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518A -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ntrolled transfer of medical devices to a patient's body - Google Patent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ntrolled transfer of medical devices to a patient's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518A
KR20210084518A KR1020217015326A KR20217015326A KR20210084518A KR 20210084518 A KR20210084518 A KR 20210084518A KR 1020217015326 A KR1020217015326 A KR 1020217015326A KR 20217015326 A KR20217015326 A KR 20217015326A KR 20210084518 A KR20210084518 A KR 2021008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guidewire
catheter
catheter shaf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511B1 (en
Inventor
굽타 비살
Original Assignee
앵커 벌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앵커 벌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앵커 벌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5Connections between catheter tubes and inflatio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25Device for locking a guide wire in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atheter or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2Localized reinforcement, e.g. where only a specific part of the catheter is reinforced, for rapid exchange guidewire 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 등의 치료 기기를 제어되고 신뢰성 높은 방식으로 배치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이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품에 생체내 체결되도록 구성된 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로 지원된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는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풍선의 팽창/수축에 의해 작동의 체결 및 해제 모드 간을 제어 가능하게 전환될 수 있다. 작동의 체결 모드에서,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는 특히 목표 부위 근처에서 이송 부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송 부품을 따른 목표 부위로의 치료 요소의 이송을 촉진한다.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for deploying a therapeutic device, such as a stent, in a controlled and reliable manner is supported by a lockable balloon catheter having a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to engage in vivo to a delivery component, such as a guidewire.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may be controllably switched between engaging and disengaging modes of operation by inflation/deflation of the balloon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In a fastening mode of operation,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facilitates transport of the therapeutic element along the transport part to the target site while improving stability of the transport part, particularly near the target site.

Description

환자 신체로의 의료 기기의 제어된 이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ntrolled transfer of medical devices to a patient's body

본 발명은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혈관 등의) 맥관 구조(vasculature), 또한 담관(bile duct), 및 신장 요관(renal ureteric duct) 등의 인간(또는 동물)의 신체 내부통로 내부의 치료에 사용되는 최소 침투의 기기(minimally invasive devic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human (or animal), for example, vasculature (such as blood vessels), also bile ducts, and renal ureteric ducts. It relates to a minimally invasive device used for treatment inside the internal passages of the body.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혈관내 풍선 혈관성형술(intravascular balloon angioplasty)용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을 위한 이송 시스템(delivery system)을 대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elivery system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example for intravascular balloon angioplasty.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guidewire) 등의 이송 부품(delivery component)에 생체내(in vivo)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를 사용하여 스텐트(stent) 등의 치료 기기(therapeutic element)를 혈관내 배치(intravascular deployment)하도록 설계된 의료 기기를 대상으로 한다(direct to).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for example, a therapeutic device such as a stent using a balloon catheter that can be fastened in vivo to a delivery component such as a guidewire. ) for medical devices designed for intravascular deployment (direct to).

전체적 개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스텐트 등의 치료 부재를 (예를 들어 혈관내, 또는 환자의 다른 내부 관형(tube-like) 구조 등의) 환자 신체의 내부 통로들에, 병변 부위(환부; lesion site)로의 치료 부재의 전진 동안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품을 혈관 내부에 고정(secure)하면서 (예를 들어, 환자의 혈관 등) 내부 관형 구조 내부의 병변 부위에 배치하는 데 필요한 설비 교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신뢰성 높은(robust) 제어된 방식으로 배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대상으로 한다.In general ter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apeutic element such as a stent to the internal passages of the patient's body (eg, intravascular, or other internal tube-like structures of the patient), at the lesion site (lesion). The number of fixture replacements required to place a transfer component, such as a guidewire, within a vessel (e.g., a patient's vessel, etc.) at the lesion site inside the internal tubular structure while securing it within the vessel during advancement of the treatment member to the site. A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in a controlled and robust manner that can reduce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치료중의(under treatment) 혈관 내부로 삽입될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품에 생체내 체결될 체결 기구(locking mechanism)를 구비한 풍선 카테터를 대상으로 하는데, 체결된 풍선 카테터는 목표 부위 근처에 도달했을 때의 이송 부품의 안정성(stability)을 향상시키면서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 등의) 추가적 부품들의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을 따른 치료를 위한 목표 부위로의 이송을 촉진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argets a balloon catheter having a locking mechanism to be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under treatment, for example, to be fastened in vivo to a transfer part such as a guidewire, the fastened balloon The catheter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to the target site for treatment along the transfer component (guidewire) while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transfer component when it is near the target site. .

본 발명은 또한, 혈관내 가이드와이어의 원격단(distal end)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가이드와이어를 따른 추가적 혈관내 부품들의 이송을 촉진함으로써 생체내 가이드와이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목표 부위 근처에 가이드와이어를 정착(anchor) 및 안정화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풍선 카테터로 지지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uide near a target site to improve stability of the guidewire in vivo by minimizing movement of the distal end of the intravascular guidewire and facilitating transport of additional intravascular components along the guidewire.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supported by a balloon catheter with a mechanism for anchoring and stabilizing a wire is intended.

본 발명은 또한, 외부 레일(external rail)(또는 대응 시스템(buddy system))로 보강되어 스텐트 등의) 추가적 혈관내 기기들의 병변으로의 전진을 촉진시키는 혈관내 뒤틀림 방지(kink resistant) 이송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ndovascular kink resistant delivery system that is reinforced with an external rail (or buddy system) to facilitate advancement of additional endovascular devices, such as stents, into the lesion. target

또한, 본 발명은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혈관내의 병변(lesion)으로 이송되고 풍선 카테터의 풍선이 통상적인(conventional) 풍선 팽창 기구로 팽창되어 혈관을 확장(dilate)시킴으로써 병변을 파괴(disrupt)한다. 이어서 풍선이 수축되고 병변 근처로 이동하여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에 고정된다. 이어서,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에 고정되어 가이드와이어를 혈관 내부에 정착 및 안정화시키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 혈관내 부품들이 병변으로 이송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rupts the lesion by transferring th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in the blood vessel on the guidewire and inflating the balloon of the balloon catheter with a conventional balloon inflation device to dilate the blood vessel. . The balloon is then deflated and moved near the lesion to inflate the balloon, thereby securing th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wire. One or more additional intravascular components are then transferred to the lesion while the balloon catheter is secured to the guidewire to anchor and stabilize the guidewire within the vessel.

허혈성 심혈관 증후군(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s)은 혈관을 좁히고, 약화시키거나 막음으로써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종종 혈관 내부의 물질의 축적(buildup)으로 야기된다(이 명세서에 병변(lesion)으로 지칭된다). 허혈성 심혈관 증후군은, 때로 관상 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으로 지칭되는 일반적으로 심장으로 향하거나/이로부터 돌아오는 혈관에 관련된 관상 혈관 증후군(coronary vascular syndrome)뿐 아니라, 공통적으로 말초 동맥 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으로 지칭되는 심장 또는 두뇌를 향하거나/이로부터 돌아오는 혈관에 관련된 말초혈관 증후군을 포함할 수 있다.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s affect blood flow by narrowing, weakening, or blocking blood vessels, often resulting in a buildup of material inside the blood vessels (referred to herein as lesions). ). 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s include coronary vascular syndromes, commonly referred to as coronary artery disease (CAD), generally involving blood vessels to and/or returning from the heart, as well as commonly referred to as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AD). peripheral vascular syndrome involving blood vessels to and/or returning from the heart or brain, referred to as peripheral artery disease (PAD).

허혈성 심혈관 증후군의 혈관내(endovascular) 치료는 예를 들어 대퇴 동맥(femoral artery) 등의 혈관을 통하며, 이에 따라 절개(open) 수술 접근보다 환자 외상을 덜 내는, 카테터의 경피적(percutaneous) 도입을 통한 혈관 병변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Endovascular treatment of 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 involves the percutaneous introduction of a catheter, for example, through a blood vessel, such as the femoral artery, and thus less traumatic to the patient than an open surgical approach. to allow access to vascular lesions through

관상 및 말초 동맥(각각 PTCA 및 PTA)들의 경피적 내강 경유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은 (예를 들어 만성(chronic) 및 급성(acute) 관상 허혈 증후군(coronary ischemic syndromes) 등의) 허혈성 심혈관 증후군과 (파행성(claudication) 및 중증(critical) 하지 허혈(limb ischemia)을 포함한 만성 하지 허혈 등의) 말초 허혈 증후군들을 가진 환자들에게 선택되는 혈관재생(revascularization) 수술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Percutaneous transcutaneous of coronary and peripheral arteries (PTCA and PTA, respectively)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is used for 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s (eg chronic and acute coronary ischemic syndromes) and 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s (claudication and critical lower extremity ischemia). It is widely accepted as the revascularization surgery of choice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ischemic syndromes (such as chronic lower extremity ischemia, including limb ischemia).

그러나 종래의 경피적 치료의 사용은 재폐색(re-occlusion) 또는 재협착(restenosis)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치료된 혈관 세그먼트(segment)를 폐색시키도록 성장하는 부드러운 근육 세포의 활발한 확산, 동맥경화 색전(atherosclerotic plaque)의 진행, 증상의 재발을 초래하는 치료된 세그먼트의 부정적인 재구성 등에 기인할 수 있다. 재폐색 또는 재협착은 추가적 치료를 위한 잠재적 재시술(re-intervention)을 필요로 할 수 있다.However, the use of conventional percutaneous treatment may be limited by re-occlusion or restenosis. This may be due to the active proliferation of smooth muscle cells growing to occlude the treated vascular segment,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tic plaques, and negative reconstitution of the treated segment leading to recurrence of symptoms. Restenosis or restenosis may require potential re-intervention for further treatment.

혈관성형술에 대한 다양한 보조 수단들이 여러 가지 기법들을 통해 재협착을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이 기법들은 추출(extractional), 회전, 순환(orbital), 또는 레이저 절제술(atherectomy)과 함께 나(bare) 금속 및 나 니티놀(nitinol) 스텐트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최근에는, 약물 방출 스텐트(drug eluting stent; DES)들이 재협착을 치료/방지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기법은 혈관성형술 또는 나 금속 스텐트에 비해 관상 동맥 재협착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나타냈다.Various auxiliary means for angioplasty are trying to reduce restenosis through various techniques. These techniques may include the use of bare metal and nitinol stents in conjunction with extractional, rotational, orbital, or laser atherectomy, and more recently, drug-releasing stents. (drug eluting stents; DES) have begun to be used to treat/prevent restenosis. This technique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 coronary restenosis compared to angioplasty or bare metal stents.

말초 동맥에서는, 나 니티놀 스텐트의 사용이 풍선 혈관성형술만에 대해 우수함을 보여 특히 대퇴슬와부 동맥(femoropopliteal artery)이 관련된 복합 질환 패턴들을 갖는 만성 하지 허혈 증후군의 치료에 대한 "기본(default)" 경피적 전략으로 부상하였다.In the peripheral arteries, the use of nanitinol stents has been shown to be superior to balloon angioplasty alone, particularly for the "default" percutaneous treatment of chronic lower extremity ischemic syndrome with complex disease patterns involving the femoropopliteal artery emerged as a strategy.

스텐트는 폐쇄성 혈관질환(occlusive vascular disease)을 치료하는 데 관례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Hillstead에 대한 미국특허 제5,135,536호와 Gianturco에 대한 미국특허 제5,314,444호는 내강 경유의 설치(transluminal placement)를 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팽창 가능한 와이어 튜브를 구비하는 스텐트를 개시하였다. 스텐트가 혈관 내에 위치하고 나면, 풍선 카테터가 스턴트를 확장시키는 데 사용되어 혈관의 전체 둘레를 지지 및 보강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스텐트는 전형적으로, 혈관 질환에 의한 붕괴에 저항하도록 높은 반경방향 강도를 갖는다.Stents have been routinely used to treat occlusive vascular disease. For example, U.S. Pat. No. 5,135,536 to Hillstead and U.S. Pat. No. 5,314,444 to Gianturco disclose stents having expandable wire tubes with reduced diameters for transluminal placement. Once the stent is placed within the vessel, a balloon catheter is used to dilate the stunt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essel. Such prior art stents typically have high radial strength to resist collapse due to vascular disease.

경피적 내강 경유 혈관성형술에 이은 스텐트 이송의 종래의 시술에서는, 먼저 가이드와이어가 혈관 내부의 병변으로 경피적 전진된다. 이어서, 혈관성형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병변으로 전진된다. 혈관성형 풍선 카테터는 와이어 상(over-the-wire)("OTW") 방식 또는 신속 교체(rapid exchange)("RX") 방식으로 전진될 수 있다. 제자리에 도달하면 풍선이 팽창하여 병변 부위의 혈관 내부에서 혈류 통로(blood flow channel)를 확장시킨다. In the conventional procedure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followed by stent transfer, the guidewire is first percutaneously advanced to the lesion inside the blood vessel. An angioplasty balloon catheter is then advanced over the guidewire to the lesion. Angioplasty balloon catheters may be advanced over-the-wire (“OTW”) or rapid exchange (“RX”) fashion. Once in place, the balloon inflates to expand the blood flow channel inside the blood vessel at the lesion site.

후속 단계에서 가이드와이어가 제자리에 남아있는 채로 혈관성형 풍선이 혈관에서 제거되고, 스텐트 이송 풍선 카테터가 스텐트 이송을 위해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병변으로 전진된다.In a subsequent step, the angioplasty balloon is removed from the vessel while the guidewire remains in place, and a stent delivery balloon catheter is advanced onto the lesion on the guidewire for stent delivery.

종래방식으로 수행되는 시술의 단점은 가이드와이어가 혈관 내의 카테터의 전진에 충분히 안정된 구조를 구성하지 못하므로 혈관성형에 후속하더라도 제한된 안전성과 병변을 지나는(across) 스텐트 이송 풍선 카테터의 전진의 어려움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의 자유로운 원격단(distal tip)은 혈관 내부에서 제어 불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와이어의 원격단(distal end)의 제어 불가능한 음직임은 혈관 내의 전진 동안 스텐트 이송 풍선 카테터의 가이드와이어 내강(lumen) 내로 가이드와이어가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혈관이 구불구불하고 산만하게 이환되어(deceased) 심하게 경화(석회화; calcify)되거나 카테터 안내의 지지가 부족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집도의가 가이드와이어의 불안정한 원격 자유단을 따라 스텐트 이송 풍선 카테터의 전진을 시도하면 혈관 절단(dissection)을 포함한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집도의는 종종 스텐트 이송 풍선 카테터를 제거하고 추가적인 혈관성형 시술을 수행하도록 혈관성형 풍선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 상에 재도입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환자 건강에 대한 추가적 위험에 노출시키고, 시술의 효율을 저하시키며, 치료 기기의 설치 없이 포기할 수 있고, 매우 원가가 높다.Disadvantages of the procedure performed in the prior art are the limited safety and difficulty of advancing the stent delivery balloon catheter across the lesion, even after angioplasty, since the guidewire does not constitute a sufficiently stable structure for the advancement of the catheter in the blood vessel. For example, a free distal tip of a guidewire can move uncontrollably inside a blood vessel. Uncontrollable vocaliz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guidewire may cause the guidewire to retract into the guidewire lumen of the stent delivery balloon catheter during advancement within the vessel. This can occur when the blood vessels are tortuous and diffusely deceased and severely hardened (calcify) or lack of support of the catheter guide. If the surgeon attempts to advance the stent delivery balloon catheter along the unstable remote free end of the guidewire, there is a risk of vessel damage, including dissection. Accordingly, it is often necessary for the surgeon to remove the stent delivery balloon catheter and reintroduce the angioplasty balloon catheter onto the guidewire to perform an additional angioplasty procedure. This exposes additional risks to patient healt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can be abandoned without installation of a treatment device, and is very costly.

특히 당뇨 및/또는 만성 신장 질환을 앓는 환자 등, 상당한 혈관 벽 경화와 관련된 조건들을 갖는 환자 인구의 증가에 따라, 혈관내 치료에 대한 수요가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치료가 불충분 및/또는 비효율적인 환자들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제어되고 신뢰성 높은 방식으로 스텐트 등의 치료 기기의 혈관내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혈관내 기법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The demand for endovascular therapy is increasing dramatically, especially with the growing population of patients with condition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vascular wall hardening, such as those with diabetes and/or chronic kidney disease. There are patients for whom current treatment is insufficient and/or ineffective. There is therefore a need for improved endovascular techniques that enable intravascular placement of therapeutic devices, such as stents, in a controlled and reliable mann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혈관내 또는 담관 또는 신장 요관 등의 다른 통로들 등의 환자 신체의 관형 내부 구조에 (스텐트 등의) 치료 부재를, 치료 부재의 병변 부위로의 전진 동안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재를 혈관 내부에 효율적으로 고정(정착; anchoring)시키면서 혈관 내부의 병변 부위 근처에 치료 기기를 배치하는 데 필요한 설비 교체 수의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제어되고 신뢰성 높은 방식으로 배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roduce a therapeutic element (such as a stent) to a tubular internal structure of the patient's body, such as, for example, intravascular or other passageways such as the bile duct or renal ureter, during advancement of the therapeutic element to the lesion site. Placement in a controlled and reliable manner that allows efficient anchoring of transfer members, such as guidewires, within the vessel while supporting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equipment replacements required to place the therapeutic device near the lesion site within the vessel.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선 카테터를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품에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생체내 고정하여, 특히 병변 부위 부근의 혈관 내부의 가이드와이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가이드와이어에 고정된 풍선 카테터가 예를 들어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 등의 추가적 부품의 가이드와이어를 따른 병변 부위로의 이송을 촉진시키는 체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easably fix the balloon catheter to a transfer part such as a guide wire in vivo, especially while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guide wire inside the blood vessel near the lesion site. The balloon catheter provides a fastening mechanism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for example, a therapeutic device delivery catheter, along the guidewire to the lesion si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예를 들어 스텐트 등의 치료 부재의 병변 부위로의 이송에 유익하도록 혈관 내부의 목표(병변) 부위 근처에서 가이드와이어의 충분한 강성(rigidity)과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와이어의 원격단의 제어 불가능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ufficient rigidity and stability of the guidewire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lesion) site inside the blood vessel to benefit the transfer of a treatment member, such as a stent, to the lesion site, for examp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that prevents uncontrollable movement of the st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와이어를 혈관 내부의 목표 부위 부근에 정착 및 안정시켜 가이드와이어를 따른 추가적 혈관내 부품의 이송을 촉진함으로써 가이드와이어의 혈관 내부의 움직임(displacement)을 감소시켜 가이드와이어의 향상된 생체내 안정성을 달성하도록 작동하는 체결 가구를 구비하는 체결 가능한(lockable)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isplacement of the guide wire inside the blood vessel by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additional intravascular components along the guide wire by fixing and stabilizing the guide wire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site inside the blood vessel. SUMMARY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using a lockable balloon catheter having a locking furniture that operates to achieve improved in vivo stability.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풍선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혈관 내의 병변으로 이송하고, 종래의 풍선 팽창 시스템으로 풍선을 팽창시켜 혈관을 사전 확장(pre-dilating)시켜 (내강 외벽 상에 위치한 석회화된 색전(calcified plaque) 등의) 병변을 파괴(disrupt)하며, 이어서 풍선을 수축시켜 풍선을 병변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고, 풍선을 재팽창시켜 풍선을 가이드와이어에 체결하는, 관심(of interest) 혈관 내부의 가이드와이어에 제어 가능하게 체결 가능한 본 발명(subject)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어서 시술 동안 혈관 내부에 정착 및 안정되어 있는 가이드와이어에 본 발명 풍선 카테터가 체결되어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혈관내 부품이 병변 부위로 이송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er th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in the blood vessel on the guidewire, and to pre-dilate the blood vessel by inflating the balloon with a conventional balloon inflation system (calcified embolism (calcified embolism ( calcified plaque), then deflate the balloon to move the balloon near the lesion site, and re-inflate the balloon to fasten the balloon to the guide wir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ubject) balloon catheter controllably fastenable to a wire. One or more additional intravascular components may then be transferred to the lesion site while th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guidewire that is anchored and stable inside the vessel during th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의 축이, 풍선이 체결(locked) 또는 해제(unlocked) 상태(configuration)에 있을 때 가이드와이어를 따른 혈관내 부품의 전진을 위한 추가적인 지지 및/또는 레일 기구로 보강된 뒤틀림 방지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xis of the catheter is reinforced with an additional support and/or rail mechanism for advancement of the endovascular component along the guidewire when the balloon is in a locked or unlocked configuration. To provide an anti-distortio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본 발명 시스템(subject system)의 하나의 국면(aspect)에 따르면,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환자의 혈관(또는 담관 또는 요관) 내부의 병변으로 스텐트를 신뢰성 높게(securely) 전진시키는 혈관내 시스템(intravascular system)이 제공된다. 본 발명 시스템은 근접 영역(proximal region) 및 원격 영역(distal region)을 갖는 긴 카테터 축(elongated catheter shaft)과, 긴 카테터 축의 내부의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 사이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inflation lumen)과, 긴 카테터 축의 내부에 형성된 신속 교체(rapid-exchange; RX) 포트(port)와 풍선 카테터의 원격단(distal tip) 사이에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guidewire lumen)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subject system, there is provided an intravascular system that reliably advances a stent to a lesion inside a blood vessel (or bile duct or ureter) of a patient on a guidewire. is provide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ongated catheter shaft having a proximal region and a distal region, and an inflation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regions within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 a rapid-exchange (RX) port formed on the interior of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and a guidewire lumen extending between the distal tip of the balloon catheter.

풍선은 긴 카테터 축의 원격 영역에 부착된다. 풍선의 근접단(proximal end)은 신속 교체(RX) 포트로부터 약 5 mm - 30 mm의 짧은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러한 배치는 풍선이 혈관 내부에 남아있는 동안 스텐트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급속 교체 포트에 근접한 혈관 내부의 병변 부위로 전진할 때의 안정성을 달성한다.A balloon is attached to the remote region of the long catheter shaft.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spaced a short distance from the rapid change (RX) port of about 5 mm-30 mm. This placement achieves stability as the stent is advanced along the guidewire to the site of the lesion inside the vessel proximate to the rapid replacement port while the balloon remains inside the vessel.

긴 카테터 축의 체결부(locking portion)는 풍선 내부에 위치하여 풍선의 근접 및 원격단들 사이에 연장된다. 긴 카테터 축의 체결부는 풍선 내에서 작동의 해제 모드(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이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부에 위치한 가이드와이어에 대해 미끄럼 이동(slidable displacement)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일 때)로부터 작동의 체결 모드로 전환(transition)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의 체결 모드에서, 긴 카테터 축의 체결부는 풍선 내에서 압착되어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벽들이 가이드와이어와 밀착 접촉(contiguous contact)하여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결합 및 압착함으로써 가이드와이어를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부에 "정착(anchor)"시킨다.A locking portion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is located inside the balloon and extends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balloon. The engagement of the long catheter shaft moves from a release mode of operation in the balloon (when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is sized to allow for a slidabl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a guidewire positioned within the guidewire lumen) to an engagement mode of operation in the ballo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ition. In the fastening mode of operation, the fastening of the long catheter shaft is squeezed within the balloon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so that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are in contiguous contact with the guidewire to engage and squeeze the guidewire around the guidewire. is "anchor" within the guidewire lumen.

긴 카테터 축의 체결부는 가이드와이어의 가이드와이어 벽의 벽들과 압착을 촉진하는 유연한 재질(flexibl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한 재질은 편직 재질(braided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편직 재질은 폴리머로 코팅될 수 있어 풍선 내부의 긴 카테터 축의 체결부는 유체 불투수성이다.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may include a flexible material that facilitates compression with the walls of the guidewire wall of the guidewire. The flexible material may include a braided material. The knitted material may be coated with a polymer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long catheter shaft inside the balloon is fluid impermeable.

풍선 카테터는 긴 카테터 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que) 마커(marker)들을 가질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은 신속 교체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The balloon catheter may have a plurality of radiopaque markers disposed along an elongate catheter axis. The radiopaque markers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quick change port.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국면에 따라, 풍선 축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 상에서 환자의 혈관 내부의 병변으로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확실하게 전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for reliably advancing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to a lesion inside a patient's blood vessel on a guide wire along a balloon axis. This method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혈관 내부의 가이드와이어에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는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과,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 간에 연장되는 제1 내강(lumen)과, 및 긴 카테터 축 내부에서 신속 교체(RX) 포트로부터 원격측으로(distally) 연장되는 제2 내강을 갖는 긴 카테터 축을 포함한다.It includes the step of manufacturing a balloon catheter that can be fastened to the guide wire inside the blood vessel.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has a proximal region, a remote region, a first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region and the remote region, and a first lumen extending distally from a rapid exchange (RX) port within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2 includes a long catheter shaft with a lumen.

풍선은 원격 영역에서 긴 카테터 축에 부착되어 풍선의 근접단이 신속 교체 포트로부터 약 5 mm - 30 mm의 짧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풍선이 체강(body lumen) 내부에 팽창되어 있는 동안 금속 교체 포트에 인접한 체강 내부의 목표 부위로의 치료 부재(스텐트)의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 상의 안정된 전진을 이루게 된다. 긴 카테터 축은 풍선 내부에서 작동의 해제 모드(제1 내강의 직경이 그 내부에서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할 크기일 때)로부터 작동의 체결 모드(긴 카테터 축이 풍선 내부에서 압착되어 제2 내강의 직경이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접촉됨으로써 풍선의 가압에 따라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이 제2 내강 내부에서 고정될 때)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lloon is attached to a long catheter shaft in a remote area so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spaced a short distance of approximately 5 mm - 30 mm from the rapid replacement port to proximate the metal replacement port while the balloon is inflated inside the body lumen. A stable advancement on the transfer component (guidewire) of the treatment member (stent) to the target site within the body cavity is achieved. The long catheter shaft is from a release mode of operation inside the balloon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lumen is sized to allow sliding of the transfer part (guidewire) therein) to an engagement mode of operation (the long catheter shaft is compressed inside the balloon).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lumen is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conveying part (guide wire), so that the conveying part (guide wire) is converted into a second lumen when it is fixed inside the second lumen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balloon.

본 발명 방법은 다음 단계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혈관 내부의 병변으로 이송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inside the blood vessel on the guide wire;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풍선을 팽창시켜 혈관을 확장시키고 병변을 파괴하는 단계와;Inflating the balloon of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o expand the blood vessel and destroy the lesion;

풍선을 수축시키는 단계와;deflating the balloon;

수축된 풍선을 풍선 카테터 상에서 혈관 내부의 병변을 지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와; 및moving the deflated balloon past the lesion inside the blood vessel on the balloon catheter; and

풍선을 재팽창시킴으로써 풍선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에 체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풍선의 팽창은 혈관 내부의 제2 내강의 벽들을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압착하여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 체결함으로써 풍선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에 체결한다.The step of fastening th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wire by re-inflating the balloon is further provided. Inflation of the balloon clamps th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wire by pressing the walls of the second lumen inside the vessel around the guidewire to lock the guidewire in place.

본 발명 방법은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에 체결하여 가이드와이어를 혈관 내부에 정착 및 안정화시키고 있는 동안 다른 카테터(예를 들어 스텐트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병변 부위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이어진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leads to the step of transferring another catheter (for example, a stent catheter) to the lesion site on the guidewire while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is fastened to the guidewire to fix and stabilize the guidewire inside the blood vessel.

본 발명 시스템 및 방법은 치료 카테터를 병변 부위로 전진시키는 동안 이송 부품을 혈관 내부에 고정하면서 치료 기기를 변변 부위에 배치하는 데 필요한 설비 교체의 수를 감소시킨다.The system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number of equipment changes required to place a treatment device at the marginal site while securing the transfer component within the vessel while advancing the treatment catheter to the lesion site.

본 발명 시스템 및 방법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연계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예시적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와 피복과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풍선 카테터와 함께 사용될 본 발명의 혈관내 이송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
도 3a, 3b, 및 3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원격 영역의 개략도들로, 해제 상태(도 3a)와 체결 상태(3b)인 한편 도 3c는 작동의 체결 모드에 있는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종단면도;
도 4a 및 4b는 충선 내부의 본 발명 카테터의 체결부에 유연한 재질을 갖도록 구성되어 작동의 해제 모드(도 4a)와 작동의 체결 모드(도 4b)에서 본 발명 체결 가능한 카테터의 작동을 촉진시키는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다른 실시예의 원격 영역의 개략도들;
도 4c-4d는 RX 포트와 풍선 사이의 긴 축의 원격 영역에 매립된, 와이어형 뒤틀림 방지 기구(도 4c) 또는 RX 포트에 부착된 대체적인 뒤틀림 방지 기구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및
도 5a-5l들은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치료 기기를 혈관 내부의 목표 부위로 이송시키는 혈관내 이송 시술의 예시적 단계들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pon read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ed) drawings.
1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with the balloon catheter shown in FIG. 1 including a therapeutic device delivery catheter and a sheath and guidewire; FIG.
3A, 3B, and 3C are schematic views of a remote area of one embodiment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 in an unlocked state ( FIG. 3A ) and an engaged state 3B , while FIG. 3C is an operation of FI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gagement mode;
Figures 4a and 4b are configured to have a flexible material a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chungseon to promote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that can be fast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lease mode of operation (Fig. 4a) and the fastening mode of operation (Fig. 4b) Schematic views of the remote are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v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4C-4D schematically show a wire-type anti-distortion mechanism ( FIG. 4C ) or an alternative anti-distortion mechanism attached to the RX port, embedded in the remote region of the long axis between the RX port and the balloon; and
5A-5L are diagrams showing exemplary steps of an endovascular transfer procedure in which a therapeutic device is transferred to a target site inside a blood vessel using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d 및 5a-5l은 (혈관(blood vessel(체강(body lumen)), 또는 담관(bile duct) 및 요관(ureteric duct) 등의) 환자 신체의 관형(tube-like) 내부 구조 내부에 치료 기기(therapeutic device)를 배치(deployment)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 시스템 및 방법의 원리들은 환자 신체 내의 다른 내부 통로(관형 구조)들에 연계된 치료 시술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이하의 본 발명 시스템 설계와 작동의 설명은 혈관내(intravascular) 적용에 집중될 것이다.1-4D and 5A-5L show inside a tube-like internal structure of a patient's body (such as a blood vessel (body lumen), or bile duct and ureteric duct). A system for deploying a therapeutic device is shown.The principles of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rapeutic procedures associated with other internal passageways (tubular structures) within the patient's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follows. The description of the system design and operation will focus on intravascular applications.

본 발명 시스템은 생체내(in vivo) 제자리에서 혈관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guidewire) 등의 이송 부품(delivery component)에 체결(lock)될 수 있는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를 포함한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가이드와이어에의 체결에 이어, 체결된 풍선 카테터가 혈관 내의 목표 부위에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와이어를 안정되게 정착(anchor)시키는 동안 스텐트(stent) 등의 치료 기기의 이송을 위한 다른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혈관 내의 목표 부위로 전진(advance)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lloon catheter that can be locked to a delivery component, for example, a guidewire, which is positioned inside a blood vessel in situ in vivo. . Following the fastening of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wire, the fastened balloon catheter stably anchors the guidewir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rget site in the blood vessel while other methods for transporting treatment devices such as stents A catheter may be advanced over the guidewire to a target site in the blood vessel.

본 발명 시스템은 때로 관상 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으로도 지칭되는 관상 혈관 증후군(coronary vascular syndrome)을 포함하는 허혈성 심혈관 증후군(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과 함께 말초 동맥 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으로 지칭되는 말초혈관 증후군(peripheral vascular syndrome) 동안의 혈관 벽 굴곡(vessel wall tortuosity), 미만성 질환(diffuse disease), 석회화(calcification; 경화) 또는 약한(poor) 안내 카테터 지지 등에 연계된 조건들에 특히 잘 맞는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peripheral artery disease (PAD) along with ischemic cardiovascular syndrome, including coronary vascular syndrome, sometimes also referred to as 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rticularly for conditions associated with vessel wall tortuosity, diffuse disease, calcification, or poor intraocular catheter support during peripheral vascular syndrome, referred to as Fits well.

도 1에서, 본 발명 혈관내 이송 시스템(1)은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10)의 근접 영역(proximal region; 14)과 원격 영역(distal region; 16) 사이에 연장되는 긴 축(elongated shaft; 12)을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10)를 구비한다. 풍선(18)은 긴 축(12)의 원격 영역(16)에 장착된다. 긴 축(12)은 (이 명세서의 이하에서 체결부(locking portion; 17)로 지칭될) 풍선(18) 내부로 연장되는 부분(17)을 갖는다.1 , the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ongated shaft extending between a proximal region 14 and a distal region 16 of a balloon catheter 10 ; 12) is provided with a balloon catheter (10) comprising a. The balloon 18 is mounted on a remote area 16 of the long axis 12 . The elongated shaft 12 has a portion 17 that extends into the balloon 18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a locking portion 17 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긴 축(12)의 근접단(14)은 바람직하기로 집도의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의 조작을 돕는 핸들(20)을 포함한다.The proximal end 14 of the elongate shaft 12 preferably includes a handle 20 to assist the operator in manipulating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

근접 영역(14)의 근접단(proximal end; 22)에 있는 풍선 팽창 포트(22)는 도 3a-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축(12) 내부로 연장되는 팽창 내강(inflation lumen; 24)을 통해 풍선(18)의 내부(19)에 접속된다.The balloon inflation port 22 at the proximal end 22 of the proximal region 14 has an inflation lumen 24 extending into the elongate axis 12 as shown in FIGS. 3A-3C . It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19 of the balloon 18 via.

핸들(20)과 풍선 팽창 포트(22)는 종래의 풍선 카테터에도 사용된 부재들일 것이므로 이 명세서에는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근접 영역(14)과 마찬가지로, 핸들(20)과 풍선 팽창 포트(2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테레프탈레이트 등 혈관내 카테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ndle 20 and the balloon inflation port 22 will be members used in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s,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Like the proximal region 14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the handle 20 and balloon inflation port 22 may be constructed of materials commonly used in endovascular catheters, such as, for example, polyethylene and/or polyterephthalate. .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바람직하기로 치료중인 심혈관 또는 말초혈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다. 풍선 카테터(10)는 60 cm 내지 180 cm 범위의 길이와 1.0 mm 내지 60 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is preferably of a length and diameter suitable for use in the cardiovascular or peripheral vessels being treated. The balloon catheter 10 may have a length ranging from 60 cm to 180 cm and a diameter ranging from 1.0 mm to 60 mm.

풍선(18)은 (도 3a 및 4a, 4c, 5b, 5d - 5e, 및 5h - 5i에 도시된) 폐쇄된(수축된) 상태(configuration) 또는 (도 1 - 2, 3b - 3c, 4b, 4d, 5c, 및 5f - 5g에 도시된) 팽창된(확장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는, 풍선(18)이 혈관을 확장시키는 데 적합한 확장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풍선(18)은 (폴리에틸렌 등의) 비유연(noncompliant) 재질, (폴리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반유연(semi-compliant) 재질, 또는 (나일론 등의) 유연(compliant)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Balloon 18 may be in a closed (retracted)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A and 4A, 4C, 5B, 5D - 5E, and 5H - 5I) or (Figures 1 - 2, 3B - 3C, 4B, It can assume an expanded (expanded) state (shown in 4d, 5c, and 5f - 5g). 1, balloon 18 is shown in an expanded state suitable for dilating blood vessels. The balloon 18 may be made of a noncompliant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a semi-compliant material (such as polyterephthalate), or a flexible (compliant) material (such as nylon).

풍선(18)은 의도된 치료와 치료 중인 체강(혈관)에 적절한 혈관 내의 삽입을 위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선(18)의 길이는 1 cm 내지 20 cm의 범위가 될 수 있다. (관상 혈관 등의) 더 작은 체강에 삽입할 풍선(18)은 확장 상태에서 약 1.0 mm - 6.0 mm의 직경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말초혈관 등) 더 큰 체강에 삽입할 풍선은 약 4 mm - 1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카테터(10)가 흉부(thoracic) 또는 복부(abdominal) 대동맥(aorta)에 관련된 치료에 사용된다면 풍선(18)은 약 1 cm - 6 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balloon 18 may be sized and shaped for the intended treatment and for insertion into a vessel suitable for the body cavity (vessel) being treated.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balloon 18 may range from 1 cm to 20 cm. The balloon 18 to be inserted into a smaller body cavity (such as a coronary vessel) has a diameter of about 1.0 mm - 6.0 mm in the expanded state. Alternatively, a balloon to be inserted into a larger body cavity (such as a peripheral blood vessel)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4 mm - 10 mm. Also, if the catheter 10 is used for treatment involving the thoracic or abdominal aorta, the balloon 18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1 cm to 6 cm.

풍선(18)은 바람직하기로 열 접합(thermal bonds), 접착제 접합(glue welds),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들로 긴 축(12)의 체결부(17)에 부착된다.The balloon 18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fastener 17 of the elongate shaft 12 by thermal bonds, glue welds, or other suitable methods.

풍선(18)은 풍선 팽창 시스템(25)의 제어 하에 풍선 팽창 포트(22)를 통해 유체(공기)를 도입함에 따라 가압될 때 확장되도록 구성된다.Balloon 18 is configured to expand when pressurized by introducing fluid (air) through balloon inflation port 22 under control of balloon inflation system 25 .

풍선 팽창 시스템(25)은 풍선 팽창 포트(22)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작동상(operatively) 접속되어 풍선(18)에 들고나는(to and from) (예들 들어 식염수(saline), 요드계 조영제(iodinated contrast media), 또는 공기 등의) 팽창 유체(27)의 통로를 지원한다.The balloon inflation system 25 is operatively connected in a fluid-tight manner to the balloon inflation port 22 to and from the balloon 18 (eg saline, iodinated contrast agent). contrast media), or air, etc.) to support the passage of the expansion fluid 27 .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풍선 팽창 시스템(25)은 수동 또는 자동 시스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자동 실시예에서는, 풍선 팽창 시스템(25)이 전자 하부시스템(sub-system)과, 공압(pneumatic) 하부시스템과, 및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하부시스템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풍선 팽창 포트(22)에 유체 접속된) 솔레노이드 압력 밸브에 전력을 공급하여 공기 흐름을 갖는 본 발명 풍선 시스템의 작동의 가압/감압 사이클들을 제어한다.The balloon inflation system 25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may be a manual or automatic system. In a preferred automatic embodiment, the balloon inflation system 25 may include an electronic sub-system, a pneumatic subsystem, and control software having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The electronic subsystem powers the solenoid pressure valve (fluidly connected to the balloon inflation port 2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oftware to control the pressurization/decompression cycles of operation of the ballo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irflow.

팽창 내강(24)은 풍선(18)의 내부(19)의 바람직하기로 풍선의 근접단(33) 근처에 위치한 원격단을 가져 여기서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팽창 내강(24)은 긴 축(12) 내부의 풍선 팽창 포트(22)와 풍선(18) 사이에 연장되어 이를 따라 풍선(18)을 가압/감압하는 유체(공기)의 양방향 통로를 제공한다.The inflation lumen 24 is configured to have and terminate therein a distal end of the interior 19 of the balloon 18 , preferably located near the proximal end 33 of the balloon. The inflation lumen 24 extends between the balloon inflation port 22 and the balloon 18 inside the elongate shaft 12 to provide a bidirectional passageway for fluid (air) to pressurize/depressurize the balloon 18 along it.

가압 상태에서, 풍선(18)은 (도 1, 2, 3b - 3c, 4b, 4d, 5c, 및 5f - 5g에 도시된) 확장(팽창) 상태를 취하게 된다. 반면 감압 상태에서, 풍선(18)은 (도 3a, 4a, 4c, 5b, 5d, 5e, 5h, 5i, 및 5j에 도시된) 수축(폐쇄) 상태를 취하게 된다.In the pressurized state, the balloon 18 assumes an expanded (inflated) state (shown in FIGS. 1 , 2, 3b - 3c, 4b, 4d, 5c, and 5f - 5g). On the other hand, in the decompressed state, the balloon 18 assumes a deflated (closed) state (shown in FIGS. 3A, 4A, 4C, 5B, 5D, 5E, 5H, 5i, and 5J).

본 발명 혈관내 이송 시스템(1)은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 등의 이송 부품(delivery component; 31)과 함께 작동된다. 가이드와이어(31)는 혈관의 내부에서 심장(혈관)(또는 다른 혈관내) 시술에 앞서 병변 부위(lesion site)를 향해(바라직하기로는 그 너머까지) 전진한다. 혈관내 이송 시스템(1)은 이어서 혈관 내부에서 가이드와이어(31)를 따라 사전 확장(pre-dilatation) 또는 다른 치료를 위해 병변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된다.The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s in conjunction with a delivery component 31 , for example a guidewire. Guidewire 31 is advanced from the inside of the blood vessel toward (preferably beyond) the lesion site prior to cardiac (vascular) (or other intravascular) procedures. The endovascular transport system 1 is then moved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esion site for pre-dilatation or other treatment along the guidewire 31 inside the blood vessel.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긴 축(12) 내부에서 신속 교체 포트(rapid-exchange (RX) port; 30)와 테이퍼 단(tapered tip; 32) 간에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guidewire lumen; 28)을 갖도록 구성된다. 가이드와이어(31)는 가이드와이어 내강(28) 내부에서 경사진 테이퍼 단(32) 너머까지 원격측으로 연장된다.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10 has a guidewire lumen 28 extending inside the elongated shaft 12 between a rapid-exchange (RX) port 30 and a tapered tip 32 . is configured to have The guidewire 31 extends distally within the guidewire lumen 28 beyond the tapered tapered end 32 .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은 이를 통한 가이드와이어(31)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은 가이드와이어가 이에 삽입되어 환자의 맥관 구조(vasculature) 또는 기관(organ) 내의 가이드와이어(31)를 따른 원격 영역(16)의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을 촉진하도록 허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Guidewire lumen 28 is sized to allow passage of guidewire 31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guidewire lumen 28 may facilitate movement of the remote region 16 along the guidewire 31 to a desired location within the patient's vasculature or organ into which the guidewire is inserted. It can be of any size that allows it to be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은 긴 축(12) 내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이와는 달리 편심(off-center)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은 예를 들어 풍선(18)의 팽창 등, 집도의에 의한 풍선 팽창 시스템(25)의 기동(actuation)에 따라 압축 가능해서, 더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31)를 거기에 체결한다.As shown in FIG. 3C , the guidewire lumen 28 may be centered within the long axis 12 , or alternatively may be off-center. Preferably, the guidewire lumen 28 is compressible upon actuation of the balloon inflation system 25 by the operator, such as, for example, inflation of the balloon 18, so that the guidewire lumen 2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31) is signed there.

긴 축(12)은 바람직하기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압축을 촉진하도록 유연한(flexibl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긴 축(12)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풍선(18) 내부의 체결부(17) 등 그 길이의 선택 부분(들)에 걸쳐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ng shaft 12 may preferably be construct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compression of the guidewire lumen 28 . Elongated shaft 12 may be constructed of a flexible material over its entire length or over select portion(s) of its length, such as fasteners 17 inside balloon 18 .

본 발명 시스템(1)에서,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풍선 팽창 시스템(25)으로 지원되며 팽창 내강(inflation lumen; 24), 풍선(18), 및 긴 축(12)의 체결부(17)를 포함하여 본 발명 시스템을 작동의 체결 모드(locked mode)와 작동의 해제 모드(unlocked mode) 간에 전환시키는 체결 기구(locking mechanism)를 구비한다.I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able balloon catheter 10 is supported by a balloon inflation system 25 and includes an inflation lumen 24 , a balloon 18 , and an engagement portion 17 of the long shaft 12 . ) and a lock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a locked mode of operation and an unlocked mode of operation.

작동의 체결 모드에서는, 풍선(18)의 팽창이 풍선 카테터(10)를 가이드와이어(31)에 체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소정 압력(예를 들어 고압)으로의 풍선(18)의 팽창은 긴 축(12)의 체결부(17)가 (도 3b - 3c, 4b,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31)를 가압하도록 유발함으로써 (RX 포트(30)에서 풍선(18)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벽들이 이송 가이드와이어(31)의 둘레를 압착(compress)하여 가이드와이어(31)를 긴 축(12) 내부에 체결한다. 압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벽들 사이의 밀착 결합과 가이드와이어(31)가 가이드와이어(31)와 긴 축(12) 간의 상대적 이동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치료 시술의 필요에 따른 풍선(18)의 제어된 가압으로 결과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벽들과 가이드와이어(31) 간의 밀착 결합이 가이드와이어(31)를 풍선 카테터(10)의 긴 축(12)에 체결한다. In the fastening mode of operation, inflation of the balloon 18 is used to fasten the balloon catheter 10 to the guidewire 31 . For example, inflation of the balloon 18 to a predetermined pressure (eg, high pressure) may result in the engagement 17 of the long shaft 12 being guided (as shown in FIGS. 3B - 3C, 4B, and 4D). By causing the wire 31 to pressurize,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28 (extending from the RX port 30 to the balloon 18) compress the perimeter of the conveying guidewire 31, causing the guidewire ( 31)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long shaft 12. In the compressed state, the tight fit between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28 and the guidewire 31 preven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guidewire 31 and the long axis 12 . As such, the close coupling between the guidewire 31 and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28 resulting from the controlled pressurization of the balloon 18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reatment procedure is the guidewire 31 of the balloon catheter 10. It is fastened to the long shaft (12).

체결 기구의 팽창 시스템(25)이 풍선을 수축시키면,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벽들이 그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가이드와이어를 긴 축(12)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작동의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작동의 해제 상태에서는, 가이드와이어와 긴축(12)이 서로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inflation system (25) of the fastening mechanism deflates the balloon,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28)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thereby disengaging the guidewire from engagement with the elongated shaft (12). do. In the released state of operation, the guidewire and the constriction 12 are fre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RX(신속 교체) 포트(30)는 풍선(18)의 근접단(33)에서 짧은 거리의 긴 축(12)에 형성된다. 이 배치는 도 5g -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더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10)가 체강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31)를 따라 혈관 내의 목표 부위로 이송될 수 있게 해준다. An RX (quick replacement) port 30 is formed on the long axis 12 a short distance from the proximal end 33 of the balloon 18 . This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treatment instrument delivery catheter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wire 31 to the target site in the blood vessel while the balloon catheter 10 is fastened to the body cavity, as shown in FIGS. 5G-5J , and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enables it to be

예를 들어, 전형적인 급속 교체 포트가 통상적으로 풍선으로부터 적어도 15 cm 이격되는 반면, 본 발명 시스템(1)의 RX 포트(30)는 훨씬 더 가까이, 예를 들어 본 발명 풍선의 근접단(33)으로부터 약 1 - 5 mm 내지 30 mm에 위치된다.For example, while a typical quick change port is typically spaced at least 15 cm from the balloon, the RX port 30 of the inventive system 1 is much closer, eg, from the proximal end 33 of the inventive balloon. It is located about 1-5 mm to 30 mm.

가이드와이어(31)가 혈관 내부에서 RX 포트(30)를 통해 긴 축(12)으로부터 나오므로 본 발명 구조의 간결성은 유익한 결과를 갖는데, 풍선(10)이 체강 내에서 가이드와이어(31)에 견고하게(securely) 체결된 상태로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가 RX 포트(30) 및 풍선(18) 부근에 위치할 수 있어서, 스텐트 이송에 바람직한 안정된 조건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는 체강 내에 정착 및 안정된다.The conciseness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neficial result as the guidewire 31 emerges from the long axis 12 through the RX port 30 inside the blood vessel, where the balloon 10 is rigidly secured to the guidewire 31 within the body cavity. In a securely engaged state, the treatment instrument delivery catheter can be positioned near the RX port 30 and balloon 18 , providing stable conditions desirable for stent delivery. Accordingly,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is anchored and stabilized in the body cavity.

본 발명 풍선 카테터(10)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radiopaque marker)들을 포함하여 투시 이미징(fluoroscopic imaging) 하에서 풍선 카테터(10)의 위치 확인(positioning)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10)는 긴 축(12)을 따라 위치하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34, 36, 38, 40, 및 42)들을 포함한다. 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은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의 통상적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34, 36들은 각각 풍선(18)의 원격단(37)과 근접단(33)에 위치하여 혈관 내의 풍선(18)의 위치를 시각화한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38은 RX 포트(30)에 인접 위치하여 RX 포트(30)의 위치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한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40, 42들은 축 마커들로 긴 축(12)의 원격단(팁)(32)로부터 각각 약 90 내지 100 cm 이격될 수 있다.The balloon cathe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radiopaque markers to facilitate positioning of the balloon catheter 10 under fluoroscopic imaging. 1 , balloon catheter 10 includes radiopaque markers 34 , 36 , 38 , 40 , and 42 positioned along long axis 12 . These radiopaque markers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material such as platinum or iridium. Radiopaque markers 34 and 36 are located at the distal end 37 and the proximal end 33 of the balloon 18, respectively, to visualize the position of the balloon 18 within the blood vessel. A radiopaque marker 38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X port 30 to enable visualization of the location of the RX port 30 . The radiopaque markers 40 , 42 are axial markers and may each be spaced about 90-100 cm from the distal end (tip) 32 of the long axis 12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를 사용하는 본 발명 혈관내 이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보인다. 이 시스템은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와, 하나 이상의 피복(sheath)들고, 및 이송 부품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시스템(50)은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와, 피복(52)과, 피복(54)과,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56)과, 및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를 포함한다. FIG. 2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shown in FIG. 1 . The system includes a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one or more sheaths, and a delivery componen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system 50 includes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10 , a sheath 52 , a sheath 54 , a transfer component (guidewire) 56 , and a treatment device transfer catheter. (60).

피복 52는 혈관내 이송 시술에 맞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피복(52)은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가 이송 시술을 위해 그 안에 위치될 수 있게 해주는 내강을 구성한다.The sheath 52 is sized and shaped for an endovascular delivery procedure. The sheath 52 constitutes a lumen that allows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to be positioned therein for a transfer procedure.

피복 54는 혈관내 이송에 맞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가 혈관내 이송을 위해 그 안에 위치될 수 있게 해주는 내강을 구성한다. 피복(52, 54)들은 혈관내 시술에 사용되는 통상의 피복들이 될 수 있다. The sheath 54 is sized and shaped for endovascular delivery and constitutes a lumen within which the therapeutic device delivery catheter 60 may be positioned for endovascular delivery. Coatings 52 and 54 may be conventional sheaths used in endovascular procedures.

이송 부품(56)은 혈관내 이송 시술에 맞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이송 부품(56)은 혈관내 시술에 사용되는 통상의 가이드와이어이다.The transfer component 56 has a size and shape suitable for an endovascular transfer procedure, and may be a guidewire as shown. In one example, transfer component 56 is a conventional guidewire used in endovascular procedures.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는 (스텐트 등의) 치료 기기를 체강 내의 목표 부위에 혈관내 이송하도록 설계된다. 이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는 근접 영역(64)과 원격 영역(66)을 갖는 긴 축(62)을 포함한다. 풍선(68)은 긴 축(62)의 원격 영역(66)에 장착된다.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s designed to endovascularly deliver a treatment device (such as a stent) to a target site within a body cavity. This treatment instrument delivery catheter 60 includes an elongate axis 62 having a proximal area 64 and a remote area 66 . The balloon 68 is mounted on a remote area 66 of the long axis 62 .

긴 축(62)의 근접 영역(64)은 집도의에 의해 조작된다. 이를 위해, 근접단(64)은 핸들(67)을 구비한다. 풍선 팽창 포트(72)는 긴 축(62)을 따라 내부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75)을 통해 풍선(68)의 내부(83)에 접속된다.The proximal area 64 of the long axis 62 is manipulated by the surgeon. For this purpose, the proximal end 64 has a handle 67 . The balloon inflation port 72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83 of the balloon 68 via an inflation lumen 75 extending therein along the long axis 62 .

가이드와이어 포트(guidewire port; 74)가 가이드와이어 내강(77)을 통해 긴 축(62)의 원격단(66)에 접속된다. 가이드와이어 내강(77)은 가이드와이어(56)를 그 내부에 수납할 크기를 갖는다.A guidewire port 74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66 of the long shaft 62 via a guidewire lumen 77 . The guidewire lumen 77 is sized to receive the guidewire 56 therein.

핸들(67)과 포트(72, 74)들은 통상적인 부재들로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의 근접단(6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테레프탈레이트 등 혈관내 카테터의 제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치료 배송 카테터(60)는 바람직하기로 심혈관 또는 말초혈관과 연계한 치료 시술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다.The handle 67 and ports 72, 74 are conventional members and, like the proximal end 64 of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are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endovascular catheters, for example polyethylene or polyterephthalat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Therapeutic delivery catheter 60 is preferably of a length and diameter suitable for use in therapeutic procedures involving cardiovascular or peripheral blood vessels.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는 예를 들어 스텐트가 될 수 있는 치료 기기(70)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는 치여 기기(70) 내부의 긴 축(62)의 원격 영역(66)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풍선(68)을 포함한다. (풍선 팽창 포트(72)로의 유체(또는 공기)의 유입의 결과) 풍선(68)이 확장되면, 이는 치료 기기(70)가 이송(delivery)(수축; deflated) 상태로부터 배치(deployed)(확장; expanded) 상태로 확장되도록 유발한다.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s configured to deliver a treatment device 70 , which may be, for example, a sten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ncludes a balloon 68 positioned at a location in the remote region 66 of the long axis 62 inside the impingement device 70 . When the balloon 68 is inflated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fluid (or air) into the balloon inflation port 72 ), it means that the treatment device 70 is deployed (expanded) from the delivered (de-flated) state. ; expanded) to cause it to expand.

이 예시적 실시예에는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가 (예를 들어 나(bare) 금속 스텐트 또는 약물 방출(drug-eluting) 스텐트 등의) 스텐트 이송을 위한 풍선 카테터로 도시되어 있지만,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는 또한 다른 종류의 치료 기기도 이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물 이송 카테터, 풍선 카테터, 약물 방출 풍선 카테터, 또는 에너지 이송 카테터가 될 수 있다. 이송되는 약물의 예는 항 유사분열 약물(anti-mitotic drug), 재생촉진제(regenerative agent),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 항알레르기제(anti-allergenic agent), 항균제(anti-bacterial agent),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 항콜린 작용제(anticholinergic agent),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항혈전제(antithrombotic agent), 흉터방지제(anti-scarring agent), 항증식제(antiproliferative agent), 강압제(antihypertensive agent), 재협착 방지제(anti-restenosis agent), 치유촉진제(healing promoting agent), 비타민, 단백질, 유전자(gene), 성장인자(growth factor), 세포, 줄기세포(stem cell), 벡터(vector; DNA 운반체), RNA, 및/또는 DNA를 포함한다. 에너지 이송 카테터는 자외선 광, 초음파, 저항열(resistive heat),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및 극저온(cryogenic)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rapeutic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s shown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as a balloon catheter for stent delivery (eg, such as a bare metal stent or drug-eluting stent), therapeutic device delivery The catheter 60 may also deliver other types of therapeutic devices, such as a drug delivery catheter, a balloon catheter, a drug release balloon catheter, or an energy delivery catheter. Examples of delivered drugs include anti-mitotic drugs, regenerative agents, anti-inflammatory agents, anti-allergenic agents, anti-bacterial agents, Anti-viral agent, anticholinergic agent, antihistamine, antithrombotic agent, anti-scarring agent, antiproliferative agent, antihypertensive agent ( antihypertensive agent, anti-restenosis agent, healing promoting agent, vitamin, protein, gene, growth factor, cell, stem cell, vector ; DNA carrier), RNA, and/or DNA. Energy delivery catheters may contain various types of energy, including ultraviolet light, ultrasound, resistive heat, radio frequency (RF), and cryogenic.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가 각각 해제 상태(도 3a)와 체결 상태(도 3b)의 풍선 카테터(10)를 보이는 한편, 도 3c는 체결 상태의 본 발명 풍선 카테터(10)의 종단면을 보인다.3A, 3B, and 3C show one embodiment of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respectively While showing the balloon catheter 10 in the released state ( FIG. 3A ) and the engaged state ( FIG. 3B ), FIG. 3C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alloon cathe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gaged state.

도 3a에서, 긴 카테터 축(12)은 해제 상태(작동 모드)에 있다. 해제 상태에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직경은 그 안에서의 가이드와이어(31)의 미끄럼 이동(변위)을 지원하는 크기를 갖는다.In FIG. 3A , the elongate catheter shaft 12 is in an unlocked state (mode of operation). In the released state,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28 is sized to support sliding (displacement) of the guidewire 31 therein.

긴 축(12)은, 풍선(18)이 팽창되었을 때 풍선(18) 내부의 긴 축(12)의 체결부(17)를 압착시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긴 축(12)의 벽들이 체결부(17)에서 가이드와이어(31) 둘레를 감싸 가압하여 가이드와이어(31)응 가이드와이어 내강(28) 내에 체결함에 따라 도 3b - 3c에 도시된 체결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팽창 내강(24) 및 풍선 팽창 포트(16)를 통해 풍선(18)에 유체(공기)를 도입하면, 풍선(18)이 팽창되어 풍선(18)의 내부 공간(19)을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축(12)의 체결부(17)의 벽들을 압착할 수준까지 가압한다. 바람직하기로, 풍선(18)의 팽창은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을 가이드와이어(31)에 결합할 뿐 아니라, 풍선(18)의 벽들과 체강(100)의 내벽(inner lining)과의 결합 역시 향상시킴으로써 풍선(18)을 체강 내부에 정착(anchor)시켜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가이드와이어(31)를 체강(100) 내에 안정시킨다.The long shaft 12 is formed by compressing the fastening portion 17 of the long shaft 12 inside the balloon 18 when the balloon 18 is inflated,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28,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long shaft 12. ) is converted to the fastening state shown in FIGS. 3b - 3c as the walls of the fastening portion 17 wrap around the guide wire 31 and press the guide wire 31 into the guide wire lumen 28 . For example, introducing fluid (air) into balloon 18 through inflation lumen 24 and balloon inflation port 16 , balloon 18 inflates and confines interior space 19 of balloon 18 . As shown in 3b and 3c, the walls of the fastening portion 17 of the long shaft 12 are pressed to the level of compression. Preferably, inflation of the balloon 18 not only couples the guidewire lumen 28 to the guidewire 31, but also the engagement of the walls of the balloon 18 with the inner lining of the body cavity 100 as well. By improving, the balloon 18 is anchored inside the body cavity to stabilize the fastened guide wire 31 in the body cavity 100 as shown in FIGS. 3A-3B .

도 4a 및 4b는 도 3a, 3b, 및 3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카테터(10')의 원격 영역을 도시한다. 카테터(10')는 풍선(18') 내부의 긴 축(12')의 체결부(17')에 체결 기구를 보조(facilitate)하도록 유연한 재질(flexible material; 44)을 포함한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도 1 - 2 및 3a - 3c에 도시된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와 유사한 구성으로 제조되므로, 유사한 부재들은 유사한 번호에 프라임(')을 붙여 표시한다. 유연한 재질(44)은 긴 축(12')을 따라 풍선(18') 내부에만(체결부(17')에만) 연장되거나 긴 축(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더 연장될 수 있다. 유연한 재질(44)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등의 편직 금속(braided metal) 같은 편직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편직 재질은 폴리머 등 다른 유체 불투과성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7')의 유연한 재질(44)은 예를 들어 풍선(18)의 팽창 및 가압이 작동되면 압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이드와이어 내강을 이송 부품(56')에 체결한다.4A and 4B show the remote area of a catheter 10'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3A, 3B, and 3C. The catheter 10' includes a flexible material 44 to facilitate the fastening mechanism to the fastening portion 17' of the elongated shaft 12' inside the balloon 18'. Since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10 ′ is manufactured in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10 shown in FIGS. 1 - 2 and 3a - 3c , similar members are indicated by attaching a prime (') to a similar number. The flexible material 44 may extend only within the balloon 18' (only the fastener 17') along the long axis 12' or further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long axis 12'. The flexible material 44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knitted material such as a braided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knitted material may be coated with another fluid impermeable material, such as a polymer. As shown, the flexible material 44 of the fastening portion 17' is configured to be compressed when, for example, inflation and pressurization of the balloon 18 is actuated, thereby fastening the guidewire lumen to the transfer component 56'.

도 4c - 도 4d의 대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 풍선 카테터(10")는 뒤틀림 방지 기구(kink resistant mechanism; 120)로 보강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의 RX 포트(30)와 풍선(18) 간의 부분은 다른 이송 기기(스텐트)가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전진함에 따라 팽창된 풍선(18)이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당겨질 때 긴 카테터 축(12)에 잠재적으로 급격한(sharp) 비틀림(twisting), 꺾임(buckling), 및/또는 굴곡(curving)이 발생되기 쉬운 부분이다.4C-4D, the inventive balloon catheter 10" may be reinforced with a kink resistant mechanism 120. The RX port 30 and balloon 18 of the inventive system ) of the liver, potentially sharp twisting, kinking (sharp) on the long catheter shaft 12 as the inflated balloon 18 is pulled along the guidewire as another delivery device (stent) is advanced on the guidewire. buckling), and/or a part prone to curving.

심혈관 시술 동안 긴 카테터 축(12)의 직선 상태로부터의 원치 않는 편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체적 구현예의 본 발명 시스템(10")은 뒤틀림 방지 기구(120)를 갖도록 구성된다. 뒤틀림 방지 기구(12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카테터 축(12)을 따라 RX 포트(30)와 풍선(18) 사이의 내부에 부착된 니티놀/강(Nitinol/Steel) 와이어형 부재(wire-like member)(또는 스탬핑된(stamped) 긴 부재)(122)이다. 이와는 달리, 뒤틀림 방지 기구(120)는 중앙 원형(또는 타원형) 형상 부분(128)을 통해 연결된(바람직하기로 이에 일체인) 긴 부분(126)들을 갖도록 구성된 니티놀/강의 긴 부재(124)로 구성될 수 있다. 긴 부재(124)는 긴 카테터 축(12)의 벽에 매립될(embedded) 수 있고, 또한 중앙 부분(128)이 RX 포트(30)의 외주에 정렬되어 RX 포트(30)에 고정된 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카테터 축(12)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부착될 수도 있다.To prevent unwanted deviation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12 from its straight state during cardiovascular procedures, an alternate embodiment of the inventive system 10" is configured with an anti-distortion mechanism 120. Anti-distortion mechanism 120 is an internally attached Nitinol/Steel wire-like member between the RX port 30 and the balloon 18 along the long catheter axis 12 (as shown in FIG. 4C ). ) (or stamped elongate member) 122. Alternatively, the anti-warpage mechanism 120 is an elongate portion connected (preferably integral thereto) via a central circular (or oval) shaped portion 128 . An elongated member 124 of nitinol/steel configured to have 126. The elongated member 124 may be embedded in the wall of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12, and also the central portion 128 It may be attached along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12 (as shown in FIG. 4D ) while being align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X port 30 and secured to the RX port 30 .

이와는 달리, 뒤틀림 방지 기구(120)는 RX 포트(30)와 풍선(18) 사이의 긴 카테터 축(12)의 벽에 매립되거나 긴 카테터 축(12)의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된 두 부재(122 및 124)(조합된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nti-distortion mechanism 120 may be embedded in the wall of the long catheter shaft 12 between the RX port 30 and the balloon 18 or fixed to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of the long catheter shaft 12 . It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two members 122 and 124 (combined embodiment).

매립되거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착되거나 또는 조합된 실시예의 어느 구성이건, 뒤틀림 방지 기구(120)는 긴 카테터 축(12)의 급격한 비틀림, 꺾임, 및 말림(curling)을 방지하여 심혈관 시술의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robust) 시스템이 제공된다.Whether embedded, internally or externally secured, or in any combination of embodiments, the anti-twist mechanism 120 prevents abrupt twisting, bending, and curling of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12, making it suitable for various scenarios of cardiovascular procedures. A robust system capable of responding is provided.

도 4c - 도 4d에 도시된 것은 도 4a -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지만, 뒤틀림 방지 기구(120)는 도 1 - 5i에 도시된 본 발명 시스템의 모든 대체적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While what is shown in Figures 4c - 4d applies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a - 4b, the anti-distortion mechanism 120 may be applied to all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system shown in Figures 1 - 5i. have.

본 발명 방법은 중재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의 수행에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 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예로서, 본 발명 방법이 도 1, 2 및 3a - 3c에 도시된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에(infra) 설명된다. 도 4a - 도 4b에 도시된 대체적 카테터(10') 역시 후술할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balloon catheter (10, 10') that can be tightened to perform an interventional procedure. However, by way of example onl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 infra ) for use with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shown in FIGS. 1 , 2 and 3A - 3C . The alternative catheter 10' shown in FIGS. 4A-4B may also be used in a similar manner as described below.

도 5a에서,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이 혈관 내부를 전진하여 목표 위치에 이송된다. 이 예에서, 이송 부품(56)(예를 들어 가이드와이어)이 투시 이미징 기법, 조영제, 및/또는 통상적인 중재 기법들에 의해 결정된 혈관(vessel; V) 내의 병변(L)의 위치에 위치된다.In Fig. 5A, the transfer part (guide wire) advances inside the blood vessel and is transferred to the target position. In this example, a transfer component 56 (eg a guidewire) is positioned at the location of the lesion L in the vessel V as determined by fluoroscopic imaging techniques, contrast agents, and/or conventional interventional techniques. .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10)가 가이드와이어(56)의 근접단(80)을 풍선 카테터(10)의 원격단(distal tip; 32)에 위치한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의 원격 개구(distal end; 82)에 삽입함으로써 풍선 카테터(10)가 이송 부품(56) 상에 장전(backload)된다. 카테터(10)는 원격 영역(16)이 카테터 축(12) 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과 투시 이미징을 사용하여 결정된 목표 위치(예를 들어 병변(L))에 위치할 때까지 환자의 맥관 구조(혈관; V)를 통해 전진한다. 환자의 혈관(V) 내에 위치했을 때, 풍선 카테터(10)의 원격 영역(16)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 것이다. 이송 시술 동안, 카테터(10)의 풍선(18)은 폐쇄 상태로 감싸이거나 접혀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 the balloon catheter 10 connects the proximal end 80 of the guidewire 56 to the remote end of the guidewire lumen 28 located at the distal tip 32 of the balloon catheter 10 . The balloon catheter 10 is backloaded onto the transfer component 56 by insertion into the distal end 82 . The catheter 10 is positioned on the patient's vasculature until the remote area 16 is positioned at a target location (e.g., lesion L) determined using fluoroscopy imaging with radiopaque markers on catheter axis 12. advancing through blood vessels; V). When positioned within the patient's blood vessel V, the remote region 16 of the balloon catheter 10 will appear as shown in FIG. 5B . During the transfer procedure, the balloon 18 of the catheter 10 may be wrapped or folded in a closed state.

이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피복(52) 등의) 이송 피복이 풍선 카테터(10)의 원격 영역(16) 상에 위치하여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의 부드러운 외면을 이룰 수 있다. 혈관(V) 내의 원하는 위치(L)에 도달하고 나면 피복(52)이 근접측으로 후퇴하여 원격 영역(16)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56)는 풍선(18) 내부의 가이드와이어 내강(28) 내에 위치하다가 가이드와이어 RX 포트(30)에서 카테터(10)를 빠져 나온다.Alternatively, a transfer sheath (such as sheath 52 shown in FIG. 2 ) may be positioned on the remote area 16 of the balloon catheter 10 to achieve a smooth outer surface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 After reaching the desired position L in the vessel V, the sheath 52 may be withdrawn proximally to expose the remote area 16 . As shown, guidewire 56 is positioned within guidewire lumen 28 inside balloon 18 and exits catheter 10 at guidewire RX port 30 .

이제 도 5c 및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팽창 시스템(25)이 팽창 포트(22)에 접속되어, 예를 들어 식염수(saline) 또는 식염수 희석 요드계 조영제 등의 팽창 매질(inflation medium; 27)이 팽창 내강(24)을 통해 풍선(18)에 이송되어 풍선의 확장을 일으킨다. 팽창 상태에서, 풍선(18)의 벽이 병변(L)과 혈관(V)의 내막(intima)에 접촉하여 혈관(V)을 확장시키고 병변(L)을 파괴(disrupt)한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18)이 수축된다.Referring now to FIGS. 5C and 1 , a conventional inflation system 25 is connected to the inflation port 22 to provide an inflation medium 27 such as, for example, saline or saline dilute iodine-based contrast agent. This inflation lumen 24 is transported to the balloon 18 to cause inflation of the balloon. In the inflated state, the wall of the balloon 18 contacts the lesion L and the intima of the blood vessel V to dilate the blood vessel V and disrupt the lesion L. The balloon 18 is then deflated as shown in FIG. 5D .

도 5e에서, 수축 상태에 있는 풍선(18)이 가이드와이어(56)의 원격단(86)을 따라 체강(V) 내부의 목표 부위(L) 근처지만 이를 지난 위치로 전진한다. 예를 들어,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 및 이송 부품(56)은 혈관(V) 내부에서 원격측으로(distally) 이동하여 RX 포트(30)가 목표 부위(L)에 원격측에(distal to) 위치하고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56)의 근접단(80)이 카테터(10) 외부에 위치하여 체강(V) 내부의 목표 부위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In FIG. 5E , the balloon 18 in the deflated state is advanced along the distal end 86 of the guidewire 56 to a position near but past the target site L inside the body cavity V. For example,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and transfer part 56 move distally inside the vessel V so that the RX port 30 is distal to the target site L. and the proximal end 80 of the transfer component (guidewire) 56 may be located outside the catheter 10 and extend through the target site inside the body cavity V.

이어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내강(24) 및 풍선 팽창 포트(26)를 통해 풍선(18)에 유체(27)를 도입함으로써 풍선 카테터(10)가 이송 부품(56)에 체결된다. 고압 하의 유체(27)를 도입하면 풍선(18)이 팽창되고 풍선(18)의 내부 공간(29)이 긴 카테터 축(12)을 압착하여 가이드와이어 내강(28)이 거기에 수납된 이송 부품(56)에 밀착하도록 강제할 수준까지 가압함으로써 이송 부품(56) 둘레를 압착하여 이송 부품(56)을 긴 축(12)에 체결한다. 또한, 풍선(18)의 팽창은 혈관(V) 내막과의 밀착과 함께 또는 밀착 없이 풍선(18)을 혈관의 내부에 정착시켜 체결된 이송 부품(56)을 혈관(V) 내부에 안정시키게 한다.The balloon catheter 10 is then fastened to the transfer component 56 by introducing fluid 27 into the balloon 18 through the inflation lumen 24 and balloon inflation port 26 as shown in FIG. 5F . The introduction of the fluid 27 under high pressure causes the balloon 18 to inflate and the inner space 29 of the balloon 18 compresses the long catheter shaft 12 so that the guidewire lumen 28 i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part ( The transfer component 56 is fastened to the elongate shaft 12 by compressing it around the transfer component 56 by pressing it to a level that will force it to adhere to the long shaft. In addition, the inflation of the balloon 18 anchors the balloon 18 to the inside of the blood vessel with or without close contact with the lining of the blood vessel V, thereby stabilizing the fastened transfer part 56 inside the blood vessel V .

도 5g에 표현된 바와 같이, 풍선 카테터(10)가 이송 부품(56)에 체결되고 이송 부품(56)이 (풍선(18) 벽(84)과 혈관(V) 내막의 접촉과 함께 또는 없이) 체강 내부의 제자리에 정착되면,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가 이송 부품(56)을 따라 이송되어 치료 기기(70)를 목표 부위(L)에 정렬시킨다. 이송 동안,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의 풍선(68)은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피복(54) 등의) 이송 피복이 카테터(60)의 원격 영역(66) 위에 위치하여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의 부드러운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혈관(V) 내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나면 피복(54)이 근접측으로 후퇴하여 원격 영역(66)을 노출시킨다. 체강 내(V)에서, 양자가 동일한 이송 부품(56)을 사용하지만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와 분리를 유지한다.As represented in FIG. 5G , balloon catheter 10 is fastened to delivery component 56 and delivery component 56 (with or without contact of balloon 18 wall 84 with vessel V intima) Once secured in place within the body cavity, the treatment device transfer catheter 60 is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component 56 to align the treatment instrument 70 with the target site L. During transfer, the balloon 68 of the treatment device transfer catheter 60 may be in a collapsed state. Alternatively, a transfer sheath (such as sheath 54 shown in FIG. 2 ) may be positioned over remote area 66 of catheter 60 to form a smooth outer surface of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 After reaching the desired location in vessel V, sheath 54 is withdrawn proximal to expose remote area 66. In the body cavity (V), both use the same delivery component (56), but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remains separate from the treatment instrument delivery catheter (60).

이어서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가 이송 부품(56)으로부터 해제된다. 예를 들어, 풍선(18)을 수축시키면 긴 축(12)이 압축 해제(decompression)되어 체결부(17)에서의 가이드와이어 내강(29)의 직경이 확장되어 그 내부에서의 가이드와이어(56)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한다.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is then released from the transfer component 56 , as shown in FIG. 5H . For example, when the balloon 18 is deflated, the long axis 12 is decompressed to exp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wire lumen 29 in the fastening portion 17, and the guide wire 56 therein. allow sliding movement of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이송 부품(가이드와이어)(56)이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에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가 제자리에 유지되는 동안, 이송 부품(56)의 원격단(86)이 RX 포트(30)를 빠져나올 때까지 이송 부품(56)이 근접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송 부품(56)이 제자리에 유지되는 동안, 이송 부품(56)의 원격단(86)이 RX 포트(30)를 빠져나올 때까지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가 원격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I , the transfer part (guidewire) 56 is then disconnected from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 For example, while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is held in place, the transfer part 56 may be pulled proximally until the distal end 86 of the transfer part 56 exits the RX port 30 . have. Alternatively,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may move distally while the transfer component 56 remains in place until the distal end 86 of the transfer component 56 exits the RX port 30 . .

이어서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가 혈관(V) 내부의 목표 부위(L)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가 목표 부위(L)를 지나 근접측으로 이동한다.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10)는 환자의 혈관(V)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거나 치료 기기 배치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근접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풍선 카테터가 다른 혈관 또는 혈관(V)의 지관(branch)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Then, as shown in Figure 5j, while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s positioned at the target site (L) inside the blood vessel (V), the fastening balloon catheter 10 passes the target site (L) to the proximal side. Move.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10 may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patient's blood vessel (V) or moved to an appropriate proximity to allow for treatment device placement. Alternatively, the balloon catheter may move to another vessel or branch of the vessel (V).

이어서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기기(스텐트)(70)가 목표 부위(L)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풍선이 팽창되어 확장됨으로써 치료 기기(70)가 팽창되어 혈관(V)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5K , a treatment device (stent) 70 is placed on the target site L. For example, the balloon is inflated and expanded so that the treatment device 70 is inflated to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V).

이어서 도 5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기기(스텐트)(70)가 이식(implantation)으로 설계된 경우 치료 기기(7)를 목표 위치(L)에 매립된 채 남기고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60)가 제거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L , when the treatment device (stent) 70 is designed for implantation, the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60 is removed, leaving the treatment device 7 embedded in the target position L. do.

이상에서 본 발명이 그 특정한 형태와 실시예들에 연계하여 기술되었으나, 첨부된 청구항들에 규정된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전술한 것과 다른 여러 가지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두 첨부된 청구항들에 규정된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도시 및 설명한 것들을 대체할 수 있고, 어떤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특정한 요소들의 위치, 단계, 또는 공정들이 반전 또는 중첩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forms and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functionally equivalent elem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specifically shown and described, some features may be used independently of other feature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n some cases, the positions, steps, or processes of certain elements may be reversed or overlapped.

Claims (21)

스텐트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환자의 혈관 내부의 병변 부위로 신뢰성 높게 전진시키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이: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과,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의 상기 근접 및 원격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신속 교체(RX) 포트를 갖는 상기 긴 카테터 축과,
상기 긴 카테터 축 내부의 상기 근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격 영역까 지의 사이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내부에 상기 원격 영역을 향해 그리고 이를 따라 상기 RX 포트로부터 원격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와;
근접단과 원격단을 가지면서, 상기 긴 카테터 측의 상기 원격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근접단은 상기 RX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풍선과; 및
상기 풍선과 상기 긴 카테터 축 사이에 작동상 결합되는 체결 기구로,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긴 카테터 축을,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이 그 안에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와, 상기 풍선의 팽창에 따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이 상기 풍선 내부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의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폐쇄 상태 간에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for reliably advancing a stent along a guidewire to a lesion site inside a patient's blood vessel, the system comprising:
an elongate catheter shaft having a proximal region, a remote region, and a quick change (RX) port formed between the proximal and remote regions of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n inflation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region and the remote region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 guidewire lumen extending distally from the RX port toward and along the remote area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t least on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comprising;
Having a proximal end and a remote end, the balloon being fixed to the remote area on the long catheter side, the proximal e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X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astening mechanism operatively coupled between the balloon and the elongate catheter shaft, wherein the fastening mechanism engages the elongate catheter axis in an unlocked state wherein a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permits sliding of the guidewire therein; The walls of the long catheter shaft are compres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thereby contac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wire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guidewire in the guidewire lumen in a closed state the fastening mechanism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provided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내강이 상기 풍선 내부의 상기 근접단 부근에 위치한 풍선 팽창 포트를 구비하여 여기서 종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풍선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상기 벽들과 상기 팽창 내강과 및 상기 긴 카테터 축의 상기 근접단에서 상기 팽창 내강에 작동상 접속되는 풍선 팽창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풍선 팽창 시스템이 상기 팽창 내강과 거기에 형성된 상기 풍선 팽창 포트를 통해 상기 풍선을 팽창 및 수축시키도록 제어되고, 상기 풍선이 팽창되어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상기 체결 상태로 전환시키고, 및 상기 풍선이 수축되어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상기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ation lumen is configured to terminate therein with a balloon inflation port located proximate the proximal end of the interior of the balloon, wherein the fastening mechanism comprises the balloon,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the inflation lumen and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 balloon inflation system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inflation lumen at the proximal end, wherein the balloon inflation system is controlled to inflate and deflate the balloon through the inflation lumen and the balloon inflation port formed therein; The inflated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converts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to the engaged state, and the balloon deflates to convert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to the unlocked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풍선이 팽창 상태를 취하고, 상기 팽창 상태에서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풍선의 상기 근접단과 상기 원격단 사이의 상기 풍선의 벽들과 상기 혈관의 내벽 간의 접촉으로 더 보강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engaged state of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the balloon assumes an inflated state, and in the inflated state the fastening mechanism is further brought into contact between the walls of the balloon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balloon and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Reinforced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카테터 축이 상기 풍선의 근접 및 원격단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한 재질을 구비하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압착을 촉진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has a flexible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balloon to facilitate compression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s of the elongated catheter shaf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재질이 편직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편직 재질이 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편직 재질이 폴리머로 코팅되어, 상기 풍선의 근접단 및 원격단 사이의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부분이 유체 불투과성인 혈관내 이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lexible material comprises a knitted material, the knitted material comprises a metal, and the knitted material is coated with a polymer such that the portion of the long catheter axis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balloon is fluid impermeable. trans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카테터 축에 부착되어 상기 RX 포트와 상기 풍선의 상기 근접단 사이에 이를 따라 연장되는 뒤틀림 방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뒤틀림 방지 기구가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 외부의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에 매립되거나 그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되는 긴 보강 구조로 구성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nti-distortion mechanism attached to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nd extending along it between the RX port and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wherein the anti-distortion mechanism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external to the guidewire lumen or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elongated reinforcing structure secured within or out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카테터 축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을 더 구비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radiopaque markers positioned along the elongate catheter axis.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 중의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가 상기 RX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radiopaque marker of a plurality of radiopaque markers is positioned adjacent the RX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 포트와 상기 풍선의 근접단 간의 거리가 1 mm 내지 30 mm의 범위인 혈관내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X port and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in the range of 1 mm to 30 mm.
치료기기를 이송 부품을 따라 환자의 체강 내부의 목표 부위로 신뢰성 높게 전진시키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이: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과,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의 상기 근접 및 원격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신속 교체(RX) 포트를 갖는 상기 긴 카테터 축과,
상기 긴 카테터 축 내부의 상기 근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격 영역까지의 사이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내부에 상기 원격 영역을 향해 그리고 이를 따라 상기 RX 포트로부터 원격측으로 연장되는 이송 부품 내강을
포함하는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와;
근접단과 원격단을 가져 상기 긴 카테터 측의 상기 원격 영역에 고정되는 풍선으로, 상기 풍선의 상기 근접단이 상기 RX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풍선과;
상기 풍선과 상기 긴 카테터 축 사이에 작동상 결합되는 체결 기구로,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긴 카테터 축을, 상기 이송 부품 내강의 직경이 그 안에서 상기 이송 부품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와, 상기 풍선의 팽창에 따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이 상기 풍선 내부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이송 부품 내강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부품 둘레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의 상기 이송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폐쇄 상태 간에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체결 기구와; 및
치료 기기를 그 원격단에 반송하며 상기 이송 부품에 작동상 결합되어 상기 이송 부품을 따라 체강 내부의 목표 위치로 이동하는 치료 기기 이송 카테터를 구비하여;
상기 풍선이 팽창되어 상기 체강 내부에 정착된 상태로, 상기 치료 기기가 상기 이송 부품을 따라 상기 RX 포트 부근의 상기 체강 내부의 목표 부위로 전진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for reliably advancing a therapeutic device along a delivery component to a target site within a body cavity of a patient, the system comprising:
an elongate catheter shaft having a proximal region, a remote region, and a quick change (RX) port formed between the proximal and remote regions of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n inflation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region and the remote region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axis;
a transfer part lumen extending distally from the RX port toward and along the remote area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comprising;
A balloon having a proximal end and a remote end and fixed to the remote region on the long catheter side,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spaced apart from the RX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astening mechanism operatively coupled between the balloon and the elongate catheter shaft, wherein the fastening mechanism engages the elongate catheter axis in an unlocked state wherein a diameter of the transfer part lumen permits sliding of the transfer part therein;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re compres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conveying part lumen by contacting around the conveying part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conveying part within the guidewire lumen as the walls of the long catheter shaft are in a closed state the fastening mechanism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nd
a treatment device delivery catheter for conveying a treatment device to its remote end and operatively coupled to the delivery part to move along the delivery part to a target position within the body cavity;
With the balloon inflated and anchored within the body cavity, the treatment device is advanced along the conveying component to a target site within the body cavity near the RX 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품은 가이드와이어인 혈관내 이송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nsfer component is a guidewi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기기는 스텐트인 혈관내 이송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eatment device is a st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 카테터 축이 상기 풍선 내부에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카테터 축의 벽들의 압착을 촉진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ng catheter shaf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side the balloon to facilitate compression of the walls of the catheter shaf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재질이 편직 재질을 포함하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wherein the flexible material comprises a knitted material.
치료 기기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환자의 혈관 내부의 병변 부위로 신뢰성 높게 전진시키는 혈관내 이송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이: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과,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의 상기 근접 및 원격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신속 교체(RX) 포트를 갖는 상기 긴 카테터 축과,
상기 긴 카테터 축 내부의 상기 근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격 영역까지의 사이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내부에 상기 원격 영역을 향해 그리고 이를 따라 상기 RX 포트로부터 원격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을
포함하는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와;
근접단과 원격단을 가져 상기 긴 카테터 측의 상기 원격 영역에 고정되는 풍선으로, 상기 풍선의 상기 근접단이 상기 RX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풍선과; 및
상기 풍선과 상기 긴 카테터 축 사이에 작동상 결합되는 체결 기구로,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긴 카테터 축을,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이 그 안에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와, 상기 풍선의 팽창에 따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이 상기 풍선 내부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의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폐쇄 상태 간에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체결 기구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상기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상기 혈관 내부의 상기 병변 부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상기 풍선을 팽창시켜 상기 혈관을 확장시키고 상기 병변을 파괴하는 단계와;
상기 풍선을 수축시키고 상기 풍선을 상기 혈관 내부의 상기 병변 부위 근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풍선을 재팽창시켜 상기 풍선 카테터를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체결하는 단계와; 및
제2 카테터를 상기 가이드와이어 상에서 상기 병변 부위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A method for reliably advancing a treatment device along a guide wire to a lesion site inside a patient's blood vessel, the method comprising:
an elongate catheter shaft having a proximal region, a remote region, and a quick change (RX) port formed between the proximal and remote regions of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n inflation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region and the remote region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axis;
A guidewire lumen extending distally from the RX port toward and along the remote area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comprising;
A balloon having a proximal end and a remote end and fixed to the remote region on the long catheter side,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spaced apart from the RX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astening mechanism operatively coupled between the balloon and the elongate catheter shaft, wherein the fastening mechanism engages the elongate catheter axis in an unlocked state wherein a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permits sliding of the guidewire therein; The walls of the long catheter shaft are compres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thereby contac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wire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guidewire in the guidewire lumen in a closed state the fastening mechanism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constructing;
transferring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site inside the blood vessel on the guide wire;
expanding the blood vessel and destroying the lesion by inflating the balloon of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deflating the balloon and moving the balloon near the lesion site inside the blood vessel;
fastening th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 wire by re-inflating the balloon; and
transferring the second catheter to the lesion site on the guide wire
A method for intravascular transport of a therapeutic device provided with.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터는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상기 스텐트를 상기 혈관 내부의 상기 병변 부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catheter comprises a stent, the method comprising:
transferring the stent to the lesion site inside the blood vessel
Intravascular delivery method of the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를 이송하기 전에,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를 상기 혈관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prior to transferring the stent, removing the engageable balloon catheter from the vessel
Intravascular delivery method of the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카테터가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체결을 유지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 내부의 상기 혈관 내부에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정착 및 안정시킨 동안 상기 제2 카테터가 이송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ile the balloon catheter maintains the fastening to the guide wire and the guide wire is fixed and stabilized in the blood vessel inside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he second catheter is transferred intravascular transport method of the treatment device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의 상기 가이드와이드에의 체결 단계가 상기 풍선의 팽창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astening step of the fastenable balloon catheter to the guidewide intravascular delivery method of the treatment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expanding the ballo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의 팽창이 상기 풍선 내부의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상기 벽들이 상기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압착되도록 유발하는 치료 기기의 혈관내 이송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inflation of the balloon causes the walls of the guidewire lumen inside the balloon to be compressed around the guidewire.
스텐트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환자의 신체 내의 내부 통로 내부의 병변 부위로 신뢰성 높게 전진시키는 혈관내 이송 시스템으로, 상기 내부 통로가 혈관, 담관, 및 요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이:
근접 영역과, 원격 영역과,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의 상기 근접 및 원격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신속 교체(RX) 포트를 갖는 상기 긴 카테터 축과,
상기 긴 카테터 축 내부의 상기 근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격 영역까지의 사이에 연장되는 팽창 내강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내부에 상기 원격 영역을 향해 그리고 이를 따라 상기 RX 포트로부터 원격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내강을
포함하는 체결 가능한 풍선 카테터와;
근접단과 원격단을 가져 상기 긴 카테터 측의 상기 원격 영역에 고정되는 풍선으로, 상기 풍선의 상기 근접단이 상기 RX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풍선과; 및
상기 풍선과 상기 긴 카테터 축 사이에 작동상 결합되는 체결 기구로, 상기 체결 기구가 상기 긴 카테터 축을,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이 그 안에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와, 상기 풍선의 팽창에 따라 상기 긴 카테터 축의 벽들이 상기 풍선 내부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와이어 둘레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와이어 내강 내의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폐쇄 상태 간에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이송 시스템.
An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for reliably advancing a stent along a guidewire to a lesion site within an internal passageway within a patient's body, the internal passageway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blood vessel, a bile duct, and a ureter, the system comprising:
an elongate catheter shaft having a proximal region, a remote region, and a quick change (RX) port formed between the proximal and remote regions of the walls of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n inflation lumen extending between the proximal region and the remote region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axis;
A guidewire lumen extending distally from the RX port toward and along the remote area within the elongate catheter shaft.
A fastenable balloon catheter comprising;
A balloon having a proximal end and a remote end and fixed to the remote region on the long catheter side,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balloon is spaced apart from the RX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astening mechanism operatively coupled between the balloon and the elongate catheter shaft, wherein the fastening mechanism engages the elongate catheter axis in an unlocked state wherein a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permits sliding of the guidewire therein; The walls of the long catheter shaft are compres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guidewire lumen, thereby contac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wire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guidewire in the guidewire lumen in a closed state the fastening mechanism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Conveying system provided.
KR1020217015326A 2018-10-31 2019-09-25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transfer of medical devices to a patient's body KR1025885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76,481 2018-10-31
US16/176,481 US10980653B2 (en) 2018-10-31 2018-10-3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delivery of medical devices into patient bodies
PCT/US2019/052955 WO2020091914A1 (en) 2018-10-31 2019-09-2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r delivery of medical devices into patient bod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518A true KR20210084518A (en) 2021-07-07
KR102588511B1 KR102588511B1 (en) 2023-10-11

Family

ID=7032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326A KR102588511B1 (en) 2018-10-31 2019-09-25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transfer of medical devices to a patient's body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980653B2 (en)
EP (1) EP3873579A4 (en)
JP (1) JP7425078B2 (en)
KR (1) KR102588511B1 (en)
CN (1) CN113301941B (en)
AU (1) AU2019370133B2 (en)
CA (1) CA3117951C (en)
MX (1) MX2021005063A (en)
WO (1) WO20200919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5941B (en) * 2020-07-28 2023-12-05 复旦大学 Minimally invasive vascular interventional surgery robot catheter guide wire cooperative execution device
KR102546468B1 (en) * 2021-02-08 2023-06-22 (주)시지바이오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al member insertion
CN115887907B (en) * 2023-02-14 2024-03-12 安徽通灵仿生科技有限公司 Catheter pump assembl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234A1 (en) * 2001-08-03 2003-02-06 Miller Paul J. Method for stabilizing balloon during dilation
US6685721B1 (en) * 1991-06-11 2004-02-0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system with catheter and guidewire exchange
WO2016194550A1 (en) * 2015-06-01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Medical overtube
CN107278160A (en) * 2015-05-26 2017-10-20 血管解决方案公司 Seal wire ligamentopexis
US20180036158A1 (en) * 2016-08-02 2018-02-08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device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medical device system
JP2018161415A (en) * 2017-03-27 2018-10-18 テルモ株式会社 Medical lo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882A (en) 1987-03-13 1989-01-31 Cook Incorporated Endovascular stent and delivery system
US5141494A (en) 1990-02-15 1992-08-25 Danforth Biomedical, Inc. Variable wire diameter angioplasty dilatation balloon catheter
US5217482A (en) * 1990-08-28 1993-06-08 Scimed Life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US5135536A (en) 1991-02-05 1992-08-04 Cordis Corporation Endovascular stent and method
US5688237A (en) * 1995-05-04 1997-11-18 Cedars-Sinai Medical Center Implantable catheter and method of use
JPH11299896A (en) * 1998-04-16 1999-11-02 Emiko Yunoki Catheter
US6224627B1 (en) * 1998-06-15 2001-05-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Remotely removable covering and support
US6196230B1 (en) * 1998-09-10 2001-03-06 Percardia, Inc.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6379365B1 (en) * 1999-03-29 2002-04-30 Alexis Diaz Stent delivery catheter system having grooved shaft
US6231543B1 (en) * 1999-04-15 2001-05-15 Intella Interventional Systems, Inc. Single lumen balloon catheter
US7901378B2 (en) * 2006-05-11 2011-03-08 Y-Me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vessel using focused force
US8021330B2 (en) * 2008-11-14 2011-09-20 Medtronic Vascular, Inc. Balloon catheter for crossing a chronic total occlusion
US8821478B2 (en) * 2011-03-04 2014-09-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with variable stiffness
US10004459B2 (en) 2012-08-31 2018-06-26 Acutus Medical, Inc.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medical uses of same, including diagnostic and treatment uses for the hear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721B1 (en) * 1991-06-11 2004-02-0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system with catheter and guidewire exchange
US20030028234A1 (en) * 2001-08-03 2003-02-06 Miller Paul J. Method for stabilizing balloon during dilation
JP2004537378A (en) * 2001-08-03 2004-12-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Method for stabilizing a balloon during inflation
CN107278160A (en) * 2015-05-26 2017-10-20 血管解决方案公司 Seal wire ligamentopexis
WO2016194550A1 (en) * 2015-06-01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Medical overtube
US20180036158A1 (en) * 2016-08-02 2018-02-08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device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medical device system
JP2018161415A (en) * 2017-03-27 2018-10-18 テルモ株式会社 Medical lo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1005063A (en) 2021-08-11
AU2019370133A1 (en) 2021-05-27
CA3117951C (en) 2023-10-03
AU2019370133B2 (en) 2022-11-17
JP7425078B2 (en) 2024-01-30
US20210186726A1 (en) 2021-06-24
US11684500B2 (en) 2023-06-27
CN113301941A (en) 2021-08-24
US10980653B2 (en) 2021-04-20
US20200129317A1 (en) 2020-04-30
EP3873579A4 (en) 2022-08-10
CA3117951A1 (en) 2020-05-07
EP3873579A1 (en) 2021-09-08
CN113301941B (en) 2022-10-11
JP2022509487A (en) 2022-01-20
KR102588511B1 (en) 2023-10-11
WO2020091914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556B2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US11684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delivery of medical devices into patient bodies
US6884257B1 (en) Stent delivery system with adjustable length balloon
US6113607A (en) Method of delivering a stent
JP2023515276A (en)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20210038869A1 (en) Cutting balloon and balloon catheter
US11510797B2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EP386052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caffolding
US20200146858A1 (en) Dual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US20040153136A1 (en) Dual guidewire exchange catheter system
US20100174352A1 (en) Catheter system for angioplasty and stenting with embolic protection
US20210228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delivery of medical devices into patient bodies
US20220001150A1 (en) Perfusion balloon with an expandable internal lumen
WO2021151939A1 (en) Bifurcated balloon expandable ste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