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572A -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572A
KR20210076572A KR1020190167921A KR20190167921A KR20210076572A KR 20210076572 A KR20210076572 A KR 20210076572A KR 1020190167921 A KR1020190167921 A KR 1020190167921A KR 20190167921 A KR20190167921 A KR 20190167921A KR 20210076572 A KR20210076572 A KR 2021007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ir
paper
cutt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윤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상윤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9016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572A/en
Publication of KR2021007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A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box manufactured by wrapping a hard core frame box with an outer paper. A hard core frame structure box includes: a bottom part;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formed to be erected around a pair of fold lines; and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part, and formed to be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bottom part and the raised first side portion, respectively. The pair of first side portions may each include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Description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Paper packaging box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packaging box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글씨를 적기 위하여 발명된 이후 종이는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도 확장되었다. 종이를 이용한 포장은 물건에 종이를 직접 둘러싸는 방식과, 물건을 넣어서 바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가방 또는 봉투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자로 제작하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After being invented for writing, paper has also been expanded to be used for packaging objects. Packaging using paper is divided into a method in which paper is directly wrapped around an object, a method in which an object is placed in a bag or bag form so that it can be carried immediately, and a method in which a box having the shape of a container is produced.

이중 종이 상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제작 방식도 다양하다. 종이 상자의 일종으로 가볍고 튼튼한 골판지를 이용한 상자가 발명되었고, 골판지 상자는 운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double paper box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are also varied accordingly. As a kind of paper box, a box using light and strong corrugated cardboard was invented, and the corrugated cardboard box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ation field.

종이 상자의 다른 형태인 뚜껑을 갖는 셋업박스(Set up box)는 부서지기 쉬운 내용물을 보호하면서도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명되었다. 반면, 셋업박스는 완성된 채로 취급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취급중 파손될 위험성도 높다.Another type of paper box, a set up box with a lid, was invented as a way to emphasize luxury while protecting fragile content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setup box is handled and distributed as it is, it takes up a lot of space and has a high risk of being damaged during handling.

하드심지(Hardboard paper)에 겉지를 접착제로 싸서 이음새 부분의 노출을 막고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박스(한국에서는 '싸바리박스'라고도 한다)도 있다. 이러한 상자 중에서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도 있는데, 인쇄를 통하여 다양한 포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형태적인 심미성을 높이므로 고가의 제품박스로 많이 사용된다. There is also a box (also called 'sabari box' in Korea) that is wrapped in hardboard paper with adhesive to prevent exposure of seams and emphasizes luxury. Among these boxes, there is an inner box and an outer box made of hard core and outer paper, respectively. Various packaging effects can be given through printing, and it is often used as an expensive product box because it enhances the morphological aesthetics.

하드심지를 이용한 박스의 제작시 활용되는 기술로서, 낱장의 하드심지에 반칼을 이용하여 칼집을 형성하고 칼집이 외측 모서리가 되도록 하여 상자를 만드는 방법과, 복수의 커터를 이용하여 하드심지에 브이(V)자 모양의 단면이 되도록 도려내어 접힘선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외측 모서리가 겹줄이 되므로 각을 살리기 어렵고, 후자의 방법은 외측 모서리가 한줄이 되므로 정확한 각을 구현할 수 있으나 내측의 코너에 도려낸 절단면이 노출됨으로써 심미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As a technique used in the production of boxes using hard wicks, a method of making a box by forming a sheath on a sheet of hard wick using a half-knife and making the sheath become the outer edge, and using a plurality of cutters to apply a V (V) to the hard wick. There is a way to make a fold line by cutting it out so that it becomes a V-shaped cross section. The former method makes it difficult to save the angle because the outer edge becomes a double line, and the latter method can implement an accurate angle because the outer corner becomes a single lin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sthetic is deteriorated by exposing the cut surface cut in the inner corner.

* 선행기술* Prior art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3606호(2011. 01. 13.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3606 (published on January 13, 201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25469호(2011. 11. 2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5469 (published on November 22, 201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44호(2006. 06. 27. 등록)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0544 (Registered on June 27, 2006)

본 발명은 정확한 각을 구현하면서도 내측의 코너에서 도려낸 절단면의 노출에 의한 외관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packaging box capable of minimizing deterioration in appearance due to exposure of a cut surface cut out from an inner corner while implementing an accurate ang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과 관련된 종이 포장상자는,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겉지로 감싸 제조하는 종이상자로서,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는,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호 연장되며, 한 쌍의 접힘선을 중심으로 세워질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며, 그 각각은 상기 바닥면부의 가장자리와 세워진 상기 제1측면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box manufactured by wrapping a hard core frame box with an outer paper, wherein the hard core frame box includes a bottom part;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formed to be erected around a pair of fold lines; and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each of which is formed to be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both edges of the erected first side portion; The first side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부분 커팅에 의해 형성되는 제1커팅면; 및 상기 제1커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팅면과의 조합에 의해 종이가 컷아웃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팅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cutting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ortion and formed by partial cut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cutting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formed so that paper can be cut out by a combination with the first cutting surf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커팅면과 상기 제2커팅면 사이의 각은 90도 또는 90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90 degrees or 90 degree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측면부의 결의 방향과 상기 제2측면부의 결의 방향이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art and the grain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art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접힘선에 라인형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ne-type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fold lin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접힘선은, 브이 커팅에 의하여 생성된 절단면과 절단되지 않은 인접면이 만나서 생성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한 쌍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및 상기 절단면에 인쇄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 line includes a pair of edges generated by meeting a cut surface generated by V-cutting and an adjacent surface that is not cut, and the line-type printing layer is one of the pair of edges. It may be printed on at least one corner and the cut surf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단면에 인쇄되는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절단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type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cut surface may be entirely formed on the cut surf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단면에 인쇄되는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인쇄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type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cut surface may be printed from the edge to a predetermined depth.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하드심지의 내측면이 갖는 색상보다 어두운 색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type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by a color darker than the colo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wick.

본 발명과 관련된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은,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겉지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드심지에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측면부를 상기 바닥면부에 대하여 세우고, 상기 바닥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하드심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부착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하드심지를 상기 바닥면부가 형성될 영역과 상기 제1측면부가 형성될 영역이 생성되도록 브이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심지를 90도 전환하여 상기 하드심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측면부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per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box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hard wick skeleton box, and wrapping the hard wick skeleton box with an outer paper, the steps of forming the hard wick skeleton box A first step of forming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on the hard wick; and a second step of erecting the first side part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and attaching a pair of second side part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ard wick to both edges of the bottom part and the first side part, The first step may include: forming a pair of fold lines by V-cutting the hard wick to form a region where the bottom surface portion will be formed and a region where the first side portion will be formed; and turning the hard wick by 90 degrees to form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ide portion at the edge of the hard wick.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접힘선에 라인형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line-type printing layer on the fold line.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에 의하면, 별도의 제2측면부는 수용홈이 형성된 바닥면부 및 측면부의 하드심지에 제2측면부의 두께가 수용된 채 부착되는 것이므로, 모서리선의 외측의 각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부착된 부위의 내측의 코너라인에도 하드심지의 절단면이 갖는 불필요한 부위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제2측면부에 의한 부착 방식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모두 접힘선에 의해 세워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e second side part is attached with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ide part accommodated in the hard wick of the bottom part and the side part where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he angle of the outside of the edge line is accurately measured and It can be implemented reliably,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posure of unnecessary parts of the cut surface of the hard wick even at the corner line inside the attached part. In addition, the attachment method by the separate second side part can secure structural rigidity compared to the case of assembling both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upright by the fold lin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제1측면부의 결의 방향과 제2측면부의 결의 방향이 평행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모두 접힘선에 의해 세워 조립하였을 때 결의 방향이 90도를 이루는 것에 비하여, 박스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art and the grain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art parallel to each other, when both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side part are erected by the fold line, the grain direction is 90 degrees As compared to making 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box.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박스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힘선에 인쇄층이 포함됨으로써 브이 커팅에 의해 도려낸 절단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인쇄층에 의하여 가릴 수 있다. 그에 따라 브이 커팅을 적용함에 따른 정확한 직각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내측의 코너 부분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inted layer is included in the fold line positioned inside the box, even when the cut surface cut out by V-cutting is exposed, the printed layer can cover 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ccurate right angle by applying the V-cutting,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inner corner por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이 포장상자(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이 포장상자(100)로 완성되기 이전의 상태로서, 하드심지 골격박스와 겉지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부분의 확대도 및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종이 상자의 대응되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완성된 상자의 뒤틀림 등 구조적 강성 면에서 종래의 예와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수용홈을 형성하는 실시예들을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을 영역에 따라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를 롤러에 의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접힘선 및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적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per packaging box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before being completed with the paper packaging box 100 of Figure 1,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hard core frame box and the outer paper are attached.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I of FIG. 1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esponding part of the paper box manufactur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4 is a conceptual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ard wick frame box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example in terms of structural rigidity such as warping of a box comple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embodiments of forming a receiving groov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embodiments according to regions in which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a fold lin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a fold line and a printed laye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hard wick by the roll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printed layer on a fold lin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a paper packaging box,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이 포장상자(100)의 일 예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바로 용기나 포장상자로 사용되거나, 다른 외함과 조합될 수 있는 형태를 보인다. 도 2는 도 1의 종이 포장상자(100)로 완성되기 이전의 상태로서, 하드심지 골격박스(110)와 겉지(130)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ample of a paper packaging box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p is opened and is used as a container or a packaging box, or shows a form that can be combined with other enclosures. 2 is a state before completion of the paper packaging box 100 of FIG. 1, an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hard wick skeleton box 110 and the outer paper 130 are attached.

이들 도면에 의하면, 종이 포장상자(100)는 내측면에 어두운 바탕색을 적용한 하드심지 골격박스(110)를 겉지(130)로 감싼 형태를 가지고 있다. 구별의 편의를 위하여 겉지(130)의 외측면은 색이 없거나 밝은 색으로 처리되었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paper packaging box 100 has a shape in which a hard wick skeleton box 110 to which a dark background color is applied to an inner surface is wrapped with an outer paper 130 . For convenience of discrimina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per 130 was treated with a colorless or bright color.

도 1과 같이, 하드심지 골격박스(110)는, 바닥면부(111)와, 바닥면부(111)에 대하여 접힘선(121)을 기준으로 세워진 한 쌍의 제1측면부(112)와, 바닥면부(111) 및 제1측면부(11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측면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제2측면부(113)는 바닥면부(111)의 가장자리 및 제1측면부(112)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각각 부착된 형태이다. 그에 따라, 도 1과 같이, 제2측면부(113)는 바닥면부(111)와 접하여 제1교합선(122)을 이루고, 제1측면부(112)와 접하여 제2교합선(123)을 이룬다. 따라서, 종이 포장상자(100)의 내측의 코너는 접힘선(121), 제1교합선(122) 및 제2교합선(123)이 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hard wick skeleton box 110,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1,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112 erected on the basis of the fold line 12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1,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1) and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113 forming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portion 112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side part 113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bottom part 111 and th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112 , respectively.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the second side part 113 contacts the bottom part 111 to form a first occlusal line 122 , and contacts the first side part 112 to form a second occlusal line 123 . Accordingly, the inner corners of the paper packaging box 100 become the fold line 121 , the first intersection line 122 , and the second intersection line 123 .

도 2와 같이, 제1측면부(112)를 바닥면부(111)에 대하여 접힘선(121)을 중심으로 세울 수 있도록 바닥면부(111)와 제1측면부(112)의 사이에는 브이(V) 커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브이 커팅홈(115)은 하드심지의 일부를 제거하는 형태로서, 제1측면부(112)를 바닥면부(111)에 대하여 세웠을 때 접힘선(121)의 외측 모서리가 정확히 90도를 이루기 용이하게 한다.As shown in FIG. 2 , a V (V) cut is made between the bottom surface part 111 and the first side part 112 so that the first side part 112 can be set as the center of the fold line 12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part 111 . A groove 115 may be formed. The V-cutting groove 115 is in the form of removing a part of the hard wick, and when the first side part 112 is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111, the outer edge of the fold line 121 is easily formed at exactly 90 degrees. .

바닥면부(111) 및 제1측면부(11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2측면부(113)의 두께를 수용하는 수용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홈(117)에 의하여 제2측면부(113)와 바닥면부(111)가 만나는 부위 또는 제2측면부(113)와 제1측면부(112)가 만나는 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노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외부에서는 바닥면부(111) 또는 제1측면부(112)의 에지만에 의하여 모서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Receiving grooves 117 for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ide part 113 are formed on both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art 111 and the first side part 112 . The part where the second side part 113 and the bottom part 111 meet or the part where the second side part 113 and the first side part 112 meet by the receiving groove 117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rner only by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part 111 or the first side part 112 .

도 3은 도 1의 Ⅲ 부분의 확대도(a) 및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종이 상자(b)의 대응되는 부분을 대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드심지 골격박스(110)의 내측면에 적용된 색깔 또는 인쇄물에 대응하는 인쇄층이 있을 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종이상자의 경우(a), 접힘선(121), 제1교합선(122) 및 제2교합선(123)은 하드심지의 절단면이 갖는 불필요한 부위의 노출이 없다. 반면, 단순히 브이 커팅홈만을 활용한 기존 박스의 경우(b), 접힘선 또는 교합선(21, 22, 23)에 하드심지의 제거에 따른 절단면의 재질 또는 색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그에 따른 외관 또는 심미성을 떨어뜨린다.3 is an enlarged view (a) of the III part of FIG. 1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paper box (b) manufactur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When there is a printed lay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r printed matter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wick frame box 110, in the case of a paper box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fold line 121, the first occlusion The line 122 and the second occlusal line 123 do not expose unnecessary portions of the cut surface of the hard wick.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xisting box using only the V-cutting groove (b), the material or color of the cut surface is partially exposed due to the removal of the hard wick at the fold or occlusal lines 21, 22, 23, and the appearance or less aesthetically pleasin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ard wick frame box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하드심지(110')의 모습이다. 도 4(b)와 같이, 하드심지(110')에 제1인쇄층(P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1인쇄층(P1)은 구현하고자 하는 내함의 색상이나 무늬 또는 표면재질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개시에서는 이후의 과정에서 구현되는 접힘선(121), 제1교합선(122) 및 제2교합선(123)의 적용기술에 의하여 얼마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지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표시하였다.Figure 4 (a) is a view of the hard wick (110'). As shown in Figure 4 (b), it is possible to form a first printed layer (P1) on the hard core (110'). The first printed layer P1 refers to the color, pattern, or surface material of the inner box to be implemented, an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ld line 121, the first occlusal line 122 and the second are implemented in a subsequent process. It is conceptually indicated to explain how much influence can be reduced and aesthetics can be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the occlusal line 123 .

이러한 상태에서, 브이 커팅홈(115)의 형성이 앞서 설명된 바닥면(111)과 제1측면부(112)를 나누고 접힘선(121)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며, 그에 따라 도 4(c)와 같이 제1인쇄층(P1)과 함께 하드심지(110')의 일부분이 제거되었다.In this state, the formation of the V-cutting groove 115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first side part 112 described above and forming the fold line 121, and accordingly, FIG. 4(c) ), along with the first printed layer P1, a portion of the hard wick 110' was removed.

이 상태에서 도 4(d)와 같이 브이 커팅홈(115)에 제1인쇄층(P1)에 대응하는 색상을 갖는 라인형의 제2인쇄층(P2)을 형성한다. 제2인쇄층(P2)은 브이 커팅홈(115)을 따라 실시되어 브이 커팅홈(115)에 의한 절단면을 다른 색상, 예를 들어, 제1인쇄층(P1)과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d ), a line-type second printed layer P2 hav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inted layer P1 is formed in the V-cutting groove 115 . The second printing layer P2 is implemented along the V-cutting groove 115 so that the cut surface by the V-cutting groove 115 has a different color, for example, the same color as the first printing layer P1. .

다음으로, 하드심지를 90도 돌려서 양측 가장자리에 앞서 설명한 수용홈(117)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4(e)와 같이, 바닥면부(111) 및 제1측면부(112)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하게 두께 방향의 부분 커팅('반칼 커팅'이라고도 한다)에 의하여 제1커팅면(117a)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f)와 같이, 제1커팅면(117a)과의 조합에 의하여 종이가 컷아웃될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의 제2커팅면(117b)을 형성시킨다. 제2커팅면(117b)은 커터를 수평 또는 제1커팅면(117a)과 일정 각도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Next, the hard wick is rotated 90 degrees to form the receiving grooves 117 described above on both edges. For this, first, as shown in Fig. 4(e), the first cutting surface (also called 'half-knife cutting') by partial cut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art 111 and the first side part 112 117a). Next, as shown in FIG. 4(f), a second cutting surface 117b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so that the paper can be cut out by combining with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The second cutting surface 117b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cutter is horizontal o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도 4(e)와 도 4(f)는 제1커팅면(117a)와 제2커팅면(117b)의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커터와 단계를 사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제1커팅면(117a)와 제2커팅면(117b)의 형성을 위하여 하나의 단계에서 하나의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 자 형태의 커터와 '│' 자 형태의 커터가 조합되거나, '└' 자 형태의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4(e) and 4(f) show examples of using separate cutters and steps to form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117b. In addition, one cutter may be used in one step to form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117b. As such, a '-'-shaped cutter and a '│'-shaped cutter may be combined, or a '└'-shaped cutter may be used.

수용홈(117)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4(g)와 같이, 하드심지 골격박스(110)를 조립하기 위해, 바닥면부(111)에 대하여 제1측면부(112)를 세운다. 제1측면부(112)를 세우기 전 또는 후에 수용홈(117)에 접착제(B)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제2측면부(113)를 수용홈(117)에 맞추어 안착시켜 접착제(B)에 의해 접합도록 한다. 그 결과, 도 4(h)와 같이, 제2측면부(113)의 두께는 수용홈(117)으로 삽입되고, 바닥면부(111) 또는 제1측면부(112)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제1교합선(122) 또는 제2교합선(123)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서 제2측면부(113)가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자의 내측 코너에서의 수용홈(11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제거에 따른 절단면의 노출도 원천적으로 수반하지 않게 된다.When the form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7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g), in order to assemble the hard wick frame box 110, the first side part 112 is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part 111. The adhesive (B) is applied to the receiving groove 117 before or after the first side part 112 is erected. Next, the second side portion 113 is se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ing groove 117 to be bonded by the adhesive (B).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h)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ide part 11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7 ,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part 111 or the first side part 112 . In this coupling method, not only the second side part 113 is not exposed at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rst occlusal line 122 or the second occlusal line 123, but also the receiving groove 117 at the inner corner of the box is formed. The exposure of the cut surface due to the removal in the process of forming is also not accompanied fundamentall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완성된 상자의 뒤틀림 등 구조적 강성 면에서 종래의 예와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즉, 도 5(a)와 같이, 바닥면부(111)과 제1측면부(112)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향의 결을 가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부착되는 제2측면부(113)를 바닥면부(111) 또는 제1측면부(112)의 결의 방향과 평행하게 재단한다. 그에 따른 하드심지 골격박스는 제1측면부(112)와 제2측면부(112)가 동일한 결의 방향을 가지게 되어 외부의 환경에 따른 영향(예: 충격이나 외력, 습도 또는 온도)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만약, 제1측면부(112)의 결의 방향과 제2측면부(113)의 결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제1측면부(112)가 팽창될 때, 제2측면부(113)는 결의 방향이 다르므로 팽창되지 않아 변형율의 차이에 따른 상자의 형태상 변형이 발생될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b)와 같이, 만약 하나의 바닥면부(111)에 대하여 제1측면부(112) 및 제2측면부(113)를 모두 세워서 조립하는 경우에는 제1측면부(112)의 결의 방향과 제2측면부(113)의 결의 방향이 90도를 이루게 되어 외부의 환경 또는 제1측면부(112)와 제2측면부(113)의 변형율의 차이에 의해 형태 변형을 유발할 수도 있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example in terms of structural rigidity such as warping of a box comple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FIG. 5A , it can be assumed th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1 and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112 have a grain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parately attached second side part 113 is cut parallel to the grain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part 111 or the first side part 112 . As a result, the hard wick frame box has the same grain direction as the first side part 112 and the second side part 112, effectively reducing deformation from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eg, impact or external force, humidity or temperature). can If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art 112 and the grain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art 113 are different, when the first side part 112 is expanded, the second side part 113 is not expanded because the grain direction is differ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box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eformation rate, and this problem can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b), if the first side part 112 and the second side part 113 are both erected with respect to one bottom surface part 111,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art 112 and the second Since the grain direction of the side part 113 forms 90 degrees, shape deformation may be caus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a difference in the deformation rate of the first side part 112 and the second side part 113 .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수용홈을 형성하는 실시예들을 보인 것이다. 6 shows embodiments of forming a receiving groov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수용홈(117)을 이루는 제1커팅면(117a)과 제1커팅면(117b) 사이의 각(α1)이 90인 것을 보이며, 도 6(b)는 수용홈(117)을 이루는 제1커팅면(117a)과 제1커팅면(117b) 사이의 각(α2)이 90보다 작은 것을 보인다. 전자의 경우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수용홈에 도포될 접착제가 흘러 내리는 것을 최소화시켜 작업장의 청결 및 번거로운 부수 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6(a) shows that the angle α1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and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b constituting the receiving groove 117 is 90, and FIG. 6(b) shows the receiving groove 117 ), it is shown that the angle α2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a and the first cutting surface 117b is less than 90. In the former case, it is possible to induce accurate bonding, and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low of the adhesive to be appli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reby minimizing the cleanliness of the workplace and cumbersome incidental work.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을 영역에 따라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embodiments according to regions in which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a fold lin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와 같이, 제1인쇄층(P1)을 갖는 하드심지(110)는 브이 커팅홈(115)에 의하여 절단면(115a)을 노출하고 있으며, 절단면(115a)과 인접면이 만나는 모서리(115b)도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7(a), the hard wick 110 having the first printed layer P1 exposes the cut surface 115a by the V-cutting groove 115, and the edge where the cut surface 115a and the adjacent surface meet. (115b) also generates.

브이 커팅홈(115)에 제2인쇄층(P2)을 형성하는 방안으로서, 도7(b)는 브이 커팅홈(115)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보인다. 도 7(c)는 제2인쇄층(P2)을 모서리(115b)로부터 일정 깊이만큼만 형성한 것을 보인다. 이 경우에도 하드심지(110)가 브이 커팅홈(115)을 기준으로 90도로 절곡되었을 때, 보다 안쪽에 있는 절단면(115a)은 비록 인쇄층(140)이 없더라도 바깥쪽(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는 방향)으로는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printed layer P2 in the V-cutting groove 115, FIG. 7(b) shows that the entire V-cutting groove 115 is formed. 7(c) shows that the second printed layer P2 is formed only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edge 115b. Even in this case, when the hard wick 110 is bent a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cutting groove 115 , the cut surface 115a on the inner side is the outer side (that is, the user direction) is rarely exposed.

도 7(d)는 절단면에 적용된 제2인쇄층(P2)과 함께 모서리(115a) 부근의 인접면에도 제2인쇄층(P2)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7( d ) shows that the second printed layer P2 is also formed on the adjacent surface near the edge 115a together with the second printed layer P2 applied to the cut surface.

도 7(b) 내지 도 7(d)의 제2인쇄층(P2)은 모두 브이 커팅홈(115)을 따라 형성된 것이므로 '라인형 인쇄층'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인쇄층(P2)은 점선의 형태, 복수의 색상이 조합된 형태 또는 강조를 위하여 반짝이는 안료가 사용된 형태일 수 있다.Since all of the second printed layers P2 of FIGS. 7(b) to 7(d) are formed along the V-cutting grooves 115, they can be regarded as a 'line-type printed layer'. In some cases, the second printing layer P2 may be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are combined, or a form in which a shiny pigment is used for emphasis.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를 롤러에 의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접힘선 및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a fold line and a printed laye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hard wick by the roll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예에서는 양산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하드심지(110)에 브이 커팅홈(115)을 갖는 접힘선(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드심지(110)를 롤(200)을 통하여 이송시키고 커터(210)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다. 이때, 잉크젯(220)을 커터(210)의 후단에 배치하여 롤(200)에 의하여 하드심지 골격박스(110)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선(120)에 곧바로 제2인쇄층(P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설비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다.In this example, in order to form a fold line 120 having a V-cutting groove 115 in the hard wick 110 as a method to increase mass productivity, the hard wick 110 is transferred through the roll 200 and the cutter 210 seems to use At this time, the inkjet 22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utter 210 and the hard wick frame box 110 is continuously transferred by the roll 200 directly to the fold line 120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econd printed layer (P2). can form. The simplification of equipment can be obtained by such a structure.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적 도면들이다.9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printed layer on a fold lin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하드심지 골격박스(110)에 잉크젯(220)과 같이 잉크를 뿌리거나 분사하는 방식으로 제2인쇄층(P2)을 형성한 것을 보인다. 이 경우 브이 커팅홈(115)의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지분(紙粉)이 잉크젯(220)에 들러붙지 않으므로 유지 관리의 면에서 우수하다.FIG. 9(a) shows that the second printing layer P2 is formed in the hard wick skeleton box 110 by spraying or spraying ink like the inkjet 220 . In this case, the dust generated on the cut surface of the V-cutting groove 115 does not adhere to the inkjet 220 , so it is excellent in terms of maintenance.

도 9(b)는 잉크젯과 같은 비접촉형 착색수단 대신 접촉형 착색수단(320)을 사용한 것을 보인다. 브이 커팅홈(115)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가 묻은 접촉형 착색수단(32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거나 길이방향의 이송을 유도함으로써 필요한 면적을 갖는 인쇄층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접촉형 착색수단(320)은 브러시, 롤 또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실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FIG. 9(b) shows that the contact-type coloring means 320 is used instead of the non-contact coloring means such as inkjet. A printed layer having a required area can be obtained by vertically transporting the contact-type coloring means 320 disposed along the V-cutting groove 115 and imbued with ink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by inducing the trans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ntact-type coloring means 320 may be in the form of a brush, a roll, or a continuously transferred thread.

또한, 도 9(a) 또는 도 9(b)와 달리, 인쇄층을 미리 갖는 전사지를 브이 커팅홈(115)에 대고 압력, 열 등의 작용에 의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In addition, unlike FIG. 9(a) or FIG. 9(b), a similar effect may be obtained by applying a transfer paper having a printed layer in advance to the V-cutting groove 115 and transferring it by the action of pressure, heat,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aper packaging box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종이 포장상자
110: 하드심지 골격박스 111: 바닥면
112: 제1측면부 113: 제2측면부
115: 브이 커팅홈 115a:
115b: 모서리 117: 수용홈
117a: 제1커팅면 117b: 제2커팅면
121: 접힘선 122: 제1교합선
123: 제2교합선 130: 겉지
200: 롤 210: 커터
220: 잉크젯 320: 접촉형 착색수단
P1: 제1인쇄층 P2: 제2인쇄층
100: paper packaging box
110: hard wick skeleton box 111: bottom surface
112: first side portion 113: second side portion
115: V cutting groove 115a:
115b: edge 117: receiving groove
117a: first cutting surface 117b: second cutting surface
121: fold line 122: first occlusal line
123: second occlusal line 130: outer cover
200: roll 210: cutter
220: inkjet 320: contact-type coloring means
P1: first printed layer P2: second printed layer

Claims (15)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겉지로 감싸 제조하는 종이상자로서,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는,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상호 연장되며, 한 쌍의 접힘선을 중심으로 세워질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며, 그 각각은 상기 바닥면부의 가장자리와 세워진 상기 제1측면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각각 포함하는, 종이 포장상자.
As a paper box manufactured by wrapping a hard wick skeleton box with an outer paper,
The hard wick skeleton box,
bottom part;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formed to be erected around a pair of fold lines; and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each of which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both edges of the erected first side portion,
The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ach include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the paper packaging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부분 커팅에 의해 형성되는 제1커팅면; 및
상기 제1커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팅면과의 조합에 의해 종이가 컷아웃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팅면을 포함하는, 종이 포장상자.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groove is
a first cutting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ortion and formed by partial cutt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paper packaging box comprising a second cutting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formed so that paper can be cut out by a combination with the first cutting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면과 상기 제2커팅면 사이의 각은 90도 또는 90도보다 작게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An angle between the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is formed to be less than 90 degrees or 90 degrees, a paper packaging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의 결의 방향과 상기 제2측면부의 결의 방향이 평행하도록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
According to claim 1,
A paper packaging box formed so that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art and the grain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art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에 라인형 인쇄층이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
According to claim 1,
A paper packaging box in which a line-type printing layer is formed on the fold l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은, 브이 커팅에 의하여 생성된 절단면과 절단되지 않은 인접면이 만나서 생성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한 쌍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및 상기 절단면에 인쇄된, 종이 포장상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ld line includes a pair of edges generated by the intersection of a cut surface generated by V-cutting and an adjacent surface that is not cut,
The line-type printing layer is printed on at least one edge of the pair of edges and the cut surface, a paper packaging box.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에 인쇄되는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절단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ine-type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cut surface is formed entirely on the cut surface, a paper packaging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에 인쇄되는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인쇄된, 종이 포장상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ne-type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cut surface is printed from the edge to a predetermined depth, a paper packaging bo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하드심지의 내측면이 갖는 색상보다 어두운 색상에 의해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ne-type printing layer is formed by a color darker than the colo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wick, paper packaging box.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겉지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드심지 골격박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드심지에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측면부를 상기 바닥면부에 대하여 세우고, 상기 바닥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하드심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부착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하드심지를 상기 바닥면부가 형성될 영역과 상기 제1측면부가 형성될 영역이 생성되도록 브이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심지를 90도 전환하여 상기 하드심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측면부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box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hard wick skeleton box, and wrapping the hard wick skeleton box with an outer paper,
The step of forming the hard wick skeleton box,
A first step of forming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in the hard wick; and
A second step of erecting the first side part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and attaching a pair of second side part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ard wick to both edges of the bottom part and the first side part,
The first step is
forming a pair of fold lines by V-cutting the hard wick to form an area in which the bottom surface part will be formed and an area in which the first side part will be formed; and
Including the step of turning the hard wick 90 degrees to form a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ide portion on the edge of the hard wick,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부분 커팅에 의해 형성되는 제1커팅면; 및
상기 제1커팅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팅면과의 조합에 의해 종이가 컷아웃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커팅면을 포함하는,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groove is
a first cutting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side portion and formed by partial cutt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comprising a second cutting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formed so that paper can be cut out by a combination with the first cutting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면과 상기 제2커팅면 사이의 각은 90도 또는 90도보다 작게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is formed to be less than 90 degrees or 90 degre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의 결의 방향과 상기 제2측면부의 결의 방향이 평행하도록 형성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formed so that the grain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grain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ortion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접힘선에 라인형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tep i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line-type printing layer on the fold li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은, 브이 커팅에 의하여 생성된 절단면과 절단되지 않은 인접면이 만나서 생성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라인형 인쇄층은 상기 한 쌍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및 상기 절단면에 인쇄되는,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old line includes a pair of edge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a cut surface generated by V-cutting and an adjacent surface that is not cut, respectively,
The line-type printing layer is printed on at least one edge of the pair of edges and the cut surfa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per packaging box.
KR1020190167921A 2019-12-16 2019-12-16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765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21A KR20210076572A (en) 2019-12-16 2019-12-16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21A KR20210076572A (en) 2019-12-16 2019-12-16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72A true KR20210076572A (en) 2021-06-24

Family

ID=7660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21A KR20210076572A (en) 2019-12-16 2019-12-16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57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en)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bari box, a sabari box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abari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en)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bari box, a sabari box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abari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0528C (en)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 having reinforced corners and blanks for making the same
US6739453B1 (en) Product packaging having a non-thermoformed blister-like compartm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6350622B2 (en) Packaging box
DE10061600A1 (en) Pack, in particular cigarette pack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EP2944459B1 (en) Shelf ready packaging having structural integrity, and processes for making them
KR20210076572A (en) Paper 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239941Y2 (en)
KR20210063077A (en) Paper packing box having v-cut 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00789B1 (en) Packaging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I573743B (en) Package for smoking goods and blank of package for smoking goods
CA2694152C (en) A container including a decorative film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US20150375892A1 (en) Shelf ready packaging having improved shelf presentation
KR102445103B1 (en) Packaging Box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JP2006218698A (en) Printed matter partially given metallic luster printing
KR2023013920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packing box
KR100647230B1 (en) Box for package
TW202014349A (en) Paper-made board and paper support frame especially having improved structural strength and providing better buffer protection for packing products
JP4352891B2 (en) Top open paper box
KR2021014397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packing box by using partial cutting and paper packing box thereby
WO2022102012A1 (en) Blank for forming cigarette product package and cigarette product package
KR20220008079A (en) Package box having beautiful edge
JPS6122818Y2 (en)
FR2687370A1 (en) CARDBOARD PACKAGING FOR FRAGILE OBJECTS.
JP4182526B2 (en) Egg packag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0316541Y1 (en) Box for pac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