의해, 상하방향, 및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 3 소터(52)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소터(52)는 제 2 소터(51)에 의해 반송된 기판(S)의 하면에 흡착되어,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제 3 소터(52)는 기판(S)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출 아암에 기판(S)을 주고받는다.Four third sorters 52 are provided, for example, and are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53 . The third sorter 52 supports the substrate S from below. Specifically, the third sorter 52 is adsorb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conveyed by the second sorter 51 , and supports the substrate S from below. The 3rd sorter 52 move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supported the board|substrate S from below, and transfers the board|substrate S to and from a carrying arm.

또한, 제 1 소터(50) 등의 수는 4개로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예를 들면, 6개여도 좋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1st sorters 50 etc. is not limited to four, For example, six may be sufficient.

구동부(53)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나, 체인 장치나, 벨트 장치 등을 가지며, 제 1 소터(50), 제 2 소터(51), 제 3 소터(52)를 각각 이동시킨다. 구동부(53)는 제 1 소터(50) 등을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The drive part 53 has,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a chain device, a belt device, etc., and moves the 1st sorter 50, the 2nd sorter 51, and the 3rd sorter 52, respectively. The driving unit 53 moves the first sorter 50 and the lik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또한, 구동부(53)는 메인터넌스부(6)나, 묘화 상태 검출부(7)의 롤지(71)나, 플러싱부(8)를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또한, 구동부(53)는 메인터넌스부(6)에 의해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경우나, 묘화 상태 검출부(7)에 의해 묘화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나, 플러싱을 실행하는 경우에, 묘화부(32)를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Further, the drive unit 53 moves the maintenance unit 6 , the rolled paper 71 of the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 and the flushing unit 8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e unit 53 operates the drawing unit 32 when performing maintenance by the maintenance unit 6, detecting the drawing state by the drawing state detecting unit 7, or performing flushing. move in the up-down direction.

또한, 구동부(53)는 메인터넌스부(6)의 각 흡인부(60)(도 3 참조) 등을 이동시킨다.Further, the driving unit 53 moves each suction unit 60 (refer to FIG. 3 ) and the like of the maintenance unit 6 .

또한, 구동부(53)는 각 소터(50 내지 52)나, 메인터넌스부(6) 등에 대응하여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즉, 각 소터(50 내지 52)나, 메인터넌스부(6) 등은 상이한 구동부(53)에 의해 구동되어도 좋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53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orters 50 to 52, the maintenance unit 6, and the like. That is, each of the sorters 50 to 52 and the maintenance unit 6 may be driven by different driving units 53 .

메인터넌스부(6)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묘화부(32)에 대해 후술하는 묘화 상태 검출부(7)의 롤지(71)(검사 필름부)와는 반대측에 마련된다. 다음에, 메인터넌스부(6)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6)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The maintenance part 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oll paper 71 (inspection film part) of the drawing state detection part 7 mentioned later with respect to the writing part 32 in a conveyance direction. Next, the maintenance part 6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3 :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maintenance part 6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메인터넌스부(6)는 반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묘화부(32)보다 상류측의 대기 위치에 있으며,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로부터, 묘화부(32)의 하방의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한다.The maintenance part 6 moves along the rail extended and install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When not performing maintenance work, the maintenance part 6 exists in the standby position upstream from the drawing part 32, and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from a standby position, it maintains below the drawing part 32 from a standby position. move to location

메인터넌스부(6)는 메인터넌스 작업으로서, 흡인 처리, 와이핑 처리, 및 중량 검사 처리를 실행한다. 흡인 처리는 헤드(32b) 내에 남은 기능액을 흡인하고, 잉크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처리이다. 와이핑 처리는 기능액이 흡인된 헤드(32b)를 불식하는 처리이다. 중량 검사 처리는 헤드(32b)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하는 처리이다.The maintenance unit 6 executes a suction process, a wiping process, and a weight inspection process as maintenance work. The suction process is a process for sucking the functional liquid remaining in the head 32b and forcibly discharging ink. The wip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functional fluid is sucked out of the head 32b. The weight inspection process is a proces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discharged from the head 32b.

메인터넌스부(6)는 미리 설정된 제 1 타이밍에 의해,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예를 들면, 1일에 수회,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The maintenance unit 6 executes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at a preset first timing. The maintenance unit 6 executes, for example,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several times a day.

메인터넌스부(6)는 미리 설정된 제 2 타이밍에 의해, 중량 검사 처리를 실행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예를 들면, 1주간에 1회, 중량 검사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흡인 처리, 와이핑 처리, 및 중량 검사 처리는 작업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The maintenance unit 6 executes a weight inspection process at a preset second timing. The maintenance unit 6 executes a weight inspection process, for example, once a week. In addition, the suction process, the wiping process, and the weight inspection process may be executed based on the operator's operation.

메인터넌스부(6)는 복수의 흡인부(60)와, 복수의 와이핑부(61)와, 복수의 검사부(62)를 구비한다.The maintenance unit 6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 a plurality of wiping units 61 , and a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62 .

복수의 흡인부(60)는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캐리지(32a)의 수에 따라서 마련된다. 즉, 복수의 흡인부(60)는 복수의 캐리지(32a)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복수의 흡인부(60)는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캐리지(32a)의 수에 따라서 반송방향으로 2열 마련되어도 좋다. 각 흡인부(60)는 반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 복수의 흡인부(60)는 복수의 헤드로부터 기능액을 흡인한다.The plurality of suction portions 60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riages 32a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ions 6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rriages 32a.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ions 60 may b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riages 32a in the conveying direction. Each suction part 60 is movable in a conveyance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suck the functional flui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각 흡인부(60)는 복수의 캡(60a)을 구비한다. 각 캡(60a)은 헤드(32b)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하방향에 있어서 헤드(32b)에 대치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캡(60a)은 좌우방향으로 2열, 및 반송방향으로 12열 마련된다.Each suction part 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ps 60a. Each cap 60a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eads 32b, and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replaced with the heads 32b in an up-down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aps 60a are provided in 2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12 rows in the conveying direction.

각 캡(60a)은 흡인부(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헤드(32b)에 밀착 가능하다. 각 캡(60a)은 흡인 처리시에, 대응하는 헤드(32b)에 밀착되어, 대응하는 헤드(32b)로부터 흡인되는 기능액을 받는다. 흡인 처리에서는, 헤드(32b)에 밀착된 캡(60a) 내가 흡인 기구에 의해 부압이 되는 것에 의해, 헤드(32b) 내에 남은 기능액이 흡인된다. 또한, 각 캡(60a)은 중량 계측시에, 대응하는 헤드(32b)에 밀착된다.Each cap 60a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head 32b by the suction part 60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cap 6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head 32b during the suction treatment, and receives the functional fluid sucked from the corresponding head 32b. In the suction treatment, the functional liquid remaining in the head 32b is sucked by the suction mechanism in the cap 60a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32b to create a negative pressure. In addition, each cap 6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head 32b at the time of weighing.

각 흡인부(60)는 메인터넌스부(6)의 지지대(6a)에 대해, 반송방향을 따라서 각각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흡인부(60)는 퇴피 위치와, 흡인 위치, 또는 커버 위치 사이를 반송방향을 따라서 각각 이동한다. 도 3은 각 흡인부(60)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Each suction part 60 moves along a conveyan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and 6a of the maintenance part 6, respectively. Specifically, each suction unit 60 moves between the retracted position, the suction position, or the cover position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respectively. 3 shows a state in which each suction unit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퇴피 위치는 각 와이핑부(61)에 의해 와이핑 처리가 실행되는 캐리지(32a)에 대응하는 각 흡인부(60)가 퇴피하는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는 검사부(62)의 각 계측부(63)에 의해 중량 계측 처리가 실행되는 캐리지(32a)에 대응하는 흡인부(60)가 퇴피하는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는 각 흡인부(60)의 기준 위치이기도 하다.The retracted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each suction unit 60 corresponding to the carriage 32a on which the wiping process is performed by each wiping unit 61 is retracted. Incidentally, the retracted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the suction unit 60 corresponding to the carriage 32a on which the weight measurement processing is performed by each measuring unit 63 of the inspection unit 62 is retracted. In addition, the retracted position is also the reference position of each suction part 60. As shown in FIG.

흡인 위치는 퇴피 위치보다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위치이며,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각 캡(60a)이 대응하는 헤드(32b)의 하방이 되는 위치이다.The suction position is a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 and is a position where each cap 60a is below the corresponding head 32b when performing the suction process and the wiping process.

커버 위치는 퇴피 위치보다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위치이며, 중량 계측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캡(60a)이 대응하는 헤드(32b)의 하방이 되는 위치이다.The cover position is a position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 and is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caps 60a is below the corresponding head 32b when the weight measurement process is performed.

와이핑부(61)는, 흡인 처리에 의해 기능액이 흡인된 각 헤드(32b)에 대하여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 즉, 와이핑부(61)는 복수의 흡인부(60)에 의해 기능액이 흡인된 복수의 헤드(32b)를 불식한다.The wiping unit 61 performs a wiping process on each head 32b from which the functional fluid has been sucked by the suction process. That is, the wiping unit 61 blots out the plurality of heads 32b in which the functional fluid is sucked by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

와이핑부(61)는 복수의 흡인부(60)의 퇴피 위치보다, 반송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마련된다. 와이핑부(61)는 좌우방향(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일예)에 있어서, 메인터넌스부(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다. 즉, 와이핑부(61)는 2개 마련되며, 한쪽의 와이핑부(61)는 지지대(6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일단에 마련되며, 다른쪽의 와이핑부(61)는 지지대(6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타단에 마련된다.The wiping portion 61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ions 60 . The wiping parts 6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part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 example of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a conveyance direction), respectively. That is, two wiping parts 61 are provided, one wiping part 61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6a, and the other wiping part 61 is provided on the support 6a. I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eft-right direction in in.

각 와이핑부(61)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각 와이핑부(61)는, 롤부에 의해 와이핑 시트(61a)를 회전시키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헤드(32b)의 선단에 부착된 기능액을 불식한다. 각 와이핑부(61)는 롤부에 의해 와이핑 시트(61a)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헤드(32b)의 기능액을 닦아내는 불식면이 새것이 된다.Each wiping unit 61 is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ach of the wiping units 61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wiping sheet 61a by means of a roll unit to dislodge the functional liquid adhering to the tip of the head 32b. Each wiping unit 61 rotates the wiping sheet 61a by the roll unit, so that the wiping surface for wiping the functional liquid of the head 32b becomes new.

검사부(62)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묘화부(32)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32b)의 검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사부(62)는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검사부(62)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흡인부(60)에 대해 와이핑부(61)와는 반대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검사부(62)는 복수의 흡인부(60)의 퇴피 위치보다,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마련된다. 메인터넌스부(6)에서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와이핑부(61)와 검사부(62) 사이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다.The inspection unit 62 inspects the plurality of heads 32b while moving downward of the drawing unit 32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Specifically, the inspection unit 62 executes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32b. The inspection part 6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wiping part 61 with respect to the some suction part 60 in a conveyance direction. Specifically, the inspection unit 6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rather than the retracte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 In the maintenance unit 6 , a work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iping unit 61 and the inspection unit 62 in the conveying direction.

검사부(62)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메인터넌스부(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다. 즉, 검사부(62)는 2개 마련되며, 한쪽의 검사부(62)는 지지대(6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일단에 마련되며, 다른쪽의 검사부(62)는 지지대(6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타단에 마련된다.The inspection part 6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part 6 in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That is, two inspection parts 62 are provided, one inspection part 6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support base 6a, and the other inspection part 62 is the left and right in the support base 6a.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rection.

각 검사부(62)는 계측부(63)와, 방풍부(64)를 각각 구비한다.Each inspection unit 62 includes a measurement unit 63 and a windbreak unit 64 , respectively.

각 계측부(63)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각각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각 계측부(63)는 좌우방향의 단부의 위치인 각 계측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Each measurement part 63 is movable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Specifically, each measurement part 63 move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each measurement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edge part of a left-right direction.

각 계측부(6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천칭부(63a)를 구비한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계측부(63)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각 천칭부(63a)는 1개의 캐리지(32a)에 있어서의 헤드(32b)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 헤드(32b)에 대치 가능하게 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천칭부(63a)는 좌우방향으로 2열, 및 반송방향으로 12열 마련된다.Each measurement part 63 is provided with the some balance part 63a, as shown in FIG. 4 :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measurement part 63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Each of the balance parts 63a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eads 32b in one carriage 32a, and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substituted for each head 32b in an up-down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alance portions 63a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12 row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각 천칭부(63a)에는 상방이 개구되는 개구부(63b)가 각각 형성된다. 각 천칭부(63a)에는 각 헤드(32b)로부터 개구부(63b)를 거쳐서 기능액의 액적이 토출되며, 토출된 기능액이 각각 저류된다. 각 천칭부(63a)는 저류된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한다. 즉, 계측부(63)는, 각 헤드(32b)로부터 토출된 기능액의 액적의 중량을, 각 천칭부(63a)에 의해 개별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Each of the balance portions 63a is provided with an opening 63b that opens upwards, respectively. Droplets of the functional liquid are discharged from each head 32b through the opening 63b to each of the balance portions 63a, and the discharged functional liquid is stored respectively. Each balance part 63a measures the weight of the stored functional liquid.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63 can individually measure the weight of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discharged from each head 32b by the respective balance units 63a.

각 계측부(63)는 기능액의 액적이 토출된 상태에서, 각 계측 위치까지 이동하여, 액적의 중량을 계측한다.Each measurement unit 63 moves to each measuremen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is discharged,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droplet.

도 3으로 복귀하여, 각 방풍부(64)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 각 방풍부(64)는 각 계측부(63)가 계측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각 계측부(63)의 상방을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각 방풍부(64)는 각 계측부(63)에 의해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천칭부(63a)의 개구부(63b)를 차폐한다. 이에 의해, 각 계측부(63)에 의해 기능액의 액적의 중량을 계측하는 경우에, 주위의 바람의 영향에 의해 계측 오차가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Returning to FIG. 3 , each of the windbreaks 64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Each windbreak part 64 covers the upper side of each measurement part 63, when each measurement part 63 exists in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cally, each windbreak unit 64 shields the openings 63b of the plurality of balance units 63a when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is measured by the respective measurement units 63 .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is measured by each measuring unit 63, it is prevented that a measurement error is gene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wind.

각 방풍부(64)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흡인 노즐(65)이 마련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방풍부(64)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복수의 흡인 노즐(65)은 각 방풍부(64)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복수의 흡인 노즐(65)은 기능액의 중량의 계측이 종료되면, 각 천칭부(63a)의 개구부(63b)로부터 각 천칭부(63a) 내에 삽입되고, 각 천칭부(63a) 내의 기능액을 흡인하고, 각 천칭부(63a)로부터 기능액을 배출한다.As shown in FIG. 5, each windbreak part 64 is provided with the some suction nozzle 65. As shown in FIG. 5 :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windbreak part 64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uction nozzles 65 m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windbreak portion 64 . When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is finished, the plurality of suction nozzles 65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balances 63a from the openings 63b of each of the balances 63a, and drain the functional liquid in each of the balances 63a. It sucks and discharges the functional liquid from each balance part 63a.

복수의 흡인 노즐(65)은 천칭부(63a)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복수의 천칭부(63a)로부터 액적을 흡인한다. 즉, 복수의 흡인 노즐(65)은 묘화부(32)의 헤드(32b)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예를 들면, 헤드(32b)가 반송방향으로 6열, 좌우방향으로 2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인 노즐(65)은 반송방향으로 6열, 좌우방향으로 2열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suction nozzles 65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alance portions 63a, and suck droplets from the plurality of balance portions 63a. That is, the plurality of suction nozzles 65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eads 32b of the drawing unit 32 . For example, when the heads 32b are provided in 6 row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2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uction nozzles 65 are provided in 6 row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2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 1a 및 도 1b로 복귀하여, 묘화 상태 검출부(7)는 반출 스테이지(4)의 부상부(40)의 상방에 마련되며, 묘화부(32)의 묘화 상태를 검출한다. 묘화 상태 검출부(7)는 촬상 장치(70)와, 복수의 롤지(71)를 구비한다. 롤지(71)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2개 마련된다. 롤지(71)는 묘화 장치(1)의 설치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메인터넌스부(6)에 있어서의 묘화 장치(1)의 설치면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낮다.Returning to FIG. 1A and FIG. 1B, the drawing state detection part 7 is provided above the floating part 40 of the carrying out stage 4, and detects the drawing state of the drawing part 32. As shown in FIG. The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includes an imaging device 70 and a plurality of roll papers 71 . Two roll papers 71 are provi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roll paper 71 , the heigh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rawing apparatus 1 to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heigh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rawing apparatus 1 to the upper end in the maintenance unit 6 .

묘화 상태 검출부(7)는 롤지(71)에 토출된 기능액을 촬상 장치(70)에 의해 촬영한다. 촬영 결과는 제어 장치(9)에 출력되며, 제어 장치(9)에 의해, 묘화부(32)에 있어서의 묘화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The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captures the functional liquid discharged to the roll paper 71 with the imaging device 70 . The imaging result is output to the control device 9 , and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device 9 whether or not the drawing state in the drawing unit 32 is normal.

묘화 상태 검출부(7)는 묘화부(32)에 의해 기판(S)으로의 묘화가 종료되고, 다음 기판(S)이 묘화 스테이지(3)의 제 1 부상부(30)까지 반송될 때에 묘화 상태를 검출한다. 즉, 묘화 상태 검출부(7)는 1매의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할 때마다, 묘화 상태를 검출한다.The drawing state detection part 7 is a drawing state when drawing to the board|substrate S is complete|finished by the drawing part 32, and the next board|substrate S is conveyed to the 1st floating part 30 of the drawing stage 3 to detect That is, the writing state detection part 7 detects a writing state every time writing is performed on the board|substrate S of 1 sheet.

롤지(71)(검사 필름부의 일예)는, 메인터넌스부(6)에 있어서의 검사와는 상이한 주기로 실행되는 묘화 상태의 검사(토출 촬영 검사의 일예)에 있어서,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이 토출된다.The roll paper 71 (an example of the inspection film unit) is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heads 32b with a functional fluid in a drawing state inspection (an example of ejection imaging inspection) performed at a different cycle than the inspection in the maintenance unit 6 . this is ejected

플러싱부(8)는 반출 스테이지(4)의 부상부(40)의 상방에 마련된다. 플러싱부(8)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묘화 상태 검출부(7)보다 하류측에 마련되며, 묘화부(32)의 정기 플러싱이 실행된다. 정기 플러싱은 미리 설정된 플러싱 타이밍에 실행된다. 정기 플러싱은 예를 들면, 1일 수회 실행된다. 정기 플러싱에서는, 묘화부(32)로부터 기능액이 토출된다.The flushing part 8 is provided above the floating part 40 of the carrying out stage 4 . The flushing section 8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wing state detection section 7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regular flushing of the drawing section 32 is performed. Regular flushing is performed at a preset flushing timing. Regular flushing is performed, for example, several times a day. In the regular flushing, the functional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drawing unit 32 .

플러싱부(8)는 토출된 기능액을 회수한다. 즉, 플러싱부(8)는 플러싱에 의해 토출된 기능액을 회수한다. 또한, 플러싱부(8)에 의해 회수된 기능액은 폐액관을 통하여 폐액된다.The flushing unit 8 recovers the discharged functional liquid. That is, the flushing unit 8 recovers the functional liquid discharged by flushing. In addition, the functional liquid recovered by the flushing unit 8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liquid pipe.

제어 장치(9)는 예를 들면 컴퓨터이며, 제어부(90)와 기억부(91)를 구비한다. 기억부(91)에는, 묘화 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제어부(90)는 기억부(9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묘화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9 is, for example, a computer, and includes a control unit 90 and a storage unit 91 . The storage unit 91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various processes executed in the drawing apparatus 1 .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awing apparatus 1 by reading and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91 .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것이며, 기억 매체로부터 제어 장치(9)의 기억부(91)에 인스톨된 것이어도 좋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HD), 플렉시블 디스크(FD), 콤팩트 디스크(CD), 마그넷 옵티컬 디스크(MO),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In addition, such a program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91 of the control device 9 from the storage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e a hard disk (HD), a flexible disk (FD), a compact disk (CD), a magnet optical disk (MO), and a memory card.

<흡인 순서 및 와이핑 순서><Suction sequence and wiping sequence>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순서 및 와이핑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ction procedure and the wip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메인터넌스부(6)는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흡인부(60)는 퇴피 위치에 있다.The maintenance unit 6 is in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suction processing and the wiping processing are not executed. Moreover, in the maintenance part 6, as shown in FIG. 3, each suction part 60 exists in the retracted position.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메인터넌스부(6)에서는, 각 흡인부(60)가 퇴피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 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각 흡인부(60)가 흡인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는, 대기 위치로부터 제 1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한다. 제 1 메인터넌스 위치는, 흡인 위치로 이동한 각 흡인부(60)가 각 캐리지(32a)의 하방이 되는 위치이다.When performing the suction process and the wiping process, in the maintenance unit 6, each suction unit 60 moves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suc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6 .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suction unit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moved to a suction position. Moreover, the maintenance part 6 moves from a standby position to a 1st maintenance position. The 1st maintenanc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each suction part 60 moved to a suction position becomes below each carriage 32a.

각 흡인부(60)는 흡인 위치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각 캡(60a)은 대응하는 헤드(32b)에 밀착된다. 그리고, 메인터넌스부(6)는 각 흡인부(60)에 의해 흡인 처리를 실행하여, 각 헤드(32b) 내에 남은 기능액을 흡인한다.Each suction part 60 moves upward in a suction position. Thereby, each cap 6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head 32b. Then, the maintenance unit 6 performs a suction process by each suction unit 60 to suction the functional liquid remaining in each head 32b.

또한, 메인터넌스부(6)는 각 와이핑부(61)에 의해 불식을 실행하는 순서로, 흡인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흡인 처리로부터 와이핑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각 캐리지(32a)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unit 6 performs the suction processing in the order in which the wiping is performed by each wiping unit 61 . Thereby, the time from the suction process to the execution of the wiping process can be made the same for each carriage 32a.

헤드(32b) 내에 남은 기능액을 흡인한 흡인부(60)는 하방으로 이동한 후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메인터넌스부(6)는 각 와이핑부(61)를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기능액이 흡인된 헤드(32b)를 각 와이핑부(61)에 의해 불식하여,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6)에 있어서 와이핑 처리를 실행할 때의 와이핑부(61)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The suction unit 60 that has sucked the functional fluid remaining in the head 32b moves downward, and then moves from the suction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as shown in FIG. 7 . Then,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each wiping unit 61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dislodge the head 32b from which the functional fluid has been sucked by the wiping unit 61 to perform a wiping process.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wiping unit 61 when the wip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aintenance unit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메인터넌스부(6)는 예를 들면, 좌우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 와이핑부(61)에 의해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와이핑 처리가 실행된 헤드(32b)의 하방을 덮도록 흡인부(60)를 퇴피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시켜, 각 헤드(32b)에 각 캡(60a)을 밀착시킨다. 이 경우, 흡인부(60)에 의한 흡인은 실행되지 않는다.The maintenance unit 6 performs wiping processing by the respective wiping units 61 from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the suction unit 60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suction position so as to cover the underside of the head 32b on which the wip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so that each cap 60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head 32b. . In this case, suction by the suction unit 60 is not performed.

전체 캐리지(32a)에 와이핑 처리가 실행되면, 각 와이핑부(61)는 좌우방향의 양단까지 복귀하고, 각 흡인부(60)는 흡인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는 제 1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When the wip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tire carriage 32a, each wiping portion 61 returns to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ach suction portion 60 moves from the suction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Further,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from the first maintenanc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에 대해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Next,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어 장치(9)는 메인터넌스부(6)를 대기 위치로부터 제 1 메인터넌스 위치까지 이동시킨다(S100).The control device 9 moves the maintenance unit 6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first maintenance position (S100).

제어 장치(9)는 각 흡인부(60)를 흡인 위치로 이동시켜(S101),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S102). 예를 들면, 제어 장치(9)는 좌우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The control apparatus 9 moves each suction part 60 to a suction position (S101), and performs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S102).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9 performs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from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어 장치(9)는 전체 캐리지(32a)에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3).The control device 9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ction processing and the wiping processing have been performed on the entire carriage 32a (S103).

제어 장치(9)는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캐리지(32a)가 있는 경우에는(S103: 아니오)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캐리지(32a)에 대해,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다(S102).If there is a carriage 32a that has not been subjected to suction processing and wiping processing (S103: NO), the control device 9 controls the carriage 32a to which suction processing and wiping processing have not been performed. A suction process and a wiping process are executed (S102).

제어 장치(9)는 전체 캐리지(32a)에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를 실행한 경우에는(S103: 예), 각 흡인부(60)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S104), 메인터넌스부(6)를 제 1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S105).When the suction processing and the wiping processing are performed on the entire carriage 32a (S103: Yes), 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suction unit 60 to the retracted position (S104), and the maintenance unit 6 ) from the first maintenanc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105).

<중량 검사 순서><Weight inspection procedure>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중량 검사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weight insp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메인터넌스부(6)는, 중량 검사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위치에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계측부(63)는 각 계측 위치에 있으며, 상방이 각 방풍부(64)에 의해 덮여 있다.The maintenance part 6 exists in a standby position, when the weight inspec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maintenance part 6, as shown in FIG. 3, each measurement part 63 exists in each measurement position, and the upper direction is covered with each windbreak part 64. As shown in FIG.

중량 검사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메인터넌스부(6)에서는, 각 흡인부(60)가 퇴피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위치로 이동한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각 흡인부(60)가 커버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는 대기 위치로부터 제 2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한다. 제 2 메인터넌스 위치는, 커버 위치로 이동한 각 흡인부(60)가 각 캐리지(32a)의 하방이 되는 위치이다.When carrying out a weight inspection process, in the maintenance part 6, each suction part 60 moves from a retracted position to a cover position as shown in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suction unit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moved to a cover position. Moreover, the maintenance part 6 moves from a standby position to a 2nd maintenance position. The 2nd maintenanc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each suction part 60 moved to the cover position becomes below each carriage 32a.

각 흡인부(60)는 커버 위치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각 캡(60a)은 대응하는 헤드(32b)에 밀착된다.Each suction part 60 moves upward in the cover position. Thereby, each cap 6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head 32b.

각 계측부(63)에 의해 기능액의 중량이 계측되는 캐리지(32a)에 대응하는 각 흡인부(6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각 계측부(63)가 계측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계측부(63)는 각 계측부(63)의 각 천칭부(63a)의 개구부(63b)가 대응하는 헤드(32b)의 하방이 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터넌스부(6)에 있어서, 각 계측부(63)가 계측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As shown in FIG. 10 , each suction unit 60 corresponding to the carriage 32a on which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fluid is measured by each measurement unit 63 moves from the cover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each measurement unit 63 . mov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measurement position. Specifically, each measurement unit 63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63b of each balance unit 63a of each measurement unit 63 is below the corresponding head 32b. 10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each measurement part 63 moves from a measurement position in the maintenance part 6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메인터넌스부(6)는 예를 들면, 좌우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 계측부(63)에 의한 기능액의 중량 계측을 실행한다.The maintenance unit 6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by each measuring unit 63 from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각 천칭부(63a)의 개구부(63b)가 대응하는 헤드(32b)의 하방까지 이동하면, 각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의 액적이 토출된다. 각 헤드(32b)는 미리 설정된 횟수, 액적을 토출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각 천칭부(63a)에 기능액의 액적이 토출되면, 계측 위치로 복귀하고, 각 계측부(63)의 상방을 각 방풍부(64)에 의해 덮고,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기능액의 토출이 종료된 헤드(32b)의 하방을 덮도록 흡인부(60)를 퇴피 위치로부터 커버 위치로 이동시켜, 각 헤드(32b)에 각 캡(60a)을 밀착시킨다.When the opening 63b of each balance part 63a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head 32b, droplets of the functional liquid are discharged from each head 32b. Each head 32b ejects droplet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maintenance unit 6 returns to the measurement position when a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is discharged to each balance unit 63a, covers the upper side of each measurement unit 63 with each windbreak unit 64, and adjust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measure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the suction unit 60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 the cover position so as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head 32b where the discharge of the functional liquid has been completed, so that each cap 60a is closely attached to each head 32b. make it

기능액의 중량의 계측이 종료되면, 각 방풍부(64)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각 흡인 노즐(65)에 의해 각 천칭부(63a)로부터 기능액이 흡인되고, 각 천칭부(63a)의 기능액이 배출된다.When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fluid is finished, each windbreak unit 64 moves downward, and the functional fluid is sucked from each balance unit 63a by each suction nozzle 65, and the The functional fluid is discharged.

그리고, 각 방풍부(64)가 상방으로 이동한 후에, 각 계측부(6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능액의 액적의 중량이 계측되어 있지 않은 캐리지(32a)에 대해, 기능액의 액적의 중량 계측이 실행된다.Then, after each windbreak unit 64 moves upward, each measurement unit 63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for the carriage 32a on which the weight of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fluid is not measured, the amount of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fluid is Weighing is performed.

전체 캐리지(32a)에 중량 계측 처리가 실행되면, 각 흡인부(60)는 커버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메인터넌스부(6)는 제 2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When the weig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tire carriage 32a, each suction unit 60 moves from the cover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Further,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from the second maintenanc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중량 계측 처리에 대해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중량 계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Next, the weight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1 .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어 장치(9)는 메인터넌스부(6)를 대기 위치로부터 제 2 메인터넌스 위치까지 이동시키고(S200), 각 흡인부(60)를 커버 위치로 이동시킨다(S201).The control device 9 moves the maintenance unit 6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second maintenance position (S200), and moves each suction unit 60 to the cover position (S201).

제어 장치(9)는, 각 계측부(63)에 의해 기능액의 액적의 중량을 계측하는 캐리지(32a)에 대응하는 각 흡인부(60)를 커버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S202).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suction unit 60 corresponding to the carriage 32a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by each measuring unit 63 from the cover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S202).

제어 장치(9)는 각 계측부(63)를 계측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3).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9)는 각 계측부(63)를 계측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각 계측부(63)의 상방을 덮는 각 방풍부(6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제어 장치(9)는 각 천칭부(63a)가, 대응하는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각 계측부(63)를 이동시킨다. 제어 장치(9)는 예를 들면, 좌우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능액의 중량 계측을 실행한다.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measurement unit 63 from the measure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203). Specifically, when moving each measurement part 63 from a measurement position to the left-right direction, the control apparatus 9 moves each windbreak part 64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each measurement part 63 upward. 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measurement unit 63 to a position where each of the balance units 63a can receive the functional fluid from the corresponding head 32b. The control device 9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from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제어 장치(9)는 캐리지(32a)의 각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의 액적을 각 계측부(63)의 각 천칭부(63a)에 토출시킨다(S204).The control device 9 discharges a droplet of the functional liquid from each head 32b of the carriage 32a to each balance unit 63a of each measurement unit 63 (S204).

제어 장치(9)는 기능액의 액적이 각 천칭부(63a)에 저류된 각 계측부(63)를 계측 위치까지 이동시켜(S205),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한다(S206).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9)는 각 방풍부(6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각 천칭부(63a)의 상방을 각 방풍부(64)에 의해 덮고,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한다.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measurement unit 63 in which droplets of the functional liquid are stored in each balance unit 63a to a measurement position (S205),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S206).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windbreak unit 64 downward, covers the upper side of each balance unit 63a with each windbreak unit 64,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liquid.

제어 장치(9)는 각 흡인 노즐(65)에 의해 각 천칭부(63a)로부터 기능액을 배출시킨다(S207).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9)는 각 방풍부(6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각 흡인 노즐(65)에 의해 각 천칭부(63a)로부터 기능액을 배출시킨다.The control device 9 discharges the functional liquid from each balance part 63a by each suction nozzle 65 (S207).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windbreak unit 64 downward, and discharges the functional liquid from each balance unit 63a by each suction nozzle 65 .

제어 장치(9)는 전체 캐리지(32a)에 대해 기능액의 중량 계측을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8). 제어 장치(9)는 중량 계측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캐리지(32a)가 있는 경우에는(S208: 아니오), 중량 계측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캐리지(32a)에 대해, 중량 계측을 실행한다(S202).The control device 9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ight measurement of the functional liquid has been performed for the entire carriage 32a (S208). When there is a carriage 32a that has not been weighed (S208: NO), the control device 9 weighs the carriage 32a that has not been weighed (S202).

제어 장치(9)는 전체 캐리지(32a)에 대해 기능액의 중량 계측을 실행한 경우에는(S208: 예), 각 흡인부(60)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S209), 메인터넌스부(6)를 제 2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S210).When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fluid is measured for all carriages 32a (S208: Yes), the control device 9 moves each suction unit 60 to the retracted position (S209), and the maintenance unit 6 moves from the second maintenanc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210).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와, 중량 계측 처리가 상이한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일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묘화 장치(1)는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와, 중량 계측 처리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실행하여도 좋다. 즉, 묘화 장치(1)는 흡인 처리 및 와이핑 처리와, 중량 계측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하여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demonstrated an example in which the suction process, the wiping process, and the weight measurement process are performed at different timing,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drawing apparatus 1 may perform a suction process, a wiping process, and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at the same timing. That is, the drawing apparatus 1 may perform a suction process, a wiping process, and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continuously.

<효과><Effect>

묘화 장치(1)는 묘화부(32)와, 메인터넌스부(6)를 구비한다. 묘화부(32)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기판(S)(워크의 일예)에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을 토출하여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묘화부(32)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32b)의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부(62)를 갖는다.The draw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the drawing part 32 and the maintenance part 6 . The writing unit 32 performs writing on the substrate S by discharging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32b to the substrate S (an example of a work) moving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he maintenance unit 6 includes an inspection unit 62 that inspects the plurality of heads 32b while moving downward of the drawing unit 32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이에 의해, 묘화 장치(1)는 장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묘화 장치(1)는 검사부(62)를 반송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장치 면적을 작게 하여, 전체적인 장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drawing apparatus 1 can make the apparatus area small. The drawing apparatus 1 can make the apparatus area in a left-right direction small by moving the test|inspection part 62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is a conveyance direction, and can make the whole apparatus area small.

검사부(62)는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한다.The inspection unit 62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32b.

이에 의해, 묘화 장치(1)는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하는 검사부(62)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장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drawing apparatus 1 can make small the overall apparatus area including the inspection part 62 which measures the weight of a functional liquid.

메인터넌스부(6)는 복수의 흡인부(60)와, 와이핑부(61)를 구비한다. 복수의 흡인부(60)는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을 흡인한다. 와이핑부(61)는, 복수의 흡인부(60)에 의해 기능액이 흡인된 복수의 헤드(32b)를 불식한다. 검사부(62)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흡인부(60)에 대해 와이핑부(61)와는 반대측에 마련된다.The maintenance unit 6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and a wiping unit 61 .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suck the functional flui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32b. The wiping unit 61 blots out the plurality of heads 32b in which the functional fluid is sucked by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60 . The inspection part 6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wiping part 61 with respect to the some suction part 60 in a conveyance direction.

이에 의해, 묘화 장치(1)는 와이핑부(61), 및 검사부(62)를 메인터넌스부(6)에 마련하면서, 반송방향에 있어서 와이핑부(61)와 검사부(62)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묘화 장치(1)는 메인터넌스부(6)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와이핑부(61)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As a result, the drawing apparatus 1 secures a working space between the wiping unit 61 and the inspection unit 62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providing the wiping unit 61 and the inspection unit 62 in the maintenance unit 6 . can do. Therefore, in the drawing apparatus 1, while the maintenance part 6 is downsized, the maintenance operation|work of the wiping part 61 etc. becomes easy.

묘화부(32)는 복수의 캐리지(32a)를 구비한다. 복수의 캐리지(32a)는, 복수의 헤드(32b)를 각각 가지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복수의 흡인부(60)는 복수의 캐리지(32a)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와이핑부(61)는,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메인터넌스부(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다. 검사부(62)는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메인터넌스부(6)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다.The drawing unit 32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ages 32a. The plurality of carriages 32a have a plurality of heads 32b,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ions 6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rriages 32a. The wiping section 61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section 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respectively. The inspection part 6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part 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a conveyance direction, respectively.

이에 의해, 묘화 장치(1)는 복수의 캐리지(32a)에 대해, 흡인 처리, 와이핑 처리, 및 중량 계측 처리를 재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묘화 장치(1)는 각 와이핑부(61), 및 각 계측부(63)에 대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각 와이핑부(61), 및 각 계측부(63)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묘화 장치(1)는 한쪽의 와이핑부(61)나, 한쪽의 계측부(63)에 메인터넌스 작업 등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쪽의 와이핑부(61)에 의해 흡인 처리나, 다른쪽의 계측부(63)에 의해 중량 계측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Thereby, the drawing apparatus 1 can quickly perform a suction process, a wiping process, and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with respect to the some carriage 32a. In addition, the drawing apparatus 1 can secure a working space for each wiping unit 61 and each measuring unit 63 ,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each wiping unit 61 and each measuring unit 63 is easy. will do In addition, when maintenance work etc. are being performed on one wiping part 61 or one measuring part 63, the drawing apparatus 1 performs a suction process by the other wiping part 61 and the other The weight measure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measurement unit 63 of the .

묘화 장치(1)는, 메인터넌스부(6)에 있어서의 검사와는 상이한 주기로 실행되는 토출 촬영 검사에 있어서, 복수의 헤드(32b)로부터 기능액이 토출되는 롤지(71)(검사 필름부의 일예)를 구비한다. 메인터넌스부(6)는 반송방향에 있어서, 묘화부(32)에 대해 롤지(71)와는 반대측에 마련된다.The drawing apparatus 1 includes a roll paper 71 (an example of an inspection film unit) from which a functional fluid is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heads 32b in a discharge imaging inspection performed at a different cycle than the inspection in the maintenance unit 6 . to provide The maintenance section 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oll paper 71 with respect to the drawing section 32 in the conveying direction.

이에 의해, 묘화 장치(1)는 상이한 주기로 이동하는 메인터넌스부(6), 및 롤지(7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메인터넌스부(6)나, 롤지(71)의 이동량을 줄일 수 있다. 즉, 묘화 장치(1)는 메인터넌스부(6), 및 롤지(71)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reby, the drawing apparatus 1 can easily move the maintenance unit 6 and the rolled paper 71 that move at different cycles,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aintenance unit 6 and the rolled paper 71 can be reduced. That is, the drawing apparatus 1 can downsize the maintenance unit 6 and the apparatus for moving the roll paper 71 .

<변형예> <Modified example>

변형예에 따른 묘화 장치(1)는 2개의 와이핑부(61) 중, 한쪽의 와이핑부(61)에 의해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변형예에 따른 묘화 장치(1)는 예를 들면, 2개의 와이핑부(61) 중 하나가 고장난 경우나, 와이핑 시트(61a)를 교환하는 경우에, 또 다른 한쪽의 와이핑부(61)에 의해 와이핑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변형예에 따른 묘화 장치(1)는 마찬가지로, 2개의 계측부(63) 중, 한쪽의 계측부(63)에 의해 중량 계측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In the draw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ne of the two wiping units 61 may perform the wiping process. The draw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s disposed on the other wiping unit 61 when, for example, one of the two wiping units 61 fails or when the wiping sheet 61a is replaced. The wi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In addition, in the drawing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a modified example, you may perform a weight measurement process by one measurement part 63 of the two measurement parts 63 similarly.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묘화 장치(1)는, 기판(S)에 부상력을 부여하고 제 1 소터(50) 등에 의해 기판(S)을 반송하는 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변형예에 따른 묘화 장치(1)는 예를 들면, 기판(S)을 대좌에 탑재한 상태에서, 대좌를 이동시켜, 대좌와 함께 반송되는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하여도 좋다.Although the drawing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provided the levitating force to the board|substrate S, and described the apparatus which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by the 1st sorter 50 etc. as an example, it is limited to this none. The writing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is the state mounted on the pedestal, for example, moves a pedestal, and may perform writing on the board|substrate S conveyed together with a pedestal.

변형예에 따른 묘화 장치(1)는, 플러싱부(8)를 묘화부(32)보다 상류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즉, 1매의 기판(S)에 묘화를 실행할 때마다 묘화 상태를 검출하는 묘화 상태 검출부(7)와, 묘화 상태 검출부(7)보다 실행하는 처리의 주기가 긴 메인터넌스부(6), 및 플러싱부(8)를 묘화부(32)에 대해, 상류측에 마련하여도 좋다.In the wri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he flushing unit 8 may b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writing unit 32 . That is, a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that detects a drawing state whenever drawing is performed on one substrate S, a maintenance unit 6 whose cycle of processing to be executed is longer than that of the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7 , and flushing You may provide the part 8 with respect to the drawing part 32 upstream.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상기한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는 첨부의 청구범위 및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 형태로 생략, 치환, 변경되어도 좋다.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and is not restrictive in every point. Indee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said embodiment may be abbreviate|omitted, substituted,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an attached claim and the meaning.

1: 묘화 장치 3: 묘화 스테이지
6: 메인터넌스부 7: 묘화 상태 검출부
8: 플러싱부 9: 제어 장치
32: 묘화부 32a: 캐리지
32b: 헤드 60: 흡인부
60a: 캡 61: 와이핑부
62: 검사부 63: 계측부
63a: 천칭부 64: 방풍부
65: 흡인 노즐 71: 롤지(검사 필름부)
S: 기판(워크)
1: drawing apparatus 3: drawing stage
6: Maintenance unit 7: Drawing state detection unit
8: flushing part 9: control device
32: drawing unit 32a: carriage
32b: head 60: suction unit
60a: cap 61: wiping part
62: inspection unit 63: measurement unit
63a: balance 64: windproof part
65: suction nozzle 71: roll paper (inspection film part)
S: substrate (workpiece)

Claims (6)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워크에 복수의 헤드로부터 기능액을 토출하여 상기 워크에 묘화를 실행하는 묘화부와,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서 상기 묘화부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헤드의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부를 갖는 메인터넌스부를 구비하는
묘화 장치.
a drawing unit that discharges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to a work moving along a conveyance direction to perform drawing on the work;
and a maintenance unit having an inspection unit that inspects the plurality of heads while moving downward of the drawing unit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draw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능액의 중량을 계측하는
묘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pection unit measures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draw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로부터 상기 기능액을 흡인하는 복수의 흡인부와,
상기 복수의 흡인부에 의해 상기 기능액이 흡인된 상기 복수의 헤드를 불식하는 와이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인부에 대해 상기 와이핑부와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묘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tenance unit,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for sucking the functional flui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and a wiping unit for wiping off the plurality of heads from which the functional fluid is sucked by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The inspection unit is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wiping unit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in the conveying direction.
draw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를 각각 가지며,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캐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흡인부는 상기 복수의 캐리지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와이핑부는,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부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검사부는, 상기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부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묘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w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ages each having the plurality of heads and arrang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he plurality of suction part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rriages,
The wiping uni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he inspection uni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tenance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respectively.
draw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부에 있어서의 검사와는 상이한 주기로 실행되는 토출 촬영 검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로부터 상기 기능액이 토출되는 검사 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터넌스부는, 상기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기 묘화부에 대해 상기 검사 필름부와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묘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inspection film unit in which the functional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eads in the ejection imaging inspection performed at a different cycle than the inspection in the maintenance unit;
The maintenance section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spection film section with respect to the drawing sec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drawing device.
반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워크에 복수의 헤드로부터 기능액을 토출하여 상기 워크에 묘화를 실행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헤드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헤드의 검사를 실행하는 공정을 갖는
묘화 방법.
A step of discharging a functional liquid from a plurality of heads to a work moving along a conveying direction to perform drawing on the work;
moving downward of the plurality of head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performing insp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ds;
drawing method.
KR1020210024185A 2020-03-05 2021-02-23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KR2021011304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7825 2020-03-05
JP2020037825A JP2021138050A (en) 2020-03-05 2020-03-05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47A true KR20210113047A (en) 2021-09-15

Family

ID=7752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85A KR20210113047A (en) 2020-03-05 2021-02-23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138050A (en)
KR (1) KR20210113047A (en)
CN (1) CN113363179A (en)
TW (1) TW20214749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9805A (en) 2016-09-23 2018-03-2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ating device, coating method, and organic el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9805A (en) 2016-09-23 2018-03-2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ating device, coating method, and organic e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63179A (en) 2021-09-07
JP2021138050A (en) 2021-09-16
TW202147498A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427B2 (en) Inkjet system for printing a printed circuit board
JP4378950B2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and electro-opt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018506B1 (en) Coating divece
JP4225076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US8816224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including weight measurement device
KR100845880B1 (en) Apparatus for applying solution and method of measuring quantity of solution
KR20120116880A (en) Coating apparatus
KR20210113047A (en)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JP2010082488A (en) Workpiece moving table and droplet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3988628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JP7023369B2 (en)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KR20170006104A (en) Detect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Foreign Materials on the Surface of Glass, Detect Method thereof, and Slit Coater Comprising the Detecting Apparatus
JP3941676B2 (en) Droplet ejection system,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37343B2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and electro-opt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4273755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JP4207541B2 (en) Work transfer table, work transfer device, droplet discharge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04571B (en) Maintenance apparatus and discharge apparatus
JP4432322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JP3982393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73762B2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and electro-opt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23199749A1 (en) Droplet discharge device, droplet discharge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862007B2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substrate transfer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172317A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work, liquid droplet discharger, electroopt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0082489A (en) Flushing receptive device and droplet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230034136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