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41A -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41A
KR20210069941A KR1020190159804A KR20190159804A KR20210069941A KR 20210069941 A KR20210069941 A KR 20210069941A KR 1020190159804 A KR1020190159804 A KR 1020190159804A KR 20190159804 A KR20190159804 A KR 20190159804A KR 20210069941 A KR20210069941 A KR 20210069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user wireless
app
screen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102019015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941A/en
Publication of KR2021006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2Bookmar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site address storing method using screen capture which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move to a corresponding web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site address storing method using screen capture is execut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user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web or one or more designated applications and comprises: a first step of checking access to designated web or driving of a designated application by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a capture operation for the content outputt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by th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ich has checked the access to the designated web or driving of the designated application; a third step of checking address information of a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t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fourth step of processing to store mapping information mapping the checked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with capture image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capture oper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내용을 화면 캡쳐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creen capture of content output on a screen of a user's wireless terminal is stored as an image, the websit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captured image is checked, and the checked website addr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relates to a method of mapping and saving a captured image.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 등의 무선단말을 통해 웹사이트 및 앱을 이용하여 쇼핑을 하고 검색하고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특히, 모바일 쇼핑을 하면서 사람들은 마음에 들거나 구매하고픈 상품이 나오면 해당 상품의 내용을 화면 캡쳐를 하여 보관하게 된다.Most people shop, search, and access web pages using websites and apps through wireless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In particular, during mobile shopping, when a product they like or want to purchase comes up, the screen captures the contents of the product and stores it.

이는 사용자가 별도의 앱을 이용하거나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저장된 이미지만을 확인함으로써, 기존에 마음에 들어 캡쳐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viously captured product by checking only the saved image without using a separate app or accessing the website.

일반적으로, 무선단말을 통해 화면을 캡쳐하는 경우 갤러리 영역에 스크린샷으로 이미지로만 저장된다. 즉, 스크린샷에 저장된 이미지는 하나의 이미지로 저장되기 때문에 링크정보나 상품정보 등을 가지고 있지 않다.In general, when a screen is captured through a wireless terminal, only an image is saved as a screenshot in the gallery area. That is, since the image stored in the screenshot is stored as one image, it does not have link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결국, 사용자는 이미지로 캡쳐하여 저장해 놓은 원하는 상품을 찾기 위해서는 화면캡쳐한 저장된 이미지를 보고 해당 앱이나 포털사이트, 쇼핑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시 검색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After all, in order to find the desired product captured and stored as an image, the user had to look at the screen-captured image and access the corresponding app, portal site, or shopping site to search agai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을 캡쳐한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쇼핑몰 등의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상기 이미지와 매핑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A method of mapping and storing address information of a website such as a shopping mall, and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of a website mapped to the image when a user clicks on the stored image,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the website more conveniently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은,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앱 또는 웹과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상기 캡쳐 동작에 따른 캡쳐 이미지 정보와 매핑한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thod for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rough one or more designated apps or apps of a user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web, and driving of a designated app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or accessing a designated web A first step of confirming,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a capture operation for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specified app or the specified web connection; A third step of confirm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ebsite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capture operation A fourth step of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mapped mappin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의 핸드 슬라이딩 행위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출력되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구비된 특정 버튼의 클릭 또는 터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의 클릭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ep, the hand sliding ac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or provided in a certain area on the screen output from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is may include recognizing a click or touch of a specific button, or recognizing a click of one or more physical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주소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is confirmed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for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designated app for which the operation is confirm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address information through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nection of the designated web is confirmed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to the designated web where the connection is confirmed It may be ma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a memory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매핑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firming product information on a product displayed on a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ted content,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ring in association with the mapp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s a step of receiving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designated app whose operation is confirm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is confirmed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t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을 운영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nection of the web specified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s confirmed, the product information identified from the specified server operating the specified web in which the connection is confirm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t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할 이미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fth step of receiving input or selection of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a user throug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and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sixth step of outputt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one or mor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can be don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is the step of confirming th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t may include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includes: checking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may be made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웹으로 자동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utomatically accessing the web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선단말로 캡쳐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웹사이트를 일일이 찾아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search for products or websites corresponding to images captured by a wireless terminal one by one.

여러 웹사이트나 쇼핑몰에 산재되어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이미지 형태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users can easily manage the desired products in the form of images scattered across multiple websites or shopping mal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그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무선단말에서의 화면 캡쳐에 따른 이미지 저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화면 캡쳐 이미지에 저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 캡쳐 이미지화 함께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user wireless terminal and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nd storing a screen-captured image and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n a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torage screen according to a screen capture in a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a conventional screen capture image.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a screen captur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for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That is, the following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a preferred union type among numer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An embodiment in which a function implemented in a function is divided into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an embodiment in which a function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 is integrated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Embodiments in which the order of operation is replaced, and the like, are clearly stat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fore, it is clearly specifi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a subset or a complement can be divided retroactively from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user wireless terminal and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내용을 화면 캡쳐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 실행되는 앱(15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1의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FIG. 1 is a screen capture of the content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storing it as an image, confirming the websit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captured image, and collecting the confirmed website address information As showing the func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for mapping and storing the screen-captured imag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 155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ose with the knowledge of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func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this figure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It is made,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1 . Preferably,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f this figure 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mobile phones, various smart phones, and various tablet PCs.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5)와 메모리부(150)와 화면 출력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15)와 사운드 입력부(120)와 사운드 출력부(125)와 카메라부(130)와 무선망 통신부(135)와 근거리망 통신부(140)와 USIM 리더부(14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5 , a memory unit 150 , a screen output unit 110 , a user input unit 115 , a sound input unit 120 , and a sound output unit 125 . and a camera unit 130 ,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 and a USIM reader unit 145 , and may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155)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1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05 is a generic term for component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It can be connected through a bus and a b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5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processor into the execution memory for operation, and outpu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program code through the bus.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figura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 155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by showing it in the control unit 105 .

상기 메모리부(1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내용을 화면 캡쳐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매핑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지정된 동작 기능을 실행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150 is a generic term for non-volatile memories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resources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5 and at least one used by the program code. data sets can be stored and maintained. The memory unit 150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and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code and application data set,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capture of the content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s stored as an image, and a websit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creen-captured image A program code and a data set for executing a designated operation function in order to check information, map the identified website address information to the screen-captured image and store it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creen output unit 110 includes a screen output device (e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etc.) and an output module driving the same, and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105 to produc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5 .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screen may b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11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1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5 includes one or more user input devices (eg,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interworking with the screen output unit 110 , etc.) and an input module driving the same, and the control unit 105 ) to input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105 or input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5 .

상기 사운드 입력부(120)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ame, and encode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ccording to a specified encoding rule to the control unit 105. can transmit

상기 사운드 출력부(125)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25 may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that drives the same, and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5 to obtain the sound data.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상기 카메라부(130)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amera unit 130 includes a camera lens, an image sensor, and a camera module driving the same, and an actuator and/or various filters (eg, IR filter, etc.) for an auto-focus function or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etc. further including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와 근거리망 통신부(14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무선망 통신부(135)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and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are generic names of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s 140 .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3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is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and includ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5 to transmit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05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o transmit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5,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0 can connect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a switch, and in some cases, packet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witch. It can be connected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communication-based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135)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performs at least one of accessing,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DMA/WCDMA/LTE standard. includes configuration.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accessing,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to the portable Internet according to IEEE 802.16 related standard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35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acces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regardless of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ection,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tocol.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4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40)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0 m), and based on this,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As such, preferably,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connects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USIM 리더부(145)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The USIM reader unit 145 is configured to exchange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based on the ISO/IEC 7816 standard. As a generic name, the dataset is exchanged in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n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45)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SIM is a SIM-type card equipped with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IEC 7816 standard,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unit 145,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and an IC chip memory for storing a data set, and a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according to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and a processor that transmits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제어부(10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1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155)는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100)과 앱(155)의 조합(또는 상기 앱(155)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00),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앱(1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서버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앱(1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5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esignated app providing server (eg, Apple's App Store, etc.)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can be accessed. The process of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app 155 including the program code for execution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downloaded and installed app 15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nstalls the combin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app 155 (or installs the app 155) when the first execution (or execution before information registration) after installation.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device token, UUID, etc.) that identifies on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r the app 155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s a unique medium is created or allocated through a designated server A receiving procedure may be performed, and a procedure of registering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ombin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app 155 as a unique medium to a designated server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앱(155)를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 155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may perform a procedure of register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eg, phone number, IMSI, IMEI, etc.)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a designated server, , in this case, the server can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app 155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nique ID (or member ID), name, date of birth, etc.) may be performed, and in this case, the server may link and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앱(155)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앱(155)에 포함된 프로그램코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브라우져로 제공된 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 형태의 프로그램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 155 is at least one of a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app 155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a program code in the form of a script included in a page provided to the browser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of program code.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155)는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부(160)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의 캡쳐 동작을 인식하는 캡쳐 인식부(165)와, 캡쳐되는 화면 상에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관련 정보(예컨대, 주소정보 등)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70)와, 캡쳐 이미지 정보와 웹사이트 관련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 저장부(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pp 155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60 that checks the operation of a designated app or a designated web connection, and a capture oper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The capture recognition unit 165 for recognizing the captured image,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70 for confirming website-related information (eg, address information, etc.)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 on the captured scree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website A mapping storage unit 175 for mapping and storing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접속 확인부(160)는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앱으로서, 상기 앱(155)과 동일한 앱일 수도 있다.The connection check unit 160 may check the operation of the specified app or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ed web. Here, the designated app is an app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may be the same app as the app 155 .

상기 접속 확인부(160)는 상기 지정된 앱이 구동하는 것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탑재된 브라우저를 통해 지정된 웹에 접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access confirmation unit 160 may confirm that the designated app is running or that the designated web is accessed through a browser mounted 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상기 캡쳐 인식부(165)는 상기 접속 확인부(160)를 통해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이 확인된 이후, 상기 지정된 앱 또는 지정된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The capture recognition unit 165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specified app or the specified web after the operation of the specified app or the specified web connec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60 Capturing action for the output content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쳐 인식부(16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의 핸드 슬라이딩 행위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되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구비된 특정 버튼의 클릭 또는 터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의 클릭을 인식함으로써, 화면 캡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e recognition unit 165 recognizes a hand sliding ac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r recognizes a click or touch of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a certain area on the output screen, or , or by recognizing the click of one or more physical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screen is captured.

상기 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캡쳐 인식부(16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capture operation of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s recognized through the capture recognition unit 165 , the information check unit 17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capture operation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You can check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checking unit 170 may check product information about a product displayed on a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ted conte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 및/또는 상품정보를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주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check unit 170 confirms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address information and/or product information for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designated app whose operation is confi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 및/또는 상품정보를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의 주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70 confirms access to the designated web, address information and/or product information for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o check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web for which the access is confirmed.

상기 매핑 저장부(175)는 상기 정보 확인부(17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상기 캡쳐 동작에 따른 캡쳐 이미지 정보와 매핑한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mapping storage unit 175 check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information check unit 170, the address of the identified website The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apped with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ptur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핑 저장부(175)는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ping storage unit 175 may store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memory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r store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핑 저장부(175)는 상기 정보 확인부(170)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매핑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ping storage unit 175 maps the identified product information when product information on a product displayed on the website is checked through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170 . I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한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입력 확인부(180)와,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18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n input check unit 180 that receives input or selection of an imag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 and a corresponding input or selected imag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5 for outputting addr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입력 확인부(180)는 상기 매핑 저장부(17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와 상기 캡쳐 동작에 따른 캡쳐 이미지 정보를 매핑한 매핑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이후,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할 이미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을 수 있다.After the input check unit 180 map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identified through the mapping storage unit 175 and the captur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pture operation, the mapp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may be input or selected from the user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 확인부(180)는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heck unit 180 may output one or mor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상기 정보 처리부(185)는 상기 입력 확인부(18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할 이미지 정보가 입력 또는 선택 확인되면,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the user is input or selected through the input confirmation unit 180 ,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5 outputs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to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can be printed 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85)는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5 may check th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85)는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5 checks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8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웹으로 자동 접속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5 may automatically access the web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그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nd storing a screen-captured image and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n a use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앱(155)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내용을 화면 캡쳐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상기 화면 캡쳐된 이미지와 매핑하여 저장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웹사이트 주소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동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2 is a screen capture of content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as an image. After checking websit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mapping the identified website address information with the screen-captured image and storing it,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ed image, corresponding website address information is provided Or as showing the process of automatic connec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ure 2 and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eg, some steps are omitted or , or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the order is changed) can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2 .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앱(155)에서 상기 지정된 앱이 구동하는 것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탑재된 브라우저를 통해 지정된 웹에 접속하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Referring to FIG. 2 , in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designated app is running i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1 , or a browser mounted 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s executed. It may be started from the process of confirming access to the specified web through the (200).

여기서 상기 지정된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앱으로서, 상기 앱(155)과 동일한 앱일 수도 있다.Here, the designated app is an app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may be the same app as the app 155 .

상기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이 확인된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지정된 앱 또는 지정된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을 인식한다(205).After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or access to the designated web is confirmed,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designated app or the designated web. Recognizes a capture operation for (20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의 핸드 슬라이딩 행위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되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구비된 특정 버튼의 클릭 또는 터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의 클릭을 인식함으로써, 화면 캡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ognizes a hand sliding ac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r clicks or clicks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a certain area on the output screen. By recognizing a touch or recognizing a click of one or more physical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a screen is captured.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이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한다(210). When the capture operation of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s recognized,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rresponds to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Check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to do (2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an check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ted content.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 및/또는 상품정보를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주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Here,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drives the address information and/or product information for the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when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dentified designated app.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 및/또는 상품정보를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의 주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nfirms the connection of the designated web, it accesses address information and/or product information for contents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You can check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is confirmed designated web.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상기 캡쳐 동작에 따른 캡쳐 이미지 정보와 매핑한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215).Whe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is confirmed,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apture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ebsite. The process to sto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mapped ma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to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215).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store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memory with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or store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매핑정보와 연계하여 더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duct information for a product displayed on the website is checked,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further store the checked product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apping information.

이후,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기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화면 출력한다(220).Thereafter,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utputs a designated interface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pre-stored image on the screen ( 220 ).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output one or mor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195)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hecks th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95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 ,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할 이미지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확인되면(225),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한다(230). When input or selection of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the user is confirmed through the designated interface (225),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hecks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230) ).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155)은 상기 확인된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웹으로 자동 접속한다(235). And,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utputs the confirmed addr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nd/or output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A web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accessed ( 235 ).

도면3은 종래의 무선단말에서의 화면 캡쳐에 따른 이미지 저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torage screen according to a screen capture in a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무선단말 환경 하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화면 캡쳐에 따른 이미지 저장 화면에 대한 예시도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 예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또는 전부가 변형되거나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In more detail, this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age storage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general screen capture under a wireless terminal environmen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ure 3 Accordingly,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or all of the screen examples are modified or changed) may be inferred.

도면3을 참조하면, 가장 좌측에 있는 무선단말 화면이 캡쳐할 화면이며, 중간 및 가장 우측에 있는 무선단말 화면이 캡쳐된 이후 갤러리나 스크린샷 형태로 캡쳐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화면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leftmost wireless terminal screen is a screen to be captured, and after the middle and rightmost wireless terminal screens are capture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form of a gallery or a screenshot.

이렇게 종래에는 캡쳐된 화면은 단순히 이미지 형태로만 저장 관리되어 왔다.In this way, conventionally, the captured screen has been stored and managed only in the form of an image.

도면4는 종래의 화면 캡쳐 이미지에 저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a conventional screen capture image.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무선단말 환경 하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화면 캡쳐 시 저장되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 예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또는 전부가 변형되거나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In more detail,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together with image information stored during a conventional general screen capture under a wireless terminal environmen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or all of the screen examples are modified or changed) may be inferred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this FIG. 4 .

도면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화면 캡쳐 시 저장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되는 정보는 날짜, 크기, 해상도, 무선 단말 내 저장 위치, 제목, 장소, 태그, 사진 종류 등으로, 화면 캡쳐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는 저장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information stored together with the image stored during screen capture is generally the date, size, resolution, storage loca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title, location, tag, photo type, etc.,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where the screen is captured. is not stored, which is inconvenient.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 캡쳐 이미지화 함께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화면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a screen captur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라 화면 캡쳐 시, 캡쳐 동작을 인식하고 캡쳐되는 화면 상에 출력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캡쳐되는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 예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또는 전부가 변형되거나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recognizing a capture operation when captur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a website output on the captured screen, and storing the captured image together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or all modified or changed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screen example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this figure 5.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5 .

도면5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화면 캡쳐 시, 캡쳐 동작을 인식하고 캡쳐되는 화면 상에 출력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캡쳐되는 이미지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이후 사용자는 저장된 이미지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when capturing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by recognizing the capture operation, check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output on the captured screen, and storing the captured image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then the user can save the saved image. With just a click, you can automatically access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100 : 사용자 무선단말 105 : 제어부
110 : 화면 출력부 115 : 사용자 입력부
120 : 사운드 입력부 125 : 사운드 출력부
130 : 카메라부 135 : 무선망 통신부
140 : 근거리망 통신부 145 : USIM 리더부
150 : 메모리부 155 : 앱
160 : 접속 확인부 165 : 캡쳐 인식부
170 : 정보 확인부 175 : 매핑 저장부
180 : 입력 확인부 185 : 정보 처리부
190 : 서버 195 : 저장매체
100: user wireless terminal 105: control unit
110: screen output unit 115: user input unit
120: sound input unit 125: sound output unit
130: camera unit 135: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5: USIM reader unit
150: memory unit 155: app
160: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65: capture recognition unit
170: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75: mapping storage unit
180: input verification unit 185: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90: server 195: storage medium

Claims (14)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앱 또는 웹과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지정된 앱의 구동 또는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캡쳐 동작을 인식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확인된 웹사이트의 주소 정보를 상기 캡쳐 동작에 따른 캡쳐 이미지 정보와 매핑한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In the method executed through one or more designated apps or apps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web,
A first step of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 designated app or access to a designated web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a capture operation of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or access to the designated web;
a third step of confirming,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of a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website address using screen capture comprising a; fourth step of processing,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mapp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ebsit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pture operation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How to sa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의 핸드 슬라이딩 행위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출력되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구비된 특정 버튼의 클릭 또는 터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의 클릭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Recognizing a hand sliding ac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or
Recognizing a click or touch of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a certain area on the output screen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or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omprising recognizing a click of one or more physical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주소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When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Website address storage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on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app whose operation is confirmed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When checking the web connection specified 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onfirm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pecified web for which the connection is confirmed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for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step,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매핑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step,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상에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매핑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step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ted content,
The fourth step is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identified product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apping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앱의 구동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구동이 확인된 지정된 앱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hird step,
When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designated app 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receiving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designated app whose operation is confirm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지정된 웹의 접속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접속이 확인된 지정된 웹을 운영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hird step,
When checking the web connection specified 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receiving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from a designated server operating a designated web for which the connection is confirm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할 이미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제5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fifth step in which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receives input or selection of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the user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and
A sixth step of outputting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Website address storage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y.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fth step,
Website using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one or mor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a specifi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How to store address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step,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How to store the website address you us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 내 메모리 또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근거로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step,
checking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storing a website address using a screen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utputting the confirmed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화면 상에 출력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웹으로 자동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를 이용한 웹사이트 주소 저장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step,
and automatically accessing a web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KR1020190159804A 2019-12-04 2019-12-04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KR202100699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04A KR20210069941A (en) 2019-12-04 2019-12-04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04A KR20210069941A (en) 2019-12-04 2019-12-04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41A true KR20210069941A (en) 2021-06-14

Family

ID=764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804A KR20210069941A (en) 2019-12-04 2019-12-04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94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2848B (en) Method for accessing Wi-Fi hotspot device, Wi-Fi hotspot device and user device
US9043936B2 (en) Communications device
EP3797508B1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8447358B2 (en) Multi-standby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tool kit menu thereof
US9635549B2 (en) Provi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function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US9179270B2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US20180247299A1 (en) Watch with SIM and Web browser
KR201101033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smart card
US11570611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SIM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TW201406186A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network configuration parameters
KR200801011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network prameter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6930A (en) Communication between a smart card and a server
EP3090376B1 (en)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and a corresponding server
KR20140033213A (en) Method for accessing at least one ser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CN112383663B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CA2894937C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KR102645447B1 (en) Method for Registering Camera Device
CN106454299A (en)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device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KR20210069941A (en) Method for Storing Website URL by Using Screen Capture
KR20130125948A (en)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lbum service and a device therefor
KR101737382B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easy mobile subscription
KR200800507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27101B1 (en) Method for sending contents using callback sms massage with url
CN115460642B (en) Network name display test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