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855A -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855A
KR20210106855A KR1020200021909A KR20200021909A KR20210106855A KR 20210106855 A KR20210106855 A KR 20210106855A KR 1020200021909 A KR1020200021909 A KR 1020200021909A KR 20200021909 A KR20200021909 A KR 20200021909A KR 20210106855 A KR20210106855 A KR 2021010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data
terminal
data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호철
Original Assignee
박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철 filed Critical 박호철
Priority to KR102020002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855A/en
Publication of KR2021010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collecting data related to a vehicle. The method comprises steps of: obtaining, from a first terminal that handle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an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encod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real time in an encoder; and synchroniz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data.

Description

실시간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차량의 이동 환경에서의 영상을 수집 및 저장하고,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real-time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in a mo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의 방식은 개별적인 차량관련 데이터 수집장치들이 각각 영상, 음성 및 정형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하나의 차량에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 블랙박스(blackbox) 단말, 그 밖의 각종 영상 센서들이 장착되어, 네비게이션 단말에서는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취급하고, 블랙박스에서는 차량의 전후방 운행영상을 취급하며, 그 밖에 각종 차량 탑재 영상센서에서 차량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획득하는 방식을 취해왔다.In relation to a method of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a conventional method is used in which individual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devices collect and store image, audio and formatted data, respectively. For example, one vehicle is equipped with a navigation terminal, a black box terminal, and various other image sensors, so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handles vehicle operation-related data, and the black box handles front and rear operation images of the vehicle In addition, it has taken a method of individually acquiring vehicle-related image data from various vehicle-mounted image sensors.

다만, 이렇게 다수의 장치에서 별도로 취급되는 차량 이동 환경에서의 영상, 음성 및 운행정보 데이터는 각 장치별로 저장 및 활용되어 사고발생시 해당 시점의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어렵게만든다. 또한, 각 단말들은 사고와 동시에 파손됨에 따라 개별 데이터들이 유실될 염려도 있어, 실제 사고에서여러 단말 또는 센서로부터의 복수 개의 영상 및 비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video, audio, and driving information data in the vehicle moving environment, which are handled separately by multiple devices, are stored and utilized for each device, making it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ata related to the vehicle at the time of an accident.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individual data may be lost as each terminal is damaged at the same time as an acciden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a plurality of image and non-image data from various terminals or sensors in an actual acciden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차량과 관련된 각 단말에서의 차량 운행과 관련된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그 밖의 다른 형태의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차량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수집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mprehensively collect streaming image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in each terminal related to the vehicle, other types of vehicle operation data, and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차량 운행 정보를 취급하는 제 1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트리밍(streaming) 영상 데이터및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인코더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rom a first terminal handl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vehicle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Acquiring driving-related data; encoding, in an encoder, real-tim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operation; The method may include synchronizing related data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ame.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은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제 2 단말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method further includes acquiring image data about the vehicle surroundings from a second terminal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surroundings, wherein the storing includes the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related data, and the The method may include synchronizing and storing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ime information.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은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차량 외부의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Th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a third terminal outside the vehicle in real time.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획득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데이터 및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조절된 해상도로 상기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tree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in real time includes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s from the third terminal. Acquiring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data,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ased on the obtained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encoded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with the adjusted resolution to the third terminal.

상기 획득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더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한 데이터의 제 1 기준해상도 및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제 2 기준해상도가 상기 영상 출력조건 상에서 유지되면서 상기 제 3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이 최소가되도록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ased on the obtained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of the data encoded in real time by the encoder stream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큐(queue)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3 단말로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태 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제 3 단말로 상기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모드 및 로컬 스토리지에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모드 중 하나로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ynchronizing and stor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data based on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operation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Recording a part of data in a queue, relay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and periodically from the third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report,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a relay mode for relaying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nd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o the local storage ,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one of a recording mode for storing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상기 동작 모드를 스위칭 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태 보고의 무응답 시점을 기준으로 큐로부터버퍼링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기록되도록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buffered from a queue based on a non-response time of the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re stored in the local may include switching the operating mode to be written to the storage.

상기 동작 모드를 스위칭 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단말로부터의 보고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보고 수신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태보고의 수신 시간과 임계시간을 비교하여 녹화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중계 모드 또는 상기 기록 모드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발생 여부의 판단은 상기측정된 평균 보고 수신 시간 및 최대 버퍼링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측정된 보고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The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includes periodically receiving a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calculating an average report reception time by measuring a report time from the third terminal, and the status from the third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recording failure has occurred by comparing a report reception time with a threshold time, and performing switching to the relay mode or th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ailure occurs is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report delay tim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average report reception time and the maximum bufferable time.

상기 제 1 단말은 네비게이션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블랙박스(blackbox)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navig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 black box terminal.

영상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차와 관련된 보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보조 영상 데이터는 시간 정보를기반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obtaining, from an image sensor, auxiliary image data related to parking of the vehicle, wherein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nd the auxiliary image data are synchronized based on time information. can be sa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는 차량 운행정보를 취급하는 제 1 단말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운행과 관련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트리밍(streaming) 영상 데이터 및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데이터를 저장하는 로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treaming navigation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from a first terminal handl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treaming) an encoder that obtains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and encodes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in real time,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be synchronized and stored in the local storage and a local storage for stor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제 2 단말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quires image data about the vehicle surroundings from a second terminal that captures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uses the streaming image data, the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and the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ime information. It can be synchronized and stored in the local storage.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차량 외부의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a third terminal outside the vehicle in real tim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기반으로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조절된 해상도로상기 제 3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obtains the video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video data from the third terminal, and based on the obtained video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The resolution of the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may be adjusted, and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at the adjusted resolution.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인코더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한 데이터의 제1 기준해상도 및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제 2 기준해상도가 상기 영상 출력조건 상에서 유지되면서 상기 제 3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econd reference resolution of the data obtained by encod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in real time by the encoder and the second reference resolution of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second terminal on the image output condition. 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solution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so that the data transmission bandwidth to the terminal is minimize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큐(queue)에 기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3 단말로 중계하며,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태 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제 3 단말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모드 및 로컬 스토리지에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모드 중 하나로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records a part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operation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in a queue, and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operation data and The video data around the vehicle is relayed to the third terminal, and based on a status report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third terminal,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the vehicle operation data, and the vehicle are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mode to be switched to one of a relay mode for relaying surrounding image data and a recording mode for stor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in a local storag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태 보고의 무응답 시점을 기준으로 큐로부터 버퍼링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기록되도록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operates so that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uffered from a queue based on a non-response time of the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are recorded in the local storage It can be controlled to switch modes.

상기 콘트롤러에서의 동작 모드를 스위칭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보고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보고 수신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태 보고의 수신 시간과 임계시간을 비교하여 녹화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중계 모드 또는 상기 기록 모드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되, 상기 장애 발생 여부의 판단은 상기 측정된 평균 보고 수신 시간 및 최대 버퍼링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측정된 보고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Switching the operation mode in the controller periodically receives a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measures the report time from the third terminal, calculates an average report reception time, and the status from the third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cording failure occurs by comparing the report reception time with a threshold time, and switching to the relay mode or the recording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but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ailure occurs is the measured average report reception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reporting delay tim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 time and a maximum buffering available time.

상기 제 1 단말은 네비게이션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블랙박스(blackbox)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may include a navig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 black box terminal.

상기 콘트롤러는 영상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차와 관련된 보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보조 영상 데이터는 시간 정보를기반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obtains auxiliary image data related to parking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sensor, and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nd the auxiliary image data are synchronized and stored based on time information. ca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은 차량운행 정보를 취급하는 제 1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트리밍(streaming) 영상데이터 및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외부의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차량관련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from a first terminal handl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navigation-related streaming video data and Acquire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encode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in real time, and synchronize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To include a third terminal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from a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device and th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device that ar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hird terminal can

본 발명의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 운행과 관련된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확보하고, 다른 형태의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동 환경의 영상뿐만 아니라 운행 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외부 단말로의실시간 전송의 효율화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aming image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is encoded and secured in real time, and other types of vehicle operation data and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re synchronized and stored on a time-based basis to control the movemen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not only the image but also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and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the efficiency of real-time transmission to an external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가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인코더(encoder)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인코딩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영상 분배기가 적용하고 있는 POD(Pixel On Demand)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제 3 단말에서 활용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 기반의 이중 녹화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중 녹화를 수행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상세블록도,
도 9는 도 8의 스위칭부에서의 장애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including an apparatus for collect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ore vehicle-related data by synchronizing based on time informa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 encoder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encoding unit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D (Pixel On Demand) method applied by an image distributor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screen for utilizing data received from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ternal third terminal;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dual recording based on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that performs dual recor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ailure in the switching unit of FIG. 8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including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차량정보 수집장치(110), 제 1 단말(120), 제 2 단말(130), 영상 센서(140) 및 제 3 단말(1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system including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 a first terminal 120 , a second terminal 130 , and an image sensor ( 140 ) and the third terminal 150 .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는 차량과 연관된 단말로써, 차량에 탑재될 수도 있고, 차량과 탈착식으로 접속될 수도 있으며, 차량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단말일 수도 있다.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는 제 1 단말(120), 제 2 단말(130) 및 영상 센서(140)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is a vehicle-related terminal, which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may be a portable terminal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vehicle. hav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may be referred to as a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device or the lik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20 , the second terminal 130 , and the image sensor 140 through a wired and/or wireless network.

제 1 단말(120)은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취급하는 단말이다. 제 1 단말(120)은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제 1 단말(120)은 차량운행과 관련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IS(Geographic InformationSystems)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시간 정보를 함께 취급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예컨대, 현재 시간)에 어느 위치에 차량이 위치하며, 어느 경로를 통해 어느 출발지로부터 어느 목적지로 향하고 있는지에관한 다양한 정보를 취급한다.The first terminal 120 is a terminal that handles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a navigation device. The first terminal 120 has the ability to secur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formation in relation to vehicle operation, and can handle time information together. That is, it handles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which location the vehicle is located at a specific time (eg, the current time) and which route it is heading from which origin to which destination.

제 1 단말(1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현재 위치와 입력된 목적지에 최적화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산출하고,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경로를 기반으로 차량의 운행을 지원한다. 이때, 제 1단말(120)은 생성된 경로와 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운행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밖에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현재 차량의 지리적인 위치, 속도, 운행방향, 교통상황, 경도, 위도, 주변 건물 등의상황(주변 건물명, 주변 음식점, 주변 주유소 등)과 관련된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는, 제 1 단말(120)은 네비게이션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로 차량정보 수집장치(110)의 인코더(112)로 제공한다. 이때, 반드시 운행 중인 영상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운행이 아닌 사용자가 설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면 데이터도 스트리밍 형태로 인코더(11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의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를 인코더(112) 및/또는 콘트롤러(114)로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이오프된 상태인 경우, 영상 데이터의 인코더(112)로의 전송은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더(112)는 인코딩을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20 calculates at least one route optimized for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input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supports driving of the vehicle based on one rout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calculated at least one route. .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120 generates image data related to navigation operation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ted route and the vehicle.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tructured or unstructured data related to the current vehicle's geographical location, speed, direction of operation, traffic situation, longitude, latitude, surrounding buildings, etc. can create Then, the first terminal 120 provides the navigation image data to the encoder 112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 in the form of streaming (streaming). In this case, not only the video in motion is necessarily provided, but screen data in which the user, not driving, inputs data related to settings may also be provided to the encoder 112 in streaming form. In addition, structured or unstructure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encoder 112 and/or the controller 114 . When the navigation is off,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data to the encoder 112 may be stopped. In this case, the encoder 112 may not perform encoding.

제 2 단말(130)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이다. 제 2 단말(130)은 블랙박스 단말일 수 있다. 제 2 단말(130)은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복수 개 이상 배치되어,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의 운행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측방향에도 배치되어 차량의 측방 또는 3차원적으로 상방향 및/ 또는 하방향으로의 영상도 촬영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주행 중뿐만 아니라 주차 중 정지영상의 녹화도가능하며, 차선이탈 등 특수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시간정보와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제 2 단말(130)에서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는 차량정보 수집장치(110)의 영상분배기(114)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30 is a terminal including a camera for capturing images around the vehicle.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a black box terminal.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3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or rear of the vehicle to generate driving images of the front and/or rear of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also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mage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or three-dimensionally in an upward and/or downward direction through photographing. It is possible to record still images not only while driving the vehicle but also while parking,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images for special situations such as lane departure along with time information.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generated by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provided to the image distributor 114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 through a wired and/or wireless network.

그 밖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센서(140)가 차량에 탑재되어 영상을 수집 및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센서는주차 보조 등을 위해 차량의 전방, 후방, 측방 등에 제 2 단말(130)에 부가적으로 배치되는 장비로서, 주차보조영상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현을 영상 센서(140)라고 했지만, 반드시 영상만을 취급하는 것은 아니고,초음파 센서, 음성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도 활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텍스트형태 또는 숫자 형태의 데이터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제 3 단말(150)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image sensor 140 may be mounted on a vehicle to collect and generate images. The image sensor is equipment that is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second terminal 130 in the front, rear, side, etc. of the vehicle for parking assistance, etc., and may generate a parking assistance image and the like. In addition, although the expression is called the image sensor 140, it does not necessarily deal with only images, and various sensors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nd an audio sensor are also available. In addition, text or numeric data collected from the various sensors may also be stored in a local storage and/or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150 .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는 제 1 단말(120), 제 2 단말(130) 및 영상 센서(14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 및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음성, 정형 및/또는 비정형 데이터를 수신하여 로컬 스토리지(116)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통신부(118)를 통해 외부의 제 3 단말(150)로 제공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includes at least one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20 , the second terminal 130 , and the image sensor 140 , and at least one image, audio, fixed and/or unstructured image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The data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local storage 116 and/or provided to the external third terminal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8 .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는 인코더(112), 콘트롤러(114), 로컬 스토리지(116) 및 통신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may include an encoder 112 , a controller 114 , a local storage 116 , and a communication unit 118 .

인코더(112)는 제 1 단말(120)로부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인코딩을 수행한다. 인코더(112)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제 1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유선의 경우,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수 있다. 인코더(112)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단말(120)과 연결될 때, 제 1 단말(120)은 인코더(112)와의 연결을 인식하여 제 1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 데이터(예컨대, 네비게이션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더(112)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 단말(120)에 인코더(112)가 인식되도록 인코더(112)와 연관된 드라이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코더(112)는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 1 단말(1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의 제 3 단말(150)의 사용자에게 제 1단말(120)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 3 단말(150)의 사용자 또는 제3 단말(150)과 연결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제 1 단말(120)에 대한 제어명령을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명령은 인코더(112)를 매개로 제 1 단말(120)로 제공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encoder 112 receives the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20 in real time and performs encoding. The encod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20 by wire and/or wirelessly.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it may be connected through a digital interface such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or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When the encoder 112 is connected with the first terminal 120 through the digital interface, the first terminal 120 recognizes the connection with the encoder 112 and displays the display screen data of the first terminal 120 (eg, in navigation). output imag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encoder 112 in real tim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driver associated with the encoder 112 is installed so that the encoder 112 is recognized in the first terminal 120 . Also, the encoder 112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outside to support the control of the first terminal 120 . For example, when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of the first terminal 120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external third terminal 150 in real time,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150 or the user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0 is While viewing the navigation image in real time, a control command for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0 . Then, the control command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120 via the encoder 112 to enable remote control.

인코더(112)는 인코딩 기능, 네트워크 기능 및 컴퓨터 명령 해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112)는 디지털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제 1 단말(120)로부터 디스플레이 화면 정보(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일 수 있음)를 수신한다. 그리고는, 인코더(112)는 수신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인코딩하여 로컬 스토리지(116)에 저장하거나 또는 통신부(118)를 통해 제 3 단말(150)로 제공한다. 이때, 인코딩된 데이터는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RTP 또는 RTSP)를 통해 제 3 단말(150)로 제공되어 제 3 단말(150)의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를 보고 즉시 원격지에서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The encoder 112 may include an encoding function, a network function, and a computer instruction interpretation function. The encoder 112 receives display screen information (which may b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20 connected by wire through the digital interface. Then, the encoder 112 encodes the received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in real time and stores it in the local storage 116 or provides it to the third terminal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8 . At this time, the encoded data is provided to the third terminal 150 through a real-time communication protocol (RTP or RTSP) so that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150 can immediately issue a control command from a remote location after viewing the corresponding data.

인코더(112)는 바이패스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자신이 인코딩한 화면을 바이패스 모니터로 제공하여 차량정보수집장치(110)의 사용자가 인코더(112)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이패스 모니터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인코더(112)의 인코딩, 네트워크 및/또는 시스템 설정 화면을 상기 바이패스 모니터로 제공하여 인코더(112)의 사용자가 인코더(112)와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미도시)를 통해 인코더(112)의 상기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코더(112)는 제 1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이외의 차량운행과 관련된 정형 및/또는 비정형 데이터는 콘트롤러(114)로제공한다.The encoder 112 provides the screen encoded by itself through the bypass monitor (not shown) to the bypass monitor so that the us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can check the image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encoder 112 . let it be The bypass monitor includes a display capabl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and/or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encoding, network and/or system setting screen of the encoder 112 to the bypass monitor, the user of the encoder 112 can connect to the encoder 112 with a user interface (eg, keyboard, mouse, touch pad, etc.)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encoder 112 through (not shown). The encoder 112 provides structured and/or unstructure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other than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20 to the controller 114 .

콘트롤러(114)는 영상 데이터를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차량운행과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로컬스토리지(116)에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를 분배하는 기능은 콘트롤러(114) 내의 영상 분배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분배기는 수집된 영상의 분배를 제어하는 분배기(미디어 배포자(MD: Media Distributor)라 불릴 수 있음)이다. 영상 분배기는 서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트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 대해 제 3 단말(150)에서의 영상 출력조건에 최적화된 형태로 영상을 분배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이하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114 performs a function of distributing image data, and also stores data collected in relation to vehicle operation in the local storage 116 . Here,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image data may be performed by the image distributor in the controller 114 . The image distributor is a distributor (which may be called a Media Distributor (MD)) that controls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images. The image distributor may perform the same role as a server. It plays a role of distributing and providing the image in a form optimized for the image output condition of the third terminal 150 for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t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

또한, 콘트롤러(114)는 수집된 차량과 관련된 영상, 음성, 및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동기화시키고, 동기화된 복수 개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116)에 저장한다. 또한, 콘트롤러(114)는 통신부(118)를 통해 동기화된 차량 관련 각종 데이터를 제 3 단말(15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4 synchronizes the collected vehicle-related video, audio, and structured/unstructured data with each other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es a plurality of synchronized data in the local storage 116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4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vehicle-related data synchro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8 to the third terminal 150 .

통신부(118)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써, 안테나 및/또는 통신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로써 구현될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8 is a component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uch as an antenna and/or a communication processor.

제 3 단말(150)은 차량정보 수집장치(110)로부터 동기화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는 수신된 데이터를 연결된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TV,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수단에 복수 개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스크린을 논리적으로 여러 셀(cell)로나누어 서로 다른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셀로 나누어진 영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영상출력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신부(118)를 통해 콘트롤러(114)의 영상 분배기로 보낼 수 있다. 영상 분배기는수신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고려하여 전송할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ird terminal 150 receives synchronized vehicle-related data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 Then, the received data may be displayed through a connected display means (eg, a TV, a monitor, or a touch screen, etc.).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mage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different images may be displayed by logically dividing one physical screen into several cells. In this case,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image divided into cells, and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tributor of the controller 114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8 . The image distributor may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가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by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vehicle-rela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콘트롤러는 수집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또한, 동기화된 차량 관련 데이터는 타임스탬프(timestamp)와 같은 시간정보를삽입하여 제 3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ynchronizes the collected vehicle-related data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a local storage. In addition, the synchronized vehicle-relat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third terminal by inserting time information such as a timestamp.

이때,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정보는 인코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적어도 하나의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차량 후방 영상, 차량 전방 영상 등), 보조영상 데이터(차량 측방, 주차보조 영상, 차량 내부 영상 등), 차량 운행 데이터(차량 위치, GPS 정보, GIS 정보, 속도, 방향, 경로, 출발지,목적지, 목적지 검색과 관련된 로그 데이터, 교통상황, 주변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관련 데이터가 시간정보와 함께 동기화되어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파일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tor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is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encoded in real time through the encoder, at least on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vehicle rear image, vehicle front image, etc.), auxiliary image data (vehicle side, parking assistance image, etc.) . Such vehicle-related data may be synchronized with time information and stored in a local storage.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physically stored fil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인코더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는 영상 수신부(310), 제 1 변환부(320), 제 2 변환부(330), 인코딩부(340), 제 2 변환부(350), 믹서(360), 명령 수신부(370) 및 명령 제공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coder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en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310 , a first converting unit 320 , a second converting unit 330 , an encoding unit 340 , and a second converting unit. 350 , a mixer 360 , a command receiving unit 370 , and a command providing unit 380 may be included.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수신부(310)는 제 1 단말로부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상 수신부(310)는 유선(예컨대, 디지털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단말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3, the image receiving unit 310 receives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The image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of the first terminal in real time in a wired (eg, digital interface) or wirelessly connected state.

영상 수신부(310)는 HDMI/DVI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신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MIPI CS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for Camera Serial Interface)로 변환할수 있다. MIPI CSI는 제 1 단말과 호스트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는 CSI-1, CSI-2, CSI-3 및 CSI-4와같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다.The image receiving unit 310 may utilize a digital interface such as HDMI/DVI, and may convert the receiv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into MIPI CS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for Camera Serial Interface). MIPI CSI is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host processor. It conforms to standard protocols such as CSI-1, CSI-2, CSI-3 and CSI-4.

제 1 변환부(320)는 영상 수신부(310)로부터 MIPI CSI 기반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YUV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된 YUV 데이터는 YUV 420 데이터 포맷을 포함할 수있다. 상기 YUV 420 데이터 포맷들은 기존 시스템들과의 호환성을 위한 레가시 포맷(legacy YUV 420)과 보다 저비용 실행을 위한 넌-레가시 YUV 420(non-legacy YUV 420)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변환부(320)는 두 개로 분할된 채널을 통해 제 2 변환부(330, 350)로 상기 YUV 포맷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제공한다. 이때, 제 2 변환부(330)를 통한 채널에서는 인코딩을 통해 콘트롤러로의 전송이 이루어지고, 제 2 변환부(350)를 통한 채널에서는 믹싱을 통해 바이패스 모니터(305)로의 화면 데이터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verter 320 receives the MIPI CSI-bas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from the image receiver 310 and converts it into a YUV data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ted YUV data may include a YUV 420 data format. The YUV 420 data formats may include a legacy YUV 420 format for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ystems and a non-legacy YUV 420 format for lower cost implementation. The first conversion unit 320 provides the YUV format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s 330 and 350 through the channel divided into two. At this time, the channel through the second conversion unit 3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encoding, and the channel through the second conversion unit 350 provides screen data to the bypass monitor 305 through mixing through mixing. can

제 2 변환부(330, 350)는 상기 YUV 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YUV 포맷은 높은 압축률을 가질 수 있기때문에, 이를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갖는 낮은 압축률의 RGB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변환부(330)의 변환 방법은 4:2:0, 4:2:2, 및 4:4:4 변환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다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onverters 330 and 350 convert the YUV data into RGB data. Since the YUV format can have a high compression ratio, it is preferable to convert it into data of a low compression ratio RGB format having red (R), green (G), and blue (B). At least one of 4:2:0, 4:2:2, and 4:4:4 conversion methods may be used as the conversion method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3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인코딩부(340)는 제 2 변환부(330)에서 변환된 RGB 포맷의 제 1 단말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방식으로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H.265), H.264/AVC, SVC(Scalable VideoCoding), MVC(Multiview Video Coding), DivX, WMV(Window Media Video), VP8, VP9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설정에서 선택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340)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및/또는 비트레이트(bit rate)를 변경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인코딩부(340)는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프레임을 분할한 분할 프레임 단위(예컨대, 1/4 프레임)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콘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다.The encoding unit 340 encodes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of the first terminal in the RGB format converted by the second conversion unit 330 . There are various encoding methods such as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265), H.264/AVC, SVC (Scalable VideoCoding), MVC (Multiview Video Coding), DivX, WMV (Window Media Video), VP8, VP9, etc. method can be used. This is selectable in user settings and can be chang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lso, the encoding unit 340 may encode data by changing a resolution, a frame rate, and/or a bit rate through a user setting. The encoding unit 340 may encode data in units of one frame, or may encode data in units of divided frames (eg, quarter frames) obtained by dividing one frame to provide the encoded data to the controller.

콘트롤러는 인코딩부(340)를 통해 인코딩된 제 1 단말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제 3 단말로 전송한다. 콘트롤러는 인코딩부(340)로부터 하나의 완성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패킷화한 후, 제 3 단말로 전송할 수있다. 또는, 분할 프레임 단위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화하여 제 3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RTP또는 RTSP와 같은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제 3 단말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transmits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of the first terminal encoded through the encoding unit 340 to the third terminal. The controller may receive one completed frame from the encoding unit 340, packetize it, and then transmit it to the third terminal. Alternatively, encoded data in units of divided frames may be received, packetized,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The encod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through a real-tim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RTP or RTSP.

믹서(360)는 제 2 변환부(350)를 통해 변환된 RGB 포맷의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HDMI/DVI와 같은디지털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가능한 형태로 믹싱한다. 믹싱된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바이패스 모니터(305)로 제공된다.The mixer 360 mixes the RGB format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converted through the second converter 350 in a form that can be output through a digital interface such as HDMI/DVI and/or a wireless network. The mixed data is provided to the bypass monitor 305 connected through the digital interface and/or wireless network.

이러한 믹싱 과정을 통한 비디오 스트림 출력에 따라 바이패스 모니터(305)는 차량정보 수집장치에서 처리되어제 3 단말 측으로 전송되는 화면을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차량정보 수집장치의사용자는 현재 원격 제어될 가능성이 있는 제 1 단말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원격 제어에 의해 변경되는 제 1 단말의 네비게이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지의 제 3 단말의 사용자가 제 1 단말의 특정아이콘을 클릭하여 아이콘을 열었을 경우, 이러한 제 1 단말의 화면 내의 변화가 바이패스 모니터(305)에 표시되어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video stream output through the mixing process, the bypass monitor 305 may display a screen process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us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The user may check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that is currently remotely controlled, and may also check the navigation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that is changed by the remote control. For example, when a user of a third terminal in a remote location clicks a specific icon of the first terminal to open the icon, such a change i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bypass monitor 305 and the us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perceives it make it possible

명령 수신부(370)는 콘트롤러를 매개로 제 3 단말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은 제 1 단말에대한 원격지에서의 제어명령으로 제 1 단말의 화면을 보면서 제 3 단말의 사용자가 제 3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인터페이스(미도시)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명령어들이다. 이는 커서 이동, 커서 클릭, 문자/숫자/부호 입력, 명령어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and receiving unit 37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controller. The control commands are commands provided by a user of the third terminal using a user interfa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as a remote control command for the first terminal. This may include moving the cursor, clicking the cursor, inputting letters/numbers/signs, inputting commands, and the like.

명령 제공부(380)는 명령 수신부(370)에서 수신한 제어명령을 파싱하여 제 1 단말로 제공한다. 제 1 단말은 이를 수신하여 제 3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의 명령을 이행한다.The command providing unit 380 parse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command receiving unit 370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receives it and implements the user's command associated with the third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인코딩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부(400)는 코덱 선택부(410), 해상도 조절부(420),프레임 레이트 조절부(430) 및 비트레이트 조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encoding unit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shown in FIG. 4 , the encod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ec selector 410 , a resolution adjuster 420 , a frame rate adjuster 430 , and a bitrate adjuster 440 . ) may be included.

도 4를 참조하면, 코덱 선택부(410)는 복수 개의 코덱들(코덱 1, 코덱 2, ...코덱 N) 중 하나의 코덱 방식을 선택한다. 코덱 선택부(41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여러 코덱 중 하나를 선택가능하다. 코덱 선택부(410)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코덱 1로 인코딩을 수행하다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코덱 변경이 있을 경우, 변경설정된코덱 2를 통해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codec selector 410 selects one codec method from among a plurality of codecs (codec 1, codec 2, ... codec N). The codec selector 410 may select one of several codecs according to user settings. The codec selector 410 performs encoding with the default codec 1, and when there is a codec chan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he codec selector 410 controls the encoding to be performed through the changed codec 2 .

해상도 조절부(420)는 인코딩과 관련하여 프레임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즉, 인코딩된 데이터의 표현의 섬세함의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수평화소 및 수직 화소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역시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는수치가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모드(3840x2160, 1920x1080, 1280x720, 1024x768, 800x600, 320x180 등)를 설정해 놓고, 이 중 하나를 가변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solution adjusting unit 420 adjusts the resolution of the frame in relation to encod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fineness of the expression of the encoded data. This may be defined as the number of horizontal pixels and vertical pixels. Again, there may be a value set as a default value, and the user can change the value arbitrarily through the user interface.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modes (3840x2160, 1920x1080, 1280x720, 1024x768, 800x600, 320x180, etc.) can be set, and one of them can be variably selected.

프레임 레이트 조절부(430)는 인코딩과 관련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고, 비트레이트 조절부(440)는 비트레이트를 조절한다. 프레임 레이트 조절부(430)는 fps 15, 30, 60 등 다양한 프레임 레이트를 마련하고 있을 수있고, 해상도 상관없이 설정한 fps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와 비트레이트도 디폴트 값으로 일정 값이 설정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들어가는프레임 수를, 비트 레이트는 초당 들어가는 정보의 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프레임 레이트 및/또는 비트레이트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제 1 단말의 네비게이션 영상 데이터의 화질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있다. 즉,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사용자는 제 1 단말의 특성에 따라 고화질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 차량정보수집장치의 인코딩 관련 파라미터를 고화질로 맞춰 인코딩이 수행되도록 하여 원격지의 사용자도 고화질의 네비게이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비교적 저화질의 데이터를 취급해도 무방한 경우, 인코딩 관련파라미터를 저화질에 적합한 값으로 맞춰 인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frame rate adjusting unit 430 adjusts the frame rate in relation to encoding, and the bit rate adjusting unit 440 adjusts the bit rate. The frame rate adjusting unit 430 may provide various frame rates such as fps 15, 30, and 60, and may apply the set fps regardless of resolution. The frame rate and bit rate are also set to default values, and the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valu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Frame rate can be defined as the number of frames entered per second, and bit rate can be defined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entered per second. The user can effectively adjust the quality of the navigation image data of the first terminal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frame rate and/or the bit rate. That is, when the us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handles high-definition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erminal, the encoding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encoding-related parameters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to high-definition, so that the user in a remote location can also enjoy high-quality navigation images. Conversely, when data of relatively low quality can be handled, encod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encoding-related parameters to values suitable for low qualit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영상 분배기가 적용하고 있는 POD(Pixel On Demand)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D (Pixel On Demand) method applied by an image distributor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복수 개의 영상을 제 3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영상 1(510-1)은 인코더에서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영상 2(510-2)및 영상 3(510-3)는 제 2 단말로부터 획득한 차량 전방 영상 및 차량 후방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4는 영상 센서로부터 획득한 차량 측방 영상일 수 있다. 각각의 영상 데이터(510-1~510-4)는 모두 특정 해상도를 가지며, 10Mbps(bit per second)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제공될 때 적절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10Mbps의 대역폭이 각각 필요한 영상 1 내지 영상 4(510-1~510-4)를 차량정보 수집장치가 제 3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10Mbps x 4 = 40Mbps의 대역폭이 필요하게 된다.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provided to a third terminal in a general manner. Here, the image 1 (510-1) may b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encoded in real time by the encoder, and the image 2 (510-2) and the image 3 (510-3) are the vehicle front image obtain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It may b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Also, image 4 may be a vehicle side image obtained from an image sensor. Each of the image data 510-1 to 510-4 has a specific resolution, and may have an appropriate quality when provided using a bandwidth of 10 Mbps (bit per second).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to transmit the images 1 to 4 (510-1 to 510-4), each requiring a bandwidth of 10 Mbps, a bandwidth of 10 Mbps x 4 = 40 Mbps is required.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영상분배기가 사용하는 POD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의 (b)에서도 도 5의 (a)의 상황과 동일하게, 인코더로부터 인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영상, 차량 주변 영상 등이 모두 10Mbps의 비트레이트가 적절한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적절한 해상도는 전송의 기준이 되는 해상도로써,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인코딩된 데이터의인코딩 해상도를 나타내고, 그 밖의 인코더를 거치지 않고 영상분배기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수신될 때의 해상도를 나타낸다. 기준 해상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아닌 데이터는FIG.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POD method used by an image distributor of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b), it is assumed tha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ituation of FIG. 5(a), a bitrate of 10Mbps is appropriate for all of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and vehicle surroundings image read from the encoder. Such an appropriate resolution is a standard resolution for transmission. In the case of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it represents the encoding resolution of the encoded data, and for video data received by a video distributor without going through other encoders, the resolution at the time of reception. indicates. The reference resolu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In addition, data other than ima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D 방식의 적용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the PO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분배기는 40Mbps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1 내지 4(510-1~510-4)를 모두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들에 대해 적절한 해상도 조절을 통해 전송대역폭의 효율을 극대화한다.영상분배기는 제 3 단말로부터 영상출력조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출력조건 정보는 제 3 단말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조건과 관련된 정보로, 출력되는 영상의 개수 및 영상식별정보, 출력 영상의 크기, 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영상 1 내지 4(510-1~510-4)가 모두 출력되며, 이때, 4등분된 크기로 영상 1 내지4(510-1~510-4)가 제 3 단말에서 표시된다면 출력영상의 식별번호와 해당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영상의 출력 크기 정보가 제 3 단말로부터 영상분배기로 제공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video splitter receives all of the input images 1 to 4 (510-1 to 510-4) using a bandwidth of 40 Mbps, and adjusts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s to adjust the transmission bandwidth.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video distributor. The video distributor may obtain the video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terminal. The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 condi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rom the third terminal,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utput images, and size and arrangement of output images. For example, all of the images 1 to 4 (510-1 to 510-4) are output. At this time, if the images 1 to 4 (510-1 to 510-4) are displayed in the third terminal with a size divided into 4 equal parts, the output image is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output size informa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are provided from the third terminal to the video distributor.

영상분배기는 제 3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출력 조건 정보 중 영상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전송해야 할 영상을 특정하고, 영상의 출력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영상의 대응되는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해상도는영상들의 원(original) 해상도가 제 3 단말에서의 영상출력조건 상에서 유지되면서, 제 3 단말로의 영상 전송을위한 대역폭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해상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b)의 실시예에서는, 10Mbps의 전송 대역폭을 요구하는 해상도의 영상 4개가 전송되는 상황에서, 제 3 단말에서는 해당 영상들이 1/4의 크기로 출력되고 있기에, 모든 영상의 해상도가 1/4로 감소하여도 제 3 단말의 출력화면에서는 이를 구분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해상도를 1/4로 조절하여, 한 영상당 10Mbps의 대역폭을 요구하던 것을, 2.5Mbps의 대역폭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전체적으로 40Mbps가 아닌, 2.5Mbps x 4 = 10Mbps의 대역폭으로 4개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본 발명의 영상분배기에서 사용하는 POD 방식이다.The image distributor may specify an image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image identification number among the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ird terminal, and determine a corresponding resolution of the specified image based on the output size information of the image. In this case, the resolution may be determined as a resolution value such that the bandwidth for image transmission to the third terminal is minimized while the original resolution of the images is maintained under the image output condition of the third terminal.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5 (b), in a situation in which four images with a resolution requiring a transmission bandwidth of 10 Mbps are transmitted, since the corresponding images are output in 1/4 size from the third terminal, all images are Even if the resolution is reduced to 1/4,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on the output screen of the third terminal. Therefore, by adjusting the resolution to 1/4 and transmitting the bandwidth of 10 Mbps per image, the bandwidth of 2.5 Mbps is used to transmit 4 images with a bandwidth of 2.5 Mbps x 4 = 10 Mbps instead of 40 Mbps as a whole. It is preferable to do so. This is the POD method used in the video spl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첩된 형태로 제 3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기에,10Mbps의 기준 해상도를 갖는 복수 개의 영상의 조합된 화면임에도, 10Mbps를 넘는 대역폭이 요구될 수도 있다.또한, 제 3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전체 영역에 영상이 표출되고 있지 않을 수도 있기에(텍스트, 숫자 또는기타 다른 형식의 데이터가 표시될 수도 있음), 10Mbps 이하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음은물론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of the third terminal in a superimposed form, a bandwidth exceeding 10 Mbps may be required even though it is a combined screen of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a reference resolution of 10 Mbps. .In addition, since the image may not be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means of the third terminal (text, number, or other types of data may be displayed), a bandwidth of 10 Mbps or less may be used. It is a secret theor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제 3 단말에서 활용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for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ternal third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정보 수집장치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음성 및 정형/비정형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 직접 저장하였다가 추후 이를 추출하여 검토하거나, 실시간으로 외부의 제 3 단말로전송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directly stores a plurality of images, audio, and structured/unstructured data synchronized based on time information in a local storage, and extracts and reviews them later, or an external third terminal in real time. You can use it by sending it to

차량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제 3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는 도 6의 도면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차량정보 수집장치의 뷰어(viewer)에서는, 영상 선택 아이콘(610)을 통해 어느 영상을 출력할지 결정할 수 있다. 출력 영상의종류는 수집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된다. 즉,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차량 전방 영상, 차량 후방 영상, 차량측방 영상, 그 밖의 주차 보조 영상 및 차량 운행 데이터를 종합해 놓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o the third terminal may be utilized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6 . That is, the view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may determine which image to output through the image selection icon 610 . The type of the output image corresponds to the type of the collected image. That is, it may include a navigation streaming image, a vehicle front image, a vehicle rear image, a vehicle side image, an image obtained by combining other parking assistance images and vehicle driving data.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네비게이션 영상, 차량 전방 및 후방 영상과 차량 운행 데이터 종합 영상을 4개의 분할된셀(cell)에 표시하는 것을 가정한다. 하나의 모니터에는 복수 개의 셀(630-1, 630-2, 630-3, 630-4)을 포함하여, 여러 셀에서 각각 하나의 의미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물리적인 모니터는 캔버스(620: canvas)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캔버스(620)는 복수 개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셀(630-1, 630-2,630-3, 630-4)로 분할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 it is assumed that the navigation image, the vehicle front and rear images, and the vehicle driving data comprehensive image are displayed in four divided cells. One moni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630 - 1 , 630 - 2 , 630 - 3 , and 630 - 4 to output one meaningful screen from each of the cells. In this case, one physical monitor may be referred to as a canvas 620 (canvas). That is, the canvas 6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quare or rectangular cells 630-1, 630-2, 630-3, and 630-4.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it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drawings or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중앙 정보 센터 15 : 콜 센터
20 : 차량용 단말기 21 : 휴대폰 인터페이스부
22 : GPS 수신부 23 : 연산부
24 : 센서부 25 : 정보 저장부
26 : 입/출력부 27 : 시스템 제어부
10: central information center 15: call center
20: vehicle terminal 21: mobile phone interface unit
22: GPS receiver 23: arithmetic unit
24: sensor unit 25: information storage unit
26: input/output unit 27: system control unit

Claims (10)

차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운행 정보를 취급하는 제 1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트리밍(streaming)영상 데이터 및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인코더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A method of collecting data related to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from a first terminal that handle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and data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encoding, in an encoder, real-time navigation streaming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nd stor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synchronized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제 2 단말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quiring image data about the vehicle surroundings from the second terminal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surroundings,
The storing may include synchronizing the streaming image data, the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and the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차량 외부의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a third terminal outside the vehicle in real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및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조절된 해상도로 상기제 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in real time comprises:
obtaining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from the third terminal;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ased on the obtained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at an adjusted resolu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 출력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더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한 데이터의 제 1 기준해상도 및상기 제 2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제 2 기준해상도가 상기 영상 출력조건 상에서 유지되면서 상기 제 3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ased on the obtained image output condition information comprises:
A first reference resolution of data obtained by encod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in real time by the encoder and a second reference resolution of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second terminal are maintained on the image output condition to the third terminal and determining resolutions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so that the data transmission bandwidth is minimiz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데이터의 일부를 큐(queue)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 3 단말로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태 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제 3 단말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모드 및 로컬 스토리지에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모드 중 하나로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synchronizing and storing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ased on time information comprises:
recording a part of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in a queue;
relaying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to the third terminal; and
Based on the status report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third terminal,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re relayed to the third terminal in a relay mode and the local storage in the real time A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comprising: switching an operation mode to one of a recording mode for storing th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스위칭 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태 보고의 무응답 시점을 기준으로 큐로부터 버퍼링된 상기 실시간으로 인코딩된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기록되도록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comprises: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so that the real-time encoded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buffered from a queue,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buffered from the queue based on the non-response time of the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are recorded in the local storage A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related data, comprising the steps 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스위칭 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3 단말로부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보고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보고 수신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3 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태 보고의 수신 시간과 임계시간을 비교하여 녹화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중계 모드 또는 상기 기록 모드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발생 여부의 판단은 상기 측정된 평균 보고 수신 시간 및 최대 버퍼링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고려하여 측정된 보고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판단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comprises:
periodically receiving a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calculating an average report reception time by measuring a report time from the third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recording failure has occurred by compar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status report from the third terminal and a threshold time; and
performing switching to the relay mode or the record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ailure occurs is a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method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 measured report delay tim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average report reception time and maximum buffering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네비게이션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블랙박스(blackbox) 단말을 포함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navigation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a vehicle-related data collection method including a black box (blackbox)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차와 관련된 보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보조 영상 데이터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되는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from the image sensor, auxiliary image data related to parking of the vehicle,
The navigation streaming image data, the vehicle driving data,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data, and the auxiliary image data are synchronized and stored based on time information.
KR1020200021909A 2020-02-21 2020-02-21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106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09A KR20210106855A (en) 2020-02-21 2020-02-21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09A KR20210106855A (en) 2020-02-21 2020-02-21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55A true KR20210106855A (en) 2021-08-31

Family

ID=7748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909A KR20210106855A (en) 2020-02-21 2020-02-21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8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06B1 (en) * 2022-03-07 2022-07-14 박영열 Video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06B1 (en) * 2022-03-07 2022-07-14 박영열 Video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88B1 (en)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4244088B (en) Display controller, screen picture transmission device and screen picture transfer approach
EP2674938B1 (en) Video sender and video receiver
US10511803B2 (en) Vide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7876360B2 (en) Image data transfer processor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120042996A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and transport system
US11039104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mit data by extracting data in shop floor image, apparatus and method to receive data extracted in shop floor image, and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extracted in shop floor image
JP4157887B2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that outputs both still images
EP1460587A2 (en) Dual video compression method for network camera and network digital video recorder
CN101778283A (en) Method for real-timely mapping video signals of mosaic display screen at control terminal
US10917604B2 (en) Captured image display device, captured image display method, and captured image display program
KR20210106855A (en) Real-Time Vehicle-Related Data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727485A (en) Screen interface selectable sharing method and system
US11010019B2 (en) Video data streaming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nd terminal device, and video data streaming monitoring system
KR20190121680A (en)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mit data by extracting data in shop floor image, apparatus and method to receive data extracted in shop floor image, and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extracted in shop floor image
KR101887595B1 (en) Transmitter, receiver for remote control, operation method of the said, and remote control system
CN202221645U (en) Eight-channel high-definition image display device
CN201708886U (en) Video server and video monitoring system
WO2013076778A1 (en) Image transmitting apparatus, image receiving apparatus, image transmitting method, and image receiving method
CN111818311B (en) Ultra-high-definition video monitor with variable vision field
CN212850826U (en) Multifunctional video monitoring tester supporting ultra-high definition 8K decoding
JP6554200B1 (en)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support, receiver,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JP2006270346A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network camera
CN113473059A (en) Data processing method, intelligent device and intelligent processing system
KR101342880B1 (en) Digital video recorder device using transmiter-receiver wireless data for multi channe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