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652A -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652A
KR20210076652A KR1020190168067A KR20190168067A KR20210076652A KR 20210076652 A KR20210076652 A KR 20210076652A KR 1020190168067 A KR1020190168067 A KR 1020190168067A KR 20190168067 A KR20190168067 A KR 20190168067A KR 20210076652 A KR20210076652 A KR 20210076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streaming service
service
us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원
안대봉
김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652A/ko
Priority to US16/987,986 priority patent/US11316945B2/en
Priority to CN202010839554.6A priority patent/CN112995268B/zh
Priority to DE102020210993.1A priority patent/DE102020210993A1/de
Publication of KR2021007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2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04L65/402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where n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6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de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4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캐싱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메모리의 파티션이 할당되는 단계; 스트리밍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할당된 파티션에 캐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IN VEHICLE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STORAG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캐싱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운행 중 보다 향상된 음악 재생 환경에 대한 니즈가 증대하고 있으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컴팩트 디스크(CD)와 같은 음원 기록 매체를 운전자가 직접 준비하기보다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원을 획득하는 방식이 점차 선호되고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의 종류에는 콘텐츠 제공사(Content Provider)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서 주로 음악을 재생하는 뮤직 스트리밍과 음악 외 카테고리(경제, 아동, 문학, 사회 등)에 따른 음원을 재생하는 인터넷라디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캐싱(Caching)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캐싱이란 서버 등 콘텐츠 소스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나 계산된 결과값의 복사본을 저장함을 의미하며, 동일 작업을 추후 수행할 때 콘텐츠 소스에서 다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대신 이전에 저장된 캐싱 데이터를 불러와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캐싱은 특히 음원 재생에 있어서 이미 캐싱된 음원 데이터가 있다면 해당 음원에 대해서는 재생시마다 서버로부터 매번 오디오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요금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예컨대, 음영지역 진입)에서도 캐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끊김 없이 음원 재생이 가능하다.
그런데,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예컨대, eMMC: embedded Multi-Media Controller) 용량은 한정되나, 지원하는 콘텐츠 제공자(CP)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CP) 마다 캐싱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 공간(즉, 캐싱을 위한 파티션)을 별도로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한정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캐싱을 위한 파티션을 할당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메모리의 파티션이 할당되는 단계; 스트리밍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할당된 파티션에 캐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메모리;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상기 메모리의 파티션을 할당하는 제어부; 및 스트리밍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할당된 파티션에 캐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통해 한정된 메모리 공간이 사용 패턴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b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AVN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운전자 환경에서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운전자 환경에서 서버 판단 기반의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운전자 환경에서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운전자 환경에서 서버 판단 기반의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한정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캐싱을 위한 파티션을 할당하기 위하여, 유저 단위로 콘텐츠 제공자별 사용 패턴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캐싱 데이터의 압축율과 파티션 할당 형태가 결정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먼저, 도 1a와 1b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10), 커넥티드 카 서비스(CSS: Connected Car Service) 서버(20) 및 콘텐츠 제공자(CP)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CSS 서버(20)는 차량의 AVN 시스템(10)과 CP 서버(30) 사이에서 AVN 시스템(10)의 콘텐츠 요청을 CP 서버(30)에 전달하고, CP 서버(30)가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AVN 시스템(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S 서버(20)는 차량 제조사에서 관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CP 서버(30)는 도 1a에 하나가 도시되었으나, 콘텐츠 제공자마다 개별로 서버를 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CSS 서버(20)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들과 연결되어 차량의 AVN 시스템(10)에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서 AVN 시스템(10)은 구성요소들이 계층 구조별로 구분되어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App/Service) 계층은 미디어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커넥티드 카 서비스(CC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계층에 해당하는 네이티브 서비스(Native Service) 계층은 미디어 관리자(Media Manager), 플레이백(playback) 엔진, 캐싱 관리부(Caching Management), 보안 엔진(Security Eng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커널 및 하이퍼바이저 계층에는 오디오 서브시스템(ALSA: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과 트러스트 존(Trust Zone)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AVN 시스템(10)의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이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1a를 기반으로 음원 재생 과정을 설명한다.
탑승자가 음원 재생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는 CSS 서비스에 음원 재생을 요청하고(①), CSS 서비스는 해당 요청을 CSS 서버(20)에 전달한다(②). CSS 서버(20)는 다시 음원 재생 요청을 CP 서버(30)로 전달하며, 그에 따라 CP 서버(30)는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CSS 서버로 전송한다(④).
이때, 응답 데이터에는 AVN 시스템(10)에서 재생을 요청한 음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재생 데이터의 자원 정보(play_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아티스트명(artist name), 앨범 아트(album art), 곡명(song name), 가사(lyric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응답 데이터는 CCS 서버(20)에서 AVN 시스템(10)의 CCS 서비스를 거쳐(⑤),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달된다(⑥). 스트리밍 서비스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캐싱 관리부에 해당 음원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캐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또는 스트리밍으로 다운로드 해야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⑦).
스트리밍 서비스는 재생 요청된 음원이 캐싱 데이터로 재생 가능한지 또는 스트리밍으로 제공할지 여부를 미디어 서비스에 알리고(⑧), 미디어 서비스는 이를 미디어 관리자로 전달하여(⑨) 플레이백 엔진에서 해당 음원의 재생 준비가 수행되도록 한다(⑩).
플레이백 엔진은 음원의 스트리밍/캐싱 데이터 이용 여부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에서 스트리밍 데이터의 처리, 파싱(parsing), 디코딩 등이 수행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준비된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오디오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한다(⑪).
한편, 플레이백 엔진의 데이터 처리부는 캐싱 관리부에 파일 캐싱을 요청할 수 있으며(⑪ -1), 음원 파일의 암호화나 복호화를 위한 파일 경로를 보안 엔진을 통해 트러스트 존으로 전달할 수 있다(⑪ -2, ⑪ -3).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공간의 할당 관리는 네이티브 서비스 계층의 캐싱 관리부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b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AVN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계층 구조로 도시된 AVN 시스템(10)의 구성을 장치 구성의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AVN 시스템(10)은 통신부(11), 메모리(12), 프로세서(13) 및 출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하여 CCS 서버(20)와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내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아울러, 차량 내 다른 제어기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 통신 프로토콜도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2)는 통신부(11)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로세서(13)의 입/출력 데이터, 출력부(14)를 통해 출력될 데이터의 버퍼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캐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파티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eMMC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4)는 출력 단자,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형식에 따라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제어부"로 칭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판단과 결정,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는 사용자가 요청한 음원 재생 과정의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콘텐츠 제공자별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압축율과 콘텐츠 제공자별 메모리 분할 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할당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와 3에서는 단일 사용자를 가정하며, 도 4와 5에서는 복수의 사용자를 각각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운전자 환경에서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VN 시스템(10)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될 수 있다(S210). 여기서,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라 함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카테고리(음악, 경제, 아동, 문학, 사회 등)별 사용율을 의미할 수도 있고, 카테고리와 무관하게 콘텐츠 제공자(CP)별 사용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율이라 함은 서비스별 누적 또는 소정 기간단위의 재생 시간을 의미할 수도 있고, 서비스별 누적 또는 소정 기간단위의 컨텐츠 데이터 용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AVN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메모리 파티션의 자동 할당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으며(S220), 자동 할당 방식이 선택된 경우(S220의 Yes) 분석된 사용율을 기반으로 프로세서(13)가 서비스별 캐싱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될 파티션을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에서 캐싱 데이터를 위한 총 공간이 1GB라 가정할 때, 사용자가 총 사용 시간 중 75%를 A 컨텐츠 제공자의 음원을 감상했으며, 나머지 25%를 B 컨텐츠 제공자의 음원을 감상한 경우, 750MB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여 A 컨텐츠 제공자의 캐싱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하고, 250MB를 다른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여 B 컨텐츠 제공자의 캐싱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서비스를 위해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마진 공간(예컨대, 200MB)을 남길 경우, 600MB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여 A 컨텐츠 제공자의 캐싱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하고, 200MB를 다른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여 B 컨텐츠 제공자의 캐싱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분할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서도 할당율은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경우, 동일 사용시간 대비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대비 많은 저장 공간이 할당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수동할당을 선택한 경우(S220의 No), 사용자가 서비스별 캐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S230B).
파티션이 할당된 후 스트리밍을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가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는 종류와 사용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압축율이 결정될 수 있다(S240). 예컨대,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지, 이미지인지, 오디오 콘텐츠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율이 높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일 경우, 해당 캐싱 데이터가 자주 사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압축 해제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압축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사용율이 낮은 서비스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자주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용량을 적게 차지하도록 높은 압축율이 적용될 수 있다.
압축이 완료되면,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파티션에 압축된 데이터가 캐싱될 수 있다(S25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운전자 환경에서 서버 판단 기반의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달리 CCS 서버(20)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될 수 있다(S310). 여기서, '사용율' 및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의 의미, 파티션 할당 방법 등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버(20)는 분석 결과에 따른 서비스별 압축율과 파티션 할당 정보를 AVN 시스템(10)에 전송한다(S320). 본 과정은 소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과정은 AVN 시스템(10)의 요청이 있을 때에 수행될 수도 있다.
AVN 시스템(10)은 서버로부터 획득한 서비스별 압축율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별로 서로 다른 압축율을 적용할 수 있다(S330).
압축이 완료되면, 서버로부터 획득한 파티션 할당 정보에 따라 서비스별로 할당된 파티션 중,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파티션에 압축된 데이터가 캐싱될 수 있다(S340).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복수의 유저가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운전자 환경에서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VN 시스템(10)에서는 유저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이 분석될 수 있다(S210). 여기서, 유저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이라 함은, 유저별 총 스트리밍 데이터 사용량이나 유저별 총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간을 서로 다른 기간별로 분석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저별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량이 일간/주간/월간 등으로 집계 기간을 달리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AVN 시스템(10)은 유저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S420). 예컨대, 주중 5일간은 유저 1이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고, 주말 2일간은 유저 2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일단위로는 요일에 따라 주요 사용자가 바뀌나, 주 단위로 볼 때 유저 2가 주말 2일간 사용하는 데이터 양이 유저 1이 주중 5일간 사용하는 데이터보다 많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총 데이터 양을 고려하여 유저 2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고, 사용 빈도가 더 높은 유저 1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다.
가중치가 결정되면, AVN 시스템(10)은 유저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별 파티션을 할당할 수 있다(S430). 예컨대, 유저 1의 가중치가 1이고 유저 2의 가중치가 2인 경우, 유저 1이 사용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1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유저 2가 사용하는 스트링 서비스별로 2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유저 1이 A 서비스와 B 서비스를 1:3 비율로 사용할 경우 A서비스는 1점, B 서비스는 3점이 된다. 또한 유저2가 A 서비스와 C 서비스를 1:3의 비율로 사용할 경우, A 서비스는 2점, C 서비스는 6점이 된다. 결국, 두 사용자의 서비스별 점수를 합산하면 A 서비스는 3점, B 서비스는 3점, C 서비스는 6점이 된다. 결국, A:B:C = 1:1:2 의 비율로 파티션이 할당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콘텐츠별 압축이 수행될 수 있다(S440). 본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S240 단계와 유사하나, 가중치가 더욱 고려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기본 압축율에 S430 단계에서 결정된 파티션 할당 비율에 따른 서비스별 압축율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압축이 완료되면,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파티션에 압축된 데이터가 캐싱될 수 있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운전자 환경에서 서버 판단 기반의 메모리 할당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달리 CCS 서버(20)가 유저별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을 분석하고(S510), 이를 기반으로 유저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S520). 여기서, 사용율 분석 형태와 그에 따른 가중치 부여 방식은 도 4의 S410 단계 및 S420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버(20)는 분석 결과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AVN 시스템(10)에 전송한다(S530). AVN 시스템(10)은 서버로부터 획득한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별 파티션을 할당하고(S540),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별로 서로 다른 압축율을 적용할 수 있다(S550).
압축이 완료되면, 서비스별로 할당된 파티션 중,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파티션에 압축된 데이터가 캐싱될 수 있다(S560).
지금까지 설명한 파티션 할당 방식은 소정 주기마다 판단 기준(유저별 가중치,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 등)을 재산정하여, 동적으로 파티션 할당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적인 캐싱 공간 할당 방법을 통해, 고정된 메모리 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캐싱을 위한 파티션이 설정됨에 따라 특정 서비스에 대한 파티션이 부족함에 따른 잦은 쓰기/삭제가 방지되어 메모리 수명 증대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와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할당되므로 보다 많은 캐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어 데이터 요금이 절약되고 음영 지역에서도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율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메모리의 파티션이 할당되는 단계;
    스트리밍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할당된 파티션에 캐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율이 적용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사용율을 더 고려하여 수행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분할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메모리의 파티션이 할당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는,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 또는 상기 AVN 시스템과 콘텐츠 제공 서버를 중계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가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AVN 시스템으로 상기 분석된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는,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이 분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별 가중치가 부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이 할당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를 더 고려하여 수행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이 분석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복수의 집계 기간 각각에 따른 분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메모리;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상기 메모리의 파티션을 할당하는 제어부; 및
    스트리밍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가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할당된 파티션에 캐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율을 적용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율의 적용에 있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을 더 고려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수동 분할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로 상기 파티션을 할당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은,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상기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콘텐츠 제공 서버를 중계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분석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이 분석되는 단계가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기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분석된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별 사용율은,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 및 상기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을 기반으로 부여된 사용자별 가중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중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파티션의 할당 및 상기 압축을 수행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패턴은, 서로 다른 복수의 집계 기간 각각에 따라 분석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1020190168067A 2019-12-16 2019-12-16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KR20210076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067A KR20210076652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US16/987,986 US11316945B2 (en) 2019-12-16 2020-08-07 Vehicle multimedia system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therefor
CN202010839554.6A CN112995268B (zh) 2019-12-16 2020-08-19 管理车辆多媒体系统存储器的方法、记录介质和播放设备
DE102020210993.1A DE102020210993A1 (de) 2019-12-16 2020-09-01 Fahrzeug-multimediasystem und speicherverwaltungsverfahren für die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067A KR20210076652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652A true KR20210076652A (ko) 2021-06-24

Family

ID=7608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067A KR20210076652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6945B2 (ko)
KR (1) KR20210076652A (ko)
DE (1) DE1020202109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389A (en) 1996-01-11 1997-09-23 Quantum Corporation Adaptive compression caching for tape recording
US8909867B2 (en) * 2010-08-24 2014-12-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struction and data for a unified cache
US10346939B1 (en) * 2012-12-19 2019-07-09 Narus, Inc. Traveller content service
US9967305B2 (en) * 2013-06-28 2018-05-08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streaming media content
EP2942971B8 (en) * 2014-05-08 2019-07-17 Icomera AB Method and system for bandwidth constrained media streaming to a moving vehicle
US10318425B2 (en) * 2017-07-12 2019-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rdination of cache and memory reservation
US10678690B2 (en) * 2017-08-29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fine-grained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using interpolation for partitioned resources in processor-base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6945B2 (en) 2022-04-26
CN112995268A (zh) 2021-06-18
US20210185143A1 (en) 2021-06-17
DE102020210993A1 (de)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9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certification of media devices for use within a connected media environment
US8239564B2 (en) Dynamic throttling based on network conditions
JP5204492B2 (ja) ネットワーク番組を再生するためにソフトウェアリソース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8502198A (ja) ストレージ装置間のコンテンツの転送
JP2002091863A (ja) 情報提供方法
JP2007529121A (ja) 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の疎(sparse)キャッシング
KR101352917B1 (ko) 비디오 콘텐츠를 동적으로 수신하여 오디오 콘텐츠와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011143728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нтерактивных запросов цифрового медийного контента
CN101689137A (zh) 使用共享存储器池的数字数据管理
CN112995268B (zh) 管理车辆多媒体系统存储器的方法、记录介质和播放设备
KR20210076652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US9762704B2 (en) Service based media player
CN112887786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WO2016197867A1 (zh) 应用于计算设备的数据处理方法及设备
KR20090072382A (ko)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장치
WO2012017592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7051262B2 (ja) ユーザ利用パターン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使用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50088943A1 (en) Media-Aware File System and Method
CN1734552A (zh) 用于再现接收的音乐内容的电子音乐装置
KR102367134B1 (ko) 가속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속기
JP4172228B2 (ja) 音声データ配信方法、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5651591B2 (ja) 映像再生システムおよび送出装置
JP2015064924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940212B1 (ko)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JP4835844B2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