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421A -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421A
KR20210086421A KR1020200073325A KR20200073325A KR20210086421A KR 20210086421 A KR20210086421 A KR 20210086421A KR 1020200073325 A KR1020200073325 A KR 1020200073325A KR 20200073325 A KR20200073325 A KR 20200073325A KR 20210086421 A KR20210086421 A KR 2021008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electric vehicle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565B1 (en
Inventor
서효덕
안형준
윤장규
석수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1008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 using method thereof to charge various electric vehicles rapidly and accurately. Disclosed are a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 using method there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es: a power charging unit to be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to charge power wirelessly; a power transmission unit arranged underground below a parking space for parking an electric vehicle to wirelessly provide power for an electric vehicle; a vehicl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checking the power charging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moving unit for receiving the history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and mo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based on the history. The power charging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par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control part for receiv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electric vehicle to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provide powe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o control the moving unit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an be minimal, and providing the final position of the moving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for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Description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자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인프라는 일부 공간으로 제한된다. 대표적으로 공공기관의 주차장에서 극히 일부분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한 이유로 자율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공간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인프라를 확대시키고 편리한 주차와 효율적인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 주차 공간을 제안한다.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autonomous electric vehicles is limited to some space. Typically, it is possible to charg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parking lot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at reason, a space problem arises in order to charge an autonomous electric vehicle. We propose a smart parking space that complements these problems, expands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autonomous electric vehicles, and enables convenient parking and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전기 자동차의 수요는 늘어나는데 전기 충전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제한적이며 긴 충전시간 때문에 시간적인 제약 또한 문제이다. 이러한 공간적 시간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주차 공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but the space for electric charging is limited, and the time constraint is also a problem because of the long charging time. In order to solve these spatial and temporal problems, we would like to propose a smart parking space method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한국등록번호 제10-1420366(이하, 선행문헌)에는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개시한다. 선행문헌에서는 수신 패드의 장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규격의 전기자동차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무선전력을 공급하나, 차량의 타이어를 감지하여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고, 정차되었는지 검출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최종적인 충전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Registration No. 10-14203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In the prior literature, wireless power is supplied in an efficient way to electric vehicles of various standards with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f the receiving pads, but it takes time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at a designated location by detecting the tire of the vehicle and is stopp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ging time is delay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3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20366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의 규격의 전기 자동차에 무선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무선 충전을 완료할 수 있는 전력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harging system capable of supplying wireless power to electric vehicles of various standards and completing wireless charging more accurately and quickly at the same ti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무선으로 전력이 충전되는 전력 충전 유닛,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차되는 일 주차 공간의 지면 아래 배치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전력 전송 유닛, 상기 전기 자동차의 차량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충전 이력을 확인하는 차량 인식 유닛, 및 상기 차량 인식 유닛으로부터 상기 이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력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유닛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받아 상기 전기 자동차에 필요한 전력량을 결정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전력 충전 유닛과 상기 전력 전송 유닛 사이 거리가 최소 거리가 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 인식 유닛에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이동 유닛의 최종 위치를 제공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o be solved, the power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charging unit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to wirelessly charge power, and is disposed under the ground of a parking spac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to provide the electric vehicle.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wirelessly provides power to a vehicle, a vehicle recognition unit that checks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to confirm the electric vehicle power charging history, and receives the history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a mobile unit for mov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ly, wherein the power charging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receive th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amount of power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ic vehicle, and by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unit to be the minimum distance and providing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with a final position of the mobil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은,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받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하는 차량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charging unit receives the electric power wirelessly from a vehicle panel hav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the panel,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It may include a vehicle antenn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은,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지상용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지면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ground panel hav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a ground antenna movable on the panel and wirelessly providing the pow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자동차가 자율주행 차량이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를 추정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차량 위치 보정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를 자율 주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second control unit fails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sends a vehicle position correction signal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first control unit , and the first controller may correc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y autonomously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인식 유닛은 상기 주차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 및 등록한 후, 입구를 여는 차단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량 인식 유닛은 상기 차단기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ircuit breaker that opens an entrance after confirming and register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being stocked, and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may be mounted inside the circuit breaker.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충전 방법은, 주차 공간에 주차된 전기 자동차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충전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가 충전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주차 공간의 지표면에 배치된 전력 전송 유닛을 기정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전력 충전 유닛 위치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력 충전 유닛과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이 최소 거리가 되도록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을 최종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전력 전송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 출력 유닛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o be solved, a power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of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a parking space to confirm the electric vehicle power charging histor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history In this case, the steps of mov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dispos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to a predetermined final position, receiv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position of a power charging unit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the power The method may include finally mo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re at a minimum distance, and wirelessly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the power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level.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충전 방법은, 상기 전기 자동차가 자율주행 차량이고, 상기 전력 충전 유닛 위치를 추정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 보정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자율 주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power charging method,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cannot be estimated, the electric vehicle autonomously drives by transmitting a position correction signal of the electric vehic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충전 방법은,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의 최종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charg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 final loc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차 공간 각각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가 주차 및 보관되는 동안 충전되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전력 충전 유닛 장착 위치가 다르더라도 전력 전송 유닛이 이동 가능하여 이에 대한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인식 유닛에 의해 충전 준비 시간을 절약하여, 전력 충전 유닛 및 전력 전송 유닛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켜 충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ing system applied to each parking space can be built to escape from the spatial constraint.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while it is parked and stored, it can escape from time constraints. In addition,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an be moved, so that the problem can also be overcome. Moreover, by saving the charging preparation time by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can be minimized to save the chargi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차량 인식 유닛에 의한 전력 전송 유닛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차량 충전 유닛에 의한 전력 전송 유닛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y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FIG.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y the vehicle charging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FIG. 1 .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A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herei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무선 전력"은 물리적 전기 도체들의 사용 없이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송신되는 전기장들, 자기장들, 및 전자기장들과 연관된 임의의 형태의 에너지를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3개 모두는 순수 자기장 또는 순수 전기장이 전력을 방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 방사된 장들 또는 무선 장들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될 것이다.Terms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wireless power” is used to mean any form of energy associated with electric fields, magnetic fields, and electromagnetic fields transmitted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without the use of physical electrical conductors. All three of these will be commonly referred to as radiated or radio field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neither a pure magnetic field nor a pure electric field radiates power.

"안테나"는 신호뿐만 아니라 전력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구조를 지칭한다. “Antenna” refers to structur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s well as power.

"무선 충전"은 하나 이상의 전기 화학 셀들 및 그 전기 화학 셀들을 재충전할 목적으로 전기 화학 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Wireless charging” is used to mean providing wireless power to one or more electrochemical cells and systems comprising electrochemical cells for the purpose of recharging the electrochemical cells.

"전기 자동차"는 운동 능력들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전기 화학 셀들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포함하는 차량인, 원격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Electric vehicle” is used to mean a remote system, which is a vehicle that contains, as part of its athletic capabilities, electrical power derived from one or more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s.

"자율주행"은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를 말한다."Autonomous driving" means a vehicle capable of operating by itself without the oper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은, 전기 자동차(BEV)에 장착된 전력 충전 유닛(100), 주차 공간(PL)의 지면 아래 배치되는 전력 전송 유닛(200), 차량 인식 유닛(400), 및 전력 전송 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00 includes a power charging unit 100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BEV), a power transmission unit 200 disposed under the ground of a parking space PL, and a vehicle recognition unit ( 400 , and a mobile unit 300 for mo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전력 충전 유닛(100)은 전기 자동차(BEV) 내부에 장착되되, 전기 자동차(BEV)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전력 충전 유닛(100)은 전자기 유도 코일이 구비된 차량용 패널(110)과, 패널 일 측에 장착되어 전력 전송 유닛(20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고 전력 전송 유닛(200)으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안테나(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충전 유닛(100)은 제1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BEV)의 배터리 잔량과 전력 충전 유닛(100)의 위치를 전력 전송 유닛(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charging unit 100 is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BEV), i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vehicle (BEV). The power charging unit 100 includes a vehicle panel 110 hav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a vehicle antenna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nel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nd provide a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charg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provide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BEV)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can do.

전력 전송 유닛(200)은, 주차 공간(PL)의 지면 바로 아래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력 전송 유닛(200)은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력 전송 유닛(200)은 전자기 유도 코일이 구비된 지면용 패널(210)과, 패널 상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지면용 안테나(2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disposed directly under the ground of the parking space PL. Although not show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grou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ground panel 210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a ground antenna 220 mounted in a movable structure on the panel to provide pow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전송 유닛(200)은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전기 자동차(BEV)에 필요한 전력량을 결정하여 전력량을 전력 충전 유닛(100)으로 제공하도록 전력 전송 유닛(200)을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ler determine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ic vehicle (BEV) by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ler, and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to provid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the power charging unit 100 .

제2 제어부는 차량 인식 유닛(400)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 인식 유닛(400)은 주차 공간(PL)에 주차되는 전기 자동차(BEV)의 차량 번호를 확인하여, 충전 이력을 확인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선 충전 시스템(1000)에서, 차량 인식 유닛(400)에 의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차된 전기 자동차(BEV)가 차량 인식 유닛(400)에 의해 충전 이력이 있는 경우, 제2 제어부는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로, 이동 유닛(300)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유닛(200)(일 예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안테나)을 일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전기 자동차(BEV)의 종류에 따라 전력 충전 유닛(100) 장착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제1 제어부에서 전력 충전 유닛(100)의 위치 정보를 제2 제어부로 전달하기 전에, 미리 기저장된 전력 전송 유닛(20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총 충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checks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BEV parked in the parking space PL to confirm the charging history.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by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00 of FIG. 1 . 2 and 3 , when the parked electric vehicle (BEV) has a charging history by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location of the pre-stored power transmission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Thu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eg, the antenna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primarily moved using the mobile unit 300 . This is becaus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ic vehicle (BEV), so before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to the second control unit, a pre-stored power transmission unit By moving to (200), the total charging time can be saved.

한편,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무선 충전 시스템(1000)에서, 차량 충전 유닛(100)에 의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는, 제1 제어부로부터 전송 받은 전력 충전 유닛(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전력 충전 유닛(100)과 전력 전송 유닛(200) 사이 거리가 최소 거리가 되도록 이동 유닛(300)을 제어하여, 전력 전송 유닛(200)을 최종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 인식 유닛(400) 및 제1 제어부에 기저장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동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가 전력 충전 유닛(100)과 최소 거리가 아닌 경우(예를 들어, 운전 습관 또는 여유 공간의 좌우 차이 등으로 인하여 일 측으로 빗겨 주차된 경우), 제2 제어부는 이동 유닛(300)을 제어하여, 전력 전송 유닛(200)을 최종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FIGS.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by the vehicle charging unit 100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00 of FIG. 1 . 4 and 5, the second control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the minimum distance By controlling the mobile unit 300 to become , it is possible to finally m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primarily moved by the loc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pre-stored in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is not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power charging unit 100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by being misaligned to one side due to a driving habit or a left and right difference in free space, etc.), the second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ing unit 300 to finally m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

전력 충전 유닛(100)과 전력 전송 유닛(200) 사이 거리가 최소 거리일 때 충전율은 90%이상으로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전송 유닛(200)와 전력 충전 유닛(100) 사이의 위치 확인을 더블 체크함으로써 간편하고 빠르게 충전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the minimum distance, the charging rate is 90% or more, and it can be charged very quickly and accurately. Therefore, by double-checking the position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nd the power charging unit 100, charging preparation can be completed simply and quickly.

그러나, 차량 인식 유닛(400) 및 제1 제어부에 기저장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동된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가 전력 충전 유닛(100)과 최소 거리인 경우에는 이 단계를 생략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primarily moved by the loc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pre-stored in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unit is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power charging unit 100 , This step can be omitted.

제2 제어부는, 전력 전송 유닛(200)의 위치가 전력 충전 유닛(100)과 최소 거리일 때, 전력 전송 유닛(200)의 최종 위치를 저장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stores the final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when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power charging unit 100 .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인식 유닛(400)은 주차 공간(PL) 각각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주차장에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 및 등록 후 입구를 여는 차단기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인식 유닛(400)은 확인된 차량의 정보를 제2 제어부로 무선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parking space PL.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ircuit breaker that opens the entrance after checking and register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being put into the parking lot. Meanwhile,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check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BEV)가 자율주행 차량일 경우, 제2 제어부에서 전력 충전 유닛(100) 위치를 추정하지 못할 때, 제2 제어부는 제1 제어부로 전기 자동차(BEV)의 차량 위치 보정 신호를 전달하며, 제1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BEV)를 자율 주행하여 전기 자동차(BEV)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vehicle (BEV) is an autonomous vehicle, when the second controller fails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 the second controller sends the first controller to the vehicle of the electric vehicle (BEV). The position corr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the first controller may correc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EV by autonomously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BEV.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차 공간(PL) 각각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을 구축하여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BEV)가 주차 및 보관되는 동안 충전되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BEV)의 종류에 따라 전력 충전 유닛(100) 장착 위치가 다르더라도 전력 전송 유닛(200)이 이동 가능하여 이에 대한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인식 유닛(400)에 의해 충전 준비 시간을 절약하여, 총 충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uild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00 applied to each of the parking spaces PL,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spatial constraints.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vehicle (BEV) is charged while it is parked and stored, it can be freed from time constraints. In addition,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ic vehicle (BEV),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movable and thus the problem can be overcome. Moreover, by saving the charging preparation time by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400, it is possible to save the total charging time.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차 공간(PL)에 주치된 전기 자동차(BEV)의 차량 번호를 차량 인식 유닛(400)에 의해 인식하여 전기 자동차(BEV) 전력 충전 이력을 확인한다(S110).1 and 6 ,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400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BEV) parked in the parking space (PL) to confirm the electric vehicle (BEV) power charging history (S110) .

전력 충전 이력이 있는 경우, 주차 공간(PL)의 지표면에 배치된 전력 전송 유닛(200)을 기저장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킨다(S120). 이때, 이동 유닛(300)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유닛(200)을 일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re is a power charging histor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dispos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PL is moved to a pre-stored final position (S120).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primarily moved using the mobile unit 300 .

전력 충전 유닛(100)의 제1 제어부로부터 전기 자동차(BEV)의 배터리 잔량과 전력 충전 유닛(100)의 위치를 제공받는다(S130).The remaining battery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BEV)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re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 S130 ).

이때, 전기 자동차(BEV)가 자율 주행 차량일 경우 전력 충전 유닛(100)의 위치를 제공받지 못할 때, 전기 자동차(BEV)를 자율 주행하여 전기 자동차(BEV)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S140).In this case, when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100 is not provided when the electric vehicle BEV is an autonomous vehicle, the electric vehicle BEV may be autonomously driven to correct the electric vehicle BEV location ( S140 ). .

전력 충전 유닛(100)과 전력 전송 유닛(200)이 최소 거리가 아닌 경우, 최소 거리가 되도록 전력 전송 유닛(200)을 이동 유닛(300)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50). 그러나 전력 충전 유닛(100)과 전력 전송 유닛(200)이 최소 거리인 경우 본 단계를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re not the minimum dista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finally moved using the moving unit 300 to reach the minimum distance (S150). However, when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re the minimum distance, this step may be omitted.

제2 제어부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전력 전송 유닛(200)으로부터 전력 충전 유닛(100)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도록 전력 전송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S160).The second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to wirelessly charg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to the power charg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S160).

제2 제어부는 전력 전송 유닛(200)의 최종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S170).The second control unit may store the final loc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S17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전력 충전 시스템
100: 전력 충전 유닛
200: 전력 전송 유닛
300: 이동 유닛
400: 차량 인식 유닛
PL: 주차 공간
BEV: 전기 자동차
1000: power charging system
100: power charging unit
200: power transmission unit
300: mobile unit
400: vehicle recognition unit
PL: parking space
BEV: electric vehicle

Claims (9)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무선으로 전력이 충전되는 전력 충전 유닛;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차되는 일 주차 공간의 지면 아래 배치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전력 전송 유닛;
상기 전기 자동차의 차량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충전 이력을 확인하는 차량 인식 유닛; 및
상기 차량 인식 유닛으로부터 상기 이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력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유닛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받아 상기 전기 자동차에 필요한 전력량을 결정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전력 충전 유닛과 상기 전력 전송 유닛 사이 거리가 최소 거리가 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 인식 유닛에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이동 유닛의 최종 위치를 제공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 power charging unit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to wirelessly charge power;
a power transmission unit disposed under the ground of a parking spac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and wirelessly provid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 vehicle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check a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to confirm a power charging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mobile unit receiving the history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and mov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the history,
The power charging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receive the information,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ic vehicle to provide the amount of power, and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the minimum distance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unit so as to be possible, and providing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with a final position of the mobil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은,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받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하는 차량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charging unit,
a vehicle panel hav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and an antenna for a vehicle that receives the power wirelessly on the panel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은,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한 지상용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지면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Ground panel with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and
and a ground antenna movable on the panel and providing the power wireles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자율주행 차량이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전력 충전 유닛의 위치를 추정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차량 위치 보정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를 자율 주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보정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second control unit cannot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a vehicle position correction signal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autonomously drives the electric vehicle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유닛은 상기 주차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입고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 및 등록한 후, 입구를 여는 차단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량 인식 유닛은 상기 차단기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fter checking and register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being received, further comprising a breaker that opens the entrance,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mounted inside the circuit breaker.
주차 공간에 주차된 전기 자동차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 전력 충전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가 충전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주차 공간의 지표면에 배치된 전력 전송 유닛을 기저장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전력 충전 유닛 위치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력 충전 유닛과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이 최소 거리가 되도록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을 최종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전력 전송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 출력 유닛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to check the electric vehicle power charging history;
mov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dispos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to a pre-stored final posi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has a charging history;
receiv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location of a power charging unit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finally moving the power transmitting unit so that the power charg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re at a minimum distance; and
and wirelessly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the power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lev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자율주행 차량이고, 상기 전력 충전 유닛 위치를 추정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 보정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자율 주행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charging unit cannot be estimat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y autonomously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rrection signal of the electric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유닛의 최종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final loc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KR1020200073325A 2019-12-30 2020-06-17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4355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38 2019-12-30
KR20190178338 201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421A true KR20210086421A (en) 2021-07-08
KR102435565B1 KR102435565B1 (en) 2022-08-24

Family

ID=7689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325A KR102435565B1 (en) 2019-12-30 2020-06-17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56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295A (en)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Contactless charge device and contactless charge method
KR20110042403A (en)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WO2012111155A1 (en) * 2011-02-18 2012-08-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Position alignment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420366B1 (en) 2013-07-23 2014-07-16 김현민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20160028365A (en) * 2014-08-28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295A (en)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Contactless charge device and contactless charge method
KR20110042403A (en)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WO2012111155A1 (en) * 2011-02-18 2012-08-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Position alignment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420366B1 (en) 2013-07-23 2014-07-16 김현민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20160028365A (en) * 2014-08-28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565B1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853B1 (en)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US9446675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non-contact power supply method
US9878628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S9859755B2 (en) Device alignment and identification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WO2010098397A1 (en) Power supply system of mobile unit
US2015004216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detecting and identifying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US11455853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radio-based keyless access system of a motor vehicle, access system, and motor vehicle
CN106891741B (en) Wireless charging alignment system and method, electric vehicle and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system
EP3026787B1 (en) Charg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supply device
CN106296881A (en) The position identification device of remote control key, method and vehicle
US202200328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wireless charging
CN111094058B (en)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stationary charging station and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charging system
KR102435565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307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assembly of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CN112829622B (en) Vehicle guide align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AU2019202456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n electric vehicle on a charging spot and related charging spot
CN11283984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device using multi-antenna switching
WO2019195703A1 (en) Wireless chargers and mobile phones in vehicles
CN109795354A (en) A kind of automatic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of onboard wireless charge coil
KR101135211B1 (en) Magnetic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electric vehicle
JP5127869B2 (en) Transponder ground child
CN114643882B (en) Wireless charging matching method
CN114194042B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KR20150050035A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 smart key of vehicle
CN115565405A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guidance of a vehicle to a predefined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