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688A -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688A
KR20210070688A KR1020190160749A KR20190160749A KR20210070688A KR 20210070688 A KR20210070688 A KR 20210070688A KR 1020190160749 A KR1020190160749 A KR 1020190160749A KR 20190160749 A KR20190160749 A KR 20190160749A KR 20210070688 A KR20210070688 A KR 20210070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hock
earphone
imp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민
Original Assignee
신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민 filed Critical 신정민
Priority to KR102019016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688A/ko
Publication of KR2021007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이어폰의 사용으로 외부 소음이 차단되면서, 스마트폰이 추락하거나, 다른 물건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인지하지 못하여 방치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분실 혹은 2차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이다. 구성 요소는 기준 충격량을 초과했는지 분석하는 충격 분석부, 상기 충격 분석부에서 상기 기준 충격량을 초과했다고 분석되는 경우 경고를 주는 충격 경고부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을 포함합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s detect shocks on you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으로 스마트폰의 예상치 못한 충격으로 인한 파손, 분실 등을 방지한다.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의 통신은 블루투스 기술이 많다.
스마트폰이 점점 더 고성능화 되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2차 파손 방지 및 분실 방지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충격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무선 이어폰의 사용으로 외부 소음이 차단되면서, 스마트폰이 추락하거나, 다른 물건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인지하지 못하여 방치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충격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분실 혹은 2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충격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은 기준 충격량을 초과했는지 분석하는 충격 분석부, 상기 충격 분석부에서 상기 기준 충격량을 초과했다고 분석되는 경우 경고를 주는 충격 경고부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을 포함한다.
충격 감지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 경고부는 소리 신호를 생성하고 이어폰에서 출력하는 소리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기준 감도값을 설정하는 제1 기준 감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감도값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충격 분석부 및 경고부 동작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폰은 기준 감도값을 설정하는 제2 기준 감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감도값은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현재 무선 이어폰은 음악 전송이외에 다른 역할을 못하고 있다. 충격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분실 혹은 2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지 기능을 갖는 무선 이어폰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충격 감지 기능을 갖는 무선 이어폰을 구성하는 스마트폰(200)과 이어폰(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이어폰은 무선으로 연결된다. 연결되는 통신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NFC), 적외선 통신, 지그비, 무선 인터넷(wifi),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이 사용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반경 10m 거리에서 최대 1Mbs의 속도로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음성을 포함한 소리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사람의 귀에 전달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귀를 감싸는 형태의 이어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200)과 이어폰(100)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에 기준 충격량이 발생하면 이어폰(100)은 사용자에게 경고를 준다.
기준 충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진동 센서를 이용한 방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방법, MEMS 센서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100: 충격 경고 기능을 갖는 무선 이어폰
200: 충격 감지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300: 스마트폰 내장 충격 감지 센서
400: 충격 분석부
500: 스마트폰 통신 모듈
600: 무선 이어폰 통신 모듈
700: 무선 이어폰을 통한 경고 알림

Claims (8)

  1. 스마트폰 충격 감지 센서로 부터 충격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충격 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폰에 기준 충격량을 초과하는지 분석하는 충격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스마트폰에 기준 충격량이 초과된 경우, 사용자에게 충격 경고를 주는 무선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과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분석부는 기준 충격량보다 큰 경우 기준 충격량을 초과하였다고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충격량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경고부는
    소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하는 소리 경고부.
  7. 스마트폰에 가해진 충격 신호를 분석하여 기준 충격량이 가해지면 신호를 이어폰에 전달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는 무선 이어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및 이어폰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모듈을 포함.


KR1020190160749A 2019-12-05 2019-12-05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KR20210070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49A KR20210070688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49A KR20210070688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88A true KR20210070688A (ko) 2021-06-15

Family

ID=7641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49A KR20210070688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6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836B2 (en)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EP2905949B1 (en) Notification volume adjustment based on distance from paired device
US10390123B2 (en) Proximity sensing headphones
KR101246990B1 (ko) 이동통신단말기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헤드셋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헤드셋 시스템
RU2016100440A (ru) Определение уда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их с медиа устройствами
CN112584293B (zh) 麦克风堵孔检测方法及相关产品
EP232706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a wireless device while driving
CN112013949A (zh) 耳机佩戴状态的确定方法、装置及耳机
EP3823312A1 (en) Microphone hole blocking detec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KR101637378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US20170117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user to sound occurrence
KR20210070688A (ko)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무선 이어폰
KR101872611B1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US11722813B2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for hearing protection devices
KR102223653B1 (ko)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20220264214A1 (en) Control of an earphone device
WO2022070975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41638B1 (ko) 감지기
KR101485238B1 (ko) 피보호자 상태 제공 시스템
JP6425379B2 (ja) 電力管理を備える聴覚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2013115525A (ja) 車両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端末
KR20140115414A (ko) 모바일 기기의 착신 및 분실 원격감지장치
JP2016225704A (ja) 携帯端末、音出力装置および音量調整方法
KR2009006938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가방
CN116347497A (zh) 用于确定电子设备状态的系统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