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621A -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 Google Patents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621A
KR20210093621A KR1020200007441A KR20200007441A KR20210093621A KR 20210093621 A KR20210093621 A KR 20210093621A KR 1020200007441 A KR1020200007441 A KR 1020200007441A KR 20200007441 A KR20200007441 A KR 20200007441A KR 20210093621 A KR20210093621 A KR 2021009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f
template
result data
web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오복
Original Assignee
서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오복 filed Critical 서오복
Priority to KR102020000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621A/en
Publication of KR2021009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which comprises: a template provision unit which, when a publishing request signal is inputted from a user terminal, provides a template which is the editing or design environment for publishing to the user terminal; an object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of object data which is a target web document to be published from the user terminal; an editing unit which performs a publishing editing of the object data by using a selected template environment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among the template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document output unit which transmits the result data to a print on demand (POD) system so that the result data, which is completely edited for publishing, can be printed into a printed book.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realize a certain book or e-book of private creative results realized on the web through a PDF-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with a user-oriented customized environment, realize various new utilizations for creations existing on the web, create new demands, and provide an online high-quality content.

Description

템플릿기반 웹(SNS)컨텐츠 PDF 출판시스템{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Template-based web (SNS) content PDF publishing system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본 발명은 웹문서 등을 활자 또는 이북(e-book) 형태로 출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웹문서를 구성하는 HTML기반 데이터를 사용자 지향적 환경이 구현된 편집 디자인 환경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PDF 기반의 출판 전용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웹 컨텐츠를 활자 인쇄 또는 e-book 형태 책자로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블로그&페이스북) PDF 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ublishing web documents in the form of type or e-book, and more specifically, HTML-based data constituting a web document using a template, an editing design environment in which a user-oriented environment is implemented. It relates to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blog & Facebook) PDF publishing system that can create a user's web content as a print or e-book type booklet by converting it into PDF-based publication-only data.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 인프라의 비약적 발전을 통해 현재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사이버 공간은 현대인의 또 다른 생활 영역으로 확장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it, the online cyberspace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expanded into another living area of modern people.

이러한 인터넷은 수많은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런 검색활용과 함께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온라인에서 자신만의 공간을 구축하는 이른바 사적 공간을 창출하는 다양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The Internet is mainly used to search for and utilize the desired information among numerous types of information. Activities are active.

이러한 사적 공간은 오프라인의 능동적인 활동을 단절시킨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나, 현대인의 생활에 비추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오프라인 활동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긍정적인 의미가 더 부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lthough such a private space may have the disadvantage of cutting off offline active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meaning of supplementing and expanding offline activities, which is bound to be limited in light of modern life, is being emphasized more.

페이스북, 카페, 불로그 등 명칭 상의 다양성을 가지는 이러한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개인적 창작물인 글, 음악, 동영상, 사진 등을 공유하는 창작활동은 이제 보편적인 현대인의 생활의 일 부분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It can be said that the creative activity of sharing personal creations such as writing, music, video, and photos using these cyberspaces with diversity in names such as Facebook, cafes, and blogs is now forming a part of common life of modern people.

이러한 사이버 공간은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성향에 기초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자신의 공간을 방문하는 자들에게 자신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 뿐만 아니라 전문가 수준의 고급 정보들로도 구성되어 저작권 등의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까지 발전되고 있다.Since this cyberspace ha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asic human tendency to express oneself, it is composed of not only various activities to inform people who visit one's space, but also high-level information at the professional level, so that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copyright It is being developed into a space that can be protected.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사의 사이버 공간을 통한 창작 결과물 등의 공유 활동은 온라인이라는 다소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만 가능하고, 고정화된 포맷의 형태로만 구현되고 있어 창작활동이 발현되는 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However, sharing activities such as creative results through online companies' cyberspace is possible only within a somewhat limited space called online, and is implemented only in the form of a fixed format,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xpression of creative activities.

즉, 최근에는 인터넷상의 개인이나 단체 등에 의하여 수 많은 컨텐츠가 작성되어 웹에 게시되고 있으며, 이들은 그 자체로 지적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을 수준의 전문적인 컨텐츠로부터 개인적으로 의미가가 있는 글, 동호회 활동 결과물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단순히 온라인상에서 복잡한 트리 구조나 카테고리 구조를 따라가며 클릭과 드래그를 반복하여 열람하거나 확인하는 방법이 아닌 활자화된 인쇄 결과물 또는 e-book 형태의 책자로 하나의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서 제공받고자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In other words, recently, numerous contents are being created and posted on the web by individuals or groups on the Internet. It is not a method of simply clicking and dragging repeatedly to browse or check various types of content online, following a complex tree structure or category structure, but as a high-quality result as a printed or e-book type booklet. There is a need to receive.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전문적인 대행업체가 인력 및 시간을 투자하여 게시물을 출판 용도로 일일이 재편집하는 등의 인력 의존적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사적 활동 차원에서 출판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특별한 툴(tool) 없이 단순히 스크린 프린트를 하는 등 단순하고 개인적 활동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Conventional methods to meet this need are made by a manpower-dependent method such as re-editing each post for publication purpose by investing manpower and time by a professional agency, or use a special tool for content to be published for private activities. He is staying at the level of simple and personal activities, such as simply doing screen printing without a (tool).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온라인의 사적 활동 결과물을 탬플릿 기반의 출판 환경을 이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활자 인쇄 또는 전자책 형태로 편집 및 출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 system that can easily and simply edit and publish the results of online private activities in the form of type printing or e-book using a template-based publishing environment.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t forth below and will be learned by way of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an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판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출판 편집 또는 디자인 환경인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판하고자 하는 대상 웹문서인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는 객체 입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템플릿 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선택 템플릿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 데이터의 출판 편집을 수행하는 편집부; 및 상기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테이터가 활화된 책으로 인쇄되도록 상기 결과 데이터를 POD(Print On Deman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문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template-based PDF publication system for a web doc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emplat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template, which is a publication editing or design environment,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 public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 object input unit for receiving object data, which is a target web document to be published, from the user terminal; an editing unit configured to publish and edit the object data using a selection template environmen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mong the template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document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to a POD (Print On Demand) system so that the published and edited result data is printed as an active book.

또한 상기 편집부는 HTML 기반 웹문서 속성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속성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된 객체 데이터 중 HTML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HTML 속성정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를 상기 속성정보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입력된 대상 데이터를 PDF 속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된 선택 템플릿 환경에 부합되도록 PDF기반의 출판 편집을 수행하는 PDF 편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문서출력부는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인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iting unit includes an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HTML-based web document attribute information and PDF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HTML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input object data; and reading PDF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HTML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converting the input target data into PDF attributes, and performing PDF-based publication editing to conform to the input selection template environ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DF editing unit, and the document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which is result data of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completed.

이와 함께,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의 전자책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output unit for generating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result data in the form of an e-book of PDF result data for a view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더욱이,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는 상기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에 대비하여 저용량 또는 저해상도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may be composed of low-capacity or low-resolution data compared to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후 활자 출판 인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cument output unit to generate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when the payment for type publication printing is completed after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can do.

또한, 상기 객체 입력부는 상기 객체 데이터의 웹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자출력부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열람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열람 제한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전자책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input unit may receive the web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ata, and the electronic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e-book by setting a reading restriction condition so that reading is allowed limitedly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

이와 함께, 상기 문서출력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POD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ument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cessing on the result data and transmit it to the POD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웹문서는 블로그 및 페이스북 컨텐츠에 해당하며, 상기 객체 데이터는 상기 블로그 및 페이스북의 카테고리 또는 포스트 중 개별 단위 또는 전체 단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For the implement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document corresponds to a blog and Facebook content, and the object data may be configured as an individual unit or an entire unit among categories or posts of the blog and Facebook.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 기반의 웹 문서 PDF 출판시스템은 웹을 통하여 게시되는 개인 블로그 및 페이스북의 게시물, 카페의 글모음, 게판의 글모음을 출판 비전문가인 작성자가 고품질의 책자 형태 또는 전자책 형태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출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a web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quality booklet or e-book form by a non-specialist author who publishes personal blogs and Facebook posts, cafes, and bulletin boards published through the web. can provide a simple and efficient publishing effect.

또한 같은 목적성을 가진 카페 게판 내용을 집산하여 책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온라인 공유 활동을 오프라인 활동영역으로 확장 및 보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book cheaply by collecting the contents of a cafe board with the same purpose, thereby creating the effect of expanding and supplementing the online sharing activity to the offline activity area.

더불어, 온라인상에 게시된 웹문서의 속성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PDF 속성 정보에 대한 사전 매칭툴(tool)을 구현함으로써 웹문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쇄 환경으로 변활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웹 특성을 거의 소실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책자 편집 상의 다양한 디자인 특성이 부가된 책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a dictionary matching tool for attribute information of web documents posted online and corresponding PDF attribute information, web documents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transformed into a print environment, and web characteristics can b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ok with an effect that can be maintained almost without loss, as well as various design characteristics added to the booklet editing.

이와 함께, 기존의 웹상에 존재하는 글 모음을 다시 정식 출판 함으로써 퍼스널 미디어(personnal media)로서의 효용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다시 온라인 컨텐츠로 환원하여 활용함으로써 기존 블로그 컨텐츠를 고품질 블로그로 운영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ty and usability as personal media by formally publishing a collection of articles existing on the web again. can be operated with

덧붙여, 상기와 같은 출판 시스템을 통하여 온라인상의 저작물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컨텐츠 창출 뿐만 아니라새로운 수요 창출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rastructure for building a new service model for online works through the publish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so that economic effects can be expected through new content creation as well as new demand cre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서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웹무서 출판시스템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서의 PDF 기반의 출판 편집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측면에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의 구체적인 편집 디자인 환경을 예시한 예시도.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template-based web security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DF-based publication editing in a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rom the user side of the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diting design environment of a tem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 해석돼서는 않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term concept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웹문서 출판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인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구성관계를 간략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review of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출판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인 클라이언트, 웹문서 서버(300) 및 POD(Print On Demand)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인터넷 네트워크망(50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connected with the client, the web document server 300 and the POD (Print On Demand) system as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500 such as wired or wireless.

상기 본 발명의 출판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하여 구현되는 서버 형태 등으로 구현되며 이하 설명되는 상기 출판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는 상기 서버의 논리적 기능을 구별하기 위한 개념상 구분일 뿐 물리적 구분이 아님은 자명하며, 상기 출판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인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출판 편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상호 입출력하게 된다.The public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implemented through the Internet, and each component of the publication system 100 described below is only conceptually divided for distinguishing logical functions of the server. It is self-evident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and the publication system 100 inputs and outputs various data for publication and edi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which is a client.

상기 웹문서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표되는 사용자의 온라인상 사적 활동 공간(예를 들어 블로그 및 페이스북 활동 등)을 운용하는 주체 서버를 의미하며,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출판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웹문서가 게시된 위치 정보 등을 기초로 상기 웹문서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 등을 서치(Search)하거나 자료를 다운받게 된다.The web document server 300 refers to a main server that operates an online private activity space (eg, blog and Facebook activity, etc.) of a user represented by the user terminal, and if necessary, the publish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esses the web document serv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web documen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s posted, and searches for necessary information or downloads the data.

상기 POD 시스템(400)은 사용자 요구형 출판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무선 통신 수단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물리적 저장 매체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매체 등을 통하여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판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POD 시스템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POD system 400 refers to a user-requested publishing system,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data transmitted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r printing data transmitted through a physical storage medium through a predetermined print medium. It is self-evident that the publication system can correspond to the POD system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esignated name if it performs the above functions as a meaning of the publishing system.

상기 출판시스템(100), 웹문서 서버(300) 및 POD시스템(400) 등도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이라기보다는 수행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논리적으로 구분된 것에 해당하므로 상기 출판시스템(100)은 상기 웹문서 서버(300)와 상호 연계되어 단일운용주체에 의하여 통합돼 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상기 POD시스템 또한 상기 타 시스템 또는 서버와 선택적으로 단일 체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publication system 100, the web document server 300, and the POD system 400 are logically divided based on the functions performed rather than necessarily physically divided, the publishing system 100 is the web Of course, it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by a single operating 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document server 300, and from a similar point of view, the POD system can also be selectively configured with other systems or servers as a single system. .

즉 본 발명에 의한 출판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책 편집 및 출판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하는 웹문서 데이터 또는 컨텐츠 데이터를 웹문서 서버로 접속하여 제공받게 되며, 후술되는 출판시스템(100)의 내부 편집 절차를 거쳐 완성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POD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POD시스템에서 활자 등의 인쇄된 책자 형태의 객체가 생성되게 된다.That is, the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editing and publishing a book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ccesses the corresponding web document data or content data to a web document server to be provided. By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completed through the internal editing procedure of (100) to the POD system, an object in the form of a printed booklet such as type is created in the POD system.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출판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전자책 형태의 데이터는 상기 웹문서 서버(300)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사적 활동 공간(블로그 또는 페이스북 등)으로 사용자 단말을 경유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전달되어 상기 사적 활동 공간 또는 다른 공간에서 활용되도록 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in the form of an e-book generated by the publish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user's private activity space (blog or Facebook, etc.) existing on the web document server 300 . It may be transmitted by a method such as passing through and operated to be utilized in the private activity space or other sp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도2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 시스템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르름도인 도3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 스템(이하 출판시스템으로 칭함)(100)은 객체입력부(110), 템플릿 제공부(120), 전자출력부(130), 편집부(140), 제어부(150), 문서출력부(16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편집부(140)는 구체적으로 추출부(141), 속성정보 저장부(142) 및 PDF 편집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ublish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input unit 110 , a template providing unit 120 , an electronic output unit 13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dit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 document output unit 160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170, and the editing unit 140 specifically includes an extraction unit 141, an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142 and The PDF editing unit 143 may be included.

상기 템플릿 제공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구현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등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판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출판 형태와 관련하여 편집 환경, 디자인, 서체 선택, 표지, 내지, 글자 크기 등에 대한 다양한 선택 환경에 대한 사용자 지향적 툴(tool)인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S300).The template providing unit 120 relates to a publication type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user's public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which is the client, by a method of accessing a server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 template, which is a user-oriented tool for various selection environments for editing environment, design, font selection, cover page, font size, etc.,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S300).

상기 템플릿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TP(Desk Top Publishing) 프로그램 등으로 생성되는 표지, 내지, 목차, 글꼴, 자간, 가변영역 설정 등 도서 판형을 담은 편집 환경에 대한 소정의 툴로서, 상기 템플릿을 통하여 제공된 다양한 환경 설정을 기초로 책 형태를 생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출판 서비스가 실현되도록 하는 소정의 사용자와 출판책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툴이라고 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 the template is a predetermined tool for an editing environment containing a book format such as a cover, inside, table of contents, font, letter spacing, and variable area settings generated by a DTP (Desk Top Publishing) program, etc.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ool for performing an interface between a predetermined user and a book so that the pub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generates a book form based on various environment settings provided through a template is realized.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은 상기 템플릿이 제공하는 다양한 편집 및 디자인 등의 환경에 대한 선택적 사항을 예시하고 있으며, 실시되는 형태에 따라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래픽 유저 환경(GUI)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환경을 그래픽 환경으로 비쥬얼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drawing shown in FIG. 6 exemplifies the options for the environment such as various editing and design provided by the template, and various other form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s well as the graphical user environment (GUI). ), it is more preferable to visually configure the environment shown in FIG. 6 as a graphic environment in order to actively reflect it.

또한 본 발명의 객체 입력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출판하고자 하는 대상 웹문서인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는(S31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객체 데이터는 출판하고자 하는 대상인 웹문서를 의미하며 상기 웹문서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하며 인터넷으로 구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언어 특히 HTML 형태로 구현된 웹문서 또는 컨텐츠 등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object input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receive (S310) object data, which is a target web document to be publish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object data refers to a web document to be published, and the web document includes images,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and refers to web documents or contents implemented in various languages, particularly HTML, to be implemented over the Internet.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객체 데이터가 위치하는 웹상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t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client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web where the object data is located.

즉, 본 발명에 의한 출판시스템(100)은 상기 개체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경우 상기 위치정보(예를 들어, 블로그, 인터넷 카페, 또는 해당 포스트의 위치정보 등)에 해당하는 서버 등에 접속하여 상기 객체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다운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eg, blog, Internet cafe,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st, etc.) if necessar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object input unit 110 . )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object data can be retrieved or downloaded by accessing a server, etc.

또한, 구현되는 실시 형태에 따라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판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사적 활동 공간을 운용하는 웹서버와 단일 주체로 운영되는 경우 상기 사적 활동 공간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사적 활동 공간(블로그 및 페이스북 등) 내의 카테고리 또는 포스트 등을 선택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객체 데이터 입력(S310)이 실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briefly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implemented embodiment, when the publish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a single entity with the web server that operates the user's private activity space, the user logs in and accesses the private activity space. In this case, the object data input ( S310 ) as described above may be realized by the user selecting a category or a post in his/her private activity space (blog and Facebook, etc.).

즉, 상기 대상 웹문서가 블로그인 경우, 상기 블로그를 구성하는 카테고리 또는 포스트 중 각 개별 단위 또는 전체 단위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상기 대상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arget web document is a blog, each individual unit or all units among categories or posts constituting the blog may be selectively designated and configured as the target data.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템플릿 제공과 객체 데이터 입력은 출판 요청 신호가 입력된 후에 동시에 수행되도록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객체 데이터의 선입력 후 템플릿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음은 상기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반드시 선후를 두고 이루어져야 하는 구성이 아니라 병렬적으로 제공되거나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라는 특성 측면에서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template provision and the object data inpu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after the public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and that the template can be provided after the object data is pre-inputted. It can be said that it is self-evid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data that can be provided or input in parallel, rather than a configuration that must be made with precedence.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 템플릿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제공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편집 또는 디자인 환경 등을 선택하게 되고 이렇게 선택된 환경인 선택 템플릿 환경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으로 입력된다(S310).When the templat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lects a desired editing or design environment using the provided template, and the selected template environment, which is the selected environment, is input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310).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에 의한 출판시스템(100)의 편집부(140)는 상기 입력된 선택 템플릿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테이터의 출판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S320).After the above process, the editing unit 140 of the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ublication editing of the object data based on the input selection template environment (S320).

상기 편집부(140)의 출판 편집 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과정을 첨부된 도 4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편집부(140)는 추출부(141), 속성정보 저장부(142) 및 PDF 편집부(143)를 포하해 구성된다.When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process of publication and editing of the edit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like, first, the editing unit 140 includes an extraction unit 141, an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142, and a PDF editing unit. (143) is included.

상기 속성정보 저장부(142)는 HTML 기반 웹문서의 속성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된 룩업 테이블 형태의 매칭(matching) 정보가 저장된다. 즉, 웹상에서 구현되도록 보편적으로 작성되는 언어인 HTML의 속성정보에 부합되는 상기 속성정보의 특성을 가장 잘 형상화할 수 있는 PDF 속성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성하고 이를 저장하게 된다.The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142 stores match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in which attribute information of an HTML-based web document and corresponding PDF attribute information are correlated. That is, the PDF attribute information that can best sha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conform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HTML, which is a language commonly written to be implemented on the web, is preliminarily formed into a database, configured, and stored.

상기 추출부(141)가 사용자 단말 등으로부터 객체 데이터가 입력되면(S321) 상기 입력된 객체 데이터 중 HTML 속성정보를 추출하고(S322), 상기 PDF편집부(143)SMS 상기 추출된 HTML 속성정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를 상기 속성정보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S323) 상기 입력된 대상 데이터를 PDF 속성으로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 출판 환경에 부합되지 않는 불필요한 HTML TAG를 제거하는 등의 과정을 수반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WEB 서체는 PDF 서체 등으로 변환되며 LI, P 등의 단락 스타일 속성이 정의되어 상기 입력된 선택 템플릿 환경에 부합되도록 PDF기반의 출판 편집을 수행(S324)하게 된다.When the extraction unit 141 receives object data from a user terminal (S321), it extracts HTML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input object data (S322), and the PDF editing unit 143 SMS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HTML attribute information It reads the PDF attribute information to be obtained from the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S323), converts the input target data into PDF attributes, and, if necessary, removes unnecessary HTML tags that do not conform to the publishing environment. In WEB font is converted to PDF font, etc., paragraph style properties such as LI and P are defined, and PDF-based publication editing is performed to conform to the input selection template environment (S324).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출판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된 결과 데이터는 본 발명의 문서출력부(160)로 전송되고, 상기 문서출력부(160)는 상기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가 활자화된 책으로 인쇄되도록 상기 결과 데이터를 POD(Printing On Demand) 시스템으로 전송(S360)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문서출력부(160)는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인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S350) 상기 POD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When publication and edi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ompleted result data is transmitted to the document output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ocument output unit 160 prints the published and edited result data as a printed book. The result data is transmitted (S360) to a POD (Printing On Demand) system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document output unit 160 provides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result data.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is generated (S350) and transmitted to the POD system.

상기 POD시스템(400)은 전송된 결과 데이터 즉,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활자화된 인쇄 책자 형태로 출판(S370)하게 되는데, 상기 POD시스템(400)은 본 발명에 의한 출판 시스템(100)으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POD 형태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PDF 형태의 결과 데이터는 이미 출판에 대한 모든 편집이 출력 형태로서 최적화된 PDF 형태로 전송받게 되며, 상기 PDF 형태의 결과 데이터는 이미 출판에 대한 모든 편집이 출력 형태로서는 최적화된 PDF 기반으로 완료되어 있으므로 전송된 데이터의 특별한 가공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바로 출판물로 출력할 수 있어 출판 절차 과정이 더욱 간소해지는 동시에 조속히 수행될 수 있다.The POD system 400 publishes the transmitted result data, that is,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in the form of a printed booklet ( S370 ), and the POD system 400 publishes the result data from the publ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in POD format, and the result data in PDF format is already transmitted in PDF format optimized for all edits for publication as an output format, and the result data in PDF format is output format for all edits for publication Since it is completed based on an optimized PDF, it can be printed out as a publication without any special processing of the transmitted data, making the publication process simpler and faster.

부수적으로 상기 POD시스템은 소정의 택배 시스템 또는 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출판된 책자를 배송하거나 결제 업무 수행 등 부수적인 업무(S370)를 수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cidentally, the POD system may be configured to be linked with a predetermined delivery system or payment system to deliver the published booklet or to accompany ancillary tasks (S370) such as performing payment tasks.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을 더욱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뷰어용 PDF결과 데이터의 전자책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S330)하는 전자출력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template-based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for more specifically realizing a user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PDF-based publishing and editing result data in the form of an e-book of PDF result data for a viewer.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output unit 13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S330)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이러한 전자책 형태의 뷰어용 PDF 데이터는 그 자체로서 실제 독서 환경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가독성 및 컨텐츠의 질적 환경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신의 블로그 등에 업로드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사적 활동 공간에서 품격 높은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DF data for viewers in the form of e-books can be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actual reading environment as such, it is possible to improve readability and the quality of the contents, as well as upload it to one's own blog, etc. High-quality content can be provided in the activity space.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합리적으로 운용하고 본 발명에 의한 출판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상기 뷰어용 PDF결과 데이터는 상기 인쇄용 PDF결과 데이터에 대비하여 저용량 또는 저해상도 데이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ationally operate the user's cost burden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is preferably composed of low-capacity or low-resolution data compared to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출판 시스템(100)은 상기 뷰어(viewer)용 PDF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결제와 관련하여 합리적인 비용 정책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blish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to generat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thereby realizing a reasonable cost policy in relation to payment.

또한, 상기 전자출력부(130)는 전자책 형태로 생성된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열람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열람 제한 조건을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람 제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지불되는 비용과 관련하여 열람 횟수 또는 열람 기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output unit 130 may generate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generated in the form of an e-book by setting the reading restriction conditions so that the reading is allowed limitedly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In relation to the cost to be paid,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such as the number of readings or the reading period.

이와 함께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특정 URL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향후 출판 의뢰자가 자신의 블로그 등에 업로드 하는 경우 타인의 열람은 가능하나 복제 등의 불법적인 이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read only from a specific URL.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본 발명의 출판 시스템(100)으로 생성되는 출판물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불로그 내용을 출판 의뢰한 사용자에게 일차적인 저작권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활자화된 인쇄 책자로 가공되기 직전의 상기 인쇄용 PDF 데이터는 그 자체로서 2차적 저작물 또는 편집저작물의 대상이 될 수 있다.In the publication generated by the publish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copyright may be generated to a user who has primarily requested publication of his/her blog contents, and also, the PDF data for printing immediately before being processed into the typed printed booklet. may itself be the subject of a derivative work or a compilation work.

그러므로 상기 인쇄용 PDF 데이터는 그 자체로서 보호 객체가 될 수 있으므로 POD시스템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PDF 데이터에 RSA 기반의 128bit key 등을 사용한 암호화 작업, 또는 워터마크 작업 등을 병행하는 소정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여 전송하고, 상기와 같이 암호화 작업이 병행된 인쇄용 PDF 데이터는 상기 POD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암호키 등에 의한 복호화 과정을 거쳐 후속적인 출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since the PDF data for printing can be a protection object by itself, when transmitting data to a POD system, etc., encryption using an RSA-based 128-bit key, etc., or water When a predetermined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cessing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a mark operation and the like, and the PDF data for printing with an encryp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POD system, it is transmitted through a decryption process using the encryption key, etc. It is more desirable to operate it so that it can carry out the normal publication work.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는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 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a web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logically divided component rather than a physically divided component as briefly mentioned above.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상관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to realiz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performed separately,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ponents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regardless of the correspondence in the names.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 웹문서 출판 시스템 200 : 사용자 단말
300 : 웹문서 서버 400 : POD 시스템
500 : 유무선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망
110 : 객체 입력부 120 : 템플릿 제공부
130 : 전자 출력부 140 : 편집부
141 : 추출부 142 : 속성정보 저장부
143 : PDF 편집부 150 : 제어부
160 : 문서출력부 17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00: web document publishing system 200: user terminal
300: web document server 400: POD system
500: network based on wired and wireless Internet
110: object input unit 120: template providing unit
130: electronic output unit 140: editing unit
141: extraction unit 142: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PDF editing unit 150: control unit
160: document output unit 170: input/output interface

Claims (8)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판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출판 편집 또는 디자인 환경인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판하고자 하는 대상 웹문서인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는 객체 입력부; 및
상기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가 활자화된 책으로 인쇄되도록 상기 결과 데이터를 POD(Print On Deman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문서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부는,
HTML 기반 웹문서 속성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속성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된 객체 데이터 중 HTML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HTML 속성정보에 대응되는 PDF 속성정보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입력된 대상 데이터를 PDF 속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선택 템플릿 환경에 부합되도록 PDF기반의 출판 편집을 수행하는 PDF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출력부는,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인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
a template providing unit providing a template that is a publication editing or design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a public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 object input unit for receiving object data, which is a target web document to be publish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d a document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to a POD (Print On Demand) system so that the published and edited result data is printed as a printed book;
The editorial unit,
an attribute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HTML-based web document attribut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PDF attribute information are interconnected and stored;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HTML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input object data; and
A PDF editing unit that reads PDF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HTML attribute information from a storage unit, converts the input target data into PDF attributes, and performs PDF-based publication editing to conform to the selection template environment,
The document output unit,
A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which is the result data on which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F 기반의 출판 편집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의 전자책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무서 PDF 출판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late-based web fear PDF publis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output unit for generating the PDF-based publication and editing result data in the form of an e-book of the PDF result data for a viewer and transmitting it to a user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는,
상기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에 대비하여 저용량 또는 저해상도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A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low-capacity or low-resolution data compared to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용 PDF 결과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후 활자 출판 인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인쇄용 PDF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emplate-based web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cument output unit to generate the PDF result data for printing when the payment for printing is completed after the PDF result data for the viewer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PDF publish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입력부는,
상기 객체 데이터의 웹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ject input unit,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DF publis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web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at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출력부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열람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열람 제한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전자책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ectronic output unit,
A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book is created by setting the reading restriction conditions so that the reading is allowed limitedly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POD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cument output unit,
A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data is transmitted to the POD system by performing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ces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문서는,
블로그 및 페이스북 컨텐츠이며,상기 객체 데이터는 상기 불로그 및 페이스북 컨텐츠의 카테고리 또는 포스트 중 개별 단위 또는 전체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b document,
It is a blog and Facebook content, and the object data is a template-based web document PDF publis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individual units or entire units among categories or posts of the blog and Facebook content.


KR1020200007441A 2020-01-20 2020-01-20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KR202100936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41A KR20210093621A (en) 2020-01-20 2020-01-20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441A KR20210093621A (en) 2020-01-20 2020-01-20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21A true KR20210093621A (en) 2021-07-28

Family

ID=7712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441A KR20210093621A (en) 2020-01-20 2020-01-20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36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2849A (en) * 2023-08-04 2023-11-03 北京数字政通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printing electronic document tem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2849A (en) * 2023-08-04 2023-11-03 北京数字政通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printing electronic document tem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2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tation and conn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US11210456B2 (en) Method relating to preparation of a report
CN100507839C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content between a starting template and a target template
JP6507472B2 (e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05230051A (en) For the method for the collaborative authoring with editing func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858103B1 (en) Template-based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contents
JP2015130158A (en) Cloud-based font service system
JP2006107142A (en) Document processor, and method
JP5244386B2 (en) Data management with electronic pen
KR102244974B1 (en) Server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s thereof
KR20210093621A (en) PDF Publishing System for Web and SNS contents based on templates
KR100867199B1 (en) Pdf-based scraping and publishing system with user orientation
JP2010003127A (en) Document management device, document management system,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367607A (en) Dynamic electronic contract generating and sign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WO20060928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sing an electronic draft
JP6445457B2 (en)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system, parent server, and child client
US9946698B2 (en) Inserting text and graphics using hand markup
JP55269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M491194U (en) Data checking platform server
JP4356533B2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JP6388756B2 (en) Electronic manual output system, electronic manual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manual output program
KR20160136898A (en) Cloud-based creative work registration system
KR20090017051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converting web document
JP7369478B2 (en) Editing management device, editing management program, and editing management method
KR20060024847A (en) Omniview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ht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