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191A - Stent - Google Patents

S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191A
KR20210109191A KR1020200024135A KR20200024135A KR20210109191A KR 20210109191 A KR20210109191 A KR 20210109191A KR 1020200024135 A KR1020200024135 A KR 1020200024135A KR 20200024135 A KR20200024135 A KR 20200024135A KR 20210109191 A KR20210109191 A KR 2021010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front part
core
cathe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5283B1 (en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83B1/en
Publication of KR2021010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6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more than one stent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located in blood vessels or lesions by using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a procedure for installing the stent in the body by comprising: a front part organized in a net form and having a form of an expandable tube; a rear part connected to the front part, organized in the net form, and having a form of an expandable tube; and a core part having the form of a tube organized in the net form,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being separated by being isolat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Description

스텐트{Stent}stent {Stent}

본 발명은 신체 내 협착 또는 병변부위에 삽입되어 공간을 확보하여 주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inserted into a stenosis or lesion site in the body to secure a space.

스텐트는 질병, 사고, 수술 등에 의하여 인체의 식도, 장관, 담도, 혈관 등과 같이 내강이 좁아지는 협착증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협착부위를 넓혀주거나 개통시켜주기 위하여 이식되는 원통형 또는 튜브형태의 의료기구이다. A stent is a medical device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tube implanted to widen or open the stenosis site as a response to stenosis in which the lumen of the human body is narrowed such as the esophagus, intestinal tract, biliary tract, and blood vessels due to disease, accident, surgery, etc.

스텐트를 체내에 이식시킬 때, 2가지의 중요사항이 있다. 하나는 적절한 직영의 크기와 길이의 스텐트를 선택해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확하게 계획된 위치에 스텐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적절한 직경의 크기는 혈관의 크기를 재어 측정할 수 있고, 스텐트의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크기에 딱 맞을 정도로 짧게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When implanting a stent into the body, there are two important considerations. One is to select a stent of the appropriate size and length, and the other is to place the stent in a precisely planned location. The size of the appropriate diameter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blood vessel, and it is appropriate to select the length of the stent short enough to fit the size for the purpose of installation.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스텐트는 설치과정에서 카테타를 벗기면서 스텐트가 외부로 돌출되며 펼쳐지는 형태로. 혈관의 굴곡 및 카테타의 위치, 탄성, 술자의 조절 등의 많은 변수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하거나, 정확한 위치에 놓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험이 쌓이면서, 이런 어려움을 상당 부분 극복하지만, 대신 좀 더 안전하게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딱 맞는 길이의 스텐트보다는 좀 더 긴 스텐트를 선택하여, 위치가 조금 안 맞더라도 스텐트가 놓여야할 지점을 지나치지 않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most of the stents currently used are in a form in which the stent protrudes and unfolds while the catheter is remov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The position of the blood vessel is changed by many variables such as the curvature of the blood vessel,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elasticity, and the operator's control, or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catheter in an accurate position. As most of the experience has accumulated, this difficulty is overcome to a large extent, but instead, in order to install the stent more safely, choose a longer stent rather than a stent of just the right length to determine the point where the stent should be placed even if the position is slightly misaligned. It is common not to overdo it.

스텐트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펼쳐지는 방법으로, 병변 부위의 원위부에서부터 펼치면 스텐트를 펼치기에 편리하나, 설치하고자 하는 스텐트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긴 스텐트는 혈관 내에서 혈전 색전증, 내막비후와 같은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As a safe and easy way to spread the stent, it is convenient to spread the stent when it is spread from the distal portion of the lesion sit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ngth of the stent to be installed becomes considerably longer. In addition, an unnecessarily long stent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complications such as thromboembolism and intimal thickening in blood vessels.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Therefore, a technology capable of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has been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79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79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병변 부위의 크기 또는 길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tent tha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response to the size or length of the lesion si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 속 또는 병변 근처에 배치되는 스텐트로서, 망(net)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되는 튜브의 형태를 갖춘 프런트(front)부; 상기 프런트부의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되 상기 프런트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망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춘 리어(rear)부; 및 망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프런트부 및 상기 리어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되 상기 프런트부 및 상기 리어부 사이에서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는 코어(core)부;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ent disposed in a blood vessel or near a lesion using a catheter, is organized in a net shape, and has a diameter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a front portion having the form of a tube that expands to any size; The rea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ont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is organized in a network, and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can be expanded to an arbitrar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 And it has a form of a tube that is organized in a network and can be expanded to an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bu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 core part that can be separated by being separated between the parts; It may be characterized as one of including.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리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와이어(bridge wire)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와이어는 상기 코어부의 내측을 통해(통과하여) 전단이 상기 프런트부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리어부와 연결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re connected by at least one bridge wire, and the bridge wire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rough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re part, and a rear end is the rear part It can also be characterized as being connected to .

여기서,상기 리어부가 상기 코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부의 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상기 코어부의 후단측 직경에 비하여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o prevent the rear part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ore part,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rear part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rear end side of the core part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가 상기 코어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런트부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상기 코어부의 전단측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a diameter of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core portion so that the front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core portion.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t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part decreases toward the rear side.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형태 및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front part and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core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홀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홀은 육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t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that the holes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front part form a square shape, and that the holes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re part have a hexagonal shape.

여기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홀이 육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홀은 사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t may be another feature that the holes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front part form a hexagonal shape, and that the holes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re part form a square shape.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코어부만 설치하거나 코어부, 리어부 및 프런트부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술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텐트 설치 시술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술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only the core part or the core part, the rear part and the front p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ppropriate stent install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tuat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프런트부 및 리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응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에서 프런트부 및 응용된 형태의 리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카테터에 내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병변 주위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코어부가 병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병변 주위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lied form of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applied form in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that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catheter.
6A to 6D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a les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re part of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es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a lesion.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프런트부 및 리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 속 또는 병변근처에 배치되는 스텐트로서 프런트부, 리어부 및 코어부를 포함한다. 1 and 2,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nt disposed in a blood vessel or near a lesion using a catheter, and includes a front part, a rear part, and a core part.

체내에 스텐트(10)를 설치시 프런트부(200)부터 체내에 진입된 후 코어부(300)가 진입되고, 리어부(100)가 진입된다. When the stent 10 is installed in the body, after entering the body from the front part 200 , the core part 300 enters and the rear part 100 enters.

프런트(front)부(200)는 망(net)상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튜브 형태의 외형을 갖추고 있다. 프런트부(200)는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되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The front part 200 is organized in a net shape and has an external shape in the form of a tube. The front part 200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is extended to an arbitrar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프런트부(200)에서 망상으로 조직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마름모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의 형태로 조직된 것도 가능하며, 다각형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상의 형태로 조직된 것 또한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rm organized in a network in the front part 200 may be organized in the form of a net in which holes in the form of a square or rhombus are formed, and in the form of a network in which holes in the form of polygons are formed. it is also possible

프런트부(200)의 후측으로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리어부(100)와 연결된다.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rear part 100 as shown in FIG. 2 .

리어(rear)부(100)는 프런트부(200)의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되, 프런트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리어부(100)는 망상으로 조직되어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리어부(100)도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The rear part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rt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 The rear part 100 is structured in a mesh and has the shape of a tube. The rear part 100 is also in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can be expanded to an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리어부(100)에서 망상으로 조직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마름모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의 형태로 조직된 것도 가능하며, 다각형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상의 형태로 조직된 것 또한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rm organized in a network in the rear part 100 may be organized in the form of a net i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rectangle or a rhombus is formed, and is organized in the form of a net i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polygon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프런트부(200)와 리어부(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와이어(bridge wire)(150)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브릿지와이어(1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부(300)의 내측을 통과하여 전단이 프런트부(200)와 연결되고 후단이 리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The front part 200 and the rear part 100 are connected by at least one or more bridge wires 150 as shown in FIG. 2 . And the bridge wire 1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re part 300 as shown in FIG. 1 ,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part 10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상태의 스텐트(10)는 내경이 축소되어 수축된 형태로 카테터의 내측에 배치된 후 체내에 진입된 카테터로부터 스텐트가 외부로 나오면서 직경이 확장된다.As shown in FIG. 1, the stent 10 in the expanded state has its inner diameter reduced and the diameter is expanded as the stent comes out from the catheter that has entered the body after being placed inside the catheter in a contracted form.

그리고, 리어부(100)가 코어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리어부(100)와 코어부(300)의 직경이 각각 확장된 상태에서, 리어부(100)의 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코어부(300)의 후단측 직경에 비하여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art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ore part 300 . To this end, in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s of the rear part 100 and the core part 300 are respectively expanded, the diameter of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part 10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core part 300 . desirable.

코어(core)부(300)는 망상으로 조직된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코어부(300)는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프런트부(200) 및 리어부(10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되 프런트부(200) 및 리어부(100) 사이에서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다. The core part 300 has the form of a tube organized in a network. The core part 300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can be expanded to an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200 and the rear part 100, but the front part 200 and the rear part 1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코어부(100)에서 망상으로 조직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마름모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의 형태로 조직된 것도 가능하며, 다각형의 형태의 홀이 형성된 망상의 형태로 조직된 것 또한 가능하다. The form organized in a network in the core part 100, as shown in the figure, may be organized in the form of a network i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square or rhombus is formed, and is organized in the form of a network i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polygon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that

그리고, 프런트부(200)의 망상 조직의 형태 및 코어부(300)의 망상 조직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front part 200 and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core part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프런트부(200)의 망상 조직의 홀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면, 코어부(300)의 망상 조직의 홀은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들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network hole of the front part 20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network hole of the core part 300 may have a hexagonal shape.

이와 같이 프런트부(200)와 코어부(300)의 망상 조직의 형태가 서로 다르면, 프런트부(200)가 수축되면서 카테터로 회수될 때 프런트부(200)와 코어부(300) 사이에 접하는 부분이 있더라도 접촉되는 부분의 면적 또는 부위가 감소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front part 200 and the core part 3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ront part 200 is contracted and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re part 300 when it is recovered by the catheter. Even if there is this, the area or part of the contacted part is reduced.

따라서 프런트부(200)를 회수하는 경우 프런트부(200)와 코어부(300)와의 접촉이 억제되므로 프런트부(200)의 회수가 수월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part 200 is recovered, the contact between the front part 200 and the core part 300 is suppressed, so that the front part 200 can be easily recovered.

프런트부(200)의 망상 조직의 홀이 육각형태를 이루며, 코어부(300)의 망상 조직의 홀은 사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It is sufficiently possible and preferable that the hole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front part 200 forms a hexagonal shape, and that the hole of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re part 300 forms a square shape.

한 편 다음과 같이 응용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n applied form as follows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를 갖춘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도니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리어부와 프런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nt according to an appl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ar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tent according to the appl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스텐트(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할 수 있으나, 다만 프런트부(200`) 부분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관하여 설명을 한다.The stent 10 ′ as referenced in FIGS. 3 and 4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so it can be substituted for the one described above,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front part 200 ′, so the part with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do

프런트부(200`)는 망(net)상으로 조직되고,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되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The front part 200' is structured in a net, and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is extended to an arbitrar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그리고, 프런트부(200`)가 코어부(300)의 내측을 통해 회수가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런트부(200`)와 코어부(300) 각각의 직경이 확장된 상태에서 프런트부(200`)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코어부(300)의 전단측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Then, in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of each of the front part 200 ′ and the core part 300 is expanded, so that the front part 200 ′ can be recovered more easily through the inside of the core part 300 , the front part The diameter of a part of the rear end of 200 ′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core part 300 .

이처럼 프런트부(200`)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코어부(300)의 전단측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 프런트부(200`)을 회수하는 경우 프런트부(200`)의 회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된다.As such, when the diameter of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art 200 ′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core part 300 , the recovery of the front part 200 ′ is smooth when the front part 200 ′ is recovered. helps make it happen.

나아가 도3 과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코어부(300)에 인접하는 프런트부(200`)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추고 있으면 프런트부(200`)가 회수될 때 축소가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3 and 4 , if the front portion has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of a portion of the rear end side of the front portion 200 ′ adjacent to the core portion 300 decreases toward the rear side, the front It is also preferable in that the reduction can be made more easily when the part 200' is recovered.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프런트부(200`)의 망상 조직의 형태 및 코어부(300)의 망상 조직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front part 200 ′ and the shape of the network of the core part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코어부(300), 리어부(100) 및 브릿지와이어(150)는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re part 300, the rear part 100, and the bridge wire 15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y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및 카테터의 측단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체내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cross-sectional portion of a stent and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to 6d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that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ody .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카테터(20)의 외측튜브(21)의 전측 부분에 스텐트의 리어부(100), 코어부(300) 및 프런트부(200`)이 수축된 상태로 내재되어 있다.5, the rear portion 100, the core portion 300, and the front portion 200' of the stent are embed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tube 21 of the catheter 20 in a contracted state. .

그리고 카테터(20)를 이용하여 카테터(20)의 전측이 병변 근처에 위치하게 되면, 홀더(23)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카테터(20)의 외측튜브(21)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으로 이동시킨다. And when the anterior side of the catheter 20 is located near the lesion using the catheter 20, the outer tube 21 of the catheter 20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holder 23 is fixed as shown in FIG. 6a move backwards together.

외측튜브(21)가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홀더(23)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텐트(10`)는 혈관(30)내 병변(35) 근처에서 외측튜브(21)의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부(200`)가 외측튜브(21)의 밖으로 나오면서 직경이 확장되어 혈관(30) 내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holder 23 is fixed while the outer tube 21 is moved to the rear, the stent 10 ′ comes out of the outer tube 21 near the lesion 35 in the blood vessel 30 . That is, as shown in FIG. 6A , as the front part 200 ′ comes out of the outer tube 21 , the diameter is expanded to be seated in the blood vessel 30 .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300)도 외측튜브(21)의 밖으로 나오면서 직경이 확장된다. 그리고 코어부(300)가 병변 위치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외측튜브(21)를 후진이동 시키게 되면 리어부(100)도 외측튜브(21)의 밖으로 나오면서 혈관 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리어부(100)까지 혈관내에 배치시킬지 여부는 시술현장에서 의사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b , the diameter of the core part 300 is expanded as it comes out of the outer tube 21 . And the core part 300 is positioned at the lesion location. And if the outer tube 21 is continuously moved backward, the rear part 100 also comes out of the outer tube 21 and can be disposed in the blood vessel. Whether or not to arrange the rear part 100 in the blood vesse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who is a doctor at the operation site.

코어부(300)가 병변(35)의 위치에서 혈관(30) 내에 예정대로 자리를 잡는 경우에는 코어부(300)만 혈관 내에 남겨두어도 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코어부(300)을 남겨둔 채 리어부(100) 및 프런트부(200)를 카테터(20)를 이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When the core part 300 is positioned in the blood vessel 30 at the location of the lesion 35 as scheduled, only the core part 300 may be left in the blood vessel, so that the core part 300 is lef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lection. The rear part 100 and the front part 200 may be recovered using the catheter 20 .

예를 들어, 도 6b과 같은 상태에서, 카테터(20)의 외측튜브(21)을 전측으로 전진이동 시키면 리어부(100)가 다시 수축되면서 외측튜브(2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계속하여 외측튜브(21)을 전진시키면 외측튜브(21)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상태인 코어부(300)의 내측으로 진입되며 이때 브릿지와어어(150)는 외측튜브(2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어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튜브(21)을 계속 전진시키면 프런트부(200`)가 수축되면서 외측튜브(2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프런트부(200`)가 외측튜브(21)의 내측으로 인입이 완료되면, 외측튜브(21)를 반대방향으로 후퇴시켜서 코어부(300)만을 병변(35) 부위에 남기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outer tube 21 of the catheter 20 is moved forwar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B , the rear part 100 is contracted again and is drawn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21 . If the outer tube 21 is continuously advanced, the outer tube 21 enters the inside of the core part 300 in an expanded state as shown in FIG. ) is introduced into the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D , when the outer tube 21 is continuously advanced, the front part 200 ′ is contracted and introduced into the outer tube 21 . When the front part 200 ′ is drawn into the outer tube 21 , the outer tube 21 is retra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leave only the core part 300 in the lesion 35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코어부가 병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ore portion of th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esion.

프런트부(200`)가 모두 수축되어 외측튜브(21)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카테터가 제거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 부위에 코어부(300)만이 남아서 혈관내 공간을 확보하는 형태가 된다.When the front part 200 ′ is all contracted and drawn into the outer tube 21 and the catheter is removed, as shown in FIG. 7 , only the core part 300 remains at the lesion site to secure intravascular space. becomes

따라서 병변(35)의 크기에 맞게 적절한 크기의 코어부(300)만 혈관 속에 배치시켜놓는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ocedure in which only the core part 300 of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sion 35 is placed in the blood vessel.

한 편,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의 리어부(100), 코어부(300) 및 프런트부(200)가 함께 병변에 설치되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8 , a form in which the rear part 100 , the core part 300 , and the front part 200 of the stent 10 ′ are installed on the lesion together is also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혈관 속의 병변 근처에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near a lesion in a blood vessel.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스텐트(10`)의 프런트부(200`)가 배치되고 이어서 병변 근처에서 코어부(300)가 확장되어 있으나, 코어부(300)의 길이(L3)가 병변(35)의 길이(L35)보다 짧은 경우, 프런트부(200`)와 리어부(100)도 혈관 속에 배치시켜서 병변(35)의 길이(L35)를 커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front part 200 ′ of the stent 10 ′ is disposed and then the core part 300 is expanded near the lesion, but the length L3 of the core part 300 is the lesion 35 . ) is shorter than the length L35, the front part 200 ′ and the rear part 100 may also be disposed in the blood vessel to cover the length L35 of the lesion 35 .

이와 같이, 스텐트(10`)를 병변에 설치하는 시술을 함에 있어서 시술상황에 따라 스텐트(10`)의 코어부(300)만 설치하거나 코어부(300), 리어부(100) 및 프런트부(200`)까지 모두 설치하는 형태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 삽입시술의 성공확률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스텐트 삽입시술시 안전성도 확보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stent 10 ′ on the lesion, only the core part 300 of the stent 10 ′ is installed or the core part 300 , the rear part 100 and the front part ( 200`) can be selected and executed, so it helps to increase the success probability of the stent insertion procedure, and safety can be secured during the stent insertion procedu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시술시 의사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코어부만 설치하거나 코어부, 리어부 및 프런트부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술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텐트 설치 시술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술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re part or the core part, the rear part and the front par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who is a doctor during surgery, so that an appropriate stent installation procedur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uatio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 ar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10` : 스텐트
100 : 리어부 150 : 브릿지와이어
200, 200` : 프런트부 300 : 코어부
10, 10`: stent
100: rear 150: bridge wire
200, 200`: front part 300: core part

Claims (8)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 속 또는 병변 근처에 배치되는 스텐트로서,
망(net)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되는 튜브의 형태를 갖춘 프런트(front)부;
상기 프런트부의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되 상기 프런트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망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춘 리어(rear)부; 및
망상으로 조직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직경이 임의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프런트부 및 상기 리어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되 상기 프런트부 및 상기 리어부 사이에서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는 코어(core)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A stent placed in a blood vessel or near a lesion using a catheter,
A front portion having the form of a tube that is organized on a net and is extended to an arbitrar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The rea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is organized in a network, and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can be expanded to an arbitrar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 and
It is organized in a network and has the form of a tube whose diameter can be expanded to any size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catheter,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bu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 core part that can be separated by being separated from one another; A sten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와 상기 리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와이어(bridge wire)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와이어는 상기 코어부의 내측을 통해(통과하여) 전단이 상기 프런트부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리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re connected by at least one bridge wire,
The bridge wire is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through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re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부가 상기 코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부의 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상기 코어부의 후단측 직경에 비하여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ar end diameter of the core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rear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ore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가 상기 코어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런트부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상기 코어부의 전단측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The method of claim 3,
so that the front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re part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front end diameter of the cor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의 후단측 일부분의 직경이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shap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decreases toward the rear si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형태 및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network tissue of the front part an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re part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홀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홀은 육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The method of claim 6,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of the network tissue of the front part forms a square shape, and the hole of the network tissue of the core part has a hexagonal shap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의 망상 조직의 홀이 육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어부의 망상 조직의 홀은 사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The method of claim 6,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of the network tissue of the front part forms a hexagonal shape, and the hole of the network tissue of the core part has a rectangular shape.
KR1020200024135A 2020-02-27 2020-02-27 Stent KR102375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35A KR102375283B1 (en) 2020-02-27 2020-02-27 S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35A KR102375283B1 (en) 2020-02-27 2020-02-27 S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191A true KR20210109191A (en) 2021-09-06
KR102375283B1 KR102375283B1 (en) 2022-03-17

Family

ID=7778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135A KR102375283B1 (en) 2020-02-27 2020-02-27 S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8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4846A1 (en) * 1986-12-09 1988-07-2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hypertrophy of the prostate gland
KR20020080024A (en)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스텐텍 Esophageal stent
WO2005092241A1 (en) * 2004-03-02 2005-10-06 Cardiomind, Inc. Corewire actuated delivery system with fixed distal stent-carrying extension
KR20110001797A (en) 2009-06-30 201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37525B1 (en) * 2016-12-08 2018-03-13 주식회사 엠아이텍 Anti-reflux hybrid stent
KR20190126386A (en) * 2017-03-28 2019-11-1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Recoverable Sten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4846A1 (en) * 1986-12-09 1988-07-2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hypertrophy of the prostate gland
KR20020080024A (en)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스텐텍 Esophageal stent
WO2005092241A1 (en) * 2004-03-02 2005-10-06 Cardiomind, Inc. Corewire actuated delivery system with fixed distal stent-carrying extension
KR20110001797A (en) 2009-06-30 201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37525B1 (en) * 2016-12-08 2018-03-13 주식회사 엠아이텍 Anti-reflux hybrid stent
KR20190126386A (en) * 2017-03-28 2019-11-1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Recoverable St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83B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122B2 (en) Gastric pseudocyst drainage and stent delivery system for use therein
ES2902478T3 (en) Apparatus for placing a braided stent with expansion rings
JP4923187B2 (en) Stent delivery system for controlled release of stent
EP1894545B1 (en) Multiple in vivo implant delivery device
JP43443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ide branch ostium
US20030083734A1 (en) Stent
US20020062129A1 (en) Insertion device for stents & methods for use
JP2004522496A (e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deploying an implantable intraluminal device
AU783830B2 (en) Facilitating drainage
ES2932656T3 (en) Distal Capture Device for a Self Expanding Stent Graft
JP2009501567A (en)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deployment of self-expanding intravascular devices
JP2008507376A5 (en)
CN108366854A (en) Retract or/and support periurethral tissue
JP2008514266A (en) Bifurcation treatment assembly
KR20190039715A (en) Dynamic catheter insertion device configured to assist drainage
US20120101560A1 (en) Retractable flow maintaining stent wire
US7976460B2 (en) Cone tip biliary catheter and method of use
JP2010504142A (en) Self-expanding stent system for bifurcated damage
EP28638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ortic protection and tavi planar alignment
JP2008501467A (en) Artificial vascular stent
KR102375283B1 (en) Stent
GB2473529A (en) Expanding stent with two independently deployed crowns
ES2924079T3 (en) Vascular branch stent
US20170281910A1 (en) Guidewire device with deployable distal end port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O2009130457A1 (en) Expanding medical co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