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949A -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949A
KR20210084949A KR1020190177497A KR20190177497A KR20210084949A KR 20210084949 A KR20210084949 A KR 20210084949A KR 1020190177497 A KR1020190177497 A KR 1020190177497A KR 20190177497 A KR20190177497 A KR 20190177497A KR 20210084949 A KR20210084949 A KR 2021008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virtual
simulator
virtual dro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0171B1 (en
Inventor
정웅연
윤찬
정윤아
우탁
정정웅
Original Assignee
(주)위메이크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메이크드론 filed Critical (주)위메이크드론
Priority to KR102019017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71B1/en
Publication of KR2021008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the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the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ub device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virtual drone on a monitor screen from the drone controller; and the simulator that sets flight environment data related to flight environments for flying the virtual drone, and conver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the set environment data to be reflected, and controls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by binding an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The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pairs the wireless drone controller with a computer, and by referring to various variables of the virtual drone control simulator, transfers converted operation signal to the virtual drone.

Description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및 그 방법{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드론 무선 조종기를 컴퓨터와 페어링하고, 조작 신호를 가상 드론 조종 시뮬레이터의 각종 변수를 참조해, 변환된 신호를 가상 드론으로 전달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and a method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ore particularly, for example, pairing a drone radio controller with a computer, and converting operation signals by referring to various variables of the virtual drone control simulator.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transmits a signal to a virtual drone, and a method therefor.

드론은 본래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최근 저가용 드론 보급 및 드론 제작법 공개 등으로 실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드론을 이용하는 사진 촬영 또는 배송 서비스 등은 실제 구현되고 있으며, 해양수산 분야 또는 농업 분야 등 드론을 활용하는 분야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Drones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with the supply of low-cost drones and the disclosure of drone manufacturing methods, drones have become easily accessible in real life. Accordingly, photo taking or delivery services using drones are actually being implemented, and fields using drones, such as the marine and fishery field or agriculture field, are gradually increasing.

이와 같이, 드론의 사용 빈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드론 조작을 연습할 수 있는 방법은 한정적이다. 구체적으로, 드론 조작을 연습하는 방법은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방법은 조종자의 미숙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드론 고장, 분실 등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As such,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of drone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methods for practicing drone operation are limited. Specifically, the method of practicing drone operation is mainly performed outdoors, but this method ha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drone failure, loss, etc. due to the inexperience of the operator.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 시뮬레이터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드론 시뮬레이터들은 단일 컨트롤 모드만을 제공하고, 흥미 유발 요소의 부재에 의해 조종 연습이 금방 지루해져 드론 조종 훈련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drone simulator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 existing drone simulators provide only a single control mode, and the lack of interest-inducing factors causes the piloting practice to quickly become tedious, thereby failing to achieve the intended purpose of drone piloting training.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6841호(2019.02.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6841 (2019.02.1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5434호(2019.07.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5434 (2019.07.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2851호(2018.04.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2851 (2018.04.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드론 무선 조종기를 컴퓨터와 페어링하고, 조작 신호를 가상 드론 조종 시뮬레이터의 각종 변수를 참조해, 변환된 신호를 가상 드론으로 전달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example, a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pairs a drone wireless controller with a computer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o a virtual drone by referring to various variables of the virtual drone control simulator for operation signals. and to provide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은, 드론 조종기로부터 모니터 화면상의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허브장치, 및 상기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환경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제어 신호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 드론에 바인딩(binding)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시뮬레이터장치를 포함한다.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device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virtual drone on a monitor screen from a drone manipulator, and a flight environment for flying the virtual drone Set flight environment data, conver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reflect the set environment data, and bind an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It includes a simulator device to control.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이 움직일 때 영향받는 바람, 습도 및 환경의 넓이에 관계되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simulator device may set,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nformation related to wind, humidity, and the area of the environment that are affected when the virtual drone moves.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의 특성에 관련되는 속성값을 더 설정할 수 있다.The simulator device may further set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drone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드론의 비행 장소에 관련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기상 정보를 상기 환경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The simulator device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ight location of the virtual dron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data.

상기 허브장치는, 상기 드론 조종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로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수신하여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PPM 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암호화하여 제공되는 PPM 신호를 PWM 신호로 복원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hub device receives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ler, converts it into a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signal, encrypts the converted PPM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imulator device, The simulator device may convert the control signal by restoring the encrypted PPM signal to a PWM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허브장치가, 드론 조종기로부터 모니터 화면상의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뮬레이터장치가, 상기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환경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제어 신호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 드론에 바인딩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hub device, a control signal for manipulating a virtual drone on a monitor screen from a drone manipulator; A, setting flight environment data related to a flight environment in which the virtual drone is flown, conver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reflect the set environment data, and binding an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이 움직일 때 영향받는 바람, 습도 및 환경의 넓이에 관계되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setting of the flight environment data,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nformation related to wind, humidity, and an environment area affected when the virtual drone moves may be set.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의 특성에 관련되는 속성값을 더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flight environment data may further set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drone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드론의 비행 장소에 관련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기상 정보를 상기 환경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flight environment data may include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ight location of the virtual dron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ting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data.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허브장치가, 상기 드론 조종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로서 PWM 신호를 수신하여 PPM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PPM 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터장치가, 상기 암호화하여 제공되는 PPM 신호를 PWM 신호로 복원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includes, by the hub device, receiving a PWM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manipulator, converting it into a PPM signal, encrypting the converted PPM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imulator device, and the simulator device ,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a conversion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by restoring the PPM signal provided by encryption to a PWM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조종기를 사용하여 가상 드론 조종 훈련 시뮬레이션에서 드론을 조종할시 무선으로 통신하고, 수신한 신호값을 환경 변수에 맞게 조정하여 가상 드론에 출력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드론 조종 기법의 훈련과 드론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one is controlled in a virtual drone piloting training simulation using a drone 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and the received signal value is adjus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and output to the virtual drone, thereby controlling a drone similar to the real one.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training of the technique and the movement of the dr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드론 무선 조종기의 실제 제품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허브장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드론 무선 조종기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시뮬레이터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무선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ctual product of the drone radio controller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hub device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drone radio controller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detailed structure of the simulator device of FIG. 1;
6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wireless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드론 무선 조종기의 실제 제품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허브장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드론 무선 조종기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ual product of the drone wireless controller of FIG. 1, and FIG. 3 is the hub device of FIG. A diagram schematically show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drone radio controller of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이하,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90)은 드론 조종기(100), 허브장치(110) 및 시뮬레이터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1,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hereinafter,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90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manipulator 100, a hub device 110, and a simulator. Some or all of the device 120 .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허브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드론 조종기(100)와 시뮬레이터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허브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시뮬레이터장치(1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hub device 110 are omitted so that the drone manipulator 100 and the simulator device 120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eg, P2P communication), or the hub It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device 110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simulator device 120 ,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components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드론 조종기(혹은 드론 무선 조종기)(100)는 조종기 조작부(101)와 신호 송신부(103)를 포함하며, 가령 도 2와 같이 실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조종기와 동일한 모델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 구입한 드론을 야외에서 비행 훈련을 하기 전에, 또는 교육장에서 특정 드론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이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실제 드론이 활용될 수 있다.The drone manipulator (or drone radio controller)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ipulator operation unit 101 and a signal transmitter 103, and for example, a manipulator capable of operating a real drone as shown in FIG. use the same model as For example, if a user actually purchases a drone before flying training outdoors, or if a specific drone is used at an educational site, the actual drone may be used to prepare for this.

드론 조종기(100)는 통상 조종 스틱 2개를 구비하며, 조종기의 작동 방식은 2가지의 작동 방식을 갖는다. 이를 모드(mode) 1 또는 모드 2라 지칭할 수 있다. 이는 세계 RC 업계의 표준으로 지정된 조종 방식이다. 모드 1은 주로 비행기에서 유래된 조종법으로 비행기 뒷부분에 위치한 장치들, 즉 러더와 엘리베이터를 왼손으로 조정하고, 오른손으로는 엔진 출력(쓰로틀)과 롤링(에일러론)을 조절하도록 되어있다. 이 방식은 비행기를 조종할 때 좋은 방식이고 또 역사도 더 긴 방식인데, 오른손잡이들 세상에서도 왼손이 더 잘하는 일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 한 가지가 방향 조종이다. 이와 같이 모드 1은 왼손으로 방향에 관련된 것을 조종하는 방식이라 볼 수 있다. 반면, 모드 2는 오른손을 이용해서 로터의 순환 피치(cyclic pitch)를 조절하는데, 보통 헬리콥터 추락의 원인은 이 순환 피치 조절 실패에서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둘을 한 손으로 조정하는 것이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도 헬기 사용자들은 모드 2를 선호하는 경우가 더 많다.The drone manipulator 100 is generally provided with two control sticks,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anipulator has two operation methods. This may be referred to as mode 1 or mode 2. This is the control method designated as the standard in the global RC industry. Mode 1 is mainly an airplane-derived control method, and the devices located at the rear of the airplane, i.e., the rudder and elevator, are controlled with the left hand, and the engine output (throttle) and rolling (aileron) are controlled with the right hand. This is a great way to fly an airplane and has a long history, but even in the world of right-handed people, there are a few things the left hand is better at, and one of them is steering. As such, mode 1 can be seen as a method of controlling direction-related things with the left hand. On the other hand, mode 2 uses the right hand to adjust the cyclic pitch of the rotor, and since most helicopter crashes are often caused by failure to adjust the cyclic pitch, adjusting both with one hand may be more responsive. can And in general, helicopter users are more likely to prefer mode 2.

모드 1이든 모드 2이든 모두 컬렉티브 피치(collective pitch)는 쓰로틀 스틱과 연동해서 사용하는데, 쓰로틀이 높아짐에 따라 컬렉티브 피치도 같이 증가하도록 세팅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쓰로틀은 초반에 급격하게 증가하다 50% 이상 넘어가면 서서히 증가하고 컬렉티브 피치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게 세팅하는 등, 이 둘을 다르게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either mode 1 or mode 2, the collective pitch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hrottle stick, and the collective pitch is set to increase as the throttle increases. Depending on the person,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two differently, such as setting the throttle to increase rapidly at the beginning, gradually increase when it exceeds 50%, and increase the collective pitch linearly.

4개의 스틱 중 쓰로틀을 제외한 나머지 스틱은 안에 스프링이 달려 있어서 손을 안 대고 가만히 두면 항상 가운데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되어있고, 쓰로틀 스틱만 손을 떼어도 스틱이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위치한다. 웬만한 조종기들은 모드 1과 모드 2를 사용자가 프로그램상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스틱을 제자리로 돌려주는 스프링 문제 때문에 모드를 변경할 때에는 조종기를 한번 분해해야 할 일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자기가 원하는 모드로 세팅된 조종기를 사는 게 편리하다.Of the 4 sticks, except for the throttle, the rest of the sticks have a spring inside, so that they always maintain the center position if left untouched, and the stick stays in place even if the throttle stick is released. Most remote controllers allow the user to programmatically set Mode 1 and Mode 2, but nevertheless, it may be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remote controller once when changing modes due to the problem of the spring returning the sti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buy a remote controller set to the desired mode if possible.

드론 조종기(100)를 사용하는 비행 동작, 가령, 쓰로틀, 롤(혹은 롤링), 요(혹은 요잉), 피치(혹은 피칭) 등과 관련해서는 이미 잘 알려진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light operations using the drone controller 100, for example, throttle, roll (or rolling), yaw (or yaw), pitch (or pitching), etc. are already well known in relation to,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100)는 시뮬레이터장치(120)에서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하여 소지하는 드론 조종기(100)를 등록시키게 되고, 해당 드론 조종기(100)를 등록시키기 과정에서 서로의 식별정보를 등록시키는 페어링(pair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드론 조정기(100)의 모드, 또 해당 제품 또는 모델의 속성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환경에서 드론을 비행시키는 것고 동일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manipu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the drone manipulator 100 possessed in order to control the virtual drone in the simulator device 120, and registers the drone manipulator 100. In the following process, a pairing operation of registering each oth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nd in this process, a mode of the drone controller 100 and an attribute value of a corresponding product or model may be set. Through this process, you can have the same feeling as flying a drone in a real environment.

허브장치(110)는 조종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변환하는 무선중계장치이다. 허브장치(110)는 도 4에서와 같은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허브장치(110)는 드론 조종기(1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1), 수신된 신호를 가령 컴퓨터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12), 변환된 신호를 컴퓨터에서 받아들이는 USB 허브(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장치(110)는 드론 조종기(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위하여 허브장치(110)는 드론 조종기(100)와 2.4㎓의 대역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허브장치(110)는 드론 조종기(100)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케이블을 통해 시뮬레이터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드론 조종기(100)에서 각 아날로그 스틱의 컨트롤 즉 제어값은 0~255의 값을 가지고 있고, 각 채널의 0~255의 값을 PWM으로 바꾸고, 여러 채널의 값을 PPM으로 변환하여 수신기 즉 시뮬레이터장치(120)로 전송하고 시뮬레이터장치(120)에서 수신한 PPM은 다시 각 채널의 PWM으로 변환되어 프로세서, 가령 CPU나 MPU에서 그 PWM을 변속기에 보낼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허브장치(110)는 변환된 PPM 신호를 암호화하여 시뮬레이터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암호화는 암호화부(113)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ub device 110 is a wireless repeater that receives the manipulator signal and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The hub device 110 may be a product as shown in FIG. 4 . The hub device 110 includes a signal receiver 111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one controller 100, a signal converter 112 that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accepted by a computer, for example, and the converted signal. It may include a USB hub 114 that the computer accepts, and the like. The hub device 110 receives a control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rone controller 100 , and for this, the hub device 11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ler 100 in a band of 2.4 GHz. The hub device 110 may convert the control signal of the drone manipulator 100 and transmit it to the simulator device 120 through a cable. The control value of each analog stick in the drone controller 100 has a value of 0 to 255, changes the value of 0 to 255 of each channel to PWM, and converts the values of several channels into PPM to convert the values of several channels into a receiver that is a simulator device. The PPM transmitted to 120 and received by the simulator device 120 is again converted into PWM of each channel, and the PWM can be sent to the transmission from a processor, for example, a CPU or an MPU. In this process, the hub device 110 may encrypt the converted PPM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simulator device 120 . Encryption may be performed in the encryption unit 113 .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시뮬레이터장치(120)는 허브장치(110)가 연결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며, 드론 조종기(100)가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서로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장치(120)는 허브장치(1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시뮬레이터(123)의 환경에 맞춰서 변환시키는 계산 시스템(123a) 즉 계산부, 계산된 출력값을 가상 드론의 롤(Roll), 피치(Pith), 요(Yaw), 쓰로틀(Throttle)과 연결시키는 바인딩 시스템 즉 바인딩부(123b), 그리고 바인딩 시스템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출력값으로 전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즉 가상 드론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딩은 가상 드론을 제어 즉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simulator device 120 includes various devices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TV. The simulator device 120 recognizes when the hub device 110 is connected, and when the drone manipulator 100 requests access, it can 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perform a pairing operation for communication. The simulator device 120 is a calculation system 123a that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hub device 11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simulator 123, that is, a calculation unit, and converts the calculated output values to the roll and pitch of the virtual drone. ), Yaw, and a binding system that connects to the throttle, that is, the binding unit 123b, and a software system that ultimately determines the motion of the virtual drone through the binding system, that is, the virtual drone unit 123c. may include. Here, binding refers to controlling, ie, connecting, the virtual drone.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엔진 즉 시뮬레이터(123)를 포함한다. 물론 엔진은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및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W가 바람직하다. 시뮬레이터장치(120)는 가상 드론이 움직일 때 영향을 받는 바람, 습도, 환경의 넓이 등이 설정된다. 또한, 가상의 드론은 각 부품마다 무게, 재질, 모터의 출력량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실제 드론 무선 조종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엔진으로 제작한 시뮬레이터(123)에서 환경의 변수들을 참조하여 변환 및 계산한다. 계산된 신호는 가상 드론의 움직임에 적용된다.The simulator device 120 includes a kind of engine, that is, the simulator 123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engine may be configured by software (S/W), hardware (H/W), and a combination thereof, but S/W is preferab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mulator device 120 , the wind, humidity, and area of the environment that are affected when the virtual drone moves are set. In addition, in the virtual drone, the weight, material, output amount of the motor, etc. are set for each part,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al drone radio controller is converted and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simulator 123 made with the engine. . The calculated signal is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드론 조종기(100)와 PC의 신호 송수신과, PC에서 수신된 드론 조종기(100)의 신호를 시뮬레이터의 각종 환경 설정 변수를 참조하여 가상 드론에 출력 신호를 보내게 된다. 드론 조종기(100)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가상의 환경에 맞게 신호를 변환시켜 출력량을 계산해 가상 드론으로 전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123)의 조종값 계산 시스템(123a)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들은 도 3에서와 같은 모드 1 혹은 모드 2의 설정, 풍량(혹은 풍압), 자동 호버링 여부, 습도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조종 민감도, 온도 등의 변수가 추가 혹은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Hovering)은 드론을 공중에 띄운 뒤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물게 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동 호버링은 사용자가 조종기에서 손을 떼도 자동으로 공중에 떠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풍량은 바람의 양으로 단위 시간당 부피로 나타내며, 풍압은 바람의 압력 즉 바람이 물체에 부딪쳤을 때 그 물체의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mmAq로 나타낸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wireless drone controller 100 and the PC and the signal of the drone controller 100 received from the PC are sent to the virtual drone by referring to various environment setting variables of the simulator. d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rone controller 100 is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signal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virtual environment, the output amount is calculated,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irtual drone. More specifically, the environment variables (pre) set in the control value calculation system 123a of the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123 are set in mode 1 or mode 2 as in FIG. 3, air volume (or wind pressure), and whether automatic hover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o , humidity, parameters such as control sensitivity and temperature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Here, hover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rone stays there without moving after it is in the air, and the automatic hovering refers to a function that allows the drone to remain in the air automatically even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the wind volume is the amount of wind and is expressed in volume per unit time, and the wind pressure is the pressure of the wind,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nit area of the object when the wind hits an object, and is expressed in mmAq.

이와 같이,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드론 조종기(100)가 사용될 때, 이를 등록 즉 페어링 동작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시뮬레이터장치(120)는 해당 드론 조종기(100)의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면서 장치ID와 같은 식별정보뿐 아니라, 제품의 속성과 관련한 속성값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가상 드론은 드론의 부품 및 무게, 재질, 내구성 등의 속성값(Member variable) 및 3D 그래픽 모델을 가진다. 가상 드론은 날개의 개수별로 쿼드콥터, 헥사콥터, 옥타콥터 등이 있으며, 각 구성 및 속성이 조종값 계산 시스템(123a)에 설정(혹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과 관련되는 속성값을 기저장하는 경우, 모델명과 같은 모델명정보, 장치정보 등을 이용해 해당 속성값을 선택하여 기설정한 후 드론 조종기(1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속성값이 반영된 값으로 변환해 가상 드론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rone manipulator 100 is used, the simulator device 120 may register it, that is, perform a process for a pairing operation. Of course, the simulator device 120 may receive not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device ID, but also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product attribute while performing a pairing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rone controller 100 . The virtual drone has a 3D graphic model and a member variable such as parts, weight, material, and durability of the drone. The virtual drone includes a quadcopter, a hexacopter, an octacopter,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ngs, and each configuration and property is set (or stored) in the control value calculation system 123a. In this way, in the case of pre-stored attribute values related to products sold in the market, by using model name information such as model name, device information, etc., the corresponding attribute value is selected and preset, and t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drone controller 100 is received. The virtual drone can be controlled by converting the attribute value into a reflected value.

물론, 시뮬레이터장치(120)는 사용자가 설정한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비행 환경을 더 적용하여 가상 드론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행 환경을 설정하고, 특정 비행 환경을 선택하여 비행을 훈련하려는 경우 해당 환경을 고려하여 결과값을 생성해 가상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simulator device 120 may further apply a flight environment set by a user or automatically set to control the virtual drone. For example, when a user sets up a flight environment and wants to train a flight by selecting a specific flight environment, the virtual drone can be controlled by generating a result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드론 조종기(100)의 속성값과 비행 훈련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터(123)의 설치 초기에 관련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고 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설정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버 등에 접속하여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등록된 제품이 없는 경우, 제조사 서버에 접속하여 또는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비행 훈련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예: 행정구역상 읍면동 등) 이와 관련되는 기상 정보를 기상청 서버나 외부 장치에 요청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가상 드론을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simulator device 120 may operate in various ways to set attribute values of the drone manipulator 100 and environmental data of a place where flight training is performed. For example, related data is preset and selected at the initial stage of installation of the simulator 123 .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preset data, an operation of setting the data may be performed by accessing an external server or the like through the Internet. For example, if there is no registered product, the relevant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 used by accessing the manufacturer's server or by accessing an external device that sells the product. 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perform flight training in a specific place (eg, eup, myeon, dong, etc. in a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equests relat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or an external device, the user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temporarily or in real time You can use it to fly a virtual drone.

예를 들어, 모니터의 화면상에서 기설정된 3D 그래픽 모델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에는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조종 스틱 2개와, 필요시 조종기의 정보 및 상호작용하는 드론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장치(120)는 이와 같이 기제작되어 저장된 3D 그래픽 모델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설정한 경우, 해당 장소의 맵(map) 정보를 수집하고, 또 현재의 기상 상태와 관련한 기상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에 가상 드론과 함께 그래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또는 현재 소지하고 있는 실제 드론 조종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실제 환경과 동일한 훈련을 시뮬레이터장치(120)를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a 3D graphic model preset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nitor can display two control sticks that can move freely up, down, left, and right, and information about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interacting drone if necessary. The simulator device 120 does not display the previously produced and stored 3D graphic model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but when the user sets a specific location, it collects ma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lace, and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 and By collecting related weather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graphics together with a virtual drone on the screen, the user can perform the same training as the real environment that he or she wants through the real drone controller that he or she has purchased or currently has through the simulator device 120 .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장치(120)는 시뮬레이터(123)로서 조종값 계산시스템(123a), 바인딩부(123b) 및 가상 드론부(123c)를 포함하며, 이외에 허브장치(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21)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도 있다. 가상 드론부(123c)는 배경 그래픽과 가상드론을 합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바인딩부(123b)는 조종값 계산시스템(123a)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가상드론의 특정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의 전진시 가속 동작이면, 가속 정보를 근거로 가속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바인딩부(123b)는 가상 드론의 롤(Roll), 피치(Pith), 요(Yaw), 쓰로틀(Throttle)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The simulator devic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value calculation system 123a, a binding unit 123b, and a virtual drone unit 123c as a simulator 123, and in addition to data from the hub device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The data receiver 121 may decrypt encrypted data. The virtual drone unit 123c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synthesizing the background graphic and the virtual drone and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on the screen. The binding unit 123b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onnecting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steering value calculation system 123a to control a specific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For example, if the drone is accelerating when moving forward, the accelerator may be operat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inding unit 123b performs an operation of connecting to a roll, a pitch, a yaw, and a throttle of the virtual drone.

도 5는 도 1의 시뮬레이터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detailed structure of the simulator device of FIG.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뮬레이터 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 the simulator device 120 ′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 a control unit 510 , a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 and a storage unit 530 . ) in part or in whol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530 are omitted,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ar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510 . It means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and configured,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가령 도 1의 드론 조종기(100) 또는 허브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허브장치(110)의 동작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도 5의 시뮬레이터장치(120')에 설정된 후 실행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동작 초기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드론 조종기(100)를 설정(예: 페어링 동작)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등록 절차가 완료된 경우에는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기 위한 비행 장소와 관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사전에 제작되어 저장된 복수의 비행 장소 중 한 곳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for example, the drone controller 100 or the hub device 110 of FIG. 1 .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hub device 110 of FIG. 1 may be executed after being set in the simulator device 120 ′ of FIG. 5 by softwa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setting the drone controller 100 (eg, a pai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and when the registration procedure is completed, a flight for flying the virtual drone You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 Of course, the user will be able to set one of a plurality of pre-made and stored flight locations.

이에 앞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드론 조종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 조종기(100)의 제품 모델과 관련한 속성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동작을 통해 장치ID와 같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모델명과 관련한 모델명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델명 정보를 근거로 특정 모델에 대한 속성값이 맞는지를 사용자에게 묻고 이를 통해 확인을 받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Prior to thi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may set various information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rone controller 100 . For example,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product model of the drone manipulator 100 may be se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device ID through a pairing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receive model name information related to a model name. Accordingly, based on the model name information, the user may be asked whether the attribute value for a specific model is correct, and an operation of setting may be performed after receiving confirmation through this.

물론, 특정 모델에 대한 속성값이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조사 서버로 연결하여 해당 기종과 관련한 속성값을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된 속성값을 추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attribute value for a specific model is not stored in advance, it may be connected to the manufacturer's server to receive the attribute value related to the model. Through this, it may be possible to add attribute values pre-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상기와 같은 설정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뮬레이터장치(120)의 화면상에는 가상드론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소지하는 드론 조종기(100)를 조작하여 가상 드론을 조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드론을 조작할 때, 기설정된 기종의 속성값과 비행 환경에 대한 설정값이 반영되어 가상 드론의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풍량이 있다 하더라도 기종의 무게나 재질 등에 의해서 가상 드론의 움직임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속성값이나 비행 환경을 근거로 사용자로부터 가상 드론의 조작이 있을 때 이를 실(제) 환경에서 드론을 날리는 것과 같은 모습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When the sett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a virtual dron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imulator device 12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user may control the virtual drone by manipulating the drone controller 100 possessed. When operating the virtual drone in this way, the virtual drone can fly by reflecting the attribute value of the preset model and the setting value for the flight environment. For example, even if the air volume is the same,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ight or material of the model. In this way, when there is manipulation of the virtual drone by the user based on the attribute value or the flight environmen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if flying the drone in the real (real) environment.

제어부(510)는 도 5를 구성하는 시뮬레이터장치(1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510)는 드론 조종기(100)를 통해 페어링 동작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를 실행하여 드론 조종기(100) 혹은 허브장치(110)를 등록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허브장치(110)를 통해 등록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허브장치(110)를 활용하는 것은 드론 조종기(100)를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통해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 볼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0 is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 and the storage unit 530 of the simulator device 120 ′ constituting FIG. 5 .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pairing operation through the drone controller 100, the controller 510 executes the virtual drone simulator 520 to register the drone controller 100 or the hub device 110. Can be performed. have.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gist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hub device 110 of FIG. 1 , but the use of the hub device 110 in this way is to actually sell the drone manipulator 100 in the market. It can be seen that this is to enable virtual simulation to be performed through the product being developed.

다시 말해, 실제 드론의 경우, 실제 무선 주파수는 2.4㎓의 대역에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시뮬레이터장치(120')를 시중 판매되고 있는 실제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허브장치(110)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시뮬레이팅만 수행한다면, 해당 동작은 별도의 허브장치(110)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파이(WiFi)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드론 조종기(100)나 시뮬레이터장치(120')는 이를 병행하여, 다시 말해 사용자가 2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또는 허브장치(110)가 연결되지 않을 때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근거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페어링 동작과 제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허브장치(110)를 이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real drone, the actual radio frequency may communicate in a band of 2.4 GHz.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can be seen that the hub device 110 is used to maintain compatibility of the simulator device 120 ′ with an actual product sold on the market. For example, if only simulation is performe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does not use a separate hub device 110, and it is possible to u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Zigbee, or Bluetooth. have. Of course, the drone controller 100 or the simulator device 120' automatically recognizes this in parallel,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two methods, or when the hub device 110 is not connected. Although the pairing operation and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ethod using the hub device 110 may be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cost.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method.

또한, 제어부(510)는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를 제어하여 드론 조종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 환경과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드론 조종기(100)의 속성값과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장소의 비행 환경과 관련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비행 환경, 다시 말해 풍향이나 풍속이 있을 때, 가벼운 드론을 비행시킬 때와 비교적 무거운 드론을 비행시킬 때, 바람에 대한 저항은 다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속성값과 비행 환경과 관련한 결과값이 생성되도록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virtual drone simulator 520 to se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ight environme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drone manipulator 100 .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set the attribute value of the drone controller 100 and data related to the flight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the virtual drone is flying. For example, in the same flight environment, that is, when there is a wind direction or speed, when flying a light drone and flying a relatively heavy drone, the resistance to wind is inevitably differ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to generate these attribute values and result values related to the flight environment.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드론이 드론 조종기(10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 수행을 위한 페어링 동작, 즉 서로의 장치ID 등의 식별정보를 등록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드론의 속성값, 또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기 위한 장소를 선택하거나 비행 환경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기 위한 특정 장소를 선택할 때, 선택한 특정 장소에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환경 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환경 데이터가 설정되는 경우,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선택해 비행 훈련을 요청할 경우, 드론 조종기(100)의 조작 신호 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드론의 속성값, 그리고 비행 훈련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비행 환경 데이터를 근거로 가상 드론에 적용할 결과값을 산출한다. 산출한 결과값으로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예컨대 가상 드론의 떨림이 발생해야 하는 경우,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기제작된 3D 그래픽에서 떨림을 발생시켜 영상이 화면에 구현되도록 한다.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performs a pairing operation for communication so that the virtual drone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ler 100, that is, an operation of registe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device IDs of each other. In addition,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select an attribute value of the drone, a place for flying a virtual drone, or set flight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place for flying a virtual drone, environmental data related to a flight environment may be preset in the selected specific place. Therefore, when the environment data is set, the virtual drone simulator 52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ie, a control signal, of the drone controller 100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lace and requests flight training, and responds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ttribute value of and the flight environment data of the place where the flight training takes place, the result value to be applied to the virtual drone is calculated. The motion of the virtual drone is controlled with the calculated result value. For example, when shaking of the virtual drone needs to occur,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generates the shaking in the pre-made 3D graphic so that the image is implemented on the screen.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이러한 떨림이 드론 조종기(100)에서도 반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는 드론 조종기(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드론 조종기(100)를 통해 실제 드론을 비행시키는 것과 같은 느낌을 증대시킬 수 있다.Of course, in this process,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rone controller 100 in order to reflect such shaking in the drone controller 1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eeling of a user flying a real drone through the drone controller 100 .

또한,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사용자가 드론 조종기(100)를 통해 가상 드론을 비행하고자 하는 장소를 자신이 직접 지정한 경우, 예를 들어 검색창을 통해 교육 훈련장과 같은 특정 장소를 지정한 경우, 해당 교육 훈련장의 맵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이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특정 장소의 기상 정보도 기상청의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위의 환경 데이터로서 적용해 사용자의 드론 조종기(100)의 조작에 따른 가상 드론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when the user directly designates a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fly the virtual drone through the drone controller 100, for example, when he or she designates a specific place such as an education training center through a search box, The graphic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generated by collecting ma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ducation and training ground. In this process, the weather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is also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is receiv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applied as the above environment data so that the virtual drone can f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drone controller 100. You may.

이와 같이,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기설정되어 있는 3D 그래픽을 통해 가상 드론을 활용한 드론 비행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자신이 원하는 장소의 환경이나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통해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기 위한 동작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는 별도의 툴(tool)을 탑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3D 그래픽을 직접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비행 장소를 선택하고, 해당 장소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통해 3D 그래픽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비행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를 별도로 판매하는 곳이 있다면 이를 통해 특정 장소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다양한 비행 환경에 관련되는 3D 그래픽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may perform drone flight training using a virtual drone through preset 3D graphics, but collects an environment or image of a desired place to fly the virtual drone through this. Any action for this may be possible. To this end,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tool, and when a user wants to directly produce a desired 3D graphic, he/she selects a desired flight location and collects images of the desired location. This can be used to create and utilize 3D graphics. For example, if there is a place that separately sells images related to various flight places, it will be possible to collect images of a specific place and produce and utilize 3D graphics related to various flight environments.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저장부(530)는 다양한 데이터를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저장한 후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의 요청시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530 may temporarily store various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 Of course, the storage unit 530 may store various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LUT) and then output 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when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requests it.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 및 저장부(5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he control unit 510,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and the storage unit 530 of FIG. 5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 we would like to replace them with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제어부(5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을,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해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도 5의 시뮬레이터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에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5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510 of FIG. 5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The CPU and the memory may be formed as one-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 command interpretation unit, a registry, and the like,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can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the command interpretation unit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interpreting the high-level language into machine language and the machine language into high-level language, and the registry can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can 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simulator device 120' of FIG. 5 is initially driven or necessary, the program or algorithm stored in the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20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n executed,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operation processing speed. There will b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허브장치(110)는 드론 조종기(100)로부터 모니터 화면상의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600). 물론 이에 앞서 드론 조종기(100)는 드론 조종기(100) 및/또는 허브장치(110)를 등록시키기 위한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고, 가상 드론은 드론의 부품 및 무게, 재질, 내구성 등의 속성값 및 3D 그래픽 모델을 기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드론은 날개의 개수별로 쿼드콥터, 헥사콥터, 옥타콥터 등이 있으며, 각 구성 및 속성이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드론 조종기(100)의 작동 방식 즉 모드 1 또는 모드 2에 대한 정보도 환경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6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ub device 11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irtual drone on the monitor screen from the drone manipulator 100 ( S600). Of course, prior to this, the drone manipulator 100 performs a pairing operation for registering the drone manipulator 100 and/or the hub device 110, and the virtual drone performs a 3D A graphic model may be preset. For example, the virtual drone includes a quadcopter, a hexacopter, an octacopter,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ngs, and each configuration and property may be set and store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rone controller 100 , that is, mode 1 or mode 2 may also be set as environment information.

또한, 시뮬레이터장치(120)는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고, 설정한 환경데이터가 변영되도록 (기)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환하며, 변환한 제어 신호의 출력값을 가상 드론에 바인딩하여 화면상에서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한다(S610).In addition, the simulator device 120 sets flight environment data related to a flight environment in which the virtual drone is flown, conver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t environment data is changed, and converts the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into a virtual machine. It binds to the drone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S610).

예를 들어, 드론 조종기(100)는 모드 1 또는 모드 2에 대한 동작 방식을 설정하고, 해당 동작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드론 조종기(100)의 피치, 롤, 요우, 쓰로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시뮬레이터장치(120)는 해당 수신된 제어 신호에 가령 기설정한 비행 환경을 적용하여 제어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한 제어 신호를 가상 드론에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가상 드론은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그래픽이므로,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변환한 제어신호가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상 드론에 움직임이 발생하게 될 때, 이 움직임을 각 영상의 단위 프레임에 구현함으로써 지정 시간 동안 영상이 구현될 때, 가상 드론에 움직임 반영되어 영상으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one controller 100 sets an operation method for mode 1 or mode 2,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for pitch, roll, yaw, and throttle of the drone controller 100 recei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 The simulator device 120 converts the control signal by applying, for example, a preset flight environment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nects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For example, since the virtual drone is a graphic moving on the screen, the simulator device 120 implements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as an image. For example, when a motion occurs in the virtual drone, the motion is implemented in a unit frame of each image so that when an image is realized for a specified time, the motion is reflected in the virtual dron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an image.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허브장치(110) 및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since the hub device 110 and the simulator device 12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other detailed information will be substituted with the above content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무선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wireless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허브장치(110) 즉 드론 (무선) 조종기(100)를 PC와 같은 시뮬레이터장치(120)의 USB 단자에 장착(혹은 연결)한다(S700).7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ub device 110 of FIG. 1 , that is, the drone (wireless) manipu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the simulator device 120 such as a PC. Mount (or connect) (S700).

이후, 드론 조종기(100)와 조종기 신호 수신 및 변환기 즉 허브장치(110)의 페어링 동작을 수행한다(S710). 물론 페어링 동작은 허브장치(110)를 경유하여 드론 조종기(100)와 PC 즉 시뮬레이터장치(120)간의 설정이 될 수 있다.Thereafter, a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drone controller 100 and the controller signal reception and converter, that is, the hub device 110 (S710). Of course, the pairing operation may be set between the drone controller 100 and the PC, that is, the simulator device 120 via the hub device 110 .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가상 드론 조종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며(S720), 이후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30). 이를 통해 드론 조종기(100)의 속성값(예: 무게, 재질 등)이나 드론의 비행 환경과 관련한 환경 데이터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페어링 작업을 수행한 후에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해야 설치된 USB 즉 허브장치(110)를 인식하여 소프트웨어가 조종기의 신호값을 받아들일 준비를 할 수 있다.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조종기의 작동 방식이 모드 1인지 혹은 모드 2인지 등의 환경 변수들을 설정한다.The simulator device 120 executes the virtual drone control simulator software mounted therein (S720), and thereafter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setting the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software parameters (S730). Through this, property values (eg, weight, material, etc.) of the drone controller 100 or environment data related to the flight environment of the drone may be set. After performing the pairing operation, the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software must be executed to recognize the installed USB, that is, the hub device 110 , so that the software can prepare to accept the signal value of the remote controller. Set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wheth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controller is mode 1 or mode 2 in the executed software.

이어, 드론 무선 조종기 조작 신호의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진다(S730). 다시 말해, 드론 조종기(100)는 조작 신호를 송신하며,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드론 조종기(100)의 해당 조작 신호 즉 가상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Then, 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of the drone radio controller operation signal is performed (S730). In other words, the drone manipulator 100 transmits a manipulation signal, and the simulator device 120 receives a corresponding manipulation signal of the drone manipulator 100 , that i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irtual drone.

시뮬레이터장치(120)는 수신한 조작 신호의 조종값을 계산한다(S750). 예를 들어, 드론 조종기(100)는 사용자의 조작과 관련하여 PWM 신호를 전송하고, 허브장치(110)는 해당 신호를 PPM 신호로 변환하여 시뮬레이터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터장치(120)는 해당 PPM 신호를 다시 PWM 신호로 변환하여 조작 신호를 제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통신은 반송파(혹은 기준 신호)에 제어 신호를 실어 전송하므로, 수신된 신호에서 반송파 신호를 빼주면 제어 신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회로적으로, 수신된 신호에서 반송파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어 신호를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신호는 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대 좌표값으로서, 가운데 영역의 좌표값을 (0, 0)으로 설정한 후, 방향과 움직임 거리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움직임 센싱은 방향센서나 거리측정 센서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조종값이 제어 신호로 시뮬레이터장치(120)로 전송된다.The simulator device 120 calculates the manipulation value of the received manipulation signal (S750). For example, the drone controller 100 may transmit a PWM signal in relation to a user's manipulation, and the hub device 110 may convert the signal into a PPM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simulator device 120 , and the simulator device 120 may convert the signal into a PPM signal. ) converts the corresponding PPM signal back to a PWM signal to determine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manipulation signal. In general, communication carries a control signal on a carrier wave (or a reference signal) and transmits it, so the control signal can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carrier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This may be circuitry to obtain the control signal by passing a filter that filters the carrier in the received signal.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signa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tick, and as a relative coordinate valu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enter region is set to (0, 0), and then the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can be measured to provide the value. . Motion sensing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by a direction sensor or a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such a manipula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simulator device 120 as a control signal.

시뮬레이터장치(120)는 드론 조종기(100)를 조작한 신호들을 받아들여 시뮬레이터의 조종값 계산부(123a)에서 가상 드론의 움직임에 적용할 출력값, 즉 조종값을 계산하고, 더 정확하게는 기설정된 환경 데이터나 실제 드론의 기종과 관련한 속성값을 더 반영하여 조종값을 계산한 후 가상 드론의 움직임에 그 계산한 조종값을 적용한다(S760). 앞서 언급한 대로 움직임에 적용된 조종값은 영상으로 구현되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가령, 실제 드론 또는 가상 드론이 가벼우면 바람의 저항에 흔들림이 많을 것이고, 실제 드론 또는 가상 드론이 무거우면 바람의 저항에 흔들림이 작게 될 것이다.The simulator device 120 receives the signals for manipulating the drone manipulator 100 and calculates an output value to be applied to the motion of the virtual drone in the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123a of the simulator, that is, a control value, and more precisely, a preset environment. After calculating the control value by further reflecting the data or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actual drone type, the calculated control value is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S760).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values applied to the movement are realized and displayed as an image. For example, if the real drone or virtual drone is light, there will be a lot of shaking in the wind resistance, and if the real drone or the virtual drone is heavy, the shaking in the wind resistance will be small.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시중에 판매되는 특정 드론과 관련되는 가상 드론을 선택하고, 그 드론의 속성값이나, 또 사용자가 드론을 실제 환경에서 비행하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 데이터를 반영하여 가상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감나는 드론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실환경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실환경에 투입시에도 드론 비행에 따른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the user selects a virtual drone related to a specific drone sold in the market, and controls the virtual drone by reflecting the drone's attribute value or the environmental data of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fly the drone in the real environment. By doing so,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realistic drone training. In particular,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al environment, users will be able to reduce trial and error due to drone flight even when put into the real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component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드론 (무선) 조종기 110: 허브장치
120, 120': 시뮬레이터장치 121: 데이터 수신부
123: 시뮬레이터 123a: 조종값 계산 시스템
123b: 바인딩부 123c: 가상 드론부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510: 제어부
520: 가상드론 시뮬레이터부 530: 저장부
100: drone (wireless) controller 110: hub device
120, 120': simulator device 121: data receiving unit
123: simulator 123a: control value calculation system
123b: binding unit 123c: virtual drone unit
5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10: control unit
520: virtual drone simulator unit 530: storage unit

Claims (10)

드론 조종기로부터 모니터 화면상의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허브장치; 및
상기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환경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제어 신호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 드론에 바인딩(binding)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시뮬레이터장치;를
포함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a hub device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virtual drone on a monitor screen from a drone controller; and
setting flight environment data related to a flight environment in which the virtual drone is flown, conver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reflect the set environment data, and binding an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a simulator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이 움직일 때 영향받는 바람, 습도 및 환경의 넓이에 관계되는 정보를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mulator device,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s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sets information related to wind, humidity, and an environment area affected when the virtual drone mov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의 특성에 관련되는 속성값을 더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mulator device is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further sets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drone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드론의 비행 장소에 관련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기상 정보를 상기 환경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mulator device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ight location of the virtual dron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s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data.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장치는, 상기 드론 조종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로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수신하여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PPM 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는, 상기 암호화하여 제공되는 PPM 신호를 PWM 신호로 복원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ub device receives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ler, converts it into a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signal, encrypts the converted PPM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imulator device,
The simulator device is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restores the encrypted PPM signal to a PWM signal to convert the control signal.
허브장치가, 드론 조종기로부터 모니터 화면상의 가상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뮬레이터장치가, 상기 가상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 환경과 관련한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환경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제어 신호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 드론에 바인딩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가상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
receiving, by the hub devic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irtual drone on the monitor screen from the drone controller; and
The simulator device sets flight environment data related to a flight environment in which the virtual drone is flown, conver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reflect the set environment data, and transmits an output value of the converted control signal to the virtual drone binding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irtual drone on the screen;
A method of driving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이 움직일 때 영향받는 바람, 습도 및 환경의 넓이에 관계되는 정보를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etting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s,
A driving method of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sets information related to wind, humidity, and an environment area affected when the virtual drone moves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로서 상기 가상 드론의 특성에 관련되는 속성값을 더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setting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s,
A method of driving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further sets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drone as the flight environment dat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환경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드론의 비행 장소에 관련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기상 정보를 상기 환경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etting the flight environment data is,
A method of driving a drone manipulato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that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related to a flight location of the virtual dron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s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dat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장치가, 상기 드론 조종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로서 PWM 신호를 수신하여 PPM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PPM 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시뮬레이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터장치가, 상기 암호화하여 제공되는 PPM 신호를 PWM 신호로 복원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드론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드론 조종기 바인딩 시스템의 구동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receiving, by the hub device, a PWM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ler, converting it into a PPM signal, and encrypting the converted PPM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imulator device; and
performing, by the simulator device, a conversion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by restoring the encrypted PPM signal to a PWM signal
Driving method of a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a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further comprising.
KR1020190177497A 2019-12-30 2019-12-30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KR102320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97A KR102320171B1 (en) 2019-12-30 2019-12-30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97A KR102320171B1 (en) 2019-12-30 2019-12-30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49A true KR20210084949A (en) 2021-07-08
KR102320171B1 KR102320171B1 (en) 2021-11-02

Family

ID=7689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497A KR102320171B1 (en) 2019-12-30 2019-12-30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540A (en) * 2022-02-10 2022-05-27 北方天途航空技术发展(北京)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training machi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05B1 (en) * 2007-06-15 2008-06-30 주식회사 대한항공 Virtual flight test method for securing durability of uav
CN103365295A (en) * 2013-06-29 2013-10-23 天津大学 DSP (Digital Signal Processor)-based quad-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utonomous hove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80038231A (en)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 drone
KR101852851B1 (en) 2017-11-10 2018-04-27 (유)동아하이테크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rone
KR20190016841A (en) 2017-08-09 2019-02-19 (주)다보이앤씨 Multi-copter UAV Simulator System using 10-axis sensor
KR20190068955A (en) * 2017-12-11 2019-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ystem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reof
KR20190085434A (en) 2018-01-10 2019-07-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Dron simulator with various control mod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05B1 (en) * 2007-06-15 2008-06-30 주식회사 대한항공 Virtual flight test method for securing durability of uav
CN103365295A (en) * 2013-06-29 2013-10-23 天津大学 DSP (Digital Signal Processor)-based quad-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utonomous hove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80038231A (en)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 drone
KR20190016841A (en) 2017-08-09 2019-02-19 (주)다보이앤씨 Multi-copter UAV Simulator System using 10-axis sensor
KR101852851B1 (en) 2017-11-10 2018-04-27 (유)동아하이테크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rone
KR20190068955A (en) * 2017-12-11 2019-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ystem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reof
KR20190085434A (en) 2018-01-10 2019-07-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Dron simulator with various control mo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540A (en) * 2022-02-10 2022-05-27 北方天途航空技术发展(北京)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train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71B1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1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ated movement
WO202125832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visual semi-physical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US11587456B2 (en) VR emulator
CN106716272B (en) System and method for flight simulation
KR20180030826A (en) Control normalization for unmanned autonomous systems
CN105892476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terminal of aircraft
CN102566441A (en) Visual simulation test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W201834726A (en) System and method for force feedback interface devices
CN111694376B (en) Flight simul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5974948A (en) Wireless head tracker design method based on Kalman filtering and PPM coding
JP2018156631A (en) Simulation experience with physical objects
WO2020107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locating obsta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543986A1 (en) Vr emulator
CN109891347A (en) For simulating the method and system of loose impediment state
CN113721479A (en)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ion training system
KR102320171B1 (en)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EP3547287B1 (en) Vr emulator using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devices
US11027194B2 (en) Force feedback to improve gameplay
CN212135232U (en) Virtual simulation devi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CN112433665A (en)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of handheld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500517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video based on real-time data
CN112166388A (en) Simulation method and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bdElHamid et al. Development of UAV teleoperation virtual environment based-on GSM networks and real weather effects
US202401614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40100417A1 (en) Outputting braille or subtitles using computer gam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