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891A -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891A
KR20210077891A KR1020190169373A KR20190169373A KR20210077891A KR 20210077891 A KR20210077891 A KR 20210077891A KR 1020190169373 A KR1020190169373 A KR 1020190169373A KR 20190169373 A KR20190169373 A KR 20190169373A KR 20210077891 A KR20210077891 A KR 2021007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facility
processing equipment
data inform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주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텍 filed Critical (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9016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891A/en
Publication of KR2021007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8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to maximiz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processing facilities by receiving operation and non-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processing facility in real time through an interface to take suitable measures when abnormalities occur in the process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with a sensor module to process a product; a database measuring and collecting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facilities to transfer the data information through an interface unit to store the data information; and a terminal device displaying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facilities stored in the database on a display window to allow a user to monitor the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processing facilities can be maximized by receiving data information of each processing facility in real time to take suitable measures when abnormalities occur in the processing facilities.

Description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본 발명은 설비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 가공설비의 가동 및 비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가공설비에 이상 발생시 그에 맞는 대처를 수행함으로써 가공설비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quipment in re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by receiving information on operation and non-operation of each processing equipment in real time through an interface unit and performing appropriate measure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ing equipment, It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maximizing operational efficiency.

일반적으로 정밀금속가공은 수많은 가공 설비에 의해서 품질이 결정되고 생산성이 확보된다.In general, in precision metal processing, quality is determined by numerous processing facilities and productivity is secured.

이러한 가공 설비는 공장 및 생산 현장의 근간(根幹)이 되는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These processing equipment are the most important assets that form the basis of factories and production sites.

공장 및 생산현장에서는 가공을 위한 가공설비로 정밀한 공정을 수행하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장비를 사용한다.In factories and production sites,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processing equipment that performs precise processes is used as processing equipment for processing.

CNC 가공장비는 컴퓨터 수치 제어를 말하며, 기계 공작에서 공구의 이동량 혹은 속도 등을 컴퓨터에 의해 수치로 제어하는 장비이다.CNC machining equipment refers to computer numerical control, and it is equipment that numerically controls the movement amount or speed of a tool in machine work.

다시 말해서, 기계의 제어 장치나 레버 등을 사람이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과 반대로, 컴퓨터 저장 매체에 부호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기계를 조작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program encoded in the computer storage medium, as opposed to the manual control of the machine's control device or lever.

CNC 가공장비는 절삭 가공에 의한 공업 제품의 개발이나 정밀도와 속도가 요구되는 가공 단계에 사용되어 동일한 가공 단계의 반복이나 정밀 가공을 전문적으로 처리 가능하다.CNC machining equipment i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s by cutting or the machining steps that require precision and speed, so that the same machining steps can be repeated or precision machining can be professionally processed.

이와 같이 CNC 가공장비는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정밀도가 높은 가공 처리를 할 수 있다.In this way, CNC machining equipment can perform high-precision machining by adjusting the program built into the computer.

그러나, 간혹 해당 설비의 고장 및 장애로 인해 오동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생산 일정 및 제조원가 등 전반적인 분야에 심각한 손실을 가져오기도 한다.However, sometimes malfunctions occur due to failures and failures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which leads to serious losses in the overall field such as production schedules and manufacturing costs.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장비 가동율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설비가 고장날 때 수리 및 소모품 교체 기간 동안 장비를 활용할 수 없어 이에 따라 생산라인 정지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When such a problem occurs, the equipment operation rate can be reduced, and when the equipment breaks down, the equipment cannot be used during repair and replacement of consumables, resulting in production line stoppage.

뿐만 아니라, 인건비 및 생산일정 차질에 따른 손실이 매우 크게 일어날 수 있다.In addition, losses due to labor costs and production schedule disruptions can occur very significantly.

이와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일부 공장 및 생산 현장에는 최소의 인력으로 현재 설비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various researches and systems are being developed in some factories and production sites to monitor the current facility status with a minimum of manpower.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4-0102372호와 같이 시설물 감지장치에 의해 각종 감지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있다.For example,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4-0102372,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ensed by a facility detection device are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그러나, 상기 특허(한국 공개특허 제 10-2004-0102372호)는 단순히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것이므로,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가공설비가 가동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4-0102372) simply monitors the state of the equipme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window, an immediate action to check the communication stat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equipment is in an operable state The downside is that there is no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4-010237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237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 가공설비의 가동 및 비가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가공설비에 이상 발생시 그에 맞는 대처를 수행함으로써 가공설비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receiving information on operation and non-operation of each processing equipment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performing appropriate measure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ing equipment. It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maximiz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a facility.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가공설비의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통신이 불가능한 가공설비의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할 수 있는 대응방안이 마련되어 효율적인 운영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ermeasure that can take immediate action in the case of a processing facility that cannot communicate depending on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processing facility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and perform efficient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알람 시스템을 구축하여 설비의 이상 발생시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알람으로 통보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ablish an alarm system so tha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facility, an alarm is notified through a monitoring screen so that a user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real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다수의 가공설비(10)와;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여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전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단말기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module, and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10 for processing products; a database 30 for measuring and collecting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and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 and a terminal device (40) for displaying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tored in the database (30) on a display window so that a user can monitor it.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프레임워크에 의해 모델링된 데이터 수집 공간에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ace unit 20 secures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n the data collection space modeled by the framework and transmits it to the database 30 .

상기 가공설비(10)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부호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가공품을 가공하는 다수의 가공장비(12)와, 사무실 및 공장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다수의 보조장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ing equipment 10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quipment 12 for processing a workpie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a program encoded in a computer storage medium,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equipment 14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offices and factori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보조장비(14)는,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보일러와; 공기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와; 냉매가스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equipment 14 includes at least one boiler for measuring data including pressure, condensate tank temperature, and exhaust gas temperature; one or more compressors for compressing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refrigerators for generating refrigerant gas.

상기 단말기기(40)는, 상기 가공설비(10) 각각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해당 가공설비(10)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1단말기기와; 상기 제1단말기기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공설비(10) 전체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2단말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device 4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terminal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ing facilities 10 and capable of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device that can check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through a network by identify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본 발명에 의한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생산 현장에 주로 사용되는 설비 및 장비의 운영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를 분석 및 파악함으로써 운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operational efficiency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mainly used in production sites in real time to analyze and understand data.

본 발명은 가공설비뿐만 아니라 보일러, 냉동기 등과 같은 보조장비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보조장비의 제어판에서 온도 및 압력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최적의 운전 조건에서 관리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under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by collecting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the control panel of auxiliary equipment for stable operation of auxiliary equipment such as boilers and refrigerators as well as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가공설비의 가동 및 비가동 장치에 따른 대처방안이 수립되어 비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owntime by establishing a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non-operation apparatu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부가 가공설비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 공간을 모델링함으로써 다양한 가공설비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terface unit can easily collect the data of various processing equipment by modeling the data collection space through the framework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알람 시스템이 구축되어 설비에 고장 및 장애, 소모품 교체 필요 등에 대해 바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alarm system is built, so that failures and failures in equipment, the need for replacement of consumables, etc.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은 진동 센서,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가 구비되어 장비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함으로써 생산제품의 품질관리와 설비의 유지보수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quality control of the product and the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can be made more easily by providing sensors such as a vibration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to collect equipment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가공설비의 데이터 정보를 가공설비별, 장소별, 사업부별 등으로 구역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여 보전이 필요한 가공설비를 수월히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information of processing equipment stored in the database can be established to enable monitoring by region by processing equipment, by place, by business unit, etc., so that processing equipment requiring maintenance can be easily identified.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보전 작업이력 및 설비이력을 저장하여 추후 유지보수시 통합적인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storing the maintenance work history and facility history in the datab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is easy in the case of future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가능한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절차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 불가능한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절차를 나타낸 블럭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reception procedure of the communication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reception procedure of the non-communicabl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quipment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이 구비되는 다수의 가공설비(10)와, 상기 가공설비(10)의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하는 단말기기(40) 등을 포함한다.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10 provided with one or more sensor modules, and data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 and a database 30 for storing , and a terminal device 40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30 on a display window.

상기 가공설비(10)는 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컴퓨터 저장 매체에 부호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가공하는 가공장비(12)와 사무실 및 공장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보조장비(14) 등으로 구성된다.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a device for processing a product, and includes processing equipment 12 for processing according to instructions of a program encoded in a computer storage medium and auxiliary equipment 14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offices and factories. is composed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가공장비(12)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장비로,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조정함으로써 가공품을 가공하기 위한 수치 제어기계이다.The processing equipment 12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processing equipment, and is a numerical control system for processing a workpiece by adjusting a program built in a computer.

다시 말해서, 기계의 제어 장치나 레버 등을 사람이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과 반대로, 컴퓨터 저장 매체에 부호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기계를 조작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program encoded in the computer storage medium, as opposed to the manual control of the machine's control device or lever.

CNC 가공장비는 절삭 가공에 의한 공업 제품의 개발이나 정밀도와 속도가 요구되는 가공 단계에 사용되어 동일한 가공 단계의 반복이나 정밀 가공을 전문적으로 처리 가능하다.CNC machining equipment i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s by cutting or the machining steps that require precision and speed, so that the same machining steps can be repeated or precision machining can be professionally processed.

상기 보조장비(14)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가공장비(12)가 제품을 가공하는데 적절한 환경에서 설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비이다.The auxiliary equipment 14 is equipment that assists the processing equipment 12 described above to perform equipment in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rocessing products.

상기 보조장비(14)는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 등을 측정하는 보일러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스를 생성하는 냉동기 등이 포함된다.The auxiliary equipment 14 includes a boiler for measuring pressure, condensate tank temperature, exhaust gas temperature, etc.,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ir, and a refrigerator for generating refrigerant gas.

이러한 상기 가공장비(12)와 보조장비(14)에는 각 장비의 데이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The processing equipment 12 and the auxiliary equipment 14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or module capable of measuring data information of each equipment.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 센서, 습도센서, 진동 센서, 압력 센서, 운영정보 등이 포함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각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vibra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can measure and collect data of each of the processing facilities 10 by the sensor module.

이로써, 상기 가공설비(10)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설비의 다양한 환경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가공장비(12)의 설비 데이터 정보와 상기 보조장비(14)의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 정보, 그리고 각 가공설비(10)의 이상발생 유무와 가동시간 등의 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ccordingly, by sensing various environments of the facility by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facility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2,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equipment 14, the condensate tank temperature, and the exhaust gas It is possible to collect data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information, and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occurs and operating time of each processing facility 10 .

이와 같이 수집된 각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는 상기 가공설비(10)의 제어부에 확보되어진다.The data information of each processing facility 10 collected in this way is secur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

확보된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되어 저장된다.The secured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database 30 .

이때, 상기 가공설비(10)와 데이터베이스(30) 사이에는 인터페이스부(20)가 위치하여, 상기 가공설비(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cessing facility 10 and the database 30 , and data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rocessing facility 10 can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database 30 .

다시 말해서, 각 가공설비(10)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 및 저장가능하다.In other words, an interface module for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database 30 is installed in each processing facility 10 to transmit and store data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to the database 30 .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공간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통해 모델링된다.In the interface unit 20, a data collection space for collecting data is modeled through a framework.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기 위한 기본 틀을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 정보가 보다 수월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클래스(class)와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한 모델링을 구현한다.The framework refers to the basic framework for collecting and storing data information, and it implements modeling using classes and libraries so that data information can be provided more easily.

이처럼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공간을 모델링함으로써 가공설비별, 장소별, 사업부별 등 구역별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상기 가공설비(10)의 정보를 신속하게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다.By modeling the collection space for collecting data inform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ickly build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various processing facilities 10 to enable monitoring by area such as each processing facility, each place, and each division.

이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서 모델링된 데이터 수집 공간에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가 확보된다.As such, the data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secured in the data collection space modeled by the interface unit 20 .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확보된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되어 저장된다.The data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ecured in the interface unit 20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database 30 .

이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는 상기 가공설비(10)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서 프레임워크화된 모델링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since the various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tored in the database 30 collects data based on the modeling that is framed in the interface unit 20,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llect various information. will be.

또한, 가공설비별, 장소별, 사업부별 등 구역별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방보전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보전 작업이력 및 설비이력을 저장하여 통합적인 관리가 수월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enable monitoring by region, such as by processing equipment, by place, by business unit, so that preventive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30, as well as by storing and integrating the maintenance work history and facility history Administrative management will be easier.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상기 가공설비(10)의 각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설비 현황을 볼 수 있도록 단말기기(40)의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된다.As such, each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tored in the database 30 is output to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device 40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equipment status in real time through monitoring.

상기 단말기기(40)는 각각의 상기 가공설비(10)와 연결되어 해당 가공설비(1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1단말기기와, 공장 내의 모든 상기 가공설비(10)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2단말기기 등으로 구성된다.The terminal device 4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the first terminal device that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and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all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n the factory It consists of a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like.

상기 제1단말기기는 공장 내에 구비되는 상기 가공설비(10)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각 상기 가공설비(10)에 하나씩 구비되어 해당 가공설비(10)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device is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to monitor the processing equipment 10 provided in the factory, so tha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can be checked.

상기 제2단말기기는 상기 제1단말기기가 설치된 위치를 확보하여 공장 내에 구비되는 상기 가공설비(10)의 모든 가동 상황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The second terminal device secures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and displays al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provided in the factory on one screen.

이러한 상기 단말기기(40)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A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tored from the database 30 in real time is built in the terminal device 40 .

구축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무실 및 공장 내 가공설비(10)의 설치 현황을 그래픽화하여 화면에 띄우고, 각 상기 가공설비(10)의 가동 현황 및 생산 현황 등 주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다.The monitoring system to be built graphically displays the install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n the office and factory, and displays key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on status and production status of each processing facility 10 on the screen for monitoring. .

또한, 상기 가공설비(10)의 이상발생시 디스플레이 창에 알람을 띄움으로써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ing equipment 10 ,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raising an alarm on the display window.

이로써, 상기 단말기기(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전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30)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받고, 송신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40 can receive data from the database 30 of the monitoring dedicated computer through the network, and output the transmitted data to the display window by the monitoring system.

이와 같이 구역별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기(40)를 다수개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가동 형황을 수월히 파악할 수 있고, 최소의 인력으로 다수의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locating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40 that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for each zon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on statu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tate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real time with a minimum of manpower.

사용자는 설비현황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설비의 정보관리 및 인터페이스 관리, 운영현황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perform information management, interface management, and operation status inquiry of processing equipment by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program.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각 가공설비의 데이터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nitoring data information of each processing facility through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도 2는 가공설비의 데이터 정보가 수신 가능한 블럭도이고, 도 3은 가공설비의 데이터 정보가 수신 불가능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n which data information of a processing facility can be received,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n which data information of a processing facility cannot be receiv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데이터 수신의 지원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data recep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 proceeds as shown in FIG. 2 .

우선, 상기 가공설비(10)의 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가공설비(10)의 운영정보,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 등의 데이터 정보를 측정한다.(S10)First, data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pressure and condensate tank temperature, and exhaust gas temperature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module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S10)

측정된 데이터 정보는 상기 가공설비(10)의 제어부에서 확보된다.(S20)Measured data information is secur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S20)

상기 가공설비(10)의 제어부에 확보된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전달되어 모델링된 데이터 수집 공간에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가 확보된다.The data secur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20 to secure the data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in the modeled data collection space.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확보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Then, a step of storing the data secured in the interface unit 20 in the database 30 is performed (S50).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상기 가공설비(10)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전달 받아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base 30 may receive and store various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 .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단말기기(40)와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기(40)의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한다.(S60)The database 3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40 and outputs stored data to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device 40 (S60).

상기 데이터베이스(30)가 모니터링 전용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컴퓨터와 연결된 단말기기(40)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database 30 is connected to a computer dedicated to monitoring through a network, data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device 40 connected to the computer.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조회하고 싶은 가공설비의 모델을 실시간으로 조회 가능하며, 운영 현황 및 가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By going through these steps, the user can inquire the model of the processing equipment that he wants to inquire through the monitoring screen in real time, and can grasp the operation status and operation status.

한편,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부(20)는 상호 연결된 상기 가공설비(10)와의 접속 조건이 맞지 않으면 데이터 수신의 지원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unit 20 constituting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support data reception if the connection conditions with the interconnected processing facilities 10 are not met.

다시 말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20)와 상기 가공설비(10)의 접속 조건이 맞지 않아 오동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conditions between the interface unit 20 and the processing equipment 10 do not match, so a malfunction may occur.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할 때, 통신 불가능한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 전달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When the above-described case occurs, a process for enabling data information transfer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that cannot communic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우선,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측정한다.(S10)First,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measured. (S10)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각 상기 가공설비(1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에 의해 상기 가공장비(12)의 운영 정보나 상기 보조장비(14)의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 등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ata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2 or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equipment 14, condensate tank temperature, exhaust gas temperature, and the like by one or more sensor modules provided in each processing equipment 10 can be measured

그 다음에는, 측정된 데이터를 각 상기 가공설비(10)의 제어부에 확보되는 데이터 정보 확보 단계를 수행한다.(S20)Thereafter, the data information securing step of securing the measured data to the control unit of each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performed. (S20)

확보된 데이터에는 통신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지 통신 가능여부에 대한 정보도 확보된다.In the secured data,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communicate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 or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is also secured.

이때, 확보된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 통신이 가능한 가공설비는 도 2의 절차를 수행하고, 통신이 불가능한 가공설비는 도 3의 절차를 수행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processing equipment capable of communication performs the procedure of FIG. 2 , and the processing equipment that cannot communicate performs the procedure of FIG. 3 .

통신이 불가능한 정보를 확보하면 가공설비(10)에 경광등을 접점 공사를 수행해야한다.When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information is secur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contact construction of the warning light on the processing facility 10 .

통신이 불가능하여 정보를 제대로 수집하기 어려우므로 경광등을 통해 상기 가공설비(10)의 가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collect information becaus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through a warning light.

그리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상기 가공설비(10)에 대해서는 경광등을 접점공사 가능한지 혹은 불가능한지 공사 가능 장비와 불가능 장비로 구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Thus, for the processing equipment 10 that cannot communicate, a step of classifying the warning light into construction possible equipment and non-constructible equipment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ontact construction is possible or impossible. (S30)

경광등 접점공사가 불가능하다면, 생산설비를 정비하는 곳인 보전반의 지원을 받아 경광등을 접점한다.(S32)If it is impossible to contact the warning light, contact the warning light with the support of the maintenance team, which maintains production facilities. (S32)

경광등 접점공사가 가능하다면, 접점공사를 통해 설비 가동 혹은 비가동 장비를 구분하여 가동 정보를 입력한다.(S34)If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contact point of the warning light,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input by dividing the equipment operation or non-operation equipment through the contact point construction (S34)

한편, 경광등 접점공사가 불가능한 가공설비(10)의 보전반 접점 지원(S32)을 수행하고 난 다음에는 가공설비(10)가 가동되는지 가동 여부를 입력한다.(S34)On the other hand, after performing the maintenance panel contact support (S32)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where the contact construction of the warning light is impossible, it is input whether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operated or not. (S34)

상기 가공설비(10)에 경광등을 접점하는 공사에 의해 구비된 경광등은 녹색, 황색, 적색을 띄우면서 상기 가공설비(10)의 가동 현황을 보인다.The warning light provided by the construction of contacting the warning light to the processing facility 10 show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while floating green, yellow, and red.

경광등의 색이 녹색을 보이면 가공설비(10)의 가동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고, 황색을 보이면 가동 대기 중인 상태이고, 적색을 보이면 경보발생을 나타낸다.When the color of the warning light shows green,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in progress, when it shows yellow, it is in a waiting state, and when it shows red, it indicates that an alarm is generated.

이에 따라 경광등이 적색을 보여 경보발생을 표시한다면 작업자가 에러코드를 입력하여 보전반을 호출한다.(S40)Accordingly, if the warning light shows red to indicate that an alarm has occurred, the operator inputs an error code and calls the maintenance team. (S40)

호출된 보전반은 현장에서 상기 가공설비(10)의 보전 활동 후 작업 내용을 수동으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S50)The called maintenance team manually stores the work contents in the database 30 after the maintenance activity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n the field. (S50)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저장된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기(40)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출력된다.(S60)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manually stored by the operator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device 40 (S60).

이로써, 본 발명의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 가능 여부에 따른 가공설비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통신 불가능한 가공설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pond effectively to processing facilities according to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receive data from processing facilities that cannot communicat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0. 가공설비 12. 가공장비
14. 보조장비 20. 인터페이스부
30. 데이터베이스 40. 단말기기
100. 모니터링 시스템
10. Processing equipment 12. Processing equipment
14. Auxiliary equipment 20. Interface part
30. Database 40. Terminal
100. Monitoring system

Claims (5)

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다수의 가공설비(10)와;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여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전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단말기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 sensor module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10 for processing the product;
a database 30 for measuring and collecting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and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
and a terminal device (40) for displaying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stored in the database (30) on a display window so that a user can monitor 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프레임워크에 의해 모델링된 데이터 수집 공간에 상기 가공설비(10)의 데이터 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20,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is secured in the data collection space modeled by the framework and transmitted to the database (3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설비(10)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부호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가공품을 가공하는 다수의 가공장비(12)와,
사무실 및 공장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다수의 보조장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ocessing equipment (10),
A plurality of processing equipment 12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program encoded in the computer storage medium, and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uxiliary equipment (14)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offices and factori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비(14)는,
압력 및 응축수 탱크온도, 배기가스 온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보일러와;
공기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와;
냉매가스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equipment (14),
at least one boiler for measuring data including pressure and condensate tank temperature and exhaust gas temperature;
one or more compressors for compressing air;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refrigerators for generating refrigerant g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40)는,
상기 가공설비(10) 각각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해당 가공설비(10)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1단말기기와;
상기 제1단말기기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공설비(10) 전체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2단말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device (40),
One or more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10;
Facility statu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and confirming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ing facility (10) through a network.
KR1020190169373A 2019-12-18 2019-12-18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KR202100778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73A KR20210077891A (en) 2019-12-18 2019-12-18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73A KR20210077891A (en) 2019-12-18 2019-12-18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891A true KR20210077891A (en) 2021-06-28

Family

ID=7660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73A KR20210077891A (en) 2019-12-18 2019-12-18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789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372A (en) 2003-05-27 2004-12-08 샘솔정보기술(주)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intelligent fac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372A (en) 2003-05-27 2004-12-08 샘솔정보기술(주)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intelligent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2619B2 (en) Method for monitoring driving unit of car body assembly line, and device therefor
WO20181051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2598955B1 (en)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with integration to external software application
CN109844662B (en) Manual workstation unit, remot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nual workstation operation system, manual workstation operation method, and manual workstation providing method
KR102213712B1 (en) System for Monitoring Realtime Welding on Smart Factory
KR102284282B1 (en) Remote collaboration moniter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
US20190278252A1 (en) Equipment inspection system and equipment inspection method with a portable terminal
US20180099413A1 (en) Robot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for tracking information of module
CN113627878A (en) Workshop production informatization management system
KR102021431B1 (en) Instrument control equipment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O2020215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al running status of device
KR20170098374A (en) Remote real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of auto-machine tool
WO2003040882A2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ependent systems in a factory
JPH09160636A (en) Integrated operation unit
KR20210077891A (en)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tate
KR20200001304A (en) Produc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sensor gateway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of this system
US11675347B2 (en) Industrial machine monitoring device
KR20220165147A (en) AI-based optimal job support system for field workers
KR102409862B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real-time robot monitoring service
EP3743779A1 (en) Integrated alarm management system (alms) kpis with plant information system
JPH06190693A (en) Trouble diagnosis system for working machine group
KR20200072069A (en) Robot sta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motor information
CN216388097U (en) Readable bar code real-time display system of machine tool
KR102409863B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robot prevention and prediction measure service
KR20230102470A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